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6234A -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 - Google Patents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6234A
KR20210146234A KR1020210066675A KR20210066675A KR20210146234A KR 20210146234 A KR20210146234 A KR 20210146234A KR 1020210066675 A KR1020210066675 A KR 1020210066675A KR 20210066675 A KR20210066675 A KR 20210066675A KR 20210146234 A KR20210146234 A KR 202101462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cap body
intermediate stopper
pack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6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쿠 기구치
다카히로 마루야마
Original Assignee
서어모스 케이.케이.
써모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어모스 케이.케이., 써모스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어모스 케이.케이.
Publication of KR20210146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62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65D41/0435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separate sealing elements
    • B65D41/0442Collar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Thermally Insulated Containers For Food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과제] 통액 구멍의 밀폐성을 양호하게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캡 유닛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상부가 개구된 용기 본체(2)의 구경부(2c)에 장착됨과 아울러, 용기 본체(2)의 내측과 연통되는 통액 구멍(12)이 마련된 캡 본체(8)와, 캡 본체(8)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됨과 아울러, 캡 본체(8)의 외측을 덮는 외부 덮개(17)와, 캡 본체(8)의 내측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서 통액 구멍(12)을 폐색하는 중간 마개(18)가 마련된 덮개체(9)와, 캡 본체(8)의 하단측의 외주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용기 본체(2)의 내측과 캡 본체(8)와의 사이를 밀폐하는 지수 패킹(14)과, 중간 마개(18)의 외주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캡 본체(8)의 내측과 중간 마개(18)와의 사이를 밀폐하는 덮개 패킹(21)을 구비하고, 지수 패킹(14)은, 중간 마개(18)와 캡 본체(8)와의 사이의 틈새(S)를 폐색하는 하면측 돌출부(14c)를 가진다.

Description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cap unit and cap-equipped container}
본 발명은,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상부가 개구된 용기 본체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캡 유닛(마개체)을 구비한 캡 부착 용기가 있다. 또, 캡 유닛 중에는, 상부가 개구된 용기 본체의 구경부(口頸部)에 장착됨과 아울러, 용기 본체의 내측과 연통되는 통액(通液) 구멍이 마련된 캡 본체와, 통액 구멍을 개폐하는 덮개체를 구비한 것이 있다(예를 들면, 하기 특허문헌 1을 참조).
구체적으로,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캡 본체의 외측을 덮는 외부 덮개와, 캡 본체의 내측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서 통액 구멍을 폐색(閉塞)하는 중간 마개를 가지고, 캡 본체의 내주부에 마련된 암 나사부와, 중간 마개의 외주부에 마련된 수 나사부와의 나사 결합에 의해서, 캡 본체에 대해서 덮개체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또,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캡 본체의 하단측의 외주부에 장착된 지수(止水, 물이 새는 것을 막음) 패킹에 의해서, 용기 본체의 내측과 캡 본체와의 사이를 밀폐함과 아울러, 중간 마개의 외주부에 장착된 덮개 패킹에 의해서, 캡 본체의 내측과 중간 마개와의 사이를 밀폐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특허 제2014-162544호 공보
그런데, 상술한 종래의 캡 부착 용기에서는, 용기 본체의 상하를 역전시켜 도립(倒立)시켰을 경우에, 용기 본체에 수용된 음료(액체)가 캡 본체와 중간 마개와의 사이의 틈새로부터 덮개 패킹을 넘어, 통액 구멍의 내측으로 누출되는 일이 있었다.
특히, 용기 본체가 도립한 상태로 낙하했을 경우, 지면 등에 충돌했을 때의 충격에 의해 용기 본체에 수용된 음료가 덮개 패킹을 압압하여, 덮개 패킹이 중간 마개의 외주부로부터 어긋나 버리는 일이 있었다. 이 경우, 덮개 패킹에 의한 통액 구멍의 밀폐성을 양호하게 유지하는 것은 곤란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사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이며, 통액 구멍의 밀폐성을 양호하게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캡 유닛, 및 그러한 캡 유닛을 구비하는 것에 의해서, 사용 편리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는 캡 부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이하의 수단을 제공한다.
[1] 상부가 개구된 용기 본체의 구경부(口頸部)에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용기 본체의 내측과 연통되는 통액(通液) 구멍이 마련된 캡 본체와,
상기 캡 본체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캡 본체의 외측을 덮는 외부 덮개와, 상기 캡 본체의 내측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서 상기 통액 구멍을 폐색하는 중간 마개가 마련된 덮개체와,
상기 캡 본체의 하단측의 외주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 본체의 내측과 상기 캡 본체와의 사이를 밀폐하는 지수(止水) 패킹과,
상기 중간 마개의 외주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캡 본체의 내측과 상기 중간 마개와의 사이를 밀폐하는 덮개 패킹을 구비하고,
상기 지수 패킹은, 상기 중간 마개와 상기 캡 본체와의 사이의 틈새를 폐색하는 하면측 돌출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2] 상기 하면측 돌출부는, 상기 캡 본체의 하단부 보다도 축경(縮徑) 방향으로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에 기재의 캡 유닛.
[3] 상기 중간 마개가 상기 통액 구멍을 폐색한 상태에서, 상기 하면측 돌출부가 상기 중간 마개의 하면을 구성하는 저벽부와 전체 둘레에 걸쳐서 접촉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2]에 기재의 캡 유닛.
[4] 상기 하면측 돌출부는, 그 선단측이 상방을 향해 굴곡한 굴곡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2] 또는 [3]에 기재의 캡 유닛.
[5] 상기 하면측 돌출부는, 그 선단측이 하방을 향해 굴곡한 굴곡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2] 또는 [3]에 기재의 캡 유닛.
[6] 상부가 개구된 용기 본체의 구경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용기 본체의 내측과 연통되는 통액 구멍이 마련된 캡 본체와,
상기 캡 본체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캡 본체의 외측을 덮는 외부 덮개와, 상기 캡 본체의 내측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서 상기 통액 구멍을 폐색하는 중간 마개가 마련된 덮개체와,
상기 중간 마개의 외주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캡 본체의 내측과 상기 중간 마개와의 사이를 밀폐하는 덮개 패킹을 구비하고,
상기 덮개 패킹은, 상기 중간 마개의 외주부에 마련된 링 모양의 홈부에 감합(嵌合)된 상태로 장착되어 있고,
상기 홈부는, 상기 덮개 패킹의 상면과 대향하는 상벽면(上壁面)과, 상기 덮개 패킹의 하면과 대향하는 하벽면(下壁面)과, 상기 상벽면과 상기 하벽면과의 사이에서 상기 덮개 패킹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내벽면을 가지고,
상기 상벽면은, 상기 하벽면 보다도 확경(擴徑) 방향으로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7] 상기 덮개 패킹은, 그 외주면으로부터 확경 방향을 향해 돌출된 탄성 플랜지부를 가지고,
상기 캡 본체의 내측에 상기 탄성 플랜지부가 밀착한 상태가 되는 것에 의해서, 상기 캡 본체의 내측과 상기 중간 마개와의 사이를 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6]에 기재의 캡 유닛.
[8] 상기 상벽면의 외주 단부는, 상기 탄성 플랜지부의 기단부 보다도 외주측, 또한 상기 탄성 플랜지부의 선단부 보다도 내주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7]에 기재의 캡 유닛.
[9] 상기 하벽면의 외주 단부는, 상기 탄성 플랜지부의 기단부 보다도 내주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7] 또는 [8]에 기재의 캡 유닛.
[10] 상기 캡 본체의 내주부에 마련된 암 나사부와, 상기 중간 마개의 외주부에 마련된 수 나사부와의 나사 결합에 의해서, 상기 캡 본체에 대해서 상기 덮개체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의 캡 유닛.
[11] 상기 [1] ~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의 캡 유닛과,
상기 캡 유닛이 장착된 용기 본체를 구비하는 캡 부착 용기.
[12] 상기 용기 본체는, 진공 단열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1]에 기재의 캡 부착 용기.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통액 구멍의 밀폐성을 양호하게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캡 유닛, 및 그러한 캡 유닛을 구비하는 것에 의해서, 사용 편리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는 캡 부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캡 유닛을 구비한 캡 부착 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캡 유닛의 구성을 하방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캡 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하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캡 유닛의 구성을 상방측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캡 유닛의 구성을 하방측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내는 캡 부착 용기의 도립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7은 지수 패킹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내는 지수 패킹이 장착된 캡 유닛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지수 패킹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나타내는 지수 패킹이 장착된 캡 유닛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로서, 예를 들면 도 1~도 6에 나타내는 캡 유닛(1)을 구비한 캡 부착 용기(100)에 대해 설명한다.
또, 도 1은, 캡 유닛(1)을 구비한 캡 부착 용기(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캡 유닛(1)의 구성을 하방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캡 유닛(1)의 구성을 나타내는 하면도이다. 도 4는, 캡 유닛(1)의 구성을 상방측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캡 유닛(1)의 구성을 하방측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캡 부착 용기(100)의 도립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캡 부착 용기(10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1)과, 이 캡 유닛(1)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용기 본체(2)를 구비하고 있다. 캡 부착 용기(100)는, 진공 단열 구조를 가지는 용기 본체(2)에 의해서, 이 용기 본체(2)에 수용된 음료(액체)를 보온 또는 보냉하는 것이 가능한 음료용 용기이다.
구체적으로, 이 용기 본체(2)는,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등으로 이루어지는 저면을 가지는 통 모양의 외부 용기(3) 및 내부 용기(4)를 가지고, 외부 용기(3)의 내측에 내부 용기(4)를 수용한 상태로 서로의 입가부를 접합한 이중 구조의 용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 외부 용기(3)와 내부 용기(4)와의 사이에는, 진공 단열층(5)이 마련되어 있다. 진공 단열층(5)은, 예를 들면, 고진공으로 감압(減壓)(진공 퍼지)된 챔버 내에서, 외부 용기(3)의 저면 중앙부에 마련된 탈기(脫氣) 구멍을 막는 것에 의해서 형성할 수 있다.
용기 본체(2)는, 대략 원형 모양의 저면부(2a)와, 저면부(2a)의 외주(外周)로부터 대략 원통 모양으로 기립한 몸통부(2b)와, 몸통부(2b)의 상부측에서 축경(縮徑, 지름이 축소)된 대략 원통 모양의 구경부(2c)를 가지고 있다. 또, 구경부(2c)의 상단부는, 용기 본체(2)의 상부 개구부(2d)로서, 원형 모양으로 개구되어 있다.
구경부(2c)의 내주면은, 몸통부(2b)의 내주면 보다도 축경되어 있다. 또, 구경부(2c)의 내주면에는, 제1 암 나사부(6)가 마련되어 있다. 제1 암 나사부(6)는, 구경부(2c)의 상단측으로부터 하방을 향해서 나선 모양으로 돌출한 나사산으로 구성되어 있다. 추가로, 제1 암 나사부(6)의 하방에는, 링 모양의 장출부(張出部)(7)가 용기 본체(2)의 내주면으로부터 전체 둘레에 걸쳐서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캡 부착 용기(100)는, 전체로서 대략 원통 모양의 외관 형상을 가지고 있지만, 캡 부착 용기(100)의 외관 형상에 대해서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이즈나 디자인 등에 맞추어 적절히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용기 본체(2)의 외주면에는, 도장이나 인쇄 등이 실시되어 있어도 괜찮다.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1)은, 도 1~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2)의 상부 개구부(2d)를 폐색하는 마개체를 구성하는 것이며, 캡 본체(8)와, 이 캡 본체(8)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덮개체(9)를 구비하고 있다.
캡 본체(8)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PP) 등의 내열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통 모양의 외통 부재(10) 및 내통 부재(11)를 가지고 있다. 또, 캡 본체(8)는, 외통 부재(10)와 내통 부재(11)가 일체로 형성된 구성이라도 좋다.
캡 본체(8)에서는, 외통 부재(10)의 내주면에 마련된 걸림 볼록부(10a)가 내통 부재(11)의 외주면에 마련된 걸림 오목부(11a)에 걸리는 것에 의해서, 외통 부재(10)를 관통한 내통 부재(11)가 외통 부재(10)에 일체로 장착되어 있다. 또, 외통 부재(10)에 대해서는, 상술한 PP 외에도, 예를 들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틸렌(ABS)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내통 부재(11)(캡 본체(8))의 내측에는, 마시는 입구 또는 따르는 입구가 되는 통액 구멍(12)이 마련되어 있다. 통액 구멍(12)은, 내통 부재(11)(캡 본체(8))의 상단으로부터 하방을 향해서 점차 축경된 테이퍼 구멍부(12a)와, 테이퍼 구멍부(12a)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을 향해서 동일 지름으로 된 제1 스트레이트 구멍부(12b)와, 제1 스트레이트 구멍부(12b)의 하단에 제1 스트레이트 구멍부(12b) 보다도 축경된 단차부(12c)와, 단차부(12c)로부터 하방을 향해서 동일 지름으로 된 제2 스트레이트 구멍부(12d)를 가지고 있다.
내통 부재(11)의 외통 부재(10)를 낀 하방측의 외주면에는, 제1 수 나사부(13)가 마련되어 있다. 제1 수 나사부(13)는, 내통 부재(11)의 하단측으로부터 상방을 향해서 나선 모양으로 돌출한 나사산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캡 본체(8)는, 제1 암 나사부(6)와 제1 수 나사부(13)를 구성하는 나사산끼리의 나사 결합에 의해서, 용기 본체(2)의 구경부(2c)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내통 부재(11)(캡 본체(8))의 하단측의 외주부에는, 지수 패킹(14)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지수 패킹(14)은, 용기 본체(2)의 내측과 캡 본체(8)와의 사이를 밀폐하는 링 모양의 씰 부재이며,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 등의 내열성을 가지는 고무나 엘라스토머 등의 탄성 부재로 이루어진다.
내통 부재(11)의 하단측의 외주부에는, 플랜지부(11b)가 확경(擴徑, 지름이 확대) 방향으로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한편, 지수 패킹(14)의 내주면에는, 링 모양의 감합 오목부(14a)가 전체 둘레에 걸쳐서 마련되어 있다. 지수 패킹(14)은, 이 감합 오목부(14a)에 플랜지부(11b)가 감합된 상태로, 내통 부재(11)의 하단측의 외주부에 전체 둘레에 걸쳐서 끼워 장착되어 있다.
또, 지수 패킹(14)의 외주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나열되는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탄성 플랜지부(14b)가 확경 방향으로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지수 패킹(14)은, 용기 본체(2)의 구경부(2c)에 캡 본체(8)가 장착되었을 때에, 탄성 플랜지부(14b)가 탄성 변형하면서, 용기 본체(2)의 장출부(7)에 전체 둘레에 걸쳐서 밀착한 상태가 된다. 이것에 의해, 장출부(7)(용기 본체(2)의 내측)와 내통 부재(11)(캡 본체(8))와의 사이를 밀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지수 패킹(14)은, 하측의 탄성 플랜지부(14b)가 장출부(7)의 정상(頂上)측에 접촉하고, 상측의 탄성 플랜지부(14b)가 장출부(7)의 입구측에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장출부(7)(용기 본체(2)의 내측)와 내통 부재(11)(캡 본체(8))와의 사이의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지수 패킹(14)은, 그 자체를 탄성 변형시키는(잡아당겨 늘리는) 것에 의해서, 내통 부재(11)(캡 본체(8))의 하단측의 외주부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지수 패킹(14)과 캡 본체(8)를 각각 따로따로 세정할 수 있어, 지수 패킹(14)과 캡 본체(8)와의 사이를 위생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지수 패킹(14)에 대해서는, 상술한 형상의 것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탄성 플랜지부(14b)의 수에 대해서는, 상술한 2개에 한정하지 않고, 1개 또는 3개 이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지수 패킹(14)은, 상술한 탄성 플랜지부(14b)가 마련된 구성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형상 등에 대해 적절히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외통 부재(10)(캡 본체(8))의 외주면은, 용기 본체(2)의 몸통부(2b)와 면일(面一)이 되도록 대략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내통 부재(11)(캡 본체(8))의 내주면에는, 제2 암 나사부(15)가 마련되어 있다. 제2 암 나사부(15)는, 내통 부재(11)의 제2 스트레이트 구멍부(12d)를 형성하는 위치로부터 돌출된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4개)의 나사산 돌기로 구성되어 있다. 또, 이들 복수의 나사산 돌기의 사이에는, 내통 부재(11)(캡 본체(8))의 내측에 잔류한 음료(액체)를 용기 본체(2)측으로 되돌리기 위한 복수의 틈새(15a)가 마련되어 있다.
내통 부재(11)의 외통 부재(10)를 낀 상방측은, 테이퍼 구멍부(12a)의 형상에 맞춰서, 상단을 향해서 점차 확경된 광구부(廣口部)(16)를 형성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통액 구멍(12)으로부터 유출된 음료(액체)를 마시기 쉽거나 따르기 쉽게 할 수 있다.
덮개체(9)는, 통액 구멍(12)을 개폐하는 것이며, 예를 들면 PP 등의 내열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외부 덮개(17) 및 중간 마개(18)를 가지고 있다.
외부 덮개(17)는, 캡 본체(8)의 외측을 덮는 부분이며, 외통 부재(10)(캡 본체(8))의 외주면과 면일이 되도록 대략 원통 모양으로 형성된 둘레벽부(17a)와, 둘레벽부(17a)의 상부를 덮는 천벽부(天壁部)(17b)를 가지고 있다. 중간 마개(18)는, 캡 본체(8)의 내측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서 통액 구멍(12)을 폐색하는 부분이며, 대략 원형 모양의 저벽부(18a)와, 저벽부(18a)의 주위로부터 대략 원통 모양으로 일어서는 둘레벽부(18b)를 가지고 있다.
중간 마개(18)는, 외부 덮개(17)의 내측 중앙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용착 등에 의해 둘레벽부(18b)가 천벽부(17b)의 하면 중앙부에 일체로 장착되어 있다. 또, 중간 마개(18)의 내측에는, 단열재(19)가 배치되어 있다. 또, 중간 마개(18)의 내측에는, 단열재(19) 대신에, 단열층이 되는 공기(공간)가 마련된 구성으로 해도 좋다.
둘레벽부(18b)(중간 마개(18))의 외주면에는, 제2 수 나사부(20)가 마련되어 있다. 제2 수 나사부(20)는, 둘레벽부(18b)의 하단으로부터 상방을 향해서 나선 모양으로 절결된 한 쌍의 나사 홈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중간 마개(18)(덮개체(9))는, 제2 수 나사부(20)를 구성하는 나사 홈에 제2 암 나사부(15)를 구성하는 나사산 돌기가 각각 나사 결합되는 것에 의해서, 내통 부재(11)(캡 본체(8))의 내주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 제2 수 나사부(20)는, 서로 상호 보상 형상을 이루는 2조(條) 나사로 이루어 진다. 2조 나사를 이용했을 경우, 캡 본체(8)에 대해서 덮개체(9)를 적은 회전 조작(본 실시 형태에서는 약 160°)으로 착탈하는 것이 가능하다.
중간 마개(18)의 외주부에는, 덮개 패킹(21)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덮개 패킹(21)은, 통액 구멍(12)(캡 본체(8)의 내측)과 중간 마개(18)와의 사이를 밀폐하는 링 모양의 씰 부재이며, 상기 지수 패킹(14)과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 등의 내열성을 가지는 고무나 엘라스토머 등의 탄성 부재로 이루어진다.
한편, 둘레벽부(18b)(중간 마개(18))의 외주면에는, 링 모양의 홈부(22)가 전체 둘레에 걸쳐서 마련되어 있다. 덮개 패킹(21)은, 이 홈부(22)에 전체 둘레에 걸쳐서 끼워 장착되어 있다.
덮개 패킹(21)의 외주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나열되는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탄성 플랜지부(21a)가 확경 방향으로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덮개 패킹(21)은, 캡 본체(8)에 덮개체(9)가 장착되었을 때에, 탄성 플랜지부(21a)가 탄성 변형하면서, 통액 구멍(12)에 전체 둘레에 걸쳐서 밀착한 상태가 된다. 이것에 의해, 통액 구멍(12)(캡 본체(8)의 내측)과 중간 마개(18)와의 사이를 밀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덮개 패킹(21)은, 중간 마개(18)가 통액 구멍(12)을 폐색했을 경우에, 테이퍼 구멍부(12a)와 제1 스트레이트 구멍부(12b)와의 경계 근방의 제1 스트레이트 구멍부(12b)에, 탄성 플랜지부(21a)가 밀착한 상태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캡 본체(8)로부터 덮개체(9)를 분리할 때에, 탄성 플랜지부(21a)가 제1 스트레이트 구멍부(12b)에 밀착한 상태로부터, 테이퍼 구멍부(12a)측에 조금 이동하는 것만으로, 통액 구멍(12)(캡 본체(8)의 내측)과 중간 마개(18)와의 사이를 개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덮개 패킹(21)은, 그 자체를 탄성 변형 시키는(잡아당겨 늘리는) 것에 의해서, 홈부(22)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덮개 패킹(21)과 덮개체(9)를 각각 따로따로 세정할 수 있어, 덮개 패킹(21)과 덮개체(9)와의 사이를 위생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덮개 패킹(21)에 대해서는, 상술한 형상의 것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탄성 플랜지부(21a)의 수에 대해서는, 상술한 2개에 한정하지 않고, 1개 또는 3개 이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덮개 패킹(21)은, 상술한 탄성 플랜지부(21a)가 마련된 구성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형상 등에 대해 적절히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런데,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1)에서, 지수 패킹(14)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간 마개(18)와 캡 본체(8)와의 사이의 틈새(S)를 폐색하는 하면측 돌출부(14c)를 가지고 있다.
하면측 돌출부(14c)는, 캡 본체(8)의 하단부 보다도 축경 방향으로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하면측 돌출부(14c)는, 중간 마개(18)가 통액 구멍(12)을 폐색한 상태에서, 중간 마개(18)의 저벽부(18a)의 외주 부근과 전체 둘레에 걸쳐서 접촉하고 있다.
또, 하면측 돌출부(14c)와 저벽부(18a)의 외주부 부근과의 접촉에 의한 지수성(止水性)은, 완전하게 밀폐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낙하시에, 중간 마개(18)와, 캡 본체(8)와, 덮개 패킹(21)과, 하면측 돌출부(14c)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음료가 충만하지 않는 정도의 지수성을 가지고 있으면 좋다.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1)에서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캡 부착 용기(100)의 상하를 역전시켜 용기 본체(2)를 도립시켰을 경우에서도, 중간 마개(18)와 캡 본체(8)와의 사이의 틈새(S)를 하면측 돌출부(14c)가 폐색함으로써, 용기 본체(2)에 수용된 음료(액체)가 이 틈새(S)로부터 틈새(15a)를 지나, 덮개 패킹(21)을 넘어, 통액 구멍(12)의 내측으로 누출되는 것을 막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1)에서, 홈부(22)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 패킹(21)의 상면과 대향하는 상벽면(22a)과, 덮개 패킹(21)의 하면과 대향하는 하벽면(22b)과, 상벽면(22a)과 하벽면(22b)과의 사이에서 덮개 패킹(21)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내벽면(22c)을 가지고 있다.
상벽면(22a)은, 하벽면(22b) 보다도 확경 방향으로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이 상벽면(22a)의 외주 단부는, 탄성 플랜지부(21a)의 기단부 보다도 외주측, 또한 탄성 플랜지부(21a)의 선단부 보다도 내주측에 위치하고 있다. 한편, 하벽면(22b)의 외주 단부는, 탄성 플랜지부(21a)의 기단부 보다도 내주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덮개 패킹(21)은, 홈부(22)에 끼워 장착된 상태에서, 이 홈부(22)의 내측으로부터 상방측으로 감아올리기 어렵게 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1)에서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캡 부착 용기(100)가 도립한 상태로 낙하했을 경우에서도, 지면 등에 충돌했을 때의 충격에 의해 용기 본체(2)에 수용된 음료가 덮개 패킹(21)을 압압하여, 덮개 패킹(21)이 홈부(22)로부터 어긋나 버리는 것을 막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1)에서는, 상술한 중간 마개(18)와 캡 본체(8)와의 사이의 틈새(S)를 하면측 돌출부(14c)가 폐색함으로써, 용기 본체(2)에 수용된 음료가 덮개 패킹(21)을 압압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하고,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1)에서는, 통액 구멍(12)의 밀폐성을 양호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캡 부착 용기(100)에서는, 이러한 캡 유닛(1)을 구비하는 것에 의해서, 사용 편리성의 한층 더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의 것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캡 유닛(1)은,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같은 다른 지수 패킹(14A)이 장착된 구성이라도 좋다. 또, 도 7은, 지수 패킹(14A)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지수 패킹(14A)이 장착된 캡 유닛(1)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지수 패킹(14A)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면측 돌출부(14c)의 선단측이 상방을 향해 굴곡한 상향 굴곡부(14d)를 가지고 있다.
이 지수 패킹(14A)이 장착된 캡 유닛(1)에서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간 마개(18)가 통액 구멍(12)을 폐색한 상태에서, 상향 굴곡부(14d)가 탄성 변형하면서, 하면측 돌출부(14c)가 중간 마개(18)의 저벽부(18a)의 외주 부근과 전체 둘레에 걸쳐서 접촉하고 있다.
이 구성의 경우, 중간 마개(18)의 저벽부(18a)의 외주 부근에 대한 하면측 돌출부(14c)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캡 유닛(1)은,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같은 다른 지수 패킹(14B)이 장착된 구성이라도 좋다. 또, 도 9는, 지수 패킹(14B)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지수 패킹(14B)이 장착된 캡 유닛(1)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지수 패킹(14B)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면측 돌출부(14c)의 선단측이 하방을 향해 굴곡한 하향 굴곡부(14e)를 가지고 있다.
이 지수 패킹(14B)이 장착된 캡 유닛(1)에서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간 마개(18)가 통액 구멍(12)을 폐색한 상태에서, 하면측 돌출부(14c)가 중간 마개(18)의 저벽부(18a)의 외주 부근과 전체 둘레에 걸쳐서 접촉함과 아울러, 하향 굴곡부(14e)가 중간 마개(18)의 하면으로부터 이간하고 있다.
이 구성의 경우, 지수 패킹(14B)의 하향 굴곡부(14e)가 잡기 쉽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중간 마개(18)(덮개체(9))로부터 지수 패킹(14)을 쉽게 분리하기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 지수 패킹(14, 14A, 14B)에 대해서는, 중간 마개(18)가 통액 구멍(12)을 폐색한 상태에서, 하면측 돌출부(14c)를 중간 마개(18)의 저벽부(18a)의 외주 부근으로부터 이간한 상태로 하여, 용기 본체(2)에 수용된 음료에 의해 압압되었을 경우에, 하면측 돌출부(14c)가 탄성 변형하면서, 중간 마개(18)의 하면측의 외주부와 접촉한 상태가 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진공 단열 구조를 가지는 용기 본체(2)에 의해서 보온·보냉 기능을 갖게 한 캡 부착 용기(100)를 예시하고 있지만, 진공 단열 구조를 가지지 않는 용기 본체를 구비한 캡 부착 용기에 대해서,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100 - 캡 부착 용기 1 - 캡 유닛 
2 - 용기 본체 6 - 제1 암 나사부
7 - 장출부  8 - 캡 본체 
9 - 덮개체  10 - 외통 부재 
11 - 내통 부재  12 - 통액 구멍 
13 - 제1 수 나사부  14, 14A, 14B - 지수 패킹
14c - 하면측 돌출부  14d - 상향 굴곡부 
14e - 하향 굴곡부  15 - 제2 암 나사부 
17 - 외부 덮개  18 - 중간 마개 
20 - 제2 수 나사부  21 - 덮개 패킹
21a - 탄성 플랜지부  22 - 홈부
22a - 상벽면  22b - 하벽면 
S - 틈새

Claims (12)

  1. 상부가 개구된 용기 본체의 구경부(口頸部)에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용기 본체의 내측과 연통되는 통액(通液) 구멍이 마련된 캡 본체와,
    상기 캡 본체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캡 본체의 외측을 덮는 외부 덮개와, 상기 캡 본체의 내측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서 상기 통액 구멍을 폐색하는 중간 마개가 마련된 덮개체와,
    상기 캡 본체의 하단측의 외주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 본체의 내측과 상기 캡 본체와의 사이를 밀폐하는 지수(止水) 패킹과,
    상기 중간 마개의 외주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캡 본체의 내측과 상기 중간 마개와의 사이를 밀폐하는 덮개 패킹을 구비하고,
    상기 지수 패킹은, 상기 중간 마개와 상기 캡 본체와의 사이의 틈새를 폐색하는 하면측 돌출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면측 돌출부는, 상기 캡 본체의 하단부 보다도 축경(縮徑) 방향으로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중간 마개가 상기 통액 구멍을 폐색한 상태에서, 상기 하면측 돌출부가 상기 중간 마개의 하면을 구성하는 저벽부와 전체 둘레에 걸쳐서 접촉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면측 돌출부는, 그 선단측이 상방을 향해 굴곡한 굴곡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면측 돌출부는, 그 선단측이 하방을 향해 굴곡한 굴곡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6. 상부가 개구된 용기 본체의 구경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용기 본체의 내측과 연통되는 통액 구멍이 마련된 캡 본체와,
    상기 캡 본체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캡 본체의 외측을 덮는 외부 덮개와, 상기 캡 본체의 내측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서 상기 통액 구멍을 폐색하는 중간 마개가 마련된 덮개체와,
    상기 중간 마개의 외주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캡 본체의 내측과 상기 중간 마개와의 사이를 밀폐하는 덮개 패킹을 구비하고,
    상기 덮개 패킹은, 상기 중간 마개의 외주부에 마련된 링 모양의 홈부에 감합(嵌合)된 상태로 장착되어 있고,
    상기 홈부는, 상기 덮개 패킹의 상면과 대향하는 상벽면과, 상기 덮개 패킹의 하면과 대향하는 하벽면과, 상기 상벽면과 상기 하벽면과의 사이에서 상기 덮개 패킹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내벽면을 가지고,
    상기 상벽면은, 상기 하벽면 보다도 확경(擴徑) 방향으로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덮개 패킹은, 그 외주면으로부터 확경 방향을 향해 돌출된 탄성 플랜지부를 가지고,
    상기 캡 본체의 내측에 상기 탄성 플랜지부가 밀착한 상태가 되는 것에 의해서, 상기 캡 본체의 내측과 상기 중간 마개와의 사이를 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상벽면의 외주 단부는, 상기 탄성 플랜지부의 기단부 보다도 외주측, 또한 상기 탄성 플랜지부의 선단부 보다도 내주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하벽면의 외주 단부는, 상기 탄성 플랜지부의 기단부 보다도 내주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캡 본체의 내주부에 마련된 암 나사부와, 상기 중간 마개의 외주부에 마련된 수 나사부와의 나사 결합에 의해서, 상기 캡 본체에 대해서 상기 덮개체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캡 유닛과,
    상기 캡 유닛이 장착된 용기 본체를 구비하는 캡 부착 용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는, 진공 단열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부착 용기.
KR1020210066675A 2020-05-26 2021-05-25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 KR2021014623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091629 2020-05-26
JP2020091629A JP2021187450A (ja) 2020-05-26 2020-05-26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6234A true KR20210146234A (ko) 2021-12-03

Family

ID=78672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6675A KR20210146234A (ko) 2020-05-26 2021-05-25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2) JP2021187450A (ko)
KR (1) KR20210146234A (ko)
CN (1) CN113716203A (ko)
TW (1) TWI80486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3146517A (ja) * 2022-03-29 2023-10-12 サーモス株式会社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キャップ付き容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62544A (ja) 2013-02-27 2014-09-08 Thermos Kk 飲料用容器の栓体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40313B2 (ja) * 2011-03-30 2013-07-17 サーモス株式会社 飲料用容器の栓体
JP5646009B1 (ja) * 2013-07-05 2014-12-24 サーモス株式会社 飲料容器の栓体
US9282838B2 (en) * 2014-07-01 2016-03-15 Pacific Market International, Llc Lockable beverage container closure
SE542073C2 (en) * 2015-11-10 2020-02-18 Trelleborg Sealing Solutions Kalmar Ab Sealing cap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aling cap
US10336513B2 (en) * 2017-02-24 2019-07-02 Ignite Usa, Llc Lid having a pre-venting lid lever and a seal arm assembly
CN108394633A (zh) * 2018-05-09 2018-08-14 山东景泰瓶盖有限公司 顶开式防伪瓶盖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62544A (ja) 2013-02-27 2014-09-08 Thermos Kk 飲料用容器の栓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804869B (zh) 2023-06-11
JP2021187450A (ja) 2021-12-13
TW202144245A (zh) 2021-12-01
CN113716203A (zh) 2021-11-30
JP2024015083A (ja) 2024-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050775A1 (en) Mechanically sealed container cap
CN103922022B (zh) 带提升阀的水瓶
JP4470224B2 (ja) 飲料用容器の中栓
JP2014210136A (ja) 飲料用容器の栓体
JP6039984B2 (ja) 吐出容器
TWI628116B (zh) 飲料用容器及其瓶蓋結構
TWI671240B (zh) 瓶蓋結構及含瓶蓋容器
JP6893424B2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MX2007010639A (es) Cerradura de plastico de multiples partes.
KR20210146234A (ko)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
JP6100059B2 (ja) 注出容器
JP2007320617A (ja) 飲料容器の栓体
JP4889098B2 (ja) 液体収納容器
TW202122319A (zh) 具拉環的複合密封蓋
JP5851181B2 (ja) 弁体付きチューブ容器
JP2023058102A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JP7300964B2 (ja) キャップ
CN210130678U (zh) 瓶杯盖结构
KR20170065742A (ko) 언더컷 체결구조를 갖는 원터치 캡
JPS6228174Y2 (ko)
JP2023041197A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KR20220128251A (ko)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
KR200166531Y1 (ko) 밀폐가 우수한 용기마개
JP2017056952A (ja) 飲料用容器
KR20210111175A (ko)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