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2329B1 - 정수기 및 냉온수기용 투웨이 코크 - Google Patents

정수기 및 냉온수기용 투웨이 코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2329B1
KR101942329B1 KR1020160088654A KR20160088654A KR101942329B1 KR 101942329 B1 KR101942329 B1 KR 101942329B1 KR 1020160088654 A KR1020160088654 A KR 1020160088654A KR 20160088654 A KR20160088654 A KR 20160088654A KR 101942329 B1 KR101942329 B1 KR 1019423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cold
water
main body
col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8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7522A (ko
Inventor
임영범
위승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비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비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비테크
Priority to KR1020160088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2329B1/ko
Publication of KR20180007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75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2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23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4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12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mixing devices
    • B67D3/0016Mixing valves or t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58Details
    • B67D3/0074Safety or warn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5/00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기 및 냉온수기용 투웨이 코크에 관한 것으로서, 냉수출구(102a)와 온수출구(102b)가 내부에 구분되어 냉수 및 온수가 분리 유입되는 코크본체(100); 코크본체(100)의 상면에 조립되는 상부캡(110); 코크본체 내에 설치되어 승강되며, 하단에는 냉,온수출구(102a)(102b) 개폐용 밸브패킹체(121a)(121b)가 일체로 조립되고, 상면에 돌기부(122)가 구비된 밸브샤프트(120a)(120b); 코크본체(100)의 내부에 조립되며, 밸브샤프트(120a)(120b) 안내용 가이드홀(131a)(131b) 내부에 제1스프링(132)이 설치되어 밸브샤프트(120a)(120b)에 장력을 부여하는 가이드부(130); 제2스프링(143) 장력을 받아 출입되도록 코크본체(100) 정면에 설치되는 온수선택버튼(140); 온수선택버튼(140)의 이면 양단에 구비되되 온수선택버튼(140)의 눌림 여부에 따라 돌기부(122)가 끼워지는 삽입홈(142)이 서로 다른 위치에 구비된 냉,온수취수간(141a)(141b); 제3스프링(163) 장력을 받아 상부캡(110)에서 힌지부(162)가 외부로 돌출되는 작동로드(160a)(160b); 힌지부(162)와 힌지핀(171)으로 결착되어 작동로드(160a)(160b)를 동작시키는 푸쉬레버(170);로 이루어져 최대한 콤팩트한 사이즈로 형성될 수 있어 디자인이 미려하며, 냉수와 온수의 출수 동작이 신속 정확하고 내구성이 향상되므로 가격 및 품질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정수기 및 냉온수기용 투웨이 코크{Two-way cock for a water purifier and cold and heat waterer}
본 발명은 정수기 및 냉온수기용 투웨이 코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냉수 코크와 온수 코크를 하나의 콤팩트한 사이즈의 본체 하우징에 함께 구비하여 외관이 미려하면서도 명확한 동작으로 냉수와 온수가 구분되어 출수 되는 정수기 및 냉온수기용 투웨이 코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수 및 온수가 출수 되는 정수기 및 냉온수기는 대부분 물을 출수구로 출수시키려면 전기적 신호에 의한 전자석의 힘을 이용하여 개폐되는 솔레노이드밸브를 이용한 전기식 코크를 사용하거나 또는 별도의 전기적 신호 없이 밸브가 온,오프되게 하는 기계식 코크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정수기 및 냉온수기는 물을 냉수 또는 온수로 만들기 위한 냉각장치 및 순간가열장치가 구비되어야 하고, 또한 냉수를 출수구로 출수시키는 냉수 코크 및 온수를 출수구로 출수시키는 온수 코크가 구비되어야 한다.
그런데, 정수기 및 냉온수기에 냉수출구가 갖추어진 냉수 코크와 온수출구가 갖추어진 온수 코크를 개별적으로 설치할 경우 2개의 코크와 출수구를 따로 설치하는데 따른 공간 확보가 설계상에 반영되어야 하며, 2개 코크로 개별 조립 설치하는데 따른 많은 부품 수의 비용과 조립시간이 오래 걸려 생산성이 떨어지므로 제품 가격이 상승하게 된다.
또한 냉수 코크와 온수 코크를 각각의 하우징으로 개별 설치하는 것은 정수기 및 냉온수기 본체를 콤팩트한 사이즈로 만들고자 할 때 제약이 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려면 냉수 코크와 온수 코크를 하나의 하우징에 모두 구비되는 코크로 만들어서 냉수와 온수가 하나의 출수구를 통해 모두 출수 되도록 콤팩트한 사이즈의 일체형 코크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개발된 선행기술로는 아래 특허문헌에 개시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2-0014954호(2012년 02월 21일 공개)의 "냉온수 일체형 코크"(이하 '선행기술1'이라 칭함)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2-0041878호(2012년 05월 03일 공개)의 "냉온수 일체형 코크 조립체"(이하 '선행기술2' 이라 칭함)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1 은 상측에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하측으로 냉수와 온수 유로가 구획되게 형성된 코크본체; 코크본체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코크본체의 내부공간을 폐쇄하는 본체 커버; 코크본체의 후방에 대응되게 배치되어 그 상측이 본체 커버에 지지된 채 하측이 일정 각도로 회동 가능하게 되는 취수 레버; 코크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냉수와 온수의 유로를 하나의 배출구로 연결하기 위한 배출유닛, 코크본체의 내부 공간에 배치된채, 냉수와 온수의 유로를 제어하기 위한 개폐부재, 개폐부재와 본체 커버 사이에 설치되되 푸쉬레버의 상측과 연결되어 취수 레버의 회동에 따라 개폐부재를 연동시키는 연결부재; 상기 취수커버의 전방에 배출되어 온수버튼의 누름 유무에 따라 개폐부재를 선택적으로 작동시켜 냉수 또는 온수를 배출구로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선택부재; 를 포함하는 냉온수 일체형 코크이다.
상기 선행기술2 는 상측에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하측으로 냉수와 온수의 유로가 구비되게 형성된 코크본체; 코크본체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코크본체의 내부공간을 폐쇄하는 본체 커버; 코크본체의 전방에 배치되어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취수 레버; 코크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냉수와 온수의 유로를 하나의 배출구로 연결하기 위한 배출유닛, 코크본체의 내부공간에 배치된 채, 냉수와 온수의 유로를 제어하기 위한 개폐부재; 개폐부재와 본체 커버 사이에 설치되되 푸쉬레버의 회동에 따라 개폐부재를 연동시키는 연결부재; 푸쉬레버를 지지하도록 본체커버의 전방에 배치되고 푸쉬레버의 회동방향에 따라 개폐부재와 연결부재를 선택적으로 작동시켜 냉수 또는 온수를 상기 배출구로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선택부재; 를 포함하는 냉온수 일체형 코크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2-0014954호(2012년 02월 21일 공개)의 "냉온수 일체형 코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2-0041878호(2012년 05월 03일 공개)의 "냉온수 일체형 코크 조립체"
상기 선행기술 1, 2는 냉,온수 전환을 위한 스위치 구성과 냉,온수 밸브를 개폐시키기 위한 구성부품이 매우 복잡하게 많아 조립 생산성이 상당히 떨어지므로 원가 상승의 요인이 많고, 많은 부품으로 코크 하우징 크기가 필요 이상으로 커져야 하므로 정수기 및 냉온수기를 콤팩트한 사이즈로 만드는데 제약이 많으며, 냉수와 온수 전환에 따른 동작 정확성이 떨어져 품질에 대한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냉수와 온수가 하나의 출수구를 통해 모두 출수되는 투웨이 코크를 적은 구성부품에 의해 외관이 미려한 작은 사이즈로 형성할 수 있어 정수기 및 냉온수기를 콤팩트한 사이즈로 만들 때 제약이 별로 없으며, 냉,온수 전환에 따른 동작성이 보다 명료하게 될 수 있어 품질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정수기 및 냉온수기용 투웨이 코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 바닥에 냉수출구가 있는 냉수통로 및 온수출구가 있는 온수통로로 냉수 및 온수가 분리 유입되는 코크본체; 코크본체 상면에 조립되며, 냉수통로 및 온수통로와 대응된 위치에 로드공이 구비된 상부캡; 냉수통로 및 온수통로에 각각 승강되도록 설치되어 냉수출구와 온수출구를 개폐시키며, 상면에 돌기부가 구비된 밸브샤프트; 코크본체 내부 상단에 조립되며, 밸브샤프트용 가이드홀이 구비된 가이드부; 가이드홀 바닥에서 밸브샤프트에 장력을 부여하는 제1스프링; 제2스프링으로 탄발되면서 수평 이동하도록 코크본체 전면에 설치되는 온수선택버튼; 밸브샤프트 위에 놓이도록 온수선택버튼의 이면 양단에 구비되되 온수선택버튼의 눌림 여부에 따라 돌기부가 끼워지는 삽입홈이 저면의 서로 다른 위치에 구비된 냉수취수간 및 온수취수간; 하단에는 냉수취수간 및 온수취수간의 출입을 위한 취수간안내홈부가 구비되고, 제3스프링 장력을 받아 상부캡에서 출몰되도록 상단 힌지부가 외부로 돌출되는 작동로드; 작동로드의 힌지부에 결착되어 작동로드를 동작시키는 푸쉬레버;로 구성하여 콤팩트한 사이즈로 외관이 미려한 투웨이코크를 제공함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 측벽에 걸리는 훅크가 끝단에 구비된 한 쌍의 지지부를 이면의 냉수취수간 및 온수취수간 사이에 구비하면 온수선택버튼이 코크본체에서 이탈됨이 없이 동작되므로 내구성을 높일 수 있고, 온수선택버튼의 누름 여부에 따라 냉수 및 온수의 출수 선택이 명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목적 달성이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냉수 및 온수가 하나의 출수구로 출수되는 투웨이 코크를 구성할 때 구성부품 수가 기존 선행기술들에 비해 적고 조립이 간단하여 생산성이 뛰어나며, 투웨이 코크를 최대한 콤팩트한 사이즈로 제공할 수 있어 디자인이 더 미려하며, 원가절감을 이룰 수 있어 가격과 품질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푸쉬레버를 동작시키면 푸쉬레버와 연동된 양쪽 작동레버가 동시에 당겨지더라도 온수선택버튼의 선 동작 여부에 따라 냉수 또는 온수용 밸브샤프트가 선택적으로 동작되면서 냉수와 온수의 출수 동작이 매우 신속 정확하게 되는 것으로서, 장기간 사용에도 고장의 우려가 별로 없어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a 는 본 발명이 실시된 투웨이 코크의 사시도
도 1b 는 본 발명에서 온수선택버튼과 푸쉬레버를 동작시킨 상태의 측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서 냉수출구는 열리고 온수출구는 닫힌 상태를 보인 횡단면도
도 3 은 도 2 에 의해 냉수측 밸브샤프트와 온수측 밸브샤프트가 동작되는 상태를 보인 전개 도면
도 4a 는 본 발명에서 온수선택버튼 이면에 냉수취수간과 온수취수간 및 제2스프링이 구비되는 구조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 4b 는 본 발명의 온수선택버튼과 제2스프링의 조립된 상태를 보인 저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서 온수출구는 열리고 냉수출구는 닫힌 상태를 보인 횡단면도
도 6 은 도 5 에 의해 냉수측 밸브샤프트와 온수측 밸브샤프트가 동작되는 상태를 보인 전개 도면
이하에서 본 발명의 상세한 기술 구성 및 작용을 바람직한 실시 예로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 는 본 발명이 실시된 투웨이 코크의 사시도이고, 도 1b 는 본 발명에서 온수선택버튼과 푸쉬레버를 동작시킨 상태의 측면도이며, 도 2 는 본 발명에서 냉수출구는 열리고 온수출구는 닫힌 상태를 보인 횡단면도, 도 3 은 도 2 에 의해 냉수측 밸브샤프트와 온수측 밸브샤프트가 동작되는 상태를 보인 전개 도면이고, 도 4a 는 본 발명의 온수선택버튼에서 제2스프링을 분리시킨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본 발명은 정수기 및 냉온수기용 투웨이 코크를 구성함에 있어서, 코크본체(100), 상부캡(110), 출수캡(150), 밸브샤프트(120a)(120b), 가이드부(130), 온수선택버튼(140), 작동로드(160a)(160b), 푸쉬레버(170)의 간단하고 적은 갯수의 부품만으로 구성하여 콤팩트한 사이즈로 형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코크본체(100)는 바닥에 냉수출구(102a)가 있는 냉수통로(101a) 및 온수출구(102b)가 있는 온수통로(101b)가 내부에 분리 형성되어 냉수입구(103a) 및 온수입구(103b)를 통해 냉수 및 온수가 분리 유입된다.
그리고, 상부캡(110)은 코크본체(100)의 상면에 조립되며, 냉수통로(101a) 및 온수통로(101b)와 대응되는 곳에 로드공(111)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밸브샤프트(120a)(120b)는 코크본체(100)의 냉수통로(101a) 및 온수통로(101b)에서 수직으로 승강 되도록 설치되며, 하단에는 냉수출구(102a)와 온수출구(102b)를 개폐시키는 밸브패킹체(121a)(121b)가 일체로 조립되고, 상면에 돌기부(122)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부(130)는 코크본체(100)의 내부 상단에 조립되며, 밸브샤프트(120a)(120b)를 안내하는 가이드홀(131a)(131b)이 각각 구비되어 있고, 가이드홀(131a)(131b) 내부에는 밸브샤프트(120a)(120b)에 장력을 부여하는 제1스프링(132)이 설치된다.
상기 온수선택버튼(140)은 제2스프링(143) 장력을 받아 전방을 향해 수평 이동하도록 코크본체(100) 정면에 설치된다.
상기 온수선택버튼(140)의 후미 양단에는 밸브샤프트(120a)(120b)의 상부에 놓이도록 냉수취수간(141a) 및 온수취수간(141b)이 구비되며, 냉수취수간(141a) 및 온수취수간(141b)의 저면에는 온수선택버튼(140)의 눌림 여부에 따라 돌기부(122)가 끼워지는 삽입홈(142)이 서로 다른 위치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작동로드(160a)(160b)는 가이드부(130)의 상단에 끼워져 승강되도록 설치되며, 하단에 냉수취수간(141a) 및 온수취수간(141b)의 출입을 위한 취수간안내홈부(161)가 구비되고, 제3스프링(163)의 장력을 받으면서 상부캡(110)의 로드공(111)을 통해 상단의 힌지부(162)가 승강되는 구조이다.
상기 푸쉬레버(170)는 작동로드(160a)(160b) 상단의 힌지부(162)와 힌지핀(171)으로 결착되어 작동로드(160a)(160b)를 함께 동작시키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온수선택버튼(140) 이면의 냉수취수간(141a)은 온수선택버튼(140)이 눌리지 않았을 때 밸브샤프트(120a) 상면의 돌기부(122)와 접촉되는 저면 부위에 삽입홈(142)이 형성되고, 온수취수간(141b)은 온수선택버튼(140)이 눌렸을 때 밸브샤프트(120b) 상면의 돌기부(122)와 접촉되는 저면 부위에 삽입홈(142)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50)은 코크본체(100)의 하부에 조립되어 냉수출구(102a)와 온수출구(102b)에서 출수되는 물을 하나의 출수구(151)로 출수시키는 출수캡 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은 도 1 과 같이 온수선택버튼(140)을 누르지 않은 상태이고, 푸쉬레버(170)를 동작시키지 않은 상태일 때는 양쪽 작동로드(160a)(160b)의 하단이 모두 밸브샤프트(120a)(120b)의 상단에 놓여있고, 밸브샤프트(120a)(120b)의 밸브패킹체(121a)(121b)는 냉수출구(102a)와 온수출구(102b)를 모두 닫아주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온수선택버튼(140)을 누르지 않고, 푸쉬레버(170) 만을 밀어주면 도 2 와 같이 힌지핀(171)으로 힌지부(162)가 결착되어 있는 양쪽 작동로드(160a)(160b)는 제3스프링(163)을 압축하면서 모두 당겨지는 상태가 된다.
이때, 온수선택버튼(140) 이면의 온수취수간(141b)은 도 2 및 도 3 에서와 같이 저면의 삽입홈(142)이 없는 부위가 밸브샤프트(120b) 상면의 돌기부(122)를 그대로 눌러주고 있는 상태이므로 밸브샤프트(120b)는 제1스프링(132)의 장력을 받고 있어도 위로 상승되지 못하는 것이고, 작동로드(160b) 만이 상승된다.
그리고, 냉수취수간(141a)은 도 2 및 도 3 과 같이 저면의 삽입홈(142)에 밸브샤프트(120a) 상면의 돌기부(122)가 끼워져 있는 상태이므로 냉수측 작동로드(160a)가 상승 되면 밸브샤프트(120a)도 제1스프링(132) 장력을 받아 신속하게 상승하면서 냉수출구(102a)를 열어주므로 냉수가 출수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온수를 출수하고자 할 때는 도 1b 와 같이 온수선택버튼(140)을 눌러준 상태로 푸쉬레버(170)를 밀어주면 된다.
즉, 온수선택버튼(140)을 눌러주면 도 5 및 도 6 과 같이 냉수취수간(141a) 저면의 삽입홈(142)은 밸브샤프트(120a)의 돌기부(122)를 지나 후미로 더 이동되므로 냉수측 밸브샤프트(120a)의 돌기부(122)는 삽입홈(142)이 없는 냉수취수간(141a) 저면에 접촉되어 눌린 상태가 된다.
그리고, 온수취수간(141b) 저면의 삽입홈(142)은 밸브샤프트(120b)의 돌기부(122) 위치로 이동되므로 온수측 밸브샤프트(120b)의 돌기부(122)는 온수취수간(141b)의 삽입홈(142)에 끼워진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이러한 상태로 푸쉬레버(170)를 동작시키면 도 5 및 도 6 에서와 같이 냉수측 작동로드(160a)가 상승되더라도 밸브샤프트(120a)와 그 하단의 밸브패킹체(121a)는 냉수출구(102a)를 막아준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다.
그리고 온수측은 작동로드(160b)가 상승되면 그 하부의 밸브샤프트(120b)와 밸브패킹체(121b)는 제1스프링(132) 장력을 받아 작동로드(160b)를 따라 신속하게 상승되면서 온수출구(102b)를 열어주므로 온수가 출수 된다.
여기서 상기 코크본체(100)의 하부에는 냉수출구(102a)와 온수출구(102b)에서 출수되는 물을 하나의 출수구(151)로 출수시키는 출수캡(150)이 조립되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이 냉수출구(102a)와 온수출구(102b)를 통해 출수되는 냉수와 온수는 하나의 출수구(151)를 통해 모두 출수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온수선택버튼(140)은 가이드부(130)의 측벽에 걸리는 훅크(145)가 끝단에 구비된 한 쌍의 지지부(144)를 냉수취수간(141a) 및 온수취수간(141b) 사이에 함께 구비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지지부(144)는 온수선택버튼(140)이 제2스프링(143)에 의해 전방으로 나가려는 탄발력을 받을 때 끝단의 훅크(145)가 가이드부(130)의 측벽에 걸려서 온수선택버튼(140)이 코크본체(10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주므로 온수선택버튼(140)은 매우 안정적으로 출입 동작하도록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온수선택버튼(140)은 이면 정 중앙에 제2스프링(143)의 일단이 끼워져 지지 되는 스프링지지봉(146)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의해 제2스프링(143)은 항시 온수선택버튼(140)의 중심 선상에 놓인 상태로 온수선택버튼(140)의 좌,우 양단에 균일한 장력을 부여하게 된다.
따라서, 온수선택버튼(140)은 제2스프링(143)의 탄발 장력을 좌,우 균일하게 받으면서 전방을 향해 매우 안정적으로 출입 동작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밸브샤프트(120a)(120b) 하단에 조립되는 밸브패킹체(121a)(121b)는 연질의 러버 또는 실리콘 재질로 원통형 자루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하되 상단의 테두리부를 코크본체(100)와 가이드부(130) 사이의 단턱부에 끼워져 물리도록 설치하면 냉수통로와 온수통로가 양호하게 밀폐되므로 유입된 냉수나 온수가 외부로 누수 누출될 우려가 없는 것이다.
100 : 코크본체 101a : 냉수통로
101b : 온수통로 102a : 냉수출구
102b : 온수출구 110 : 상부캡
120a,120b: 밸브샤프트 121a,121b: 밸브패킹체
122 : 돌기부 130 : 가이드부
131a,131b: 가이드홀 132 : 제1스프링
140 : 온수선택버튼 141a,141b: 냉,온수취수간
142 : 삽입홈 143 : 제2스프링
144 : 지지부 146 : 스프링지지봉
150 : 출수캡 151 : 출수구
160a,160b : 작동로드 162 : 힌지부
163 : 제3스프링 170 : 푸쉬레버

Claims (4)

  1. 정수기 및 냉온수기용 투웨이 코크를 구성함에 있어서,
    바닥에 냉수출구(102a)가 있는 냉수통로(101a) 및 온수출구(102b)가 있는 온수통로(101b)가 내부에 분리 형성되어 냉수 및 온수가 분리 유입되는 코크본체(100);
    코크본체(100)의 상면에 조립되며, 냉수통로(101a) 및 온수통로(101b)와 대응되는 곳에 로드공(111)이 구비된 상부캡(110);
    코크본체(100)의 냉수통로(101a) 및 온수통로(101b)에서 수직으로 승강 되도록 설치되며, 하단에는 냉수출구(102a)와 온수출구(102b)를 개폐시키는 밸브패킹체(121a)(121b)가 일체로 조립되고, 상면에 돌기부(122)가 돌출되어 구비된 밸브샤프트(120a)(120b);
    코크본체(100)의 내부 상단에 조립되며, 밸브샤프트(120a)(120b)를 안내하는 가이드홀(131a)(131b)이 구비된 가이드부(130);
    가이드홀(131a)(131b) 내부에 설치되어 밸브샤프트(120a)(120b)에 장력을 부여하는 제1스프링(132);
    제2스프링(143) 장력을 받아 전방을 향해 수평 이동하도록 코크본체(100) 정면에 설치되는 온수선택버튼(140);
    밸브샤프트(120a)(120b)의 상부에 놓이도록 온수선택버튼(140)의 이면 양단에 구비되는 냉수취수간(141a) 및 온수취수간(141b);
    하단에는 냉수취수간(141a) 및 온수취수간(141b)의 출입을 위한 취수간안내홈부(161)가 구비되고, 제3스프링(163)의 장력을 받아 상부캡(110)의 로드공(111)에서 출몰되도록 힌지부(162)가 외부로 돌출되는 냉,온수측의 작동로드(160a)(160b);
    힌지부(162)와 힌지핀(171)으로 결착되어 냉,온수측의 작동로드(160a)(160b)를 동작시키는 푸쉬레버(170);로 구성하되,
    상기 코크본체(100)의 하부에는 냉수출구(102a) 및 온수출구(102b)에서 나오는 물을 하나의 출수구(151)로 출수시키는 출수캡(150)을 조립하며,
    상기 냉수취수간(141a)은 온수선택버튼(140)이 눌리지 않았을 때 밸브샤프트(120a) 상면의 돌기부(122)와 접촉되는 저면 부위에 삽입홈(142)을 형성하고,
    상기 온수취수간(141b)은 온수선택버튼(140)이 눌렸을 때 밸브샤프트(120b) 상면의 돌기부(122)와 접촉되는 저면 부위에 삽입홈(142)을 형성하여 온수선택버튼(140)의 눌림 여부에 따라 냉수와 온수가 선택되어 취수되게 하며,
    상기 온수선택버튼(140)은 코크본체(100)에서 이탈됨이 없이 동작 되도록 가이드부(130)의 측벽에 걸리는 훅크(145)가 끝단에 구비된 한 쌍의 지지부(144)를 이면의 냉수취수간(141a) 및 온수취수간(141b) 사이에 구비하여
    콤팩트한 사이즈로 외관이 미려하면서도 냉,온수 취수 동작이 명료하게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및 냉온수기용 투웨이 코크.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온수선택버튼(140)은
    이면에 제2스프링(143)의 일단이 끼워져 지지 되는 스프링지지봉(146)을 구비하여 제2스프링(143)의 장력이 안정적으로 작용 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및 냉온수기용 투웨이 코크.
  4. 삭제
KR1020160088654A 2016-07-13 2016-07-13 정수기 및 냉온수기용 투웨이 코크 KR1019423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8654A KR101942329B1 (ko) 2016-07-13 2016-07-13 정수기 및 냉온수기용 투웨이 코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8654A KR101942329B1 (ko) 2016-07-13 2016-07-13 정수기 및 냉온수기용 투웨이 코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7522A KR20180007522A (ko) 2018-01-23
KR101942329B1 true KR101942329B1 (ko) 2019-01-25

Family

ID=61071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8654A KR101942329B1 (ko) 2016-07-13 2016-07-13 정수기 및 냉온수기용 투웨이 코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23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3632B1 (ko) * 2018-07-24 2019-08-23 주식회사 엔비엘 온수, 냉수 및 혼합수 일체형 코크
KR102292061B1 (ko) * 2019-08-05 2021-08-23 (주)피티에스 냉온수 선택버튼을 구비한 코크 모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0358B1 (ko) * 2011-10-31 2012-03-16 세양프라텍(주) 온수용 안전코크
KR101214682B1 (ko) * 2011-01-18 2012-12-21 주식회사 동양 냉온수 일체형 코크 구조
KR101589627B1 (ko) * 2015-05-26 2016-01-29 이현주 정수기 및 냉온수기용 투웨이 코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1520B1 (ko) 2010-07-26 2012-10-15 주식회사 동양 냉온수 일체형 코크
KR101164359B1 (ko) 2010-10-22 2012-07-09 주식회사 동양 냉온수 일체형 코크 조립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4682B1 (ko) * 2011-01-18 2012-12-21 주식회사 동양 냉온수 일체형 코크 구조
KR101120358B1 (ko) * 2011-10-31 2012-03-16 세양프라텍(주) 온수용 안전코크
KR101589627B1 (ko) * 2015-05-26 2016-01-29 이현주 정수기 및 냉온수기용 투웨이 코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7522A (ko) 2018-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2329B1 (ko) 정수기 및 냉온수기용 투웨이 코크
US20230358457A1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KR101214682B1 (ko) 냉온수 일체형 코크 구조
KR101589627B1 (ko) 정수기 및 냉온수기용 투웨이 코크
US4497993A (en) Door lock apparatus of electric cooker
KR101489077B1 (ko) 냉온수 일체형 취수장치
US11592232B2 (en) Refrigeration water dispensing system
KR101164359B1 (ko) 냉온수 일체형 코크 조립체
KR101191520B1 (ko) 냉온수 일체형 코크
KR101686052B1 (ko) 온수용 안전꼭지
KR100454410B1 (ko) 유로전환밸브
ITFI940211A1 (it) Rubinetto di gas con valvola di sicurezza, in specie per apparecchio domestico di tipo piatto
KR101566623B1 (ko) 가스레인지의 안전밸브 어셈블리
KR101674094B1 (ko) 냉온수기
KR100199980B1 (ko) 냉장고용 워터디스펜서
US8584321B2 (en) Door hinge for opening and closing a door of a domestic appliance
KR101726831B1 (ko) 코크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온수기
KR102013626B1 (ko) 유로 전환 기능을 구비하는 정수기용 파우셋
KR101613543B1 (ko) 버튼 방식의 유로 절환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음료 공급 장치
KR101809609B1 (ko) 노레버 타입 정수기용 코크
CN212338277U (zh) 一种淋浴器
EP2064469B1 (en) Electrically controlled valve
CN113738877A (zh) 控制阀及其出水装置
JP6168467B2 (ja) 湯水混合バルブ装置
KR200466066Y1 (ko) 냉온수 일체형 취수 코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