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8251A -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 - Google Patents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8251A
KR20220128251A KR1020210164266A KR20210164266A KR20220128251A KR 20220128251 A KR20220128251 A KR 20220128251A KR 1020210164266 A KR1020210164266 A KR 1020210164266A KR 20210164266 A KR20210164266 A KR 20210164266A KR 20220128251 A KR20220128251 A KR 202201282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ody
cap
container
cover
cap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4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케시 이타가키
신 마츠야마
Original Assignee
서어모스 케이.케이.
써모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2111079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22140221A/ja
Application filed by 서어모스 케이.케이., 써모스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어모스 케이.케이.
Publication of KR20220128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82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65D51/20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 B65D51/22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having means for piercing, cutting, or tearing the inner clos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47J41/02Vacuum-jacket vessels, e.g. vacuum 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0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8Materials, e.g. different materials, enclosed in separate compartments formed during filling of a singl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16Rigid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the other
    • B65D81/3222Rigid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the other with additional means facilitating admix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in the form of a barrel or vat
    • B65D81/380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in the form of a barrel or vat formed with double walls, i.e. hol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 B65D2501/24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moulded compartments or partitions
    • B65D2501/24006Details relating to bottle crates
    • B65D2501/24012Materials
    • B65D2501/24044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Pens And Brushe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과제] 용기 본체 내의 압력이 상승하는 것을 막으면서, 용이하고 안전하게 마개 오픈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캡 유닛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상부가 개구된 용기 본체(2A)에 대해서 장착되는 캡 유닛(1A)으로서, 용기 본체(2A)의 상부 개구부(2d)를 덮는 외부 덮개(8)와, 용기 본체(2A)의 상부 개구부(2d)로부터 용기 본체(2A)의 내측으로 끼워넣어지는 내부 덮개(9)와, 내부 덮개(9)의 외주부에 위치하여, 용기 본체(2A)의 내측과 내부 덮개(9)와의 사이를 밀폐하는 지수 패킹(10)을 구비하고, 지수 패킹(10)은, 용기 본체(2A)의 내측으로부터 전체 둘레에 걸쳐서 돌출된 장출부(7)에 맞닿는 링 모양의 탄성 씰 부재로 이루어지고, 내부 덮개(9)의 외주부에 마련된 링 모양의 홈부(15)에 감합된 상태에서, 내부 덮개(9)에 장착되어 있고, 내부 덮개(9)의 외주부에는, 용기 본체(2A) 내가 소정의 압력까지 상승했을 때에, 용기 본체(2A) 내의 압력을 개방하는 압력 개방부(20)가 마련되어 있다.

Description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CAP UNIT AND CONTAINER WITH A CAP}
본 발명은,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상부가 개구된 용기 본체의 구경부(口頸部)에 장착됨으로써, 용기 본체의 상부 개구부를 폐색(閉塞)하는 캡 유닛(마개체)을 구비한 캡 부착 용기가 있다. 또한, 진공 단열 구조를 가지는 용기 본체에 의해서 보온·보냉 기능을 갖게 한 캡 부착 용기가 있다. 예를 들면, 이와 같은 캡 부착 용기에서는, 내부 덮개 및 외부 덮개를 이용하여 용기 본체의 상부 개구부를 밀폐하는 구조가 채용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2를 참조.).
구체적으로, 하기 특허문헌 1, 2에 기재된 캡 부착 용기는, 용기 본체의 상부 개구부로부터 용기 본체의 내측으로 끼워넣어진 상태에서 개구부를 폐색하는 내부 덮개와, 내부 덮개에 장착된 상태에서 용기 본체와 내부 덮개와의 사이를 밀폐하는 지수(止水, 물이 새는 것을 막음) 패킹과, 용기 본체의 상부 개구부를 외측으로부터 덮은 상태에서 용기 본체에 나사 결합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외부 덮개를 구비하고 있다. 외부 덮개는, 용기 본체에 장착되었을 때에 내부 덮개와 맞닿는 것에 의해서, 내부 덮개의 상방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고 있다.
일본 특허 제5494717호 공보 일본 특허 제5841220호 공보
그런데, 상술한 종래의 캡 부착 용기에서는, 예를 들면 용기 본체의 내부에 고온의 내용물을 넣었을 때나, 용기 본체 내의 내용물이 부패하여 가스가 발생했을 때에, 내부 덮개 및 외부 덮개에 의해 밀폐된 용기 본체 내의 압력이 상승하는(양압이 되는) 것에 수반하여, 내부 덮개가 외부 덮개로 밀어붙여진 상태가 된다.
이때, 용기 본체와 외부 덮개와의 사이에서 나사 결합에 의한 체결력이 증가함으로써, 외부 덮개를 떼어내는 방향(마개 오픈 방향)으로 돌리기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외부 덮개를 떼어낼(마개 오픈할) 때에, 용기 본체 내의 압력이 기세 좋게 개방됨으로써, 큰 소리가 울리거나, 내부 덮개가 상방측으로 튀어나오거나 하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사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용기 본체 내의 압력이 상승하는 것을 막으면서, 용이하고 안전하게 마개 오픈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캡 유닛, 및, 그와 같은 캡 유닛을 구비함으로써, 한층 더 사용 편의성의 향상을 가능하게 한 캡 부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이하의 수단을 제공한다.
〔1〕 상부가 개구된 용기 본체에 대해서 장착되는 캡 유닛으로서,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 개구부를 덮는 외부 덮개와,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 개구부로부터 상기 용기 본체의 내측으로 끼워넣어지는 내부 덮개와,
상기 내부 덮개의 외주부에 위치하여, 상기 용기 본체의 내측과 상기 내부 덮개와의 사이를 밀폐하는 지수 패킹을 구비하고,
상기 지수 패킹은, 상기 용기 본체의 내측으로부터 전체 둘레에 걸쳐서 돌출된 장출부(張出部)에 맞닿는 링 모양의 탄성 씰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 덮개의 외주부에 마련된 링 모양의 홈부에 감합(嵌合)된 상태에서, 상기 내부 덮개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내부 덮개의 외주부에는, 상기 용기 본체 내(內)가 소정의 압력까지 상승했을 때에, 상기 용기 본체 내의 압력을 개방하는 압력 개방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2〕 상부가 개구된 용기 본체에 대해서 장착되는 캡 유닛으로서,
상기 용기 본체의 외측을 덮는 외부 덮개와,
상기 외부 덮개의 내측의 중앙부에 위치하여,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 개구부로부터 상기 용기 본체의 내측으로 끼워넣어지는 중간 마개와,
상기 중간 마개의 외주부에 위치하여, 상기 용기 본체의 내측과 상기 중간 마개와의 사이를 밀폐하는 지수 패킹을 구비하고,
상기 지수 패킹은, 상기 용기 본체의 내측으로부터 전체 둘레에 걸쳐서 돌출된 장출부에 맞닿는 링 모양의 탄성 씰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간 마개의 외주부에 마련된 링 모양의 홈부에 감합된 상태에서, 상기 중간 마개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중간 마개의 외주부에는, 상기 용기 본체 내가 소정의 압력까지 상승했을 때에, 상기 용기 본체 내의 압력을 개방하는 압력 개방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3〕 상부가 개구된 용기 본체에 대해서 장착되는 캡 유닛으로서,
상기 용기 본체의 구경부에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용기 본체의 내측과 연통되는 통액(通液) 구멍이 마련된 캡 본체와,
상기 캡 본체에 대해서 나사 결합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통액 구멍을 개폐하는 덮개체를 구비하고,
상기 캡 본체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 개구부로부터 상기 용기 본체의 내측으로 끼워넣어지는 내통(內筒)부와,
상기 내통부의 외주부에 위치하여, 상기 용기 본체의 내측과 상기 내통부와의 사이를 밀폐하는 지수 패킹을 가지며,
상기 지수 패킹은, 상기 용기 본체의 내측으로부터 전체 둘레에 걸쳐서 돌출된 장출부에 맞닿는 링 모양의 탄성 씰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통부의 외주부에 마련된 링 모양의 홈부에 감합된 상태에서, 상기 내통부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덮개체는, 상기 캡 본체의 외측을 덮는 외부 덮개와,
상기 외부 덮개의 내측의 중앙부에 위치하여, 상기 캡 본체의 내측으로 끼워넣어진 상태에서 상기 통액 구멍을 폐색하는 중간 마개와,
상기 중간 마개의 외주부에 위치하여, 상기 캡 본체의 내측과 상기 중간 마개와의 사이를 밀폐하는 덮개 패킹을 가지며,
상기 덮개 패킹은, 상기 캡 본체의 내주면과 전체 둘레에 걸쳐서 맞닿는 링 모양의 탄성 씰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간 마개의 외주부에 마련된 링 모양의 홈부에 감합된 상태에서, 상기 중간 마개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내통부와 상기 중간 마개 중 적어도 한쪽의 외주부에는, 상기 용기 본체 내가 소정의 압력까지 상승했을 때에, 상기 용기 본체 내의 압력을 개방하는 압력 개방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4〕 상기 압력 개방부는, 상기 홈부를 매개로 하여 상기 용기 본체의 내측과 연통되는 오목부 또는 절결부를 가지며,
상기 홈부에 상기 탄성 씰 부재가 감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탄성 씰 부재가 상기 홈부와 상기 오목부 또는 절결부와의 사이를 차단하고 있고,
상기 용기 본체 내가 소정의 압력까지 상승했을 때에, 상기 탄성 씰 부재가 탄성 변형하여, 상기 홈부와 상기 오목부 또는 절결부와의 사이가 연통된 상태가 됨으로써, 상기 용기 본체 내의 압력이 상기 오목부 또는 절결부로부터 외부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캡 유닛.
〔5〕 상기 오목부 또는 절결부는, 적어도 상기 홈부를 형성하는 상측 측면의 일부를 오목하게 하거나 또는 절결(notching)하도록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4〕에 기재된 캡 유닛.
〔6〕 상기 오목부 또는 절결부는, 상기 홈부의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나란히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4〕또는〔5〕에 기재된 캡 유닛.
〔7〕 상기 〔1〕~〔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캡 유닛과, 상기 캡 유닛이 장착된 용기 본체를 구비하는 캡 부착 용기.
〔8〕 상기 용기 본체는, 진공 단열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7〕에 기재된 캡 부착 용기.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용기 본체 내의 압력이 상승하는 것을 막으면서, 용이하고 안전하게 마개 오픈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캡 유닛, 및, 그와 같은 캡 유닛을 구비함으로써, 한층 더 사용 편의성의 향상을 가능하게 한 캡 부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캡 유닛을 구비한 캡 부착 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캡 유닛 및 용기 본체를 하방측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캡 유닛이 구비하는 내부 덮개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캡 유닛을 구비한 캡 부착 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내는 캡 유닛 및 용기 본체를 하방측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나타내는 캡 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캡 유닛을 구비한 캡 부착 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내는 캡 유닛 및 용기 본체를 하방측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에 나타내는 캡 유닛이 구비하는 캡 본체 및 지수 패킹을 하방측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나타내는 캡 본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7에 나타내는 캡 유닛이 구비하는 덮개체 및 덮개 패킹을 하방측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나타내는 덮개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로서, 예를 들면 도 1~도 3에 나타내는 캡 유닛(1A)을 구비한 캡 부착 용기(100A)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 1은, 캡 유닛(1A)을 구비한 캡 부착 용기(100A)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캡 유닛(1A) 및 용기 본체(2A)를 하방측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캡 유닛(1A)이 구비하는 내부 덮개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캡 부착 용기(100A)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1A)과, 이 캡 유닛(1A)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용기 본체(2A)를 구비하고 있다.
캡 부착 용기(100A)는, 진공 단열 구조를 가지는 용기 본체(2A)에 의해서, 용기 본체(2A)에 수용된 음료물(내용물)을 보온하는 것이 가능한 수프 병(음료용 용기)이다.
구체적으로, 이 용기 본체(2A)는,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등으로 이루어지는 저면을 가지는 통 모양의 외부 용기(3) 및 내부 용기(4)를 가지며, 외부 용기(3)의 내측으로 내부 용기(4)를 수용한 상태에서 서로의 입가부를 접합한 이중 구조의 용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외부 용기(3)와 내부 용기(4)와의 사이에는, 진공 단열층(5)이 마련되어 있다. 진공 단열층(5)은, 예를 들면, 고진공으로 감압(진공 퍼지)된 챔버 내에서, 외부 용기(3)의 저면 중앙부에 마련된 탈기공을 막는 것에 의해서 형성할 수 있다.
용기 본체(2A)는, 대략 원형 모양의 저부(2a)와, 저부(2a)의 외주로부터 대략 원통 모양으로 기립한 몸통부(2b)와, 몸통부(2b)의 상부측에 있어서 축경(縮徑, 지름이 축소)된 대략 원통 모양의 구경부(2c)를 가지고 있다. 또한, 구경부(2c)의 상단부는, 용기 본체(2A)의 상부 개구부(2d)로서, 원형 모양으로 개구되어 있다.
또한, 구경부(2c)(내부 용기(4))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6)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암나사부(6)의 하방에는, 링 모양의 장출부(7)가 내부 용기(4)(용기 본체(2A))의 내주면으로부터 전체 둘레에 걸쳐서 돌출되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용기 본체(2A)에 대해서는, 전체적으로 대략 원통 모양의 외관 형상을 가지고 있지만, 용기 본체(2A)의 외관 형상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이즈나 디자인 등에 맞추어, 적절히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용기 본체(2A)의 외주면에는, 도장이나 인쇄 등이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1A)은,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2A)의 상부 개구부(2d)를 덮는 외부 덮개(8)와, 상부 개구부(2d)로부터 용기 본체(2A)의 내측으로 끼워넣어지는 내부 덮개(9)와, 내부 덮개(9)의 외주부에 위치하여, 용기 본체(2A)의 내측과 내부 덮개(9)와의 사이를 밀폐하는 지수 패킹(10)과, 외부 덮개(8)의 내측의 중앙부에 위치하여, 내부 덮개(9)의 내측으로 끼워넣어지는 중간 마개(11)와, 중간 마개(11)의 저면 중앙부에 위치하여, 내부 덮개(9)의 저면 중앙부에 마련된 통기 구멍(12)을 폐색하는 마개체(13)를 가지고 있다.
외부 덮개(8)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등의 내열성 수지로 이루어지며, 용기 본체(2A)의 몸통부(2b)의 외경에 맞추어 대략 원통 모양으로 형성된 둘레벽부(8a)와, 둘레벽부(8a)의 상부를 폐색하는 상벽부(8b)를 가지고 있다.
내부 덮개(9)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등의 내열성 수지로 이루어지며, 대략 원형 모양의 저벽부(9a)와, 저벽부(9a)의 외주로부터 대략 원통 모양으로 기립한 둘레벽부(9b)를 가지고 있다. 또한, 둘레벽부(9b)의 외주면의 상단측에는, 링 모양의 상측 플랜지부(9c)가 전체 둘레에 걸쳐서 돌출되어 마련되어 있다.
둘레벽부(9b)(내부 덮개(9))의 외주면에는, 상술한 용기 본체(2A)측의 암나사부(6)와 나사 결합되는 수나사부(14)가 마련되어 있다. 캡 유닛(1A)에서는, 이들 암나사부(6)와 수나사부(14)의 나사 결합에 의해서, 용기 본체(2A)에 대해서 내부 덮개(9)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암나사부(6)와 수나사부(14)는, 서로 상보형(相補形)을 이루는 2중 나사로 이루어진다. 2중 나사를 이용했을 경우, 용기 본체(2A)에 대해서 내부 덮개(9)를 적은 회전 조작(본 실시 형태에서는 약 180°)으로 착탈하는 것이 가능하다.
지수 패킹(10)은,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 등의 내열성을 가지는 고무나 엘라스토머 등의 링 모양의 탄성 씰 부재로 이루어진다. 지수 패킹(10)은, 내부 덮개(9)의 외주부에 마련된 링 모양의 홈부(15)에 감합된 상태에서, 내부 덮개(9)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한편, 지수 패킹(10)은, 그 자체를 탄성 변형시킴(잡아당겨 늘림)으로써, 내부 덮개(9)로부터 떼어내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내부 덮개(9)와 지수 패킹(10)을 각각 별개로 세정할 수 있어, 내부 덮개(9)와 지수 패킹(10)과의 사이를 위생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지수 패킹(10)의 외주부에는, 탄성 플랜지부(10a)가 마련되어 있다. 탄성 플랜지부(10a)는, 지수 패킹(10)의 외주면의 상단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만곡되면서 전체 둘레에 걸쳐서 돌출된 형상을 가지고 있다.
지수 패킹(10)은, 용기 본체(2A)의 내측으로 내부 덮개(9)가 끼워넣어졌을 때에, 탄성 플랜지부(10a)가 탄성 변형하면서 용기 본체(2A)의 장출부(7)와 맞닿는 것에 의해서, 이 장출부(7)에 전체 둘레에 걸쳐서 밀착된 상태가 된다. 이것에 의해, 용기 본체(2A)의 내측과 내부 덮개(9)와의 사이를 지수 패킹(10)에 의해 밀폐(지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중간 마개(11)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등의 내열성 수지로 이루어지며, 저면을 가지는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지고, 상벽부(8b)(외부 덮개(8))의 하면 중앙부에 용착 등에 의해 일체로 장착되어 있다. 중간 마개(11)의 내측에는, 단열층으로서, 예를 들면 발포 우레탄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단열재(16)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단열층으로서는, 상술한 단열재(16) 대신에, 공기(공극)여도 된다.
둘레벽부(9b)(내부 덮개(9))의 상부에는, 둘레벽부(9b)의 일부를 상하 방향으로 절결하여 형성된 탄성 클릭부(17)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중간 마개(11)의 외주면에는, 내부 덮개(9)를 끼워넣기 위한 끼움 홈(18)이 마련되어 있다. 캡 유닛(1A)에서는, 외부 덮개(8)에 내부 덮개(9)를 끼워넣을 때에, 탄성 클릭부(17)가 탄성 변형하면서 끼움 홈(18)에 감합함으로써, 중간 마개(11)에 대해서 내부 덮개(9)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내부 덮개(9)에는, 저벽부(9a)의 중앙 부분을 관통하는 원형 모양의 통기 구멍(12)이 마련되어 있다. 한편, 중간 마개(11)의 저면 중앙부에는, 이 통기 구멍(12)을 폐색하는 마개체(13)가 마련되어 있다.
마개체(13)는,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 등의 내열성을 가지는 고무나 엘라스토머 등의 탄성 부재로 이루어진다. 마개체(13)는, 그 중앙 부분을 돔 모양으로 팽출(膨出)시킨 돌기부(13a)와, 돌기부(13a)의 주위로부터 확경(擴徑, 지름이 확대) 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부(13b)와, 돌기부(13a)와는 반대측으로부터 원통 모양으로 돌출된 원통부(13c)와, 원통부(13c)의 외주면을 절결하는 링 모양의 홈부(13d)를 가지고 있다.
한편, 중간 마개(11)는, 그 저면 중앙부에 원통부(13c)가 감합되는 감합 오목부(11a)와, 감합 오목부(11a)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홈부(13d)에 감합되는 감합 볼록부(11b)를 가지고 있다. 이것에 의해, 마개체(13)는, 중간 마개(11)의 저면 중앙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캡 유닛(1A)에서는, 상술한 중간 마개(11)에 내부 덮개(9)가 나사 결합에 의해 장착되었을 때에, 마개체(13)의 돌기부(13a)가 탄성 변형하면서, 통기 구멍(12)의 주위와 맞닿는 것에 의해서, 통기 구멍(12)을 폐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캡 유닛(1A)에서는, 중간 마개(11)로부터 마개체(13)를 떼어내어, 중간 마개(11)와 마개체(13)를 별개로 세정할 수 있기 때문에, 이들 중간 마개(11)와 마개체(13)와의 사이를 위생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런데,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1A)에서는, 내부 덮개(9)의 외주부에, 용기 본체(2A) 내가 소정의 압력까지 상승했을 때에, 용기 본체(2A) 내의 압력을 개방하는 압력 개방부(20)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용기 본체(2A) 내의 압력이 상승하는(양압이 되는) 경우로서는, 예를 들면, 용기 본체(2A)의 내부에 고온의 내용물을 넣었을 때나, 용기 본체(2A) 내의 내용물이 부패하여 가스가 발생했을 때 등을 들 수 있다.
압력 개방부(20)는, 홈부(15)를 매개로 하여 용기 본체(2A)의 내측과 연통되는 오목부 또는 절결부(본 실시 형태에서는 절결부)(20a)를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이 절결부(20a)는, 내부 덮개(9)의 외주부 중, 적어도 홈부(15)를 형성하는 상측 측면의 일부를 절결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절결부(20a)를 배치하는 수에 대해서는, 하나여도 복수여도 된다. 절결부(20a)를 복수 배치하는 경우에는, 홈부(15)의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나란히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절결부(20a)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폭은, 너무 넓으면 누설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60°이하의 각도 범위에서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1A)에서는, 홈부(15)에 지수 패킹(10)이 감합된 상태에 있어서, 지수 패킹(10)이 홈부(15)와 절결부(20a)와의 사이를 차단하고 있다. 또한, 용기 본체(2A)의 내측과 내부 덮개(9)와의 사이가 지수 패킹(10)에 의해 밀폐(지수)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로부터, 용기 본체(2A) 내가 소정의 압력(예를 들면, 200kPa 이상, 800kPa 이하)까지 상승했을 때에, 지수 패킹(10)이 탄성 변형하여, 홈부(15)와 절결부(20a)와의 사이가 연통된 상태가 된다. 이것에 의해, 용기 본체(2A) 내의 압력이 절결부(20a)로부터 외부로 개방된다.
또한, 절결부(20a)를 복수 배치하는 경우,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폭의 넓이를 각각 바꿈으로써, 지수 패킹(10)이 탄성 변형하는 압력의 설정치를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용기 본체(2A) 내의 압력이 개방된 후에는, 지수 패킹(10)이 탄성 복귀됨으로써, 홈부(15)와 절결부(20a)와의 사이를 차단한다. 이것에 의해, 용기 본체(2A)의 내측과 내부 덮개(9)와의 사이가 다시 밀폐(지수)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1A)을 구비하는 캡 부착 용기(100A)에서는, 용기 본체(2A) 내의 압력 상승에 수반하여, 용기 본체(2A)측의 암나사부(6)와 내부 덮개(9)측의 수나사부(14)와의 사이에서 나사 결합에 의한 체결력이 증가됨으로써, 외부 덮개(8)가 마개 오픈 방향으로 돌리기 어려워지는 것과 같은 일 없이, 캡 유닛(1A)을 용기 본체(2A)로부터 용이하게 떼어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캡 부착 용기(100A)에서는, 용기 본체(2A)로부터 캡 유닛(1A)을 떼어낼 때에, 용기 본체(2A) 내의 상승된 압력에 의해 캡 유닛(1A)이 상방측으로 튀어나오는 것과 같은 것을 미연에 막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캡 부착 용기(100A)에서는, 용기 본체(2A) 내의 압력이 상승하는 것을 막으면서, 캡 유닛(1A)을 용이하고 안전하게 마개 오픈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지수 패킹(10)에 의한 밀폐성을 양호하게 유지하면서, 캡 유닛(1A)을 마개 오픈할 때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캡 유닛(1A)을 구비하는 캡 부착 용기(100A)에서는, 한층 더 사용 편의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1A)에서는, 상술한 용기 본체(2A)에 대해서 내부 덮개(9)가 나사 결합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용기 본체(2A)에 대해서 외부 덮개(8)가 나사 결합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로서, 예를 들면 도 4~도 6에 나타내는 캡 유닛(1B)을 구비한 캡 부착 용기(100B)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 4는, 캡 유닛(1B)을 구비한 캡 부착 용기(100B)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캡 유닛(1B) 및 용기 본체(2B)를 하방측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캡 유닛(1B)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캡 유닛(1A) 및 용기 본체(2A)와 동등한 부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함과 아울러, 도면에 있어서 같은 부호를 부여하는 것으로 한다.
본 실시 형태의 캡 부착 용기(100B)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1B)과, 이 캡 유닛(1B)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용기 본체(2B)를 구비하고 있다.
캡 부착 용기(100B)는, 진공 단열 구조를 가지는 용기 본체(2B)에 의해서, 용기 본체(2B)에 수용된 뜨거운 음료(내용물)를 보온하는 것이 가능한 텀블러(음료용 용기)이다.
구체적으로, 이 용기 본체(2B)는, 상기 용기 본체(2A)보다도 몸통이 길고 상방을 향하여 점차 확경된 형상을 가지는 것 이외에는, 상기 용기 본체(2A)와 기본적으로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1B)은, 도 4~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2B)의 상부 개구부(2d)를 폐색하는 마개체를 구성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이 캡 유닛(1B)은, 용기 본체(2B)의 상부 개구부(2d)를 덮은 상태에서, 용기 본체(2B)에 나사 결합에 의해 장착되는 캡 본체(30)를 구비하고 있다.
캡 본체(30)는, 용기 본체(2B)의 상부 개구부(2d)를 덮는 외부 덮개(31)와, 외부 덮개(31)의 내측의 중앙부에 위치하여, 상부 개구부(2d)로부터 용기 본체(2B)의 내측으로 끼워넣어지는 중간 마개(32)와, 중간 마개(32)의 외주부에 위치하여, 용기 본체(2B)의 내측과 중간 마개(32)와의 사이를 밀폐하는 지수 패킹(33)을 가지고 있다.
외부 덮개(31)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이나 트라이탄(등록상표) 등의 내열성 수지로 이루어지고, 외관이 용기 본체(2B)의 몸통부(2b)와 연속하도록 대략 원통 모양으로 형성된 둘레벽부(31a)와, 둘레벽부(30a)의 상부를 폐색하는 상벽부(31b)를 가지고 있다.
중간 마개(32)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이나 트라이탄(등록상표) 등의 내열성 수지로 이루어지고, 대략 원형 모양의 저벽부(32a)와, 저벽부(32a)의 주위로부터 대략 원통 모양으로 세워지는 둘레벽부(32b)를 가지고 있다.
중간 마개(32)는, 외부 덮개(31)의 내측 중앙부에 위치하고 있고, 용착 등에 의해 둘레벽부(32b)가 상벽부(31b)의 하면 중앙부에 일체로 장착되어 있다. 또한, 중간 마개(32)의 내부는, 상술한 단열재(16)를 배치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단열층이 되는 공기(공극)가 마련된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둘레벽부(32b)(중간 마개(32))의 외주면에는, 용기 본체(2B)측의 암나사부(6)와 나사 결합되는 수나사부(34)가 마련되어 있다. 캡 유닛(1B)에서는, 이들 암나사부(6)와 수나사부(34)의 나사 결합에 의해서, 용기 본체(2B)에 대해서 중간 마개(32)(캡 본체(30))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암나사부(6)와 수나사부(34)는, 서로 상보형을 이루는 2중 나사로 이루어진다. 2중 나사를 이용했을 경우, 용기 본체(2B)에 대해서 캡 본체(30)를 적은 회전 조작(본 실시 형태에서는 약 180°)으로 착탈하는 것이 가능하다.
지수 패킹(33)은,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 등의 내열성을 가지는 고무나 엘라스토머 등의 링 모양의 탄성 씰 부재로 이루어진다. 지수 패킹(33)은, 중간 마개(32)의 외주부에 마련된 링 모양의 홈부(35)에 감합된 상태에서, 중간 마개(32)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한편, 지수 패킹(33)은, 그 자체를 탄성 변형시킴(잡아당겨 늘림)으로써, 중간 마개(32)로부터 떼어내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중간 마개(32)와 지수 패킹(33)을 각각 별개로 세정할 수 있어, 중간 마개(32)와 지수 패킹(33)과의 사이를 위생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지수 패킹(33)의 외주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늘어서는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탄성 플랜지부(33a)가 마련되어 있다. 탄성 플랜지부(33a)는, 지수 패킹(33)의 외주면으로부터 확경 방향으로 전체 둘레에 걸쳐서 돌출된 형상을 가지고 있다.
지수 패킹(33)은, 용기 본체(2B)의 내측으로 중간 마개(32)가 끼워넣어졌을 때에, 탄성 플랜지부(33a)가 탄성 변형하면서 용기 본체(2B)의 장출부(7)와 맞닿는 것에 의해서, 이 장출부(7)에 전체 둘레에 걸쳐서 밀착된 상태가 된다. 이것에 의해, 용기 본체(2B)의 내측과 중간 마개(32)와의 사이를 지수 패킹(33)에 의해 밀폐(지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런데,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1B)에서는, 중간 마개(32)의 외주부에, 용기 본체(2B) 내가 소정의 압력까지 상승했을 때에, 용기 본체(2B) 내의 압력을 개방하는 압력 개방부(40)가 마련되어 있다.
압력 개방부(40)는, 홈부(35)를 매개로 하여 용기 본체(2B)의 내측과 연통되는 오목부 또는 절결부(본 실시 형태에서는 오목부)(40a)를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이 오목부(40a)는, 중간 마개(32)의 외주부 중, 적어도 홈부(35)를 형성하는 상측 측면의 일부를 오목하게 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또한, 오목부(40a)를 배치하는 수에 대해서는, 하나여도 복수여도 된다. 오목부(40a)를 복수 배치하는 경우에는, 홈부(35)의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나란히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오목부(40a)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폭은, 너무 넓으면 누설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60°이하의 각도 범위에서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1B)에서는, 홈부(35)에 지수 패킹(33)이 감합된 상태에 있어서, 지수 패킹(33)이 홈부(35)와 오목부(40a)와의 사이를 차단하고 있다. 또한, 용기 본체(2B)의 내측과 중간 마개(32)와의 사이가 지수 패킹(33)에 의해 밀폐(지수)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로부터, 용기 본체(2B) 내가 소정의 압력(예를 들면, 200kPa 이상, 800kPa 이하)까지 상승했을 때에, 지수 패킹(33)이 탄성 변형하여, 홈부(35)와 오목부(40a)와의 사이가 연통된 상태가 된다. 이것에 의해, 용기 본체(2B) 내의 압력이 오목부(40a)로부터 외부로 개방된다.
또한, 오목부(40a)를 복수 배치하는 경우,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폭의 넓이를 각각 바꿈으로써, 지수 패킹(33)이 탄성 변형하는 압력의 설정치를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용기 본체(2B) 내의 압력이 개방된 후에는, 지수 패킹(33)이 탄성 복귀됨으로써, 홈부(35)와 오목부(40a)와의 사이를 차단한다. 이것에 의해, 용기 본체(2B)의 내측과 중간 마개(32)와의 사이가 다시 밀폐(지수)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1B)을 구비하는 캡 부착 용기(100B)에서는, 용기 본체(2B) 내의 압력 상승에 수반하여, 용기 본체(2B)측의 암나사부(6)와 중간 마개(32)측의 수나사부(34)와의 사이에서 나사 결합에 의한 체결력이 증가됨으로써, 외부 덮개(31)가 마개 오픈 방향으로 돌리기 어려워지는 것과 같은 일 없이, 캡 본체(30)(캡 유닛(1B))를 용기 본체(2B)로부터 용이하게 떼어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캡 부착 용기(100B)에서는, 용기 본체(2B)로부터 캡 본체(30)(캡 유닛(1B))를 떼어낼 때에, 용기 본체(2B) 내의 상승된 압력에 의해 캡 본체(30)(캡 유닛(1B))가 상방측으로 튀어나오는 것과 같은 것을 미연에 막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캡 부착 용기(100B)에서는, 용기 본체(2B) 내의 압력이 상승하는 것을 막으면서, 캡 본체(30)(캡 유닛(1B))를 용이하고 안전하게 마개 오픈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지수 패킹(33)에 의한 밀폐성을 양호하게 유지하면서, 캡 본체(30)(캡 유닛(1B))를 마개 오픈할 때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캡 유닛(1B)을 구비하는 캡 부착 용기(100B)에서는, 한층 더 사용 편의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1B)에서는, 상술한 용기 본체(2B)에 대해서 중간 마개(32)가 나사 결합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용기 본체(2B)에 대해서 외부 덮개(31)가 나사 결합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3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로서, 예를 들면 도 7~도 12에 나타내는 캡 유닛(1C)을 구비한 캡 부착 용기(100C)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 7은, 캡 유닛(1C)을 구비한 캡 부착 용기(100C)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캡 유닛(1C) 및 용기 본체(2C)를 하방측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캡 유닛(1C)이 구비하는 캡 본체(51) 및 지수 패킹(55)을 하방측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캡 본체(51)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캡 유닛(1C)이 구비하는 덮개체(52) 및 덮개 패킹(60)을 하방측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덮개체(52)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캡 유닛(1A) 및 용기 본체(2A)와 동등한 부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함과 아울러, 도면에 있어서 같은 부호를 부여하는 것으로 한다.
본 실시 형태의 캡 부착 용기(100C)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1C)과, 이 캡 유닛(1C)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용기 본체(2C)를 구비하고 있다.
캡 부착 용기(100C)는, 진공 단열 구조를 가지는 용기 본체(2C)에 의해서, 용기 본체(2C)에 수용된 뜨거운 음료(내용물)를 보온하는 것이 가능한 머그 보틀(음료용 용기)이다.
구체적으로, 이 용기 본체(2C)는, 상기 용기 본체(2A)보다도 몸통이 길게 되는 형상을 가지는 것 이외에는, 상기 용기 본체(2A)와 기본적으로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1C)은, 용기 본체(2C)의 구경부(2c)에 장착됨과 아울러, 용기 본체(2C)의 내측과 연통되는 통액 구멍(50)이 마련된 캡 본체(51)와, 캡 본체(51)에 대해서 나사 결합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됨과 아울러, 통액 구멍(50)을 개폐하는 덮개체(52)를 구비하고 있다.
캡 본체(51)는, 도 7~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2C)의 구경부(2c)에 끼워 장착되는 외통(外筒)부(53)와, 상부 개구부(2d)로부터 용기 본체(2C)의 내측으로 끼워넣어지는 내통(內筒)부(54)와, 내통부(54)의 외주부에 위치하여, 용기 본체(2C)의 내측과 내통부와의 사이를 밀폐하는 지수 패킹(55)을 가지고 있다.
캡 본체(51)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PP) 등의 내열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통 모양의 외통부(53) 및 내통부(54)를 일체화한 것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캡 본체(51)는, 외통부(53) 및 내통부(54)를 일체로 형성한 것이어도 된다. 또한, 외통부(53)에 대해서는, 상술한 PP 외에도, 예를 들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통액 구멍(50)은, 내통부(54)의 내측을 관통한 상태로 마련되어 있다. 통액 구멍(50)은, 내통부(54)의 상단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점차 축경된 테이퍼 구멍부(50a)와, 테이퍼 구멍부(50a)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동일 지름으로 된 제1 스트레이트 구멍부(50b)와, 제1 스트레이트 구멍부(50b)의 하단에 제1 스트레이트 구멍부(50b)보다도 축경된 단차부(50c)와, 단차부(50c)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동일 지름으로 된 제2 스트레이트 구멍부(50d)를 가지고 있다.
내통부(54)의 외주면에는, 용기 본체(2C)측의 암나사부(6)와 나사 결합되는 수나사부(56)가 마련되어 있다. 캡 유닛(1C)에서는, 이들 암나사부(6)와 수나사부(56)의 나사 결합에 의해서, 용기 본체(2C)에 대해서 내통부(54)(캡 본체(51))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지수 패킹(55)은,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 등의 내열성을 가지는 고무나 엘라스토머 등의 링 모양의 탄성 씰 부재로 이루어진다. 지수 패킹(55)은, 내통부(54)의 외주부에 마련된 링 모양의 홈부(57)에 감합된 상태에서, 내통부(54)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한편, 지수 패킹(55)은, 그 자체를 탄성 변형시킴(잡아당겨 늘림)으로써, 내통부(54)로부터 떼어내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내통부(54)와 지수 패킹(55)을 각각 별개로 세정할 수 있어, 내통부(54)와 지수 패킹(55)과의 사이를 위생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지수 패킹(55)의 외주부에는, 적어도 1개 이상(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탄성 플랜지부(55a)가 마련되어 있다. 탄성 플랜지부(55a)는, 지수 패킹(55)의 외주면으로부터 확경 방향으로 전체 둘레에 걸쳐서 돌출된 형상을 가지고 있다.
지수 패킹(55)은, 용기 본체(2C)의 내측으로 내통부(54)가 끼워넣어졌을 때에, 탄성 플랜지부(55a)가 탄성 변형하면서 용기 본체(2C)의 장출부(7)와 맞닿는 것에 의해서, 이 장출부(7)에 전체 둘레에 걸쳐서 밀착된 상태가 된다. 이것에 의해, 용기 본체(2C)의 내측과 내통부(54)와의 사이를 지수 패킹(55)에 의해 밀폐(지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덮개체(52)는, 도 7, 도 8,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캡 본체(51)의 외측을 덮는 외부 덮개(58)와, 외부 덮개(58)의 내측의 중앙부에 위치하여, 캡 본체(51)의 내측으로 끼워넣어진 상태에서 통액 구멍(50)을 폐색하는 중간 마개(59)와, 중간 마개(59)의 외주부에 위치하여, 캡 본체(51)의 내측과 중간 마개(59)와의 사이를 밀폐하는 덮개 패킹(60)을 가지고 있다.
외부 덮개(58)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이나 트라이탄(등록상표) 등의 내열성 수지로 이루어지고, 외통부(53)의 외경(外徑)에 맞추어 대략 원통 모양으로 형성된 둘레벽부(58a)와, 둘레벽부(58a)의 상부를 폐색하는 상벽부(58b)를 가지고 있다.
중간 마개(59)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이나 트라이탄(등록상표) 등의 내열성 수지로 이루어지고, 대략 원형 모양의 저벽부(59a)와, 저벽부(59a)의 주위로부터 대략 원통 모양으로 세워지는 둘레벽부(59b)를 가지고 있다.
중간 마개(59)는, 외부 덮개(58)의 내측 중앙부에 위치하고 있고, 용착 등에 의해 둘레벽부(59b)가 상벽부(58b)의 하면 중앙부에 일체로 장착되어 있다. 중간 마개(59)의 내측에는, 단열층으로서, 예를 들면 발포 우레탄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단열재(61)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단열층으로서는, 상술한 단열재(61) 대신에, 공기(공극)여도 된다.
내통부(54)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62)가 마련되어 있다. 암나사부(62)는, 내통부(54)의 제2 스트레이트 구멍부(50d)를 형성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한편, 중간 마개(59)의 외주면에는, 이 암나사부(62)와 나사 결합되는 수나사부(63)가 마련되어 있다. 캡 유닛(1C)에서는, 이들 암나사부(62)와 수나사부(63)의 나사 결합에 의해서, 내통부(54)(캡 본체(51))에 대해서 중간 마개(59)(덮개체(52))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암나사부(62)와 수나사부(63)는, 서로 상보형을 이루는 2중 나사로 이루어진다. 2중 나사를 이용했을 경우, 캡 본체(51)에 대해서 덮개체(52)를 적은 회전 조작(본 실시 형태에서는 약 180°)으로 착탈하는 것이 가능하다.
덮개 패킹(60)은,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 등의 내열성을 가지는 고무나 엘라스토머 등의 링 모양의 탄성 씰 부재로 이루어진다. 덮개 패킹(60)은, 중간 마개(59)의 외주부에 마련된 링 모양의 홈부(64)에 감합된 상태에서, 중간 마개(59)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한편, 덮개 패킹(60)은, 그 자체를 탄성 변형시킴(잡아당겨 늘림)으로써, 중간 마개(59)로부터 떼어내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중간 마개(59)와 덮개 패킹(60)을 각각 별개로 세정할 수 있어, 중간 마개(59)와 덮개 패킹(60)과의 사이를 위생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덮개 패킹(60)의 외주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늘어서는 복수의 탄성 플랜지부(60a)가 마련되어 있다. 탄성 플랜지부(60a)는, 덮개 패킹(60)의 외주면으로부터 확경 방향으로 전체 둘레에 걸쳐서 돌출된 형상을 가지고 있다.
덮개 패킹(60)은, 내통부(54)(캡 본체(51))의 내측으로 중간 마개(59)가 끼워넣어졌을 때에, 탄성 플랜지부(60a)가 탄성 변형하면서 캡 본체(51)의 내주면과 맞닿는 것에 의해서, 이 캡 본체(51)의 내주면에 전체 둘레에 걸쳐서 밀착된 상태가 된다. 또한, 탄성 플랜지부(60a)는, 테이퍼 구멍부(50a)와 제1 스트레이트 구멍부(50b)의 경계 근방의 제1 스트레이트 구멍부(50b)에 맞닿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캡 본체(51)의 내측과 중간 마개(59)와의 사이를 덮개 패킹(60)에 의해 밀폐(지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런데,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1C)에서는, 내통부(54)와 중간 마개(59) 중 적어도 한쪽(본 실시 형태에서는 양쪽)의 외주부에, 용기 본체(2C) 내가 소정의 압력까지 상승했을 때에, 용기 본체(2C) 내의 압력을 개방하는 압력 개방부(70)가 마련되어 있다.
압력 개방부(70)는, 홈부(57)를 매개로 하여 용기 본체(2C)의 내측과 연통되는 오목부 또는 절결부(본 실시 형태에서는 오목부)(70a)를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이 오목부(70a)는, 내통부(54)의 외주부 중, 적어도 홈부(57)를 형성하는 상측 측면의 일부를 오목하게 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또한, 오목부(70a)를 배치하는 수에 대해서는, 하나여도 복수여도 된다. 오목부(70a)를 복수 배치하는 경우에는, 홈부(57)의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나란히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오목부(70a)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폭은, 너무 넓으면 누설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60°이하의 각도 범위에서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압력 개방부(70)는, 홈부(64)를 매개로 하여 용기 본체(2C)의 내측과 연통되는 오목부(70b)를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이 오목부(70b)는, 중간 마개(59)의 외주부 중, 적어도 홈부(64)를 형성하는 상측 측면의 일부를 오목하게 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또한, 오목부(70b)를 배치하는 수에 대해서는, 하나여도 복수여도 된다. 오목부(70b)를 복수 배치하는 경우에는, 홈부(64)의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나란히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오목부(70b)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폭은, 너무 넓으면 누설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60°이하의 각도 범위에서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1C)에서는, 홈부(57)에 지수 패킹(55)이 감합된 상태에 있어서, 지수 패킹(55)이 홈부(57)와 오목부(70a)와의 사이를 차단하고 있다. 또한, 용기 본체(2C)의 내측과 내통부(54)와의 사이가 지수 패킹(55)에 의해 밀폐(지수)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로부터, 용기 본체(2C) 내가 소정의 압력(예를 들면, 200kPa 이상, 800kPa 이하)까지 상승했을 때에, 지수 패킹(55)이 탄성 변형하여, 홈부(57)와 오목부(70a)와의 사이가 연통된 상태가 된다. 이것에 의해, 용기 본체(2C) 내의 압력이 오목부(70a)로부터 외부로 개방된다.
또한, 오목부(70a)를 복수 배치하는 경우,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폭의 넓이를 각각 바꿈으로써, 지수 패킹(55)이 탄성 변형하는 압력의 설정치를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용기 본체(2C) 내의 압력이 개방된 후에는, 지수 패킹(55)이 탄성 복귀됨으로써, 홈부(57)와 오목부(70a)와의 사이를 차단한다. 이것에 의해, 용기 본체(2C)의 내측과 내통부(54)와의 사이가 다시 밀폐(지수)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1C)을 구비하는 캡 부착 용기(100C)에서는, 용기 본체(2C) 내의 압력 상승에 수반하여, 용기 본체(2C)측의 암나사부(6)와 내통부(54)측의 수나사부(56)와의 사이에서 나사 결합에 의한 체결력이 증가됨으로써, 캡 본체(51)가 마개 오픈 방향으로 돌리기 어려워지는 것과 같은 일 없이, 캡 본체(51)(캡 유닛(1C))를 용기 본체(2C)로부터 용이하게 떼어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캡 부착 용기(100C)에서는, 용기 본체(2C)로부터 캡 본체(51)(캡 유닛(1C))를 떼어낼 때에, 용기 본체(2C) 내의 상승된 압력에 의해 캡 본체(51)(캡 유닛(1C))가 상방측으로 튀어나오는 것과 같은 것을 미연에 막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1C)에서는, 홈부(64)에 덮개 패킹(60)이 감합된 상태에 있어서, 덮개 패킹(60)이 홈부(64)와 오목부(70b)와의 사이를 차단하고 있다. 또한, 내통부(54)의 내측과 중간 마개(59)와의 사이가 덮개 패킹(60)에 의해 밀폐(지수)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로부터, 용기 본체(2C) 내가 소정의 압력(예를 들면, 200kPa 이상, 800kPa 이하)까지 상승했을 때에, 덮개 패킹(60)이 탄성 변형하여, 홈부(64)와 오목부(70b)와의 사이가 연통된 상태가 된다. 이것에 의해, 용기 본체(2C) 내의 압력이 오목부(70b)로부터 외부로 개방된다.
또한, 오목부(70b)를 복수 배치하는 경우,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폭의 넓이를 각각 바꿈으로써, 지수 패킹(60)이 탄성 변형하는 압력의 설정치를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용기 본체(2C) 내의 압력이 개방된 후에는, 덮개 패킹(60)이 탄성 복귀됨으로써, 홈부(64)와 오목부(70b)와의 사이를 차단한다. 이것에 의해, 내통부(54)의 내측과 중간 마개(59)와의 사이가 다시 밀폐(지수)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1C)을 구비하는 캡 부착 용기(100C)에서는, 용기 본체(2C) 내의 압력 상승에 수반하여, 내통부(54)측의 암나사부(62)와 중간 마개(59)측의 수나사부(63)와의 사이에서 나사 결합에 의한 체결력이 증가됨으로써, 외부 덮개(58)가 마개 오픈 방향으로 돌리기 어려워지는 것과 같은 일 없이, 덮개체(52)를 캡 본체(51)로부터 용이하게 떼어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캡 부착 용기(100C)에서는, 캡 본체(51)로부터 덮개체(52)를 떼어낼 때에, 용기 본체(2C) 내의 상승된 압력에 의해 덮개체(52)가 상방측으로 튀어나오는 것과 같은 것을 미연에 막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캡 부착 용기(100C)에서는, 용기 본체(2C) 내의 압력이 상승하는 것을 막으면서, 캡 본체(51) 및 덮개체(52)를 용이하고 안전하게 마개 오픈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지수 패킹(55) 및 덮개 패킹(60)에 의한 밀폐성을 양호하게 유지하면서, 캡 본체(51) 및 덮개체(52)를 마개 오픈할 때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캡 유닛(1C)을 구비하는 캡 부착 용기(100C)에서는, 한층 더 사용 편의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1C)에서는, 상술한 용기 본체(2C)에 대해서 내통부(54)가 나사 결합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용기 본체(2C)에 대해서 외통부(53)가 나사 결합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의 것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진공 단열 구조를 가지는 용기 본체(2A, 2B, 2C)에 의해서 보온 기능을 갖게 한 캡 부착 용기(100A, 100B, 100C)를 예시하고 있지만, 진공 단열 구조를 갖지 않는 용기 본체를 구비한 캡 부착 용기에 대해서,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1A, 1B, 1C…캡 유닛 2A, 2B, 2C…용기 본체
3…외부 용기 4…내부 용기
5…진공 단열층 6…암나사부
7…장출부 8…외부 덮개
9…내부 덮개 10…지수 패킹(탄성 씰 부재)
11…중간 마개 12…통기 구멍
13…마개체 14…수나사부
15…홈부 16…단열재
17…탄성 클릭부 18…끼움 홈
20…압력 개방부 20a…절결부
30…캡 본체 31…외부 덮개
32…중간 마개 33…지수 패킹(탄성 씰 부재)
34…수나사부 35…홈부
40…압력 개방부 40a…오목부
50…통액 구멍 51…캡 본체
52…덮개체 53…외통부
54…내통부 55…지수 패킹(탄성 씰 부재)
56…수나사부 57…홈부
58…외부 덮개 59…중간 마개
60…덮개 패킹(탄성 씰 부재) 61…단열재
62…암나사부 63…수나사부
64…홈부 70…압력 개방부
70a…오목부 70b…오목부
100A, 100B, 100C…캡 부착 용기

Claims (8)

  1. 상부가 개구된 용기 본체에 대해서 장착되는 캡 유닛으로서,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 개구부를 덮는 외부 덮개와,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 개구부로부터 상기 용기 본체의 내측으로 끼워넣어지는 내부 덮개와,
    상기 내부 덮개의 외주부에 위치하여, 상기 용기 본체의 내측과 상기 내부 덮개와의 사이를 밀폐하는 지수 패킹을 구비하고,
    상기 지수 패킹은, 상기 용기 본체의 내측으로부터 전체 둘레에 걸쳐서 돌출된 장출부(張出部)에 맞닿는 링 모양의 탄성 씰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 덮개의 외주부에 마련된 링 모양의 홈부에 감합된 상태에서, 상기 내부 덮개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내부 덮개의 외주부에는, 상기 용기 본체 내(內)가 소정의 압력까지 상승했을 때에, 상기 용기 본체 내의 압력을 개방하는 압력 개방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2. 상부가 개구된 용기 본체에 대해서 장착되는 캡 유닛으로서,
    상기 용기 본체의 외측을 덮는 외부 덮개와,
    상기 외부 덮개의 내측의 중앙부에 위치하여,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 개구부로부터 상기 용기 본체의 내측으로 끼워넣어지는 중간 마개와,
    상기 중간 마개의 외주부에 위치하여, 상기 용기 본체의 내측과 상기 중간 마개와의 사이를 밀폐하는 지수 패킹을 구비하고,
    상기 지수 패킹은, 상기 용기 본체의 내측으로부터 전체 둘레에 걸쳐서 돌출된 장출부에 맞닿는 링 모양의 탄성 씰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간 마개의 외주부에 마련된 링 모양의 홈부에 감합된 상태에서, 상기 중간 마개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중간 마개의 외주부에는, 상기 용기 본체 내가 소정의 압력까지 상승했을 때에, 상기 용기 본체 내의 압력을 개방하는 압력 개방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3. 상부가 개구된 용기 본체에 대해서 장착되는 캡 유닛으로서,
    상기 용기 본체의 구경부에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용기 본체의 내측과 연통되는 통액 구멍이 마련된 캡 본체와,
    상기 캡 본체에 대해서 나사 결합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통액 구멍을 개폐하는 덮개체를 구비하고,
    상기 캡 본체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 개구부로부터 상기 용기 본체의 내측으로 끼워넣어지는 내통부와,
    상기 내통부의 외주부에 위치하여, 상기 용기 본체의 내측과 상기 내통부와의 사이를 밀폐하는 지수 패킹을 가지며,
    상기 지수 패킹은, 상기 용기 본체의 내측으로부터 전체 둘레에 걸쳐서 돌출된 장출부에 맞닿는 링 모양의 탄성 씰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통부의 외주부에 마련된 링 모양의 홈부에 감합된 상태에서, 상기 내통부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덮개체는, 상기 캡 본체의 외측을 덮는 외부 덮개와,
    상기 외부 덮개의 내측의 중앙부에 위치하여, 상기 캡 본체의 내측으로 끼워넣어진 상태에서 상기 통액 구멍을 폐색하는 중간 마개와,
    상기 중간 마개의 외주부에 위치하여, 상기 캡 본체의 내측과 상기 중간 마개와의 사이를 밀폐하는 덮개 패킹을 가지며,
    상기 덮개 패킹은, 상기 캡 본체의 내주면과 전체 둘레에 걸쳐서 맞닿는 링 모양의 탄성 씰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간 마개의 외주부에 마련된 링 모양의 홈부에 감합된 상태에서, 상기 중간 마개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내통부와 상기 중간 마개 중 적어도 한쪽의 외주부에는, 상기 용기 본체 내가 소정의 압력까지 상승했을 때에, 상기 용기 본체 내의 압력을 개방하는 압력 개방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개방부는, 상기 홈부를 매개로 하여 상기 용기 본체의 내측과 연통되는 오목부 또는 절결부를 가지며,
    상기 홈부에 상기 탄성 씰 부재가 감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탄성 씰 부재가 상기 홈부와 상기 오목부 또는 절결부와의 사이를 차단하고 있고,
    상기 용기 본체 내가 소정의 압력까지 상승했을 때에, 상기 탄성 씰 부재가 탄성 변형하여, 상기 홈부와 상기 오목부 또는 절결부와의 사이가 연통된 상태가 됨으로써, 상기 용기 본체 내의 압력이 상기 오목부 또는 절결부로부터 외부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 또는 절결부는, 적어도 상기 홈부를 형성하는 상측 측면의 일부를 오목하게 하거나 또는 절결하도록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 또는 절결부는, 상기 홈부의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나란히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캡 유닛과,
    상기 캡 유닛이 장착된 용기 본체를 구비하는 캡 부착 용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는, 진공 단열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부착 용기.
KR1020210164266A 2021-03-12 2021-11-25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 KR202201282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039811 2021-03-12
JPJP-P-2021-039811 2021-03-12
JP2021110791A JP2022140221A (ja) 2021-03-12 2021-07-02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JPJP-P-2021-110791 2021-07-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8251A true KR20220128251A (ko) 2022-09-20

Family

ID=81768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4266A KR20220128251A (ko) 2021-03-12 2021-11-25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20128251A (ko)
CN (1) CN114572550A (ko)
TW (1) TWI796158B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41220B2 (ja) 1973-12-24 1983-09-10 カヤバ工業株式会社 アンチスキツトユアツソウチ
JP5494717B2 (ja) 2012-04-24 2014-05-21 サーモス株式会社 蓋付き容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082U1 (de) * 2002-01-24 2003-06-05 Reutter Heinrich Verschlussdeckel für Kraftfahrzeugkühler
TWI514740B (zh) * 2014-07-16 2015-12-21 Grenergy Opto Inc 電源控制器以及相關之控制方法
KR101555348B1 (ko) * 2015-04-21 2015-09-30 김학래 식품저장용기의 속뚜껑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저장용기
WO2020102582A2 (en) * 2018-11-14 2020-05-22 Packed Design, LLC Childproof container with pressure-operated li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41220B2 (ja) 1973-12-24 1983-09-10 カヤバ工業株式会社 アンチスキツトユアツソウチ
JP5494717B2 (ja) 2012-04-24 2014-05-21 サーモス株式会社 蓋付き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235334A (zh) 2022-09-16
TWI796158B (zh) 2023-03-11
CN114572550A (zh) 2022-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135502A1 (en) Vacuum insulated beverage container with removable cup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2341050B1 (ko) 캡 유닛 및 음료용 용기
JP7005554B2 (ja) 蓋付き容器
JP2024015083A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KR20220128251A (ko)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
JP7445794B2 (ja) 蓋付き容器
US20200367678A1 (en) Leak-proof container lid with foam insulation
JP2021191686A (ja) キャップ付き容器
JP2022140221A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KR20210042025A (ko)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
JP2023041197A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KR20220134451A (ko)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
JPH07277353A (ja) ガス抜きキャップ
JP7476011B2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JP2023022742A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飲料用容器
JP2024030700A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JP2017056952A (ja) 飲料用容器
JP2023147140A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JP2022151562A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KR20230163916A (ko) 덮개 부착 용기
JP2022013147A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JPS6228174Y2 (ko)
JP5476417B2 (ja) 飲料用容器の蓋体及びこれを有する飲料用容器
JP2001158451A (ja) キャップ付き容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