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7640A - 온수 취출 장치 - Google Patents

온수 취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7640A
KR20100107640A KR1020090025819A KR20090025819A KR20100107640A KR 20100107640 A KR20100107640 A KR 20100107640A KR 1020090025819 A KR1020090025819 A KR 1020090025819A KR 20090025819 A KR20090025819 A KR 20090025819A KR 20100107640 A KR20100107640 A KR 201001076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lever
opening
hot water
push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5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창수
노진환
김철호
김범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25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07640A/ko
Publication of KR20100107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76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7Flow control valves: Damping or calibrated pass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6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taps or co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5/00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해 화상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온수 취출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온수 취출 장치는, 배수관에 결합되고, 출수구가 형성되는 밸브 하우징; 상기 밸브 하우징에 결합되고, 제1후크부가 형성된 버튼부; 상기 밸브 하우징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버튼부가 가압되었을 때에 상기 버튼부의 제1후크부와 결합되는 제2후크부가 형성되는 레버 로드; 상기 레버 로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레버 로드를 승강시키는 레버; 상기 버튼부에 의해 왕복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레버 로드와 함께 승강되도록 상기 레버 로드에 결합되는 푸시 로드; 및 상기 레버 로드와 독립적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푸시 로드가 상승되고 상기 푸시 로드가 푸시 버튼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상승되어 상기 출수구를 개방시키는 개폐부재;를 포함한다.
Figure P1020090025819
온수 취출 장치, 후크부

Description

온수 취출 장치{APPARATUS FOR DISCHARGING HOT WATER}
본 발명은 온수를 취출할 수 있는 온수 취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는 깨끗한 식수를 취수할 수 있도록 정수기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정수기에서는 냉수 또는/및 온수를 선택적으로 취출할 수 있다.
상기 정수기에는 냉수를 취출하기 위한 냉수 취출 코크 또는/및 온수 취출 코크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냉수 취출 코크 또는 온수 취출 코크를 선택적으로 조작하여 냉수나 온수를 취출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정수기의 온수 취출 코크는 사용자의 부주의로 노약자의 주의력 부족으로 인한 조작에 의해 온수가 토출될 수 있으므로 화상 등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부주의나 노약자의 주의력 부족으로 인하여 온수 취출 장치가 조작되더라도 온수가 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온수 취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온수 취출 장치는, 배수관에 결합되고, 출수구가 형성되는 밸브 하우징; 상기 밸브 하우징에 결합되고, 제1후크부가 형성된 버튼부; 상기 밸브 하우징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버튼부가 가압되었을 때에 상기 버튼부의 제1후크부와 결합되는 제2후크부가 형성되는 레버 로드; 상기 레버 로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레버 로드를 승강시키는 레버; 상기 버튼부에 의해 왕복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레버 로드와 함께 승강되도록 상기 레버 로드에 결합되는 푸시 로드; 및 상기 레버 로드와 독립적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푸시 로드가 상승되고 상기 푸시 로드가 푸시 버튼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상승되어 상기 출수구를 개방시키는 개폐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2후크부는 상기 레버 로드가 하강된 상태에서는 제1후크부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레버 로드가 상승된 상태에서는 제1후크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2후크는 상기 버튼부가 가압되고 상기 레버 로드가 상승된 상태에 서만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레버 로드의 하부에는 상기 푸시 로드가 왕복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버튼부 측에는 제2후크부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의 하부에는 상기 개폐부재가 헐겁게 끼워질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에는 승강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푸시 로드에는 상기 푸시 로드가 가압되었을 때에 상기 승강 리브를 가압하여 상기 개폐부재를 상측으로 밀어올리는 가압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레버 로드와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승강 리브가 형성된 개폐 로드; 및 상기 개폐 로드의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출수구를 개폐시키는 실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 리브와 가압 리브의 대향면에는 경사면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 리브의 상면은, 상기 푸시 로드가 하강된 때에 상기 승강 리브의 하면보다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푸시 로드가 상승된 때에 상기 승강 리브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부주의나 노약자의 주의력 부족로 온수 취출 코크가 조작되더라도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온수의 취출 압력을 항상 거의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온수 취출 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온수 취출 장치는 온수가 취출되는 정수기, 이온수기, 가전제품 등과 같은 온수 처리 기기에 적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수 취출 장치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고, 도 2는 온수 취출 장치에서 레버 로드, 푸시 로드 및 개폐부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3은 온수 취출 장치에서 레버 로드, 개폐부재 및 푸시 로드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고, 도 4는 온수 취출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온수 취출 장치(100)는, 배수관(미도시)에 결합되고 유로가 형성된 밸브 하우징(110)과, 상기 밸브 하우징(110)에 결합되는 버튼부(120)와, 상기 밸브 하우징(110)의 내부에 결합되는 레버 로드(140)와, 상기 레버 로드(1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버(150)와, 상기 버튼부(120)에 의해 왕복 가능하게 설치되는 푸시 로드(160)와, 상기 레버 로드(140)와 독립적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부재(170)를 포함한다.
상기 밸브 하우징(110)은 파이프 형태의 커넥터(10)에 의해 배수관(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밸브 하우징(110)의 내측면과 커넥터(10)의 외측면에는 나사선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밸브 하우징(110)을 회전시킴에 의해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배수관은 온수가 저장되는 온수 탱크(미도시) 또는 유동되는 상태의 온 수를 가열하도록 히터가 설치된 파이프 형태의 가열장치(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밸브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상기 커넥터(10)와 연결되는 온수 유입 챔버(111)와, 상기 온수 유입 챔버(111)와 연결된 온수 토출 챔버(112)가 형성된다. 상기 온수 유입 챔버(111)는 커넥터(10)와 대략 평행한 공간이고, 상기 온수 토출 챔버(112)는 온수 유입 챔버(111)에 대략 수직한 공간이다. 여기서, 상기 온수 유입 챔버(111)와 온수 토출 챔버(112)는 하나의 유로를 이룬다.
상기 밸브 하우징(110)에는 배수관을 통해 유입된 온수가 취출될 수 있도록 출수구(113)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출수구(113)는 온수 토출 챔버(112)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수구(113)의 테두리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링 형태의 누수 방지 리브(11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누수 방지 리브(114)의 단면은 끝단부가 뽀죡한 쐐기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밸브 하우징(110)의 온수 토출 챔버(112)에는 버튼부 결합홀(11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튼부 결합홀(116)은 사용자의 접근이 용이하도록 밸브 하우징(110)의 전방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튼부 결합홀(116)에는 버튼부(120)가 결합된다. 상기 버튼부(120)에는 버튼 실링캡(121), 버튼캡(123), 버튼 프레임(125) 및 가압부재(126)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버튼부 결합홀(116)에는 온수 토출 챔버(112)의 온수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버튼 실링캡(121)이 결합된다. 이때, 상기 버튼 실링캡(121)의 테두리에는 상기 버튼부 결합홀(116)의 테두리에 끼워질 수 있도록 플랜지 형상의 스커트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버튼 실링캡(121)은 플랙시블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튼 실링캡(121)의 외측에는 버튼캡(123)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튼부 결합홀(116)의 테두리에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된 버튼 프레임(125)이 결합된다. 이때, 상기 버튼 프레임(125)의 테두리에는 구속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버튼캡(123)의 테두리에는 버튼캡(123)이 버튼 프레임(125)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구속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튼부 결합홀(116)에는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가압부재(126)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압부재(126)는 상기 버튼 실링캡(121)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126)에는 상기 푸시 로드(160)가 승강 가능하도록 상기 푸시 로드(160)가 승강되는 높이 이상의 승강홀(17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튼부(126)에는 제1후크부(128)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후크부(128)는 가압부재(126)에서 연장되어 외측으로 절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수 유입 챔버(111)에는 상기 푸시 로드(160)의 버튼부(120) 반대측을 지지하도록 서포터(13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포터(130)에는 상기 서포터(130)를 버튼부(120) 측으로 밀도록 탄성부재(131)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포터(130)는 커넥터(10)의 내부에 왕복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서포터(130)에는 탄성부재(131)가 끼워진다.
상기 서포터(130)의 외측면에는 상기 밸브 하우징(110)의 온수 유입 챔버(111)를 따라 왕복 가능하도록 리브(133)가 형성되고, 상기 밸브 하우징(110)의 내측면에는 상기 서포터(130)의 리브(133)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슬라이딩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홈은 온수 유입 챔버(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포터(130)는 밸브 하우징(110)의 내측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온수 유입 챔버(111)의 온수가 상기 온수 토출 챔버(112)에 유입되도록 한다. 이러한 서포터(130)에는 온수 유입 챔버(111)와 온수 토출 챔버(112) 사이를 밀폐시키기 위한 실링부재가 설치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온수 유입 챔버(111)와 온수 토출 챔버(112)에는 항상 온수가 채워진 상태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포터(130)에는 온수 유입 챔버(111)와 온수 토출 챔버(112)를 구분하여 실링하기 위한 실링부재가 설치되지 않으므로, 상기 온수 토출 챔버(112)에는 항상 거의 동일한 수압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온수가 거의 동일한 압력으로 취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화상 위험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밸브 하우징(110)의 온수 토출 챔버(112) 상측에는 레버 로드 결합홀(11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버 로드 결합홀(117)에는 온수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실링캡(151)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실링캡(151)은 대략 원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버 로드 결합홀(117)의 테두리에는 커버(153)가 설치된다. 이때, 상 기 레버 로드 결합홀(117)의 외측면과 상기 커버(153)의 내측면에는 각각 나사선이 형성되어 상기 커버(153)를 회전시켜 상기 레버 로드 결합홀(117)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153)에는 상기 레버 로드(140)가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홀이 형성된다.
상기 레버(150)는 레버 로드(140)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핀(155)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레버(150)가 힌지핀(155)을 중심으로 회전됨에 의해 상기 레버 로드(140)를 승강시킨다.
상기 레버 로드(140)의 하부에는 상기 푸시 로드(160)가 왕복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가이드부(14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141)는 양측이 개방된 형태의 사각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141)는 레버 로드(140)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버 로드(140)에는 상기 버튼부(120)가 가압되었을 때에 상기 버튼부(120)의 제1후크부(128)와 결합되도록 제2후크부(148)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후크부(148)는 가이드부(141)의 버튼부(120) 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후크부(148)는 가이드부(141)의 중심측으로 절곡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후크부(148)는 상기 레버 로드(140)가 하강된 상태에서는 제1후크부(128)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레버 로드(140)가 상승된 상태에서는 제1후크부(128)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2후크부(128,148)는 상기 버튼부(120)가 가압되고 상기 레버 로드(140)가 상승된 상태에서만 서로 결합되어 상기 버튼부(120)와 푸시 로드(160)가 원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가이드부(141)의 하부에는 상기 개폐부재(170)가 헐겁게 끼워지도록 삽입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개폐부재(170)는 삽입홀에 헐겁게 끼워짐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141)와 독립적으로 승강하게 된다.
상기 개폐부재(170)에는 상기 푸시 로드(160)가 승강되는 높이 이상의 승강홀(17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푸시 로드(160)는 개폐부재(170)에 수직한 상태로 삽입되고, 상기 개폐부재(170)는 상기 레버 로드(140)의 가이드부(141)에 레버 로드(140)와 평행하게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푸시 로드(160)는 개폐부재(170)의 승강홀(174)과 상기 가이드부(141)에 2중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푸시 로드(160)는 상기 개폐부재(170)와는 독립적으로 승강되는 반면 상기 레버 로드(140)와는 함께 승강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개폐부재(170)는 상기 푸시 로드(160)가 상승되고 상기 푸시 로드(160)가 버튼부(120)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상승되어 상기 출수구(113)를 개방시킨다.
상기 개폐부재(170)는 상기 레버 로드(140)와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개폐 로드(171)와, 상기 개폐 로드(171)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출수구(113)를 개폐시키는 실링부재(17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폐 로드(171)에는 상기 개폐 로드(171)를 출수구(113) 측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탄성부재(177)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링부재(175)는 탄성부재(177)에 의해 상기 누수 방지 리브(114)에 가압되어 상기 온수 토출 챔버(112)를 실링한다.
상기 레버 로드(140)와 개폐부재(170)는 동일축을 이루고, 상기 푸시 로드(160)는 레버 로드(140)와 대략 직교한 축을 이룬다.
상기 개폐부재(170)의 개폐 로드(171)에는 승강 리브(17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 리브(172)는 개폐 로드(171)의 승강홀(174) 양측에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승강 리브(172)의 버튼부(120)측 일면에는 경사면(163,173)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푸시 로드(160)에는 상기 푸시 로드(160)가 가압되었을 때에 상기 승강 리브(172)를 가압하여 상기 개폐부재(170)를 상측으로 밀어올리는 가압 리브(16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 리브(161)는 푸시 로드(160)의 양측으로 돌출된 후 푸시 로드(160)의 길이방향으로 절곡된 형태를 갖는다.
이때, 상기 가압 리브(161)의 상면은, 상기 푸시 로드(160)가 하강된 때에 상기 승강 리브(172)의 하면보다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푸시 로드(160)가 상승된 때에 상기 승강 리브(172)와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푸시 로드(160)가 상승되고 상기 레버(150)가 가압된 상태에서만 상기 개폐 로드(171)와 실링부재(175)가 상승하여 상기 출수구(113)를 개방시키게 된다.
상기 가압 리브(161)에는 상기 승강 리브(172)의 대향되는 면에 경사면(163)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푸시 로드(160)가 상승되고 가압되면, 상기 가압 리브(161)와 승강 리브(172)의 경사면(163)이 마찰됨에 의해 상기 가압 리브(161)가 승강 리브(172)를 원활하게 밀어 올리게 된다.
또한, 상기 승강 리브(172)는 개폐 로드(171)의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가압 리브(161)는 푸시 로드(160)의 양측에 형성되므로, 상기 가압 리브(161)가 승강 리 브(172)를 밀어 올릴 때에 상기 개폐 로드(171)가 수직하게 상승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개폐 로드(171)가 안정되게 승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온수 취출 장치의 작용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온수 취출 장치에서 버튼부는 가압되고 레버는 가압되지 않았을 경우에 제1,2후크부의 이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고, 도 6은 온수 취출 장치에서 버튼부는 가압되고 레버는 가압되지 않았을 경우에 레버 로드, 푸시 로드 및 개폐부재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버튼부(120)가 가압되고 상기 레버(150)가 가압되지 않는 경우, 상기 버튼캡(123)은 버튼 프레임(125)의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푸시 로드(160)는 가압부재(126)에 의해 온수 유입 챔버(111)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서포터(130)는 푸시 로드(160)의 가압에 의해 후퇴된다.
이때, 상기 푸시 로드(160)는 하강된 상태이므로 상기 가압 리브(161)의 상면은 승강 리브(172)의 하면 아래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푸시 로드(160)가 가압되더라도 상기 개폐 로드(171)의 승강 리브(172)를 상측으로 밀어 올리지 못하게 되므로, 상기 실링부재(175)는 밸브 하우징(110)의 출수구(113)를 폐쇄시키는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레버 로드(140)가 하강된 상태이므로, 상기 버튼부(120)의 제1후크부(128)는 상기 레버 로드(140)의 제2후크부(148)의 상측에 위치된다. 이때, 상 기 가압부재(141)가 가압됨에 따라 상기 제1후크부(128)는 제2후크부(148)의 상측에서 이동되므로, 상기 제1,2후크부(128,148)는 서로 결합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버튼부(120)의 가압이 해제되면, 상기 버튼부(120)와 푸시 로드(160)는 서포터(130)의 탄성부재(131)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된다.
이와 같이, 상기 버튼부(120)만 가압되는 경우에는 상기 밸브 하우징(110)의 출수구(113)가 개방되지 않으므로, 상기 온수 취출 장치(100)에서 온수가 취수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나 노약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버튼부(120)가 눌러지더라도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온수 취출 장치에서 레버는 가압되고 버튼부는 가압되지 않았을 경우에 제1,2후크부의 이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고, 도 8은 온수 취출 장치에서 레버는 가압되고 버튼부는 가압되지 않았을 경우에 레버 로드, 푸시 로드 및 개폐부재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레버(150)가 가압되고 상기 버튼부(120)가 가압되지 않는 경우, 상기 레버(150)는 힌지핀(155)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레버 로드(140)는 상승하게 되고 상기 레버 로드(140)에 끼워진 탄성부재(145)는 상측으로 압축된다.
이때, 상기 레버 로드(140)는 상기 개폐 로드(171)와 독립적으로 승강할 수 있도록 상기 개폐 로드(171)와 헐겁게 결합되므로, 상기 레버 로드(140)가 상측으로 상승하더라도 상기 개폐 로드(171)는 상승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푸시 로드(160)는 개폐 로드(171)의 승강홀(174)의 상측으로 이동된다.
또한, 상기 푸시 로드(160)는 레버 로드(140)의 가이드부(141)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푸시 로드(160)의 양단부는 상기 가압부재(126)와 서포터(130)의 승강홈(127, 135)의 상측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푸시 로드(160)의 가압 리브(161)는 상기 레버 로드(140)의 승강 리브(172)와 나란한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레버 로드(140)가 상승되고 상기 버튼부(120)는 눌러지지 않은 상태이므로, 상기 레버 로드(140)의 제2후크부(148)는 상기 버튼부(120)의 제1후크부(128)와 서로 결합되지 않고 서로 대향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개폐 로드(171)에 끼워진 탄성부재(177)는 상기 개폐 로드(171)를 아래로 가압함에 의해 상기 실링부재(175)가 누수 감지 리브(114)를 압착한다. 따라서, 상기 개폐 로드(171)에 결합된 실링부재(175)는 출수구(113)를 폐쇄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레버(150)만이 가압되는 경우에는 상기 밸브 하우징(110)의 출수구(113)가 개방되지 않으므로, 상기 온수 취출 장치(100)에서 온수가 취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나 노약작의 부주의로 인하여 레버(150)가 눌러지더라도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온수 취출 장치에서 버튼부와 레버가 가압된 경우에 제1,2후크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고, 도 10은 온수 취출 장치에서 버튼부와 레버가 가압된 경우에 레버 로드, 푸시 로드 및 개폐부재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온수 취출 장치(100)는 버튼부(120)와 레 버(150)가 함께 가압될 때에만 출수구(113)가 개방된다. 아래에서는 버튼부(120)가 가압된 후 레버(150)가 가압되는 경우와, 상기 레버(150)가 가압된 후 버튼부(120)가 가압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물론, 상기 버튼부(120)와 레버(150)가 동시에 가압될 수도 있다.
먼저, 상기 버튼부(120)가 가압된 후 상기 레버(150)가 가압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푸시 로드(160)는 버튼부(120)에 의해 온수 유입 챔버(111)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서포터(130)는 푸시 로드(160)의 가압에 의해 후퇴된다. 이때, 상기 푸시 로드(160)의 가압 리브(161)는 상기 개폐 로드(171)의 승강 리브(172)의 하면과 접촉되거나 약간 아래에 위치된다.
이때, 상기 레버 로드(140)가 하강된 상태이므로, 상기 버튼부(120)가 가압되면 상기 제1후크부(128)는 상기 레버 로드(140)의 제2후크부(148) 상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제1,2후크부(128,148)는 아직 결합되지 않은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레버(150)가 가압되면, 상기 레버(150)가 힌지핀(155)을 중심으로 회전됨에 의해 상기 레버 로드(140)는 상승된다. 이때, 상기 푸시 로드(160)의 가압 리브(161)가 상기 개폐 로드(171)의 승강 리브(172)를 상측으로 밀어 올리므로, 상기 개폐 로드(171)와 실링부재(175)는 상승된다. 따라서, 상기 밸브 하우징(110)의 출수구(113)는 개방됨에 따라 온수 취출 장치(100)로부터 온수가 취출된다.
이때, 상기 제1후크부(128)가 제2후크부(148)의 상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 기 레버 로드(140)가 상승되면, 상기 레버 로드(140)의 제2후크부(148)가 상승되면서 상기 버튼부(120)의 제1후크부(128)와 결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버튼부(120)의 가압이 해제되더라도 상기 버튼부(120)와 푸시 로드(160)는 원위치로 복귀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레버(150)의 가압이 해제되면, 상기 레버 로드(140)가 하강된다. 이때, 상기 레버 로드(140)의 제2후크부(148)가 하강하게 되므로, 상기 버튼부(120)의 제1후크부(128)와 결합이 해제된다. 따라서, 상기 버튼부(120)와 푸시 로드(160)는 서포터(130)의 탄성부재(131)의 탄성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레버(150)가 가압된 후 상기 버튼부(120)가 가압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레버(150)가 가압되면, 상기 레버 로드(140)가 상승된다. 그리고, 상기 푸시 로드(160)는 레버 로드(140)에 의해 상승된다. 또한, 상기 푸시 로드(160)는 개폐 로드(171)의 승강홀(174)을 따라 이동되어 승강홀(174)의 상측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푸시 로드(160)의 양단부는 가압부재(126)와 서포터(130)의 승강홈(127)의 상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푸시 로드(160)의 가압 리브(161)는 상기 개폐 로드(171)의 승강 리브(172)와 대응되도록 위치된다.
이때, 상기 레버 로드(140)가 상승되고 상기 버튼부(120)는 아직 눌러지지 않은 상태이므로, 상기 레버 로드(140)의 제2후크부(148)는 상기 버튼부(120)의 제1후크부(128)와 서로 결합되지 않고 서로 대향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버튼부(120)가 가압되면, 상기 푸시 로드(160)는 온수 유입 챔 버(111)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푸시 로드(160)의 가압 리브(161)는 상기 개폐 로드(171)의 승강 리브(172)를 가압한다. 이때, 상기 가압 리브(161)의 경사면(163)과 개폐 로드(171)의 경사면(163)이 마찰되므로, 상기 푸시 로드(160)의 가압 리브(161)는 개폐 로드(171)와 실링부재(175)를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상기 밸브 하우징(110)의 출수구(113)가 개방됨에 따라 온수 취출 장치(100)로부터 온수가 취출된다.
또한, 상기 버튼부(120)의 제1후크부(128)는 버튼부(120)가 가압됨에 따라 상기 레버 로드(140)의 제2후크부(148) 사이로 밀고 들어간다. 이때, 상기 제1후크부(128)는 탄성 변형된 후 제2후크부(148)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버튼부(120)가 계속적으로 가압되지 않더라도 상기 버튼부(120)와 푸시 로드(160)가 원위치로 이동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레버(150)의 가압이 해제되면, 상기 레버 로드(140)가 하강된다. 이때, 상기 레버 로드(140)의 제2후크부(148)가 하강하게 되므로, 상기 버튼부(120)의 제1후크부(128)와 결합이 해제된다. 따라서, 상기 버튼부(120)와 푸시 로드(160)는 서포터(130)의 탄성부재(131)의 탄성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재(170)의 실링부재(175)는 개폐 로드(171)에 끼워진 탄성부재(177)에 의해 출수구(113)를 실링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버튼부(120)와 레버(150)가 함께 가압될 때에만 상기 온수 취출 장치(100)로부터 온수를 취출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가 온수 취출을 의도할 때에만 버튼부(120)와 레버(150)가 함께 눌러지도록 하여 화상의 위험성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부주의나 노약자의 주의력 부족으로 인하여 온수 취출 장치가 조작되더라도 온수가 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산업상으로 현저한 이용 가능성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수 취출 장치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온수 취출 장치에서 레버 로드, 푸시 로드 및 개폐부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온수 취출 장치에서 레버 로드, 개폐부재 및 푸시 로드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온수 취출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온수 취출 장치에서 버튼부는 가압되고 레버는 가압되지 않았을 경우에 제1,2후크부의 이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온수 취출 장치에서 버튼부는 가압되고 레버는 가압되지 않았을 경우에 레버 로드, 푸시 로드 및 개폐부재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온수 취출 장치에서 레버는 가압되고 버튼부는 가압되지 않았을 경우에 제1,2후크부의 이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온수 취출 장치에서 레버는 가압되고 버튼부는 가압되지 않았을 경우에 레버 로드, 푸시 로드 및 개폐부재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의 온수 취출 장치에서 버튼부와 레버가 가압된 경우에 제1,2후크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의 온수 취출 장치에서 버튼부와 레버가 가압된 경우에 레버 로 드, 푸시 로드 및 개폐부재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밸브 하우징 111: 온수 유입 챔버
112: 온수 토출 챔버 119: 걸림턱
120: 버튼부 126: 가압부재
127, 135: 승강홈 128: 제1후크부
130: 서포터 140: 레버 로드
141: 가이드부 148: 제2후크부
150: 레버 160: 푸시 로드
161: 가압 리브 163, 173: 경사면
165: 스토퍼 170: 개폐부재
171: 개폐 로드 172: 승강 리브
174: 승강홀 175: 실링부재

Claims (8)

  1. 배수관에 결합되고, 출수구가 형성되는 밸브 하우징;
    상기 밸브 하우징에 결합되고, 제1후크부가 형성된 버튼부;
    상기 밸브 하우징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버튼부가 가압되었을 때에 상기 버튼부의 제1후크부와 결합되는 제2후크부가 형성되는 레버 로드;
    상기 레버 로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레버 로드를 승강시키는 레버;
    상기 버튼부에 의해 왕복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레버 로드와 함께 승강되도록 상기 레버 로드에 결합되는 푸시 로드; 및
    상기 레버 로드와 독립적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푸시 로드가 상승되고 상기 푸시 로드가 푸시 버튼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상승되어 상기 출수구를 개방시키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온수 취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후크부는 상기 레버 로드가 하강된 상태에서는 제1후크부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레버 로드가 상승된 상태에서는 제1후크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취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후크는 상기 버튼부가 가압되고 상기 레버 로드가 상승된 상태에서만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취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로드의 하부에는 상기 푸시 로드가 왕복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버튼부 측에는 제2후크부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의 하부에는 상기 개폐부재가 헐겁게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취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에는 승강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푸시 로드에는 상기 푸시 로드가 가압되었을 때에 상기 승강 리브를 가압하여 상기 개폐부재를 상측으로 밀어올리는 가압 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취출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레버 로드와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승강 리브가 형성된 개폐 로드; 및
    상기 개폐 로드의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출수구를 개폐시키는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취출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리브와 가압 리브의 대향면에는 경사면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취출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리브의 상면은, 상기 푸시 로드가 하강된 때에 상기 승강 리브의 하면보다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푸시 로드가 상승된 때에 상기 승강 리브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취출 장치.
KR1020090025819A 2009-03-26 2009-03-26 온수 취출 장치 KR201001076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5819A KR20100107640A (ko) 2009-03-26 2009-03-26 온수 취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5819A KR20100107640A (ko) 2009-03-26 2009-03-26 온수 취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7640A true KR20100107640A (ko) 2010-10-06

Family

ID=43129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5819A KR20100107640A (ko) 2009-03-26 2009-03-26 온수 취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0764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2527B1 (ko) * 2015-07-02 2017-01-04 주식회사 진텍 코크 안전장치
KR101726831B1 (ko) * 2015-11-10 2017-04-13 (주)원봉 코크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온수기
KR20170051917A (ko) * 2015-11-03 2017-05-12 코웨이 주식회사 물배출구의 잔수배출방지구조
KR20210016879A (ko) * 2019-08-05 2021-02-17 (주)피티에스 냉온수 선택버튼을 구비한 코크 모듈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2527B1 (ko) * 2015-07-02 2017-01-04 주식회사 진텍 코크 안전장치
KR20170051917A (ko) * 2015-11-03 2017-05-12 코웨이 주식회사 물배출구의 잔수배출방지구조
KR101726831B1 (ko) * 2015-11-10 2017-04-13 (주)원봉 코크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온수기
KR20210016879A (ko) * 2019-08-05 2021-02-17 (주)피티에스 냉온수 선택버튼을 구비한 코크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0713Y1 (ko) 냉온수기의 온수밸브
KR20100107640A (ko) 온수 취출 장치
KR101324110B1 (ko) 절약형 펌프식 용기
WO2019033514A1 (zh) 一种具有回吸功能的乳液泵
KR100702675B1 (ko) 정수기용 온수코크
KR101120358B1 (ko) 온수용 안전코크
KR100996439B1 (ko) 화장품용기의 노즐개폐장치
KR101303923B1 (ko) 냉온수기 및 정수기용 터치 세이프티 코크 밸브
KR20100095844A (ko) 온수 취출 장치
CN201223287Y (zh) 一种高压水壶
KR20100107150A (ko) 온수 취출 장치
KR20100078571A (ko) 정수기용 안전온수코크밸브
KR100912323B1 (ko) 정수기용 온수 코크 밸브
KR20100095845A (ko) 온수 취출 장치
KR20100127514A (ko) 온수 취출 장치
KR100896798B1 (ko) 정수기용 이중 안전 코크
CN202658678U (zh) 电子感应排水器
KR20090062972A (ko) 정수기용 안전 온수 코크 밸브
KR101681018B1 (ko) 파우더 토출 용기
KR200353418Y1 (ko) 정수기용 온수코크
KR200282740Y1 (ko) 화장품 용기용 디스펜서의 내용물 배출장치
KR20120031559A (ko) 냉온수기
KR20130076713A (ko) 물배출장치
KR200444719Y1 (ko) 보온병마개
KR100864374B1 (ko) 냉온수기용 안전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