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0956U - 정수기용 취수꼭지 - Google Patents
정수기용 취수꼭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0000956U KR20010000956U KR2019990011182U KR19990011182U KR20010000956U KR 20010000956 U KR20010000956 U KR 20010000956U KR 2019990011182 U KR2019990011182 U KR 2019990011182U KR 19990011182 U KR19990011182 U KR 19990011182U KR 20010000956 U KR20010000956 U KR 20010000956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valve
- cap
- shaft
- water purifier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9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10000002445 nipple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BQCADISMDOOEFD-UHFFFAOYSA-N Silver Chemical compound [Ag] BQCADISMDOOE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4—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 B67D3/047—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with a closing element having a rotational movemen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6—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taps or c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정수기용 취수꼭지에 관한 것으로서, 물이 취수될 때 난류에 의하여 분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물을 안전하게 취수함과 아울러 임의의 방향으로 물을 취수될 수 있는 정수기용 취수꼭지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정수기의 저장탱크와 연결되는 연결부(11) 및 그 선단에 일체로 형성된 수직 배출부(13)를 가진 꼭지본체(1)와; 상기 배출부의 상단부에 승강가능하게 내장됨으로써 승강에 따라 상기 연결부의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3)와; 상기 배출부의 상단을 덮는 캡(2)과; 상기 밸브와 캡 사이에 설치되는 복귀스프링(4)과; 상기 캡을 관통하여 밸브의 상단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샤프트(5)와; 그리고, 상기 샤프트의 상단에 선회가능하게 핀(61)연결되어 선회조작에 따라 상기 샤프트(5)를 통하여 밸브를 개폐하는 취수레버(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정수기용 취수꼭지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의 하단부 둘레로 구면의 볼 시트(133)가 형성되고, 상기 볼 시트 둘레에는 회전 및 경사조절가능하게 어댑터(7)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배출부(13)의 하단부 내주면에는 다수의 수직 안내리브(135)가 등간격으로 차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정수기용 취수꼭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물이 취수될 때 난류에 의하여 분산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임의의 방향으로 취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물은 안전하게 취수할 수 있는 정수기용 취수꼭지에 관한 것이다.
정수기는 필터들 및/또는 멤브레인들에 의하여 원수를 정수하여 저장탱크에 저장하고 이와 같이 정수되어 저장탱크에 저장된 물을 취수하여 안심하고 음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장치이다. 이러한 정수기는 통상적으로 정수, 냉수와 온수를 선택적으로 취수할 수 있도록 정수배출구, 냉수배출구와 온수배출구가 별도 또는 단일배출구 형태로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냉온정수기에 있어서 만들어지는 온수의 경우 히터에 의하여 대략 80℃ 이상의 고온으로 가열되어 배출된다.
이와 같이 정수기로부터 정수된 물을 취수하기 위하여 저장탱크와 연결되는 취수꼭지가 정수기의 취수부에 설치되는데, 이 취수꼭지는 통상적으로 아래쪽 또는 위쪽에 설치된 취수레버를 회동하면 밸브가 개방되어 물이 취수되도록 되어 있다.
취수레버는 취수꼭지의 위쪽 또는 아래쪽이냐의 설치장소만 다르고 그 구조는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취수레버가 위쪽에 설치된 일반적인 취수꼭지에 대하여 도시하여 설명한다.
종래 취수꼭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기의 저장탱크(미도시)와 연결되는 연결부(911) 및 상기 연결부(911)의 선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물을 아래로 배출하기 위한 수직 배출부(913)를 가진 꼭지본체(91)와; 상기 배출부(913)단을 덮는 캡(92)과; 상기 연결부(911)의 유로와 대응하여 배출부(913)의 상단부에 승강가능하게 내장됨으로써 승강에 따라 상기 연결부(911)의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93)와; 상기 밸브(93)와 캡(92) 사이에 설치되는 복귀스프링(94)과; 상기 캡(92)을 관통하여 밸브(93)의 상단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샤프트(95)와; 그리고, 상기 샤프트(95)의 상단에 선회가능하게 핀(961)에 의하여 결합되어 선회조작에 따라 상기 샤프트(95)를 통하여 밸브(93)를 개폐하는 취수레버(9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참조부호 97은 연결부(911)를 저장탱크측 파이프(미도시)에 연결하기 위한 너트이고, 참조부호 98은 상기 연결부(911)와 저장탱크측 파이프와의 연결부위를 밀봉하기 위한 패킹을 나타낸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 취수꼭지에 있어서는, 정수기로부터 물을 취수하고자 할 때 배출부(913)의 하단에 컵 등을 위치시킨 다음 취수레버(96)를 아래로 선회하면, 취수레버(96)와 결합된 샤프트(95)가 위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샤프트(95)와 결합되어 배출부(913)와 연결부(911)의 통로를 막고 있던 밸브(93)가 상승함으로써 꼭지본체(91)의 유로가 개방되므로, 물이 저장탱크로부터 연결부(911)를 거쳐 배출부(913)를 통하여 아래로 낙하하여 컵에 수용된다. 컵에 원하는 만큼의 물이 수용되면 취수레버(96)를 놓는다. 취수레버(96)를 놓으면 밸브(93)의 상승시 압축된 복귀스프링(94)의 탄성력에 의하여 밸브(93)가 원래의 위치로 아래로 이동함과 동시에 취수레버(96)도 원래의 상태로 복귀되어 밸브(93)에 의하여 유로가 막힘으로써 물의 취수가 차단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정수기용 취수꼭지에 있어서는, 배출부(913)를 통하여 물이 아래로 흘러내리는 과정에서 층류상태가 아닌 와류상태로 물이 배출되므로 물이 배출부(913) 아래쪽 주위로 튀어 분산되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특히 어린이들이 뜨거운 온수를 취수하는 과정에서 화상을 입는 등의 사고를 당할 우려가 있다. 또한, 용기의 형태에 따라 물의 배출방향을 조절할 필요가 있지만 종래 취수꼭지에 있어서는 배출부(913)가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어 아래쪽으로만 물이 배출되기 때문에 원하는 용기, 예컨대 항아리형 용기에는 물을 쉽게 수용할 수 없어 취수꼭지로부터 다른 용기에 물을 받아 이를 다시 원하는 용기에 채우거나 취수꼭지로부터 직접 물을 취수한다 하여도 원하는 양만큼 물을 취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물이 취수될 때 난류에 의하여 분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물을 안전하게 취수함과 아울러 임의의 방향으로 물을 취수될 수 있는 정수기용 취수꼭지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용 취수꼭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용 취수꼭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은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용 취수꼭지의 요부 저면도이다.
도 5는 종래 정수기용 취수꼭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꼭지본체, 2 : 캡,
3 : 밸브, 4 : 복귀스프링,
5 : 샤프트, 6 : 취수레버,
7 : 어댑터, 11 : 연결부,
13 : 수직 배출부, 133 : 볼 시트,
135 : 수직 안내리브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정수기의 저장탱크와 연결되는 연결부 및 그 선단에 일체로 형성된 수직 배출부를 가진 꼭지본체와; 상기 배출부의 상단부에 승강가능하게 내장됨으로써 승강에 따라 상기 연결부의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와; 상기 배출부의 상단을 덮는 캡과; 상기 밸브와 캡 사이에 설치되는 복귀스프링과; 상기 캡을 관통하여 밸브의 상단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샤프트와; 그리고, 상기 샤프트의 상단에 선회가능하게 핀연결되어 선회조작에 따라 상기 샤프트를 통하여 밸브를 개폐하는 취수레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취수레버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의 하단부 둘레로 구면의 볼 시트가 형성되고, 상기 볼 시트 둘레에는 회전 및 경사조절가능하게 어댑터의 상단부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배출부의 하단부 내주면에는 다수의 수직 안내리브가 등간격으로 차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정수기용 취수꼭지에 따르면, 취수레버를 아래로 선회함에 따라 밸브가 상승함으로써 꼭지본체의 유로가 개방되므로, 물이 저장탱크로부터 연결부를 거쳐 배출부 및 어댑터를 통하여 아래로 낙하하여 컵에 수용된다. 물이 배출되는 과정에서 배출부에 형성되는 수직 안내리브들에 의하여 물의 배출이 층류상태로 안내되므로 물이 튀는 등의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물의 배출방향이 맞지 않을 경우에는 어댑터를 소정의 각도 및 경사상태로 맞춘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참조부호 1은 꼭지본체로서, 정수기의 저장탱크(미도시)와 연결되고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유로(111)가 형성된 연결부(11)와, 상기 연결부(11)의 선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에 수직유로(131)가 형성되어 물을 아래로 배출하기 위한 수직 배출부(13)를 가진다. 연결부(11)의 수평유로(111)와 배출부(13)의 수직유로(131)는 서로 통하도록 되어 있다. 배출부(13)의 상단에는 캡(2)이 결합됨으로써 배출부(13)의 수직유로(131)중 상단은 막혀 있다. 참조부호 는 연결부(11)를 저장탱크측 파이프(미도시)에 연결하기 위한 너트(15)이고, 참조부호 17은 상기 연결부(11)와 저장탱크측 파이프와의 연결부(11)위를 밀봉하기 위한 패킹을 나타낸다.
상기 배출부(13) 수직유로(131)에는 연결부(11)의 수평유로(111)와 대응하여 밸브(3)가 승강가능하게 내장되고, 따라서 상기 밸브(3)의 승강에 따라 상기 연결부(11)의 수평유로(111)와 배출부(13)의 수직유로(131)가 서로 통하거나 통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밸브(3)와 캡(2) 사이에는 복귀스프링(4)이 설치됨으로써 밸브(3)의 승강이 탄성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밸브(3)의 승강조작을 위하여, 상기 캡(2)을 관통하여 밸브(3)의 상단에 수직으로 샤프트(5)가 설치되고, 캡(2)의 상부로 돌출된 샤프트(5)의 상단에는 취수레버(6)가 핀(61)에 의하여 선회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는 취수레버(6)가 뒤쪽으로 경사진 상태로 설치된 것이 예시되어 있으며, 따라서 취수레버(6)의 끝을 아래쪽으로 선회하면 취수레버(6)와 핀(61)결합된 샤프트(5)가 위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샤프트(5)와 결합된 밸브(3)가 위로 상승한다. 이와 같이 밸브(3)가 위로 상승하면 연결부(11)의 수평유로(111)와 배출부(13)의 수직유로(131)가 서로 통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배출부(13)의 하단부 둘레로 구면의 볼 시트(133)가 형성되고, 상기 볼 시트(133) 둘레에는 회전 및 경사조절가능하게 어댑터(7)가 결합된다. 따라서, 물의 배출방향이 맞지 않을 경우에는 어댑터(7)의 회전각도를 조절하거나 경사도를 조절함으로써 배출부(13)를 통하여 배출되는 물의 각도를 어댑터(7)에 의하여 임의의 방향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부(13)의 하단부 내주면에는 다수의 수직 안내리브(135)가 등간격으로 차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정수기용 취수꼭지의 작용을 설명한다.
정수기로부터 물을 취수하고자 할 경우 배출부(13)의 하단에 컵 등을 위치시킨 다음 취수레버(6)를 아래로 선회한다. 이와 같이 취수레버(6)를 선회하면 취수레버(6)와 결합된 샤프트(5)가 위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샤프트(5)와 결합되어 배출부(13) 수직유로(131)와 연결부(11)의 수평유로(111)를 서로 통하지 않게 막고 있던 밸브(3)가 상승함으로써 배출부(13)의 수직유로(131)와 연결부(11)의 수평유로(111)가 서로 통하게 되므로, 저장탱크로부터 물은 연결부(11) 및 배출부(13)를 거쳐 어댑터(7)를 통하여 아래로 낙하하여 컵에 수용된다. 컵에 원하는 만큼의 물이 수용되면 취수레버(6)를 놓는다. 취수레버(6)를 놓으면 밸브(3)의 상승시 압축된 복귀스프링(4)의 탄성력에 의하여 밸브(3)가 아래로 밀려 원래의 위치로 복귀함과 동시에 레버(6)도 원래의 상태로 복귀되어 밸브(3)에 의하여 연결부(11)의 수평유로(111) 및 배출부(13)의 수직유로(131)가 서로 통하지 않게 차단됨으로써 저장탱크로부터의 물의 취수가 차단된다.
한편, 물이 배출되는 과정에서 배출부(13)에 형성되는 수직 안내리브(135)들에 의하여 물의 흐름이 난류가 아닌 층류상태로 바뀌어 어댑터(7)를 통하여 아래로 흘러내리므로 물이 왈칵 배출되거나 튀는 등의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특히 어린이가 온수를 취수할 때 화상을 입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물을 취수할 때 물의 배출방향이 맞지 않을 경우에는 어댑터(7)를 소정의 각도 및 경사상태로 맞추어 용기 쪽을 향하도록 한 다음 취수하면 종래에는 취수할 수 없었던 형태의 용기라 할지라도 물을 용기에 정확하게 취수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용 취수꼭지에 있어서는, 취수시 어댑터(7)를 손쉽게 용기쪽에 맞출 있고 또한 물의 배출시 물이 튀지 않도록 층류 상태로 물을 안내할 수 있도록 이루어짐으로써 물을 안전하게 취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온수 취수시 화상을 입는 것과 같은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
- 정수기의 저장탱크와 연결되는 연결부(11) 및 그 선단에 일체로 형성된 수직 배출부(13)를 가진 꼭지본체(1)와; 상기 배출부의 상단부에 승강가능하게 내장됨으로써 승강에 따라 상기 연결부의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3)와; 상기 배출부의 상단을 덮는 캡(2)과; 상기 밸브와 캡 사이에 설치되는 복귀스프링(4)과; 상기 캡을 관통하여 밸브의 상단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샤프트(5)와; 그리고, 상기 샤프트의 상단에 선회가능하게 핀(61)연결되어 선회조작에 따라 상기 샤프트(5)를 통하여 밸브를 개폐하는 취수레버(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정수기용 취수꼭지에 있어서,상기 배출부의 하단부 둘레로 구면의 볼 시트(133)가 형성되고, 상기 볼 시트 둘레에는 회전 및 경사조절가능하게 어댑터(7)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취수꼭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13)의 하단부 내주면에는 다수의 수직 안내리브(135)가 등간격으로 차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취수꼭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90011182U KR200277168Y1 (ko) | 1999-06-23 | 1999-06-23 | 정수기용 취수꼭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90011182U KR200277168Y1 (ko) | 1999-06-23 | 1999-06-23 | 정수기용 취수꼭지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00956U true KR20010000956U (ko) | 2001-01-15 |
KR200277168Y1 KR200277168Y1 (ko) | 2002-06-03 |
Family
ID=54764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90011182U KR200277168Y1 (ko) | 1999-06-23 | 1999-06-23 | 정수기용 취수꼭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77168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97773B1 (ko) * | 2007-07-05 | 2008-01-24 | 주식회사 스쿨환경산업 | 정수기의 취수꼭지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97874B1 (ko) * | 2001-01-03 | 2003-09-13 | 김명철 | 정수용 취수밸브장치 |
KR100793975B1 (ko) | 2005-03-02 | 2008-01-16 | 지용삼 | 급수시 살균등이 주사토록 되는 냉온수기의 급수전 |
-
1999
- 1999-06-23 KR KR2019990011182U patent/KR200277168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97773B1 (ko) * | 2007-07-05 | 2008-01-24 | 주식회사 스쿨환경산업 | 정수기의 취수꼭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77168Y1 (ko) | 2002-06-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975125A (en) | Combined filter and noise suppressor for fill valve | |
US5349981A (en) | Drain valve for a flush tank | |
US4281625A (en) | Automatic water supply device | |
AU592701B2 (en) | Adjustable vacuum breaker fill valve | |
US5832970A (en) | Liquid dispensing nozzle | |
GB2254129A (en) | Valve assembly. | |
US3469603A (en) | Fold-up tub spout | |
US7270117B1 (en) | Fuel tank vent apparatus | |
KR200277168Y1 (ko) | 정수기용 취수꼭지 | |
EP0575856B1 (en) | Overfill valve construction | |
CA1255853A (en) | Hydrostatic ballcock assembly | |
US7028704B2 (en) | Fill valve | |
US3982556A (en) | Tank flushing means | |
CN207776030U (zh) | 一种进水量自动调节的限流阀 | |
US4628956A (en) | Float valve mechanism | |
KR200373904Y1 (ko) | 정수기의 각도조절형 취수밸브 | |
GB2267552A (en) | Watering device | |
WO1991012381A1 (en) | Dual valve toilet flushing apparatus | |
JPS633994Y2 (ko) | ||
JPS592362Y2 (ja) | 過大流量防止装置付ガスコツク | |
JP3646359B2 (ja) | 応急水タンク | |
WO1993021465A1 (en) | Valved outlet | |
JP3635390B2 (ja) | フロート弁構造 | |
JPH07253193A (ja) | 温調トラップ | |
JPS628464Y2 (k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225 Year of fee payment: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13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