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6831B1 - 코크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온수기 - Google Patents

코크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온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6831B1
KR101726831B1 KR1020150157416A KR20150157416A KR101726831B1 KR 101726831 B1 KR101726831 B1 KR 101726831B1 KR 1020150157416 A KR1020150157416 A KR 1020150157416A KR 20150157416 A KR20150157416 A KR 20150157416A KR 101726831 B1 KR101726831 B1 KR 1017268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case
water
wall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7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강윤
김중희
김항종
Original Assignee
(주)원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원봉 filed Critical (주)원봉
Priority to KR1020150157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68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6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68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4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4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 B67D3/043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with a closing element having a linear movemen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크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온수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방에 물이 배출되는 취수구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측에 마련되어 회전가능한 레버; 상기 케이스의 상측을 관통하고, 상기 레버에 연결되어, 상기 레버의 회전에 의해서 상승되는 제1가이드; 상기 제1가이드의 하방에 일면이 맞닿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가이드가 상승하면 상승되어 상기 취수구를 개방하는 제2가이드; 상기 제2가이드를 관통하도록 배치되고 수평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제3가이드;를 포함하는 코크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온수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코크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온수기{Cock Assembly and Hot and Cold Water Dispens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코크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온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오작동에 의해서 출수가 되는 것을 방지하는 코크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온수기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급격한 산업 발달로 인해 환경 오염이 심해지고 있는 실정이며, 이 중에서도 수질오염은 심각한 수준에 도달하여 가정에서나 관공서 등 대다수의 곳에서는 물을 정수 처리하여 식수로 음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물을 정수 처리하는 장치로 정수기나 생수를 사용하는 냉온수기가 주로 사용되고 있는데, 냉온수기는 넓은 의미로는 물을 가열하거나 냉각시켜 냉수 및 온수로 공급하는 장치를 의미하며, 좁은 의미로는 생수통에 저장된 물을 공급받아 물을 가열하거나 냉각시켜 냉수 및 온수로 공급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냉온수기는 냉수 및 온수를 각각 분리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냉수 탱크 및 온수 탱크가 각각 별도로 구비되며, 냉수 탱크에는 물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장치가 구비되고 온수 탱크에는 물을 가열시키기 위한 가열 장치가 구비된다. 냉수 탱크와 온수 탱크는 별도의 연결관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 냉수 탱크 내부 공간으로 공급된 물은 연결관을 통해 온수 탱크로 공급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냉온수기는 물을 취수하기 위해서 회전시키는 레버를 구비하고, 사용자는 레버를 회전시켜서 물을 출수시킬 수 있다.
상기 레버는 어린이 등에 의한 작은 힘에 의해서도 회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부주의한 동작에 의해서, 원하지 않게 물이 출수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어린이들이 온수 레버를 부주의하게 회전시켜서 온수가 어린이에게 배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온수는 고온으로 어린이에게 화상을 입힐 수 있기 때문에 원하지 않음에도 부주의한 조작으로 불필요한 온수가 출수되지 않도록 물의 출수에 대한 안전성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부주의한 동작으로 물이 출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코크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온수기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방에 물이 배출되는 취수구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측에 마련되어 회전가능한 레버; 상기 케이스의 상측을 관통하고, 상기 레버에 연결되어, 상기 레버의 회전에 의해서 상승되는 제1가이드; 상기 제1가이드의 하방에 일면이 맞닿도록 배치되고, 상기 취수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2가이드; 상기 제2가이드를 관통하도록 배치되고 수평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제3가이드; 및 상기 케이스의 일측을 관통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3가이드를 수평 방향으로 눌러서 이동시키는 버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가이드와 상기 제3가이드 중 어느 하나만 동작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가이드는 동작하지 않도록 상기 제1가이드와 상기 제3가이드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상기 제1가이드와 상기 제3가이드가 모두 동작되는 경우에만 상기 제2가이드가 동작하고, 상기 제1가이드와 상기 제3가이드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이 다른 하나의 동작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상기 제1가이드와 상기 제3가이드는 서로 연동없이 분리되게 배치된 것이 가능하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측 상면에 접촉하게 마련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3가이드의 수평 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면서, 상기 제3가이드가 상측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수평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수평 가이드벽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가이드는 상기 제3가이드가 관통되어 이동가능한 경로를 형성하는 관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 가이드벽에는 상기 관통부가 관통되는 연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연통공의 길이는 상기 제3가이드의 길이보다 짧은 것이 가능하다.
상기 관통부는 상측벽, 하측벽, 좌측벽, 우측벽을 구비하고, 상기 관통부는 상기 상측벽, 상기 하측벽, 상기 좌측벽 및 상기 우측벽에 의해서 정의되며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이 마련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하측벽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제3가이드는 상측으로 함몰형성된 수용홈이 마련되고, 상기 수용홈에 상기 돌기가 삽입되면 상기 제2가이드가 상승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수용홈에는 제1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돌기에는 상기 제1경사면을 바라보는 부분에 제2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2가이드에 안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돌기가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도록 상기 제2가이드를 탄성 지지하는 제2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 안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레버가 당겨지지 않으면 상기 제1가이드가 하강되도록 탄성 지지하는 제1탄성 부재와, 상기 제3가이드에 안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버튼부에 의해서 상기 제3가이드가 눌리면 압축되는 제3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관통공의 높이는 상기 제3가이드의 높이 보다 큰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수용되고, 급수원에서 물이 공급되고, 물이 냉각되는 냉수 탱크;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냉수 탱크에서 물이 공급되고, 물이 가열되는 온수 탱크; 상기 온수 탱크, 상기 냉수 탱크, 상기 급수원에서 공급되는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코크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코크 어셈블리는, 하방에 물이 배출되는 취수구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측에 마련되어 회전가능한 레버; 상기 케이스의 상측을 관통하고, 상기 레버에 연결되어, 상기 레버의 회전에 의해서 상승되는 제1가이드; 상기 제1가이드의 하방에 일면이 맞닿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가이드가 상승하면 상승되어 상기 취수구를 개방하는 제2가이드; 상기 제2가이드를 관통하도록 배치되고 수평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제3가이드; 및 상기 케이스의 일측을 관통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3가이드를 수평 방향으로 눌러서 이동시키는 버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가이드와 상기 제3가이드 중 어느 하나만 동작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가이드는 동작하지 않도록 상기 제1가이드와 상기 제3가이드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를 제공한다.
상기 제1가이드와 상기 제3가이드가 모두 동작되는 경우에만 상기 제2가이드가 동작하고, 상기 제1가이드와 상기 제3가이드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이 다른 하나의 동작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상기 제1가이드와 상기 제3가이드는 서로 연동없이 분리되게 배치된 것이 가능하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측 상면에 접촉하게 마련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3가이드의 수평 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면서, 상기 제3가이드가 상측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수평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가이드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2가이드는 상기 제3가이드가 관통되어 이동가능한 경로를 형성하는 관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벽에는 상기 관통부가 관통되는 연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연통공의 길이는 상기 제2가이드의 길이보다 짧은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물을 출수할 때에는 사용자가 서로 다른 동작방식을 가지는 2가지 동작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어린이 등의 부주의로 물이 출수되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2가지 동작이 서로 개별적으로, 하나의 동작에 의해서 다른 동작이 수행되지 않도록 구조적으로 마련되었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하나의 동작으로 물이 출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수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단면도.
도 3은 일 실시예의 요부의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5는 일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급수원으로 외부에 마련된 수도관을 포함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교체가 가능한 물공급 탱크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급수원으로 외부 수도관에 연결된 형태와 물 탱크에 의해서 공급되는 형태를 모두 포함한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급수원을 물공급 탱크로 한정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수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수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 상기 캐비닛(10)의 상측에 거치되는 물공급 탱크(2), 상기 캐비닛(10)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물공급 탱크에서 물이 공급되고, 물이 냉각되는 냉수 탱크(20), 상기 캐비닛(10)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냉수 탱크(20)에서 물이 공급되고, 물이 가열되는 온수 탱크(30)를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10)은 그 내부에 상기 온수 탱크(30)에 열을 공급하는 히팅 장치, 상기 냉수 탱크(20)에 냉기를 공급하는 압축기 등을 포함하도록 내측에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물공급 탱크(2)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이 수용되는 공간으로, 주기적으로 교체될 수 있고, 다양한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물공급 탱크(2), 상기 냉수 탱크(20), 상기 온수 탱크(30)는 위에서 차례대로 배치되어서, 상기 물공급 탱크(2)에 수용된 물이 상기 냉수 탱크(20)로 중력에 의해서 이동되고, 상기 냉수 탱크(20)에 수용된 물이 상기 온수 탱크(30)로 중력에 의해서 하방으로 차례대로 이동되어서, 전체적으로 상기 물공급 탱크(2) 내부의 물이 분배된다. 이때 상기 물공급 탱크(2)와 상기 온수 탱크(30)는 직접 연결되지 않고, 그 중간에 상기 냉수 탱크(20)를 매개로 서로 연결된다.
일 실시예는 상기 온수 탱크(30)에 연결되어 온수를 배출하는 온수 코크(32), 상기 냉수 탱크(20)에 연결되어 냉수를 배출하는 냉수 코크(22)를 각각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냉수 코크(22)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냉수 코크(22)에서 배출되는 냉수의 양을 조절하는 냉수 출수 레버(26)와 상기 온수 코크(32)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온수 코크(32)에서 배출되는 온수의 양을 조절하는 온수 출수 레버(36)를 포함한다. 상기 온수 출수 레버(36)와 상기 냉수 출수 레버(26)는 상기 캐비닛(10)에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어서, 사용자가 상기 온수 출수 레버(36) 및 상기 냉수 출수 레버(26)를 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해서 물을 출수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의 전면에서 상기 온수 코크(32)의 전방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버튼부(90)를 포함하는 코크 어셈블리(100)가 마련된다. 상기 버튼부(90)는 상기 코크 어셈블리(100)에서 사용자가 누를 수 있도록 전면에 배치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물을 출수할 때에는 상기 버튼부(90)를 누를 필요가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코크 어셈블리(100)가 상기 온수 코크(32)에만 마련된 도면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코크 어셈블리(100)는 상기 온수 코크(32)와 상기 냉수 코크(22)에 모두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냉수 코크(22)에만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기술 사항은 본 발명의 내용을 통해서 당업자가 충분히 적용가능한 정도의 변형이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의 요부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설명하는 코크 어셈블리는 온수 코크는 물론 냉수 코크에도 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혼동되지 않도록 상술한 도면 부호와는 별개의 도면부호를 이용해서 설명한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해서 설명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코크 어셈블리(100)는 하방에 물이 배출되는 취수구(110)가 형성된 케이스(102a, 102b), 상기 케이스(102a, 102b)의 상측에 마련되어 회전가능한 레버(120), 상기 케이스(102a, 102b)의 상측을 관통하고, 상기 레버(120)에 연결되어, 상기 레버(120)의 회전에 의해서 상승되는 제1가이드(130), 상기 제1가이드(130)의 하방에 일면이 맞닿도록 배치되고, 선택적으로 상기 취수구(110)를 개방하는 제2가이드(150), 상기 제2가이드(150)를 관통하도록 배치되고 수평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제3가이드(170) 및 상기 케이스(102a, 102b)의 일측을 관통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3가이드(170)를 수평 방향으로 눌러서 이동시키는 버튼부(90)를 포함한다.
상기 제2가이드(150)이 상승되면 상기 취수구(110)을 상기 제2가이드(150)이 밀폐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취수구(110)를 통해서 물이 배출된다. 반면에 상기 제2가이드(150)가 상승되지 않고 도 3의 상태를 유지하면 상기 취수구(110)는 밀폐되기 때문에 상기 취수구(110)를 통해서 물이 배출되지 않는다. 상기 코크 어셈블리(100)에서 상기 취수구(110)까지 물이 안내되는 과정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상기 케이스(102a, 102b)는 하측 외관을 형성하는 제2케이스(102b)와 상기 제2케이스(102b)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측 외관을 형성하는 제1케이스(102a)를 포함한다. 상술한 구성요소들은 상기 제1케이스(102a)와 상기 제2케이스(102b)의 결합된 내부 빈 공간에 배치되고, 일부 구성요소는 상기 제1케이스(102a) 또는 상기 제2케이스(102b)를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1가이드(130) 및 상기 제3가이드(170)는 서로 결합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제1가이드(130)의 동작이 상기 제3가이드(170)에 영향을 발생시키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코크 어셈블리(100)는 상기 케이스(102a, 102b)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케이스(102a, 102b)의 내측 상면에 접촉하게 마련되는 하우징(200)을 더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200)은 전체적으로 중앙에 빈 공간이 형성된 원 기둥 형상을 이루면서, 구성요소들이 상기 하우징(200)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00)은 상기 제3가이드(170)의 수평 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면서, 상기 제3가이드(170)가 상측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수평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수평 가이드벽(210)을 포함한다. 상기 수평 가이드벽(210)은 상기 제3가이드(170)의 상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제3가이드(170)는 상기 수평 가이드벽(210)의 상측으로 이동될 수 없다.
상기 제1가이드(130)에는 수직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돌출편(136)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200)에는 상기 돌출편(136)이 끼워져서, 상기 제1가이드(130)의 상하 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수직 가이드벽(220)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가이드(130)의 수평 방향 이동이 불가하고, 수직 방향으로만 이동이 될 수 있다.
상기 돌출편(136)은 서로 마주 보는 두 개의 벽으로 구성되고, 상기 수직 가이드벽(220)은 두 개의 상기 돌출편(136)에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130)는 상기 제1케이스(102a)를 관통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가이드(130)의 상측은 상기 레버(1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레버(120)가 회전되면 상기 제1가이드(130)는 상측으로 당겨질 수 있다.
상기 레버(120)가 당겨지지 않으면, 상기 제1가이드(130)가 원래 위치로 하강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102a, 102b)의 내측면에 안착되도록 배치되는 제1탄성 부재(134)가 구비된다. 상기 제1탄성 부재(134)는 압축 스프링의 형태를 이룰 수 있어서, 상기 제1탄성 부재(134)를 압축하는 힘이 제거되면, 상기 제1탄성 부재(134)는 원래의 형태로 인장되면서 상기 제1가이드(130)가 하강되도록 탄성 지지한다.
상기 제1탄성 부재(134)의 상단은 상기 제1케이스(102a)의 내측면에 안착되고, 상기 제1탄성 부재(134)의 하단은 상기 제1가이드(130)의 일면에 안착되어서, 상기 제1탄성 부재(134)는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2가이드(150)는 상기 제1가이드(13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가이드(130)는 상기 제2가이드(150)가 상측으로 상승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130)와 상기 제2가이드(150)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면을 맞대고 있기 때문에, 상기 제1가이드(130)는 상기 제2가이드(150)의 상승 이동을 효율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제2가이드(150)는 상기 제3가이드(170)가 관통되어 이동가능한 경로를 형성하는 관통부(160)를 포함한다. 상기 관통부(160)는 상측벽, 하측벽, 좌측벽, 우측벽을 구비하고, 상기 상측벽, 상기 하측벽, 상기 좌측벽 및 상기 우측벽에 의해서 정의되며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164)이 마련된다. 즉 상기 관통부(160)는 중앙에 전면과 후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터널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상측벽은 상기 제1가이드(130)의 하부에 면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는 부분이다.
상기 수평 가이드벽(210)에는 상기 관통부(160)가 관통되는 연통공(214)이 형성된다. 즉 상기 연통공(214)을 사이에 두고, 두 개의 상기 수평 가이드벽(210)이 배치되고, 상기 연통공(214)을 통해서 상기 관통부(160) 즉 상기 제2가이드(150)가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통공(214)의 길이(l)는 상기 제3가이드(170)의 길이보다 짧다. 따라서 상기 제3가이드(170)는 상기 수평 가이드벽(210) 보다 높이 이동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제1가이드(130)가 오작동을 하더라도, 상기 제3가이드(170)가 상승되는 문제는 발생되지 않는다.
상기 제3가이드(170)는 상기 관통공(164)을 통과하도록 배치되어서, 상기 제3가이드(170)와 상기 제1가이드(130)는 서로 연동되는 형태로 배치된다. 상기 제3가이드(170)의 일측에는 상기 버튼부(90)가 구비되어서, 사용자가 상기 버튼부(90)를 누르면, 상기 제3가이드(170)가 상기 버튼부(90)가 눌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3가이드(170)에 안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버튼부(90)에 의해서 상기 제3가이드가 눌리면 압축되는 제3탄성 부재(174)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3탄성 부재(174)는 사용자가 상기 버튼부(90)를 누르는 방향으로 배치되어서, 사용자가 상기 버튼부(90)를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원래 형태로 복귀해서 상기 버튼부(90)를 원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관통부(160)의 상기 하측벽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돌기(156)가 마련되고, 상기 제3가이드(170)는 상측으로 함몰형성된 수용홈(180)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홈(180)에 상기 돌기(156)가 삽입되면 상기 제2가이드(150)가 상승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가이드(150)의 하부에는 상기 제2가이드(150)를 상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제2탄성 부재(154)가 구비된다. 상기 제2탄성 부재(154)는 상기 돌기(156)가 상기 수용홈(180)으로 수용되도록 상기 제2가이드(150)를 상승시킬 수 있다.
상기 관통공(164)의 높이(h)는 상기 제3가이드(170)의 높이보다 높다. 따라서, 상기 제2가이드(150)의 상기 돌기(156)가 상기 수용홈(180)에 수용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기 제3가이드(170)는 상기 관통부(160)를 이동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3가이드(170)가 특정 위치만큼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제2탄성 부재(154)에 의해서 상기 돌기(156)는 상기 수용홈(180)에 수용되면서, 상기 제2가이드(150)가 상승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용홈(180)에는 제1경사면(182)이 형성되고, 상기 돌기(156)에는 상기 제1경사면(182)을 바라보는 부분에 제2경사면(158)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3가이드(170)가 이동되면서, 상기 제1경사면(182)과 상기 제2경사면(158)이 맞닿을 수 있고, 상기 제2가이드(150)가 상기 제3가이드(170)의 위치에 따라 완만한 속도로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참조해서 설명하면, 도 5a는 사용자가 상기 레버(120)만 회전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b는 사용자가 상기 버튼부(90)만 누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c는 사용자가 상기 레버(120)를 회전시키고, 상기 버튼부(90)를 누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기 레버(120)만을 회전시키고, 상기 버튼부(90)를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취수구(110)가 개방되지 않는다. 즉 상기 취수구(110)는 상기 제3가이드(170)가 상승되지 않았기 때문에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취수구(110)를 통해서 물이 배출되지 않는다.
상기 레버(120)가 회전되면, 상기 제1탄성 부재(134)가 압축되면서 상기 제1가이드(130)는 상승된다. 따라서 상기 제1가이드(130)가 상기 제2가이드(150)를 누르는 힘이 제거된다.
하지만, 상기 제3가이드(170)가 이동되지 않았기 때문에, 상기 돌기(156)가 상기 수용홈(180)에 삽입되지 못하고, 결론적으로 상기 제2가이드(150)는 상승되지 못하고 상기 취수구(110)를 밀폐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레버(120)를 과도하게 회전시켜서, 상기 제1가이드(130)를 과도하게 상승시키더라도, 상기 제3가이드(170)는 상기 제1가이드(130)의 동작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상기 제3가이드(170)는 상기 수평 가이드벽(210)에 의해서 상측으로 이동되는 것이 제한되고, 상기 제3탄성 부재(174)를 압축하는 수평 방향으로만 이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레버(120)를 다양한 방법으로 조작한다고 하더라도, 상기 제3가이드(170)는 상기 제1가이드(130)의 동작에 영향을 받지 않고, 정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레버(120)만을 조작하는 경우에는 상기 취수구(110)를 통해서 물이 배출되지 않는다.
도 5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상기 레버(120)를 회전시키지 않고, 상기 버튼부(90)를 누르는 경우에, 상기 버튼부(90)는 우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수용홈(180)이 우측으로 이동된다. 이 경우에 상기 돌기(156)의 상측에 상기 수용홈(180)이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돌기(156)가 상기 수용홈(180)에 삽입되도록 상승될 수 있을 것 같지만, 상기 제1가이드(130)가 상기 제2가이드(150)를 누르고 있기 때문에, 상기 제2가이드(150)는 상승하지 못한다.
즉 상기 제1가이드(130)와 상기 제2가이드(150)는 면접촉을 하기 때문에, 상기 제1가이드(130)가 상승되지 않는다면 상기 제2가이드(150)는 상승되지 못한다. 따라서 상기 취수구(110)는 개방되지 못하고, 상기 취수구(110)를 통해서 물이 배출되지 못한다.
도 5c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기 레버(120)를 동작시켜서 상기 제1가이드(130)를 상승시키고, 상기 버튼부(90)를 눌러서 상기 수용홈(180)이 상기 돌기(156)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130)가 상기 제2가이드(150)를 누르지 않으면, 상기 제2탄성 부재(154)를 압축하는 힘이 사라지기 때문에, 상기 제2탄성 부재(154)는 원래 길이로 복귀하면서 상기 돌기(156)를 상기 수용홈(180)에 삽입하고, 상기 제2가이드(150)는 상승된다. 그리고 상기 취수구(110)로부터 상기 제2가이드(150)가 떨어지면서 상기 취수구(110)가 개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가이드(170)가 이동되면서 상기 수용홈(180)에 형성된 상기 제1경사면(182)은 상기 돌기(156)에 형성된 상기 제2경사면(158)에 맞닿기 시작하면, 상기 제2가이드(150)가 상승될 수 있다. 상기 제1경사면(182)과 상기 제2경사면(158)은 수직선에 대해서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돌기(156)는 상기 수용홈(180)을 따라서 천천히 상승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가 상기 버튼부(90)를 누르는 힘을 제거하게 되면, 상기 제3가이드(170)는 좌측으로 이동되면서 도 3의 위치로 복귀하게 되는데, 상기 돌기(156)는 상기 수용홈(180)의 상기 제1경사면(182)을 따라서 천천히 하강되어서, 상기 제2가이드(150)가 상기 취수구(110)를 강하게 타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가이드(130)와 상기 제3가이드(170) 중 어느 하나만 동작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가이드(150)는 동작하지 않도록 상기 제1가이드(130)와 상기 제3가이드(170)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기 제1가이드(130)는 상기 제2가이드(150)에 맞닿아 있을 뿐, 상기 제3가이드(170)와는 접촉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3가이드(170)는 상기 수평 가이드벽(210)에 의해서 수직 방향 이동이 제한되는데, 상기 제1가이드(130)는 수직 방향 이동을 허용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3가이드(170)와 상기 제1가이드(130)는 서로 연동해서 동작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가이드(130)와 상기 제3가이드(170)가 모두 동작되는 경우에만 상기 제2가이드(150)가 동작하고, 상기 제1가이드(130)와 상기 제3가이드(170)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이 다른 하나의 동작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상기 제1가이드(130)와 상기 제3가이드(170)는 서로 연동없이 분리되게 배치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1가이드(130)는 상기 제2가이드(150)를 이동시키는 조건 중에 하나만을 허용하고, 상기 제3가이드(170)는 상기 제2가이드(150)를 이동시키는 조건 중에 다른 하나만을 허용할 수 있다. 두 개의 조건은 서로 다르기 때문에 두 개의 조건이 모두 성립되는 경우에 한해서 상기 제2가이드(150)가 이동되어서 상기 취수구(110)를 통해서 물이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부주의한 조작, 예를 들어서 상기 레버(120)를 과도하게 누르거나, 상기 버튼부(90)를 과도하게 누르는 동작을 하더라도 상기 제2가이드(150)는 상승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취수구(110)를 통해서 물이 배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캐비닛 90: 버튼부
100: 코크 어셈블리 120: 레버
130: 제1가이드 150: 제2가이드
160: 관통부 164: 관통공
170: 제3가이드 200: 하우징
210: 수평 가이드벽 214: 연통공

Claims (12)

  1. 하방에 물이 배출되는 취수구가 형성된 케이스(102a, 102b);
    상기 케이스의 상측에 마련되어 회전가능한 레버(120);
    상기 케이스의 상측을 관통하고, 상기 레버에 연결되어, 상기 레버의 회전에 의해서 상승되는 제1가이드(130);
    상기 제1가이드의 하방에 일면이 맞닿도록 배치되고, 상기 취수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고,
    상측벽, 하측벽, 좌측벽, 우측벽, 및 상기 상측벽, 상기 하측벽, 상기 좌측벽 및 상기 우측벽에 의해서 정의되며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을 구비하는 관통부(160)를 포함하고,
    상기 하측벽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돌기(156)가 구비되는 제2가이드(150);
    상기 제2가이드의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수평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상측으로 함몰형성된 수용홈(180)이 마련되는 제3가이드(170);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케이스에 대해 이동하지 않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측 상면에 접촉하게 마련되고, 상기 제3가이드의 수평 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면서, 상기 제1가이드의 상하이동과 무관하게 상기 제3가이드가 상측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수평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수평 가이드벽(210)을 포함하는 하우징(200);
    일측이 상기 제2가이드에 안착되고 타측이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안착되어, 상기 수용홈에 상기 돌기가 삽입되면 상기 제2가이드가 상승되면서 상기 하우징으로 진입하도록 상기 제2가이드를 탄성지지하는 제2탄성 부재(154); 및
    상기 케이스의 일측을 관통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3가이드를 수평 방향으로 눌러서 이동시키는 버튼부(90);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가이드와 상기 제3가이드 중 어느 하나만 동작하고 다른 하나는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2탄성 부재가 변형되지 않도록 상기 제1가이드와 상기 제3가이드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1가이드와 상기 제3가이드가 모두 동작되는 경우에만 상기 제2탄성 부재가 변형되어 상기 제2가이드가 동작하고,
    상기 제1가이드와 상기 제3가이드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이 다른 하나의 동작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상기 제1가이드와 상기 제3가이드는 서로 연동없이 분리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 어셈블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가이드벽에는 상기 관통부가 관통되는 연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연통공의 길이는 상기 제3가이드의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 어셈블리.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에는 제1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돌기에는 상기 제1경사면을 바라보는 부분에 제2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 어셈블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 안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레버가 당겨지지 않으면 상기 제1가이드가 하강되도록 탄성 지지하는 제1탄성 부재와,
    상기 제3가이드에 안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버튼부에 의해서 상기 제3가이드가 눌리면 압축되는 제3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코크 어셈블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의 높이는 상기 제3가이드의 높이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 어셈블리.
  10.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수용되고, 급수원에서 물이 공급되고, 물이 냉각되는 냉수 탱크;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냉수 탱크에서 물이 공급되고, 물이 가열되는 온수 탱크;
    상기 온수 탱크, 상기 냉수 탱크, 상기 급수원에서 공급되는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코크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코크 어셈블리는,
    하방에 물이 배출되는 취수구가 형성된 케이스(102a, 102b);
    상기 케이스의 상측에 마련되어 회전가능한 레버(120);
    상기 케이스의 상측을 관통하고, 상기 레버에 연결되어, 상기 레버의 회전에 의해서 상승되는 제1가이드(130);
    상기 제1가이드의 하방에 일면이 맞닿도록 배치되고, 상기 취수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고,
    상측벽, 하측벽, 좌측벽, 우측벽, 및 상기 상측벽, 상기 하측벽, 상기 좌측벽 및 상기 우측벽에 의해서 정의되며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을 구비하는 관통부(160)를 포함하고,
    상기 하측벽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돌기(156)가 구비되는 제2가이드(150);
    상기 제2가이드의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수평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상측으로 함몰형성된 수용홈(180)이 마련되는 제3가이드(170);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케이스에 대해 이동하지 않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측 상면에 접촉하게 마련되고, 상기 제3가이드의 수평 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면서, 상기 제1가이드의 상하이동과 무관하게 상기 제3가이드가 상측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수평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수평 가이드벽(210)을 포함하는 하우징(200);
    일측이 상기 제2가이드에 안착되고 타측이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안착되어, 상기 수용홈에 상기 돌기가 삽입되면 상기 제2가이드가 상승되면서 상기 하우징으로 진입하도록 상기 제2가이드를 탄성지지하는 제2탄성 부재(154); 및
    상기 케이스의 일측을 관통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3가이드를 수평 방향으로 눌러서 이동시키는 버튼부(90);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가이드와 상기 제3가이드 중 어느 하나만 동작하고 다른 하나는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2탄성 부재가 변형되지 않도록 상기 제1가이드와 상기 제3가이드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1가이드와 상기 제3가이드가 모두 동작되는 경우에만 상기 제2탄성 부재가 변형되어 상기 제2가이드가 동작하고,
    상기 제1가이드와 상기 제3가이드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이 다른 하나의 동작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상기 제1가이드와 상기 제3가이드는 서로 연동없이 분리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
  11. 삭제
  12. 삭제
KR1020150157416A 2015-11-10 2015-11-10 코크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온수기 KR101726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7416A KR101726831B1 (ko) 2015-11-10 2015-11-10 코크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온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7416A KR101726831B1 (ko) 2015-11-10 2015-11-10 코크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온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6831B1 true KR101726831B1 (ko) 2017-04-13

Family

ID=58579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7416A KR101726831B1 (ko) 2015-11-10 2015-11-10 코크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온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68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6879A (ko) * 2019-08-05 2021-02-17 (주)피티에스 냉온수 선택버튼을 구비한 코크 모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0713Y1 (ko) * 2005-04-26 2005-07-22 김영돈 냉온수기의 온수밸브
KR100896798B1 (ko) * 2008-05-21 2009-05-12 우미화 정수기용 이중 안전 코크
KR20100107640A (ko) * 2009-03-26 2010-10-06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온수 취출 장치
KR20120021905A (ko) * 2010-08-20 2012-03-09 한일월드(주) 정수기용 출수밸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0713Y1 (ko) * 2005-04-26 2005-07-22 김영돈 냉온수기의 온수밸브
KR100896798B1 (ko) * 2008-05-21 2009-05-12 우미화 정수기용 이중 안전 코크
KR20100107640A (ko) * 2009-03-26 2010-10-06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온수 취출 장치
KR20120021905A (ko) * 2010-08-20 2012-03-09 한일월드(주) 정수기용 출수밸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6879A (ko) * 2019-08-05 2021-02-17 (주)피티에스 냉온수 선택버튼을 구비한 코크 모듈
KR102292061B1 (ko) * 2019-08-05 2021-08-23 (주)피티에스 냉온수 선택버튼을 구비한 코크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0713Y1 (ko) 냉온수기의 온수밸브
US9335088B2 (en) Refrigerator including a dispenser
US20160174750A1 (en) Part driving structure of coffee machine
KR102070777B1 (ko) 오븐 레인지
KR102411763B1 (ko) 식기 세척기
KR101726831B1 (ko) 코크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온수기
KR20120083745A (ko) 냉온수 일체형 코크 구조
US9816220B2 (en) Fabric treatment apparatus
KR101674093B1 (ko) 냉온수기
KR100836844B1 (ko) 반자동 덮개가 형성된 서랍식 저장실을 포함하는김치저장고
KR100735913B1 (ko) 냉온수기의 밸브
KR101589627B1 (ko) 정수기 및 냉온수기용 투웨이 코크
KR20130053920A (ko) 디스펜서를 구비하는 냉장고
KR101191520B1 (ko) 냉온수 일체형 코크
KR20130019614A (ko) 양방향 진공포장기
KR102067828B1 (ko) 스팀 오븐 레인지
KR20130015506A (ko) 커팅기능을 갖는 진공포장기
KR101692527B1 (ko) 코크 안전장치
KR101942329B1 (ko) 정수기 및 냉온수기용 투웨이 코크
CN105928303B (zh) 冰箱及其冰水分配器
KR20080001187U (ko) 수납형 진공보관장치
KR101741492B1 (ko) 안전 코크 어셈블리
JP7210137B2 (ja) 飲料抽出装置
KR20150074233A (ko) 냉장고
KR102392210B1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