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8959B1 - 직수 정수기용 무전원 밸브장치 - Google Patents

직수 정수기용 무전원 밸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8959B1
KR102248959B1 KR1020190101150A KR20190101150A KR102248959B1 KR 102248959 B1 KR102248959 B1 KR 102248959B1 KR 1020190101150 A KR1020190101150 A KR 1020190101150A KR 20190101150 A KR20190101150 A KR 20190101150A KR 102248959 B1 KR102248959 B1 KR 1022489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member
valve
valve seat
outle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1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1776A (ko
Inventor
박성호
김재학
Original Assignee
박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호 filed Critical 박성호
Priority to KR1020190101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8959B1/ko
Publication of KR20210021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17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8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89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7Flow control valves: Damping or calibrated passages
    • B01D35/1573Flow control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0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12Covers for 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02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flat sealing faces; Packings therefor
    • F16K3/0209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flat sealing faces; Packings therefor the valve having a particular passage, e.g. provided with a filter, throttle or safety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F16K31/602Pivoting levers, e.g. single-sid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급수관(2)에 연결되는 연결부(11)로 부터 유입되는 급수를 수용하는 요홈부(13)에 배출구(6)와 연통된 밸브시트(131)가 형성된 하우징(10), 상기 밸브시트(131)에 밀착되어 배출구를 폐쇄하는 폐쇄위치와 밸브시트(131)에서 이격되어 배출구(6)를 개방시키는 개방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밸브부재(20), 및 상기 밸브부재(20)를 밸브시트(131)에 대하여 상승된 개방위치와 밸브시트(131)에 안착된 폐쇄 위치로 작동시키는 작동레버(50)를 구비하는 직수 정수기용 무전원 밸브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밸브부재(20)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밸브부재(20)의 하단부에 제공된 탄성의 실리콘고무로 된 캡(21)이 밸브시트(131)에 밀착되어 배출구(6)의 폐쇄가 유지되며, 상기 밸브부재(20)는 그 상단부가 작동레버(50)의 중앙부에 힌지축(30)으로 연결되어 작동레버(50)의 양쪽의 일측 단부를 누를 때, 힌지 밸브부재(20)가 상승되어 그 하단부가 밸브시트(131)에서 분리되어 배출구(6)가 개방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됨으로써, 무전원으로 밸브부재를 수동조작하여 배출구를 개폐할 수 있어 구조의 단순화로 제조비용을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고, 작동레버의 양측 단부들중 선택된 일측 단부를 누를 때 배출구의 개방이 유지되어 물이 지속적으로 배출되고, 타측 단부를 누르는 동안에만 배출구가 개방되어 물이 배출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직수 정수기용 무전원 밸브장치{A NON-POWER VALVE FOR A WATER STREAM TYPE 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정수기용 밸브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원공급없이 밸브를 연속 급수 위치와 단속 급수 위치로 선택적으로 작동가능하도록 개선된 구조의 직수 정수기용 무전원 밸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에는 솔레노이드밸브에 의해 유로가 개폐되며, 이러한 솔레노이드 밸브는 전원공급장치를 구비해야 함에 따라 제조비용이 상승된다.
이러한 종래 솔레노이드 밸브 구조를 갖는 정수기용 밸브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63288호(등록일자 2014년02월10일)에는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거나 누름을 해제하는 것에 의해 영구자석이 이동함으로써 밸브장치가 유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무전원 소형 정수기용 밸브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무전원 정수기용 밸브장치는 사용자가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만 유로가 개방되어 급수될 수 있으므로, 비교적 많은 량의 물을 급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계속하여 버튼을 누르고 있어야만 하므로 사용상 불편이 있었다.
또한, 종래 정수기에서 온수를 제공하는 경우에는 히터와 온수 저장조를 별도로 구비해야 하므로 정수기 제조비용이 상승되며, 그와 같은 온수를 많이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수도관에 직결하여 단순히 정수처리만 하도록 하여 제조비용을 크게 저하시켜 사용자의 부담을 경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63288호(등록일자 2014년02월10일)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정수기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수도관에 직접 연결하여 필터로 정수하여 사용하도록 되고, 전원을 이용하지 않고 기계식으로 사용자가 작동레버를 누르는 동안에만 유로가 개방되어 급수되는 제 1 동작위치와, 사용자가 작동버튼을 누르지 않더라도 유로 개방이 지속되어 정수된 물이 계속적으로 배출되는 제 2 동작위치에서 선택적으로 조작하여 사용편의성이 향상된 직수 정수기용 무전원 밸브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직수 정수기용 무전원 밸브장치는, 급수관에 연결되는 연결부로 부터 유입되는 급수를 수용하는 요홈부에 배출구와 연통된 밸브시트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밸브시트에 밀착되어 배출구를 폐쇄하는 폐쇄위치와 밸브시트에서 이격되어 배출구를 개방시키는 개방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밸브부재, 및 상기 밸브부재를 밸브시트에 대하여 상승된 개방위치와 밸브시트에 안착된 폐쇄 위치로 작동시키는 작동레버를 구비하는 직수 정수기용 무전원 밸브장치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재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밸브부재가 밸브시트에 밀착되어 배출구의 폐쇄가 유지되며,
상기 밸브부재는 그 상단부가 작동레버의 중앙부에 힌지축으로 연결되어 작동레버의 양쪽의 단부를 누를 때, 힌지 밸브부재가 상승되어 그 하단부가 밸브시트에서 분리되어 배출구가 개방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
상기 밸브부재의 상단부가 돌출되게 상기 하우징의 요홈부를 밀폐하도록 하우징에 커버가 고정되며, 상기 커버의 저면에 하방으로 돌출되게 관형의 보스가 형성되고, 상기 보스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여 돌출되게 밸브부재가 배치된다.
상기 밸브부재의 중간부분에서 원판 형태로 직경이 확장된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스프링이 지지부 위에 하단이 배치되고 커버의 보스 외주면에 제공되어 상기 밸브부재를 밸브시트에 밀착되게 탄성력을 작용하도록 된다.
상기 작동레버의 일측 단부의 양측면에 경사홀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레버의 일측 단부를 누를 때, 하방으로 회동되는 작동레버의 일측 단부 양측면의 경사홀에 걸림편에서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걸림돌기가 맞물려 작동레버의 일측이 하방으로 회동된 상태로 유지되고 작동레버의 중앙부가 힌지로 연결된 밸브부재 하단이 밸브시트에서 이격된 상태로 유지되어 연결부를 통해 유입된 물이 배출구를 통해 계속적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가 작동레버의 타측 단부를 누를 때에는, 회동된 작동레버 중앙부가 상승되어 힌지로 연결된 밸브부재의 상승으로 그 하단부가 밸브시트에서 분리되어 연결부를 통해 유입된 물이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고, 사용자가 작동레버의 타측 단부에서 손을 떼면 작동레버 저면의 보스에 제공된 스프링의 복원력으로 밸브부재의 하단부가 밸브시트에 밀착되어 배출구를 폐쇄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 밸브부재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밸브시트에 밀착되고, 작동레버의 양측 단부들을 누를때, 작동레버의 회동으로 작동레버의 중앙부에 힌지축으로 연결된 밸브부재가 밸브시트에서 분리, 상승되어 배출구가 개방되어 배출되어 작동레버를 수동으로 조작하여 무전원으로 배출구를 개폐시켜 단순화된 구조로 제조비용이 저감되며, 밸브부재의 일측 단부를 누를 때 그 양측에 형성된 경사홀에 커버에 제공된 걸림편의 상부에 형성된 걸림돌기가 맞물려서 상승된 밸브부재의 하단부가 밸브시트에서 분리된 상태로 유지되어 배출구가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는 한편, 밸브부재의 타측 단부를 누를 때에는 밸브부재가 상승되어 밸브시트에서 밸브부재가 분리되어 배출구를 통해 물이 배출되고, 밸브부재의 누르는 동작을 정지하면 스프링의 탄성의 복원력으로 밸브부재의 하단부가 밸브시트에 밀착되어 배출구를 폐쇄하도록 되어, 수동조작되는 하나의 밸브부재로 단속적인 물의 배출 또는 계속적인 물의 배출을 조작하도록 되어 사용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무전원 밸브를 채용한 직수 정수기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도 1의 무전원 밸브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 무전원 밸브장치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하우징의 사시도.
도 5는 도 3의 커버의 사시도.
도 6은 도 2의 배면도.
도 7은 도 6의 무전원 밸브장치의 단면도.
도 8은 도 7에서 작동레버가 제 1 위치에서 눌려진 상태의 단면도.
도 9는 도 6에서 작동레버가 제 2 위치로 눌려진 상태의 배면도.
도 10은 도 9의 작동레버가 제 2 위치로 눌려진 상태의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직수 정수기용 무전원 밸브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무전원 밸브장치를 채용한 직수 정수기는 정수기 본체(1), 급수원으로서 수도관에 직결되는 급수관(2)에 감압밸브(3)를 설치하고, 상기 감압밸브는 수도관에 연결되는 급수관(2)을 통해 공급되는 수도물의 압력이 높은 경우에 압력을 낮추고, 압력을 일정한 상태로 공급하기 위해 제공된다. 상기 감압밸브(3)에서 일정한 압력으로 공급되는 수도물은 필터(4)에서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로 밸브장치(5)를 거쳐 배출구(6)를 통해 공급된다.
상기 밸브장치(5)는 급수관(2)에 연결되는 연결부(11)가 측방으로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11)로 부터 유입되는 급수를 수용하는 요홈부(13)가 중앙에 형성된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의 요홈부(13)에 형성되며 하방으로 배출구(6)가 형성된 밸브시트(131)에 밀착되어 배출구를 폐쇄하는 폐쇄위치와 밸브시트(131)에서 이격되어 배출구(6)를 개방시키는 개방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밸브부재(20), 상기 밸브부재(20)의 상단부가 돌출되게 상기 하우징(10)의 요홈부(13)를 밀폐하는 커버(40), 상기 커버(40)를 관통하여 배치된 밸브부재(20)의 상단부에 관통하여 제공되는 힌지축(30)을 중심으로 커버(40) 상면에서 양측에서 하방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밸브부재(20)를 밸브시트(131)에 대하여 상승된 개방위치와 밸브시트(131)에 안착된 폐쇄 위치로 작동시키는 작동레버(5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0)의 요홈부(13)에는 배출구(6)가 하방으로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요홈부의 배출구(6) 상단에는 밸브시트(131)가 배출구에 연통되게 형성되며, 밸브부재(20)의 하단부에는 밸브시트(131)에 기밀되게 장착되도록 탄성의 실리콘고무로 된 캡(21)이 제공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0)의 요홈부(13)에는 환형으로서 상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13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부(11)를 통해 유입된 물이 상기 돌출부(132) 위로 넘어 들어와서 밸브부재(20)가 상승된 상태에서 밸브시트(131)를 넘어 배출구(6)로 배출된다.
상기 하우징(10)에는 측방향으로 두개의 고정부(14)가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14)에는 하우징(10)이 (도 1에 개략적으로 윤곽만 도시된) 본체(1) 내부에 스크류로 체결하여 고정되며, 또한 하우징(10)에는 직각으로 4개의 고정부(15)가 측방으로 돌출되어 커버(40)를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커버(40)는 4개의 고정부(41)가 하우징(10)에 형성된 고정부(15)에 스크류로 체결하도록 대응되게 형성되고, 그 저면에 형성된 원형의 요홈(42)이 형성되어 있으며, 요홈(42)의 중앙에 하방으로 돌출되게 관형의 보스(4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버(40)의 상면에는 작동레버(50)가 배치될 수 있게 가이드하도록 대향되게 양측에 이격되어 상방으로 돌출된 가이드부(4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커버(40)의 상면에는 작동레버(50)가 배치된 양측으로 돌출턱(47)이 형성되어서 상기 작동레버(50)의 양측을 누를 때, 작동레버가 돌출턱(47)에 의해 중앙부에서 상승되어 핀부재(30)로 결합된 밸브부재(20)가 상승될 수 있도록 한다.
도 7에 있어서, 상기 보스(43)의 내부는 관통된 홀(45)이 형성되어 상기 홀(45)에 밸브부재(20)의 상부가 관통하여 커버(40) 상면에서 돌출되게 제공되며, 밸브부재(20)는 홀(45)에서 상하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또한, 밸브부재(20)의 중간부분에서 원판 형태로 직경이 확장된 지지부(24)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지지부(24) 위에 하단이 배치되는 스프링(25)이 커버(40)의 보스(43) 외주면에 배치되고,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밸브부재(20)는 그 하단부에 제공된 탄성의 실리콘고무로 된 캡(21)이 밸브시트(131)에서 배출구를 밀폐한 상태가 유지된다.
작동레버(50)의 조작에 의해, 즉 일측 또는 타측의 단부를 누르면 밸브부재(20) 상단부와 힌지로 연결된 밸브부재(20)의 중앙부가 상방향으로 회동되면서 밸브부재(20)도 상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스프링이 압축되어 밸브부재(20)의 하단부에 제공된 탄성의 실리콘고무로 된 캡(21)이 밸브시트(131)에서 이격됨으로써, 연결부(11)를 통해 하우징(10)의 요홈부(13)로 유입된 물이 개방된 밸브시트(131)와 배출구(6)를 통해 배출된다. 그런 다음, 작동레버(50)의 눌려진 일측 또는 타측 단부를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스프링의 탄성의 복원력으로 하강되는 밸브부재(20)의 하단부에 제공된 캡(21)이 밸브시트(131)에 밀착되어 배출구를 밀폐하게 된다.
상기 커버(40)의 상면에서 이격되어 형성된 가이드부(44)들 사이에 작동레버(50)가 장착되며, 상기 작동레버의 중앙부에는 커버(40)의 보스(43)에서 관통하여 배치된 밸브부재(20)의 상단부가 작동레버 저면의 홈이 형성되게 양측부(51)에 삽입된 상태로 작동레버(50)의 양측부(51)에 밸브부재(20)의 상단부가 힌지핀(52)이 장착되어 있어서, 작동레버(50)는 힌지핀(52)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의 일측 단부에는 외측면에서 홈(16)이 "ㄷ"자 형태로 형성된 지지부(17)가 측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홈(16)에는 "ㄷ"자 형상의 탄성의 걸림편(18)의 하부가 삽입되며, 상기 걸림편(18)의 상부는 작동레버(50)의 단부 양측면과 탄성적으로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걸림편(46)의 양측 단부에 인접하여 내측으로 만곡되어 형성된 걸림돌기(19)가 형성되어 있다.
도 8과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레버(50)의 일측 단부의 양측면에 경사홀(53)이 형성되어서, 상기 작동레버(50)의 일측 단부를 누르면, 하방으로 회동되는 작동레버(50)의 일측 단부 양측면의 경사홀(53)이 수평으로 위치하면서 걸림편(18)의 걸림돌기(19)가 경사홀(53)에 맞물림으로써, 작동레버(50)의 일측이 하방으로 회동된 상태로 유지되고, 이때 작동레버(50)의 중앙부가 힌지로 연결된 밸브부재(20)가 상승되어 밸브부재(20) 하단에 제공된 캡(21)이 밸브시트에서 이격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연결부를 통해 유입된 물이 배출구를 통해 계속적으로 배출된다.
또한, 작동레버(50)의 타측 단부를 사용자가 누르는 경우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작동레버의 타측 단부를 누르고 있는 동안에만 회동된 작동레버 중앙부가 상승되어 힌지로 연결된 밸브부재(20)가 상승되어 그 하단부에 제공된 캡(21)이 밸브시트에서 분리되어 연결부를 통해 유입된 물이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지만, 사용자가 작동레버의 타측 단부에서 손을 떼면 작동레버 저면의 보스에 제공된 스프링의 복원력으로 밸브부재(20)의 하단부에 제공된 캡(21)이 밸브시트에 밀착되어 폐쇄하여 물의 배출이 중지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직수 정수기용 무전원 밸브장치에서는 작동레버(50)의 일측 단부를 누르면 하우징에 제공된 걸림편(18)의 걸림돌기(19)가 작동레버의 양측면에 형성된 경사홀(53)에 맞물림으로써 밸브시트에서 캡(21)이 분리되어 물이 계속하여 배출되는 한편, 작동레버의 타측 단부를 누르면, 그 누르는 동안에만 밸브시트에서 캡(21)이 분리되어 물이 배출되고 작동레버의 타측 단부에서 사용자가 손을 떼면 스프링의 탄성의 복원력에 의해 밸브부재의 캡(21)이 밸브시트를 밀폐하여 물이 더 이상 배출되지 않게 된다.
상기 작동레버(50)의 양측 단부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사용자가 누르기 편리하도록 누름부재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본 발명에 의한 직수 정수기용 무전원 밸브장치는 물을 계속적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작동레버(50)의 일측 단부를 누름으로써 물의 배출이 유지되어 종래 사용자가 손으로 버튼을 계속 누르고 있어야 하는 사용상의 불편함이 해소되어 사용편의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은 수도관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정수기에서 전원을 사용하지 않고, 밸브를 한번 작동하여 물을 계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정수기 밸브장치에 이용될 수 있다.
1 : 본체 2 : 급수관
3 : 감압밸브 4 : 필터
5 : 밸브장치 6 ; 배출구
10 : 하우징 11 : 연결부
13 : 요홈부 18 ; 걸림편
19 : 걸림돌기 20 : 밸브부재
21 : 캡 25 : 스프링
30 : 힌지축 131 : 밸브시트
40 ; 커버 41 : 고정부
42 : 요홈 43 : 보스
44 : 가이드부 45 : 홀
50 : 작동레버 53 : 경사홀

Claims (5)

  1. 급수관(2)에 연결되는 연결부(11)로 부터 유입되는 급수를 수용하는 요홈부(13)에 배출구(6)와 연통된 밸브시트(131)가 형성된 하우징(10), 상기 밸브시트(131)에 밀착되어 배출구를 폐쇄하는 폐쇄위치와 밸브시트(131)에서 이격되어 배출구(6)를 개방시키는 개방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밸브부재(20), 및 상기 밸브부재(20)를 밸브시트(131)에 대하여 상승된 개방위치와 밸브시트(131)에 안착된 폐쇄 위치로 작동시키는 작동레버(50)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부재(20)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밸브부재(20)의 하단부에 제공된 탄성의 실리콘고무로 된 캡(21)이 밸브시트(131)에 밀착되어 배출구(6)의 폐쇄가 유지되며,
    상기 밸브부재(20)는 그 상단부가 작동레버(50)의 중앙부에 힌지축(30)으로 연결되어 작동레버(50)의 양쪽의 일측 단부를 누를 때, 힌지 밸브부재(20)가 상승되어 그 하단부가 밸브시트(131)에서 분리되어 배출구(6)가 개방되도록 된 직수 정수기용 무전원 밸브장치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재(20)의 상단부가 돌출되게 상기 하우징(10)의 요홈부(13)를 밀폐하도록 하우징(10)에 커버(40)가 고정되며, 상기 커버(40)의 저면에 하방으로 돌출되게 관형의 보스(43)가 형성되고, 상기 보스(43)에 형성된 홀(45)을 관통하여 돌출되게 밸브부재(20)가 배치되고,
    상기 작동레버(50)의 일측 단부의 양측면에 경사홀(53)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레버(50)의 일측 단부를 누를 때, 하방으로 회동되는 작동레버(50)의 일측 단부 양측면의 경사홀(53)에 걸림편(46)에서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걸림돌기(47)가 맞물려 작동레버(50)의 일측이 하방으로 회동된 상태로 유지되고 작동레버(50)의 중앙부가 힌지로 연결된 밸브부재(20) 하단부가 밸브시트에서 이격된 상태로 유지되어 연결부를 통해 유입된 물이 배출구를 통해 계속적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 정수기용 무전원 밸브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재(20)의 중간부분에서 원판 형태로 직경이 확장된 지지부(24)가 형성되어 있으며, 스프링(25)이 지지부(24) 위에 하단이 배치되고 커버(40)의 보스(43) 외주면에 제공되어 상기 밸브부재(20)를 밸브시트(131)에 밀착되게 탄성력을 작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 정수기용 무전원 밸브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작동레버(50)의 타측 단부를 누를 때에는, 회동된 작동레버 중앙부가 상승되어 힌지로 연결된 밸브부재(20)의 상승으로 그 하단부가 밸브시트에서 분리되어 연결부를 통해 유입된 물이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고, 사용자가 작동레버의 타측 단부에서 손을 떼면 작동레버 저면의 보스에 제공된 스프링의 복원력으로 밸브부재(20)의 하단부가 밸브시트에 밀착되어 배출구(6)를 폐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 정수기용 무전원 밸브장치.
KR1020190101150A 2019-08-19 2019-08-19 직수 정수기용 무전원 밸브장치 KR1022489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1150A KR102248959B1 (ko) 2019-08-19 2019-08-19 직수 정수기용 무전원 밸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1150A KR102248959B1 (ko) 2019-08-19 2019-08-19 직수 정수기용 무전원 밸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1776A KR20210021776A (ko) 2021-03-02
KR102248959B1 true KR102248959B1 (ko) 2021-05-07

Family

ID=75169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1150A KR102248959B1 (ko) 2019-08-19 2019-08-19 직수 정수기용 무전원 밸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895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5913B1 (ko) * 2006-02-22 2007-07-04 주식회사 영원코퍼레이션 냉온수기의 밸브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1814B1 (ko) * 2009-11-18 2011-10-11 주식회사 후레쉬워터 정수기의 누수방지장치
KR101363288B1 (ko) 2012-05-15 2014-02-18 주식회사 한샘이펙스 무전원 소형 정수기용 밸브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5913B1 (ko) * 2006-02-22 2007-07-04 주식회사 영원코퍼레이션 냉온수기의 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1776A (ko) 2021-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93829B (zh) 龍頭裝置
KR100702675B1 (ko) 정수기용 온수코크
KR102248959B1 (ko) 직수 정수기용 무전원 밸브장치
KR101091367B1 (ko) 정수기용 안전온수코크밸브
TWI600817B (zh) Provincial water valve
KR100912323B1 (ko) 정수기용 온수 코크 밸브
CN209977328U (zh) 多功能洗牙龙头
KR101686052B1 (ko) 온수용 안전꼭지
KR102203445B1 (ko) 항균 기능을 갖는 정수기용 코크 밸브
CN114192291A (zh) 一种出水切换机构
JP3806892B2 (ja) 水栓の吐水切替構造
KR100322197B1 (ko) 정수기 밸브
KR101812214B1 (ko) 샤워기
KR200298037Y1 (ko) 냉온수기용 온수밸브의 안전장치
JP5153595B2 (ja) 湯水混合水栓
KR200311251Y1 (ko) 정수기용 안전취수장치
CN217120578U (zh) 一种出水切换机构
KR200173502Y1 (ko) 정수기 밸브
KR200328379Y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온수꼭지
JP3677612B2 (ja) ラッチ式流量調整バルブ
KR20140033648A (ko) 냉온수기의 버튼식 콕구조
KR100842187B1 (ko) 안전용 개폐장치
CN213088895U (zh) 一种流量控制机构
KR101104344B1 (ko) 음용수 공급장치용 안전취수 밸브
JP3064140U (ja) ノズル出水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