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1808B1 - 냉,온 정수기용 급수레버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냉,온 정수기용 급수레버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1808B1
KR100321808B1 KR1019990046715A KR19990046715A KR100321808B1 KR 100321808 B1 KR100321808 B1 KR 100321808B1 KR 1019990046715 A KR1019990046715 A KR 1019990046715A KR 19990046715 A KR19990046715 A KR 19990046715A KR 100321808 B1 KR100321808 B1 KR 1003218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cold
hot water
intermittent
supply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6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8655A (ko
Inventor
곽정범
Original Assignee
이종민
제인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961704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32180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이종민, 제인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종민
Priority to KR20199900231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8030Y1/ko
Priority to KR1019990046715A priority patent/KR100321808B1/ko
Publication of KR20010038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8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1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18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47Bypass or safety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4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 B67D3/047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with a closing element having a rotational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58Details
    • B67D3/0074Safety or warn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1/00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 F16K21/04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 F16K21/06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in which the closing movement, either retarded or not, starts immediately after op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F16K31/602Pivoting levers, e.g. single-sid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온 정수기용 급수밸브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중차단구조를 이루는 급수밸브에 의해 냉,온수의 토출작용을 단속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부주의로 발생되는 불필요한 누수현상을 방지되도록 함과 동시에, 특히 어린이 노약자등 주의력 및 사고력이 부족한 사용자를 온수토출에 따른 화상(火傷)등의 안전사고로 부터 보호되도록 한 냉,온 정수기용 급수밸브 안전장치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이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급수관과, 토출관을 일체로 연결한 단속부내에 단속로드를 내설하여, 취수레버에 의해 토출작용을 단속되도록 한 냉,온 정수기용 급수밸브에 있어서;
상기, 단속부 전면으로 버튼캡과, 가이드홀과, 이동자를 구비한 누름수단을 돌출 형성시키고, 상기 급수관내에 고정수단과, 스프링과, 안내판과, 밀폐구와, 이송안내공을 일체로 구비한 제2 단속로드를 내설하여 상기 급수관과 토출관을 이중단속되도록 구성시키므로서 달성된다.

Description

냉,온 정수기용 급수레버 안전장치{Safety equiment of water supply valve}
본 발명은 냉,온 정수기용 급수레버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중차단 구조를 이루는 급수레버에 의해 냉,온수의 토출작용을 단속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조작실수로 발생되는 누수현상을 방지되도록 하고, 특히, 온수토출에 따른 안전사고(화상)를 예방되도록 한 냉,온 정수기용 급수레버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산업발전에 따른 수질, 대기, 토양등 날로 심각해지는 환경오염의 문제로 인해,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등에서는 좀더 깨끗한 식수를 제공받기위한 수단으로. 필터에 의해 물을 정화하고, 이와같이 정화된 물을 선택에 따라 냉각 또는 가열하여 냉, 온수로 공급되도록 한 냉,온 정수기가 널리 이용하고 있는 실정인바, 이와같은 냉,온 정수기는 정수된 물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제어하며, 적정량으로 공급하기 위한 수단으로 필히 급수레버를 구비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통상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종래의 냉,온 정수기용 급수레버는 도 1로 도시된 바와같은 구성으로서, 급수관(10)과, 토출관(20)을 일체로 연결한 단속부(30)를 형성하여, 이 단속부(30)내에 스프링(40)과, 밀폐구(50)를 구비한 단속로드(60)를 내설하고, 이와같이 내설된 단속로드(60)를 상,하 이송작용시키며 토출관(70)을 개,폐 되도록 한 취수레버(80)를 구비하여 형성한 것이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같은 종래 냉,온 정수기용 급수레버는 취수레버 조작에따른 단속로드의 단일 개폐작용에 의해 냉, 온수를 그대로 토출되게하는 것으로서, 이는, 취수레버의 미세한 터치작용에 의해서도 토출관이 쉽게 개방될수 밖에 없는 구조상의 문제점으로 인해 사용중 불필요한 누수현상을 발생시키게 되는 문제점을 주는 것이었을 뿐만 아니라, 특히 특히 어린이 노약자등 주의력이 부족한 사용자들에 의한 사용시, 별도의 안전장치를 구비하지 못한체 취수레버의 단순조작에 따라 온수를 그대로 토출시키게 되므로, 화상(火傷)등 안전사고를 유발되게 하는 상당한 사용상의 문제점 또한 상존시키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냉,온 정수기용 급수밸브의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중차단구조를 이루는 급수밸브에 의해 냉,온수의 토출작용을 단속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부주의로 발생되는 불필요한 누수현상을 방지되도록 함과 동시에, 특히 어린이 노약자등 주의력 및 사고력이 부족한 사용자를 온수토출에 따른 화상(火傷)등의 안전사고로 부터 보호되도록 한 냉,온 정수기용 급수밸브 안전장치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이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급수관과, 토출관을 일체로 연결한 단속부내에 단속로드를 내설하여, 취수레버에 의해 토출작용을 단속되도록 한 냉,온 정수기용 급수밸브에 있어서;
상기, 단속부 전면으로 버튼캡과, 가이드홀과, 이동자를 구비한 누름수단을 돌출 형성시키고, 상기 급수관내에 고정수단과, 스프링과, 안내판과, 밀폐구와, 이송안내공을 일체로 구비한 제2 단속로드를 내설하여 상기 급수관과 토출관을 이중단속되도록 구성시키므로서 달성된다. .
도 1은 종래 냉,온 정수기용 급수밸브의 단면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용 급수밸브 안전장치의 단면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요부생략 구성도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용 급수밸브 안전장치의 작용상태도
< 도면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급수관 2 : 토출관 3 : 단속부
4 : 제1 단속로드 5 : 제2 단속로드 6 : 취수레버
7 : 누름수단 11 : 체결수단 21 : 회동구
22 : 토출구 31 : 유입구 32 : 배출구
33,34 : 설치공 41,54 : 밀폐구 42 : 밀폐케이스
43,52 : 스프링 51 : 고정수단 53 : 안내판
55 : 이송안내공 71 : 가이드홀 72 : 버튼캡
73 : 이동자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용 급수밸브 안전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용 급수밸브 안전장치의 단면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요부생략 구성도이며,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용 급수밸브 안전장치의 작용상태도로서 그 구성을 살펴보면;
급수관(1)과 토출관(2)을 일체로 연결한 단속부(3)내에 제1 단속로드(4)와, 제2 단속로드(5)를 내설하고, 이러한 제1 단속로드(4)와 제2 단속로드(5)를 제어하는 수단으로서 취수레버(6)와, 누름수단(7)을 구비되게 하여 구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급수관(1)은 원통형을 취하는 관상체로서, 그 내측 중앙부위에 암나사로 이루어진 체결수단(11)을 구비되도록 하여, 도 3으로 도시된 바와같은 구성형태를 취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토출관(2)은 도 2 또는 도 3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구 형상의 회동구(21)를 형성하고, 이 회동구(21)에 체결되는 토출구(22)를 구비되도록 하여 도 5로 도시된 바와같이 냉수 또는 온수의 토출방향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임의적으로 변환 가능하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속부(3)는 급수밸브를 이루는 몸체 구성으로서, 이와같은 단속부(3)는 도 3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내측 후면 중앙으로 전술한 급수관(1)과 연결되는 유입구(31)를 형성하고, 그 내측 저면 중앙으로 전술한 토출구(2)와 연결되는 배출구(32)를 형성하며, 그 상부면 중앙과 전방면 중앙으로 관통구조를 이루는 설치공(33)(34)을 구비되도록 하여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단속로드(4)는 봉상체를 이루는 축 구조로서, 이러한 제1 단속로드(4)는 도 2로 도시된 바와같이, 그 저면으로 연질의 밀폐구(41)를 형성하고, 이러한 밀폐구(41)의 상부면으로 연질의 밀폐케이스(42)에 수용된 스프링(43)을 감착 형성하며, 이와같이 스프링(43)이 감착된 제1 단속로드(4)의 상부로 도 2 또는 도 5로 도시된 바와같은 힌지공(P)을 구비되도록 하여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단속로드(5)는 봉상체를 취하는 축 구조로서, 이러한 제2 단속로드(5)는 도 2 또는 도 4로 도시된 바와같이 그 일측면으로 수나사(511)와 통공 (512)을 구비한 고정수단(51)을 체결 형성하고, 이 고정수단(51)의 측면으로 스프링(52)을 감착 형성하며, 이러한 스프링(52)에 접한 구조로서 상기 스프링(52) 측면에 통공(531)을 갖는 안내판(53)과, 연질의 밀폐구(54)를 형성하고, 재차, 전술한 밀폐구(54)로 부터 일정길이 이격된 구성으로서 제2 단속로드(5) 타측면상에 도 4로 도시된 바와같은 링 형상의 이송안내공(55)을 구비되도록 하여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취수레버(6)는 소정의 길이로서 회동작용을 행하는 통상의 레버구성을 취하게 되는 것인바, 이와같은 취수레버(6)는 그 상부면 중앙부에 도 3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사각도형체를 취하는 작동구(61)를 일체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누름수단(7)은 도 2 내지 도 3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일측면이 개방된 일정한 공간구조로서, 그 개방부위 내측에 걸림돌기(711)를 형성한 가이드홀 (71)을 형성하게 되는 것인바, 이러한 가이드홀(71)은 도 2 또는 도 4로 도시된 바와같이 그 개방부위 전방으로 안내턱(721)을 구비한 버튼캡(72)을 체결형성하고, 이러한 버튼캡(72)과, 상기 가이드홀(71) 내부로 봉상체의 이동자(73)를 내설하여 구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냉,온 정수기용 급수밸브 안전장치는 급수밸브를 이루는 단속부(3)에 있어, 유입구(31)와, 배출구(32)로 각 급수관(1)과 토출관(2)을 일체로 연결하여 도 3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하나의 몸체구성을 취하도록 한 것인바;
이와같이 일체화된 급수밸브의 몸체구성에 전술한 안전장치의 각 구성부를 상호 결합함에 있어서는;
먼저, 급수관(1)의 체결수단(11)에 고정수단(51)을 나사체결하여 도 2로 도시된 바와같이 밀폐구(54)에 의해 유입구(31)를 차단시키고, 이송안내공(55)을 도 4로 도시된 바와같이 단속부(3)의 중앙부 일측에 편심되도록 위치시킨 후, 이를 설치공(34)을 통해 가이드홀(71)내에 내설된 이동자(73)와 일체로 연결 구성시키므로서, 제2 단속로드(5)를 도 4로 도시된 바와같이 급수관(1)과, 단속부(3)와, 누름수단(7)을 수평설치 구조로 연계하도록 결합,구성 시킨다.
또한, 이와같은 상태에서 제1 단속로드(4)를 단속부(3)내에 직립구조로 내설하여 밀폐구(41)에 의해 배출구(32)를 차단되도록 하고, 그 상부면 설치공(33)으로힌지공(P)을 돌출되게하여, 이 힌지공(P)에 취수레버(6)의 작동구(61)를 힌지 결합시키므로서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용 급수밸브 안전장치를 형성하게 되는 것으로, 이때, 전술한 제1 단속로드(4)는 도 4로 도시된 바와같이 편심된 이송안내공 (55)을 통해 교차되며, 도 4로 도시된 바와같이 제2 단속로드(5)와 상호 직교되는 설치구조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같은 결합구성을 이루는 냉,온 정수기용 급수밸브 안전장치의 사용관계 및 그에 따른 상호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가 필요로하는 냉수 또는 온수를 제공받기위해 취수레버(6)에 외력을 가하게 되면, 도 5로 도시된 바와같이 작동구(61)는 힌지연결된 제1 단속로드(4)에 인장력을 작용시키게되고, 이에 제1 단속로드(4)는 스프링(43)을 압착시키는 형태로 상승되며 배출구(32)를 개방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취수레버(6)에 의해 배출구(32)가 개방되어진다 하더라 도, 제2 단속로드(5)에 의해 급수관(1)이 차단된 상태이므로 냉,온수의 급수는 이루어지지 못하게되는 것인바, 이에 연속하여 도 5로 도시된 바와같이 버튼캡(72)을 누르게되면 이 버튼캡(72)에 의해 이동자(73)는 제2 단속로드(5)에 누름 외력을 전달시키게되고, 이와같이 누름외력을 전달받은 제2 단속로드(5)는 도 5로 도시된 바와같이 안내판(53)에 의해 지지,안내되는 이송작용에 의해 스프링(52)을 압착, 유입구(31)를 개방시키게 되므로서 필요로하는 냉수 또는 온수를 토출관(2)을 통해 제공받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같이 필요로하는 냉수 또는 온수를 취수한 후, 취수레버(6)와누름수단(7)으로 부터 외력을 해제시키게 되면 압착된 각 스프링(43)(52)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제1 단속로드(4)와 제2 단속로드(5)는 원위치로 복귀되며 유입구(31)와 배출구(32)를 각 밀폐구(54)(41)에 의해 차단시키므로서 그 사용관계를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전술한 바와같은 사용관계에 있어, 토출관(2)은 회동구(21)와 토출구(22)에 의해 상호 분할된 회동결합구조를 이루게 되므로 도 5로 도시된 바와같이 냉수 또는 온수의 토출위치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임의적으로 조정할수 있도록 한 기능을 부여되게 한 것이며, 또한 이송안내공(55)은 제1 단속로드(4)와 편심된 직교구조를 이루게 되므로서 도 5로 도시된 바와같이 제1 단속로드(4)에 의해 제2 단속로드(5)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되게하는 기능을 행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또 다르게 전술한 제2 단속로드(5)에 있어 고정수단(51)과 안내판(53)은 2로 도시된 바와같이 급수관(1)내에 내설된 형태로서, 냉수 또는 온수의 흐름을 방해할수 있으므로, 이에 고정수단(51)과 안내판(53)으로 형성된 각 통공(512) (531)은 급수관(1) 내에서의 냉수 또는 온수의 흐름을 원할하게 하는 작용을 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용 급수밸브 안전장치는 취수레버에 의해 토출관을 단속하는 제1 단속로드를 형성하고, 누름수단에 의해 급수관을 단속하는 제2 단속로드를 형성하여 냉,온 정수기용 급수밸브내에 이중차단기능을 부여되게 한 것으로서, 이와같은 이중차단기능에 의해 사용자의 부주의로 발생되는 냉,온 정수기용 급수밸브의 불필요한 누수현상을 방지되도록 한 것일 뿐만 아니라, 특히 어린이 노약자등 주의력 및 사고력이 부족한 사용자들이 온수를 제공받음에 있어, 취수레버와 누름수단을 동시에 작동시켜야 하는 이중제어구조에 의해 그 사용관계를 제한하며 화상등 안전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되도록 한 것으로, 이는 사용자에게 매우 괄목할만한 기대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3)

  1. 단속부(3)내에 취수레버(6)에 의해 토출관(2)을 단속하는 제1 단속로드(4)를 설치하고, 이러한 제1 단속로드(4)와 직교되며 누름수단(7)에 의해 급수관(1)을 단속하는 제2 단속로드(5)를 내설하여, 상기 급수관(1)과 토출관(2)을 통해 공급되는 냉,온수를 이중단속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 정수기용 급수밸브 안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속로드(5)는 고정수단(51)에 의해 체결되는 구조로서 스프링(52)과, 안내판(53)과, 밀폐구(54)와, 이송안내공(55)을 일체로 구비하고, 상기 누름수단(7)은 버튼캡(72)을 체결안내하는 가이드홀 (71)과, 이 가이드홀(71)내로 수용되는 이동자(73)로 형성되어, 상기 제2 단속로드(5)와 일체화된 수평구조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 정수기용 급수밸브 안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관(2)은 상호 분활된 회동구(21)와 토출구(22)에 의해 회동결합구조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 정수기용 급수밸브 안전장치,
KR1019990046715A 1999-10-26 1999-10-26 냉,온 정수기용 급수레버 안전장치 KR1003218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3182U KR200178030Y1 (ko) 1999-10-26 1999-10-26 냉,온 정수기용 급수레버 안전장치
KR1019990046715A KR100321808B1 (ko) 1999-10-26 1999-10-26 냉,온 정수기용 급수레버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6715A KR100321808B1 (ko) 1999-10-26 1999-10-26 냉,온 정수기용 급수레버 안전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3182U Division KR200178030Y1 (ko) 1999-10-26 1999-10-26 냉,온 정수기용 급수레버 안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8655A KR20010038655A (ko) 2001-05-15
KR100321808B1 true KR100321808B1 (ko) 2002-02-28

Family

ID=1961704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6715A KR100321808B1 (ko) 1999-10-26 1999-10-26 냉,온 정수기용 급수레버 안전장치
KR2019990023182U KR200178030Y1 (ko) 1999-10-26 1999-10-26 냉,온 정수기용 급수레버 안전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3182U KR200178030Y1 (ko) 1999-10-26 1999-10-26 냉,온 정수기용 급수레버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0321808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6858B1 (ko) * 2001-07-18 2004-06-25 제인공업주식회사 냉,온 정수기용 급수밸브 안전장치
KR101476210B1 (ko) * 2013-04-30 2014-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용수 공급장치 또는 정수기
KR20170003827U (ko) 2016-04-29 2017-11-08 이종민 이중 안전 온수 코크
KR20190097408A (ko) 2018-02-12 2019-08-21 주식회사 엔비엘 정수기용 온수 안전 파우셋
KR102013640B1 (ko) 2018-05-31 2019-08-23 주식회사 엔비엘 온수 및 냉수 일체형 코크
KR102013632B1 (ko) 2018-07-24 2019-08-23 주식회사 엔비엘 온수, 냉수 및 혼합수 일체형 코크
KR20190110712A (ko) 2018-03-21 2019-10-01 주식회사 엔비엘 정수기용 이중 실링 파우셋
KR20230103288A (ko) 2021-12-31 2023-07-07 안기장 냉온수기용 온수코크 안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7874B1 (ko) * 2001-01-03 2003-09-13 김명철 정수용 취수밸브장치
KR100620955B1 (ko) * 2004-12-13 2006-09-19 주식회사 미래에스티 초순수 제조장치용 순환형 디스펜서
KR100787824B1 (ko) 2006-04-03 2007-12-21 한강회 밸브 조립체
KR100794120B1 (ko) 2006-11-07 2008-01-10 웅진코웨이주식회사 회전형 레버를 구비하는 코크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KR200463487Y1 (ko) 2007-07-31 2012-11-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펜서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KR100990218B1 (ko) 2007-11-15 2010-11-08 (주)피티에스 냉온수기 및 정수기용 저수탱크 개폐 어셈블리
KR200486737Y1 (ko) 2016-12-12 2018-06-26 여동엽 정수기 클린 버튼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6858B1 (ko) * 2001-07-18 2004-06-25 제인공업주식회사 냉,온 정수기용 급수밸브 안전장치
KR101476210B1 (ko) * 2013-04-30 2014-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용수 공급장치 또는 정수기
KR20170003827U (ko) 2016-04-29 2017-11-08 이종민 이중 안전 온수 코크
KR20190097408A (ko) 2018-02-12 2019-08-21 주식회사 엔비엘 정수기용 온수 안전 파우셋
KR20190110712A (ko) 2018-03-21 2019-10-01 주식회사 엔비엘 정수기용 이중 실링 파우셋
KR102013640B1 (ko) 2018-05-31 2019-08-23 주식회사 엔비엘 온수 및 냉수 일체형 코크
KR102013632B1 (ko) 2018-07-24 2019-08-23 주식회사 엔비엘 온수, 냉수 및 혼합수 일체형 코크
KR20230103288A (ko) 2021-12-31 2023-07-07 안기장 냉온수기용 온수코크 안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8655A (ko) 2001-05-15
KR200178030Y1 (ko) 2000-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1808B1 (ko) 냉,온 정수기용 급수레버 안전장치
CA2372290A1 (en) Dispensing valve for fluids
CA2428671A1 (en) Safety tap for hot water dispenser
WO2003042107A3 (en) Water filter cartridge
KR100436858B1 (ko) 냉,온 정수기용 급수밸브 안전장치
CA2404615A1 (en) Spout with vacuum breaker protection
KR200311251Y1 (ko) 정수기용 안전취수장치
KR200250670Y1 (ko) 냉,온 정수기용 급수밸브 안전장치
KR101706139B1 (ko) 버튼형 혼합 카트리지 및 그를 구비하는 수도밸브
KR20090120226A (ko) 세면대용 절수밸브
JP2005155797A (ja) 水栓装置
CN106594298A (zh) 实现淋浴设备功能变化的切换结构
US6345806B1 (en) Foot-actuated faucet
ITMI20011913A1 (it) Rubinetto ad erogazione temporizzata commutabile in erogazione continua
KR200278993Y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온음료 공급기용 토출구
KR200420822Y1 (ko) 콕크
CN210003843U (zh) 一种淋浴装置的曲角接头
KR200269522Y1 (ko) 온수 안전레버
KR200328379Y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온수꼭지
CN216200790U (zh) 一种触发式角阀
JP4482921B2 (ja) 吐水装置
KR102248959B1 (ko) 직수 정수기용 무전원 밸브장치
JP3656858B2 (ja) 水栓
KR100341351B1 (ko) 절수형 세면기
KR200264211Y1 (ko) 절수식 급수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90626

Effective date: 20100226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00330

Effective date: 201009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1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