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9614A - 양방향 진공포장기 - Google Patents

양방향 진공포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9614A
KR20130019614A KR1020110081685A KR20110081685A KR20130019614A KR 20130019614 A KR20130019614 A KR 20130019614A KR 1020110081685 A KR1020110081685 A KR 1020110081685A KR 20110081685 A KR20110081685 A KR 20110081685A KR 20130019614 A KR20130019614 A KR 201300196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lower member
heater
heating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1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로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로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로팩
Priority to KR1020110081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19614A/ko
Publication of KR20130019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96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1/00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der special atmospheric or gaseous conditions; Adding propellants to aerosol containers
    • B65B31/02Filling, closing, or filling and closing, containers or wrappers in chambers maintained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containing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B31/024Filling, closing, or filling and closing, containers or wrappers in chambers maintained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containing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specially adapted for wrappers o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65B51/14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by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members
    • B65B51/146Closing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04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 B65B61/06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by cut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Vacuum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방향 진공포장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비닐봉투를 진공, 열봉합하여 음식물 등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양방향 진공포장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양방향 진공포장기는, 하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부재와의 사이에 형성된 챔버부를 개폐하는 상부부재와; 상기 챔버부를 기준으로 상기 챔버부의 일방향에서 상기 하부부재 및 상부부재에 장착되는 제1히팅부와; 상기 챔버부를 기준으로 상기 챔버부의 타방향에서 상기 하부부재 및 상부부재에 장착되는 제2히팅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양방향 진공포장기 { TWO-WAY VACUUM PACKING APPARATUS }
본 발명은 양방향 진공포장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비닐봉투를 진공, 열봉합하여 음식물 등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양방향 진공포장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포장기는 내부에 음식물 등이 수납되어 있는 비닐봉투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형성한 후 열봉합하여, 음식물 등이 진공상태로 장시간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진공포장기는 일반적으로 챔버식과 노즐식으로 구분되며, 현재 다양한 구조의 진공포장기가 공지되어 있다.
그리고, 진공포장기에는 상기 비닐봉투 내부의 진공완료 후 이를 밀봉하기 위한 히터가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진공포장기는 일반적으로 일방향을 통해서만 비닐봉투를 삽입하여야 하였는바 사용이 불편하였고, 또한 단순히 진공 후 열봉합을 하는 기능만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진공포장기의 양방향 모두를 통해 비닐봉투를 삽입하여 밀봉시킬 수 있으며, 또한 진공 후 열봉합 기능뿐만 아니라 단순 열봉합 및 커팅 기능도 함께 수행할 수 있는 양방향 진공포장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양방향 진공포장기는, 하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부재와의 사이에 형성된 챔버부를 개폐하는 상부부재와; 상기 챔버부를 기준으로 상기 챔버부의 일방향에서 상기 하부부재 및 상부부재에 장착되는 제1히팅부와; 상기 챔버부를 기준으로 상기 챔버부의 타방향에서 상기 하부부재 및 상부부재에 장착되는 제2히팅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로방향인 상기 상부부재 및 하부부재의 양측에 장착되어 상기 상부부재를 상기 하부부재의 상부에 잠금 또는 해제하는 제1락킹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히팅부는, 상기 하부부재 또는 상부부재 중 어느 하나에 가로방향으로 길게 장착되는 제1히터와, 나머지 하나에서 상기 제1히터에 대응되는 위치에 장착되는 제1가압고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히팅부는, 상기 하부부재 또는 상부부재 중 어느 하나에 가로방향으로 길게 장착되는 제2히터와, 나머지 하나에서 상기 제2히터에 대응되는 위치에 장착되는 제2가압고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히터 또는 제2히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제1락킹부가 배치된 가로방향을 기준으로 양측보다 중심부가 더 돌출된다.
상기 상부부재는, 상기 제1히팅부가 장착되고, 상기 챔버부를 개폐하는 제1승강부와; 상기 제1승강부에 독립적으로 승강되도록 장착되고, 상기 제2히팅부가 장착되는 제2승강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승강부 또는 제2승강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장착되어, 가로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커터가 장착된다.
상기 하부부재의 상면에는 상방향으로 삽입돌출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승강부 또는 제2승강부에는 상기 상부부재의 하강시 상기 삽입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안착부가 형성되되, 상기 삽입돌출부의 상면에는 상기 커터의 하단이 삽입 배치되는 삽입홈이 하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하부부재에는 상기 제2승강부 방향으로 단턱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승강부는, 상기 제1히팅부가 장착되고 상기 챔버부를 개폐하는 제1하부승강부와; 상기 제1하부승강부와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단턱부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2승강부가 승강되게 장착되는 제1상부승강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히팅부는 상기 단턱부와 제2승강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하부승강부와 제1상부승강부 사이에는 비닐봉투가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된다.
가로방향인 상기 제1승강부와 제2승강부의 양측에 장착되어 상기 제2승강부를 상기 제1승강부의 상부에 잠금 또는 해제하는 제2락킹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승강부의 하강에 의해 상기 제2락킹부가 잠금상태가 되었을 때 상기 제2히팅부는 가압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양방향 진공포장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진공포장기의 양방향 모두를 통해 비닐봉투를 삽입하여 밀봉시킬 수 있으며, 또한 진공 후 열봉합 기능뿐만 아니라 단순 열봉합 및 커팅 기능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포장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포장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포장기의 일방향으로 비닐봉투를 삽입한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히팅부의 작동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포장기의 타방향으로 비닐봉투를 삽입한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포장기로 비닐봉투를 열봉합하는 상태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공포장기의 커터에 의해 비닐봉투를 절단되는 과정을 도시한 평면도,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포장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포장기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양방향 진공포장기는, 하부부재(10)와, 상부부재(20)와, 제1히팅부(30)와, 제2히팅부(40), 제1락킹부(50)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부재(10)의 내부에는 진공펌프(P) 등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하부부재(10)의 상면에는 하방향으로 오목하게 하부챔버(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챔버(11)의 둘레에는 가스켓(19)이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부재(10)에는 단턱부(12)가 상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부재(20)는 상기 하부부재(1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부재(20)의 상면을 개폐한다.
이러한 상기 상부부재(20)는 상기 하부부재(10)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될 수도 있고,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게 결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부재(20)는 상기 하부부재(10)의 상면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게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부재(20)와 하부부재(10) 사이에는 스프링(55)이 배치되어, 상기 스프링(55)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상부부재(20)가 상기 하부부재(10)에 대해 상방향으로 탄성지지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자유상태에서 상기 하부부재(10)의 하면과 상기 상부부재(20)의 상면은 비닐봉투(7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호 이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부재(20)의 하면에 상방향으로 오목하게 상부챔버(2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챔버(21)의 둘레에는 가스켓(29)이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부재(10)가 하강하여 상기 상부부재(20)의 상면을 덮었을 때, 상기 상부부재(20) 및 하부부재(10) 사이에는 상기 하부챔버(11)와 상부챔버(21)에 의해 챔버부(15)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챔버부(15)는 상기 상부부재(20)가 하강하였을 때, 상기 가스켓(19,29)에 의해 외부와 차단되고, 상기 상부부재(20)의 승강 또는 회전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제1히팅부(30)는 상기 챔버부(15)를 기준으로 상기 챔버부(15)의 일방향에서 상기 하부부재(10) 및 상부부재(20)에 장착된다.
상기 제2히팅부(40)는 상기 챔버부(15)를 기준으로 상기 제1히팅부(30)의 반대방향인 상기 챔버부(15)의 타방향에서 상기 하부부재(10) 및 상부부재(20)에 장착된다.
상기 제1락킹부(50)는 가로방향인 상기 상부부재(20) 및 하부부재(10)의 양측에 장착되어 상기 상부부재(20)를 상기 하부부재(10)의 상부에 잠금 또는 해제한다.
이러한 상기 제1락킹부(50)는 락킹돌기(51)와 락킹홈(5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부재(20)를 보다 자세하세 살펴보면, 상기 상부부재(20)는 제1승강부(22)와 제2승강부(25)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승강부(22)에는 상기 제1히팅부(30)가 장착되고 상기 챔버부(15)를 개폐한다.
이러한 상기 제1승강부(22)는, 제1하부승강부(23)와 제1상부승강부(24)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하부승강부(23)에는 상기 하부부재(10)와 더불어 상기 제1히팅부(30)가 장착되고 상기 챔버부(15)를 개폐한다.
상기 제1상부승강부(24)는 상기 제1하부승강부(23)와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단턱부(12)의 상부에 배치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2승강부(25)가 승강되게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제1하부승강부(23)와 제1상부승강부(24) 사이에는 비닐봉투(70)가 삽입되는 관통공(26)이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제2승강부(25)는 상기 제1승강부(22)에 독립적으로 승강되도록 장착되고, 상기 제2히팅부(40)가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승강부(25)는 상기 제1상부승강부(24)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제2승강부(25)는 상기 단턱부(12)의 상부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2승강부(25)는 제2락킹부(54)에 의해 상기 제1상부승강부(24)에 잠금 또는 해제되도록 된다.
상기 제2락킹부(54)는 상기 제1상부승강부(24)와 제2승강부(25)의 양측에 장착되어 상기 제2승강부(25)를 상기 제1상부승강부(24)의 상부에 잠금 또는 해제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2승강부(25)의 하강에 의해 상기 제2락킹부(54)가 잠금상태가 되었을 때 상기 제2히팅부(40)는 가압된다.
한편, 상기 제1히팅부(30)는, 상기 하부부재(10) 또는 상부부재(20) 중 어느 하나에 가로방향으로 길게 장착되는 제1히터(31)와, 나머지 하나에서 상기 제1히터(31)에 대응되는 위치에 장착되는 제1가압고무(32)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히터(31)는 상기 하부부재(10)의 상면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1가압고무(32)는 상기 제1하부승강부(23)의 하면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제2히팅부(40)는, 상기 하부부재(10) 또는 상부부재(20) 중 어느 하나에 가로방향으로 길게 장착되는 제2히터(41)와, 나머지 하나에서 상기 제2히터(41)에 대응되는 위치에 장착되는 제2가압고무(42)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히터(41)는 상기 단턱부(12)의 상면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2가압고무(42)는 상기 제2승강부(25)의 하면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제1히터(31) 및/또는 제2히터(41)는 상기 제1락킹부(50)가 배치된 가로방향을 기준으로 양측보다 중심부가 더 돌출되어 있다.
상기 제1히터(31) 및 제2히터(41)를 종래와 같이 중심부가 돌출됨이 없이 평평하게 형성할 경우에는, 상기 상부부재(20)가 하강하여 상기 제1락킹부(50)에 의해 상기 상부부재(20)와 하부부재(10)가 잠금상태가 되었을 때, 상기 제1락킹부(50)가 상기 상부부재(20) 및 하부부재(10)의 양측에 장착되어 양측을 잘 잡아주지만 중심부는 잡아주지 못해 상기 제1히터(31) 및 제2히터(41)의 중심부가 들뜨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히터(31) 및/또는 제2히터(41)의 중심부가 양측보다 더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부재(20)의 하강시 상기 제1,2히터(31,41)는 상기 제1,2가압고무(32,42)와 중심부가 먼저 접하고 양측이 늦게 접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제1락킹부(50)에 의해 상기 상부부재(20)와 하부부재(10)가 잠금상태가 되었을 때, 상기 제1히터(31) 및 제2히터(41)의 중심부가 들뜨는 현상이 방지되어, 비닐봉투(70)의 열봉합이 잘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상부승강부(24) 또는 제2승강부(25)에는 수직방향으로 장착되어, 가로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커터(60)가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커터(60)가 상기 제2승강부(25)에 가로방향으로 슬라이딩되게 장착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2승강부(25)에는 가로방향으로 길게 슬라이딩공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커터(60)는 상기 슬라이드공(28)을 따라 가로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하부부재(10)와 상부부재(20) 사이에 배치된 비닐봉투(70)를 절단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부재(10)의 상면에는 상방향으로 삽입돌출부(17)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상부승강부(24) 또는 제2승강부(25)에는 상기 상부부재(20)의 하강시 상기 삽입돌출부(17)가 삽입되는 삽입안착부(27)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삽입돌출부(17)의 상면에는 상기 제2승강부(25)의 하강시 상기 커터(60)의 하단이 삽입 배치되는 삽입홈(18)이 하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삽입안착부(27)는 상기 제2승강부(25)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삽입돌출부(17) 및 삽입안착부(27)에 의해, 비닐봉투(70)가 상기 제2승강부(25)와 하부부재(10) 사이에 가압되었을 때 상기 비닐봉투(70)가 절곡되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커터(60)가 상기 삽입홈(18)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비닐봉투(70)가 상기 커터(60)의 이동에 의한 밀림 현상없이 잘 절단되게 된다.
이하,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포장기의 일방향으로 비닐봉투(70)를 삽입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히팅부(30)의 작동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포장기의 타방향으로 비닐봉투(70)를 삽입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포장기로 비닐봉투(70)를 열봉합하는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공포장기의 커터(60)에 의해 비닐봉투(70)를 절단되는 과정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유상태에서 상기 상부부재(20)는 상기 스프링(55)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하부부재(10)의 상면과 이격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방향 즉 진공포장기의 좌측을 통해 비닐봉투(70)를 삽입한다.
이때, 상기 비닐봉투(70)의 개구부는 상기 하부챔버(11) 및 상부챔버(21) 사이에 배치되도록 한다.
그 후 상기 상부부재(20)를 누르면 상기 제1락킹부(50)에 의해 상기 상부부재(20)와 하부부재(10)는 상기 결합되고, 진공펌프(P)의 작동에 의해 상기 비닐봉투(70) 내부의 공기는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진공펌프(9)와 챔버부(15)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호스 등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 있다.
상기 비닐봉투(70) 내부의 진공완료 후 상기 제1히터(31)는 가열되어 상기 제1히팅부(30)에 의해 상기 비닐봉투(70)는 열봉합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히터(31)는 중심부가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부재(20)가 하강할 때 상기 제1가압고무(32)는 상기 제1히터(31)의 중심부와 먼저 닿는다.
그리고, 상기 상부부재(20)가 더 하강하여 상기 상부부재(20) 및 하부부재(10)의 양측이 상기 제1락킹부(50)에 의해 잠금상태가 되었을 때,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히터(31)는 전체가 상기 제1가압고무(32)와 닿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제1히터(31)의 중심부가 들뜨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상기 제1히팅부(30)에 의해 상기 비닐봉투(70)의 열봉합이 잘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진공포장기의 타방향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을 통해 비닐봉투(70)를 삽입할 때에는, 상기 비닐봉투(70)가 상기 제2승강부(25)의 하부를 가로질러 상기 상부챔버(21)와 하부챔버(11) 사이에 배치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부재(20)를 눌러 상기 상부부재(20)와 하부부재(10)를 락킹시키고, 상기 제2승강부(25)를 눌러 상기 제2승강부(25)를 상기 제1상부승강부(24)에 락킹시킨 후, 상기 비닐봉투(70)의 진공 및 열봉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비닐봉투(70)의 진공이 아닌 열봉합만을 하고자 할 때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닐봉투(70)의 개구부를 상기 관통공(26)에 삽입한다.
그 후 상기 상부부재(20)를 하강하여 상기 제1락킹부(50)에 의해 상기 상부부재(20)와 하부부재(10)가 잠금상태가 되도록 하고, 상기 제2락킹부(54)에 의해 상기 제2승강부(25)와 상기 제1상부승강부(24)가 잠금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상기 상부부재(20)의 제2승강부(25)와 상기 하부부재(10)는 상기 제1락킹부(50) 및 제2락킹부(54)에 의해 상기 비닐봉투(70)를 사이에 두고 상호 접하게 되고, 상기 제2락킹부(54)에 의해 상기 제2히터(41)와 제2가압고무(42)로 이루어진 상기 제2히팅부(40)가 가압됨으로써 상기 비닐봉투(70)는 상기 제2히팅부(40)에 의해 열봉합이 잘 이루어지게 된다.
위와 같이 상기 제2히팅부(40)에 의해 열봉합을 함으로써, 상기 진공펌프의 작동없이 상기 비닐봉투(70)를 열봉합할 수 있어 불필요한 전기에너지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한편, 비닐봉투(70)를 절단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관통공(26)에 상기 비닐봉투(70)를 삽입 한 후, 상기 상부부재(20)를 하강시켜 상기 상부부재(20)와 하부부재(10) 사이에 상기 비닐봉투(70)가 가압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상부부재(20)가 하강함에 따라 상기 커터(60)도 함께 하강하여, 상기 커터(60)의 하단은 상기 삽입홈(18)에 안착되게 된다.
그 후 상기 커터(60)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공(28)을 따라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비닐봉투(70)를 절단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승강부(25)와 하부부재(10) 사이에 위치한 상기 비닐봉투(70)는 상기 삽입돌출부(17) 및 삽입안착부(27)에 의해 절곡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커터(60)가 상기 삽입홈(18)을 따라 이동할 경우 상기 비닐봉투(70)가 상기 커터(60)의 이동에 의한 밀림현상없이 잘 절단되게 된다.
본 발명인 양방향 진공포장기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 하부부재, 11 : 하부챔버, 12 : 단턱부, 15 : 챔버부, 17 : 삽입돌출부, 18 : 삽입홈, 19 : 가스켓,
20 : 상부부재, 21 : 상부챔버, 22 : 제1승강부, 23 : 제1하부승강부, 24 : 제1상부승강부, 25 : 제2승강부, 26 : 관통공, 27 : 삽입안착부, 28 : 슬라이드공, 29 : 가스켓,
30 : 제1히팅부, 31 : 제1히터, 32 : 제1가압고무,
40 : 제2히팅부, 41 : 제2히터, 42 : 제2가압고무,
50 : 제1락킹부, 55 : 스프링, 54 : 제2락킹부,
60 : 커터,
70 : 비닐봉투,

Claims (6)

  1. 하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부재와의 사이에 형성된 챔버부를 개폐하는 상부부재와;
    상기 챔버부를 기준으로 상기 챔버부의 일방향에서 상기 하부부재 및 상부부재에 장착되는 제1히팅부와;
    상기 챔버부를 기준으로 상기 챔버부의 타방향에서 상기 하부부재 및 상부부재에 장착되는 제2히팅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진공포장기.
  2. 청구항1에 있어서,
    가로방향인 상기 상부부재 및 하부부재의 양측에 장착되어 상기 상부부재를 상기 하부부재의 상부에 잠금 또는 해제하는 제1락킹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히팅부는,
    상기 하부부재 또는 상부부재 중 어느 하나에 가로방향으로 길게 장착되는 제1히터와, 나머지 하나에서 상기 제1히터에 대응되는 위치에 장착되는 제1가압고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히팅부는,
    상기 하부부재 또는 상부부재 중 어느 하나에 가로방향으로 길게 장착되는 제2히터와, 나머지 하나에서 상기 제2히터에 대응되는 위치에 장착되는 제2가압고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히터 또는 제2히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제1락킹부가 배치된 가로방향을 기준으로 양측보다 중심부가 더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진공포장기.
  3. 청구항1 또는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상부부재는,
    상기 제1히팅부가 장착되고, 상기 챔버부를 개폐하는 제1승강부와;
    상기 제1승강부에 독립적으로 승강되도록 장착되고, 상기 제2히팅부가 장착되는 제2승강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승강부 또는 제2승강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장착되어, 가로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커터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진공포장기.
  4. 청구항3에 있어서,
    상기 하부부재의 상면에는 상방향으로 삽입돌출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승강부 또는 제2승강부에는 상기 상부부재의 하강시 상기 삽입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안착부가 형성되되,
    상기 삽입돌출부의 상면에는 상기 커터의 하단이 삽입 배치되는 삽입홈이 하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진공포장기.
  5. 청구항3에 있어서,
    상기 하부부재에는 상기 제2승강부 방향으로 단턱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승강부는,
    상기 제1히팅부가 장착되고 상기 챔버부를 개폐하는 제1하부승강부와;
    상기 제1하부승강부와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단턱부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2승강부가 승강되게 장착되는 제1상부승강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히팅부는 상기 단턱부와 제2승강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하부승강부와 제1상부승강부 사이에는 비닐봉투가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진공포장기.
  6. 청구항3에 있어서,
    가로방향인 상기 제1승강부와 제2승강부의 양측에 장착되어 상기 제2승강부를 상기 제1승강부의 상부에 잠금 또는 해제하는 제2락킹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승강부의 하강에 의해 상기 제2락킹부가 잠금상태가 되었을 때 상기 제2히팅부는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진공포장기.
KR1020110081685A 2011-08-17 2011-08-17 양방향 진공포장기 KR201300196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1685A KR20130019614A (ko) 2011-08-17 2011-08-17 양방향 진공포장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1685A KR20130019614A (ko) 2011-08-17 2011-08-17 양방향 진공포장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9614A true KR20130019614A (ko) 2013-02-27

Family

ID=47897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1685A KR20130019614A (ko) 2011-08-17 2011-08-17 양방향 진공포장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1961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25679A (zh) * 2013-12-13 2014-03-12 厦门优尔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锁扣装置改进的封口机
CN110304299A (zh) * 2019-07-15 2019-10-08 青岛七盛箱包有限公司 一种包装袋真空封口快速打包装置
CN112660469A (zh) * 2020-12-30 2021-04-16 重庆逸亮食品有限公司 肉制品装袋设备
CN112678241A (zh) * 2020-12-30 2021-04-20 重庆逸亮食品有限公司 食品包装设备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25679A (zh) * 2013-12-13 2014-03-12 厦门优尔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锁扣装置改进的封口机
CN110304299A (zh) * 2019-07-15 2019-10-08 青岛七盛箱包有限公司 一种包装袋真空封口快速打包装置
CN112660469A (zh) * 2020-12-30 2021-04-16 重庆逸亮食品有限公司 肉制品装袋设备
CN112678241A (zh) * 2020-12-30 2021-04-20 重庆逸亮食品有限公司 食品包装设备
CN112678241B (zh) * 2020-12-30 2022-05-20 重庆逸亮食品有限公司 食品包装设备
CN112660469B (zh) * 2020-12-30 2022-05-24 重庆逸亮食品有限公司 肉制品装袋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19614A (ko) 양방향 진공포장기
KR101120358B1 (ko) 온수용 안전코크
US20160174750A1 (en) Part driving structure of coffee machine
KR101322780B1 (ko) 용기 열봉합 장치
JP3217339U (ja) 圧力鍋の蓋開閉ロック装置
KR101160969B1 (ko) 진공포장기
CN209939076U (zh) 一种全自动真空封口机
KR20130031519A (ko) 다중 히터를 갖는 진공포장기
KR101623850B1 (ko) 회전 승강형 진공포장기
KR101818951B1 (ko) 압력뚜껑 자동안전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압력조리기
KR100896798B1 (ko) 정수기용 이중 안전 코크
KR20110054571A (ko) 전동형 진공흡입장치
KR20140042487A (ko) 수동형 진공 핸디 펌프
KR200444719Y1 (ko) 보온병마개
US20080223006A1 (en) Vacuum packaging apparatus
KR101726831B1 (ko) 코크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온수기
CN204844606U (zh) 垂直双开升降启闭门盖卧式硫化罐
KR101623847B1 (ko) 비닐봉투 고정형 진공포장기
KR20130033890A (ko) 커팅기능을 갖는 진공포장기
CN217118136U (zh) 烹饪器具
KR200188018Y1 (ko) 압력밥솥의 뚜껑 개폐장치
KR102307151B1 (ko) 음료 추출 장치
KR101749926B1 (ko) 진공잠금구조를 갖는 진공포장기
CN217524614U (zh) 上盖及具有其的烹饪器具
KR101920464B1 (ko) 진공포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