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3109B1 - 캡 유닛 및 음료용 용기 - Google Patents
캡 유닛 및 음료용 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03109B1 KR102003109B1 KR1020160096992A KR20160096992A KR102003109B1 KR 102003109 B1 KR102003109 B1 KR 102003109B1 KR 1020160096992 A KR1020160096992 A KR 1020160096992A KR 20160096992 A KR20160096992 A KR 20160096992A KR 102003109 B1 KR102003109 B1 KR 10200310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ll portion
- cap unit
- cap
- cover member
- seal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57—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made separately from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B65D47/0876—Hinges without elastic bias
- B65D47/088—Hinges without elastic bias located at an edge of the base element
- B65D47/0885—Hinges without elastic bias located at an edge of the base element one part of the hinge being integral with the hinged closure and the other part with the base element, without any other additional hinge ele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9/00—Closures arranged within necks or pouring openings or in discharge apertures, e.g. stoppers
- B65D39/04—Cup-shaped plugs or like hollow flanged memb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Thermally Insulated Containers For Foods (AREA)
Abstract
[과제] 캡 유닛을 성형할 때의 치수 정밀도를 향상시킴과 아울러, 커버 부재를 떼어냄 가능하게 하는 것에 의해서 커스터마이즈(customize)를 가능하게 한 캡 유닛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용기 본체(2)의 상부 개구부(2d)를 폐색함과 아울러, 상부에 립 또는 주둥이가 마련된 캡 본체(8)와, 캡 본체(8)에 힌지부(27)를 매개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됨과 아울러, 립 또는 주둥이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가압된 상태에서, 상기 립 또는 주둥이를 개폐하는 덮개체(9)를 구비하며, 덮개체(9)는, 통 모양의 주벽부(9a)와, 주벽부(9a)의 천면을 덮는 천벽부(9b)와, 천벽부(9b)를 관통한 상태에서 천벽부(9b)의 하면으로부터 세워 내려지는 통 모양의 내벽부(9c)를 가지며, 내벽부(9c)의 하단측에는, 립 또는 주둥이를 밀폐하는 씰 부재(28)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천벽부(9b)의 상면측에는, 내벽부(9c)의 상단측을 덮는 커버 부재(29)가 장착되어 있다.
[해결 수단] 용기 본체(2)의 상부 개구부(2d)를 폐색함과 아울러, 상부에 립 또는 주둥이가 마련된 캡 본체(8)와, 캡 본체(8)에 힌지부(27)를 매개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됨과 아울러, 립 또는 주둥이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가압된 상태에서, 상기 립 또는 주둥이를 개폐하는 덮개체(9)를 구비하며, 덮개체(9)는, 통 모양의 주벽부(9a)와, 주벽부(9a)의 천면을 덮는 천벽부(9b)와, 천벽부(9b)를 관통한 상태에서 천벽부(9b)의 하면으로부터 세워 내려지는 통 모양의 내벽부(9c)를 가지며, 내벽부(9c)의 하단측에는, 립 또는 주둥이를 밀폐하는 씰 부재(28)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천벽부(9b)의 상면측에는, 내벽부(9c)의 상단측을 덮는 커버 부재(29)가 장착되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캡 유닛 및 음료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상부가 개구된 용기 본체의 구경부(口頸部)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캡 유닛(마개체)이 있다. 캡 유닛의 상부에는, 립(lip) 또는 주둥이를 개폐하는 덮개체가 힌지부를 매개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그런데, 캡 유닛을 구비한 음료용 용기에서는, 캡 유닛을 세정하기 쉽게 하기 위해, 캡 유닛을 분해 가능하게 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특허 문헌 1을 참조).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에서는, 립을 형성하는 입구 형성 부재(내측 마개부)를 캡 본체(외측 마개부)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거나, 립을 밀폐하는 씰(seal) 부재를 덮개체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거나 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위에서 설명한 캡 유닛에서는, 분해 세정하기 쉽게 할 뿐만 아니라, 부품수를 삭감하여, 구조를 보다 단순화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또, 금속 부품을 없앰으로써, 세정시에 염소계 표백제 등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사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이며, 캡 유닛을 성형할 때의 치수 정밀도를 향상시킴과 아울러, 커버 부재를 떼어냄 가능하게 하는 것에 의해서 커스터마이즈(customize)를 가능하게 한 캡 유닛, 및 그러한 캡 유닛을 구비한 음료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이하의 수단을 제공한다.
[1] 상부가 개구된 용기 본체의 구경부(口頸部)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캡 유닛으로서,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 개구부를 폐색(閉塞)함과 아울러, 상부에 립(lip) 또는 주둥이가 마련된 캡 본체와,
상기 캡 본체에 힌지부를 매개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립 또는 주둥이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립 또는 주둥이를 개폐하는 덮개체를 구비하며,
상기 덮개체는, 통 모양의 주벽부(周壁部)와, 상기 주벽부의 천면(天面)을 덮는 천벽부(天壁部)와, 상기 천벽부를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천벽부의 하면으로부터 세워 내려지는 통 모양의 내벽부(內壁部)를 가지고,
상기 내벽부의 하단측에는, 상기 립 또는 주둥이를 밀폐하는 씰(seal) 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천벽부의 상면측에는, 상기 내벽부의 상단측을 덮는 커버 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천벽부의 상면측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덮개체의 내면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눌려지는 것에 의해서 상기 덮개체로부터 빠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천벽부의 상면측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덮개체의 내면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눌려지는 것에 의해서 상기 덮개체로부터 빠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2] 상기 덮개체의 게이트(gate) 자국이 형성된 위치를 상기 커버 부재가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캡 유닛.
[3] 상기 천벽부의 상면에는, 상기 커버 부재에 대응한 형상의 오목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캡 유닛.
[4]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천벽부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캡 유닛.
[5] 상기 탈착 기구는, 상기 천벽부의 상기 내벽부 보다도 외측에 위치하는 피(被)걸림부에, 상기 커버 부재에 마련된 클로부(claw部)가 걸리는 것에 의해서, 상기 커버 부재를 상기 천벽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4]에 기재된 캡 유닛.
[6] 상기 씰 부재는,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벽부의 내측에 끼워넣어진 상태에서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캡 유닛.
[7] 상기 씰 부재는, 상기 내벽부의 내측에 끼워넣어지는 상부 통 부분의 외경이, 상기 상부 통 부분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통 부분의 외경 보다도 축소된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6]에 기재된 캡 유닛.
[8] 상기 씰 부재는, 상기 상부 통 부분과 상기 하부 통 부분과의 사이에, 상기 내벽부의 선단측과 맞닿아지는 단차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7]에 기재된 캡 유닛.
[9] 상기 씰 부재는,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벽부를 내측에 끼워넣은 상태에서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캡 유닛.
[10] 상기 씰 부재는, 상기 내벽부를 내측에 끼워넣는 상부 통 부분의 내경이, 상기 상부 통 부분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통 부분의 내경 보다도 축소된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9]에 기재된 캡 유닛.
[11] 상기 내벽부는, 상기 씰 부재의 상부 통 부분에 끼워넣어지는 상부 통 부분의 외경이, 상기 상부 통 부분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통 부분의 외경 보다도 확대된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0]에 기재된 캡 유닛.
[12] 상기 씰 부재는, 상기 내벽부의 기단측과 맞닿아지는 플랜지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9]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캡 유닛.
[13] 상기 [1]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캡 유닛과, 상기 캡 유닛이 장착된 용기 본체를 구비하는 음료용 용기.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캡 유닛을 성형할 때의 치수 정밀도를 향상시킴과 아울러, 커버 부재를 떼어냄 가능하게 하는 것에 의해서 커스터마이즈를 가능하게 한 캡 유닛, 및 그러한 캡 유닛을 구비한 음료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음료용 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음료용 용기가 구비하는 캡 유닛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캡 유닛을 전후 방향으로 절단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내는 캡 유닛을 좌우 방향으로 절단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나타내는 캡 유닛이 구비하는 입구 형성 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에 나타내는 캡 유닛이 구비하는 걸림 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에 나타내는 캡 유닛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음료용 용기가 구비하는 캡 유닛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캡 유닛을 전후 방향으로 절단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내는 캡 유닛을 좌우 방향으로 절단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나타내는 캡 유닛이 구비하는 입구 형성 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에 나타내는 캡 유닛이 구비하는 걸림 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에 나타내는 캡 유닛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로서,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음료용 용기(1)에 대해 설명한다. 또, 도 1은, 음료용 용기(1)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음료용 용기(1)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2)와, 용기 본체(2)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캡 유닛(3)을 구비하고 있다. 음료용 용기(1)는, 진공 단열 구조를 가지는 용기 본체(2)에 의해서, 용기 본체(2)에 수용된 음료(내용물)를 보온 또는 보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이 용기 본체(2)는,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등으로 이루어지는 바닥을 구비한 통 모양의 외부 용기(4) 및 내부 용기(5)를 가지며, 외부 용기(4)의 내측에 내부 용기(5)를 수용한 상태에서 서로의 출입부를 접합한 이중구조의 용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 외부 용기(4)와 내부 용기(5)와의 사이에는, 진공 단열층(6)이 마련되어 있다. 진공 단열층(6)은, 예를 들면, 고(高)진공으로 감압(진공 퍼지)된 챔버 내에서, 외부 용기(4)의 저면 중앙부에 마련된 탈기공을 막는 것에 의해서 형성할 수 있다.
용기 본체(2)는, 대략 원 형상의 저면부(2a)와, 저면부(2a)의 외주(外周)로부터 대략 원통 모양으로 기립(起立)한 몸통부(2b)와, 몸통부(2b)의 상부측에서 지름이 축소된 대략 원통 모양의 구경부(口頸部)(2c)를 가지고 있다. 또, 구경부(2c)의 상단부는, 용기 본체(2)의 상부 개구부(2d)로서, 원 형상으로 개구되어 있다. 또, 구경부(2c)의 내측에는, 링 모양의 단차부(7)가 전체 둘레에 걸쳐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음료용 용기(1)는, 전체로서 대략 원통 모양의 외관 형상을 가지고 있지만, 음료용 용기(1)의 외관 형상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사이즈나 디자인 등에 맞추어, 적절히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또, 용기 본체(2)의 외주면에는, 도장(塗裝)이나 인쇄 등이 실시되어 있어도 괜찮다.
캡 유닛(3)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1~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후술하는 캡 본체(8)에 대해서 덮개체(9)가 힌지부(27)를 매개로 하여 장착되는 측을 음료용 용기(1)의 「후측(後側)」이라고 하고, 그것과는 반대측을 음료용 용기(1)의 「전측(前側)」이라고 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캡 유닛(3)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캡 유닛(3)을 전후 방향으로 절단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캡 유닛(3)을 좌우 방향으로 절단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캡 유닛(3)이 구비하는 입구 형성 부재(13)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캡 유닛(3)이 구비하는 걸림 부재(18)의 구성을 나타내며, (a)는, 걸림 부재(18)를 일방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b)는 걸림 부재(18)를 타방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캡 유닛(3)은, 용기 본체(2)의 상부 개구부(2d)를 폐색(閉塞)하는 마개체를 구성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이 캡 유닛(3)은, 도 1~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캡 본체(8)와, 캡 본체(8)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덮개체(9)와, 캡 본체(8)에 대해서 덮개체(9)를 고정하는 덮개 락(lock) 기구(10)를 구비하고 있다.
캡 본체(8)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등의 내열성 수지로 이루어진다. 캡 본체(8)는, 용기 본체(2)의 몸통부(2b)와 연속하도록 대략 원통 모양으로 형성된 주벽부(周壁部)(8a)와, 주벽부(8a)의 상부에 주벽부(8a) 보다도 지름이 축소된 개구부(8b)가 형성된 상벽부(上壁部)(8c)를 가지고 있다.
캡 본체(8)는, 용기 본체(2)의 구경부(2c)에 나사 결합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주벽부(8a)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11)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구경부(2c)의 외주면에는, 암나사부(11)와 나사 결합되는 수나사부(12)가 마련되어 있다.
캡 본체(8)의 개구부(8b)에는, 립(lip) 또는 주둥이(본 실시 형태에서는 립)을 형성하는 입구 형성 부재(13)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입구 형성 부재(13)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등의 내열성 수지로 이루어진다.
입구 형성 부재(13)는, 통액구(通液口)(14)가 형성된 저벽부(13a)와, 저벽부(13a)의 주위로부터 상부를 향해 세워지는 통 모양의 주벽부(13b)와, 저벽부(13a)의 외주면의 하단측으로부터 링 모양으로 돌출된 하측 플랜지부(13c)와, 주벽부(13b)의 외주면의 상단측으로부터 반대측까지 서로 좌우 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상측 플랜지부(13d)와, 주벽부(13b)의 전측(前側)의 상단으로부터 경사 컷(cut) 모양으로 돌출된 립부(13e)를 가지고 있다.
캡 본체(8)와 입구 형성 부재(13)와의 사이에는, 캡 본체(8)의 개구부(8b)에 입구 형성 부재(13)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입구 탈착 기구(15)가 마련되어 있다. 입구 탈착 기구(15)는, 도 5 및 도 6의 (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구 형성 부재(13)의 전측에 제1 클로부(16)와, 입구 형성 부재(13)의 후측에 제2 클로부(17)가 마련된 걸림 부재(18)를 가지고 있다.
제1 클로부(16)는, 주벽부(13b)의 외주면의 상단측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걸림 부재(18)는, 서로 평행하게 늘어서는 한 쌍의 암부(18a)와, 한 쌍의 암부(18a)의 상단(선단(先端))측을 연결하는 연결부(18b)를 가지고 있다. 또, 한 쌍의 암부(18a)의 하단(기단(基端))측에는, 한 쌍의 지지축(19)이 마련되어 있다. 한 쌍의 지지축(19)은, 한 쌍의 암부(18a)의 내측의 서로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연결부(18b)로부터는, 탄성편(20)이 한 쌍의 암부(18a)의 사이로부터 한 쌍의 암부(18a)와 평행하게 늘어선 상태에서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제2 클로부(17)는, 걸림 부재(18)의 상단(선단)측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걸림 부재(18)는, 도 1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구 형성 부재(13)의 후측의 외주면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또, 걸림 부재(18)의 하단(기단)부는, 입구 형성 부재(13)에 마련된 힌지부(21)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걸림 부재(18)의 상단(선단)부에는, 이 걸림 부재(18)를 손가락으로 회동 조작하기 쉽게 하기 위한 오목부 또는 볼록부를 가진 조작부(18c)(도 6의 (a)를 참조)가 마련되어 있다.
입구 형성 부재(13)에는, 도 3~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지지축(19)이 끼워넣어지는 축 구멍(22)과, 탄성편(20)이 맞닿아지는 피(被)맞닿음부(23)가 마련되어 있다. 축 구멍(22)은, 하측 플랜지부(13c)의 상부에 위치하는 중간 플랜지부(13f)의 상면으로부터 입구 형성 부재(13)의 후측의 외주면을 따라서 돌출된 리브벽(13g)을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여 마련되어 있다. 피맞닿음부(23)는, 축 구멍(22)보다도 상부에 위치하는 리브벽(13g)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힌지부(21)는, 축 구멍(22)의 양단으로부터 한 쌍의 지지축(19)을 축 구멍(22)의 내측에 끼워넣는 것에 의해서, 한 쌍의 암부(18a)가 리브벽(13g)을 사이에 끼운 상태에서, 걸림 부재(18)의 하단(기단)부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또, 걸림 부재(18)의 선단측을 전방(회동 방향의 일방)측을 향해 회동시켰을 때, 탄성편(20)이 피맞닿음부(23)에 맞닿는 것에 의해서, 탄성편(20)이 탄성 변형 하면서, 걸림 부재(18)를 후방(회동 방향의 타방)측을 향해 가압한다. 또, 입구 탈착 기구(15)에서는, 탄성편(20)의 길이나 두께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서, 위에서 설명한 탄성편(20)이 탄성 변형할 때의 가압력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입구 형성 부재(13)의 주벽부(13b)의 후측으로부터 돌출한 계단부(13h)의 하면에, 걸림 부재(18)의 암부(18a)의 전측으로부터 연장한 연장부(18d)(도 6의 (a)를 참조)가 면접촉하는 것에 의해서, 걸림 부재(18)가 후방으로 기우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입구 탈착 기구(15)는, 도 1,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캡 본체(8)의 전측에 제1 피걸림부(24)와, 캡 본체(8)의 후측에 제2 피걸림부(25)를 가지고 있다. 제1 피걸림부(24) 및 제2 피걸림부(25)는, 상벽부(8c)의 개구부(8b)를 따른 전후 위치에, 각각 마련된 단차부로 이루어진다.
입구 탈착 기구(15)에서는, 제1 피걸림부(24)에 대해서 제1 클로부(16)를 위치 결정한 상태에서, 캡 본체(8)의 개구부(8b)의 내측에, 입구 형성 부재(13)를 하측으로부터 끼워넣는다. 이 때, 캡 본체(8)의 상벽부(8c)의 하면에 한 쌍의 상측 플랜지부(13d)가 맞닿아진 상태가 된다. 또, 제1 클로부(16)가 제1 피걸림부(24)에 걸린다. 게다가, 제2 클로부(17)가 캡 본체(8)의 개구부(8b)의 가장자리에 맞닿으면서, 제2 클로부(17)가 개구부(8b)의 가장자리를 타고 넘음에 따라서, 걸림 부재(18)의 선단측이 전방을 향해 회동한 후에, 걸림 부재(18)의 선단측이 후방의 원래의 위치로 복귀함과 동시에, 제2 클로부(17)가 제2 피걸림부(25)에 걸린다.
이것에 의해, 입구 형성 부재(13)는, 캡 본체(8)의 개구부(8b)에 장착된 상태가 된다. 또, 입구 형성 부재(13)가 장착됨과 동시에, 캡 본체(8)의 개구부(8b)로부터 립부(13e)가 외부(상부)를 향해 돌출한 상태가 된다.
한편, 입구 탈착 기구(15)에서는, 걸림 부재(18)의 선단측을 전방을 향해 회동시키는 조작에 의해서, 제2 피걸림부(25)에 대한 제2 클로부(17)의 걸림 상태를 해제한다. 이것에 의해, 제1 피걸림부(24)에 대한 제1 클로부(16)의 걸림 상태를 해제하면서, 캡 본체(8)의 개구부(8b)의 하측으로부터 입구 형성 부재(13)를 떼어내는 것이 가능하다.
입구 형성 부재(13)가 장착된 캡 본체(8)는, 용기 본체(2)의 구경부(2c)에 장착되는 것에 의해서, 입구 형성 부재(13)가 상부 개구부(2d)의 내측에 끼워넣어진 상태에서, 용기 본체(2)의 상부 개구부(2d)를 폐색한다.
입구 형성 부재(13)의 하측 플랜지부(13c)에는, 지수(止水) 패킹(26)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지수 패킹(26)은, 단차부(7)(용기 본체(2))와 입구 형성 부재(13)(캡 본체(8))와의 사이를 밀폐하기 위한 링 모양의 씰 부재이다. 지수 패킹(26)은,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 등의 내열성을 가지는 고무나 엘라스토머 등의 탄성 부재로 이루어진다. 지수 패킹(26)은, 하측 플랜지부(13c)의 외주부에 끼워 장착되어 있다.
지수 패킹(26)은, 용기 본체(2)의 상부 개구부(2d)의 내측에 끼워넣어졌을 때에, 탄성 변형하면서 용기 본체(2)의 단차부(7)에 전체 둘레에 걸쳐 밀착한 상태가 된다. 이것에 의해, 단차부(7)와 입구 형성 부재(13)와의 사이를 밀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덮개체(9)는, 도 1~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구 형성 부재(13)가 형성하는 립 또는 주둥이를 개폐하는 것이며,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등의 내열성 수지로 이루어진다. 덮개체(9)는, 캡 본체(8)의 주벽부(8a)와 연속하도록 대략 원통모양으로 형성된 주벽부(9a)와, 주벽부(9a)의 천면(天面)을 덮는 천벽부(天壁部)(9b)와, 천벽부(9b)를 관통한 상태에서 천벽부(9b)의 하면으로부터 세워 내려지는 대략 원통 모양의 내벽부(內壁部)(9c)를 가지고 있다.
덮개체(9)는, 캡 본체(8)에 힌지부(27)를 매개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덮개체(9)는, 힌지부(27)의 내측에 마련된 가압 부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입구 형성 부재(13)의 통액구(通液口)(14)를 개방하는 방향(개방 방향)으로 가압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 가압 부재에 대해서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 등의 스프링 부재나, 고무 또는 엘라스토머 등의 탄성 부재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덮개체(9)의 내측에는, 입구 형성 부재(13)의 통액구(14)를 폐색하는 덮개 패킹(28)이 마련되어 있다. 덮개 패킹(28)은, 입구 형성 부재(13)를 밀폐하기 위한 마개 모양의 씰 부재이다. 덮개 패킹(28)은,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수 패킹(26)과 동일 재질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덮개 패킹(28)은, 내벽부(9c)의 내측에 끼워넣어진 상태에서, 내벽부(9c)의 하단측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덮개 패킹(28)은,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벽부(9c)의 내측에 끼워넣어지는 원통 모양의 상부 통 부분(28a)과, 내벽부(9c) 보다도 하부로 돌출된 저면이 구비된 원통 모양의 하부 통 부분(28b)을 가지고 있다. 또, 상부 통 부분(28a)과 하부 통 부분(28b)과의 사이에는, 상부 통 부분(28a)의 외경이 하부 통 부분(28b)의 외경 보다도 축소되는 것에 의해서, 링 모양의 단차부(28c)가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하부 통 부분(28b)의 저면은, 돔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부 통 부분(28a)의 상단부에는, 한 쌍의 걸림 클로(28d)가 좌우의 양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한편, 내벽부(9c)의 하단부에는, 한 쌍의 피걸림 클로(9d)가 좌우의 양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덮개 패킹(28)은, 내벽부(9c)의 내측에 상부 통 부분(28a)이 끼워넣어졌을 때에, 단차부(28c)가 내벽부(9c)의 하단(선단)에 맞닿아짐과 아울러, 한 쌍의 피걸림 클로(9d)에 한 쌍의 걸림 클로(28d)가 걸린다. 이것에 의해, 덮개 패킹(28)은, 내벽부(9c)의 내측으로부터 빠짐이 방지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캡 유닛(3)에서는, 용기 본체(2) 내가 부압(負壓)이 되어, 덮개 패킹(28)에 인장 방향의 힘이 발생했다고 해도, 덮개체(9)를 열었을 때에 덮개 패킹(28)이 내벽부(9c)로부터 빠져 버리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반대로, 용기 본체(2) 내가 양압(陽壓)이 되어, 덮개 패킹(28)에 누르는 방향의 힘이 발생했다고 해도, 단차부(28c)에 의해 덮개 패킹(28)이 내벽부(9c)의 내측으로 들어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캡 유닛(3)에서는, 덮개체(9)가 캡 본체(8)의 상부를 폐색했을 때에, 덮개 패킹(28)이 탄성 변형하면서, 통액구(14)의 주위에 밀착한 상태가 된다. 이것에 의해, 입구 형성 부재(13)의 통액구(14)를 폐색할 수 있다.
천벽부(9b)의 상면측에는,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벽부(9c)의 상단측을 덮은 커버 부재(29)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커버 부재(29)는, 덮개체(9)와 동일 재질의 것을 이용하여, 대략 원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천벽부(9b)의 상면에는, 커버 부재(29)에 대응한 형상의 오목부(30)가 마련되어 있다.
천벽부(9b)와 커버 부재(29)와의 사이에는, 오목부(30)에 커버 부재(29)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커버 탈착 기구(31)가 마련되어 있다. 커버 탈착 기구(31)는, 커버 부재(29)의 전측에 제3 클로부(32)와, 커버 부재(29)의 후측에 제4 클로부(33)가 마련된 스토퍼(34)를 가지고 있다.
제3 클로부(32)는, 커버 부재(29)의 전측의 하단부에 위치하여, 커버 부재(29)의 선단 보다도 전방으로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스토퍼(34)는, 커버 부재(29)의 후측의 하면으로부터 하부로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스토퍼(34)의 선단에는, 제4 클로부(33)가 전방으로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커버 탈착 기구(31)는, 오목부(30)의 전측에 제3 피걸림부(35)와, 오목부(30)의 후측에 제4 피걸림부(36)를 가지고 있다. 제3 피걸림부(35) 및 제4 피걸림부(36)는, 오목부(30)의 저면의 전후 위치에, 각각 마련된 구멍부로 이루어진다.
커버 탈착 기구(31)에서는, 제3 피걸림부(구멍부)(35)에 제3 클로부(32)를 삽입한 상태에서, 오목부(30)의 내측에 커버 부재(29)를 끼워넣는다. 이 때, 제4 피걸림부(구멍부)(36)에 스토퍼(34)가 삽입된 상태에서, 제4 클로부(33)가 천벽부(9b)에 걸린다.
이것에 의해, 커버 부재(29)는, 오목부(30)의 내측에 장착된 상태가 된다.또, 커버 부재(29)가 장착됨과 동시에, 커버 부재(29)가 내벽부(9c)의 상단측을 덮게 된다. 또, 커버 부재(29)의 장착은, 덮개체(9)가 닫힌 상태일 때에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커버 탈착 기구(31)에서는, 스토퍼(34)에 마련되어 있는 제4 클로부(33)를 상방향으로 누르는 것에 의해서, 이 제4 클로부(33)와 천벽부(9b)와의 걸림 상태를 해제한다. 이것에 의해, 제3 피걸림부(35)에 대한 제3 클로부(32)의 걸림 상태를 해제하면서, 오목부(30)로부터 커버 부재(29)를 떼어내는 것이 가능하다. 또, 커버 탈착 기구(31)에서는, 내벽부(9c)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커버 부재(29)를 떼어내는 것에 의해서, 내벽부(9c)가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는 것을 시인(視認)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커버 부재(29)는, 덮개체(9)의 내면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누르는 것에 의해 빠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캡 유닛(3)의 덮개체(9)가 닫혀져 있는 상태에서는, 커버 부재(29)를 떼어내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 스토퍼(34)는, 내벽부(9c)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커버 부재(29)를 떼어낼 때에, 덮개 패킹(28)을 떼어낼 필요도 없다.
여기서, 천벽부(9b)의 상면 중앙부, 즉 오목부(30)의 저면에는, 덮개체(9)를 성형할 때에 형성된 게이트(gate) 자국(도시하지 않음)이 위치하고 있다. 이 경우, 덮개체(9)의 게이트 자국이 형성된 위치를 커버 부재(29)가 덮음으로써, 보기 좋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덮개체(9)는, 이 덮개체(9)를 금형 내에서 성형(成型)(성형(成形))할 때의 게이트의 위치를 최적인 위치에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수율 및 성형 품질의 향상 등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커버 부재(29)에 대해서는, 덮개체(9)와 동일한 재질의 것으로 한정하지 않고, 재질이나 색 등이 다른 것을 이용해도 좋고,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이용해도 괜찮다. 이 경우, 의장적으로 뛰어난 캡 유닛(3)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커버 부재(29)의 상부에 입체적인 구조물을 배치하거나, 각인(刻印)하거나 하는 것에 의해서, 캡 유닛(3)이나, 캡 유닛(3)을 포함하는 음료용 용기(1)를 사용자의 기호에 맞추어, 커스터마이즈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캡 유닛(3)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커버 부재(29)가 덮개체(9)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된 구성으로 한정하지 않고, 커버 부재(29)의 감합량(嵌合量)을 빡빡하게 조정한 구성으로 하거나, 커버 부재(29)가 덮개체(9)에 대해서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고정된 구성으로 하거나 함으로써, 커버 부재(29)에 핸들과 같은 손잡이를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덮개 락 기구(10)는, 도 1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힌지부(27)에 마련된 가압 부재(도시하지 않음)의 가압에 저항하여, 덮개체(9)가 캡 본체(8)의 상부를 폐색하는 위치에서 덮개체(9)를 고정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이 덮개 락 기구(10)는, 캡 본체(8)에 힌지부(37)를 매개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락 부재(38)와, 캡 본체(8)에 힌지부(37)를 매개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링 스토퍼(39)를 가지고 있다.
락 부재(38)는, 캡 본체(8)(주벽부(8a))의 전측에 마련된 힌지부(37)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락 부재(38)는, 힌지부(37)로부터 상부로 연장된 제1 암부(38a)와, 힌지부(37)로부터 하부로 연장된 제2 암부(38b)를 가지고 있다.
제1 암부(38a)의 선단(락 부재(38)의 상단)에는, 후크부(40)가 후방을 향해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제2 암부(38b)와 주벽부(8a)와의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스프링 부재)(41)이 압축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링 스토퍼(39)는, 일부가 개방된 링 모양의 부재로 이루어지며, 그 양단이 힌지부(37)의 외측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링 스토퍼(39)는,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덮개 락 기구(10)는, 락 부재(38)의 후크부(40)가 걸리는 락 받이부(42)와, 링 스토퍼(39)가 걸려 고정되는 스토퍼 받이부(43)를 가지고 있다. 락 받이부(42)는, 덮개체(9)(주벽부(9a))의 전측의 하단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클로부로 이루어진다. 스토퍼 받이부(43)는, 링 스토퍼(39)의 내측에 대응한 형상이며, 락 받이부(클로부)(42)의 주위를 둘러싸는 위치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벽부로이루어진다.
덮개 락 기구(10)에서는, 덮개체(9)가 캡 본체(8)의 상부를 폐색했을 때에, 락 부재(38)의 후크부(40)가 락 받이부(42)에 걸리는 것에 의해서, 덮개체(9)가 캡 본체(8)의 상부를 폐색한 상태가 유지된다. 이 상태로부터, 코일 스프링(41)의 가압에 저항하여, 락 부재(38)의 제2 암부(38b)측을 압압(押壓) 조작하는 것에 의해서, 락 받이부(42)에 대한 후크부(40)의 걸림 상태를 해제한다. 이것에 의해, 힌지부(27) 내의 가압 부재의 가압에 의해 덮개체(9)를 개방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덮개 락 기구(10)에서는, 덮개체(9)가 캡 본체(8)의 상부를 폐색했을 때에, 링 스토퍼(39)가 스토퍼 받이부(43)에 걸려 고정되는 것에 의해서, 덮개체(9)의 개방 방향으로의 회동이 저지된다. 이것에 의해, 덮개 락 기구(10)에서는, 락 부재(38)의 불필요한 조작에 의해서 덮개체(9)가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3)을 구비한 음료용 용기(1)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덮개 패킹(28)을 덮개체(9)(내벽부(9c))로부터 떼어내고, 커버 부재(29)를 덮개체(9)(천벽부(9b))로부터 떼어냄으로써, 캡 유닛(3)을 분해 세정하기 쉽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덮개체(9)는, 덮개 패킹(28) 및 커버 부재(29)를 떼어낸 상태에서, 내벽부(9c)가 천벽부(9b)를 관통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세정시의 물빠짐이 좋고, 건조도 용이한 구조로 되어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3)에서는, 걸림 부재(18)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부(21)나 탄성편(20)이 금속 부품을 포함하지 않은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캡 본체(8)로부터 떼어낸 입구 형성 부재(13)를 세정할 때에, 염소계 표백제 등을 이용하여 세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3)에서는, 걸림 부재(18)측의 지지축(19)을 입구 형성 부재(13)측의 축 구멍(22)에 끼워넣는 것에 의해서, 힌지부(21)를 구성할 수 있고, 또한 탄성편(20)이 걸림 부재(18)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부품수를 줄여, 보다 단순한 구조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의 것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음료용 용기(1)에 대해서는, 상기 캡 유닛(3) 대신에,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캡 유닛(3A)을 구비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 도 7은, 캡 유닛(3A)을 전후 방향으로 절단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캡 유닛(3)과 동일한 부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함과 아울러, 도면에서 동일한 부호를 붙이는 것으로 한다.
캡 유닛(3A)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덮개 패킹(28) 대신에, 덮개 패킹(28A)을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이 덮개 패킹(28A)은, 저면이 구비된 원통 모양의 씰 부재이며, 그 내측의 공동부(空洞部)(28d)에 내벽부(9c)가 끼워넣어진 상태에서, 내벽부(9c)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 내벽부(9c)의 기단부에는, 상기 커버 탈착 기구(31)를 구성하는 피걸림편(9e)이 후방으로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4 피걸림부(구멍부)(36)에 스토퍼(34)가 삽입된 상태에서, 제4 클로부(33)가 피걸림편(9e)에 걸리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게다가, 덮개 락 기구(10)에서는, 상기 코일 스프링(스프링 부재)(41) 대신에, 실리콘 수지 등의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탄성 부재(부호 41로 나타내는 것으로 함)를 이용하고 있다 .
덮개 패킹(28A)은, 원통 모양의 상부 통 부분(28e)과, 이 상부 통 부분(28e)의 하부에 위치하는 저면이 구비된 원통 모양의 하부 통 부분(28f)을 가지고 있다.덮개 패킹(28A)은, 상부 통 부분(28e)의 내경이 하부 통 부분(28f)의 내경 보다도 축소된 형상(공동부(28d))을 가지고 있다. 하부 통 부분(28f)의 저면은, 돔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덮개 패킹(28A)의 상부측의 외주부에는, 플랜지부(28g)가 마련되어 있다. 플랜지부(28g)는, 외주부의 전체 둘레에 걸쳐 지름이 확대되는 방향으로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덮개 패킹(28A)의 형상에 대응하여, 내벽부(9c)는, 원통 모양의 상부 통 부분(9f)과, 이 상부 통 부분(9f)의 하부에 위치하는 원통 모양의 하부 통 부분(9g)을 가지고 있다. 내벽부(9c)는, 상부 통 부분(9f)의 외경이 하부 통 부분(9g)의 외경 보다도 확대된 형상을 가지고 있다.
덮개 패킹(28A)은, 공동부(28d)(상부 통 부분(28e))의 내측에 내벽부(9c)(상부 통 부분(9f))를 빡빡하게 끼워넣는 것에 의해서, 덮개체(9)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캡 유닛(3A)에서는, 용기 본체(2) 내가 부압이 되어, 덮개 패킹(28A)에 인장하는 방향의 힘이 발생했다고 해도, 덮개체(9)를 열었을 때에 덮개 패킹(28A)이 내벽부(9c)로부터 빠져 버리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반대로, 용기 본체(2) 내가 양압이 되어, 덮개 패킹(28A)에 누르는 방향의 힘이 발생했다고 해도, 덮개 패킹(28)의 플랜지부(28g)가 내벽부(9c)의 기단부에 맞닿아지는 것에 의해서, 덮개 패킹(28A)의 내측에 내벽부(9c)가 더 들어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 덮개 패킹(28A)은, 위에서 설명한 축대칭인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내벽부(9c)에 대해서 장착 방향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플랜지부(28g)에 대해서는,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음료용 용기(1)에 대해서는, 위에서 설명한 외관 형상을 가진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사이즈나 기능, 디자인 등에 맞추어, 적절히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한 진공 단열 구조를 가지는 용기 본체(2)에 의해서 보온·보냉 기능을 갖게 한 음료용 용기(1)에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지만, 위에서 설명한 진공 단열 구조를 가지는 용기 본체(2)를 이용한 것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캡 유닛이 용기 본체의 구경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음료용 용기에 대해서 폭 넓게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1 - 음료용 용기 2 - 용기 본체
2c - 구경부 2d - 상부 개구부
3, 3A - 캡 유닛 8 - 캡 본체
9 - 덮개체 9a - 주벽부
9b - 천벽부 9c - 내벽부
10 - 덮개 락 기구 13 - 입구 형성 부재(립 또는 주둥이)
15 - 입구 탈착 기구(탈착 기구) 16 - 제1 클로부
17 - 제2 클로부 18 - 걸림 부재
19 - 지지축 20 - 탄성편
21 - 힌지부 22 - 축 구멍
23 - 피맞닿음부 24 - 제1 피걸림부
25 - 제2 피걸림부 26 - 지수 패킹(씰 부재)
27 - 힌지부 28, 28A - 덮개 패킹(씰 부재)
29 - 커버 부재 30 - 오목부
31 - 커버 탈착 기구(탈착 기구) 32 - 제3 클로부
33 - 제4 클로부 34 - 스토퍼
35 - 제3 피걸림부 36 - 제4 피걸림부
37 - 힌지부 38 - 락 부재
39 - 링 스토퍼 40 - 후크부
41 - 코일 스프링(스프링 부재) 42 - 락 받이부
43 - 스토퍼 받이부
2c - 구경부 2d - 상부 개구부
3, 3A - 캡 유닛 8 - 캡 본체
9 - 덮개체 9a - 주벽부
9b - 천벽부 9c - 내벽부
10 - 덮개 락 기구 13 - 입구 형성 부재(립 또는 주둥이)
15 - 입구 탈착 기구(탈착 기구) 16 - 제1 클로부
17 - 제2 클로부 18 - 걸림 부재
19 - 지지축 20 - 탄성편
21 - 힌지부 22 - 축 구멍
23 - 피맞닿음부 24 - 제1 피걸림부
25 - 제2 피걸림부 26 - 지수 패킹(씰 부재)
27 - 힌지부 28, 28A - 덮개 패킹(씰 부재)
29 - 커버 부재 30 - 오목부
31 - 커버 탈착 기구(탈착 기구) 32 - 제3 클로부
33 - 제4 클로부 34 - 스토퍼
35 - 제3 피걸림부 36 - 제4 피걸림부
37 - 힌지부 38 - 락 부재
39 - 링 스토퍼 40 - 후크부
41 - 코일 스프링(스프링 부재) 42 - 락 받이부
43 - 스토퍼 받이부
Claims (13)
- 상부가 개구된 용기 본체의 구경부(口頸部)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캡 유닛으로서,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 개구부를 폐색(閉塞)함과 아울러, 상부에 립(lip) 또는 주둥이가 마련된 캡 본체와,
상기 캡 본체에 힌지부를 매개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립 또는 주둥이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립 또는 주둥이를 개폐하는 덮개체를 구비하며,
상기 덮개체는, 통 모양의 주벽부(周壁部)와, 상기 주벽부의 천면(天面)을 덮는 천벽부(天壁部)와, 상기 천벽부를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천벽부의 하면으로부터 세워 내려지는 통 모양의 내벽부(內壁部)를 가지고,
상기 내벽부의 하단측에는, 상기 립 또는 주둥이를 밀폐하는 씰(seal) 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천벽부의 상면측에는, 상기 내벽부의 상단측을 덮는 커버 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천벽부의 상면측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덮개체의 내면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눌려지는 것에 의해서 상기 덮개체로부터 빠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덮개체의 게이트(gate) 자국이 형성된 위치를 상기 커버 부재가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천벽부의 상면에는, 상기 커버 부재에 대응한 형상의 오목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천벽부에 탈착 기구를 매개로 하여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탈착 기구는, 상기 천벽부의 상기 내벽부 보다도 외측에 위치하는 피(被)걸림부에, 상기 커버 부재에 마련된 클로부(claw部)가 걸리는 것에 의해서, 상기 커버 부재를 상기 천벽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씰 부재는,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벽부의 내측에 끼워넣어진 상태에서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씰 부재는, 상기 내벽부의 내측에 끼워넣어지는 상부 통 부분의 외경이, 상기 상부 통 부분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통 부분의 외경 보다도 축소된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씰 부재는, 상기 상부 통 부분과 상기 하부 통 부분과의 사이에, 상기 내벽부의 선단측과 맞닿아지는 단차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씰 부재는,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벽부를 내측에 끼워넣은 상태에서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씰 부재는, 상기 내벽부를 내측에 끼워넣는 상부 통 부분의 내경이, 상기 상부 통 부분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통 부분의 내경 보다도 축소된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내벽부는, 상기 씰 부재의 상부 통 부분에 끼워넣어지는 상부 통 부분의 외경이, 상기 상부 통 부분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통 부분의 외경 보다도 확대된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씰 부재는, 상기 내벽부의 기단측(基端側)과 맞닿아지는 플랜지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캡 유닛과,
상기 캡 유닛이 장착된 용기 본체를 구비하는 음료용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5-154318 | 2015-08-04 | ||
JP2015154318 | 2015-08-04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16793A KR20170016793A (ko) | 2017-02-14 |
KR102003109B1 true KR102003109B1 (ko) | 2019-07-23 |
Family
ID=57987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96992A KR102003109B1 (ko) | 2015-08-04 | 2016-07-29 | 캡 유닛 및 음료용 용기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2) | JP6652876B2 (ko) |
KR (1) | KR102003109B1 (ko) |
CN (1) | CN106628569B (ko) |
TW (1) | TWI585014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882014B2 (ja) * | 2017-03-03 | 2021-06-02 | サーモス株式会社 |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
US11396408B2 (en) | 2019-08-05 | 2022-07-26 | Yeti Coolers, Llc | Lid for container |
USD957196S1 (en) | 2020-10-27 | 2022-07-12 | Yeti Coolers, Llc | Bottle |
US11912471B2 (en) | 2020-10-27 | 2024-02-27 | Yeti Coolers, Llc | Lid assembly for a container |
USD1015804S1 (en) | 2021-09-15 | 2024-02-27 | Yeti Coolers, Llc | Lid |
USD1036936S1 (en) | 2021-10-26 | 2024-07-30 | Yeti Coolers, Llc | Bottl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30136803A1 (en) * | 2002-01-18 | 2003-07-24 | Toshiaki Kuwano | Inner plug of a container for holding beverage |
JP5105319B2 (ja) * | 2010-07-06 | 2012-12-26 | サーモス株式会社 | 飲料用容器の栓体 |
JP2013056680A (ja) * | 2011-09-07 | 2013-03-28 | Thermos Kk | 飲料用容器の栓体 |
Family Cites Families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62947U (ja) * | 1993-02-22 | 1994-09-06 | 株式会社織田島器物製作所 | 魔法瓶用蓋体 |
JP2007076681A (ja) * | 2005-09-13 | 2007-03-29 | Dainippon Printing Co Ltd | キャップおよびそのキャップを備える容器 |
CN201272173Y (zh) * | 2008-09-04 | 2009-07-15 | 单博文 | 新型墨水瓶盖 |
JP5085518B2 (ja) * | 2008-11-25 | 2012-11-28 | 象印マホービン株式会社 | 蓋付き飲料容器 |
US8074849B2 (en) * | 2009-04-29 | 2011-12-13 | Conopco, Inc. | Toggle action dispensing closure with articulated rear flange |
JP5624341B2 (ja) * | 2010-03-10 | 2014-11-12 | 株式会社マルイチ藤井 | 密閉保存容器のキャップ |
JP2011251706A (ja) * | 2010-05-31 | 2011-12-15 | Tiger Vacuum Bottle Co Ltd | 飲料容器の蓋構造 |
JP5307774B2 (ja) * | 2010-07-23 | 2013-10-02 | 株式会社 小森樹脂 | 飲料容器のロック機構および該ロック機構を備える飲料容器 |
JP2012121614A (ja) * | 2010-12-10 | 2012-06-28 | Tiger Vacuum Bottle Co Ltd | 飲料用容器の栓 |
JP5236768B2 (ja) * | 2011-03-29 | 2013-07-17 | サーモス株式会社 | 飲料用容器の栓体 |
GB201201977D0 (en) * | 2012-02-03 | 2012-03-21 | Obrist Closures Switzerland | A dispensing closure |
JP5556937B2 (ja) * | 2013-07-01 | 2014-07-23 | サーモス株式会社 | 飲料用容器の栓体 |
JP6084542B2 (ja) * | 2013-09-30 | 2017-02-22 | 株式会社吉野工業所 | 中栓付きキャップ |
CN204378726U (zh) * | 2015-01-20 | 2015-06-10 | 浙江诺维雅工贸有限公司 | 一种可拆卸保温杯盖 |
-
2016
- 2016-04-13 JP JP2016080152A patent/JP6652876B2/ja active Active
- 2016-07-19 TW TW105122763A patent/TWI585014B/zh active
- 2016-07-29 KR KR1020160096992A patent/KR10200310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08-02 CN CN201610622588.3A patent/CN106628569B/zh active Active
-
2019
- 2019-11-13 JP JP2019205652A patent/JP6839748B2/ja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30136803A1 (en) * | 2002-01-18 | 2003-07-24 | Toshiaki Kuwano | Inner plug of a container for holding beverage |
JP5105319B2 (ja) * | 2010-07-06 | 2012-12-26 | サーモス株式会社 | 飲料用容器の栓体 |
JP2013056680A (ja) * | 2011-09-07 | 2013-03-28 | Thermos Kk | 飲料用容器の栓体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6628569B (zh) | 2019-11-08 |
TWI585014B (zh) | 2017-06-01 |
JP6652876B2 (ja) | 2020-02-26 |
CN106628569A (zh) | 2017-05-10 |
JP2020029307A (ja) | 2020-02-27 |
JP6839748B2 (ja) | 2021-03-10 |
JP2017030860A (ja) | 2017-02-09 |
TW201706191A (zh) | 2017-02-16 |
KR20170016793A (ko) | 2017-02-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03109B1 (ko) | 캡 유닛 및 음료용 용기 | |
JP4809910B2 (ja) | 飲料用容器 | |
CN109398926B (zh) | 盖单元以及饮料用容器 | |
KR102341050B1 (ko) | 캡 유닛 및 음료용 용기 | |
JP4203912B1 (ja) | 飲料用容器の栓体 | |
JP2008137657A (ja) | 飲料用容器の栓体 | |
JP2007320617A (ja) | 飲料容器の栓体 | |
US10077143B2 (en) | Lid for container with rotatable reclosable spout | |
KR102428939B1 (ko) | 캡 유닛 및 음료용 용기 | |
JP5430695B2 (ja) | 飲料用容器の栓体 | |
JP2014162518A (ja) | 飲料用容器の栓体並びに飲料用容器 | |
JP6554356B2 (ja) |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飲料用容器 | |
JP2010235137A (ja) | ボトルの吸気構造 | |
JP7541441B2 (ja) |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 |
JP5874716B2 (ja) | 飲料用容器の栓体 | |
EP4346526A1 (en) | Cap unit and container with cap | |
JP7549449B2 (ja) |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 |
JP7520529B2 (ja) |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 |
JP7483531B2 (ja) |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 |
JP3946605B2 (ja) | 飲み口付き水筒 | |
JP3205966U (ja) | 携帯用飲料容器 | |
JP4015100B2 (ja) | 液体容器の栓 | |
JP2021191685A (ja) |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