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1367B1 - 정수기용 안전온수코크밸브 - Google Patents

정수기용 안전온수코크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1367B1
KR101091367B1 KR1020080136870A KR20080136870A KR101091367B1 KR 101091367 B1 KR101091367 B1 KR 101091367B1 KR 1020080136870 A KR1020080136870 A KR 1020080136870A KR 20080136870 A KR20080136870 A KR 20080136870A KR 101091367 B1 KR101091367 B1 KR 101091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water
hot water
cock
int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6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8571A (ko
Inventor
심용범
Original Assignee
동양매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매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양매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36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1367B1/ko
Publication of KR20100078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85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1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1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47Bypass or safety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1/00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 F16K21/04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 Preventing Unauthorised Actuation Of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기용 안전온수코크밸브에 관한 것으로, 취수 레버를 밀고 난 다음 취수 버튼을 누르면 온수를 취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취수 레버를 밀고 난 다음 버튼을 눌러 동작하는 구조이므로 코크 밸브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취수 중에는 상향 이동한 제2구동축이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상승하여 코크개폐부재를 상승시킴으로써 유수로를 개방하는 상태가 유지되므로 취수 버튼을 계속 누르고 있지 않아도 취수가 가능해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물이 흐르는 유로 상에 부품이 삭제되어 위생성이 향상되는 정수기용 안전온수코크밸브에 관한 것이다.
정수기, 온수코크밸브, 취수 레버, 바디 라이너, 제1구동축, 제2구동축, 로킹부재, 취수 버튼, 코크개폐부재

Description

정수기용 안전온수코크밸브{Safety hot water cock valve for a 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정수기용 안전온수코크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취수 레버를 밀고 있는 상태에서 버튼을 눌러야만 온수를 취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 사고를 방지하고 취수버튼 작동의 편리성과 함께 위생성이 향상된 정수기용 안전온수코크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온 정수기에는 정수된 물을 냉수와 온수로 나누어 공급할 수 있는 코크 밸브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코크 밸브는 사용자가 취수 레버를 당기거나 밀어 냉수 및 온수 통로를 개방함으로써 냉수 또는 온수를 취수할 수 있다.
그러나 온수의 경우 온도가 90도 이상의 고온이므로 별도의 안전장치가 없으면 사용상의 부주의로 안전 사고의 위험이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해 안전장치를 구비한 다양한 형태의 코크 밸브가 개발되고 있다.
한국실용등록 제0303626호에 기재된 냉온 정수기용 코크 밸브의 경우, 취수 레버의 전방에 위치한 누름 버튼을 가압한 상태에서만 취수 레버가 작동될 수 있는 구조이다. 따라서 누름 버튼을 가압하여 취수 버튼이 작동 가능하게 된 상태에서 용기로 취수 레버를 가압해야 냉수 또는 온수를 취수할 수 있다. 냉수 또는 온수를 취수한 후 취수 레버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고 누름 버튼을 다시 한 번 눌러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면 취수 레버를 가압하더라도 토출구가 개방되지 않아 취수가 불가능한 구조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코크 밸브는 누름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만 취수 레버가 작동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누름 버튼의 작동 없이 취수 레버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는 경우 코크 밸브가 파손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은 온수의 유출부에 컵 등을 미리 준비하지 못할 경우 안전 사고의 위험이 있으며 누름 버튼의 작동에 강함 누름력으로 사용에 불편한 점이 있다.
또한, 누름 버튼의 버튼축 및 스프링 등 기타 부자재가 물 공급을 위한 유로상에 위치하여 위생상의 문제가 있다. 외부에 별도의 실리콘 커버가 필요한 것도 코크 밸브 원가 상승의 한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취수 레버를 밀고 난 다음 버튼을 누르면 온수를 취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정수기용 온수 코크 밸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취수 중 취수 버튼을 계속 누르지 않아도 취수가 가능한 정수기용 온수 코크 밸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코크 밸브의 파손을 방지하고, 버튼의 동작을 쉽게 하며, 물 공급을 위한 유로 상에 취수 버튼의 부품이 위치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위생성을 향상시킨 정수기용 온수 코크 밸브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온수의 취수를 위해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는 취수 레버(200)와, 취수 버튼(800) 및 버튼 스프링(850)이 구비된 정수기용 안전 온수 코크 밸브에 있어서, 온수가 유입 및 유출되는 유입부(110) 및 유출부(130)와, 상기 유입부(110) 및 유출부(130)를 서로 연결하는 유수로(150)가 형성된 코크밸브바디(100); 상기 코크밸브바디(100)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취수 레버(200)의 작동시 레버 지지면(301)을 형성하는 바디 커버(300); 상기 코크밸브바디(100)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유수로(150)를 개폐하는 코크개폐부재(900); 상기 코크밸브바디(100)의 내측에 삽입되어지되, 상기 코크개폐부재(900) 의 상부에 설치되며, 하단부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된 실링 돌기(404)가 상기 코크개폐부재(900)의 상단부에 접촉하여 상기 코크개폐부재(900)를 실링하는 바디 라이너(400); 상기 바디 라이너(400)의 내측에 삽입되어 레버핀(210)에 의해 상기 취수 레버(200)와 연결되며, 상기 취수 레버(200)의 작동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작동하는 제1구동축(500); 상기 제1 구동축(500)의 내측에 삽입되어지되, 그 하단부가 상기 코크개폐부재(900)와 결합되어 상기 취수 버튼(800)과 로킹부재(700)와 제1구동축(500)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작동하여 상기 코크개폐부재(900)를 승강시키는 제2구동축(600); 상기 바디 라이너(400)에 결합되며, 상기 코크개폐부재(900)가 상기 유수로(150)를 개폐하도록 상기 제2구동축(600)을 구속 또는 해제하는 가변홀(701)이 구비된 로킹부재(700); 버튼 스프링(850)과 버튼축(801)이 동일 축선 상에서 코크밸브바디(100)의 버튼축 지지부(101)에 삽입되는 취수 버튼(8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코크밸브바디(100)는 방향성 돌기(401)를 수용하여 상기 바디 라이너(400)의 설치 위치를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절개홈(102)과, 상기 버튼축(801) 및 버튼 스프링(850)을 수용하고 상기 취수 버튼(800)이 결합되는 버튼축 지지부(10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디 라이너(400)는 외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코크밸브바디(100)와의 조립시 조립 위치를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방향성 돌기(401)와, 상기 제1구동축(500)의 회전 유동을 방지하도록 내주면 일측에 함몰 형성된 서로 다른 크기의 복수의 회전 방지홈(402)과, 하단부의 일측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로킹 부재(700)가 삽입되는 축 관통공(403)과, 하단부 중심부에 제2구동축(600)이 삽입되는 관통공(406)과, 제2스프링(650)을 수용하는 함체(40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구동축(500)은 회전 방지홈(402)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크기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회전방지돌기(502)와, 상기 취수 레버(200)와의 결합을 위한 레버핀(210)이 삽입되도록 상부에 관통 형성된 레버핀 관통공(50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구동축(600)은 그 하단부에 원판 형상으로 외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코크개폐부재(900)의 축삽입부(901)와 대응하여 맞물림 결합되는 축결합부(60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로킹부재(700)는 그 중앙부에 제2구동축(600)의 상향 이동을 구속하는 가변홀(701)과, 그 외주면 일측에 제3스프링(750)을 안착시키는 돌기(702)와, 상기 돌기(702)와 대응하는 일측에 취수 버튼(800)의 버튼축(801)에 대응하는 평면(70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취수 버튼(800)은 그 일측 양쪽에 코크밸브바디(100)와 결합되는 버튼 커버(810)의 내측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후크(80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안전온수코크밸브에 의하 면, 취수 레버를 밀고 난 다음 취수 버튼을 누르면 온수를 취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취수 레버를 밀고 난 다음 취수 버튼을 눌러 동작하는 구조이므로 안전코크밸브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취수 중에는 상향 이동한 제2구동축이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상승하여 코크개폐부재를 상승시킴으로써 유수로를 개방하는 상태가 유지되므로 취수 버튼을 계속 누르고 있지 않아도 취수가 가능해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으며, 물이 흐르는 유로 상에 부품이 삭제되어 위생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안전온수코크밸브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안전온수코크밸브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안전온수코크밸브의 작동전 상태를 도시한 측면 조립 단면도 및 정면 조립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용 안전 온수 코크밸브는 크게 온수가 유입되는 유입부(110)와, 온수가 유출되는 유출부(130)와, 유입부(110) 및 유출부(130)를 연결하는 유수로(150)가 형성된 코크밸브바디(100); 온수의 취수를 위한 취수 레버(200) 및 취수 버튼(800); 상기 코크밸 브바디(100)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취수 레버(200)의 작동시 레버 지지면(301)을 형성하는 원통형의 바디 커버(300); 상기 유수로(150)를 개폐하는 코크개폐부재(900); 상기 코크개폐부재(900)를 실링하는 원통형의 바디 라이너(400); 상기 코크개폐부재(900)를 작동하기 위한 제1구동축(500) 및 제2구동축(600); 상기 제2구동축(600)의 위치를 고정하고 해제하기 위한 로킹부재(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코크밸브바디(100)는 유입부(110) 및 유출부(130)가 서로 직교하도록 형성되는 바, 상기 유입부(110)는 코크밸브바디(100)의 후방에 배치되고, 유출부(130)는 코크밸브바디(100)의 하부에 배치되며, 전방에는 후술할 버튼 스프링(850) 및 버튼축(801)이 형성된 취수 버튼(800)과 버튼 커버(810)가 설치된다.
상기 취수 버튼(800)의 설치를 위하여 코크밸브바디(100)에는 버튼 스프링(850) 및 버튼축(801)을 수용하여 지지하고 취수 버튼(800)이 결합되는 버튼축 지지부(101)가 형성된다.
상기 코크밸브바디(100)는 그 상단부 양측에 절개홈(102)이 각각 형성되어 후술할 바디 라이너(400)의 방향성 돌기(401)를 수용함으로써 바디 라이너(400)의 위치를 안내함과 동시에 바디 라이너(400)의 회전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코크밸브바디(100)는 그 내측, 특히 상기 바디 라이너(400)의 하부에 유수로(150)를 개폐하는 코크개폐부재(900)가 삽입된다.
상기 코크개폐부재(900)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어 있고, 상향 개방되고 종단면이 'T자' 형상인 원통 형상이며, 상기 코크밸브바디(100)의 내측에 삽입됨으로써 유수로(150)를 차단하게 된다.
상기 코크개폐부재(900)는 제2구동축(600)에 의해 유수로(150)를 개폐하도록 작동되며, 코크개폐부재(900)의 내측 하단부에는 후술할 제2구동축(600)의 축결합부(603) 형상에 대응하는 축삽입부(901)가 형성된다.
상기 바디 라이너(400)는 그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는 후술할 제2스프링(650)을 수용하는 함체(405)가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서, 상기 코크개폐부재(900)의 상부에 설치된다.
상기 바디 라이너(400)는 그 내주면에 크기가 각기 다른 복수의 회전 방지홈(402)이 상,하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되어 후술할 제1구동축(500)을 고정하게 된다.
상기 바디 라이너(400)는 그 외주면 상단부에 코크밸브바디(100)의 절개홈(102)에 대응하는 위치에 회전 유동을 방지하는 한 쌍의 방향성 돌기(401)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바디 라이너(400)는 그 외주면 일측 하단부에 후술할 로킹부재(700)가 삽입되고 버튼축(801)과 만나도록 안내하는 축 관통공(403)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바디 라이너(400)는 그 하단부에 코크개폐부재(900)와 선접촉하여 코크개폐부재(900)를 실링하는 실링 돌기(404)가 외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된다.
상기 실링 돌기(404)는 바디 커버(300)의 결합에 의해 코크개폐부재(900)에 밀착됨으로써 실링(sealing)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바디 라이너(400)는 그 중심부에 제2구동축(600)이 삽입되는 관통공(406)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406)의 외주면은 제2스프링(650)을 수용하는 함 체(405)로 형성된다.
상기 제1구동축(500)은 일정한 길이를 갖는 바아(bar) 형상으로서, 중앙 부분이 외주면을 따라 원통 형상으로 돌출되어 제1스프링(550)을 지지하고, 하부는 제2구동축(600)의 상단부와 대응하는 원통홈(503)의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1구동축(500)은 그 상부에 취수 레버(200)와 제1구동축(500)을 결합시키는 레버핀(210)이 삽입되는 레버핀 관통공(501)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제1구동축(500)의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하단부의 외주면에는 바디 라이너(400)의 회전 방지홈(402)에 삽입되어 제1구동축(500)의 회전 유동을 방지하는 복수의 회전방지돌기(502)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각의 회전방지돌기(502)는 회전 방지홈(402)의 크기에 대응하여 각기 다른 크기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구동축(500)의 하부에 형성된 원통홈(503)은 내측에 제2구동축(600)이 삽입된 상태에서 제2구동축(600)의 상하 작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구동축(500)은 제1스프링(550)에 의해 탄성 지지되고 레버핀(210)에 의해 작동 가능하도록 취수 레버(200)에 결합되어 상기 취수 레버(200)의 작동시 상승하고, 취수 레버(200)의 작동이 완료되면 제1스프링(550)의 복원력에 의해 하강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상기 제2구동축(600)은 제1구동축(500)의 하부 원통홈(503) 내측에 삽입되어 제1구동축(500)이 상승한 상태에서, 로킹부재(700)의 작동에 따라 제2스프링(650) 의 탄성력으로 상승하여 코크개폐부재(900)를 상승시킴으로써 유수로(150)를 개방하고, 제1구동축(500)이 하강할 때 함께 하강하여 코크개폐부재(900)를 하강시킴으로써 유수로(150)를 폐쇄하게 된다.
상기 제2구동축(600)은 제1구동축(500)과 마찬가지로, 바아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앙부 원주상에는 로킹부재(700)의 형상에 대응하는 2개의 평행한 걸림턱(601)이 전,후부에 형성되는 바, 상기 걸림턱(601)은 로킹부재(700)의 측면부와 접촉하게 되므로 제2구동축(600)이 제2스프링(650)의 탄성에 의해 상향 이동되는 것을 구속한다.
또한, 상기 취수 레버(200)의 작동으로 제1구동축(500)이 상향 이동하는 동시에, 취수버튼(800)이 가압되어 버튼축(801)이 로킹부재(700)를 이동시키면 제2구동축(600)의 걸림턱(601)이 해제되어 제2스프링(650)의 탄성력으로 제2구동축(600)이 상향 이동하게 된다.
상기 걸림턱(601)에는 그 하단부에 푸쉬너트(610)가 고정 지지되는 걸림홈(602)이 원주상에 형성되어 바디 라이너(400)의 함체(405) 내부에 안착된 제2스프링(650)이 푸쉬너트(610) 사이에서 제2구동축(600)과 탄성 작용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2구동축(600)은 그 하단부에 2개의 크고 작은 원판 형상으로 외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코크개폐부재(900)의 축삽입부(901)에 삽입되는 축결합부(603)가 형성된다.
첨부한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구동축과 로킹부재의 작동전 상태 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구동축과 로킹부재의 작동후 상태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킹부재(700)는 사각 블록 형상으로, 그 중앙부에는 제2구동축(600)의 걸림턱(601)과 대응하는 가변홀(701)이 형성되고, 그 외주면 일측에는 제3스프링(750)을 안착시키는 원통형의 돌기(702)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돌기(702)와 대응하는 일측에는 취수 버튼(800)의 버튼축(801)에 대응하여 평면(703)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가변홀(701)은 상기 걸림턱(601)을 구속하여 제2구동축(600)의 상승 동작을 억제시키는 구속홀(701a)과 상기 걸림턱(601)의 구속을 해제하여 제2구동축(600)의 상승 동작을 허용하는 해제홀(701b)로 일체 구성되어 있다.
상기 로킹부재(700)는 바디 라이너(400)의 축 관통공(403)에 상하 유동은 없고 취수 버튼(800)의 작동 축선 방향으로 동작되는 상태로 삽입되고, 취수 버튼(800)의 누름 동작에 따라 연동하여 작동되며, 상기 돌기(702)에 안착된 제3스프링(750)의 탄성력으로 복귀하게 된다.
상기 로킹부재(700)의 가변홀(701)과 제2구동축(600)의 걸림턱(601)과 접촉하여 제2스프링(650)에 의해 상향 탄성력을 갖는 제2구동축(600)의 상승을 구속하게 된다.
상기 취수 레버(200)가 작동하지 않은 상태에서 취수버튼(800)을 누르면 로킹부재(700)는 수평 이동하나 제1구동축(500)과 동일축 선상에 맞닿는 제2구동축(600)은 동작을 하지 않으므로 온수가 취수되지 않아 안전하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취수 레버(200)를 작동하여 제1구동축(500)이 상향 이동되는 동시에, 취수버튼(800)의 작동에 의해 로킹부재(700)가 수평 이동하면 제2구동축(600)이 로킹부재(700)의 구속 상태에서 해제되어 제2구동축(600)이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구동축(600)이 로킹부재(700)에서의 해제에 의해 상승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코크개폐부재(900) 역시 상승하여 유수로(150)를 개방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구동축(600)이 상승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취수 버튼(800)을 계속 누르고 있지 않아도 온수를 계속 취수할 수 있게 된다.
취수가 완료되어 취수 레버(200)가 원래의 위치로 자연 복귀되면 제1구동축(500)이 제1스프링(550)의 복원력에 의해 하강하면서 이와 동일축 선상에 맞닿는 제2구동축(600)도 함께 하강하게 되며, 로킹부재(700)는 제2스프링(650)의 복원력으로 복귀된다.
상기 취수 버튼(800)은 'T'자 형태의 버튼축(801)이 형성되며, 버튼 스프링(850)이 삽입되는 바, 상기 버튼 스프링(850)과 버튼축(801)은 동일 축선 상에서 코크밸브바디(100)의 버튼축 지지부(101)에 삽입되고, 취수 버튼(800)의 일측 양쪽에 형성된 후크(802)는 코크밸브바디(100)와 결합되는 버튼 커버(810)의 내측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취수 버튼(800)을 누르면 버튼 스프링(850)의 압축에 의해 취수 버튼(801)이 버튼 커버(810)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누름 해제시 버튼 스프링(850)의 복원력에 의해 취수 버튼(800)이 버튼 커버(810)의 외측으로 복원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안전온수코크밸브는 종래와는 달리 유수로 상에 설치된 부품이 없어 위생적으로 안전한 취수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취수 버튼을 먼저 눌러야만 취수 레버가 작동하는 종래 기술과 달리 취수 레버를 먼저 작동한 후 취수 버튼을 눌러 온수를 취수하는 구조이므로 취수 레버의 파손 위험을 방지할 수 있으며, 취수 버튼의 작동시 작은 누름력으로 유수로의 개폐를 원활히 함으로써 사용시 편리한 효과가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안전온수코크밸브에 있어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온수 취수 과정 및 각 구성 요소간의 작동 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안전온수코크밸브의 작동시 상태를 도시한 측면 조립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안전온수코크밸브의 작동시 상태를 도시한 정면 조립 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안전온수코크밸브의 작동시 취수 버튼 복귀 상태를 도시한 측면 조립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의 취수를 위해 사용자가 취수 레버(200)를 가압하여 밀면 취수 레버(200)가 일측으로 회전함에 따라 취수 레버(200)의 상부와 레버핀(210)에 의해 결합된 제1구동축(500)이 상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바디 커버(300)와 제1구동축(500)의 사이에 설치된 제1스프링(550)이 압축하게 된다.
사용자가 취수 레버(200)를 가압한 상태에서 취수 버튼(800)을 누르게 되면, 버튼축(801)의 단부가 로킹부재(700)와 접촉하여 수평 이동하게 되면 제2구동축(600)의 걸림턱(601)이 로킹부재(700)의 가변홀(701)에 형성된 구속홀(701a)에서 해제홀(701b)로 이동하면서 구속이 해제되면 제2구동축(600)은 제2스프링(650)의 탄성력으로 상향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2구동축(600)이 상향 이동한 상태에서 멈추게 되고, 이로 인해 코크개폐부재(900) 역시 상향 이동한 상태에서 고정하게 되므로 코크밸브바디(100)의 유수로(150)가 개방되어 온수의 취수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구동축(600)이 상향 이동된 상태에서 고정되므로 더이상 취수 버튼(800)을 누르지 않아도 취수가 가능하며, 취수 버튼(800)의 누름 동작을 해제하면 버튼 스프링(850)에 의해 취수 버튼(800)은 원래의 상태로 복귀되고 취수는 계속 진행된다.
온수의 취수 후 취수 레버(200)의 가압을 해제하면 취수 레버(200)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면서 제1스프링(550)의 복원력에 의해 제1구동축(500)이 하향 이동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제2구동축(600)도 함께 하향 이동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고, 이어서 로킹부재(700)도 제3스프링(750)의 복원력으로 복귀된다.
이때, 상기 제2구동축(600)의 걸림턱(601)에 로킹부재(700)의 구속홀(701a)이 구속된다.
상기 제2구동축(600)이 복귀되면서 제2구동축(600)에 결합된 코크개폐부재(900) 역시 하향 이동하여 복귀되면서 유수로(150)를 폐쇄하고 온수 취수는 정지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안전온수코크밸브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안전온수코크밸브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안전온수코크밸브의 작동전 상태를 도시한 측면 조립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안전온수코크밸브의 작동전 상태를 도시한 정면 조립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구동축과 로킹부재의 작동전 상태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구동축과 로킹부재의 작동후 상태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안전온수코크밸브의 작동시 상태를 도시한 측면 조립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안전온수코크밸브의 작동시 상태를 도시한 정면 조립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안전온수코크밸브의 작동시 취수 버튼 복귀 상태를 도시한 측면 조립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코크밸브바디 200 : 취수 레버
300 : 바디 커버 400 : 바디 라이너
500 : 제1구동축 600 : 제2구동축
700 : 로킹부재 800 : 취수 버튼
900 : 코크개폐부재

Claims (9)

  1. 온수의 취수를 위해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는 취수 레버(200)와, 취수 버튼(800) 및 버튼 스프링(850)이 구비된 정수기용 안전 온수 코크 밸브에 있어서,
    온수가 유입 및 유출되는 유입부(110) 및 유출부(130)와, 상기 유입부(110) 및 유출부(130)를 서로 연결하는 유수로(150)가 형성된 코크밸브바디(100);
    상기 코크밸브바디(100)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취수 레버(200)의 작동시 레버 지지면(301)을 형성하는 바디 커버(300);
    상기 코크밸브바디(100)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유수로(150)를 개폐하는 코크개폐부재(900);
    상기 코크밸브바디(100)의 내측에 삽입되어지되, 상기 코크개폐부재(900)의 상부에 설치되며, 하단부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된 실링 돌기(404)가 상기 코크개폐부재(900)의 상단부에 접촉하여 상기 코크개폐부재(900)를 실링하는 바디 라이너(400);
    상기 바디 라이너(400)의 내측에 삽입되어 레버핀(210)에 의해 상기 취수 레버(200)와 연결되며, 상기 취수 레버(200)의 작동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작동하는 제1구동축(500);
    상기 제1 구동축(500)의 내측에 삽입되어지되, 그 하단부가 상기 코크개폐부재(900)와 결합되어 상기 취수 버튼(800)과 로킹부재(700)와 제1구동축(500)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작동하여 상기 코크개폐부재(900)를 승강시키는 제2구동축(600);
    상기 바디 라이너(400)에 결합되며, 상기 코크개폐부재(900)가 상기 유수로(150)를 개폐하도록 상기 제2구동축(600)을 구속 또는 해제하는 가변홀(701)이 구비된 로킹부재(700);
    버튼 스프링(850)과 버튼축(801)이 동일 축선 상에서 코크밸브바디(100)의 버튼축 지지부(101)에 삽입되는 취수 버튼(800);을 포함하며,
    상기 바디 라이너(400)는 외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코크밸브바디(100)와의 조립시 조립 위치를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방향성 돌기(401)와, 상기 제1구동축(500)의 회전 유동을 방지하도록 내주면 일측에 함몰 형성된 서로 다른 크기의 복수의 회전 방지홈(402)과, 하단부의 일측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로킹부재(700)가 삽입되는 축 관통공(403)과, 하단부 중심부에 제2구동축(600)이 삽입되는 관통공(406)과, 제2스프링(650)을 수용하는 함체(40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안전온수코크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크밸브바디(100)는 방향성 돌기(401)를 수용하여 상기 바디 라이너(400)의 설치 위치를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절개홈(102)과, 상기 버튼축(801) 및 버튼 스프링(850)을 수용하고 상기 취수 버튼(800)이 결합되는 버튼축 지지부(10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안전온수코크밸브.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축(500)은 회전 방지홈(402)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크기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회전방지돌기(502)와, 상기 취수 레버(200)와의 결합을 위한 레버핀(210)이 삽입되도록 상부에 관통 형성된 레버핀 관통공(50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안전온수코크밸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동축(600)은 그 하단부에 원판 형상으로 외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코크개폐부재(900)의 축삽입부(901)와 대응하여 맞물림 결합되는 축결합부(60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안전온수코크밸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동축(600)은 그 외주면 중앙부 원주상에 로킹부재(700)의 측면부 와 접촉하여 제2구동축(600)이 상향 이동되는 것을 구속하는 2개의 평행한 걸림턱(601)과, 푸쉬너트(610)가 고정 지지되는 걸림홈(60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안전온수코크밸브.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부재(700)는 그 중앙부에 제2구동축(600)의 상향 이동을 구속하는 가변홀(701)과, 그 외주면 일측에 제3스프링(750)을 안착시키는 돌기(702)와, 상기 돌기(702)와 대응하는 일측에 취수 버튼(800)의 버튼축(801)에 대응하는 평면(70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안전온수코크밸브.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홀(701)은 상기 걸림턱(601)을 구속하여 제2구동축(600)의 상승 동작을 억제시키는 구속홀(701a)과 상기 걸림턱(601)의 구속을 해제하여 제2구동축(600)의 상승 동작을 허용하는 해제홀(701b)로 일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안전온수코크밸브.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취수 버튼(800)은 그 일측 양쪽에 코크밸브바디(100)와 결합되는 버튼 커버(810)의 내측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후크(80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안전온수코크밸브.
KR1020080136870A 2008-12-30 2008-12-30 정수기용 안전온수코크밸브 KR101091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6870A KR101091367B1 (ko) 2008-12-30 2008-12-30 정수기용 안전온수코크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6870A KR101091367B1 (ko) 2008-12-30 2008-12-30 정수기용 안전온수코크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8571A KR20100078571A (ko) 2010-07-08
KR101091367B1 true KR101091367B1 (ko) 2011-12-07

Family

ID=42639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6870A KR101091367B1 (ko) 2008-12-30 2008-12-30 정수기용 안전온수코크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136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859Y1 (ko) 2016-12-23 2018-03-08 김상헌 냉정수 전환밸브
KR20230103288A (ko) 2021-12-31 2023-07-07 안기장 냉온수기용 온수코크 안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4344B1 (ko) * 2011-03-25 2012-01-16 (주)좋은물 만들기 음용수 공급장치용 안전취수 밸브
KR101120358B1 (ko) * 2011-10-31 2012-03-16 세양프라텍(주) 온수용 안전코크
KR101589627B1 (ko) * 2015-05-26 2016-01-29 이현주 정수기 및 냉온수기용 투웨이 코크
CN108204010A (zh) * 2018-02-24 2018-06-26 张卫 预热水回收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0713Y1 (ko) 2005-04-26 2005-07-22 김영돈 냉온수기의 온수밸브
KR100864374B1 (ko) 2007-04-23 2008-10-21 주식회사 위닉스 냉온수기용 안전밸브
KR100919089B1 (ko) * 2007-12-13 2009-09-28 동양매직 주식회사 정수기용 안전 온수 코크 밸브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0713Y1 (ko) 2005-04-26 2005-07-22 김영돈 냉온수기의 온수밸브
KR100864374B1 (ko) 2007-04-23 2008-10-21 주식회사 위닉스 냉온수기용 안전밸브
KR100919089B1 (ko) * 2007-12-13 2009-09-28 동양매직 주식회사 정수기용 안전 온수 코크 밸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859Y1 (ko) 2016-12-23 2018-03-08 김상헌 냉정수 전환밸브
KR20230103288A (ko) 2021-12-31 2023-07-07 안기장 냉온수기용 온수코크 안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8571A (ko) 201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1367B1 (ko) 정수기용 안전온수코크밸브
KR200390713Y1 (ko) 냉온수기의 온수밸브
US20070039098A1 (en) Bath drain closure assembly
KR101120358B1 (ko) 온수용 안전코크
JP6713054B2 (ja) 安全バルブ
PL190205B1 (pl) Urządzenie do napowietrzania płynu i urządzenie zabezpieczające do urządzenia do napowietrzania płynu
KR101303923B1 (ko) 냉온수기 및 정수기용 터치 세이프티 코크 밸브
KR20060114955A (ko) 정수기용 온수코크
KR100919089B1 (ko) 정수기용 안전 온수 코크 밸브
KR100912323B1 (ko) 정수기용 온수 코크 밸브
KR101828430B1 (ko) 냉온수기용 온수안전 코크
KR101686052B1 (ko) 온수용 안전꼭지
KR20090127859A (ko) 체크 일체형 감압밸브
KR102297008B1 (ko) 냉온수기용 안전코크
KR20080102101A (ko) 정수기용 온수 코크 밸브
KR100864374B1 (ko) 냉온수기용 안전밸브
US11435004B2 (en) Shut-off valve
JP6800292B2 (ja) ダブルロック構造の安全レバー装置
JP3731880B2 (ja) 水抜栓
KR200311251Y1 (ko) 정수기용 안전취수장치
KR102412500B1 (ko) 셧다운 다이어프램 밸브
KR20150031676A (ko) 온수용 안전꼭지
KR102307151B1 (ko) 음료 추출 장치
KR100707507B1 (ko) 냉온수기의 온수밸브
JP2006071075A (ja) 逆止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