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2714B1 -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 Google Patents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2714B1
KR101472714B1 KR20140081822A KR20140081822A KR101472714B1 KR 101472714 B1 KR101472714 B1 KR 101472714B1 KR 20140081822 A KR20140081822 A KR 20140081822A KR 20140081822 A KR20140081822 A KR 20140081822A KR 101472714 B1 KR101472714 B1 KR 1014727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engaging
cover
outer cov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81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히로 구라베
신 마츠야마
홍리앙 두
웨이 자오
Original Assignee
서어모스 케이.케이.
써모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어모스 케이.케이., 써모스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어모스 케이.케이.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2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27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Thermally Insulated Containers For Foods (AREA)

Abstract

[과제] 마개 본체의 세정성을 향상하고, 마개 본체를 장착하는 것을 잊은 상태로는 마개체를 용기 본체에 장착할 수 없는 구조임과 아울러,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해 용이하게 파손·분해되지 않는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상부가 개구한 음료용 용기 본체(2)와, 해당 음료용 용기 본체(2)의 개구 단부(2A)에 피착되며, 내부에 액체 통공(27)을 가지는 중간 마개 본체(13)와, 액체 통공(27)을 회동 가능하게 개폐하는 덮개체(12)와, 외관 커버(14)를 가진다. 덮개체(12)는 외관 커버(14)와 힌지축(15)에 의해 연결되며, 중간 마개 본체(13)는 외관 커버(14)에 마련된 외관 커버측 맞물림 부재(61) 등에 의해 외관 커버(14)와 착탈 가능하게 감합(嵌合, 끼워 넣음)할 수 있기 때문에, 중간 마개 본체(13)에 핀(pin) 등이 불필요하게 되고, 중간 마개 본체(13)의 세정성이 향상한다.

Description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CAP OF DRINK CONTAINER}
본 발명은, 분해할 수 있는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런 종류의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를 분해 가능하게 함으로써 세정성을 향상시키는 구조로서, 이하의 것 등이 공지되어 있다.
휴대용 용기의 마개 구조(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서는, 내부 마개(특허 문헌 1에서는 마개체:이하, 동일)와 외부 마개(마개 커버)의 감합(嵌合, 끼워 맞춤)은, 탄성 부재(마개 커버 패킹)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 탄성 부재에 의해 내부 마개의 어긋남이나 탈락이 방지되지만, 확실하게 어긋남ㆍ탈락을 회피할 수 없으며, 예를 들면, 마개체를 용기 본체로부터 떼어낸 상태에서 덮개체를 닫았을 때에는 내부 마개의 어긋남이나 탈락이 발생해 버린다.
휴대용 진공 이중 보틀(bottle)(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및 보틀 마개(예를 들면 특허 문헌 3)는, 내부 마개(내측 마개부)와 외부 마개(외측 마개 부재)를 구비하며, 탄성 부재는 없지만, 특허 문헌 1과 마찬가지로 내부 마개가 확실하게 감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마개체를 용기 본체로부터 떼어낸 상태에서 덮개체를 닫았을 때에는 내부 마개의 어긋남이나 탈락이 발생해 버린다. 또, 특허 문헌 2에서는, 덮개체도 분리ㆍ분해할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부품수가 증가하여 착탈 조작이 번잡하게 되며, 부품을 분실할 염려도 있다.
또, 특허 문헌 3에서는, 중간 마개가 내/외통으로 더 구성되기 때문에, 부품수가 증가하여 착탈 조작이 번잡하게 되며, 부품을 분실하는 염려도 있다.
또, 음료용 용기의 마개(예를 들면 특허 문헌 4)에서는, 걸림 부재가 1개인 경우는, 걸림부가 1개소만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부로부터의 힘으로 감합이 풀어질 우려가 있으며, 한편, 걸림 부재가 복수인 경우는, 1개의 걸림 부재만 감합될 가능성이 있으며, 또, 양손으로 조작할 필요가 있다.
또, 액체 용기의 마개(예를 들면 특허 문헌 5)에서는, 내부 마개(하부 조립체)를 외부 마개(상부 조립체)의 하부로부터 착탈하지만, 조작에 의해 상부 외면으로 노출하는 외관 변화 요소가 없기 때문에, 착탈 상태나 착탈 조작(완료)의 확인이 상면 시점으로부터는 판단하기 어렵고, 조작 미스에 의한 착탈이 불충분하거나 장착하는 것을 잊는 일이 발생하여, 누설의 원인이 된다. 또, 확실하게 감합한 후에는 어긋남ㆍ누설 구조가 아닌 구조로 되어 있지만, 구조가 복잡하고, 특히 내부 마개를 떼어낼 때의 조작성이 간편 명료하지 않다.
또, 보온 보틀(예를 들면 특허 문헌 6)에서는, 내부 마개(내측 마개)를 외부마개(외측 마개)의 상부로부터 착탈하기 때문에 착탈 상태나 착탈 조작(완료)의 확인은 하기 쉽지만, 밸브체는 분리할 수 없어 마개체와 일체이므로, 부품 분해에 의해 액체 유로가 모두 개방 상태로는 되지 않아, 부품 분해에 의한 세정성의 향상은 충분하지 않다.
마지막으로,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예를 들면 특허 문헌 7)에서는, 외부 마개로부터 내측 마개부를 떼어냄으로써 마개체를 구석까지 씻을 수 있어, 조립성, 경제성에도 뛰어나지만, 내부 마개에 힌지축 지지되는 걸림 부재가 장착되어 있으므로, 내부 마개가 걸림 부재의 부분에서 세정성이 떨어진다.
그리고, 특허 문헌 1 ~ 7에 공통되는 문제로서, 내부 마개가 없더라도 외부마개가 용기 본체에 장착되기 때문에, 내부 마개를 장착하는 것을 잊은 상태에서 외부 마개를 용기 본체에 장착하여 사용했을 때에는 덮개체에서의 지수(止水, 물이 새는 것을 막음)가 가능하지 않아 누설이 발생해 버린다.
또, 가장 음료물에 닿기 쉬워, 더러워지기 쉬운 내부 마개를 세정하는데 있어서, 내부 마개에 분해할 수 없는 다른 부품이 장착되어 있으면, 세정성이 떨어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게다가, 이러한 유형의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는, 덮개체가 마개 본체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낙하 충격 등에 의해 덮개체가 충격을 받으면 덮개 힌지 축에 부하가 걸리기 쉬워, 덮개 힌지축이 구부러져 버리거나, 덮개체가 파손하거나 하는 염려가 있다. 또, 덮개체 개방 상태에서는 마개체의 중심이 후방으로 이동해 버리지만, 덮개체가 마개 본체를 덮는 구조에서는, 덮개체가 비교적 커져 버림으로써 음료용 용기의 자립성이 불안정하게 될 우려가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특허 제3904899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특허 제5157627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특허공개 2008-239177호 공보 [특허 문헌 4] 일본특허 제5236768호 공보 [특허 문헌 5] 일본특허 제2735091호 공보 [특허 문헌 6] 일본특허 제5012920호 공보 [특허 문헌 7] 일본특허공개 제2013-56680호 공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는, 마개 본체의 세정성을 향상하고, 마개 본체를 장착하는 것을 잊은 상태에서는 마개체를 용기 본체에 장착할 수 없는 구조임과 아울러,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해 용이하게 파손·분해되지 않는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청구항 1의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는, 상부가 개구한 음료용 용기 본체와, 해당 음료용 용기 본체의 상부 개구부에 피착되며, 내부에 액체 통공(通孔)을 가지는 중간 마개 본체와, 상기 액체 통공을 회동 가능하게 개폐하는 덮개체와, 외관 커버를 가지는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로서, 상기 덮개체는 상기 외관 커버와 힌지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중간 마개 본체는 상기 외관 커버에 마련된 감합(嵌合, 끼워 맞춤) 기구에 의해 상기 외관 커버와 착탈 가능하게 감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의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는, 상기 외관 커버가 상기 덮개체 측면을 덮으며, 상기 덮개체의 전면(前面), 후면(後面), 및 상면(上面)이 상기 외관 커버와 대략 면일(面一, 동일한 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의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는, 상기 중간 마개 본체에 마련된 외부 나사와, 상기 음료용 용기 본체에 마련된 내부 나사가 나사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의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는, 상기 감합 기구에는, 상기 외관 커버에 마련된 맞물림 부재가 있으며, 해당 맞물림 부재는 힌지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동작하고, 또한, 상기 중간 마개 본체와 상기 외관 커버의 맞물림을 유지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으며, 상기 맞물림 부재의 상부에 볼록한 모양의 조작부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의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는, 상기 감합 기구가, 상기 힌지 보다도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덮개체의 상기 힌지의 하부에 맞물림 해제 저해부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의 발명에 의하면, 중간 마개 본체가 외관 커버에 마련된 감합 기구에 의해 외관 커버와 착탈 가능하게 감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중간 마개 본체에 핀(pin) 등이 불필요하게 되고, 세정성이 향상한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외관 커버가 덮개체 측면을 덮으며, 덮개체의 전면, 후면, 및 상면이 외관 커버와 대략 면일(面一, 동일한 면)임으로써, 덮개체를 작게 할 수 있음과 아울러, 낙하 충격 등으로부터 덮개체를 보호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중간 마개 본체에 마련된 외부 나사와, 음료용 용기 본체에 마련된 내부 나사가 나사 결합함으로써, 중간 마개 본체를 장착하지 않고 마개체를 음료용 용기 본체에 장착할 수 없게 되어, 오사용에 의한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에 의하면, 외관 커버에 마련된 맞물림 부재가, 중간 마개 본체와 외관 커버의 맞물림을 유지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음으로써, 견고하게 중간 마개 본체와 외관 커버를 감합할 수 있음과 아울러, 맞물림 부재의 상부에 볼록한 모양의 조작부를 마련함으로써 분해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맞물림 부재가 힌지와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동작함으로써, 축 회동에 의한 맞물림과 비교하여 맞물림 거리를 길게 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보다 확실하게 맞물림할 수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에 의하면, 감합 기구를 덮개 힌지축 보다도 내측에 배치하고, 덮개체의 덮개 힌지축 하부에 맞물림 해제 저해벽을 마련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충격으로 중간 마개 본체와 외관 커버의 감합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나타내는 마개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마개체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마개체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마개체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안전 스토퍼가 상승한 상태의 마개체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덮개체를 약간 개방한 상태의 마개체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안전 스토퍼가 락 상태의 음료용 용기의 상부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덮개체를 개방한 상태의 마개체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중간 마개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중간 마개 본체의 정면측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중간 마개 본체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외관 커버의 저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외관 커버측 맞물림 부재의 정면측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외관 커버측 맞물림 부재의 저면측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외관 커버측 맞물림 부재를 장착하기 전의 외관 커버 및 덮개체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마개 본체측 맞물림부와 걸림 받이부의 맞물림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덮개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안전 스토퍼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락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세로벽 주위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락 기구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덮개체 폐쇄 상태의 힌지의 단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클릭 돌기가 클릭부를 타고 넘는 도중의 힌지의 단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덮개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마개체의 사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클릭 받이부의 정면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0 본 발명의 실시예 4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예 5를 나타내는 맞물림 해제 저해부를 구비한 마개체의 단면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의 맞물림 해제 저해부가 맞물림 부재에 맞물리는 상태를 나타내는 마개체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서의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의 형태는,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 이하에 설명되는 구성 모두가, 본 발명의 필수 요건이라고는 할 수 없다.
[실시예 1]
이하, 본 발명을 금속제 이중 단열 구조의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에 적용한 실시예 1을 도 1 ~ 도 27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음료용 용기(1)는, 금속제의 용기 본체(2)와, 해당 용기 본체(2)의 상부 개구부인 개구 단부(2A)에 피착되는 합성 수지제의 마개체(3)를 구비한다. 상기 용기 본체(2)는, 내통(4)과 외통(5)의 개구 단부(2A)의 가장자리를 일체로 접합하고, 내통(4)과 외통(5)과의 사이의 공간을 진공의 단열층(6)으로 한 단열 이중 구조이다. 또, 용기 본체(2)의 개구 단부(2A)측에 위치하는 머리부(7)는, 내통(4) 및 외통(5)의 양자 모두 하부보다 지름이 크게 형성되어, 머리부(7)에서의 외통(5)에는 개구 단부(2A)측을 향해 테이퍼 모양으로 확대하는 확대부(5K)가 형성되며, 이 확대부(5K)로부터 개구 단부(2A)측에는, 개구 단부(2A)를 향해 테이퍼 모양으로 축소하는 축소부(5S)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마개체(3)는, 마개 본체(11)와 덮개체(12)를 구비한다. 또, 상기 마개 본체(11)는, 내부 마개 등으로 불리는 중간 마개 본체(13)와 외부 마개 등으로 불리는 외관 커버(14)를 구비하며, 중간 마개 본체(13)는 외관 커버(14)의 내측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된다. 또, 상기 덮개체(12)의 후방이 외관 커버(14)에 힌지인 힌지축(15)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 그들 마개 본체(11) 및 덮개체(12)는 합성 수지 등으로 이루어진다.
게다가, 마개체(3)는, 상기 힌지축(15)의 반대측(전방)에, 덮개체(12)를 외관 커버(14)에 폐쇄 상태로 고정하는 락 부재(16)가 마련되며, 이 락 부재(16)는 덮개체(12)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 중간 마개 본체(13)는, 상부 전방에 둘레 벽(21)을 상부로 돌출 마련하여 바닥을 가지는 통 모양으로 형성되며, 그 바닥을 가지는 통 모양의 중간 마개 본체(13)의 하부에, 용기 본체(2)로의 장착부(22)를 일체로 가진다. 상기 중간 마개 본체(13)의 장착부(22)를 용기 본체(2)의 개구 단부(2A) 내에 삽입하고, 상기 장착부(22)의 외주에 형성된 수나사부(23)를 용기 본체(2)의 머리부(7)의 내주(內周)의 암나사부(24)에 나사 결합하는 것에 의해, 용기 본체(2)의 개구부에 마개체(3)가 장착된다. 또, 수나사부(23)가 외부 나사, 암나사부(24)가 내부 나사이다. 또, 상기 장착부(22)는 중간 마개 본체(13)의 하부이며, 중간 마개 본체(13)와 장착부(22)에 의해, 중간 마개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중간 마개 본체(13)의 둘레 벽(21)은, 전방이 대략 동일 높이로 후방보다 높게 형성되며, 이 대략 동일 높이의 부분이 주둥이(25)이고, 이 주둥이(25)는 중간 마개 본체(13)의 중심(S)을 통과하는 대략 원호 모양으로 형성되어,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볼 때 주둥이(25)를 이루는 원호의 각(θ)은 대략 100도 ~ 140도, 이 예에서는 대략 120도이다.
또,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중간 마개 본체(13)의 저벽(26)은, 힌지축(15)측으로부터 주둥이(25)측으로 낮아지도록 경사져 전후 방향이 좌우 방향보다 약간 길게 형성되며, 그 저벽(26)의 상면은 대략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 도 12에서 상하 방향으로 긴 계란형의 부분이 평탄한 저벽(26)이다. 그리고, 저벽(26)의 낮은 쪽에 액체 통공(27)을 뚫어 마련하고, 높은 쪽에 공기 구멍(28)을 뚫어 마련하며, 해당 저벽(26)으로부터 그 상부 개구, 즉 주둥이(25)의 사이를 액체 유로(29)로 하고 있다.
또, 상기 장착부(22)는 원통 모양의 통 모양부(31)를 가지며, 이 통 모양부(31)의 중심이 마개 본체(11)의 중심이다. 그리고, 통 모양부(31)의 외면에 상기수나사부(23)가 형성되어 있다.
게다가, 상기 통 모양부(31)의 하부 외주에는, 씰 부재 장착부(32)가 형성되고, 이 씰 부재 장착부(32)는, 상부 차양부(32A)와 하부 차양부(32B)의 사이에 오목 홈부(32C)를 둘레에 마련하고 있다. 상기 씰 부재 장착부(32)에는 고리 모양의 패킹(33)이 장착되며, 패킹(33)의 상면(33A)은 상기 상부 차양부(32A)의 하면에 맞닿는다. 그리고, 씰 부재 장착부(32)에 장착한 패킹(33)의 씰부(33B)가, 상기 암나사부(24)의 하부에서 내측으로 돌출 마련하는 내통(4)의 계단부(34)에 밀착한다. 또, 상기 씰부(33B)는 돌출한 설편(舌片) 모양으로 형성되며, 이 씰부(33B)는 둘레 전체에 형성되어 있다. 또, 내통(4)은, 상기 계단부(34)의 상부에 외측으로 테이퍼 모양으로 확대하는 확대부(4K)가 형성되며, 머리부(7)에서의 확대부(4K)로부터 상부(개구 단부(2A)측)는, 확대부(4K)의 하부보다 지름이 크게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둘레 벽(21)은, 반(反)힌지축측인 전방의 전방 둘레 벽부(211)의 상부 가장자리가 상기 주둥이(25)이며, 그 주둥이(25)의 상부 가장자리부(211F)에는 볼록한 모양의 만곡(灣曲) 가장자리부(213)가 형성되며, 도 6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만곡 가장자리부(213)는, 상기 전방 둘레 벽부(211)보다 전방으로 볼록하게 만곡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방 둘레 벽부(211)의 높이 방향 대략 중앙 및 좌우 방향 중앙에는, 상기 외관 커버(14)의 전방에 맞물리는 마개 본체측 맞물림부(35)가 마련되어 있다. 이 마개 본체측 맞물림부(35)는, 전방 둘레 벽부(211)의 외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 마련된 돌기 모양을 이루며, 전후 방향의 좌우 가장자리부(35Y, 35Y)와, 좌우 방향의 전방 가장자리부(35M)를 가지고, 전후 치수보다 좌우 치수가 크게 형성되며, 마개 본체측 맞물림부(35)의 하면(35K)은, 대략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며, 즉 중간 마개 본체(13)의 중심선과 대략 직교하는 면에 형성되어 있다.
또, 도 9 및 도 11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본체측 걸림부(35)의 하면(35K)에 연속하여, 전방 둘레 벽부(211)의 좌우에는 하향면(36, 36)이 돌출 형성되고, 이들 좌우의 하향면(36, 36)의 좌우 양측(36A, 36A)은 좌우 외측에서 상측을 향해 만곡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게다가, 전방 둘레 벽부(211)에는, 상기 마개 본체측 맞물림부(35) 및 하향면(36)의 하부에, 좌우의 맞물림부인 맞물림 돌출부(37, 37)를 마련하고, 이들 좌우의 맞물림 돌출부(37, 37)는 대략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향면(36)과 맞물림 돌출부(37, 37)의 상면의 사이에 외관 커버(14)가 대략 맞물린다.
게다가, 전방 둘레 벽부(211)의 좌우 단부 후방에는 좌우 둘레 벽부(212, 212)가 마련되고, 이들 좌우 둘레 벽부(212, 212)는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상호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며, 또한 좌우 둘레 벽부(212, 212)의 상부 가장자리부(212F, 212F)는,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낮아지도록 경사져 있다.
도 10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좌우 둘레 벽부(212, 212)의 후단(後端) 사이에는, 외관 커버(14)에 착탈 가능하게 감합(嵌合, 끼워 맞춤)하는 마개 본체측 맞물림 받이부(41)가 대략 수평하게 마련되고, 이 마개 본체측 맞물림 받이부(41)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돌기에 의해 구성되고, 그 마개 본체측 맞물림 받이부(41)의 후방 가장자리의 상부 중앙에는,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낮아지도록 경사진 경사부(42)가 형성되고, 이 경사부(42)의 좌우에는 상부 각부(角部)(43)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세로 방향의 측면부(44, 44)가 형성되어 있다. 또, 마개 본체측 맞물림 받이부(41)의 좌우에는, 외관 커버(14)에 맞물리는 맞물림 각부(角部)(45, 45)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둘레 벽(21)의 하부측은 하부를 향해 지름이 축소되도록 형성되며, 지름이 축소된 하부가 저벽(26)에 연결됨과 아울러, 저벽(26)이 둘레 벽(21)의 하부가 상기 통 모양부(31)의 상부를 막는 상부 덮개체부(46)에 연결되며, 저벽(26)은 상부 덮개체부(46)보다 상부에 위치한다. 그리고,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볼 때, 전방 둘레 벽부(211)는 통 모양부(31)의 원호의 대략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마개 본체측 맞물림 받이부(41)는 통 모양부(31)의 후방과 중심(S)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외관 커버(14)는, 상기 개구 단부(2A)에 외장하는 원통부(51)와, 이 원통부(51)의 상부에 마련한 대략 평판 모양의 상면부(52)를 일체로 가지며, 원통부(51)의 전후의 상부 일부와 상면부(52)의 일부를 개구한 덮개용 개구부(53)를 가지며, 이 개구부(53)를 상기 덮개체(12)가 개폐한다. 또, 이 덮개체(12)의 구성에 대해서는 다음에 상술한다.
상기 개구부(53)는, 원통부(51)의 전방(반(反)힌지측)의 전방 개구부(53F)와, 전방 개구부(53F)보다 좌우폭이 좁게 형성되며, 원통부(51)의 후방(힌지측)의 후방 개구부(53B)와, 상기 상면부(52)에 개구하는 상부 개구부(53J)로 이루어지며, 이 상부 개구부(53J)가 그들 전, 후방 개구부(53F, 53B)를 연결하고 있다.
상기 전방 개구부(53F)는,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주둥이(25)의 범위에 대응하여 개구함과 아울러, 조립시에 상기 중간 마개 본체(13)의 마개 본체측 맞물림부(35) 및 좌우의 하향면(36)의 아래를 따르도록 개구하고 있으며, 도 13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 개구부(53F)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후방(마개 본체의 내측)으로 내향(內向) 차양부(54)를 약간 돌출 마련하고 있다. 한편, 이 내향 차양부(54)의 내측 가장자리부(54F)에는, 반(反)힌지측의 좌우 방향 중앙에 외관 커버측 맞물림부(55)가 형성되고, 외관 커버측 맞물림부(55)에 상기 마개 본체측 맞물림부(35)가 맞물린다.
상기 외관 커버측 맞물림부(55)는, 상기 내향 차양부(54)의 내측 가장자리부(54F)에, 외측(전방)에 움푹 패인 오목부(56)를 형성하고, 이 오목부(56)의 상면에, 상기 외관 커버측 맞물림부(55)가 내향 차양부(54)의 상면보다 한 단계 낮게 오목하게 마련되어 있으며, 외관 커버측 맞물림부(55)에는 외측 단차부(55A)와 좌우 단차부(55B, 55B)와 내측 가장자리부(55C)가 형성되며, 이 내측 가장자리부(55C)는 상기 내측 가장자리부(54F)보다 외측에 위치한다.
그리고, 오목부(56) 및 외관 커버측 맞물림부(55)의 좌우폭은, 상기 마개 본체측 맞물림부(35)의 좌우폭에 대략 대응하며, 마개 본체측 맞물림부(35)는 하부로부터 오목부(56)를 통과할 수 있으며, 외관 커버(14)에 중간 마개 본체(13)를 조립한 상태(이하, '조립 상태'라고 함)로, 마개 본체측 맞물림부(35)가 외관 커버측 맞물림부(55) 내에 걸려 들어간 상태로 재치(載置)된다. 이 재치 상태에서, 상기 내향 차양부(54)가 상기 하향면(36)과 상기 좌우의 맞물림 돌출부(37, 37)에 의해 상하로부터 끼워진다. 또, 외관 커버측 맞물림부(55)에 상기 마개 본체측 맞물림부(35)가 맞물리면, 외관 커버측 맞물림부(55)에 대해서 상기 마개 본체측 맞물림부(35)의 좌우 방향도 위치 결정된다.
상기 상부 개구부(53J)의 좌우 가장자리부는, 전방(반(反)힌지측)으로부터 후방(힌지측)을 향해 좁아지도록 내측으로 볼록한 곡선 형상을 이룸과 아울러, 후방에서는 대략 평행하게 되고, 그 상부 개구부(53J)의 좌우 가장자리부로부터 좌우의 내벽부(57, 57)가 늘어져 마련되어 있다. 또, 좌우의 내벽부(57, 57)의 평면 형상은 상부 개구부(53J)의 좌우 가장자리부와 대략 동일하다. 또, 좌우의 내벽부(57, 57)의 전방 하부 가장자리부(58, 58)는, 상기 좌우 둘레 벽부(212, 212)의 상부 가장자리부(212F, 212F)에 대응하여 하부가 만곡 모양으로 노치되어 있어, 상기 조립 상태에서, 전방 하부 가장자리부(58, 58)가 상기 상부 가장자리부(212F, 212F)에 맞닿음 또는 근접한다.
게다가, 상기 전방 하부 가장자리부(58)의 후단에는, 위치 결정부인 세로 가장자리부(59)가 마련되며, 상기 조립 상태에서, 그 세로 가장자리부(59)가 상기 맞물림 각부(角部)(45)에 맞닿음 또는 근접하며, 이 맞닿음 또는 근접에 의해 외관 커버(14)에 대한 중간 마개 본체(13)의 전후 위치가 위치 결정된다. 또, 중간 마개 본체(13)의 전방은, 전방 둘레 벽부(211)가 상기 내향 차양부(54)에 맞닿음 또는 근접하는 것에 의해, 그 전후 위치가 위치 결정된다.
다음으로, 상기 마개 본체측 맞물림 받이부(41)와 감합 기구인 외관 커버측 맞물림 부재(61)에 대해 설명한다. 또, 상기 마개 본체측 맞물림 받이부(41)와 외관 커버측 맞물림 부재(61)에 의해, 중간 마개 본체(13)와 외관 커버(14)의 힌지측을 착탈 가능하게 감합하는 감합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또, 상기 외관 커버측 맞물림부(55)와 상기 마개 본체측 맞물림부(35)에 의해, 중간 마개 본체(13)와 외관 커버(14)의 반(反)힌지측을 착탈 가능하게 걸리는 걸림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또, 상기 마개 본체측 맞물림 받이부(41)와 외관 커버측 맞물림 부재(61)에 의해, 마개체(3)의 힌지측의 감합 구조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외관 커버(14) 내의 후방 하부에는, 상기 좌우의 내벽부(57, 57)의 사이에, 외관 커버측 맞물림 부재(61)를 전후 방향 슬라이드 가능하게 마련하는 오목부(62)가 형성되며, 이 오목부(62)의 저부에는 상기 좌우의 내벽부(62U, 62U)의 하부를 연결하는 저벽부(63)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외관 커버측 맞물림 부재(61)는 상기 마개 본체측 맞물림 받이부(41)에 착탈 가능하게 감합하며, 그들 외관 커버측 맞물림 부재(61)와 마개 본체측 맞물림 받이부(41)에 의해, 외관 커버(14)와 중간 마개 본체(13)의 후방이 착탈 가능하게 감합한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외관 커버측 맞물림 부재(61)는, 좌우의 가장자리가 평행한 부재 본체(64)의 전방 상부에 손잡이 모양의 조작부(65)를 돌출 마련하고, 이 조작부(65)는 부재 본체(64)의 전면부(前面部)(66)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여 마련되고, 그 조작부(65)의 하면(65K)이 마개 본체측 맞물림 받이부(41)의 상면에 맞물린다. 또, 상기 전면부(66)에는, 상기 마개 본체측 맞물림 받이부(41)에 걸림 이탈하는 맞물림부(67)가 전방으로 돌출 마련되어 있으며, 이 맞물림부(67)는, 상기 마개 본체측 맞물림 받이부(41)에 걸리는 걸림면(67A)과, 이 걸림면(67A)의 전단(前端)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낮아지는 경사진 경사 안내면(67B)을 가지며, 이 경사 안내면(67B)이 상기 마개 본체측 맞물림 받이부(41)의 경사부(42)에 맞물린다. 또, 맞물림부(67)의 좌우폭은, 상기 경사부(42)와 대략 동일하고, 경사 안내면(67B)이 경사부(42) 내에 맞물리는 것에 의해, 마개 본체측 맞물림 받이부(41)와 맞물림부(67)의 좌우 위치가 위치 결정된다.
또, 상기 부재 본체(64)의 좌우 가장자리 상부에는 전후 방향의 가이드부(64M)가 형성되며, 가이드부(64M)는 상부와 좌우 측부가 개구하고 있다. 이 가이드부(64M)에 대응하여, 상기 오목부(62)의 좌우의 내벽부(62U, 62U)에 전후 방향의 돌출부로 이루어지는 레일(62R, 62R)이 마련되고, 이 레일(62R)의 아래에 상기 가이드부(64M)가 맞물리며, 이 맞물림 상태에서 상기 부재 본체(64)의 하면(64K)이 상기 저벽부(63)의 상면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또, 상기 부재 본체(64)의 하면(64K)에는 후방이 개구한 본체 오목부(64H)가 형성되며, 이 본체 오목부(64H)의 전면(前面)의 좌우 방향 중앙에 돌기 모양의 가압 수단 장착부(68)를 마련하며, 이 장착부(68)에 가압 수단인 압축 코일 스프링(69)의 전방을 외측에 끼워 장착하고 있다. 게다가, 부재 본체(64)의 하부 좌우에는 탄성 걸림부인 탄성 걸림편(70, 70)이 마련되고, 이 탄성 걸림편(70)은 부재 본체(64)의 하면(64K)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돌출 마련되며, 탄성 걸림편(70)의 후단은 자유단으로 되어 있으며, 탄성 걸림편(70)의 후단 하부에 래치부(71)가 마련되고, 이 래치부(71)는 전면이 걸림부(71A)이고, 이 걸림부(71A)의 하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높아지도록 경사진 경사부(71B)가 마련되어 있다.
도 13 및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저벽부(63)의 좌우 후방에는, 걸림 받이부인 전후 방향의 맞물림 홈(63A, 63A)이 마련되고, 이 맞물림 홈(63A)에 상기 래치부(71)가 걸려 들어간 상태에서 상기 맞물림 부재(61)가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며, 래치부(71)의 걸림부(71A)가 맞물림 홈(63A)의 전방 가장자리에 걸리는 전방 위치까지 맞물림 부재(61)가 이동 가능하다. 이 경우, 레일(62R)과 저벽부(63)에 의해 상하로부터 부재 본체(64)가 끼어진 상태로, 맞물림 부재(61)가 전후로 이동하고, 게다가, 전방 위치에서 래치부(71)의 걸림부(71A)가 맞물림 홈(63A)의 전방 가장자리에 걸리기 때문에, 오목부(62)로부터 맞물림 부재(61)가 빠지지 않는다. 또, 오목부(62)에는 상기 압축 코일 스프링(69)의 후단이 맞닿는 후벽부(62B)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중간 마개 본체(13)를 외관 커버(14)에 장착한 상태에서, 부재 본체(64)와 후벽부(62B)에 끼워진 상기 압축 코일 스프링(69)은 압축되어 있으며, 여기로부터 조작부(65)를 후방으로 밀면, 압축 코일 스프링(69)이 더 압축되면서 맞물림 부재(61)가 후퇴하여, 마개 본체측 맞물림 받이부(41)와 맞물림 부재(61)의 감합을 해제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예에서는, 상기 맞물림 홈(63A)은 저벽부(63)를 관통하는 관통공으로서 형성되며, 상기 맞물림 부재(61)의 전후 방향의 슬라이드를 허용하는 길이를 가진다. 또, 맞물림 홈(63A)의 하부로부터, 래치부(71)를 상부로 미는 것에 의해, 맞물림 홈(63A)으로부터 래치부(71)를 빼내면, 오목부(62)의 전방으로부터 맞물림 부재(61)를 떼어낼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중간 마개 본체(13)와 외관 커버(14)의 조립 작업에 대해 설명한다. 대략 수평인 외관 커버(14)에 대해서, 마개 본체측 맞물림부(35)측이 약간 높게 되도록 중간 마개 본체(13)를 경사지게 하여 외관 커버(14)의 하부로부터 외관 커버측 맞물림부(55) 상(上)에 마개 본체측 맞물림부(35)를 재치하도록, 외관 커버측 맞물림부(55) 내에 마개 본체측 맞물림부(35)가 걸려 들어간다. 이 후, 중간 마개 본체(13)의 후방을 들어 올리면, 외관 커버측 맞물림부(55)를 대략 중심으로 하여, 중간 마개 본체(13)의 후방이 상부로 회전하고, 마개 본체측 맞물림 받이부(41)의 경사면(42)이 맞물림 부재(61)의 경사 안내면(67B)에 맞닿고, 게다가, 상부로 중간 마개 본체(13)를 회전시키면, 경사부(42)에 밀려 맞물림 부재(61)가 후퇴하고, 경사부(42)가 경사 안내면(67B)을 통과하면, 압축 코일 스프링(69)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맞물림 부재(61)가 전진하여, 마개 본체측 맞물림 받이부(41)가 맞물림 부재(61)의 맞물림부(67)에 걸린 감합 상태가 얻어져, 외관 커버(14)에 중간 마개 본체(13)가 고정 상태로 장착된다. 또,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합 상태에서, 마개 본체측 맞물림 받이부(41)는, 조작부(65)와 맞물림부(67)에 의해 상하로부터 끼워진다.
한편, 외관 커버(14)로부터 중간 마개 본체(13)를 떼어 내려면, 조작부(65)를 이용하여, 맞물림 부재(61)를 감합 해제 방향인 후방으로 슬라이드시켜, 마개 본체측 맞물림 받이부(41)와 맞물림 부재(61)의 맞물림부(67)와의 걸림을 해제하고, 장착시와는 반대로, 자중에 의해 중간 마개 본체(13)의 후방이 하부로 회동하고, 게다가, 전방의 마개 본체측 맞물림부(35)와 외관 커버측 맞물림부(55)와의 걸림 상태를 해제하여 중간 마개 본체(13)를 떼어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덮개체(12)의 구성에 대해 상술한다. 상기 덮개체(12)는, 상기 외관 커버(14)의 개구부(53)를 덮는 덮개부(72)와, 이 덮개부(72)의 하부에 일체로 조립되며 상기 중간 마개 본체(13) 내에 유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덮개 하부(73)를 가진다. 상기 덮개부(72)는, 상기 전방 개구부(53F)와 대략 동일 형상의 덮개 전면부(72F)와, 상기 상부 개구부(53J)와 대략 동일 형상의 덮개 상면부(72J)와, 상기 후방 개구부(53B)의 상부와 대략 동일 형상의 덮개 후면부(72B)를 일체로 가지며, 덮개 폐쇄시에, 덮개 전면부(72F)가 전방 개구부(53F)를 막고, 덮개 상면부(72J)가 상부 개구부(53J)를 막으며, 덮개 후면부(72B)가 후방 개구부(53B)의 상부를 막는다. 또, 덮개 후면부(72B)에 의해 막혀지지 않은 후방 개구부(53B)의 하부는, 덮개체(12)의 개폐시에 덮개 후면부(72B)가 회동하기 위한 스페이스가 된다. 한편, 도 6 및 도 7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 후면부(72B)의 전방에는, 덮개 후면부(72B)와 간격을 두고, 덮개 상면부(72J)로부터 하부를 향해 덮개 내부 후면부(172B)가 늘어져 마련되고, 이 덮개 내부 후면부(172B)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체(12)의 회동시에 다른 부재에 닿지 않고, 덮개체(12)의 폐쇄 상태에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관 커버(14)의 부재측에 덮개 내부 후면부(172B)의 하단이 근접하여, 후방 개구부(53B)를 대략 막을 수 있다.
상기 덮개 하부(73)는 상기 덮개부(72)의 하부에 마련되며, 덮개 하부(73)의 외주면(73G) 및 저면에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씰 부재(74)가 착탈 가능하게 마련된다. 이 씰 부재(74)는, 중간 마개 본체(13)의 저벽(26)에 맞닿는 씰 본체(76)에, 상기 액체 통공(27)을 상부로부터 밀폐하는 유입측 씰부(77)와, 상기 공기 구멍(28)을 상부로부터 밀폐하는 공기 구멍 씰부(78)를 일체 형성한 것이다. 또, 상기 덮개 하부(73)의 외주면(73G)은 원통 모양을 이루며, 이 원통 모양의 외주면(73G)에 장착한 씰 부재(74)의 상단에는 씰 차양부(74T)가 마련되고, 이 씰 차양부(74T)를 장착하는 홈 모양의 장착부(73T)가 덮개 하부(73) 둘레에 마련되어 있다. 또, 씰 부재(74)의 상부 가장자리에는, 외측으로 넓어지는 외부 차양부(76T)가 마련되어 있다.
다음으로, 마개 본체(11)의 외관 커버(14)에 덮개체(12)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6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덮개체(12)의 후부(後部)에는, 상기 힌지축(15)을 장착하는 덮개체 힌지부(81)가 마련되고, 한편, 상기 외관 커버(14)의 후방 상부에는, 상기 힌지축(15)을 장착하는 마개 본체 힌지부(82)가 마련되어 있다. 또, 상기 마개 본체 힌지부(82)는, 상기 외관 커버(14)의 후부 좌우의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또, 덮개 내부 후면부(172B)는 상기 힌지축(15)의 하부로부터 아래 방향을 향해 돌출 마련되어 있다.
도 23 및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마개 본체 힌지부(82)에는 좌우 방향의 마개 본체측 장착 구멍(83)이 관통 형성되며, 이 마개 본체측 장착 구멍(83)에 대응하여, 상기 덮개체 힌지부(81)에 덮개측 장착 구멍(84)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마개 본체측 장착 구멍(83)은, 축방향 내측에 상기 힌지축(15)에 맞물리는 축 맞물림부(83A)와, 축방향 외측에 축 맞물림부(83A)보다 지름이 큰 경대부(俓大部)(83B)를 가진다. 또, 상기 덮개측 장착 구멍(84)은, 축방향 중앙의 축 맞물림부(84A)와, 이 축 맞물림부(84A)의 축방향 일측(좌우 방향 일측)에 마련되어 해당 축 맞물림부(84A)보다 지름 방향으로 큰 수납부(85)를 가지며, 이 수납부(85)는 외측이 개구한다.
상기 수납부(85)에는,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슬라이드 부재(86)가 마련되고, 이 슬라이드 부재(86)는 대략 원통 모양으로, 그 외주는 거의 원주면을 이룬다. 또, 상기 슬라이드 부재(86)에는 상기 힌지축(15)을 유동 가능하게 삽입하는 유삽공(遊揷孔)(86A)이 관통 형성되며, 수납부(85) 내에서 힌지축(15)의 축방향에 대해서 슬라이드 부재(86)는 슬라이드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또, 슬라이드 부재(86)와 축 맞물림부(84A)와의 사이에는 가압 수단인 압축 코일 스프링(87)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 압축 코일 스프링(87)에 의해 슬라이드 부재(86)는 상시(常時) 외측으로 가압되어 있다. 또, 압축 코일 스프링(87)은 힌지축(15)에 외장되어 있다.
또, 상기 슬라이드 부재(86)의 외면에는 축방향의 리브(rib)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부재측 회전 방지부(88)가 마련되고, 이 슬라이드 부재측 회전 방지부(88)에 대응하여, 상기 수납부(85)의 내면에 축방향의 홈으로 이루어지는 수납부측 회전 방지부(89)가 마련되어 있다. 게다가, 슬라이드 부재(86)의 외측 단면(端面)에는, 돌기인 클릭(click) 돌기(90)를 마련하며, 이 클릭 돌기(90)에 대응하여, 상기 내벽부(57)의 내면에 클릭 받이부인 리세스(91)를 마련하고 있다.
또, 도면과는 반대로, 상기 슬라이드 부재(86)의 외면에 축방향의 홈으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부재측 회전 방지부를 마련하며, 이 슬라이드 부재측 회전 방지부에 대응하여, 상기 수납부(85)의 내면에 축방향의 리브로 이루어지는 수납부측 회전 방지부를 마련해도 좋다.
상기 리세스(91)는, 상기 내벽부(57)의 내면에 상기 축 본체측 장착 구멍(83)의 주위에 대략 링 모양으로 형성되며, 그 리세스(91)는 개방 위치 리세스(91A)와, 회동 위치 리세스(91B)를 구비하며, 그들 개방 위치 리세스(91A)와 회동 위치 리세스(91B)와의 사이에 함몰이 없는 클릭부(92)가 형성되며, 이 클릭부(92)는 내벽부(57)의 외면과 면일(面一, 동일한 면)이며, 리세스(91)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개방 위치 리세스(91A)에 클릭 돌기(90)가 맞물린 상태에서 덮개체(12)가 개방 위치가 되며,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방 위치에서 덮개체(12)의 덮개 상면부(72J)는 하향으로 경사진다. 또, 상기 클릭 돌기(90)의 선단은 선단측이 가늘게 되는 형상, 예를 들면 반구면(半球面)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클릭 돌기(90)가 마개 본체(11)의 내주면에 슬라이드함과 아울러, 축방향 타방에서는, 덮개체 힌지부(81)의 타방의 외면(81A)이 내벽부(57)의 외면(57A)에 슬라이드 이동한다.
따라서, 폐쇄 상태의 덮개체(12)를 개방 방향으로 회동하면, 압축 코일 스프링(87)에 의해 외측으로 가압된 돌기(90)의 선단이 회동 위치 리세스(91B)를 슬라이드 이동하고, 게다가, 돌기(90)가 클릭부(92)를 타고 넘어 개방 위치 리세스(91A)에 걸려 들어가며, 클릭 돌기(90)가 클릭부(92)를 타고 넘을 때에 클릭감이 얻어진다. 또, 회동 위치 리세스(91B)는 둘레 방향에서 클릭 돌기(90)의 선단 부분에 비해 크고, 즉, 클릭 돌기(90)가 리세스(91B)의 맞닿는 부분은 리세스(91B)보다 작으며, 회동 위치 리세스(91B)에 클릭 돌기(90)가 걸려 들어간 상태에서, 덮개체(12)는 상기 후방 개구부(53B)의 저부(53T)에 맞닿는 위치까지 개방 가능하다.
그리고, 클릭 돌기(90)가 개방 위치 리세스(91A)에 걸려 들어간 상태에서, 용기 본체(2)를 전방으로 기울여도, 클릭 돌기(90)가 클릭부(92)를 타고 넘을 수 없기 때문에, 덮개체(12)가 개방 상태로 유지되어, 주둥이(25)의 사용시에 덮개체(12)가 방해가 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상기 락 부재(16)를 구비한 락 기구(10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락 기구(100)는, 외관 커버(14)에 덮개체(12)를 폐쇄 상태로 유지하고, 그 락 기구(100)는, 상기 외관 커버(14)의 전방에 마개 본체 맞물림부(101)를 마련하며, 이 마개 본체 맞물림부(101)에 상기 락 부재(16)가 착탈 가능하게 걸리며, 이 락 부재(16)는 상기 덮개체(12)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 마개 본체 맞물림부(101)는, 전방 개구부(53F)의 외측 중앙을 따라서 마련한 돌기로 형성되어 있다. 또, 마개 본체 맞물림부(101)의 중앙에는 오목부(102)를 형성하고, 오목부(102)에 의해 마개 본체 맞물림부(101)의 돌기 부분이 좌우로 나뉘며, 또, 상기 오목부(102)의 상면에 마련한 하향면(103)에 의해 걸림 받이부를 구성하고 있다.
도 18 및 도 21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덮개체(12)의 반(反)힌지축측에 위치하는 덮개 전면부(72F)의 외면에는, 세로벽인 좌우의 수직벽(105, 105)이 마련되고, 이들 수직벽(105, 105)은 전방으로 돌출 마련되며, 전후 치수보다 상하 치수가 크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좌우의 수직벽(105, 105)에 축 구멍(105H, 105H)을 뚫어 마련하고, 이들 축 구멍(105H, 105H)에 락 부재용 감합축(106)을 장착하며, 이 감합축(106)의 양단을 좌우의 수직벽(105, 105)의 외측으로 돌출하여 배치한다. 또, 감합축(106)은 상기 힌지축(15)과 대략 평행하게 배치된다. 또, 덮개 전면부(72F)에는 수직벽(105, 105)의 사이에 평탄면(72H)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락 부재(16)는, 평행한 좌우의 암부(111, 111)와, 이들 암부(111, 111)의 하단을 연결하는 만곡한 연결부(112)를 일체로 가지며, 합성 수지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암부(111)의 상단측에는 유삽공(111H)이 관통 형성되며, 좌우의 유삽공(111H, 111H)에 상기 감합축(106)의 양단을 유동 가능하게 삽입하는 것에 의해, 암부(111)의 상단측이 감합축(106)에 고정되지 않고, 대략 U자 모양의 락 부재(16)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좌우의 암부(111, 111)의 내측에 돌기 모양의 락 압접부(壓接部, 113)를 마련하며, 이 락 압접부(113)에 대응하여, 상기 좌우의 수직벽(105)의 외면에 오목부 모양의 락 압접 맞물림부(107)가 마련되어 있다. 또, 락 압접부(113)는 암부(111)의 상하 방향 중앙에서, 유삽공(111H)과 연결부(112)의 사이에 위치한다.
도 22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락 압접 맞물림부(107)에 락 압접부(113)가 끼워 들어가고, 락 압접부(113)의 전방에는,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외측으로 경사진 외향 압접면(113A)이 마련되고, 이 외향 압접면(113A)에 대응하여, 상기 락 압접 맞물림부(107)에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외측으로 경사진 외향 압접 받이면(107A)이 마련되어 있다. 또, 락 부재(16)의 연결부(112)의 상부 가장자리가 상기 덮개 본체 맞물림부(101)의 하부에 걸린다.
게다가, 연결부(112)의 후면에는, 위로부터 아래를 향해 전방으로 경사진 손가락 걸이부(114)가 형성되어 있다. 또, 연결부(112)의 상면 후방에는 락 맞물림부(115)가 마련되고, 이 락 맞물림부(115)는 연결부(112)의 전후 방향 두께보다 얇고, 그 락 맞물림부(115)의 상부 가장자리부가 상기 마개 본체 맞물림부(101)에 걸려 덮개체(12)를 닫은 상태로 유지한다. 또, 락 맞물림부(115)의 전면(115A)에는, 후술하는 안전 스토퍼(121)가 걸림 이탈한다. 또, 전면(115A)은 반(反)힌지축측의 면이다.
그리고, 락 부재(16)는, 폐쇄 위치에서, 그 암부(111, 111)의 내측이 수직벽(105)의 외면을 따르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락 부재(16)의 락 맞물림부(115)가 상기 덮개 본체 맞물림부(101)의 하부에 걸린 상태에서, 손가락 걸이부(114)에 손가락을 걸고, 도 5의 경사진 화살표 Y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사진 전방 상부 방향으로 끌어 올리면, 외향 압접면(113A)이 외향 압접 받이면(107A)에 압접하고, 이것에 의해 도 22의 일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 변형에 의해 암부(111, 111)의 상부 사이가 열림과 아울러 락 부재(16)가 약간 회동하며, 상기 마개 본체 맞물림부(101)로부터 락 맞물림부(115)가 빠져, 덮개체(12)를 열 수 있다.
상기 마개 본체 맞물림부(101)로부터 락 맞물림부(115)가 빠져, 마개 본체 맞물림부(101)가 락 맞물림부(115)를 통과함과 동시에, 락 부재(16)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암부(111, 111)가 수직벽(105, 105)의 외면을 따르도록 복귀한다. 또, 암부(111, 111)의 상부 사이가 열리고 나서, 락 부재(16)가 수직벽(105, 105)의 외면을 따르도록 복귀할 때까지는, 연속한 원 액션(one action)에 의해 이루어진다.
한편, 덮개체(12)를 닫을 때는, 덮개체(12)를 폐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마개 본체 맞물림부(101)의 상부에 락 부재(16)의 손가락 걸이부(114)가 맞닿고, 손가락 걸이부(114)의 경사에 안내되어 연결부(112)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힘이 락 부재(16)에 가해지며, 암부(111, 111)의 상단 사이가 열리도록 락 부재(16)가 탄성 변형함과 아울러, 락 부재(16)가 약간 회동하여, 락 부재(16)의 락 맞물림부(115)가 마개 본체 맞물림부(101)를 통과하고, 이 통과에 의해 해당 마개 본체 맞물림부(101)에 락 부재(16)의 락 맞물림부(115)의 상부 가장자리가 걸림과 아울러, 탄성 복원력에 의해 락 부재(16)가 복위(復位)하여, 덮개체(12)가 마개 본체(11)의 외관 커버(14)에 닫힌 상태로 유지된다. 이들 동작은 연속한 원 액션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 락 부재(16)는, 연결부(112)를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회동시키면, 적어도, 락 압접부(113)가 락 압접 맞물림부(107)로부터 빠지기 전에, 감합축(106) 위치보다 상부에서 암부(111)의 후면이 덮개체(12)의 외면에 맞닿고, 락 부재(16)의 회동 범위가 규제되도록 구성하고 있으며, 덮개체(12)에서 상기 암부(111)의 후면이 맞닿는 부분이 맞닿음부(108)이다.
다음으로, 락 부재(16)의 락 맞물림부(115)의 상부 가장자리가 상기 마개 본체 맞물림부(101)의 하부에 걸린 상태에서, 락 부재(16)의 회동을 규제하고, 걸림 상태를 유지하는 안전 스토퍼(121)에 대해 상술한다.
도 19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전 스토퍼(121)는, 좌우의 암부(111, 111)의 간격에 대응한 좌우폭을 가지는 대략 직사각형의 전면판(122)을 구비하며, 이 전면판(122)은, 그 후면이 상기 좌우의 수직벽(105, 105)의 전방 가장자리를 따라서 승강한다. 그리고, 전면판(122)의 후면 하부가 상기 락 맞물림부(115)의 전면(115A)에 위치하는 것에 의해, 락 부재(16)의 전방으로의 회동을 규제하여, 락 맞물림부(115)가 마개 본체 맞물림부(101)로부터 빠질 수 없게 된다. 즉, 락 부재(16)를 회동시키려고 하면, 전면판(122)의 후면 하부에 맞물림부(115)의 전면(115A)이 닿거나, 회동할 수 없어, 그 전면판(122)의 후면 하부가 락 부재(16)의 회동을 규제하는 규제부(123)이다.
안전 스토퍼(121)가 승강하는 승강 기구(124)로서, 상기 좌우의 수직벽(105, 105)의 내측에 레일(109, 109)을 세로로 마련하고, 이들 좌우의 레일(109, 109)에 슬라이드 하는 가이드홈(125, 125)을 안전 스토퍼(121)에 마련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면판(122)의 후면의 좌우에 간격을 두고 돌출부(126, 126)를 마련하고, 이들 돌출부(126, 126)의 외측에, 상기 가이드홈(125, 125)을 세로로 마련하고 있다. 또, 상기 좌우의 돌출부(126, 126)에는 하면부(127, 127)를 마련하고, 이 하면부(127)에 하향 통부(128)를 돌출 마련하며, 이 하향 통부(128)에 가압 수단인 압축 코일 스프링(129)의 상단을 장착하고 있다. 한편,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체(12)의 앞부분에는, 상기 평탄면(72H) 및 수직벽(105)과 일체로 저벽부(110)를 마련하고, 이 저벽부(110)에 상향 통부(128A)를 돌출 마련하며, 이 상향 통부(128A)에 상기 압축 코일 스프링(129)의 하단을 장착한다.
상기 전면판(122)의 후면 중앙에는, 탄성 걸림부인 탄성 걸림편(131)이 마련되어 있다. 이 탄성 걸림편(131)은, 전후 방향의 횡편부(橫片部)(132Y)의 후부(後部)에 하향의 종편부(縱片部)(132T)를 마련하며, 이 종편부(132T)의 후단 후부에 걸림부인 래치부(133)를 마련하고, 이 래치부(133)는 상기 하향면(103)에 걸리는 경사진 규제 걸림부(133A)와, 이 걸림부(133A) 위치보다 선단측에 마련된 경사진 안내부(133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규제 걸림부(133A)는 후방을 향해 낮아지도록 경사진 면이고, 안내부(133B)는 후방을 향해 높아지도록 경사진 면이며, 수평에 대한 각도는 상기 규제 걸림부(133A)에 비해 안내부(133B)가 크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래치부(133)의 규제 걸림부(133A)가 하향 맞물림면(103)에 걸린 위치에서, 안전 스토퍼(121)의 규제부(123)가 상기 락 부재(16)의 락 맞물림부(115)의 전방에 위치하며, 이 위치가 락 부재(16)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위치이다. 한편, 이 규제 위치로부터 안전 스토퍼(121)가 상부로 이동하여, 래치부(133)와 하향 맞물림면(103)과의 걸림이 해제된 위치에서, 상기 락 부재(16)가 회동 가능해진다. 또, 락 부재(16)의 전면판(122)의 상부 외면에는, 좌우 방향으로 조작부(130)가 전방으로 팽출(膨出) 형성되어 있다.
도 18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안전 스토퍼(121)를 수직벽(105, 105) 사이에 장착한 후, 상기 감합축(106)에 장착하는 커버 부재(135)를 구비한다. 또, 적어도 안전 스토퍼(121)가 커버 부재(135)에 닿는 위치에서 락 부재(16)의 회동 규제는 해제되어 있다. 커버 부재(135)는 상기 좌우의 수직벽(105, 105) 사이에 삽입 가능한 좌우폭을 가진다. 또, 커버 부재(135)에는 상기 감합축(106)을 삽입 통과하는 삽통공(136)이 뚫어 마련되고, 커버 부재(135)의 전방 상부 각부(角部)에는 만곡면(135W)이 형성되고, 이 만곡면(135W)은 상기 수직벽(105)의 전방 상부 각부(角部)의 만곡면(105W)과 대략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 부재(135)의 후면(135B)은 평탄면으로 형성되고, 덮개체(12)의 수직벽(105, 105) 사이의 평탄면(72H)에 맞물려 회전 방지 상태로 장착된다.
상기 락 기구(100)의 제조에 있어서는, 상부로부터 안전 스토퍼(121)를 수직벽(105, 105)의 사이에 삽입함과 아울러, 안전 스토퍼(121)와 저벽부(110)와의 사이에 압축 코일 스프링(129)을 배치하고, 이 후, 상부로부터 커버 부재(135)를 수직벽(105, 105)의 사이에 삽입함과 아울러, 좌우의 수직벽(105, 105)을 사이에 두도록 락 부재(16)를 배치하며, 락 부재(16)의 유삽공(111H)과 수직벽(105)의 축 구멍(105H)과 커버 부재(135)의 삽통공(136)에 감합축(106)을 삽입 배치하는 것에 의해, 덮개체(12)에 안전 스토퍼(121)와 커버 부재(135)와 락 부재(16)가 장착된다. 즉 안전 스토퍼(121)의 빠짐 방지를 담당하는 커버 부재(135)와, 락 부재(16)의 장착을 감합축(106)만으로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안전 스토퍼(121)를 아래로 밀면, 압축 코일 스프링(129)이 압축됨과 아울러, 탄성 걸림편(131)이 탄성 변형하여 외관 커버(14)의 하향면(103)에 탄성 걸림편(131)의 규제 걸림부(133A)가 걸린다. 이것에 의해 안전 스토퍼(121)가 고정되고, 안전 스토퍼(121)의 규제부(123)가 락 맞물림부(115)의 전방에 위치하고, 락 부재(16)의 움직임이 규제되어, 락 기구(100)에 의한 락이 이루어진다.
한편, 조작부(130)를 이용하여 안전 스토퍼(121)를 밀어 올리면, 탄성 걸림편(131)이 탄성 변형하여 하향면(103)으로부터 래치부(133)가 빠지고, 압축 코일 스프링(129)의 가압에 의해 안전 스토퍼(121)가 상승하여, 커버 부재(135)에 맞닿아 정지하며, 안전 스토퍼(121)가 락 부재(16)의 움직임을 규제하지 않는 위치에 유지된다(도 5). 이 때문에 실수로 안전 스토퍼(121)가 락 부재(16)의 움직임을 규제하지 않는다.
안전 스토퍼(121)를 승강하여 래치부(133)를 하향면(103)에 걸림 이탈하는 경우, 수평에 대한 각도가 규제 걸림부(133A)에 비해 안내부(133B)가 크기 때문에, 안전 스토퍼(121)를 내릴 때는, 안내부(133B)에 의해 스무스(smooth)하게 래치부(133)가 하향면(103)에 걸리고, 또한 확실하게 걸리며, 한편, 안전 스토퍼(121)를 올릴 때에는, 내리는 경우 보다도, 저항이 커서, 소정의 클릭감이 얻어진다.
다음으로, 상기 음료용 용기의 사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용기 본체(2) 내에 음료를 넣을 때에는, 마개체(3)를 회전하여, 용기 본체(2)의 암나사부(24)로부터 마개 본체(11)의 중간 마개 본체(13)의 수나사부(23)를 푸는 것에 의해, 용기 본체(2)로부터 마개 본체(11)를 떼어 내고, 크게 열린 상부 개구 단부(2A)로부터 내부로 음료를 넣을 수 있다. 음료를 넣은 후, 용기 본체(2)의 암나사부(24)에 마개 본체(11)의 중간 마개 본체(13)의 수나사부(23)를 나사 결합하는 것에 의해, 용기 본체(2)에 마개체(3)를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외관 커버(14)만을 용기 본체(2)에 장착하는 것은 불가능하여, 중간 마개 본체(13)의 장착을 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장착 상태에서, 도 7에 나타낸 것처럼, 원통부(51)의 하부 가장자리부(51F)가 용기 본체(2)의 축소부(5S)에 맞닿아 개구 단부(2A) 하부의 외측을 원통부(51)가 덮고, 이 맞닿음 상태에서, 후방은, 상기 오목부(62)의 후벽부(62B) 후방의 상면부(62J)의 하면과, 개구 단부(2A)와의 사이에는 틈(52S)이 형성되고, 전방은, 외관 커버측 맞물림부(55) 등과 개구 단부(2A)와의 사이에 틈이 형성되며, 이와 같이 개구 단부(2A)는 외관 커버(14)에는 접촉하고 있지 않다. 또, 그 상면부(62J)의 후부 상면에 상기 후방 개구부(53B)의 저부(53T)가 마련되어 있다.
폐쇄 상태의 덮개체(12)는, 락 기구(100)에 의해 락 하는 것에 의해, 실수로 열리지 않고, 개방하는 경우는, 조작부(130)에 의해 안전 스토퍼(121)를 상부로 이동하여, 걸림 받이부인 하향면(103)과 걸림부인 래치부(133)의 걸림을 해제한다.
이 해제에 의해 락 부재(16)가 조작 가능해지며,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가락 걸이부(114)에 손가락을 걸어, 락 부재(16)의 연결부(112)를 경사진 전방 상부 방향으로 끌어 올리면, 락 부재(16)의 좌우의 암부(111, 111) 사이가 약간 열리도록 탄성 변형하고, 마개 본체 맞물림부(101)의 아래로부터 락 부재(16)의 락 맞물림부(115)가 빠져, 간단하게 덮개체(12)를 열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시소식(seesaw式)의 락 부재와 같이 미는 등의 조작이 불필요해져, 락 부재(16)를 바로 앞으로 당겨 들어 올리는 것과 같은 조작에 의해 간편하게 덮개체(12)를 열 수 있다. 게다가, 마개체(3)에는 락 부재를 미는 조작에 필요한 스페이스가 불필요해진다.
게다가, 덮개체(12)를 열면, 클릭 돌기(90)가 클릭부(92)를 타고 넘을 때에 클릭감이 얻어지며, 개방 위치 리세스(91A)에 클릭 돌기(90)가 맞물려, 덮개체(12)가 전개(全開)된다. 덮개체(12)를 열면,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둥이(25)가 크게 나타나며, 이 주둥이(25)에 입을 대고 내부의 음료를 마시거나, 주둥이(25)로부터 음료를 다른 용기에 따르거나 할 수 있다. 이 경우, 개방 위치 리세스(91A)에 클릭 돌기(90)가 맞물려 있고, 덮개체(12)가 개방 위치에 유지되기 때문에, 마시거나, 따르거나 할 때에 덮개체(12)가 닫히지 않고, 덮개체(12)가 방해되지 않는다. 이 경우, 적어도, 덮개체(12)의 자중으로는 클릭 돌기(90)가 클릭부(92)를 타고 넘지 않도록, 압축 코일 스프링(87)의 가압력을 설정하고 있다.
한편, 폐쇄 위치의 덮개체(12)를 닫는 방향으로 회동하고, 덮개체(12)를 닫는 방향으로 소정 이상의 힘을 가하면, 클릭부(92)를 클릭 돌기(90)가 타고 넘을 수 있다. 덮개체(12)를 개방한 상태에서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전 스토퍼(121)는 압축 코일 스프링(129)에 의해 상부에 위치한다. 이 위치는 락 부재(16)의 움직임을 규제하지 않는 위치이며, 도 6의 위치로부터 덮개체(12)를 하부로 회동하면, 마개 본체 맞물림부(101)에 연결부(112)의 후면이 맞닿고, 연결부(112)가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락 부재(16)가 회동하여, 연결부(112)가 마개 본체 맞물림부(101)가 통과하면, 마개 본체 맞물림부(101)의 아래에 락 맞물림부(115)가 걸린다. 이 경우도, 덮개체(12)를 열 때와 마찬가지로, 락 부재(16)는, 상기 통과시에 암부(111, 111)가 열리도록 탄성 변형하고, 통과 후, 탄성 복원력에 의해 복귀하며, 이들 동작은 연속한 원 액션에 의해 행해진다.
이와 같이 하여 마개 본체 맞물림부(101)에 락 맞물림부(115)가 걸린 후, 안전 스토퍼(121)를 내려, 하향면(103)에 래치부(133)가 걸리면, 안전 스토퍼(121)의 규제부(123)가 락 맞물림부(115)의 앞에 위치하며, 이 위치가 안전 스토퍼(121)에 의해 락 부재(16)의 동작을 규제하는 위치이고, 락 부재(16)에 접촉해도 락이 해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안전 스토퍼(121)는 덮개체(12)가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에만 락 부재(16)의 동작을 규제하는 위치에 유지되는 것이며, 개방 위치의 덮개체(12)를 닫을 때에는 안전 스토퍼(121)는 락 부재(16)의 작동을 규제하는 위치에 유지할 수 없기 때문에,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마개체(3)를 세정할 때에는, 용기 본체(2)로부터 마개체(3)를 떼어 내고, 덮개체(12)를 열면,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관 커버(14) 내의 후부에, 외관 커버측 맞물림 부재(61)의 조작부(65)가 나타난다. 이 조작부(65)는, 외관 커버(14)의 상면부(52)로부터 떨어진 내부에 있으며, 통상의 사용에서는 조작부(65)에 접촉하지 않는다. 한편, 분해할 때에는, 조작부(65)를 대략 수평 방향에서 후방으로 밀어 주면, 외관 커버측 맞물림 부재(61)의 맞물림부(67)로부터, 중간 마개 본체(13)의 마개 본체측 맞물림 받이부(41)가 빠지며, 중간 마개 본체(13)의 전방이 맞물린 상태에서, 이 맞물림 개소를 중심으로 중간 마개 본체(13)의 후방을 회동하도록 하여 외관 커버(14) 내(內)로부터 중간 마개 본체(13)를 떼어낼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떼어낸 중간 마개 본체(13)에는, 맞물림 부재(61) 등의 가동 부분이 없기 때문에, 세정하기 쉬운 것이 된다. 또, 중간 마개 본체(13)의 전방도, 함몰이 아니고, 돌기 모양의 마개 본체측 맞물림부(35)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세정하기 쉽다.
또, 분해하여 세정한 후에는, 외관 커버(14)의 하부로부터 외관 커버측 맞물림부(55) 상(上)에 마개 본체측 맞물림부(35)를 재치하도록, 외관 커버측 맞물림부(55) 내에 마개 본체측 맞물림부(35)를 걸려 들어가게 하고, 외관 커버측 맞물림부(55)를 대략 중심으로 하여, 중간 마개 본체(13)의 후방이 상부로 회전하면, 마개 본체측 맞물림 받이부(41)의 경사면(42)이 맞물림 부재(61)의 경사 안내면(67B)에 맞닿아, 맞물림 부재(61)가 후퇴하여, 경사부(42)가 경사 안내면(67B)을 통과하면, 압축 코일 스프링(69)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맞물림 부재(61)가 전진하여, 마개 본체측 맞물림 받이부(41)가 맞물림 부재(61)의 맞물림부(67)에 걸린 감합 상태가 얻어져, 외관 커버(14)에 중간 마개 본체(13)를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청구항 1에 대응하여, 상부가 개구한 음료용 용기 본체(2)와, 해당 음료용 용기 본체(2)의 상부 개구부인 개구 단부(2A)에 피착되며, 내부에 액체 통공(27)을 가지는 중간 마개 본체(13)와, 액체 통공(27)을 회동 가능하게 개폐하는 덮개체(12)와, 외관 커버(14)를 가지는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로서, 덮개체(12)는 외관 커버(14)와 힌지인 힌지축(15)에 의해 연결되며, 중간 마개 본체(13)는 외관 커버(14)에 마련된 감합 기구인 외관 커버측 맞물림 부재(61) 등에 의해 외관 커버(14)와 착탈 가능하게 감합할 수 있기 때문에, 중간 마개 본체(13)가 외관 커버(14)에 마련된 감합 기구에 의해 외관 커버(14)와 착탈 가능하게 감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중간 마개 본체(13)에 핀(pin) 등이 불필요하게 되고, 중간 마개 본체(13)의 세정성이 향상한다.
또,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청구항 2에 대응하여, 외관 커버(14)가 덮개체(12)의 측면을 덮으며, 덮개체(12)의 전면(前面)인 덮개 전면부(72F), 후면(後面)인 덮개 후면부(72B), 및 상면(上面)인 덮개 상면부(72J)가 외관 커버(14)와 대략 면일(面一, 동일한 면)이기 때문에, 덮개체(12)를 작게 할 수 있음과 아울러, 낙하 충격 등으로부터 덮개체(12)를 보호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청구항 3에 대응하여, 중간 마개 본체(13)에 마련된 외부 나사인 수나사부(23)와, 음료용 용기 본체(2)에 마련된 내부 나사인 암나사부(24)가 나사 결합하기 때문에, 중간 마개 본체(13)를 장착하지 않고 마개체(3)를 음료용 용기 본체(2)에 장착할 수 없게 되어, 오사용에 의한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청구항 4에 대응하여, 감합 기구에는, 외관 커버(14)에 마련된 맞물림 부재(61)가 있으며, 해당 맞물림 부재(61)는 힌지인 힌지축(15)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동작하고, 또한, 중간 마개 본체(13)와 외관 커버(14)의 맞물림을 유지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으며, 맞물림 부재(61)의 상부에 볼록한 모양의 조작부(65)를 마련했기 때문에, 외관 커버(14)에 마련된 맞물림 부재(61)가, 중간 마개 본체(13)와 외관 커버(14)의 맞물림을 유지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음으로써, 견고하게 중간 마개 본체(13)와 외관 커버(14)를 감합할 수 있음과 아울러, 맞물림 부재(61)의 상부에 볼록한 모양의 조작부(65)를 마련함으로써 분해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맞물림 부재(61)가 힌지축(15)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동작함으로써, 축 회동에 의한 맞물림과 비교하여 맞물림 거리를 길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확실하게 맞물려진다.
또, 실시예 상(上)의 효과로서, 중간 마개 본체(13)는, 용기 본체(2)로의 장착부(22)를 일체로 가지며, 이 통 모양의 장착부(22)에 수나사부(23)를 마련했기 때문에, 장착부(22)를 머리부(7) 내에 나사 체결하여 마개체(3)를 용기 본체(2)에 착탈할 수 있고, 장착부(22)의 하단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한 패킹(33)에 의해, 용기 본체(2)와의 지수성(止水性)을 확보할 수 있다. 게다가, 평면에서 볼 때 주둥이(25)가 이루는 원호의 각(θ)은 대략 100도 ~ 140도, 이 예에서는 대략 120도이기 때문에, 주둥이(25)에 입을 대고 마시기 쉽고, 또한 따르기 쉬워진다. 또, 외관 커버(14)는, 상기 개구 단부(2A)에 외장하는 원통부(51)를 가지기 때문에, 장착 상태에서, 개구 단부(2A)의 외측을 원통부(51)에 의해 덮을 수 있다. 게다가, 마개 본체측 맞물림부(35)가 외관 커버측 맞물림부(55) 내에 맞물려 들어간 상태에서 재치(載置)됨과 아울러, 상기 내향 차양부(54)가 상기 하향면(36)과 상기 좌우의 맞물림 돌출부(37, 37)에 의해 상하로부터 끼워지기 때문에, 반(反)힌지축측에서, 외관 커버(14)와 중간 마개 본체(13)와의 안정된 걸림 상태가 얻어진다. 또, 세로 가장자리부(59)가 상기 맞물림 각부(角部)(45)에 맞물리는 것에 의해 외관 커버(14)에 대한 중간 마개 본체(13)의 전후 위치가 위치 결정된다. 게다가, 경사 안내면(67B)이 경사부(42) 내에 맞물리는 것에 의해, 마개 본체측 맞물림 받이부(41)와 맞물림부(67)의 좌우가 위치 결정된다. 또, 슬라이드 기구로서, 오목부(62)에 마련한 전후 방향의 레일(62R)의 아래에 맞물림 부재(61)의 가이드부(64M)가 맞물리는 것에 의해, 맞물림 부재(61)를 수평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다. 게다가, 감합 상태에서, 마개 본체측 맞물림 받이부(41)는, 조작부(65)와 맞물림부(67)에 의해 상하로부터 끼워지는 것에 의해, 상하로 위치 결정된다. 또, 마개 본체측 맞물림 받이부(41) 및 마개 본체측 맞물림 받이부(41)에 걸리는 걸림면(67A)이 좌우 방향으로 폭이 넓어지고 또한 오목부(62)에 대응하는 폭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하중에 대해서 강한 안정된 맞물림 상태가 얻어진다. 게다가, 전방 개구부(53F)는 대략 U자 모양을 이룸과 아울러, 전방 개구부(53F)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후방에 내향 차양부(54)를 돌출 마련했기 때문에, 개구부를 만들어도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 머리부(7)의 내경은 용기 본체(2)의 하부 보다도 크기 때문에, 마개체(3)를 제외하면, 용기 본체(2)의 개구 단부(2A)가 크게 열리므로, 음료를 넣어 쉬워진다.
이하, 덮개체(12)의 락 기구(100)에 관련한 실시예 상(上)의 효과로서, 상부가 개구한 음료용 용기 본체(2)와, 해당 음료용 용기 본체(2)의 상부 개구부인 개구 단부(2A)에 피착되며, 내부에 액체 통공(27)을 가지는 마개 본체(11)와, 해당 마개 본체(11)와 힌지인 힌지축(15)에 의해 연결되며, 액체 통공(27)을 회동 가능하게 개폐하는 덮개체(12)를 가지는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에 있어서, 덮개체(12)의 힌지축(15)의 반대측 외면에는, 좌우의 세로벽인 수직벽(105, 105)이 마련되고, 이들 쌍을 이루는 수직벽(105, 105)에는 힌지축(15)과 대략 평행하게 배치된 락 부재용 감합축(106)을 마련하며, 수직벽(105)의 외면에는 락 부재용 감합축(106)에 의해 축 지지되는 락 부재(16)가 마련되고, 해당 락 부재(16)는 좌우의 암부(111, 111)와 이들 암부(111, 111)를 연결하는 연결부(112)를 가지며, 락 부재(16)의 암부(111)의 내측에 락 압접부(113)를 마련함과 아울러, 상기 수직벽(105) 외면에 락 압접 맞물림부(107)를 마련하고, 락 부재(16)를 반(反)힌지측으로 회동시키면 락 압접부(113)가 락 압접 맞물림부(107)에 압접함으로써 락 부재(16)가 탄성 변형하고, 해당 탄성 변형한 락 부재(16)는 초기 위치로 되돌아오는 탄성 복원력을 가지고 있으며, 덮개체(12)를 닫을 때, 락 부재(16)가 마개 본체(11)에 마련된 마개 본체 맞물림부(101)와 접촉함으로써 락 부재(16)가 회동되어, 해당 락 부재(16)가 상기 마개 본체 맞물림부(101)를 타고 넘은 후에 락 부재(16)가 탄성 복원력에 의해 복위함으로써 덮개체(12)와 마개 본체(11)의 폐쇄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락 압접부(113)가 락 압접 맞물림부(107)에 압접됨으로써 락 부재(16)가 탄성 변형하여, 락 부재(16)가 초기 위치로 되돌아오도록 가압되어 있으므로, 스프링 등의 가압 수단이 필요 없게 되어, 부품수를 줄일 수 있다. 또, 락 부재(16)의 조작이 압동(壓動, 밀어 움직임) 조작이 아니고, 인동(引動, 당겨 움직임) 조작이기 때문에 마개체(3) 내로 압동 틈이 불필요하게 되어 마개체(3)를 전후 방향으로 컴팩트화할 수 있다.
이 경우, 외향 압접면(113A)과 외향 압접 받이면(107A)이 안내 경사부이고, 이들 안내 경사부는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외측으로 경사지고, 그 각도는 전후 방향에 대해서 45도 미만, 바람직하게는 5 ~ 30도 정도이다.
또, 락 부재(16)가, 덮개체(12)의 외면에 마련된 맞닿음부(108)에 맞닿음으로써 회동 규제되기 때문에, 실수로 락 부재(16)를 강하게 당겨 움직여도 락 압접부(113)가 락 압접 맞물림부(107)를 타고 넘지 않으므로, 락 부재(16)의 탄성 변형에 의한 초기 위치로의 복원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 세로벽인 수직벽(105) 내부에는, 락 부재(16)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위치와 규제하지 않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안전 스토퍼(121)를 마련했기 때문에, 의도하지 않게 락 부재(16)에 의한 락이 해제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안전 스토퍼(121)가 락 부재(16)의 움직임을 규제하지 않는 위치의 방향인 상부로 가압되어 있고, 안전 스토퍼(121)에 마련된 걸림부인 래치부(133)가, 덮개 폐쇄 상태에 있을 때에 마개 본체에 마련된 걸림 받이부인 하향면(103)에 걸림으로써, 안전 스토퍼(121)가 락 부재(16)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위치인 하부에 유지되기 때문에, 안전 스토퍼(121)가 락 부재(16)의 움직임을 규제하지 않는 위치의 방향으로 가압되어, 안전 스토퍼(121)의 래치부(133)가 마개 본체(11)의 하향면(103)에 걸려짐으로써, 안전 스토퍼(121)가 락 부재(16)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위치에 유지되므로, 덮개체(12)가 개방 상태에 있을 때에는 안전 스토퍼(121)는 락 부재(16)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위치에 유지할 수 없으므로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세로벽인 수직벽(105, 105) 사이의 상부 개방부가, 락 부재용 감합축(106)에 의해 장착되는 커버 부재(135)에 의해서 폐색(閉塞)되기 때문에, 안전 스토퍼(121)를 상부 개방부로부터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음과 아울러, 커버 부재(135)가 있음으로써 가압된 안전 스토퍼(121)가 상부 개구부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 커버 부재(135)가 락 부재용 감합축(106)에 의해 장착됨으로써 복잡한 커버 부재(135)를 덮개체(12)에 강고하게 감합시키는 감합부가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금형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고, 락 부재와 동일 공정으로 조립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이 좋다.
또, 실시예 상(上)의 효과로서, 락 부재가 걸림 이탈하는 마개 본체 맞물림부(101)의 사이에, 안전 스토퍼(121)의 래치부(133)가 걸림 이탈하는 하향면(103)을 마련했기 때문에, 마개 본체 맞물림부(101)와 하향면(103)을 늘어 놓아 컴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다. 또, 암부(111)에 유삽공(111H)을 관통 형성하고, 이 유삽공(111H, 111H)에 감합축(106)의 양단을 유동 가능하게 삽입하는 것에 의해, 락 부재(16)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음과 아울러, 암부(111, 111)의 상단 사이를 스무스(smooth)하게 열 수 있다. 게다가, 락 압접부(113)는 암부(111)의 상하 방향 중앙에서, 유삽공(111H)과 연결부(112)의 사이에 위치하고, 바람직하게는, 락 압접부(113)가 유삽공(111H)측에 배치했기 때문에, 락 부재(16)의 회동에 따른 락 압접 맞물림부(107)와 락 압접부(113)의 맞물림에 의해, 암부(111, 111)의 상단 사이를 스무스하게 열 수 있다. 또, 경사진 손가락 걸이부(114)가, 마개 본체 맞물림부(101)에 맞물릴 때의 안내도 겸용한다. 게다가, 안전 스토퍼(121)의 상면이 수직벽(105)의 전면(前面)과 면일(面一, 동일한 면)이 되기 때문에, 부분적인 돌출이 없다. 또, 승강 기구(124)를 구성하는 좌우의 수직벽(105, 105)의 내측에 마련한 레일(109, 109)과, 안전 스토퍼(121)의 가이드 홈(125, 125)과의 맞물림에 의해, 안전 스토퍼(121)를 수직벽(105, 105) 사이로 빠짐 상태로 하여 승강 가능하게 조립할 수 있다. 게다가, 좌우 방향 중앙에 탄성 걸림편(131)을 마련하고, 이 탄성 걸림편(131)의 양측에 압축 코일 스프링(129)을 배치했기 때문에, 양측의 코일 스프링(129, 129)에 의해 안전 스토퍼(121)를 균일하게 상부로 가압할 수 있다. 또, 커버 부재(135)의 만곡면(135W)은 상기 수직벽(105)의 전방 상부 각부(角部)의 만곡면(105W)과 대략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장착시에 커버 부재(135)와 수직벽(105)과의 일체감이 얻어진다. 게다가, 래치부(133)는, 수평에 대한 각도가 규제 걸림부(133A)에 비해 안내부(133B)가 크기 때문에, 하향면(103)과의 걸림 이탈을 스무스하고 또한 소정의 클릭감을 가지고 행할 수 있다.
이하, 마개체 힌지 구조에서의 실시예 상(上)의 효과로서, 상부가 개구한 음료용 용기 본체(2)와, 해당 음료용 용기 본체(2)의 상부 개구부인 개구 단부(2A)에 피착되며, 내부에 액체 통공(27)을 가지는 마개 본체(11)와, 해당 마개 본체(11)와 힌지축(15)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액체 통공(27)을 개폐하는 덮개체(12)를 가지는 음료용 용기(1)의 마개체 힌지 구조에 있어서, 덮개체(12)의 덮개체 힌지부(81)와 마개 본체(11)의 마개 본체 힌지부(82)를 힌지축(15)에 의해 연결하고, 덮개체 힌지부(81)와 마개 본체 힌지부(82)의 일방인 덮개체 힌지부(81)에 수납부(85)를 구비하며, 해당 수납부(85)에는, 힌지축(15)과 동축에 마련되고, 해당 힌지축(15)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마련한 슬라이드 부재(86)와, 해당 슬라이드 부재(86)를 상기 축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수단인 압축 코일 스프링(87)을 마련하며, 슬라이드 부재(86)가 압축 코일 스프링(87)에 의해 마개 본체 힌지부(82)에 압접되기 때문에, 덮개체 힌지부(81), 혹은 마개 본체 힌지부(82) 중 어느 일방의 수납부(85)에 넣어진 슬라이드 부재(86)를, 탄성 부재인 압축 코일 스프링(87)을 이용하여 수납부(85)를 가지지 않는 타방의 힌지부에 압접시킴으로써 안정된 탄성을 얻을 수 있음과 아울러, 이들 구조를 유닛화하지 않고 힌지 내부에 수납함으로써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그 외의 락 기구 등에 제한을 주지 않는데다가, 외관으로부터 본 구조가 보이지 않기 때문에, 마개체(3)의 의장(意匠) 자유도를 저해하지 않는다.
또, 슬라이드 부재(86), 혹은 덮개체 힌지부(81)와 마개 본체 힌지부(82)의 타방인 마개 본체 힌지부(82) 중 어느 일방인 슬라이드 부재(86)에 클릭 돌기(90)를 마련함과 아울러, 어느 타방인 마개 본체 힌지부(82)에 클릭 돌기(90)에 대응하는 클릭 받이부인 리세스(91)를 마련했기 때문에, 슬라이드 부재(86), 혹은 수납부(85)를 가지지 않는 타방의 힌지부 중 어느 일방에 클릭 돌기(90)를 마련하고, 타방에 클릭 돌기(90)에 대응하는 클릭 받이부인 리세스(91)를 마련함으로써 덮개체(12)를 개방한 상태에서 확실하게 걸 수 있어, 음료를 마실 때에 음료용 용기(1)를 기울여도 덮개체(12)가 떨어지지 않는다.
또, 슬라이드 부재(86)의 외측면에 슬라이드 부재측 회전 방지부(88)를 마련하며, 해당 슬라이드 부재측 회전 방지부(88)에 맞물려 슬라이드 부재(86)를 회전 방지하는 수납부측 회전 방지부(89)를 수납부(85)에 마련했기 때문에, 슬라이드 부재(86)의 슬라이드 동작이 확실하게 되어, 걸림이 안정된다.
이하, 실시예 상(上)의 효과로서, 덮개체 힌지부(81)에 힌지축(15)을 장착하는 덮개측 장착 구멍(84)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덮개체 힌지부(81)의 외측은 원통부(51)와 상면부(52)에 의해 구성되며, 힌지축(15)의 장착을 위해서, 힌지축 장착 구멍을 가지는 돌출부 등을 마련할 필요가 없고, 강도적으로 뛰어남과 아울러, 외관 의장성이 뛰어난 것이 된다. 게다가, 마개 본체 힌지부(82)가 좌우로 나뉘어져 있기 때문에, 스페이스를 차지하기 어려운 면이 있음에 비해, 덮개 힌지부(81)에 수납부(85)를 마련했기 때문에, 슬라이드 부재(86)의 조립을 간편하게 행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나타내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락하여 상술한다. 이 예에서는, 덮개체 힌지부(81)와 마개 본체 힌지부(82) 중 일방이 마개 본체 힌지부(82)이며, 이 마개 본체 힌지부(82)에 수납부(85)를 마련하고, 이 수납부(85)에, 클릭 돌기(90)를 가지는 슬라이드 부재(86)를 마련하고 있으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작용·효과를 나타낸다.
[실시예 3]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을 나타내며, 상기 각 실시예와 동일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여 상술한다. 이 예에서는, 상기 실시예 1에 있어서, 슬라이드 부재(86)의 외측 단면(端面)에 클릭 받이부인 리세스(91)를 마련하고, 이 리세스(91)에 대응하여, 상기 마개 본체 힌지부(82)의 내벽부(57)의 내면에 클릭 돌기(90)를 마련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드 부재(86), 혹은 덮개체 힌지부(81)와 마개 본체 힌지부(82)의 타방인 마개 본체 힌지부(82) 중 어느 일방인 마개 본체 힌지부(82)에 클릭 돌기(90)를 마련함과 아울러, 어느 타방인 슬라이드 부재(86)에 클릭 돌기(90)에 대응하는 클릭 받이부인 리세스(91)를 마련했기 때문에, 상기 각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나타낸다.
[실시예 4]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예 4를 나타내며, 상기 각 실시예와 동일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여 상술한다. 이 예에서는, 덮개체 힌지부(81)와 마개 본체 힌지부(82)의 일방이 마개 본체 힌지부(82)이며, 이 마개 본체 힌지부(82)에 수납부(85)를 마련하고, 이 수납부(85)에, 클릭 받이부인 리세스(91)를 가지는 슬라이드 부재(86)를 마련하며, 슬라이드 부재(86), 혹은 덮개체 힌지부(81)와 마개 본체 힌지부(82)의 타방 중 어느 일방인 덮개체 힌지부(81)에 클릭 돌기(90)를 마련했기 때문에, 상기 각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나타낸다.
[실시예 5]
도 31 및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예 5를 나타내며, 상기 각 실시예와 동일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여 상술한다. 이 예에서는, 덮개 상면부(72J)로부터 하부를 향해 맞물림 해제 저해부인 벽 모양의 덮개 내측 후면부(272)를 일체로 늘어뜨려서 마련하고 있다. 또, 맞물림 부재(61)에는, 부재 본체(64)의 상면(64J)에 좌우 방향의 후향 계단부(273)를 마련하고, 이 맞닿음부인 후향 계단부(273)는 외측(힌지축측)으로부터 마개 본체(11)의 내측을 향해 높아지도록 경사면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덮개 폐쇄 상태에서, 부재 본체(64)의 표면(64J)은, 후향 계단부(273) 위치보다 마개 본체(11)의 내측이, 덮개 내측 후면부(272)의 하단(272T)보다 높게 형성됨과 아울러, 후향 계단부(273) 위치보다 마개 본체(11)의 외측이, 덮개 내측 후면부(272)의 하단(272T)보다 낮게 형성되며, 도 3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충격 등에 의해 맞물림 부재(61)가 외측으로 이동하는 힘이 가해져도, 후향 계단부(273)가 덮개 내측 후면부(272)에 맞닿는 것에 의해, 맞물림 부재(61)의 외측으로의 이동이 방지되어, 감합 상태가 해제되지 않는다.
또, 도 3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외관 커버측 맞물림 부재(61)가 상기 마개 본체측 맞물림 받이부(41)에 감합한 상태에서, 맞물림 부재(61)에 덮개 내측 후면부(272)가 접촉하지 않아, 덮개체(12)를 개폐할 수 있다. 이 경우, 개폐시에 맞물림 부재(61)에 접촉하지 않도록, 힌지축(15)의 위치보다 내측으로 덮개체(12)에 마련되어 있다. 또, 덮개체(12)가 개폐 가능하면, 맞물림 부재(61)에 덮개 내측 후면부(272)가 접촉하고 있어도 괜찮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청구항 5에 대응하여, 감합 기구인 외관 커버측 맞물림 부재(61)의 맞물림부(67)가, 힌지인 힌지축(15) 보다도 내측에 위치하며, 덮개체(12)의 힌지축(15)의 하부에 맞물림 해제 저해부(272)를 마련했기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충격으로 중간 마개 본체(13)와 외관 커버(14)의 감합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이상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실시예에서는 대략 평탄한 덮개 상면부를 예시했지만, 만곡 모양의 덮개 상면부를 채용해도 괜찮다. 또, 마개 본체에 덮개체를 폐쇄 상태로 유지하는 락 기구는, 각종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게다가, 실시예에서는, 수직벽의 외면에 오목부 모양의 락 압접 맞물림부를 마련했지만, 락 압접 맞물림부를 수직벽의 외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돌기 모양으로 해도 괜찮다. 또, 락 부재는 합성 수지제 이외에도 소정의 탄성 복원력을 얻을 수 있는 것으로는 금속 등 각종의 재질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게다가, 청구항에는 대응하지 않지만, 마개 본체의 외관 커버에 상하를 반전하여 락 부재를 장착하고, 마개 본체 맞물림부(101)를 대신하여 덮개체에 덮개체 맞물림부를 마련하고, 이 덮개체 맞물림부에 락 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걸리도록 구성해도 괜찮다. 또한, 수납부는 축방향의 어느 일측에 마련해도 되며, 수납부를 축방향의 양측에 마련해도 괜찮다. 또, 힌지축은, 축 맞물림부(83A, 84A)의 일방에 고정, 타방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면 좋다. 또한, 수납부 및 슬라이드 부재를 복수 마련하는 경우는, 예를 들면, 도 23에서, 도면 우측의 마개 본체 힌지부에 수납부 및 슬라이드 부재를 배치하는 등으로 할 수 있으며, 그들 배치는 적절히 선정 가능하며, 게다가, 그들 경우에 클릭 돌기와 클릭 받이부의 배치를 적절히 조합시켜 선정할 수 있다. 또, 실시예에서는, 클릭 돌기보다 큰 회동 위치 오목부를 예시했지만, 이 회동 위치 오목부를 클릭 돌기와 동경(同俓, 동일한 지름)의 함몰로 하여 클릭 돌기가 감합하고, 이 감합 상태로 덮개체가 움직이지 않도록 해도 괜찮다.
1 : 음료용 용기 2 : 용기 본체
2A : 개구 단부(상부 개구) 3 : 마개체
4 : 내통 11 : 마개 본체
12 : 덮개체 13 : 중간 마개 본체
14 : 외관 커버 15 : 힌지축(힌지)
16 : 락 부재 23 : 수나사부(외부 나사)
24 : 암나사부(내부 나사) 25 : 주둥이
27 : 액체 통공 35 : 마개 본체측 맞물림부
37 : 맞물림 돌출부(맞물림부)
41 : 마개 본체측 맞물림 받이부
55 : 외관 커버측 맞물림부
61 : 외관 커버측 맞물림 부재(맞물림 기구)
62 : 오목부 65 : 조작부
67 : 맞물림부
69 : 압축 코일 스프링(가압 수단)
72F : 덮개 전면부(덮개체의 전면)
72B : 덮개 후면부(덮개체의 후면)
72J : 덮개 상면부(덮개체의 상면)
81 : 덮개체 힌지부
82 : 마개 본체 힌지부 83 : 마개 본체측 장착 구멍
84 : 덮개측 장착 구멍 85 : 수납부
86 : 슬라이드 부재
87 : 압축 코일 스프링(가압 수단)
88 : 슬라이드 부재측 회전 방지부 89 : 수납부측 회전 방지부
90 : 돌기 91 : 리세스(클릭 받이부)
100 : 락 기구 101 : 마개 본체 맞물림부
103 : 하향면(걸림 받이부) 105 : 수직벽(세로벽)
106 : 락 부재용 감합축 107 : 락 압접 맞물림부
107A : 외향 압접 받이면 (안내 경사부) 108 : 맞닿음부
111 : 암부 112 : 연결부
113 : 락 압접부
113A : 외향 압접면(안내 경사부)
115 : 락 맞물림부 121 : 안전 스토퍼
123 : 규제부
129 : 압축 코일 스프링(가압 수단) 133 : 래치부(걸림부)
135 : 커버 부재
272 : 덮개 내측 후면부(맞물림 해제 저해부)
273 : 후향 계단부(맞닿음부)

Claims (5)

  1. 상부가 개구한 음료용 용기 본체와, 해당 음료용 용기 본체의 상부 개구부에 피착되며, 내부에 액체 통공(通孔)을 가지는 중간 마개 본체와, 상기 액체 통공을 회동 가능하게 개폐하는 덮개체와, 외관 커버를 가지는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로서,
    상기 덮개체는 상기 외관 커버와 힌지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중간 마개 본체는 상기 외관 커버에 마련된 감합(嵌合, 끼워 맞춤) 기구에 의해 상기 외관 커버와 착탈 가능하게 감합할 수 있으며,
    상기 감합 기구에는, 상기 외관 커버에 마련된 맞물림 부재가 있으며, 해당 맞물림 부재는 힌지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동작하고, 또한, 상기 중간 마개 본체와 상기 외관 커버의 맞물림을 유지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으며, 상기 맞물림 부재의 상부에 조작부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관 커버가 상기 덮개체의 측면을 덮으며, 상기 덮개체의 전면(前面), 후면(後面), 및 상면(上面)이 상기 외관 커버와 면일(面一, 동일한 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간 마개 본체에 마련된 외부 나사와, 상기 음료용 용기 본체에 마련된 내부 나사가 나사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감합 기구가, 상기 힌지 보다도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덮개체의 상기 힌지의 하부에 맞물림 해제 저해부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5. 삭제
KR20140081822A 2013-07-05 2014-07-01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KR1014727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41948A JP5646009B1 (ja) 2013-07-05 2013-07-05 飲料容器の栓体
JPJP-P-2013-141948 2013-07-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2714B1 true KR101472714B1 (ko) 2014-12-16

Family

ID=52139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81822A KR101472714B1 (ko) 2013-07-05 2014-07-01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646009B1 (ko)
KR (1) KR101472714B1 (ko)
CN (1) CN104276354B (ko)
HK (1) HK1205080A1 (ko)
TW (1) TWI537187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0175B1 (ko) 2017-11-29 2018-12-17 김태진 음료용기용 원터치형 캡
KR102138023B1 (ko) * 2019-03-11 2020-07-27 도창회 음료 용기의 뚜껑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1538398A (zh) * 2014-04-02 2015-10-16 Crown Mfg Corp 飲料用容器之栓體
CN205580842U (zh) * 2016-01-31 2016-09-14 杭州安旭科技有限公司 一种盖子及样本收集检测装置
JP6853765B2 (ja) * 2017-10-30 2021-03-31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保冷箱
JP2020089407A (ja) * 2018-12-03 2020-06-11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栓体
JP7189425B2 (ja) * 2018-12-03 2022-12-14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栓体
JP7417458B2 (ja) * 2019-05-23 2024-01-18 サーモス株式会社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CN110194321A (zh) * 2019-05-31 2019-09-03 安徽汉旺塑业有限公司 一种旋转卡扣式塑料盖
US11396408B2 (en) 2019-08-05 2022-07-26 Yeti Coolers, Llc Lid for container
JP2021187450A (ja) * 2020-05-26 2021-12-13 サーモス株式会社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USD957196S1 (en) 2020-10-27 2022-07-12 Yeti Coolers, Llc Bottle
JP2022180979A (ja) * 2021-05-25 2022-12-07 サーモス株式会社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USD1015804S1 (en) 2021-09-15 2024-02-27 Yeti Coolers, Llc Li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60278A (ja) 2004-12-02 2006-06-22 Zojirushi Corp 液体容器のキャップシール構造
JP2008222238A (ja) 2007-03-08 2008-09-25 Tiger Vacuum Bottle Co Ltd 片開きボトル
JP2010023854A (ja) 2008-07-16 2010-02-04 Thermos Kk 飲料容器
JP2012206741A (ja) 2011-03-29 2012-10-25 Thermos Kk 飲料用容器の栓体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12542B2 (ja) * 2011-09-07 2013-10-09 サーモス株式会社 飲料用容器の栓体
JP5263361B2 (ja) * 2011-09-30 2013-08-14 サーモス株式会社 飲料用容器の栓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60278A (ja) 2004-12-02 2006-06-22 Zojirushi Corp 液体容器のキャップシール構造
JP2008222238A (ja) 2007-03-08 2008-09-25 Tiger Vacuum Bottle Co Ltd 片開きボトル
JP2010023854A (ja) 2008-07-16 2010-02-04 Thermos Kk 飲料容器
JP2012206741A (ja) 2011-03-29 2012-10-25 Thermos Kk 飲料用容器の栓体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0175B1 (ko) 2017-11-29 2018-12-17 김태진 음료용기용 원터치형 캡
KR102138023B1 (ko) * 2019-03-11 2020-07-27 도창회 음료 용기의 뚜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276354A (zh) 2015-01-14
TWI537187B (zh) 2016-06-11
CN104276354B (zh) 2017-02-15
TW201507938A (zh) 2015-03-01
JP2015013675A (ja) 2015-01-22
JP5646009B1 (ja) 2014-12-24
HK1205080A1 (en) 2015-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2714B1 (ko)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KR101562137B1 (ko)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KR101472713B1 (ko)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힌지 구조
CN107284836B (zh) 盖单元以及饮料用容器
JP6185279B2 (ja) 飲料用容器の栓体
JP5312542B2 (ja) 飲料用容器の栓体
JP6681745B2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飲料用容器
JP5125157B2 (ja) 片開きボトル
KR20180096471A (ko) 개폐식 용기
KR102003109B1 (ko) 캡 유닛 및 음료용 용기
JP5430695B2 (ja) 飲料用容器の栓体
JP5556937B2 (ja) 飲料用容器の栓体
KR101520176B1 (ko) 음료 용기의 마개체
JP2012050877A (ja) 片開きボトル
EP4346526A1 (en) Cap unit and container with cap
JP5874716B2 (ja) 飲料用容器の栓体
JP5525078B1 (ja) 飲料用容器の栓体
JP2672258B2 (ja) 液体容器の栓
JP5170399B2 (ja) 携帯用液体容器
JP5125089B2 (ja) 片開きボトル
KR101399683B1 (ko)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JP7476011B2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CN212402050U (zh) 容器盖和容器
JP2012041094A (ja) 片開きボトル
JP2024030700A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