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3276A - 플런저를 이용한 정수기용 파우셋 - Google Patents

플런저를 이용한 정수기용 파우셋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3276A
KR20190093276A KR1020180012703A KR20180012703A KR20190093276A KR 20190093276 A KR20190093276 A KR 20190093276A KR 1020180012703 A KR1020180012703 A KR 1020180012703A KR 20180012703 A KR20180012703 A KR 20180012703A KR 20190093276 A KR20190093276 A KR 201900932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water
main body
water purifier
plu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2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5520B1 (ko
Inventor
이강민
김상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비엘
김상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비엘, 김상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비엘
Priority to KR1020180012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5520B1/ko
Publication of KR20190093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32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5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5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2Liquid-dispensing valves having operating members arranged to be pressed upwards, e.g. by the rims of receptacles held below the delivery orif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81Dispensin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81Dispensing valves
    • B67D2001/0087Dispensing valves being mounted on the dispenser housing
    • B67D2001/0089Dispensing valves being mounted on the dispenser housing operated by lever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기용 파우셋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수기의 취수레버와 밀폐구가 직결되지 않고 플런저를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상호 연동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취수레버의 크기를 최소화함과 아울러 취수레버와 밀폐구 간의 작동시 부정합으로 인한 유동과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플런저를 이용한 정수기용 파우셋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플런저를 이용한 정수기용 파우셋{PAUCET FOR WATER PURIFIER USING PLUNGER}
본 발명은 정수기용 파우셋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수기의 취수레버와 밀폐구가 직결되지 않고 플런저를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상호 연동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취수레버의 크기를 최소화함과 아울러 취수레버와 밀폐구 간의 작동시 부정합으로 인한 유동과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플런저를 이용한 정수기용 파우셋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필터를 이용하여 원수를 정화하고, 정화된 정수를 냉각 수단으로 냉각하거나, 가열 수단으로 가열하거나 또는 실온 상태에서 바로 토출함으로써 냉수, 온수 및 정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공급한다.
이러한 정수기는 취수레버를 누르는 등의 조작에 의해 냉수, 온수 또는 정수를 사용자에게 선택적으로 공급하는데, 정수기의 코크 밸브는 일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99454호와 같이 유입로가 형성된 수평 관체 및 하부에 토수구가 형성된 수직 관체를 포함하며, 수직 관체 내부에 설치된 개폐부를 취수레버로 개폐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취수레버는 토수구의 하부로 연장되어 사용자가 컵이나 손으로 누를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방으로 연장되어 코크 밸브 몸체의 상단부에서 내부에 수직으로 배치된 샤프트와 힌지 결합되어 취수레버의 하부를 후방측으로 눌러 일정 각도 회동시키는 경우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취수레버의 상단에 힌지 결합된 샤프트가 상승하여 수직 샤프트의 하단에 구비된 밀폐구가 토수구로부터 분리 이탈됨에 따라 토수구를 개방시켜 물이 토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는 현재 시판되고 있는 거의 모든 정수기용 파우셋(코크) 장치에 널리 채택된 통상적인 구조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런데, 이러한 통상적인 정수기용 파우셋 구조에 따르면, 취수레버와 수직 샤프트가 상부에서 힌지 결합에 의해 직결되기 때문에, 취수레버가 토수구 하측에서부터 파우셋의 메인바디 상단부까지 길게 연장 형성되어야 하므로 전체적으로 크기가 커질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설치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취수레버와 수직 샤프트가 서로 오차 없이 정확한 위치와 유격으로 연결(정합)되어 있어야 취수레버의 조작에 따라 수직 샤프트가 정확히 반응하여 토수구의 정확한 개폐가 수행되는데, 취수레버와 수직 샤프트가 제작시 오차 또는 장기간 사용에 따라 발생되는 부정합, 그리고 취수레버와 수직 샤프트의 이동 방향이 서로 상이함에 따라 상호 제대로 연동되지 않는 경우에는 취수레버를 눌러도 물이 토출되지 않는다던가 취수레버의 누름을 중단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계속 물이 토출되는 등 누수가 발생하는 문제와 유격으로 인한 부품의 유동 등의 문제가 있어 왔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9945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9725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99454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정수기용 파우셋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취수레버와 밀폐구를 직결시키지 않고 플런저를 이용하여 취수레버와 밀폐구가 간접적으로 연동되도록 함으로써 취수레버의 크기를 줄여 설치 공간의 제약을 해결할 수 있으며, 정밀한 연동을 통하여 작동 오류를 줄임으로써 불필요한 누수와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정수기용 파우셋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파우셋은, 후방측에 물이 유입되는 입수관이 형성되고, 하부에 물이 토출되는 토수구가 형성된 메인바디와; 상단 좌우 양측이 상기 메인바디의 좌우 양 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취수레버와; 상기 메인바디의 내측에서 승강 이동에 따라 상기 토수구를 개폐하는 밀폐구와; 상기 밀폐구의 상부에 결합되어 승강 이동에 따라 밀폐구를 승강시키는 플런저와; 상기 메인바디의 상측에서 상기 취수레버의 상단과 맞닿도록 배치되어, 상기 취수레버의 누름 및 누름 해제에 의해 승강됨에 따라 상기 플런저를 승강시키는 미들레버와; 상기 미들레버의 상측에서 상기 메인바디의 상단에 결합되는 파우셋커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메인바디의 좌우 양측에는 회동축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취수레버의 상단 좌우 양측에는 각각 상기 회동축이 삽입 결합되는 회동축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취수레버의 상단에는 취수레버의 누름 작동시 회동되면서 상기 미들레버와 맞닿음에 따라 미들레버를 상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캠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밀폐구는 메인바디의 내부 공간 상측을 덮도록 구성되고, 중앙 하부에는 토수구를 커버하여 밀폐하는 개폐돌기가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미들레버는 중앙에 상기 플런저가 관통 삽입되도록 통공이 형성되고, 좌우 양측에는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취수레버의 상단 캠부와 맞닿는 캠접촉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플런저의 외주면에는 상기 미들레버의 중앙 통공에 삽입된 상태로 걸려 안착 지지되도록 걸림테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취수레버가 눌려져 상승된 플런저와 미들레버를 취수레버의 누름이 해제되는 경우 하방으로 복귀 이동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취수레버와 밀폐구를 직결시키지 않고 플런저와 미들레버를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연동되도록 함으로써 취수레버의 크기를 줄여 설치 공간의 제약을 해결할 수 있으며, 정밀한 연동을 통하여 작동 오류를 줄임으로써 불필요한 누수와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는 탁월한 장점을 갖는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파우셋의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파우셋의 분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파우셋의 측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파우셋의 메인바디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파우셋의 밀폐구 구성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파우셋의 미들레버 구성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파우셋의 파우셋커버 구성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파우셋의 취수레버 누름 전후의 외부 사시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파우셋의 취수레버 누름시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 파우셋의 정면 사시도,
도 1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 파우셋의 분해도,
도 1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 파우셋의 분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파우셋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파우셋은 메인바디(100), 취수레버(120), 미들레버(150), 밀폐구(130), 탄성부재(160) 및 파우셋커버(170)를 포함한다.
메인바디(100)는 공급된 물을 외부로 토출하는 부분으로, 도 4 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측에 물이 유입되는 입수관(101)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물이 토출되는 토수구(102)가 형성된다. 메인바디(100)의 상부는 내측에 후술하는 바와 같은 밀폐구(130)를 조립 장착할 수 있도록 개구된 형태로 구성되며,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구(130)의 장착후 바디커버(105)에 의해 상부 개구가 커버된다.
도 4 의 (b)에는 상기 메인바디(100)의 일부 절개 사시도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바디(100)의 내부에는 후방측에 형성된 입수관(101)을 통해 유입된 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토수구(102)는 메인바디(100)의 내측에서 상방으로 소정 높이 연장 형성된다. 도 4 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토수구(102)의 높이는 입수관(101) 보다 더 높게 연장 형성되어 메인바디(100) 내측에 잔류하는 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메인바디(100)의 상부 내주면에는 후술하는 밀폐구(130)가 안착 지지되도록 단턱(103)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단 외주면에는 후술하는 파우셋커버(170)의 결합을 위해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결합홈(104)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취수레버(120)는 사용자가 컵이나 손을 이용하여 눌러 회동시킴에 따라 메인바디(100)의 토수구(102)를 통하여 물이 배출되도록 작동을 개시하는 레버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하부는 컵의 외주면이 닿을 수 있도록 넓은 면을 형성하는 누름면(122)이 형성되고, 상기 누름면(122)의 좌우 양측에는 상방으로 각각 연장되는 측면연장부(12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측면연장부(124)의 상단에는 캠부(126)가 형성된다.
상기 캠부(126)는 취수레버(120)의 누름 작동시 회동되면서 후술하는 미들레버(150)를 상승시키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양측 측면연장부(124)의 상단에 수직으로 돌출 형성된 블럭 형태로 구성된다. 즉, 상기 캠부(126)의 상부면에는 수평면(126a)이 형성되고 전후방측에는 수직면(126b)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수평면(126a)과 후방측 수직면(126b)의 경계에는 취수레버(120)를 후방측으로 밀어 소정 각도 회동시키는 경우 후술하는 미들레버(150)를 비교적 높이 상승시킬 수 있도록 각진 모서리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수평면(126a)과 전방측 수직면(126b)의 경계부는 취수레버(120)를 전방 상측으로 완전히 들어올려 물을 연속적으로 토출시킬때 취수레버(120)가 원활하게 회동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캠부(126)의 수평면(126a)과 수직면(126b) 사이의 경계와 회동축(106)과의 거리는 수평면(126a)과 회동축(106)과의 거리 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야 캡부의 수평면(126a)과 수직면(126b) 사이의 경계부가 미들레버(150)를 상승시킬 수 있다. 위에서는 캠부(126)의 수평면(126a)과 후방측 수직면(126b)의 경계가 각진 모서리를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위와 같은 거리 조건을 갖는다면 상기 캠부(126)는 모서리가 둥글게 라운드진 형태이거나 옆으로 긴 타원형 형태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취수레버(120)의 상부,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취수레버(120)의 좌우 측면연장부(124)의 상단은 상기 메인바디(100)의 좌우 양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메인바디(100)의 좌우 양측에는 회동축(106)이 각각 돌설되고, 상기 취수레버(120)의 측면연장부(124) 상측에 돌출된 캠부(126)에는 상기 회동축(106)이 삽입 결합되는 회동축홈(128)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동축홈(128)이 캠부(126)에 형성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상기 회동축홈(128)은 측면연장부(124)에 형성될 수도 있고, 측면연장부(124)에 별도로 돌설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즉, 취수레버(120)가 메인바디(10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이라면 상기 회동축홈(128)의 위치 및 형태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할 것이다.
또한, 상기 회동축홈(128)은 캠부(126)의 중앙에 원형의 통공 형태로 구성되어 회동축(106)과 결합될 수도 있으나, 정수기 본체에 메인바디(100)를 먼저 설치하고 추후 취수레버(120)만 밀어 끼우는 방식으로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후방측으로 연장되어 개방된 장홈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밀폐구(130)는 메인바디(100)의 내측에서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토수구(102)를 개폐함과 아울러, 상기 메인바디(100) 내부에 수용되는 물이 상부 개구를 통해 누출되지 않도록 밀폐하는 것으로, 대체로 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은 탄성재질이 패킹 형태로 구성된다. 도 5 에는 상기 밀폐구(130)의 구체적인 구조가 상방 사시도(a)와 하방 사시도(b)로 도시된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폐구(130)는 메인바디(100)의 내부 공간 상측을 덮도록 대체로 원형의 캡 형상으로 구성되고, 가장자리 하단부는 도 4 의 (b)에 도시된 메인바디(100)의 내주면 단턱(103)에 지지된다. 여기서, 상기 밀폐구(130)의 외경은 메인바디(100) 상부 외주면(단턱 상측)의 내경에 상응하게 형성되어, 밀폐구(130)의 외주면이 메인바디(100)의 상부 외주면에 밀착 접촉됨에 따라 메인바디(100) 내부 공간에 수용된 물이 상측으로 이동하여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5 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폐구(130)의 중앙 하부에는 개폐돌기(132)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개폐돌기(132)는 대체로 단면이 원형인 원통형 내지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뿔대형으로 구성되어,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시에는 하단부가 토수구(102)(보다 상세하게는 토수구(102)의 상단 개구)를 커버하여 밀폐하고, 취수레버(120)가 눌려지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미들레버(150)에 의해 상승되어 토수구(102)를 개방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5 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폐구(130)의 상부에는 오링(136)이 동심원을 형성하면서 배치되어 상측에 결합되는 바디커버(105)의 중앙 통공으로 물이 누수되지 않도록 실링한다. 상기 오링(136)은 밀폐구(130)의 상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될 수도 있고 별개로 분리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밀폐구(130)에는 플런저(140)가 결합된다. 플런저(140)는 후술하는 미들레버(150)에 의해 상하로 승강됨에 따라 밀폐구(130)를 승강시켜 토수구(102)를 개폐하는 것으로,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미들레버(150)와 바디커버(105)의 중앙 통공을 각각 관통하여 삽입되며, 하단부에는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결합돌기(142)가 형성되어 밀폐구(130)의 상부면 중앙에 형성된 결합홈(134)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플런저(140)는 외주면에 걸림테(144)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미들레버(150)의 중앙 통공(152)에 삽입된 상태로 걸려 안착 지지됨에 따라 미들레버(150)의 승하강시 함께 승하강 가능하게 구성된다.
한편, 상기 플런저(140)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상부는 개방된 형태로 구성되어, 상측으로부터 제1탄성부재(161)가 삽입된다. 상기 제1탄성부재(161)는 상단이 후술하는 파우셋커버(170)의 내부 상면에 지지되어 플런저(140)가 상승된 후 다시 하강 복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미들레버(150)는 상기 메인바디(100)의 상측, 보다 상세하게는 바디커버(105)의 상측에 배치되어 취수레버(120)의 누름 및 누름 해제에 의해 승하강됨에 따라 플런저(140)를 승하강시키는 것으로,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은 통공(152)이 형성되어 플런저(140)가 삽입되는 판 부재로 구성되고, 좌우 양측 하부면은 하방으로 돌출되어 전술한 취수레버(120)의 캠부(126)와 맞닿는 캠접촉부(154)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좌우 양측의 캠접촉부(154) 사이 간격은 메인바디(100)의 외주면 직경에 상응하게 형성되어, 양 캠접촉부(154) 사이에 메인바디(100)의 상부가 삽입된 상태에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캠접촉부(154)가 취수레버(120)의 캠부(126)에 의해 상방으로 가압되는 경우 미들레버(150)가 메인바디(100)를 따라 상방으로 이동된다. 이때, 좌우 양측의 캠접촉부(154) 사이 간격과 메인바디(100)의 직경이 상응하게 형성되므로, 양 캠접촉부(154)가 가이드 역할을 하면서 미들레버(150)가 메인바디(100)를 따라 안정적으로 승하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미들레버(150)의 보다 안정적인 승하강을 위해, 도 1, 도 2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미들레버(150)의 상부 좌우 양측에는 가이드편(156)이 추가로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편(156)은 미들레버(150)의 상부 표면 양측에서 각각 상방으로 돌출되되, 후술하는 파우셋커버(170)의 외주면 형상에 상응하게 원호 형상으로 만곡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미들레버(150)의 승하강시 가이드편(156)이 파우셋커버(170)의 외주면을 따라 가이드되어 미들레버(150)의 안정적인 승하강이 보장된다.
한편, 상기 미들레버(150)의 상측에는 제2탄성부재(162)가 배치된다. 상기 제2탄성부재(162)는 미들레버(150)의 상부 중앙(가이드편(156)의 내측)에 일단이 지지되고 타단은 후술하는 파우셋커버(170)의 내측 상부면에 지지되어, 미들레버(150)가 상승시 압축되었다가 다시 복원됨에 따라 미들레버(150)가 본래 위치로 하강 복귀되도록 하방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위에서도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메인바디(100)의 상측,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미들레버(150)의 상측에는 파우셋커버(170)가 결합된다. 상기 파우셋커버(170)는 내부에 탄성부재(160), 즉, 제1탄성부재(161)와 제2탄성부재(162), 그리고 플런저(14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하부가 개구된 캡 형상으로 구성된다. 도 7 에는 파우셋커버(170)의 구성이 상방 사시도(a)와 하방 사시도(b)로 도시된다.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우셋커버(170)는 대체로 속이 빈 중공의 원통형 캡으로써 하부가 개구된 형태이며, 하단 외측에는 메인바디(100) 상단 외측에 형성된 결합홈(104)에 볼트 등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공(174)이 형성된 결합편(172)이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내측에는 중앙에 제1탄성부재(161)가 삽입되고 외측에 제2탄성부재(162)가 삽입되도록 원통형 격벽(176)이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파우셋커버(170)의 좌우 양측 하단부에는 절개부(178)가 형성되어 미들레버(150)의 좌우 양측이 외측으로 연장되어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취수레버(120)의 상단 캠부(126)와 맞닿도록 배치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절개부(178)의 내측 단턱에 미들레버(150)가 걸려 원주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파우셋의 구성을 설명하였는바, 이하에서는 상기 정수기용 파우셋의 작동 관계를 설명한다. 도 8 에는 취수레버(120)의 작동 전 상태(a) 및 눌려진 상태(b)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파우셋의 사시도가 각각 도시되고, 도 9 에는 취수레버(120)가 눌려진 상태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파우셋의 정단면도와 측단면도가 각각 도시된다.
먼저, 도 8 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 취수레버(120)의 작동 전 상태에서는 취수밸브 상단 캠부(126)의 수평면(126a)이 미들레버(150)의 캠접촉부(154)와 맞닿은 상태에 있다. 이때,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미들레버(150)와 플런저(140) 및 밀폐구(130)는 제1탄성부재(161)와 제2탄성부재(162)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어 상대적으로 하강된 상태에 있게 되므로 밀폐구(130)가 토수구(102)의 상단 개구를 폐쇄함에 따라 입수관(101)으로 유입된 물이 토수구(102)로 배출되지 않는다. 한편, 도 8 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취수밸브가 후방측으로 눌려지는 경우에는, 취수밸브가 메인바디(100) 측면의 회동축(106)을 중심으로 회동된다. 이에 따라, 취수밸브 상단 캠부(126)가 회동되면서 캠부(126)의 수평면(126a)과 수직면(126b)의 경계 부분이 미들레버(150)의 캠접촉부(154)에 맞닿게 된다. 상기 캠부(126)의 수평면(126a)과 수직면(126b)의 경계 부분과 메인바디(100)의 회동축(106) 사이의 거리가 캠부(126)의 수평면(126a)과 회동축(106) 사이의 거리 보다 더 크기 때문에 캠접촉부(154)가 상방으로 가압되어 미들레버(150) 전체가 상승하게 된다.
이때, 도 9 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들레버(150)가 상승함에 따라 미들레버(150)에 삽입 안착되어 있는 플런저(140)가 함께 상승하게 되고, 플런저(140) 하단에 결합된 밀폐구(130) 또한 상승하여 토수구(102)의 상단 개구가 개방된다. 이에 따라, 도 9 의 (b)에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입수관(101)을 통해 유입된 물이 메인바디(100)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후 개방된 토수구(10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현 상태에서, 상기 제1탄성부재(161)와 제2탄성부재(162)는 압축된 상태에 있다.
한편, 취수레버(120)의 누름이 해제되는 경우에는 도 8 의 (a)와 같이 취수레버(120)가 원래 위치로 회동 복귀되면서 압축되었던 제1탄성부재(161)와 제2탄성부재(162)가 복원되어 미들레버(150), 플런저(140) 및 밀폐구(130)가 다시 하강하고, 이에 따라, 상기 밀폐구(130)가 토수구(102)를 폐쇄하여 물의 배출이 중단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파우셋은 취수레버(120)의 회동에 의해 미들레버(150)가 승강됨으로써 플런저(140)와 그 하단에 결합된 밀폐구(130)가 승강되도록 하여 토수구(102)를 개폐하는 바,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취수레버(120)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아지므로 공간 효율성이 향상되고, 특히, 취수레버(120)와 플런저(140)(밀폐구(130) 포함)가 직결되지 않고 미들레버(150)에 의해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연동되므로, 직결 구조 보다 각 구성요소들의 자유도가 향상되어 상호 구속 또는 제한 없이 자연스럽게 연동되므로 작동상의 오차나 오류로 인한 누수와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파우셋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취수레버(120)의 상단부 내측에 회동축(129)이 돌출 형성되고, 메인바디(100)의 좌우 양측에는 회동축수용부(109)가 형성된다. 상기 회동축수용부(109)는 단면이 U자형으로 형성되어 내측에 상기 회동축(109)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됨에 따라, 회동축(109)이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안착된다. 그리고, 상부와 측면이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취수레버(10) 양측을 도 11의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좌우로 벌린후 회동축(129)을 회동축수용부(109)의 상측으로부터 또는 외측으로부터 삽입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취수레버(120)의 결합이 용이하다. 한편, 상기 미들레버(150)의 좌우 하단부에는 상기 회동축(129)이 회동축수용부(109)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회동축수용부(109)의 상부 개구를 커버하도록 커버돌기(158)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에서는 상기 파우셋커버(170)와 메인바디(100)가 볼트에 의해 체결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후크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우셋커버(170)의 하단부는 상단부 보다 직경이 더 크게 확장 형성되고, 하단부 외주면에 걸림공(179)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메인바디(100)의 외주면에 걸림돌기(108)가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108)가 걸림공(179)에 삽입되어 걸려 지지됨에 따라 파우셋커버(170)와 메인바디(100)가 상호 고정 체결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0 : 메인바디 101 : 입수관
102 : 토수구 103 : 단턱
104 : 결합홈 105 : 바디커버
106 : 회동축 120 : 취수레버
122 : 누름면 124 : 측면연장부
126 : 캠부 126a : 수평면
126b : 수직면 128 : 회동축홈
130 : 밀폐구 132 : 개폐돌기
134 : 결합홈 136 : 오링
140 : 플런저 142 : 결합돌기
144 : 걸림테 150 : 미들레버
152 : 통공 154 : 캠접촉부
156 : 가이드편 160 : 탄성부재
161 : 제1탄성부재 162 : 제2탄성부재
170 : 파우셋커버 172 : 결합편
174 : 결합공 176 : 원통형 격벽

Claims (10)

  1. 후방측에 물이 유입되는 입수관(101)이 형성되고, 하부에 물이 토출되는 토수구(102)가 형성된 메인바디(100)와;
    상단 좌우 양측이 상기 메인바디(100)의 좌우 양 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취수레버(120)와;
    상기 메인바디(100)의 내측에서 승강 이동에 따라 상기 토수구(102)를 개폐하는 밀폐구(130)와;
    상기 밀폐구(130)의 상부에 결합되어 승강 이동에 따라 밀폐구(130)를 승강시키는 플런저(140)와;
    상기 메인바디(100)의 상측에서 상기 취수레버(120)의 상단과 맞닿도록 배치되어, 상기 취수레버(120)의 누름 및 누름 해제에 의해 승강됨에 따라 상기 플런저(140)를 승강시키는 미들레버(150)와;
    상기 미들레버(150)의 상측에서 상기 메인바디(100)의 상단에 결합되는 파우셋커버(170)를 포함하는 정수기용 파우셋.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100)의 좌우 양측에는 회동축(106)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취수레버(120)의 상단 좌우 양측에는 각각 상기 회동축(106)이 삽입 결합되는 회동축홈(12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파우셋.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취수레버(120)의 상단에는 취수레버(120)의 누름 작동시 회동되면서 상기 미들레버(150)와 맞닿음에 따라 미들레버(150)를 상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캠부(12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파우셋.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구(130)는 메인바디(100)의 내부 공간 상측을 덮도록 구성되고, 중앙 하부에는 토수구(102)를 커버하여 밀폐하는 개폐돌기(132)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파우셋.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레버(150)는 중앙에 상기 플런저(140)가 관통 삽입되도록 통공(152)이 형성되고, 좌우 양측에는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취수레버(120)의 상단 캠부(126)와 맞닿는 캠접촉부(15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파우셋.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140)의 외주면에는 상기 미들레버(150)의 중앙 통공(152)에 삽입된 상태로 걸려 안착 지지되도록 걸림테(14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파우셋.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취수레버(120)가 눌려져 상승된 플런저(140)와 미들레버(150)를 취수레버(120)의 누름이 해제되는 경우 하방으로 복귀 이동시키는 탄성부재(1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파우셋.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취수레버(120)의 상단부 내측에는 회동축(129)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메인바디(100)의 좌우 양측에는 상기 회동축(129)이 회동가능하게 수용되는 회동축수용부(109)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파우셋.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축수용부(109)는 단면이 U자형으로 형성되어 내측에 상기 회동축(109)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파우셋.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레버(150)의 좌우 하단부에는 상기 회동축수용부(109)의 상부 개구를 커버하도록 커버돌기(158)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파우셋.
KR1020180012703A 2018-02-01 2018-02-01 플런저를 이용한 정수기용 파우셋 KR102035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703A KR102035520B1 (ko) 2018-02-01 2018-02-01 플런저를 이용한 정수기용 파우셋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703A KR102035520B1 (ko) 2018-02-01 2018-02-01 플런저를 이용한 정수기용 파우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3276A true KR20190093276A (ko) 2019-08-09
KR102035520B1 KR102035520B1 (ko) 2019-10-23

Family

ID=67613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2703A KR102035520B1 (ko) 2018-02-01 2018-02-01 플런저를 이용한 정수기용 파우셋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55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6986B1 (ko) * 2021-07-19 2023-08-16 (주)원봉 음료 공급기용 토출 유닛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6797A (ko) * 2009-06-19 2010-12-29 (주)원봉 냉온수기 또는 정수기용 취수 코크
KR20120075797A (ko) * 2010-12-29 2012-07-0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수동식 정량 추출 코크
KR101399454B1 (ko) 2012-09-04 2014-05-28 주식회사 비.엘.아이 정수기용 안전 코크
KR20150075214A (ko) * 2013-12-24 2015-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의 레버 장치
KR101597258B1 (ko) 2015-03-27 2016-02-24 (주)워피온 정수기용 코크 밸브 및 밸브 조립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6797A (ko) * 2009-06-19 2010-12-29 (주)원봉 냉온수기 또는 정수기용 취수 코크
KR20120075797A (ko) * 2010-12-29 2012-07-0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수동식 정량 추출 코크
KR101399454B1 (ko) 2012-09-04 2014-05-28 주식회사 비.엘.아이 정수기용 안전 코크
KR20150075214A (ko) * 2013-12-24 2015-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의 레버 장치
KR101597258B1 (ko) 2015-03-27 2016-02-24 (주)워피온 정수기용 코크 밸브 및 밸브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5520B1 (ko) 2019-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287695B (zh) 饮料用容器的栓体
US20090255944A1 (en) Beverage container
RU99112192A (ru) Разливочно-доз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апитков
HK1085784A1 (en) Decompression valve
KR102035520B1 (ko) 플런저를 이용한 정수기용 파우셋
KR102013626B1 (ko) 유로 전환 기능을 구비하는 정수기용 파우셋
KR101468331B1 (ko) 가압주출식 액체 용기
JP3603881B2 (ja) 電気湯沸かし器
KR102035516B1 (ko) 정수기용 온수 안전 파우셋
CN208784669U (zh) 抽屉式洗碗机用的分配器
CN110141121B (zh) 壶盖、水壶和饮水设备
JP3620038B2 (ja) 液体容器の栓体
KR200449548Y1 (ko) 액체 보관용기의 이중 마개
KR20070054575A (ko) 유아용 우유병의 공기 흡입 장치
KR20160021498A (ko) 정수기
CN218484326U (zh) 上盖及具有其的烹饪器具
CN216293690U (zh) 杯盖的防喷结构
CN112353208B (zh) 保温杯
RU2008147140A (ru) Закры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нтейнера, снабженное средствами для введения добавки в содержимое контейнера
CN111839219B (zh) 水箱及饮水设备
KR200380025Y1 (ko) 카트리지가 내장된 레버 조절식 절수 수도꼭지
CN110870687B (zh) 烹饪器具
KR200295696Y1 (ko) 용기용 원터치 캡
JPH0726996Y2 (ja) ポンプ注液式液体容器
TW200630555A (en) Discharge plu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