KR101322218B1 - 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22218B1 KR101322218B1 KR1020087027589A KR20087027589A KR101322218B1 KR 101322218 B1 KR101322218 B1 KR 101322218B1 KR 1020087027589 A KR1020087027589 A KR 1020087027589A KR 20087027589 A KR20087027589 A KR 20087027589A KR 101322218 B1 KR101322218 B1 KR 10132221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filter
- filter medium
- medium filling
- flow path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2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9969 flowabl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6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4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1580 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776 aggreg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220 aggre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NWUYHJFMYQTDRP-UHFFFAOYSA-N 1,2-bis(ethenyl)benzene;1-ethenyl-2-ethylbenzene;styrene Chemical compound C=CC1=CC=CC=C1.CCC1=CC=CC=C1C=C.C=CC1=CC=CC=C1C=C NWUYHJFMYQTDR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65 channe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456 ion exchange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303 ion-exchange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ZAMOUSCENKQFHK-UHFFFAOYSA-N Chlorine atom Chemical compound [Cl] ZAMOUSCENKQFH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45 absorb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50 absorb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1 chl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0 chlo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51 drink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188 drinking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46 outsourc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44 propag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04—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clamped between pervious fixed walls
- B01D24/08—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clamped between pervious fixed walls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supported by at least two pervious coaxial wal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원 발명은, 일단면에 원수(原水)를 유입하는 유입구를, 타단면에 정수(淨水)를 유출하는 유출구를 가지는 외부 케이스와, 상기 외부 케이스에 수납되는 내부 케이스를 구비하고, 외주면 측에 설치되는 외측 필터와 내주면 측에 설치되는 내측 필터 사이에 설치되는 통형의 여과재 충전부와, 상기 내측 필터의 내주측에 설치되는 집합 유로를 상기 내부 케이스에 구비한 정수기, 및 정수를 저수하는 저수조와 저수된 상기 정수를 유출하는 유출구를 가지는 외부 케이스와, 상기 외부 케이스에 수납되어 원수를 저수하는 원수조와, 상기 외부 케이스에 수납되고 상기 원수조에 연통되어 원수가 유입되는 내부 케이스를 구비하고, 외주면 측에 설치되는 외측 필터와 내주면 측에 설치되는 내측 필터 사이에 설치되는 통형의 여과재 충전부와, 상기 내측 필터의 내주측에 설치되는 집합 유로를 상기 내부 케이스에 구비한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정수기로서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원수가 여과재 충전부를 직경 방향으로 통과함으로써, 정화되는 정수 카트리지를 구비한 정수기가 알려져 있다(특허 문헌 참조).
그리고, 이와 같은 정수기를 사용함으로써, 여과재 충전부를 축방향으로 통 과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짧은 여과길이로 원수를 정화할 수 있으므로, 여과재에 미립 여과재를 사용할 수 있어, 정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정수기에서는, 여과재의 유입구 측 단면에 탄성체를 설치함으로써, 여과재 충전부의 가압밀착을 가속할 수 있으므로, 정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허 문헌: 일본국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2001-212555호 공보(도 1)
그러나,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종래의 정수기에서는, 정수기의 정수 카트리지(6) 내에 있어서, 통수성(通水性)이 없는 커버부(78)에 의해 정체수가 체류하는 데드 스페이스(76)가 발생한다. 즉, 염소가 이탈되어 살균 효과가 저하된 정수가 상기 데드 스페이스(76)에 정체되어 정체수로 되므로, 정수기 내에서의 세균 번식 리스크가 증대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세균이 번식하기 쉬운 하계(夏季)나, 장기간 정수기를 사용하지 않은 후, 사용자가 물을 버리지 않고 상기 정수기를 사용하면 위생 관리 상 바람직하지 않아,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원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사용자에 의해 안전한 음료수를 공급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점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 발명에 관한 정수기는, 일단면에 원수를 유입하는 유입구를, 타단면에 정수를 유출하는 유출구를 가지는 외부 케이스와, 상기 외부 케이스에 수납되는 내부 케이스를 구비하고, 외주면 측에 설치되는 외측 필터와 내주면 측에 설치되는 내측 필터 사이에 설치되는 통형의 여과재 충전부와, 상기 내측 필터의 내주측에 설치되는 집합 유로를 상기 내부 케이스에 구비하고, 상기 외측 필터의 외주측에 설치되는 외주 유로와 상기 집합 유로 사이에서, 상기 원수가 상기 여과재 충전부를 직경 방향으로 통수하여 정화되는 정수기로서, 그 특징적 구성은, 상기 여과재 충전부의 축방향으로 통수 가능한 개구부를 상기 내부 케이스에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원수를 상기 여과재 충전부에 안내하고, 얻어진 정수를 상기 유출구에 안내하는 점에 있다. 이 구성은 예를 들면, 카운터 탑 거치형의 정수기나, 수도꼭지 직결형 정수기, 포트형 정수기 등의 정수기에 채용할 수 있다.
상기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상기 여과재 충전부의 축방향으로 통수 가능한 개구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여과재 충전부의 축방향의 원수 유입구 측에 생기는 충전 간극을 원수가 흐르는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정체수가 체류하는 데드 스페이스를 해소할 수 있어 세균 번식 리스크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종래 구조에서는 통수가 행해지고 있지 않아 충분한 정수 기능을 발휘할 수 없었던 여과재 특정 부위(본원 발명에서 개구부를 형성하는 측에 있는 여과재 충전부의 축방향 단부 측 부위)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통수가 행해지므로, 상기 여과재 특정 부위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과재 충전부에 개구부로부터 축방향으로 수압이 가해지므로, 상기 여과재 충전부로의 가압밀착을 가속할 수 있으므로, 정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원 발명에 관한 정수기의 다른 특징적 구성은, 상기 개구부가 상기 유출구 측에 설치되고, 상기 외주 유로가 U자형으로 굴곡된 형상으로 상기 개구부에 연통되는 구조를 가지는 점에 있다.
상기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상기 개구부를 상기 유출구 측에 구비함으로써, 상기 외주 유로가 U자형으로 굴곡된 형상으로 상기 개구부에 연통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종래 구조에 있어서 막다른 곳으로 되어 정체수가 정체되고 있었던 데드 스페이스를 해소할 수 있어, 세균 번식 리스크를 저감하여, 정수 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 발명에 관한 정수기는, 정수를 저수하는 저수조와 저수된 상기 정수를 유출하는 유출구를 가지는 외부 케이스와, 상기 외부 케이스에 수납되어 원수를 저수하는 원수조와, 상기 외부 케이스에 수납되어 상기 원수조에 연통되어 원수가 유입되는 내부 케이스를 구비하고, 외주면 측에 설치되는 외측 필터와 내주면 측에 설치되는 내측 필터 사이에 설치되는 통형의 여과재 충전부와, 상기 내측 필터의 내주측에 설치되는 집합 유로를 상기 내부 케이스에 구비하고, 상기 외측 필터의 외주측과 상기 집합 유로 사이에서, 상기 원수가 상기 여과재 충전부를 직경 방향으로 통수하여 정화되는 정수기로서, 그 특징적 구성은, 상기 여과재 충전부의 축방향으로 통수 가능한 개구부를 상기 내부 케이스에 설치하고, 상기 원수조로부터 상기 개구부를 거쳐 상기 원수를 상기 여과재 충전부에 안내하고, 얻어진 정수를 상기 저수조에 안내하는 점에 있다. 이 구성은, 예를 들면, 포트형 정수기나, 수도꼭지 직결형 정수기, 카운터 탑형 정수기 등의 정수기에 채용할 수 있다.
상기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전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상기 내부 케이스 내의 정체수가 체류하는 데드 스페이스를 해소할 수 있어 세균 번식 리스크를 저감시켜, 정수 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 케이스 내의 통수 경로가 간략화한 구조로 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용이하며 염가인 정수기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종래 구조에서는, 통수가 행해지고 있지 않아 충분한 정수 기능을 발휘할 수 없었던 여과재 특정 부위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통수가 행해지므로, 상기 여과재 특정 부위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과재 충전부에 상기 개구부로부터 축방향으로 수압이 가해지므로, 상기 여과재 충전부로의 가압밀착을 가속할 수 있으므로, 정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원 발명에 관한 정수기의 또다른 특징적 구성은, 상기 원수가 상기 여과재 충전부를 상기 외측 필터의 외주측으로부터 상기 집합 유로를 향하는 직경 내측 방향으로 통수하는 점에 있다.
상기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유로가 정수 카트리지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형성되므로, 외주측의 광단면(廣斷面)의 외주 유로로부터, 내주측의 저단면(低斷面)의 집합 유로에 원수를 흐르게 함으로써 충분한 정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유로가 축심(軸心)을 향하고 있으므로 정수 카트리지 구조의 안정성이 향상되어, 누수 등이 발생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본원 발명에 관한 정수기의 또다른 특징적 구성은, 상기 개구부에, 통수 가능한 제1 필터를 설치하고 있는 점에 있다.
상기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제1 필터로 통수를 가능하게 하면서, 예를 들면, 비교적 입경이 큰 이물질이 여과재 충전부에 도달 및 축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여과재 충전부로부터 여과재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원 발명에 관한 정수기의 또다른 특징적 구성은, 상기 개구부와 상기 여과재 충전부 사이에, 상기 내측 필터 또는 상기 외측 필터 중 유입측 필터로부터 통수성이 낮은 제2 필터를 상기 여과재 충전부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치한 점에 있다.
상기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상기 여과재 충전부의 상기 개구부에 있어서, 원수의 유입에 의한 수압에 의해, 상기 통수성이 낮은 제2 필터가 가압되어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여과재 충전부의 가압밀착을 가속하므로, 정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필터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개구부에 있어서의 여과재 충전부의 단면이, 상기 필터를 구비하지 않는 구조와 비교하여, 강하게 가압됨으로써 가압밀착이 가속되므로, 정수 능력이 향상된다. 또한, 물이 통로의 특정 개소만을 다량으로 흐르는 채널링(channeling)을 억제할 수 있어, 일정한 수질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여과재 충전부의 단면을 균일하게 가압할 수 있어 상기 단면이 축방향에 대하여 수평으로 유지되므로, 어느 유로에 있어서도 여과길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항상 일정한 수질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필터가 통수 가능한 구조를 가지므로, 충전 간극을 항상 통수하는 구조로 함으로써, 세균의 번식을 방지할 수 있다.
본원 발명에 관한 정수기의 또다른 특징적 구성은, 상기 개구부와 상기 여과재 충전부 사이에, 통수에 의해 체적이 팽창하는 소재를 설치한 점에 있다.
상기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통수에 의해 체적이 팽창하는 건조 이온 교환 수지나 흡수성 수지 등의 소재(이하, 팽창 소재)에 통수됨으로써, 체적이 팽창하여 충전 간극을 메우는 동시에, 여과재 충전부의 가압밀착을 가속하므로, 정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여과재와 팽창 소재를 분리하여 설치함으로써, 여과재 내에 팽창 소재를 혼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여과 성능을 높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정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원 발명에 관한 정수기의 또다른 특징적 구성은,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여과재 충전부를 축방향으로 통수하여 여과하는 여과길이가, 상기 여과재 충전부를 직경 방향으로 통수하여 여과하는 여과길이보다 긴 점에 있다.
상기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여과재 충전부를 축방향으로 통과한 원수라도, 직경 방향으로 통과한 경우와 동등 이상의 수질을 확보할 수 있다. 즉, 여과재 충전부의 여과재는 유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축방향으로부터의 유입구 단면은 축에 대하여 수직인 면을 유지하고 있지 않고, 원수가 유입되는 단면의 위치에 따라서 여과길이가 변화되지만, 축방향의 생각할 수 있는 최단의 여과길이가 직경 방향의 여과길이와 동등 이상으로 되도록 여과재 충전부의 단면을 설치함으로써, 원수가 여과재 충전부를 축방향으로 통과하는 경우라도, 직경 방향으로 통과한 경우와 동등 이상의 수질을 확보할 수 있다.
본원 발명자들은, 종래 구조의 정수기에 있어서의 데드 스페이스와 본원 구조의 정수기에 있어서 종래 데드 스페이스를 형성하고 있었던 구조 부분에 있어서, 세균을 의도적으로 번식시켜 통수한 경우에, 토출관으로부터 검출되는 세균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종래 구조에서는 시간이 경과해도 세균이 계속 검지된 것에 대하여, 본원 발명의 구조에서는 통수 후 10초 정도에서 세균수가 검지되지 않는다는 실험 결과를 얻었다. 이 결과로부터, 본원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정수기 내를 세균이 쉽게 번식하지 않는 환경으로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 의해 안정성이 높은 정수를 공급할 수 있는 정수기라는 지견을 얻었다. 본원 발명은, 이들 지견에 따른 것이다.
전술한 본원 발명에, 사용자에게 세균수가 적은 안전한 음료수를 공급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정수기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수 카트리지에 있어서 집합 유로와 개구부가 연통되는 구조로 한 정수 카트리지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개구부에 필터를 구비한 구조의 정수 카트리지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정수 카트리지에 있어서 집합 유로와 개구부가 연통되는 구조로 한 정수 카트리지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통수에 의해 체적이 팽창하는 소재를 구비한 구조의 정수 카트리지의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정수 카트리지에 있어서 집합 유로와 개구부가 연통되는 구조로 한 정수 카트리지의 측단면도이다.
도 7은 포트형 정수기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포트형 정수기에 있어서 개구부에 필터를 구비한 구조의 거치형 정수 포트의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포트형 정수기에 있어서 통수에 의해 체적이 팽창하는 소재를 구비한 것으로 한 포트형 정수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7의 포트형 정수기에 있어서 원수가 외주 유로로부터 집합 유로 로 통수하는 구조로 한 포트형 정수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종래의 정수기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분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0) 유입구
(61) 외부 케이스
(62) 내부 케이스
(63) 내측 필터
(64) 외측 필터
(65) 여과재 충전부
(67) 유출구
(68) 외주 유로
(69) 집합 유로
(72) 충전 간극
(73) 외주 유로에 있어서의 유출구 측의 공간
(74) 개구부
(92) 제2 필터
(95) 통수에 의해 체적이 팽창하는 소재
(96) 제1 필터
(101) 원수조
(102) 저수조
[제1 실시예]
본원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정수기는, 키친 카운터에 설치되는 카운터 탑형 정수기로서 구성되어 있고, 수도꼭지(1)에 접속되는 전환 밸브(2)와, 그 전환 밸브(2)로부터 급수 호스(3)를 통해서 물이 공급되는 정수기 본체(4)와, 정수기 본체(4)로부터 받아들인 물을 여과하는 정수 카트리지(6)와, 정수 카트리지(6)로 여과된 정수를 정수 토출구(81)에 안내하여 토출하는 정수 토출관(8)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자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상기 정수 카트리지(6)는, 외부 케이스(61)와 외부 케이스(61)에 수납되어 있는 내부 케이스(62)를 구비하고 있으며, 그 내부의 유로는, 물이 체류하지 않고 통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정수 카트리지(6)는, 아래쪽으로 돌출하여 정수기 본체(4)의 급수로(43)에 연통된 유입구(60)와, 위쪽으로 돌출하여 후술하는 정수 토출관(8)이 일체 접속되는 유출구(67)가 형성된 원통형의 외부 케이스(61)를 구비하고, 정수기 본체(4)의 급수로(43)로부터 유입구(60)를 통해서 내부 케이스(62) 내에 받아들인 물을 여과하고, 그 여과 후의 정수를 유출구(67)로부터 정수 토출관(8)에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환 밸브(2)는, 전환 레버(2a)의 요동(搖動) 조작에 의해, 수도꼭지(1)로부터 받아들인 원수를 급수 호스(3)를 통해서 정수기 본체(4)에 공급하여 정수를 정수 토출구(81)로부터 정수를 토출시키는 정수 토출 상태와, 수도꼭지(1)로부터 받아들인 원수를 도시하지 않은 원수 토출구로부터 토출시키는 원수 토출 상태와, 수도꼭지(1)로부터 받아들인 원수를 도시하지 않은 샤워구로부터 토출시키는 샤워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정수기 본체(4)는, 원통형의 본체 케이싱 부재(41)와, 그 본체 케이싱 부재(41)의 아래쪽에 설치되어 급수 호스(3)가 접속되는 조인트부(42)가 설치되고, 본체 케이싱 부재(41)의 중심부에는, 그 급수 호스(3)로부터 공급된 물이 유통되는 급수로(43)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정수 카트리지(6)가, 내부에서의 세균의 번식을 억제하고, 또한 정수 성능을 향상시키는 구조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정수 카트리지(6)는, 카트리지 케이싱(77) 내에 있어서 일단면에 원수를 유입하는 유입구(60)와 타단면에 정수를 유출하는 유출구(67)를 가지는 외부 케이스(61)와, 상기 외부 케이스에 수납되는 내부 케이스(62)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내부 케이스(62)가, 외주측 면에 통수 가능한 외측 필터(64)를, 상기 외측 필터 내부에 있어서 원수를 정화하는 통형의 여과재 충전부(65)를, 상기 여과재 충전부(65)의 내주측 면에 통수 가능한 내측 필터(63)를, 상기 내측 필터(63) 내에 상기 유출구(67)와 연통되는 집합 유로(69)를 가지고, 상기 외부 케이스(61)와 상기 내부 케이스(62) 사이에 외주 유로(68)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여과재 충전부(65)가, 측면으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통수 가능한 통수부(75)와, 상기 유출구(67) 측 단면으로부터 축방향으로 통수 가능한 개구부(74)와, 상기 개구부(74)에 여과재의 유출을 방지하는 제1 필터(96)와, 상기 유출구(67) 측의 내측면과 외측면에 격벽(66)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외측 필터(63)와 내측 필터(64)에는, 네트나 부직포 등이 사용된다.
상기 정수 카트리지(6)에 공급된 원수는, 여과재 충전부(65)를 직경 방향으로 통과하는 유로(a)에 더하여, 일부의 원수는 여과재 충전부(65)를 축방향으로 통과하는 유로(b)를 통과한다. 유로(a)를 통과하는 원수는, 외주 유로(68)를 통과하고 통수부(75)로부터 여과재 충전부(65)를 직경방향으로 통과한다. 한편, 유로(b)를 통과하는 원수는, 통수부(65)를 통과하지 않고 외주 유로(68)를 유출구(67) 측으로 통과하여 개구부(74)를 통하고, 여과재 충전부(65)를 축방향으로 통과한다.
상기 (b)의 유로가 형성되는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도 11에 나타낸 종래의 구조에 있어서 존재하고 있었던 데드 스페이스가 해소되어 정체수의 체류에 의한 세균의 번식 리스크가 저감된다. 또한, 외주 유로(68)에 있어서의 유출구 측의 공간(73)에 형성되어 있었던 데드 스페이스에 대해서도, 정체수의 체류가 억제되어 양호한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b)의 유로의 여과길이 L2는, 상기 (a)의 유로의 여과길이 L1보다 길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예를 들면, 여과재 충전부(65)의 원 수의 유입구 측 단면이 축심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고 있지 않은 경우라도, 여과재 충전부(65)에 있어서의 최단 여과길이를 항상 여과길이 L1 이상으로 하여, 필요 최저한의 여과길이를 유지할 수 있어, 정수의 수질을 일정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정수 카트리지(6)는, 도 2와 같이, 원수가 축심으로부터 직경 외측방향으로 여과재 충전부를 통과하여 정화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상기와 대략 마찬가지의 작용 및 효과가 얻어진다.
[제2 실시예]
본원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낸 정수기는, 제1 실시예의 도 1에 나타낸 정수기의 구조에 더하여, 개구부(74)와 여과재 충전부(65) 사이에, 유입측 필터인 외측 필터(64)보다 통수성이 낮은 제2 필터(92)를 축방향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형태로 구비하고 있다. 또한, 격벽(66)에 대하여, 가이드(93)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2 필터(92)는 상기 가이드(93)와 함께 격벽(66)에 따르는 형태로, 축방향으로 필터면을 수직으로 하여 슬라이드 이동한다. 또한, 가이드(93)의 상기 개구부(74) 측에는, 스토퍼(94)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2 필터(92)의 축방향의 슬라이드 이동을 일정한 범위 내로 구속할 수 있는 형태로 되어 있다.
유입구(6O)로부터 원수가 유입된 경우, 상기 제2 필터(92)에는, 통수성의 관계로부터 외측 필터(64)보다 높은 수압이 걸려, 여과재 충전부(65)의 축방향의 원수 유입구 단면을 상기 가이드(93)에 따르는 형태로 가압한다. 한편, 원수의 유입이 정지된 경우, 상기 제2 필터(92)는 수압으로부터 개방되고, 상기 스토퍼(94)와 여과재 충전부(65)의 원수 유입구 단면 사이에 구속되는 형태로 부유하여 존재한다.
이와 같은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여과재 충전부(65)의 가압밀착이 가속되는 동시에, 여과재 충전부(65)의 단면이 균일하게 가압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전술한 효과에 의해, 여과재 충전부(65)에 있어서의 채널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후기의 작용에 의해, 여과길이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어, 어느 여과 경로를 통과한 원수라도 일정 레벨 이상의 수질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필터(92)가 통수 가능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도 11의 종래 구조에 있는 충전 간극(72)이 존재하지 않는 구조를 적용할 수 있으므로, 세균이 번식하는 환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 실시예의 도 2에 나타낸 정수기의 구성에 더하여, 개구부(74)와 여과재 충전부(65) 사이에, 유입측 필터인 내측 필터(63)보다 통수성이 낮은 제2 필터(92)를 축방향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형태로 구비하여 구성해도 된다.
[제3 실시예]
본원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낸 정수기에서는, 상기 제1 실시예의 도 1에 나타낸 정수기의 구조에 더하여, 상기 개구부(74)의 하류측 여과재 충전부(65)의 축방향의 원수 유입구 단면에 있어서, 통수에 의해 체적이 팽창하는 소재(95)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소재(95)의 개구부(74) 측에는 스토퍼(96)로서 네트나 부직포 등의 필터가 구비되 어 있다. 또한, 상기 소재(95)는, 건조 이온 교환 수지나 흡수성 수지 등이 사용되고, 통수 후 1 내지 2초에서 최대 체적까지 팽창하고, 팽창한 후에는 그 팽창한 형태를 유지한다. 단, 이 팽창한 상태에서도, 상기 부위의 통수성은 어느 정도 확보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원수가 유입되고 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항상 여과재 충전부(65)의 가압밀착이 가속되고 있는 상태이므로, 정수 성능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재(95)가 여과재 충전부(65)의 축방향의 원수 유입구 단면을 균일하게 가압하므로, 여과길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어느 여과 통로를 통과한 원수라도 일정 레벨 이상의 수질을 유지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 실시예의 도 2에 나타낸 정수기의 구성에 더하여, 원수가 집합 유로(69)로부터 직경 외측방향을 흘러 개구부(74)에 흘러드는 구조로 해도 된다.
[제4 실시예]
본원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예에서는 수도꼭지 장착형 정수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트형 정수기에 적용해도 된다. 포트형 정수기에서는, 원수조(101)에 저수된 원수가, 내부 케이스(64) 내의 집합 유로(69) 또는 개구부(74)에 유입된다. 집합 유로(69)에 유입된 원수는, 내측 필터(63)를 통과한 후, 여과재 충전부(65)에서 직경 방향으로 L1의 여과길이를 통과함으로써 여과되고, 외측 필터(64)를 통과함으로써, 외부 케이스에 구비된 저수조(102)에 저장된다. 한편, 개 구부(74)를 통과한 원수는, 여과재 충전부(65)를 일정 거리 L2만큼 축방향으로 통과하여 여과된 후, 외측 필터(64)를 통과하여, 저수조(102)에 저수된다.
상기 포트형 정수기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내측 필터(63)보다 통수성이 낮은 제2 필터(92)를 축방향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형태로 구비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격벽(66)에 대하여 가이드(93)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2 필터(92)는 상기 가이드(93)와 함께 격벽(66)에 따르는 형태로, 축방향으로 필터면을 수직으로 하여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설치하고, 가이드(93)의 상기 개구부(74) 측에는, 스토퍼(94)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2 필터(92)의 축방향의 슬라이드 이동을 일정한 범위 내로 구속할 수 있는 형태로 한다.
또한, 상기 포트형 정수기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74)의 하류측 여과재 충전부(65)의 축방향의 유입구 단면에 있어서, 통수에 의해 체적이 팽창하는 소재(95)를 구비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소재(95)의 개구부(74) 측에는 스토퍼(96)로서 네트나 부직포 등의 필터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포트형 정수기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수조(101)에 저수된 원수가, 외주 유로(68)로부터 유입되고 외측 필터(64)를 통하여 여과재 충전부(65)를 유통하여 내측 필터(63)를 통하여 집합 유로(69)에 유출되는 경로와, 개구부(74)로부터 유입되고 제2 필터(92)를 통하여 여과재 충전부(65)를 유통하여 내측 필터(63)를 통하여 집합 유로(69)로 유출되는 경로의 각각을, 유통하는 형태로 여과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개구부(74)에 있어서의 여과재 충전부(65)의 축방향의 유입구 측 단면에 구비되는 제2 필터(92)는, 유입측 필터인 외측 필 터(64)보다 통수성이 낮은 것이 사용된다. 또한, 제2 필터(92)와 바꾸어, 상기 개구부(74)의 하류측 여과재 충전부(65)의 축방향의 유입구 단면에 있어서, 통수에 의해 체적이 팽창하는 소재(95)를 구비할 수도 있다.
본원 발명에 관한 정수 카트리지(6)는, 정수기와 일체형이라도 되고, 정수 카트리지(6)만을 교체할 수 있는 구조로 해두어도 된다.
본원 발명에 관한 정수기는, 예를 들면, 각 가정의 키친 카운터 위의 싱크의 측부에 설치되고, 사용자에 의해 안전한 음료수를 공급할 수 있는 정수기로서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Claims (8)
- 일단면에 원수(原水)를 유입하는 유입구를, 타단면에 정수(淨水)를 유출하는 유출구를 가지는 외부 케이스와, 상기 외부 케이스에 수납되는 내부 케이스를 구비하고,외주면 측에 설치되는 외측 필터와 내주면 측에 설치되는 내측 필터 사이에 설치되는 통형의 여과재 충전부와, 상기 내측 필터의 내주측에 설치되는 집합 유로를 상기 내부 케이스에 구비하고, 상기 외측 필터의 외주측에 설치되는 외주 유로와 상기 집합 유로 사이에서, 상기 원수가 상기 여과재 충전부를 직경 방향으로 통수(通水)하여 정화되는 정수기로서,상기 여과재 충전부의 축방향으로 통수 가능한 개구부를 상기 내부 케이스에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원수를 상기 여과재 충전부에 안내하고, 얻어진 정수를 상기 유출구에 안내하는, 정수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개구부는 상기 유출구 측에 설치되고, 상기 외주 유로는 U자형으로 굴곡된 형상으로 상기 개구부에 연통되는, 정수기.
- 정수를 저수하는 저수조와 저수된 상기 정수를 유출하는 유출구를 가지는 외부 케이스와, 상기 외부 케이스에 수납되어 원수를 저수하는 원수조와, 상기 외부 케이스에 수납되고 상기 원수조에 연통되어 원수가 유입되는 내부 케이스를 구비하고,외주면 측에 설치되는 외측 필터와 내주면 측에 설치되는 내측 필터 사이에 설치되는 통형의 여과재 충전부와, 상기 내측 필터의 내주측에 설치되는 집합 유로를 상기 내부 케이스에 구비하고, 상기 외측 필터의 외주측과 상기 집합 유로 사이에서, 상기 원수가 상기 여과재 충전부를 직경 방향으로 통수하여 정화되는 정수기로서,상기 여과재 충전부의 축방향으로 통수 가능한 개구부를 상기 내부 케이스에 설치하고, 상기 원수조로부터 상기 개구부를 거쳐 상기 원수를 상기 여과재 충전부에 안내하고, 얻어진 정수를 상기 저수조에 안내하는 정수기.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원수는 상기 여과재 충전부를 상기 외측 필터의 외주측으로부터 상기 집합 유로를 향하는 직경 내측 방향으로 통수하는, 정수기.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개구부에, 통수 가능한 제1 필터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정수기.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개구부와 상기 여과재 충전부 사이에, 상기 내측 필터 및 상기 외측 필터 중 유입측 필터보다 통수성이 낮은 제2 필터를 상기 여과재 충전부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정수기.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개구부와 상기 여과재 충전부 사이에, 통수에 의해 체적이 팽창하는 소재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정수기.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여과재 충전부를 축방향으로 통수하여 여과하는 여과길이는, 상기 여과재 충전부를 직경 방향으로 통수하여 여과하는 여과길이 보다 긴,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6-126360 | 2006-04-28 | ||
JP2006126360 | 2006-04-28 | ||
PCT/JP2007/059183 WO2007126059A1 (ja) | 2006-04-28 | 2007-04-27 | 浄水器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08331A KR20090008331A (ko) | 2009-01-21 |
KR101322218B1 true KR101322218B1 (ko) | 2013-10-28 |
Family
ID=38655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7027589A KR101322218B1 (ko) | 2006-04-28 | 2007-04-27 | 정수기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5113873B2 (ko) |
KR (1) | KR101322218B1 (ko) |
CN (1) | CN101472657B (ko) |
WO (1) | WO2007126059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233203A (zh) * | 2010-04-21 | 2011-11-09 | 3M新设资产公司 | 流体过滤器及其滤芯 |
CN103781728B (zh) * | 2011-10-31 | 2016-08-24 | 藤田吉美 | 净水器 |
JP6204820B2 (ja) * | 2012-12-21 | 2017-09-27 | 大阪ガスケミカル株式会社 | 浄水カートリッジ、及びポット型浄水器 |
EP3012520A4 (en) | 2013-06-20 | 2017-03-01 | Futuregreen Agricultural Co. Ltd. | Led lighting module for plant factory and led lighting device for plant factory having same mounted thereon |
KR101592633B1 (ko) * | 2013-08-12 | 2016-02-11 | 나노폴리(주) | 정수기 |
JP6207446B2 (ja) * | 2014-03-28 | 2017-10-04 | オルガノ株式会社 | 浄水器用カートリッジおよび浄水器 |
CN104192921B (zh) * | 2014-09-15 | 2016-01-20 | 伍绍忠 | 储水净水器 |
JP6669579B2 (ja) * | 2016-04-28 | 2020-03-18 | 三菱ケミカル・クリンスイ株式会社 | 浄水カートリッジ |
JP6736347B2 (ja) * | 2016-04-28 | 2020-08-05 | 三菱ケミカル・クリンスイ株式会社 | 浄水カートリッジの製造方法及び保管方法 |
CN108315970B (zh) * | 2017-01-16 | 2024-07-23 |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 一种具有净水设备的洗衣机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108261A (ja) * | 1993-10-15 | 1995-04-25 | Toray Ind Inc | 浄水器 |
JPH0824845A (ja) * | 1994-07-15 | 1996-01-30 | Mitsubishi Rayon Co Ltd | 蛇口直結型浄水器 |
KR970005343A (ko) * | 1995-07-29 | 1997-02-19 | 김광호 | 정수기의 유로구조 |
JP2002059153A (ja) * | 2000-08-21 | 2002-02-26 | Zest Japan Co Ltd | 浄水器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2151478U (ko) * | 1976-05-14 | 1977-11-16 | ||
JPS5532085Y2 (ko) * | 1977-12-26 | 1980-07-31 | ||
JPH0771607B2 (ja) * | 1986-10-15 | 1995-08-02 | 武雄 毛利 | 脱水機を用いたケーキ中和処理方法 |
JPH11207320A (ja) * | 1998-01-26 | 1999-08-03 | Shoei Shalm Kk | 家庭用浄水器 |
JP4490624B2 (ja) * | 2002-11-18 | 2010-06-30 | 日本碍子株式会社 | エアー/水抜き付き浄水器 |
CN1683885A (zh) * | 2004-04-12 | 2005-10-19 |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 冰箱用净水装置以及采用该装置的冰箱 |
-
2007
- 2007-04-27 WO PCT/JP2007/059183 patent/WO2007126059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7-04-27 CN CN200780022748XA patent/CN101472657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7-04-27 KR KR1020087027589A patent/KR10132221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0
- 2010-04-20 JP JP2010097149A patent/JP5113873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108261A (ja) * | 1993-10-15 | 1995-04-25 | Toray Ind Inc | 浄水器 |
JPH0824845A (ja) * | 1994-07-15 | 1996-01-30 | Mitsubishi Rayon Co Ltd | 蛇口直結型浄水器 |
KR970005343A (ko) * | 1995-07-29 | 1997-02-19 | 김광호 | 정수기의 유로구조 |
JP2002059153A (ja) * | 2000-08-21 | 2002-02-26 | Zest Japan Co Ltd | 浄水器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08331A (ko) | 2009-01-21 |
CN101472657B (zh) | 2011-08-03 |
CN101472657A (zh) | 2009-07-01 |
WO2007126059A1 (ja) | 2007-11-08 |
JP2010184240A (ja) | 2010-08-26 |
JP5113873B2 (ja) | 2013-01-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22218B1 (ko) | 정수기 | |
KR101995825B1 (ko) | 정수 시스템 | |
JP5807258B2 (ja) | 浄水器 | |
JP4799899B2 (ja) | 浄水器とこれを設置したキッチン | |
US20140238919A1 (en) | Apparatus for flow path modification in a water filter system | |
JP5682863B2 (ja) | 浄水器用カートリッジ | |
TW201026614A (en) | Water purification cartridge and water purifier including same | |
US20140158590A1 (en) | Apparatus for a parallel flow manifold system for water filtration | |
JP2007167742A (ja) | 浄水カートリッジ | |
JP5113417B2 (ja) | 浄水器 | |
JP2007313501A5 (ko) | ||
JP6182573B2 (ja) | カートリッジケース及びカートリッジ | |
KR20120094022A (ko) | 정수기 | |
CN211302312U (zh) | 后置滤芯和净水系统 | |
WO2012032929A1 (ja) | 浄水器 | |
RU2664934C1 (ru) | Система очистки воды | |
CN107344767A (zh) | 一种净水系统及净水机 | |
JP2005000768A (ja) | 浄水カートリッジ | |
KR20170060637A (ko) | 필터의 누수방지구조 | |
KR102436117B1 (ko) | 정수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 |
JPH11253934A (ja) | 浄水器 | |
KR101440155B1 (ko) | 역류 방지 기능이 구비된 역삼투압 방식 정수기 | |
JP6739975B2 (ja) | 浄水カートリッジ及び浄水器 | |
KR101826867B1 (ko) | 역류방지탱크 및 이를 사용한 물공급시스템 | |
KR20180108409A (ko) | 정수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22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