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7773B1 - 정수기의 취수꼭지 - Google Patents

정수기의 취수꼭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7773B1
KR100797773B1 KR1020070111334A KR20070111334A KR100797773B1 KR 100797773 B1 KR100797773 B1 KR 100797773B1 KR 1020070111334 A KR1020070111334 A KR 1020070111334A KR 20070111334 A KR20070111334 A KR 20070111334A KR 100797773 B1 KR100797773 B1 KR 1007977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et
water
cylinder
channel
water pur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1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쿨환경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쿨환경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쿨환경산업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7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7773B1/ko
Priority to PCT/KR2008/001316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9005206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9/20Pillar fountains or like apparatus for dispensing drinking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 F16K11/065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linearly sliding closure members
    • F16K11/07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linearly sliding closure members with cylindrical slides
    • F16K11/071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linearly sliding closure members with cylindrical slides with fluid passages through the valv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F16K31/602Pivoting levers, e.g. single-side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06Mounted on or being part of a faucet, shower handle or showerhead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기에 설치되어 정수기의 물을 외부로 공급하게 되는 정수기의 취수꼭지가 제공된다. 이에 같은 정수기의 취수꼭지는 정수기의 물이 흘러 나오는 취수구가 하측 방향 뿐만 아니라 측 방향으로도 형성되어 정수기의 물이 용기의 크기에 상관없이 다양한 크기의 용기에 취수되는 한편, 필요시에는 용기와 같은 별도의 취수도구없이 정수기의 물을 사용자가 직접 간편하게 음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취수꼭지는 몸체와, 조절부재로 이루어진다. 몸체는 정수기의 본체와 연결되어 물이 통과되는 유입공이 일측에 형성되고, 하단에 형성된 하방 취수구와 측면에 형성된 측방 취수구가 상기 유입공과 내부에서 연결되어 있다. 조절부재는 몸체에 설치되어 유입공을 개폐시키고, 하방 취수구 및 측방 취수구가 유입공과 독립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방 수로와 측방 수로가 서로 분리되어 형성되며, 개방된 유입공을 통과하는 정수기의 물이 하방 수로를 통해 하방 취수구로 배출되거나 측방 수로를 통해 측방 취수구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정수기의 물이 하방 취수구와 측방 취수구에 의해 용기에 취수될 뿐만 아니라, 측방 취수구에 의해 직접 음용될 수 있게 된다.
정수기, 취수꼭지, 취수구, 몸체, 조절부재, 실린더, 레버, 스프링

Description

정수기의 취수꼭지{A purifier faucet}
본 발명은 정수기의 취수꼭지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정수기의 물이 흘러 나오는 취수구가 하측 방향 뿐만 아니라 측 방향으로도 형성되어 정수기의 물이 용기의 크기에 상관없이 다양한 크기의 용기에 취수되는 한편, 필요시에는 용기와 같은 별도의 취수도구없이 정수기의 물을 사용자가 직접 간편하게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정수기의 취수꼭지에 관한 것이다.
정수기는 보건위생을 위하여 물에 포함된 불순물이나 유해물질을 제거하여 깨끗한 상태의 물이 제공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정수기는 일반적으로 별도로 구비되어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물탱크나, 상수도 시설과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아 정수하는 정수기 본체와, 상기 정수기 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정수기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외부로 배출하는 취수꼭지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종래 정수기의 취수꼭지는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취수구가 구비되어 하측으로 물이 배출되도록 하였는데, 이에 따라, 종래 정수기에서는 상기 취수구에 하측에 컵, 주전자, 그릇과 같은 용기를 위치시켜 물을 받아서 사용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정수기에 설치된 취수구는 정수기 본체에 근접되어 하측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크기가 큰 용기를 취수구 하측에 놓고 사용하기가 어려웠으며, 컵과 같은 용기가 없을 시에는 정수기의 물은 직접 음용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학교, 회사, 목욕탕과 같은 공공시설물에서는 정수기의 물을 항시 음용할 수 있도록 일회용 종이컵을 배치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종이컵의 사용량을 증대시켜 자원의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학교에서는 종이컵의 배급이 잘 되지 않아 개인적으로 컵, 물통 등의 용기를 준비하여 취수하게 되는데, 상기 컵, 물통 등의 용기가 준비되지 않은 학생은 억지로 취수구 아래에 입을 대고 정수기의 물을 음용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는 상당히 불편할 뿐만 아니라 비위생적이며, 정수기의 취수꼭지의 고장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이에 따라, 크기가 큰 용기를 사용하여도 정수기의 물을 용이하게 취수할 수 있고, 용기가 없을 경우에도 정수기의 물을 사용자가 직접 음용할 수 있는 정수기의 취수꼭지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인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2003-0061028호 "정수기 취수꼭지 조절기",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73904호 "정수기의 각도조절형 취수밸브" 등이 현재 안출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2003-0061028호 "정수기 취수꼭지 조절기"는 정수기 본체의 전면에 취수꼭지가 설치된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부착되어 저장탱크와 연결되는 연결부에 부착된 외부파이프와 이 외부파이프로부터 이송수단에 의해 소정길이로 이송되는 내부파이프에 의해 정수기 취수부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탁상형 정수기에서 취수꼭지에 길이조절기능을 갖도록 구성하여 일반적인 높이의 용기에 취수를 이를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큰 주전자나 긴 용기 등을 편리하고 안정하며 자유롭게 물을 취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정수기 취수꼭지 조절기는 취수꼭지가 종래 정수기의 취수꼭지와 동일하게 하측 방향을 향해 있음에 따라 용기가 없을 시 사용자의 직접 정수기의 물을 음용하는데에는 어려움이 많았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73904호 "정수기의 각도조절형 취수밸브"는 정수기의 저장탱크 물이 이동하기 위한 수평유로가 형성된 관로부와, 상기 관로부를 통하여 전달된 물을 배출하기 위한 수직유로가 형성되어 상기 관로부 선단에 설치된 배출부와, 상기 배출부에 형성된 수직유로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부재로 이루어진 정수기용 취수밸브에 있어서, 상기 관로부 일단에서 배출부가 상호 힌지연결되어 상기 배출부가 상기 관로부 일단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각도조절수단과; 상기 각도조절수단에 의해 배출부의 회전시 발생되는 관로부와 배출부의 가변적인 유격을 차폐하도록 상기 관로부와 배출부의 사이에 설치된 신축성을 갖는 차단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정수기의 각도조절형 취수밸브는 취수시 배출부의 각도를 변경하여 취출구를 용기쪽에 맞출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용기에 취수함에 따른 불편을 해소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다른 부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정수기의 각도조절형 취수밸브는 일정범위 내에서만 각도조절이 가능하여 여전히 사용자가 용기를 사용하지 않고 정수기의 물을 직접 음용하는데 어려움이 있었으며, 취수밸브를 수시로 각도조절하는 과정에서 취수밸브의 강도가 점차 약해져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공원과 같은 야외시설물에는 취수구가 상측을 향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간편하게 취수구에 입을 대고 물을 음용할 수 있는 취수대가 설치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와 같이 야외에 설치되는 취수대와 같이 사용자가 간편하게 취수구에 입을 대고 물을 음용할 수 있는 기능을 정수기의 취수꼭지에 적용시키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정수기의 물이 흘러 나오는 취수구가 하측 방향 뿐만 아니라 측 방향으로도 형성되어 정수기의 물이 용기의 크기에 상관없이 다양한 크기의 용기에 취수되는 한편, 필요시에는 용기와 같은 별도의 취수도구없이 정수기의 물을 사용자가 직접 간편하게 음용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정수기의 취수꼭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정수기의 본체와 연결되어 물이 통과되는 유입공이 일측에 형성되고, 하단에 형성된 하방 취수구와 측면에 형성된 측방 취수구가 상기 유입공과 내부에서 연결되어 있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공을 개폐시키고, 하방 수로와 측방 수로가 서로 분리되어 형성되므로써 개방된 상기 유입공을 통과하는 정수기의 물이 상기 하방 수로를 통해 상기 하방 취수구로 배출되거나 상기 측방 수로를 통해 측방 취수구로 배출되도록 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조절부재를 조절하므로써 상기 하방 수로가 상기 몸체의 하방 취수구에 접속되도록 하여 정수기의 물이 하방으로 배출되도록 하거나, 상기 측방 수로가 상기 몸체의 측방 취수구에 접속되도록 하여 정수기의 물이 측방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취수꼭지에서 상기 몸체 내부가 빈 관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몸체의 내부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삽입되고 하방 수로 및 측방 수로가 형성된 실린더와, 상기 몸체의 외부에 설치되어 실린더와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의 하방 수로의 입구와 측방 수로의 입구 사이에서 슬라이딩되도록 하여 상기 몸체의 유입공에 하방 수로와 측방 수로 중 어느 하나를 연결시키게 되는 레버를 구비하되;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실린더의 외측면에 상기 유입공이 형성된 상기 몸체의 내부면에 밀착되는 차단면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유입공을 개폐시키고,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하방 수로가 천공되어 상기 몸체의 하방 취수구와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실린더의 외측면이 요입되어 측방 수로가 형성되어 상기 유입공과 상기 측방 취수구에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취수꼭지에서 상기 실린더는 상기 하방 수로의 입구와 상기 측방 수로의 입구가 상하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레버는 몸체의 외면에 핀결합되어 회전하고, 상기 실린더의 상단에 연결되어 회전시 상기 실린더를 승강시켜 상기 몸체의 유입공에 하방 수로와 측방 수로 중 어느 하나를 연결시키게 되되, 상기 실린더의 상면과 하면에 상기 몸체의 내부 상단과 하단에 각각 고정되는 스프링이 설치되어 상기 실린더의 차단면이 상기 몸체의 유입공을 차단시킨 상태에서 상기 실린더가 탄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정 수기의 본체에 결합되어 물이 통과되는 접속관과; 상기 접속관과 연결되는 유입공이 일측에 형성된 내부가 빈 관체로 이루어지고, 하단부와 측면부에 각각 하방 취수구와 측방 취수구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에 상하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삽입되고, 외측면이 차단면을 이루어 상기 몸체의 내부면에 밀착되어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유입공을 개폐시키며, 외측면 일측에 입구를 가진 하방 수로가 내부에 천공되어 하단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방 취수구와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하방 수로의 입구에서 상하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의 외측면 둘레가 요입되어 형성된 측방 수로가 상기 유입공과 측방 취수구와 연결되도록 하는 실린더와; 상기 몸체의 외면에 핀결합되어 회전하고, 상기 실린더의 상면에서 돌출된 연결대에 연결되어 회전시 상기 실린더를 승강시켜 상기 몸체의 유입공에 하방 수로와 측방 수로 중 어느 하나를 연결시키게 되는 레버 및; 상기 실린더의 상면과 상기 몸체의 내부 상단 사이 및, 상기 실린더의 하면과 상기 몸체의 하단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실린더의 차단면이 상기 몸체의 유입공을 차단시킨 상태에서 상기 실린더가 탄지되도록 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취수꼭지에서 상기 몸체는 내부면 상측 및 하측에 스톱퍼가 형성되어 상기 하방 수로의 입구와 측방 수로의 입구가 상기 유입공에 일치되는 지점에서 상기 실린더의 승강이 멈추어지도록 하고, 상기 실린더의 외측면 상하단에는 상기 몸체의 내부면에 밀착되는 오링이 설치되어 상기 몸체와 실린더 사이에서 물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의한 정수기의 취수꼭지에 의하면, 정수기의 물이 흘러 나오는 취수구가 하측 방향 뿐만 아니라 측 방향으로도 형성되어 정수기의 물이 용기의 크기에 상관없이 다양한 크기의 용기에 취수되는 한편, 필요시에는 용기와 같은 별도의 취수도구없이 정수기의 물을 사용자가 직접 간편하게 음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취수꼭지(100)는 도 1과 같이 정수기(1)의 본체(2)에 연결되어 정수기(1)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기구로서 몸체(20)와, 조절부재(40)로 이루어진다.
몸체(20)는 정수기(1)의 본체(2)에 연결되는 부위에 유입공(22)이 형성되어 정수기(1)의 물이 통과되어 몸체(2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고, 하단에 하방 취수구(24)가 형성하여 정수기(1)의 물이 하측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한편, 측면에 측방 취수구(26)가 형성하여 정수기(1)의 물이 측 방향으로도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조절부재(40)는 상기와 같이 정수기(1)의 물이 하측 방향뿐만 아니라 측 방향으로도 배출되도록 하는 몸체(20)에 설치되어 몸체(20)의 유입공(22)을 개폐시키고, 정수기(1)의 물이 배출되는 방향을 조절하게 된다.
이와 같은 조절부재(40)는 정수기(1)가 사용되지 않을 시에는 몸체(20)의 유입공(22)을 폐쇄시켜 정수기(1)의 물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고, 정수기(1)가 사용될 시에는 유입공(22)을 개방시켜 정수기(1)의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조절부재(40)는 하방 수로(424, 도 5참조)와 측방 수로(426, 도 5참조)가 서로 분리되어 형성되어 있는데, 조절부재(40)는 선택적으로 하방 수로(424)가 몸체(20)의 유입공(22) 및 하방 취수구(24)에 연결되거나, 측방 수로(426)가 유입공(22) 및 측방 취수구(26)에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몸체(20)의 하방 취수구(24)와 측방 취수구(26)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정수기(1)의 물이 배출되도록 한다.
여기서, 조절부재(40)는 빈 관체로 이루어진 몸체(20)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삽입되는 실린더(42)와, 몸체(20)의 외부에 설치되어 실린더(42)와 연결되는 레버(44)(4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실린더(42)는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측면이 차단면(422)을 이루어 유입공(22)이 형성된 몸체(20)의 내부면 부위에 밀착되어 슬라이딩되면서 유입공(22)을 개폐시키게 된다. 또한, 실린더(42)는 내부에 하방 수로(424)가 천공되고, 외측면이 요입되어 측방 수로(426)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실린더(42)와 연결된 레버(44)(44')는 몸체(20)의 유입공(22)이 폐쇄되어 있을 시의 하방 수로(424)의 입구(4242)와 측방 수로(426)의 입구(4262) 위치 사이를 실린더(42)가 슬라이딩하도록 함으로써 몸체(20)의 유입공(22)에 하방 수로(424)의 입구(4242) 또는 측방 수로(426)의 입구(4262)가 연결되도록 한다.
여기서, 실린더(42)의 외측면에 형성된 하방수로(424)의 입구(4242)와 측방 수로(426)의 입구(4262)는 서로 이격되어 있는데, 하방 수로(424)의 입구(4242)와 측방 수로(426)의 입구(4262)가 상하로 이격되어 있을 경우에는 레버(44)(44')가 실린더(42)를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키게 되고, 하방 수로(424)의 입구(4242)와 측방 수로(426)의 입구(4262)가 측방향으로 이격되어 있을 경우에는 레버(44)(44')가 실린더(42)를 원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취수꼭지는 몸체에 하방 취수구와 측방 취수구가 형성되고, 조절부재에 의해 몸체로 유입되는 정수기의 물이 선택적으로 하방 취수구 또는 측방 취수구로 배출되도록 한 것에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취수꼭지는 크기가 큰 용기는 측방 취수구에 근접시켜 물을 취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크기나 형태와 관계없이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용기를 사용하여 물을 원활하게 취수할 수 있게 될뿐만 아니라, 특히 용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사용자가 직접 측방 취수구에 입을 대고 정수기의 물을 음용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7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2 내지 도 7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한편, 각 도면 및 상세한 설명에서 일반적인 정수기의 취수꼭지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그리고 도면의 도시에 있 어서 요소들 사이의 크기 비가 다소 상이하게 표현되거나 서로 결합되는 부품들 사이의 크기가 상이하게 표현된 부분도 있으나, 이와 같은 도면의 표현 차이는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부분들이므로 별도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취수꼭지가 설치된 정수기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취수꼭지의 전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취수꼭지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 취수꼭지의 레버가 중립에 놓인 상태의 측단면도이고, 도 6의 (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 취수꼭지의 레버가 눌러져 하방 취수구로 정수기의 물이 배출되는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6의 (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 취수꼭지의 레버가 눌러져 측방 취수구로 정수기의 물이 배출되는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몸체와 실린더에 결합되는 레버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취수꼭지(100)는 도 3과 도 4와 같이 접속관(60)과, 몸체(20)와, 실린더(42)와, 레버(44)(44') 및 스프링(80)(80')으로 이루어진다.
접속관(60)은 정수기(1)의 본체(2)에 결합되어 정수기(1)의 물이 통과되는 통로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몸체(20)와 일체로 형성되어 정수기(1)의 본체에 착탈식으로 결합된다.
몸체(20)는 하단부에 하방 취수구(24)가 형성되고, 측면부에 측방 취수구(26)가 형성되어 있는데, 하방 취수구(24)와 측방 취수구(26)는 모두 내부와 관통되어 몸체(20)의 내부로 유입되는 정수기(1)의 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측방 취수구(2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도 2 내지 도 7에서는 상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나, 이는 일실시예에 불과한 것이고,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상측 또는 하측으로 구부러지는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몸체(20)는 내부가 빈 원통형 관체로서 상단이 개방되어 실린더(42)가 삽입는데, 실린더(42)가 몸체(20)의 내부로 삽입된 다음에는 캡(28)이 몸체(20)의 개방된 상단부에 놓여 몸체(20)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실린더(42)는 몸체(20)의 내부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42)는 몸체(20)의 내부 수평단면과 동일한 크기의 단면을 가지도록 하여 몸체(20)의 내부면에 밀착되면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실린더(42)의 외측면이 차단면(422)을 이루도록 하여 몸체(20)의 일측에 형성된 유입공(22)이 실린더(42)가 슬라이딩되는 과정에서 개폐될 수 있도록 하 기 위함이다.
여기서, 실린더(42)의 외측면 상하단에는 몸체(20)의 내부면에 밀착되는 오링(428)이 설치되는데, 이는 몸체(20)와 실린더(42) 사이에서 물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와 같이 하방 수로(424)나 측방 수로(426)가 아닌 몸체(20)와 실린더(42) 사이 틈새로 누출되는 물은 몸체(20)의 내부 공간의 오물질과 섞여 오염된 상태에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데, 이는 위생상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고, 실린더(42)에는 하방 수로(424)와 측방 수로(426)가 형성되는데, 하방 수로(424)는 실린더(42)의 외측면에 입구(4242)가 형성되어 실린더(42)의 내부를 관통하여 실린더(42)의 하측으로 돌출되고, 측방 수로(426)는 하방 수로(424)의 입구(4242)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의 실린더(42)의 외측면이 내측으로 요입되어 형성된다.
이와 같은 하방 수로(424)는 입구(4242)가 몸체(20)의 유입공(22, 도 1참조)에 연결되고, 실린더(42)의 하측으로 돌출된 출구(4244)가 몸체(20)의 하방 취수구(24)에 연결됨으로써 몸체(20)의 유입공(22)를 통과한 정수기(1)의 물이 몸체(20)의 하방 취수구(24)로 배출되도록 한다.
측방 수로(426)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입구(4262)와 출구(4264)가 개방된 공간으로 서로 연결되어 몸체(20)의 유입공(22)과 측방 취수구(26)가 연결됨으로써 몸체(20)의 유입공(22, 도 1참조)를 통과한 정수기(1)의 물이 몸체(20)의 측방 취수구(26)로 배출되도록 한다.
여기서, 측방 취수구(26)와 유입공(22)이 몸체(20)에서 동일한 높이의 위치가 형성될 경우에는 측방 수로(426)가 평행하게 형성되는데, 이와 달리 측방 취수구(26)와 유입공(22)이 몸체(20)에서 서로 다른 높이에서 형성될 경우에는 측방 수로(426)가 경사지게 형성된다.
레버(44)(44')는 실린더(42)를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키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버(44)(44')는 몸체(20)에 고정되어 회전하면서 실린더(42)를 승강시키게 된다. 이를 위하여 레버(44)(44')의 상측 일단과, 몸체(20)의 상단에 고정된 캡(28)의 일측에 각각 결합단(282)(282')(442)(442')이 형성되어 고정핀(90)에 의해 서로 핀결합됨으로써 레버(44)(44')의 몸체(20)에 고정된 캡(28)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레버(44)(44')의 상측 저면으로 실린더(42)가 연결되어 레버(44)(44')의 회전에 따라 실린더(42)가 상하방향으로 몸체(20)의 내부에서 슬라이딩하게 되는데, 레버(44)(44')에 실린더(42)를 연결시키기 위하여 실린더(42)는 상면에서 일정높이로 돌출되는 연결대(43)(43')가 형성되어 레버(44)(44')와 결합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몸체(20)와 실린더(4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레버(44)(44')의 구성은 다양할 수 있는데, 그 일실시예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되어 있고, 다른 실시예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레버(44)(44')를 사용자가 정수기(1)의 본체(2) 측으로 밀거나, 정수기(1)의 취수꼭지(100) 측으로 당기게 되면 레버(44)(44')에 연결된 실린더(42)는 몸체(20)의 내부공간에 구속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도 6의 (a)와 같이 실린더(42)에 형성된 하방 수로(424)가 몸체(20)의 유입공(22)와 하방 취수구(24)와 연결되어 하방 취수구(24)로 정수기(1)의 물이 배출되거나, 도 6의 (b)와 같이 측방 수로(426)가 몸체(20)의 유입공(22)와 측방 취수구(26)와 연결되어 측방 취수구(26)로 정수기(1)의 물이 배출되는 것이다.
여기서, 몸체(20)의 내부면 상측 및 하측에는 단턱형상으로 돌출된 스톱퍼(30)(30')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실린더(42)가 레버(44)(44')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승강될 시 실린더(42)의 하방 수로(424)의 입구(4242) 및 측방 수로(426)의 입구(4262)가 몸체(20)의 유입공(22)가 정확하게 일치하는 위치를 잡아주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하방 수로(424)의 입구(4242) 및 측방 수로(426)의 입구(4262)가 몸체(20)의 유입공(22)에 일치되는 지점에서 실린더(42)의 승강이 멈추어질 수 있게 된다.
스프링(80)(80')은 실린더(42)의 상면과 몸체(20)의 내부 상단 사이에 하나가 설치되고, 실린더(42)의 하면과 몸체(20)의 내부 하단 사이에 나머지 하나가 설치되어 실린더(42)의 차단면(422)이 몸체(20)의 유입공(22)을 차단시킨 상태, 즉 도 5와 같이 레버(44)(44')의 중립 상태에 있을 시 실린더(42)가 자신의 현재 위치를 유지하며 탄지되도록 하는데, 레버(44)(44')가 작동되면 작동되는 방향으로 스프링(80)(80')이 변형되고, 레버(44)(44')의 작동이 멈출 시에는 스프링(80)(80')이 탄성복원됨으로써 레버(44)(44')가 중립 상태로 다시 자동으로 복원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취수꼭지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취수꼭지의 기술적 사상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취수꼭지가 설치된 정수기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취수꼭지의 전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취수꼭지의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 취수꼭지의 레버가 중립에 놓인 상태의 측단면도;
도 6의 (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 취수꼭지의 레버가 눌러져 하방 취수구로 정수기의 물이 배출되는 상태의 단면도;
도 6의 (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 취수꼭지의 레버가 눌러져 측방 취수구로 정수기의 물이 배출되는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몸체와 실린더에 결합되는 레버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정수기 2 : 정수기 본체
20 : 몸체 22 : 유입공
24 : 하방 취수구 26 : 측방 취수구
28 : 캡 282, 282', 442, 442' : 결합단
30, 30' : 스톱퍼 40 : 조절부재
42 : 실린더 422 : 차단면
424 : 하방 수로 4242, 4262 : 입구
4244, 4264 : 출구 426 : 측방 수로
428 : 오링 43, 43' : 연결대
44, 44' : 레버 60 : 접속관
80, 80' : 스프링 90 : 고정핀
100 : 취수꼭지

Claims (5)

  1. 정수기의 본체와 연결되어 물이 통과되는 유입공이 일측에 형성되고, 하단에 형성된 하방 취수구와 측면에 형성된 측방 취수구가 상기 유입공과 내부에서 연결되어 있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공을 개폐시키고, 하방 수로와 측방 수로가 서로 분리되어 형성되므로써 개방된 상기 유입공을 통과하는 정수기의 물이 상기 하방 수로를 통해 상기 하방 취수구로 배출되거나 상기 측방 수로를 통해 측방 취수구로 배출되도록 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조절부재를 조절하므로써 상기 하방 수로가 상기 몸체의 하방 취수구에 접속되도록 하여 정수기의 물이 하방으로 배출되도록 하거나, 상기 측방 수로가 상기 몸체의 측방 취수구에 접속되도록 하여 정수기의 물이 측방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취수꼭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내부가 빈 관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몸체의 내부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삽입되고 하방 수로 및 측방 수로가 형성된 실린더와, 상기 몸체의 외부에 설치되어 실린더와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의 하방 수로의 입구와 측방 수로의 입구 사이에서 슬라이딩되도록 하여 상기 몸체의 유입공에 하방 수로와 측방 수로 중 어느 하나를 연결시키게 되는 레버를 구비하되;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실린더의 외측면에 상기 유입공이 형성된 상기 몸체의 내부면에 밀착되는 차단면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유입공을 개폐시키고,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하방 수로가 천공되어 상기 몸체의 하방 취수구와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실린더의 외측면이 요입되어 측방 수로가 형성되어 상기 유입공과 상기 측방 취수구에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취수꼭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상기 하방 수로의 입구와 상기 측방 수로의 입구가 상하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레버는 몸체의 외면에 핀결합되어 회전하고, 상기 실린더의 상단에 연결되어 회전시 상기 실린더를 승강시켜 상기 몸체의 유입공에 하방 수로와 측방 수로 중 어느 하나를 연결시키게 되되,
    상기 실린더의 상면과 하면에 상기 몸체의 내부 상단과 하단에 각각 고정되는 스프링이 설치되어 상기 실린더의 차단면이 상기 몸체의 유입공을 차단시킨 상태에서 상기 실린더가 탄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취수꼭지.
  4. 정수기의 본체에 결합되어 물이 통과되는 접속관과;
    상기 접속관과 연결되는 유입공이 일측에 형성된 내부가 빈 관체로 이루어지고, 하단부와 측면부에 각각 하방 취수구와 측방 취수구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에 상하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삽입되고, 외측면이 차단면을 이루어 상기 몸체의 내부면에 밀착되어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유입공을 개폐시키며, 외측면 일측에 입구를 가진 하방 수로가 내부에 천공되어 하단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방 취수구와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하방 수로의 입구에서 상하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의 외측면 둘레가 요입되어 형성된 측방 수로가 상기 유입공과 측방 취수구와 연결되도록 하는 실린더와;
    상기 몸체의 외면에 핀결합되어 회전하고, 상기 실린더의 상면에서 돌출된 연결대에 연결되어 회전시 상기 실린더를 승강시켜 상기 몸체의 유입공에 하방 수로와 측방 수로 중 어느 하나를 연결시키게 되는 레버 및;
    상기 실린더의 상면과 상기 몸체의 내부 상단 사이 및, 상기 실린더의 하면과 상기 몸체의 하단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실린더의 차단면이 상기 몸체의 유입공을 차단시킨 상태에서 상기 실린더가 탄지되도록 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취수꼭지.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내부면 상측 및 하측에 스톱퍼가 형성되어 상기 하방 수로의 입구와 측방 수로의 입구가 상기 유입공에 일치되는 지점에서 상기 실린더의 승강이 멈추어지도록 하고,
    상기 실린더의 외측면 상하단에는 상기 몸체의 내부면에 밀착되는 오링이 설치되어 상기 몸체와 실린더 사이에서 물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취수꼭지.
KR1020070111334A 2007-07-05 2007-11-02 정수기의 취수꼭지 KR1007977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8/001316 WO2009005206A1 (en) 2007-07-05 2008-03-07 Faucet for a water purif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7489 2007-07-05
KR20070067489 2007-07-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7773B1 true KR100797773B1 (ko) 2008-01-24

Family

ID=39219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1334A KR100797773B1 (ko) 2007-07-05 2007-11-02 정수기의 취수꼭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97773B1 (ko)
WO (1) WO200900520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0209B1 (ko) * 2008-03-10 2008-11-25 주식회사 스쿨환경산업 Led를 이용한 정수기꼭지 조명 및 개폐장치
KR100898271B1 (ko) 2007-08-14 2009-05-18 주식회사 스쿨환경산업 정수기의 취수꼭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12113A1 (en) * 2009-02-04 2012-05-10 Holmes George A Piston Valve Having Piston With Grooves For Particulate Capture
US9903495B2 (en) 2010-06-04 2018-02-27 Carrier Commerical Refrigeration, Inc. Soft-serve confection valve
US10260648B2 (en) * 2016-04-28 2019-04-16 Technologies Holdings Corp. Actuating dump valv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8197U (ko) * 1995-05-30 1996-12-18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온정수기의 취수장치
KR20010000956U (ko) * 1999-06-23 2001-01-15 정휘동 정수기용 취수꼭지
KR200335856Y1 (ko) 2003-09-04 2003-12-11 동양매직 주식회사 정수기의 코크 구조
KR200344659Y1 (ko) 2003-12-15 2004-03-12 동양매직 주식회사 정수기의 온수 취수 안전 장치
KR200409995Y1 (ko) 2005-12-16 2006-03-03 주식회사 아침이슬 냉온정수기의 안전콕 밸브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3735A (ja) * 1996-05-25 1998-02-17 Samsung Electron Co Ltd 冷温浄水器の取水装置
JPH11277051A (ja) * 1998-03-30 1999-10-12 Ngk Insulators Ltd 浄水器
KR20030061028A (ko) * 2002-01-07 2003-07-18 권철신 정수기 취수꼭지 조절기
KR200373904Y1 (ko) * 2004-10-22 2005-01-26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정수기의 각도조절형 취수밸브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8197U (ko) * 1995-05-30 1996-12-18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온정수기의 취수장치
KR20010000956U (ko) * 1999-06-23 2001-01-15 정휘동 정수기용 취수꼭지
KR200335856Y1 (ko) 2003-09-04 2003-12-11 동양매직 주식회사 정수기의 코크 구조
KR200344659Y1 (ko) 2003-12-15 2004-03-12 동양매직 주식회사 정수기의 온수 취수 안전 장치
KR200409995Y1 (ko) 2005-12-16 2006-03-03 주식회사 아침이슬 냉온정수기의 안전콕 밸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8271B1 (ko) 2007-08-14 2009-05-18 주식회사 스쿨환경산업 정수기의 취수꼭지
KR100870209B1 (ko) * 2008-03-10 2008-11-25 주식회사 스쿨환경산업 Led를 이용한 정수기꼭지 조명 및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05206A1 (en) 2009-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7773B1 (ko) 정수기의 취수꼭지
US7690524B2 (en) Bottle with multi-fold protective cover and leak-proof closure device
US20080041809A1 (en) Closure device for drinking vessel
US20050035042A1 (en) Water filter cartridge
US9862591B2 (en) Faucet with shearing valve element
SE526151C2 (sv) Tömningsapparat för vatten på flaska
US667247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osing of bodily fluids from a container
WO2007041036B1 (en) Liquid sample station
MA33286B1 (fr) Nécessaire à perfusion avec mécanisme d'arrêt automatique dans la chambre compte-goutte
KR20120097714A (ko) 수전금구용 양방향 토출 밸브
CN203564022U (zh) 一种泡茶器
CN110097701A (zh) 桶装水售水机
US7997156B1 (en) F.O.G. sample port
KR20090081554A (ko) 정수기를 위한 취수꼭지
CN109356266A (zh) 手控开闭式地漏
CN109060445A (zh) 一种水质检测取样装置
KR100898271B1 (ko) 정수기의 취수꼭지
KR102574178B1 (ko) 착탈식 물탱크를 구비한 정수기
KR100870209B1 (ko) Led를 이용한 정수기꼭지 조명 및 개폐장치
NO123469B (ko)
KR20150112321A (ko) 세면대 배수장치
US20110088162A1 (en) Sink drain water collector
CN209644703U (zh) 立式直饮水机
CN201743506U (zh) 便携虹吸式饮水器
KR200361698Y1 (ko) 분수형 급수대 노즐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