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5696Y1 - 용기용 원터치 캡 - Google Patents
용기용 원터치 캡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95696Y1 KR200295696Y1 KR2020020024642U KR20020024642U KR200295696Y1 KR 200295696 Y1 KR200295696 Y1 KR 200295696Y1 KR 2020020024642 U KR2020020024642 U KR 2020020024642U KR 20020024642 U KR20020024642 U KR 20020024642U KR 200295696 Y1 KR200295696 Y1 KR 20029569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p
- container
- stopper
- coupled
- opening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고안은 액체를 저장 및 수용하기 위한 용기의 개구부에 부착되는 캡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터치로 열 수 있는 캡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나. 고안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종래의 캡에 뚜껑을 힌지시켜 부착함과 동시에 뚜껑을 밀어 올리는 동작에 의하여 원터치로 뚜껑을 열도록 한 용기용 캡에 있어서는 배출구의 밀폐를 위하여 뚜껑의 저면에 돌기를 형성하고 이 돌기가 캡을 밀폐하는 수단으로 되어 있어, 이는 뚜껑과 캡의 완벽한 밀폐가 어려워 저장된 액체가 누출되는 우려가 있는 것이다.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캡(2)의 내부로 용기 밀폐를 위한 배출구(10)를 갖는 내부캡(6)을 결합 구성하고, 상기 배출구(10)의 개폐를 위한 마개(4)와 캡(2)에 힌지 결합하여 소정각도로 젖혀지도록 구성한 밀폐수단과, 받침판(20)과 고정판(22)으로 마개(4)에 미끄럼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버튼(26)의 잠금수단에 의하여 캡(2)과 마개(4)를 분리시켜 개폐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
용기용 캡.
Description
본 고안은 액체를 저장 및 수용하기 위한 용기의 개구부에 부착되는 캡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터치로 열 수 있는 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체를 저장 및 수용하는 용기의 개구부에 합성수지제의 캡이 결합되고 있으며, 이러한 캡은 통상 배출 및 주입구가 개구된 캡과, 이 배출 주입구를 닫는 뚜껑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알려져 있으며, 예를 들어 캡에 뚜껑을 힌지시켜 부착함과 동시에 뚜껑을 밀어 올리는 동작에 의하여 원터치로 뚜껑을 열도록 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이런 형식의 캡은 한 손으로 간단한 조작으로 캡을 열 수 있도록 하는 반면, 배출/주입구의 밀폐를 위하여 뚜껑의 저면에 돌기를 형성하고 이 돌기가 캡을 밀폐하는 수단으로 되어 있어, 이는 뚜껑과 캡의 완벽한 밀폐가 어려워 저장된 액체가 누출되는 우려가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진공용기에 나사식으로 결합되는 캡의 상면 주연부에 힌지되는 뚜껑을 슬라이드 버튼체의 이동에 따라 개구부를 잠금 및 열려지도록 하여 한 손으로 간단히 조작하여 열 수 있고, 그러면서도 액체가 유출되는 것이 없도록 개량된 용기용 캡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캡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캡의 밀폐된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캡의 개방된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버튼의 결합을 본여준 저면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캡 4: 마개
6: 내부캡 22: 고정판
26: 버튼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의 분해사시도로서 액체 저장용기 본체의 개구부 외주연부로 나사 결합되는 대체로 원통형을 이루는 캡(2)과, 캡(2)의 내부로 배출구(10)를 갖는 내부캡(6)과, 배출구를 개폐를 위한 마개(4)가 캡(2)에 힌지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밀폐수단과, 마개(4)의 개폐를 위한 잠금 수단이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설치되어진다.
용기에 결합되는 캡(2)의 내부로 결합되는 내부캡(6)은 상단 서로 마주 보이는 지점에 돌기(12)를 형성하여 이의 주연에 오링(14)을 착설하여 캡(2)에 결합하여 용기가 회전식으로 결합될 때 용기 내벽에 오링(14)이 밀착되면서 용기내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결합 구성되며, 상단 내측에서 하부로 U자 형상으로 오목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평면부에 배출구(10)와 공기통로(30)가 형성된다.
내부캡(6)의 배출구(10)와 공기통로(30)의 밀폐를 위한 밀폐수단인 마개(4)는 내부캡(6)의 내형에 따른 외형을 가지며 고무재질의 패킹(18)이 씌워져 힌지부(8)(8a) 및 일자형의 핀(14)에 스프링(16)이 감착되어 캡(2)과 서로 연결되어 닫는 방향과 여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동작되도록 하고 있다.
이때 패킹(18)은 그 재질을 인체에 무해한 재질인 실리콘 등의 탄성을 갖는 고무재 등으로 구성하며 저면부는 배출구(10)와 공기통로(30)의 밀폐를 보다 완벽하게 하기 위하여 원형으로 돌출된 돌기(24)를 형성하여 긴밀히 밀착되도록 한다.
상기한 마개(4)를 캡(2)에 고정하기 위한 잠금수단은 마개(4)의 상부에서 내공간으로 평면상의 받침판(20)과, 고정판(22)을 적층하고, 상기 고정판(22)에 스프링(16a)을 지지하면서 슬라이드 버튼(26)을 미끄럼운동이 가능하도록 계합 설치하여 버튼(26)의 하단측에 돌설된 끼움돌기(32)의 선단이 마개(4)에 끼워지면서 마개(4)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고정판(22)과 버튼(26)은 고정판(22)에 절개된 개구부 안쪽으로 버튼체의 저면이 계합되도록 하여 서로 분리되지 않고 미끄럼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통상의 진공용기 또는 밀폐용기의 주연부에 형성된 나사부에 캡(2)을 결합하면 된다.
캡(2)이 결합된 상태에서는 마개(4)에 고정된 패킹(18)이 내부캡(6)의 배출구와 공기통로(30)에 긴밀히 밀찰되어 있어 물이 새지 않는다.
이때 마개(4)에 버튼(26)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캡과 마개의 분리를 제어하므로 물이 전혀 새는 경우가 없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버튼(26)을 후방으로 밀면 버튼체가 미끄럼운동을 하면서 저면에 형성된 끼움돌기(32)가 캡에서 빠지게 되고 이에 따라 캡(2)에 힌지된 마개(4)가 스프링(16)의 탄력에 의하여 제 3도에 도시한 형태로 젖혀지면서 마개가 개방되는 것이다.
마개가 개방된 후 통상의 용기와 마찬가지로 물을 따라 마시면 되는 것이다.
물을 취득한 후 젖혀진 마개(4)를 누르면 버튼(26)이 후방으로 밀리다가 스프링(16a)의 탄력에 의하여 원상 복귀되면서 끼움돌기(32)가 캡에 결합되어 밀폐 되는 것이다.
따라서 원터치로 마개의 개폐가 가능하여 사용이 간편하며 배출구를 패킹이 밀착되면서 기밀을 유지하므로 액체를 보다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용기용 원터치 캡은 용기에 결합된 캡에 힌지된 마개를 버튼체의 미끄럼운동에 따라 소정각도로 개폐시켜 주므로 사용이 간편한 장점이 있는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 액체 저장용기 본체의 개구부 외주연부로 나사 결합되는 대체로 원통형을 이루는 캡(2)의 내부로 용기 밀폐를 위한 배출구(10)를 갖는 내부캡(6)을 결합 구성하고, 상기 배출구(10)의 개폐를 위한 마개(4)와 캡(2)에 힌지 결합하여 소정각도로 젖혀지도록 구성한 밀폐수단과, 받침판(20)과 고정판(22)으로 마개(4)에 미끄럼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버튼(26)의 잠금수단에 의하여 캡(2)과 마개(4)를 분리시켜 개폐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원터치 캡.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2)의 내부로 결합되는 내부캡(6)은 상단 서로 마주 보이는 지점에 돌기(12)를 형성하여 이의 주연에 오링(14)을 착설하여 캡(2) 내부로 결합하여 용기가 결합될 때 용기 내벽에 오링(14)이 밀착되면서 용기내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원터치 캡.
- 제 1항에 있어서, 잠금수단은 마개(4)의 상부에서 내공간으로 받침판(20)과, 고정판(22)을 적층하면서 상기 고정판(22)에 스프링(16a)을 결합하여 슬라이드 버튼(26)을 미끄럼운동이 가능하도록 계합 설치하여 버튼(26)의 하단측에 돌설된 끼움돌기(32)의 선단이 마개(4)에 끼워지면서 캡(2)과 마개(4)를 분리 결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원터치 캡.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24642U KR200295696Y1 (ko) | 2002-08-19 | 2002-08-19 | 용기용 원터치 캡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24642U KR200295696Y1 (ko) | 2002-08-19 | 2002-08-19 | 용기용 원터치 캡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95696Y1 true KR200295696Y1 (ko) | 2002-11-18 |
Family
ID=73127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20024642U KR200295696Y1 (ko) | 2002-08-19 | 2002-08-19 | 용기용 원터치 캡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95696Y1 (ko) |
-
2002
- 2002-08-19 KR KR2020020024642U patent/KR200295696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110041B2 (ja) | 折り畳み可能なストローを有する、ボトルのための蓋 | |
KR20090004924A (ko) | 진공 저장 용기 | |
KR200423018Y1 (ko) | 화장품용기 | |
KR200409415Y1 (ko) | 화장품용기 | |
CN112401436B (zh) | 用于食品容器的盖 | |
KR20180007317A (ko) | 캡 유닛 및 음료용 용기 | |
KR20200016341A (ko) | 화장품용 포트 | |
JP6345040B2 (ja) | スリットバルブ付きキャップ | |
KR101827129B1 (ko) | 진공밀폐 용기 | |
KR200295696Y1 (ko) | 용기용 원터치 캡 | |
GB2140132A (en) | Tap for a liquid container | |
KR100613226B1 (ko) | 소다수용기의 마개 | |
KR101756963B1 (ko) | 컴팩트 용기 | |
JP3836538B2 (ja) | 化粧料容器 | |
CN112623516A (zh) | 盖单元以及带盖容器 | |
KR100976335B1 (ko) | 음식물 보관용 밀폐용기 | |
JP3620039B2 (ja) | 液体容器の栓体 | |
KR101311949B1 (ko) | 스트로우를 구비한 음료 용기 | |
JP3620040B2 (ja) | 液体容器の栓体 | |
KR101817675B1 (ko) | 누출방지밸브가 구비된 역립형 용기 | |
KR102700395B1 (ko) | 캡 회전 개폐식 화장품 용기 | |
KR200281846Y1 (ko) | 김치보관용 그릇 및 뚜껑 | |
KR200261828Y1 (ko) | 밀폐용기용 뚜껑 | |
KR200390444Y1 (ko) | 2단 밀폐구조를 음료용기 뚜껑 | |
KR100345491B1 (ko) | 냉장고용 식품용기의 기밀유지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1104 Year of fee payment: 10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