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8018Y1 - 압력밥솥의 뚜껑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압력밥솥의 뚜껑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8018Y1
KR200188018Y1 KR2020000000638U KR20000000638U KR200188018Y1 KR 200188018 Y1 KR200188018 Y1 KR 200188018Y1 KR 2020000000638 U KR2020000000638 U KR 2020000000638U KR 20000000638 U KR20000000638 U KR 20000000638U KR 200188018 Y1 KR200188018 Y1 KR 2001880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pressure
cooker
opening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06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원
Original Assignee
세광알미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광알미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광알미늄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006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80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80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801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압력밥솥의 뚜껑을 안전하게 개폐하기 위한 압력밥솥의 뚜껑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작동레버를 뚜껑 손잡이의 측벽에 상하 회동이 가능하도록 설치하여 상기 작동레버를 상측으로 90°들어 올리면, 푸쉬바의 연동으로 전진하면서 고무패킹을 밀어주어 압력밥솥의 내부압이 배출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뚜껑 개폐시 사용자가 작동레버를 들어 올려 주기만 하면, 푸쉬바가 전진하면서 고무패킹을 밀어주어 밥솥 내의 증기압이 배출되고, 증기압이 배출된 상태에서 손쉽게 손쉽게 회전시켜 개방할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조리 후 뚜껑을 열기 전에 손잡이의 레버를 상측으로 올려주어 밥솥 내의 증기압이 배출된 상태에서 뚜껑을 개방시키므로 종래의 누름식 개폐장치에 비해 뚜껑 개폐시 고온의 증기로 인한 화상의 염려가 없고, 밥솥 내부의 압력이 과다한 상태에서도 뚜껑의 열림이 방지되며, 푸쉬바에 형성된 차단막이 배출되는 내부압을 차단하여 손잡이의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압력밥솥의 뚜껑 개폐장치{Cover opening apparatus of pressure rice pot}
본 고안은 압력 조리용기의 일종인 압력밥솥의 뚜껑을 안전하게 개폐하기 위한 압력밥솥의 뚜껑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작동레버에 의한 뚜껑 개폐장치를 업-다운(Up-Down) 방식으로 개선하여 압력밥솥 내부의 압력이 과다한 상태에서도 뚜껑의 열림이 방지되고, 용이하게 개폐되며, 증기압에 의한 손잡이의 깨짐 및 화상의 염려가 없도록 한 압력밥솥의 뚜껑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력밥솥은 밥을 증숙하는 동안 밥솥 내부의 압력이 고온 및 고압으로 상승하기 때문에 밥솥 본체와 뚜껑 사이에는 기밀유지와 함께 견고한 체결력이 요구된다.
또한, 밥의 증숙이 완료된 후에도 밥솥 내부에는 한동안 미압의 증기압이 존재하게 되는데, 이 같이 증기압이 차 있는 상태에서는 뚜껑의 회전이 어려워 개방시키기가 곤란하고, 뚜껑을 강제로 개방시키게 되면 폭발의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안전장치가 필요하다.
이와 같은 안전장치로 종래에는 본체와 뚜껑에 손잡이가 부착된 압력밥솥에 있어서, 상기 뚜껑 손잡이의 측면에 작동레버를 상하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하고, 뚜껑 손잡이의 내부에는 상기 작동레버에 의해 전후진 하면서 본체와 뚜껑 사이에 설치된 고무패킹을 밀어주어 증기압을 배출시키는 푸쉬바를 설치하였던 것이다.
이와 같은 장치는 밥이 증숙된 다음 사용자가 뚜껑을 열기 위하여 양 손으로 본체 및 뚜껑 손잡이를 잡고 오른손 엄지 손가락으로 작동레버를 눌러주면, 작동레버가 몰입됨과 동시 푸쉬바가 연동에 의해 전진하면서 본체와 뚜껑 사이에 설치된 밀폐부재인 고무패킹을 밀어주므로써 밥솥 내부의 증기압이 배출되는 장치이다.
그리고, 증기압이 배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다시 뚜껑 손잡이를 측방향으로 회전시켜 본체와의 록킹상태를 해제시킨 다음 뚜껑을 완전히 개방하였던 것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장치는 작동레버가 뚜껑 손잡이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관계로 사용자가 엄지 손가락을 이용하여 작동레버를 누름과 동시에 뚜껑을 개방시켜야 하므로 밥솥 내부의 압력이 미쳐 완전히 배출되기도 전에 뚜껑이 개방되어 고온의 증기로 인해 손에 화상을 입을 염려가 있고, 또한 푸쉬바에 의해 배출된 고압의 증기가 푸쉬바의 측벽을 타고 뚜껑 손잡이의 내부로 유입되어 손잡이의 취약한 부분에 균열이 생기거나 손상되는 경우가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기술적인 과제는 압력밥솥의 뚜껑 개폐시 작동레버를 상하로 들어 올려 개폐시키는 업-다운(Up-Down) 방식을 채택하여 밥솥 내의 증기압에 관계없이 뚜껑개폐가 용이하고, 내부압이 과다한 상태에서도 뚜껑의 열림이 방지되며, 고온 및 고압의 증기에 의한 손잡이의 파손이 방지될수 있는 뚜껑 개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조립 평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조립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20 : 뚜껑
30 : 본체 손잡이 31 : 가이드홈
40 : 뚜껑 손잡이 41 : 괘지홈
42 : 안착홈 50 : 푸쉬바
51 : 가이드돌기 52 : 푸쉬돌기
53 : 슬라이드돌기 54 : 차단막
60 : 고무패킹 70 : 스프링
80 : 작동레버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작동레버를 뚜껑 손잡이의 측벽에 상하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상측으로 90°들어 올리면, 푸쉬바가 연동에 의해 전진하면서 고무패킹을 밀어주어 내부압이 배출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압력밥솥의 뚜껑 개폐시 사용자가 작동레버를 들어 올려 주기만 하면, 푸쉬바가 전진하면서 고무패킹을 밀어주어 밥솥 내의 증기압이 배출되고, 증기압이 완전히 배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뚜껑을 회전시켜 개방할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조리 후 손잡이의 작동레버를 상측으로 들어올려 개방시키는 업-다운 방식이므로 뚜껑개폐가 용이하고, 고온 및 고압의 증기가 배출될 때 이를 차단할수 있는 안전성이 확보되어 화상의 염려가 없으며, 또한 푸쉬바에 배출되는 증기압을 차단할수 있는 차단막이 형성되어 있어 폐놀수지로 형성된 손잡이의 열충격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수 있으므로 내구성이 증진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와 도 3은 조립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본체(10)와 뚜껑(20)의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가이드홈(31) 및 괘지홈(41)을 갖는 손잡이(30,40)가 부착되고, 본체의 삽입공(21) 외측에는 안착용 돌기(91) 및 가이드공(92)을 갖는 안전바(90)가 장착되며, 상기 손잡이(30,40)와 안전바(90) 사이에는 괘지홈(41) 내에 위치하면서 가이드홈(31)에 끼워지는 록크돌기(51) 및 가이드공(92)을 관통하여 고무패킹(60)을 밀어주기 위한 푸쉬돌기(52)를 구비하는 푸쉬바(50)가 스프링(70)과 함께 탄설되며, 상기 본체와 뚜껑 사이에 밀폐수단인 고무패킹(60)이 설치된 통상의 압력밥솥에 있어서,
상기 두껑 손잡이(40)의 일측면 상단에 안착홈(42)을 형성하여 저면이 만곡진 작동레버(80)를 상하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푸쉬바(50)의 후면에는 상기 작동레버와 경사 접촉하는 슬라이드돌기(53) 및 푸쉬돌기(52)의 후단부에 위치하여 배출되는 증기를 차단하기 위한 차단막(54)을 일체로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안착홈(42)은 뚜껑 손잡이(40)의 일측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다.
작동레버(80)는 그 선단부가 뚜껑 손잡이(40)의 측면으로 돌출되며, 후단부의 저면이 만곡지게 형성된다.
슬라이드돌기(53)는 슬라이드돌기와 접촉하는 상단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차단막(54)은 배출되는 내부압을 차단할수 있도록 평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밥이 증숙된 다음 뚜껑(20)을 열기 위하여 사용자가 본체 및 뚜껑 손잡이(30,40)를 잡고, 엄지 손가락으로 작동레버(80)를 들어 올리면, 도 4 및 도 5와 같이 작동레버는 그 선단부가 회동하여 상측으로 90°입설된다.
이때, 작동레버(80)의 후단부는 하측으로 회동하면서 푸쉬바(50)의 슬라이드돌기(53)와 슬라이딩 접촉하여 상기 슬라이드돌기를 밀게 된다.
따라서, 작동레버의 회동과 동시 푸쉬바(50)는 전진하게 되므로 안전바(90)의 가이드공(92)에 끼워진 푸쉬돌기(52)도 전진하여 고무패킹(60)을 밀게 된다.
따라서, 고무패킹(60)에 의해 밀폐되었던 압력밥솥 내부의 증기압이 기밀이 해제되는 순간 가이드공(92)을 통하여 배출된다.
이때, 스프링(70)은 압축되고, 로크돌기(51)는 가이드홈(31)의 선단부에 위치하여 본체 손잡이(30)로 부터 이탈이 가능한 상태로 위치한다.
또한, 푸쉬돌기(52)에 의해 배출된 내부압은 푸쉬바(50)의 차단막(54)에 의해 차단되어 손잡이 쪽으로 배출되지 못하고 측방향으로 배출된다.
이어서, 밥솥 내의 증기압이 배출되면, 곧바로 뚜껑(20)을 회전시켜 개방하면 된다.
상기 동작중, 안전바(90)는 작동레버(80)의 회동 여부에 관계없이 항상 스프링(70)의 탄성력에 의해 그 선단의 안착용 돌기(91)가 패킹(60)을 압착하게 되므로 뚜껑(20)을 여닫는 과정에서 뚜껑이 완전히 닫히기 전에는 압력이 새는 구조를 갖게 되어 불완전하게 닫히고, 음식물을 조리할 시에는 폭발 및 안전사고를 방지하게 된다.
뚜껑을 완전히 닫으면, 안전바의 돌기(91)가 몸체에 형성된 치절부(11)의 돌출부를 타고 들어가 패킹(60)이 원위치 할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게 되며, 작동레버를 하측으로 내리면 푸쉬바(50)가 스프링(70)의 탄성력에 의해 후진하므로 비로소 패킹이 원위치되어 밥솥 내부를 밀폐시킨다.
뚜겅(20)을 닫을때는 역동작으로 실시하면 된다.
즉, 작동레버(80)를 세운 상태에서 본체(10) 상단에 안착된 뚜껑(20)을 원위치 까지 회전시킨 다음 작동레버(80)를 수평위치까지 하측으로 회동시키면 된다.
이렇게 하면, 작동레버에 의해 구속되었던 푸쉬바(50)의 록킹 상태가 해제됨과 동시 압축되었던 스프링(70)의 탄발력에 의해 푸쉬바가 후진하여 윈위치로 복귀하므로 고무패킹(60)과 푸쉬돌기(52)의 접촉이 해제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압력밥솥의 증기압을 배출시키기 위한 작동레버를 상하 회동이 가능한 업-다운(Up-Down) 방식으로 개선하여 밥이 증숙된 다음 상기 작동레버를 상측으로 90°회동시켜 주면, 푸쉬바의 연동에 의해 내부압이 배출되므로 밥솥 내부의 증기압에 관계없이 뚜껑을 안전하게 개폐할수 있다.
또한, 내부압이 과다한 상태에서도 뚜껑이 열리지 않고, 차단막에 의해 배출되는 증기압이 손잡이 쪽으로 유입되지 않으므로 폐놀수지재의 손잡이에 열충격이 발생하지 않아 파손 및 손상 등을 미연에 방지할수 있는 효과가 있다.
결국, 본 고안은 뚜껑 개폐가 용이하고, 조리 후 내부압이 뚜껑에서 배출될 때 고온의 증기에 의해 화상을 입을 염려가 없기 때문에 사용상의 안전성 및 편리성이 증대된 효과가 있다.
또한, 푸쉬바에 형성된 차단막이 배출되는 증기압을 차단하여 폐놀수지재의 손잡이에 가해지는 열충격 및 이로 인한 손상을 방지하게 되므로 내구성이 증진되며, 부품의 최소화 및 단순화로 원가절감에도 기여할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본체(10)와 뚜껑(20)에 가이드홈(31) 및 괘지홈(41)을 갖는 손잡이(30,40)가 부착되고, 상기 괘지홈 내에는 가이드홈에 끼워지는 록크돌기(51) 및 고무패킹(60)을 밀어주기 위한 선단의 푸쉬돌기(52)에 스프링(70)이 탄설된 푸쉬바(50)가 내장되며, 상기 본체와 뚜껑 사이에 밀폐수단인 고무패킹(60)이 설치되는 압력밥솥에 있어서,
    상기 두껑 손잡이(40)의 일측면 상단에 안착홈(42)을 형성하여 저면이 만곡진 작동레버(80)를 상하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푸쉬바(50)의 후면에는 상기 작동레버와 경사지게 접촉하는 슬라이드돌기(53) 및 상기 푸쉬돌기(52)의 후단부에 차단막(54)을 일체로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밥솥의 뚜껑 개폐장치.
KR2020000000638U 2000-01-11 2000-01-11 압력밥솥의 뚜껑 개폐장치 KR2001880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0638U KR200188018Y1 (ko) 2000-01-11 2000-01-11 압력밥솥의 뚜껑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0638U KR200188018Y1 (ko) 2000-01-11 2000-01-11 압력밥솥의 뚜껑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8018Y1 true KR200188018Y1 (ko) 2000-07-15

Family

ID=19636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0638U KR200188018Y1 (ko) 2000-01-11 2000-01-11 압력밥솥의 뚜껑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801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2643B1 (ko) * 2010-08-02 2013-01-16 주식회사 리홈 중탕기의 뚜껑 개방 방지 구조체
KR101226211B1 (ko) 2008-10-30 2013-01-28 휘슬러 게엠베하 압력 용기
KR20190007539A (ko) 2017-06-15 2019-01-23 주식회사 피엔풍년 압력밥솥 안전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6211B1 (ko) 2008-10-30 2013-01-28 휘슬러 게엠베하 압력 용기
KR101222643B1 (ko) * 2010-08-02 2013-01-16 주식회사 리홈 중탕기의 뚜껑 개방 방지 구조체
KR20190007539A (ko) 2017-06-15 2019-01-23 주식회사 피엔풍년 압력밥솥 안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2111B1 (ko) 취사용기용 돌솥뚜껑
BR102013017876A2 (pt) Utensílio de cozimento para cozinhar alimentos sob pressão que tem um dispositivo de controle aprimorado
FR2700825A1 (fr) Dispositif de commande automatique d'une soupape à limitation de flux.
CN109398926B (zh) 盖单元以及饮料用容器
WO2005074767A1 (en) Apparatus for sealing pressure container
KR200188018Y1 (ko) 압력밥솥의 뚜껑 개폐장치
FI60966C (fi) Aongtryckkokapparat
CH638388A5 (it) Dispositivo automatico di bloccaggio del coperchio di una pentola a pressione.
KR101818951B1 (ko) 압력뚜껑 자동안전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압력조리기
KR20130019614A (ko) 양방향 진공포장기
KR0136289Y1 (ko) 압력솥 안전 개폐장치
KR100736780B1 (ko) 전기압력조리기의 안전장치
JPS6018176Y2 (ja) 圧力調理器
CN214104146U (zh) 一种合盖安全防护装置及压力锅
CN217118136U (zh) 烹饪器具
CN218186312U (zh) 一种带安全开合盖及残留压力解除装置的压力锅
CN211408571U (zh) 烹饪器具
CN217066048U (zh) 盖体组件及具有其的烹饪器具
CN214104145U (zh) 一种开合盖安全结构及压力锅
KR200253622Y1 (ko) 압력조리기의뚜껑열림보조장치
KR0126566Y1 (ko) 전기압력밥솥의 뚜껑개폐 안전장치
CN218164863U (zh) 烹饪器具
CN209826269U (zh) 具有防水功能的开盖自锁压力锅
KR200238984Y1 (ko) 조작이 간편하고 안전한 압력용기
KR200174823Y1 (ko) 자동차용 주입구 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2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