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2513A - 캡 유닛 및 음료용 용기 - Google Patents

캡 유닛 및 음료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2513A
KR20190042513A KR1020190043569A KR20190043569A KR20190042513A KR 20190042513 A KR20190042513 A KR 20190042513A KR 1020190043569 A KR1020190043569 A KR 1020190043569A KR 20190043569 A KR20190043569 A KR 20190043569A KR 20190042513 A KR20190042513 A KR 201900425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lid body
lid
cover
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3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1472B1 (ko
Inventor
신 마츠야마
홍리앙 두
Original Assignee
서어모스 케이.케이.
써모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어모스 케이.케이., 써모스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어모스 케이.케이.
Publication of KR20190042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25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1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14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57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made separately from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02Locking devices; Means for discourag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of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2Grip means
    • B65D2251/026Grip means made of material having a high friction coefficient and preventing slippage during removal by hand, e.g. band,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10Details of hinged closures
    • B65D2251/1016Means for locking the closure in closed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5/00Lock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상부가 개구된 용기 본체의 구경부(口頸部)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캡 유닛으로서,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 개구부를 폐색(閉塞)함과 아울러, 상부에 립(lip) 또는 주둥이가 마련된 캡 본체와, 상기 캡 본체에 힌지부를 매개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힌지부에 마련된 가압 부재에 의해서 상기 립 또는 주둥이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가압된 상태에서, 상기 립 또는 주둥이를 개폐하는 덮개체와, 상기 덮개체의 적어도 측면의 일부를 덮는 미끄럼 방지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미끄럼 방지 부재는, 상기 힌지부의 단부를 덮도록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캡 유닛 및 음료용 용기{CAP UNIT AND BEVERAGE CONTAINER}
본 발명은, 캡 유닛 및 음료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상부가 개구한 용기 본체의 구경부(口頸部)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캡 유닛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2를 참조). 캡 유닛의 상부에는, 립(lip) 또는 주둥이를 개폐하는 덮개체가 힌지부를 매개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덮개체는, 힌지부에 마련된 가압 부재에 의해서 개방 방향으로 가압 되어 있다. 캡 유닛에는, 덮개체가 립 또는 주둥이를 폐색(閉塞)하는 위치에서 덮개체를 고정하는 덮개 락 기구가 마련되어 있다. 덮개 락 기구에서는, 조작 버튼을 압압(押壓) 조작하는 것에 의해서, 덮개체의 락 상태를 해제하고, 가압 부재의 가압에 의해 덮개체를 개방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런데, 위에서 설명한 종래의 덮개 락 기구에서는, 조작 버튼의 부주의한 압압 조작에 의해서, 덮개체의 락 상태가 해제되면, 용기 본체에 수용된 음료(내용물)가 립 또는 주둥이로부터 외부로 갑자기 튀어나와 버릴 우려가 있다.
특히, 진공 단열 구조를 가지는 용기 본체(이른바 보온병)에 의해서 보온·보냉 기능을 갖게 한 음료용 용기(이른바 물통)에서는, 보온 또는 보냉된 음료가 갑자기 외부로 튀어나오지 않도록, 위에서 설명한 조작 버튼의 오조작을 막을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인용 문헌 1에 기재된 음료용 용기에서는, 용기 본체의 구경부의 내측에 중간 마개가 나사 결합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됨과 아울러, 이 중간 마개를 덮도록 컵이 용기 본체의 구경부의 외측에 나사 결합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 컵에 의해서 중간 마개의 상부에 마련된 조작 버튼의 오조작을 막을 수 있다. 한편, 음용시에는, 컵을 떼어내고 나서, 조작 버튼을 조작할 필요가 있으므로, 사용 편리성 면에서 불편을 느끼는 경우가 있다.
한편, 인용 문헌 2에 기재된 음료용 용기에서는, 덮개 락 기구의 오조작을 저지하기 위해, 덮개 락 기구와는 별도로 안전 스토퍼가 마련되어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구성의 경우, 음용시에 덮개 락 기구를 해제하는 조작과는 별도로, 안전 스토퍼를 해제하는 조작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도, 사용 편리성 면에서 불편을 느끼는 경우가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특허공개 제2013-75719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특허공개 제2012-106802호 공보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사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이며, 부주의한 조작에 의해서 덮개체가 열리는 것을 방지하면서, 사용 편리성의 향상을 한층 더 가능하게 한 캡 유닛, 및 그러한 캡 유닛을 구비한 음료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이하의 수단을 제공한다.
[1] 상부가 개구된 용기 본체의 구경부(口頸部)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캡 유닛으로서,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 개구부를 폐색(閉塞)함과 아울러, 상부에 립(lip) 또는 주둥이가 마련된 캡 본체와,
상기 캡 본체에 힌지부를 매개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힌지부에 마련된 가압 부재에 의해서 상기 립 또는 주둥이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가압된 상태에서, 상기 립 또는 주둥이를 개폐하는 덮개체와,
상기 덮개체의 적어도 측면의 일부를 덮는 미끄럼 방지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미끄럼 방지 부재는, 상기 힌지부의 단부를 덮도록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2] 상기 미끄럼 방지 부재는, 상기 덮개체의 측면과 연속된 외주면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캡 유닛.
[3] 상기 가압 부재의 가압에 저항하여, 상기 덮개체가 상기 립 또는 주둥이를 폐색하는 위치에서 상기 덮개체를 고정하는 덮개 락 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덮개 락 기구는, 상기 덮개체에 힌지부를 매개로 하여 회동가능하게 장착됨과 아울러, 일단측에 마련된 일방의 걸림부가 상기 캡 본체측에 마련된 타방의 걸림부에 걸려지는 락 위치와, 상기 일방의 걸림부와 상기 타방의 걸림부와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는 락 해제 위치와의 사이에서 회동되는 락 부재를 가지며,
상기 미끄럼 방지 부재는, 상기 덮개체측의 힌지부와 상기 락 부재측의 힌지부 각각의 단부를 덮도록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캡 유닛.
[4] 상기 덮개체의 주벽부에는, 상기 덮개체측의 힌지부와 상기 락 부재측의 힌지부와의 사이에 걸쳐서, 상기 미끄럼 방지 부재가 감합(嵌合, 끼워 맞춤)되는 감합 오목부가 마련되며,
상기 감합 오목부의 내측에는 감합 구멍이 마련되고,
상기 미끄럼 방지 부재의 양 선단측의 내측에는, 상기 감합 구멍에 감합되는 빠짐 방지 돌기가 돌출되어 마련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3]에 기재된 캡 유닛.
[5]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캡 유닛과,
상기 캡 유닛이 장착된 용기 본체를 구비하는 음료용 용기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부주의한 조작에 의해서 덮개체가 열리는 것을 방지하면서, 사용 편리성의 향상을 한층 더 가능하게 한 캡 유닛, 및 그러한 캡 유닛을 구비한 음료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음료용 용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음료용 용기가 구비하는 캡 유닛의 폐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음료용 용기가 구비하는 캡 유닛의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음료용 용기가 구비하는 캡 유닛의 폐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음료용 용기가 구비하는 캡 유닛의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내는 음료용 용기가 구비하는 캡 유닛의 미끄럼 방지 부재의 장착 위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로서, 예를 들면 도 1~도 6에 나타내는 음료용 용기(1)에 대해 설명한다. 또, 도 1은, 음료용 용기(1)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음료용 용기(1)가 구비하는 캡 유닛(3)의 폐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음료용 용기(1)가 구비하는 캡 유닛(3)의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음료용 용기(1)가 구비하는 캡 유닛(3)의 폐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음료용 용기(1)가 구비하는 캡 유닛(3)의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음료용 용기(1)가 구비하는 캡 유닛(3)의 미끄럼 방지 부재(38)의 장착 위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음료용 용기(1)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2)와, 용기 본체(2)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캡 유닛(3)을 구비하고 있다. 음료용 용기(1)는, 진공 단열 구조를 가지는 용기 본체(2)에 의해서, 용기 본체(2)에 수용된 음료(내용물)를 보온 또는 보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이 용기 본체(2)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등으로 이루어지는 저면이 구비된 통 모양의 외부 용기(4) 및 내부 용기(5)를 가지며, 외부 용기(4)의 내측에 내부 용기(5)를 수용한 상태에서 서로의 입구부를 접합한 이중구조의 용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 외부 용기(4)와 내부 용기(5)와의 사이에는, 진공 단열층(6)이 마련되어 있다. 진공 단열층(6)은, 예를 들면, 고(高)진공으로 감압(진공 퍼지)된 챔버 내에서, 외부 용기(4)의 저면 중앙부에 마련된 탈기(脫氣) 구멍을 막는 것에 의해서 형성할 수 있다.
용기 본체(2)는, 도 1,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원형 모양의 저면부(2a)와, 저면부(2a)의 외주로부터 대략 원통 모양으로 기립(起立)한 몸통부(2b)와, 몸통부(2b)의 상부측에서 지름이 축소된 대략 원통 모양의 구경부(口頸部)(2c)를 가지고 있다. 또, 구경부(2c)의 상단부는, 용기 본체(2)의 상부 개구부(2d)로서, 원형 모양으로 개구하고 있다. 또, 구경부(2c)의 내측에는, 링 모양의 단차부(7)가 전체 둘레에 걸쳐서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음료용 용기(1)는, 전체로서 대략 원통 모양의 외관 형상을 가지고 있지만, 음료용 용기(1)의 외관 형상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사이즈나 디자인 등에 맞추어, 적절히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용기 본체(2)의 외주면에는, 도장(塗裝)이나 인쇄 등이 실시되어 있어도 괜찮다.
캡 유닛(3)은, 용기 본체(2)의 상부 개구부(2d)를 폐색하는 마개체를 구성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이 캡 유닛(3)은, 도 2~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캡 본체(8)와, 캡 본체(8)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덮개체(9)와, 캡 본체(8)에 대해서 덮개체(9)를 고정하는 덮개 락 기구(10)를 구비하고 있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캡 본체(8)에 대해서 덮개체(9)가 힌지부(24)를 매개로 하여 장착되는 측을 음료용 용기(1)의 「후측(後側)」이라고 하고, 그것과는 반대측을 음료용 용기(1)의 「전측(前側)」으로 하여 설명한다.
캡 본체(8)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등의 내열성 수지로 이루어진다. 캡 본체(8)는, 용기 본체(2)의 몸통부(2b)와 연속하도록 대략 원통 모양으로 형성된 주벽부(周壁部)(8a)와, 주벽부(8a)의 상부에 주벽부(8a) 보다도 지름이 축소된 개구부(8b)가 형성된 상벽부(上壁部)(8c)를 가지고 있다.
캡 본체(8)는, 용기 본체(2)의 구경부(2c)에 나사 결합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주벽부(8a)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11)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구경부(2c)의 외주면에는, 암나사부(11)와 나사 결합되는 수나사부(12)가 마련되어 있다.
캡 본체(8)의 개구부(8b)에는, 립(lip) 또는 주둥이(본 실시 형태에서는 립)을 형성하는 입구 형성 부재(13)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입구 형성 부재(13)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등의 내열성 수지로 이루어진다. 입구 형성 부재(13)는, 통액구(通液口)(14) 및 통기구(15)가 형성된 저벽부(13a)와, 저벽부(13a)의 주위로부터 상부를 향해 세워지는 통 모양의 주벽부(13b)와, 저벽부(13a)의 외주면의 하단측으로부터 링 모양으로 돌출된 하측 플랜지부(13c)와, 주벽부(13b)의 외주면의 상단측으로부터 서로 반대 방향(좌우 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상측 플랜지부(13d)와, 주벽부(13b)의 상단으로부터 경사 컷(cut) 모양으로 돌출된 립부(13e)를 가지고 있다.
이 중, 립부(13e)는, 입구 형성 부재(13)의 전측에 위치하고 있다. 통액구(14)는, 저벽부(13a)에 형성된 오목부(14a)의 저면을 관통하여 마련되어 있다. 통기구(15)는, 오목부(14a) 보다도 높은 위치에 있는 저벽부(13a)를 관통하여 마련되어 있다. 또, 통액구(14)는, 통기구(15) 보다도 립부(13e)측(전측)에 위치하며, 둥근 구멍을 형성하는 통기구(15)보다도 전후 방향으로 크게 대략 타원 모양으로 개구하고 있다.
캡 본체(8)와 입구 형성 부재(13)와의 사이에는, 캡 본체(8)의 개구부(8b)에 입구 형성 부재(13)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탈착 기구(16)가 마련되어 있다. 탈착 기구(16)는, 입구 형성 부재(13)의 전측에 제1 클로부(claw部)(17)와, 입구 형성 부재(13)의 후측에 제2 클로부(18)가 마련된 스토퍼(19)를 가지고 있다.
제1 클로부(17)는, 주벽부(13b)의 외주면의 상단측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스토퍼(19)는, 입구 형성 부재(13)의 후측의 외주면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또, 스토퍼(19)의 하단(기단(基端))부는, 입구 형성 부재(13)에 마련된 힌지부(13f)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2 클로부(18)는, 스토퍼(19)의 상단(선단)측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제2 클로부(18)의 선단부는, 경사면(18a)을 형성하고 있다.
입구 형성 부재(13)와 스토퍼(19)와의 사이에는, 예를 들면 고무나 엘라스토머 등으로 이루어지는 탄성 부재(20)가 배치되어 있다. 탄성 부재(20)는, 스토퍼(19)의 입구 형성 부재(13)와 대향하는 면에 장착되어 있다. 탄성 부재(20)는, 스토퍼(19)의 선단측을 전방을 향해 회동시켰을 때에, 스토퍼(19)와 입구 형성 부재(13)와의 사이에서 압축되는(탄성 변형하는) 것에 의해서, 스토퍼(19)를 후방을 향해 가압한다. 또, 스토퍼(19)의 상단(선단)부에는, 이 스토퍼(19)를 손가락으로 회동 조작하기 쉽게 하기 위한 오목부 또는 볼록부를 가진 조작부(19a)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탈착 기구(16)는, 캡 본체(8)의 전측에 제1 피(被)걸림부(21)와, 캡 본체(8)의 후측에 제2 피걸림부(22)를 가지고 있다. 제1 피걸림부(21) 및 제2 피걸림부(22)는, 상벽부(8c)의 개구부(8b)를 따른 전후 위치에, 각각 마련된 단차부로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탈착 기구(16)에서는, 제1 피걸림부(21)에 대해서 제1 클로부(17)를 위치 결정한 상태에서, 캡 본체(8)의 개구부(8b)의 내측에, 입구 형성 부재(13)를 하측으로부터 끼워넣는다. 이 때, 캡 본체(8)의 상벽부(8c)의 하면에 한 쌍의 상측 플랜지부(13d)가 맞닿아진 상태가 된다. 또, 제1 클로부(17)가 제1 피걸림부(21)에 걸려진다. 게다가, 제2 클로부(18)의 경사면(18a)이 캡 본체(8)의 개구부(8b)의 가장자리에 맞닿으면서, 제2 클로부(18)가 개구부(8b)의 가장자리를 타고 넘음에 따라서, 스토퍼(19)의 선단측이 전방을 향해 회동한 후에, 스토퍼(19)의 선단측이 후방의 원래의 위치로 복귀함과 동시에, 제2 클로부(18)가 제2 피걸림부(22)에 걸려진다.
이것에 의해, 입구 형성 부재(13)는, 캡 본체(8)의 개구부(8b)에 장착된 상태가 된다. 또, 입구 형성 부재(13)가 장착됨과 동시에, 캡 본체(8)의 개구부(8b)로부터 립부(13e)가 외부(상부)를 향해 돌출한 상태가 된다.
한편, 탈착 기구(16)에서는, 스토퍼(19)의 선단측을 전방을 향해 회동시키는 조작에 의해서, 제2 피걸림부(22)에 대한 제2 클로부(18)의 걸림 상태를 해제한다. 이것에 의해, 제1 피걸림부(21)에 대한 제1 클로부(17)의 걸림 상태를 해제하면서, 캡 본체(8)의 개구부(8b)의 하측으로부터 입구 형성 부재(13)를 떼어내는 것이 가능하다.
입구 형성 부재(13)가 장착된 캡 본체(8)는, 용기 본체(2)의 구경부(2c)에 장착되는 것에 의해서, 입구 형성 부재(13)가 상부 개구부(2d)의 내측에 끼워넣어진 상태에서, 용기 본체(2)의 상부 개구부(2d)를 폐색한다.
입구 형성 부재(13)의 하측 플랜지부(13c)에는, 지수(止水, 물이 새는 것을 막음) 패킹(23)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지수 패킹(23)은, 단차부(7)(용기 본체(2))와 입구 형성 부재(13)(캡 본체(8))와의 사이를 밀폐하기 위한 링 모양의 씰 부재이다. 지수 패킹(23)은,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 등의 내열성을 가지는 고무나 엘라스토머 등의 탄성 부재로 이루어진다. 지수 패킹(23)은, 하측 플랜지부(13c)의 외주부에 끼워져 있다.
지수 패킹(23)은, 용기 본체(2)의 상부 개구부(2d)의 내측에 끼워넣어졌을 때에, 탄성 변형하면서 용기 본체(2)의 단차부(7)에 전체 둘레를 걸쳐서 밀착한 상태가 된다. 이것에 의해, 단차부(7)와 입구 형성 부재(13)와의 사이를 밀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덮개체(9)는, 입구 형성 부재(13)가 형성하는 립 또는 주둥이를 개폐하는 것이며,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등의 내열성 수지로 이루어진다. 덮개체(9)는, 캡 본체(8)의 주벽부(8a)와 연속하도록 대략 원통 모양으로 형성된 주벽부(9a)와, 주벽부(9a)의 천면(天面)을 덮는 천벽부(天壁部)(9b)를 가지고 있다.
덮개체(9)는, 캡 본체(8)에 힌지부(24)를 매개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덮개체(9)는, 힌지부(24)의 내측에 마련된 가압 부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립 또는 주둥이를 개방하는 방향(개방 방향)으로 가압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 가압 부재에 대해서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 등의 스프링 부재나, 고무 또는 엘라스토머 등의 탄성 부재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덮개체(9)의 내측에는, 입구 형성 부재(13)가 형성하는 립 또는 주둥이를 폐색하는 폐전(閉栓) 부재(25)가 마련되어 있다. 덮개체(9)는, 천벽부(9b)의 하면측의 대략 중앙부로부터 세워 내려지는 대략 통 모양의 내벽부(9c)를 가지고 있다. 폐전 부재(25)는, 이 내벽부(9c)의 내측에 감합(嵌合, 끼워 맞춤)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 폐전 부재(25)의 내측에는, 후술하는 덮개 락 기구(10)가 수용되는 수용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폐전 부재(25)가 장착된 덮개체(9)는, 폐전 부재(25)가 입구 형성 부재(13)의 내측에 끼워넣어진 상태에서, 입구 형성 부재(13)가 형성하는 립 또는 주둥이를 폐색한다.
폐전 부재(25)의 외주부에는, 립 또는 주둥이를 밀폐하는 덮개 패킹(26)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덮개 패킹(26)은, 입구 형성 부재(13)와 폐전 부재(25)와의 사이를 밀폐하기 위한 마개 모양의 씰 부재이다. 또, 덮개 패킹(26)에는, 지수 패킹(23)과 동일 재질의 것이 이용되어 있다. 덮개 패킹(26)은, 폐전 부재(25)를 덮도록 폐전 부재(25)에 끼워져 있다. 또, 덮개 패킹(26)에는, 통액구(14)에 맞닿아지는 대략 돔 모양의 제1 마개부(26a)와, 통기구(15)에 맞닿아지는 대략 원기둥 모양의 제2 마개부(26b)가 마련되어 있다.
덮개 패킹(26)은, 입구 형성 부재(13)의 내측에 끼워넣어졌을 때에, 탄성 변형하면서 제1 마개부(26a)가 통액구(14)의 주위에 밀착한 상태에서 통액구(14)를 폐색함과 아울러, 제2 마개부(26b)가 통기구(15)의 주위에 밀착한 상태에서 통기구(15)를 폐색한다. 이것에 의해, 입구 형성 부재(13)와 폐전 부재(25)와의 사이를 밀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덮개 락 기구(10)는, 힌지부(24)에 마련된 가압 부재의 가압에 저항하여, 덮개체(9)가 립 또는 주둥이를 폐색하는 위치에서 덮개체(9)를 고정하는 것이다. 또, 덮개 락 기구(10)는, 덮개체(9)의 상부에 조작 버튼(27)을 가지며, 조작 버튼(27)을 힌지부(24)를 향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조작을 한 후에, 조작 버튼(27)을 눌러 내리는 방향으로 조작하는 것에 의해서, 덮개체(9)의 락 상태를 해제하고, 가압 부재의 가압에 의해 덮개체(9)를 개방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한다.
구체적으로, 이 덮개 락 기구(10)는, 조작 버튼(27)을 슬라이드시키는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홈(28)과, 조작 버튼(27)을 눌러 내리는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구멍(29)을 가지고 있다.
조작 버튼(27)은, 대략 원판 모양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그 하면에 가이드 볼록부(27a)와, 가이드 볼록부(27a)로부터 하부를 향해 돌출한 규제 볼록부(일방의 규제 부재)(27b)를 가지고 있다. 또, 조작 버튼(27)의 상면에는, 이 조작 버튼(27)을 손가락으로 슬라이드 조작하기 쉽게 하기 위한 오목부 또는 볼록부를 가진 조작부(27c)가 마련되어 있다.
가이드 홈(28)은, 덮개체(9)(천벽부(9b))의 상면측의 대략 중앙부를 조작 버튼(27)에 대응한 폭으로 전후 방향에 노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구멍(29)은, 가이드 홈(28)의 내측에 위치하여, 조작 버튼(27)의 외형(外形)에 맞추어 천벽부(9b)를 관통하고 있다.
또, 덮개 락 기구(10)는, 가이드 구멍(29)의 내측에 배치된 조작 부재(30)와, 덮개체(9)에 힌지부(31)를 매개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락 부재(32)를 가지고 있다.
조작 부재(30)는, 가이드 구멍(29)의 내형(內形)에 맞추어 대략 원판 모양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그 외주부로부터 돌출한 플랜지부(도시하지 않음)가 가이드 구멍(29)의 주위와 맞닿아지는 것에 의해서, 가이드 구멍(29) 보다도 상부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또, 조작 부재(30)는, 플랜지부에 마련된 가이드 슬릿(도시하지 않음)에, 내벽부(9c)의 내측에 마련된 가이드 리브(도시하지 않음)가 맞물리는 것에 의해서,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게다가, 조작 부재(30)의 하면에는, 가이드 핀(30a)이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한편, 폐전 부재(25)의 내측의 저면에는, 가이드 통(25a)이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 부재(30)는, 가이드 통(25a)의 내측에 가이드 핀(30a)이 맞물리는 것에 의해서,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폐전 부재(25)의 내측에는, 제3 코일 스프링(제3 스프링 부재)(33)이 배치되어 있다. 제3 코일 스프링(33)은, 가이드 통(25a)을 내측으로 진입시키는 것에 의해서, 폐전 부재(25)의 저면으로부터 세워 마련한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제3 코일 스프링(33)은, 조작 부재(30)를 눌러 내렸을 때에, 조작 부재(30)와 폐전 부재(25)와의 사이에서 압축되는(탄성 변형하는) 것에 의해서, 조작 부재(30)를 밀어 올리는 방향을 향해 가압한다. 또, 제3 코일 스프링(33)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서, 덮개 락 기구(10)에 의한 덮개체(9)의 락 상태를 확실히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조작 부재(30)에는, 가이드 오목부(30b)가 마련되어 있다. 가이드 오목부(30b)는, 조작 부재(30)의 전단(前端)으로부터 후단(後端)을 향해 조작 부재(30)를 조작 버튼(27)의 슬라이드량에 따른 길이분(分)만큼 노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조작 부재(30)는, 이 가이드 오목부(30b)에 가이드 볼록부(27a)를 맞물리게 한 상태에서, 조작 버튼(27)을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안내(지지)하고 있다.
또, 가이드 오목부(30b)의 내측에는, 제1 코일 스프링(제1 스프링 부재)(34)이 배치되어 있다. 제1 코일 스프링(34)은, 규제 볼록부(27b)의 후측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한 핀(27d)을 내측으로 진입시킨 상태에서, 가이드 볼록부(27a)와 가이드 오목부(30b)와의 사이에서 유지되어 있다.
제1 코일 스프링(34)은, 조작 버튼(27)을 슬라이드 방향(전후 방향)의 일단측(전측)으로부터 타단측(후측)을 향해 슬라이드시켰을 때에, 조작 버튼(27)(가이드 볼록부(27a))과 조작 부재(30)(가이드 오목부(30b))와의 사이에서 압축되는(탄성 변형하는) 것에 의해서, 조작 버튼(27)을 슬라이드 방향(전후 방향)의 일단측(전측)을 향해 가압한다.
여기서, 조작 버튼(27)의 슬라이드 방향(전후 방향)의 일단(전단)은, 이 조작 버튼(27)의 일부가 덮개체(9)(천벽부(9b))의 상면과 겹치는 위치(이하, '제1 위치'라고 함)에 있다. 제1 위치에서는, 조작 버튼(27)의 일부가 덮개체(9)(천벽부(9b))의 상면과 맞닿아지는 것에 의해서, 조작 버튼(27)의 압압 조작을 규제하고 있다.
또, 폐전 부재(25)의 내측의 저면에는, 조작 버튼(27)이 제1 위치에 있을 때, 규제 볼록부(27b)와 대향하는 규제 핀(25b)(타방의 규제 부재)이 마련되어 있다. 제1 위치에서는, 규제 볼록부(27b)가 규제 핀(25b)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다. 이 경우, 만일 부품의 변형 등에 의해 조작 버튼(27)이 너무 들어가 있다고 해도, 규제 볼록부(27b)가 규제 핀(25b)에 맞닿아지는 것에 의해서, 조작 버튼(27)의 압압 조작을 규제하면서, 이 조작 버튼(27)의 스무스한 슬라이드 조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조작 버튼(27)의 슬라이드 방향(전후 방향)의 타단(후단)은, 조작 버튼(27)이 가이드 구멍(29)과 겹치는 위치(이하, '제2 위치'라고 함)에 있다. 또, 제2 위치에서는, 규제 핀(25b)에 대한 규제 볼록부(27b)의 위치가 후측으로 어긋나는 것에 의해서, 규제 핀(25b)에 의한 규제 볼록부(27b)의 규제가 해제된다. 이것에 의해, 제2 위치에서는, 조작 버튼(27)의 압압 조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락 부재(32)는, 덮개체(9)의 전측의 주벽부(9a)와 천벽부(9b)와의 사이에 마련된 힌지부(31)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락 부재(32)는, 힌지부(31)로부터 주벽부(9a)의 내면을 따라서 연장된 제1 암부(32a)와, 힌지부(31)로부터 천벽부(9a)의 하면을 따라서 연장된 제2 암부(32b)를 가지고 있다.
제1 암부(32a)의 선단(락 부재(32)의 일단)에는, 후크부(일방의 걸림부)(35)가 마련되어 있다. 후크부(35)의 선단은, 후방을 향해 돌출하고, 또, 그 돌출한 부분의 하면측이 경사져 있다.
덮개체(9)(주벽부(9a))의 전측에는, 후크부(35)를 외부에 면(面)하게 하는 슬릿(9d)이 마련되어 있다. 슬릿(9d)은, 주벽부(9a)를 하단측으로부터 후크부(35)에 대응한 폭으로 노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슬릿(9d)으로부터 외부에 면하는 후크부(35)의 외면은, 덮개체(9)의 주벽부(9a)와 연속한 외주면을 형성하고 있다.
캡 본체(8)에는, 후크부(35)가 걸려지는 걸림 오목부(타방의 걸림부)(36)가 마련되어 있다. 걸림 오목부(36)는, 상벽부(8c)의 전측을 후크부(35)의 형상에 맞추어 노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락 부재(32)는, 후크부(35)가 걸림 오목부(36)에 걸려지는 락 위치와, 후크부(35)와 걸림 오목부(36)와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는 락 해제 위치와의 사이에서 회동된다.
폐전 부재(25)의 내측에는, 제2 코일 스프링(제2 스프링 부재)(37)이 마련되어 있다. 제2 코일 스프링(37)은, 폐전 부재(25)의 내측의 저면으로부터 돌출한 핀(25c)과, 제2 암부(32b)의 선단(락 부재(32)의 타단)으로부터 하부를 향해 돌출한 핀(32c)을, 각각 내측으로 진입시키는 것에 의해서, 폐전 부재(25)의 저면으로부터 세워 마련한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제2 코일 스프링(37)은, 제2 암부(32b)의 선단과 폐전 부재(25)와의 사이에서 압축된 상태에서, 락 부재(32)를 회동 방향의 락 위치측을 향해 가압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덮개 락 기구(10)에서는, 조작 버튼(27)을 제1 코일 스프링(34)의 가압에 저항하여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까지 슬라이드시키는 조작을 한 후에, 조작 버튼(27)을 조작 부재(30)와 함께 제2 코일 스프링(37) 및 제3 코일 스프링(33)의 가압에 저항하여 가이드 구멍(29)의 내측을 향해 눌러 내리는 조작을 행한다.
이것에 의해, 조작 부재(30)가 제2 암부(32b)의 선단(락 부재(32)의 타단)을 압압하면서, 제2 코일 스프링(37)의 가압에 저항하여 락 부재(32)를 락 해제 위치까지 회동시킨다. 이상과 같은 조작 버튼(27)의 조작에 의해서, 덮개체(9)의 락 상태를 해제하고, 가압 부재의 가압에 의해 덮개체(9)를 개방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런데, 덮개체(9)에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어도 측면(주벽부(9a))의 일부를 덮는 미끄럼 방지 부재(38)가 마련되어 있다. 미끄럼 방지 부재(38)에는,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 등의 내열성을 가지는 고무나 엘라스토머 등으로 이루어지며, 일부가 개방된 링 형상(이른바 C자 모양)을 가지고 있다. 또, 미끄럼 방지 부재(38)의 양 선단측의 내측에는, 빠짐 방지 돌기(38a)가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한편, 주벽부(9a)에는, 힌지부(24)와 힌지부(31)와의 사이에 걸쳐서, 미끄럼 방지 부재(38)에 대응한 형상의 감합 오목부(39)가 마련되어 있다. 또, 감합 오목부(39)의 내측에는, 빠짐 방지 돌기(38a)가 감합되는 한 쌍의 감합 구멍(40)이 마련되어 있다.
미끄럼 방지 부재(38)는, 감합 오목부(39)에 감합된 상태에서, 한 쌍의 빠짐 방지 돌기(38a)를 한 쌍의 감합 구멍(40)에 감합하는 것에 의해서, 힌지부(24) 및 힌지부(31)의 각각의 단부를 덮도록 마련되어 있다. 또, 미끄럼 방지 부재(38)의 외면은, 덮개체(9)의 주벽부(9a)와 연속한 외주면을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음료용 용기(1)에서는, 이러한 미끄럼 방지 부재(38)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서, 조작 버튼(27)의 조작을 하기 쉽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미끄럼 방지 부재(38)가 힌지부(24, 31)의 단부를 덮음으로써, 이들 힌지부(24, 31)을 보호하면서, 힌지부(24, 31)의 방수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힌지부(24, 31)의 파손이나, 힌지부(24, 31)에서의 녹의 발생 등을 막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3)에서는, 조작 버튼(27)을 슬라이드시키는 조작 후에, 조작 버튼(27)을 눌러 내리는 조작(이른바 2액션에 의한 조작)을 행하는 것에 의해서, 덮개체(9)의 락 상태가 해제된다. 이 때문에, 종래와 같은 조작 버튼의 부주의한 압압 조작(이른바 1액션에 의한 조작)에 의해서, 덮개체의 락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막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3)에서는, 종래와 같은 안전 스토퍼 등을 마련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부품수를 늘리지 않고, 부주의한 조작에 의해서 덮개체(9)가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3)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조작 버튼(27)을 슬라이드시키는 조작과, 조작 버튼(27)을 눌러 내리는 조작을 연속한 조작으로 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종래와 같이 컵을 떼어내고 나서 조작 버튼을 조작하거나, 안전 스토퍼를 해제하고 나서 조작 버튼(27)을 조작하거나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사용 편리성의 향상을 한층 더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3)에서는, 덮개체(9)의 락 상태를 해제했을 때에만, 슬릿(9d)의 사이부터 후크부(35)가 외측(전측)으로 돌출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덮개체(9)를 락한 상태에서는, 후크부(35)가 슬릿(9d)의 내측에 있고, 후크부(35)에 락 상태를 해제하는 방향의 힘이 가해지기 어렵게 되어 있다. 또, 후크부(35)가 파손하기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3)을 구비하는 음료용 용기(1)에서는, 부주의한 조작에 의해서 덮개체(9)가 열리는 것을 방지하면서, 사용 편리성의 향상을 한층 더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의 것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음료용 용기(1)에 대해서는, 위에서 설명한 외관 형상을 가진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사이즈나 기능, 디자인 등에 맞추어, 적절히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한 진공 단열 구조를 가지는 용기 본체(2)에 의해서 보온·보냉 기능을 갖게 한 음료용 용기(1)에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지만, 위에서 설명한 진공 단열 구조를 가지는 용기 본체(2)를 이용한 것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캡 유닛이 용기 본체의 구경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음료용 용기에 대해서 폭 넓게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1 - 음료용 용기 2 - 용기 본체
2c - 구경부 2d - 상부 개구부
3 - 캡 유닛 8 - 캡 본체
9 - 덮개체 10 - 덮개 락 기구
13 - 입구 형성 부재(립 또는 주둥이) 16 - 탈착 기구
23 - 지수 패킹(씰 부재) 24 - 힌지부
25 - 폐전 부재 26 - 덮개 패킹(씰 부재)
27 - 조작 버튼 29 - 가이드 구멍
30 - 조작 부재 31 - 힌지부
32 - 락 부재
33 - 제3 코일 스프링(제3 스프링 부재)
34 - 제1 코일 스프링(제1 스프링 부재)
35 - 후크부(일방의 걸림부)
36 - 걸림 오목부(타방의 걸림부)
37 - 제2 코일 스프링(제2 코일 부재)
38 - 미끄럼 방지 부재

Claims (5)

  1. 상부가 개구된 용기 본체의 구경부(口頸部)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캡 유닛으로서,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 개구부를 폐색(閉塞)함과 아울러, 상부에 립(lip) 또는 주둥이가 마련된 캡 본체와,
    상기 캡 본체에 힌지부를 매개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힌지부에 마련된 가압 부재에 의해서 상기 립 또는 주둥이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가압된 상태에서, 상기 립 또는 주둥이를 개폐하는 덮개체와,
    상기 덮개체의 적어도 측면의 일부를 덮는 미끄럼 방지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미끄럼 방지 부재는, 상기 힌지부의 단부를 덮도록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 부재는, 상기 덮개체의 측면과 연속된 외주면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의 가압에 저항하여, 상기 덮개체가 상기 립 또는 주둥이를 폐색하는 위치에서 상기 덮개체를 고정하는 덮개 락 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덮개 락 기구는, 상기 덮개체에 힌지부를 매개로 하여 회동가능하게 장착됨과 아울러, 일단측에 마련된 일방의 걸림부가 상기 캡 본체측에 마련된 타방의 걸림부에 걸려지는 락 위치와, 상기 일방의 걸림부와 상기 타방의 걸림부와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는 락 해제 위치와의 사이에서 회동되는 락 부재를 가지며,
    상기 미끄럼 방지 부재는, 상기 덮개체측의 힌지부와 상기 락 부재측의 힌지부 각각의 단부를 덮도록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덮개체의 주벽부에는, 상기 덮개체측의 힌지부와 상기 락 부재측의 힌지부와의 사이에 걸쳐서, 상기 미끄럼 방지 부재가 감합(嵌合, 끼워 맞춤)되는 감합 오목부가 마련되며,
    상기 감합 오목부의 내측에는 감합 구멍이 마련되고,
    상기 미끄럼 방지 부재의 양 선단측의 내측에는, 상기 감합 구멍에 감합되는 빠짐 방지 돌기가 돌출되어 마련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캡 유닛과,
    상기 캡 유닛이 장착된 용기 본체를 구비하는 음료용 용기.
KR1020190043569A 2015-06-16 2019-04-15 캡 유닛 및 음료용 용기 KR1021914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21133A JP6027647B1 (ja) 2015-06-16 2015-06-16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飲料用容器
JPJP-P-2015-121133 2015-06-16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4679A Division KR102191470B1 (ko) 2015-06-16 2016-06-15 캡 유닛 및 음료용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2513A true KR20190042513A (ko) 2019-04-24
KR102191472B1 KR102191472B1 (ko) 2020-12-15

Family

ID=57326602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4679A KR102191470B1 (ko) 2015-06-16 2016-06-15 캡 유닛 및 음료용 용기
KR1020190043569A KR102191472B1 (ko) 2015-06-16 2019-04-15 캡 유닛 및 음료용 용기
KR1020190043568A KR102191471B1 (ko) 2015-06-16 2019-04-15 캡 유닛 및 음료용 용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4679A KR102191470B1 (ko) 2015-06-16 2016-06-15 캡 유닛 및 음료용 용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3568A KR102191471B1 (ko) 2015-06-16 2019-04-15 캡 유닛 및 음료용 용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027647B1 (ko)
KR (3) KR102191470B1 (ko)
CN (3) CN109398926B (ko)
TW (1) TWI58360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95730A (ko) 2022-12-19 2024-06-26 김선아 노약자를 위한 음료 흘림 방지 슬라이드 뚜껑 컵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80247A (zh) * 2017-04-27 2017-06-23 美诗刻(昆山)家居用品有限公司 弹跳式饮水杯翻盖开关按钮机构
FR3075764B1 (fr) * 2017-12-22 2019-11-22 Seb S.A. Bouteille munie d'un dispositif de verrouillage dans le bouchon
DE102018201218A1 (de) * 2018-01-26 2019-08-01 Meiko Maschinenbau Gmbh & Co. Kg Waschsystem zum reinigen von reinigungsgut
JP7090489B2 (ja) * 2018-06-26 2022-06-24 サーモス株式会社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JP7161339B2 (ja) * 2018-08-10 2022-10-26 サーモス株式会社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US11396408B2 (en) 2019-08-05 2022-07-26 Yeti Coolers, Llc Lid for container
USD957196S1 (en) 2020-10-27 2022-07-12 Yeti Coolers, Llc Bottle
USD1015804S1 (en) 2021-09-15 2024-02-27 Yeti Coolers, Llc Lid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82055A (ja) * 1986-02-03 1987-08-10 サンビ−ム プラステイツクス コ−ポレ−シヨン 容器用の二つの部材からなる封止体
JP2006044213A (ja) * 2004-07-01 2006-02-16 Tamiko Nakayama スリップ防止材及びこれを用いた容器
JP2008179390A (ja) * 2007-01-24 2008-08-07 Tiger Vacuum Bottle Co Ltd 片開きボトル
JP2012106802A (ja) 2012-03-02 2012-06-07 Tiger Vacuum Bottle Co Ltd 片開きボトル
JP2013075719A (ja) 2011-09-30 2013-04-25 Thermos Kk 飲料用容器の栓体
KR20140131268A (ko) * 2013-05-02 2014-11-12 서어모스 케이.케이.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M244854U (en) * 2000-09-27 2004-10-01 Nippon Oxygen Co Ltd Cork for soft drink container
JP4449725B2 (ja) * 2004-12-08 2010-04-14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片開きボトル
US8434639B2 (en) * 2006-06-19 2013-05-07 C & N Packaging, Inc. One piece, push button, flip top closure
KR100814319B1 (ko) * 2007-08-27 2008-03-18 (주)연우 노즐 수납식 디스펜서
US8056745B2 (en) * 2009-02-13 2011-11-15 Pacific Market International, Llc Bottle stopper having pushbutton and movable plug
JP5375266B2 (ja) * 2009-03-31 2013-12-25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ボトルの蓋ロック構造
JP5484790B2 (ja) * 2009-05-28 2014-05-07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注出栓
KR101086700B1 (ko) * 2010-04-09 2011-11-25 주식회사 승일 잔가스 배출 및 잠금가능한 분사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분사용기
JP5293848B2 (ja) * 2012-01-27 2013-09-18 サーモス株式会社 飲料用容器の栓体
CN103818631A (zh) * 2012-11-17 2014-05-28 王道民 一种新型洁厕液包装瓶瓶盖
KR101404830B1 (ko) * 2013-04-29 2014-06-09 써모스코리아 주식회사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CN203359200U (zh) * 2013-05-16 2013-12-25 香港龙源商务有限公司珠海代表处 一种保温啤酒瓶
CN203372122U (zh) * 2013-05-31 2014-01-01 陈武庆 一种汽车装饰灯
JP5498613B1 (ja) * 2013-07-05 2014-05-21 サーモス株式会社 飲料用容器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82055A (ja) * 1986-02-03 1987-08-10 サンビ−ム プラステイツクス コ−ポレ−シヨン 容器用の二つの部材からなる封止体
JP2006044213A (ja) * 2004-07-01 2006-02-16 Tamiko Nakayama スリップ防止材及びこれを用いた容器
JP2008179390A (ja) * 2007-01-24 2008-08-07 Tiger Vacuum Bottle Co Ltd 片開きボトル
JP2013075719A (ja) 2011-09-30 2013-04-25 Thermos Kk 飲料用容器の栓体
JP2012106802A (ja) 2012-03-02 2012-06-07 Tiger Vacuum Bottle Co Ltd 片開きボトル
KR20140131268A (ko) * 2013-05-02 2014-11-12 서어모스 케이.케이.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95730A (ko) 2022-12-19 2024-06-26 김선아 노약자를 위한 음료 흘림 방지 슬라이드 뚜껑 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256709A (zh) 2016-12-28
CN109398927B (zh) 2020-10-16
CN109398927A (zh) 2019-03-01
CN106256709B (zh) 2019-03-29
CN109398926A (zh) 2019-03-01
TW201700362A (zh) 2017-01-01
KR20160148476A (ko) 2016-12-26
KR102191471B1 (ko) 2020-12-15
KR102191470B1 (ko) 2020-12-15
JP2017001741A (ja) 2017-01-05
KR102191472B1 (ko) 2020-12-15
CN109398926B (zh) 2020-07-07
JP6027647B1 (ja) 2016-11-16
KR20190042512A (ko) 2019-04-24
TWI583602B (zh) 2017-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42513A (ko) 캡 유닛 및 음료용 용기
KR101879987B1 (ko) 캡 유닛 및 음료용 용기
KR101879979B1 (ko) 캡 유닛 및 음료용 용기
US20130319966A1 (en) Beverage bottle and lid with back button release and button lock
KR20150104059A (ko) 음료용 용기의 덮개체 구조
JP6509783B2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飲料用容器
KR102003109B1 (ko) 캡 유닛 및 음료용 용기
KR20180007317A (ko) 캡 유닛 및 음료용 용기
JP5430695B2 (ja) 飲料用容器の栓体
JP7090489B2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KR20220159245A (ko)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
JP5874716B2 (ja) 飲料用容器の栓体
CN112623516B (zh) 盖单元以及带盖容器
JP2010235137A (ja) ボトルの吸気構造
JP6466387B2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飲料用容器
KR101399683B1 (ko)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KR101373638B1 (ko) 원터치 방식의 기능성 컵 마개
JP3193262U (ja) 飲料容器の栓体
CN110811362B (zh) 盖单元以及带盖容器
JP2009208811A (ja) 携帯用液体容器
CN116262562A (zh) 盖帽单元及饮料用容器
JP6041938B1 (ja) 着脱式把手のヒンジ構造及び携帯型飲料容器
JP2024030700A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