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9396A - 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9396A
KR20110029396A KR1020090087052A KR20090087052A KR20110029396A KR 20110029396 A KR20110029396 A KR 20110029396A KR 1020090087052 A KR1020090087052 A KR 1020090087052A KR 20090087052 A KR20090087052 A KR 20090087052A KR 20110029396 A KR20110029396 A KR 201100293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ing member
fluid
pressure
water
water pur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7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한
서영주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7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29396A/ko
Publication of KR20110029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93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47Bypass or safety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01D37/04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37/046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pressure measur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정수탱크의 일반세균 및 생물학적 오염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정수기가 개시된다.
상기한 정수기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정수탱크 하우징과, 상기 정수탱크 하우징에 설치되며 내부로 유출입되는 유체에 의해 팽창,수축되는 수용부재, 및 상기 수용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수용부재 내부에 수용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토록 구성되는 조절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정수기는 수용부재의 오염시 수용부재만을 정수탱크 하우징으로부터 분리시켜 교체할 수 있으므로 일반세균 및 생물학적 오염을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수용부재와 조절부를 통해 수용부재 내부에 수용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수용부재에 수용되는 유체의 양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정수기, 정수탱크, 일회용, 조절밸브

Description

정수기{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수를 유입하여 정화한 후 정화된 정수를 저장하는 정수탱크를 구비하는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정수탱크의 유무에 따라 직수식과 저수식으로 구분된다.
이 중에서 저수식 정수기는 냉수 및 온수기능이 부가되며 필터의 여과속도가 느려 정수된 물을 5~20리터 정도 보관할 수 있는 정수탱크를 사용한다.
저수식 정수기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수돗물이나 자연수와 같은 원수(原水)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원수 밸브와, 원수 밸브를 통과한 원수를 정화하기 위한 필터부와, 필터부를 통과한 정수를 저장하기 위한 정수탱크와, 정수탱크의 물을 받아 냉수와 온수를 생산하는 냉수조·온수조와, 냉수와 온수를 방출하는 배출코크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정수를 저장하는 정수탱크는 아무리 밀봉에 주의를 기울여도 대기로부터 유입되는 세균이나 필터에서 공급되는 세균에 의해 정수탱크 내의 물이 오염될 가능성이 높다. 특히 정수과정에서 세균증식을 억제할 수 있는 잔류염소성분이 대부분 제거된 상태이므로 일반세균 및 생물학적 오염에 대응할 방안이 없다.
이와 같은 정수기의 일반세균 및 생물학적 오염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자외선을 이용하는 방식이 있다. 이와 같은 방식은 자외선 램프를 장치한 순환모듈을 정수탱크의 외부에 배치하고 순환펌프를 이용하여 정수를 순환살균하는 방식이다.
그런데, 자외선램프의 경우 순간적인 살균력은 우수하지만, 살균 처리 후에 정수탱크로 공급되어 저장되는 살균수는 다시 오염될 수 있다. 즉 대기나 주변환경에 상존하던 세균 및 미생물이 정수탱크 내부로 침투하여 살균수를 재오염시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정수탱크의 일반세균 및 생물학적 오염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정수탱크의 내부를 청소하는 방식이 있다. 그런데 이 또한 정수탱크의 청소시 대기나 주변환경에 상존하던 세균 및 미생물이 정수탱크 내부로 침투하여 궁극적인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정수탱크의 일반세균 및 생물학적 오염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정수탱크 하우징과, 상기 정수탱크 하우징에 설치되며 내부로 유출입되는 유체에 의해 팽창,수축되는 수용부재, 및 상기 수용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수용부재 내부에 수용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토록 구성되는 조절부를 포함한다.
상기 수용부재는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에 의해 수축, 팽창되도록 탄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용부재는 추출코크의 개방시 복원력에 의해 내부에 수용된 유체를 토출토록 실리콘, 라미네이트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용부재는 압력 변화에 따라 유체가 유출입되도록 하나의 토출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조절부는 상기 수용부재에 연결되는 배관에 설치되어 상기 배관을 따라 흐르는 유체의 압력에 따라 개폐되는 밸브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밸브부재는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원수를 정화하는 필터부에 구비되는 멤브레인 필터의 후단에 배치되도록 상기 배관에 장착되며, 상기 배관을 따라 흐르는 유체의 압력 기설정된 압력보다 큰 경우 폐쇄되고, 상기 배관을 따라 흐르 는 유체의 압력이 기설정된 압력보다 낮은 경우 개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용부재의 오염시 수용부재만을 정수탱크 하우징으로부터 분리시켜 교체할 수 있으므로 일반세균 및 생물학적 오염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용부재가 탄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수용부재에 수용되는 유체가 보다 원활하게 토출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수용부재와 조절부를 통해 수용부재 내부에 수용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수용부재에 수용되는 유체의 양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정수기(100)는 일예로서, 본체(120), 정수탱크 하우징(140), 수용부재(160), 및 조절부(180)를 포함한다.
본체(120)는 정수기(100)의 외형을 형성하며, 내부에 유입되는 원수를 정화하기 위한 부품들이 설치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120)는 정화된 물이 토출되는 냉수 추출코크(122)와 온수 추출코크(124)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본체(120)는 유체가 이동되는 배관(126)을 구비할 수 있다. 즉, 필터부(110)를 통해 정화된 물은 배관(126)을 통해 수용부재(160)에 공급된다.
정수탱크 하우징(140)은 수용부재(160)가 내부에 장착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한편, 정수탱크 하우징(140)은 수용부재(160)가 안착되는 내부 프레임(142)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수용부재(160)가 정수탱크 하우징(140)에 설치될 때에, 수용부재(160)는 접혀진 상태로, 다시 말해 내부에 공기가 유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정수탱크 하우징(140)에 설치된다.
한편, 정수탱크 하우징(140)과 내부 프레임(142)은 유체가 내부로 흐르는 배관(126)과 수용부재(160)의 연결을 위한 개구부(140a,142a)를 구비할 수 있다.
수용부재(160)는 정수탱크 하우징(140)에 설치되며, 탄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져 내부로 유출입되는 유체에 의해 팽창,수축된다.
즉, 수용부재(160)는 본체(120)에 구비되는 냉,온수 추출코크(122,124)의 개방시 팽창된 수용부재(160)의 복원력에 의해 내부에 수용된 유체를 토출토록 실리콘, 라미네이트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수용부재(160)는 일회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수용부재(160)의 오염시 수용부재(160)를 정수탱크 하우징(140)으로부터 분리하여 교환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수용부재(160)는 압력 변화에 따라 유체가 유출입되도록 하나의 토출구(162)를 구비할 수 있다. 토출구(162)는 본체(120)에 구비되는 배관(126)에 연결되며, 토출구(162)를 통해 유체가 수용부재(160) 내부로 유출입된다.
수용부재(160)에 유체가 유출입되는 과정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수용부재(160)가 정수탱크 하우징(140), 즉 내부 프레임(142)에 장착시 수용부재(160)는 접혀진 상태로 장착된다.
이때 수용부재(160)의 내부에는 공기가 충진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배관(126)을 따라 흐르는 유체가 수용부재(160)의 내부로 유입된다. 유체가 수용부재(160)의 내부로 유입되면 수용부재(160)는 팽창되며 동시에 수용부재(160) 내부 압력이 증가한다.
이후 수용부재(160)의 내부 압력이 일정압력 이상에 도달되면, 더 이상 수용부재(160) 내부로 유체가 유입되지 못하게 되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냉,온수 추출코크(122,124)를 개방하면 상대적으로 수용부재(160) 내부 압력보다 낮은 추출코크(122,124)로 수용부재(160)로부터 유체가 토출된다.
이때, 수용부재(160)는 탄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유체의 토출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수용부재(160)로부터 유체가 토출되면 수용부재(160) 내부 압력이 하강하고 이에 따라 배관(126)을 통해 다시 필터부(110)를 통과한 유체가 수용부재(160) 내부로 유입된다.
조절부(180)는 수용부재(160)에 연결되어 수용부재(160) 내부에 수용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토록 구성된다. 또한 조절부(180)는 수용부재(160)에 연결되는 배관(126)에 설치되어 배관(126)을 따라 흐르는 유체의 압력에 따라 개폐되는 밸브부 재(182)를 구비할 수 있다.
일예로서, 밸브부재(182)는 본체(120) 내부에 설치되어 원수를 정화하는 필터부(110)에 구비되는 멤브레인 필터(112)의 후단에 장착될 수 있다.
한편, 밸브부재(182)는 배관(126)을 따라 흐르는 유체의 압력이 기설정된 압력보다 큰 경우 폐쇄되고, 배관(126)을 따라 흐르는 유체의 압력이 기설정된 압력보다 낮은 경우 개방된다.
즉, 밸브부재(182)는 수용부재(160)의 내부 압력이 멤브레인 필터(112)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에 도달하는 경우 더 이상 유체가 수용부재(160)의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폐쇄되고, 수용부재(160)로부터 유체가 토출되어 수용부재(160)의 내부 압력이 하강하면 개방되어 유체가 수용부재(16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수용부재(160)의 내부에 수용되는 유체의 양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한편, 필터부(110)와 수용부재(160)의 사이에 배치되는 배관(126)에는 체크밸브(126a)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용부재(160)에 수용된 유체가 배관(126)을 따라 흘러 필터부(110)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수용부재(160)의 오염시 수용부재(160)만을 정수탱크 하우징(140)으로부터 분리하여 교환할 수 있으므로, 일반세균 및 생물학적 오염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수용부재(160)가 탄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수용부재(160)에 수용되는 유체가 보다 원활하게 토출될 수 있다.
한편, 조절부(180)를 통해 수용부재(160) 내부에 수용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수용부재(160)에 수용되는 유체의 양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상기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여기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정수기(200)는 일예로서, 본체(220), 정수탱크 하우징(240), 수용부재(260), 및 조절부(280)를 포함한다.
한편, 본체(220), 및 수용부재(260)는 상기한 실시예에서의 본체(120), 및 수용부재(160)와 동일한 구성에 해당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정수탱크 하우징(240)은 상기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수용부재(260)가 장착되는 내부 프레임(242)을 구비한다. 더불어 정수탱크 하우징(240)과 내부 프레임(242)은 유체가 내부로 흐르는 배관(126)이 연결될 수 있도록 개구부(240a,242a)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정수탱크 하우징(242)에는 설치홈(244)을 구비할 수 있다.
조절부(280)는 수용부재(260)에 연결되어 수용부재(260) 내부에 수용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토록 구성된다.
즉, 조절부(280)는 정수탱크 하우징(240)에, 즉 설치홈(244)에 설치되어 수 용부재(260) 내부에 수용되는 유체에 의해 가해지는 가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부재(282)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조절부(280)는 압력감지부재(282)에 감지된 압력에 따라 수용부재(260)로의 유체 공급을 제어하는 밸브부재(284)를 구비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조절부(280)는 압력감지부재(282)와 밸브부재(284)를 구비하여 수용부재(260) 내부에 수용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압력감지부재(282)는 수용부재(260)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설치되어 수용부재(260)의 내부에 수용되는 유체에 의해 가압되는 로드셀일 수 있으며, 밸브부재(284)는 본체(220)에 구비되는 배관(226)에 설치되며 제어부(미도시)에 연결되어 압력감지부재(282)에 감지된 압력에 따라 제어부에 의해 개폐되는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다.
조절부(280)의 작동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먼저 수용부재(260)가 설치홈(244)에 장착되면 압력감지부재(282)에 의해 수용부재(260)의 설치 여부가 감지된다.
이때, 수용부재(260)는 접혀진 상태로, 즉 내부에 공기가 충진되지 않은 상태로 설치된다. 이러한 경우 압력감지부재(282)에 연결된 제어부는 배관(226)에 설치된 밸브부재(284)를 개방한다.
밸브부재(284)가 개방되면, 배관(226)을 따라 유체가 흐르게 되고, 결국 수용부재(260) 내부로 유체가 유입된다. 수용부재(260)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에 의해 압력감지부재(282)가 압력을 감지하고, 압력감지부재(282)에서 감지된 압력이 일정압력 이상인 경우, 제어부는 밸브부재(284)를 폐쇄한다.
이에 따라 더 이상 수용부재(260)로 유체가 유입되지 못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냉,온수 추출코크(222,224)를 개방하면 상대적으로 수용부재(160) 내부에 압력보다 낮은 추출코크(222,224)로 수용부재(260)로부터 유체가 토출된다.
이때 수용부재(260)는 탄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유체의 토출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수용부재(260)로부터 유체가 토출되면 수용부재(260)에 의해 압력감지부재(282)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감소된다. 압력감지부재(282)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감소되면, 제어부는 밸브부재(284)를 다시 개방한다.
밸브부재(284)의 개방에 따라 배관(226)을 통해 유체가 다시 수용부재(260)에 공급된다. 이후 압력감지부재(282)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일정압력에 도달하면 제어부는 밸브부재(284)를 폐쇄하여 더 이상 수용부재(260)의 내부로 유체가 유입되지 못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필터부(210)와 수용부재(260) 사이에 배치되는 배관(226)에는 체크밸브(226a)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용부재(260)에 수용된 유체가 배관(226)을 따라 흘러 필터부(210)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수용부재(260)의 오염시 수용부재(260)만을 정수탱크 하우징(240)으로부터 분리하여 교환할 수 있으므로, 일반세균 및 생물학적 오염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수용부재(260)가 탄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수용부재(260)에 수용되는 유체가 보다 원활하게 토출될 수 있다.
한편, 조절부(280)를 통해 수용부재(260) 내부에 수용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수용부재(260)에 수용되는 유체의 양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 정수기
120, 220 : 본체
140, 240 : 정수탱크 하우징
160, 260 : 수용부재
180, 280 : 조절부

Claims (8)

  1.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정수탱크 하우징;
    상기 정수탱크 하우징에 설치되며, 내부로 유출입되는 유체에 의해 팽창,수축되는 수용부재;
    상기 수용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수용부재 내부에 수용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토록 구성되는 조절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재는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에 의해 수축, 팽창되도록 탄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재는
    추출코크의 개방시 복원력에 의해 내부에 수용된 유체를 토출토록 실리콘, 라미네이트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재는
    압력 변화에 따라 유체가 유출입되도록 하나의 토출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정수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수용부재에 연결되는 배관에 설치되어 상기 배관을 따라 흐르는 유체의 압력에 따라 개폐되는 밸브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재는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원수를 정화하는 필터부에 구비되는 멤브레인 필터의 후단에 배치되도록 상기 배관에 장착되며,
    상기 배관을 따라 흐르는 유체의 압력 기설정된 압력보다 큰 경우 폐쇄되고, 상기 배관을 따라 흐르는 유체의 압력이 기설정된 압력보다 낮은 경우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정수탱크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부재 내부에 수용되는 유체에 의해 가해지는 가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부재; 및
    상기 압력감지부재에 감지된 압력에 따라 상기 수용부재로의 유체 공급을 제어하는 밸브부재;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감지부재는 상기 수용부재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수용부재의 내부에 수용되는 유체에 의해 가압되는 로드셀이며,
    상기 밸브부재는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배관에 설치되며, 제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압력감지부재에 감지된 압력에 따라 제어부에 의해 개폐되는 솔레노이드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KR1020090087052A 2009-09-15 2009-09-15 정수기 KR201100293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7052A KR20110029396A (ko) 2009-09-15 2009-09-15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7052A KR20110029396A (ko) 2009-09-15 2009-09-15 정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9396A true KR20110029396A (ko) 2011-03-23

Family

ID=43935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7052A KR20110029396A (ko) 2009-09-15 2009-09-15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2939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22300A2 (ko) * 2011-08-10 2013-02-14 Heo Chang Ki 백인박스를 적용한 냉온수기
WO2016108565A1 (ko) * 2014-12-30 2016-07-07 코웨이 주식회사 수처리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22300A2 (ko) * 2011-08-10 2013-02-14 Heo Chang Ki 백인박스를 적용한 냉온수기
KR101239251B1 (ko) * 2011-08-10 2013-03-05 방건 백인박스를 적용한 냉온수기
WO2013022300A3 (ko) * 2011-08-10 2013-05-30 Heo Chang Ki 백인박스를 적용한 냉온수기
WO2016108565A1 (ko) * 2014-12-30 2016-07-07 코웨이 주식회사 수처리장치
US10946337B2 (en) 2014-12-30 2021-03-16 Coway Co., Ltd Water treatment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23642B2 (en) Water treatment device
KR101974523B1 (ko) 필터세척이 용이한 정수기
KR20110029396A (ko) 정수기
CN102824109A (zh) 一种饮水机
KR20160115576A (ko) 농축수를 이용하여 압력탱크의 정수수를 토출시키는 정수기
KR20090025019A (ko) 정수기용 감압밸브
KR20130131964A (ko) 수처리 장치의 물 살균 유로구조
KR20170068926A (ko) 탄산수를 이용한 살균 정수기
KR101198652B1 (ko) 자가 살균 시스템을 구비한 정수기 및 이를 이용한 정수기 살균 방법
KR101696215B1 (ko) 저장탱크의 살균이 가능한 수처리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459001B1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KR20090002987A (ko) 정수기의 uv 살균 시스템
KR20090013556A (ko) 고탁도 필터
KR101705323B1 (ko) 역삼투막 방식의 정수기
KR101423385B1 (ko) 정수기
KR100576256B1 (ko) 이온 정수기의 세균제거장치
KR100824078B1 (ko) 정수기
KR200415357Y1 (ko) 중앙 집중식 음용수 정수기
KR20100137747A (ko) 일회용 정수탱크를 구비하는 정수기
KR100988466B1 (ko) 코크에 부착되는 제균필터를 구비하는 정수기
KR20040032281A (ko) 치과용 물탱크 자동 급수장치
CN101492189A (zh) 装有有害离子回收树脂滤芯过滤模块的直饮水壶
KR101586323B1 (ko) 전해 살균 장치를 구비한 중력식 정수기
KR101907736B1 (ko) 정수기 살균 장치
KR20100067529A (ko) 순환살균가능한 정수기 및 이를 이용한 순환살균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