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4830B1 -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 Google Patents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4830B1
KR101404830B1 KR1020130047395A KR20130047395A KR101404830B1 KR 101404830 B1 KR101404830 B1 KR 101404830B1 KR 1020130047395 A KR1020130047395 A KR 1020130047395A KR 20130047395 A KR20130047395 A KR 20130047395A KR 101404830 B1 KR101404830 B1 KR 101404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stopper
hole
closed
op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7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 마쓰야마
홍리앙 두
Original Assignee
써모스코리아 주식회사
서어모스 케이.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써모스코리아 주식회사, 서어모스 케이.케이. filed Critical 써모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47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48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4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4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7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manual actuation of the closure or other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57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made separately from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B65D47/0876Hinges without elastic bias
    • B65D47/088Hinges without elastic bias located at an edge of the base element
    • B65D47/0885Hinges without elastic bias located at an edge of the base element one part of the hinge being integral with the hinged closure and the other part with the base element, without any other additional hinge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3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means for ve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과제] 걸어멈춤 부재만을 조작함으로써 통기구멍의 폐, 개, 폐를 확실히 행할 수 있어 잘못 사용되지 않고, 스트로 선단으로부터의 내용물의 비산을 완전하게 없앤다.
[해결수단] 마개체 본체(11)에는 관통구멍(29)이 형성되어 있고, 걸어멈춤 부재(8)의 가동범위에 통기구멍(31)을 가지는 시일 부재(30)가 배치되고, 뚜껑(7)이 닫힌 상태일 때에 통기구멍(31)이 닫힌 상태이며, 걸어멈춤 부재(8)를 밀어넣어, 걸어멈춤이 해제되는 과정에 있어서, 통기구멍(31)은 개방되어 더 밀어넣음으로써 닫힌 상태로 되며, 그 후, 뚜껑(7)과의 걸어멈춤이 해제되고, 더 밀어 넣어진 위치에서 마개체 본체와 걸어맞춰져 유지되며, 뚜껑(7)을 닫을 때에 걸어멈춤 부재(8)와 뚜껑(7)이 접촉함으로써 걸어멈춤 부재(8)와 뚜껑(7)이 거의 동시에 닫힌 상태가 된다. 걸어멈춤 부재(8)의 가동에 의해, 뚜껑(7)이 열린 상태로 되며, 스트로 유닛(19)의 지수가 개방되지만, 그 과정에 있어서 일시적으로 통기구멍(31)이 열린 상태로 되어, 내부의 압력을 개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CAP OF DRINK CONTAINER}
본 발명은, 음료 용기의 마개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음료용 용기에 있어서, 용기 본체 내에 비교적 높은 온도의 액체가 수용되어 있는 경우에는, 용기 본체 내의 내압이 높아지거나, 스트로(straw) 내에 고인 음료가 밖에서 들어오는 공기에 밀려나옴으로써, 뚜껑을 열 때에 내용액이 스트로 부재를 통하여 외부로 튀어 나와, 의복 등이 더러워지는 경우도 있었다.
이와 같은 위험을 해소하기 위해서, 레버를 회동시킴으로써 통기구멍을 폐(閉), 개(開), 폐(閉)로 조작함으로써, 내압 개방 및 스트로 부재내의 내용액과 공기와의 치환 현상을 없애, 스트로 선단으로부터의 내용액의 비산을 없앤 것이 알려져 있다(예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345742호
그렇지만, 상기와 같은 음료용 통부재(筒部材)(이하, 스트로 부재라고 한다)를 구비한 음료용 용기는, 그 형상에서부터 개구부가 작기 때문에, 내용액을 마시기 위해 뚜껑을 열 때, 내부의 공기층 압력을 해방시키지 않으면, 내압에 의해서 내용액 심부(深部)까지 삽입되어 있는 스트로 부재로부터 내용액이 튀어나올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음료용 용기는 일반적으로 스트로 부재의 액유로를 개방하기 전에, 공기층과 연이어 통하고 있는 통기구멍을 개방하여 내압을 낮추는 고안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음료용 용기를 여는 조작시, 액유로를 닫힌 상태로 한 채로 통기구멍을 열고, 내압을 낮춘 후에 통기구멍을 다시 닫지 않으면, 스트로 부재의 액유로 내에 공기와 내용액이 남겨져 있는 경우, 스트로 부재 내부에 내용액이 치환되어, 스트로 부재의 액유로 내에 원래 남아 있던 내용액이 음용구(飮用口)를 열 때에 스트로 부재로부터 튀어나올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스트로 개구부로부터의 내용물의 비산을 없애기 위해, 스트로 용기를 열 때는, 스트로 개구부가 닫힌 상태인 채 통기구는 폐, 개, 폐의 동작을 행하고, 그 후 스트로 개구부가 열리도록 하는 고안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 스트로 개구부가 열린 상태ㆍ통기구멍이 닫힌 상태인 채로는, 용기 본체내의 내용액을 마실 때에, 용기 본체내의 공기층이 감압됨으로써, 내용액을 빨아내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는, 걸어멈춤 해제 버튼의 작용으로 통기구멍의 폐, 개, 폐의 조작을 간편, 또 확실히 행할 수 있고, 내용액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는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청구항 1의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는, 용기 본체의 용기 개구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개폐 가능한 뚜껑을 축으로 지지한 마개체 본체와, 상기 뚜껑을 닫힌 상태로 유지 및 해제하도록 배치된 걸어멈춤 부재와, 상기 마개체 본체에 걸어맞춰지며 탄성 재료로 형성된 음용구 부재와, 상기 마개체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용기 개구에 접촉하여 상기 용기 본체를 폐색하는 폐색 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마개체 본체에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걸어멈춤 부재의 가동범위에 통기구멍이 배치되고, 상기 뚜껑이 닫힌 상태일 때에 상기 통기구멍이 닫힌 상태이며, 상기 걸어멈춤 부재를 밀어넣어, 걸어멈춤이 해제되는 과정에서, 상기 통기구멍은 개방되고, 더 밀어넣음으로써 닫힌 상태가 되며, 그 후, 상기 뚜껑과의 걸어멈춤이 해제되고, 더 밀어 넣어진 위치에서 상기 마개체 본체와 걸어 맞춰져 유지되며, 상기 뚜껑을 닫을 때에 상기 걸어멈춤 부재와 상기 뚜껑이 접촉함으로써 상기 걸어멈춤 부재와 상기 마개체 본체의 걸어맞춤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의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는, 상기 통기구멍에 통기 밸브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의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는, 상기 통기 밸브가 감압시에 탄성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의 발명에 따르면, 걸어멈춤 부재의 가동에 의해, 뚜껑이 열린 상태로 되어 음용구 부재의 지수(止水)가 개방되지만, 그 과정에 있어서 일시적으로 통기구멍이 열린 상태로 되어, 내부의 압력을 개방할 수 있고, 또, 걸어멈춤 부재가 후방에서 끼워맞쳐 고정된 후에, 뚜껑이 열림으로써, 뚜껑이 통기구멍을 닫힌 상태로 하여 음용구 부재의 지수가 개방되기 때문에, 스트로 내부에 치환된 내용물의 튀어나옴을 막을 수 있다.
또, 뚜껑을 닫는 동작에 있어서, 통상의 닫힘 위치보다 아래쪽까지 밀어넣는 조작이 된 경우에, 뚜껑의 볼록부가 걸어멈춤 부재의 뒤쪽의 걸어맞춤부에 접촉하여, 마개체 본체와의 유지가 해제가 되어, 걸어멈춤 부재가 닫힘 위치로 이동한다.
청구항 2의 발명에 따르면, 탄성부재에 의해 지수를 행하고 있지만, 음용구 부재로부터 흡인을 행했을 때는, 흡기 밸브구조가 열림으로써 밀폐가 해제되어, 연속 흡인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용기 본체 내가 대기압보다 낮아지면, 통기 밸브가 탄성 변형하여 열려서, 용기 본체의 내부를 대기압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나타내는 음료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음료 용기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상기 걸어멈춤 부재 전단(前端) 위치에서 뚜껑 락(lock)ㆍ통기구멍이 닫힌 상태의 마개체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걸어멈춤 부재 주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상기 뚜껑 락이고 통기구멍이 열린 상태의 걸어멈춤 부재 주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상기 뚜껑 락의 걸어멈춤 부재 후방 위치에서 통기구멍이 닫힌 상태의 걸어멈춤 부재 주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상기 걸어멈춤 부재 후단(後端) 위치에서 뚜껑 락 해제ㆍ통기구멍이 닫힌 상태의 마개체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상기 뚜껑을 연 상태의 마개체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상기 고정 수단의 일부 절개 부분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나타내는 음료 용기의 마개체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상기 마개체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을 나타내는 걸어멈춤 부재 전단 위치에서 뚜껑 락ㆍ통기구멍이 닫힌 상태의 마개체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상기 걸어멈춤 부재 주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4는, 상기 뚜껑 락이고 통기구멍이 열린 상태의 마개체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상기 뚜껑 락의 걸어멈춤 부재 후방 위치에서 통기구멍이 닫힌 상태의 마개체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상기 걸어멈춤 부재 후단 위치에서 뚜껑 락 해제로 통기구멍이 닫힌 상태의 마개체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상기 뚜껑을 연 상태의 마개체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통상의 뚜껑 닫힘이 완료된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마개체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통상의 뚜껑 닫힘이 완료된 상태에서 뚜껑을 아래로 눌러 내린 상태의 상기 마개체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 4를 나타내는 마개체의 단면도이다.
도 21은, 상기 흡기 밸브구조 주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22는, 상기 마개체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 5를 나타내는 걸어멈춤 부재 전단 위치에서 뚜껑 락ㆍ통기구멍이 닫힌 상태의 마개체의 단면도이다.
도 24는, 상기 걸어멈춤 부재 주위의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형태는,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 이하에 설명되는 구성 전부가, 본 발명의 필수 요건이다고는 할 수 없다.
[실시예 1]
도 1~도 9에 있어서, 1은 전체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음료 용기를 나타내고, 금속제 진공 단열형의 바닥이 있는 용기 본체(2)와, 이 용기 본체(2)의 상부의 용기 개구(3)에 피착(被着)되는 합성수지제의 마개체(4)를 구비하며, 해당 마개체(4)의 천정부(5)의 뒤측이 되는 일단측의 상부 중앙에 설치된 힌지축(6)을 통하여 컵 형상의 뚜껑(7)의 기단측이 회동 가능하게 축으로 지지됨으로써 뚜껑(7)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힌지축(6)의 대향측, 즉 앞쪽에 설치된 걸어멈춤 부재(8)에 의하여 뚜껑(7)을 닫힌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합성수지제의 걸어멈춤 부재(8)의 앞쪽 상부에는 후크 형상의 걸어멈춤부(8A)가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뚜껑(7)의 타단 측에는 걸어멈춤 부재(8)의 걸어멈춤부(8A)가 걸어멈추게 하는 걸어멈춤 받이부(10)가 설치되며, 걸어멈춤 부재(8)는 전후방향으로 대략 수평 이동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마개체(4)는, 용기 본체(2)의 용기 개구(3)를 덮는 천정부(5)를 설치한 바닥이 있는 통형상을 거꾸로 뒤집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마개체 본체(11)를 가지고, 이 마개체 본체(11)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12)에 의하여, 용기 본체(2)의 상부 외주면에 형성된 통 형상의 수나사(13)에 나사 부착 가능하게 이루어져 있다.
마개체 본체(11)의 천정부(5)의 주위 하면(5D)에는,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나 엘라스토머 수지 등의 탄성부재에 의하여 전체 영역에서 동일 두께를 가지고 평면에서 볼때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용기 본체(2)의 용기 개구(3)를 폐색하는 폐색 부재(15)가 유동 가능하게 끼워지거나 혹은 끼워맞춰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해서 폐색 부재(15)는, 적당한 경도를 갖추고, 또 외부로부터 힘이 부여되면, 탄성력에 의해 약간 변형될 수 있기 때문에, 마개체 본체(11)가 용기 본체(2)의 용기 개구(3)에 장착되면, 해당 용기 개구(3)의 정수리부(頂部)가 폐색 부재(15)의 둘레가장자리측 하면에 접촉하고, 이것에 의해 용기 개구(3)를 확실히 폐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마개체 본체(11)에는, 천정부(5)의 거의 중앙 뒷쪽 위치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부착 구멍(14)을 가지는 음용구 부재 부착부(17)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나 엘라스토머 수지 등의 탄성부재로 형성된 튜브 형상의 음용구부(19A)를 상부에 구비한 스트로 유닛(19)의 하부가 부착 구멍(14)을 관통하여 음용구 부재 부착부(17)에 장착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한편, 스트로 유닛(19)에 의해 음용구 부재를 구성하고 있다.
여기서 스트로 유닛(19)은,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나 엘라스토머 수지 등의 탄성부재에 의하여 전체가 형성되며, 적당한 경도를 갖추면서 외부로부터 힘이 부여되면, 약간 변형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음용구 부재로서의 스트로 유닛(19)은, 음용구부(19A)와, 해당 음용구부(19A)의 근원측부 주변에서 외주로 돌출하여 천정부(5)의 하면(5D)에 걸어멈춤 가능한 차양 형상의 위치 결정부(20)와, 해당 음용구부(19A)의 근원 부분과 연이어 통하고 위치 결정부(20)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된 원통 형상의 내경 폭확대부(21)로 이루어지는 음용구 부재 본체(22)를 가지고, 해당 내경 폭확대부(21)에, 하단이 용기 본체(2)의 안쪽 바닥에 거의 달하도록 원통 형상의 통부재(23)가 탈착 가능하게 끼워 넣어져 있다.
부착 구멍(14)은 천정부(5)에 원통 형상으로 세워 설치되어 있고, 이 부착 구멍(14)의 내주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의 중도에 안쪽을 향하여, 즉 부착 구멍(14)의 중심으로 향하여 작은 돌기(24)가 평면에서 볼 때 링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고, 이 작은 돌기(24)는 부착 구멍(14)에 삽입된 음용구부(19A)의 근원의 외주에 설치된 평면에서 볼 때 링 형상의 오목부(25)에 걸어멈춰져 있다. 그리고, 작은 돌기(24)와 오목부(25)와의 끼워맞춤 및 위치 결정부(20)에 의해, 스트로 유닛(19)의 마개체 본체(11)로부터의 빠짐, 누락을 저지하고, 또, 스트로 유닛(19)의 외주측면에서의 천정부(5)의 상면(5U)으로의 음료가 새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 뚜껑(7) 이면의 타측에는 뚜껑(7)을 닫을 때에 음용구부(19A)를 절곡하는 판 형상 돌기부(27)가 하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판 형상 돌기부(27)와 마개체 본체(11)의 후술하는 판 형상 돌기부(45,45)에 의해 음용구부(19A)를 절곡하여 S자 형상으로 함으로써, 뚜껑(7)의 내부 공간에 음용구부(19A)를 수납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음용구부(19A)의 연결통로(28)를 변형하여 해당 음용구부(19A)에서 음료가 새어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천정부(5)에는, 걸어멈춤 부재(8)의 조작부(9)의 가동범위에, 중앙 앞측에 평면에서 볼 때 원형으로 상하방향의 관통구멍(29)이 형성되며, 이 관통구멍(29)에 시일 부재(30)가 끼워 맞춤하여 배치되며, 이 시일 부재(30)는 실리콘 고무나 엘라스토머 수지 등의 탄성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시일 부재(30)의 본체(30H)는 거의 원기둥 형상으로서, 관통구멍(29)을 관통하고, 그 상부(30U)는 천정부(5)의 상면(5U)보다 약간 돌출하여 형성되고, 이 상부(30U)의 반경은, 관통구멍(29)의 반경, 즉 시일 부재(30)의 본체(30H)의 반경보다 지름이 크게 되어 상향으로 원뿔대 형상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뿔대 형상의 상부(30U)의 하면(30D)이 상면(5U)에 밀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시일 부재(30)의 하부(30S)는 상부(30U)보다 두꺼운 차양 형상으로 형성되며, 관통구멍(29)의 반경보다 크고, 그 하부(30S)의 상면이 천정부(5)의 하면(5D)에 밀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관통구멍(29)의 반경, 그리고, 이 시일 부재(30)의 중심선 상에 상하 방향의 통기구멍(31)이 관통하고 있고, 이 통기구멍(31)을 통하여 용기 본체(2)의 내부와 바깥 공기와는 연이어 통하게 되어 있다.
상기 걸어멈춤 부재(8)의 후부에, 용수철(9A)이 배치되어 있고, 이 용수철(9A)에 의해 외측으로 힘이 가해지며, 그 앞쪽에 상기 조작부(9)를 설치하고 있고, 조작부(9)를 용수철(9A)의 미는 힘에 저항하여 누름으로써, 걸어멈춤 부재(8)가 후퇴하여 상기 걸어멈춤부(8A)가 걸어멈춤 받이부(10)로부터 이탈한다. 또, 걸어멈춤 부재(8)에는 좌우가 개구하는 전후방향의 안내구멍(34)을 뚫어서 형성함과 함께, 이 안내구멍(34)에 삽입되는 안내 가로축(35)을, 상기 마개체 본체(11)에 설치하고 있고, 안내 가로축(35)에 안내되어 걸어멈춤 부재(8)가 전후방향으로 가동한다. 그리고, 상기 안내구멍(34)이 안내 받이부이며, 이 안내 받이부에 걸어맞춰지는 상기 안내 가로축(35)이 안내부이다. 또, 안내 가로축(35)에 의해 걸어멈춤 부재(8)의 가동범위가 규제되며, 안내구멍(34)의 뒷쪽 가장자리에 안내 가로 축(35)이 걸어멈춰지는 위치가 거의 걸어멈춤 부재(8)의 전단 위치이며, 안내구멍(34)의 앞쪽 가장자리에 안내 가로축(35)이 걸어멈취지는 위치가 거의 걸어멈춤 부재(8)의 후단 위치이다. 한편, 걸어멈춤부(8A)의 전면이 걸어멈춤 받이부(10)의 후면에 접촉한 위치를, 뚜껑 닫힘이 완료된 상태에 있어서의 걸어멈춤 부재(8)의 전단 위치로 해도 좋다.
또, 상기 걸어멈춤 부재(8)의 하측 가장자리면은 횡방향으로 형성되며, 그 하측 가장자리에는, 통기구멍(31)의 통기구(31U)에 접촉하여 뚜껑(7)을 열 때에 통기구(31U)를 폐색하는 전측 볼록부(36)와, 이 전측 볼록부(36)와 간격을 두어 설치되어 통기구멍(31)의 통기구(31U)에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뚜껑(7)을 닫을 때에 통기구(31U)를 폐색하는 후측 볼록부(37)와, 전측 볼록부(36)와 후측 볼록부(37)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통기구멍(31)의 통기구(31U)에 선택적으로 접촉하지 않고, 즉 비접촉 상태로 되어 뚜껑(7)을 열 때와 뚜껑(7)을 닫을 때와의 중간일 때에 통기구(31U)를 개방하는 중간의 오목부(38)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전측 볼록부(36)와 후측 볼록부(37)는 아래쪽으로 향하여 폭이 좁게 되도록 전후 양측으로 경사부를 가진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천정부(5)에는, 상기 걸어멈춤 부재(8)를 안내하는 안내틀(39)이 설치되어 있고, 이 안내틀(39)은 평면 コ자 형상의 상판부(40)와, 좌우의 측판부(41,41)를 구비한다. 한편, 이들 측판부(41,41) 사이에 상기 안내 가로축(35)이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마개체(4)는, 상기 걸어멈춤 부재(8)를 뒷쪽 위치에서 고정하는 고정 수단(42)을 구비한다. 안내틀(39)은 상기 안내 가로축(35)에 핀을 통과함으로써, 상기 마개체(4)와 고정되어 있고, 상기 걸어멈춤 부재(8)를 눌러도 움직이지 않는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고정 수단(42)은 상기 걸어멈춤 부재(8)의 후부 좌우에 설치된 탄성 걸어멈춤조(43,43)와, 상기 측판부(41) 좌우의 뒤쪽 가장자리(41F,41F)로 이루어지며, 이 뒷쪽 가장자리(41F)에 탄성 걸어멈춤조(43)가 단발적(段發的)으로 걸어멈춤하고, 걸어멈춤 부재(8)의 앞쪽으로의 이동을 멈춘다. 또, 측판부(41)의 내면(41N)의 후부에는 후측을 향하여 중앙 측을 향하는 경사 안내면(41K)이 형성되어 있고, 이 경사 안내면(41K)은 탄성 걸어멈춤조(43)의 경사면(43K)과 거의 동일 방향을 향하고, 걸어멈춤 부재(8)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경사 안내면(41K)에 안내되어 탄성 걸어멈춤조(43)가 서서히 탄성 변형하고, 또, 뒷쪽 가장자리(41F)로부터 탄성 걸어멈춤조(43)가 벗어나면, 경사면(43K)이 경사 안내면(41K)에 안내되어 걸어멈춤 부재(8)가 부드럽게 전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뚜껑(7)의 하면에는, 상기 탄성 걸어멈춤조(43)의 걸어멈춤을 해제하는 걸어맞춤부인 좌우의 뚜껑 볼록부(44, 44)가 아래쪽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안내틀(39)의 상판부(40)에는, 상기 판 형상 돌기부(27)를 앞뒤에서 끼우는 위치에, 판 형상 돌기부(45,45)를 상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 걸어멈춤부(8A)가 걸어멈춤 받이부(10)에 접촉하여 걸어멈춤한 통상의 뚜껑 닫힘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뚜껑 볼록부(44)는 탄성 걸어멈춤조(43)에 걸어 맞춤하지 않고, 통상의 뚜껑 닫힘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뚜껑(7)은 수평이며, 이 통상의 뚜껑 닫힘이 완료된 상태에서 뚜껑(7)의 선단측을 누르면, 뚜껑(7)의 선단측이 아래쪽으로 회동하고, 뚜껑 볼록부(44)에 탄성 걸어멈춤조(43)가 걸어 맞춤하여, 도 9의 일점쇄선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 걸어멈춤조(43)를 내측으로 눌러 뒷쪽 가장자리(41F)로부터 탄성 걸어멈춤조(43)가 벗어나, 용수철(9A)에 밀려 걸어멈춤 부재(8)가 앞쪽으로 이동한다. 또, 통상의 뚜껑 닫힘이 완료된 상태에 있어서, 마개체 본체(11)의 외주에는 뚜껑(7)의 하측 가장자리(7F)와 간격을 두고, 외주 단차부(46)가 둘레에 형성되어 있고, 이들 하측 가장자리(7F)와 외주 단차부(46)와의 간격분만큼, 통상의 뚜껑 닫힘이 완료된 상태에서 뚜껑(7)을 아래쪽의 걸어멈춤 부재 걸어멈춤 해제의 뚜껑 닫힘이 완료된 상태까지 회동할 수 있다. 한편, 통상의 뚜껑 닫힘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걸어멈춤부(8A)는 걸어멈춤 받이부(10)에 접촉하고 있고, 걸어멈춤 부재 걸어멈춤 해제의 뚜껑 닫힘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걸어멈춤 받이부(10)가 내려감으로써 걸어멈춤부(8A)로부터 걸어멈춤 받이부(10)가 떨어진다.
그리고, 도 3 및 도 4(걸어멈춤 부재 전단 위치에서 뚜껑 락ㆍ통기구멍이 닫힌 상태)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단 위치의 걸어멈춤 부재(8)의 걸어멈춤부(8A)가 걸어멈춤 받이부(10)에 걸어멈춰져 뚜껑(7)을 닫힌 상태로 잠갔을 때에는 후측 볼록부(37)가 통기구(31U)를 폐색하고, 사용자가 조작부(9)를 누르면, 도 5(뚜껑 락이고 통기구멍이 열린 상태)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어멈춤부(8A)가 걸어멈춤 받이부(10)에 걸어멈춰진 뚜껑(7)의 락 상태에서, 앞쪽 위치로부터 걸어멈춤부(8A)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중앙 오목부(38)가 통기구(31U) 위에 왔을 때에 빈틈이 생기고, 통기구(31U)가 열리며, 통기구(31U)로부터 내압이 개방되고, 여기에서 걸어멈춤 부재(8)가 후측으로 이동하면, 도 6(뚜껑 락의 걸어멈춤 부재 후방 위치에서 통기구멍이 닫힌 상태)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어멈춤부(8A)가 걸어멈춤 받이부(10)에 걸어멈춰진 뚜껑(7)의 락 상태에서, 전측 볼록부(36)가 통기구(31U)를 폐색하고, 통기구(31U)가 폐색된 후, 도 7(걸어멈춤 부재 후단 위치에서 뚜껑 락 해제ㆍ통기구멍이 닫힌 상태)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어멈춤부(8A)가 걸어멈춤 받이부(10)로부터 벗어나고, 걸어멈춤 부재(8)는 후단 위치로 되어, 뚜껑(7)을 열 수 있고, 동시에 탄성 걸어멈춤조(43)가 뒷쪽 가장자리(41F)에 걸어 맞춤하여 유지되며, 걸어멈춤 부재(8)가 위치 고정된다. 한편, 걸어멈춤 부재(8)의 전단 위치에서는 안내 가로축(35)이 안내구멍(34)의 뒷쪽 가장자리에 걸어멈춰지고, 탄성 걸어멈춤조(43)가 뒷쪽 가장자리(41F)에 걸어멈춰진 위치에서는, 안내 가로축(35)이 안내구멍(34)의 앞쪽 가장자리에 걸어멈춰지던지, 혹은, 안내 가로축(35)과 안내구멍(34)의 앞쪽 가장자리와의 사이에 빈틈이 있어도 좋고, 빈틈이 있는 경우는, 걸어멈춤 부재(8)를 후측으로 누르면, 빈틈 분만큼 걸어멈춤 부재(8)가 약간 뒷쪽으로 이동하고, 안내 가로축(35)이 안내구멍(34)의 앞쪽 가장자리에 걸어멈춰지고, 이 위치가 후단 위치로 된다. 또, 걸어멈춤 부재(8)의 전단 위치에서 안내 가로축(35)이 안내구멍(34)의 뒷쪽 가장자리와의 사이에 빈틈이 있어 좋고, 이 경우는, 걸어멈춤 받이부(10)의 후면에 걸어멈춤부(8A)의 앞면이 접촉한다. 그리고, 뚜껑(7)을 열면, 스트로 유닛(19)의 음용구부(19A)가 그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승하고, 용기 본체(2) 내의 음료를 흡인할 수 있다.
한편, 뚜껑(7)을 닫을 때에 있어서는, 뚜껑(7)의 앞쪽을 눌러 내리면, 뚜껑 볼록부(44)에 탄성 걸어멈춤조(43)가 접촉하여 걸어 맞추고, 탄성 걸어멈춤조(43)를 안쪽으로 눌러 뒷쪽 가장자리(41F)로부터 탄성 걸어멈춤조(43)가 벗어나 용수철(9A)에 밀려 걸어멈춤 부재(8)가 앞쪽으로 이동하여, 걸어멈춤부(8A)가 걸어멈춤 받이부(10)에 걸어멈춰져 뚜껑(7)이 잠기게 되고, 통기구(31U)가 후측 볼록부(37)에 의해 폐색 되어 용기 본체(2)가 밀폐된다. 이 경우, 뚜껑(7)의 앞쪽을 눌러 내림으로써 걸어멈춤 받이부(10)가 내려가 있기 때문에, 이 걸어멈춤 받이부(10)에 걸어멈춤부(8A)가 확실히 걸어멈춰진다.
다음에 상기 구성에 대하여 그 작용을 설명한다. 용기 개구(3)로부터 음료(도시하지 않음)를 용기 본체(2)에 수용한 후, 용기 개구(3)에 마개체 본체(11)를 부착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뚜껑(7)을 닫고 있을 때에 있어서는, 걸어멈춤부(8A)가 걸어멈춤 받이부(10)에 걸어멈춤 되어 있기 때문에, 뚜껑(7)을 열 수 없다. 한편, 통상의 닫힘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걸어멈춤부(8A)의 걸어멈춤면(8M)과, 이 걸어멈춤면(8M)이 접촉하는 걸어멈춤 받이부(10)의 걸어멈춤 받이면(10M)은 거의 수평이다. 또, 걸어멈춤 받이부(10)의 하면은 볼록형상 만곡면(10W)으로 되어 있고, 걸어멈춤부(8A)의 상면은 앞쪽이 낮아지는 경사면(8U)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는 통기구멍(31)의 통기구(31U)는 후측 볼록부(37)에 의해 폐색되어 있고, 또, 용기 본체(2)에 차나 우유 조제시에 뜨거운 물 등이 수용된 경우나, 용기 개구(3)에 마개체 본체(11)를 부착할 때, 폐색부재(15)가 용기 개구(3)에 접촉하고 나서 변형될 때까지의 가압에 의해, 용기 본체(2)의 내압이 대기압 이상이 되어도, 밀봉 상태로 보온할 수 있다.
다음에,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부(9)를 누르면, 걸어멈춤 부재(8)가 후측을 향하여 이동하고, 우선, 이동중, 통기구(31U)를 중앙 오목부(38)가 통과하는 사이, 중앙 오목부(38)와 통기구(31U)의 사이에 빈틈이 발생하고, 용기 본체(2)의 내부가 통기구멍(31)에 의해 뚜껑(7)의 내부와 연이어 통하여 대기 개방이 된다. 이 때문에 용기 본체(2)의 내부는 통기구멍(31)을 통하여 대기 개방이 되며, 내부는 대기압으로 되기 때문에, 스트로 선단으로부터의 음료의 튀어나옴을 막을 수 있다.
다음에,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어멈춤 부재(8)가 후방으로 더 이동하면, 통기구(31U)가 후측 볼록부(37)에 의해 폐색된다. 이 때문에 용기 본체(2)의 내부는, 대기압을 유지하여 다시 밀폐 상태로 함으로써, 만약 스트로 내부에 기포 및 음료가 채워져 있던 상태에서도, 뚜껑 개방시에 스트로 내부의 압력에 의한 공기의 치환이 일어나지 않고, 스트로 내부의 음료가 선단으로부터 튀어나올 우려가 없고, 또한 한참 음료를 마시고 있는 중 등에 부주의하여 음료 용기를 기울여도, 음료가 샐 우려가 없다.
통기구(31U)가 후측 볼록부(37)에 의해 폐색 된 후, 걸어멈춤 부재(8)가 후방으로 더 이동하면, 뒷쪽 가장자리(41F)에 탄성 걸어멈춤조(43)가 걸어멈춰지고, 걸어멈춤 부재(8)가 위치 고정되어 뚜껑(7)을 열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뚜껑(7)을 열면 판 형상 돌기부(27,45,45)로 눌려 있던 음용구부(19A)가 탄성력에 의하여 일어선다. 그리고 이 음용구부(19A)에 입을 대어 빨아 먹음으로써, 음료는 통부재(23), 연결통로(28), 음용구부(19A)를 빨아올릴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음료를 마시고 사용한 후, 세정하려면, 용기 본체(2)로부터 마개체 본체(11)를 떼어내고, 또한 마개체 본체(11)로부터 폐색 부재(15)와 시일 부재(30)를 떼어내어 세정한다. 또, 스트로 유닛(19)을 마개체 본체(1)로부터 빼내어 세정한다. 그리고, 세정 후에 있어서는, 마개체 본체(11)에 폐색 부재(15), 시일 부재(30) 및 스트로 유닛(19)을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걸어멈춤 부재(8)는 뚜껑(7)에 걸어멈춰서 이 뚜껑(7)을 닫은 상태로 고정하는 걸어멈춤부(8A)를 구비하고, 그 걸어멈춤 부재(8)를 마개체 본체(11)에 전후방향(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며, 이 이동 위치에 통기구멍(31)을 형성하고, 상기 걸어멈춤 부재(8)에는 이동 방향으로, 통기구멍(31)을 폐색하는 후측 볼록부(37)와, 통기구멍(31)을 열어 이루어지는 중앙 오목부(38)와, 통기구멍(31)을 폐색하는 전측 볼록부(36)를 나란히 형성하고, 걸어멈춤부(8A)는 걸어멈춤 받이부(10)에 걸어멈춘 상태에서, 소정 범위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걸어멈춤부(8A)가 걸어멈춤 받이부(10)에 걸어멈춰진 상태에서, 걸어멈춤 부재(8)가 후방으로 이동되는 동안에 후측 볼록부(37)가 통기구멍(31)을 폐색하고, 중앙 오목부(38)가 통기구멍(31)을 열며, 전측 볼록부(36)가 통기구멍(31)을 폐색한 후, 걸어멈춤 받이부(10)로부터 걸어멈춤부(8A)가 이탈하기 때문에, 뚜껑(7)을 열기 위해서 걸어멈춤 부재(8)를 눌러 걸어멈춤 부재(8)를 가동함으로써, 통기구멍(31)이 열리고, 용기 본체(2) 내의 압력을 뽑을 수 있으며, 스트로로부터의 액체가 내뿜어져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걸어멈춤 부재(8)가 가동하면, 통기구멍(31)이 닫히고, 이후, 걸어멈춤 부재(8)에 의한 뚜껑 걸어멈춤이 해제되어 뚜껑(7)을 열 수 있다. 한편, 뚜껑(7)을 닫으면, 걸어멈춤 부재(8)에 뚜껑(7)의 뚜껑 볼록부(44)가 접촉하여 뚜껑 걸어멈춤이 벗겨져, 뚜껑(7)이 닫힌 상태로 걸어멈춤 부재(8)가 유지되며, 이와 같이 조작부(9)를 눌러 걸어멈춤 부재(8)를 이동시킴으로써, 용기 본체(2)를 외부와 연이어 통하여 대기 개방한 후, 다시 밀폐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용기 본체(2)의 용기 개구(3)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개폐 가능한 뚜껑(7)을 축으로 지지한 마개체 본체(11)와, 뚜껑(7)을 닫힌 상태로 유지 및 해제하도록 배치된 걸어멈춤 부재(8)와, 마개체 본체(11)에 걸어맞춰지며 탄성 재료로 형성된 음용구 부재인 스트로 유닛(19)과, 마개체 본체(11)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용기 개구(3)에 접촉하여 용기 본체(2)를 폐색하는 폐색 부재(15)가 설치되며, 마개체 본체(11)에는 관통구멍(29)이 형성되어 있고, 걸어멈춤 부재(8)의 가동범위에 통기구멍(31)을 가지는 시일 부재(30)가 배치되며, 뚜껑(7)이 닫힌 상태일 때에 통기구멍(31)이 닫힌 상태이며, 걸어멈춤 부재(8)를 밀어넣어, 걸어멈춤이 해제되는 과정에 있어서, 통기구멍(31)은 개방되어 더욱 밀어넣음으로써 닫힌 상태로 되며, 그 후, 뚜껑(7)과의 걸어멈춤이 해제되어 더욱 밀어 넣어진 위치에서 마개체 본체(11)와 걸어 맞춰져 유지되고, 걸어멈춤 부재(8)의 가동에 의해, 뚜껑(7)이 열린 상태가 되어 스트로 유닛(19)의 지수가 개방되지만, 그 과정에 있어서 일시적으로 통기구멍(31)이 열린 상태로 되어, 내부의 압력을 개방할 수 있고, 또, 걸어멈춤 부재(8)가 후방에서 끼워 맞쳐져 고정된 후에, 뚜껑(7)이 열림으로써, 뚜껑(7)이 통기구멍(31)을 닫힌 상태로 하여 스트로 유닛(19)의 지수가 개방되기 때문에, 스트로 내부에 치환된 내용물의 튀어나옴을 막을 수 있다.
또, 뚜껑(7)을 닫는 동작에 있어서, 통상의 닫힘 위치보다 아래쪽까지 밀어넣는 조작이 이루어진 경우에, 뚜껑(7)의 뚜껑 볼록부(44)가 걸어멈춤 부재(8)의 후방의 탄성 걸어멈춤조(43)에 접촉하여, 마개체 본체(11)와의 유지가 해제로 되어, 걸어멈춤 부재(8)가 닫힘 위치로 이동한다.
또, 실시상의 효과로서, 걸어멈춤 부재(8)에 전후방향의 안내구멍(34)을 뚫어서 형성함과 함께, 이 안내구멍(34)에 삽입되는 안내 가로축(35)이, 상기 마개체 본체(11)에 설치되어 있고, 안내 가로축(35)에 안내되어 걸어멈춤 부재(8)가 전후방향으로 가동하기 때문에, 걸어멈춤 부재(8)의 볼록부(36, 37)에 의해 통기구(31U)를 확실히 닫을 수 있다. 통상 사용자는 상기 뚜껑(7)을 닫을 때 스트로 유닛(19)의 탄성에 거스르는 힘이 필요하고 통상의 감각으로 뚜껑(7)을 닫으면 자동적으로 닫힘 위치보다 깊게 누르게 된다. 이 때문에, 사용자는 특단의 주의가 필요 없어 편리성이 우수하다.
[실시예 2]
이하에,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한편, 상기 실시예 1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도 11에 나타내는 실시예 2에서는, 폐색 부재(15)에 시일 부재(30)가 일체로 설치되며, 시일 부재(30)의 하부(30S)를 폐색 부재(15)와 동일 두께로 형성하고, 폐색 부재(15)와 시일 부재(30)의 하부(30S)를 연결하는 띠 형상의 연결부(30R)를 구비한다.
이상과 같이, 폐색 부재(15)에 시일 부재(30)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하나의 부재로 간소화할 수 있고, 비용 삭감에도 연결되며, 또한 시일 부재(30)는 단체가 아니므로, 분실 등의 우려도 없어진다.
[실시예 3]
이하에,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한편, 상기 각 실시예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2~도 19에 나타내는 실시예 3에서는, 천정부(5)에는 걸어멈춤 부재(8)의 가동범위에 관통구멍(51)을 뚫어 형성하고, 이 관통구멍(51)의 하부에 통체(52)를 늘어뜨려서 설치하며, 이 통체(52)의 바닥부(52T)의 중앙에 내통체(53)를 윗쪽으로 향하여 돌출하여 형성하고, 내통체(53)는 통체(52)와 간격을 두고 동심원상에 설치되며, 그 내통체(53)의 내주면에 의해 통기구멍(54)을 구성하고, 이 통기구멍(54)을 개폐하는 합성수지제의 축부재(55)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 바닥부(52T)의 하면이 밸브 시트(52K)이다.
이 축부재(55)는, 상기 통기구멍(54)과 간격을 두고 상하로 설치된 축 본체(56)와, 이 축 본체(56)의 하단에서 통기구멍(54)의 아래쪽으로 설치되어 해당 통기구멍(54)보다 지름이 큰 원반 형상의 밸브부(57)를 일체로 구비하고, 이 밸브부(57)에는 시일 부재(58)가 외부에 장착되며, 이 시일 부재(58)의 상면이 상기 바닥부(52T)의 밸브 시트(52K)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통기구멍(54)이 닫히게 된다. 상기 축 본체(56)의 상부에는 단차부(56D)가 설치되어 있고, 이 단차부(56D)의 상부에 소경부(56K)을 설치하며, 이 소경부(56K)는 선단 측을 향하여 가늘어지도록 형성됨과 함께 선단은 면으로 형성되고, 그 선단면에 의해 상기 걸어멈춤 부재(8)의 하측 가장자리에 면 접촉상태로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 선단부(56S)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소경부(56K)를 링 형상의 탄성부재 고정부품(59)의 중앙에 삽입하여, 이 탄성부재 고정부품(59)을 상기 단차부(56D)의 상부에 위치하는 끼워맞춤 오목홈(56M)에 끼워맞춰서 축 본체(56)에 고정하고, 그 탄성부재 고정부품(59)은 상기 통체(52)의 내주면에 슬라이딩하여 상하로 움직이고, 이와 같이 탄성부재 고정부품(59)이 축부재(55)의 스페이서가 되어 축 본체(56)와 통기구멍(54)과의 사이에 빈틈이 형성되며, 또, 통체(52)의 내주면과 내통체(53)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탄성부재인 코일 스프링(60)을 배치하고, 이 코일 스프링(60)은 압축 용수철로서, 탄성부재 고정부품(59)을 상방으로 힘을 가한다.
또, 상기 축 본체(56)는, 실시예 1의 통기구멍(54)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걸어멈춤 부재(8)의 하측 가장자리 면에는, 실시예 1의 중앙 오목부(38)의 위치에, 중앙 볼록부(61)가 설치되며, 이 중앙 볼록부(61)의 전후에는 한단 높게 형성된 전측 오목부(62)와 후측 오목부가 설치되어 있다. 중앙 볼록부(61)는 아래쪽을 향하여 폭이 좁아지도록 양측으로 경사부(61K,61K)를 가진다. 그리고, 걸어멈춤 부재(8)가 이동할 때, 소경부(56K)에 경사부(61K)가 걸어맞춤함으로써, 축부재(55)가 부드럽게 승강한다. 한편, 슬라이딩 선단부(56S)가 중앙 볼록부(61) 전후의 전측 오목부(62)와 후측 오목부(63)의 위치에서는, 시일 부재(58)가 밸브 시트(52K)에 눌러 접함으로써, 슬라이딩 선단부(56S)와 걸어멈춤 부재(8)의 하측 가장자리와의 사이에 빈틈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밸브 시트(52K), 축부재(55), 탄성부재 고정부품(59) 및 코일 스프링(60)에 의해, 흡기 밸브구조(64)를 구성하고 있고, 용기 본체(2)의 내부와 외부의 압력이 동일한 상태에서는, 코일 스프링(60)의 미는 힘에 의해 밸브부(57)에 형성된 시일 부재(58)가 밸브 시트(52K)에 접촉하여 통기구멍(54)이 닫히고, 용기 본체(2)의 내압이 외압보다 높아졌을 경우도, 시일 부재(58)가 밸브 시트(52K)에 눌러 접하여 통기구멍(54)은 닫히고, 한편, 용기 본체(2)의 내압보다 외압이 높아지면, 그 압력차에 의해 밸브부(57)의 시일 부재(58)가 밸브 시트(52K)로부터 떨어져, 통기구멍(54)이 열리고, 용기 본체(2)의 내압과 외압이 같게 되면, 시일 부재(58)에 의해 통기구멍(54)이 닫힌다.
또, 걸어멈춤부(8A)가 걸어멈춤 받이부(10)에 접촉하여 걸어멈취지는 통상의 뚜껑 닫힘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뚜껑 볼록부(44)는 탄성 걸어멈춤조(43)에 걸어맞춰지지 않고, 통상의 뚜껑 닫힘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뚜껑(7)은 수평이며, 이 통상의 뚜껑 닫힘이 완료된 상태로부터 뚜껑(7)의 선단측을 누르면, 뚜껑(7)의 선단측이 아래쪽으로 회동하고, 뚜껑 볼록부(44)가 탄성 걸어멈춤조(43)에 걸어 맞춰져, 탄성 걸어멈춤조(43)를 안쪽으로 눌러 뒷쪽 가장자리(41F)로부터 탄성 걸어멈춤조(43)가 벗어나, 용수철(9A)에 눌려 걸어멈춤 부재(8)가 앞쪽으로 이동한다. 또,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상의 뚜껑 닫힘이 완료된 상태에 있어서, 마개체 본체(11)의 외주에는 뚜껑(7)의 하측 가장자리(7F)와 간격을 두고, 외주 단차부(46)가 둘레에 설치되어 있고, 이들 하측 가장자리(7F)와 외주 단차부(46)와의 간격분만큼, 통상의 뚜껑 닫힘이 완료된 상태로부터 뚜껑(7)을 아래쪽의 걸어멈춤 부재 걸어멈춤해제의 뚜껑 닫힘이 완료된 상태까지 회동할 수 있다. 한편, 통상의 뚜껑 닫힘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걸어멈춤부(8A)는 걸어멈춤 받이부(10)에 접촉하고 있고, 걸어멈춤 부재 걸어멈춤해제의 뚜껑 닫힘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걸어멈춤 받이부(10)가 내려짐으로써 걸어멈춤부(8A)로부터 걸어멈춤 받이부(10)가 떨어진다.
다음에 상기 구성에 대하여 그 작용을 설명한다. 용기 개구(3)로부터 음료(도시하지 않음)를 용기 본체(2)에 수용한 후, 용기 개구(3)에 마개체 본체(11)를 부착한다. 이 상태에서는 통기구멍(54)은 밸브부(57)에 의해 폐색되어 있고, 또 용기 본체(2)에 차나 우유 제조시에 뜨거운 물 등이 수용된 경우나, 용기 개구(3)에 마개체 본체(11)를 부착할 때, 폐색 부재(15)가 용기 개구(3)에 접촉하고 나서 변형될 때까지의 가압에 의해, 용기 본체(2)의 내압이 대기압 이상으로 되어도, 시일 부재(58)가 밸브 시트(52K)에 접촉함으로써, 흡기 밸브구조(64)는 밸브가 닫힌 상태로 되어 있다. 이 결과 용기 본체(2)의 내부는 밀봉 상태로 되어 보온된다.
그리고, 도 12(걸어멈춤 부재 전단 위치에서 뚜껑 락ㆍ통기구멍이 닫힌 상태)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단 위치의 걸어멈춤 부재(8)의 걸어멈춤부(8A)가 걸어멈춤 받이부(10)에 걸어멈춤하여 뚜껑(7)을 닫힌 상태로 잠그었을 때에는 후측 오목부(63)가 축부재(55)의 위치에 있고, 시일 부재(58)가 밸브 시트(52K)에 눌러 접함으로써 통기구멍(54)이 폐색되어 있고, 사용자가 조작부(9)를 누르면, 도 14(뚜껑 락이고 통기구멍이 열린 상태)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어멈춤부(8A)가 걸어멈춤 받이부(10)에 걸어멈춰진 뚜껑(7)의 락 상태에서, 앞쪽 위치로부터 걸어멈춤부(8A)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중앙 볼록부(61)가 코일 스프링(60)의 미는 힘에 저항하여 슬라이딩 선단부(56S)를 눌러 내리고, 이것에 의해 통기구(31U)로부터 시일 부재(58)가 떨어져 통기구멍(54)이 열리고, 공기(A)가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흘러, 통기구멍(54)으로부터 내압이 개방되어, 여기에서 걸어멈춤 부재(8)가 후측으로 이동하면, 도 15(뚜껑 락의 걸어멈춤 부재 후방 위치에서 통기구멍이 닫힌 상태)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어멈춤부(8A)가 걸어멈춤 받이부(10)에 걸어멈춤 한 뚜껑(7)의 락 상태에서, 슬라이딩 선단부(56S)상에 전측 오목부(62)가 위치하고, 시일 부재(58)가 밸브 시트(52K)에 눌러 접함으로써 통기구멍(54)이 폐색된 후, 도 16(걸어멈춤 부재 후단 위치에서 뚜껑 락 해제로 통기구멍이 닫힌 상태)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어멈춤부(8A)가 걸어멈춤 받이부(10)로부터 벗어나, 걸어멈춤 부재(8)는 후단 위치로 되며, 뚜껑(7)을 열 수 있고, 동시에 탄성 걸어멈춤조(43)가 뒷쪽 가장자리(41F)에 걸어 맞춤하여 유지되어 걸어멈춤 부재(8)가 위치 고정된다. 한편, 걸어멈춤 부재(8)의 전단 위치에서는 안내 가로축(35)이 안내구멍(34)의 뒷쪽 가장자리에 걸어멈춤하고, 탄성 걸어멈춤조(43)가 뒷쪽 가장자리(41F)에 걸어멈춰진 위치에서는, 안내 가로축(35)이 안내구멍(34)의 앞쪽 가장자리에 걸어멈춰 있던가, 혹은, 안내 가로축(35)과 안내구멍(34)의 앞쪽 가장자리와의 사이에 빈틈이 있어도 좋고, 빈틈이 있는 경우는, 걸어멈춤 부재(8)를 후측으로 누르면, 빈틈 분만큼 걸어멈춤 부재(8)가 약간 후방으로 이동하고, 안내 가로축(35)이 안내구멍(34)의 앞쪽 가장자리에 걸어멈춤하고, 이 위치가 후단 위치가 된다. 또, 걸어멈춤 부재(8)의 전단 위치에서 안내 가로축(35)이 안내구멍(34)의 뒷쪽 가장자리와의 사이에 빈틈이 있어 좋고, 이 경우는, 걸어멈춤 받이부(10)의 후면에 걸어멈춤부(8A)의 앞면이 접촉한다. 그리고, 뚜껑(7)을 열면, 스트로 유닛(19)의 음용구부(19A)가 그 탄성 복원력에 의해 세워지고, 용기 본체(2) 내의 음료를 흡인할 수 있다.
용기 본체(2) 내의 음료를 흡인하여 용기 본체(2) 내부의 음료가 감소하면, 용기 본체(2)의 내부가 부압이 되어 버려, 입의 빨아올리는 힘을 강하게 해야 하지만, 이와 같이 용기 본체(2)의 내부가 부압이 되면, 밸브부(57)가 부압측이 되어 있는 용기 본체(2)의 내부측(도면 중, 하측)으로 끌어 당겨져 밸브 시트(52K)로부터 떨어진다. 이와 같이 하여 통기구멍(54)이 열리면, 통기구멍(54)으로부터 바깥 공기가 용기 본체(2)의 내부에 도입된다. 이 결과, 용기 본체(2)의 내부는 대기압으로 되어 통상의 입의 빨아올리는 힘으로 음료를 계속 마실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마개체 본체(11)에는 관통구멍(51)이 형성되어 있고, 걸어멈춤 부재(8)의 가동범위에 통기구멍(54)이 배치되며, 뚜껑(7)이 닫힌 상태일 때에 통기구멍(54)이 닫힌 상태이며, 걸어멈춤 부재(8)를 밀어넣어, 걸어멈춤이 해제되는 과정에 있어서, 통기구멍(54)은 개방되고, 더욱 밀어넣음으로써 닫힌 상태로 되며, 그 후, 뚜껑(7)과의 걸어멈춤이 해제되며, 더욱 밀어 넣어진 위치에서 마개체 본체(11)와 걸어맞춰져 유지되어 뚜껑(7)을 닫을 때에 걸어멈춤 부재(8)와 뚜껑(7)이 접촉함으로써 걸어멈춤 부재(8)와 뚜껑(7)을 거의 동시에 닫힌 상태로 되기 때문에, 걸어멈춤 부재(8)의 가동에 의해, 뚜껑(7)이 열린 상태가 되어 스트로 유닛(19)의 지수가 개방되지만, 그 과정에 있어서 일시적으로 통기구멍(54)이 열린 상태로 되어, 내부 압력을 개방할 수 있고, 또, 걸어멈춤 부재(8)가 후방에서 끼워맞쳐 고정된 후에, 뚜껑(7)이 열림으로써, 뚜껑(7)이 통기구멍(54)을 닫힌 상태로 하여 스트로 유닛(19)의 지수가 개방되기 때문에, 스트로 내부에 치환된 내용물의 튀어나옴을 막을 수 있다.
또, 뚜껑(7)을 닫는 동작에 있어서, 통상의 닫힘 위치보다 아래쪽까지 밀어넣는 조작이 된 경우에, 뚜껑(7)의 뚜껑 볼록부(44)가 걸어멈춤 부재(8)의 후방의 탄성 걸어멈춤조(43)에 접촉하고, 마개체 본체(11)와의 유지가 해제로 되어, 걸어멈춤 부재(8)가 닫힘 위치로 이동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관통구멍(51)에 연이어 통하여 통기구멍(54)을 형성하고, 통기구멍(54)의 하부의 주위에 밸브 시트(52K)를 형성하며, 상기 통기구멍(54) 내에 축부재(55)를 상하로 움직임이 가능하게 설치하고, 이 축부재(55)의 하부에 상기 밸브 시트(52K)에 접촉하여 상기 통기구멍(54)의 하부를 개폐 가능한 밸브부(57)를 형성함과 함께, 상기 축부재(55)를 윗쪽의 관통구멍(51) 측으로 힘을 가하는 부세수단인 코일 스프링(60)을 설치했기 때문에, 뚜껑(7)을 열기 전에 걸어멈춤 부재(8)에 의해 통기구멍(54)을 여는 것으로, 뜨거운 물이나 따뜻한 차 등을 수용한 용기 본체(2)의 내부를 배기하여 일단 대기압 상태로 하여 다시 밀봉하고, 그리고 뚜껑(7)을 연 후에 있어서 음료를 빨아낸 상태에서 용기 본체(2)의 내부가 부압이 되어도, 흡기 밸브구조(64)에 의해서 용기 본체(2)의 내부를 대기압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걸어멈춤 부재(8)에 의해 하강하여 통기구멍(54)을 여는 축부재(55)를 이용하여, 용기 본체(2)의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에 의해 개폐하는 흡기 밸브구조(64)를 구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마개체 본체(11)에 흡기 밸브구조(64)를 설치했기 때문에,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폐색 부재(15)에 의해 지수를 행하고 있지만, 스트로 유닛(19)으로부터 흡인을 행했을 때는, 축부재(55)가 하강됨으로써 밀폐가 해제되어 연속 흡인이 가능해진다.
또, 실시예 상의 효과로서, 걸어멈춤 부재(8)의 전후 이동에 의해 통기구멍(54)을 개폐하는 축부재(55) 등을 이용하여 흡기밸브구조(64)를 구성했기 때문에, 부품의 공통화를 도모할 수 있다.
[실시예 4]
이하에,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한편, 상기 각 실시예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0~도 22에 나타내는 실시예 4에서는, 마개체 본체(11)의 관통구멍(29)에 흡기 밸브구조(65)를 설치하고 있다. 흡기 밸브구조(65)는, 용기 본체(2)의 내압이 대기압 혹은 대기압 이상일 때는 밸브 닫힘 상태가 되며, 용기 본체(2)의 내압이 부압으로 되었을 때에, 자동적으로 밸브가 열려 용기 본체(2)의 내측으로 흡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그 흡기 밸브구조(65)는 흡기구멍(66)의 하단에 형성되는 밸브 시트(67)와, 이 밸브 시트(67)를 개폐 가능한 역지 밸브(68)를 구비한다.
흡기구멍(66)은 상기 관통구멍(29)의 주위에서 전후 방향 일측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며, 실시예에서는 관통구멍(29)의 후측에 이 관통구멍(29)과 연이어 통하여 관통구멍(29)의 반경보다 가는 폭으로, 평면에서 볼 때 가는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흡기구멍(66)에는 선단부(66S)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흡기구멍(66)의 하단 주위의 일측 하면에 있어서의 선단부(66S)를 포함하는 흡기구멍(66)의 근방에 의해 밸브 시트(67)가 형성된다.
상기 시일 부재(30)에는, 상기 하부(30S)를 설치하지 않고, 역지 밸브(68)가 일체적으로 설치되며, 이 역지 밸브(68)는 차양 형상을 이루고, 외주 측에는 외측을 향하여 점차 얇게 되는 외주 선단부(69)를 가지며, 그 역지 밸브(68)의 상면 외단은 상기 흡기구멍(66)의 선단부(66S)보다 외측에 있고, 역지 밸브(68)의 상면이 상기 밸브 시트(67)에 접촉하고, 이것에 의해 상기 관통구멍(29) 및 흡기구멍(66)이 폐색되어 있다. 그리고, 용기 본체(2)의 내부와 외부의 압력이 동일한 상태에서는, 탄성에 의해 역지 밸브(68)가 밸브 시트(67)에 접촉하여 흡기구멍(66)은 닫히고, 용기 본체(2)의 내압이 외압보다 높아지면, 역지 밸브(68)가 밸브 시트(67)에 눌러 접하여 흡기구멍(66)은 닫혀 있고, 한편, 용기 본체(2)의 내압보다 외압이 높아지면, 그 압력차에 의해 역지 밸브(68)가 밸브 시트(67)로부터 떨어져, 흡기구멍(66)이 열리고, 용기 본체(2)의 내압과 외압이 같게 되면, 역지 밸브(68)가 닫힌다.
다음에 상기 구성에 대하여 그 작용을 설명한다. 용기 개구(3)로부터 음료(도시하지 않음)를 용기 본체(2)에 수용한 후, 용기 개구(3)에 마개체 본체(11)를 부착한다. 이 상태에서는 통기구멍(31)의 통기구(31U)는 후측 볼록부(37)에 의해 폐색되어 있고, 또, 용기 본체(2)에 차나 우유 제조시에 뜨거운 물 등이 수용된 경우나, 용기 개구(3)에 마개체 본체(11)를 부착할 때, 폐색 부재(15)가 용기 개구(3)에 접촉하고 나서 변형될 때까지의 가압에 의해, 용기 본체(2)의 내압이 대기압 이상이 되어도, 역지 밸브(68)가 밸브 시트(67)에 접촉함으로써, 흡기 밸브구조(65)는 닫힌 밸브 상태로 되어 있다. 이 결과 용기 본체(2)의 내부는 밀봉 상태로 되어 보온된다.
그리고, 전단 위치의 걸어멈춤 부재(8)의 걸어멈춤부(8A)가 걸어멈춤 받이부(10)에 걸어멈춰져 뚜껑(7)을 닫힌 상태로 잠그었을 때에는 흡기구멍(66U)은 후측 볼록부(37)에 의해 폐색되어 있고, 사용자가 조작부(9)를 누르면, 걸어멈춤부(8A)가 걸어멈춤 받이부(10)에 걸어멈춰진 뚜껑(7)의 락 상태에서, 앞쪽 위치로부터 걸어멈춤부(8A)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중앙 오목부(38)에 의해 통기구(31U)로부터 내압이 개방되며, 여기에서 걸어멈춤 부재(8)가 후측으로 이동하면, 걸어멈춤부(8A)가 걸어멈춤 받이부(10)에 걸어멈춰진 뚜껑(7)의 락 상태에서 통기구(31U)상에 전측 볼록부(36)가 위치하고, 통기구(31U)가 폐색된 후, 걸어멈춤부(8A)가 걸어멈춤 받이부(10)로부터 벗어나, 걸어멈춤 부재(8)는 후단 위치가 되어, 뚜껑(7)을 열 수 있고, 동시에 탄성 걸어멈춤조(43)가 뒷쪽 가장자리(41F)에 걸어 맞춤하여 유지되며, 걸어멈춤 부재(8)가 위치 고정된다. 한편, 걸어멈춤 부재(8)의 전단 위치에서는 안내 가로축(35)이 안내구멍(34)의 뒷쪽 가장자리에 걸어멈춰지고, 탄성 걸어멈춤조(43)가 뒷쪽 가장자리(41F)에 걸어멈춰진 위치에서는, 안내 가로축(35)이 안내구멍(34)의 앞쪽 가장자리에 걸어멈춰지던지, 혹은, 안내 가로축(35)과 안내구멍(34)의 앞쪽 가장자리와의 사이에 빈틈이 있어도 좋고, 빈틈이 있는 경우는, 걸어멈춤 부재(8)를 후측으로 누르면, 빈틈 분만큼 걸어멈춤 부재(8)가 약간 후방으로 이동하고, 안내 가로축(35)이 안내구멍(34)의 앞쪽 가장자리에 걸어멈춰져, 이 위치가 후단 위치로 된다. 또, 걸어멈춤 부재(8)의 전단 위치에서 안내 가로축(35)이 안내구멍(34)의 뒷쪽 가장자리와의 사이에 빈틈이 있어 좋고, 이 경우는, 걸어멈춤 받이부(10)의 후면에 걸어멈춤부(8A)의 앞면이 접촉된다.
또 뚜껑(7)을 열면 판 형상 돌기부(27, 45, 45)로 눌려져 있던 음용구부(19A)가 탄성력에 의하여 세워진다. 그리고, 이 음용구부(19A)에 입을 대고 빨아 먹음으로써, 음료는 통부재(23), 연결통로(28), 음용구부(19A)를 빨아올릴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용기 본체(2) 내부의 음료가 감소하면, 용기 본체(2)의 내부가 부압으로 되어 버려, 입의 빨아올리는 힘을 강하게 해야 하지만, 이와 같이 용기 본체(2)의 내부가 부압으로 되면, 역지 밸브(68)가 부압측으로 되어 있는 용기 본체(2)의 내부측(도 20 및 도 21중, 하측)으로 끌어당겨져 밸브 시트(67)로부터 떨어진다. 이때, 역지 밸브(68)의 외주는 변형되기 쉽게 얇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역지 밸브(68)가 열리면, 흡기구멍(66)에 의해 바깥 공기가 용기 본체(2)의 내부로 도입된다. 이 결과, 용기 본체(2)의 내부는 대기압으로 되는 통상의 입의 빨아올리는 힘으로 음료를 계속 마실 수 있다. 실시예 3의 흡기 밸브구조(64)에서는 코일 스프링(60)의 탄성에 의해 지수를 실현하는 힘과 감압해제의 힘을 컨트롤해야 하지만, 본 실시예에 의하면 감압 해제의 힘의 설계 관리가 따로 되어 용이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관통구멍(29)의 근방, 실시예에서는 관통구멍(29)과 연이어 통하여 천정부(5)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흡기구멍(66)과, 상부(30U)와 함께 천정부(5)를 상하 방향으로 끼움과 함께, 흡기구멍(66)의 하단 주위의 천정부(5)의 하면(5D)에 의하여 형성되는 밸브 시트(67)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단면이 대략 역원뿔대 형상의 역지 밸브(68)를 구비함으로써, 뚜껑(7)을 열기 전에 걸어멈춤 부재(8)에 의해 일시적으로 통기구멍(31)을 여는 것으로, 뜨거운 물이나 따뜻한 차등을 수용한 용기 본체(2)의 내부를 배기하여 일단 대기압 상태로 해서 다시 밀봉하고, 그리고 뚜껑(7)을 연 후에 있어서 음료를 빨아낸 상태에서 용기 본체(2)의 내부가 부압으로 되어도, 역지 밸브(68)에 의하여 용기 본체(2)의 내부를 대기압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시일 부재(30)에는 상하 방향의 통기구멍(31), 시일 부재(30)의 아래쪽으로의 빠짐 방지를 도모하는, 지름이 큰 상부(30U), 흡기구멍(66)의 하단을 개폐함과 함께 시일 부재(30)의 윗쪽으로의 이동을 밸브 시트(67) 이외의 개소에서 저지할 수 있는 역지 밸브(68)를 설치하고, 이와 같이 마개체 본체(11)에 흡기 밸브구조(65)를 설치했기 때문에,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폐색 부재(15)에 의해 지수를 행하고 있지만, 스트로 유닛(19)으로부터 흡인을 행했을 때는, 시일 부재(30)의 역지 밸브(68)가 변형됨에 따라 밀폐가 해제되어 연속 흡인이 가능해진다.
또, 흡기구멍(66)에 통기 밸브인 역지 밸브(68)가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탄성부재에 의해 지수를 행하고 있지만, 스트로 유닛(19)으로부터 흡인을 행했을 때는, 흡기 밸브구조(65)가 열림으로써 밀폐가 해제되어 연속 흡인이 가능해진다.
또한, 통기 밸브인 역지 밸브(68)가 감압시에 탄성 변형하기 때문에, 용기 본체(2) 내가 대기압보다 낮아지면, 통기 밸브가 탄성 변형되어 열리고, 용기 본체(2)의 내부를 대기압으로 유지할 수 있다.
[실시예 5]
이하에,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한편, 상기 각 실시예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3, 도 24에 나타내는 실시예 5에서는, 축부재(55)에는 밸브부(57) 및 시일 부재(58)를 설치하지 않고, 축부재(55)의 하단에 시일 부재(70)를 부착하고 있고, 이 시일 부재(70)는 실리콘 고무나 엘라스토머 수지 등의 탄성부재로 이루어진다. 축부재(55)의 축 본체(56)의 하부에 차양부(56R)를 설치하고, 이 차양부(56R)의 하부에 부착 받이부인 머리부(56T)가 설치되며, 시일 부재(70)는 원기둥 형상의 본체(71)의 상부에, 상기 머리부(56T)에 바깥에서 끼우는 부착부(72)를 구비하고, 이 부착부(72)에 머리부(56T)를 끼워넣어 고정함으로써, 축부재(55)의 하부에 시일 부재(70)가 탈착 가능하게 부착된다. 또한, 상기 내통체(53)의 내주면에는, 높이 방향 대략 중앙에 위치 결정 돌기(53T)를 형성하고, 이 위치결정 돌기(53T)는 안쪽 차양 형상으로 둘레에 설치되어 있고, 위치 결정 돌기(53T)의 하면에 상기 차양부(56R)가 접촉함으로써, 축부재(55)의 상한 위치가 규제된다.
또, 시일 부재(70)는, 상기 부착부(72)의 아래쪽으로 역지 밸브(73)를 일체로 구비한다. 이 역지 밸브(73)는 평면에서 볼 때에 원고리 형상으로 형성됨과 함께, 상면측이 오목하게 되는 만곡 형상의 얇은 판 형상을 이루며, 그 역지 밸브(73)의 바깥테두리부(73S)는 차양 형상으로 넓어져, 바깥테두리부(73S)의 상면측이 상기 밸브 시트(52K)에 면접촉 상태로 밀착하여 상기 통기구멍(54)을 닫는다. 또한 시일 부재(70)는 하측에 스트레이트 형상의 손잡이부(71A)를 가지며, 사용자가 떼어내기 쉽게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밸브 시트(52K), 축부재(55), 탄성부재 고정부품(59), 코일 스프링(60) 및 역지 밸브(73)에 의해, 흡기 밸브구조(74)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슬라이딩 선단부(56S)가 중앙 볼록부(61)에 접촉하여 축부재(55)가 눌러 내려진 상태에서, 역지 밸브(73)의 바깥테두리부(73S)가 밸브 시트(67)로부터 떨어져, 통기구멍(54)이 열리고, 슬라이딩 선단부(56S)가 경사부(61K)를 통과하는 동안에 역지 밸브(73)의 바깥테두리부(73S)가 밸브 시트(67)에 접촉하여 통기구멍(54)을 닫는다.
또, 슬라이딩 선단부(56S)가 전,후측 볼록부(62,63)의 위치에서는 위치 결정 돌기(53T)에 차양부(56R)가 접촉됨으로써 축부재의 상한 위치가 규정되며, 이 상태로, 용기 본체(2)의 내부와 외부의 압력이 동일한 상태에서는, 탄성에 의해 역지 밸브(73)가 밸브 시트(52K)에 접촉하여 통기구멍(54)은 닫히고, 용기 본체(2)의 내압이 외압보다 높아지면, 역지 밸브(73)가 밸브 시트(52K)에 눌러 접하여 통기구멍(54)은 닫혀지고, 한편, 용기 본체(2)의 내압보다 외압이 높아지면, 그 압력차에 의해 역지 밸브(73)가 변형하여 밸브 시트(52K)로부터 떨어져, 통기구멍(54)이 열리고, 용기 본체(2)의 내압과 외압이 같게 되면, 역지 밸브(73)가 닫힌다.
그리고, 도 24(걸어멈춤 부재 전단 위치에서 뚜껑 락·통기구멍이 닫힌 상태)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단 위치의 걸어멈춤 부재(8)의 걸어멈춤부(8A)가 걸어멈춤 받이부(10)에 걸어멈춰져 뚜껑(7)을 닫힌 상태로 잠그었을 때에는 후측 오목부(63)가 축부재(55)의 위치에 있고, 위치 결정 돌기(53T)에 차양부(56R)가 접촉하여, 역지 밸브(73)의 바깥테두리부(73T)가 밸브 시트(52K)에 눌러 접함으로써 흡기구멍(66)이 폐색되어 있고, 사용자가 조작부(9)를 누르면, 뚜껑 락이고 통기구멍이 열린 상태가 되며, 걸어멈춤부(8A)가 걸어멈춤 받이부(10)에 걸어멈춰진 뚜껑(7)의 락 상태에서, 앞쪽 위치로부터 걸어멈춤부(8A)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중앙 볼록부(61)가 코일 스프링(60)의 미는 힘에 저항하여 슬라이딩 선단부(56S)를 눌러 내리고, 이것에 의해 밸브 시트(52K)로부터 역지 밸브(73)의 바깥테두리부(73S)가 떨어져 통기구멍(54)이 열리고, 통기구멍(54)으로부터 내압이 개방되며, 여기에서 걸어멈춤 부재(8)가 후측으로 이동하면, 뚜껑 락의 걸어멈춤 부재 후방 위치에서 통기구멍이 닫힌 상태로 되어, 걸어멈춤부(8A)가 걸어멈춤 받이부(10)에 걸어멈춰진 뚜껑(7)의 락 상태에서, 슬라이딩 선단부(56S) 상에 전측 오목부(62)가 위치하고, 위치 결정 돌기(53T)에 차양부(56R)가 접촉하여, 역지 밸브(73)의 바깥테두리부(73S)가 밸브 시트(52K)에 눌러 접함으로써 통기구멍(54)이 폐색된 후, 걸어멈춤 부재(8)가 후측으로 더 이동하면, 걸어멈춤 부재 후단 위치에서 뚜껑 락 해제로 통기구멍 닫힘 상태로 되어, 걸어멈춤부(8A)가 걸어멈춤 받이부(10)로부터 벗어나 걸어멈춤 부재(8)는 후단 위치로 되어, 뚜껑(7)을 열 수 있으며, 동시에 탄성 걸어멈춤조(43)가 뒷쪽 가장자리(41F)에 걸어 맞춰져 유지되어, 걸어멈춤 부재(8)가 위치 고정된다. 한편, 걸어멈춤 부재(8)의 전단 위치에서는 안내 가로축(35)이 안내구멍(34)의 뒷쪽 가장자리에 걸어멈춰지고, 탄성 걸어멈춤조(43)가 뒷쪽 가장자리(41F)에 걸어멈춰진 위치에서는, 안내 가로축(35)이 안내구멍(34)의 앞쪽 가장자리에 걸어멈춰져 있던가, 혹은, 안내 가로축(35)과 안내구멍(34)의 앞쪽 가장자리와의 사이에 빈틈이 있어도 좋고, 빈틈이 있는 경우는, 걸어멈춤 부재(8)를 후측으로 누르면, 빈틈분만큼 걸어멈춤 부재(8)가 약간 후방으로 이동하고, 안내 가로축(35)이 안내구멍(34)의 앞쪽 가장자리에 걸어멈춰져, 이 위치가 후단 위치가 된다. 또, 걸어멈춤 부재(8)의 전단 위치에서 안내 가로축(35)이 안내구멍(34)의 뒷쪽 가장자리와의 사이에 빈틈이 있어 좋고, 이 경우는, 걸어멈춤 받이부(10)의 후면에 걸어멈춤부(8A)의 앞면이 접촉한다. 그리고, 뚜껑(7)을 열면 스트로 유닛(19)의 음용구부(19A)가 그 탄성 복원력에 의해 세워져서, 용기 본체(2) 내의 음료를 흡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관통구멍(51)에 연이어 통하여 통기구멍(54)을 형성하고, 통기구멍(54)의 하부의 주위에 밸브 시트(52K)를 설치하고, 상기 통기구멍(54) 내에 축부재(55)를 상하 움직임 가능하게 설치하고, 이 축부재(55)의 하부에 상기 밸브 시트(52K)에 접촉하여 상기 통기구멍(54)의 하부를 개폐 가능한 역지 밸브(73)를 설치함과 함께, 상기 축부재(55)를 윗쪽의 관통구멍(51) 측으로 힘을 가하는 부세수단인 코일 스프링(60)을 설치했기 때문에, 뚜껑(7)을 열기 전에 걸어멈춤 부재(8)에 의해 통기구멍(54)을 여는 것으로, 뜨거운 물이나 따뜻한 차 등을 수용한 용기 본체(2)의 내부를 배기하여 일단 대기압 상태로 하여 다시 밀봉하고, 그리고 뚜껑(7)을 연 후에 있어서 음료를 빨아낸 상태에서 용기 본체(2)의 내부가 부압으로 되어도, 흡기 밸브구조(74)에 의하여 용기 본체(2)의 내부를 대기압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서, 걸어멈춤 부재(8)에 의해 하강하여 통기구멍(54)을 여는 축부재(55)를 이용해서, 용기 본체(2)의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에 의해 개폐하는 흡기 밸브구조(74)를 구성할 수 있다. 또 뚜껑(7)을 닫을 때는 마찬가지로 뚜껑(7)이 탄성 걸어멈춤조(43)에 접촉하여, 걸어멈춤 부재를 닫힌 상태의 위치로 되돌릴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는, 각종 용도에 적용할 수 있다.
1: 휴대용 음료 용기
2: 용기 본체
3: 용기 개구
4: 마개체
7: 뚜껑
8: 걸어멈춤 부재
9: 조작부
10: 걸어멈춤 받이부
11: 마개체 본체
15: 폐색 부재
19: 스트로 유닛(음용구 부재)
29: 관통구멍
30: 시일 부재
31: 통기구멍
42: 고정 수단
43: 탄성 걸어멈춤조(걸어맞춤부)
44: 뚜껑 볼록부
51: 관통구멍
54: 통기구멍
55: 축부재
58: 시일 부재
64: 흡기 밸브구조
65: 흡기 밸브구조
68: 역지 밸브(통기 밸브)
73: 역지 밸브(통기 밸브)
74: 흡기 밸브구조

Claims (3)

  1. 용기 본체의 용기 개구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개폐 가능한 뚜껑을 축으로 지지한 마개체 본체와, 상기 뚜껑을 닫힌 상태로 유지 및 해제하도록 배치된 걸어멈춤 부재와, 상기 마개체 본체에 걸어맞춰지며 탄성 재료로 형성된 음용구 부재와, 상기 마개체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용기 개구에 접촉하여 상기 용기 본체를 폐색하는 폐색 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마개체 본체에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어멈춤 부재의 가동범위에 통기구멍이 배치되고, 상기 뚜껑이 닫힌 상태일 때에 상기 통기구멍이 닫힌 상태이며, 상기 걸어멈춤 부재를 밀어넣어, 걸어멈춤이 해제되는 과정에서, 상기 통기구멍은 개방되고, 더 밀어넣음으로써 닫힌 상태로 되며, 그 후, 상기 뚜껑과의 걸어멈춤이 해제되고, 더 밀어 넣어진 위치에서 상기 마개체 본체와 걸어맞춰져 유지되며, 상기 뚜껑을 닫을 때에 상기 걸어멈춤 부재와 상기 뚜껑이 접촉함으로써 상기 걸어멈춤 부재와 상기 마개체 본체의 걸어맞춤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의 마개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구멍에 통기 밸브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의 마개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 밸브가 감압시에 탄성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의 마개체.
KR1020130047395A 2013-04-29 2013-04-29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KR1014048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7395A KR101404830B1 (ko) 2013-04-29 2013-04-29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7395A KR101404830B1 (ko) 2013-04-29 2013-04-29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4830B1 true KR101404830B1 (ko) 2014-06-09

Family

ID=51132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7395A KR101404830B1 (ko) 2013-04-29 2013-04-29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483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66168A1 (en) * 2017-02-24 2018-08-29 Ignite USA, LLC Lid having a pre-venting lid lever and a seal arm assembly
CN109398926A (zh) * 2015-06-16 2019-03-01 膳魔师(中国)家庭制品有限公司 盖单元以及饮料用容器
CN111169795A (zh) * 2018-11-12 2020-05-19 康贝株式会社 饮料容器及盖组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9001A (ko) * 2005-12-27 2007-07-02 가부시키가이샤 릿첼 음료용기용 캡 및 음료용기
JP2007176555A (ja) 2005-12-28 2007-07-12 Tiger Vacuum Bottle Co Ltd 飲料用容器
KR20090013779A (ko) * 2006-06-23 2009-02-05 피죤 가부시키가이샤 음료 용기
KR20100005625U (ko) * 2008-11-25 2010-06-04 윤기문 넘침방지 기능을 갖는 물병뚜껑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9001A (ko) * 2005-12-27 2007-07-02 가부시키가이샤 릿첼 음료용기용 캡 및 음료용기
JP2007176555A (ja) 2005-12-28 2007-07-12 Tiger Vacuum Bottle Co Ltd 飲料用容器
KR20090013779A (ko) * 2006-06-23 2009-02-05 피죤 가부시키가이샤 음료 용기
KR20100005625U (ko) * 2008-11-25 2010-06-04 윤기문 넘침방지 기능을 갖는 물병뚜껑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98926A (zh) * 2015-06-16 2019-03-01 膳魔师(中国)家庭制品有限公司 盖单元以及饮料用容器
CN109398926B (zh) * 2015-06-16 2020-07-07 膳魔师(中国)家庭制品有限公司 盖单元以及饮料用容器
EP3366168A1 (en) * 2017-02-24 2018-08-29 Ignite USA, LLC Lid having a pre-venting lid lever and a seal arm assembly
CN111169795A (zh) * 2018-11-12 2020-05-19 康贝株式会社 饮料容器及盖组件
CN111169795B (zh) * 2018-11-12 2022-09-09 康贝株式会社 饮料容器及盖组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31288B2 (ja) 飲料用容器の栓体
TWI487648B (zh) Beverage containers
KR101399769B1 (ko)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EP2716567B1 (en) Drink container
JP5375932B2 (ja) 飲料用容器の栓体
KR101399767B1 (ko)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KR101508440B1 (ko) 뚜껑부착 용기
KR101404830B1 (ko)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KR200480377Y1 (ko) 텀블러 뚜껑
CN109398926B (zh) 盖单元以及饮料用容器
US10865020B2 (en) Drinking container with sliding closure
KR20180007317A (ko) 캡 유닛 및 음료용 용기
KR102003109B1 (ko) 캡 유닛 및 음료용 용기
JP5332815B2 (ja) ボトルの蓋制動構造
KR101520176B1 (ko) 음료 용기의 마개체
KR20220159245A (ko)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
JP2010235137A (ja) ボトルの吸気構造
US9181075B2 (en) Water container
IL180391A0 (en) Ready-made dish disposable packaging, equipped of vent device for inner vapors
KR200474060Y1 (ko) 유아용 음료용기
KR102035516B1 (ko) 정수기용 온수 안전 파우셋
KR101442411B1 (ko)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JP2014076377A (ja) 飲料用容器の栓体
KR101399683B1 (ko)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JP2016101951A (ja) 飲料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