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1175A -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 - Google Patents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1175A
KR20210111175A KR1020210027408A KR20210027408A KR20210111175A KR 20210111175 A KR20210111175 A KR 20210111175A KR 1020210027408 A KR1020210027408 A KR 1020210027408A KR 20210027408 A KR20210027408 A KR 20210027408A KR 20210111175 A KR20210111175 A KR 202101111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spout
cap unit
container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7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료타 곤도
게이 이토
Original Assignee
서어모스 케이.케이.
써모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어모스 케이.케이., 써모스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어모스 케이.케이.
Publication of KR20210111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11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57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made separately from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B65D47/086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made separately from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and elastically biased towards the closed position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12Vessels or pots for table u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47J41/02Vacuum-jacket vessels, e.g. vacuum 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Abstract

[과제] 덮개체에 부착된 액체를 주둥이측으로 되돌릴 수 있고, 또한, 간편한 구조에 의해 세정성을 높이는 것을 가능하게 한 캡 유닛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상부가 개구된 용기 본체(2)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캡 유닛(1)으로서, 용기 본체(2)의 상부 개구부(2d)를 폐색함과 아울러, 전측 상부에 주둥이(6)가 마련된 캡 본체(7)와, 캡 본체(7)의 후측에 힌지를 매개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됨과 아울러, 주둥이(6)를 개폐하는 덮개체(9)를 구비하며, 덮개체(9)는, 적어도 주둥이(6)의 상부를 덮는 천벽부(9a)와, 천벽부(9a)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된 돌기부(16)를 가지며, 덮개체(9)가 주둥이(6)를 폐색했을 때에, 주둥이(6)의 내측에 돌기부(16)가 삽입된다.

Description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cap unit and cap-equipped container}
본 발명은,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상부가 개구된 용기 본체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캡 유닛(마개체)을 구비한 캡 부착 용기가 있다(예를 들면, 하기 인용 문헌 1을 참조.).
예를 들면, 하기 인용 문헌 1에는, 마개 본체의 상부 개구부를 닫는 커버에 조작 레버를 마련하고, 이 조작 레버를 눌러 내리는 것에 의해서, 유액(流液) 경로를 닫는 밸브체를 코일 스프링의 가압에 저항하여 개방 방향으로 눌러 내리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특허 제5451813호 공보
그런데, 상술한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캡 부착 용기에서는, 용기 본체 내의 액체를 외부로 따르는 주둥이가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이 때문에, 사용중에 주둥이에 먼지나 티끌 등이 부착해 버릴 가능성이 있다.
또, 예를 들면 밀크나 생크림 등을 넣는 밀크 피처(pitcher)로서 사용한 경우, 주둥이로부터의 액체 빠짐성이 나빠진다. 이 경우, 주둥이로부터의 액체 흘림이나, 주둥이의 액체 고임 등에 의해서, 주둥이 등이 더러워져 버릴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캡 부착 용기에서는, 주둥이가 비위생이 되기 쉬워, 주둥이의 위생을 유지하기 위해서, 캡 유닛의 세정을 빈번하게 행하는 등의 수고가 생기게 된다. 또, 캡 유닛의 구조가 복잡하게 되는 경우에는, 캡 유닛의 주의 깊은 세정이 필요하게 된다.
한편, 주둥이를 개폐하는 덮개체를 마련한 경우, 주둥이로부터 유출된 액체가 덮개체의 내면에 부착되어 버리면, 덮개체의 개방시에 덮개체에 부착된 액체가 주위로 비산(飛散)하거나, 주둥이의 주위를 더럽히거나 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사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이며, 덮개체에 부착된 액체를 주둥이측으로 되돌릴 수 있고, 또한, 간편한 구조에 의해 세정성을 높이는 것을 가능하게 한 캡 유닛, 및 그러한 캡 유닛을 구비하는 것에 의해서, 사용 편리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는 캡 부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이하의 수단을 제공한다.
〔1〕상부가 개구된 용기 본체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캡 유닛으로서,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 개구부를 폐색(閉塞)함과 아울러, 전측 상부에 주둥이가 마련된 캡 본체와,
상기 캡 본체의 후측에 힌지부를 매개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주둥이를 개폐하는 덮개체를 구비하며,
상기 덮개체는, 적어도 상기 주둥이의 상부를 덮는 천벽부(天壁部)와, 상기 천벽부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된 돌기부를 가지고,
상기 덮개체가 상기 주둥이를 폐색했을 때에, 상기 주둥이의 내측에 상기 돌기부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2〕상기 주둥이는, 상기 캡 본체의 상면보다도 상방(上方) 또한 상기 캡 본체의 측면보다도 전방을 향해 돌출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상부를 상기 돌출부의 전단을 향해 전후 방향으로 절결하는 홈부와, 상기 홈부의 후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개구된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덮개체가 상기 주둥이를 폐색했을 때에, 상기 돌기부의 선단이 상기 홈부의 저면과 맞닿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1〕에 기재된 캡 유닛.
〔3〕상기 개구부는, 상기 홈부의 연장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면(面) 내에서 개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2〕에 기재된 캡 유닛.
〔4〕상기 홈부는, 그 후단측으로부터 전단측을 향해 점차 폭 및 깊이가 작아지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돌기부는, 그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그 후단측으로부터 전단측을 향해 점차 높이가 작아지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2〕또는〔3〕에 기재된 캡 유닛.
〔5〕상기 홈부는, 그 후단측으로부터 전단측을 향해 상향으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2〕내지〔4〕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캡 유닛.
〔6〕상기 돌출부의 적어도 상기 홈부가 형성된 상면이 평탄하고,
상기 덮개체가 상기 주둥이를 폐색했을 때에, 상기 천벽부의 하면이 상기 돌출부의 평탄한 상면과 맞닿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2〕내지〔5〕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캡 유닛.
〔7〕상기 주둥이는,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돌출부의 후방을 향해 상기 캡 본체의 내면을 오목하게 한 오목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2〕내지〔6〕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캡 유닛.
〔8〕상기 캡 본체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주둥이보다도 후측의 상부에 통기 구멍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1〕내지〔7〕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캡 유닛.
〔9〕상기 캡 본체는, 그 후측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또한 하방을 향해 연장된 손잡이부를 가지며,
상기 덮개체는, 상기 힌지부보다도 후측에 상기 손잡이부의 상부를 따라서 돌출된 레버부를 가지고,
상기 덮개체가 자중에 의해 상기 주둥이를 폐색하는 방향으로 가압됨과 아울러, 상기 손잡이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레버부를 압압 조작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덮개체가 상기 주둥이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1〕내지〔8〕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캡 유닛.
〔10〕상기〔1〕내지〔9〕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캡 유닛과,
상기 캡 유닛이 장착된 용기 본체를 구비하는 캡 부착 용기.
〔11〕상기 용기 본체는, 진공 단열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10〕에 기재된 캡 부착 용기.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덮개체에 부착된 액체를 주둥이측으로 되돌릴 수 있고, 또한, 간편한 구조에 의해 세정성을 높이는 것을 가능하게 한 캡 유닛, 및 그러한 캡 유닛을 구비하는 것에 의해서, 사용 편리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는 캡 부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캡 유닛을 구비한 캡 부착 용기에서, 덮개체가 폐색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캡 부착 용기에서, 덮개체가 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를 상방(上方)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캡 부착 용기에서, 덮개체가 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를 하방(下方)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캡 부착 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캡 부착 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내는 캡 유닛이 구비하는 캡 본체를 상방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내는 캡 유닛이 구비하는 캡 본체를 하방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예를 들면 도 1~도 5에 나타내는 캡 유닛(1)을 구비한 캡 부착 용기(100)에 대해 설명한다.
또, 도 1은, 캡 유닛(1)을 구비한 캡 부착 용기(100)에서, 덮개체(9)가 폐색(閉塞)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캡 부착 용기(100)에서, 덮개체(9)가 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를 상방(上方)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캡 부착 용기(100)에서, 덮개체(9)가 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를 하방(下方)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캡 부착 용기(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캡 부착 용기(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캡 부착 용기(100)는, 도 1~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1)과, 이 캡 유닛(1)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용기 본체(2)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캡 부착 용기(100)는, 진공 단열 구조를 가지는 용기 본체(2)에 의해서, 이 용기 본체(2)에 수용되며, 예를 들면 밀크나 생크림 등의 액체를 보냉하는 것이 가능한 밀크 피처(pitcher)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이 캡 부착 용기(100)에서, 용기 본체(2)는,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등으로 이루어지는 저면을 가지는 통 모양의 외부 용기(3) 및 내부 용기(4)를 가지며, 외부 용기(3)의 내측에 내부 용기(4)를 수용한 상태에서 서로의 입가부를 접합한 이중 구조의 용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 외부 용기(3)와 내부 용기(4)와의 사이에는, 진공 단열층(5)이 마련되어 있다. 진공 단열층(5)은, 예를 들면, 고진공으로 감압(減壓)(진공 퍼지)된 챔버 내에서, 외부 용기(3)의 저면 중앙부에 마련된 탈기(脫氣) 구멍을 막는 것에 의해서 형성할 수 있다.
용기 본체(2)는, 대략 원형 모양의 저부(2a)와, 저부(2a)의 외주(外周)로부터 대략 원통 모양으로 기립한 몸통부(2b)와, 몸통부(2b)의 상부측에서 지름이 축소된 대략 원통 모양의 구경부(口頸部)(2c)를 가지고 있다. 또, 구경부(2c)의 상단부는, 용기 본체(2)의 상부 개구부(2d)로서, 평면에서 보아 원형 모양으로 개구되어 있다. 또, 구경부(2c)의 내측에는, 링 모양의 장출부(張出部)(2e)가 전체 둘레에 걸쳐서 돌출되어 마련되어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캡 부착 용기(100)는, 전체로서 대략 원통 모양의 외관 형상을 가지고 있지만, 캡 부착 용기(100)의 외관 형상에 대해서는, 특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사이즈나 디자인 등에 맞추어, 적절히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용기 본체(2)의 외주면에는, 도장이나 인쇄 등이 실시되어 있어도 괜찮다.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1)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1~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도 6은, 캡 유닛(1)이 구비하는 캡 본체(7)를 상방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캡 유닛(1)이 구비하는 캡 본체(7)를 하방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캡 유닛(1)에서, 후술하는 주둥이(6)가 마련된 측을 캡 유닛(1)의 「전측」이라고 하고, 주둥이(6)가 마련된 측과는 반대측을 캡 유닛(1)의 「후측」으로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1)은, 도 1~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2)의 상부 개구부(2d)를 폐색하는 마개체를 구성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이 캡 유닛(1)은, 용기 본체(2)의 상부 개구부(2d)를 폐색함과 아울러, 전측 상부에 주둥이(6)가 마련된 캡 본체(7)와, 캡 본체(7)의 후측에 힌지부(8)를 매개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됨과 아울러, 주둥이(6)를 개폐하는 덮개체(9)를 구비하고 있다.
캡 본체(7)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PP),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틸렌(ABS), 폴리아세탈(POM) 등의 합성 수지로 이루어진다. 캡 본체(7)는, 대략 원통 모양으로 형성된 둘레벽부(7a)와, 둘레벽부(7a)의 상면을 덮는 상벽부(上壁部)(7b)를 가지고 있다.
캡 본체(7)는, 용기 본체(2)의 구경부(2c)에 나사 결합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둘레벽부(7a)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10)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용기 본체(2)의 구경부(2c)의 외주면에는, 이 암나사부(10)와 나사 결합되는 수나사부(11)가 마련되어 있다.
또, 캡 본체(7)에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부(12)가 마련되어 있다. 손잡이부(12)는, 캡 본체(7)의 후측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또한 하방을 향해 연장하여 마련되어 있다.
주둥이(6)는, 용기 본체(2) 내의 액체를 외부로 따르는 통액로(通液路)를 구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이 주둥이(6)는, 상벽부(7b)(캡 본체(7))의 상면보다도 상방 또한 둘레벽부(7a)(캡 본체(7))의 측면보다도 전방을 향해 돌출된 돌출부(6a)와, 돌출부(6a)의 상부를 돌출부(6a)의 전단을 향해 전후 방향으로 절결되는 홈부(6b)와, 홈부(6b)의 후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개구된 개구부(6c)와, 개구부(6c)로부터 돌출부(6a)의 후방을 향해 캡 본체(7)의 내면을 오목하게 한 오목부(6d)를 가지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주둥이(6)에서는, 돌출부(6a)의 적어도 홈부(6b)가 형성된 상면이 평탄하게 되어 있다. 홈부(6b)는, 단면에서 보아 대략 원호 모양을 가지고, 돌출부(6a)의 상면 중앙부를 전후 방향으로 절결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홈부(6b)는, 그 후단측으로부터 전단측을 향해 점차 폭 및 깊이가 작아지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게다가, 홈부(6b)는, 그 후단측으로부터 전단측을 향해 상향으로(그 전단측으로부터 후단측을 향해 하향으로) 경사져 있다.
개구부(6c)는, 홈부(6b)의 후단에 연속하여 단면에서 보아 대략 원호 모양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홈부(6b)의 상부를 폐색하도록, 그 상부가 단면에서 보아 대략 직선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개구부(6c)는, 홈부(6b)의 연장 방향(전후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면(面) 내에서 캡 본체(7)의 내측에 면(臨)하여 개구되어 있다.
오목부(6d)는, 상벽부(7b)의 하면(캡 본체(7)의 내면)에서, 그 후단측으로부터 그 전단측에 위치하는 개구부(6c)를 향해 점차 깊이가 커지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또,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6d)는, 개구부(6c)에 연속한 돌출부(6a)의 평탄한 하면(오목부(6d)의 저면)으로부터 후방측을 향해 평면에서 보아 대략 원호 모양으로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캡 본체(7)의 상부에는, 외부의 공기를 용기 본체(2)의 내부로 도입하는 통기구(13)가 마련되어 있다. 통기구(13)는, 상벽부(7b)(캡 본체(7))의 주둥이(6)보다도 후측에 위치하여, 상벽부(7b)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원형 모양의 구멍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캡 본체(7)의 내측에는, 원형 링 모양의 링벽(7c)이 상벽부(7b)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마련되어 있다. 도 5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링벽(7c)은, 개구부(6c)와 연속하는 위치에 둘레벽부(7a)와 동심원 모양으로 돌출되어 마련되어 있다. 즉, 개구부(6c)는, 이 링벽(7c)을 전후 방향으로 관통한 상태로 마련되어 있다. 통기구(13)는, 링벽(7c)의 후단측과 겹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캡 본체(7)의 내측에는, 지수(止水, 물이 새는 것을 막음) 패킹(14)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지수 패킹(14)은, 캡 본체(7)와 용기 본체(2)와의 사이를 밀폐하기 위한 씰 부재이며,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 등의 내열성을 가지는 고무나 엘라스토머 등의 탄성 부재로 이루어진다.
지수 패킹(14)은, 상벽부(7b)의 하면, 링벽(7c)의 외주면 및 하단면을 따른 단차 형상을 가지며, 전체로서 원형 링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지수 패킹(14)은, 상벽부(7b)의 하면, 링벽(7c)의 외주면 및 하단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둘레벽부(7a)와 링벽(7c)과의 사이에 끼워 장착되어 있다.
한편, 지수 패킹(14)은, 그 자체를 탄성 변형시키는(잡아당겨 늘리는) 것에 의해서, 캡 본체(7)의 내측으로부터 떼어내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지수 패킹(14)과 캡 본체(7)를 각각 따로따로 세정할 수 있고, 지수 패킹(14)과 캡 본체(7)와의 사이를 위생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지수 패킹(14)의 외주면에는, 확경(擴徑, 지름 확대) 방향으로 전체 둘레에 걸쳐서 돌출된 탄성 플랜지부(14a)가 마련되어 있다. 지수 패킹(14)은, 용기 본체(2)에 캡 본체(7)가 장착되었을 때에, 이 탄성 플랜지부(14a)가 탄성 변형하면서, 구경부(2c)의 상단부와 전체 둘레에 걸쳐서 밀착한 상태가 된다. 이것에 의해, 캡 본체(7)와 용기 본체(2)와의 사이를 액밀(液密)하게 씰링(지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덮개체(9)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PP),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틸렌(ABS), 폴리아세탈(POM) 등의 합성 수지로 이루어진다. 덮개체(9)는, 주둥이(6) 및 캡 본체(7)의 상부를 덮는 천벽부(天壁部)(9a)와, 천벽부(9a)의 주위로부터 하방을 향해 돌출된 둘레벽부(9b)를 가지고 있다. 둘레벽부(9b)는, 덮개체(9)가 주둥이(6)를 폐색했을 때에, 주둥이(6)의 전단측을 덮음과 아울러, 캡 본체(7)의 상벽부(7b)와 맞닿으면서 둘레벽부(7a)와 면일(面一)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덮개체(9)는, 손잡이부(12)(캡 본체(7))의 상부에 마련된 힌지부(8)를 매개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 덮개체(9)는, 자중에 의해 주둥이(6)를 폐색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덮개체(9)는, 힌지부(8)보다도 후측에 손잡이부(12)의 상부를 따라서 돌출된 레버부(15)를 가지고 있다. 덮개체(9)는, 손잡이부(12)를 파지한 상태에서, 이 레버부(15)를 하방을 향해 압압(押壓) 조작하는 것에 의해서, 주둥이(6)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덮개체(9)는, 주둥이(6)의 홈부(6b)와 대향하는 위치에, 천벽부(9a)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된 돌기부(16)를 가지고 있다. 돌기부(16)는, 전술한 홈부(6b)의 형상에 맞추어, 그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그 후단측으로부터 전단측을 향해 점차 높이가 작아지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또, 돌기부(16)의 전단은, 둘레벽부(9b)와 접속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1)에서는, 덮개체(9)가 주둥이(6)를 폐색했을 때에, 돌기부(16)의 선단이 홈부(6b)의 저면과 맞닿음됨과 아울러, 천벽부(9a)의 하면이 돌출부(6a)의 평탄한 상면과 맞닿음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잘못하여 레버부(15)를 압압 조작하지 않고 액체를 따르려고 용기 본체(2)를 전방으로 기울여, 주둥이(6)로부터 유출된 액체가 덮개체(9)의 돌출부(6a)의 평탄한 면에 대응하는 내면에 부착된 경우에도, 돌기부(16)를 통해서 덮개체(9)에 부착된 액체를 주둥이(6)측으로 되돌리는 것이 가능하다. 또, 천벽부(9a)의 하면이 돌출부(6a)의 평탄한 상면과 맞닿음됨으로써, 덮개체(9)의 내면에 부착된 액체가 주둥이(6)로부터 누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덮개체(9)의 개방시에, 덮개체(9)에 부착된 액체가 주위로 비산(飛散)하거나, 주둥이(6)의 주위를 더럽히거나 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1)에서는, 덮개체(9)가 주둥이(6)를 개방한 상태로부터, 용기 본체(2)를 전방으로 기울이면서, 이 용기 본체(2) 내의 액체를 주둥이(6)로부터 따르기 쉽게 함과 아울러, 액체를 따른 후의 주둥이(6)로부터의 액체 빠짐성을 좋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이 주둥이(6)에서는, 용기 본체(2) 내의 액체를 개구부(6c)로부터 홈부(6b)를 통해 따를 때에, 오목부(6d)가 액체 고임부로서 기능하고, 외부의 공기를 통기구(13)로부터 용기 본체(2)의 내부로 도입한다. 이것에 의해, 개구부(6c)로부터의 공기의 유입을 막으면서, 오목부(6d)에 일단 모인 액체를 개구부(6c)로부터 홈부(6b)로 매끄럽게 따르는 것이 가능하다. 즉, 개구부(6c)로부터 액체가 유출되고 있는 동안에는, 개구부(6c)가 액체에 의해 막힌 것과 같은 상태가 되기 때문에, 이 개구부(6c)로부터의 공기의 유입을 막을 수 있다.
한편, 주둥이(6)에서는, 홈부(6b)의 폭 및 깊이가 후단측으로부터 전단측을 향해 점차 작아짐으로써, 액체를 따른 후의 홈부(6b)의 전단으로부터의 액체 빠짐성을 좋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홈부(6b)는, 그 전단측으로부터 후단측을 향해 하향으로 경사져 있기 때문에, 이 홈부(6b)를 따라서 흐르는 액체를 개구부(6c)를 통해 용기 본체(2) 내로 신속하게 되돌리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1)에서는, 주둥이(6)로부터의 액체 흘림이나, 주둥이(6)의 액체 고임 등에 의해서, 주둥이(6) 등이 더러워져 버리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주둥이(6)의 위생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캡 유닛(1)의 세정을 빈번하게 행하는 등의 수고를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1)에서는, 상술한 캡 본체(7) 및 덮개체(9)의 간편한 구조에 의해서, 그 세정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캡 부착 용기(100)에서는, 이러한 캡 유닛(1)을 구비하는 것에 의해서, 한층 더 사용 편리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의 것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밀크 피처에 적용한 캡 부착 용기(100)를 예시하고 있지만, 용기 본체의 구경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캡 유닛을 구비한 캡 부착 용기에 대해서, 본 발명을 폭넓게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진공 단열 구조를 가지는 용기 본체(2)에 의해서 보냉 기능을 갖게 한 캡 부착 용기(100)를 예시하고 있지만, 진공 단열 구조를 가지지 않는 용기 본체를 구비한 캡 부착 용기에 대해서,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1 - 캡 유닛 2 - 용기 본체
3 - 외부 용기 4 - 내부 용기
5 - 진공 단열층 6 - 주둥이
6a - 돌출부 6b - 홈부
6c - 개구부 6d - 오목부
7 - 캡 본체 8 - 힌지부
9 - 덮개체 10 - 암나사부
11 - 수나사부 12 - 손잡이부
13 - 통기구 14 - 지수 패킹
15 - 레버부 16 - 돌기부

Claims (11)

  1. 상부가 개구된 용기 본체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캡 유닛으로서,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 개구부를 폐색(閉塞)함과 아울러, 전측 상부에 주둥이가 마련된 캡 본체와,
    상기 캡 본체의 후측에 힌지부를 매개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주둥이를 개폐하는 덮개체를 구비하며,
    상기 덮개체는, 적어도 상기 주둥이의 상부를 덮는 천벽부(天壁部)와, 상기 천벽부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된 돌기부를 가지고,
    상기 덮개체가 상기 주둥이를 폐색했을 때에, 상기 주둥이의 내측에 상기 돌기부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둥이는, 상기 캡 본체의 상면보다도 상방(上方) 또한 상기 캡 본체의 측면보다도 전방을 향해 돌출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상부를 상기 돌출부의 전단을 향해 전후 방향으로 절결되는 홈부와, 상기 홈부의 후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개구된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덮개체가 상기 주둥이를 폐색했을 때에, 상기 돌기부의 선단이 상기 홈부의 저면과 맞닿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홈부의 연장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면(面) 내에서 개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4.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그 후단측으로부터 전단측을 향해 점차 폭 및 깊이가 작아지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돌기부는, 그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그 후단측으로부터 전단측을 향해 점차 높이가 작아지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5.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그 후단측으로부터 전단측을 향해 상향으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6.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적어도 상기 홈부가 형성된 상면이 평탄하고,
    상기 덮개체가 상기 주둥이를 폐색했을 때에, 상기 천벽부의 하면이 상기 돌출부의 평탄한 상면과 맞닿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7.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주둥이는,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돌출부의 후방을 향해 상기 캡 본체의 내면을 오목하게 한 오목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캡 본체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주둥이보다도 후측의 상면에 통기 구멍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캡 본체는, 그 후측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또한 하방을 향해 연장된 손잡이부를 가지며,
    상기 덮개체는, 상기 힌지부보다도 후측에 상기 손잡이부의 상부를 따라서 돌출된 레버부를 가지고,
    상기 덮개체가 자중에 의해 상기 주둥이를 폐색하는 방향으로 가압됨과 아울러, 상기 손잡이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레버부를 압압 조작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덮개체가 상기 주둥이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캡 유닛과,
    상기 캡 유닛이 장착된 용기 본체를 구비하는 캡 부착 용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는, 진공 단열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부착 용기.
KR1020210027408A 2020-03-02 2021-03-02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 KR2021011117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034811A JP2021138375A (ja) 2020-03-02 2020-03-02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JPJP-P-2020-034811 2020-03-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1175A true KR20210111175A (ko) 2021-09-10

Family

ID=77467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7408A KR20210111175A (ko) 2020-03-02 2021-03-02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1138375A (ko)
KR (1) KR20210111175A (ko)
CN (1) CN113335746A (ko)
TW (1) TWI779476B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51813B2 (ja) 2012-05-08 2014-03-26 サーモス株式会社 液体容器の注ぎ口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25952B2 (en) * 2004-08-30 2007-06-05 Helen Of Troy Limited Kettle with tilt-open spout closure
TWM431670U (en) * 2011-08-24 2012-06-21 Yong-Li Yi Improved thermal insulation water bottle structur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51813B2 (ja) 2012-05-08 2014-03-26 サーモス株式会社 液体容器の注ぎ口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133774A (zh) 2021-09-16
CN113335746A (zh) 2021-09-03
JP2021138375A (ja) 2021-09-16
TWI779476B (zh) 2022-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27732B2 (ja) 飲料用容器の栓体
US10227166B2 (en) Beverage container closure
JP4470224B2 (ja) 飲料用容器の中栓
TWI786314B (zh) 飲料容器之蓋
KR102341050B1 (ko) 캡 유닛 및 음료용 용기
JP6893424B2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US20190135502A1 (en) Vacuum insulated beverage container with removable cup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20190053649A1 (en) Beverage Container Having Non-Circular Shape
JP6839748B2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飲料用容器
KR102512843B1 (ko)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
KR102428939B1 (ko) 캡 유닛 및 음료용 용기
KR20210111175A (ko)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
KR20210111174A (ko)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
JP6554356B2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飲料用容器
JP2021187450A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CA3070466A1 (en) Leak-proof container lid with foam insulation
JP5076184B2 (ja) キャップ付き注出口体
WO2018168281A1 (ja) スリットバルブ付きキャップ
JP7300228B1 (ja) 飲料用容器および蓋ユニット
US20230415965A1 (en) Sealing mechanism for a beverage container
JP2023058102A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CN210130678U (zh) 瓶杯盖结构
JP2023041197A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JP2023058101A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KR20220170746A (ko) 음료용 용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