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7317A - 캡 유닛 및 음료용 용기 - Google Patents

캡 유닛 및 음료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7317A
KR20180007317A KR1020170085093A KR20170085093A KR20180007317A KR 20180007317 A KR20180007317 A KR 20180007317A KR 1020170085093 A KR1020170085093 A KR 1020170085093A KR 20170085093 A KR20170085093 A KR 20170085093A KR 20180007317 A KR20180007317 A KR 201800073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w
cap
cover
lid
cap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5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1050B1 (ko
Inventor
다카히로 마루야마
신 마츠야마
Original Assignee
서어모스 케이.케이.
써모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어모스 케이.케이., 써모스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어모스 케이.케이.
Publication of KR20180007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73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1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10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0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formed by a rigid spout outlet and an overcap, the spout outlet being either pushed into alignment with, or pushed through an opening in the overcap, upon rotation of the la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0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 B65D51/1611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by means of an orifice, capillary or labyrinth pass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02Locking devices; Means for discourag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of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Abstract

[과제] 스트로에 맞닿아지는 돌기부의 두께를 증가시킨 캡 유닛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용기 본체(2)의 상부 개구부(2d)를 폐색함과 아울러, 가요성을 가지는 스트로(6)가 상부로부터 돌출하여 마련된 캡 본체(7)와, 캡 본체(7)에 힌지부(8)를 매개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덮개체(9)와, 덮개체(9)를 캡 본체(7)에 대해서 고정하는 덮개 잠금 기구(10)를 구비하며, 덮개체(9)는, 통 모양의 주벽부(9a)와, 주벽부(9a)의 천면을 덮는 천벽부(9b)를 가지며, 천벽부(9b)의 하면에는, 돌기부(20)가 돌출되어 마련되고, 천벽부(9b)의 상면에는, 돌기부(20)의 내측을 오목하게 한 오목부(27)가 마련되며, 덮개 잠금 기구(10)에 의해 덮개체(9)가 캡 본체(7)에 대해서 고정되었을 때에, 덮개체(9)의 내측에 스트로(6)가 절곡된 상태로 수용됨과 아울러, 스트로(6)에 맞닿아진 돌기부(20)가 스트로(6)를 누르면서, 스트로(6)의 통액로를 폐색한다.

Description

캡 유닛 및 음료용 용기{CAP UNIT AND BEVERAGE CONTAINER}
본 발명은, 캡 유닛 및 음료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상부가 개구된 용기 본체의 구경부(口頸部)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캡 유닛(마개체)이 있다. 그 중에서도, 용기 본체의 상부 개구부를 폐색(閉塞)함과 아울러, 가요성(可撓性)을 가지는 스트로(straw)가 상부로부터 돌출하여 마련된 캡 본체와, 캡 본체에 힌지부를 매개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덮개체와, 덮개체를 캡 본체에 대해서 고정하는 덮개 잠금 기구를 구비한 스트로 부착 캡 유닛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2를 참조.).
이러한 캡 유닛을 구비한 음료용 용기에서는, 덮개 잠금 기구에 의해 덮개체가 캡 본체에 대해서 고정되었을 때에, 덮개체의 내측에 스트로가 절곡된 상태로 수용된다. 또, 덮개체의 내측에 마련된 돌기부가 스트로에 맞닿아, 이 스트로를 누르는 것에 의해서, 스트로의 통액로(通液路)를 폐색한다. 한편, 덮개 잠금 기구에 의한 덮개체의 고정을 해제하는 것에 의해서, 덮개체를 개방 방향으로 회동시키면서, 스트로가 절곡된 상태로부터 원래의 상태로 탄성 복귀한다. 이것에 의해, 스트로를 통해 용기 본체 내의 음료를 마실 수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특허 제4524681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특허 제5662536호 공보
그런데, 상술한 종래의 스트로 부착 캡 유닛에서는, 스트로에 맞닿아진 평판 모양의 돌기부가 스트로를 선(線) 모양으로 누르면서, 스트로의 통액로를 폐색하고 있다. 이 경우, 덮개체의 개폐를 반복하는 것에 의해서, 스트로에 꺾임 자국이 생겨 버려, 스트로의 내구성이 나빠진다.
한편, 돌기부의 두께가 증가시킨 경우(예를 들면 2mm 이상의 두께), 이 돌기부가 스트로를 면(面) 모양으로 누르게 된다. 이것에 의해, 스트로의 내구성을 개선할 수 있다. 그렇지만, 돌기부의 두께가 증가하면(특히, 돌기부는 성형에 필요한 빼기 구배(句配)에 의해서 밑이 두꺼워지면), 이 돌기부와 일체로 성형되는 덮개체의 상면(외관면(外觀面) 상)에, 성형 수축에 의한 싱크 마크(sink mark)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이 경우, 덮개체의 미관이 악화되어 버리기 때문에, 돌기부의 두께를 얇게 하여, 싱크의 발생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사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이며, 스트로에 맞닿아지는 돌기부의 두께를 증가시킨 경우에도, 이 돌기부와 일체로 성형되는 덮개체에 싱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 스트로 부착 캡 유닛, 및, 그러한 캡 유닛을 구비한 음료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이하의 수단을 제공한다.
〔1〕상부가 개구된 용기 본체의 구경부(口頸部)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캡 유닛으로서,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 개구부를 폐색(閉塞)함과 아울러, 가요성(可撓性)을 가지는 스트로(straw)가 상부로부터 돌출하여 마련된 캡 본체와,
상기 캡 본체에 힌지부를 매개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덮개체와,
상기 캡 본체의 상기 힌지부와는 반대측에 위치하여, 상기 덮개체를 상기 캡 본체에 대해서 고정하는 덮개 잠금 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덮개체는, 통 모양의 주벽부(周壁部)와, 상기 주벽부의 천면(天面)을 덮는 천벽부(天壁部)를 가지고,
상기 천벽부의 하면에는, 돌기부가 돌출되어 마련되고,
상기 천벽부의 상면에는, 상기 돌기부의 내측을 오목하게 한 오목부가 마련되며,
상기 덮개 잠금 기구에 의해 상기 덮개체가 상기 캡 본체에 대해서 고정되었을 때에, 상기 덮개체의 내측에 상기 스트로가 절곡된 상태로 수용됨과 아울러, 상기 스트로에 맞닿아진 상기 돌기부가 상기 스트로를 누르면서, 상기 스트로의 통액로(通液路)를 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2〕 상기 돌기부는, 상기 힌지부와 상기 덮개 잠금 기구가 늘어서는 방향에서, 상기 오목부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제1 측벽과 제2 측벽을 가지며,
상기 덮개 잠금 기구에 의해 상기 덮개체가 상기 캡 본체에 대해서 고정되었을 때에, 상기 스트로에 맞닿아진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2 측벽과의 사이에서, 상기 스트로의 통액로를 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1〕에 기재된 캡 유닛.
〔3〕상기 돌기부는,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2 측벽과의 사이를 연결하면서, 상기 오목부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한 쌍의 제3 측벽을 가지며,
상기 한 쌍의 제3 측벽의 선단부에는, 상기 제1 측벽 및 상기 제2 측벽의 선단부 보다도 하부로 돌출된 한 쌍의 규제 돌기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2〕에 기재의 캡 유닛.
〔4〕상기 덮개체에는, 적어도 상기 오목부의 내측에 채워 넣어진 수지(樹脂) 부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1〕~〔3〕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캡 유닛.
〔5〕상기 덮개체에는, 상기 오목부의 상면을 덮는 커버 부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1〕~〔3〕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캡 유닛.
〔6〕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덮개체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5〕에 기재된 캡 유닛.
〔7〕상기 오목부의 저면이 개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6〕에 기재된 캡 유닛.
〔8〕상기 캡 본체의 상부에는, 통기공(通氣孔)이 마련되며,
상기 덮개 잠금 기구에 의해 상기 덮개체가 상기 캡 본체에 대해서 고정되었을 때에, 상기 돌기부에 의해 눌러진 상기 스트로가 상기 돌기부와의 사이에서 상기 통기공의 주위와 밀착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통기공을 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1〕~〔7〕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캡 유닛.
〔9〕상기〔1〕~〔8〕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캡 유닛과, 상기 캡 유닛이 장착된 용기 본체를 구비하는 음료용 용기.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스트로에 맞닿아지는 돌기부의 두께를 증가시킨 경우에도, 이 돌기부와 일체로 성형되는 덮개체에 싱크 마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 스트로 부착 캡 유닛, 및, 그러한 캡 유닛을 구비한 음료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캡 유닛을 구비한 음료용 용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캡 유닛을 구비한 음료용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캡 유닛을 구비한 음료용 용기의 상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음료용 용기가 구비하는 캡 유닛의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내는 캡 유닛의 폐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로서, 예를 들면 도 1~도 3에 나타내는 캡 유닛(1A)을 구비한 음료용 용기(100A)에 대해 설명한다. 또, 도 1은, 캡 유닛(1A)을 구비한 음료용 용기(100A)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캡 유닛(1A)을 구비한 음료용 용기(100A)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캡 유닛(1A)을 구비한 음료용 용기(100A)의 상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음료용 용기(100A)는, 용기 본체(2)와, 용기 본체(2)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캡 유닛(1A)을 구비하고 있다. 음료용 용기(100A)에서는, 진공 단열 구조를 가지는 용기 본체(2)에 의해서, 용기 본체(2)에 수용된 음료(내용물)를 보온 또는 보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이 용기 본체(2)는,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등으로 이루어지는 저부를 가지는 통 모양의 외부 용기(3) 및 내부 용기(4)를 가지며, 외부 용기(3)의 내측에 내부 용기(4)를 수용한 상태에서 서로의 입구부를 접합한 이중 구조의 용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 외부 용기(3)와 내부 용기(4)와의 사이에는, 진공 단열층(5)이 마련되어 있다. 진공 단열층(5)은, 예를 들면, 고진공으로 감압(減壓)(진공 퍼지)된 챔버 내에서, 외부 용기(3)의 저면 중앙부에 마련된 탈기공(脫氣孔)을 막는 것에 의해서 형성할 수 있다.
용기 본체(2)는, 대략 원형 모양의 저면부(2a)와, 저면부(2a)의 외주로부터 대략 원통 모양으로 기립(起立)한 몸통부(2b)와, 몸통부(2b)의 상부측에서 지름이 축소된 대략 원통 모양의 구경부(口頸部)(2c)를 가지고 있다. 또, 구경부(2c)의 상단부는, 용기 본체(2)의 상부 개구부(2d)로서, 원형 모양으로 개구되어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음료용 용기(100A)는, 전체로서 대략 원통 모양의 외관 형상을 가지고 있지만, 음료용 용기(100A)의 외관 형상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사이즈나 디자인 등에 맞추어, 적절히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용기 본체(2)의 외주면에는, 도장이나 인쇄 등이 실시되어 있어도 괜찮다.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1A)은, 용기 본체(2)의 상부 개구부(2d)를 폐색하는 마개체를 구성하는 것이다. 또, 캡 유닛(1A)은, 상부에 마련된 스트로(straw)(통액구(通液口))(6)를 통해 용기 본체(2) 내의 음료를 마실 수 있는 스트로 부착 캡 유닛이다.
구체적으로, 이 캡 유닛(1A)은, 가요성을 가지는 스트로(6)가 상부로부터 돌출하여 마련된 캡 본체(7)와, 캡 본체(7)에 힌지부(8)를 매개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덮개체(9)와, 덮개체(9)를 캡 본체(7)에 대해서 고정하는 덮개 잠금 기구(10)를 구비하고 있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캡 유닛(1A)의 힌지부(8)가 마련된 측을 음료용 용기(100A)의 「후측」으로 하고, 그것과는 반대측을 음료용 용기(100A)의 「전측」으로서 설명한다.
캡 본체(7)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 수지로 이루어진다. 캡 본체(7)는, 용기 본체(2)의 몸통부(2b)와 연속하도록 대략 원통 모양으로 형성된 주벽부(周壁部)(7a)와, 주벽부(7a)의 상면을 덮는 상벽부(上壁部)(7b)를 가지고 있다.
캡 본체(7)는, 용기 본체(2)의 구경부(2c)에 나사 결합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주벽부(7a)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11)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구경부(2c)의 외주면에는, 암나사부(11)와 나사 결합되는 수나사부(12)가 마련되어 있다.
캡 본체(7)의 상벽부(7b)에는, 스트로(6)를 관통시키는 제1 관통공(13)이 마련되어 있다. 제1 관통공(13)은, 상벽부(7b)의 중앙 보다도 후측으로 어긋난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한편, 캡 본체(7)의 내측에는, 스트로(6)를 형성하는 스트로 형성 부재(14)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스트로 형성 부재(14)는,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 등의 고무나 엘라스토머 등의 탄성 부재로 이루어진다. 스트로(6)는, 이 스트로 형성 부재(14)에 의해 튜브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스트로 형성 부재(14)는, 스트로(6)의 길이 방향의 중도부(中途部)에 마련된 플랜지부(14a)와, 스트로(6)의 하단부에 마련된 파이프 접속부(14b)를 가지고 있다. 또, 파이프 접속부(14b)에는, 용기 본체(2)에 수용된 음료를 흡입하는 흡입 파이프(15)가 접속되어 있다. 흡입 파이프(15)는, 파이프 접속부(14b)로부터 용기 본체(2)의 저부까지 원통 모양으로 연장되어 있다.
스트로 형성 부재(14)는, 상벽부(7b)의 하면에 플랜지부(14a)가 맞닿아질 때까지, 제1 관통공(13)에 스트로(6)를 관통시키는 것에 의해서, 제1 관통공(13)의 내측에 스트로(6)가 끼워진 상태로, 캡 본체(7)의 내측에 장착되어 있다.
캡 본체(7)의 상벽부(7b)에는, 제1 통기공(16) 및 제2 관통공(17)이 마련되어 있다. 제1 통기공(16)은, 상벽부(7b)의 제1 관통공(13)보다도 전측(前側)(본 예에서는 상벽부(7b)의 대략 중앙)에 위치하여 마련되어 있다. 제2 관통공(17)은, 상벽부(7b)의 제1 통기공(16)보다도 외측(본 예에서는 제1 통기공(16)보다도 전측)에 위치하여 마련되어 있다.
캡 본체(7)의 내측에는, 지수(止水, 물이 새는 것을 막음) 패킹(18)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지수 패킹(18)은, 용기 본체(2)와 캡 본체(7)와의 사이를 밀폐하는 링 모양의 씰 부재이다. 지수 패킹(18)은,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 등의 고무나 엘라스토머 등의 탄성 부재로 이루어진다.
지수 패킹(18)은, 캡 본체(7)의 내측에 끼워지는 링부(18a)와, 제1 통기공(16)의 주위에 밀착하는 체크 밸브(18b)와, 제2 관통공(17)의 내측에 끼워지는 통 모양 돌기부(18c)를 가지고 있다.
링부(18a)는, 용기 본체(2)의 구경부(2c)에 캡 본체(7)가 장착되었을 때에, 구경부(2c)의 상단부와 전체 둘레에 걸쳐서 밀착한 상태가 됨으로써, 용기 본체(2)와 캡 본체(7)와의 사이를 밀폐한다. 체크 밸브(18b)는, 용기 본체(2) 내의 압력이 부압(負壓)이 될 때, 탄성 변형에 의해 슬릿(도시하지 않음)을 개방하여, 외부의 공기를 제1 통기공(16)으로부터 용기 본체(2)의 내부로 도입시킨다. 통 모양 돌기부(18c)의 중심 구멍은, 외부의 공기를 용기 본체(2)의 내부로 도입시키는 제2 통기공(19)을 형성하고 있다. 제2 통기공(19)은, 후술하는 덮개 잠금 기구(10)에 의한 덮개체(9)의 고정이 해제되어 개방되었을 때에, 스트로(6) 내의 액체가 외부로 비산(飛散)하는 것을 방지한다.
덮개체(9)는, 그 내측에 스트로(6)를 절곡한 상태로 수용하는 것이며, 캡 본체(7)의 후단측의 상부에 마련된 힌지부(8)를 매개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덮개체(9)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 수지로 이루어진다. 덮개체(9)는, 대략 타원 통 모양으로 형성된 주벽부(9a)와, 주벽부(9a)의 천면을 덮는 천벽부(9b)를 가지고 있다. 또, 덮개체(9)는, 캡 유닛(1)의 경량화를 도모함과 아울러, 이 캡 유닛(1)을 파지하기 쉽게 하기 위해, 힌지부(8)와 덮개 잠금 기구(10)가 늘어서는 방향(전후 방향)을 따라서 보았을 때에, 캡 본체(7)보다도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게다가, 천벽부(9b)의 하면에는, 돌기부(20)가 하부로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덮개 잠금 기구(10)는, 캡 본체(7)의 전측의 주벽부(7a)에 힌지축(21)을 매개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잠금 부재(22)를 가지고 있다. 잠금 부재(22)는, 힌지축(21)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된 상측 암부(22a)와, 힌지축(21)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된 하측 암부(22b)와, 힌지축(21)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후측 암부(22c)를 가지고 있다.
상측 암부(22a)의 선단(잠금 부재(22)의 상단)에는, 후크부(23)가 후방을 향해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하측 암부(22b)와 주벽부(7a)와의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24)이 배치되어 있다. 캡 본체(7)의 전측의 주벽부(7a)에는, 하측 암부(22b)의 주위를 둘러싸는 위치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벽부(25)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덮개 잠금 기구(10)는, 잠금 부재(22)의 후크부(23)가 걸려지는 잠금 받이부(26)를 가지고 있다. 잠금 받이부(26)는, 덮개체(9)의 전측의 하단부로부터 돌출된 클로부(claw部)로 이루어진다.
덮개 잠금 기구(10)에서는, 덮개체(9)가 캡 본체(7)의 상부를 폐색했을 때에, 잠금 부재(22)의 후크부(23)가 잠금 받이부(26)에 걸리는 것에 의해서, 덮개체(9)가 캡 본체(7)에 대해서 고정된다.
이 때, 스트로(6)가 2개소에서 반대 방향으로 절곡된 상태로 덮개체(9)의 내측에 수용됨과 아울러, 스트로(6)에 맞닿아진 돌기부(20)가 스트로(6)를 누르면서, 스트로(6)의 통액로를 폐색한다. 또, 돌기부(20)에 의해 눌러진 스트로(6)가 돌기부(20)와의 사이에서 제1 통기공(16)의 주위와 밀착한다. 이것에 의해, 제1 통기공(16)을 확실히 폐색할 수 있다. 게다가, 후측 암(22c)이 제2 통기공(19)의 주위와 밀착하는 것에 의해서, 이 제2 통기공(19)을 폐색한다. 따라서, 제1 통기공(16) 및 제2 통기공(19)을 폐색하는 것에 의해서, 용기 본체(2) 내의 음료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상태로부터, 코일 스프링(24)을 압축시키면서, 잠금 부재(22)의 하측 암부(22b)측을 압압(押壓) 조작하는 것에 의해서, 잠금 받이부(26)에 대한 후크부(23)의 걸림 상태를 해제한다. 이것에 의해, 스트로(6)가 덮개체(9)를 밀어 올리면서, 절곡된 상태로부터 원래의 상태로 탄성 복귀한다. 또, 스트로(6)가 탄성 복귀함에 따라서, 덮개체(9)가 개방 방향으로 회동된다. 게다가, 제1 통기공(16) 및 제2 통기공(19)이 개방된 상태가 된다. 한편, 덮개체(9)가 개방 방향으로 회동된 후에, 잠금 부재(22)의 압압 조작을 해제하는 것에 의해서, 제2 통기공(19)이 다시 폐색된 상태가 된다. 이것에 의해, 용기 본체(2)를 기울였을 때에 제2 통기공(19)으로부터 음료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스트로(6)를 통해 용기 본체(2) 내의 음료를 마실 수 있다.
그런데,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1A)에서는, 천벽부(9b)의 상면에 돌기부(20)의 내측을 오목하게 한 오목부(27)가 마련되어 있다. 돌기부(20)는, 덮개체(9)의 전후 방향에서, 오목부(27)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제1 측벽(20a) 및 제2 측벽(20b)과, 제1 측벽(20a)과 제2 측벽(20b)과의 사이를 연결하면서, 오목부(27)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한 쌍의 제3 측벽(도시하지 않음)을 가지고 있다. 또, 한 쌍의 제3 측벽의 선단부에는, 제1 측벽(20a) 및 제2 측벽(20b)의 선단부 보다도 하부로 돌출된 한 쌍의 규제 돌기부(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되어 있다. 한 쌍의 규제 돌기부는, 스트로(6)에 돌기부(20)가 맞닿게 되었을 때에, 스트로(6)를 폭 방향으로 규제하는 것이다.
덮개체(9)에는, 이색(二色) 성형부(28)가 천벽부(9b)의 상면을 덮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색 성형부(28)는,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 등의 고무나 엘라스토머,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 수지 등의 수지 부재로 이루어진다. 이색 성형부(28)는, 덮개체(9)와의 이색 성형에 의해 오목부(27)의 내측에 채워 넣어진 상태로 마련되어 있다. 또, 이색 성형부(28)는, 상술한 천벽부(9b)의 상면을 덮는 구성에 한정하지 않고, 적어도 오목부(27)를 덮는 구성으로 해도 괜찮다. 또, 이색 성형부(28)는, 이색 성형 이외에도 인서트 성형에 의해 형성해도 좋다. 이색 성형부(28)에 의해 오목부(27)의 내측이 채워 넣어진 상태가 되는 것에 의해서, 이 오목부(27)로의 물 등의 침수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캡 유닛(1A)에서는, 돌기부(20)의 두께를 증가시킨 경우에도, 이 돌기부(20)의 내측을 오목하게 한 오목부(27)를 마련하는 것에 의하고, 돌기부(20)를 구성하는 제1 측벽(20a), 제2 측벽(20b) 및 한 쌍의 제3 측벽의 각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돌기부(20)와 일체로 성형되는 덮개체(9)의 천벽부(9b)에, 성형 수축에 의한 싱크 마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 돌기부(20)의 형상(치수)을 안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천벽부(9b)의 상면을 덮는 이색 성형부(28)가 오목부(27)의 내측에 채워 넣어진 상태로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덮개체(9)의 미관을 좋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이 캡 유닛(1A)에서는, 상술한 돌기부(20)의 두께를 종래 보다도 증가시키는 것에 의해서, 덮개 잠금 기구(10)에 의해 덮개체(9)가 캡 본체(7)에 대해서 고정되었을 때에, 스트로(6)에 맞닿아진 돌기부(20)가 제1 측벽(20a)과 제2 측벽(20b)과의 사이에서 스트로(6)를 면 모양으로 누른다. 즉, 제1 측벽(20a) 및 제2 측벽(20b)의 각각의 두께 보다도 폭이 크게 되는 면으로 스트로(6)를 누른다. 이것에 의해, 스트로(6)에 꺾임 자국이 생기는 것을 억제하면서, 스트로(6)의 통액로를 폐색할 수 있다. 그 결과, 스트로(6)의 내구성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로서, 예를 들면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캡 유닛(1B)을 구비한 음료용 용기(100B)에 대해 설명한다. 또, 도 4는, 음료용 용기(100B)가 구비하는 캡 유닛(1B)의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내는 캡 유닛(1B)의 폐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캡 유닛(1A)을 구비한 음료용 용기(100A)와 동일한 부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함과 아울러, 도면에서 동일 부호를 부여하는 것으로 한다.
본 실시 형태의 음료용 용기(100B)는, 용기 본체(2)와, 용기 본체(2)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캡 유닛(1B)을 구비하고 있다. 캡 유닛(1B)은, 상기 캡 유닛(1A)과는 덮개체(9)의 구성이 다른 이외는, 기본적으로 상기 캡 유닛(1A)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이 캡 유닛(1B)이 구비하는 덮개체(9)는, 캡 본체(7)의 주벽부(7a)와 연속하도록, 주벽부(9a)가 대략 원통 모양으로 형성된 형상을 가지고 있다. 또, 천벽부(9b)의 하면에는, 돌기부(29)가 하부로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한편, 천벽부(9b)의 상면에는, 돌기부(29)의 내측을 오목하게 한 오목부(30)가 마련되어 있다. 또, 오목부(30)의 저면을 개구한 개구부(30a)가 마련되어 있다.
돌기부(29)는, 덮개체(9)의 전후 방향에서, 오목부(30)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제1 측벽(29a) 및 제2 측벽(29b)과, 제1 측벽(29a)과 제2 측벽(29b)과의 사이를 연결하면서, 오목부(30)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한 쌍의 제3 측벽(29c)을 가지고 있다. 또, 돌기부(29)는, 제1 측벽(29a)과 제2 측벽(29b)과의 간격이 하부를 향해서 점차 좁아져, 한 쌍의 제3 측벽(29c)이 서로 평행이 되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한 쌍의 제3 측벽(29c)의 선단부에는, 제1 측벽(29a) 및 제2 측벽(29b)의 선단부 보다도 하부로 돌출된 한 쌍의 규제 돌기부(31)가 마련되어 있다. 한 쌍의 규제 돌기부(31)는, 스트로(6)에 돌기부(29)가 맞닿아질 때에, 스트로(6)를 폭 방향으로 규제하는 것이며, 제1 측벽(29a)과 제2 측벽(29b)과의 사이에 걸쳐서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덮개체(9)에는, 오목부(30)의 상면을 덮는 커버 부재(32)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커버 부재(32)는, 덮개체(9)와 동일 재질의 것을 이용하여, 대략 원판(圓板)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천벽부(9b)의 상면에는, 커버 부재(32)에 대응한 형상의 단차부(33)가 마련되어 있다. 커버 부재(32)는, 외주부에 마련된 복수의 클로부(걸림부)(32a)를 단차부(33)에 마련된 복수의 구멍부(피걸림부)(33a)에 걸리는 것에 의해서, 단차부(33)의 내측에 끼워넣어진 상태로, 천벽부(9b)의 상면에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커버 부재(32)는, 구멍부(33a)에 대한 클로부(32a)의 걸림 상태를 해제하는 것에 의해서, 천벽부(9b)의 상면으로부터 떼어내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캡 유닛(1B)에서는, 돌기부(29)의 두께를 증가시킨 경우에도, 이 돌기부(29)의 내측을 오목하게 한 오목부(30)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서, 돌기부(29)를 구성하는 제1 측벽(29a), 제2 측벽(29b) 및 한 쌍의 제3 측벽(29c)의 각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돌기부(29)와 일체로 성형되는 덮개체(9)의 천벽부(9b)에, 성형 수축에 의한 싱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 돌기부(29)의 형상(치수)을 안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오목부(30)의 상면을 덮는 커버 부재(32)를 장착하는 것에 의해서, 덮개체(9)의 미관을 좋게 하거나, 좋아하는 디자인의 커버 부재(32)로 바꾸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상술한 이색 성형부(28)에서 오목부(27)의 내측이 채워 넣어진 상태로 하는 것보다도, 커버 부재(32)에서 오목부(30)의 상면을 염가로 덮는 것이 가능하다. 또, 커버 부재(32)를 떼어내어, 오목부(30)의 내측을 세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게다가, 개구부(30a)를 통해 세정한 액을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이 캡 유닛(1B)에서는, 상술한 돌기부(29)의 두께를 종래 보다도 증가시키는 것에 의해서, 덮개 잠금 기구(10)에 의해 덮개체(9)가 캡 본체(7)에 대해서 고정되었을 때에, 스트로(6)에 맞닿아진 돌기부(29)가 제1 측벽(29a)과 제2 측벽(29b)과의 사이에서 스트로(6)를 면 모양으로 누른다. 이것에 의해, 스트로(6)에 꺾임 자국이 생기는 것을 억제하면서, 스트로(6)의 통액로를 폐색할 수 있다. 그 결과, 스트로(6)의 내구성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진공 단열 구조를 가지는 용기 본체(2)에 의해서 보온·보냉 기능을 갖게 한 음료용 용기(100A, 100B)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이러한 진공 단열 구조를 가지는 용기 본체(2)를 구비한 것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스트로 부착 캡 유닛이 용기 본체의 구경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음료용 용기에 대해서 폭넓게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100A, 100B - 음료용 용기 1A, 1B - 캡 유닛
2 - 용기 본체 2c - 구경부
2d - 상부 개구부 3 - 외부 용기
4 - 내부 용기 5 - 진공 단열층
6 - 스트로(통액구) 7 - 캡 본체
7a - 주벽부 7b - 상벽부
8 - 힌지부 9 - 덮개체
9a - 주벽부 9b - 천벽부
10 - 덮개 잠금 기구 16 - 제1 통기공
20 - 돌기부 20a - 제1 측벽
20b - 제2 측벽 27 - 오목부
28 - 이색 성형부(수지 부재) 29 - 돌기부
29a - 제1 측벽 29b - 제2 측벽
29c - 제3 측벽 30 - 오목부
30a - 개구부 31 - 규제 돌기부
32 - 커버 부재

Claims (9)

  1. 상부가 개구된 용기 본체의 구경부(口頸部)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캡 유닛으로서,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 개구부를 폐색(閉塞)함과 아울러, 가요성(可撓性)을 가지는 스트로(straw)가 상부로부터 돌출하여 마련된 캡 본체와,
    상기 캡 본체에 힌지부를 매개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덮개체와,
    상기 캡 본체의 상기 힌지부와는 반대측에 위치하여, 상기 덮개체를 상기 캡 본체에 대해서 고정하는 덮개 잠금 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덮개체는, 통 모양의 주벽부(周壁部)와, 상기 주벽부의 천면(天面)을 덮는 천벽부(天壁部)를 가지고,
    상기 천벽부의 하면에는, 돌기부가 돌출하여 마련되고,
    상기 천벽부의 상면에는, 상기 돌기부의 내측을 오목하게 한 오목부가 마련되며,
    상기 덮개 잠금 기구에 의해 상기 덮개체가 상기 캡 본체에 대해서 고정되었을 때에, 상기 덮개체의 내측에 상기 스트로가 절곡된 상태로 수용됨과 아울러, 상기 스트로에 맞닿아진 상기 돌기부가 상기 스트로를 누르면서, 상기 스트로의 통액로(通液路)를 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힌지부와 상기 덮개 잠금 기구가 늘어서는 방향에서, 상기 오목부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제1 측벽과 제2 측벽을 가지며,
    상기 덮개 잠금 기구에 의해 상기 덮개체가 상기 캡 본체에 대해서 고정되었을 때에, 상기 스트로에 맞닿아진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2 측벽과의 사이에서, 상기 스트로의 통액로를 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2 측벽과의 사이를 연결하면서, 상기 오목부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한 쌍의 제3 측벽을 가지며,
    상기 한 쌍의 제3 측벽의 선단부에는, 상기 제1 측벽 및 상기 제2 측벽의 선단부 보다도 하부로 돌출된 한 쌍의 규제 돌기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체에는, 적어도 상기 오목부의 내측에 채워 넣어진 수지(樹脂) 부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체에는, 상기 오목부의 상면을 덮는 커버 부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덮개체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저면이 개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캡 본체의 상부에는, 통기공(通氣孔)이 마련되며,
    상기 덮개 잠금 기구에 의해 상기 덮개체가 상기 캡 본체에 대해서 고정되었을 때에, 상기 돌기부에 의해 눌러진 상기 스트로가 상기 돌기부와의 사이에서 상기 통기공의 주위와 밀착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통기공을 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캡 유닛과,
    상기 캡 유닛이 장착된 용기 본체를 구비하는 음료용 용기.
KR1020170085093A 2016-07-12 2017-07-04 캡 유닛 및 음료용 용기 KR1023410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37682A JP6186665B1 (ja) 2016-07-12 2016-07-12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飲料用容器
JPJP-P-2016-137682 2016-07-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7317A true KR20180007317A (ko) 2018-01-22
KR102341050B1 KR102341050B1 (ko) 2021-12-20

Family

ID=59720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5093A KR102341050B1 (ko) 2016-07-12 2017-07-04 캡 유닛 및 음료용 용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186665B1 (ko)
KR (1) KR102341050B1 (ko)
CN (1) CN107600680B (ko)
TW (1) TWI62811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5208B1 (ko) * 2017-12-18 2019-03-07 엘앤피코스메틱 (주) 화장액 보관용 앰플
JP7161339B2 (ja) * 2018-08-10 2022-10-26 サーモス株式会社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JP2022013147A (ja) 2020-07-03 2022-01-18 サーモス株式会社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JP6881806B1 (ja) * 2020-09-04 2021-06-02 浙江和莎科技有限公司 飲料容器用栓体および飲料容器
JP6881799B1 (ja) * 2020-09-04 2021-06-02 浙江和莎科技有限公司 飲料容器用栓体および飲料容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47580A (ja) * 2005-06-15 2006-12-28 Pigeon Corp 飲料容器及び飲み口付蓋体
KR101404859B1 (ko) * 2012-02-28 2014-06-09 써모스코리아 주식회사 뚜껑 뒷면에 열림 버튼을 가지는 음료병 및 뚜껑
JP5662536B1 (ja) 2013-09-05 2015-01-28 サーモス株式会社 飲料用容器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48433B2 (ja) * 2000-09-26 2011-08-17 サーモス株式会社 飲料用容器の栓体
JP2003205958A (ja) * 2002-01-17 2003-07-22 Tiger Vacuum Bottle Co Ltd 携帯用液体飲料容器の栓及びそれを用いた携帯用液体飲料容器
JP4386033B2 (ja) * 2005-12-27 2009-12-16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飲料用容器
US8550269B2 (en) * 2011-06-08 2013-10-08 Thermos L.L.C. Drink bottle and lid with cover for drink spout
JP5375932B2 (ja) * 2011-11-29 2013-12-25 サーモス株式会社 飲料用容器の栓体
JP5354040B2 (ja) * 2012-02-23 2013-11-27 サーモス株式会社 飲料容器の栓体
KR101442411B1 (ko) * 2013-04-29 2014-09-17 서어모스 케이.케이.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JP6321969B2 (ja) * 2014-01-20 2018-05-09 株式会社リッチェル 飲料容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47580A (ja) * 2005-06-15 2006-12-28 Pigeon Corp 飲料容器及び飲み口付蓋体
KR101404859B1 (ko) * 2012-02-28 2014-06-09 써모스코리아 주식회사 뚜껑 뒷면에 열림 버튼을 가지는 음료병 및 뚜껑
JP5662536B1 (ja) 2013-09-05 2015-01-28 サーモス株式会社 飲料用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1050B1 (ko) 2021-12-20
TWI628116B (zh) 2018-07-01
JP6186665B1 (ja) 2017-08-30
CN107600680A (zh) 2018-01-19
CN107600680B (zh) 2019-12-03
TW201806830A (zh) 2018-03-01
JP2018008714A (ja) 2018-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07317A (ko) 캡 유닛 및 음료용 용기
KR101879987B1 (ko) 캡 유닛 및 음료용 용기
TWI487648B (zh) Beverage containers
JP6839748B2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飲料用容器
KR20190042513A (ko) 캡 유닛 및 음료용 용기
JP2007320617A (ja) 飲料容器の栓体
KR102428939B1 (ko) 캡 유닛 및 음료용 용기
JP2009172253A (ja) 飲料用容器の栓体
CN112623516B (zh) 盖单元以及带盖容器
JP2022180974A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JP2020001734A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JP6554356B2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飲料用容器
TW202144246A (zh) 蓋組件與帶蓋容器
KR20210146234A (ko)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
KR101213047B1 (ko) 에어 캡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JP2023041197A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JP2007302253A (ja) 吐出容器
KR20210111174A (ko)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
KR20210111175A (ko)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
TW202144244A (zh) 蓋組件與帶蓋容器
JP2022013147A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TW202143901A (zh) 蓋組件與帶蓋容器
JP2021191685A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KR20080003724U (ko) 음료용기의 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