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2411B1 -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 Google Patents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2411B1
KR101442411B1 KR1020130047397A KR20130047397A KR101442411B1 KR 101442411 B1 KR101442411 B1 KR 101442411B1 KR 1020130047397 A KR1020130047397 A KR 1020130047397A KR 20130047397 A KR20130047397 A KR 20130047397A KR 101442411 B1 KR101442411 B1 KR 101442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id
closed
handl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7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 마쓰야마
마모루 후지타
Original Assignee
서어모스 케이.케이.
써모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어모스 케이.케이., 써모스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어모스 케이.케이.
Priority to KR1020130047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24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2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24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7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manual actuation of the closure or other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57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made separately from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B65D47/0876Hinges without elastic bias
    • B65D47/088Hinges without elastic bias located at an edge of the base element
    • B65D47/0885Hinges without elastic bias located at an edge of the base element one part of the hinge being integral with the hinged closure and the other part with the base element, without any other additional hinge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3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means for venting

Abstract

뚜껑이 오조작 등에 의해 쉽게 열리는 일이 없고, 또한 잠금기구의 조작과 닫힌 상태가 명확하여, 스트로 용기에 있어서의 스트로 선단으로부터의 내용물의 비산을 억제한다.
개폐 가능한 뚜껑(7)을 축으로 지지한 마개체 본체(11)와, 뚜껑(7)을 닫힌 상태로 유지 및 해제 가능하게 배치된 걸어멈춤부(8)와, 마개체 본체(11)에 걸어 맞춰진 음용구 부재(22)와, 용기 개구(3)에 접촉하여 용기 본체를 폐색하는 폐색 부재(14)를 설치한다. 폐색 부재(14)는, 마개체(4)에 축으로 지지된 회동 핸들 부재(26)의 끼워맞춤부 근방에 있는 마개체 본체(11)를 관통하는 구멍(34)에 걸어 맞춰지고, 또한 관통되어 있는 부분에는 통기구멍(35b)이 형성되어 있어, 뚜껑(7)이 닫힌 상태일 때에는 통기구멍(35b)은 닫힌 상태이고, 회동 핸들 부재(26)가 둘레방향으로 회동되는 과정에서, 통기구멍(35b)이 일시적으로 개방 상태가 되어, 회동 핸들 부재(26)를 더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다시 닫힌 상태가 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닫힌 상태를 명확하게 하여, 통기구멍(34)의 닫힘, 열림, 닫힘의 동작시간을 확실히 지연시킨다.

Description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CAP OF DRINK CONTAINER}
본 발명은,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음료용 용기에 있어서, 용기 본체내에 비교적 높은 온도의 액체가 수용되어 있는 경우에는, 용기 본체내의 내압이 높아지거나 스트로(straw) 중에 모인 음료가 바깥에서 들어오는 공기에 밀려 나오는 것에 의해, 뚜껑을 열 때에 내용액이 스트로 부재를 통하여 외부로 튀어나와, 의복 등을 더럽혀 버리는 일이 있었다. 이러한 위험을 해소하기 위해서, 레버를 회동(回動)시키는 것에 의해 통기구멍을 닫고, 열고, 닫는 조작을 하는 것에 의해, 내압 개방 및 스트로 부재내의 내용액과 공기와의 치환 현상을 없게 함으로써 스트로 선단(先端)으로부터의 내용액의 비산(飛散)을 없애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또한, 액체 음료가 수용되는 용기 본체와, 이 용기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용기 본체내에 삽입되는 스트로를 통과하는 스트로 구멍이 중심보다 한쪽으로 어긋난 위치에 형성된 베이스 부재와, 이 베이스 부재의 상기 스트로 구멍과는 반대의 위치에 설치한 베어링부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축에 멈춰져, 베이스 부재의 상부를 개폐하는 뚜껑체를 가지고 있고,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베어링부에 관통구멍을 가지고, 이 베어링부에 배치한 레버를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관통구멍을 개폐하는 구성으로 하고, 레버를 회동 조작함으로써, 통기구멍이 되는 관통구멍을 열어, 용기 본체의 압력을 뽑아낼 수 있는 베이스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관통구멍은, 스트로 구멍의 근방에 형성하지 않고, 베이스 부재의 중심에 관하여, 이것과는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용기 본체내의 음료의 액면은, 이 통기구멍인 관통구멍에 도달하는 일이 없으므로, 액체가 외부에 새는 일 없이, 용기 본체내에 예를 들면 고온의 액체에 의한 기압 상승이 있어도, 공기만 관통구멍으로부터 외부로 통과시키는 음료 용기도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공보 제469909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345742호
그러나, 종래 기술과 같은 음료 용기의 마개체에서는, 사용자가, 뚜껑을 닫힌 상태로 유지하는 걸어멈춤부재의 잠금기구의 조작 방법, 또는 마개체에 관한 닫힌 상태를 알아보는 것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소위 스트로 용기는 그의 형상으로부터 개구부가 작기 때문에, 내용물을 마시기 위해서 뚜껑을 열 때 내부의 공기층의 압력을 해방하지 않으면, 내압에 의해서 내용물 심부(深部)까지 삽입되어 있는 스트로로부터 내용물이 튀어나올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스트로 용기는 일반적인 개구부를 개방하기 전에, 공기층과 개통되어 있는 통기구멍을 개방하고 내압을 낮추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스트로 용기 개방 조작시, 스트로 개구부가 닫힌 상태인 채로 통기구멍을 열고, 내압을 낮춘 후에 통기구멍을 다시 닫지 않으면, 스트로 내부에 공기와 내용물이 남아 있는 경우, 스트로 내부에 내용물이 치환되어, 원래 스트로 내부에 잔존하는 내용물이 스트로 개구부 개방시에 개구부로부터 튀어나오는 문제가 있었다.
이 때문에, 스트로 개구부로부터의 내용물의 비산을 없애기 위해, 스트로 용기 개방시는, 스트로 개구부가 닫힌 상태인 채로 통기구멍은 닫힘, 열림, 닫힘의 동작이 행해져서, 그 후 스트로 개구부가 개방이 되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통기구의 닫힘, 열림, 닫힘의 동작이 너무 빠르면, 충분히 압력이 개방되지 않는 문제도 있다.
또한, 스트로 개구부의 개방 상태 및 통기구멍이 닫힌 상태인 채로는, 내용물을 마실 때, 용기 내부의 공기층이 감압되어, 생각하는 것처럼 내용물을 빨아낼 수 없다. 이 때문에, 내용물을 빨아낼 때, 용기 내부가 부압(負壓)이 되어 감압(減壓) 상태가 되었을 때에, 용기 외부로부터 공기가 들어가도록 역지 밸브(check valve)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것에 의해, 본 발명에서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는, 뚜껑이 오조작 등에 의해 쉽게 열리는 일이 없고, 또한 잠금기구의 조작, 또는 마개체에 관한 닫힘(잠금) 상태가 명확하고, 또한 통기구멍의 닫힘, 열림, 닫힘의 동작시간을 확실히 지연시킴으로써, 스트로 용기에 있어서의 스트로 선단으로부터의 내용물의 비산을 없애는 것이다.
또한, 음료 용기의 휴대용으로서, 손잡이 끈 형상의 스트랩 등을 끼워 맞추게 하기 위해서, 수지편 등을 설치할 필요가 있었지만, 회동 핸들 부재를 유지 또는 휴대 가능하게 하여, 부품 점수의 삭감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청구항 1의 발명의 음료 용기의 마개체는, 용기 본체의 용기 개구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개폐 가능한 뚜껑을 축으로 지지한 마개체 본체와, 상기 뚜껑을 닫힌 상태로 유지 및 해제 가능하게 배치된 걸어멈춤부(係止部)와, 상기 마개체 본체에 걸어 맞춰지며 탄성 재료로 형성된 음용구 부재와, 상기 마개체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용기 개구와 접촉하여 상기 용기 본체를 폐색(閉塞)하는 폐색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폐색 부재는, 상기 마개체에 축으로 지지된 회동(回動) 핸들 부재의 끼워맞춤부(嵌合部) 근방에 있는 마개 본체를 관통하는 구멍에 걸어 맞춰지고, 또한 관통되어 있는 부분에는 통기구멍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뚜껑이 닫힌 상태일 때에는 상기 통기구멍은 닫힌 상태이고, 상기 회동 핸들 부재가 둘레방향으로 회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통기구멍이 일시적으로 개방 상태가 되어, 상기 회동 핸들 부재를 더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다시 닫힌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의 발명의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는,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뚜껑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회동 핸들 부재가 상기 걸어멈춤부의 전면(前面)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의 발명의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는, 청구항 1 내지 2에 있어서, 상기 회동 핸들 부재는, 상기 뚜껑이 닫힌 상태로 그 뚜껑의 회동을 방해하도록, 상기 회동 핸들 부재를 축으로 지지하는 위치보다 상기 걸어멈춤부측에 걸어맞춤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동 핸들 부재를 회동하는 것에 의해서 통기구멍을 일시적으로 열린 상태로 하여, 상기 회동 핸들 부재가 더 회동되는 것에 의해, 다시 닫힌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의 발명의 음료용의 마개체는, 청구항 1 내지 3에 있어서, 상기 마개체 본체에 역지 밸브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의 발명에 의하면, 회동 핸들을 축회전(軸回轉)시키는 것에 의해서 일시적으로 통기구멍이 열린 상태가 됨으로써 음료 용기 본체의 압력을 개방하고, 또한 다시 밀폐 상태가 되기 때문에, 뚜껑을 열 때의 스트로 내부의 남은 액체의 비산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통기구멍의 패킹을 폐색 부재와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에 의해서 부품 점수를 감소시켜서 가급적 부품수를 감소시키면서 세정 등에 있어서의 보수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회동 핸들 부재를 상방(上方)에 위치시킴으로써 손잡이 또는 매달기용 핸들로서도 이용할 수 있으므로 편리성의 향상도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회동 핸들을 걸어멈춤부재의 전면에 위치시킴으로써 걸어멈춤부재의 잠금기구가 닫힌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회동 핸들이, 뚜껑의 지지축측에 위치할 때만 개폐 동작이 가능해지므로, 부주의해서 뚜껑이 개폐되는 것을 방지 할수 있다.
또한, 회동 핸들을 뚜껑의 걸어멈춤부측으로부터 지지축측으로 회동 조작할 때에 통기구멍이 개방 상태가 되므로, 뚜껑의 개방시에 있어서의 스트로 선단으로부터의 내용물의 비산을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에 의하면, 역지 밸브를 설치한 것에 의해, 스트로 개구부의 개방 상태에서, 통기구멍이 닫힌 상태이더라도, 스트로로부터 내용물을 연속하여 흡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나타내는 회동 핸들이 걸어멈춤부측에 위치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마개 본체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상기 회동 핸들의 상방 위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통기구멍부재 주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상기 회동 핸들이 뚜껑의 지지축측에 위치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상기 마개 본체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마개 본체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마개체 본체의 역지 밸브 패킹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상기 마개 본체의 통기용 관통구멍 및 역지 밸브용 관통구멍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나타내는 회동 핸들이 상방에 위치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에 있어서의 마개 본체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상기 회동 핸들의 회동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상기 회동 핸들이 뚜껑의 지지축측에 위치하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상기 뚜껑이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마개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형태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에 설명되는 구성의 전부가, 본 발명의 필수 요건이라고는 할 수 없다.
[실시예 1]
도 1 내지 도 9에 있어서, 도 1은 전체로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음료 용기를 나타내고, 금속제 진공 단열형의 용기 본체(2)와, 그 용기 본체(2)의 상부의 용기 개구(3)에 씌워 부착되는 합성수지제의 마개체(4)를 구비하여, 제 1 천정부 (5)의 뒤쪽이 되는 일단측의 상부에 좌우 한 쌍에 설치된 힌지축(6)을 사이에 두고, 대략 반구 형상의 뚜껑(7)의 기단(基端)측이 회동 가능하게 축으로 지지됨으로써, 뚜껑(7)이 뒤집혀져 개폐 가능하게 되도록 설치되어, 그 힌지축(6)의 대향측, 즉 앞쪽에 설치한 훅 형상의 걸어멈춤부(8b)에 의해서 뚜껑(7)을 닫힌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잠금기구(8)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걸어멈춤부(8b)에는, 앞쪽에 나타남과 함께 스프링(9)으로 외측으로 힘이 가해져 있는 조작부(8a)가 일체로 설치되고, 조작부(8a)의 양단에는 측벽부(8c)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고, 뚜껑(7)의 타단측에는 걸어멈춤부(8b)가 걸어멈춰지는 걸어멈춤 받이부(10)가 설치되어 있다.
마개체(4)는, 용기 본체(2)의 용기 개구(3)를 덮는 바닥이 있는 통형상을 거꾸로 뒤집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마개체 본체(11)를 가지고, 이 마개체 본체(11)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12)에 의해서, 용기 본체(2)의 상부 외주면에 설치한 통형상의 수나사(13)에 나사 부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마개체 본체(11)의 천정부 하면(5D,5D')에는,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나 엘라스토머 수지 등의 탄성 부재에 의해서 평면에서 보아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 폐색 부재(14)가 느슨하게 끼워지거나 또는 끼워 맞춰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해서 폐색 부재(14)는, 전역에서 동일 두께를 가지고, 또한 적당한 단단함을 구비하여, 외부로부터 힘이 가해지면, 탄성력에 의해서 조금 변형될 수 있기 때문에, 마개체 본체(11)가 용기 본체(2)의 용기 개구(3)에 장착되면, 해당 용기 개구(3)의 꼭대기부(頂部)가 폐색 부재(14)의 둘레가장자리측 하면에 접촉되고, 이것에 의해서 용기 개구(3)를 확실히 폐색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마개체 본체(11)에는, 잠금기구(8)와 힌지축(6)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천정부(5U)에 음용구 부재 부착구멍(20)이 뚫려 형성되어 있고, 잠금기구(8)와 제 2 천정부(5U)는, 제 1 천정부(5)와의 사이에 단차를 형성하여 고상(高床) 형상을 이루고, 제 1 천정부(5)에 연결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음용구 부재 부착구멍(20)의 하단에는, 부착구멍(15)과 위치결정용 볼록부(16)로 이루어지는 음용구 부재 부착부(17)가 형성되어 있고, 탄성 재료로 형성된 튜브 형상의 음용구부(18)를 구비한 스트로 유닛(19)이 음용구 부재 부착부(17)에 장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스트로 유닛(19)은,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나 엘라스토머 수지 등의 탄성 부재에 의해서 전체가 형성되어, 적당한 단단함을 구비하면서 외부로부터 힘이 가해지면, 조금 변형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음용구 부재로서의 스트로 유닛 (19)은, 음용구부(18)와, 해당 음용구부(18)의 밑부분측부 주변으로부터 외주로 돌출되어 음용구 부재 부착구멍(20)에 걸어멈춤 가능한 걸어맞춤부(21)와, 해당 음용구부(18)의 밑부분과 연이어 통하여 걸어맞춤부(21)로부터 하부로 연장된 원통형상의 내경(內徑) 폭 확대부(18a)로 이루어지는 음용구 부재 본체(22)를 가지고, 해당 내경 폭 확대부(18a)에, 하단이 용기 본체(2)의 안바닥에 거의 도달하는 원통형상의 통부재(23)가 탈착 가능하게 끼워 넣어져 있다.
또한, 스트로 유닛(19)은, 걸어맞춤부(21)의 형상이 부착구멍(15) 및 위치결정용 볼록부(16)의 형상에 대응시켜 형성되어 있고, 음용구 부재 부착구멍(20)의 내주에 있어서의 상하방향으로 내측을 향하여, 즉 중심선 X를 향해서 걸어맞춤부 (21)의 위치결정 오목부(21A)가 위치결정용 볼록부(16)에 위치결정되는 것에 의해서, 해당 걸어맞춤부(21)가 부착구멍(15)에 끼워 맞춰져, 그 결과, 해당 걸어맞춤부(21)의 탄성력에 의해서 음용구 부재 부착부(17)를 폐색시켜, 누름 접합함으로써, 스트로 유닛(19)이 마개체 본체(11)로부터 빠져나와, 떨어지는 것을 저지하고, 또한, 스트로 유닛(19)이 음용구 부재 부착구멍(20)으로부터 상면에의 음료가 새는 것을 억제하게 되어 있다. 이렇게 해서 사용자는, 뚜껑(7)을 연 상태로 하고, 마개체 본체(11)의 외표면으로부터 노출된 음용구부(18)의 선단을 입에 넣어, 스트로 유닛(19)의 음용구부만을 통하여 용기 본체(2)내의 음료를 흡인하여 마실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뚜껑(7)의 이면(裏面)에는 뚜껑(7)을 닫을 때에 다른 쪽으로 하향(下向)하여 판상(板狀) 돌기부(24)가 형성되어 있고, 음용구부(18)를 절곡(折曲)하여 S자 형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서, 뚜껑(7)의 내부 공간에 음용구부(18)를 수납할 수 있는 동시에 음용구부(18)의 연통로(25)를 찌부러뜨려 해당 음용구부(18)로부터 음료가 새어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더하여, 마개체 본체(11)의 제 2 천정부(5U)의 양단측에는, 아암 부(arm part)(26A)를 좌우 한 쌍에 설치한 핸들(26)이, 베어링 구멍(27)을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축으로 지지되어 있다. 또한, 아암 부(26A)에는, 사용시에 끼워서 지지하여 회동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회동용 날밑부(26D)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핸들(26)은, 좌우 한 쌍의 아암 부(26A) 양측의 기단에 서로 마주하는 원통형상의 가설부(架設部)(26B,26C)를 일체적으로 가설하여, 정면에서 보아 U자 형상으로 일체로 형성한 것으로, 천정부(5U)의 양단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회동 중심축 (28)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원통형상의 가설부(26B,26C)의 중심부에는, 각각 수평방향으로 관통되는 베어링 구멍(27)이 뚫려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설부 (26B,26C)의 베어링 구멍(27)의 안쪽에 회동 중심축(28)이 삽입됨으로써, 천정부 (5U) 양단의 회동 중심축(28)을 지지축으로 한 핸들(26)의 회동 조작이 가능해지고 있다.
그리고, 한쪽의 가설부(26B)의 외주면의 기단부에는, 제 1 볼록부(29) 및 제 2 볼록부(30) 사이에 통기용의 절결 오목부(3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천정부(5U)의 양단측에는, 한쪽의 가설부(26B) 및 다른쪽의 가설부(26C)의 하부에, 각각 가설 하단부(32,3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그 가설 하단부(32)의 내주면 하부에는, 중심선 Y상에 상하방향의 통기용 관통구멍(34)이 천공되어 있다.
또한, 상기 통기용 관통구멍(34)에는, 상부에 원기둥 형상의 돌기부(35a)와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통기용의 통기구멍(35b)을 형성한 통기구멍부재(35)가 끼워 맞춰져 있고, 통기구멍부재(35)에는 통기용 관통구멍(34)에 끼워 맞춰질 수 있도록 끼워맞춤 오목부(35c)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통기구멍(35b)을 통하여 용기 본체 (2)의 내부와 외부 공기와는 연이어 통하게 되어 있다. 통기구멍부재(35)는, 마개체 본체(11)와 용기 본체(2)의 용기 개구(3)에 느슨하게 끼워지거나 또는 끼워 맞춰지는 폐색 부재(14)와 단부를 연이어 접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있지만, 마개체 본체(11)의 구성에 따라서는, 폐색 부재(14)와 통기구멍부재(35)는 별도로 구성해도 좋다.
또한, 통기구멍부재(35)는 폐색 부재(14)와 같이,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나 엘라스토머 수지 등의 탄성 재료에 의해서 형성된다.
도 2,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 2 천정부(5U)의 양단측에 회동 가능하게 축으로 지지된 핸들(26)은, 뚜껑(7)이 닫힌 상태일 때에 전면에 위치함으로써, 잠금기구(8)의 조작부(8a)를, 시각적으로 일부를 보이지 않게 하여, 그 잠금기구(8)의 가동 조작을 규제할 수 있다. 또한, 마개체 본체(11)의 제 1 천정부(5)의 양단에 돌출 설치하는 핸들 받이부(5T)에 핸들(26)의 접촉부(26F)를 접촉시킴으로써, 핸들(26)이 전면에 위치했을 때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다.
또한, 핸들(26)을 잠금기구(8)의 전면에 위치시켰을 때에, 사용시에 있어서 용이하게 둘레방향에의 회동 동작을 규제하기 위해, 상기 핸들 받이부(5T)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뚜껑(7)의 단부에 끼워맞춤 볼록부(7S)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끼워맞춤 볼록부(7S)는 핸들(26)의 내주면(26E)에 형성된 끼워맞춤 오목부(5G)와 끼워맞춤 가능하게 끼워부착시킴으로써, 사용시에 핸들(26) 조작의 절도감(節度感)을 얻을 수 있으므로, 상기 핸들(26) 조작에 있어서의 잠금 상태를 명확하고 인식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뚜껑(7)을 연 상태로 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핸들(26)의 회동용 날밑부(26D)를 끼워서 지지하고, 둘레방향으로 회동하는 초기 조작을 개시하면, 뚜껑 (7)의 끼워맞춤 볼록부(7S)와 핸들(26)의 끼워맞춤 오목부(5G)의 끼워맞춤이 해제된다. 그리고, 핸들(26)을 뚜껑(7)의 힌지축(6)측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잠금기구 (8)의 조작부(8a)의 조작이 가능해져, 잠금기구(8)의 걸어멈춤부(8b)와 뚜껑(7)의 걸어멈춤 받이부(10)와의 걸어맞춤을 해제하고, 뚜껑(7)을 전부 연 상태로 할 수 있다.
다음에,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핸들(26)의 회동 조작과 그 핸들(26) 조작에 따라 움직이는 가설부(26B)와의 구성에 대해 그 작용을 설명한다. 좌우 한 쌍의 베어링 구멍(27)에 있어서, 회동 중심축(28)의 둘레면에 있어서의 둘레방향으로, 제 1 볼록부(29), 절결 오목부(31), 제 2 볼록부(30)가 가지런히 형성되어, 뚜껑(7)이 닫힌 상태에서, 핸들(26)을 잠금기구(8)의 전면에 위치시킴으로써, 가설부 (26B)의 제 1 볼록부(29)가 통기구멍부재(35)의 통기구(35U)를 폐색하고, 통기구멍(35b)은 닫힌 상태가 된다. 또한, 핸들(26)을 둘레방향으로 회동시키고, 마개체 본체(11)의 뚜껑(7) 상면에 가동시키면, 제 1 볼록부(29)와 제 2 볼록부(30)와의 중간에 형성된 통기용의 절결 오목부(31)가 하부방향으로 배치되고, 제 1 볼록부 (29)와 통기구(35U)는 비접촉으로 되어 간극(間隙)(G)이 형성된다. 이 결과, 통기구(35U)는 개방되어, 통기구멍(35b)으로부터 간극(G)을 통과하는 배기로(Z)가 형성되고, 용기 본체(2)의 내부는 대기 개방 상태가 된다. 즉, 핸들(26)의 회동에 따라서, 가설부(26B) 통기용의 절결 오목부(31)가 위치한 경우, 통기구멍부재(35)의 통기구(35U)에는, 선택적으로 접촉하지 않는 비접촉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하여, 핸들(26)의 회동 조작시에 있어서의 상기 절결 오목부(31)에 형성한 절결 범위내에서는, 돌기부(35a)의 통기구(35U)와 가설부(26B)는, 비접촉 상태로 되고, 통기구멍부재(35)의 통기구멍(35b)은 일시적으로 개방 상태가 되기 때문에, 용기 본체 (2)의 내부 압력을 개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핸들(26)을, 잠금기구(8)와 대향하는 뚜껑(7)의 힌지축(6)측까지, 더 회동하면, 가설부(26B)의 제 2 볼록부(30)가, 통기구멍부재(35)의 통기구(35U)를 다시 폐색시켜, 닫힌 상태로 함으로써, 용기 본체(2)의 압력 개방을 닫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해, 충분한 시간을 들여 핸들(26) 조작에 의한 통기구멍(35b)의 닫힘 후 열림, 열림 후 닫힘 수단이 형성되는 것에 의해, 통기구멍의 닫힘, 열림, 닫힘의 동작시간을 지연 시킬 수 있기 때문에, 마개체 본체(11)의 뚜껑(7)을 열 때에, 스트로 유닛(19) 내부로부터의 남은 액체의 비산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한쪽의 가설부(26B)에 제 1 볼록부(29)와 제 2 볼록부(30)와의 중간에 형성된 통기용의 절결 오목부(31), 가설 하단부(32)의 내주면 하부에 통기용 관통구멍(34)을 천공하고 있지만, 마개체 본체(11)의 구성이나 사양 등에 따라, 다른쪽의 가설부(26C)측 및 가설 하단부(33)측에 형성해도 좋고, 본 발명의 필수 요건으로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뚜껑(7)을 연 상태로 하는 조작에서는, 상술한 핸들(26)을 잠금기구 (8)와 대향하는 뚜껑(7)의 힌지축(6)측, 상세하게는 마개체 본체(11)의 후면부 (11a)와 핸들(26)의 아암 부(26A)의 선단이 접촉하는 위치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잠금기구(8)내에 있어서의 스프링(9)으로 외측으로 힘이 가해진 훅 형상의 걸어멈춤부(8b)가, 뚜껑(7)의 타단측에 설치된 걸어멈춤 받이부 (10)에 걸어멈춰져, 뚜껑(7)을 닫힌 상태로 유지하고 있어, 잠금기구(8)의 조작부 (8a)를 누름 조작함으로써, 힘이 가해진 스프링(9)이 안쪽으로 가동된다. 그리고, 뚜껑(7)의 타단측에 안쪽을 향하여 돌출 설치되는 걸어멈춤부(8b)와 잠금기구(8)의 상단에 세워 설치한 걸어멈춤 받이부(10)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어, 뚜껑(7)이 전부 열리는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뚜껑(7)을 연 상태로 함으로써, 뚜껑(7)의 안쪽에 절곡되어 수납되어 있던 음용구부(18)는 일점쇄선으로 나타내도록 상승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핸들(26) 조작에 의한 닫힘 후 열림, 열림 후 닫힘 수단이 형성된 슬라이드 구조에 있어서는, 핸들(26)이 잠금기구(8)의 전면 위치 또는, 잠금기구(8)와 대향하는 뚜껑(7)의 힌지축(6)측에 위치한 경우에서는, 통기구멍부재 (35)의 돌기부(35a)가 가설부(26B)의 제 1 볼록부(29), 또는 제 2 볼록부(30)에 접촉 상태가 되어, 통기구(35U)를 폐색 시킨다. 또한, 핸들(26)을 잠금기구(8)의 전면 위치로부터 잠금기구(8)와 대향하는 뚜껑(7)의 힌지축(6)측, 즉 마개체 본체 (11)의 후면부(11a)에 접촉할 때까지의 회동 조작의 행정(行程)에 있어서, 가설부 (26B)의 절결 오목부(31)에 위치하여, 통기구멍부재(35)의 통기구(35U)와는 비접촉 상태로 되는 통기구멍(35b)의 닫힘 후 열림, 열림 후 닫힘 수단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통기구멍(35b)의 통기구(35U)를 임의 조작에 의한 폐색, 개방을 가능하게 하므로, 마개체 본체(11)내의 압력을 충분히 개방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핸들(26)을 회동 조작하는 행정에 있어서, 마개체 본체(11)의 뚜껑(7)의 상면 또는, 그 근방에 위치시킨 상태에서는, 잠금기구(8)의 조작부(8a)를 누름 조작했을 때, 핸들(26)의 내주면(26E)과 뚜껑(7)의 상단면(7U)에는, 뚜껑(7)의 개방 동작을 규제하는 간극 범위가 되는 클리어런스(M)에 의해서, 뚜껑(7)을 전부 연 상태로 하기 위한 충분한 회동공간이 되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사용시에 부주의해서 스트로 유닛(19)이 음용구부(18)에서 튀어나옴을 규제시키고, 나아가서는 용기 본체(2)내의 내용물의 비산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마개체 본체(11)에, 용기 본체(2)의 내압이 대기압 혹은 대기압 이상일 때는 밸브가 닫힌 상태가 되고, 용기 본체(2)의 내압이 부압이 되었을 때에, 자동적으로 밸브가 열려 용기 본체(2)의 안쪽에 외부 공기를 도입하여 내압 감소를 보정하기 위한 평면에서 보아 원고리 형상으로 일체로 형성된 역지 밸브 패킹 부재 (36)를 설치한다. 역지 밸브 패킹 부재(36)는 관통구멍(38)에 돌기(39a)를 끼워맞춤하여, 상면에 돌출 형성되는 돌기 상부(39b)와 밸브 시트(39)로 구성되고, 내부에 밸브 시트(39)를 개폐 가능하게 하는 역지 밸브(40)로 구성된다.
흡기구멍(37)은 관통구멍(38)의 주위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제 1 천정부 (5)의 상면과 천정부 하면(5D')에 관통되어 있고, 측벽부(8c)와 가설 하단부(33)간의 천정부(5)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역지 밸브 패킹 부재(36)는, 관통구멍(38)을 폐색할 수 있도록 돌기 상부(39b)의 외주면에 날밑 형상, 즉 평면에서 보아 원고리 형상으로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서, 상면은, 돌기 상부(39b)가 돌출 형성되게 되어 있고, 하면은, 테이퍼 형상의 밸브 시트(39)가 상부에 누름 접합되도록, 탄성 재료를 함유하여 형성된 역지 밸브 구조가 되어 있다. 또한, 역지 밸브(40)의 밸브가 열려 작동될 때에 있어서, 용기 본체(2)에 외부 공기를 도입할 수 있도록 외부 공기 도입로인 연통구멍(38a)이 관통구멍(38)과 흡기구멍(37)을 통해 형성되어 있다. 실시예에서는, 연통구멍(38a)은 돌기 상부(39b)의 한쪽과 대향하도록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연통구멍(38a)의 선단은 평면에서 보아 약간 폭이 커져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스트로 유닛(19)으로부터 내용물의 흡인에 의해 내압이 감소한 경우에는, 연통구멍(38a)으로부터 외부 공기를 도입하여 내압 감소를 보정함으로써, 통기구멍부재(22)의 통기구멍(35b)이 닫힌 상태이더라도, 연속한 흡인이 가능함과 함께, 용기 본체(2)의 함몰 등이 생길 우려도 없다.
다음에, 상기 구성에 대해 사용시에 있어서의 각 부의 작용 상태를 설명한다. 용기 개구(3)로부터 음료(도시하지 않음)를 용기 본체(2)에 수용한 후, 용기 개구(3)에 마개체 본체(11)를 부착한다.
도 1, 도 2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뚜껑(7)을 닫고 있을 때에는, 잠금기구(8)의 걸어멈춤부(8b)가 뚜껑(7)의 걸어멈춤 받이부(10)에 걸어멈춰져 있고, 핸들(26)이 잠금기구(8)의 전면에 위치하고 있음으로써, 조작부(8a)를 피복하고 있기 때문에 누름 조작할 수는 없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는 통기구멍부재(35)의 통기구(35U)는 가설부(26B)의 제 1 볼록부(29)에 의해 폐색되어 있고, 또한 용기 본체(2)에 차나 우유를 만들 때에 뜨거운 물이 수용된 경우나, 용기 개구(3)에 마개체 본체(11)를 부착할 때, 폐색 부재(14)가 용기 개구(3)에 접촉하고 나서 찌부러질 때까지의 가압에 의해, 용기 본체(2)의 내압이 대기압 이상이 되어도, 역지 밸브(40)를 구성하는 밸브 시트(39)가 천정부 하면(5D')에 접촉됨으로써, 역지 밸브 패킹 부재(36)는 밸브가 닫힌 상태가 되어 있다. 이 결과 용기 본체(2)의 내부는 밀봉 형상이 되어 보온된다.
다음에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회동 중심축(28)을 중심으로 하여 핸들(26)을, 잠금기구(8)의 전면으로부터 둘레방향으로, 뚜껑(7)의 상부까지 회동 조작을 행한다. 이 핸들(26)의 회동에 따라서 통기구멍부재(35)의 통기구 (35U)에 절결 오목부(31)가 대향함으로써, 간극(G)이 형성되어 공기의 배기로(Z)에 의해 통기구멍(35b)은 대기 개방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용기 본체(2)의 내부는 통기구멍(35b)을 통하여 일시적으로 대기 개방이 되고, 내부는 대기압이 되기 때문에, 스트로 선단으로부터 음료가 튀어나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다음에 도 5,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동 중심축(28)을 중심으로 하여 핸들(26)을 마개체 본체(11)의 후면부(11a)에 접촉할 때까지 둘레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핸들(26)의 회동에 따라서 통기구멍부재(35)의 통기구(35U)에 제 2 볼록부(30)가 대향함으로써, 통기구멍(35b)은 다시 폐색된다. 이 때문에 용기 본체(2)의 내부는, 대기압을 유지하고 다시 밀폐 상태로 함으로써, 만약 스트로 내부에 기포 및 음료가 가득 차 있었던 상태에서도, 뚜껑(7)의 개방시에 스트로 내부의 압력에 의한 공기의 치환이 일어나지 않아, 스트로 내부의 음료가 선단으로부터 튀어나올 우려가 없다.
그리고, 조작부(8a)를 누름 조작시키고, 걸어멈춤부(8b)와 걸어멈춤 받이부 (10)와의 걸어멈춤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뚜껑(7)이 전부 열리는 상태를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이 하여, 뚜껑(7)을 열면 판상 돌기부(24)로 눌러져 있던 음용구부 (18)가 탄성력에 의해서 상승한다. 그리고 이 음용구부(18)에 입을 대고 마심으로써, 음료는 통부재(23), 연통로(25), 음용구부(18)를 빨아올릴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뚜껑(7)이 열린 상태의 음용시에 있어서, 음료 용기(1)의 내부의 음료가 감소하면, 용기 본체(2)의 내부가 부압이 되어 버려, 입으로 빨아올리는 힘을 강하게 해야 하게 되지만, 이와 같이 용기 본체(2)의 내부가 부압이 되면, 연통구멍(38a)을 통하여 역지 밸브(40)가 부압측이 되어 있는 마개체 본체(11)의 하부측으로 끌어 당겨져 밸브 시트(39)가 아래쪽 방향으로 떨어지게 되어 있다. 이 때 역지 밸브(40)를 구성하는 밸브 시트(39)의 외주는 변형하기 쉬운 두께가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역지 밸브(40)가 열리면, 흡기구멍(37)으로부터 연통구멍 (38a)을 통하여 외부 공기를 용기 본체(2)의 내부에 흡입할 수 있다. 이 결과 용기 본체(2)의 내부는 대기압이 되는 통상의 입으로 빨아올리는 힘으로 음료를 계속 마실 수 있다. 그리고, 내용물을 음용시에 사용한 후, 세정하기 위해서는, 용기 본체(2)로부터 마개체 본체(11)를 벗기고, 마개체 본체(11)로부터 통기구멍부재 (35)와 걸어맞춤하는 폐색 부재(14)를 역지 밸브 패킹 부재(36)와 함께 벗겨서 세정한다. 또한, 스트로 유닛(19)을 마개체 본체(11)로부터 뽑아내어 세정한다. 그리고, 세정 후에는, 마개체 본체(11)에 다시 역지 밸브 패킹 부재(36)와 통기구멍부재(35)와 일체인 폐색 부재(14), 스트로 유닛(19)을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상기 실시예에서는 용기 본체(2)의 용기 개구(3)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개폐 가능한 뚜껑(7)을 힌지축(6)으로 축으로 지지한 마개체 본체 (11)와, 뚜껑(7)을 훅 형상의 걸어멈춤부(8b)로, 닫은 상태로 유지 및 해제 가능해지도록 잠금기구(8)를 배치하고, 마개체 본체(11)에 음용구 부재 부착구멍(20)을 형성하여, 그 음용구 부재 부착구멍(20)에 삽입 통과시킨 스트로 유닛(19)과, 탄성 재료에 의해 형성하고, 마개체 본체(11)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용기 개구(3)에 접촉하여 용기 본체(2)를 폐색하는 폐색 부재(14)가 설치되고, 폐색 부재(14)는, 마개체 본체(11)의 제 2 천정부(5U)의 양단측에 일체로 형성된 가설 하단부 (32)의 내주면 하부에 천공된 통기용 관통구멍(34)에 끼워 맞춰질 수 있는 통기구멍부재(35)와 일체로 형성되고, 통기구멍부재(35)에는, 용기 본체(2)와 삽입 통과하기 위한 통기구멍(35b)이 형성되고, 핸들(26)은, 좌우 한 쌍의 아암 부(26A) 양측의 기단에 서로 마주하는 가설부(26B,26C)가 가설되어, 한쪽의 가설부(26B)의 외주면에, 제 1 볼록부(29) 및 제 2 볼록부(30) 사이에 통기용의 절결 오목부(31)를 형성함으로써, 뚜껑(7)을 닫힌 상태로 하고 핸들(26)이 잠금기구(8)의 전면에 위치하는 경우는, 통기구멍(35b)은 닫은 상태로 하여, 시각적으로도 잠금기구(8)를 포함한 전면부를 보이지 않게 한다. 또한, 핸들(26)을 둘레방향으로 회동하는 과정에서, 통기구멍(35b)이 일시적으로 개방 상태가 되어, 핸들(26)을 둘레방향으로 더 회동시켜 마개체 본체(11)의 후면부(11a)에 위치시킴으로써, 다시 닫힌 상태가 되므로, 핸들(26)의 회동 조작에 따라 움직여서 통기구(35U)를 닫고, 열고, 닫도록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통기구멍(35b)의 패킹인 통기구멍부재(35)를 폐색 부재(14)와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에 의해, 부품 점수를 감소시켜, 부품수를 가급적으로 감소시킴과 함께, 세정 등에 있어서의 보수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실시예에서는, 용기 본체(2)의 압력 개방을 행하는 통기구멍 (35b)의 닫힘 후 열림, 열림 후 닫힘 수단이 형성된 핸들(26)을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잠금기구(8)를 구비한 걸어멈춤부(8b) 및 뚜껑(7)의 움직임을 규제시킴으로써, 음료 용기(1)를 가방 등에 넣는 휴대시에 부주의해서 뚜껑(7)을 개폐하는 일이 없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회동되는 핸들(26)이, 잠금기구(8)의 전면에 있음으로써, 시각적으로 일부를 보이지 않게 하여 걸어멈춤부(8b)를 잠금 상태로 조작하려고 하는 오조작을 억제할 수도 있다.
또한, 마개체 본체(11)에는, 관통구멍(38)에 돌기(39a)를 끼워 맞추게 하고, 천정부(5) 상면에 돌출 형성되는 돌기 상부(39b)와 천정부 하면(5D')에 개폐 가능한 역지 밸브(40)를 내부에 구성하는 밸브 시트(39)를 구비하므로, 뚜껑(7)을 연 상태로 하기 전에 핸들(26)을 회동함으로써, 뜨거운 물이나 따뜻한 차 등을 수용한 용기 본체(2) 내부를 배기하고 일단 대기압 상태로 하여 다시 밀봉시키고, 그리고 뚜껑(7)을 연 상태로 한 후에 음료를 빨아들인 상태에서 용기 본체(2)의 내부가 부압이 되어도, 역지 밸브(40)에 의해서 용기 본체(2)의 내부를 대기압으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뚜껑(7)이 전부 열린 상태에서, 스트로 유닛(19)으로부터 내용물을 연속하여 흡인 가능해진다.
[실시예 2]
이하에,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한편, 상기 실시예 1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 내지 도 14에 나타내는 실시예 2에서는, 음용구 부재인 스트로 유닛 (19)은, 마개체 본체(11)의 대략 중앙부에 위치하는 평면에서 보아 원통형상의 제 2 천정부(5U)의 하부에 관통되는 음용구 부재 부착구멍(20)에 삽입 통과되어 있고, 상면을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하는 상부 부착구멍(44)에 대응하는 형상을 이루어, 끼워맞춤 볼록부(42)에 끼워맞춤 가능한 끼워맞춤 오목부(4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스트로 유닛(19)과 일체로 형성된 압착 하부(45)가 마개체 본체(11)의 하부에 누름 접합됨으로써, 스트로 유닛(19)이 음용구 부재 부착구멍(20)으로부터 빠져 나오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핸들(26)의 가설부(26B)의 외주면에는, 핸들(26)의 회동 조작에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제 1 볼록부(29) 및 제 2 볼록부(30) 사이에 통기용의 절결 오목부(3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마개체 본체(11)의 제 2 천정부(5U)의 양단부에 좌우의 가설 하단부(32,33)가 각각 일체로 설치되고, 가설 하단부(32)는 회동되는 가설부 (26B)의 반원 형상으로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어, 하부에 통기용 관통구멍(34)을 천공시키고, 상면에 돌기부(35a)를 돌출 형성시킨 통기구멍부재(35)가 끼워 맞춰져 있다. 마개체 본체(11)의 뚜껑(7)을 닫힌 상태에서, 타원 형상의 조작부(8a)를 구비한 잠금기구(8)와 측면시 대략 90도의 각도를 갖는 핸들(26)이 뚜껑(7)의 상면에 위치하고 있어, 이 상태에서는, 핸들(26)의 가설부(26B)의 제 1 볼록부(29)와 통기구멍부재(35)의 통기구(35U)가 접촉되어 있고, 통기구멍(35b)을 폐색하고 있기 때문에, 용기 본체(2)의 내부는 밀폐 상태가 되어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 회동용 날밑부(26D)를 조작하고, 둘레방향으로 측면에서 보아 대략 45도의 위치까지 회동시키면, 제 1 볼록부(29)와 제 2 볼록부(30)와의 중간에 형성된 통기용의 절결 오목부(31)가 하부방향으로 배치되어 통기구(35U)와는 선택적으로 접촉하지 않는 비접촉 상태로 되고, 간극(G)이 형성되어, 통기구멍부재(35)의 통기구(35U)가 개방된다. 그리고, 통기구멍(35b)으로부터 간극(G)을 통과하여 배기로(Z)로 빠져나오게 되기 때문에, 용기 본체(2)의 내부를 대기 개방 상태로 할 수 있다. 그리고, 핸들(26)을 둘레방향으로, 잠금기구(8)와 대향하는 뚜껑(7)의 힌지축(6)측, 즉 핸들(26)의 선단부를 제 3 천정부 (41)에 접촉시키는 위치까지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가설부(26B)의 제 2 볼록부 (30)가 통기구멍부재(35)의 통기구(35U)에 접촉하고 다시 폐색하는 핸들(26) 조작에 의한 닫힘 후 열림, 열림 후 닫힘 수단이 형성된 슬라이드 구조가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핸들(26)을 회동 조작한 후, 잠금기구(8)의 조작부(8a)를 누름으로써, 잠금기구(8)의 걸어멈춤부(8b) 및 뚜껑(7)의 걸어멈춤 받이부(10)를 해제시켜, 뚜껑(7)을 전부 연 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용기 본체(2)의 내압이 대기압 이상일 때는 밸브가 닫힌 상태가 되어, 용기 본체(2)의 내압이 부압이 되었을 때에, 천정부 하면(5D')에 눌러 설치한 테이퍼 형상의 밸브 시트 (39)가 하부로 이동하여 밸브가 열리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흡기구멍(37)을 통하여 통기 도입구인 연통구멍(38a)으로부터 용기 본체(2)의 내부로 외부 공기의 도입이 이루어진다. 또한, 용기 본체(2)의 내부가 대기압으로 복귀하면, 역지 밸브 (40)가 작동하여 밸브 시트(39)가 천정부 하면(5D')에 누름 접합되고, 다시 밸브가 닫힌 상태가 되기 때문에, 뚜껑(7)이 전부 열린 상태에서, 통기구멍부재(22)의 통기구멍(35b)이 닫힌 상태이더라도, 스트로 유닛(19)로부터의 연속 흡인이 가능해진다.
이상과 같이, 마개체 본체(11)에는, 역지 밸브 패킹 부재(36)가 구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용기 본체(2)의 내부가 부압이 되어도, 연통구멍(38a)으로부터 외부 공기를 도입시키기 위한 역지 밸브(40)를 감싸는 밸브 시트(39)를 밸브 개폐시킴으로써, 용기 본체(2)의 내부를 대기압으로 유지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 15에 나타내는 실시예 3에서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뚜껑(7)에는, 사용시에 있어서 용이하게 둘레방향으로의 회동 동작을 규제하기 위한 끼워맞춤 볼록부(46)를 돌출 형성함과 함께, 이 끼워맞춤 볼록부(46)가 끼워맞춤하는 끼워맞춤 오목부(47)를 핸들(26)의 내주면(26E)에 형성하고, 핸들(26)을 잠금기구(8)의 걸어멈춤부(8b)의 전측부에 위치시켰을 때에, 끼워맞춤 볼록부(46)가 끼워맞춤 오목부 (47)에 끼워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핸들(26)의 위치는 마개체 본체(11)의 단부에 형성된 핸들 받이부(5T)에 의해서 위치 결정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핸들 (26)이 상방에 있는 경우는, 클리어런스(M)에 손가락을 넣을 수 있는 정도까지 넓어, 유지 또는 휴대 가능한 핸들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는, 각종의 용도에 적용할 수 있다.
2 : 용기 본체
3 : 용기 개구
7 : 뚜껑
8 : 잠금기구(걸어멈춤부)
11 : 마개체 본체
14 : 폐색 부재
26 : 핸들(회동 핸들 부재)
34 : 통기용 관통구멍
35b : 통기구멍
36 : 역지 밸브 패킹 부재(역지 밸브)

Claims (4)

  1. 용기 본체의 용기 개구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개폐 가능한 뚜껑을 축으로 지지한 마개체 본체와, 상기 뚜껑을 닫힌 상태로 유지 및 해제 가능하게 배치된 걸어멈춤부(係止部)와, 상기 마개체 본체에 걸어 맞춰지며 탄성 재료로 형성된 음용구 부재와, 상기 마개체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용기 개구와 접촉하여 상기 용기 본체를 폐색(閉塞)하는 폐색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폐색 부재는, 상기 마개체에 축으로 지지된 회동(回動) 핸들 부재의 끼워맞춤부(嵌合部) 근방에 있는 마개 본체를 관통하는 구멍에 걸어 맞춰지고, 또한 관통되어 있는 부분에는 통기구멍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뚜껑이 닫힌 상태일 때에는 상기 통기구멍은 닫힌 상태이고, 상기 회동 핸들 부재가 둘레방향으로 회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통기구멍이 일시적으로 개방 상태가 되어, 상기 회동 핸들 부재를 더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다시 닫힌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의 마개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회동 핸들 부재가 상기 걸어멈춤부의 전면(前面)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의 마개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핸들 부재는, 상기 뚜껑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뚜껑의 회동을 방해하도록 상기 회동 핸들 부재를 축으로 지지하는 위치보다 상기 걸어멈춤부 측에 걸어 맞춤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동 핸들 부재를 회동하는 것에 의해서 통기구멍을 일시적으로 열린 상태로 하여, 상기 회동 핸들 부재가 더 회동되는 것에 의해서, 다시 닫힌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의 마개체.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체 본체에 역지 밸브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의 마개체.

KR1020130047397A 2013-04-29 2013-04-29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KR101442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7397A KR101442411B1 (ko) 2013-04-29 2013-04-29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7397A KR101442411B1 (ko) 2013-04-29 2013-04-29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2411B1 true KR101442411B1 (ko) 2014-09-17

Family

ID=51760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7397A KR101442411B1 (ko) 2013-04-29 2013-04-29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24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00680A (zh) * 2016-07-12 2018-01-19 膳魔师(中国)家庭制品有限公司 盖单元以及饮料用容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1741A (ja) 2001-04-25 2002-11-05 Combi Corp ストロー付飲料容器
JP2007176555A (ja) 2005-12-28 2007-07-12 Tiger Vacuum Bottle Co Ltd 飲料用容器
KR20090013779A (ko) * 2006-06-23 2009-02-05 피죤 가부시키가이샤 음료 용기
JP2009132433A (ja) 2007-11-30 2009-06-18 Yoshino Kogyosho Co Ltd 飲料容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1741A (ja) 2001-04-25 2002-11-05 Combi Corp ストロー付飲料容器
JP2007176555A (ja) 2005-12-28 2007-07-12 Tiger Vacuum Bottle Co Ltd 飲料用容器
KR20090013779A (ko) * 2006-06-23 2009-02-05 피죤 가부시키가이샤 음료 용기
JP2009132433A (ja) 2007-11-30 2009-06-18 Yoshino Kogyosho Co Ltd 飲料容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00680A (zh) * 2016-07-12 2018-01-19 膳魔师(中国)家庭制品有限公司 盖单元以及饮料用容器
CN107600680B (zh) * 2016-07-12 2019-12-03 膳魔师(中国)家庭制品有限公司 盖单元以及饮料用容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54040B2 (ja) 飲料容器の栓体
US11045024B2 (en) Lockable beverage container closure
KR101879987B1 (ko) 캡 유닛 및 음료용 용기
JP5375932B2 (ja) 飲料用容器の栓体
JP5662536B1 (ja) 飲料用容器
RU2424963C1 (ru) Крышка-непроливайка для емкости с напитком
EP3366168A1 (en) Lid having a pre-venting lid lever and a seal arm assembly
JP5333614B2 (ja) 飲料用容器の栓体
KR102191472B1 (ko) 캡 유닛 및 음료용 용기
KR20130082064A (ko) 음료용 용기
KR101442411B1 (ko)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JP6767798B2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飲料用容器
CN110638344B (zh) 盖单元以及带盖容器
JP2017030812A (ja) 飲料容器
JP3158283U (ja) 飲料用容器の蓋体及びこれを有する飲料用容器
US20050167437A1 (en) Drinking aid
KR102015281B1 (ko) 휴대용 진공보관용기
JP6716370B2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飲料用容器
SI1773685T1 (sl) Embalaža za enkratno uporabo za pripravljeno hrano, obsegajoča pripravo za odzračevanje notranjih par
JP2012020783A (ja) 飲料容器
JP2021059369A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KR20130034381A (ko) 스트로우를 구비한 음료 용기
KR200442421Y1 (ko) 원터치로 공기단속수단을 갖는 용기뚜껑
JP4367699B2 (ja) 飲料容器
JP2021191685A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