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8271B1 - 정수기의 취수꼭지 - Google Patents

정수기의 취수꼭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8271B1
KR100898271B1 KR1020070111786A KR20070111786A KR100898271B1 KR 100898271 B1 KR100898271 B1 KR 100898271B1 KR 1020070111786 A KR1020070111786 A KR 1020070111786A KR 20070111786 A KR20070111786 A KR 20070111786A KR 100898271 B1 KR100898271 B1 KR 1008982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inlet
water purifier
hous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1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7377A (ko
Inventor
정재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쿨환경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쿨환경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쿨환경산업
Publication of KR20090017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73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8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82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3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household-type filters for producing potable water, e.g. pitchers, bottles, faucet mounted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기에 설치되어 정수기의 물을 외부로 공급하게 되는 정수기의 취수꼭지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취수꼭지는 정수기의 물이 흘러 나오는 취수구가 하측 방향 뿐만 아니라 측 방향으로도 형성되어 정수기의 물이 용기의 크기에 상관없이 다양한 크기의 용기에 취수되는 한편, 필요시에는 용기와 같은 별도의 취수도구없이 정수기의 물을 사용자가 직접 간편하게 음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정수기의 취수꼭지는 정수기의 본체와 연결되어 물이 통과되는 유입공과 물이 배출되는 하방 취수구 및 측방 취수구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에 설치되어 정수기의 물이 하방 취수구 및 측방 취수구 중 어느 하나에서 배출되도록 하는 조절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몸체(10)는 유입공(22)과 하방 취수구(24) 및 측방 취수구(26)와 연결되는 반구형 요입홈(30)이 하부를 이루고 있는 공간부(28)가 형성된 하우징(20)과, 하우징(20)의 반구형 요입홈(30)과 대칭되는 반구형 요입홈(42)이 하부에 형성되어 하우징(20)의 개방된 상단으로 삽입고정되어 구 형상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캡(40)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절부재(50)는 구형으로 이루어져 하우징(20)와 캡(40)의 반구형 요입홈(30)(42)이 형성시킨 구 형상의 공간에 회전가능하게 밀착삽입된 조절구(60)와, 몸체(10)의 외부에 손잡이(82)가 위치되고 조절구(60)와 연결되어 조절구(60)를 회전시키는 레버(8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조절구(60)는 외부면에 형성되는 입구(622)(642)와 출구(624)(644)가 각각 이격되어 있는 하방 수로(62)와 측방 수로(64)가 내부에 천공 되어 있는데, 이에 따라 레버(80)의 작동으로 조절구(60)가 회전하여 몸체(10)의 유입공(22)과 하방 취수구(24)에 하방 수로(62)의 입구(622)와 출구(624)가 연결되어 하방 취수구(24)로 정수기의 물이 배출되거나, 몸체(10)의 유입공(22)과 측방 취수구(26)에 측방 수로(64)의 입구(642)와 출구(644)가 연결되어 측방 취수구(26)로 정수기의 물이 배출된다. 그리고, 정수기(200)가 사용되지 않을 시에는 입구(622)(642)가 형성되지 않은 조절구(60)의 외부면에 의해 몸체(10)의 유입공(22)이 폐쇄됨으로써 정수기(200)의 물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된다.
정수기, 취수꼭지, 취수구, 몸체, 조절부재, 하우징, 캡, 조절구, 레버

Description

정수기의 취수꼭지{A purifier faucet}
본 발명은 정수기의 취수꼭지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정수기의 물이 흘러 나오는 취수구가 하측 방향 뿐만 아니라 측 방향으로도 형성되어 정수기의 물이 용기의 크기에 상관없이 다양한 크기의 용기에 취수되는 한편, 필요시에는 용기와 같은 별도의 취수도구없이 정수기의 물을 사용자가 직접 간편하게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정수기의 취수꼭지에 관한 것이다.
정수기는 보건위생을 위하여 물에 포함된 불순물이나 유해물질을 제거하여 깨끗한 상태의 물이 제공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정수기는 일반적으로 별도로 구비되어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물탱크나, 상수도 시설과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아 정수하는 정수기 본체와, 상기 정수기 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정수기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외부로 배출하는 취수꼭지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종래 정수기의 취수꼭지는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취수구가 구비되어 하측으로 물이 배출되도록 하였는데, 이에 따라, 종래 정수기에서는 상기 취수구에 하측에 컵, 주전자, 그릇과 같은 용기를 위치시켜 물을 받아서 사용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정수기에 설치된 취수구는 정수기 본체에 근접되어 하측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크기가 큰 용기를 취수구 하측에 놓고 사용하기가 어려웠으며, 컵과 같은 용기가 없을 시에는 정수기의 물은 직접 음용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학교, 회사, 목욕탕과 같은 공공시설물에서는 정수기의 물을 항시 음용할 수 있도록 일회용 종이컵을 배치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종이컵의 사용량을 증대시켜 자원의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학교에서는 종이컵의 배급이 잘 되지 않아 개인적으로 컵, 물통 등의 용기를 준비하여 취수하게 되는데, 상기 컵, 물통 등의 용기가 준비되지 않은 학생은 억지로 취수구 아래에 입을 대고 정수기의 물을 음용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는 상당히 불편할 뿐만 아니라 비위생적이며, 정수기의 취수꼭지의 고장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이에 따라, 크기가 큰 용기를 사용하여도 정수기의 물을 용이하게 취수할 수 있고, 용기가 없을 경우에도 정수기의 물을 사용자가 직접 음용할 수 있는 정수기의 취수꼭지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인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2003-0061028호 "정수기 취수꼭지 조절기",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73904호 "정수기의 각도조절형 취수밸브" 등이 현재 안출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2003-0061028호 "정수기 취수꼭지 조절기"는 정수기 본체의 전면에 취수꼭지가 설치된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부착되어 저장탱크와 연결되는 연결부에 부착된 외부파이프와 이 외부파이프로부터 이송수단에 의해 소정길이로 이송되는 내부파이프에 의해 정수기 취수부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탁상형 정수기에서 취수꼭지에 길이조절기능을 갖도록 구성하여 일반적인 높이의 용기에 취수를 이를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큰 주전자나 긴 용기 등을 편리하고 안정하며 자유롭게 물을 취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정수기 취수꼭지 조절기는 취수꼭지가 종래 정수기의 취수꼭지와 동일하게 하측 방향을 향해 있음에 따라 용기가 없을 시 사용자의 직접 정수기의 물을 음용하는데에는 어려움이 많았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73904호 "정수기의 각도조절형 취수밸브"는 정수기의 저장탱크 물이 이동하기 위한 수평유로가 형성된 관로부와, 상기 관로부를 통하여 전달된 물을 배출하기 위한 수직유로가 형성되어 상기 관로부 선단에 설치된 배출부와, 상기 배출부에 형성된 수직유로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부재로 이루어진 정수기용 취수밸브에 있어서, 상기 관로부 일단에서 배출부가 상호 힌지연결되어 상기 배출부가 상기 관로부 일단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각도조절수단과; 상기 각도조절수단에 의해 배출부의 회전시 발생되는 관로부와 배출부의 가변적인 유격을 차폐하도록 상기 관로부와 배출부의 사이에 설치된 신축성을 갖는 차단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정수기의 각도조절형 취수밸브는 취수시 배출부의 각도를 변경하여 취출구를 용기쪽에 맞출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용기에 취수함에 따른 불편을 해소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다른 부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정수기의 각도조절형 취수밸브는 일정범위 내에서만 각도조절이 가능하여 여전히 사용자가 용기를 사용하지 않고 정수기의 물을 직접 음용하는데 어려움이 있었으며, 취수밸브를 수시로 각도조절하는 과정에서 취수밸브의 강도가 점차 약해져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공원과 같은 야외시설물에는 취수구가 상측을 향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간편하게 취수구에 입을 대고 물을 음용할 수 있는 취수대가 설치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와 같이 야외에 설치되는 취수대와 같이 사용자가 간편하게 취수구에 입을 대고 물을 음용할 수 있는 기능을 정수기의 취수꼭지에 적용시키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출원번호 제10-2007-0067489호 "컵없이 취수가 가능한 냉온 정수기용 콕밸브"를 출원한 바 있다.
상기 컵없이 취수가 가능한 냉온 정수기용 콕밸브는 정수기의 본체와 연결되 어 물이 통과되는 유입공과 물이 배출되는 하방 취수구 및 측방 취수구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에 설치되어 정수기의 물이 하방 취수구 및 측방 취수구 중 어느 하나에서 배출되도록 하는 조절부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몸체에 형성된 하방 취수구 및 측방 취수구를 유입공에 선택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조절부재의 구성을 다양화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현재 진행중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본 출원인에 의해 기출원된 정수기의 취수꼭지를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정수기의 물이 흘러 나오는 취수구가 하측 방향 뿐만 아니라 측 방향으로도 형성되어 정수기의 물이 용기의 크기에 상관없이 다양한 크기의 용기에 취수되는 한편, 필요시에는 용기와 같은 별도의 취수도구없이 정수기의 물을 사용자가 직접 간편하게 음용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정수기의 취수꼭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정수기의 본체와 연결되어 물이 통과되는 유입공과 물이 배출되는 하방 취수구 및 측방 취수구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에 설치되어 정수기의 물이 하방 취수구 및 측방 취수구 중 어느 하나에서 배출되도록 하는 조절부재를 구비한 정수기의 취수꼭지에 있어서, 상기 몸체(10)는 상기 유입공(22)과 하방 취수구(24) 및 측방 취수구(26)와 연결되는 반구형 요입홈(30)이 하부를 이루고 있는 공간부(28)가 형성된 하우징(20)과, 상기 하우징(20)의 반구형 요입홈(30)과 대칭되는 반구형 요입홈(42)이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20)의 개방된 상단으로 삽입고정되어 구 형상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캡(40)을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재(50)는 구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하우징(20)와 캡(40)의 반구형 요입홈(30)(42)이 형성시킨 구 형상의 공간에 회전가능하게 밀착삽입된 조절구(60)와, 상기 몸체(10)의 외부에 손잡이(82)가 위치되고 상기 조절구(60)와 연결되어 상기 조절구(60)를 회전시키는 레버(80)를 포함하되; 상기 조절구(60)는 외부면에 형성되는 입구(622)(642)와 출구(624)(644)가 각각 이격되어 있는 하방 수로(62)와 측방 수로(64)가 내부에 천공되어, 상기 레버(80)의 작동으로 상기 조절구(60)가 회전하여 상기 몸체(10)의 유입공(22)과 하방 취수구(24)에 상기 하방 수로(62)의 입구(622)와 출구(624)가 연결되어 상기 하방 취수구(24)로 정수기의 물이 배출되거나, 상기 몸체(10)의 유입공(22)과 측방 취수구(26)에 상기 측방 수로(64)의 입구(642)와 출구(644)가 연결되어 상기 측방 취수구(26)로 정수기의 물이 배출되도록 하고, 정수기(200)가 사용되지 않을 시에는 입구(622)(642)가 형성되지 않은 조절구(60)의 외부면에 의해 상기 몸체(10)의 유입공(22)이 폐쇄되어 정수기(200)의 물이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취수꼭지에서 상기 조절구(60)는 양측단에 연결단(66)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20)의 대응되는 측면부에 형성된 관통공(32)을 통과하여 상기 레버(80)와 연결되어 회전하되, 상기 관통공(32)이 형성된 하우징(20)의 측면과 상기 레버(80) 사이에 토션스프링(90)이 설치되어 상기 조절구(60)가 하우징(20)의 유입공(22)을 폐쇄시킨 상태에서 상기 레버(80)가 탄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취수꼭지에서 상기 조절구(60)는 외부면 상측에 걸림홈(68)이 형성되고, 상기 캡(40)은 상기 걸림홈(68)과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홈(44)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홈(44)에 스프링(92)과 결합된 스톱퍼(46)가 삽입되되, 상기 조절구(60)가 하우징(20)의 유입공(22)을 폐쇄시킨 상태에서 상기 걸림홈(68)에 상기 스톱퍼(46)가 걸림고정되어 상기 조절구(60)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의 취수꼭지에 의하면 정수기의 물이 흘러 나오는 취수구가 하측 방향 뿐만 아니라 측 방향으로도 형성되어 정수기의 물이 용기의 크기에 상관없이 다양한 크기의 용기에 취수되는 한편, 필요시에는 용기와 같은 별도의 취수도구없이 정수기의 물을 사용자가 직접 간편하게 음용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8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1 내지 도 8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한편, 각 도면 및 상세한 설명에서 일반적인 정수기의 취수꼭지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 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그리고 도면의 도시에 있어서 요소들 사이의 크기 비가 다소 상이하게 표현되거나 서로 결합되는 부품들 사이의 크기가 상이하게 표현된 부분도 있으나, 이와 같은 도면의 표현 차이는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부분들이므로 별도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취수꼭지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의 (a),(b),(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취수꼭지의 조립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취수꼭지를 구성하는 몸체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취수꼭지에서 레버가 중립에 있는 상태의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취수꼭지에서 레버가 눌려져 하방 취수구로 정수기의 물이 배출되는 상태의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취수꼭지에서 레버가 당겨져 측방 취수구로 정수기의 물이 배출되는 상태의 측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취수꼭지가 설치된 정수기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취수꼭지의 하방 취수구를 사용하여 용기에 정수기의 물을 취수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취수꼭지의 측방 취수구를 사용하여 직접 정수기의 물을 음용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취수꼭지(100)는 몸체(10)와, 조절부재(50)로 이루어진다.
몸체(10)는 정수기(200)의 본체(250)와 연결되어 물이 통과되는 유입공(22)이 일측에 형성되고, 하단부와 측면부에 각각 하방 취수구(24)와 측방 취수구(26)가 형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몸체(10)는 도 1과 같이 유입공(22), 하방 취수구(24), 측방 취수구(26)가 형성된 하우징(20)와, 상기 하우징(20)에 상단에 고정된 캡(40)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하우징(20)은 도 3과 같이 상단이 개방되고 하부가 반구형 요입홈(30)으로 이루어진 공간부(28)가 형성되어 있는데, 공간부(28)의 반구형 요입홈(30)은 유입공(22)과 하방 취수구(24) 및 측방 취수구(26)와 연결된다.
캡(40)은 하우징(20)의 개방된 상단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도 1과 같이 하우징(20)의 상단 내면과 캡(40)의 하단 외면이 나사가공되어 하우징(20)에 캡(40)이 착탈식으로 볼트결합된다.
이와 같은 캡(40)은 도 3과 같이 하우징(20)의 반구형 요입홈(30)과 대칭을 이루는 반구형 요입홈(42)이 하부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캡(40)이 하우징(20)에 삽입고정되게 되면 하우징(20)의 반구형 요입홈(30)과 캡(40)의 반구형 요입홈(42)이 짝을 이루어 구 형상의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조절부재(50)는 몸체(10)에 설치되어 정수기(200)의 물이 몸체(10)의 하방 취수구(24)와 측방 취수구(26)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재(50)는 도 1과 같이 구형으로 이루어진 조절구(60)와, 조절구(60)와 연결되어 조절구(60)를 회전시키는 레버(80)로 이루어진다.
조절구(60)는 상기에서와 같이 하우징(20)과 캡(40)의 반구형 요입홈(30)(42)이 형성시킨 구 형상의 공간에 회전가능하게 밀착삽입되는 것으로, 이를 위하여 하우징(20)과 캡(40)의 반구형 요입홈(30)(42)이 형성시킨 구 형상의 공간과 동일한 크기의 구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조절구(60)는 도 2의 (a)와 같이 하우징(20)의 개방된 상단을 통해 하우징(20)의 공간부(28)로 삽입되어 하우징(20)의 반구형 요입홈(30)에 안착된 다음, 도 2의 (b)와 같이 캡(40)이 하우징(20)의 개방된 상단에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하우징(20)과 캡(40)의 반구형 요입홈(30)(42)이 형성시킨 구 형상의 공간에 위치되게 된다. 그리고, 조절구(60)에는 하방 수로(62)와 측방 수로(64)가 형성됨으로써 레버(80)에 의해 회전하는 조절구(60)에 의해 하우징(20)의 유입공(22)으로부터 유입되는 정수기(200)의 물이 하우징(20)의 하방 취수구(24)나 측방 취수구(26)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조절구(60)는 하방 수로(62)의 입구(622)와 측방 수로(64)의 입구(642)가 서로 이격되어 조절구(60)의 외부면 일측에 형성되도록 하는 동시에, 하방 수로(62)의 출구(624)와 측방 수로(64)의 출구(644) 또한 서로 이격되어 조절구(60)의 외부면 타측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하방 수로(62)와 측방 수로(64)가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정수기(200)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그리고, 조절구(60)에 형성된 하방 수로(62)의 입구(622)와 측방 수로(64)의 입구(642)는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조절구(60)가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도 5와 같이 하방 수로(62)의 입구(622)가 유입공(22)에 연결되거나, 도 6과 같이 측방 수로(64)의 입구(642)가 유입공(22)에 연결되도록 한다.
한편, 도 4와 같이 조절구(60)는 외부로 개방된 입구(622)(642)가 형성되어 내부의 하방 수로(62)와 측방 수로(64)와 연결되는 부위을 제외한 외부면에 의해 유입공(22)이 차단되도록 하고 있는데, 이는 정수기(200)가 사용되지 않을 시에는 유입공(22)을 통해 몸체(10)의 내부로 정수기(200)의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절구(60)는 하방 수로(62)의 입구(622)와 측방 수로(64)의 입구(642) 사이의 조절구(60)의 외부면이 유입공(22)을 차단하도록 하고, 이 상태에서 레버(80)가 중립위치에 있도록 하는데, 이는 레버(80)를 정수기(200) 측 방향으로 누르거나, 취수꼭지(100) 측 방향으로 당기는 구별된 동작에 의해 하방 취수구(24) 또는 측방 취수구(26)가 선택되는 편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하방 수로(62)의 입구(622)와 측방 수로(64)의 입구(642) 사이의 조 절구(60)의 외부면에 의해 유입공(22) 전체가 완전하게 차단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조절구(60)가 하우징(20)에 삽입될 시 유입공(22)이 형성된 하우징(20)의 벽체와의 간섭을 피할 수 있도록 유입공(22)은 조절구(60)을 이등분하는 수평면보다 아래 방향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버(80)는 조절구(60)와 연결되어 조절구(60)를 회전시킴으로써 하우징(20)에 형성된 유입공(22)에 조절구(60)에 형성된 하방 수로(62)의 입구(622)와 측방 수로의 입구(642)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연결하는 동시에, 하우징(20)에 형성된 하방 취수구(24)와 측방 취수구(26)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이에 대응되는 조절구(60)의 하방 수로(62)의 출구(624)나 측방 수로(64)의 출구(644)가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하방 취수구(24)와 측방 취수구(26)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정수기(200)의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레버(80)는 몸체(10)의 외부에 손잡이(82)가 위치되어 몸체(10)의 외부에서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몸체(10)의 내부에 설치된 조절구(60)와 연결되어 레버(80)와 일체로 조절구(60)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조절구(60)는 직경방향의 양측단으로 연결단(66)이 형성되고, 레버(80)는 조절구(60)의 연결단(66)과 대응되는 손잡이의 상측 양단으로 연결대(84)가 형성되어 연결단(66)이 레버(80)의 연결대(84)에 끼움결합되는데, 레버(80)와 조절구(60)가 일체로 결합되어 레버(80)와 조절구(60)가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서로 결합되는 연결단(66)과 연결대(84)의 끝단부는 삼각단 면, 사각단면 등의 각형 단면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조절구(60)의 직경방향의 양측단에는 연결단(66)이 결합될 수 있는 결합공(70)이 형성되어 조절구(60)의 결합공(70)에 연결단(66)이 삽입고정되도록 하는데, 연결단(66)의 외측면과 결합공(70)의 내측면을 나사가공함으로써 연결단(66)이 조절구(60)의 결합공(70)에 볼트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조절구(60)는 몸체(10)의 내부에 설치되고, 레버(80)의 몸체(10)의 외부에 설치됨에 따라 조절구(60)의 양측단으로 돌출되어 외부의 레버(80)와 연결되는 연결단(66)이 관통되는 관통공(32)이 하우징(20)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된다.
이에 따라, 조절구(60)가 하우징(20)에 삽입된 다음, 하우징(20)의 외부로부터 연결단(66)이 하우징(20)의 양측면에 형성된 관통공(32)으로 삽입되어 조절구(60)의 결합공(70)에 결합된 후, 조절구(60)에 결합된 연결단(66)에 레버(80)의 연결대(84)가 각각 결합됨으로써 조절구(60)와 레버(80)가 서로 결합되게 된다.
그리고, 레버(80)는 유입공(22)이 입구(622)(642)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조절구(60)의 외부면에 의해 차단된 상태에서 중립에 놓이게 되는데, 이와 같이 레버(80)가 중립에 놓은 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도록 관통공(32)이 형성된 하우징(20)의 측면과 레버(80) 사이에 토션스프링(90)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토션스프링(90)은 하우징(30)의 관통공(32)을 이루고 있는 면에 일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조절구(60)의 연결단(66)이 토션스프링(90)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하고, 연결단(66)과 결합되는 레버(80)의 연결대(84)에 토션스프링(90)의 타단이 고정되도록 하여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토션스프링(90)에 의해 레버(80)가 탄지됨으로써 레버(80)를 누루고 당겨 하방 취수구(24) 또는 측방 취수구(26)를 선택하여 정수기(200)의 물을 취수한 다음에는 자동적으로 레버(80)가 다시 중립상태로 돌아가 유입공(22)을 폐쇄시키게 된다.
또한, 조절구(60)도 레버(80)와 마찬가지로 유입공(22)이 폐쇄되는 중립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조절구(60)와 몸체(10) 사이에 스톱퍼(46)가 설치되는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취수꼭지(100)는 조절구(60)와 캡(40) 사이에 스톱퍼(46)가 설치되도록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조절구(60)는 외부면 상측에 걸림홈(68)을 형성하고, 캡(40)은 조절구(60)의 걸림홈(68)과 대응되는 위치에 스톱퍼(46)를 설치하여 걸림홈(68)에 스톱퍼(46)가 걸림고정됨으로써 조절구(60)가 중립상태에서 안정되고 고정되도록 한다.
여기서, 캡(40)에 설치되는 스톱퍼(46)는 조절구(60)의 걸림홈(68)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고정홈(44)에 스프링(92)과 연결되어 삽입고정됨으로써 조절구(60)가 유입공(22)을 폐쇄시키는 중립상태에서는 도 4와 같이 스톱퍼(46)가 조절구(60)가 걸림홈(68)에 스프링(92)의 탄성력으로 안정되게 걸림고정되도록 하고, 조절구(60)가 레버(80)의 작동으로 회전될 시는 도 5와 도 6과 같이 스프링(92)이 압축되면서 스톱퍼(46)가 조절구(60)의 고정홈(44)에 삽입되면서 조절구(60)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취수꼭지(100)가 설치된 정수기(200)가 도 7과 도 8에 도시되어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취수꼭지(100)는 도 8의 (a)와 같이 일반적인 정수기와 동일하게 컵 등의 용기에 물을 취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기가 없을 시에도 도 8의 (b)와 같이 사용자가 직접 정수기(200)의 물을 음용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취수꼭지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취수꼭지의 분리 사시도;
도 2의 (a),(b),(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취수꼭지의 조립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취수꼭지를 구성하는 몸체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취수꼭지에서 레버가 중립에 있는 상태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취수꼭지에서 레버가 눌려져 하방 취수구로 정수기의 물이 배출되는 상태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취수꼭지에서 레버가 당겨져 측방 취수구로 정수기의 물이 배출되는 상태의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취수꼭지가 설치된 정수기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8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취수꼭지의 하방 취수구를 사용하여 용기에 정수기의 물을 취수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8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취수꼭지의 측방 취수구를 사용하여 직접 정수기의 물을 음용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 20 : 하우징
22 : 유입공 24 : 하방 취수구
26 : 측방 취수구 28 : 공간부
30, 42 : 반구형 요입홈 32 : 관통공
40 : 캡 44 : 고정홈
46 : 스톱퍼 50 : 조절부재
60 : 조절구 62 : 하방 수로
622, 642 : 입구 624, 644 : 출구
64 : 측방 수로 66 : 연결단
68 : 걸림홈 70 : 결합공
80 : 레버 82 : 손잡이
84 : 연결대 90 : 토션스프링
92 : 스프링 100 : 취수꼭지
200 : 정수기 250 : 본체

Claims (3)

  1. 정수기의 본체와 연결되어 물이 통과되는 유입공과 물이 배출되는 하방 취수구 및 측방 취수구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에 설치되어 정수기의 물이 하방 취수구 및 측방 취수구 중 어느 하나에서 배출되도록 하는 조절부재를 구비한 정수기의 취수꼭지에 있어서,
    상기 몸체(10)는 상기 유입공(22)과 하방 취수구(24) 및 측방 취수구(26)와 연결되는 반구형 요입홈(30)이 하부를 이루고 있는 공간부(28)가 형성된 하우징(20)과, 상기 하우징(20)의 반구형 요입홈(30)과 대칭되는 반구형 요입홈(42)이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20)의 개방된 상단으로 삽입고정되어 구 형상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캡(40)을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재(50)는 구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하우징(20)와 캡(40)의 반구형 요입홈(30)(42)이 형성시킨 구 형상의 공간에 회전가능하게 밀착삽입된 조절구(60)와, 상기 몸체(10)의 외부에 손잡이(82)가 위치되고 상기 조절구(60)와 연결되어 상기 조절구(60)를 회전시키는 레버(80)를 포함하되;
    상기 조절구(60)는 외부면에 형성되는 입구(622)(642)와 출구(624)(644)가 각각 이격되어 있는 하방 수로(62)와 측방 수로(64)가 내부에 천공되어, 상기 레버(80)의 작동으로 상기 조절구(60)가 회전하여 상기 몸체(10)의 유입공(22)과 하방 취수구(24)에 상기 하방 수로(62)의 입구(622)와 출구(624)가 연결되어 상기 하방 취수구(24)로 정수기의 물이 배출되거나, 상기 몸체(10)의 유입공(22)과 측방 취수구(26)에 상기 측방 수로(64)의 입구(642)와 출구(644)가 연결되어 상기 측방 취수구(26)로 정수기의 물이 배출되도록 하고, 정수기(200)가 사용되지 않을 시에는 입구(622)(642)가 형성되지 않은 조절구(60)의 외부면에 의해 상기 몸체(10)의 유입공(22)이 폐쇄되어 정수기(200)의 물이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조절구(60)는 양측단에 연결단(66)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20)의 대응되는 측면부에 형성된 관통공(32)을 통과하여 상기 레버(80)와 연결되어 회전하되,
    상기 관통공(32)이 형성된 하우징(20)의 측면과 상기 레버(80) 사이에 토션스프링(90)이 설치되어 상기 조절구(60)가 하우징(20)의 유입공(22)을 폐쇄시킨 상태에서 상기 레버(80)가 탄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취수꼭지.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구(60)는 외부면 상측에 걸림홈(68)이 형성되고,
    상기 캡(40)은 상기 걸림홈(68)과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홈(44)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홈(44)에 스프링(92)과 결합된 스톱퍼(46)가 삽입되되,
    상기 조절구(60)가 하우징(20)의 유입공(22)을 폐쇄시킨 상태에서 상기 걸림홈(68)에 상기 스톱퍼(46)가 걸림고정되어 상기 조절구(60)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취수꼭지.
KR1020070111786A 2007-08-14 2007-11-02 정수기의 취수꼭지 KR1008982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81549 2007-08-14
KR1020070081549 2007-08-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7377A KR20090017377A (ko) 2009-02-18
KR100898271B1 true KR100898271B1 (ko) 2009-05-18

Family

ID=40686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1786A KR100898271B1 (ko) 2007-08-14 2007-11-02 정수기의 취수꼭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827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85339A (en) * 1996-06-25 1997-11-11 Lee; Chin-Tsai Hot/cold water flowrate control device
KR200405471Y1 (ko) 2005-10-19 2006-01-10 한상일 정수기 구조
KR100797773B1 (ko) 2007-07-05 2008-01-24 주식회사 스쿨환경산업 정수기의 취수꼭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85339A (en) * 1996-06-25 1997-11-11 Lee; Chin-Tsai Hot/cold water flowrate control device
KR200405471Y1 (ko) 2005-10-19 2006-01-10 한상일 정수기 구조
KR100797773B1 (ko) 2007-07-05 2008-01-24 주식회사 스쿨환경산업 정수기의 취수꼭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7377A (ko) 2009-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83146B2 (en) Lid assembly with button-actuated rotating straw mechanism
AU2008258129B2 (en) Fluid Regulator
US7334599B2 (en) Single lever faucet with spray
US20170101209A1 (en) Growler
IL182555A0 (en) Tap for dispensing liquids from vessels
PT1786722E (pt) Torneira para fornecimento de bebidas com bicos para o líquido e a espuma
KR100797773B1 (ko) 정수기의 취수꼭지
US9091357B2 (en) Ceramic valve with intermediate section having cold water supply function
US20240150164A1 (en) Beverage Dispensing System
EP2896758B1 (en) Mixer group with detachable hand-held shower
KR100898271B1 (ko) 정수기의 취수꼭지
KR20090081554A (ko) 정수기를 위한 취수꼭지
US9962043B2 (en) Soap dispenser
ES2355566T3 (es) Cierre de palanca de grifo.
US11286148B2 (en) Liquid dispenser
CN109153558A (zh) 饮料龙头装置
US10113662B2 (en) Liquid dispensing faucet with pull-to-open valve element
JP2003328408A (ja) 原水・処理水切替吐出装置
JPH10231940A (ja) 既設混合栓に追加する横向き分岐口
KR102430778B1 (ko) 수도꼭지 결합형 회전식 토수방향 전환장치
US20240018758A1 (en) Shower set with hidden flexible hose
JP4415336B2 (ja) 吐水具
WO2003006755A1 (en) Shower system for entraining cleansing fluid
WO2009091118A2 (en) Bibcock having potable water tap
EP3717710B1 (en) Rotatable tap head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