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7507B1 - 냉온수기의 온수밸브 - Google Patents

냉온수기의 온수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7507B1
KR100707507B1 KR1020050034305A KR20050034305A KR100707507B1 KR 100707507 B1 KR100707507 B1 KR 100707507B1 KR 1020050034305 A KR1020050034305 A KR 1020050034305A KR 20050034305 A KR20050034305 A KR 20050034305A KR 100707507 B1 KR100707507 B1 KR 100707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support
moving
space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4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1985A (ko
Inventor
임진택
김창진
Original Assignee
김영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돈 filed Critical 김영돈
Priority to KR1020050034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7507B1/ko
Publication of KR20060111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19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7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7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1/00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 F16K21/04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1/00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 F16K21/04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 F16K21/06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in which the closing movement, either retarded or not, starts immediately after op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열장치에서 생성된 온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수평유로와 수직유로가 연통되는 몸체의 내측에 상기 수직유로와 동일 선상으로 상부가 개구되어 온수공급부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도록 몸체의 외주면에 돌출되어 공급제어부를 수용하는 지지리브가 구비된 지지부를 구성하며, 상기 지지부의 수용공간에 수직유로를 개폐시키도록 장착되어 가열장치에서 생성된 온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온수공급부를 구성하고, 상기 지지부의 지지리브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수직유로를 개방시키도록 수용공간의 내부에서 수직이동하는 온수공급부의 이동부재를 제어하는 공급제어부 및, 상기 온수공급부와 공급제어부를 동시에 가압하여 개방되는 수직유로를 통해 온수가 배출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온수밸브의 구조를 간소화하여 부품수의 감소 및 조립시간의 단축으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제조원가의 절감으로 경제성을 향상시키면서 실링의 효과를 극대화하며, 안정감있게 사용할 수 있는 냉온수기의 온수밸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냉온수기의 온수밸브{hot water valve of cooling and heating water dispenser}
도 1은 일반적인 냉온수기의 사시도
도 2는 일반적인 냉온수기에 장착된 온수밸브를 나타낸 것으로,
a는 종래의 온수밸브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b는 근래의 온수밸브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냉온수기의 온수밸브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냉온수기의 온수밸브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냉온수기의 온수밸브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냉온수기의 온수밸브에서 온수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작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a는 공급제어부를 가압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b는 온수공급부의 취수레버를 가압하여 개방되는 수직유로를 통해 온수가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된 냉온수기의 온수밸브에서 온수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작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a는 온수공급부의 취수레버를 가압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b는 공급제어부의 가압부재 가압에 따라 이동부재와 실리콘패킹이 상부로 이동하여 개방되는 수직유로로 온수가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지지부 112: 수직유로
120: 수용공간 130: 지지리브
200: 온수공급부 210: 실리콘패킹
220: 이동부재 230: 스프링
240: 안내부재 250: 작동부재
260: 가압스프링 270: 고정캡
280: 취수레버 300: 공급제어부
310: 제어부재 320: 복원스프링
330: 지지부재 340: 가압부재
342: 뒤틀림방지편
본 발명은 냉온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조작실수로 인해 온수밸 브에서 순간적으로 배출되는 온수의 공급을 차단하여 화상과 같은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냉온수기의 온수밸브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급격한 도시화와 산업화로 인해 발생하는 환경오염 중, 수질오염이 심각한 수준에 도달하여 관공서나 직장 및 가정에서 냉온수기를 통해 음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냉온수기(10)는, 생수통에 저장된 정수가 가열장치와 냉각장치를 경유하여 생성된 온수와 냉수를 밸브에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장치와 냉각장치를 내장하는 함체상의 몸체(11)가 구비되고, 이 몸체(11)의 전면에 가열장치와 냉각장치에서 생성된 온수와 냉수를 분리하여 공급하는 온.냉수밸브(20)(20')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온.냉수밸브(20)(20')의 하부에 온.냉수밸브(20)(20')에서 각각 떨어진 물을 저장하여 배수시키는 물받이(3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온수밸브(20)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장치에서 생성된 온수를 공급하도록 몸체(11)에 장착하는 공급관(21)이 구비되고, 이 공급관(21)의 단부에 공급관(21)으로부터 공급되는 온수를 배출시키도록 하부로 개구된 토출관(22)이 구비되며, 상기 토출관(22)의 내부에 스프링(24)의 탄성으로 이동하여 토출관(22)을 개폐시키는 로드(23)가 구비되고, 상기 스프링(24)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로드(23)가 토출관(22)을 개방하도록 가압하여 온수를 공급하는 취수레버(25)가 구비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온수밸브는, 별도의 온수 차단장치가 없 으므로 사용자의 조작실수로 인해 온수밸브를 가압할 경우, 온수밸브에서 순간적으로 배출되는 높은 온도의 온수에 의해 사용자가 화상을 입을 수 있는 안전상의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근래에는 1999년 특허 제46715호로 출원하여 제321808호로 등록받은 냉온정수기용 급수레버 안전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선등록된 냉.온 정수기용 급수레버 안전장치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관(40)의 체결수단(41)에 고정수단(71)을 나사체결하여 밀폐구(74)에 의해 유입구(51)를 차단시키고, 이송안내공(55)을 단속부(50)의 중앙부 일측에 편심되도록 위치시킨 후, 이를 설치공(54)을 통해 가이드홀(91)내에 내설된 이동자(93)와 일체로 연결구성시킴으로써, 제2단속로드(70)를 급수관(40)과, 단속부(50)와, 누름수단(90)을 수평설치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1단속로드(60)를 단속부(50)내에 직립구조로 내설하여 밀폐구(61)에 의해 배출구(52)를 차단되도록 하고, 그 상부면 설치공(53)으로 힌지공(P)을 돌출되게 하여, 이 힌지공(P)에 취수레버(80)의 작동구(81)를 힌지 결합시키고, 상기 제1단속로드(60)는 편심된 이송안내공(75)을 통해 교차되며 제2단속로드(70)와 상호 직교되도록 결합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선등록된 냉온정수기용 급수레버 안전장치는, 제1,2단속로드의 이중구조를 채택하여 종래의 문제점인 사용자의 부주의로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이점은 있으나, 제1,2단속로드가 교차하도록 결합하므로 내부구성이 복잡하고, 적어도 2개 이상의 밀폐구를 사용하여 온수의 공급을 차단시키기 때문에 다수의 부품으로 인한 누수의 가능성이 증대되며, 다수의 부품을 조립하는 조립시간이 증가되면서 생산성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부품수의 증가로 인한 제조원가가 상승되어 경제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온수밸브의 구조를 간소화하여 부품수의 감소 및 조립시간의 단축으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하나의 실리콘패킹으로 온수의 누수를 방지하므로 실링의 효과를 극대화하면서 안정감있게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제조원가의 절감으로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냉온수기의 온수밸브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가열장치에서 생성된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밸브에 있어서,
상기 가열장치에서 생성된 온수를 배출하도록 수평유로와 수직유로가 연통되는 몸체의 수직유로 상부에 온수공급부를 수직으로 이동가능하게 수용하도록 상부가 개구되는 수용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몸체의 전방에 수평유로와 동일선상으로 돌출되어 공급제어부를 수평으로 이동가능하게 수용하는 지지리브가 구비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수용공간에 수직유로의 상부를 개방/폐쇄시키도록 장착되어 가열장치에서 생성된 온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온수공급부와;
상기 지지부의 지지리브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수직유로를 개방시키도록 수용공간의 내부에서 수직이동하는 온수공급부의 이동부재를 제어하는 공급제어부 및,
상기 온수공급부와 공급제어부를 동시에 가압하여 개방되는 수직유로를 통해 온수가 배출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냉.온 정수기의 냉.온수밸브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냉온수기의 온수밸브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가열장치에서 생성된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밸브에 있어서, 상기 가열장치에서 생성된 온수를 배출하도록 수평유로(111)와 수직유로(112)가 연통되는 몸체(110)의 수직유로(112) 상부에 온수공급부(200)를 수직으로 이동가능하게 수용하도록 상부가 개구되는 수용공간(120)이 구비되고, 상기 수용공간(120)과 연통되는 몸체(110)의 전방에 수평유로(111)와 동일선상으로 돌출되어 공급제어부(300)를 수평으로 이동가능하게 수용하는 지지리브(130)가 구비된 지지부(100)를 구성하며, 상기 지지부(100)의 수용공간(120)에 수직유로(112)의 상부를 개방/폐쇄시키도록 장착되어 가열장치에서 생성된 온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온수공급부(200)를 구성하고, 상기 지지부(100)의 지지리브(130)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수 직유로(112)를 개방시키도록 수용공간(120)의 내부에서 수직이동하는 온수공급부(200)의 이동부재(220)를 제어하는 공급제어부(300) 및, 상기 온수공급부(200)와 공급제어부(300)를 동시에 가압하여 개방되는 수직유로(112)를 통해 온수가 배출하도록 구성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온수공급부(200)는, 상기 수용공간(120)의 걸림단턱(121)에 수직유로(112)를 개폐시키도록 안착되는 실리콘패킹(210)이 구비되고, 상기 실리콘패킹(210)의 결합공간(211)에 결합되어 실리콘패킹(21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이동부재(220)가 구비되며, 상기 이동부재(220)를 내부에 수용하면서 지지부(100)의 수직유로(112)를 폐쇄시키도록 이동부재(220)의 결합편(221)을 가압하는 스프링(230)이 구비되고, 상기 스프링(230)의 내부로 돌출된 이동부재(220)를 수용하는 몸체(241)의 저면으로 스프링(230)의 상부를 가압하면서 수용공간(120)에 위치하도록 걸림홈(122)에 고정시키는 안내부재(240)가 구비되고, 상기 안내부재(240)의 내측으로 돌출된 이동부재(220)의 상부를 수용하면서 공급제어부(300)가 교차되도록 결합하는 작동부재(250)가 구비되며, 상기 작동부재(250)의 상면을 탄력있게 가압하는 가압스프링(260)의 복원력을 유지하면서 작동부재(250)의 작동축(256)이 돌출되도록 수용하여 지지부(100)의 몸체(110) 상부에 고정시키는 고정캡(270)이 구비되고, 상기 작동부재(250)의 작동축(256)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온수를 선택적으로 배출시키는 취수레버(280)가 구비된다.
상기 이동부재(220)는, 상기 실리콘패킹(210)의 결합공간(211)에 안착되는 결합편(221)의 상면에 돌출되어 상부에 경사면(223)을 형성하는 이동축(222)이 구 비되고, 상기 이동축(222)의 경사면(223) 하단부에 공급제어부(300)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관통된 이동공간(224)이 구비되며, 상기 이동공간(224)의 내부로 이동된 공급제어부(300)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걸림턱(225)이 이동공간(224)의 상부에 구비된다.
상기 안내부재(240)는, 양측이 대향하게 개방되도록 절개된 원통형 몸체(241)의 내측 중앙에 이동부재(220)의 이동축(222)을 수용하여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공간(242)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241)의 저면에 스프링(230)의 상부를 가압하면서 실리콘패킹(210)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돌출된 안착돌기(243)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241)의 상면으로 대향하게 돌출된 절개편(244)의 상단부 외주면에 수용공간(120)의 걸림홈(122)에 결합되도록 돌출된 결합편(245)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편(244)의 내측에 작동부재(250)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돌출된 안내편(246)이 형성된다.
상기 작동부재(250)는, 상기 이동부재(220)의 이동축(222)을 수용하도록 수직으로 작동공(252)이 관통된 사각함체의 몸체(251) 내측에 작동공(252)과 연통되도록 수평으로 관통되어 공급제어부(300)를 이동시키는 작동공간(253)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251)의 양측면 전방에 제어부재(310)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이동을 안내하는 슬라이드공(254)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몸체(251)의 양측면 후방에 공급제어부(300)의 지지부재(330)가 고정되도록 관통된 고정공(255)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251)의 상면에 돌출되어 취수레버(28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작동축(256)이 형성된다.
상기 공급제어부(300)는, 상기 온수공급부(200)의 작동공간(253)을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하여 이동부재(2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재(310)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재(310)의 일측에 장착되어 탄력있게 지지하면서 복원시키는 복원스프링(320)이 구비되며, 상기 복원스프링(320)을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작동부재(250)의 고정공(255)에 고정시키는 지지부재(330)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재(310)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도록 지지리브(130)의 내면을 따라 이동하는 가압부재(340)가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재(310)는, 상기 작동부재(250)의 작동공간(253)의 따라 이동하는 몸체(311)의 상면에 이동부재(220)의 경사면(223)과 밀착되도록 돌출되는 경사면(312)이 형성되고, 이 경사면(312)의 상단부에 이동부재(220)의 걸림턱(225)에 걸려 고정되도록 돌출되는 걸림돌기(313)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311)의 양측면에 작동부재(250)의 슬라이드공(254)에 결합되도록 돌출되어 몸체(311)의 이동을 안내하는 슬라이드편(314)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311)의 타측 단부에 복원스프링(320)이 결합되도록 돌출된 제어돌기(315)가 형성된다.
상기 가압부재(340)는, 상기 지지부(100)의 지지리브(130) 내측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몸체(341)의 양측면에 지지리브(130)의 내면과 밀착되도록 돌출되어 몸체(341)의 뒤틀림을 방지하는 뒤틀림방지편(342)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341)의 타측 상하부에 각각 돌출되어 몸체(341)가 지지리브(13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후크(343)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341)의 타측 중앙에 돌출되어 제어부재(310)의 몸체(311)를 가압하는 가압편(344)이 형성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결합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리콘패킹(210)의 결합공간(211)에 이동부재(220)의 결합편(221)이 결합되도록 이동축(222)을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결합편(221)의 상면에 스프링(230)을 안착시켜 이동축(222)을 수용한 후, 상기 안내부재(240)의 몸체(241)를 이동부재(220)의 이동축(222)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이동축(222)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는 안내부재(240)의 안내공간(242)으로 이동축(222)이 돌출되면서 안내부재(240)의 몸체(241) 저면이 스프링(230)의 상단부를 가압하면서 실리콘패킹(210)의 상면에 안내부재(240)의 안착돌기(243)가 안착된다.
한편, 작동부재(250)의 고정공(255)에 공급제어부(300)의 지지부재(330)를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작동부재(250)의 작동공(252)을 이동부재(220)의 이동축(222)과 수직으로 동일선상에 위치시킨 후, 작동부재(250)를 하부로 이동시키면, 이동부재(220)의 이동축(222)이 작동공(252)을 경유하여 작동부재(250)의 몸체(251) 내측면 상부에 밀착되면서 이동을 정지한다.
또한, 상기 작동부재(250)의 작동공간(253)에 복원스프링(320)이 제어돌기(315)에 결합된 제어부재(310)의 몸체(311)를 이동시키면 제어부재(310)의 몸체(311) 저면이 작동공간(253)의 상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제어돌기(315)에 결합된 복원스프링(320)이 이동부재(220)의 이동공간(224)을 경유하여 지지부재(330)에 밀착되고, 상기 작동공간(253)으로 이동하는 제어부재(310)의 슬라이드편(314)이 작동 공간(253)의 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제어돌기(315)에 결합된 복원스프링(320)을 몸체(311)가 가압하면서 이동한다.
이때 상기 작동공간(253)의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이동하는 제어부재(310)의 슬라이드편(314)이 작동부재(250)의 슬라이드공(254)에 위치하면, 슬라이드편(314)의 반발력에 의해 슬라이드공(254)의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결합되어 제어부재(310)의 이탈을 방지함과 아울러 제어부재(310)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온수공급부(200)가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정으로 제어부재(310)가 결합된 온수공급부(200)를 지지부(100)의 수용공간(120) 상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공급제어부(300)의 제어부재(310)를 가압한 후, 수용공간(120)의 내부로 이동시키면 제어부재(310)의 몸체(311)는 복원스프링(320)의 복원력으로 수용공간(120)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제어부재(310)가 지지리브(130)에 위치하면 복원스프링(320)의 복원력으로 제어부재(310)의 몸체가 지지리브(130)의 내측으로 이동하고, 제어부재(310)의 슬라이드편(314)이 작동부재(250)의 슬라이드공(254) 일측단부에 밀착되면서 이동을 정지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용공간(120)의 하부로 이동하는 안내부재(240)의 결합편(245)이 수용공간(120)의 걸림홈(122)에 안착됨과 동시에 안내부재(240)의 하부에 위치한 실리콘패킹(210)이 수용공간(120)의 걸림단턱(121)에 안착되어 수평유로(111)를 통과한 온수가 수용공간(12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실리콘패킹(210)의 하단부가 몸체(110)의 수직유로(112) 상면을 가압하여 수직유로(112)를 폐 쇄시키며, 상기 작동부재(250)의 상부에 가압스프링(260)을 안착시킨 후, 작동부재(250)의 작동축(256)이 돌출되도록 고정캡(270)을 지지부(100)의 몸체(110) 상부에 고정시키고, 상기 고정캡(270)의 상부로 돌 w된 작동축(256)에 취수레버(280)를 회전가능하게 장착하면 된다.
또한, 상기 지지리브(130)의 내부에 돌출된 제어부재(310)를 가압하도록 가압부재(340)를 지지리브(130)의 내면을 따라 이동시키면, 가압부재(340)의 몸체(341) 상하부에 형성된 후크(343)가 지지리브(130)의 상하면에 밀착된 상태로 이동하고, 가압부재(340)의 뒤틀림방지편(342)이 지지리브(130)의 양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이동하며, 가압부재(340)의 타측으로 돌출된 가압편(344)이 제어부재(310)의 몸체(311)를 가압하면서 후크(343)가 지지리브(130)를 통과하여 수용공간(120)의 내부에서 복원됨과 동시에 지지리브(130)의 단부에 걸리면서 공급제어부(300)의 결합이 완료되며, 상기 온수공급부(200)와 공급제어부(300)가 결합된 지지부(100)를 가열장치의 외주면에 돌출된 배출관(미도시)에 온수가 이동할 수 있도록 체결하여 결합하면 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결합되어 가열장치에 장착된 온수밸브의 사용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가열장치에서 생성된 온수를 공급받기 위해 공급제어부(300)의 가압부재(340)를 가압하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부재(340)의 뒤틀림방지편(342)이 지지리브(130)의 양측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지지 리브(130)의 내측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가압부재(340)의 가압편(344)이 제어부재(310)의 몸체(311)를 가압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재(310)의 슬라이드편(314)이 작동부재(250)의 슬라이드공(254)을 따라 이동함과 동시에 제어부재(310)의 몸체(311)가 복원스프링(320)을 가압하면서 작동공간(253)의 내측으로 이동하여 제어부재(310)의 경사면(312)이 이동부재(220)의 이동공간(224)에 위치하며, 상기 제어부재(310)의 걸림돌기(313)는 이동부재(220)의 걸림턱(225) 내측에 위치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공급부(200)의 취수레버(280)를 가압하면, 상기 취수레버(280)는 작동부재(250)의 작동축(256)을 중심으로 고정캡(270)의 상면을 가압하면서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작동부재(250)는 가압스프링(260)을 가압하면서 취수레버(280)를 따라 상부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작동부재(250)의 작동공간(253) 상면에 밀착된 제어부재(310)가 작동부재(250)를 따라 상부로 이동함과 동시에 제어부재(310)의 걸림돌기(313)가 이동부재(220)의 걸림턱(225)에 걸리며 이 상태에서는 가압부재(340)의 가압력을 해제하여도 제어부재(310)는 이동부재(220)에 걸려 있으므로 복원스프링(320)의 복원력에도 불구하고 지지리브(130)의 전방 단부로 이동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220)의 이동공간(224)에 위치하며 작동부재(250)의 작동공간(253)에 위치한 제어부재(310)의 몸체(311)가 작동부재(250)를 따라 상부로 이동하면서 이동부재(220)를 안내부재(240)의 안내공간(242) 내부에서 상부로 이동하고, 상기 이동부재(220)의 결합편(211)이 스프링(230)을 가압함과 동시에 실리콘 패킹(210)을 상부로 이동시켜 지지부(100)의 수직유로(112)를 개방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정으로 수직유로(112)가 개방되면, 가열장치의 내부에서 생성된 온수가 수평유로(111)와 수직유로(112)를 통해 지지부(100)의 몸체(110) 외부로 배출되는 온수를 공급받을 수 있으며, 상기 온수는 온수공급부(200)와 공급제어부(300)를 동시에 가압하여 개방되는 수직유로(112)를 통해서만 공급받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사용과정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장치에서 생성된 온수를 공급받기 위해 온수공급부(200)의 취수레버(280)를 가압하면, 상기 취수레버(280)가 작동부재(250)의 작동축(256)을 중심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작동부재(250)가 상부로 이동하면서 작동부재(250)의 작동공간(253)에 위치한 제어부재(310)도 같이 이동한다.
이때, 상기 작동부재(250)는, 가압스프링(260)을 가압하여 압축시키면서 안내부재(240)의 안내편(246)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고, 상기 작동부재(250)의 작동공간(253)에 위치한 제어부재(310)도 상부로 이동하며, 상기 작동부재(250)의 작동공(252)에서 위치의 변동이 없는 이동부재(220)와 동일 선상을 유지하면서 제어부재(310)의 경사면(312)과 이동부재(220)의 경사면(223)이 근접하면서 밀착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공급제어부(300)의 가압부재(340)를 가압하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00)의 지지리브(130) 내측면을 따라 가압부재(340)의 뒤들림방지편(243)이 이동함과 동시에 제어부재(310)의 슬라이드편(314)이 작동부재 (250)의 슬라이드공(254) 내부에서 이동하고, 상기 제어부재(310)의 몸체(311)가 제어돌기(315)에 결합된 복원스프링(320)을 가압하면서 작동공간(253)의 내측으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작동공간(253)의 내부로 이동하는 제어부재(310)의 경사면(312)이 이동부재(220)의 경사면(223)을 가압함과 동시에 이동부재(220)의 경사면(223)이 제어부재(310)의 경사면(312)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이동부재(220)가 상부로 이동함에 따라 이동부재(220)의 결합편(221)에 결합된 실리콘패킹(210)을 상부로 이동시키면서 지지부(100)의 수직유로(112)을 개방하며, 개방된 수직유로(112)를 통해 지지부(100)의 몸체(110) 외부로 배출되는 온수를 공급받을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압부재(340)의 가압에 의해 제어부재(310)가 작동부재(250)의 작동공간(253)으로 일정거리 이동하여 제어부재(310)의 걸림돌기(313)가 이동부재(220)의 걸림턱(225)에 걸리면, 가압부재(340)를 더 이상 가압하지 않아도 지지리브(130)의 전방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의 온수를 공급받을 수 있으며, 상기 온수는 온수공급부(200)와 공급제어부(300)를 동시에 가압하여 개방되는 수직유로(112)를 통해서만 공급받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지지부(100)의 수직유로(112) 내부로 공급되는 온수의 공급을 차단하려면, 온수공급부(200)의 취수레버(280)에 가해진 가압력을 해제하며, 상기 취수레버(280)가 회전하면서 작동부재(250)로 가압한 가압스프링(260)의 복원력에 의해 제어부재(310)가 결합된 작동부재(250)는 안내부재(240)의 안내편(246)을 따라 하부로 이동하면서 취수레버(280)를 원래의 상태로 복원시킨다.
이때, 상기 작동부재(250)의 작동공간(253)에 위치하여 작동부재(250)와 함께 하부로 이동하는 제어부재(310)의 걸림돌기(313)가 이동부재(220)의 걸림턱(225)에서 이탈됨과 동시에 복원스프링(320)의 복원력에 의해 제어부재(310)를 작동공간(253)의 내부에서 원래의 상태로 복원시키면서 상기 제어부재(310)의 몸체(311)에 밀착된 가압편(344)을 가압하여 뒤틀림방지편(243)이 지지리브(130)의 내면에 밀착된 가압부재(340)를 지지리브(130)의 전방으로 돌출시키면서 가압부재(340)의 후크(343)가 지지리브(130)의 내측 단부에 걸리면서 이동을 정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가압스프링(260)의 복원력에 의해 이동하는 작동부재(250)가 하부로 이동함과 동시에 스프링(230)의 복원력에 의해 이동부재(220)가 하부로 이동하면서 상기 이동부재(220)의 결합편(221)에 결합된 실리콘패킹(210)의 단부가 지지부(100)의 수직유로(112)를 폐쇄하여 온수의 공급을 차단함과 동시에 다음의 동작을 대기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냉온수기의 온수밸브를 일실시예로 설명하였으나 여기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냉수밸브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냉온수기 뿐만 아니라 냉온정수기에서도 적용이 가능함을 밝혀둔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온수밸브의 구조를 간소화하여 부품수의 감소 및 조립시간의 단축으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하나의 실리콘패킹으로 온수의 누수를 방지하므로 실링의 효과를 극대화하면서 안정감있게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제조원가의 절감으로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지는 것이다.

Claims (8)

  1. 삭제
  2. 수평유로(111)와 수직유로(112)가 연통되는 몸체(110)의 수직유로(112) 상부에 개구되는 수용공간(120)이 구비되며, 이 수용공간(120)과 연통되는 몸체(110)의 전방으로 지지리브(130)가 구비되는 지지부(100)가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100)의 수용공간(120)에 장착되어 수직유로(112)를 개폐시키는 온수공급부(200)가 구성되며, 상기 지지부(100)의 지지리브(130)에 장착되어 온수공급부(200)의 이동을 제어하는 공급제어부(300)로 구성되는 온수밸브에 있어서,
    상기 온수공급부(200)는,
    상기 수용공간(120)의 걸림단턱(121)에 수직유로(112)를 개폐시키도록 안착되는 실리콘패킹(210)이 구비되고, 상기 실리콘패킹(210)의 결합공간(211)에 결합되어 실리콘패킹(21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이동부재(220)가 구비되며, 상기 이동부재(220)를 내부에 수용하면서 지지부(100)의 수직유로(112)를 폐쇄시키도록 이동부재(220)의 결합편(221)을 가압하는 스프링(230)이 구비되고, 상기 스프링(230)의 내부로 돌출된 이동부재(220)를 수용하는 몸체(241)의 저면으로 스프링(230)을 상부를 가압하면서 수용공간(120)에 위치하도록 걸림홈(122)에 고정시키는 안내부재(240)가 구비되고, 상기 안내부재(240)의 내측으로 돌출된 이동부재(220)의 상부를 수용하면서 공급제어부(300)가 교차되도록 결합하는 작동부재(250)가 구비되며, 상기 작동부재(250)의 상면을 탄력있게 가압하는 가압스프링(260)의 복원력을 유지하면서 작동부재(250)의 작동축(256)이 돌출되도록 수용하여 지지부(100)의 몸체(110) 상부에 고정시키는 고정캡(270)이 구비되고, 상기 작동부재(250)의 작동축(256)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온수를 선택적으로 배출시키는 취수레버(28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의 온수밸브.
  3. 제2항에 있어서, 이동부재(220)는,
    상기 실리콘패킹(210)의 결합공간(211)에 안착되는 결합편(221)의 상면에 돌 출되어 상부에 경사면(223)을 형성하는 이동축(222)이 구비되고, 상기 이동축(222)의 경사면(223) 하단부에 공급제어부(300)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관통된 이동공간(224)이 구비되며, 상기 이동공간(224)의 내부로 이동된 공급제어부(300)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걸림턱(225)이 이동공간(224)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의 온수밸브.
  4. 제2항에 있어서, 안내부재(240)는,
    양측이 대향하게 개방되도록 절개된 원통형 몸체(241)의 내측 중앙에 이동부재(220)의 이동축(222)을 수용하여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공간(242)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241)의 저면에 스프링(230)의 상부를 가압하면서 실리콘패킹(210)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돌출된 안착돌기(243)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241)의 상면으로 대향하게 돌출된 절개편(244)의 상단부 외주면에 수용공간(120)의 걸림홈(122)에 결합되도록 돌출된 결합편(245)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편(244)의 내측에 작동부재(250)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돌출된 안내편(24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의 온수밸브.
  5. 제2항에 있어서. 작동부재(250)는,
    상기 이동부재(220)의 이동축(222)을 수용하도록 수직으로 작동공(252)이 관 통된 사각함체의 몸체(251) 내측에 작동공(252)과 연통되도록 수평으로 관통되어 공급제어부(300)를 이동시키는 작동공간(253)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251)의 양측면 전방에 제어부재(310)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이동을 안내하는 슬라이드공(254)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몸체(251)의 양측면 후방에 공급제어부(300)의 지지부재(330)가 고정되도록 관통된 고정공(255)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251)의 상면에 돌출되어 취수레버(28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작동축(25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의 온수밸브.
  6. 수평유로(111)와 수직유로(112)가 연통되는 몸체(110)의 수직유로(112) 상부에 개구되는 수용공간(120)이 구비되며, 이 수용공간(120)과 연통되는 몸체(110)의 전방으로 지지리브(130)가 구비되는 지지부(100)가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100)의 수용공간(120)에 장착되어 수직유로(112)를 개폐시키는 온수공급부(200)가 구성되며, 상기 지지부(100)의 지지리브(130)에 장착되어 온수공급부(200)의 이동을 제어하는 공급제어부(300)로 구성되는 온수밸브에 있어서,
    상기 공급제어부(300)는,
    상기 온수공급부(200)의 작동공간(253)을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하여 이동부재(2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재(310)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재(310)의 일측에 장착되어 탄력있게 지지하면서 복원시키는 복원스프링(320)이 구비되며, 상기 복원스프링(320)을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작동부재(250)의 고정공(255)에 고정시키는 지지부재(330)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재(310)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도록 지지리브(130)의 내면을 따라 이동하는 가압부재(34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의 온수밸브.
  7. 제6항에 있어서, 제어부재(310)는,
    상기 작동부재(250)의 작동공간(253)을 따라 이동하는 몸체(311)의 상면에 이동부재(220)의 경사면(223)과 밀착되도록 돌출되는 경사면(312)이 형성되고, 이 경사면(312)의 상단부에 이동부재(220)의 걸림턱(225)에 걸려 고정되도록 돌출되는 걸림돌기(313)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311)의 양측면에 작동부재(250)의 슬라이드공(254)에 결합되도록 돌출되는 슬라이드편(314)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311)의 타측 단부에 복원스프링(320)이 결합되도록 돌출되어 몸체(311)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어돌기(31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의 온수밸브.
  8. 제6항에 있어서, 가압부재(340)는,
    상기 지지부(100)의 지지리브(130) 내측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몸체(341)의 양측면에 지지리브(130)의 내면과 밀착되도록 돌출되어 몸체(341)의 뒤틀림을 방지하는 뒤틀림방지편(342)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341)의 타측 상하부에 각각 돌출되어 몸체(341)가 지지리브(13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후크(343)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341)의 타측 중앙에 돌출되어 제어부재(310)의 몸체(311)를 가압하는 가압편(34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의 온수밸브.
KR1020050034305A 2005-04-26 2005-04-26 냉온수기의 온수밸브 KR100707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4305A KR100707507B1 (ko) 2005-04-26 2005-04-26 냉온수기의 온수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4305A KR100707507B1 (ko) 2005-04-26 2005-04-26 냉온수기의 온수밸브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1636U Division KR200390713Y1 (ko) 2005-04-26 2005-04-26 냉온수기의 온수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1985A KR20060111985A (ko) 2006-10-31
KR100707507B1 true KR100707507B1 (ko) 2007-04-16

Family

ID=37620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4305A KR100707507B1 (ko) 2005-04-26 2005-04-26 냉온수기의 온수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75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72908A1 (en) * 2006-12-14 2008-06-19 Young Hwan Kim Cock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2600A (ko) * 2002-09-09 2004-03-16 (주)스톰테크 냉온정수기용 안전콕밸브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2600A (ko) * 2002-09-09 2004-03-16 (주)스톰테크 냉온정수기용 안전콕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1985A (ko) 2006-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0713Y1 (ko) 냉온수기의 온수밸브
KR100702675B1 (ko) 정수기용 온수코크
KR101214682B1 (ko) 냉온수 일체형 코크 구조
KR101706993B1 (ko) Asv가 내장되는 힌지를 구비하는 정수기
KR100707507B1 (ko) 냉온수기의 온수밸브
KR101091367B1 (ko) 정수기용 안전온수코크밸브
KR100825936B1 (ko) 콕크
KR200360771Y1 (ko) 냉.온 정수기 코크
KR101589627B1 (ko) 정수기 및 냉온수기용 투웨이 코크
KR200372943Y1 (ko) 냉온수기
KR200420822Y1 (ko) 콕크
KR200434024Y1 (ko) 정수기의 드레인 밸브
KR200348817Y1 (ko) 이중 안전장치를 내장한 냉.온수밸브
KR200348818Y1 (ko) 이중 안전장치를 내장한 냉.온수밸브
KR200311251Y1 (ko) 정수기용 안전취수장치
KR200373888Y1 (ko) 잠금장치가 구비된 냉온정수기의 온수코크
KR101726831B1 (ko) 코크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온수기
KR20100107150A (ko) 온수 취출 장치
CN216822876U (zh) 一种饮水机
CN217408499U (zh) 饮品供应器用排出单元
KR102307151B1 (ko) 음료 추출 장치
KR100864374B1 (ko) 냉온수기용 안전밸브
KR101928699B1 (ko) 자동 급수전 개폐 모듈
KR101104344B1 (ko) 음용수 공급장치용 안전취수 밸브
KR200391697Y1 (ko) 정수기의 온수코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