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4451A -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 - Google Patents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4451A
KR20220134451A KR1020220034266A KR20220034266A KR20220134451A KR 20220134451 A KR20220134451 A KR 20220134451A KR 1020220034266 A KR1020220034266 A KR 1020220034266A KR 20220034266 A KR20220034266 A KR 20220034266A KR 20220134451 A KR20220134451 A KR 202201344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container
elastic
container body
cap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4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히로 고와
Original Assignee
서어모스 케이.케이.
써모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21201746A external-priority patent/JP2022151562A/ja
Application filed by 서어모스 케이.케이., 써모스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어모스 케이.케이.
Publication of KR20220134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44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65D43/161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comprising two or more cover sections hinged one to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47J41/02Vacuum-jacket vessels, e.g. vacuum bottles
    • A47J41/02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lements forming vacuum sp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26Mechanisms for opening or closing, e.g. pedal-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57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made separately from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4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3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in the form of a bottle, jar or like container
    • B65D81/3841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in the form of a bottle, jar or like container formed with double walls, i.e. holl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과제] 지수 패킹의 세정성이 뛰어나고, 또한, 이 지수 패킹에 의한 밀폐성을 양호하게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캡 유닛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지수 패킹(23)은, 용기 본체(2)에 캡 본체가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용기 본체(2)의 내측으로부터 전체 둘레에 걸쳐 돌출된 장출부(6)에 맞닿아지는 링 모양의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고, 또한, 감합 오목부(24)에 감합되는 링 모양의 감합 볼록부(23a)와, 감합 볼록부(23a)의 외주면으로부터 확경 방향으로 전체 둘레에 걸쳐 돌출된 탄성 플랜지부(23b)와, 감합 볼록부(23a)와 탄성 플랜지부(23b)와의 사이로부터 하방으로 전체 둘레에 걸쳐 돌출된 탄성 슬리브부(23c)를 가지고, 탄성 플랜지부(23b)의 하면이 장출부(6)의 입구측의 면에 접촉하면서, 탄성 슬리브부(23c)의 외주면이 장출부(6)의 정상측의 면에 접촉한 상태가 되고, 탄성 슬리브부(23c)의 내주면은, 감합 볼록부(23a)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속해서 마련되어 있다.

Description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Cap unit and cap-equipped container}
본 발명은,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상부가 개구된 용기 본체의 구경부(口頸部)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에 의해서, 용기 본체의 상부 개구부를 폐색(閉塞)하는 캡 유닛(마개체)을 구비한 캡 부착 용기가 있다(예를 들면, 하기 특허문헌 1을 참조).
이와 같은 캡 유닛은, 용기 본체의 상부 개구부를 폐색하는 캡 본체를 가지고, 용기 본체에 대해서 캡 본체가 나사 결합에 의해 장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캡 유닛은, 캡 본체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지수(止水, 물이 새는 것을 막음) 패킹을 가지며, 이 지수 패킹에 의해 용기 본체와 캡 본체와의 사이를 밀폐(지수)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지수 패킹은, 링 모양의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고, 캡 본체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지수 패킹은, 용기 본체에 캡 본체가 나사 결합에 의해 장착되었을 때에, 용기 본체의 내측으로부터 전체 둘레에 걸쳐 돌출된 장출부(張出部)에 맞닿아지는 것에 의해서, 탄성 변형하면서 장출부에 전체 둘레에 걸쳐 밀착된 상태가 된다. 이것에 의해, 용기 본체와 캡 본체와의 사이를 밀폐(지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예를 들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고리 모양 씰 패킹의 외주면에, 씰 단부(段部) 상부의 경사면에 맞닿고, 단면이 차양 모양으로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리 모양의 설편(舌片) 모양부와, 씰 단부에 맞닿고, 단면이 역U자 모양의 형상으로 돌출시킨 고리 모양의 수하부(垂下部)가 마련되고, 수하부가 액체 용기 내의 내압에 의해 확개(擴開)되어 씰 단부의 돌출면에 압접(押接)되고, 또한, 설편 모양부가 액체 용기 내의 부압에 의해 씰 단부의 상부의 경사면에 압접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하기 특허문헌 2에는, 주로 뜨거운 식품을 넣는 덮개 부착 단열 용기에 있어서, 용기체의 받침 리지(ridge)에 대해서, 외주 부근에 단면이 역U자 형상을 가지는 고리 모양의 장출부를 구비한 씰부가 밀착되어, 용기체 내를 밀폐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제3687084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제2016-169042호 공보
그렇지만,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패킹에서는, 설편 모양부와 수하부와의 사이에 오목 모양의 틈새가 형성되어 있고, 이 틈새에 음료가 고이기 쉽게 되어 있다. 또한, 이 틈새는, 세정하기 어려워, 비위생적으로 되기 쉽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씰부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외주 부근에 오목 모양의 틈새가 형성되어 있다. 용기체가 입구가 크기 때문에, 내용물로서 예를 들면 스프나 고형의 식품 등이 주를 이루며, 영양가가 높은 이들 내용물이 이 틈새에 고이거나 혹은 끼이는 것이 상정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틈새는, 세정하기 어려워, 비위생적으로 되기 쉽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사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지수 패킹의 세정성이 뛰어나고, 또한, 이 지수 패킹에 의한 밀폐성을 양호하게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캡 유닛, 및, 그와 같은 캡 유닛을 구비하는 것에 의해서, 사용 편의성의 한층 더 향상을 가능하게 한 캡 부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이하의 수단을 제공한다.
[1] 상부가 개구된 용기 본체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캡 유닛으로서,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 개구부를 폐색하는 캡 본체와,
상기 캡 본체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용기 본체와 상기 캡 본체와의 사이를 밀폐하는 지수 패킹을 구비하고,
상기 캡 본체는, 상기 상부 개구부로부터 상기 용기 본체의 내측으로 끼워넣어지는 부분의 외주면에 링 모양의 일방의 감합부를 가지고,
상기 지수 패킹은, 상기 용기 본체에 상기 캡 본체가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내측으로부터 전체 둘레에 걸쳐 돌출된 장출부에 맞닿아지는 링 모양의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일방의 감합부에 감합되는 링 모양의 타방의 감합부와, 상기 타방의 감합부의 외주면으로부터 확경(擴徑) 방향으로 전체 둘레에 걸쳐 돌출된 탄성 플랜지부와, 상기 타방의 감합부와 상기 탄성 플랜지부와의 사이로부터 하방으로 전체 둘레에 걸쳐 돌출된 탄성 슬리브부를 가지고,
상기 탄성 플랜지부의 하면이 상기 장출부의 입구측의 면에 접촉하면서, 상기 탄성 슬리브부의 외주면이 상기 장출부의 정상(頂上)측의 면에 접촉한 상태가 되고,
상기 탄성 슬리브부의 내주면은, 상기 타방의 감합부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속해서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2] 상기 지수 패킹은, 상기 탄성 플랜지부가 상기 장출부의 입구측의 면을 따라서 탄성 변형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탄성 슬리브부의 외주면이 상기 장출부의 정상측의 면에 접촉하는 방향을 향하여 상기 탄성 슬리브부를 탄성 변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캡 유닛.
[3] 상기 탄성 슬리브부는, 그 하방을 향하여 점차 확경된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캡 유닛.
[4] 상기 탄성 플랜지부는, 상기 타방의 감합부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하단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캡 유닛.
[5] 상기 일방의 감합부는, 그 바닥측으로부터 개구측을 향하여 점차 폭이 넓어지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타방의 감합부는, 그 기단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하여 점차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캡 유닛.
[6] 상기 탄성 부재는, 불소 고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캡 유닛.
[7] 상기 용기 본체에 대해서 상기 캡 본체가 나사 결합에 의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캡 유닛.
[8] 상기 [1]~[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캡 유닛과,
상기 캡 유닛이 장착된 용기 본체를 구비하는 캡 부착 용기.
[9] 상기 용기 본체는, 진공 단열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8]에 기재된 캡 부착 용기.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지수 패킹의 세정성이 뛰어나고, 또한, 이 지수 패킹에 의한 밀폐성을 양호하게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캡 유닛, 및, 그와 같은 캡 유닛을 구비하는 것에 의해서, 사용 편의성의 한층 더 향상을 가능하게 한 캡 부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캡 유닛을 구비한 캡 부착 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캡 유닛이 구비하는 입구 형성 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캡 유닛이 구비하는 지수 패킹의 구성을 나타내며, (A)는 그 상방측에서 본 사시도, (B)는 그 하방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내는 지수 패킹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캡 부착 용기가 구비하는 용기 본체의 장출부에 지수 패킹이 맞닿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내는 캡 부착 용기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내는 캡 부착 용기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로서,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캡 유닛(1)을 구비한 캡 부착 용기(100)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 1은, 캡 유닛(1)을 구비한 캡 부착 용기(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캡 부착 용기(10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1)과, 이 캡 유닛(1)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용기 본체(2)를 구비하고 있다. 캡 부착 용기(100)는, 진공 단열 구조를 가지는 용기 본체(2)에 의해서, 이 용기 본체(2)에 수용된 음료(내용물)를 보온 또는 보냉하는 것이 가능한 음료용 용기이다.
구체적으로, 이 용기 본체(2)는,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등으로 이루어지는 바닥을 가지는 통 모양의 외부 용기(3) 및 내부 용기(4)를 가지며, 외부 용기(3)의 내측에 내부 용기(4)를 수용한 상태에서 서로의 입가부를 접합한 이중 구조의 용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외부 용기(3)와 내부 용기(4)와의 사이에는, 진공 단열층(5)이 마련되어 있다. 진공 단열층(5)은, 예를 들면, 고진공으로 감압(진공 퍼지)된 챔버 내에서, 외부 용기(3)의 저면 중앙부에 마련된 탈기공(脫氣孔)을 막는 것에 의해서 형성할 수 있다.
용기 본체(2)는, 대략 원형 모양의 저면부(2a)와, 저면부(2a)의 외주로부터 대략 원통 모양으로 기립한 몸통부(2b)와, 몸통부(2b)의 상부측에 있어서 축경(縮徑, 지름이 축소)된 대략 원통 모양의 구경부(2c)를 가지고 있다. 또한, 구경부(2c)의 상단부는, 용기 본체(2)의 상부 개구부(2d)로서, 원형 모양으로 개구되어 있다. 또한, 구경부(2c)의 내주면은, 몸통부(2b)의 내주면보다도 축경되어 있다. 또한, 구경부(2c)의 내주면에는, 링 모양의 장출부(6)가 전체 둘레에 걸쳐 돌출되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캡 부착 용기(100)는, 전체적으로 대략 원통 모양의 외관 형상을 가지고 있지만, 캡 부착 용기(100)의 외관 형상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이즈나 디자인 등에 맞추어, 적절히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용기 본체(2)의 외주면에는, 도장이나 인쇄 등이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1)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1~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2는, 캡 유닛(1)이 구비하는 입구 형성 부재(12)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캡 유닛(1)이 구비하는 지수 패킹(23)의 구성을 나타내며, (A)는 그 상방측에서 본 사시도, (B)는 그 하방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지수 패킹(23)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캡 부착 용기(100)가 구비하는 용기 본체(2)의 장출부(6)에 지수 패킹(23)이 맞닿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1)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2)의 상부 개구부(2d)를 폐색하는 마개체를 구성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이 캡 유닛(1)은, 캡 본체(7)와, 캡 본체(7)에 힌지부(8)를 매개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덮개체(9)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캡 본체(7)에 대해서 덮개체(9)가 힌지부(8)를 매개로 하여 장착되는 측을 캡 유닛(1)(캡 부착 용기(100))의 「후(後)측(배면측)」이라고 하고, 그것과는 반대측을 캡 유닛(1)(캡 부착 용기(100))의 「전(前)측(정면측)」이라고 하여 설명한다.
캡 본체(7)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PP) 등의 내열성 수지로 이루어진다. 캡 본체(7)는, 용기 본체(2)의 몸통부(2b)와 연속하도록 대략 원통 모양으로 형성된 둘레벽부(7a)와, 둘레벽부(7a)의 상부에 둘레벽부(7a)보다도 축경된 개구부(7b)가 형성된 상벽부(上壁部)(7c)와, 개구부(7b)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입구 형성 부재(12)를 가지고 있다.
캡 본체(7)는, 용기 본체(2)의 구경부(2c)에 나사 결합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둘레벽부(7a)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10)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구경부(2c)의 외주면에는, 암나사부(10)와 나사 결합되는 수나사부(11)가 마련되어 있다.
캡 본체(7)의 개구부(7b)에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둥이 또는 주입구(본 실시 형태에서는 주둥이)를 형성하는 입구 형성 부재(12)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입구 형성 부재(12)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PP) 등의 내열성 수지로 이루어진다.
입구 형성 부재(12)는, 통액구(通液口)(13) 및 통기구(通氣口)(14)가 형성된 저벽부(12a)와, 저벽부(12a)의 주위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세워지는 통 모양의 둘레벽부(12b)와, 저벽부(12a)의 외주면의 하단측으로부터 링 모양으로 돌출된 하측 플랜지부(12c)와, 둘레벽부(12b)의 외주면의 상단측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상측 플랜지부(12d)와, 둘레벽부(12b)의 전(前)측의 상단으로부터 경사 컷 모양으로 돌출된 주둥이부(12e)를 가지고 있다.
이 중, 주둥이부(12e)는, 입구 형성 부재(12)의 전측에 위치하고 있다. 통액구(13)는, 저벽부(12a)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마련되어 있다. 통기구(14)는, 통액구(13)보다도 높은 위치로부터 저벽부(12a)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마련되어 있다. 또한, 통액구(13)는, 통기구(14)보다도 주둥이부(12e)측(전측)에 위치하고, 둥근 구멍을 형성하는 통기구(14)보다도 전후 방향으로 커서 대략 타원 모양으로 개구되어 있다.
캡 본체(7)와 입구 형성 부재(12)와의 사이에는, 캡 본체(7)의 개구부(7b)에 입구 형성 부재(12)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탈착 기구(15)가 마련되어 있다. 탈착 기구(15)는, 입구 형성 부재(12)의 전측에 마련된 제1 클로부(claw部)(16)와, 입구 형성 부재(12)의 후측에 마련된 제2 클로부(17)를 포함하는 스토퍼(18)를 가지고 있다.
제1 클로부(16)는, 둘레벽부(12b)의 외주면의 상단측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마련되어 있다. 제2 클로부(17)는, 스토퍼(18)의 상단(선단)측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돌출되어 마련되어 있다. 스토퍼(18)는, 입구 형성 부재(12)의 후측에 배치됨과 아울러, 그 하단(기단)측에 위치하는 힌지부(19)를 매개로 하여 입구 형성 부재(12)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입구 형성 부재(12)와 스토퍼(18)와의 사이에는, 예를 들면 고무나 엘라스토머 등의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가압 부재(20)가 배치되어 있다. 가압 부재(20)는, 스토퍼(18)의 입구 형성 부재(12)와 대향하는 면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가압 부재(20)에 대해서는, 상술한 탄성 부재 대신에, 코일 스프링 등의 스프링 부재를 이용해도 된다.
가압 부재(20)는, 스토퍼(18)의 선단측을 전방을 향하여 회동시켰을 때에, 스토퍼(18)와 입구 형성 부재(12)와의 사이에서 압축되는(탄성 변형되는) 것에 의해서, 스토퍼(18)를 후방을 향하여 가압한다. 또한, 스토퍼(18)의 상단(선단)부에는, 이 스토퍼(18)를 손가락으로 회동 조작하기 쉽게 하기 위한 조작부(18a)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탈착 기구(15)는, 캡 본체(7)의 전측에 제1 피(被)걸림부(21)와, 캡 본체(7)의 후측에 제2 피걸림부(22)를 가지고 있다. 제1 피걸림부(21) 및 제2 피걸림부(22)는, 상벽부(7c)의 개구부(7b)에 따른 전후 위치에, 각각 마련된 단차부로 이루어진다.
탈착 기구(15)에서는, 제1 피걸림부(21)에 대해서 제1 클로부(16)를 위치 결정한 상태에서, 캡 본체(7)의 개구부(7b)의 내측에, 입구 형성 부재(12)를 하측으로부터 끼워넣는다. 이때, 캡 본체(7)의 상벽부(7c)의 하면에 한 쌍의 상측 플랜지부(12d)가 맞닿아진 상태가 된다. 또한, 제1 클로부(16)가 제1 피걸림부(21)에 걸려진다.
또한, 제2 클로부(17)가 캡 본체(7)의 개구부(7b)의 가장자리에 맞닿으면서, 제2 클로부(17)가 개구부(7b)의 가장자리를 타고 넘는 것에 따라서, 스토퍼(18)의 선단측이 전방을 향하여 회동한 후에, 스토퍼(18)의 선단측이 후방의 원래의 위치로 복귀함과 동시에, 제2 클로부(17)가 제2 피걸림부(22)에 걸려진다.
이것에 의해, 입구 형성 부재(12)는, 캡 본체(7)의 개구부(7b)에 장착된 상태가 된다. 또한, 입구 형성 부재(12)가 장착됨과 동시에, 캡 본체(7)의 개구부(7b)로부터 주둥이부(12e)가 외측(상방)을 향하여 돌출된 상태가 된다.
한편, 탈착 기구(15)에서는, 스토퍼(18)의 조작부(18a)를 전방을 향하여 회동시키는 조작에 의해서, 제2 피걸림부(22)에 대한 제2 클로부(17)의 걸림 상태를 해제한다. 이것에 의해, 제1 피걸림부(21)에 대한 제1 클로부(16)의 걸림 상태를 해제하면서, 캡 본체(7)의 개구부(7b)의 하측에서 입구 형성 부재(12)를 떼어내는 것이 가능하다.
입구 형성 부재(12)가 장착된 캡 본체(7)는, 용기 본체(2)의 구경부(2c)에 장착되는 것에 의해서, 입구 형성 부재(12)가 상부 개구부(2d)로부터 용기 본체(2)의 내측으로 끼워넣어진 상태에서, 용기 본체(2)의 상부 개구부(2d)를 폐색한다.
입구 형성 부재(12)의 하측 플랜지부(12c)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캡 본체(7)의 상부 개구부(2d)로부터 용기 본체(2)의 내측으로 끼워넣어지는 부분이고, 그 상부측의 외주면에는, 일방의 감합(嵌合)부가 되는 링 모양의 감합 오목부(24)가 전체 둘레에 걸쳐 마련되어 있다.
입구 형성 부재(12)의 감합 오목부(24)에는, 지수 패킹(23)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지수 패킹(23)은, 장출부(6)(용기 본체(2))와 입구 형성 부재(12)(캡 본체(7))와의 사이를 밀폐하기 위한 링 모양의 씰 부재이다. 지수 패킹(23)은,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나 불소 고무 등의 내열성을 가지는 고무나 엘라스토머 등의 탄성 부재로 이루어진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지수 패킹(23)으로서, 불소 고무로 이루어지는 탄성 부재를 이용하고 있다. 불소 고무는, 내약품성이 뛰어나고, 내용물에 의한 악취 등이 잘 배지 않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불소 고무로서는, 예를 들면, 플루오르화 비닐리덴계(FKM)나,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프로필렌계(FEPM),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비닐에테르계(FFKM)등의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지수 패킹(23)은, 도 1,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타방의 감합부로서 감합 오목부(24)에 감합되는 링 모양의 감합 볼록부(23a)를 가지고 있다. 지수 패킹(23)은, 이 감합 볼록부(23a)를 감합 오목부(24)에 감합시키는 것에 의해서, 입구 형성 부재(12)(캡 본체(7))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한편, 지수 패킹(23)은, 그 자체를 탄성 변형시키는(인장하여 늘리는) 것에 의해서, 감합 오목부(24)(입구 형성 부재(12))로부터 떼어내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지수 패킹(23)과 입구 형성 부재(12)를 각각 따로따로 세정할 수 있어, 지수 패킹(23)과 입구 형성 부재(12)와의 사이를 위생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감합 오목부(24)는, 그 바닥측으로부터 개구측을 향하여 점차 폭이 넓어지는 테이퍼 형상을 가지고 있다. 한편, 감합 볼록부(23a)는, 감합 오목부(24)에 대응한 형상으로서, 그 기단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하여 점차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가지고 있다.
지수 패킹(23)은, 감합 오목부(24) 및 감합 볼록부(23a)를 이와 같은 테이퍼 형상으로 함으로써, 입구 형성 부재(12)의 감합 오목부(24)에 대해서 착탈되기 쉽게 되어 있다. 특히, 상술한 불소 고무로 이루어지는 지수 패킹(23)을 이용한 경우에는, 불소 고무가 실리콘 고무에 비해 늘어나기 어려운 재질이기 때문에, 감합 오목부(24) 및 감합 볼록부(23a)를 이와 같은 테이퍼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수 패킹(23)은, 감합 볼록부(23a)의 외주면으로부터 확경(擴徑, 지름 확대) 방향으로 전체 둘레에 걸쳐 돌출된 탄성 플랜지부(23b)와, 감합 볼록부(23a)와 탄성 플랜지부(23b)와의 사이로부터 하방으로 전체 둘레에 걸쳐 돌출된 탄성 슬리브부(23c)를 가지고 있다.
이 중, 탄성 플랜지부(23b)는, 장출부(6)의 입구측의 면에 맞닿아지는 부분으로, 감합 볼록부(23a)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하단측에 위치하고 있다.
한편, 탄성 슬리브부(23c)는, 장출부(6)의 정상(頂上)측의 면에 맞닿아지는 부분으로, 감합 볼록부(23a)의 하면과 탄성 플랜지부(23b)의 하면과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탄성 슬리브부(23c)의 내주면은, 감합 볼록부(23a)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내주(內周)측을 개방한 상태로 완만하게 연속해서 마련되어 있다.
또한, 탄성 슬리브부(23c)는, 그 하방을 향하여 점차 확경된 테이퍼 형상을 가지고 있다. 이것에 의해, (탄성 플랜지부(23b)의 외경)>(장출부(6)의 내경)>(탄성 슬리브부(23c)의 외경)이라고 하는 관계가 성립되어 있다.
지수 패킹(23)은, 용기 본체(2)에 캡 본체(7)가 장착되었을 때에, 용기 본체(2)의 장출부(6)에 맞닿아지는 것에 의해서, 탄성 변형하면서 장출부(6)에 전체 둘레에 걸쳐 밀착된 상태가 된다. 구체적으로는, 탄성 플랜지부(23b)의 하면이 장출부(6)의 입구측의 면에 접촉하면서, 탄성 슬리브부(23c)의 외주면이 장출부(6)의 정상측의 면에 접촉한 상태가 된다.
이때, 지수 패킹(23)은, 탄성 플랜지부(23b)가 장출부(6)의 입구측의 면을 따라서 탄성 변형하는 것에 의해서, 탄성 슬리브부(23c)의 외주면이 장출부(6)의 정상측의 면에 접촉하는 방향을 향하여 탄성 슬리브부(23c)를 탄성 변위시킨다. 그 결과, 장출부(6)의 입구측의 면을 따라서 탄성 플랜지부(23b)가 상방으로 들어 올려지고, 그것에 추종하도록 탄성 슬리브부(23c)가 확경 방향으로 넓어져, 장출부(6)의 정상측의 면으로 밀어 붙여진 상태가 된다. 이것에 의해, 지수 패킹(23)을 장출부(6)에 밀착시키면서, 장출부(6)(용기 본체(2))와 입구 형성 부재(12)(캡 본체(7))와의 사이의 밀폐성을 양호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지수 패킹(23)에 대해서는, 상술한 탄성 슬리브부(23c)가 하방을 향하여 점차 확경된 테이퍼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탄성 슬리브부(23c)의 형상에 대해서는, 탄성 플랜지부(23b)가 장출부(6)의 입구측의 면을 따라서 탄성 변형하는 것에 의해서, 탄성 슬리브부(23c)를 장출부(6)의 정상측의 면에 접촉하는 방향을 향하여 탄성 변위시키는 형상이면 된다.
덮개체(9)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캡 본체(7)의 상부를 폐색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PP) 등의 내열성 수지로 이루어진다. 덮개체(9)는, 캡 본체(7)의 둘레벽부(7a)와 연속하도록 대략 원통 모양으로 형성된 둘레벽부(9a)와, 둘레벽부(9a)의 천면(天面)을 덮는 천벽부(天壁部)(9b)를 가지고 있다.
덮개체(9)의 내측에는, 입구 형성 부재(12)의 내측으로 끼워넣어지는 마개 폐쇄 부재(25)가 마련되어 있다. 마개 폐쇄 부재(25)는, 천벽부(9b)의 하면측의 대략 중앙부에 감합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
마개 폐쇄 부재(25)의 외주부에는, 입구 형성 부재(12)의 통액구(13) 및 통기구(14)를 폐색하는 덮개 패킹(26)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덮개 패킹(26)은, 입구 형성 부재(12)와 마개 폐쇄 부재(25)와의 사이를 밀폐하기 위한 마개 모양의 씰 부재이다. 덮개 패킹(26)은,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고, 이 탄성 부재에는, 상기 지수 패킹(23)과 동일한 재질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덮개 패킹(26)은, 마개 폐쇄 부재(25)의 외주부를 덮도록 마개 폐쇄 부재(25)에 끼워 장착되어 있다. 또한, 덮개 패킹(26)에는, 통액구(13)에 맞닿아지는 대략 돔 모양의 제1 마개부(26a)와, 통기구(14)에 맞닿아지는 대략 원기둥 모양의 제2 마개부(26b)가 마련되어 있다.
덮개 패킹(26)은, 입구 형성 부재(12)의 내측으로 끼워넣어졌을 때에, 탄성 변형하면서 제1 마개부(26a)가 통액구(13)의 주위에 밀착된 상태에서 통액구(13)를 폐색함과 아울러, 제2 마개부(26b)가 통기구(14)의 주위에 밀착된 상태에서 통기구(14)를 폐색한다. 이것에 의해, 입구 형성 부재(12)와 마개 폐쇄 부재(25)와의 사이를 밀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덮개체(9)와 힌지부(8)와의 사이에는, 가압 부재(27)가 마련되어 있다. 가압 부재(27)는, 예를 들면 고무나 엘라스토머 등으로 이루어지는 링 모양의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고, 덮개체(9)와 힌지부(8)와의 사이에서 걸림 멈춤되어 있다.
덮개체(9)는, 이 가압 부재(27)에 의해서, 입구 형성 부재(12)의 통액구(13) 및 통기구(14)를 개방하는 방향(개방 방향)으로 가압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가압 부재(27)에 대해서는, 상술한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비틀림 코일 스프링 등의 스프링 부재를 힌지부(8)의 내측에 마련하는 것에 의해서, 덮개체(9)를 개방 방향으로 가압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캡 유닛(1)은, 덮개체(9)가 캡 본체(7)의 상부를 폐색하는 위치(이하, 폐색 위치라고 함)에서, 캡 본체(7)에 대해서 덮개체(9)를 고정하는 덮개 락 기구(28)를 구비하고 있다.
덮개 락 기구(28)는, 캡 본체(7)에 힌지부(29)를 매개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락 부재(30)와, 캡 본체(7)에 힌지부(29)를 매개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링 스토퍼(31)를 가지고 있다.
락 부재(30)는, 캡 본체(7)(둘레벽부(7a))의 전측에 마련된 힌지부(29)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락 부재(30)는, 힌지부(29)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제1 암부(30a)와, 힌지부(29)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제2 암부(30b)를 가지고 있다.
제1 암부(30a)의 선단(락 부재(30)의 상단)에는, 훅부(32)가 후방을 향하여 돌출되어 마련되어 있다. 제2 암부(30b)와 둘레벽부(7a)와의 사이에는, 예를 들면 코일 스프링 등의 스프링 부재로 이루어지는 가압 부재(33)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가압 부재(33)에 대해서는, 상술한 스프링 부재 대신에, 예를 들면 고무나 엘라스토머 등의 탄성 부재를 이용해도 된다.
링 스토퍼(31)는, 일부가 개방된 링 모양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그 양단이 힌지부(29)의 외측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링 스토퍼(31)는,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덮개 락 기구(28)는, 락 부재(30)의 훅부(32)가 걸려지는 락 받이부(34)와, 링 스토퍼(31)가 걸림 멈춤되는 스토퍼 받이부(35)를 가지고 있다. 락 받이부(34)는, 덮개체(9)(둘레벽부(9a))의 전측의 하단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클로부로 이루어진다. 스토퍼 받이부(35)는, 링 스토퍼(31)의 내측에 대응한 형상으로, 락 받이부(클로부)(34)의 주위를 둘러싸는 위치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벽부로 이루어진다.
덮개 락 기구(28)에서는, 덮개체(9)가 캡 본체(7)의 상부를 폐색했을 때에, 락 부재(30)의 훅부(32)가 락 받이부(34)에 걸려지는 것에 의해서, 덮개체(9)가 캡 본체(7)의 상부를 폐색한 상태가 유지된다.
이 상태로부터, 락 부재(30)의 제2 암부(30b)측을 가압 부재(33)의 가압에 저항하여 압압(押壓) 조작하는 것에 의해서, 락 받이부(34)에 대한 훅부(32)의 걸림 상태가 해제된다. 이것에 의해, 가압 부재(27)에 의해 가압된 덮개체(9)를 개방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덮개 락 기구(28)에서는, 덮개체(9)가 캡 본체(7)의 상부를 폐색했을 때에, 링 스토퍼(31)가 스토퍼 받이부(35)에 걸림 멈춤되는 것에 의해서, 덮개체(9)의 개방 방향으로의 회동이 저지된다. 이것에 의해, 덮개 락 기구(28)에서는, 락 부재(30)의 불필요한 조작에 의해서 덮개체(9)가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1)을 구비한 캡 부착 용기(100)에서는, 상술한 탄성 슬리브부(23c)의 내주면이 감합 볼록부(23a)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내주측을 개방한 상태로 완만하게 연속해서 마련되어 있다. 이 경우, 감합 볼록부(23a)의 하면으로부터 탄성 슬리브부(23c)의 내주면에 걸쳐 틈새가 형성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이 틈새에 음료가 고이거나, 고형물이 끼이는 것과 같은 일이 없어 위생적이다. 또한, 지수 패킹(23)을 세정하기 쉽게 하고, 건조도 하기 쉽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오염물이 내주면에 남는 일이 없어 위생적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1)을 구비한 캡 부착 용기(100)에서는, 예를 들면 탄산음료나 탄산수, 맥주, 발포주 등의 탄산이 들어간 음료를 용기 본체(2) 내에 수용했을 경우, 탄산 가스에 의해, 밀폐된 용기 본체(2) 내의 압력이 상승한다.
이때, 지수 패킹(23)은, 탄성 플랜지부(23b)의 하면이 장출부(6)의 입구측의 면에 접촉하면서, 탄성 슬리브부(23c)의 외주면이 장출부(6)의 정상측의 면에 접촉한 상태가 됨으로써, 장출부(6)에 전체 둘레에 걸쳐 밀착된 상태가 된다.
또한, 지수 패킹(23)은, 탄성 플랜지부(23b)가 장출부(6)의 입구측의 면을 따라서 탄성 변형하는 것에 의해서, 탄성 슬리브부(23c)의 외주면이 장출부(6)의 정상측의 면에 접촉하는 방향을 향하여 탄성 슬리브부(23c)를 탄성 변위시킨다. 그 결과, 장출부(6)의 입구측의 면을 따라서 탄성 플랜지부(23b)가 상방으로 들어 올려지고, 그것에 추종하도록 탄성 슬리브부(23c)가 확경 방향으로 넓어져, 장출부(6)의 정상측의 면으로 밀어 붙여진 상태가 된다.
특히, 용기 본체(2) 내의 압력이 상승했을 경우에는, 탄성 슬리브부(23c)가 그 압력을 받아 더욱 확경 방향으로 넓어지기 때문에, 보다 강하게 장출부(6)의 정상측의 면으로 밀어 붙여지게 된다.
이것에 의해,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1)을 구비한 캡 부착 용기(100)에서는, 탄산이 들어간 음료를 용기 본체(2) 내에 수용한 경우라도, 지수 패킹(23)을 장출부(6)에 밀착시키면서, 장출부(6)(용기 본체(2))와 입구 형성 부재(12)(캡 본체(7))와의 사이의 밀폐성을 양호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지수 패킹(23)과 장출부(6)와의 사이로부터 탄산 가스나 음료가 누출되거나, 지수 패킹(23)이 말려 올라가거나 하는 것을 막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1)에서는, 상술한 지수 패킹(23)의 세정성이 뛰어나고, 또한, 이 지수 패킹(23)에 의한 밀폐성을 양호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캡 부착 용기(100)에서는, 이와 같은 캡 유닛(1)을 구비하는 것에 의해서, 사용 편의성의 한층 더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의 것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캡 유닛(1)에서는, 상술한 입구 형성 부재(12)에 마련된 일방의 감합부가 되는 감합 오목부(24)와, 지수 패킹(23)에 마련된 타방의 감합부가 되는 감합 볼록부(23a)와의 감합에 의해서, 입구 형성 부재(12)(캡 본체(7))에 대해서 지수 패킹(23)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일방의 감합부 및 타방의 감합부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캡 유닛(1A, 1B)과 같은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중, 도 6에 나타내는 캡 유닛(1A)에서는, 입구 형성 부재(12)에 마련된 일방의 감합부가 되는 감합 볼록부(24a)와, 지수 패킹(23)에 마련된 타방의 감합부가 되는 감합 오목부(23d)와의 감합에 의해서, 입구 형성 부재(12)(캡 본체(7))에 대해서 지수 패킹(23)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한편, 도 7에 나타내는 캡 유닛(1B)에서는, 상기 도 6에 나타내는 감합 볼록부(24a) 및 감합 오목부(23d)의 구성에 더하여, 입구 형성 부재(12)에 장착된 지수 패킹(23)의 상면과 접촉하는 링 모양의 플랜지부(24b)가 입구 형성 부재(12)(캡 본체(7))에 마련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캡 유닛(1)에 대해서는, 캡 본체(7)가 용기 본체(2)에 나사 결합에 의해 장착된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이와 같은 구성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캡 유닛(1)에 대해서는, 상부 개구부(2d)로부터 용기 본체(2)의 내측에 입구 형성 부재(12)가 끼워넣어진 상태에서, 이 입구 형성 부재(12)가 용기 본체(2)에 나사 결합에 의해 장착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 구성의 경우, 상술한 암나사부(10) 및 수나사부(11) 대신에, 구경부(2c)의 내주면에 마련된 암나사부와, 입구 형성 부재(12)의 둘레벽부(12b)에 마련된 수나사부와의 나사 결합에 의해서, 용기 본체(2)에 대해서 캡 본체(7)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캡 유닛(1)에 대해서는, 캡 본체(7)에 힌지부(8)를 매개로 하여 덮개체(9)가 개폐 가능하게 장착된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이와 같은 구성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용기 본체(2)의 상부 개구부(2d)를 캡 본체(7)가 직접 개폐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 구성의 경우, 캡 본체는, 용기 본체의 상부 개구부를 덮는 외부 덮개와, 상부 개구부로부터 용기 본체의 내측으로 끼워넣어지는 중간 마개를 가지며, 캡 본체에 대해서 중간 마개 또는 외부 덮개가 나사 결합에 의해 장착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지수 패킹(23)은, 중간 마개의 외주부에 장착된 구성으로 하면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탄산이 들어간 음료를 용기 본체(2) 내에 수용하는 경우에 적합하게 이용되는 음료용 용기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용기 본체에 수용되는 음료(액체)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진공 단열 구조를 가지는 용기 본체(2)에 의해서 보냉 기능(또는 보온 기능)을 갖게 한 음료용 용기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용기 본체와, 용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캡 유닛을 구비한 캡 부착 용기에 대해서, 본 발명을 폭넓게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100…캡 부착 용기 1, 1A, 1B…캡 유닛
2…용기 본체 3…외부 용기
4…내부 용기 5…진공 단열층
6…장출부 7…캡 본체
9…덮개체 10…암나사부
11…수나사부 12…입구 형성 부재
13…통액구 14…통기구
15…탈착 기구 23…지수 패킹
23a…감합 볼록부(타방의 감합부) 23b…탄성 플랜지부
23c…탄성 슬리브부 23d…감합 오목부(타방의 감합부)
24…감합 오목부(일방의 감합부) 24a…감합 볼록부(일방의 감합부)
24b…플랜지부 25…마개 폐쇄 부재
28…덮개 락 기구

Claims (9)

  1. 상부가 개구된 용기 본체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캡 유닛으로서,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 개구부를 폐색(閉塞)하는 캡 본체와,
    상기 캡 본체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용기 본체와 상기 캡 본체와의 사이를 밀폐하는 지수(止水) 패킹을 구비하고,
    상기 캡 본체는, 상기 상부 개구부로부터 상기 용기 본체의 내측으로 끼워넣어지는 부분의 외주면에 링 모양의 일방의 감합부를 가지고,
    상기 지수 패킹은, 상기 용기 본체에 상기 캡 본체가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내측으로부터 전체 둘레에 걸쳐 돌출된 장출부(張出部)에 맞닿아지는 링 모양의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일방의 감합부에 감합되는 링 모양의 타방의 감합부와, 상기 타방의 감합부의 외주면으로부터 확경(擴徑) 방향으로 전체 둘레에 걸쳐 돌출된 탄성 플랜지부와, 상기 타방의 감합부와 상기 탄성 플랜지부와의 사이로부터 하방으로 전체 둘레에 걸쳐 돌출된 탄성 슬리브부를 가지고,
    상기 탄성 플랜지부의 하면이 상기 장출부의 입구측의 면에 접촉하면서, 상기 탄성 슬리브부의 외주면이 상기 장출부의 정상(頂上)측의 면에 접촉한 상태가 되고,
    상기 탄성 슬리브부의 내주면은, 상기 타방의 감합부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속해서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수 패킹은, 상기 탄성 플랜지부가 상기 장출부의 입구측의 면을 따라서 탄성 변형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탄성 슬리브부의 외주면이 상기 장출부의 정상측의 면에 접촉하는 방향을 향하여 상기 탄성 슬리브부를 탄성 변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 슬리브부는, 그 하방을 향하여 점차 확경된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플랜지부는, 상기 타방의 감합부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하단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의 감합부는, 그 바닥측으로부터 개구측을 향하여 점차 폭이 넓어지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타방의 감합부는, 그 기단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하여 점차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불소 고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에 대해서 상기 캡 본체가 나사 결합에 의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캡 유닛과,
    상기 캡 유닛이 장착된 용기 본체를 구비하는 캡 부착 용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는, 진공 단열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부착 용기.
KR1020220034266A 2021-03-26 2022-03-18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 KR202201344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053034 2021-03-26
JPJP-P-2021-053034 2021-03-26
JPJP-P-2021-201746 2021-12-13
JP2021201746A JP2022151562A (ja) 2021-03-26 2021-12-13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4451A true KR20220134451A (ko) 2022-10-05

Family

ID=83375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4266A KR20220134451A (ko) 2021-03-26 2022-03-18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20134451A (ko)
CN (1) CN115123675A (ko)
TW (1) TWI812115B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87084B2 (ja) 1997-05-09 2005-08-24 サーモス株式会社 液体容器用栓体
JP2016169042A (ja) 2015-03-14 2016-09-23 パール金属株式会社 蓋付断熱容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8408B2 (ja) * 1998-03-04 2001-08-13 日本酸素株式会社 保温容器
JP3636143B2 (ja) * 2002-02-15 2005-04-06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液体保温容器
JP4939632B2 (ja) * 2010-05-31 2012-05-30 スケーター株式会社 飲料容器
TWM528706U (zh) * 2016-01-18 2016-09-21 Pao Feng Internat Trading Co Ltd 具有餐具的保溫容器
JP6509783B2 (ja) * 2016-06-10 2019-05-08 サーモス株式会社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飲料用容器
US10974889B2 (en) * 2018-06-13 2021-04-13 CamCal Enterprises, LLC Beverage container enclosure
JP7005554B2 (ja) * 2019-05-10 2022-02-04 サーモス株式会社 蓋付き容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87084B2 (ja) 1997-05-09 2005-08-24 サーモス株式会社 液体容器用栓体
JP2016169042A (ja) 2015-03-14 2016-09-23 パール金属株式会社 蓋付断熱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237493A (zh) 2022-10-01
CN115123675A (zh) 2022-09-30
TWI812115B (zh) 2023-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16589B1 (en) Positive-sealing bottle cap
US6702137B1 (en) Plug structure for liquid container
US20190135502A1 (en) Vacuum insulated beverage container with removable cup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JP2020029307A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飲料用容器
MX2007010639A (es) Cerradura de plastico de multiples partes.
TW201806830A (zh) 飲料用容器及其瓶蓋結構
JP3158283U (ja) 飲料用容器の蓋体及びこれを有する飲料用容器
KR20220134451A (ko)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
JP7445794B2 (ja) 蓋付き容器
JP2007176555A (ja) 飲料用容器
KR20210042025A (ko)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
JP4939632B2 (ja) 飲料容器
JP2021187450A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JP2022151562A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JP3620039B2 (ja) 液体容器の栓体
JP2023041197A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RU2672608C2 (ru) Крыше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нтейнера с напитком
TWI815586B (zh) 蓋組件及飲料容器
JP7476011B2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KR20220128251A (ko)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
JP5476417B2 (ja) 飲料用容器の蓋体及びこれを有する飲料用容器
KR200230242Y1 (ko) 컵 겸용 음료용기 뚜껑
KR101776035B1 (ko) 용기 조임장치 및 탄산가스 누출 방지방법
KR200319828Y1 (ko) 캔용기용 마개
JP2022140221A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