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1268A -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 Google Patents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1268A
KR20140131268A KR1020140047953A KR20140047953A KR20140131268A KR 20140131268 A KR20140131268 A KR 20140131268A KR 1020140047953 A KR1020140047953 A KR 1020140047953A KR 20140047953 A KR20140047953 A KR 20140047953A KR 20140131268 A KR20140131268 A KR 201401312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lock
engaging
lid
lid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7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2179B1 (ko
Inventor
신 마츠야마
웨이 자오
Original Assignee
서어모스 케이.케이.
써모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어모스 케이.케이., 써모스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어모스 케이.케이.
Publication of KR20140131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12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2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21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47J41/0083Accessories
    • A47J41/0088Inserts; Devices attached to the stopp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Thermally Insulated Containers For Foods (AREA)

Abstract

[과제] 덮개체를 열어 락 상태가 되더라도 덮개체를 닫을 수 있도록 한다.
[해결 수단] 덮개체(12)는 락 버튼(18)과 버튼 맞물림 부재(91)가 맞물림으로써 닫힌 상태를 만들어 내며, 락 버튼(18)은 마개 본체에 배치되며, 외부로부터 힘을 가하는 것에 의해 덮개체(12)의 닫힌 상태의 해제 동작을 행할 수 있고, 버튼 맞물림 부재(91)는 덮개체(12)에 배치되고, 락 버튼(18)의 부근에는 해당 락 버튼(18)의 작동을 방해하는 가동 락 부재(20)가 장착되며, 덮개체(12)가 열린 상태에서 가동 락 부재(20)가 락 버튼(18)의 작동을 방해하는 상태에서, 버튼 맞물림 부재(91)의 일시적인 퇴피 동작에 의해 덮개체(12)를 닫힌 상태로 할 수 있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덮개체(12)를 닫을 때, 락 버튼(18)이 락 상태로 되어 있었다고 해도, 버튼 맞물림 부재(91)가, 일시적인 퇴피 동작을 행하기 때문에, 락 상태에서도 덮개체(12)를 닫을 수 있다.

Description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CAP OF BEVERAGE CONTAINER}
본 발명은,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원터치의 마개체로서, 버튼을 누르는 것에 의해 열리는 편(片) 개방 타입의 중간 마개가 다수 제안되어 있다. 이들 원터치의 마개체는 버튼을 누르는 것만으로 열 수 있어, 편리성이 뛰어나지만, 반면 버튼을 누르면 가방 안에서 열려 버릴 우려가 있어,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락(lock) 기구가 다수 채용되어 있다.
상기 락 기구로서는, 마개 본체 또는 덮개체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마련한 조작 버튼 등을 이용하는 방식(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 11)이나, 마개 본체에 좌우 이동 가능하게 마련한 락 버튼을 이용하는 방식(예를 들면 특허 문헌 12)이나, 마개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한 U자형 링을 덮개체에 걸리게 하는 방식(예를 들면 특허 문헌 13)이나, 마개 본체 또는 덮개체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마련한 조작 버튼을 구비하며, 덮개체를 닫는 조작에 따라서 해당 덮개체를 락하는 방식(일본특허출원 2013-253626)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특허공개 2004-149189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특허공개 2009-23712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특허 제4449725호 공보 [특허 문헌 4] 일본특허공개 2008-150058호 공보 [특허 문헌 5] 일본특허공개 2008-222238호 공보 [특허 문헌 6] 일본특허공개 2007-126186호 공보 [특허 문헌 7] 일본특허공개 2006-298449호 공보 [특허 문헌 8] 일본특허공개 2008-125965호 공보 [특허 문헌 9] 일본특허공개 2006-141799호 공보 [특허 문헌 10] 일본특허공개 2005-193944호 공보 [특허 문헌 11] 일본특허공개 2012-111498호 공보 [특허 문헌 12] 일본특허공개 2006-141799호 공보 [특허 문헌 13] 일본특허 제4482940호 공보
상기 각 종래 기술에서는, 각종의 락 기구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 그 조작 버튼 등을 조작하여 덮개체의 개폐를 락할 수 있다.
그렇지만, 락을 해제하여 덮개체를 열었을 때에 어떠한 충격이나 오동작에 의해, 덮개체를 닫기 전에 버튼을 락 상태로 해 버리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충격이나 오동작에 의해 락 상태로 해 버리면, 덮개체를 닫을 수 없기 때문에, 락을 해제 조작한다고 하는 여분의 시간이 걸린다.
해결하려고 하는 문제점은, 덮개체를 열어 락 상태가 되더라도 덮개체를 닫을 수 있도록 하는 점이다.
청구항 1의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는, 음료용 용기 본체에 장착되는 마개 본체를 구비한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에 있어서, 상기 마개 본체에 힌지부를 매개로 하여 덮개체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덮개체는 버튼과 버튼 맞물림 부재가 맞물림으로써 닫힌 상태를 만들어 내며, 상기 버튼은, 상기 덮개체와 상기 마개 본체의 일방에 배치되며, 외부로부터 힘을 가하는 것에 의해 상기 덮개체의 닫힌 상태의 해제 동작을 행할 수 있고, 상기 버튼 맞물림 부재는 상기 덮개체와 상기 마개 본체의 타방에 배치되고, 상기 버튼의 부근에는 해당 버튼의 작동을 방해하는 위치와 방해하지 않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락 부재가 장착되며, 상기 덮개체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락 부재가 상기 버튼의 작동을 방해하는 위치에 있어도, 상기 버튼 맞물림 부재의 일시적인 퇴피(退避) 동작에 의해 상기 덮개체를 닫힌 상태로 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의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는,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버튼 맞물림 부재는 탄성 부재에 의해 상기 덮개체가 닫힌 상태가 되도록 가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의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는,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마개체 내에 주둥이 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해당 마개체와 맞물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의 발명에 의하면, 덮개체를 닫을 때, 버튼이 락 상태로 되어 있었다고 해도, 버튼과 맞물리는 버튼 맞물림 부재가, 일시적인 퇴피(退避) 동작을 행하기 때문에, 락 상태에서도 덮개체를 닫을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버튼 맞물림 부재가 탄성 부재에 의해 덮개체가 닫힌 상태가 되도록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닫힌 상태를 보다 확실히 유지할 수 있다. 또, 버튼 맞물림 부재 자체의 탄성 변형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버튼 맞물림 부재에도 충분한 강도를 갖게 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금형 구조적으로 주둥이 부재 외측에 틈을 가리는 단차(段差)를 작성할 수 있는데다가, 분해에 의해 세정성이 향상하여 편리성이 높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나타내는 마개체의 락 상태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락 해제하여 덮개를 개방하는 동작 중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락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마개체를 분해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마개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마개체의 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락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락 기구의 요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덮개체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마개체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락 버튼이 락 상태에서의 락 기구의 동작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며, 도 11의 (A)은 덮개체를 폐쇄하는 동작에 의해, 락 버튼에 버튼 맞물림 부재가 닿은 상태, 도 11의 (B)은 버튼 맞물림 부재가 퇴피하는 상태, 도 11의 (C)는 락 상태를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본 발명에서의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의 형태는,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 이하에 설명되는 구성의 모두가, 본 발명의 필수 요건이라고는 할 수 없다.
[실시예 1]
이하, 본 발명을 금속제 이중 단열 구조의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에 적용한 실시예 1을 도 1 ~ 도 11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음료용 용기(1)는, 금속제의 용기 본체(2)와, 해당 용기 본체(2)의 상부 개구부인 개구 단부(2A)에 피착(被着)되는 합성 수지제의 마개체(3)를 구비한다. 상기 용기 본체(2)는, 내통(4)과 외통(5)의 개구 단부(2A)의 가장자리를 일체로 접합하고, 내통(4)과 외통(5)과의 사이의 공간을 진공의 단열층(6)으로 한 단열 이중 구조이다.
또, 상기 개구 단부(2A)의 하측에, 합성 수지제로 통 모양의 어깨 부재(7)를 끼워 장착하고, 이 어깨 부재(7)에 상기 마개체(3)를 피착하는 것에 의해, 해당 마개체(3)가 개구 단부(2A)에 피착된다. 상기 외통(5)에는 상기 개구 단부(2A)의 하측에 상향 경사 계단부(5D)를 형성함과 아울러, 이 상향 경사 계단부(5D)의 하측에 감합(嵌合, 끼워 맞춤) 받이부(5K)를 마련하고 있다. 상기 개구 단부(2A)의 하측에는, 상기 어깨 부재(7)가 고착되며, 구체적으로는, 상기 어깨 부재(7)의 내주면에는 상기 감합 받이부(5K)에 감합하는 감합부(7K)가 마련되고, 감합 받이부(5K)에 감합부(7K)를 감합하는 것에 의해, 어깨 부재(7)는, 개구 단부(2A)의 하측 근접 위치로부터 상향 경사 계단부(5D), 감합 받이부(5K)의 하측 위치까지를 덮도록 용기 본체(2)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어깨 부재(7)의 상부 외주에는 수나사부(7N)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마개체(3)는 합성 수지제의 마개 본체(10)를 구비하며, 이 마개 본체(10)는, 어깨 부재(7)의 상부 외주를 둘러싸는 통 모양부(8)를 가지고, 이 통 모양부(8)의 내주에 암나사부(8N)가 형성되며, 이 암나사부(8N)를 상기 어깨 부재(7)의 수나사부(7N)에 나사 체결하여 용기 본체(2)의 개구 단부(2A)에 마개 본체(10)가 장착된다.
상기 마개 본체(10)의 일측에 돌출 마련한 장착부(11)에는, 덮개체(12)가 덮개 힌지부(13)를 매개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 덮개 힌지부(13)에 감아 걸어진 고무테 등의 탄성체(14)에 의해, 덮개체(12)가 개방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으며, 고리 모양의 탄성체(14)는, 일단이 마개 본체(10)의 장착부(11)의 장착 받이부(15)에 걸림과 아울러, 타단이 덮개체(12)의 장착 받이부(16)에 걸려 있다. 또, 상기 덮개체(12)는, 상기 마개 본체(10)의 천판(天板, 17)에 비해 작게 형성되며, 덮개를 닫을 때의 평면 형상은, 마개 본체(10)의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체(14)는, 덮개체(12)를 닫은 상태로부터 180도 정도 회동한 위치에서 덮개체(12)를 유지하는 힘을 가지고 있다. 또, 마개 본체(10)의 장착부(11)를, 덮개체(12)의 좌우의 장착 받이부(11F, 11F)에 의해 사이에 끼운 상태에서, 그들 장착부 (11) 및 장착 받이부(11F, 11F)에 상기 덮개 힌지부(13)를 삽입 통과시킨다.
또, 타측의 덮개 힌지부(13)에 대해서, 용기 본체(2)의 입구부 중심을 축심(軸芯, 도시하지 않음)으로 했을 때 180도의 위치에, 즉 덮개 힌지부(13)와 지름 방향에 대향하는 위치인 일측에는, 덮개체(12)의 선단을 걸리게 하여 덮개를 닫힌 상태로 유지하는 락 기구(R)가 마련되어 있다. 또, 상기 덮개 힌지부(13)는 힌지축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마개 본체(10)는, 상기 통 모양부(8)의 상면에, 용기 본체(2)의 개구 단부(2A)를 덮는 천판(天板, 17)을 마련한 역(逆)으로 저부를 가지는 통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통 모양부(8)의 일측(전측(前側))에는, 상기 락 기구(R)의 구성 부재인 버튼인 시소식(seesaw式) 락 버튼(18)과, 이 락 버튼(18)의 하측에서 상하 승강 가능한 락 부재인 가동 락 부재(20)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락 버튼(18)이 덮개체(12)에 걸려 해당 덮개체(12)가 닫힌 상태로 락된다.
또, 상기 마개 본체(10)는, 그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는 합성 수지제의 주둥이 부재(21)를 구비한다. 도 4 및 도 5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둥이 부재(21)는, 상기 마개 본체(10) 내에 수납되는 통상체(筒狀體, 22)와, 이 통상체(22)의 상부 개구에 둘레에 마련한 상부 차양부(22F)와, 이 상부 차양부(22F) 상에 고정되어 상기 통상체(22)의 상부 개구를 막는 상판부(23)와, 상기 통상체(22)의 하부 개구를 막도록 마련된 하판부(24)와, 상기 상판부(23)의 일측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 마련한 대략 원기둥 모양의 주둥이(25)를 구비한다. 또, 상기 통상체(22) 내의 일측에는, 상기 주둥이(25)와 연통하는 중통부(中筒部, 26)가 마련되며, 이 중통부(26)는 상기 주둥이(25)보다 지름이 크고, 그 중통부(26)의 하부 개구(26K)는 상기 하판부(24)로 개구하고 있다. 그리고, 중통부(26)를 제외한 통상체(22)의 내부가, 단열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수납하는 수납 공간(27)으로 되어 있다.
또, 상기 마개 본체(10)의 천판(17)의 일측에, 상기 주둥이(25)를 유동 가능하게 삽입하는 관통공(17K)을 마련하고, 이 관통공(17K)은 전후 방향으로 긴 장공으로서, 그 관통공(17K)의 전측(前側) 가장자리에는, 맞물림 받이부인 전측 맞물림 받이부(28)가 마련되어 있으며, 그 전측 맞물림 받이부(28) 내에 삽입하도록 맞물리는 맞물림부인 돌기(29)를 상기 주둥이(25)의 전측 외주로부터 전측 상향으로 돌출 마련하고 있다. 또, 이 예에서는, 전측 맞물림 받이부(28)를, 천판(17)의 상면보다 일단(一段) 움푹 패인 단차(段差) 모양의 오목부에 의해 구성하고 있다.
한편, 상기 마개 본체(10)의 천판(17)의 타측(후측(後側))에는, 대략 방형(方形)의 맞물림 구멍(31)을 천공 마련하고, 이 맞물림 구멍(31)의 후측 가장자리 상면이 맞물림 받이부(31K)이다. 또, 천판(17)의 상면에는 상기 맞물림 구멍(31)을 둘러싸 평면이 대략 コ자형인 프레임부(32)가 돌출 마련되고, 이 프레임부(32)는 상기 맞물림 받이부(31K)측으로 개구하고 있다.
상기 주둥이 부재(21)의 통상체(22)의 후부(後部)의 외측에는 걸림 부재(35)가 마련되고, 이 걸림 부재(35)를 수납하는 오목부(34)를 상기 상부 가장자리부(22F) 및 상판부(23)에 형성하고, 그 걸림 부재(35)는, 상기 마개 본체(10)의 걸림 받이부(31K)에 착탈 가능하게 걸린다. 이 걸림 부재(35)의 세로 방향부(35A)는, 하부를 좌우 방향의 추축(樞軸, 36)에 의해 상기 주둥이 부재(2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과 아울러, 그 회동에 의해 상기 오목부(34) 내를 전후 이동한다. 또, 걸림 부재(35)의 세로 방향부(35A)의 상부에 상기 걸림 받이부(31K)에 걸리는 걸림부(37)를 가지며, 이 걸림부(37)는 대략 수평 방향으로 아래를 향하는 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 걸림 부재(35)의 세로 방향부(35A)의 상하 방향 중앙 내측에 돌기 모양의 장착부(38)를 마련하고, 이 장착부(38)에 가압 수단(39)을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며, 이 가압 수단(39)은 통부(39A)와 저부(39B)를 구비하며, 고무 등의 탄성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통부(39A)에 상기 장착부(38)를 압입 고정하고, 저부(39B)가 통상체(22)의 외주의 맞닿음 면(40)에 맞닿는다.
또, 걸림 부재(35)의 세로 방향부(35A)의 하부에는, 좌우 두 갈래 모양으로 나뉘어진 다리부(41, 41)가 마련되며, 이들 다리부(41, 41)는 추축(36) 위치로부터 대략 수평으로 내측을 향해서 돌출 마련되어 있고, 통상체(22)의 외주에는, 다리부(41, 41)의 상면이 맞닿는 상부 맞닿음 받이부(42)가 마련되고, 이 상부 맞닿음 받이부(42)는 돌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 맞닿음 받이부(42)에 의해, 걸림 부재(35)의 회동 범위가 규제되어 있으며, 가압 수단(39)의 탄성에 의해 다리부(41)가 상부 맞닿음 받이부(42)에 맞닿는 위치가 걸림 부재(35)의 초기 위치이고, 조작부(43)를 내측으로 누르는 것에 의해, 걸림부(37)의 상기 걸림 받이부(31K)에의 걸림을 해제할 수 있다.
상기 걸림 부재(35)의 세로 방향부(35A)의 상부에는 상기 조작부(43)가 일체로 마련되며, 이 조작부(43)의 상면은 수평은 아니고, 상측으로 경사져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높아지도록 경사져 있다. 또, 조작부(43)의 하측에 있는 하측 상면(43A)은 볼록한 모양으로 만곡(灣曲)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부(43)의 하부에 아래를 향하는 상기 걸림부(37)가 마련되며, 마개 본체(10)에 주둥이 부재(21)를 장착한 상태에서, 덮개체(12)를 완전한 전개(全開) 상태로부터 들어 올리면, 조작부(43)는 천판(17)의 상측으로 노출하여, 조작 가능한 상태가 된다. 게다가, 걸림 부재(35)의 걸림부(37)가 마개 본체(10)의 걸림 받이부(31K)에 걸린 상태에서, 조작부(43)의 상단은 추축(36) 위치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하측 상면(43A)은 추축(36) 위치보다 외측에 위치한다. 또, 덮개체(12)가 닫혀 있으면, 도 3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둥이(25)의 상단면(25B)에 덮개 패킹(55)이 압접하고 있기 때문에, 조작부(43)를 조작해도, 마개 본체(10)와 주둥이 부재(21)를 분해할 수 없다.
또, 상기 돌기(29)와 걸림 부재(35)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주둥이 부재(21)의 상판부(23)에는, 좌우 방향으로 긴 위치 결정 볼록부(45)가 마련되며, 이 위치 결정 볼록부(45)의 평면 형상은 대략 장방형이고, 그 위치 결정 볼록부(45)가 걸려 들어가는 위치 결정 오목부(46)가 상기 마개 본체(10)의 천판(17) 하면에 마련되어 있다.
게다가, 주둥이 부재(21)에는, 통상체(22)의 하부에 패킹(48)을 장착하는 차양 모양의 장착부(47)가 마련되고, 이 장착부(47)에 패킹(48)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이 패킹(48)은 혀 모양의 씰부(48A)를 구비하며, 이 씰부(48A)가 용기 본체(2)의 내주면에 압접하여 용기 본체(2)와 주둥이 부재(21)와의 사이가 밀폐된다. 또, 패킹(48)의 하부 내주에는 손잡이부(48T)가 마련되며, 이 손잡이부(48T)를 인장하도록 하여, 장착부(47)로부터 패킹(48)을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다.
도 4와 같이 분해한 상태로부터, 전측(前側)이 위가 되도록 주둥이 부재(21)를 경사지게 하고, 아래로부터 주둥이(25)를 마개 본체(10)의 관통공(17K)에 삽입 통과시킴과 아울러, 돌기(29)를 전측 맞물림 받이부(28)에 걸려 들어가게 한다. 이 후, 주둥이 부재(21)의 후측(後側)을 상측으로 밀어 올리면, 조작부(43)의 경사진 상면이 맞물림 구멍(31)의 가장자리에 맞닿고, 이것에 의해 조작부(43)가 내측으로 회동하며, 조작부(43)가 맞물림 구멍(31)을 통과하여 걸림부(37)가 걸림 받이부(31K)에 걸리고, 동시에, 위치 결정 볼록부(45)가 위치 결정 오목부(46) 내로 걸려 들어간다. 한편, 덮개체(12)를 들어 올려, 조작부(43)를 노출시키고, 조작부(43)의 상면을 내측으로 눌러 걸림을 해제하면, 마개 본체(10)로부터 주둥이 부재(21)를 떼어낼 수 있다.
그리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덮개체(12)에는 버튼 맞물림 부재(91)가 마련되며, 이 버튼 맞물림 부재(91)는 덮개측 맞물림 편(92)을 가지고, 이 덮개측 맞물림 편(92)이 상기 락 버튼(18)에 걸려, 덮개체(12)가 닫힌 상태에서 락된다.
마개 본체(10)에 주둥이 부재(21)를 조립한 상태에서, 상기 주둥이(25)는, 상기 천판(17)으로부터 음용자가 입에 넣는데 적당한 굵기로 덮개체(12)에 덮이는 높이의 대략 원기둥 모양으로 돌출 마련되어 있으며, 그 내부를 음료의 주출구(注出口, 25A)로 하고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둥이(25)의 상단면(25B)은, 주둥이(25)의 중심축과 직교하는 선 L 보다도 덮개 힌지부(13)측이 각도 θ만큼 낮아지도록 경사져 있다. 그리고, 주둥이(25)의 상부는, 덮개를 닫을 때에 덮개체(12)에 장착한 덮개 패킹(55)으로 씰링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4 및 도 5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덮개체(12)의 상면(12J)에는, 상기 주둥이(25)에 대응하여, 덮개 패킹 장착용 통부(56)가 형성되며, 이 통부(56)는, 상면(12J)의 하면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 마련되고, 상기 주둥이(25)보다 지름이 작고 해당 주둥이(25)와 거의 동심원 상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통부(56)에는, 덮개체(12)의 내외면을 관통하는 관통공(57)이 형성되며, 해당 통부(56)의 두께는 하측을 향해 테이퍼 모양으로 얇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관통공(57)의 상부에는 대경부(大經部, 57A)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덮개 패킹(55)은, 엘라스토머, 고무 혹은 탄성 합성 수지에 의해서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57)에 하측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끼워 넣어 장착하는 대략 원기둥 모양의 장착부(58)와, 이 장착부(58)의 하단에 마련한 만곡판 모양의 씰체(59)와, 상기 통부(56)의 외주에 감는 테이퍼 모양의 내통부(內筒部, 60)를 일체로 구비하며, 이 내통부(60)의 외주와 씰체(59)의 내면과의 사이에는, 씰체(59)의 탄성 변형을 허용 하는 공극부(61)가 마련되어 있다. 또, 상기 장착부(58)의 선단에는, 상기 대경부(57A)에 걸리는 대경부(58A)가 마련되어 있다. 게다가, 상기 씰체(59)의 외면(하면)은 하측에 움푹 패인 만곡면 모양을 이루며, 그 씰체(59)의 내면(상면) 주위에는 상기 덮개체(12)의 내면에 맞닿는 평탄면(62)이 형성되어 있다. 또, 씰체(59)는 상단면(25B)보다 지름이 크다.
그리고, 덮개 패킹(55)을 덮개체(12)에 장착하려면, 덮개체(12)의 상면(12J)의 내면측으로부터 장착부(58)를 관통공(57)에 압입하면, 대경부(58A)가 대경부(57A)에 걸리고, 덮개체(12)의 내면에 평탄면(62)이 맞닿으며, 덮개체(12)의 내면과 씰체(59)의 내면과의 사이에 공극부(61)가 형성된다.
따라서, 도 1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체(12)를 닫으면, 주둥이(25)의 상단면(25B)이 씰체(59)에 압접하여 씰체(59)가 탄성 변형하고, 락 버튼(18)이 덮개체(12)에 걸린 상태에서, 씰체(59)의 내면과 덮개체(12)의 내면에 공극부(61)가 생긴다.
상기 락 기구(R)의 락 버튼(18)은, 합성 수지제로 이루어지는 표면부인 버튼 본체(63)를 구비하며, 이 버튼 본체(63)의 좌우 가장자리(63F, 63F)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고, 그 상부 가장자리(63U)는 위로 볼록한 만곡 모양으로 형성되며, 그 하부 가장자리부(63S)는 아래로 볼록한 만곡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버튼 본체(63)의 상부 이면에, 상기 덮개체(12)의 덮개측 맞물림 편(92)에 맞물려 해당 덮개체(12)를 닫은 상태로 유지하는 버튼 맞물림부(64)가 내향으로 돌출 마련되고, 이 버튼 맞물림부(64)보다 하부에서 버튼 본체(63)의 상부 이면의 좌우에 암부(65, 65)가 내향으로 돌출 마련되고, 이들 좌우의 암부(65, 65)에 가로 방향의 축 구멍(65A, 65A)을 천공 마련하며, 이들 축 구멍(65A, 65A)에 회전 중심이 되는 축부(66)가 삽입 통과된다.
또, 버튼 본체(63)의 이면에는, 원기둥 모양의 장착부(67)가 내향으로 돌출 마련되며, 이 장착부(67)은 축 구멍(65A)보다 하측에서 좌우 방향 대략 중앙에 마련되어 있으며, 그 장착부(67)에 가압 수단인 코일 스프링(69)의 기단측이 장착되어 있다. 이 장착부(67)에 대응하여 상기 통 모양부(8)의 외면에 장착부(68)를 돌출 마련하고, 락 버튼(18)을 마개 본체(10)에 장착한 상태에서, 장착부(67, 68) 사이의 상기 코일 스프링(69)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버튼 맞물림부(64)가 상시 덮개체(12)를 락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또, 도 3에서는, 상기 버튼 맞물림부(64)가 상기 락하는 방향은 우측 방향이다.
상기 버튼 본체(63)의 표면에는, 상기 축 구멍(65A)보다 하측에 가압 조작부(71)가 마련되며, 이 가압 조작부(71)는, 하측을 향해 전측(前側)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에 의해 구성됨과 아울러, 하부 가장자리부(63S)와 마찬가지로 정면에서 볼 때 만곡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마개 본체(10)의 통 모양부(8)의 덮개 힌지부 반대측에는, 상기 락 기구(R)의 장착부(72)가 마련되어 있다. 이 장착부(72)는 좌우의 세로 벽부(73, 73)를 가지며, 좌우의 세로 벽부(73, 73)의 사이에서, 상기 통 모양부(8)의 외면은 대략 평탄한 평탄면(72M)에 형성되고, 그들 좌우의 세로 벽부(73, 73) 사이의 하측에는, 상기 가동 락 부재(20)가 장착 부재(74)에 의해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축부(66)가 상기 좌우의 세로 벽부(73, 73)에 마련한 장착 구멍(73A, 73A)에 장착되고, 상기 축부(66)를 중심으로 상기 락 버튼(18)이 회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상기 장착 부재(74)는, 상기 버튼 본체(63)의 하부 가장자리부(63S)의 형상을 모방한 가로 방향의 상부 프레임부(75)와, 이 상부 프레임부(75)의 하부 가장자리에 마련한 하향 계단부(76)와, 이 하향 계단부(76)로부터 하측으로 늘어뜨려 마련한 판 모양의 안내부(77)와, 이 안내부(77)의 좌우에 마련한 장착부(78, 78)를 일체로 가지며, 이들 장착부(78, 78)의 하단(78K, 78K)은 상기 안내부(77)의 하단보다 하측으로 연장하여 마련되어 있다. 또, 하향 계단부(76)에 의해, 안내부(77) 및 장착부(78)의 전면(前面)은, 상부 프레임부(75)의 전면(前面)보다 후방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좌우의 장착부(78, 78)가, 상기 좌우의 세로 벽부(73, 73)의 사이에 장착된다. 또, 이 경우, 장착부(78)와 세로 벽부(73)의 내면과는 요철 감합(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위치 결정 고정된다.
상기 가동 락 부재(20)는, 세로 방향의 전면부(前面部, 81)와, 그 전면부(81)와 간격을 두고 배치한 세로 방향의 후부(後部, 82)를, 가로 방향의 하부(83)에 의해 연결하고, 그들 전면부(81)와 후부(82)의 사이에 상기 장착 부재(74)의 안내부(77)를 사이에 두고 상하로 승강하며, 그 후부(82)의 상부 외면이 락 부(lock部, 84)이며, 이 락 부(84)가 상기 락 버튼(18)의 하부 내면의 락 받이부(85)의 뒤로 들어간다. 또, 전면부(81)의 상부 가장자리(81F)는 상기 하향 계단부(76)를 모방한 만곡 모양을 이룬다.
또, 상기 가동 락 부재(20)의 전면부(81)의 하부에는, 가압 조작부(86)가 마련되며, 이 가압 조작부(86)는, 하측을 향하여 전측(前側)으로 경사지는 상부 경사면(86U)과 하면(86K)에 의해 구성되며, 정면에서 볼 때 만곡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 경사면(86U)을 하측으로 밀도록 하여 가동 락 부재(20)를 밀어 내릴 수 있고, 하면(86K)을 상측으로 미는 것에 의해, 가동 락 부재(20)를 밀어 올릴 수 있다.
게다가, 가동 락 부재(20)의 후부 및 통 모양부(8)에는, 탄성 위치 결정 수단(87)이 마련되어 있다. 이 탄성 위치 결정 수단(87)은, 가동 락 부재(20)의 후부에 마련되는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 암부(88)를 가지며, 이 암부(88)의 좌우 폭은 상기 후부(82)의 좌우 폭보다 좁고, 또, 탄성 암부(88)는, 상기 후부(82)의 후면 상부의 좌우 방향 중앙으로부터 가로부(88Y)가 후방으로 돌출되며, 이 가로부(88Y)의 선단으로부터 하측을 향해 세로부(88T)가 늘어뜨려 마련되고, 이 세로부(88T)의 하단은 자유 단부로서, 그 세로부(88T)의 하단 후측에 맞물림 돌기부(89)를 마련하고 있다. 이 맞물림 돌기부(89)는 후측 하향으로 수평에 대해서 약간 경사진 대략 평탄한 맞물림면(89A)과, 이 맞물림면(89A)의 선단으로부터 하향 외측으로 경사진 경사면(89B)을 가진다. 또, 상기 탄성 위치 결정 수단(87)은, 상기 통 모양부(8)의 상기 평탄면(72M)에 상기 맞물림 돌기부(89)가 맞물리는 맞물림 받이부(90)를 가진다. 이 맞물림 받이부(90)는, 하부에 상기 맞물림면(89A)이 맞물리는 맞물림 받이면(90A)을 가짐과 아울러, 이 맞물림 받이면(90A)의 상부에 상기 경사면(89B)이 맞물리는 경사면(90B)을 가진다.
따라서, 도 1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락 부재(20)의 락 위치에서는, 경사면(89B, 90B)이 맞물리고, 여기로부터 가동 락 부재(20)를 밀어 내리면, 경사면(89B, 90B)끼리의 맞물림에 의해 탄성 암부(88)가 탄성 변형하며, 맞물림 돌기부(89)가 맞물림 받이부(90)를 통과하여 맞물림면(89A)과 맞물림 받이면(90A)이 맞물리고, 이것에 의해 가동 락 부재(20)가 락 해제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한편, 락 해제 위치의 가동 락 부재(20)를 밀어 올리면, 맞물림면(89A)과 맞물림 받이면(90A)의 맞물림에 의해 탄성 암부(88)가 탄성 변형하고, 맞물림 돌기부(89)가 맞물림 받이부(90)를 통과하여 경사면(89B, 90B)이 맞물리며, 이것에 의해 가동 락 부재(20)가 락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이 경우, 맞물림 돌기부(89)가 맞물림 받이부(90)를 통과할 때, 탄성 암부(88)가 전측(前側)으로 탄성 변형하는 것에 의해 클릭감이 얻어진다.
그리고, 상기 버튼 본체(63)의 표면은, 가압 조작부(71)를 제외하고, 상기 세로 벽부(73)의 전면(前面, 73M) 및 상부 프레임부(75)의 전면과 대략 면일(面一, 면의 높이가 동일함)이며, 상기 가동 락 부재(20)의 표면은, 가압 조작부(86)를 제외하고, 상기 세로 벽부(73)의 전면(73M) 및 상부 프레임부(75)의 전면과 대략 면일이다.
또, 덮개체(12)의 회동 단부, 즉 덮개 힌지부(13)의 반대측에는, 상기 락 버튼(18)의 상기 버튼 맞물림부(64)가 걸림 가능한 버튼 맞물림 부재(91)가 수평축을 중심으로 요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이 합성 수지제의 버튼 맞물림 부재(91)는, 하부에 상기 덮개측 맞물림 편(92)을 가지며, 이 덮개측 맞물림 편(92)의 상부에 덮음부(93)를 일체로 가지고, 이 덮음부(93)는 상기 락 버튼(18)의 상기 상부 가장자리부(63U)를 대략 모방한 형상을 이룬다. 상기 버튼 맞물림부(64)의 선단 상부에는 상부 경사면(64A)이 마련되며, 이 상부 경사면(63A)에 대응하여, 상기 덮개측 맞물림 편(92)에 하부 경사면(92A)이 형성되고, 이것에 의해 덮개측 맞물림 편(92)은 선단측을 향해 가늘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버튼 맞물림부(64)의 하면(64K)이 상기 덮개측 맞물림 편(92)의 가로 방향의 상면부(92J)에 걸린다. 게다가, 상기 덮개측 맞물림 편(92)의 후측(後側)과 덮임부(93)의 후측(後側)을 세로 방향의 연결부(94)에 의해 연결하고 있다.
상기 버튼 맞물림 부재(91)의 하측 후부(後部)에, 가로 방향의 축 구멍(95)을 천공 마련하며, 구체적으로는 상기 덮개측 맞물림 편(92)에 축 구멍(95)을 천공 마련하고, 이 축 구멍(95)에 회전 중심이 되는 좌우 방향의 축부(96)가 삽입 통과된다. 또, 덮개체(12)에는, 상기 버튼 맞물림 부재(91)를 장착하는 장착부(97)를 마련하며, 이 장착부(97)는, 덮개체(12)의 전면(前面) 하부 가장자리에, 상측으로 움푹 패인 노치(notch) 개구부(98)를 마련하며, 이 노치 개구부(98)의 좌우에는 세로 방향의 세로 벽부(99, 99)가 전측(前側)으로 돌출 마련되고, 이들 좌우의 세로 벽부(99, 99)의 후부(後部)에는, 각각 베어링부를 마련하고, 그들 베어링부에 축 구멍(99A, 99A)을 천공 마련하고 있다. 또, 세로 벽부(99, 99)의 하부 가장자리(99F, 99F)는, 상기 덮개체(12)의 하부 가장자리부(12F)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들 축 구멍(99A, 95, 99A)에 축부(100)를 삽입 통과하는 것에 의해, 세로 벽부(99, 99)의 사이에 축부(100)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버튼 맞물림 부재(91)를 회동 가능하게 마련하고 있다.
또, 상기 버튼 맞물림 부재(91)의 좌우 방향 일측면에는, 좌우 방향 타측에 움푹 패인 오목부(101)를 형성함과 아울러, 이 오목부(101)에 좌우 방향의 통부(102)를 마련하며, 이 통부(102)에는 상기 축 구멍(95)이 형성되어 있다. 그 통부(102)에, 가압 수단인 버튼 맞물림 스프링(103)을 외장함과 아울러, 상기 오목부(101)에 버튼 맞물림 스프링(103)을 대략 수납하고, 이 버튼 맞물림 스프링(103)은, 비틀림 코일 스프링이며, 그 일단(103A)을 상기 장착부(97)에 걸리게 함과 아울러, 그 타단(103B)을 버튼 맞물림 부재(91)에 걸리게 하며, 버튼 맞물림 스프링(103)에 의해, 버튼 맞물림 부재(91)를 상시 상기 덮개측 맞물림 편(92)이 락 버튼(18)과 걸리는 위치로 가압하고 있다. 이 걸리는 위치에서, 도 11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덮임부(93)의 후부(後部) 상면에 의해 구성된 위치 결정부(104)가, 장착부(97)의 노치 개구부(89)의 상부 가장자리(89F)에 맞닿는 것에 의해, 버튼 맞물림 부재(91)의 회동 범위가 규제된다. 한편, 상기 덮임부(93)의 상면에는 상기 위치 결정부(104)로부터 전측(前側)을 향해 낮아지는 경사면(105)이 형성되고, 이 경사면(105)보다 전측(前側)의 전측부 상면(106)은 상기 위치 결정부(104)보다 낮게 형성되어 있으며, 도 11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버튼 맞물림 스프링(103)의 가압에 저항하여, 전측(前側)이 올라가도록 버튼 맞물림 부재(91)를 회동하면, 상기 상부 가장자리(98F)에 상기 전방부 상면(106)이 맞닿는 위치까지 버튼 맞물림 부재(91)가 회동할 수 있다.
또, 가동 락 부재(20)가 상기 상부 프레임부(75)에 맞닿는 위치가 락 버튼(18)의 락 위치(상한 위치)이며, 이 위치에서 가동 락 부재(20)의 외면(外面) 상부의 락 부(84)가, 상기 버튼 본체(63)의 내면 하부의 락 받이부(85)의 내면측에 위치하고, 락 버튼(18)의 하부를 후측으로 밀면, 락 받이부(85)가 락 부(84)에 맞닿으며, 이것에 의해 락 버튼(18)에 의한 락 해제 동작이 방지된다.
또, 상기 마개 본체(10)의 천판(17)의 상면에는, 상기 세로 벽부(73, 73)에 연속하여 좌우의 외벽부(111, 111)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들 좌우의 외벽부(111, 111)의 사이에, 덮개 폐쇄 상태의 상기 덮개체(12)의 하부 가장자리부(12F)가 가려진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에 대해서 그 작용을 설명한다. 음료를 수용할 때는, 우선, 미리 열려 있는 용기 본체(2)의 개구로부터 음료를 용기 본체(2)에 수용하고, 다음으로, 개구 단부(2A)에 마개체(3)를 장착한다.
가동 락 부재(20)에 의해 락 버튼(18)이 락된 상태에서, 덮개 힌지부(13)를 회동 중심으로 하여 덮개체(12)를 닫도록 회동하면, 덮개측 맞물림 편(92)의 하부 경사면(92A)의 선단이, 버튼 맞물림부(64)의 선단의 상부 경사면(63A)의 선단 측에 의해서 밀리고(도 11의 (A)), 버튼 맞물림 스프링(103)에 저항하여 덮개측 맞물림 편(92)이 상측으로 이동하도록 버튼 맞물림 부재(91)가 경사 이동하며(도 11의 (B))), 게다가, 덮개측 맞물림 편(92)이 버튼 맞물림부(64)를 타고 넘어, 덮개측 맞물림 편(92)의 상면부(92J)가 버튼 맞물림부(64)의 하측면(64K)에 걸려(도 11의 (C)), 덮개체(12)가 마개 본체(10)에 대해서 고정 가능해진다.
한편, 락 버튼(18)의 언락(unlock) 상태에서는, 덮개측 맞물림 편(92)의 하부 경사면(92A)의 선단이, 버튼 맞물림부(64)의 선단의 상부 경사면(63A)의 선단 측에 의해서 밀리면, 락 버튼(18)의 상부가 약간 전측(前側)으로 경사지게 이동하지만, 주로 버튼 맞물림 부재(91)가 경사지게 이동하여 덮개측 맞물림 편(92)과 버튼 맞물림부(64)가 맞물린다.
그리고, 덮개체(12)를 닫는 동작이 완료하여, 덮개체(12)로부터 손을 떼면, 덮개 패킹(55)의 탄성 복원력과 탄성체(14)의 힘에 의해, 덮개측 맞물림 편(92)과 버튼 맞물림부(64)가 맞물린 락 상태가 유지된다. 또, 도 1의 가동 락 부재(20)의 락 위치와 도 1의 가동 락 부재(20)의 언락 위치(하부 위치)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가동 락 부재(20)를 보면 락 상태를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 덮개체(12)를 닫은 후, 가동 락 부재(20)를 밀어 올리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락 부재(20)의 외면 상부의 락 부(84)가, 상기 버튼 본체(63)의 내면 하부의 락 받이부(85)의 내면측에 위치하고, 락 버튼(18)의 하부를 후측으로 밀면, 락 받이부(85)가 락 부(84)에 맞닿으며, 이와 같이 하여 가동 락 부재(20)가 락 버튼(18)에 의한 해제 동작을 방해하여, 덮개체(12)가 닫힌 상태가 유지되는 락 상태가 된다. 또, 이 락 상태에서, 버튼 맞물림 부재(91)의 위치 결정부(104)가, 덮개체(12)의 장착부(97)의 상부 가장자리(98F)에 맞닿는 것에 의해, 버튼 맞물림 부재(91)의 회동 범위가 규제된다.
이 락 상태로부터 덮개체(12)를 열려면, 락 버튼(18)의 하부를 밀면, 덮개측 맞물림 편(92)으로부터 버튼 맞물림부(64)가 빠져, 탄성체(14)의 힘에 의해 덮개체(12)가 열린다. 덮개체(12)를 열면, 내부의 음료를 주둥이(25)로부터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마실 수 있다.
게다가, 용기 본체(2)로부터 마개체(3)를 떼어내고, 마개 본체(10) 내로부터 주둥이 부재(21)를 떼어내어, 주둥이 부재(21)를 떼어낸 상태에서 마개체(3)를 세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청구항 1에 대응하여, 음료용 용기 본체(1)에 장착되는 마개 본체(10)를 구비한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에 있어서, 마개 본체(10)에 힌지부(13)를 매개로 하여 덮개체(12)가 연결되어 있고, 덮개체(12)는 버튼인 락 버튼(18)과 버튼 맞물림 부재(91)가 맞물림으로써 닫힌 상태를 만들어 내며, 락 버튼(18)은, 덮개체(12)와 마개 본체(10)의 일방에 배치되며, 이 예에서는 마개 본체(10)에 배치되며, 외부로부터 힘을 가하는 것에 의해 덮개체(12)의 닫힌 상태의 해제 동작을 행할 수 있고, 버튼 맞물림 부재(91)는 덮개체(12)와 마개 본체(10)의 타방에 배치되고, 이 예에서는 덮개체(12)에 배치되고, 락 버튼(18)의 부근에는 해당 락 버튼(18)의 작동을 방해하는 락 부재인 가동 락 부재(20)가 장착되며, 덮개체(12)가 열린 상태에서 가동 락 부재(20)가 락 버튼(18)의 작동을 방해하는 상태에서, 버튼 맞물림 부재(91)의 일시적인 퇴피 동작에 의해 덮개체(12)를 닫힌 상태로 할 수 있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덮개체(12)를 닫을 때, 락 버튼(18)이 락 상태로 되어 있었다고 해도, 락 버튼(18)과 맞물리는 버튼 맞물림 부재(91)가, 일시적인 퇴피 동작을 행하므로, 락 상태에서도 덮개체(12)를 닫을 수 있다.
또,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청구항 2에 대응하여, 버튼 맞물림 부재(91)는 탄성 부재인 버튼 맞물림 스프링(103)에 의해 덮개체(12)가 닫힌 상태가 되도록 가압되어 있기 때문에, 버튼 맞물림 부재(91)가 버튼 맞물림 스프링(103)에 의해 덮개체(12)가 닫힌 상태가 되도록 유지되어 있으므로, 닫힌 상태를 보다 확실히 유지할 수 있다. 또, 버튼 맞물림 부재(91) 자체의 탄성 변형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버튼 맞물림 부재(91)에도 충분한 강도를 가질 수 있다.
또,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청구항 3에 대응하여, 마개체(3) 내에 주둥이 부재(21)가 착탈 가능하게 해당 마개체(3)와 맞물리기 때문에, 금형 구조적으로 주둥이 부재(21)의 외측에, 틈을 가리는 단차를 작성할 수 있는데다가, 분해에 의해 세정성이 향상하여 편리성이 높다.
이하, 실시예상의 효과로서, 주둥이 부재(21)는, 단열 부재를 수납하는 수납 공간(27)을 가지기 때문에, 마개체(3)의 단열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 마개 본체(10)의 천판(17)에 주둥이(25)를 유동 가능하게 삽입하는 관통공(17K)을 마련하고, 이 관통공(17K)의 전측(前側) 가장자리에는, 맞물림 받이부인 전측 맞물림 받이부(28)를 마련함과 아울러, 이 전측 맞물림 받이부(28) 내에 걸려 들어가는 맞물림부인 돌기(29)를 가지기 때문에, 전측 맞물림 받이부(28)와 돌기(29)의 맞물림에 의해 마개 본체(10)에 대해서 주둥이 부재(21)의 전측 좌우 및 상하의 위치 결정을 행할 수 있다. 게다가, 주둥이 부재(21)의 통상체(22)의 후부(後部)의 외측에 걸림 부재(35)를 마련하고, 그 걸림 부재(35)가, 마개 본체(10)의 걸림 받이부(31K)에 착탈 가능하게 걸리며, 걸림 부재(35)는 걸림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기 때문에, 마개 본체(10)에 대해서 주둥이 부재(21)의 후측을 착탈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 위치 결정 수단인 위치 결정 볼록부(45)가 동일 수단인 위치 결정 오목부(46) 내에 걸려 들어가는 것에 의해, 마개 본체(10)에 대해서, 주둥이 부재(21)의 중앙측이 전후 좌우로 위치 결정된다.
또, 천판(17)의 상면에는 상기 맞물림 구멍(31)을 둘러싸 평면이 대략 'コ'자형의 프레임부(32)가 돌출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걸림 받이부(31K)에 걸린 걸림 부재(35)의 조작부(43)를 프레임부(32)에 의해 가리고, 접촉 등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덮개가 개방된 위치에서, 덮개체(12)의 상면(12J)이 프레임부(32)의 상부 가장자리에 맞닿는 것에 의해, 안정된 덮개 개방 상태가 얻어진다.
게다가, 가동 락 부재(20)가, 장착 부재(74)의 안내부(77)를 사이에 두고 상하 이동하고, 면(面) 모양의 안내부(7)에 면접촉 하는 것에 의해, 안정된 상하 동작을 행할 수 있다. 또, 가동 락 부재(20)의 후부(後部) 및 통 모양부(8)에 탄성 위치 결정 수단(87)을 마련하며, 이 탄성 위치 결정 수단(87)은, 가동 락 부재(20)의 탄성 암부(88)가 통 모양부(8)의 맞물림 돌기부(89)에 맞물리는 것에 의해, 가동 락 부재(20)를 락 위치(락 버튼(18)의 작동을 방해하는 위치) 및 언락 위치(락 버튼(18)의 작동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에 위치 결정할 수 있다.
게다가, 덮개체(12)에는, 락 버튼(18)의 버튼 맞물림부(64)가 걸림 가능한 버튼 맞물림 부재(91)가 마련되며, 이 버튼 맞물림 부재(91)는 좌우 방향의 수평축인 축부(96)를 중심으로 요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버튼 맞물림 부재(91)의 장착 구조가 간이하게 되며, 축부(96)를 중심으로 버튼 맞물림 부재(91)가 요동하기 때문에, 덮개체(12)의 개방 동작에 의해, 락 버튼(18)에 버튼 맞물림 부재(91)가 걸릴 수 있다. 게다가, 버튼 맞물림 스프링(103)을 축부(96)에 외장하는 것에 의해, 공간 절약으로 탄성 부재인 버튼 맞물림 스프링(103)을 버튼 맞물림 부재(91)측에 조립할 수 있다. 또, 버튼 맞물림 부재(91)에는, 덮임부(83)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이 덮임부(83)에 의해 덮개측 맞물림부(93)를 가릴 수 있으며, 게다가, 덮임부(83)에 위치 결정부(104)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위치 결정부(104)가, 장착부(97)의 노치 개구부(89)의 상부 가장자리(89F)에 맞닿는 것에 의해, 버튼 맞물림 부재(91)의 사용 위치(맞물림 위치)에서의 위치 결정이 된다.
게다가, 상기 마개 본체(10)의 천판(17)의 상면에는, 상기 세로 벽부(73, 73)에 연속하여 좌우의 외벽부(111, 111)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들 좌우의 외벽부(111, 111)의 사이에, 덮개 폐쇄 상태의 상기 덮개체(12)의 하부 가장자리부(12F)가 가려져, 덮개체(12) 내에의 먼지 등의 진입을 예방할 수 있다. 또, 이 경우, 덮개 폐쇄 상태에서 하부 가장자리부(12F)가 외벽부(111)의 상부 가장자리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하부 가장자리부(12F)가 외벽부(111)의 상부 가장자리과 대략 동일한 위치에서도 먼지 등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주둥이(25)에, 이것보다 지름이 큰 중간 마개부(26)를 연결함과 아울러, 주둥이(25)와 중간 마개부(26)의 외주 전측(前側)을 위치 맞춤하고 있으며, 중간 마개부(26)를 큰 지름으로 하는 것에 의해, 용기 본체(1) 내의 음료를 주둥이(25)로 스무스(smooth)하게 안내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나타내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여 상술한다. 이 예에서는, 상기 덮개체(12)에 락 버튼(18)과 가동 락 부재(20)를 마련하며, 상기 락 버튼(18)에 걸리는 덮개체(12)를 닫은 상태로 유지하는 버튼 맞물림 부재(91)를, 상기 마개 본체(10)에 마련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음료용 용기 본체(1)에 장착되는 마개 본체(10)를 구비한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에 있어서, 마개 본체(10)에 힌지부(13)를 매개로 하여 덮개체(12)가 연결되어 있고, 덮개체(12)는 버튼인 락 버튼(18)과 버튼 맞물림 부재(91)가 맞물림으로써 닫힌 상태를 만들어 내며, 락 버튼(18)은, 덮개체(12)와 마개 본체(10)의 일방에 배치되며, 이 예에서는 덮개체(12)에 배치되며, 외부로부터 힘을 가하는 것에 의해 덮개체(12)의 닫힌 상태의 해제 동작을 행할 수 있고, 버튼 맞물림 부재(91)는 덮개체(12)와 마개 본체(10)의 타방에 배치되고, 이 예에서는 마개 본체(10)에 배치되고, 락 버튼(18)의 부근에는 해당 락 버튼(18)의 작동을 방해하는 락 부재인 가동 락 부재(20)가 장착되며, 덮개체(12)가 열린 상태에서 가동 락 부재(20)가 락 버튼(18)의 작동을 방해하는 상태에서, 버튼 맞물림 부재(91)의 일시적인 퇴피 동작에 의해 덮개체(12)를 닫힌 상태로 할 수 있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작용·효과를 나타낸다.
또, 본 발명은 이상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실시예에서는, 가압 수단(탄성 부재)으로서 코일 스프링이나 비틀림 코일 스프링을 예시했지만, 탄성 복원력에 의해 가압하는 것이면, 각종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 락 버튼, 가동 락 부재 및 장착 부재는, 실시예에서는, 합성 수지제의 것을 예시했지만, 각종 재질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1 : 음료용 용기 2 : 용기 본체
2A : 개구 단부(상부 개구부) 3 : 마개체
10 : 마개 본체 12 : 덮개체
13 : 덮개 힌지부(힌지부) 18 : 락 버튼(버튼)
20 : 가동 락 부재(락 부재) 21 : 주둥이 부재
25 : 주둥이 84 : 락 부
85 : 락 받이부 91 : 버튼 맞물림 부재
92 : 덮개측 맞물림 편
103 : 버튼 맞물림 스프링(맞물림 수단, 가압 수단, 탄성 부재)

Claims (3)

  1. 음료용 용기 본체에 장착되는 마개 본체를 구비한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에 있어서,
    상기 마개 본체에 힌지부를 매개로 하여 덮개체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덮개체는 버튼과 버튼 맞물림 부재가 맞물림으로써 닫힌 상태를 만들어 내며,
    상기 버튼은, 상기 덮개체와 상기 마개 본체의 일방에 배치되며, 외부로부터 힘을 가하는 것에 의해 상기 덮개체의 닫힌 상태의 해제 동작을 행할 수 있고,
    상기 버튼 맞물림 부재는 상기 덮개체와 상기 마개 본체의 타방에 배치되고,
    상기 버튼의 부근에는 해당 버튼의 작동을 방해하는 위치와 방해하지 않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락 부재가 장착되며,
    상기 덮개체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락 부재가 상기 버튼의 작동을 방해하는 위치에 있더라도, 상기 버튼 맞물림 부재의 일시적인 퇴피(退避) 동작에 의해 상기 덮개체를 닫힌 상태로 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버튼 맞물림 부재는 탄성 부재에 의해 상기 덮개체가 닫힌 상태가 되도록 가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마개체 내에 주둥이 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해당 마개체와 맞물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KR1020140047953A 2013-05-02 2014-04-22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KR1016421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96720A JP6185279B2 (ja) 2013-05-02 2013-05-02 飲料用容器の栓体
JPJP-P-2013-096720 2013-05-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1268A true KR20140131268A (ko) 2014-11-12
KR101642179B1 KR101642179B1 (ko) 2016-07-22

Family

ID=51802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7953A KR101642179B1 (ko) 2013-05-02 2014-04-22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185279B2 (ko)
KR (1) KR101642179B1 (ko)
CN (1) CN104129579B (ko)
HK (1) HK1202850A1 (ko)
TW (1) TWI515152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2513A (ko) * 2015-06-16 2019-04-24 서어모스 케이.케이. 캡 유닛 및 음료용 용기
KR102254541B1 (ko) * 2020-01-23 2021-05-20 최염 물병 뚜껑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54356B2 (ja) * 2015-08-04 2019-07-31 サーモス株式会社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飲料用容器
US10093460B2 (en) * 2015-08-14 2018-10-09 Yeti Coolers, Llc Container with magnetic cap
USD787893S1 (en) 2015-11-20 2017-05-30 Yeti Coolers, Llc Jug
JP6681745B2 (ja) * 2016-03-01 2020-04-15 サーモス株式会社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飲料用容器
KR20180001886A (ko) * 2016-06-28 2018-01-05 주식회사 락앤락 잠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뚜껑
CA3040708A1 (en) 2016-10-17 2018-04-26 John Alan Tolman Container and method of forming a container
US10959552B2 (en) 2016-10-17 2021-03-30 Yeti Coolers, Llc Container and method of forming a container
US11034505B2 (en) 2016-10-17 2021-06-15 Yeti Coolers, Llc Container and method of forming a container
US10959553B2 (en) 2016-10-17 2021-03-30 Yeti Coolers, Llc Container and method of forming a container
CN107399337A (zh) * 2017-07-31 2017-11-28 山东中车华腾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注水口防尘罩及集便器及使用方法
USD897151S1 (en) 2018-10-17 2020-09-29 Yeti Coolers, Llc Lid
JP6913863B2 (ja) * 2019-03-28 2021-08-04 路人 増永 コンテナ
US11396408B2 (en) 2019-08-05 2022-07-26 Yeti Coolers, Llc Lid for container
JP7330062B2 (ja) * 2019-10-24 2023-08-21 株式会社シマノ クーラーボックス
JP6829755B2 (ja) * 2019-11-25 2021-02-10 サーモス株式会社 部材の取付構造及び取付方法

Citation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323U (ja) * 1991-07-31 1993-02-23 象印マホービン株式会社 蓋付き容器の蓋フツク構造
JP2004149189A (ja) 2002-10-31 2004-05-27 Tafuko:Kk 飲料用容器
JP2005193944A (ja) 2004-01-07 2005-07-21 Thermos Kk 飲料用容器の栓体
JP2006141799A (ja) 2004-11-22 2006-06-08 Zojirushi Corp 液体容器の蓋開閉ボタン構造
JP2006298449A (ja) 2005-04-22 2006-11-02 Peacock Vacuum Bottle Co Ltd 蓋体ロック構造
JP2007126186A (ja) 2005-11-04 2007-05-24 Peacock Vacuum Bottle Co Ltd 蓋体ロック構造
JP2008125965A (ja) 2006-11-24 2008-06-05 Zojirushi Corp 液体容器
JP2008150058A (ja) 2006-12-14 2008-07-03 Tiger Vacuum Bottle Co Ltd 片開きボトル
JP2008222238A (ja) 2007-03-08 2008-09-25 Tiger Vacuum Bottle Co Ltd 片開きボトル
JP2009023712A (ja) 2007-07-23 2009-02-05 Yoshinobu Toyomura 飲料容器用蓋
JP4449725B2 (ja) 2004-12-08 2010-04-14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片開きボトル
JP4482940B2 (ja) 2006-02-17 2010-06-16 サーモス株式会社 ロック装置及びロック装置を備えた蓋付き飲料容器並びに蓋付き容器
JP2010235138A (ja) * 2009-03-31 2010-10-21 Tiger Vacuum Bottle Co Ltd ボトルの蓋ロック構造
JP2012111498A (ja) 2010-11-19 2012-06-14 Thermos Kk 飲料用容器の栓本体
JP2012206741A (ja) * 2011-03-29 2012-10-25 Thermos Kk 飲料用容器の栓体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72901B2 (ja) * 1995-03-07 2002-04-08 花王株式会社 キャップ
JP3608461B2 (ja) * 2000-01-18 2005-01-12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液体保温容器の栓装置
EP1780141A1 (en) * 2005-10-28 2007-05-02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Dispensing closure for containers
JP3128166U (ja) * 2006-10-16 2006-12-28 パール金属株式会社 携帯用飲料容器の栓体
JP2011093544A (ja) * 2009-10-28 2011-05-12 Wahei Freiz Kk 飲料容器の二重ロック構造
US20120234789A1 (en) * 2010-11-24 2012-09-20 Cool Gear International, Llc Caps and containers
JP5312542B2 (ja) * 2011-09-07 2013-10-09 サーモス株式会社 飲料用容器の栓体
JP3182570U (ja) * 2012-12-13 2013-04-04 ヨンカン シュンタイ インダストリアル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セルフロック型保温コップ

Patent Citation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323U (ja) * 1991-07-31 1993-02-23 象印マホービン株式会社 蓋付き容器の蓋フツク構造
JP2004149189A (ja) 2002-10-31 2004-05-27 Tafuko:Kk 飲料用容器
JP2005193944A (ja) 2004-01-07 2005-07-21 Thermos Kk 飲料用容器の栓体
JP2006141799A (ja) 2004-11-22 2006-06-08 Zojirushi Corp 液体容器の蓋開閉ボタン構造
JP4449725B2 (ja) 2004-12-08 2010-04-14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片開きボトル
JP2006298449A (ja) 2005-04-22 2006-11-02 Peacock Vacuum Bottle Co Ltd 蓋体ロック構造
JP2007126186A (ja) 2005-11-04 2007-05-24 Peacock Vacuum Bottle Co Ltd 蓋体ロック構造
JP4482940B2 (ja) 2006-02-17 2010-06-16 サーモス株式会社 ロック装置及びロック装置を備えた蓋付き飲料容器並びに蓋付き容器
JP2008125965A (ja) 2006-11-24 2008-06-05 Zojirushi Corp 液体容器
JP2008150058A (ja) 2006-12-14 2008-07-03 Tiger Vacuum Bottle Co Ltd 片開きボトル
JP2008222238A (ja) 2007-03-08 2008-09-25 Tiger Vacuum Bottle Co Ltd 片開きボトル
JP2009023712A (ja) 2007-07-23 2009-02-05 Yoshinobu Toyomura 飲料容器用蓋
JP2010235138A (ja) * 2009-03-31 2010-10-21 Tiger Vacuum Bottle Co Ltd ボトルの蓋ロック構造
JP2012111498A (ja) 2010-11-19 2012-06-14 Thermos Kk 飲料用容器の栓本体
JP2012206741A (ja) * 2011-03-29 2012-10-25 Thermos Kk 飲料用容器の栓体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2513A (ko) * 2015-06-16 2019-04-24 서어모스 케이.케이. 캡 유닛 및 음료용 용기
KR102254541B1 (ko) * 2020-01-23 2021-05-20 최염 물병 뚜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129579B (zh) 2017-05-24
HK1202850A1 (en) 2015-10-09
JP2014218258A (ja) 2014-11-20
TW201502020A (zh) 2015-01-16
TWI515152B (zh) 2016-01-01
JP6185279B2 (ja) 2017-08-23
CN104129579A (zh) 2014-11-05
KR101642179B1 (ko) 2016-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2179B1 (ko)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US8622229B2 (en) Beverage bottle and lid with back button release and button lock
KR101562137B1 (ko)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JP4798553B2 (ja) 飲料容器
KR101498824B1 (ko)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KR101472713B1 (ko)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힌지 구조
KR101803794B1 (ko) 원핸드 방식의 버튼 개폐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CN212173084U (zh) 一种带有锁扣结构的翻盖盒
JP2020001734A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JP3678030B2 (ja) 小蓋付キャップ
CN209871178U (zh) 具有儿童保护盖的容器
JP3849347B2 (ja) 小蓋付キャップ
JP6821273B2 (ja) エアゾール容器のロック機構およびこれを用いたエアゾール容器
JPH0710658Y2 (ja) コンパクト容器
JP2587241Y2 (ja) 化粧用コンパクト容器
JPH1134462A (ja) 印鑑ホルダー
JP3986774B2 (ja) 補助蓋付き安全キャップ
JP2003191974A (ja) 注出キャップ
JP3770447B2 (ja) 蓋付き注出キャップ
JPH0423813Y2 (ko)
JP3193262U (ja) 飲料容器の栓体
JPS64858Y2 (ko)
JP2002037294A (ja) スナップヒンジキャップ
JPH0451188Y2 (ko)
JPS5942999Y2 (ja) 液体容器の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