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8037Y1 - 냉온수기용 온수밸브의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냉온수기용 온수밸브의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8037Y1
KR200298037Y1 KR2020020025778U KR20020025778U KR200298037Y1 KR 200298037 Y1 KR200298037 Y1 KR 200298037Y1 KR 2020020025778 U KR2020020025778 U KR 2020020025778U KR 20020025778 U KR20020025778 U KR 20020025778U KR 200298037 Y1 KR200298037 Y1 KR 2002980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opening
packing
push button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57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한수
Original Assignee
이한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한수 filed Critical 이한수
Priority to KR20200200257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80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80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8037Y1/ko

Links

Landscapes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온수기용 온수밸브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온수관과 연결된 온수유입구(10)가 내측 후방에 형성되어 있고, 이에 연통되며 하단에 온수배출구(84)가 형성되고 상단이 개방된 수용홈(82)이 형성되며, 전면에는 끼움홈(84)이 상기 수용홈(82)과 연통되게 형성되어진 밸브바디(8)와; 스프링(24)이 탄설된 결합원판(22)의 전단에 패킹(28)이 부착된 채 상기 온수유입구(10)에 나사결합되는 제1 패킹부재(2)와; 상기 밸브바디(8)의 수용홈(82)에 삽입되며 이경스프링(24)이 탄설된 패킹 로드(44)의 상단에 개폐레버(7)가 연결되고 하단에 패킹(42)이 설치되어, 외력에 의해 패킹(42)이 승하강됨으로써 온수배출구(84)를 개폐시킬 수 있게 한 제2 패킹부재(4)와; 누름버튼(62)의 후방에 탄성부시(64)와 상기 제1 패킹부재(2)와 접지되는 고정링(66)이 순차적으로 결합된 채 상기 밸브바디(8)의 전면 끼움홈(84)의 내측에 끼워진 후 그 외측에서 전면고정캡(5)을 체결시켜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누름버튼(62)의 조작에 의해 제1 패킹부재(2)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전단개방부재(6)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폐레버가 회동되어 온수배출구가 1차 개방된 후 전단개방부재의 누름동작에 의해 온수유입구가 개방되는 2차 개방동작에 의해 온수가 배출되도록 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주의력이나 판단력이 부족한 어린이나 기타 사용자가 온수 사용시 불시에 온수가 배출되어 발생될 우려가 있는 화상이나 기타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아울러 필요시에는 상기 안전장치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해제시킬 수있어 일반인들이 냉온수기를 사용시 매번 안전장치를 조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면할 수 있게 하여 편리성이 더욱 향상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냉온수기용 온수밸브의 안전장치 { a safety unit for hot water valve of clean water supplier }
본 고안은 냉온수기용 온수밸브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잘못된 조작으로 인해 온수출구에서 불시에 뜨거운 온수가 유출되는 것을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냉온수기용 온수밸브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냉온수기는 본체 내의 물탱크에 정수된 물을 저장시켜 놓고 이를 사용자가 원할때마다 냉수 및 온수밸브를 통해 배출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도 6은 종래 냉온수기용 온수밸브의 구조와 작동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를 참조하면, 냉온수기의 온수밸브(10')는 냉온수기의 본체부(30')의 저수탱크와 연통된 온수관(40')과 연결되어 개폐레버(20')에 의해 개폐됨으로써, 온수를 배출시키거나 폐쇄하는 구조를 갖는다.
온수밸브(10')의 구조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하면, 온수밸브(10')는 전술된 온수관(40')과 연결된 온수유입구(12a')가 일측에 형성되어 있고, 하단부에 온수 배출구(12b')가 형성된 밸브 바디(12')과; 밸브 바디(12')에 내설된 신축성의 패킹부(14')와; 밸브 바디(12')의 상단 부분에 밀폐처리된 관통 구멍을 통해서 패킹부(14')와 연결되어지되, 외력에 의해 패킹부(14')를 들어올리면서 축소케하여 온수 배출구(12b')를 개방시키거나 외력 제거시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에 의해 패킹부(14')를 원상태로 복귀케하여 온수 배출구(12b')를 밀폐시키는 밸브 로드(16')로 이루어져 있다.
개폐레버(20')의 구조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하면, 개폐레버(20')는 밸브 로드(16')와 삽입체결된 각형의 두부(22')와, 두부(22')의 양측단과 일체로써 중심부분에 개방부(24a')가 형성된 몸체부(24')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두부(22')는 전술된 밸브케이싱(12')의 상단 내측에 위치된다.
온수밸브(10')가 개폐레버(20')에 의해 개폐작동되는 관계를 간단히 설명하면, 온수밸브(10')는 개폐레버(20')의 몸체부(24')가 컵과 같은 용기에 의해 뒤로 밀려지면, 몸체부(24')와 일체로 형성된 두부(22')는 밸브 로드(16')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전되면서 그 전단 모서리가 밸브케이싱(10')의 상면에 지지됨으로써 밸브 로드(16')를 들어올려 패킹부(14')가 온수 배출구(12b')를 개방하게 되어 온수가 배출된다.
그리고, 개폐레버(20')는 몸체부(24')를 앞으로 잡아당겨도 상기 두부(22')의 후단 모서리가 밸브케이싱(10')의 상면에 지지됨으로써 밸브 로드(16')가 들어올려 패킹부(14')가 온수밸브(10')를 개방한다.
또한, 온수밸브(10')는 단순히 용기에 의한 외력을 제거하면, 전술된 온수밸브(10')와 개폐레버(20')의 구조에 의해 폐쇄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냉온수기의 온수밸브는 별도의 안전장치가 없어 상기 개폐레버(20')만 회동되면 온수 배출구(12b')가 개방되어 대략 80 ~ 90℃ 되는 뜨거운 온수가 배출되는 구조이므로 자칫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해 배출되는 온수에 의해 화상이나 기타 안전사고를 당할 염려가 상존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냉온수기의 온수밸브는 특히 어린이, 맹인, 노인, 지체부자유자 및 저능자 등과 같이 신체적 내지 정신적으로 미약하거나 결함이 있는 사용자의 식음 내지 기타 부주의한 행동에 의해 화상(火傷)이나 기타 안전사고를 빈번히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주의력이나 판단력이 부족한 어린이나 기타 사용자가 온수 사용시 불시에 온수가 배출되어 발생될 우려가 있는 화상이나 기타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냉온수기용 온수밸브의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필요시에는 상기 안전장치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해제시킬 수 있어 일반인들이 냉온수기를 사용시 매번 안전장치를 조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면할 수 있게 하여 편리성이 더욱 향상되도록 한 냉온수기용 온수밸브의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두번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냉온수기용 온수밸브의 안전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냉온수기용 온수밸브의 안전장치의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냉온수기용 온수밸브의 안전장치의 개폐동작을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4a 및 도 4b, 도 4c는 본 고안에 따른 냉온수기용 온수밸브의 안전장치의 개방 및 고정동작을 보여주는 횡단면도
도 5는 도 4c에 대한 개략적인 정면도
도 6은 종래 기술의 구조와 작동관계를 보여주는 일부절개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제1 패킹부재 4 ; 제2 패킹부재
5 : 전면고정캡 6 : 전단개방부재
7 : 개폐레버 8 : 밸브바디
10 : 온수유입구 11 : 나사부
22 : 결합원판 24 : 스프링
26 : 고정판 28, 42 : 패킹
44 : 패킹 로드 46 : 이경스프링
48 : 상부고정캡 52 : 끼움돌기
62 : 누름버튼 64 : 탄성부시
66 : 고정링 68 : 결합돌기
72 : 접지부 74 : 걸림턱
76 : 회동돌기 82 : 수용홈
84 : 온수배출구 200 : 용기
220 : 나사부 222 : 조임공
420 : 환형날개부 440 : 끼움홈
620 : 환턱 622 : 요홈
624 : 결합홈 660 : 관통공
662 : 가압돌기 840 : 장공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온수관과 연결된 온수유입구가 후방에 형성되어 있고, 이에 연통되며 하단에 온수배출구가 형성되고 상단이 개방된 수용홈이 형성되며, 전방에는 끼움홈이 상기 수용홈과 연통되게 형성되어진 밸브바디와; 스프링이 탄설된 결합원판의 전단에 패킹이 부착된 채 상기 온수유입구에 나사결합되는 제1 패킹부재와; 밸브바디의 수용홈에 삽입되며 이경스프링이 탄설된 패킹 로드의 상단에 개폐레버가 연결되고 하단에 패킹이 설치되어, 외력에 의해 패킹이 승하강됨으로써 온수배출구를 개폐시킬 수 있게 한 제2 패킹부재와; 누름버튼의 후방에 탄성부시(bush)와 상기 제1 패킹부재와 접지되는 고정링이 순차적으로 결합된 후 상기 밸브바디의 끼움홈에 결합되어, 상기 누름버튼의 조작에 의해 제1 패킹부재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전단개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개폐레버가 회동되어 온수배출구가 1차 개방된 후 전단개방부재의 누름동작에 의해 온수유입구가 개방되는 2차 개방동작에 의해 온수가 배출되도록 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며, 더불어 상기 전단개방부재의 누름동작을 고정시킬 수 있어 2차 개방상태가 항상 유지되게 하여 개폐레버의 회동에 의한 1차 개방에 의해 온수배출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냉온수기용 온수밸브의 안전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냉온수기용 온수밸브의 안전장치의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결합된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밸브바디(8)는 환턱(102)을 갖는 유출공(100)이 전단에 형성되고 내주연에 나사부(11)를 갖는 일정 길이의 온수유입구(10)가 내측 후방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 온수유입구(10)의 전단에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단에 온수배출구(84)가 형성된 수용홈(82)이 연통되게 형성되는 한편, 전면에는 소정의 장공(840)을 갖는 끼움홈(84)이 형성되어 상기 수용홈(82)과 연통되어 있다.
상기 제1 패킹부재(2)는 상기 유출공(100)의 환턱(102)에 밀착되어 개폐되어지는 패킹(28)과, 이 패킹(28)을 고정시키되 패킹 전면에 돌기(29)가 돌출되도록 한 고정판(26)과, 상기 고정판(26)의 후단에 결합되는 스프링(24)과, 이를 탄지하는 결합원판(22)이 일체로 결합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원판(22)의 외주연에는 나사부(220)가 형성되고, 내측에 다각형의 조임공(222)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조임공(222)에 다각렌치를 결합시킨 후 조여주면 상기 결합원판(22)이 상기 온수유입구(10)의 내주연과 나사결합됨에 의해 결국 상기 제2 패킹부재(4)가 온수유입구(10)의 유출공(100) 쪽으로 인입되도록 하였다.
상기 제2 패킹부재(4)는 밸브바디(8)의 수용홈(82)에 삽입되어 그 상부의 개폐레버(7)의 회동동작에 연동되어 승하강되면서 온수배출구(84)의 개폐를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패킹 로드(44)는 그 하부에 패킹(42)이 결합되어 온수배출구(84)에 접지되도록 하고, 상단 양측에 개폐레버(7)의 회동돌기(76)와 결합되는 소정의 끼움홈(84)이 요설되어 있다.
이때 상기 패킹(42)은 연질의 고무재로써 상기 수용홈(82)의 상단턱에 거치될 수 있게 하면서, 동시에 신축 탄성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외주연 상부에 환형날개부(420)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밀폐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상기 패킹 로드(44)에는 소정의 이경스프링(46)이 탄설되어 있다.
상기 개폐레버(7)는 하부에는 컵과 같은 용기(200)와 접촉되는 만곡진 접지부(72)가 형성되어 있고, 그 상단에는 내측면에 회동돌기(76)가 형성된 걸림턱(74)이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회동돌기(76)가 상기 패킹 로드(44)의 끼움홈(84)에 끼움결합된다.
한편 상기 전단개방부재(6)의 탄성부시(bush)(64)는 상기 끼움홈(84)에 결합되는 것으로, 그 전단에 부착된 누름버튼(62)의 조작시 탄성복원력을 갖도록 하기 위해 탄성을 띄는 합성수지나 고무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끼움홈(84)은 밸브바디(8)의 전면에 형성되되 그 안쪽의 격판(842)에는 타원형의 장공(840)이 가로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홈(82)과 연통되도록 하였으며, 상기 장공(840)에는 상기 전단개방부재(6)의 고정링(66)이 수평으로 삽입된다.
상기 전단개방부재(6)의 고정링(66)은 상기 제2 패킹부재(4)의 패킹(42)이 관통되는 소정의 관통공(660)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전단에는 다각면을 갖는 일정 길이의 결합돌기(68)가 형성되어 있고, 그 후단에는 상기 제1 패킹부재(2)의 돌기(29)와 접촉되는 소정의 가압돌기(66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돌기(68)에는 탄성부시(bush)(64)가 끼워져 결합되어 있다.
이때 가압돌기(662)의 전단면에는 소정의 삽입홈(664)이 요입형성되어 있어, 이 삽입홈(664)에 상기 돌기(29)가 결합됨으로써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고정링(66)의 내경은 상기 패킹(42)의 외경보다 약간 더 크게 형성시켜 패킹(42)이 관통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링(66)이 상하로 일정 각도로써 회동이 가능하며, 전후로 소정 간격만큼 유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대략 타원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전단개방부재(6)의 누름버튼(62)의 외주연의 환턱(620)에는 다수의 요홈(622)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내측 저면에는 상기 결합돌기(68)와부합되도록 다각면의 내주연을 갖는 결합홈(624)이 형성되어 상기 전면고정캡(5)과 결합된다.
상기 전면고정캡(5)의 내주연에는 상기 요홈(622)에 대응하는 끼움돌기(52)가 다수 형성되어 있어, 상기 끼움돌기(52)가 누름버튼(62)의 요홈(622)과 끼움결합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상기 전면고정캡(5)을 일측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누름버튼(62)이 동반되어 회동하게 되고, 이와 연동되어 상기 결합돌기(68)와 연결된 고정링(66)이 회동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개폐레버(7)의 접지부(72)에 컵과 같은 용기(200)를 대고 밀면, 그 상단의 걸림턱(74)의 끝단이 상부고정캡(48)의 상면에 지지되면서 제2 패킹부재(4)를 들어올리게 되어 1차로 온수배출구(84)가 개방된다.
이때는 온수유입구(10)가 아직 개방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온수는 배출되지 않는다.
이렇게 1차 개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누름버튼(62)을 누르게 되면 이에 연동되어 상기 가압돌기(662)가 제1 패킹부재(2)의 돌기(29)를 밀어내므로 패킹(28)이 후방으로 밀려지면서 온수유입구(10)가 개방되는 2차 개방이 이루어져 비로소 온수가 배출된다.
따라서 어린이와 같이 주의력이나 판단력이 부족한 사용자가 상기개폐레버(7)를 뒤로 밀거나 당기는 장난을 하더라도 온수가 배출되지 않아 화상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별도로 일반 성인들이 본 고안에 따른 냉온수기용 온수밸브의 안전장치를 사용할 경우 일일이 누름버튼(62)을 눌러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애기 위해, 도 4a와 도 4b, 도 4c,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누름버튼(62)을 누른 상태에서 상기 전면고정캡(5)을 일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이에 연동되어 상기 타원형의 고정링(66)이 회동되면서 장공(840)에 어긋나게 걸려짐과 동시에 상기 제1 패킹부재(2)를 밀어 개방시킨 상태에서 스프링(24)에 의해 탄지됨으로써 결과적으로 누름버튼(62)을 계속 누르고 있는 효과가 유지되므로 상기 제1 패킹부재(2)가 항상 개방되도록 하여 사용자는 용기(200)를 개폐레버(7)의 접지부(72)에 대고 밀어주면 곧바로 온수가 배출되게 하여 사용이 편리하도록 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냉온수기용 온수밸브의 안전장치는 개폐레버가 회동되어 온수배출구가 1차 개방된 후 전단개방부재의 누름동작에 의해 온수유입구가 개방되는 2차 개방동작에 의해 온수가 배출되도록 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주의력이나 판단력이 부족한 어린이나 기타 사용자가 온수 사용시 불시에 온수가 배출되어 발생될 우려가 있는 화상이나 기타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아울러 필요시에는 상기 안전장치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해제시킬 수 있어 일반인들이 냉온수기를 사용시 매번 안전장치를 조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면할 수 있게 하여 편리성이 더욱 향상되도록 하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3)

  1. 냉온수기의 온수관과 연통되어 개폐동작에 의해 온수를 배출시키도록 한 온수밸브에 있어서,
    온수관과 연결된 온수유입구(10)가 내측 후방에 형성되어 있고, 이에 연통되며 하단에 온수배출구(84)가 형성되고 상단이 개방된 수용홈(82)이 형성되며, 전면에는 끼움홈(84)이 상기 수용홈(82)과 연통되게 형성되어진 밸브바디(8)와;
    스프링(24)이 탄설된 결합원판(22)의 전단에 패킹(28)이 부착된 채 상기 온수유입구(10)에 나사결합되는 제1 패킹부재(2)와;
    상기 밸브바디(8)의 수용홈(82)에 삽입되며 이경스프링(46)이 탄설된 패킹 로드(44)의 상단에 개폐레버(7)가 연결되고 하단에 패킹(42)이 설치되어, 외력에 의해 패킹(42)이 승하강됨으로써 온수배출구(84)를 개폐시킬 수 있게 한 제2 패킹부재(4)와;
    누름버튼(62)의 후방에 탄성부시(64)와, 상기 제1 패킹부재(2)와 접지되는 고정링(66)이 순차적으로 결합된 채 상기 밸브바디(8)의 전면 끼움홈(84)의 내측에 끼워진 후 그 외측에서 전면고정캡(5)을 체결시켜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누름버튼(62)의 조작에 의해 제1 패킹부재(2)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전단개방부재(6)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개폐레버(7)가 회동되어 온수배출구(84)가 1차 개방된 후 전단개방부재(6)의 누름동작에 의해 온수유입구(10)가 개방되는 2차 개방동작에 의해 온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용 온수밸브의 안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홈(84)은 밸브바디(8)의 전면에 형성되되 그 안쪽의 격판(842)에는 타원형의 장공(840)이 가로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홈(82)과 연통되도록 형성된 것이며, 상기 장공(840)에는 상기 전단개방부재(6)의 고정링(66)이 수평으로 삽입된 후 상기 전단개방부재(6)의 누름버튼(62)을 눌러 온수유입구를 1차 개방시킨 상태에서 전면고정캡(5)을 회동시키면 이에 동반되어 상기 누름버튼(62)과 고정링(66)이 회동되면서 상기 고정링(66)이 장공(840)과 어긋나게 걸려져 고정됨으로써 상기 전단개방부재(6)의 누름동작을 고정시킬 수 있어 2차 개방상태가 항상 유지되게 하여 개폐레버(7)의 회동에 의한 1차 개방에 의해 온수배출이 가능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용 온수밸브의 안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버튼(62)은 외주연의 환턱(620)에 다수의 요홈(622)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내측 저면에는 다각면의 내주연을 갖는 결합홈(62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누름버튼(62)의 내측에 결합되는 상기 고정링(66)은 상기 제2 패킹부재(4)의 패킹(42)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관통공(660)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전단에는 외주연이 다각면을 갖는 일정 길이의 결합돌기(68)가 형성되어 있고, 그 후단에는 상기 제1 패킹부재(2)의 돌기(29)와 접촉되는 소정의가압돌기(66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누름버튼(62)의 외측에 결합되는 상기 전면고정캡(5)은 그 내주연에 상기 누름버튼(62)의 요홈(622)에 대응하는 끼움돌기(52)가 다수 형성되어 있어,
    상기 고정링(66)의 결합돌기(68)는 누름버튼(62)의 결합홈(624)과 끼움결합되고, 상기 가압돌기(662)는 제1 패킹부재(2)의 돌기(29)와 결합시켜 일체를 이루게 함으로써 상기 누름버튼(62)을 누른 채 전면고정캡(5)을 일측으로 회동시키면 이에 연동되어 상기 누름버튼(62)과 고정링(66)이 회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용 온수밸브의 안전장치.
KR2020020025778U 2002-08-29 2002-08-29 냉온수기용 온수밸브의 안전장치 KR2002980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5778U KR200298037Y1 (ko) 2002-08-29 2002-08-29 냉온수기용 온수밸브의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5778U KR200298037Y1 (ko) 2002-08-29 2002-08-29 냉온수기용 온수밸브의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8037Y1 true KR200298037Y1 (ko) 2002-12-13

Family

ID=73078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5778U KR200298037Y1 (ko) 2002-08-29 2002-08-29 냉온수기용 온수밸브의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803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4374B1 (ko) 2007-04-23 2008-10-21 주식회사 위닉스 냉온수기용 안전밸브
KR100919089B1 (ko) * 2007-12-13 2009-09-28 동양매직 주식회사 정수기용 안전 온수 코크 밸브
KR20210106266A (ko) * 2020-02-20 2021-08-30 안기장 고저압 겸용 출수코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4374B1 (ko) 2007-04-23 2008-10-21 주식회사 위닉스 냉온수기용 안전밸브
KR100919089B1 (ko) * 2007-12-13 2009-09-28 동양매직 주식회사 정수기용 안전 온수 코크 밸브
KR20210106266A (ko) * 2020-02-20 2021-08-30 안기장 고저압 겸용 출수코크
KR102354162B1 (ko) 2020-02-20 2022-01-20 안기장 고저압 겸용 출수코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90343B (zh) 出水喷管
US20120097711A1 (en) Dispenser And Refill Unit
KR100702675B1 (ko) 정수기용 온수코크
KR200298037Y1 (ko) 냉온수기용 온수밸브의 안전장치
US6962319B2 (en) Safety switch for a water dispenser
WO2005080844A1 (en) Safety locking catering tap
KR200344659Y1 (ko) 정수기의 온수 취수 안전 장치
KR200254775Y1 (ko) 세면기용 회전식 샤워헤드
CN210520691U (zh) 一种具有安全锁功能的触碰式杯盖
CN210520680U (zh) 一种带密封便携开关的茶杯
KR102203445B1 (ko) 항균 기능을 갖는 정수기용 코크 밸브
KR200300285Y1 (ko) 냉온수기용 물 꼭지
US11136171B1 (en) Lid
CN205525658U (zh) 一种防脱杯盖及具有该杯盖的饮水壶
US11628985B2 (en) Lid
KR200145026Y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자동닫힘 물꼭지
KR102248959B1 (ko) 직수 정수기용 무전원 밸브장치
CN219782178U (zh) 一种带有多用杯盖的杯子
KR200231093Y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자동닫힘 물꼭지
FR2789378A1 (fr) Dispositif pour distribuer un liquide a partir d'une bouteille, a controle manuel, pouvant etre appele fontaine induviduelle ou distributeur selon la nature du liquide
KR100842187B1 (ko) 안전용 개폐장치
KR100322197B1 (ko) 정수기 밸브
CN110432729B (zh) 一种具有安全锁功能的触碰式杯盖
CN218978545U (zh) 一种缓开式双饮杯盖
KR0135761Y1 (ko) 음료 공급기용 꼭지의 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