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2137B1 -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 Google Patents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2137B1
KR101562137B1 KR1020140081821A KR20140081821A KR101562137B1 KR 101562137 B1 KR101562137 B1 KR 101562137B1 KR 1020140081821 A KR1020140081821 A KR 1020140081821A KR 20140081821 A KR20140081821 A KR 20140081821A KR 101562137 B1 KR101562137 B1 KR 1015621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lock
lock member
engaging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1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5454A (ko
Inventor
야스히로 구라베
신 마츠야마
홍리앙 두
Original Assignee
서어모스 케이.케이.
써모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어모스 케이.케이., 써모스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어모스 케이.케이.
Publication of KR20150005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54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2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21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57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made separately from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B65D47/0876Hinges without elastic bi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65D47/121Sto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Thermally Insulated Containers For Foods (AREA)

Abstract

[과제] 락 부재를 컴팩트화 하고, 오조작에 의한 문제점을 일으키지 않는 락 기구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덮개체(12)의 수직벽(105, 105)에 감합축(106)을 마련하고, 수직벽(105)의 외면에 감합축(106)에 의해 락 부재(16)를 축 지지한다. 락 부재(16)는 좌우의 암부(111, 111)와 연결부(112)를 가진다. 락 부재(16)의 암부(111)의 내측에 락 압접부(113)를 마련함과 아울러, 암부(111)의 내측에 락 압접 맞물림부(107)를 마련하고, 락 부재(16)를 반(反)힌지측으로 회동시키면 락 압접부(113)가 상기 락 압접 맞물림부(107)에 압접함으로써 락 부재(16)의 상부가 열리도록 탄성 변형하며, 덮개체(12)를 닫을 때, 락 부재(16)가 마개 본체(11)에 마련된 마개 본체 맞물림부와 접촉함으로써 락 부재(16)가 회동하여, 락 부재(16)가 마개 본체 맞물림부를 타고 넘은 후에 복위함으로써 락 부재(16)가 마개 본체에 걸린다.

Description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CAP OF DRINK CONTAINER}
본 발명은, 덮개체를 락(lock)하는 락 부재를 구비한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런 종류의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에 있어서, 락 기구에 의해 덮개체의 회동을 규제하는 각종의 방식(특허 문헌 1 ~ 6)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6은 모두 덮개체를 버튼에 의해 폐쇄 상태로 유지하는 것으로, 버튼은 항상 덮개를 폐쇄 상태로 유지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지만, 버튼을 밀어 움직임으로써 덮개체를 개방 상태로 하기 위해서는, 버튼이 밀려 움직여지기 위한 소정의 압동(壓動, 밀어 움직임) 틈이 필요하게 되어, 컴팩트화를 저해한다. 또, 특허 문헌 3 ~ 6은 스프링 등의 가압 수단을 필요로 하고 있어 부품수가 많아진다.
또, 특허 문헌 5 및 6은 대략 U자형 모양으로 이루어지는 락 부재를 이용하고 있고, 이 락 부재는 회동 가능하게 덮개체를 폐쇄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지만, 그 락 부재는 버튼과는 달리, 덮개체의 폐쇄 동작으로 자동적으로 작동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조작성이 떨어지는 면이 있다.
게다가, 특허 문헌 1은 버튼으로 덮개체를 폐쇄 상태로 유지한 후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슬라이드 부재로 버튼 전면(前面) 조작부를 덮음으로써 버튼의 압동 조작을 저해하고, 슬라이드 부재는 항상 압동 조작을 저해하도록 가압 수단에 의해 가압되어 있으나, 그 슬라이드 부재에서는 압동 조작은 저해하지만, 버튼 자체의 작동을 저해하는 것은 아니므로, 낙하 등의 충격으로 의도하지 않게 버튼이 해제 동작해 버릴 우려가 있다.
게다가, 특허 문헌 2 ~ 4에서는 슬라이드 동작하는 슬라이드 부재로 버튼의 작동 자체를 저해하는 것으로, 낙하 충격 등으로 버튼이 작동해 버리는 것을 방지하고 있지만, 덮개체가 개방 상태에 있을 때에 의도하지 않게 슬라이드 부재를 조작해 버려, 버튼의 작동을 저해해 버리면, 덮개체를 폐쇄 상태로 할 때에 버튼이 작동하지 않고 덮개체가 닫히지 않는 일이 있다. 또, 이 버튼이 작동하지 않고 덮개체가 닫히지 않은 상태에서 무리하게 덮개체를 폐쇄 상태로 하도록 밀어 넣으면 버튼이나 덮개체가 파손할 우려가 있다. 또, 특허 문헌 5 및 6에서는 대략 U자형 모양의 락 부재에 의해 덮개체의 회동 규제를 하고 있지만, 락 부재의 가동(稼動) 거리가 크기 때문에 조작성이 나빠진다.
[특허 문헌 1] 일본특허공개 2006-298449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특허공개 2009-23712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특허공개 2008-222238호 공보 [특허 문헌 4] 일본의장등록 제1277635호 공보 [특허 문헌 5] 일본특허 제4798553호 공보 [특허 문헌 6] 일본특허 제5073639호 공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는, 락 부재를 컴팩트화 하고, 오조작에 의한 문제점을 일으키지 않는 락 기구를 구비한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청구항 1의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는, 상부가 개구한 음료용 용기 본체와, 해당 음료용 용기 본체의 상부 개구부에 피착되며, 내부에 액체 통공(通孔)을 가지는 마개 본체와, 해당 마개 본체와 힌지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액체 통공을 회동 가능하게 개폐하는 덮개체를 가지는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에 있어서, 상기 덮개체의 상기 힌지의 반대측 외면에는, 좌우의 세로벽이 마련되고, 이들 쌍을 이루는 세로벽에는 상기 힌지와 대략 평행하게 배치된 락 부재용 감합축(嵌合(끼워 맞춤)軸)을 마련하며, 상기 세로벽의 외면에는 상기 락 부재용 감합축에 의해 축 지지되는 락 부재가 마련되고, 해당 락 부재는 좌우의 암부와 이들 암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가지며, 상기 락 부재의 상기 암부 내측에 락 압접부(壓接部)를 마련함과 아울러, 상기 세로벽 외면에 락 압접 맞물림부를 마련하고, 상기 락 부재를 반(反)힌지측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락 압접부가 상기 락 압접 맞물림부에 압접함으로써 상기 락 부재가 탄성 변형하고, 해당 탄성 변형한 락 부재는 초기 위치로 되돌아오는 탄성 복원력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덮개체를 닫을 때, 상기 락 부재가 상기 마개 본체에 마련된 마개 본체 맞물림부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락 부재가 회동되어, 해당 락 부재가 상기 마개 본체 맞물림부를 타고 넘은 후에 락 부재가 탄성 복원력에 의해 복위(復位)함으로써 상기 덮개체와 상기 마개 본체의 폐쇄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의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는, 상기 락 부재가, 상기 덮개체의 외면에 마련된 맞닿음부에 맞닿음으로써 회동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의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는, 상기 덮개체의 세로벽 내부에, 상기 락 부재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위치와 규제하지 않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안전 스토퍼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의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는, 상기 안전 스토퍼가 상기 락 부재의 움직임을 규제하지 않는 위치의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으며, 상기 안전 스토퍼에 마련된 걸림부가, 덮개체 폐쇄 상태에 있을 때에 마개 본체에 마련된 걸림 받이부에 걸림으로써, 상기 안전 스토퍼가 상기 락 부재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위치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의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는, 상기 세로벽 사이의 상부 개방부가, 상기 락 부재용 감합축에 의해 장착되는 커버 부재에 의해서 폐색(閉塞)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의 구성에 의하면, 락 압접부가 락 압접면 맞물림부에 압접됨으로써 락 부재가 탄성 변형하고, 락 부재가 초기 위치로 되돌아오도록 가압되어 있으므로, 스프링 등의 가압 수단이 필요 없게 되어, 부품수를 줄일 수 있다. 또, 락 부재의 조작이 압동 조작이 아니고, 인동(引動, 당겨 움직임) 조작이기 때문에 마개체 내(內)에 압동 틈이 불필요하게 되어 마개체를 전후 방향으로 컴팩트화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구성에 의하면, 락 부재가 덮개체의 외주면에 마련된 맞닿음부에 맞닿아 회동 규제됨으로써, 실수로 락 부재를 강하게 당겨 움직여도 락 압접부가 락 압접 맞물림부를 타고 넘지 않으므로, 락 부재의 탄성 변형에 의한 초기 위치로의 복원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구성에 의하면, 세로벽 내부에는, 상기 락 부재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위치와 규제하지 않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안전 스토퍼를 마련함으로써, 의도하지 않게 락 부재에 의한 락이 해제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락 부재 내측의 스페이스를 유효 활용할 수 있다.
청구항 4의 구성에 의하면, 안전 스토퍼가 락 부재의 움직임을 규제하지 않는 위치의 방향으로 가압되어, 안전 스토퍼 걸림부가 마개 본체 걸림 받이부에 걸림으로써, 안전 스토퍼가 락 부재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위치에 유지되기 때문에, 덮개체가 개방 상태에 있을 때에는 안전 스토퍼는 락 부재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위치에 유지할 수 없으므로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5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세로벽부 사이의 상부 개방부가, 상기 락 부재 감합축에 의해 장착되는 커버 부재에 의해서 폐색(閉塞)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안전 스토퍼를 상부 개방부로부터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음과 아울러, 커버 부재가 있음으로써 가압된 안전 스토퍼가 상부 개구부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또, 커버 부재가 락 부재 감합축에 의해 장착됨으로써 복잡한 커버 부재를 덮개체에 강고하게 감합시키는 감합부가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금형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고, 락 부재와 동일 공정으로 조립이라고 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이 좋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나타내는 마개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마개체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마개체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마개체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안전 스토퍼가 상승한 상태의 마개체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덮개체를 약간 개방한 상태의 마개체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안전 스토퍼가 락 상태의 음료용 용기의 상부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덮개체를 개방한 상태의 마개체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중간 마개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중간 마개 본체의 정면측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중간 마개 본체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외관 커버의 저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외관 커버측 맞물림 부재의 정면측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외관 커버측 맞물림 부재의 저면측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외관 커버측 맞물림 부재를 장착하기 전의 외관 커버 및 덮개체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마개 본체측 맞물림부와 걸림 받이부의 맞물림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덮개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안전 스토퍼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락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세로벽 주위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락 기구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덮개체 폐쇄 상태의 힌지의 단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클릭 돌기가 클릭부를 타고 넘는 도중의 힌지의 단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덮개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마개체의 사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클릭 받이부의 정면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예 4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본 발명에서의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의 형태는,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 이하에 설명되는 구성 모두가, 본 발명의 필수 요건이라고는 할 수 없다.
[실시예 1]
이하, 본 발명을 금속제 이중 단열 구조의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에 적용한 실시예 1을 도 1 ~ 도 27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음료용 용기(1)는, 금속제의 용기 본체(2)와, 해당 용기 본체(2)의 상부 개구부인 개구 단부(2A)에 피착되는 합성 수지제의 마개체(3)를 구비한다. 상기 용기 본체(2)는, 내통(4)과 외통(5)의 개구 단부(2A)의 가장자리를 일체로 접합하고, 내통(4)과 외통(5)과의 사이의 공간을 진공의 단열층(6)으로 한 단열 이중 구조이다. 또, 용기 본체(2)의 개구 단부(2A)측에 위치하는 머리부(7)는, 내통(4) 및 외통(5)의 양자 모두 하부보다 지름이 크게 형성되어, 머리부(7)에서의 외통(5)에는 개구 단부(2A)측을 향해 테이퍼 모양으로 확대하는 확대부(5K)가 형성되며, 이 확대부(5K)로부터 개구 단부(2A)측에는, 개구 단부(2A)를 향해 테이퍼 모양으로 축소하는 축소부(5S)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마개체(3)는, 마개 본체(11)와 덮개체(12)를 구비한다. 또, 상기 마개 본체(11)는, 내부 마개 등으로 불리는 중간 마개 본체(13)와 외부 마개 등으로 불리는 외관 커버(14)를 구비하며, 중간 마개 본체(13)는 외관 커버(14)의 내측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된다. 또, 상기 덮개체(12)의 후방이 외관 커버(14)에 힌지인 힌지축(15)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 그들 마개 본체(11) 및 덮개체(12)는 합성 수지 등으로 이루어진다.
게다가, 마개체(3)는, 상기 힌지축(15)의 반대측(전방)에, 덮개체(12)를 외관 커버(14)에 폐쇄 상태로 고정하는 락 부재(16)가 마련되며, 이 락 부재(16)는 덮개체(12)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 중간 마개 본체(13)는, 상부 전방에 둘레 벽(21)을 상부로 돌출 마련하여 바닥을 가지는 통 모양으로 형성되며, 그 바닥을 가지는 통 모양의 중간 마개 본체(13)의 하부에, 용기 본체(2)로의 장착부(22)를 일체로 가진다. 상기 중간 마개 본체(13)의 장착부(22)를 용기 본체(2)의 개구 단부(2A) 내에 삽입하고, 상기 장착부(22)의 외주에 형성된 수나사부(23)를 용기 본체(2)의 머리부(7)의 내주(內周)의 암나사부(24)에 나사 결합하는 것에 의해, 용기 본체(2)의 개구부에 마개체(3)가 장착된다. 또, 수나사부(23)가 외부 나사, 암나사부(24)가 내부 나사이다. 또, 상기 장착부(22)는 중간 마개 본체(13)의 하부이며, 중간 마개 본체(13)와 장착부(22)에 의해, 중간 마개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중간 마개 본체(13)의 둘레 벽(21)은, 전방이 대략 동일 높이로 후방보다 높게 형성되며, 이 대략 동일 높이의 부분이 주둥이(25)이고, 이 주둥이(25)는 중간 마개 본체(13)의 중심(S)을 통과하는 대략 원호 모양으로 형성되어,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볼 때 주둥이(25)를 이루는 원호의 각(θ)은 대략 100도 ~ 140도, 이 예에서는 대략 120도이다.
또,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중간 마개 본체(13)의 저벽(26)은, 힌지축(15)측으로부터 주둥이(25)측으로 낮아지도록 경사져 전후 방향이 좌우 방향보다 약간 길게 형성되며, 그 저벽(26)의 상면은 대략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 도 12에서 상하 방향으로 긴 계란형의 부분이 평탄한 저벽(26)이다. 그리고, 저벽(26)의 낮은 쪽에 액체 통공(27)을 뚫어 마련하고, 높은 쪽에 공기 구멍(28)을 뚫어 마련하며, 해당 저벽(26)으로부터 그 상부 개구, 즉 주둥이(25)의 사이를 액체 유로(29)로 하고 있다.
또, 상기 장착부(22)는 원통 모양의 통 모양부(31)를 가지며, 이 통 모양부(31)의 중심이 마개 본체(11)의 중심이다. 그리고, 통 모양부(31)의 외면에 상기수나사부(23)가 형성되어 있다.
게다가, 상기 통 모양부(31)의 하부 외주에는, 씰 부재 장착부(32)가 형성되고, 이 씰 부재 장착부(32)는, 상부 차양부(32A)와 하부 차양부(32B)의 사이에 오목 홈부(32C)를 둘레에 마련하고 있다. 상기 씰 부재 장착부(32)에는 고리 모양의 패킹(33)이 장착되며, 패킹(33)의 상면(33A)은 상기 상부 차양부(32A)의 하면에 맞닿는다. 그리고, 씰 부재 장착부(32)에 장착한 패킹(33)의 씰부(33B)가, 상기 암나사부(24)의 하부에서 내측으로 돌출 마련하는 내통(4)의 계단부(34)에 밀착한다. 또, 상기 씰부(33B)는 돌출한 설편(舌片) 모양으로 형성되며, 이 씰부(33B)는 둘레 전체에 형성되어 있다. 또, 내통(4)은, 상기 계단부(34)의 상부에 외측으로 테이퍼 모양으로 확대하는 확대부(4K)가 형성되며, 머리부(7)에서의 확대부(4K)로부터 상부(개구 단부(2A)측)는, 확대부(4K)의 하부보다 지름이 크게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둘레 벽(21)은, 반(反)힌지축측인 전방의 전방 둘레 벽부(211)의 상부 가장자리가 상기 주둥이(25)이며, 그 주둥이(25)의 상부 가장자리부(211F)에는 볼록한 모양의 만곡(灣曲) 가장자리부(213)가 형성되며, 도 6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만곡 가장자리부(213)는, 상기 전방 둘레 벽부(211)보다 전방으로 볼록하게 만곡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방 둘레 벽부(211)의 높이 방향 대략 중앙 및 좌우 방향 중앙에는, 상기 외관 커버(14)의 전방에 맞물리는 마개 본체측 맞물림부(35)가 마련되어 있다. 이 마개 본체측 맞물림부(35)는, 전방 둘레 벽부(211)의 외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 마련된 돌기 모양을 이루며, 전후 방향의 좌우 가장자리부(35Y, 35Y)와, 좌우 방향의 전방 가장자리부(35M)를 가지고, 전후 치수보다 좌우 치수가 크게 형성되며, 마개 본체측 맞물림부(35)의 하면(35K)은, 대략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며, 즉 중간 마개 본체(13)의 중심선과 대략 직교하는 면에 형성되어 있다.
또, 도 9 및 도 11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본체측 걸림부(35)의 하면(35K)에 연속하여, 전방 둘레 벽부(211)의 좌우에는 하향면(36, 36)이 돌출 형성되고, 이들 좌우의 하향면(36, 36)의 좌우 양측(36A, 36A)은 좌우 외측에서 상측을 향해 만곡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게다가, 전방 둘레 벽부(211)에는, 상기 마개 본체측 맞물림부(35) 및 하향면(36)의 하부에, 좌우의 맞물림부인 맞물림 돌출부(37, 37)를 마련하고, 이들 좌우의 맞물림 돌출부(37, 37)는 대략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향면(36)과 맞물림 돌출부(37, 37)의 상면의 사이에 외관 커버(14)가 대략 맞물린다.
게다가, 전방 둘레 벽부(211)의 좌우 단부 후방에는 좌우 둘레 벽부(212, 212)가 마련되고, 이들 좌우 둘레 벽부(212, 212)는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상호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며, 또한 좌우 둘레 벽부(212, 212)의 상부 가장자리부(212F, 212F)는,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낮아지도록 경사져 있다.
도 10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좌우 둘레 벽부(212, 212)의 후단(後端) 사이에는, 외관 커버(14)에 착탈 가능하게 감합(嵌合, 끼워 맞춤)하는 마개 본체측 맞물림 받이부(41)가 대략 수평하게 마련되고, 이 마개 본체측 맞물림 받이부(41)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돌기에 의해 구성되고, 그 마개 본체측 맞물림 받이부(41)의 후방 가장자리의 상부 중앙에는,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낮아지도록 경사진 경사부(42)가 형성되고, 이 경사부(42)의 좌우에는 상부 각부(角部)(43)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세로 방향의 측면부(44, 44)가 형성되어 있다. 또, 마개 본체측 맞물림 받이부(41)의 좌우에는, 외관 커버(14)에 맞물리는 맞물림 각부(角部)(45, 45)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둘레 벽(21)의 하부측은 하부를 향해 지름이 축소되도록 형성되며, 지름이 축소된 하부가 저벽(26)에 연결됨과 아울러, 저벽(26)이 둘레 벽(21)의 하부가 상기 통 모양부(31)의 상부를 막는 상부 덮개체부(46)에 연결되며, 저벽(26)은 상부 덮개체부(46)보다 상부에 위치한다. 그리고,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볼 때, 전방 둘레 벽부(211)는 통 모양부(31)의 원호의 대략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마개 본체측 맞물림 받이부(41)는 통 모양부(31)의 후방과 중심(S)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외관 커버(14)는, 상기 개구 단부(2A)에 외장하는 원통부(51)와, 이 원통부(51)의 상부에 마련한 대략 평판 모양의 상면부(52)를 일체로 가지며, 원통부(51)의 전후의 상부 일부와 상면부(52)의 일부를 개구한 덮개용 개구부(53)를 가지며, 이 개구부(53)를 상기 덮개체(12)가 개폐한다. 또, 이 덮개체(12)의 구성에 대해서는 다음에 상술한다.
상기 개구부(53)는, 원통부(51)의 전방(반(反)힌지측)의 전방 개구부(53F)와, 전방 개구부(53F)보다 좌우폭이 좁게 형성되며, 원통부(51)의 후방(힌지측)의 후방 개구부(53B)와, 상기 상면부(52)에 개구하는 상부 개구부(53J)로 이루어지며, 이 상부 개구부(53J)가 그들 전, 후방 개구부(53F, 53B)를 연결하고 있다.
상기 전방 개구부(53F)는,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주둥이(25)의 범위에 대응하여 개구함과 아울러, 조립시에 상기 중간 마개 본체(13)의 마개 본체측 맞물림부(35) 및 좌우의 하향면(36)의 아래를 따르도록 개구하고 있으며, 도 13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 개구부(53F)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후방(마개 본체의 내측)으로 내향(內向) 차양부(54)를 약간 돌출 마련하고 있다. 한편, 이 내향 차양부(54)의 내측 가장자리부(54F)에는, 반(反)힌지측의 좌우 방향 중앙에 외관 커버측 맞물림부(55)가 형성되고, 외관 커버측 맞물림부(55)에 상기 마개 본체측 맞물림부(35)가 맞물린다.
상기 외관 커버측 맞물림부(55)는, 상기 내향 차양부(54)의 내측 가장자리부(54F)에, 외측(전방)에 움푹 패인 오목부(56)를 형성하고, 이 오목부(56)의 상면에, 상기 외관 커버측 맞물림부(55)가 내향 차양부(54)의 상면보다 한 단계 낮게 오목하게 마련되어 있으며, 외관 커버측 맞물림부(55)에는 외측 단차부(55A)와 좌우 단차부(55B, 55B)와 내측 가장자리부(55C)가 형성되며, 이 내측 가장자리부(55C)는 상기 내측 가장자리부(54F)보다 외측에 위치한다.
그리고, 오목부(56) 및 외관 커버측 맞물림부(55)의 좌우폭은, 상기 마개 본체측 맞물림부(35)의 좌우폭에 대략 대응하며, 마개 본체측 맞물림부(35)는 하부로부터 오목부(56)를 통과할 수 있으며, 외관 커버(14)에 중간 마개 본체(13)를 조립한 상태(이하, '조립 상태'라고 함)로, 마개 본체측 맞물림부(35)가 외관 커버측 맞물림부(55) 내에 걸려 들어간 상태로 재치(載置)된다. 이 재치 상태에서, 상기 내향 차양부(54)가 상기 하향면(36)과 상기 좌우의 맞물림 돌출부(37, 37)에 의해 상하로부터 끼워진다. 또, 외관 커버측 맞물림부(55)에 상기 마개 본체측 맞물림부(35)가 맞물리면, 외관 커버측 맞물림부(55)에 대해서 상기 마개 본체측 맞물림부(35)의 좌우 방향도 위치 결정된다.
상기 상부 개구부(53J)의 좌우 가장자리부는, 전방(반(反)힌지측)으로부터 후방(힌지측)을 향해 좁아지도록 내측으로 볼록한 곡선 형상을 이룸과 아울러, 후방에서는 대략 평행하게 되고, 그 상부 개구부(53J)의 좌우 가장자리부로부터 좌우의 내벽부(57, 57)가 늘어져 마련되어 있다. 또, 좌우의 내벽부(57, 57)의 평면 형상은 상부 개구부(53J)의 좌우 가장자리부와 대략 동일하다. 또, 좌우의 내벽부(57, 57)의 전방 하부 가장자리부(58, 58)는, 상기 좌우 둘레 벽부(212, 212)의 상부 가장자리부(212F, 212F)에 대응하여 하부가 만곡 모양으로 노치되어 있어, 상기 조립 상태에서, 전방 하부 가장자리부(58, 58)가 상기 상부 가장자리부(212F, 212F)에 맞닿음 또는 근접한다.
게다가, 상기 전방 하부 가장자리부(58)의 후단에는, 위치 결정부인 세로 가장자리부(59)가 마련되며, 상기 조립 상태에서, 그 세로 가장자리부(59)가 상기 맞물림 각부(角部)(45)에 맞닿음 또는 근접하며, 이 맞닿음 또는 근접에 의해 외관 커버(14)에 대한 중간 마개 본체(13)의 전후 위치가 위치 결정된다. 또, 중간 마개 본체(13)의 전방은, 전방 둘레 벽부(211)가 상기 내향 차양부(54)에 맞닿음 또는 근접하는 것에 의해, 그 전후 위치가 위치 결정된다.
다음으로, 상기 마개 본체측 맞물림 받이부(41)와 감합 기구인 외관 커버측 맞물림 부재(61)에 대해 설명한다. 또, 상기 마개 본체측 맞물림 받이부(41)와 외관 커버측 맞물림 부재(61)에 의해, 중간 마개 본체(13)와 외관 커버(14)의 힌지측을 착탈 가능하게 감합하는 감합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또, 상기 외관 커버측 맞물림부(55)와 상기 마개 본체측 맞물림부(35)에 의해, 중간 마개 본체(13)와 외관 커버(14)의 반(反)힌지측을 착탈 가능하게 걸리는 걸림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또, 상기 마개 본체측 맞물림 받이부(41)와 외관 커버측 맞물림 부재(61)에 의해, 마개체(3)의 힌지측의 감합 구조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외관 커버(14) 내의 후방 하부에는, 상기 좌우의 내벽부(57, 57)의 사이에, 외관 커버측 맞물림 부재(61)를 전후 방향 슬라이드 가능하게 마련하는 오목부(62)가 형성되며, 이 오목부(62)의 저부에는 상기 좌우의 내벽부(62U, 62U)의 하부를 연결하는 저벽부(63)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외관 커버측 맞물림 부재(61)는 상기 마개 본체측 맞물림 받이부(41)에 착탈 가능하게 감합하며, 그들 외관 커버측 맞물림 부재(61)와 마개 본체측 맞물림 받이부(41)에 의해, 외관 커버(14)와 중간 마개 본체(13)의 후방이 착탈 가능하게 감합한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외관 커버측 맞물림 부재(61)는, 좌우의 가장자리가 평행한 부재 본체(64)의 전방 상부에 손잡이 모양의 조작부(65)를 돌출 마련하고, 이 조작부(65)는 부재 본체(64)의 전면부(前面部)(66)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여 마련되고, 그 조작부(65)의 하면(65K)이 마개 본체측 맞물림 받이부(41)의 상면에 맞물린다. 또, 상기 전면부(66)에는, 상기 마개 본체측 맞물림 받이부(41)에 걸림 이탈하는 맞물림부(67)가 전방으로 돌출 마련되어 있으며, 이 맞물림부(67)는, 상기 마개 본체측 맞물림 받이부(41)에 걸리는 걸림면(67A)과, 이 걸림면(67A)의 전단(前端)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낮아지는 경사진 경사 안내면(67B)을 가지며, 이 경사 안내면(67B)이 상기 마개 본체측 맞물림 받이부(41)의 경사부(42)에 맞물린다. 또, 맞물림부(67)의 좌우폭은, 상기 경사부(42)와 대략 동일하고, 경사 안내면(67B)이 경사부(42) 내에 맞물리는 것에 의해, 마개 본체측 맞물림 받이부(41)와 맞물림부(67)의 좌우 위치가 위치 결정된다.
또, 상기 부재 본체(64)의 좌우 가장자리 상부에는 전후 방향의 가이드부(64M)가 형성되며, 가이드부(64M)는 상부와 좌우 측부가 개구하고 있다. 이 가이드부(64M)에 대응하여, 상기 오목부(62)의 좌우의 내벽부(62U, 62U)에 전후 방향의 돌출부로 이루어지는 레일(62R, 62R)이 마련되고, 이 레일(62R)의 아래에 상기 가이드부(64M)가 맞물리며, 이 맞물림 상태에서 상기 부재 본체(64)의 하면(64K)이 상기 저벽부(63)의 상면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또, 상기 부재 본체(64)의 하면(64K)에는 후방이 개구한 본체 오목부(64H)가 형성되며, 이 본체 오목부(64H)의 전면(前面)의 좌우 방향 중앙에 돌기 모양의 가압 수단 장착부(68)를 마련하며, 이 장착부(68)에 가압 수단인 압축 코일 스프링(69)의 전방을 외측에 끼워 장착하고 있다. 게다가, 부재 본체(64)의 하부 좌우에는 탄성 걸림부인 탄성 걸림편(70, 70)이 마련되고, 이 탄성 걸림편(70)은 부재 본체(64)의 하면(64K)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돌출 마련되며, 탄성 걸림편(70)의 후단은 자유단으로 되어 있으며, 탄성 걸림편(70)의 후단 하부에 래치부(71)가 마련되고, 이 래치부(71)는 전면이 걸림부(71A)이고, 이 걸림부(71A)의 하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높아지도록 경사진 경사부(71B)가 마련되어 있다.
도 13 및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저벽부(63)의 좌우 후방에는, 걸림 받이부인 전후 방향의 맞물림 홈(63A, 63A)이 마련되고, 이 맞물림 홈(63A)에 상기 래치부(71)가 걸려 들어간 상태에서 상기 맞물림 부재(61)가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며, 래치부(71)의 걸림부(71A)가 맞물림 홈(63A)의 전방 가장자리에 걸리는 전방 위치까지 맞물림 부재(61)가 이동 가능하다. 이 경우, 레일(62R)과 저벽부(63)에 의해 상하로부터 부재 본체(64)가 끼어진 상태로, 맞물림 부재(61)가 전후로 이동하고, 게다가, 전방 위치에서 래치부(71)의 걸림부(71A)가 맞물림 홈(63A)의 전방 가장자리에 걸리기 때문에, 오목부(62)로부터 맞물림 부재(61)가 빠지지 않는다. 또, 오목부(62)에는 상기 압축 코일 스프링(69)의 후단이 맞닿는 후벽부(62B)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중간 마개 본체(13)를 외관 커버(14)에 장착한 상태에서, 부재 본체(64)와 후벽부(62B)에 끼워진 상기 압축 코일 스프링(69)은 압축되어 있으며, 여기로부터 조작부(65)를 후방으로 밀면, 압축 코일 스프링(69)이 더 압축되면서 맞물림 부재(61)가 후퇴하여, 마개 본체측 맞물림 받이부(41)와 맞물림 부재(61)의 감합을 해제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예에서는, 상기 맞물림 홈(63A)은 저벽부(63)를 관통하는 관통공으로서 형성되며, 상기 맞물림 부재(61)의 전후 방향의 슬라이드를 허용하는 길이를 가진다. 또, 맞물림 홈(63A)의 하부로부터, 래치부(71)를 상부로 미는 것에 의해, 맞물림 홈(63A)으로부터 래치부(71)를 빼내면, 오목부(62)의 전방으로부터 맞물림 부재(61)를 떼어낼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중간 마개 본체(13)와 외관 커버(14)의 조립 작업에 대해 설명한다. 대략 수평인 외관 커버(14)에 대해서, 마개 본체측 맞물림부(35)측이 약간 높게 되도록 중간 마개 본체(13)를 경사지게 하여 외관 커버(14)의 하부로부터 외관 커버측 맞물림부(55) 상(上)에 마개 본체측 맞물림부(35)를 재치하도록, 외관 커버측 맞물림부(55) 내에 마개 본체측 맞물림부(35)가 걸려 들어간다. 이 후, 중간 마개 본체(13)의 후방을 들어 올리면, 외관 커버측 맞물림부(55)를 대략 중심으로 하여, 중간 마개 본체(13)의 후방이 상부로 회전하고, 마개 본체측 맞물림 받이부(41)의 경사면(42)이 맞물림 부재(61)의 경사 안내면(67B)에 맞닿고, 게다가, 상부로 중간 마개 본체(13)를 회전시키면, 경사부(42)에 밀려 맞물림 부재(61)가 후퇴하고, 경사부(42)가 경사 안내면(67B)을 통과하면, 압축 코일 스프링(69)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맞물림 부재(61)가 전진하여, 마개 본체측 맞물림 받이부(41)가 맞물림 부재(61)의 맞물림부(67)에 걸린 감합 상태가 얻어져, 외관 커버(14)에 중간 마개 본체(13)가 고정 상태로 장착된다. 또,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합 상태에서, 마개 본체측 맞물림 받이부(41)는, 조작부(65)와 맞물림부(67)에 의해 상하로부터 끼워진다.
한편, 외관 커버(14)로부터 중간 마개 본체(13)를 떼어 내려면, 조작부(65)를 이용하여, 맞물림 부재(61)를 감합 해제 방향인 후방으로 슬라이드시켜, 마개 본체측 맞물림 받이부(41)와 맞물림 부재(61)의 맞물림부(67)와의 걸림을 해제하고, 장착시와는 반대로, 자중에 의해 중간 마개 본체(13)의 후방이 하부로 회동하고, 게다가, 전방의 마개 본체측 맞물림부(35)와 외관 커버측 맞물림부(55)와의 걸림 상태를 해제하여 중간 마개 본체(13)를 떼어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덮개체(12)의 구성에 대해 상술한다. 상기 덮개체(12)는, 상기 외관 커버(14)의 개구부(53)를 덮는 덮개부(72)와, 이 덮개부(72)의 하부에 일체로 조립되며 상기 중간 마개 본체(13) 내에 유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덮개 하부(73)를 가진다. 상기 덮개부(72)는, 상기 전방 개구부(53F)와 대략 동일 형상의 덮개 전면부(72F)와, 상기 상부 개구부(53J)와 대략 동일 형상의 덮개 상면부(72J)와, 상기 후방 개구부(53B)의 상부와 대략 동일 형상의 덮개 후면부(72B)를 일체로 가지며, 덮개 폐쇄시에, 덮개 전면부(72F)가 전방 개구부(53F)를 막고, 덮개 상면부(72J)가 상부 개구부(53J)를 막으며, 덮개 후면부(72B)가 후방 개구부(53B)의 상부를 막는다. 또, 덮개 후면부(72B)에 의해 막혀지지 않은 후방 개구부(53B)의 하부는, 덮개체(12)의 개폐시에 덮개 후면부(72B)가 회동하기 위한 스페이스가 된다. 한편, 도 6 및 도 7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 후면부(72B)의 전방에는, 덮개 후면부(72B)와 간격을 두고, 덮개 상면부(72J)로부터 하부를 향해 덮개 내부 후면부(172B)가 늘어져 마련되고, 이 덮개 내부 후면부(172B)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체(12)의 회동시에 다른 부재에 닿지 않고, 덮개체(12)의 폐쇄 상태에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관 커버(14)의 부재측에 덮개 내부 후면부(172B)의 하단이 근접하여, 후방 개구부(53B)를 대략 막을 수 있다.
상기 덮개 하부(73)는 상기 덮개부(72)의 하부에 마련되며, 덮개 하부(73)의 외주면(73G) 및 저면에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씰 부재(74)가 착탈 가능하게 마련된다. 이 씰 부재(74)는, 중간 마개 본체(13)의 저벽(26)에 맞닿는 씰 본체(76)에, 상기 액체 통공(27)을 상부로부터 밀폐하는 유입측 씰부(77)와, 상기 공기 구멍(28)을 상부로부터 밀폐하는 공기 구멍 씰부(78)를 일체 형성한 것이다. 또, 상기 덮개 하부(73)의 외주면(73G)은 원통 모양을 이루며, 이 원통 모양의 외주면(73G)에 장착한 씰 부재(74)의 상단에는 씰 차양부(74T)가 마련되고, 이 씰 차양부(74T)를 장착하는 홈 모양의 장착부(73T)가 덮개 하부(73) 둘레에 마련되어 있다. 또, 씰 부재(74)의 상부 가장자리에는, 외측으로 넓어지는 외부 차양부(76T)가 마련되어 있다.
다음으로, 마개 본체(11)의 외관 커버(14)에 덮개체(12)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6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덮개체(12)의 후부(後部)에는, 상기 힌지축(15)을 장착하는 덮개체 힌지부(81)가 마련되고, 한편, 상기 외관 커버(14)의 후방 상부에는, 상기 힌지축(15)을 장착하는 마개 본체 힌지부(82)가 마련되어 있다. 또, 상기 마개 본체 힌지부(82)는, 상기 외관 커버(14)의 후부 좌우의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또, 덮개 내부 후면부(172B)는 상기 힌지축(15)의 하부로부터 아래 방향을 향해 돌출 마련되어 있다.
도 23 및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마개 본체 힌지부(82)에는 좌우 방향의 마개 본체측 장착 구멍(83)이 관통 형성되며, 이 마개 본체측 장착 구멍(83)에 대응하여, 상기 덮개체 힌지부(81)에 덮개측 장착 구멍(84)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마개 본체측 장착 구멍(83)은, 축방향 내측에 상기 힌지축(15)에 맞물리는 축 맞물림부(83A)와, 축방향 외측에 축 맞물림부(83A)보다 지름이 큰 경대부(俓大部)(83B)를 가진다. 또, 상기 덮개측 장착 구멍(84)은, 축방향 중앙의 축 맞물림부(84A)와, 이 축 맞물림부(84A)의 축방향 일측(좌우 방향 일측)에 마련되어 해당 축 맞물림부(84A)보다 지름 방향으로 큰 수납부(85)를 가지며, 이 수납부(85)는 외측이 개구한다.
상기 수납부(85)에는,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슬라이드 부재(86)가 마련되고, 이 슬라이드 부재(86)는 대략 원통 모양으로, 그 외주는 거의 원주면을 이룬다. 또, 상기 슬라이드 부재(86)에는 상기 힌지축(15)을 유동 가능하게 삽입하는 유삽공(遊揷孔)(86A)이 관통 형성되며, 수납부(85) 내에서 힌지축(15)의 축방향에 대해서 슬라이드 부재(86)는 슬라이드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또, 슬라이드 부재(86)와 축 맞물림부(84A)와의 사이에는 가압 수단인 압축 코일 스프링(87)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 압축 코일 스프링(87)에 의해 슬라이드 부재(86)는 상시(常時) 외측으로 가압되어 있다. 또, 압축 코일 스프링(87)은 힌지축(15)에 외장되어 있다.
또, 상기 슬라이드 부재(86)의 외면에는 축방향의 리브(rib)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부재측 회전 방지부(88)가 마련되고, 이 슬라이드 부재측 회전 방지부(88)에 대응하여, 상기 수납부(85)의 내면에 축방향의 홈으로 이루어지는 수납부측 회전 방지부(89)가 마련되어 있다. 게다가, 슬라이드 부재(86)의 외측 단면(端面)에는, 돌기인 클릭(click) 돌기(90)를 마련하며, 이 클릭 돌기(90)에 대응하여, 상기 내벽부(57)의 내면에 클릭 받이부인 리세스(recess, 오목한 곳)(91)를 마련하고 있다.
또, 도면과는 반대로, 상기 슬라이드 부재(86)의 외면에 축방향의 홈으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부재측 회전 방지부를 마련하며, 이 슬라이드 부재측 회전 방지부에 대응하여, 상기 수납부(85)의 내면에 축방향의 리브로 이루어지는 수납부측 회전 방지부를 마련해도 좋다.
상기 리세스(91)는, 상기 내벽부(57)의 내면에 상기 축 본체측 장착 구멍(83)의 주위에 대략 링 모양으로 형성되며, 그 리세스(91)는 개방 위치 리세스(91A)와, 회동 위치 리세스(91B)를 구비하며, 그들 개방 위치 리세스(91A)와 회동 위치 리세스(91B)와의 사이에 함몰이 없는 클릭부(92)가 형성되며, 이 클릭부(92)는 내벽부(57)의 외면과 면일(面一, 동일한 면)이며, 리세스(91)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개방 위치 리세스(91A)에 클릭 돌기(90)가 맞물린 상태에서 덮개체(12)가 개방 위치가 되며,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방 위치에서 덮개체(12)의 덮개 상면부(72J)는 하향으로 경사진다. 또, 상기 클릭 돌기(90)의 선단은 선단측이 가늘게 되는 형상, 예를 들면 반구면(半球面)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클릭 돌기(90)가 마개 본체(11)의 내주면에 슬라이드함과 아울러, 축방향 타방에서는, 덮개체 힌지부(81)의 타방의 외면(81A)이 내벽부(57)의 외면(57A)에 슬라이드 이동한다.
따라서, 폐쇄 상태의 덮개체(12)를 개방 방향으로 회동하면, 압축 코일 스프링(87)에 의해 외측으로 가압된 돌기(90)의 선단이 회동 위치 리세스(91B)를 슬라이드 이동하고, 게다가, 돌기(90)가 클릭부(92)를 타고 넘어 개방 위치 리세스(91A)에 걸려 들어가며, 클릭 돌기(90)가 클릭부(92)를 타고 넘을 때에 클릭감이 얻어진다. 또, 회동 위치 리세스(91B)는 둘레 방향에서 클릭 돌기(90)의 선단 부분에 비해 크고, 즉, 클릭 돌기(90)가 리세스(91B)의 맞닿는 부분은 리세스(91B)보다 작으며, 회동 위치 리세스(91B)에 클릭 돌기(90)가 걸려 들어간 상태에서, 덮개체(12)는 상기 후방 개구부(53B)의 저부(53T)에 맞닿는 위치까지 개방 가능하다.
그리고, 클릭 돌기(90)가 개방 위치 리세스(91A)에 걸려 들어간 상태에서, 용기 본체(2)를 전방으로 기울여도, 클릭 돌기(90)가 클릭부(92)를 타고 넘을 수 없기 때문에, 덮개체(12)가 개방 상태로 유지되어, 주둥이(25)의 사용시에 덮개체(12)가 방해가 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상기 락 부재(16)를 구비한 락 기구(10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락 기구(100)는, 외관 커버(14)에 덮개체(12)를 폐쇄 상태로 유지하고, 그 락 기구(100)는, 상기 외관 커버(14)의 전방에 마개 본체 맞물림부(101)를 마련하며, 이 마개 본체 맞물림부(101)에 상기 락 부재(16)가 착탈 가능하게 걸리며, 이 락 부재(16)는 상기 덮개체(12)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 마개 본체 맞물림부(101)는, 전방 개구부(53F)의 외측 중앙을 따라서 마련한 돌기로 형성되어 있다. 또, 마개 본체 맞물림부(101)의 중앙에는 오목부(102)를 형성하고, 오목부(102)에 의해 마개 본체 맞물림부(101)의 돌기 부분이 좌우로 나뉘며, 또, 상기 오목부(102)의 상면에 마련한 하향면(103)에 의해 걸림 받이부를 구성하고 있다.
도 18 및 도 21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덮개체(12)의 반(反)힌지축측에 위치하는 덮개 전면부(72F)의 외면에는, 세로벽인 좌우의 수직벽(105, 105)이 마련되고, 이들 수직벽(105, 105)은 전방으로 돌출 마련되며, 전후 치수보다 상하 치수가 크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좌우의 수직벽(105, 105)에 축 구멍(105H, 105H)을 뚫어 마련하고, 이들 축 구멍(105H, 105H)에 락 부재용 감합축(106)을 장착하며, 이 감합축(106)의 양단을 좌우의 수직벽(105, 105)의 외측으로 돌출하여 배치한다. 또, 감합축(106)은 상기 힌지축(15)과 대략 평행하게 배치된다. 또, 덮개 전면부(72F)에는 수직벽(105, 105)의 사이에 평탄면(72H)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락 부재(16)는, 평행한 좌우의 암부(111, 111)와, 이들 암부(111, 111)의 하단을 연결하는 만곡한 연결부(112)를 일체로 가지며, 합성 수지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암부(111)의 상단측에는 유삽공(111H)이 관통 형성되며, 좌우의 유삽공(111H, 111H)에 상기 감합축(106)의 양단을 유동 가능하게 삽입하는 것에 의해, 암부(111)의 상단측이 감합축(106)에 고정되지 않고, 대략 U자 모양의 락 부재(16)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좌우의 암부(111, 111)의 내측에 돌기 모양의 락 압접부(壓接部, 113)를 마련하며, 이 락 압접부(113)에 대응하여, 상기 좌우의 수직벽(105)의 외면에 오목부 모양의 락 압접 맞물림부(107)가 마련되어 있다. 또, 락 압접부(113)는 암부(111)의 상하 방향 중앙에서, 유삽공(111H)과 연결부(112)의 사이에 위치한다.
도 22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락 압접 맞물림부(107)에 락 압접부(113)가 끼워 들어가고, 락 압접부(113)의 전방에는,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외측으로 경사진 외향 압접면(113A)이 마련되고, 이 외향 압접면(113A)에 대응하여, 상기 락 압접 맞물림부(107)에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외측으로 경사진 외향 압접 받이면(107A)이 마련되어 있다. 또, 락 부재(16)의 연결부(112)의 상부 가장자리가 상기 덮개 본체 맞물림부(101)의 하부에 걸린다.
게다가, 연결부(112)의 후면에는, 위로부터 아래를 향해 전방으로 경사진 손가락 걸이부(114)가 형성되어 있다. 또, 연결부(112)의 상면 후방에는 락 맞물림부(115)가 마련되고, 이 락 맞물림부(115)는 연결부(112)의 전후 방향 두께보다 얇고, 그 락 맞물림부(115)의 상부 가장자리부가 상기 마개 본체 맞물림부(101)에 걸려 덮개체(12)를 닫은 상태로 유지한다. 또, 락 맞물림부(115)의 전면(115A)에는, 후술하는 안전 스토퍼(121)가 걸림 이탈한다. 또, 전면(115A)은 반(反)힌지축측의 면이다.
그리고, 락 부재(16)는, 폐쇄 위치에서, 그 암부(111, 111)의 내측이 수직벽(105)의 외면을 따르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락 부재(16)의 락 맞물림부(115)가 상기 덮개 본체 맞물림부(101)의 하부에 걸린 상태에서, 손가락 걸이부(114)에 손가락을 걸고, 도 5의 경사진 화살표 Y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사진 전방 상부 방향으로 끌어 올리면, 외향 압접면(113A)이 외향 압접 받이면(107A)에 압접하고, 이것에 의해 도 22의 일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 변형에 의해 암부(111, 111)의 상부 사이가 열림과 아울러 락 부재(16)가 약간 회동하며, 상기 마개 본체 맞물림부(101)로부터 락 맞물림부(115)가 빠져, 덮개체(12)를 열 수 있다.
상기 마개 본체 맞물림부(101)로부터 락 맞물림부(115)가 빠져, 마개 본체 맞물림부(101)가 락 맞물림부(115)를 통과함과 동시에, 락 부재(16)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암부(111, 111)가 수직벽(105, 105)의 외면을 따르도록 복귀한다. 또, 암부(111, 111)의 상부 사이가 열리고 나서, 락 부재(16)가 수직벽(105, 105)의 외면을 따르도록 복귀할 때까지는, 연속한 원 액션(one action)에 의해 이루어진다.
한편, 덮개체(12)를 닫을 때는, 덮개체(12)를 폐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마개 본체 맞물림부(101)의 상부에 락 부재(16)의 손가락 걸이부(114)가 맞닿고, 손가락 걸이부(114)의 경사에 안내되어 연결부(112)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힘이 락 부재(16)에 가해지며, 암부(111, 111)의 상단 사이가 열리도록 락 부재(16)가 탄성 변형함과 아울러, 락 부재(16)가 약간 회동하여, 락 부재(16)의 락 맞물림부(115)가 마개 본체 맞물림부(101)를 통과하고, 이 통과에 의해 해당 마개 본체 맞물림부(101)에 락 부재(16)의 락 맞물림부(115)의 상부 가장자리가 걸림과 아울러, 탄성 복원력에 의해 락 부재(16)가 복위(復位)하여, 덮개체(12)가 마개 본체(11)의 외관 커버(14)에 닫힌 상태로 유지된다. 이들 동작은 연속한 원 액션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 락 부재(16)는, 연결부(112)를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회동시키면, 적어도, 락 압접부(113)가 락 압접 맞물림부(107)로부터 빠지기 전에, 감합축(106) 위치보다 상부에서 암부(111)의 후면이 덮개체(12)의 외면에 맞닿고, 락 부재(16)의 회동 범위가 규제되도록 구성하고 있으며, 덮개체(12)에서 상기 암부(111)의 후면이 맞닿는 부분이 맞닿음부(108)이다.
다음으로, 락 부재(16)의 락 맞물림부(115)의 상부 가장자리가 상기 마개 본체 맞물림부(101)의 하부에 걸린 상태에서, 락 부재(16)의 회동을 규제하고, 걸림 상태를 유지하는 안전 스토퍼(121)에 대해 상술한다.
도 19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전 스토퍼(121)는, 좌우의 암부(111, 111)의 간격에 대응한 좌우폭을 가지는 대략 직사각형의 전면판(122)을 구비하며, 이 전면판(122)은, 그 후면이 상기 좌우의 수직벽(105, 105)의 전방 가장자리를 따라서 승강한다. 그리고, 전면판(122)의 후면 하부가 상기 락 맞물림부(115)의 전면(115A)에 위치하는 것에 의해, 락 부재(16)의 전방으로의 회동을 규제하여, 락 맞물림부(115)가 마개 본체 맞물림부(101)로부터 빠질 수 없게 된다. 즉, 락 부재(16)를 회동시키려고 하면, 전면판(122)의 후면 하부에 맞물림부(115)의 전면(115A)이 닿거나, 회동할 수 없어, 그 전면판(122)의 후면 하부가 락 부재(16)의 회동을 규제하는 규제부(123)이다.
안전 스토퍼(121)가 승강하는 승강 기구(124)로서, 상기 좌우의 수직벽(105, 105)의 내측에 레일(109, 109)을 세로로 마련하고, 이들 좌우의 레일(109, 109)에 슬라이드 하는 가이드홈(125, 125)을 안전 스토퍼(121)에 마련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면판(122)의 후면의 좌우에 간격을 두고 돌출부(126, 126)를 마련하고, 이들 돌출부(126, 126)의 외측에, 상기 가이드홈(125, 125)을 세로로 마련하고 있다. 또, 상기 좌우의 돌출부(126, 126)에는 하면부(127, 127)를 마련하고, 이 하면부(127)에 하향 통부(128)를 돌출 마련하며, 이 하향 통부(128)에 가압 수단인 압축 코일 스프링(129)의 상단을 장착하고 있다. 한편,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체(12)의 앞부분에는, 상기 평탄면(72H) 및 수직벽(105)과 일체로 저벽부(110)를 마련하고, 이 저벽부(110)에 상향 통부(128A)를 돌출 마련하며, 이 상향 통부(128A)에 상기 압축 코일 스프링(129)의 하단을 장착한다.
상기 전면판(122)의 후면 중앙에는, 탄성 걸림부인 탄성 걸림편(131)이 마련되어 있다. 이 탄성 걸림편(131)은, 전후 방향의 횡편부(橫片部)(132Y)의 후부(後部)에 하향의 종편부(縱片部)(132T)를 마련하며, 이 종편부(132T)의 후단 후부에 걸림부인 래치부(133)를 마련하고, 이 래치부(133)는 상기 하향면(103)에 걸리는 경사진 규제 걸림부(133A)와, 이 걸림부(133A) 위치보다 선단측에 마련된 경사진 안내부(133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규제 걸림부(133A)는 후방을 향해 낮아지도록 경사진 면이고, 안내부(133B)는 후방을 향해 높아지도록 경사진 면이며, 수평에 대한 각도는 상기 규제 걸림부(133A)에 비해 안내부(133B)가 크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래치부(133)의 규제 걸림부(133A)가 하향 맞물림면(103)에 걸린 위치에서, 안전 스토퍼(121)의 규제부(123)가 상기 락 부재(16)의 락 맞물림부(115)의 전방에 위치하며, 이 위치가 락 부재(16)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위치이다. 한편, 이 규제 위치로부터 안전 스토퍼(121)가 상부로 이동하여, 래치부(133)와 하향 맞물림면(103)과의 걸림이 해제된 위치에서, 상기 락 부재(16)가 회동 가능해진다. 또, 락 부재(16)의 전면판(122)의 상부 외면에는, 좌우 방향으로 조작부(130)가 전방으로 팽출(膨出) 형성되어 있다.
도 18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안전 스토퍼(121)를 수직벽(105, 105) 사이에 장착한 후, 상기 감합축(106)에 장착하는 커버 부재(135)를 구비한다. 또, 적어도 안전 스토퍼(121)가 커버 부재(135)에 닿는 위치에서 락 부재(16)의 회동 규제는 해제되어 있다. 커버 부재(135)는 상기 좌우의 수직벽(105, 105) 사이에 삽입 가능한 좌우폭을 가진다. 또, 커버 부재(135)에는 상기 감합축(106)을 삽입 통과하는 삽통공(136)이 뚫어 마련되고, 커버 부재(135)의 전방 상부 각부(角部)에는 만곡면(135W)이 형성되고, 이 만곡면(135W)은 상기 수직벽(105)의 전방 상부 각부(角部)의 만곡면(105W)과 대략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 부재(135)의 후면(135B)은 평탄면으로 형성되고, 덮개체(12)의 수직벽(105, 105) 사이의 평탄면(72H)에 맞물려 회전 방지 상태로 장착된다.
상기 락 기구(100)의 제조에 있어서는, 상부로부터 안전 스토퍼(121)를 수직벽(105, 105)의 사이에 삽입함과 아울러, 안전 스토퍼(121)와 저벽부(110)와의 사이에 압축 코일 스프링(129)을 배치하고, 이 후, 상부로부터 커버 부재(135)를 수직벽(105, 105)의 사이에 삽입함과 아울러, 좌우의 수직벽(105, 105)을 사이에 두도록 락 부재(16)를 배치하며, 락 부재(16)의 유삽공(111H)과 수직벽(105)의 축 구멍(105H)과 커버 부재(135)의 삽통공(136)에 감합축(106)을 삽입 배치하는 것에 의해, 덮개체(12)에 안전 스토퍼(121)와 커버 부재(135)와 락 부재(16)가 장착된다. 즉 안전 스토퍼(121)의 빠짐 방지를 담당하는 커버 부재(135)와, 락 부재(16)의 장착을 감합축(106)만으로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안전 스토퍼(121)를 아래로 밀면, 압축 코일 스프링(129)이 압축됨과 아울러, 탄성 걸림편(131)이 탄성 변형하여 외관 커버(14)의 하향면(103)에 탄성 걸림편(131)의 규제 걸림부(133A)가 걸린다. 이것에 의해 안전 스토퍼(121)가 고정되고, 안전 스토퍼(121)의 규제부(123)가 락 맞물림부(115)의 전방에 위치하고, 락 부재(16)의 움직임이 규제되어, 락 기구(100)에 의한 락이 이루어진다.
한편, 조작부(130)를 이용하여 안전 스토퍼(121)를 밀어 올리면, 탄성 걸림편(131)이 탄성 변형하여 하향면(103)으로부터 래치부(133)가 빠지고, 압축 코일 스프링(129)의 가압에 의해 안전 스토퍼(121)가 상승하여, 커버 부재(135)에 맞닿아 정지하며, 안전 스토퍼(121)가 락 부재(16)의 움직임을 규제하지 않는 위치에 유지된다(도 5). 이 때문에 실수로 안전 스토퍼(121)가 락 부재(16)의 움직임을 규제하지 않는다.
안전 스토퍼(121)를 승강하여 래치부(133)를 하향면(103)에 걸림 이탈하는 경우, 수평에 대한 각도가 규제 걸림부(133A)에 비해 안내부(133B)가 크기 때문에, 안전 스토퍼(121)를 내릴 때는, 안내부(133B)에 의해 스무스(smooth)하게 래치부(133)가 하향면(103)에 걸리고, 또한 확실하게 걸리며, 한편, 안전 스토퍼(121)를 올릴 때에는, 내리는 경우 보다도, 저항이 커서, 소정의 클릭감이 얻어진다.
다음으로, 상기 음료용 용기의 사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용기 본체(2) 내에 음료를 넣을 때에는, 마개체(3)를 회전하여, 용기 본체(2)의 암나사부(24)로부터 마개 본체(11)의 중간 마개 본체(13)의 수나사부(23)를 푸는 것에 의해, 용기 본체(2)로부터 마개 본체(11)를 떼어 내고, 크게 열린 상부 개구 단부(2A)로부터 내부로 음료를 넣을 수 있다. 음료를 넣은 후, 용기 본체(2)의 암나사부(24)에 마개 본체(11)의 중간 마개 본체(13)의 수나사부(23)를 나사 결합하는 것에 의해, 용기 본체(2)에 마개체(3)를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외관 커버(14)만을 용기 본체(2)에 장착하는 것은 불가능하여, 중간 마개 본체(13)의 장착을 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장착 상태에서, 도 7에 나타낸 것처럼, 원통부(51)의 하부 가장자리부(51F)가 용기 본체(2)의 축소부(5S)에 맞닿아 개구 단부(2A) 하부의 외측을 원통부(51)가 덮고, 이 맞닿음 상태에서, 후방은, 상기 오목부(62)의 후벽부(62B) 후방의 상면부(62J)의 하면과, 개구 단부(2A)와의 사이에는 틈(52S)이 형성되고, 전방은, 외관 커버측 맞물림부(55) 등과 개구 단부(2A)와의 사이에 틈이 형성되며, 이와 같이 개구 단부(2A)는 외관 커버(14)에는 접촉하고 있지 않다. 또, 그 상면부(62J)의 후부 상면에 상기 후방 개구부(53B)의 저부(53T)가 마련되어 있다.
폐쇄 상태의 덮개체(12)는, 락 기구(100)에 의해 락 하는 것에 의해, 실수로 열리지 않고, 개방하는 경우는, 조작부(130)에 의해 안전 스토퍼(121)를 상부로 이동하여, 걸림 받이부인 하향면(103)과 걸림부인 래치부(133)의 걸림을 해제한다.
이 해제에 의해 락 부재(16)가 조작 가능해지며,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가락 걸이부(114)에 손가락을 걸어, 락 부재(16)의 연결부(112)를 경사진 전방 상부 방향으로 끌어 올리면, 락 부재(16)의 좌우의 암부(111, 111) 사이가 약간 열리도록 탄성 변형하고, 마개 본체 맞물림부(101)의 아래로부터 락 부재(16)의 락 맞물림부(115)가 빠져, 간단하게 덮개체(12)를 열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시소식(seesaw式)의 락 부재와 같이 미는 등의 조작이 불필요해져, 락 부재(16)를 바로 앞으로 당겨 들어 올리는 것과 같은 조작에 의해 간편하게 덮개체(12)를 열 수 있다. 게다가, 마개체(3)에는 락 부재를 미는 조작에 필요한 스페이스가 불필요해진다.
게다가, 덮개체(12)를 열면, 클릭 돌기(90)가 클릭부(92)를 타고 넘을 때에 클릭감이 얻어지며, 개방 위치 리세스(91A)에 클릭 돌기(90)가 맞물려, 덮개체(12)가 전개(全開)된다. 덮개체(12)를 열면,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둥이(25)가 크게 나타나며, 이 주둥이(25)에 입을 대고 내부의 음료를 마시거나, 주둥이(25)로부터 음료를 다른 용기에 따르거나 할 수 있다. 이 경우, 개방 위치 리세스(91A)에 클릭 돌기(90)가 맞물려 있고, 덮개체(12)가 개방 위치에 유지되기 때문에, 마시거나, 따르거나 할 때에 덮개체(12)가 닫히지 않고, 덮개체(12)가 방해되지 않는다. 이 경우, 적어도, 덮개체(12)의 자중으로는 클릭 돌기(90)가 클릭부(92)를 타고 넘지 않도록, 압축 코일 스프링(87)의 가압력을 설정하고 있다.
한편, 폐쇄 위치의 덮개체(12)를 닫는 방향으로 회동하고, 덮개체(12)를 닫는 방향으로 소정 이상의 힘을 가하면, 클릭부(92)를 클릭 돌기(90)가 타고 넘을 수 있다. 덮개체(12)를 개방한 상태에서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전 스토퍼(121)는 압축 코일 스프링(129)에 의해 상부에 위치한다. 이 위치는 락 부재(16)의 움직임을 규제하지 않는 위치이며, 도 6의 위치로부터 덮개체(12)를 하부로 회동하면, 마개 본체 맞물림부(101)에 연결부(112)의 후면이 맞닿고, 연결부(112)가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락 부재(16)가 회동하여, 연결부(112)가 마개 본체 맞물림부(101)가 통과하면, 마개 본체 맞물림부(101)의 아래에 락 맞물림부(115)가 걸린다. 이 경우도, 덮개체(12)를 열 때와 마찬가지로, 락 부재(16)는, 상기 통과시에 암부(111, 111)가 열리도록 탄성 변형하고, 통과 후, 탄성 복원력에 의해 복귀하며, 이들 동작은 연속한 원 액션에 의해 행해진다.
이와 같이 하여 마개 본체 맞물림부(101)에 락 맞물림부(115)가 걸린 후, 안전 스토퍼(121)를 내려, 하향면(103)에 래치부(133)가 걸리면, 안전 스토퍼(121)의 규제부(123)가 락 맞물림부(115)의 앞에 위치하며, 이 위치가 안전 스토퍼(121)에 의해 락 부재(16)의 동작을 규제하는 위치이고, 락 부재(16)에 접촉해도 락이 해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안전 스토퍼(121)는 덮개체(12)가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에만 락 부재(16)의 동작을 규제하는 위치에 유지되는 것이며, 개방 위치의 덮개체(12)를 닫을 때에는 안전 스토퍼(121)는 락 부재(16)의 작동을 규제하는 위치에 유지할 수 없기 때문에,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마개체(3)를 세정할 때에는, 용기 본체(2)로부터 마개체(3)를 떼어 내고, 덮개체(12)를 열면,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관 커버(14) 내의 후부에, 외관 커버측 맞물림 부재(61)의 조작부(65)가 나타난다. 이 조작부(65)는, 외관 커버(14)의 상면부(52)로부터 떨어진 내부에 있으며, 통상의 사용에서는 조작부(65)에 접촉하지 않는다. 한편, 분해할 때에는, 조작부(65)를 대략 수평 방향에서 후방으로 밀어 주면, 외관 커버측 맞물림 부재(61)의 맞물림부(67)로부터, 중간 마개 본체(13)의 마개 본체측 맞물림 받이부(41)가 빠지며, 중간 마개 본체(13)의 전방이 맞물린 상태에서, 이 맞물림 개소를 중심으로 중간 마개 본체(13)의 후방을 회동하도록 하여 외관 커버(14) 내(內)로부터 중간 마개 본체(13)를 떼어낼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떼어낸 중간 마개 본체(13)에는, 맞물림 부재(61) 등의 가동 부분이 없기 때문에, 세정하기 쉬운 것이 된다. 또, 중간 마개 본체(13)의 전방도, 함몰이 아니고, 돌기 모양의 마개 본체측 맞물림부(35)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세정하기 쉽다.
또, 분해하여 세정한 후에는, 외관 커버(14)의 하부로부터 외관 커버측 맞물림부(55) 상(上)에 마개 본체측 맞물림부(35)를 재치하도록, 외관 커버측 맞물림부(55) 내에 마개 본체측 맞물림부(35)를 걸려 들어가게 하고, 외관 커버측 맞물림부(55)를 대략 중심으로 하여, 중간 마개 본체(13)의 후방이 상부로 회전하면, 마개 본체측 맞물림 받이부(41)의 경사면(42)이 맞물림 부재(61)의 경사 안내면(67B)에 맞닿아, 맞물림 부재(61)가 후퇴하며, 경사부(42)가 경사 안내면(67B)을 통과하면, 압축 코일 스프링(69)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맞물림 부재(61)가 전진하여, 마개 본체측 맞물림 받이부(41)가 맞물림 부재(61)의 맞물림부(67)에 걸린 감합 상태가 얻어져, 외관 커버(14)에 중간 마개 본체(13)를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청구항 1에 대응하여, 상부가 개구한 음료용 용기 본체(2)와, 해당 음료용 용기 본체(2)의 상부 개구부인 개구 단부(2A)에 피착되며, 내부에 액체 통공(27)을 가지는 마개 본체(11)와, 해당 마개 본체(11)와 힌지인 힌지축(15)에 의해 연결되며, 액체 통공(27)을 회동 가능하게 개폐하는 덮개체(12)를 가지는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에 있어서, 덮개체(12)의 힌지축(15)의 반대측 외면에는, 좌우의 세로벽인 수직벽(105, 105)이 마련되고, 이들 쌍을 이루는 수직벽(105, 105)에는 힌지축(15)과 대략 평행하게 배치된 락 부재용 감합축(106)을 마련하며, 수직벽(105)의 외면에는 락 부재용 감합축(106)에 의해 축 지지되는 락 부재(16)가 마련되고, 해당 락 부재(16)는 좌우의 암부(111, 111)와 이들 암부(111, 111)를 연결하는 연결부(112)를 가지며, 락 부재(16)의 암부(111)의 내측에 락 압접부(113)를 마련함과 아울러, 상기 수직벽(105) 외면에 락 압접 맞물림부(107)를 마련하고, 락 부재(16)를 반(反)힌지측으로 회동시키면 락 압접부(113)가 락 압접 맞물림부(107)에 압접함으로써 락 부재(16)가 탄성 변형하고, 해당 탄성 변형한 락 부재(16)는 초기 위치로 되돌아오는 탄성 복원력을 가지고 있으며, 덮개체(12)를 닫을 때, 락 부재(16)가 마개 본체(11)에 마련된 마개 본체 맞물림부(101)와 접촉함으로써 락 부재(16)가 회동되어, 해당 락 부재(16)가 상기 마개 본체 맞물림부(101)를 타고 넘은 후에 락 부재(16)가 탄성 복원력에 의해 복위함으로써 덮개체(12)와 마개 본체(11)의 폐쇄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락 압접부(113)가 락 압접 맞물림부(107)에 압접됨으로써 락 부재(16)가 탄성 변형하여, 락 부재(16)가 초기 위치로 되돌아오도록 가압되어 있으므로, 스프링 등의 가압 수단이 필요 없게 되어, 부품수를 줄일 수 있다. 또, 락 부재(16)의 조작이 압동 조작이 아니고, 인동 조작이기 때문에 마개체(3) 내에 압동 틈이 불필요하게 되어 마개체(3)를 전후 방향으로 컴팩트화할 수 있다.
이 경우, 외향 압접면(113A)과 외향 압접 받이면(107A)이 안내 경사부이고, 이들 안내 경사부는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외측으로 경사지고, 그 각도는 전후 방향에 대해서 45도 미만, 바람직하게는 5 ~ 30도 정도이다.
또,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청구항 2에 대응하여, 락 부재(16)가, 덮개체(12)의 외면에 마련된 맞닿음부(108)에 맞닿음으로써 회동 규제되기 때문에, 실수로 락 부재(16)를 강하게 당겨 움직여도 락 압접부(113)가 락 압접 맞물림부(107)를 타고 넘지 않으므로, 락 부재(16)의 탄성 변형에 의한 초기 위치로의 복원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청구항 3에 대응하여, 세로벽인 수직벽(105) 내부에는, 락 부재(16)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위치와 규제하지 않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안전 스토퍼(121)를 마련했기 때문에, 의도하지 않게 락 부재(16)에 의한 락이 해제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청구항 4에 대응하여, 안전 스토퍼(121)가 락 부재(16)의 움직임을 규제하지 않는 위치의 방향인 상부로 가압되어 있으며, 안전 스토퍼(121)에 마련된 걸림부인 래치부(133)가, 덮개체 폐쇄 상태에 있을 때에 마개 본체에 마련된 걸림 받이부인 하향면(103)에 걸림으로써, 안전 스토퍼(121)가 락 부재(16)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위치인 하부에 유지되기 때문에, 안전 스토퍼(121)가 락 부재(16)의 움직임을 규제하지 않는 위치의 방향으로 가압되어, 안전 스토퍼(121)의 래치부(133)가 마개 본체(11)의 하향면(103)에 걸림으로써, 안전 스토퍼(121)가 락 부재(16)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위치에 유지되기 때문에, 덮개체(12)가 개방 상태에 있을 때에는 안전 스토퍼(121)는 락 부재(16)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위치에 유지할 수 없으므로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청구항 5에 대응하여, 세로벽인 수직벽(105, 105) 사이의 상부 개방부가, 락 부재용 감합축(106)에 의해 장착되는 커버 부재(135)에 의해서 폐색(閉塞)되기 때문에, 안전 스토퍼(121)를 상부 개방부로부터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음과 아울러, 커버 부재(135)가 있음으로써 가압된 안전 스토퍼(121)가 상부 개구부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 커버 부재(135)가 락 부재용 감합축(106)에 의해 장착됨으로써 복잡한 커버 부재(135)를 덮개체(12)에 강고하게 감합시키는 감합부가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금형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고, 락 부재와 동일 공정으로 조립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이 좋다.
또, 실시예 상(上)의 효과로서, 락 부재가 걸림 이탈하는 마개 본체 맞물림부(101)의 사이에, 안전 스토퍼(121)의 래치부(133)가 걸림 이탈하는 하향면(103)을 마련했기 때문에, 마개 본체 맞물림부(101)와 하향면(103)을 늘어 놓아 컴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다. 또, 암부(111)에 유삽공(111H)을 관통 형성하고, 이 유삽공(111H, 111H)에 감합축(106)의 양단을 유동 가능하게 삽입하는 것에 의해, 락 부재(16)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음과 아울러, 암부(111, 111)의 상단 사이를 스무스(smooth)하게 열 수 있다. 게다가, 락 압접부(113)는 암부(111)의 상하 방향 중앙에서, 유삽공(111H)과 연결부(112)의 사이에 위치하고, 바람직하게는, 락 압접부(113)가 유삽공(111H)측에 배치했기 때문에, 락 부재(16)의 회동에 따른 락 압접 맞물림부(107)와 락 압접부(113)의 맞물림에 의해, 암부(111, 111)의 상단 사이를 스무스하게 열 수 있다. 또, 경사진 손가락 걸이부(114)가, 마개 본체 맞물림부(101)에 맞물릴 때의 안내도 겸용한다. 게다가, 안전 스토퍼(121)의 상면이 수직벽(105)의 전면(前面)과 면일(面一, 동일한 면)이 되기 때문에, 부분적인 돌출이 없다. 또, 승강 기구(124)를 구성하는 좌우의 수직벽(105, 105)의 내측에 마련한 레일(109, 109)과, 안전 스토퍼(121)의 가이드 홈(125, 125)과의 맞물림에 의해, 안전 스토퍼(121)를 수직벽(105, 105) 사이로 빠짐 상태로 하여 승강 가능하게 조립할 수 있다. 게다가, 좌우 방향 중앙에 탄성 걸림편(131)을 마련하고, 이 탄성 걸림편(131)의 양측에 압축 코일 스프링(129)을 배치했기 때문에, 양측의 코일 스프링(129, 129)에 의해 안전 스토퍼(121)를 균일하게 상부로 가압할 수 있다. 또, 커버 부재(135)의 만곡면(135W)은 상기 수직벽(105)의 전방 상부 각부(角部)의 만곡면(105W)과 대략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장착시에 커버 부재(135)와 수직벽(105)과의 일체감이 얻어진다. 게다가, 래치부(133)는, 수평에 대한 각도가 규제 걸림부(133A)에 비해 안내부(133B)가 크기 때문에, 하향면(103)과의 걸림 이탈을 스무스하고 또한 소정의 클릭감을 가지고 행할 수 있다.
이하, 마개체 힌지 구조에서의 실시예 상(上)의 효과로서, 상부가 개구한 음료용 용기 본체(2)와, 해당 음료용 용기 본체(2)의 상부 개구부인 개구 단부(2A)에 피착되며, 내부에 액체 통공(27)을 가지는 마개 본체(11)와, 해당 마개 본체(11)와 힌지축(15)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액체 통공(27)을 개폐하는 덮개체(12)를 가지는 음료용 용기(1)의 마개체 힌지 구조에 있어서, 덮개체(12)의 덮개체 힌지부(81)와 마개 본체(11)의 마개 본체 힌지부(82)를 힌지축(15)에 의해 연결하고, 덮개체 힌지부(81)와 마개 본체 힌지부(82) 중 일방인 덮개체 힌지부(81)에 수납부(85)를 구비하며, 해당 수납부(85)에는, 힌지축(15)과 동축에 마련되고, 해당 힌지축(15)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마련한 슬라이드 부재(86)와, 해당 슬라이드 부재(86)를 상기 축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수단인 압축 코일 스프링(87)을 마련하며, 슬라이드 부재(86)가 압축 코일 스프링(87)에 의해 마개 본체 힌지부(82)에 압접되기 때문에, 덮개체 힌지부(81), 혹은 마개 본체 힌지부(82) 중 어느 일방의 수납부(85)에 넣어진 슬라이드 부재(86)를, 탄성 부재인 압축 코일 스프링(87)을 이용하여 수납부(85)를 가지지 않는 타방의 힌지부에 압접시킴으로써 안정된 탄성을 얻을 수 있음과 아울러, 이들 구조를 유닛화하지 않고 힌지 내부에 수납함으로써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그 외의 락 기구 등에 제한을 주지 않는데다가, 외관으로부터 본 구조가 보이지 않기 때문에, 마개체(3)의 의장(意匠) 자유도를 저해하지 않는다.
또, 슬라이드 부재(86), 혹은 덮개체 힌지부(81)와 마개 본체 힌지부(82)의 타방인 마개 본체 힌지부(82) 중 어느 일방인 슬라이드 부재(86)에 클릭 돌기(90)를 마련함과 아울러, 어느 타방인 마개 본체 힌지부(82)에 클릭 돌기(90)에 대응하는 클릭 받이부인 리세스(91)를 마련했기 때문에, 슬라이드 부재(86), 혹은 수납부(85)를 가지지 않는 타방의 힌지부 중 어느 일방에 클릭 돌기(90)를 마련하고, 타방에 클릭 돌기(90)에 대응하는 클릭 받이부인 리세스(91)를 마련함으로써 덮개체(12)를 개방한 상태에서 확실하게 걸 수 있어, 음료를 마실 때에 음료용 용기(1)를 기울여도 덮개체(12)가 떨어지지 않는다.
또, 슬라이드 부재(86)의 외측면에 슬라이드 부재측 회전 방지부(88)를 마련하며, 해당 슬라이드 부재측 회전 방지부(88)에 맞물려 슬라이드 부재(86)를 회전 방지하는 수납부측 회전 방지부(89)를 수납부(85)에 마련했기 때문에, 슬라이드 부재(86)의 슬라이드 동작이 확실하게 되어, 걸림이 안정된다.
이하, 실시예 상(上)의 효과로서, 덮개체 힌지부(81)에 힌지축(15)을 장착하는 덮개측 장착 구멍(84)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덮개체 힌지부(81)의 외측은 원통부(51)와 상면부(52)에 의해 구성되며, 힌지축(15)의 장착을 위해서, 힌지축 장착 구멍을 가지는 돌출부 등을 마련할 필요가 없고, 강도적으로 뛰어남과 아울러, 외관 의장성이 뛰어난 것이 된다. 게다가, 마개 본체 힌지부(82)가 좌우로 나뉘어져 있기 때문에, 스페이스를 차지하기 어려운 면이 있음에 비해, 덮개 힌지부(81)에 수납부(85)를 마련했기 때문에, 슬라이드 부재(86)의 조립을 간편하게 행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나타내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락하여 상술한다. 이 예에서는, 덮개체 힌지부(81)와 마개 본체 힌지부(82) 중 일방이 마개 본체 힌지부(82)이며, 이 마개 본체 힌지부(82)에 수납부(85)를 마련하고, 이 수납부(85)에, 클릭 돌기(90)를 가지는 슬라이드 부재(86)를 마련하고 있으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작용·효과를 나타낸다.
[실시예 3]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을 나타내며, 상기 각 실시예와 동일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여 상술한다. 이 예에서는, 상기 실시예 1에 있어서, 슬라이드 부재(86)의 외측 단면(端面)에 클릭 받이부인 리세스(91)를 마련하고, 이 리세스(91)에 대응하여, 상기 마개 본체 힌지부(82)의 내벽부(57)의 내면에 클릭 돌기(90)를 마련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드 부재(86), 혹은 덮개체 힌지부(81)와 마개 본체 힌지부(82)의 타방인 마개 본체 힌지부(82) 중 어느 일방인 마개 본체 힌지부(82)에 클릭 돌기(90)를 마련함과 아울러, 어느 타방인 슬라이드 부재(86)에 클릭 돌기(90)에 대응하는 클릭 받이부인 리세스(91)를 마련했기 때문에, 상기 각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나타낸다.
[실시예 4]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예 4를 나타내며, 상기 각 실시예와 동일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여 상술한다. 이 예에서는, 덮개체 힌지부(81)와 마개 본체 힌지부(82)의 일방이 마개 본체 힌지부(82)이며, 이 마개 본체 힌지부(82)에 수납부(85)를 마련하고, 이 수납부(85)에, 클릭 받이부인 리세스(91)를 가지는 슬라이드 부재(86)를 마련하며, 슬라이드 부재(86), 혹은 덮개체 힌지부(81)와 마개 본체 힌지부(82)의 타방 중 어느 일방인 덮개체 힌지부(81)에 클릭 돌기(90)를 마련했기 때문에, 상기 각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나타낸다.
또, 본 발명은 이상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실시예에서는, 수직벽의 외면에 오목부 모양의 락 압접 맞물림부를 마련했지만, 락 압접 맞물림부를 수직벽의 외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돌기 모양으로 해도 괜찮다. 또, 락 부재는 합성 수지제 이외에도 소정의 탄성 복원력이 얻어지는 것으로는 금속 등 각종의 재질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게다가, 청구항에는 대응하지 않지만, 마개 본체의 외관 커버에 상하를 반전하여 락 부재를 장착하고, 마개 본체 맞물림부(101)를 대신하여 덮개체에 덮개체 맞물림부를 마련하며, 이 덮개체 맞물림부에 락 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걸리도록 구성해도 괜찮다. 또, 수납부는 축방향 중 어느 일측에 마련되면 괜찮으며, 수납부를 축방향의 양측에 마련해도 괜찮다. 또, 힌지축은, 축 맞물림부(83A, 84A)의 일방에 고정, 타방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하면 좋다. 또는, 수납부 및 슬라이드 부재를 복수 마련하는 경우는, 예를 들면, 도 23에서, 도면 우측의 마개 본체 힌지부에 수납부 및 슬라이드 부재를 배치하는 등 할 수 있으며, 그들 배치는 적절히 선정 가능하고, 게다가, 그러한 경우에 클릭 돌기와 클릭 받이부의 배치를 적절히 조합시켜 선정할 수 있다. 또, 실시예에서는, 클릭 돌기보다 큰 회동 위치 오목부를 예시했지만, 이 회동 위치 오목부를 클릭 돌기와 동경(同俓, 동일한 지름)의 함몰로 하여 클릭 돌기가 감합하고, 이 감합 상태에서 덮개체가 움직이지 않도록 해도 괜찮다.
1 : 음료용 용기 2 : 용기 본체
2A : 개구 단부(상부 개구) 3 : 마개체
4 : 내통 11 : 마개 본체
12 : 덮개체 13 : 중간 마개 본체
14 : 외관 커버 15 : 힌지축(힌지)
16 : 락 부재 23 : 수나사부(외부 나사)
24 : 암나사부(내부 나사) 25 : 주둥이
27 : 액체 통공 35 : 마개 본체측 맞물림부
37 : 맞물림 돌출부(맞물림부)
41 : 마개 본체측 맞물림 받이부
55 : 외관 커버측 맞물림부 61 : 외관 커버측 맞물림 부재
62 : 오목부 67 : 맞물림부
69 : 압축 코일 스프링(가압 수단) 81 : 덮개체 힌지부
82 : 마개 본체 힌지부 83 : 마개 본체측 장착 구멍
84 : 덮개측 장착 구멍 85 : 수납부
86 : 슬라이드 부재
87 : 압축 코일 스프링(가압 수단)
88 : 슬라이드 부재측 회전 방지부 89 : 수납부측 회전 방지부
90 : 돌기 91 : 리세스(클릭 받이부)
100 : 락 기구 101 : 마개 본체 맞물림부
103 : 하향면(걸림 받이부) 105 : 수직벽(세로벽)
106 : 락 부재용 감합축 107 : 락 압접 맞물림부
107A : 외향 압접 받이면 (안내 경사부) 108 : 맞닿음부
111 : 암부 112 : 연결부
113 : 락 압접부
113A : 외향 압접면(안내 경사부)
115 : 락 맞물림부 121 : 안전 스토퍼
123 : 규제부
129 : 압축 코일 스프링(가압 수단) 133 : 래치부(걸림부)
135 : 커버 부재

Claims (5)

  1. 상부가 개구한 음료용 용기 본체와, 해당 음료용 용기 본체의 상부 개구부에 피착되며, 내부에 액체 통공(通孔)을 가지는 마개 본체와, 해당 마개 본체와 힌지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액체 통공을 회동 가능하게 개폐하는 덮개체를 가지는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에 있어서,
    상기 덮개체의 상기 힌지의 반대측 외면에는, 좌우의 세로벽이 마련되고, 이들 쌍을 이루는 세로벽에는 상기 힌지와 평행하게 배치된 락 부재용 감합축(嵌合軸)을 마련하며, 상기 세로벽의 외면에는 상기 락 부재용 감합축에 의해 축 지지되는 락 부재가 마련되고, 해당 락 부재는 좌우의 암부와 이들 암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가지며,
    상기 락 부재의 상기 암부 내측에 락 압접부(壓接部)를 마련함과 아울러, 상기 세로벽 외면에 락 압접 맞물림부를 마련하고, 상기 락 부재를 반(反)힌지측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락 압접부가 상기 락 압접 맞물림부에 압접함으로써 상기 락 부재가 탄성 변형하고, 해당 탄성 변형한 락 부재는 초기 위치로 되돌아오는 탄성 복원력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덮개체를 닫을 때, 상기 락 부재가 상기 마개 본체에 마련된 마개 본체 맞물림부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락 부재가 회동되어, 해당 락 부재가 상기 마개 본체 맞물림부를 타고 넘은 후에 락 부재가 탄성 복원력에 의해 복위(復位)함으로써 상기 덮개체와 상기 마개 본체의 폐쇄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락 부재가, 상기 덮개체의 외면에 마련된 맞닿음부에 맞닿음으로써 회동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덮개체의 세로벽 내부에, 상기 락 부재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위치와 규제하지 않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안전 스토퍼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안전 스토퍼가 상기 락 부재의 움직임을 규제하지 않는 위치의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으며, 상기 안전 스토퍼에 마련된 걸림부가, 덮개체 폐쇄 상태에 있을 때에 마개 본체에 마련된 걸림 받이부에 걸림으로써, 상기 안전 스토퍼가 상기 락 부재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위치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벽 사이의 상부 개방부가, 상기 락 부재용 감합축에 의해 장착되는 커버 부재에 의해서 폐색(閉塞)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KR1020140081821A 2013-07-05 2014-07-01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KR1015621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41947 2013-07-05
JP2013141947A JP5498613B1 (ja) 2013-07-05 2013-07-05 飲料用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5454A KR20150005454A (ko) 2015-01-14
KR101562137B1 true KR101562137B1 (ko) 2015-10-20

Family

ID=50941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1821A KR101562137B1 (ko) 2013-07-05 2014-07-01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498613B1 (ko)
KR (1) KR101562137B1 (ko)
CN (1) CN104276338B (ko)
HK (1) HK1205081A1 (ko)
TW (1) TWI50716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1538398A (zh) * 2014-04-02 2015-10-16 Crown Mfg Corp 飲料用容器之栓體
JP6027647B1 (ja) * 2015-06-16 2016-11-16 サーモス株式会社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飲料用容器
CN105197400B (zh) * 2015-09-22 2018-01-23 苏州公元工贸有限公司 连接锁扣及储物箱
JP6638490B2 (ja) * 2016-03-14 2020-01-29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飲料用容器の栓体
JP6649838B2 (ja) * 2016-04-13 2020-02-19 サーモス株式会社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飲料用容器
JP6716370B2 (ja) * 2016-07-04 2020-07-01 サーモス株式会社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飲料用容器
CN106395130A (zh) * 2016-09-28 2017-02-15 台州市黄岩顺安塑业有限公司 直顶开启防盗式奶粉罐盖
JP6343704B2 (ja) * 2017-06-19 2018-06-13 象印マホービン株式会社 飲料容器
AU2018345333A1 (en) * 2017-10-02 2020-05-07 Runway Blue, Llc Container lids with latches
FR3075764B1 (fr) * 2017-12-22 2019-11-22 Seb S.A. Bouteille munie d'un dispositif de verrouillage dans le bouchon
JP7090489B2 (ja) * 2018-06-26 2022-06-24 サーモス株式会社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JP7161339B2 (ja) * 2018-08-10 2022-10-26 サーモス株式会社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US11396408B2 (en) 2019-08-05 2022-07-26 Yeti Coolers, Llc Lid for container
JP7138978B2 (ja) * 2021-03-08 2022-09-20 Reach Will 魔法瓶株式会社 飲料用容器の栓体及びそれを備えた魔法瓶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M244854U (en) * 2000-09-27 2004-10-01 Nippon Oxygen Co Ltd Cork for soft drink container
JP4449725B2 (ja) * 2004-12-08 2010-04-14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片開きボトル
JP2006298449A (ja) * 2005-04-22 2006-11-02 Peacock Vacuum Bottle Co Ltd 蓋体ロック構造
JP4482940B2 (ja) * 2006-02-17 2010-06-16 サーモス株式会社 ロック装置及びロック装置を備えた蓋付き飲料容器並びに蓋付き容器
JP4240529B2 (ja) * 2006-07-24 2009-03-18 サーモス株式会社 飲料用容器
JP5125157B2 (ja) * 2007-03-08 2013-01-23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片開きボトル
JP4798553B2 (ja) * 2008-07-16 2011-10-19 サーモス株式会社 飲料容器
JP5375266B2 (ja) * 2009-03-31 2013-12-25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ボトルの蓋ロック構造
JP2012121614A (ja) * 2010-12-10 2012-06-28 Tiger Vacuum Bottle Co Ltd 飲料用容器の栓
JP5236768B2 (ja) * 2011-03-29 2013-07-17 サーモス株式会社 飲料用容器の栓体
JP3173973U (ja) * 2011-12-19 2012-03-01 イシャン ル 飲料容器の栓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276338B (zh) 2016-09-28
KR20150005454A (ko) 2015-01-14
JP5498613B1 (ja) 2014-05-21
JP2015013674A (ja) 2015-01-22
CN104276338A (zh) 2015-01-14
TWI507163B (zh) 2015-11-11
HK1205081A1 (en) 2015-12-11
TW201515618A (zh) 2015-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2137B1 (ko)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KR101472714B1 (ko)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KR101472713B1 (ko)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힌지 구조
JP6185279B2 (ja) 飲料用容器の栓体
US10059491B2 (en) Lid with twistable spout unit and container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TWI492734B (zh) Drinks for containers
KR101498824B1 (ko)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JP5312542B2 (ja) 飲料用容器の栓体
TW201731738A (zh) 飲料用容器及其瓶蓋結構
KR102380634B1 (ko) 고체, 액체 또는 페이스트 제품을 담을 수 있는 용기
JP6027647B1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飲料用容器
JP6509783B2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飲料用容器
JP5430695B2 (ja) 飲料用容器の栓体
JP6621163B1 (ja) 飲料容器のロック機構
TWI686333B (zh) 蓋體及附蓋容器
JP5503042B1 (ja) 飲料用容器の栓体
JP5525078B1 (ja) 飲料用容器の栓体
JP2011251706A (ja) 飲料容器の蓋構造
JP4375610B2 (ja) キャップ
EP4346526A1 (en) Cap unit and container with cap
JP5874716B2 (ja) 飲料用容器の栓体
KR101399683B1 (ko)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CN212402050U (zh) 容器盖和容器
JP2672258B2 (ja) 液体容器の栓
JP2010063564A (ja) コンパクト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