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4659Y1 - 정수기의 온수 취수 안전 장치 - Google Patents

정수기의 온수 취수 안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4659Y1
KR200344659Y1 KR20-2003-0039061U KR20030039061U KR200344659Y1 KR 200344659 Y1 KR200344659 Y1 KR 200344659Y1 KR 20030039061 U KR20030039061 U KR 20030039061U KR 200344659 Y1 KR200344659 Y1 KR 2003446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hot water
horizontally
push
water int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90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중근
Original Assignee
동양매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매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양매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390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46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46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465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47Bypass or safety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1/00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 F16K21/04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 F16K21/06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in which the closing movement, either retarded or not, starts immediately after op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5/00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 F16K35/04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yieldingly resisting the actu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정수기의 온수 취수 안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온수 취수시 어린이, 노약자 등 주의력 및 사고력이 부족한 사용자의 정수기 온수 취수에 따른 화상 등의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후방에는 온수 탱크와 연결되는 니플(11)이 결합되고, 전방에는 온수 취수시 후방으로 가압되는 누름 버튼(12)이 결합되며, 하방에는 온수가 토출되는 토출구(13)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온수 취수시 후방으로 가압되는 취수 레버(14)가 결합된 코크 몸체(10)와, 상기 누름 버튼(12)의 후방인 몸체(10) 내측에 수평하게 설치되어, 상기 누름 버튼(12)의 가압시 후방으로 수평 이동하는 푸쉬 샤프트(20)와, 상기 푸쉬 샤프트(20)의 후방에 수평하게 설치되어, 상기 푸쉬 샤프트(20)의 후방 수평 이동시 소정 방향으로 회전하며 후방 수평 이동하는 회전 샤프트(30)와, 상기 회전 샤프트(30)의 후방에 수평하게 설치되어, 상기 회전 샤프트(30)의 회전 및 후방 수평 이동시 후방으로 함께 수평 이동하여 온수가 상기 코크 몸체(1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수평 단속 샤프트(40)와, 상기 코크 몸체(10)의 내부에서 상기 푸쉬 샤프트(20)가 관통하도록 관통구(52)가 형성되어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고, 또한 상단에는 상기 취수 레버(14)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취수 레버(14)의 하단이 후방으로 이동하면 상부 방향으로 수직 이동하여 상기 코크 몸체(10)의 토출구(13)를 개방시켜 온수 취수가 가능하도록 하는 수직 단속 샤프트(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함.

Description

정수기의 온수 취수 안전 장치{Hot water safety device of clean water apparatus}
본 고안은 정수기의 온수 취수 안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온수 취수시 어린이, 노약자 등 주의력 및 사고력이 부족한 사용자의 정수기 온수 취수에 따른 화상 등의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정수기의 온수 취수 안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 온수 취수 안전 장치는 국내특허 제321808호나 국내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2002-0054312호 등 대부분이 그 형태가 한 손으로는 전방에 위치한 누름 버튼을 가압하여 취수 레버의 작동이 가능하도록 한 상태에서 다른 한 손으로 물을 취수하기 위한 용기와 함께 취수 레버를 가압하여 취수용기의 내부에 필요한 냉,온수를 취수할 수 있도록 하고 취수 후에 취수 레버를 원위치시키고 누름 버튼 역시 가압 상태를 해제하여 원위치로 위치시키게 되면, 누름 버튼을 가압하지 아니한 상태에서는 취수 레버를 가압하더라도 코크 토출구가 열리지 않게 되어 취수가 불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는 관계로, 취수시엔 반드시 양 손을 동시에 사용하여만 취수 작동이 가능하므로 한 손으로는 사용이 불가능하고, 실제로 사용시에도 아주 불편한 단점이 있다.
물론, 종래에도 안전장치가 설치되어 있지 아니한 단순한 개폐기능을 갖는 코크 형태의 경우엔 한 손으로도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어느 누구나 손쉽게 사용이 가능하여 어린이나 노약자와 같이 주의력이 부족한 경우에는 부주의로 토출되는 온수에 의하여 화상을 입거나 기타 안전사고의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누름 버튼을 한번 누른 상태에서 취수 레버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취수할 수 있고, 또한 취수 레버를 원위치로 하면 사용전의 상태로 복원되어 어린이, 노약자 등 주의력 및 사고력이 부족한 사용자의 사용에 따른 온수 토출로 인한 화상 등의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정수기의 온수 취수 안전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의 온수 취수 안전 장치를 도시한 수직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의 온수 취수 안전 장치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의 온수 취수 안전 장치에서 수평 단속을 위한 수평 단속 샤프트와 회전 샤프트 및 푸쉬 샤프트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의 온수 취수 안전 장치에서 푸쉬 샤프트를 이동시킬 수 있는 가이드가 형성된 수직 단속 샤프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의 온수 취수 안전 장치에서 회전 샤프트 이동 및 회전을 할 수 있는 가이드가 형성된 취수 코크 몸체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코크 몸체 11; 니플
12; 누름 버튼 13; 토출구
14; 취수 레버 20; 푸쉬 샤프트
21; 돌기 22; 빗면
23; 직각면 30; 회전 샤프트
31; 돌기 40; 수평 단속 샤프트
41; 스프링 50; 수직 단속 샤프트
51; 스프링 52; 관통구
53; 가이드 54; 경사면
60; 내부 가이드 61; 회전 돌기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의한 정수기의 온수 취수 안전 장치는 후방에는 온수 탱크와 연결되는 니플이 결합되고, 전방에는 온수 취수시 후방으로 가압되는 누름 버튼이 결합되며, 하방에는 온수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온수 취수시 후방으로 가압되는 취수 레버가 결합된 코크 몸체와, 상기 누름 버튼의 후방인 몸체 내측에 수평하게 설치되어, 상기 누름 버튼의 가압시 후방으로 수평 이동하는 푸쉬 샤프트와, 상기 푸쉬 샤프트의 후방에 수평하게 설치되어, 상기 푸쉬 샤프트의 후방 수평 이동시 소정 방향으로 회전하며 후방 수평 이동하는 회전 샤프트와, 상기 회전 샤프트의 후방에 수평하게 설치되어, 상기 회전 샤프트의 회전 및 후방 수평 이동시 후방으로 함께 수평 이동하여 온수가 상기 코크 몸체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수평 단속 샤프트와, 상기 코크 몸체의 내부에서 상기 푸쉬 샤프트가 관통하도록 관통구가 형성되어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고, 또한 상단에는 상기 취수 레버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취수 레버의 하단이 후방으로 이동하면 상부 방향으로 수직 이동하여 상기 코크 몸체의 토출구를 개방시켜 온수 취수가 가능하도록 하는 수직 단속 샤프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 샤프트는 표면에 수평 방향으로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코크 몸체 내측의 상기 회전 샤프트 후방에는 상기 회전 샤프트가 후방으로 수평 이동하면서 결합되면 소정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내주면에 다수의 회전형 돌기가 형성된 내부 가이드가 더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내부 가이드의 후방에는 취수 완료시 회전 샤프트를 원위치시킬 수 있도록 수평 단속 샤프트를 감싸며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푸쉬 샤프트는 상기 수직 단속 샤프트의 관통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한쌍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직 단속 샤프트의 관통구 내측에는, 상기 수직 단속 샤프트가 상승시 상기 푸쉬 샤프트의 돌기와 접촉되어 상기 푸쉬 샤프트를 후방으로 수평 이동시킬 수 있도록, 가이드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직 단속 샤프트에는 취수 완료시 수직 단속 샤프트를 원위치시킬 수 있도록 수직 단속 샤프트를 감싸며 스프링이 더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하여 본 고안에 의한 정수기의 온수 취수 안전 장치는 누름 버튼을 한번 누르고 취수 레버를 작동하면 한손으로도 간단히 취수할 수 있고, 또한 취수 레버를 원위치로 하면 누름 버튼이 사용전 상태로 복원되어 온수 취수가 편리해진다.
또한, 누름 버튼을 눌러 놓은 상태가 아니면, 취수가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써, 어린이 노약자 등 주위력 및 사고력이 부족한 사용자의 사용에 따른 온수 토출로 인한 화상 등의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의 온수 취수 안전 장치의 수직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의 온수 취수 안전 장치의 수평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의 온수 취수 안전 장치에서 수평 단속을 위한 수평 단속 샤프트(40)와 회전 샤프트(30) 및 푸쉬 샤프트(20)의 조립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의 온수 취수 안전 장치에서 푸쉬 샤프트(20)를 이동시킬 수 있는 가이드(53)가 형성된 수직 단속 샤프트(5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의 온수 취수 안전 장치에서 회전 샤프트(30)의 이동 및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내부 가이드(60)가 형성된 취수 코크 몸체(10)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의 온수 취수 안전 장치는 온수 탱크에 연결되어 외부로 온수의 배출 여부를 결정하는 코크 몸체(10)와, 상기 코크 몸체(10) 내측에 수평 방향으로 결합된 푸쉬 샤프트(20)와, 상기 푸쉬 샤프트(20)의 일측에 설치된 회전 샤프트(30)와, 상기 회전 샤프트(30) 일측에 설치된 수평 단속 샤프트(40)와, 상기 코크 몸체(10) 내측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수직 단속 샤프트(50)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상기 코크 몸체(10)는 후방에 온수 탱크와 연결되는 니플(11)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니플(11)과 반대 방향인 코크 몸체(10)의 전방에는 온수 취수시 안전 장치로서 작동되는 누름 버튼(12)이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코크 몸체(10)의 하방에는 온수가 토출되는 토출구(13)가 형성되어 있다. 더불어, 상기 코크 몸체(10)의 상방에는 온수 취수시 하단이 후방으로 밀리는 취수 레버(14)가 결합되어 있다. 물론, 상기 취수 레버(14)는 상기 코크 몸체(10)의 상방에서 하방까지 일정 길이 연장되어 있다.
상기 푸쉬 샤프트(20)는 상기 누름 버튼(12)의 후방인 코크 몸체(10) 내측에 수평하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누름 버튼(12)을 가압하게 되면 상기 푸쉬 샤프트(20)는 후방으로 수평하게 이동한다. 또한, 상기 푸쉬 샤프트(20)는 표면에 한쌍의 돌기(21)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돌기(21)는 대략 직각 삼각판 형태로 되어 있으며, 빗변(22)에 해당되는 면이 후방쪽을 향하고, 직각면(23)에 해당되는 면이 전방쪽을 향하고 있다.
상기 회전 샤프트(30)는 상기 푸쉬 샤프트(20)의 후방에 수평하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푸쉬 샤프트(20)가 후방으로 수평하게 이동하면, 상기 회전 샤프트(30)도 후방으로 수평하게 이동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 샤프트(30)의 표면에는 수평 방향으로 다수의 돌기(3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 샤프트(30)의 후방으로서 코크 몸체(10) 내측에는 링 형태의 내부 가이드(6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부 가이드(60)는 상기 회전 샤프트(30)의 돌기(31)와 정합하도록 내주연에 다수의 회전형 돌기(61)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 샤프트(30)가 상기 내부 가이드(60)에 결합되어 후방으로 이동할 때, 소정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회전 샤프트(30)의 돌기(31)가 상기 내부 가이드(60)의 후방으로 완전히 이동되면, 상기 회전 샤프트(30)의 돌기(31)가 상기 내부 가이드(60)의 후방면에 접촉됨(이때에는 상기 회전 샤프트(30)의 돌기(31)와 내부 가이드(60)의 돌기(61)가 정합된 상태가 아님)으로써, 다시 전방으로 이동되지는 않는다.
상기 수평 단속 샤프트(40)는 상기 회전 샤프트(30)의 후방에 수평하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수평 단속 샤프트(40)는 상기 회전 샤프트(30)의 회전 및 후방 수평 이동시 후방으로 함께 수평 이동한다. 결국, 상기 수평 단속 샤프트(40)에 의해 온수가 니플(11)을 통하여 상기 코크 몸체(10) 내부로 유입된다. 그러나, 코크 몸체(10)의 토출구(13)는 아직 개방된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온수가 토출되지는 않는다. 여기서, 상기 수평 단속 샤프트(40)에는 스프링(41)이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41)은 일단이 상기 내부 가이드(60)의 후방에 밀착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회전 샤프트(30)의 돌기(31)가 상기 내부 가이드(60)를 통과하여 후방으로 이동되었을 때, 상기 스프링(41)이 회전 샤프트(30)를 전방쪽으로 미는 형태가 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샤프트(30)의 돌기(31)와 내부 가이드(60)의 돌기(61)는 정합되어 있는 상태가 아니므로, 상기 회전 샤프트(30)는 전방으로 밀려 이동하지는 않는다.
한편, 상기 수직 단속 샤프트(50)는 상기 코크 몸체(10)의 내부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직 단속 샤프트(50)는 상기 푸쉬 샤프트(20)가 관통하도록 관통구(5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관통구(52) 내측으로서 후방으로는 일정 길이 돌출된 가이드(5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53)는 경사면(54)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경사면(54)은 후방을 향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직 단속 샤프트(50)의 상단에는 취수 레버(14)가 회전축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취수 레버(14)의 하단을 후방쪽으로 밀면, 상기 취수 레버(14)의 상단 전면이 회전 중심축이 되고, 상기 수직 단속 샤프트(50)는 상부로 일정 길이 상승하게 된다. 그러면, 코크 몸체(10) 내측의 온수가 토출구(13)를 통하여 외부로 토출된다. 더불어, 상기 수직 단속 샤프트(50)의 관통구(52) 상부에는 스프링(51)이 끼워져 있다. 따라서, 상기 취수 레버(14)를 놓게 되면, 상기 스프링(51)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수직 단속 샤프트(50)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여, 온수 토출이 중단된다. 더불어, 상기 수직 단속 샤프트(50)의 관통구(52) 내측의 가이드(53)는 상기 푸쉬 샤프트(20)에 형성된 돌기(21)와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수직 단속 샤프트(50)가 상부로 일정 거리 상승하면, 상기 가이드(53)의 경사면(54)이 상기 돌기(21)의 직각면(23)을 후방으로 밀게 된다. 따라서, 상기 푸쉬 샤프트(20)는 후방으로 약간 더 이동하게 되면, 이에 따라 회전 샤프트(30)도 후방으로 더 이동 및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 샤프트(30)의 회전에 의해 회전 샤프트(30)의 돌기(31)와 내부 가이드(60)의 돌기(61)는 다시 위치 정합하게 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취수 레버(14)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되면, 스프링(41)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회전 샤프트(30)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또한, 상기 회전 샤프트(30)에 연동하여 상기 푸쉬 샤프트(20) 및 누름 버튼(12)도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즉, 사용자가 누름 버튼(12)을 조작하지 않아도, 자동적으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의 온수 취수 안전 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먼저 온수 취수시 누름 버튼(12)을 누르면 푸쉬 샤프트(20), 회전 샤프트(30) 및 수평 단속 샤프트(40)가 차례로 후방으로 이동하여 온수가 코크 몸체(10) 내부로 유입된다. 그러나 아직 취수 가능 상태는 아니다. 또한 상기 회전 샤프트(30)는 그 표면에 형성된 돌기(31)가 내부 가이드(60)의 후면에 접촉(내부 가이드(60)의 회전 돌기(61))와 위치 정합이 어긋난 상태)되어 있으므로 수평 단속 샤프트(40)를 감싸는 스프링(41)의 복원력에 의해 전방으로 수평 이동하지는 않게 된다.
이어서 취수 레버(14)의 하단을 후방으로 밀면, 수직 단속 샤프트(50)가 상부로 이동하면서, 온수가 토출구(13)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즉, 취수가 이루어진다. 이때, 취수 레버(14)에 형성된 가이드(53)가 상기 푸쉬 샤프트(20)의 돌기(21)를 후방으로 더 밀게 됨으로써, 상기 푸쉬 샤프트(20)에 의해 회전 샤프트(30)가 소정 방향으로 더 회전한다. 즉, 회전 샤프트(30)의 표면에 형성된 돌기(31)가 내부 가이드(60)에 형성된 돌기(61)와 위치 정합하여 전방으로 수평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취수 레버(14)를 원위치로 하게 되면 수직 단속 샤프트(50)를 감싸는 스프링(51)의 복원력에 의해 수직 단속 샤프트(50)가 하강하면서 토출구(13)를 막아 취수가 중단된다. 또한 수평 단속 샤프트(40)를 감싸는 스프링(41)의 복원력에 의해 회전 샤프트(30)가 전방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푸쉬 샤프트(20) 및 누름 버튼(12)이 원위치된다. 물론, 상기 수평 단속 샤프트(40)도 수압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됨으로써, 코크 몸체(10) 내부로 온수가 유입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누름 버튼(12)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도 취수 레버(14)를 후방으로 밀면 상기 수직 단속 샤프트(50)가 상승하여 토출구(13)를 개방한다. 그러나, 이 상태에서는, 푸쉬 샤프트(20), 회전 샤프트(30) 및 수평 단속 샤프트(40)가 후방으로 이동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니플(11)로부터의 온수가 코크 몸체(10)로 유입되지 않은 상태이고, 따라서, 온수 취수는 이루어지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하여 본 고안에 의한 정수기의 온수 취수 안전 장치는 누름 버튼을 한번 누르고 취수 레버를 작동하면 한손으로도 간단히 취수할 수 있고, 또한 취수 레버를 원위치로 하면 누름 버튼이 사용전 상태로 복원되어 온수 취수가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누름 버튼을 눌러 놓은 상태가 아니면, 취수가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써, 어린이 노약자 등 주위력 및 사고력이 부족한 사용자의 사용에 따른 온수 토출로 인한 화상 등의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의 온수 취수 안전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5)

  1. 후방에는 온수 탱크와 연결되는 니플(11)이 결합되고, 전방에는 온수 취수시 후방으로 가압되는 누름 버튼(12)이 결합되며, 하방에는 온수가 토출되는 토출구(13)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온수 취수시 후방으로 가압되는 취수 레버(14)가 결합된 코크 몸체(10);
    상기 누름 버튼(12)의 후방인 몸체(10) 내측에 수평하게 설치되어, 상기 누름 버튼(12)의 가압시 후방으로 수평 이동하는 푸쉬 샤프트(20);
    상기 푸쉬 샤프트(20)의 후방에 수평하게 설치되어, 상기 푸쉬 샤프트(20)의 후방 수평 이동시 소정 방향으로 회전하며 후방 수평 이동하는 회전 샤프트(30);
    상기 회전 샤프트(30)의 후방에 수평하게 설치되어, 상기 회전 샤프트(30)의 회전 및 후방 수평 이동시 후방으로 함께 수평 이동하여 온수가 상기 코크 몸체(1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수평 단속 샤프트(40); 및,
    상기 코크 몸체(10)의 내부에서 상기 푸쉬 샤프트(20)가 관통하도록 관통구(52)가 형성되어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고, 또한 상단에는 상기 취수 레버(14)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취수 레버(14)의 하단이 후방으로 이동하면 상부 방향으로 수직 이동하여 상기 코크 몸체(10)의 토출구(13)를 개방시켜 온수 취수가 가능하도록 하는 수직 단속 샤프트(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온수 취수 안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샤프트(30)는 표면에 수평 방향으로 다수의 돌기(3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코크 몸체(10) 내측의 상기 회전 샤프트(30) 후방에는 상기 회전 샤프트(30)가 후방으로 수평 이동하면서 결합되면 소정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내주면에 다수의 회전형 돌기(61)가 형성된 내부 가이드(60)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온수 취수 안전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가이드(60)의 후방에는 취수 완료시 회전 샤프트(30)를 원위치시킬 수 있도록 수평 단속 샤프트(40)를 감싸며 스프링(41)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온수 취수 안전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 샤프트(20)는 상기 수직 단속 샤프트(50)의 관통구(52)와 대응되는 위치에 한쌍의 돌기(2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직 단속 샤프트(50)의 관통구(52) 내측에는, 상기 수직 단속 샤프트(50)가 상승시 상기 푸쉬 샤프트(20)의 돌기(21)와 접촉되어 상기 푸쉬 샤프트(20)를 후방으로 수평 이동시킬 수 있도록, 가이드(5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온수 취수 안전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단속 샤프트(50)에는 취수 완료시 수직 단속 샤프트(50)를 원위치시킬 수 있도록 수직 단속 샤프트(50)를 감싸며 스프링(51)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온수 취수 안전 장치.
KR20-2003-0039061U 2003-12-15 2003-12-15 정수기의 온수 취수 안전 장치 KR2003446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9061U KR200344659Y1 (ko) 2003-12-15 2003-12-15 정수기의 온수 취수 안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9061U KR200344659Y1 (ko) 2003-12-15 2003-12-15 정수기의 온수 취수 안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4659Y1 true KR200344659Y1 (ko) 2004-03-12

Family

ID=49426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9061U KR200344659Y1 (ko) 2003-12-15 2003-12-15 정수기의 온수 취수 안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4659Y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2675B1 (ko) 2005-05-03 2007-04-06 이성주 정수기용 온수코크
KR100797773B1 (ko) 2007-07-05 2008-01-24 주식회사 스쿨환경산업 정수기의 취수꼭지
WO2008072908A1 (en) * 2006-12-14 2008-06-19 Young Hwan Kim Cock
KR100889807B1 (ko) 2008-03-10 2009-03-20 채기훈 정수기용 안전 온수코크 및 그 사용방법
KR100896798B1 (ko) 2008-05-21 2009-05-12 우미화 정수기용 이중 안전 코크
KR100990218B1 (ko) 2007-11-15 2010-11-08 (주)피티에스 냉온수기 및 정수기용 저수탱크 개폐 어셈블리
KR102013632B1 (ko) * 2018-07-24 2019-08-23 주식회사 엔비엘 온수, 냉수 및 혼합수 일체형 코크
KR20230103288A (ko) 2021-12-31 2023-07-07 안기장 냉온수기용 온수코크 안전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2675B1 (ko) 2005-05-03 2007-04-06 이성주 정수기용 온수코크
WO2008072908A1 (en) * 2006-12-14 2008-06-19 Young Hwan Kim Cock
KR100797773B1 (ko) 2007-07-05 2008-01-24 주식회사 스쿨환경산업 정수기의 취수꼭지
KR100990218B1 (ko) 2007-11-15 2010-11-08 (주)피티에스 냉온수기 및 정수기용 저수탱크 개폐 어셈블리
KR100889807B1 (ko) 2008-03-10 2009-03-20 채기훈 정수기용 안전 온수코크 및 그 사용방법
KR100896798B1 (ko) 2008-05-21 2009-05-12 우미화 정수기용 이중 안전 코크
KR102013632B1 (ko) * 2018-07-24 2019-08-23 주식회사 엔비엘 온수, 냉수 및 혼합수 일체형 코크
KR20230103288A (ko) 2021-12-31 2023-07-07 안기장 냉온수기용 온수코크 안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44659Y1 (ko) 정수기의 온수 취수 안전 장치
KR100702675B1 (ko) 정수기용 온수코크
CN114158958B (zh) 一种拉拔式壶塞及水壶
CN211154988U (zh) 饮水杯盖开关按钮防误按限位机构
CN207492628U (zh) 出水组件及饮水机
KR200298037Y1 (ko) 냉온수기용 온수밸브의 안전장치
CN114074034A (zh) 一种添加沐浴辅料的花洒
JP6815193B2 (ja) 鍵付きウォーターサーバー
CN113080701B (zh) 一种预防盲人烫伤的饮水机接水装置
KR200311251Y1 (ko) 정수기용 안전취수장치
CN218738280U (zh) 一种二次按压开启的弹盖杯
KR200271814Y1 (ko) 냉온정수기의 취수밸브 안전장치
JPWO2010071083A1 (ja) 給水または給湯タンク用の簡易バルブ
KR200145026Y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자동닫힘 물꼭지
CN218009332U (zh) 一种具有消能功能的微压壶
CN217161710U (zh) 一种触发被触发件结构以及离心式榨汁机
CN217659253U (zh) 一种防堵排气阀及压力锅具
KR20090126867A (ko) 정수기용 안전 코크밸브
JP3234882U (ja) 赤外線感知ソープディスペンサー
CN217747574U (zh) 用于喷枪的开关结构及喷枪
CN212820542U (zh) 添加沐浴辅料的花洒
JPS6329462Y2 (ko)
KR200341050Y1 (ko) 냉온수기용 안전밸브
JP3028049B2 (ja) 飲料製造装置の貯蔵容器用の蓋体
CN208941597U (zh) 一种可分拆的按钮控制出水杯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