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0218B1 - 냉온수기 및 정수기용 저수탱크 개폐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냉온수기 및 정수기용 저수탱크 개폐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0218B1
KR100990218B1 KR1020070116830A KR20070116830A KR100990218B1 KR 100990218 B1 KR100990218 B1 KR 100990218B1 KR 1020070116830 A KR1020070116830 A KR 1020070116830A KR 20070116830 A KR20070116830 A KR 20070116830A KR 100990218 B1 KR100990218 B1 KR 100990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opening
coke
storage tank
c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6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0417A (ko
Inventor
이성주
Original Assignee
(주)피티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피티에스 filed Critical (주)피티에스
Priority to KR1020070116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0218B1/ko
Publication of KR20090050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04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0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0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온수기 및 정수기용 저수탱크 개폐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냉온수기 및 정수기의 저수탱크와 코크를 연결하는 배관으로 이루어진 일반적인 냉온수기 및 정수기의 경우에는 코크 교체시 저수탱크에 저수되어 있는 물을 단속하기 위한 개폐 어셈블리(개폐 밸브)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코크 교체를 위해 저수탱크에 저수되어 있는 물을 비워야만 했으며, 또 이를 위해 냉온수기 및 정수기가 비치된 장소 이외의 곳으로 이동하여 물을 배수하는 등의 부수적인 작업으로 코크 교체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등 작업능률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것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저수탱크와 코크를 잇는 배관에 저수탱크 개폐 어셈블리를 구현하여 냉온수기 및 정수기 코크 교체시 저수탱크에 저수된 물의 단속이 코크의 분리 및 체결만으로 가능한 간편한 구조로서,
종래에 코크 교체시 저수탱크에 저수된 물을 비우는 등의 부수적인 작업으로 인한 불필요한 시간을 제거하여 코크의 교체 작업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고, 더 나아가 냉온수기 및 정수기 코크의 교체작업이 비치된 장소에서 바로 이루어질 수 있어 코크 교체작업이 한결 용이하고,
또 우리나라 역시 물이 부족한 국가 중 하나라는 점을 감안할 때 코크 교체시 무용하게 버려지는 물의 낭비를 줄일 수 있어 국가 및 국민경제 기여할 수 있는 냉온수기 및 정수기용 저수탱크 개폐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을 살펴보면,
저수탱크의 배출관의 후단이 연결되고, 하우징 외부에 노출된 코크에 전단이 결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고 탄성수단에 의하여 가압되어 유로를 패쇄하는 개폐부재; 및 상기 개폐부재를 후방으로 가압하여 유로를 개방하는 개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Figure R1020070116830
코크, 케이스, 개폐부재, 개방수단, 중계부재, 피가압부재, 패킹 엘라스토머(elastomer), 작동봉

Description

냉온수기 및 정수기용 저수탱크 개폐 어셈블리{WATER-TANK OPENING AND SHUTTING ASSEMBLY FOR WATER DISPENSER AND PURIFIER}
본 발명은 냉온수기 및 정수기용 저수탱크 개폐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냉온수기 및 정수기의 저수탱크와 코크를 연결하는 배관으로 이루어진 일반적인 냉온수기 및 정수기의 경우에는 코크 교체시 저수탱크에 저수되어 있는 물을 단속하기 위한 개폐 어셈블리(개폐 밸브)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코크 교체를 위해 저수탱크에 저수되어 있는 물을 비워야만 했으며, 또 이를 위해 냉온수기 및 정수기가 비치된 장소 이외의 곳으로 이동하여 물을 배수하는 등의 부수적인 작업으로 코크 교체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등 작업능률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것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저수탱크와 코크를 잇는 배관에 저수탱크 개폐 어셈블리를 구현하여 냉온수기 및 정수기 코크 교체시 저수탱크에 저수된 물의 단속이 코크의 분리 및 체결만으로 가능한 간편한 구조로서,
종래에 코크 교체시 저수탱크에 저수된 물을 비우는 등의 부수적인 작업으로 인한 불필요한 시간을 제거하여 코크의 교체 작업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고, 더 나아가 냉온수기 및 정수기 코크의 교체작업이 비치된 장소에서 바로 이루어질 수 있어 코크 교체작업이 한결 용이하고,
또 우리나라 역시 물이 부족한 국가 중 하나라는 점을 감안할 때 코크 교체시 무용하게 버려지는 물의 낭비를 줄일 수 있어 국가 및 국민경제 기여할 수 있는 냉온수기 및 정수기용 저수탱크 개폐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온수기 및 정수기에는 급수시 온수 등의 취수를 위해 급수밸브 및 안전장치들이 구비되며, 이를 위해 개시된 종래 기술들을 소개하면,
실용신안권자 장미정에 의한 등록실용신안 제0353418호(2004.06.04. 등록) " 정수기용 온수코크 " 와 본 발명의 출원인 이성주에 의한 등록특허 제0768781호 " 냉온수 선택 배출이 가능한 코크 조립체 " 등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냉온수기 및 정수기에 있어서 소모성 부품인 냉온수기 및 정수기 코크의 파손 및 노후로 인한 코크의 교체시
상기와 같은 등록실용신안 및 등록특허 등과 같은 일반적인 냉온수기 및 정수기의 경우에는 저수탱크와 코크를 연결하는 배관으로 이루어지며 코크 교체시 저수탱크에 저수되어 있는 물을 단속하기 위한 개폐 어셈블리(개폐 밸브)가 마련되어 있지 않았다.
따라서 코크 교체를 위해 저수탱크에 저수되어 있는 대략 25 ~ 50 리터 정도 물을 배수시킨 후에야 코크 교체작업이 이루어지며,
또 이를 위해 냉온수기 및 정수기가 비치된 장소 이외의 곳으로 이동하여 물을 배수하는 등의 부수적인 작업으로 코크 교체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등 작업능률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과,
더 나아가 전 세계 국가가 겪고 있으며 그러한 나라들 중 하나인 우리나라 역시 겪고 있는 물부족 현상에 비추어 물은 생명수라 하여도 과언이 아닐 것이며, 이를 감안한다면 필연적으로 물을 아껴야 한다는 인식에서 무용하게 버려지는 물의 낭비를 무방비하게 방관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냉온수기 및 정수기의 저수탱크와 코크를 연결하는 배관으로 이루어진 일반적인 냉온수기 및 정수기의 경우에는 코크 교체시 저수탱크에 저수되어 있는 물을 단속하기 위한 개폐 어셈블리(개폐 밸브)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코크 교체를 위해 저수탱크에 저수되어 있는 물을 비워야만 했으며, 또 이를 위해 냉온수기 및 정수기가 비치된 장소 이외의 곳으로 이동하여 물을 배수하는 등의 부수적인 작업으로 코크 교체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등 작업능률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것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저수탱크와 코크를 잇는 배관에 저수탱크 개폐 어셈블리를 구현하여 냉온수기 및 정수기 코크 교체시 저수탱크에 저수된 물의 단속이 코크의 분리 및 체결만으로 가능한 간편한 구조로서,
종래에 코크 교체시 저수탱크에 저수된 물을 비우는 등의 부수적인 작업으로 인한 불필요한 시간을 제거하여 코크의 교체 작업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고, 더 나아가 냉온수기 및 정수기 코크의 교체작업이 비치된 장소에서 바로 이루어질 수 있어 코크 교체작업이 한결 용이하고,
또 우리나라 역시 물이 부족한 국가 중 하나라는 점을 감안할 때 코크 교체시 무용하게 버려지는 물의 낭비를 줄일 수 있어 국가 및 국민경제 기여할 수 있는 냉온수기 및 정수기용 저수탱크 개폐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 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케이스에는 다단 결합홈이 형성되어 하우징에 결합되는 위치를 조절하여 코크와의 결합을 위한 케이스 결합부의 노출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기존 냉온수기 및 정수기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고, 더 나아가 기존 냉온수기 및 정수기의 종류에 따라 케이스를 제조할 필요가 없이 하나의 케이스만으로 기존에 다양한 냉온수기 및 정수기에 대처할 수 있어 범용성을 이룰 수 있어 경제적인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는 냉온수기 및 정수기용 저수탱크 개폐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온수기 및 정수기용 저수탱크 개폐 어셈블리는,
저수탱크의 배출관의 후단이 연결되고, 하우징 외부에 노출된 코크에 전단이 결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고 탄성수단에 의하여 가압되어 유로를 패쇄하는 개폐부재; 및 상기 개폐부재를 후방으로 가압하여 유로를 개방하는 개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발명에 따른 냉온수기 및 정수기용 저수탱크 개폐 어셈블리에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며,
상기 케이스는 상기 코크와의 결합을 위한 전단부 결합부의 노출 정도 조절을 위하여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다단 결합홈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냉온수기 및 정수기용 저수탱크 개폐 어셈블리에서, 상기 개방수단은 상기 개폐부재의 전단부를 가압하는 상기 코크의 후단부이며,
상기 개방수단은 상기 코크에 내장되고 물리적으로 분리되는 중계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계부재는 물의 소통을 위한 통로를 갖고, 상기 코크의 후단부에 의하여 가압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온수기 및 정수기용 저수탱크 개폐 어셈블리에서, 상기 개방수단은 상기 개폐부재를 이루는 패킹 엘라스토머(elastomer)의 전방에 형성되고 일체로 연결된 피가압부재이며,
상기 피가압부재는 상기 케이스의 유로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막대형상이고, 상기 피가압부재는 상기 코크의 후단부에 의하여 가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피가압부재는 상기 케이스의 유로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막대형상이고, 상기 피가압부재는 상기 코크의 전단에 노출되고 탄성수단에 의하여 탄지되는 버튼을 누름에 따라 상기 버튼과 연결된 작동봉 후단부에 의하여 가압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온수기 및 정수기용 저수탱크 개폐 어셈블리에 의하여,
특히 냉온수기 및 정수기의 저수탱크와 코크를 연결하는 배관으로 이루어진 일반적인 냉온수기 및 정수기의 경우에는 코크 교체시 저수탱크에 저수되어 있는 물을 단속하기 위한 개폐 어셈블리(개폐 밸브)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코크 교체를 위해 저수탱크에 저수되어 있는 물을 비워야만 했으며, 또 이를 위해 냉온수기 및 정수기가 비치된 장소 이외의 곳으로 이동하여 물을 배수하는 등의 부수적인 작업으로 코크 교체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등 작업능률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것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저수탱크와 코크를 잇는 배관에 저수탱크 개폐 어셈블리를 구현하여 냉온수기 및 정수기 코크 교체시 저수탱크에 저수된 물의 단속이 코크의 분리 및 체결만으로 가능한 간편한 구조로서,
종래에 코크 교체시 저수탱크에 저수된 물을 비우는 등의 부수적인 작업으로 인한 불필요한 시간을 제거하여 코크의 교체 작업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고, 더 나아가 냉온수기 및 정수기 코크의 교체작업이 비치된 장소에서 바로 이루어질 수 있어 코크 교체작업이 한결 용이하고,
또 물부족 국가로서 무용하게 버려지는 물을 줄일 수 있어 국가 및 국민경제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케이스에는 다단 결합홈이 형성되어 하우징에 결합되는 위치를 조절하여 코크와의 결합을 위한 케이스 결합부의 노출 정도를 조절할 수 있 게 함으로써 기존 냉온수기 및 정수기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고, 더 나아가 기존 냉온수기 및 정수기의 종류에 따라 케이스를 제조할 필요가 없이 하나의 케이스만으로 기존에 다양한 냉온수기 및 정수기에 대처할 수 있어 범용성을 이룰 수 있어 경제적인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냉온수기 및 정수기용 저수탱크 개폐 어셈블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저수탱크 개폐 어셈블리를 구비한 냉온수기 및 정수기의 시스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2는 개방수단이 개폐부재를 가압하는 별도의 중계부재로 이루어진 형태와 관련된 저수탱크 개폐 어셈블리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와 달리 개방수단이 코크 후단부가 기능하는 변형형태와 관련된 저수탱크 개폐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며, 도 4는 역시 도 2와 달리 개방수단이 코크에 구비된 버튼의 조작에 의하여 움직이는 작동봉으로 이루어진 변형형태와 관련된 저수탱크 개폐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냉온수기 및 정수기용 저수탱크 개폐 어셈블리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을 참조하여 특정하면,
물의 배출 경로를 따라 저수탱크(R)(특히, 냉수통(R2)이나 온수통(R1))쪽을 '후방 또는 하부'로 하고, 코크쪽을 '전방 또는 상부'로 정하며,
이하 본 명세서에서의 '저수탱크'는 냉온수기 및 정수기의 저장통, 냉수통 및 온수통을 통합적으로 지칭한 것이며, 특히 다른 탱크를 거치지 않고 코크와 배 관을 통하여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탱크를 의미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냉온수기 및 정수기용 저수탱크 개폐 어셈블리를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명칭 및 참조 부호는 동일한 작용과 기능을 발휘하므로 중복기재를 피하기 위해 동일 반복을 피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온수기 및 정수기용 저수탱크 개폐 어셈블리는,
저수탱크(R)의 배출관(r)의 후단이 연결되고, 하우징(H) 외부에 노출된 코크(C)에 전단이 결합되는 케이스(10); 상기 케이스(10)에 내장되고 탄성수단(22)에 의하여 가압되어 유로(W)(이하에서 참조부호를 생략하기로 한다)를 패쇄하는 개폐부재(20); 및 상기 개폐부재(20)를 후방으로 가압하여 유로를 개방하는 개방수단(P);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냉온수기 및 정수기용 저수탱크 개폐 어셈블리에서, 상기 케이스(1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저수탱크(R)의 배출관(r)에 후단이 연결되고, 하우징(H) 외부에 노출된 코크(C)에 전단이 결합되되,
상기 저수탱크(R)는 각종 필터(F)에 의하여 필터링된 정수된 물이 유로를 통하여 상기 저수탱크(R)에 도달하게 되고, 상기 저수탱크(R)에는 상기 배출관(r) 연결되어 상기 저수탱크(R)에 저수된 정수물이 상기 배출관(r)을 통해 상기 케이스(10) 및 상기 코크(C) 측 전방으로 배출되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H) 외부에는 급수를 위한 코크(C)가 노출되어 있고, 상기 코크는 상기 케이스(10)와 결합되며,
상기 코크(C)에는 상기 저수탱크(R)의 배출관(r)을 통해 급수되는 정수물을 외부로 급수하기 위한 유로가 형성된 결합부(c)와 상기 유로와 연결되는 배수노즐(D)이 상기 코크(C) 하부에 배열되고 노출되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정수물을 외부로 급수하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 케이스(10)는 상기 저수탱크(R)의 유출관(r)과의 연결을 위한 후단에 결합부(10b)가 형성되고, 상기 코크(C)의 결합부(c)와 결합되기 위해 전단에 결합부(10a)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10) 전단에는 유출구(11a)가 형성되고, 후단에는 유입구(11b)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10)의 유로는 상기 유출구(11a) 및 유입구(11b) 보다 큰 내경을 갖는 수용부(12)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출구(11a)에는 상기 결합부(10a)에서 상기 수용부(12) 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환형의 돌기(10c)가 쐐기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개폐부재(20)와의 결합시 수밀성을 보다 견고히 보장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도 2에서 단면도로 표시된 케이스가 외주면에 복수의 결합홈(13)이 형성된 형태인 것과 달리, 일점쇄선으로 구획된 원 내에는 외관이 원형인 케이스에 대한 변형 형태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케이스의 유출구(11a) 및 유입구(11b)에 대한 참조부호는 변형예인 원형 케이스와 관련하여 표시하였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10)의 수용부(12)에 내장되는 상기 개폐부재(20)와, 상기 개폐부재(20)을 가압하는 상기 개방수단(P)이 함께 저수탱크(C) 개폐 어셈블리를 구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케이스(10)는 상기 하우징(H)에 결합되되,
상기 코크(C)의 결합부(c)와 결합되는 상기 케이스(10)의 결합부(10a)의 노출 정도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H)에 결합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다단 결합홈(13)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H)에는 상기 케이스(10)의 다단 결합홈(13)이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는 대응 결합부(미(未)도시됨)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코크(C) 결합부(c)의 외주면에는 상기 케이스(10)와의 결합시 상기 하우징(H)의 외벽면에 맞닿아 지지하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하우징(H)을 사이에 두고 상기 코크(C)와 상기 케이스(10)를 체결하면 확고한 고정이 이루어진다.
또 상기 코크(C)의 결합부(c)와 연결되는 상기 케이스(10)의 결합부(10a)의 가장 적정한 노출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10)의 다단 결합홈(13)과 상기 하우징(H)의 대응 결합부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코크(C)와 상기 케이스(10)의 결합 길이를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상기 저수탱크(R)의 유출관(r)에서 상기 하우징(H)까지 다양한 결합 길이를 갖는 기존 냉온수기 및 정수기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온수기 및 정수기용 저수탱크 개폐 어셈블리에서, 상기 개폐부재(20)는
도2 내지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에 내장되고 탄성수단(22)에 의하여 가압되어 유로를 패쇄하되,
상기 개폐부재(20)의 후단부를 형성하고 상기 유출관(r)과 상기 케이스(10)의 유입구(11b)를 드나들며 안내하는 가이드 봉(20a)과,
상기 가이드 봉(20a)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수단(22)에 탄지되는 원반형상의 탄지플레이트(20b)와,
상기 탄지플레이트(20b) 상부에는 다수의 환형 결합돌기(20c)와,
상기 결합돌기(20c) 상부에는 즉 상기 개폐부재(20)의 전단부를 형성하고 상기 개방수단(P)에 의하여 가압됨으로써 상기 케이스(10)의 유출구(11a)를 드나드는 피가압돌기(20d)와 그리고
상기 결합돌기(20c)와 결합되는 수밀성 부재로 이루어진 패킹 밸브(21)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피가압돌기(20d)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막대형상을 이루며,
상기 패킹 밸브(21) 내주면에는 상기 결합돌기(20c)와 결합되어 수밀성 및 결합력을 보장하기 위한 다수의 환형 결합홈(21a)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케이스(10)의 수용부(12)에 내장되는 상기 탄성수단(22)은 코일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되,
상기 탄성수단(22)는 상기 케이스(10)의 유입구(11b)에 끼워져 고정되는 스프링 고정링(23)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탄성수단(22)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스프링 고정링(23)에는 다수의 환형 돌기부가 형성되는데,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스프링 고정링(23)의 전단부에는 상기 탄성수단(22)인 코일 스프링을 끼워 고정하기 고정환(23a)과,
상기 고정환(23a) 하부에는 상기 케이스(10)의 유입구(11b)와 고정결합되는 결합환(23b)와, 그리고
상기 결합환(23b) 하부 즉 상기 스프링 고정링(23)의 후단부에는 상기 고정환(23a) 및 결합환(23b) 보다 외경이 큰 대경환(23c)으로 이루어지며
그리고 물의 소통을 위한 유로가 형성되는 것은 물론이다.
따라서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 고정링(23)의 고정환(23a)에는 상기 탄성수단(22)인 코일 스프링이 고정되어 이탈 및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결합환(23b)에는 상기 케이스(20)의 유입구(11b)에 형성된 요홈에 끼워져 고정되고,
그리고 상기 대경환(23c)은 상기 케이스(10)의 결합부(10b)와 결합되는 상기 유출관(r)의 결합부의 단부에 의하여 가압됨으로써 그 지지가 한층 더 보강되게 된다.
즉 냉온수기 및 정수기와 관련하여 교체, 수리 및 청소 등의 유지 관리를 위하여 상기 코크(C)를 정수기에서 분리하는 경우 상기 코크(C) 후단부에 의하여 가압되어 있던 상기 개폐부재(20)가 상기 탄성수단(22)을 동시에 가압하므로 상기 탄성수단(22)은 가압 수축 후퇴하게 되고, 이에 따라 유로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는데
이후 상기 코크(C) 분리시에는 상기 탄성수단(22)의 탄성에 의하여 개폐부재(20)이 밀리면서 상기 케이스(10) 후단부에 형성된 상기 수용부(12) 전단부에 형성된 유로를 폐쇄하여 상기 저수탱크(R)에 저수되어 있는 물이 외부로 누수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개폐부재(20)에 대하여 탄성을 발휘하는 상기 탄성수단(22)은 코일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며,
그리고 상기 개폐부재(20)의 패킹 밸브(21)는 수밀성을 유지하기 위해 패킹 엘라스토머(elastomer), 실리콘 및 ABS수지(이하에서는 패킹 엘라스토머만을 대표하여 지칭한다) 등의 수밀성 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도 2에서, 상기 유출구(11a)에는 상기 결합부(10a)에서 상기 수용부(12) 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환형의 돌기(10c)가 쐐기 형상으로 돌출되고,
상기 돌기(10c)에 대응하여 상기 패킹 엘라스토머(21)에는 환형의 요홈(21b)(도 2에서, 일점쇄선으로 구획된 타원 내에서 확인 가능)이 형성되어 수밀성을 한 층 더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온수기 및 정수기용 저수탱크 개폐 어셈블리에서, 상기 개방수단(P)은
상기 개폐부재(20)를 후방으로 가압하여 유로를 개방하는 것으로,
도 3에서, 상기 개방수단(P)은 상기 개폐부재(20)의 전단부를 가압하는 상기 코크(C)의 후단부(32)에 의하여 구현되는 형태를 제시하고 있다.
도 3에서 제시된 상기 개방수단(P)은 상기 코크(C)의 결합부(c)가 수나수부를 형성하는 경우를 상정한 것으로, 이를 설명하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코크(C)의 결합부(c)에 형성된 수나수부에 대응하여 상기 케이스(10) 전단부에 형성된 결합부(10a)는 암나수부로 구성되며,
상기 코크(C)가 분리될 경우 상기 개폐부재(20)의 패킹 밸브(21), 즉 수밀성 부재인 패킹 엘라스토머는 상기 탄성수단(22)에 의하여 가압되므로 유로인 상기 케이스(10)의 유출구(11a)를 폐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코크(C)의 결합부(c)가 상기 케이스(10)의 결합부(10a) 내측으 로 삽입되면서 유로를 폐쇄하고 있는 상기 개폐부재(20)을 가압하여 유로를 개방하기 위해
상기 코크(C)의 결합부(c)에서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된 가압돌기(32)가 유로를 폐쇄하고 있는 상기 개폐부재(20)의 패킹 밸브(21), 즉 수밀성 부재인 상기 패킹 엘라스토머을 후방으로 가압하여 유로를 개방하게 된다.
물론 상기 가압돌기(32)는 상기 코크(C)와 상기 케이스(10)의 각 결합부(c)(10a)를 연결하였을 경우 물의 소통에 방해가 되지 않는 적절한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 개방수단(P)이 상기 코크(C)의 가압돌기(32)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압돌기에 의하여 상기 개폐부재(20)가 가압되어 유로를 개방하는 경우에는
도 3에서와 같이, 도 2에서 개폐부재에 형성된 피가압돌기(20d)는 생략되는 것이 유리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냉온수기 및 정수기용 저수탱크 개폐 어셈블리에서, 상기 개방수단(P)은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도 3과 달리 도 2에서는 개방수단이 개폐부재를 가압하는 별도의 중계부재로 이루어진 형태이다),
상기 개폐부재(20)을 후방으로 가압하여 유로를 개방하되,
상기 코크(C)에 내장되고 물리적으로 분리된 중계부재(40)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계부재(40)는 물의 소통을 위한 통로를 갖고, 상기 코크(C)의 후단부에 의하여 가압된다.
이하에서의 설명은 상기 케이스(10) 전단부에 형성된 결합부(10a)와 상기 코크(C) 후단부 결합부(c)가 각각 서로 대응하는 암나사부 또는 수나사부로 형성되는 경우를 모두 상정한 것으로 이를 설명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크(C)의 결합부(c) 상부측에 치우친 위치에는 유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걸림돌기(4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돌기(46)에 의하여 후방으로 가압 고정되는 상기 중계부재(40)는
상기 걸림돌기(46)의 맞닿는 환형의 지지링(40a)와,
상기 지지링(40a)에 일체로 형성되고, 중심을 향해 방사상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지지편(40b)과, 그리고
상기 지지편(40b)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재(20)의 피가압돌기(20d)를 후방으로 가압하여 유로를 개방하기 위한 가압돌기(40c)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압돌기(40c)의 후단부에는 상기 개폐부재(20)의 피가압돌기(20d)와 맞닿는 접합부에는 상호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단면적이 확장되는 이탈방지구(40d)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리고 상기 지지링(40a)에 일체로 방사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지지편(40b)은 물의 소통을 보장하는 통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적정한 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코크(C)의 체결시, 상기 개방수단(P)인 상기 중계부재(40)는 상기 코크(C)의 후단부, 즉 상기 코크(C)의 결합부(c) 내측에 형성된 걸림돌기(46)와 케이스(10)의 전단 결합부(10a) 사이에 위치하여 고정되는데,
상기 코크 결합시 상기 걸림돌기(46)에 의하여 상기 중계부재(40)가 가압되어 후퇴함에 따라 상기 중계부재(40)의 가압돌기(40c)가 상기 개폐부재(20)의 피가압돌기(20d)를 가압함으로써 유로를 개방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냉온수기 및 정수기용 저수탱크 개폐 어셈블리에서, 상기 개방수단(P)은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2와 달리 개방수단이 코크에 구비된 버튼의 조작에 의하여 움직이는 작동봉(60)으로 이루어진 변형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데,
상기 개폐부재(20)의 패킹 밸브(21)을 이루는 패킹 엘라스토머(elastomer)의 전방에 형성되고 일체로 연결된 피가압부재(50) 형태를 이루며,
상기 피가압부재(50)는 상기 케이스(10)의 유로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막대형상이고,
상기 피가압부재(50)(도 2에서의 피가압돌기(20d)와 동일한 기능을 한다)는 상기 코크(C)에 결합된 작동봉(60)의 후단부에 의하여 가압된다.
여기서 상기 피가압부재(50)는 상기 개폐부재(20)의 패킹 밸브(21)를 이루는 패킹 엘라스토머의 전방에 형성되되,
(상기 피가압부재(50)는 상기 피가압돌기(20d)와 기능이 동일한 것이어서 이하에서 설명에서 피가압부재(50)만을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피가압부재(50)는 상기 개폐부재(20)의 가이드 봉(20a), 상기 탄지플레이트(20b), 상기 피가압부재(50)(기능은 동일하나 도 2에서의 결합돌기(20d)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코크 내측에 더 많이 수납되어 편의상 다르게 지칭한 것임) 순으로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피가압부재(50)는 물의 소통을 위해 상기 케이스(10)의 유로, 즉 상기 케이스(10) 전단부에 형성된 상기 유출구(11a)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막대형상이며,
상기 피가압부재(50)의 외경은 물의 소통을 위한 적정한 사이즈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가압부재(50)는 상기 코크(C)의 전단에 노출되고 탄성수단(62)에 의하여 탄지되는 버튼(B)을 누름에 따라 상기 버튼(B)과 연결된 작동봉(60) 후단부에 의하여 가압되는 저수탱크 개폐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한데,
이러한 경우 상기 피가압부재(50)는 상기 케이스(10)의 유로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져 물의 소통을 보장할 수 있게 됨은 물론이며,
상기 코크(C)의 전단 즉 외부로 상기 버튼(B)이 노출되고,
상기 버튼(B) 후단부에는 상기 탄성수단(62) 예컨데 코일스프링 등에 의하여 탄지되며,
개방수단(P)을 구성하는 상기 작동봉(60)은 상기 버튼(B)과 연결되되,
상기 버튼(B) 또는 상기 작동봉(60) 일체로 접지판(61)이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접지판(61)이 상기 버튼(B)와 상기 작동봉(60)과 별도로 이들 사이에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 작동봉(60)의 후단부와 상기 피가압부재(50)의 전단부가 접하면서 맞닿을 수 있게 되며,
상기 작동봉(60)와 상기 피가압부재(50)의 접합부에는 상호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구(60a)가 형성되어 그 접촉을 확실하게 보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코크(C) 내부에는 물의 배출을 단속하기 위한 급수레버(L)와, 상기 급수레버(L)에 연결된 연결축봉(72)과, 상기 연결축봉에 일체로 연결된 고리형부재(70)이 구비되되,
상기 고리형부재(70)는 상기 작동봉(60)의 원활한 작동을 위한 것으로
상기 코크(C)의 체결시 상기 작동봉(60)이 상기 피가압부재(50)를 후방으로 가압하기 위해 작동되는 경우 상기 고리형부재(70)에 형성되는 공간을 통과하여 상기 피가압부재(50)를 가압하게 되어 보다 원활한 작동을 보장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상기 버튼(B)를 외부에서 누르게 되면, 상기 버튼(B)에 연결된 상기 작동봉(60) 후단부에 의하여 상기 피가압부재(50) 전단부가 가압되어 상기 피가압부재(50)에 일체로 형성된 개폐부재(20)가 후방으로 가압하게 되어 유로가 개방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각 개방수단과 이에 대응하는 개폐부재는 완전히 독립된 개별적 구성이라기보다는 이들 상호 간에 약간의 변경만으로 전용 설치가 가능한 것으로 경제성 제고라는 측면을 고려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다양한 방식에 의한 개방수단에 의하여 유로를 개방하는 메카니즘에 대하여만 설명을 하였으나, 전술한 개폐부재에 의한 총괄적인 개념을 토대로 당업자라면 개방수단과 개폐부재에 의한 연동에 의하여 유로를 폐쇄하는 메카니즘에 대한 추론 및 유추는 자명할 것이다.
또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냉온수기 및 정수기용 저수탱크 개폐 어셈블리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저수탱크 개폐 어셈블리를 구비한 냉온수기 및 정수기의 시스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개방수단이 개폐부재를 가압하는 별도의 중계부재로 이루어진 형태와 관련된 저수탱크 개폐 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3은 도 2와 달리 개방수단이 코크 후단부가 기능하는 변형형태와 관련된 저수탱크 개폐 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4는 역시 도 2와 달리 개방수단이 코크에 구비된 버튼의 조작에 의하여 움직이는 작동봉으로 이루어진 변형형태와 관련된 저수탱크 개폐 어셈블리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H : 하우징 R : 저수탱크
R1 : 온수통 R2 : 냉수통
L: 안전레버 D : 배수노즐
C : 코크 W : 유로
c : 코크의 결합부 r : 유출관
10 : 케이스 10a : 케이스의 전단부 결합부
10b : 케이스의 후단부 결합부 10c : 환형의 돌기
11a : 유출구 11b : 유입구
12 : 수용부 13 : 다단 결합홈
20 : 개폐부재
20a : 가이드 봉 20b : 탄지플레이트
20c : 결합돌기 20d : 피가압돌기
21 : 패킹 밸브 21a : 결합홈
21b : 환형의 요홈 22 : 탄성수단
23 : 스프링 고정링 23a : 고정환
23b : 결합환 23c : 대경환
P : 개방수단 32 : 코크의 가압돌기
40 : 중계부재 40a : 지지링
40b : 지지편 40c : 중계부재의 가압돌기
40d : 이탈방지구 50 : 피가압부재
60 : 작동봉 60a : 이탈방지구
61 : 접지판 62 : 탄성수단
70 : 고리형부재 72 : 연결축봉
74 : 패킹 F : 각종 필터

Claims (9)

  1. 저수탱크의 배출관의 후단이 연결되고, 하우징 외부에 노출된 코크에 전단이 결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고 탄성수단에 의하여 가압되어 유로를 패쇄하는 개폐부재; 및
    상기 개폐부재를 후방으로 가압하여 유로를 개방하는 개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케이스는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코크와의 결합을 위한 전단부 결합부의 노출 정도 조절을 위하여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다단 결합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 및 정수기용 저수탱크 개폐 어셈블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수단은
    상기 코크에 내장되고 물리적으로 분리되는 중계부재이고,
    상기 중계부재는 물의 소통을 위한 통로를 갖고,
    상기 코크의 후단부에 의하여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 및 정수기용 저수탱크 개폐 어셈블리.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070116830A 2007-11-15 2007-11-15 냉온수기 및 정수기용 저수탱크 개폐 어셈블리 KR100990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6830A KR100990218B1 (ko) 2007-11-15 2007-11-15 냉온수기 및 정수기용 저수탱크 개폐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6830A KR100990218B1 (ko) 2007-11-15 2007-11-15 냉온수기 및 정수기용 저수탱크 개폐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0417A KR20090050417A (ko) 2009-05-20
KR100990218B1 true KR100990218B1 (ko) 2010-11-08

Family

ID=40858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6830A KR100990218B1 (ko) 2007-11-15 2007-11-15 냉온수기 및 정수기용 저수탱크 개폐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02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0098B1 (ko) * 2009-05-27 2012-03-23 최지운 정수기 코크의 설치구조
KR200486683Y1 (ko) 2017-07-10 2018-06-21 주식회사 로스팅 파크 커피 컴퍼니 커피 드립핑 기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8030Y1 (ko) 1999-10-26 2000-04-15 제인공업주식회사 냉,온 정수기용 급수레버 안전장치
KR200344659Y1 (ko) 2003-12-15 2004-03-12 동양매직 주식회사 정수기의 온수 취수 안전 장치
KR200373888Y1 (ko) 2004-10-15 2005-01-21 (주)원봉 잠금장치가 구비된 냉온정수기의 온수코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8030Y1 (ko) 1999-10-26 2000-04-15 제인공업주식회사 냉,온 정수기용 급수레버 안전장치
KR200344659Y1 (ko) 2003-12-15 2004-03-12 동양매직 주식회사 정수기의 온수 취수 안전 장치
KR200373888Y1 (ko) 2004-10-15 2005-01-21 (주)원봉 잠금장치가 구비된 냉온정수기의 온수코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0417A (ko) 2009-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63756A (ko) 역삼투 여과시스템
KR101995825B1 (ko) 정수 시스템
CN101896242B (zh) 水处理系统
CA2789121A1 (en) Flush water container system for flush water for a mobile toilet
KR100990218B1 (ko) 냉온수기 및 정수기용 저수탱크 개폐 어셈블리
CN102180550B (zh) 一种家用纯水机
JP3112008U (ja) 脱着洗眼器具
JP4432114B2 (ja) 洋風水洗式便器用ポンプユニット
KR200459279Y1 (ko) 커넥터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교체되는 원터치방식의 정수시스템
CN101638275A (zh) 一种新型纯水机
CN101624239B (zh) 一种家用纯水机
JP2016020611A (ja) 局部洗浄装置、局部洗浄装置付便器、局部洗浄装置用切換弁並びに局部洗浄装置用浄水部
CN208709352U (zh) 一种具有饮水功能的蒸箱或蒸烤箱
US10370269B2 (en) Water filtration system
KR200360715Y1 (ko) 입출구가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 필터조립체의착탈만으로 정수의 공급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비데용필터 및 그 연결장치.
JP2008267028A (ja) 水栓
KR100668762B1 (ko) 입출구가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 필터조립체의착탈만으로 정수의 공급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비데용필터 및 그 연결장치.
KR200391700Y1 (ko) 정수기용 필터카트리지 연결구조
CN103623703A (zh) 无电净水器
KR20180108409A (ko) 정수 시스템
JP3774379B2 (ja) ホース収納式水栓の水切構造
KR101214396B1 (ko) 후레쉬 밸브
CN208161169U (zh) 用于净水机的机头总成
KR20100008472A (ko) 정수기의 필터모듈 및 그 체결구조
CN211570298U (zh) 一种水处理超滤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