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7408A - 정수기용 온수 안전 파우셋 - Google Patents

정수기용 온수 안전 파우셋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7408A
KR20190097408A KR1020180016789A KR20180016789A KR20190097408A KR 20190097408 A KR20190097408 A KR 20190097408A KR 1020180016789 A KR1020180016789 A KR 1020180016789A KR 20180016789 A KR20180016789 A KR 20180016789A KR 20190097408 A KR20190097408 A KR 201900974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ever
water purifier
main body
fauc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6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5516B1 (ko
Inventor
이강민
김상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비엘
김상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비엘, 김상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비엘
Priority to KR1020180016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5516B1/ko
Publication of KR20190097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74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5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55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81Dispensin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2Liquid-dispensing valves having operating members arranged to be pressed upwards, e.g. by the rims of receptacles held below the delivery orif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81Dispensing valves
    • B67D2001/0087Dispensing valves being mounted on the dispenser housing
    • B67D2001/0089Dispensing valves being mounted on the dispenser housing operated by lever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기용 파우셋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수기의 취수레버와 밀폐구가 직결되지 않고 플런저를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상호 연동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취수레버의 크기를 최소화함과 아울러 취수레버와 밀폐구 간의 작동시 부정합으로 인한 유동과 누수를 방지할 수 있으며, 누름버튼과 취수레버를 동시에 누르는 경우에만 온수가 토출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부주의나 실수로 원치않게 온수가 토출됨에 따른 화상 위험 및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정수기용 온수 안전 파우셋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정수기용 온수 안전 파우셋{HOT WATER SAFETY PAUCET FOR 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정수기용 파우셋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수기의 취수레버와 밀폐구가 직결되지 않고 플런저를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상호 연동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취수레버의 크기를 최소화함과 아울러 취수레버와 밀폐구 간의 작동시 부정합으로 인한 유동과 누수를 방지할 수 있으며, 누름버튼과 취수레버를 동시에 누르는 경우에만 온수가 토출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부주의나 실수로 원치않게 온수가 토출됨에 따른 화상 위험 및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정수기용 온수 안전 파우셋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필터를 이용하여 원수를 정화하고, 정화된 정수를 냉각 수단으로 냉각하거나, 가열 수단으로 가열하거나 또는 실온 상태에서 바로 토출함으로써 냉수, 온수 및 정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공급한다.
이러한 정수기는 취수레버를 누르는 등의 조작에 의해 냉수, 온수 또는 정수를 사용자에게 선택적으로 공급하는데, 정수기의 코크 밸브는 일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99454호와 같이 유입로가 형성된 수평 관체 및 하부에 토수구가 형성된 수직 관체를 포함하며, 수직 관체 내부에 설치된 개폐부를 취수레버로 개폐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취수레버는 토수구의 하부로 연장되어 사용자가 컵이나 손으로 누를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방으로 연장되어 코크 밸브 몸체의 상단부에서 내부에 수직으로 배치된 샤프트와 힌지 결합되어 취수레버의 하부를 후방측으로 눌러 일정 각도 회동시키는 경우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취수레버의 상단에 힌지 결합된 샤프트가 상승하여 수직 샤프트의 하단에 구비된 밀폐구가 토수구로부터 분리 이탈됨에 따라 토수구를 개방시켜 물이 토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는 현재 시판되고 있는 거의 모든 정수기용 파우셋(코크) 장치에 널리 채택된 통상적인 구조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런데, 이러한 통상적인 정수기용 파우셋 구조에 따르면, 취수레버와 수직 샤프트가 상부에서 힌지 결합에 의해 직결되기 때문에, 취수레버가 토수구 하측에서부터 파우셋의 메인바디 상단부까지 길게 연장 형성되어야 하므로 전체적으로 크기가 커질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설치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취수레버와 수직 샤프트가 서로 오차 없이 정확한 위치와 유격으로 연결(정합)되어 있어야 취수레버의 조작에 따라 수직 샤프트가 정확히 반응하여 토수구의 정확한 개폐가 수행되는데, 취수레버와 수직 샤프트가 제작시 오차 또는 장기간 사용에 따라 발생되는 부정합, 그리고 취수레버와 수직 샤프트의 이동 방향이 서로 상이함에 따라 상호 제대로 연동되지 않는 경우에는 취수레버를 눌러도 물이 토출되지 않는다던가 취수레버의 누름을 중단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계속 물이 토출되는 등 누수가 발생하는 문제와 유격으로 인한 부품의 유동 등의 문제가 있어 왔다.
한편, 일반적으로 정수기에는 냉수(또는 정수)용 파우셋과 온수용 파우셋이 좌우 각각 한개씩 별도로 구비되어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냉수와 온수를 선택 음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파우셋의 하부에 컵을 가져가서 취수레버를 후방측으로 가압하여 밀어주면 토출구를 통하여 물이 토출됨에 따라 컵에 물을 취수하여 음용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냉수의 경우 취수레버의 가압에 의해 바로 토출되어도 안전상 상관이 없으나, 온수의 경우 사용자의 부주의 또는 실수로 인하여 취수레버를 살짝만 건드려도 원치않게 온수가 토출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손에 화상을 입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할 뿐만 아니라, 원치않는 온수 누출로 인한 물 낭비를 초래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록특허 제10-0321808호에는 이중 단속 기능을 구비하는 냉온정수기용 급수레버 안전장치가 제안된다. 상기 급수레버 안전장치는 파우셋 내부에 취수레버에 의해 토출관을 단속하는 제1 단속로드를 설치하고, 이러한 제1 단속로드와 직교되며 누름버튼에 의해 급수관을 단속하는 제2 단속로드를 내설하여, 상기 급수관과 토출관을 통해 공급되는 냉,온수를 이중단속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누름버튼이 눌린 상태에서 동시에 취수레버가 눌려져야만 온수가 토출되기는 하나, 제1단속로드와 제2단속로드가 서로 간섭없이 개별적으로 작동되기 때문에 누름버튼과 취수레버가 약간만 눌려져도 온수가 토출되어 화상 또는 원치않는 누수 위험이 있었다. 또한, 취수시 컵을 잡은 손은 취수레버를 밀고 다른 한 손은 누릅버튼을 눌러야함 토수가 진행되는 바, 이는 토수 동작 시간 동안 양손의 지속적인 사용이 요구되어 사용시 불편함이 있었고, 온수 토수 동작에 있어서 긴 시간 취수시 내부의 온수열이 버튼에 전달되어 누름 동작을 지속적으로 할 수 없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9945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9725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9945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21808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정수기용 파우셋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취수레버와 밀폐구를 직결시키지 않고 플런저를 이용하여 취수레버와 밀폐구가 간접적으로 연동되도록 함으로써 취수레버의 크기를 줄여 설치 공간의 제약을 해결할 수 있으며, 정밀한 연동을 통하여 작동 오류를 줄임으로써 불필요한 누수와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정수기용 파우셋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취수레버와 누름버튼이 동시에 눌려져야만 온수가 토출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누름버튼이 살짝만 눌려지는 경우 원치않는 누수로 인한 화상 및 물 낭비를 방지할 수 있으며, 컵을 잡은 손은 취수레버를 밀고 다른 한 손은 누름버튼을 누르되 그 동작으 지속성을 요구하지 않으며, 한번 눌려진 누름버튼은 누름 동작을 해제하더라도 취수레버가 밀려있는 상태에서는 토수가 계속적으로 진행되도록 하고, 토수 종료 동작(취수레버의 밀림 해제)시에는 누름버튼의 눌림 동작이 자동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화상 사고 방지 기능 및 누수 방지 기능을 병용할 수 있는 정수기용 온수 안전 파우셋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파우셋은, 후방측에 물이 유입되는 입수관이 형성되고, 하부에 물이 토출되는 토수구가 형성된 메인바디와; 상단 좌우 양측이 상기 메인바디의 좌우 양 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취수레버와; 상기 메인바디의 내측에서 승강 이동에 따라 상기 토수구를 개폐하는 수직샤프트와; 상기 메인바디의 상측에서 상기 취수레버의 상단과 맞닿도록 배치되어, 상기 취수레버의 누름 및 누름 해제에 의해 승강됨에 따라 상기 수직샤프트를 승강시키는 미들레버와; 상기 미들레버의 상측에서 상기 메인바디의 상단에 결합되는 파우셋커버와; 상기 메인바디 내측에서 상기 수직샤프트와 교차되도록 전후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며, 전후 이동에 따라 상기 입수관을 개폐하는 개폐하는 수평샤프트와; 상기 메인바디의 전방측에 구비되어 누름 및 누름 해제 동작에 따라 상기 수평샤프트를 전후 수평 이동시키기 위한 누름버튼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메인바디의 좌우 양측에는 회동축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취수레버의 상단 좌우 양측에는 각각 상기 회동축이 삽입 결합되는 회동축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취수레버의 상단에는 취수레버의 누름 작동시 회동되면서 상기 미들레버와 맞닿음에 따라 미들레버를 상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캠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미들레버는 중앙에 상기 수직샤프트가 관통 삽입되도록 통공이 형성되고, 좌우 양측에는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취수레버의 상단 캠부와 맞닿는 캠접촉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샤프트의 외주면에는 상기 미들레버의 중앙 통공에 삽입된 상태로 걸려 안착 지지되도록 걸림테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취수레버가 눌려져 상승된 수직샤프트와 미들레버를 취수레버의 누름이 해제되는 경우 하방으로 복귀 이동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수직샤프트에는 상기 수평샤프트가 관통 삽입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수직샤프트는, 상기 미들레버의 승하강에 따라 함께 승하강되되, 외주면에는 미들레버의 중앙 통공에 삽입된 상태로 걸려 안착 지지됨에 따라 미들레버의 승하강시 함께 승하강 가능하도록 걸림테가 형성된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의 하단에 결합되어 플런저와 함께 승하강됨에 따라 메인바디 하측의 토수구를 개폐하며, 하단부에는 토수구를 밀폐하기 위한 패킹이 결합되고, 상기 패킹 결합부 상측에는 상기 수평샤프트가 수평 방향으로 관통 삽입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된 밸브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관통공은 하부가 상부 보다 가로 방향 너비가 더 좁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관통공 중 하측 일부를 커버하도록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스토퍼가 상기 관통공의 좌우 내측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수평샤프트는 후방측 단부 외주면 좌우 양측에 탄성변형날개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변형날개의 전단부 외측면에는 상기 수직샤프트의 관통공에 형성된 스토퍼에 걸려 지지되도록 돌출된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의 전면은 누름버튼 누름시 수평샤프트의 탄성변형날개가 접촉되어 탄성 변형되면서 관통공을 통과할 수 있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후면은 통과된 수평샤프트의 탄성변형날개 전단부가 걸려 지지되도록 편평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걸림부에는 누름버튼 누름시 스토퍼에 걸려있던 걸림부가 스토퍼의 전면 라운드진 부분과 맞닿으면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도록 경사면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취수레버와 밀폐구를 직결시키지 않고 플런저와 미들레버를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연동되도록 함으로써 취수레버의 크기를 줄여 설치 공간의 제약을 해결할 수 있으며, 정밀한 연동을 통하여 작동 오류를 줄임으로써 불필요한 누수와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는 탁월한 장점을 갖는다.
한편, 레버와 누름버튼이 동시에 눌려져야만 온수가 토출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의 부주의나 실수로 레버 또는 누름버튼만 눌려지는 경우 온수가 토출되지 않으므로 사용자의 원치않는 온수 토출로 인한 화상 및 온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컵을 잡은 손은 취수레버를 밀고 다른 한 손은 누름버튼을 누르되 그 동작으 지속성을 요구하지 않으며, 한번 눌려진 누름버튼은 누름 동작을 해제하더라도 취수레버가 밀려있는 상태에서는 토수가 계속적으로 진행되도록 하고, 토수 종료 동작(취수레버의 밀림 해제)시에는 누름버튼의 눌림 동작이 자동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화상 사고 방지 기능 및 누수 방지 기능을 병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온수 안전 파우셋의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온수 안전 파우셋의 분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온수 안전 파우셋의 측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온수 안전 파우셋의 메인바디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온수 안전 파우셋의 수직샤프트 분해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온수 안전 파우셋의 수직샤프트의 상세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온수 안전 파우셋의 미들레버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온수 안전 파우셋의 파우셋커버 구성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온수 안전 파우셋의 수평샤프트 상세도,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온수 안전 파우셋의 수직샤프트와 수평샤프트가 교차 배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온수 안전 파우셋의 누름버튼 조립 분해도,
도 12 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온수 안전 파우셋의 제3탄성부재 설치 구성도,
도 13 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온수 안전 파우셋의 취수레버 누름 전(a) 후(b)의 상태를 나타낸 외부 측면도,
도 14 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온수 안전 파우셋의 취수레버 누름 전(a) 후(b)의 상태를 나타낸 내부 단면도,
도 15 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온수 안전 파우셋의 취수레버를 누른 상태에서 누름버튼을 누르기 전(a) 후(b)의 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16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온수 안전 파우셋의 취수레버 누름 전(a) 후(b)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7 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온수 안전 파우셋의 취수레버를 누른 상태에서 누름버튼을 누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온수 안전 파우셋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파우셋은 메인바디(100), 취수레버(120), 수직샤프트(140), 미들레버(150), 탄성부재(160), 파우셋커버(170), 수평샤프트(180) 및 누름버튼(190)을 포함한다.
메인바디(100)는 공급된 물을 일시 수용하여 외부로 토출하는 부분으로, 외부로부터 유입된 물을 수용하는 입수관(101)이 후방측을 향하여 길게 연장 형성되고, 상기 입수관(101) 후방측에는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105)가 형성된다. 그리고, 전방측 하부에는 입수관(101)을 통해 유입된 물이 배출되는 토수구(102)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유입구(105)는 입수관(101)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입수관(101)의 개구된 후단측에 결합되는 별도의 관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메인바디(100)의 상부는 내측에 후술하는 바와 같은 수직샤프트(140), 탄성부재(160), 밀폐구(130) 등을 조립 장착할 수 있도록 개구된 형태로 구성되며,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구(130)의 장착후 바디커버(110)에 의해 상부 개구가 커버된다. 상기 메인바디(100)의 내부에는 후방측에 형성된 입수관(101)을 통해 유입된 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메인바디(100)의 상부 내주면에는 후술하는 밀폐구(130)가 안착 지지되도록 단턱(미도시)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단 외주면에는 후술하는 파우셋커버(170)의 결합을 위해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결합홈(104)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4 에는 상기 메인바디(100)의 전방측 사시도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바디(100)의 전방측에는 후술하는 누름버튼(190)이 삽입되도록 중앙이 개구되고 둘레를 따라 환형으로 돌출 형성된 버튼삽입부(108)가 형성된다. 상기 버튼삽입부(108)와 메인바디(100)의 내부와는 서로 연통되도록 구성되되, 후술하는 바와 같이 수평샤프트(180) 장착시 물이 누수되는 것을 최소화 하도록 격벽(108a)이 형성되고, 상기 격벽(108a)에는 수평샤프트(180)가 관통 삽입되도록 샤프트조립공(108b)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샤프트조립공(108b)은 수평샤프트(180)의 전방측 윤곽에 상응하도록 중앙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좌우 측면에는 후술하는 회전방지돌기(186)가 삽입 안착되어 수평샤프트(180)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상기 회전방지돌기(186)와 상응하는 크기로 수평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취수레버(120)는 사용자가 컵이나 손을 이용하여 눌러 회동시킴에 따라 메인바디(100)의 토수구(102)를 통하여 물이 배출되도록 작동을 개시하는 레버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하부는 컵의 외주면이 닿을 수 있도록 넓은 면을 형성하는 누름면(122)이 형성되고, 상기 누름면(122)의 좌우 양측에는 상방으로 각각 연장되는 측면연장부(12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측면연장부(124)의 상단에는 캠부(126)가 형성된다.
상기 캠부(126)는 취수레버(120)의 누름 작동시 회동되면서 후술하는 미들레버(150)를 상승시키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양측 측면연장부(124)의 상단에 돌출 형성된 블럭 형태로 구성된다. 즉, 상기 캠부(126)의 상부면에는 수평면이 형성되고 전후방측에는 수직면이 형성된다. 취수레버(120)를 후방측으로 밀어 소정 각도 회동시키는 경우에 상기 수평면과 후방측 수직면의 경계인 모서리 부분이 미들레버(150)를 상방으로 밀어 올리게 된다. 상기 모서리 부분은 미들레버(150)를 비교적 높이 상승시킬 수 있도록 각지게 형성될 수도 있고, 원활한 회전을 위해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캠부(126)의 수평면과 수직면 사이의 경계 모서리와 회동축(103)과의 거리는 수평면과 회동축(103)과의 거리 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야 캠부(126)의 수평면과 수직면 사이의 경계 모서리가 미들레버(150)를 상승시킬 수 있다. 위에서는 캠부(126)의 수평면과 후방측 수직면의 경계가 각진 모서리를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위와 같은 거리 조건을 갖는다면 상기 캠부(126)는 모서리가 둥글게 라운드진 형태이거나 옆으로 긴 타원형 형태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취수레버(120)의 상부,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취수레버(120)의 좌우 측면연장부(124)의 상단은 상기 메인바디(100)의 좌우 양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메인바디(100)의 좌우 양측에는 회동축(103)이 각각 돌설되고, 상기 취수레버(120)의 측면연장부(124) 상측에 돌출된 캠부(126)에는 상기 회동축(103)이 삽입 결합되는 회동축홈(128)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동축홈(128)이 캠부(126)에 형성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상기 회동축홈(128)은 측면연장부(124)에 형성될 수도 있고, 측면연장부(124)에 별도로 돌설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즉, 취수레버(120)가 메인바디(10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이라면 상기 회동축홈(128)의 위치 및 형태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할 것이다.
또한, 상기 회동축홈(128)은 캠부(126)의 중앙에 원형의 통공 형태로 구성되어 회동축(103)과 결합될 수도 있으나, 정수기 본체에 메인바디(100)를 먼저 설치하고 추후 취수레버(120)만 밀어 끼우는 방식으로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후방측으로 연장되어 개방된 장홈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밀폐구(130)는 메인바디(100)의 내측 상부 단턱(미도시)에 안착되어, 상기 메인바디(100) 내부에 수용되는 물이 상부 개구를 통해 누출되지 않도록 밀폐하는 것으로, 대체로 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은 탄성재질이 패킹 형태로 구성된다. 밀폐구(130)가 안착된 메인바디(100)의 상측 개구에는 바디커버(110)가 결합된다.
상기 밀폐구(130)와 바디커버(105)의 중앙에는 모두 수직으로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여기에 수직샤프트(140)가 관통 결합된다. 상기 수직샤프트(140)는 취수레버(120) 조작에 따라 후술하는 미들레버(150)에 의해 승하강되어 토수구(102)를 개폐한다. 도 2 에 상기 수직샤프트(140)의 결합 상태가 도시되고, 도 5 에 상기 수직샤프트(140)의 분해도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샤프트(140)는 조립의 편의성을 위하여 상부의 플런저(142)와 하부의 밸브체(146)로 분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샤프트(140)의 상부 파트를 구성하는 플런저(142)는 후술하는 미들레버(150)의 승하강에 따라 함께 승하강되는 부분으로, 대체로 단면이 원형이고 수직으로 배치된 관체로 구성되며, 외주면에는 미들레버(150)의 중앙 통공(152)에 삽입된 상태로 걸려 안착 지지됨에 따라 미들레버(150)의 승하강시 함께 승하강 가능하도록 걸림테(142a)가 형성된다. 그리고,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142)의 내부 하측에는 내경이 더 작아지도록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방으로부터 결합핀(147)이 끼워져 하단에 배치되는 밸브체(146)와 고정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수직샤프트(140)의 하부 파트를 구성하는 밸브체(146)는 상기 플런저(142)의 하단에 결합되어 플런저(142)와 함께 승하강됨에 따라 메인바디(100) 하측의 토수구(102)를 개폐한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밸브체(146)의 상단부는 플런저(142)의 하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결합핀(147)에 의해 플런저(142)와 고정 결합되며, 하단부에는 토수구(102)를 밀폐하기 위한 패킹(149)이 결합된다.
상기 밸브체(146)의 패킹(149) 결합부 상측에는 수평 방향으로 관통공(147)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147)에는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수평샤프트(180)가 관통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관통공(147)의 크기는 수평샤프트(180)의 외경 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밸브체(146)가 상승시 수평샤프트(180)와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구성된다.
도 6 에는 상기 밸브체(146)가 후면도(a)와 전방 사시도(b)로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체(146)에 형성된 관통공(147)은 하부가 상부 보다 가로 방향 너비가 더 좁게 형성된다. 즉, 상기 관통공(147)은 상부측에 가로 방향으로 더 넓은 수평장공(147a)과 하부측에 세로 방향으로 더 긴 수직장공(147b)이 형성되어, 대체로 'T'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이 세로 방향으로 더 길고 가로 방향으로 더 좁은 수직장공(147b)을 형성하기 위해, 관통공(147) 중 하측 일부를 커버하도록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스토퍼(148)가 상기 관통공(147)의 좌우 내측에 각각 형성된다.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148)의 전면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누름버튼(190) 누름시 수평샤프트(180)의 탄성변형날개(182)가 접촉되어 탄성 변형되면서 관통공(147)을 통과할 수 있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후면은 통과된 수평샤프트(180)의 탄성변형날개(182) 전단부가 걸려 지지되도록 편평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플런저(140)의 중공 상부에는 탄성부재(160) 중 제1탄성부재(161)가 삽입된다. 상기 제1탄성부재(161)는 상단이 후술하는 파우셋커버(170)의 내부 상면에 지지되어 플런저(140)가 상승된 후 다시 하강 복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미들레버(150)는 상기 메인바디(100)의 상측, 보다 상세하게는 바디커버(110)의 상측에 배치되어 취수레버(120)의 누름 및 누름 해제에 의해 승하강됨에 따라 플런저(140)를 승하강시키는 것으로,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은 통공(152)이 형성되어 플런저(140)가 삽입되는 판 부재로 구성되고, 좌우 양측 하부면은 하방으로 돌출되어 전술한 취수레버(120)의 캠부(126)와 맞닿는 캠접촉부(154)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좌우 양측의 캠접촉부(154) 사이 간격은 메인바디(100)의 외주면 직경에 상응하게 형성되어, 양 캠접촉부(154) 사이에 메인바디(100)의 상부가 삽입된 상태에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캠접촉부(154)가 취수레버(120)의 캠부(126)에 의해 상방으로 가압되는 경우 미들레버(150)가 메인바디(100)를 따라 상방으로 이동된다. 이때, 좌우 양측의 캠접촉부(154) 사이 간격과 메인바디(100)의 직경이 상응하게 형성되므로, 양 캠접촉부(154)가 가이드 역할을 하면서 미들레버(150)가 메인바디(100)를 따라 안정적으로 승하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미들레버(150)의 보다 안정적인 승하강을 위해, 도 1, 도 2 및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미들레버(150)의 상부 좌우 양측에는 가이드편(156)이 추가로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편(156)은 미들레버(150)의 상부 표면 양측에서 각각 상방으로 돌출되되, 후술하는 파우셋커버(170)의 외주면 형상에 상응하게 원호 형상으로 만곡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미들레버(150)의 승하강시 가이드편(156)이 파우셋커버(170)의 외주면을 따라 가이드되어 미들레버(150)의 안정적인 승하강이 보장된다.
한편, 상기 미들레버(150)의 상측에는 제2탄성부재(162)가 배치된다. 상기 제2탄성부재(162)는 미들레버(150)의 상부 중앙(가이드편(156)의 내측)에 일단이 지지되고 타단은 후술하는 파우셋커버(170)의 내측 상부면에 지지되어, 미들레버(150)가 상승시 압축되었다가 다시 복원됨에 따라 미들레버(150)가 본래 위치로 하강 복귀되도록 하방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메인바디(100)의 상측,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미들레버(150)의 상측에는 파우셋커버(170)가 결합된다. 상기 파우셋커버(170)는 내부에 탄성부재(160), 즉, 제1탄성부재(161)와 제2탄성부재(162), 그리고 플런저(14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하부가 개구된 캡 형상으로 구성된다. 도 8 에는 파우셋커버(170)의 구성이 상방 사시도(a)와 하방 사시도(b)로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우셋커버(170)는 대체로 속이 빈 중공의 원통형 캡으로써 하부가 개구된 형태이며, 하단 외측에는 메인바디(100) 상단 외측에 형성된 결합홈(104)에 볼트 등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공(174)이 형성된 결합편(172)이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내측에는 중앙에 제1탄성부재(161)가 삽입되고 외측에 제2탄성부재(162)가 삽입되도록 원통형 격벽(176)이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파우셋커버(170)의 좌우 양측 하단부에는 절개부(178)가 형성되어 미들레버(150)의 좌우 양측이 외측으로 연장되어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취수레버(120)의 상단 캠부(126)와 맞닿도록 배치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절개부(178)의 내측 단턱에 미들레버(150)가 걸려 원주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9 에는 수평샤프트(180)의 사시도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샤프트(180)의 전방측 단부는 메인바디(100)의 전면측을 관통하여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은 누름버튼(190)에 의해 후방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로 단면이 원형인 봉형상으로 구성되고, 외주면에는 회전방지돌기(186)가 좌우 양측으로 각각 돌출 형성된다. 상기 회전방지돌기(186)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샤프트조립공(108b) 중 좌우 양측으로 연장된 부분에 삽입됨에 따라 상하면이 격벽에 맞닿아 회전이 방지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수평샤프트(180)의 후방측 단부 외주면 좌우 양측에는 탄성변형날개(182)가 형성된다. 상기 탄성변형날개(182)는 수평샤프트(180)의 외주면 좌우 양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고 전방측을 향하여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됨에 따라 좌우 측면으로부터 가압력이 제공되는 경우 내측으로 탄성 변형되었다가 가압력이 해제되는 경우 다시 탄성력에 의해 복원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변형날개(182)의 전단부 외측면에는 상술한 수직샤프트(140)의 밸브체(146)에 형성된 스토퍼(148)에 걸려 지지되도록 돌출된 걸림부(182a)가 형성되되, 상기 걸림부(182a)에는 누름버튼(190) 누름시 스토퍼(148)에 걸려있던 걸림부(182a)가 스토퍼(148)의 전면 라운드진 부분과 맞닿으면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도록 대체로 경사면(182b)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평샤프트(180)의 후방측 단부에는 입수관(101)의 전단측을 개폐하는 패킹(188)이 결합되도록 패킹결합돌기(187)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0 에는 상기 수평샤프트(180)와 수직샤프트(140)가 서로 교차 배치된 상태의 모습이 서로 다른 방향에서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샤프트(180)는 수직샤프트(140)의 밸브체(146)에 형성된 관통공(147)에 삽입 관통 배치된다. 이때, 상기 관통공(147)에 삽입된 수평샤프트(180)의 직경은 관통공(147)의 직경 보다 작게 형성되어 수직샤프트(140)의 상승시에도 수평샤프트(180)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수평샤프트(180)는 누름버튼(190)의 누름에 따라 후방측으로 수평 이동되어 입수관(101)이 개방되고, 누름버튼(190)의 누름 해제에 따라 다시 전방측으로 수평 이동되어 입수관(101)이 폐쇄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수평샤프트(180)의 전방측에는 누름버튼(190)이 배치되고 후방측에는 제3탄성부재(106)가 구비된다.
상기 누름버튼(190)은 메인바디(100)의 전방측 버튼삽입부(108)에 삽입 결합되어 사용자의 누름 및 해제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11 에는 이러한 누름버튼(190)의 분해도가 도시된다. 도 1, 도 2, 도 10 및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버튼(190)은 전면측은 편평하게 형성되고 후면측에는 수평샤프트(180), 보다 상세하게는 수평샤프트(180)가 삽입된 다이아프램(197)의 샤프트삽입부(197a)을 눌러주는 십자형의 누름돌기(190a)가 형성되고 버튼하우징(194)의 내측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버튼하우징(194)은 상기 누름버튼이 삽입 수용되도록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전방측이 개구된 함체로 구성되며, 중앙에는 상기 누름돌기(190a)가 통과되는 통공(194a)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버튼하우징(194)의 후면 통공(194a) 둘레에는 환형리브(194b)가 형성된다. 상기 버튼하우징(194)은 후방측에 배치된 조인트(198)와 후크(194c)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조인트(198)는 메인바디(100)의 전면에 형성된 버튼삽입부(108)에 삽입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버튼하우징(194)과 조인트(198) 사이에는 메인바디(100) 내부의 물이 전방측으로 누출되지 않도록 다이아프램(197)이 구비된다. 상기 다이아프램(197)은 조인트(198)의 내경에 상응하는 직경을 갖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중앙에 상기 수평샤프트(180)가 삽입되는 샤프트삽입부(197a)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상기 누름버튼(190)을 누르면 버튼하우징(194) 내부에서 누름버튼(190)이 후방측을 향하여 이동되고, 누름버튼(190) 하방측 누름돌기(190a)에 의해 다이아프램(197)의 샤프트삽입부(197a)가 가압되고, 여기에 삽입된 수평샤프트(180)가 후방측으로 밀려 이동하게 된다.
한편, 도 12 에는 제3탄성부재(106)의 설치 구조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3탄성부재는 후단측이 스프링지지링(105b)에 지지되고 전단측은 스프링지지구(107)에 의해 지지된다. 구체적으로, 별도의 관체로 구성된 유입구(105)의 전단 개구에는 십자형으로 교차되며 전방측으로 돌출된 아치 형상의 브릿지(105a)가 구비되고, 상기 브릿지(105a)의 중앙에는 후술하는 스프링지지구(107)의 봉형상부(107a)가 삽입된 상태로 전후 이동 가능하도록 중앙이 관통된 가이드튜브(105c)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튜브(105c) 외주면에 제3탄성부재(106)의 후단부가 지지되는 스프링지지턱(105b)이 돌출 형성된다.
스프링지지구(107)는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측에 상기 가이드튜브(105c)의 중앙에 관통 삽입되어 수평 이동되도록 봉형상부(107a)가 구비되며, 전방측에는 입수관(101)의 전단측을 개폐하는 패킹(188)이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사용자가 누름버튼(190)의 누름에 따라 수평샤프트(180)가 후방측으로 이동되고, 수평샤프트(180)에 의해 패킹(188) 및 스프링지지구(107)가 후방측으로 이동되며, 이때 제3탄성부재(106)는 수축된다. 사용자가 누름버튼(190)을 누름을 해제하면 수축되었던 제3탄성부재(106)가 다시 복원되면서 스프링지지구(107), 패킹(188) 및 수평샤프트(180)가 전방측으로 이동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파우셋의 구성을 설명하였는바, 이하에서는 작동 관계를 설명한다. 도 13 에는 취수레버(120)의 작동 전 상태(a) 및 작동 후(눌려진) 상태(b)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파우셋의 측면도가 각각 도시되고, 도 14 에는 취수레버(120)의 작동 전 상태(a) 및 작동 후(눌려진) 상태(b)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파우셋의 측단면도가 각각 도시되며, 도 15 에는 취수레버(120)가 눌려진 상태에서 누름버튼(190)의 누름 전(a)과 누름 후(b) 상태가 표시된 평단면도가 도시되고, 도 16 에는
먼저, 도 13 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 취수레버(120)의 작동 전 상태에서는 취수레버(120) 상단 캠부(126)의 수평면이 미들레버(150)의 캠접촉부(154)와 맞닿은 상태에 있다. 이때, 도 14 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미들레버(150)와 수직샤프트(140)는 탄성부재(160)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어 상대적으로 하강된 상태에 있게 되므로, 수직샤프트(140)가 토수구(102)를 폐쇄한다. 그리고, 도 16 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 상태에서는 수평샤프트(180)의 탄성변형날개(182)가 수직샤프트(140)의 밸브체(146) 중앙 관통공(147)의 상측, 즉, 수평장공(147a)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 있다.
한편, 도 13 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취수레버(120)가 후방측으로 눌려지는 경우에는, 취수레버(120)가 메인바디(100) 측면의 회동축(103)을 중심으로 회동된다. 이에 따라, 취수레버(120)의 상단 캠부(126)가 회동되면서 캠부(126)의 수평면과 수직면의 경계 모서리 부분이 미들레버(150)의 캠접촉부(154)에 맞닿게 된다. 상기 캠부(126)의 수평면과 수직면의 경계 모서리 부분과 메인바디(100)의 회동축(103) 사이의 거리가 캠부(126)의 수평면과 회동축(103) 사이의 거리 보다 더 크기 때문에 캠접촉부(154)가 상방으로 가압되어 미들레버(150) 전체가 상승하게 된다.
현 상태에서는, 도 14 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들레버(150)가 상승함에 따라 미들레버(150)에 삽입 안착되어 있는 플런저(142), 상기 플런저(142)에 결합되어 있는 밸브체(146) 및 패킹(149), 즉, 수직샤프트(140) 전체가 상승하게 되어 토수구(102)가 개방된다. 이때, 상기 제1탄성부재(161)와 제2탄성부재(162)는 압축된 상태에 있다. 이 상태에서, 도 14 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수관(101)의 전단에 형성된 시트부(101a)의 후방측에 패킹(188)이 맞닿아 입수관(101)의 전단 개구를 폐쇄하고 있기 때문에 입수관(101)을 통해 메인바디(100)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어 토수구(102)로 물이 배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온수 파우셋의 경우 실수로 취수레버(120)를 눌러도 온수가 배출되지 않아 의도치 않은 온수 배출로 인한 화상이나 불필요한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취수레버(120)는 눌려지되 누름버튼(190)은 눌려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15 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샤프트(180)의 탄성변형날개(182)가 밸브체(146)에 형성된 스토퍼(148)에 일시적으로 걸려 지지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6 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수레버(120)가 눌려져 수직샤프트(140)가 상승함에 따라 수평샤프트(180)의 탄성변형날개(182)는 스토퍼(148)에 의해 외측에서 가압되어 내측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밸브체(146)의 관통공(147)의 하측 수직장공(147b) 내부에 위치된다. 이때, 도 15 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변형날개(182)의 걸림부(182a)가 스토퍼(148)의 전면측에 일시적으로 걸려 지지된다.
한편, 도 15 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수레버(120)가 눌려진 상태에서 누름버튼(190)이 눌려지면 수평샤프트(180)가 후방측으로 가압되고, 이에 따라 탄성변형날개(182)가 스토퍼(148)에 의해 탄성 변형되면서, 도 17 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체(146)의 하측 수직장공(147b) 부분을 통과하여 수평샤프트(180)가 후방측으로 이동하고, 패킹(188)이 입수관(101)의 전단 개구 시트부(101a)로부터 이탈되어 입수관(101)이 개방되고 메인바디(100) 내부로 물이 유입된다. 이에 따라, 토수구(102)와 입수관(101)이 모두 개방되어 토수구(102)를 통해 온수가 배출된다. 즉, 취수레버(120)와 누름버튼(190)이 함께 눌려져야만 온수가 토출된다.
현 상태에서 누름버튼(190)의 누름을 해제하는 경우, 제3탄성부재(106)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수평샤프트(180)가 전방측으로 가압되는데, 이때 탄성변형날개(182)가 밸브체(146)의 관통공(147)을 완전히 빠져나온 상태이기 탄성변형날개(182)가 다시 복원되어 탄성변형날개(182)의 전단부가 스토퍼(148)의 후면에 걸려 수평샤프트(180) 전체가 전방측으로 이동되지 않아 입수관(101)이 계속 개방된 상태로 유지된다. 즉, 취수레버(120)를 누른 상태에서 누름버튼(190)을 눌렀다 떼도 온수가 계속 배출되어, 사용자가 온수 사용을 위해 누름버튼(190)을 지속적으로 누르고 있을 필요가 없다.
한편, 사용자가 취수레버(120)의 누름을 해제하면, 도 13 의 (a) 및 도 14 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160)의 복원력에 의해 미들레버(150)와 수직샤프트(140)가 하강하여 패킹(149)이 토수구(102)를 폐쇄하고, 이에 따라 도 16 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샤프트(180)의 탄성변형날개(182)가 밸브체(146)의 관통공(147) 상측의 수평장공(147a) 부분을 통과하여 수평샤프트(180)가 전방측으로 복귀함에 따라 제3탄성부재(106)의 복원력에 의해 패킹(188)이 입수관(101)의 전단을 폐쇄한다. 즉, 토수구(102)와 입수관(101)이 모두 폐쇄됨에 따라 온수의 배출이 중단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0 : 메인바디 101 : 입수관
102 : 토수구 106 : 회동축
120 : 취수레버 126 : 캠부
140 : 수직샤프트 150 : 미들레버
180 : 수평샤프트

Claims (13)

  1. 후방측에 물이 유입되는 입수관(101)이 형성되고, 하부에 물이 토출되는 토수구(102)가 형성된 메인바디(100)와;
    상단 좌우 양측이 상기 메인바디(100)의 좌우 양 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취수레버(120)와;
    상기 메인바디(100)의 내측에서 승강 이동에 따라 상기 토수구(102)를 개폐하는 수직샤프트(140)와;
    상기 메인바디(100)의 상측에서 상기 취수레버(120)의 상단과 맞닿도록 배치되어, 상기 취수레버(120)의 누름 및 누름 해제에 의해 승강됨에 따라 상기 수직샤프트(140)를 승강시키는 미들레버(150)와;
    상기 미들레버(150)의 상측에서 상기 메인바디(100)의 상단에 결합되는 파우셋커버(170)와;
    상기 메인바디(100) 내측에서 상기 수직샤프트(140)와 교차되도록 전후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며, 전후 이동에 따라 상기 입수관을 개폐하는 개폐하는 수평샤프트(180)와;
    상기 메인바디(100)의 전방측에 구비되어 누름 및 누름 해제 동작에 따라 상기 수평샤프트(180)를 전후 수평 이동시키기 위한 누름버튼(190)을 포함하는 정수기용 파우셋.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100)의 좌우 양측에는 회동축(103)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취수레버(120)의 상단 좌우 양측에는 각각 상기 회동축(103)이 삽입 결합되는 회동축홈(12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파우셋.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취수레버(120)의 상단에는 취수레버(120)의 누름 작동시 회동되면서 상기 미들레버(150)와 맞닿음에 따라 미들레버(150)를 상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캠부(12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파우셋.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레버(150)는 중앙에 상기 수직샤프트(140)가 관통 삽입되도록 통공(152)이 형성되고, 좌우 양측에는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취수레버(120)의 상단 캠부(126)와 맞닿는 캠접촉부(15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파우셋.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샤프트(140)의 외주면에는 상기 미들레버(150)의 중앙 통공(152)에 삽입된 상태로 걸려 안착 지지되도록 걸림테(14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파우셋.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취수레버(120)가 눌려져 상승된 수직샤프트(140)와 미들레버(150)를 취수레버(120)의 누름이 해제되는 경우 하방으로 복귀 이동시키는 탄성부재(1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파우셋.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샤프트(140)에는 상기 수평샤프트(180)가 관통 삽입되도록 관통공(147)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파우셋.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샤프트(140)는,
    상기 미들레버(150)의 승하강에 따라 함께 승하강되되, 외주면에는 미들레버(150)의 중앙 통공(152)에 삽입된 상태로 걸려 안착 지지됨에 따라 미들레버(150)의 승하강시 함께 승하강 가능하도록 걸림테(142a)가 형성된 플런저(142)와;
    상기 플런저(142)의 하단에 결합되어 플런저(142)와 함께 승하강됨에 따라 메인바디(100) 하측의 토수구(102)를 개폐하며, 하단부에는 토수구(102)를 밀폐하기 위한 패킹(149)이 결합되고, 상기 패킹(149) 결합부 상측에는 상기 수평샤프트(180)가 수평 방향으로 관통 삽입되도록 관통공(147)이 형성된 밸브체(14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파우셋.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147)은 하부가 상부 보다 가로 방향 너비가 더 좁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파우셋.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147) 중 하측 일부를 커버하도록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스토퍼(148)가 상기 관통공(147)의 좌우 내측에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파우셋.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샤프트(180)는 후방측 단부 외주면 좌우 양측에 탄성변형날개(182)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변형날개(182)의 전단부 외측면에는 상기 수직샤프트(140)의 관통공(147)에 형성된 스토퍼(148)에 걸려 지지되도록 돌출된 걸림부(182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파우셋.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148)의 전면은 누름버튼(190) 누름시 수평샤프트(180)의 탄성변형날개(182)가 접촉되어 탄성 변형되면서 관통공(147)을 통과할 수 있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후면은 통과된 수평샤프트(180)의 탄성변형날개(182) 전단부가 걸려 지지되도록 편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파우셋.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182a)에는 누름버튼(190) 누름시 스토퍼(148)에 걸려있던 걸림부(182a)가 스토퍼(148)의 전면 라운드진 부분과 맞닿으면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도록 경사면(182b)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파우셋.
KR1020180016789A 2018-02-12 2018-02-12 정수기용 온수 안전 파우셋 KR1020355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6789A KR102035516B1 (ko) 2018-02-12 2018-02-12 정수기용 온수 안전 파우셋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6789A KR102035516B1 (ko) 2018-02-12 2018-02-12 정수기용 온수 안전 파우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7408A true KR20190097408A (ko) 2019-08-21
KR102035516B1 KR102035516B1 (ko) 2019-10-23

Family

ID=67808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6789A KR102035516B1 (ko) 2018-02-12 2018-02-12 정수기용 온수 안전 파우셋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5516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1808B1 (ko) 1999-10-26 2002-02-28 이종민 냉,온 정수기용 급수레버 안전장치
KR20100136797A (ko) * 2009-06-19 2010-12-29 (주)원봉 냉온수기 또는 정수기용 취수 코크
KR20120075797A (ko) * 2010-12-29 2012-07-0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수동식 정량 추출 코크
KR101399454B1 (ko) 2012-09-04 2014-05-28 주식회사 비.엘.아이 정수기용 안전 코크
KR101421373B1 (ko) * 2013-01-28 2014-07-18 정중철 정수기용 안전콕밸브
KR20150075214A (ko) * 2013-12-24 2015-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의 레버 장치
KR101589625B1 (ko) * 2014-12-22 2016-01-28 주식회사 에이치비테크 마그네틱 밸브를 이용한 직수형 정수기 및 냉온수기용 코크
KR101597258B1 (ko) 2015-03-27 2016-02-24 (주)워피온 정수기용 코크 밸브 및 밸브 조립체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1808B1 (ko) 1999-10-26 2002-02-28 이종민 냉,온 정수기용 급수레버 안전장치
KR20100136797A (ko) * 2009-06-19 2010-12-29 (주)원봉 냉온수기 또는 정수기용 취수 코크
KR20120075797A (ko) * 2010-12-29 2012-07-0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수동식 정량 추출 코크
KR101399454B1 (ko) 2012-09-04 2014-05-28 주식회사 비.엘.아이 정수기용 안전 코크
KR101421373B1 (ko) * 2013-01-28 2014-07-18 정중철 정수기용 안전콕밸브
KR20150075214A (ko) * 2013-12-24 2015-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의 레버 장치
KR101589625B1 (ko) * 2014-12-22 2016-01-28 주식회사 에이치비테크 마그네틱 밸브를 이용한 직수형 정수기 및 냉온수기용 코크
KR101597258B1 (ko) 2015-03-27 2016-02-24 (주)워피온 정수기용 코크 밸브 및 밸브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5516B1 (ko) 2019-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3701B1 (ko) 안전이 개선된 압력 조리용기
KR101584400B1 (ko) 음료 용기의 마개체
US9392892B2 (en) Lid assembly and drinking container comprising the same
CN107259978B (zh) 设置有盖开口的压力锅
CN107647771B (zh) 一种压力锅
KR101528024B1 (ko) 음료용기의 마개체
KR102447170B1 (ko) 베이어닛 압력 조리기 및 이동가능 로크
US4082993A (en) Gas appliance valve and adaptor
JP2007522399A (ja) 圧力容器の密閉器具
KR102035516B1 (ko) 정수기용 온수 안전 파우셋
KR101778578B1 (ko) 사이드버튼이 구비된 펌핑식 화장품 용기
KR101303923B1 (ko) 냉온수기 및 정수기용 터치 세이프티 코크 밸브
KR101828430B1 (ko) 냉온수기용 온수안전 코크
KR101442420B1 (ko) 음료 용기의 마개체
KR101404830B1 (ko)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KR102013632B1 (ko) 온수, 냉수 및 혼합수 일체형 코크
KR101520176B1 (ko) 음료 용기의 마개체
JP4571064B2 (ja) 液体容器の中栓構造
KR102035520B1 (ko) 플런저를 이용한 정수기용 파우셋
KR200240713Y1 (ko) 휴대용 가스렌지의 가스조정기 안전밸브
GB2147974A (en) Flow control valve
KR200474060Y1 (ko) 유아용 음료용기
KR20170001498U (ko) 휴대용 소변기
KR102013626B1 (ko) 유로 전환 기능을 구비하는 정수기용 파우셋
KR200485165Y1 (ko) 액체 배출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