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9454B1 - 정수기용 안전 코크 - Google Patents

정수기용 안전 코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9454B1
KR101399454B1 KR1020120097492A KR20120097492A KR101399454B1 KR 101399454 B1 KR101399454 B1 KR 101399454B1 KR 1020120097492 A KR1020120097492 A KR 1020120097492A KR 20120097492 A KR20120097492 A KR 20120097492A KR 101399454 B1 KR101399454 B1 KR 1013994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ck
safety
water
water channel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7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0833A (ko
Inventor
서경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엘.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엘.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엘.아이
Priority to KR1020120097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9454B1/ko
Publication of KR20140030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08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9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94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4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58Details
    • B67D3/0074Safety or warn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F16K31/602Pivoting levers, e.g. single-si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5/00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 F16K35/02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to be locked or disconnected by means of a pushing or pulling action
    • F16K35/022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to be locked or disconnected by means of a pushing or pulling action the locking mechanism being actuated by a separate actuating element
    • F16K35/025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to be locked or disconnected by means of a pushing or pulling action the locking mechanism being actuated by a separate actuating element said actuating element being operated manually (e.g. a push-button located in the valve actu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5/00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 F16K35/04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yieldingly resisting the actu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fety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기용 안전코크에 관한 것으로, 정수기용 안전코크는 온수가 유입 또는 유출되는 수로가 형성된 코크바디부; 상기 코크바디부의 일면을 폐쇄하도록 상기 코크바디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바디커버부; 상기 코크바디부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수로를 개폐하는 수로개폐부; 온수를 취수하기 위해 외압에 의한 회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된 코크레버부; 일측이 상기 수로개폐부의 내측에 삽입되고, 타측이 상기 코크레버부와 결합되어 상기 코크레버부의 회동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수로개폐부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샤프트부; 및 상기 바디커버부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샤프트부가 상승하도록 상기 코크레버부의 회동시 상기 코크레버부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안전버튼부; 를 포함하고, 그로 인해 정수기용 안전코크의 구조를 단순화시키기 위한 기술을 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안전버튼부가 코크바디부의 외부에서 코크레버부를 지지하여 온수를 취수할 수 있으므로, 안전버튼이 코크바디 내부에 포함된 종래의 정수기용 안전코크에 비해 코크바디부의 내부 구조가 단순화되고, 그에 따른 제조 공정이 간소화되어 원가 절감 및 생산성 향상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정수기용 안전 코크{SAFETY COCK FOR A 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정수기용 안전 코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정수기 내부로 급수되는 원수를 필터링해서 사용자에게 온수나 냉수 등의 정수를 제공하는 장치로서, 이러한 정수기에는 정수를 냉수 및 온수로 나누어 공급하는 취수 코크가 구비되어 있다.
사용자는 정수기 본체의 전면에 부착된 취수 레버를 일정한 방향으로 잡아당기거나 밀어서 정수기 내부의 수로를 개방시킬 수 있다. 통상적으로, 정수기를 통해 배출되는 온수의 경우에는 온도가 매우 높으므로 사용자 부주의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안전장치를 구비된 코크를 사용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96798호 및 제10-0919089호(이하, '종래기술'이라 함) 등에는 정수기의 온수를 취수하기 위한 안전코크 기술에 대해서 제시된 바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제시된 안전코크는 정수가 유입되거나 유출되는 코크 바디의 내부에 안전버튼을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안전버튼을 먼저 누르고 취수 레버를 작동시켜야 온수가 배출되는 구조이다.
결국, 종래기술은 안전버튼을 구성하기 위한 별도의 부품을 코크바디 내부에 설치해야 함에 따라, 안전코크의 내부 구조가 복잡해지고 그에 따라 제조 단가가 상승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정수기용 안전코크의 구조를 단순화시키기 위한 기술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태양으로 정수기용 안전 코크는 온수가 유입 또는 유출되는 수로가 형성된 코크바디부; 상기 코크바디부의 일면을 폐쇄하도록 상기 코크바디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바디커버부; 상기 코크바디부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수로를 개폐하는 수로개폐부; 온수를 취수하기 위해 외압에 의한 회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된 코크레버부; 일측이 상기 수로개폐부의 내측에 삽입되고, 타측이 상기 코크레버부와 결합되어 상기 코크레버부의 회동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수로개폐부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샤프트부; 및 상기 바디커버부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샤프트부가 상승하도록 상기 코크레버부의 회동시 상기 코크레버부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안전버튼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안전버튼부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코크레버부의 일측면은 ㄱ자형으로 절곡된 절곡부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안전버튼부는 외력에 의해 일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마련되고, 가압되는 방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를 구비한 가압부; 및 외력이 제거될 경우, 상기 가압부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버튼몸체부; 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 및 버튼몸체부는 상기 버튼몸체부 내에 수용된 탄성스프링에 의해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가압부가 일 방향으로 가압될 경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코크레버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절곡부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안전버튼부가 사용자에 의해 가압될 경우, 안전버튼부의 지지부가 코크레버부의 절곡부의 하부로 이동한다. 즉, 안전버튼부가 코크레버부의 회동시 절곡부를 지지하여 샤프트부를 상승시킴에 따라, 수로개폐부에 의해 폐쇄되어 있던 수로가 개방되어 온수가 배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안전버튼부가 코크바디부의 외부에서 코크레버부를 지지하여 온수를 취수할 수 있으므로, 안전버튼이 코크바디 내부에 포함된 종래의 정수기용 안전코크에 비해 코크바디부의 내부 구조가 단순화되고, 그에 따른 제조 공정이 간소화되어 원가 절감 및 생산성 향상의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안전코크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2 내지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안전코크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안전코크의 안전버튼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안전코크의 코크레버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안전코크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안전 코크는 코크바디부(100), 바디커버부(200), 수로개폐부(300), 코크레버부(400), 샤프트부(500) 및 안전버튼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에 대하여 도1 내지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코크바디부(100)는 내부에 온수가 유입 또는 유출되는 수로를 형성한다. 즉, 코크바디부(100)는 그 내부에 정수기 본체(미도시)로부터 온수가 유입되는 유입로(110) 및 외부로 온수를 유출시키기 위한 유출로(120)를 형성한다.
바디커버부(200)는 유입로(110)를 통해 유입된 온수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코크바디부(100)의 상부에 결합되어 코크바디부(100)의 일면을 폐쇄한다.
수로개폐부(300)는 코크바디부(100)의 내부에 형성된 유입로(110) 및 유출로(120)의 사이에 위치하여 유출로(120)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개폐장치로서, 실리콘 재질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코크레버부(400)는 온수를 취수하기 위해 마련된 장치로서, 코크레버부(400)는 복수의 샤프트 결합부(430, 440)를 통해 샤프트부(500)와 연결된다. 코크레버부(400)는 사용자에 의해 외압이 가해질 경우, 샤프트 결합부(430, 440)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동할 수 있다.
또한, 회동시 안전버튼부(600)에 의해 지지되는 코크레버부(400)의 일측면은 "ㄱ"자형으로 절곡된 절곡부(410, 420)를 형성한다.
샤프트부(500)는 원기둥 형태를 가지며, 일측이 수로개폐부(300)의 내측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타측은 코크레버부(400)와 결합된다. 샤프트부(500)는 코크레버부(400)의 회동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그에 따라 수로개폐부(300)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킨다.
여기서, 샤프트부(500)의 일측은 샤프트부(500)의 외주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원판 형상을 가지며, 샤프트부(500)의 외주면을 감싸고 있는 탄성 스프링(310)을 지지한다.
안전버튼부(600)는 바디커버부(200)의 상부에 위치하는 누름식 버튼으로서, 코크레버부(400)가 회동시 코크레버부(400)의 일측면을 지지하여 코크레버부(400)와 연결된 샤프트부(500)가 상승하도록 돕는다.
안전버튼부(600)는 가압부(610) 및 버튼 몸체부(6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가압부(610)는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일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마련된 누름 버튼이다. 가압부(610)의 후면에는 가압부(610)가 가압되는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611, 612)가 돌출 형성된다.
버튼 몸체부(620)는 가압부(610)에 작용하는 외력이 사라질 경우에 가압부(610)를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버튼 몸체부(620)의 스프링 수용부(623, 624) 내부에 위치한 탄성 스프링(621, 622)은 가압부(610)의 스프링 결합부(613, 614)와 각각 결합되어 탄성적인 연결이 이루어진다. 또한, 스프링 수용부(623, 624)의 상단에는 가압부(610)의 이동을 유도하는 가이드 홀(626, 627)이 형성됨으로써, 가압부(610)의 가이드 돌기(615, 616)가 가이드 홀(626, 627)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만일, 가압부(610)에 외력이 가해질 경우, 가압부(610)는 가이드 돌기(615, 616)에 의해 가이드 홀(626, 627)의 일측 끝까지 이동하며, 가압부(610)의 외력이 제거되면 스프링 수용부(623, 624) 내부의 탄성 스프링(621, 622)의 탄성력에 의해 가압부(610)의 가이드 돌기(615, 616)가 가이드 홀(626, 627)의 타측 끝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버튼 몸체부(620)의 스프링 수용부(623, 624) 사이에는 원형의 바디커버 고정부(625)가 형성되어 바디커버부(200)의 상면에 형성된 커버 돌출부(210)와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안전코크(10)의 온수 취수 동작 및 각 구성 요소간의 작동 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2는 정수기용 안전코크(10)를 통해 온수 취수가 이루어지기 전의 대기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수로개폐부(300)는 수로개폐부(300) 내부의 탄성 스프링(310)에 의해 고정되므로 온수의 유출로(120)가 폐쇄되어 있다. 또한, 코크레버부(400)의 일측면에는 절곡부(410, 420)가 형성됨에 따라, 절곡부(410, 420)와 바디커버부(200)의 상부면은 일정 거리로 이격된다.
도3은 외력에 의해 코크레버부(400)가 회동된 모습을 도시한 것으로, 코크레버부(400)는 샤프트 결합부(430, 440)를 회전축으로 회전한다. 그러나, 도3의 A를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절곡부(410)는 바디커버부(200)의 상부면과 일정 거리로 이격되어 있으므로, 코크레버부(400)가 바디커버부(200)의 상부면을 지지면으로 하여 회전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즉, 코크레버부(400)는 샤프트 결합부(430, 440)를 회전축으로 회전할 뿐, 코크레버부(400)의 회동으로 인해 샤프트부(500)의 상승은 일어나지 않는다.
도4는 외력에 의해 가압부(610)가 코크레버부(400)의 방향으로 가압된 후, 코크레버부(400)가 회동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610)가 코크레버부(400)와 근접한 방향으로 가압될 경우, 지지부(611)는 절곡부(410)의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지지부(611)가 절곡부(410)의 하부에 위치할 경우, 코크레버부(400)의 회동시 절곡부(410)는 지지부(611)를 지지면으로 하여 회전하게 됨에 따라, 샤프트부(500)의 일측에 결합된 수로개폐부(300)가 샤프트부(500)와 함께 상승하여 유출로(120)를 개방시킨다.
여기서, 바디커버부(200)의 상부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샤프트부(500)가 상승할 때, 커버 돌출부(210)는 샤프트부(500)가 상하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도록 샤프트부(500)의 외주면을 지지한다.
가압부(610) 및 코크레버부(400)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될 경우, 가압부(610)는 스프링 수용부(623, 624) 내부의 탄성 스프링(621)에 의해 최초 위치로 복귀하며, 샤프트부(500)의 외주면에 감겨있는 탄성 스프링(310)의 복원력에 의해 수로개폐부(300)가 유출로(120)를 폐쇄시켜 도2의 온수 취수 전 대기 상태로 돌아가게 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 : 정수기용 안전코크
100 : 코크바디부
110 : 유입로
120 : 유출로
200 : 바디커버부
210 : 커버 돌출부
300 : 수로개폐부
310 : 탄성 스프링
400 : 코크레버부
410, 420 : 절곡부
430, 440 : 샤프트 결합부
500 : 샤프트부
600 : 안전버튼부
610 : 가압부
611, 612 : 지지부
613, 614 : 스프링 결합부
615, 616 : 가이드 돌기
620 : 버튼 몸체부
621, 622 : 탄성 스프링
623, 624 : 스프링 수용부
625 : 바디커버 고정부
626, 627 : 가이드 홀

Claims (4)

  1. 온수가 유입 또는 유출되는 수로가 형성된 코크바디부;
    상기 코크바디부의 일면을 폐쇄하도록 상기 코크바디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바디커버부;
    상기 코크바디부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수로를 개폐하는 수로개폐부;
    온수를 취수하기 위해 외압에 의한 회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된 코크레버부;
    일측이 상기 수로개폐부의 내측에 삽입되고, 타측이 상기 코크레버부의 샤프트 결합부와 결합되어 상기 코크레버부의 회동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수로개폐부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샤프트부; 및
    상기 바디커버부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샤프트부가 상승하도록 상기 코크레버부의 회동시 상기 코크레버부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안전버튼부; 를 포함하되,
    상기 안전버튼부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코크레버부의 일측면은 ㄱ자형으로 절곡된 절곡부를 형성하고,
    상기 안전버튼부가 상기 코크레버부와 근접한 방향으로 가압된 후에 상기 코크레버부의 회동이 이루어질 경우, 상기 수로개폐부가 상기 샤프트부와 함께 상승하여 상기 수로를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안전 코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버튼부는
    외력에 의해 일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마련되고, 가압되는 방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를 구비한 가압부; 및
    외력이 제거될 경우, 상기 가압부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버튼몸체부; 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 및 버튼몸체부는 상기 버튼몸체부 내에 수용된 탄성스프링에 의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안전 코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가 일 방향으로 가압될 경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코크레버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절곡부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안전 코크.
KR1020120097492A 2012-09-04 2012-09-04 정수기용 안전 코크 KR1013994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7492A KR101399454B1 (ko) 2012-09-04 2012-09-04 정수기용 안전 코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7492A KR101399454B1 (ko) 2012-09-04 2012-09-04 정수기용 안전 코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0833A KR20140030833A (ko) 2014-03-12
KR101399454B1 true KR101399454B1 (ko) 2014-05-28

Family

ID=50643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7492A KR101399454B1 (ko) 2012-09-04 2012-09-04 정수기용 안전 코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9454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1492B1 (ko) 2015-11-24 2017-06-01 주식회사 진텍 안전 코크 어셈블리
KR101798861B1 (ko) * 2016-04-04 2017-11-20 주식회사 아쿠아글로리 냉온 정수기 또는 냉온수기의 안전 코크
KR20180074295A (ko) 2016-12-23 2018-07-03 김상헌 정수기용 토수 조절 밸브 및 이를 이용한 토수 조절 시스템
KR20190020918A (ko) 2017-08-22 2019-03-05 김상헌 수실 분리식 정수기용 코크 밸브
KR20190093276A (ko) 2018-02-01 2019-08-09 주식회사 엔비엘 플런저를 이용한 정수기용 파우셋
KR20190097408A (ko) 2018-02-12 2019-08-21 주식회사 엔비엘 정수기용 온수 안전 파우셋
KR102013626B1 (ko) 2018-03-07 2019-08-23 주식회사 엔비엘 유로 전환 기능을 구비하는 정수기용 파우셋
KR20190110712A (ko) 2018-03-21 2019-10-01 주식회사 엔비엘 정수기용 이중 실링 파우셋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6191A (ko) * 2007-11-05 2009-05-11 동양매직 주식회사 정수기용 온수 코크 밸브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6191A (ko) * 2007-11-05 2009-05-11 동양매직 주식회사 정수기용 온수 코크 밸브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1492B1 (ko) 2015-11-24 2017-06-01 주식회사 진텍 안전 코크 어셈블리
KR101798861B1 (ko) * 2016-04-04 2017-11-20 주식회사 아쿠아글로리 냉온 정수기 또는 냉온수기의 안전 코크
KR20180074295A (ko) 2016-12-23 2018-07-03 김상헌 정수기용 토수 조절 밸브 및 이를 이용한 토수 조절 시스템
KR20190020918A (ko) 2017-08-22 2019-03-05 김상헌 수실 분리식 정수기용 코크 밸브
KR20190093276A (ko) 2018-02-01 2019-08-09 주식회사 엔비엘 플런저를 이용한 정수기용 파우셋
KR20190097408A (ko) 2018-02-12 2019-08-21 주식회사 엔비엘 정수기용 온수 안전 파우셋
KR102013626B1 (ko) 2018-03-07 2019-08-23 주식회사 엔비엘 유로 전환 기능을 구비하는 정수기용 파우셋
KR20190110712A (ko) 2018-03-21 2019-10-01 주식회사 엔비엘 정수기용 이중 실링 파우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0833A (ko) 2014-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9454B1 (ko) 정수기용 안전 코크
US9439542B2 (en) Vertical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mechanism for toilet seat
US9102230B2 (en) Fuel tank opening and closing device
JP2013522136A (ja) トリガー式噴射器
JP5734488B2 (ja) 飲料抽出器
JP2009519671A (ja) 摺動下降開閉式携帯電話
WO2015078096A1 (zh) 两通泄压阀
JP2020529543A (ja) スライドドア床操作装置
KR101214682B1 (ko) 냉온수 일체형 코크 구조
KR101778578B1 (ko) 사이드버튼이 구비된 펌핑식 화장품 용기
KR101828430B1 (ko) 냉온수기용 온수안전 코크
KR100912323B1 (ko) 정수기용 온수 코크 밸브
KR101303923B1 (ko) 냉온수기 및 정수기용 터치 세이프티 코크 밸브
KR101686052B1 (ko) 온수용 안전꼭지
CN101718164B (zh) 窗开闭装置以及门窗
KR200458617Y1 (ko) 컴팩트 케이스의 푸쉬버튼 구조
KR200420228Y1 (ko) 용기 안전 캡
KR101692527B1 (ko) 코크 안전장치
KR101669812B1 (ko) 압력솥용 안전밸브
CN207492628U (zh) 出水组件及饮水机
KR200461773Y1 (ko) 미닫이도어의 이동안내부재 고정장치
KR20150031676A (ko) 온수용 안전꼭지
KR20170105238A (ko) 자동 열림 기능을 갖는 물티슈용 인출구 개폐장치
KR101237162B1 (ko) 트레이 록킹해제장치
KR100956757B1 (ko) 스윙단말기의 스윙힌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