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2843B1 -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 - Google Patents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2843B1
KR102512843B1 KR1020180025234A KR20180025234A KR102512843B1 KR 102512843 B1 KR102512843 B1 KR 102512843B1 KR 1020180025234 A KR1020180025234 A KR 1020180025234A KR 20180025234 A KR20180025234 A KR 20180025234A KR 102512843 B1 KR102512843 B1 KR 1025128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stopper
liquid
cap unit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5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1257A (ko
Inventor
다츠로우 나가이
Original Assignee
서어모스 케이.케이.
써모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어모스 케이.케이., 써모스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어모스 케이.케이.
Publication of KR20180101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12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2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28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65D47/122Threaded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57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made separately from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B65D47/0876Hinges without elastic bias
    • B65D47/089Hinges without elastic bias located within a flat surface of the base ele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47J41/02Vacuum-jacket vessels, e.g. vacuum 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6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3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in the form of a bottle, jar or like container
    • B65D81/3841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in the form of a bottle, jar or like container formed with double walls, i.e. hol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Thermally Insulated Containers For Foods (AREA)

Abstract

[과제] 사용 편리성의 향상을 한층 더 가능하게 한 캡 유닛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상부가 개구된 용기 본체(2)의 구경부(2c)에 장착됨과 아울러, 그 내측에 통액 구멍(12)이 마련된 캡 본체(8)와, 통액 구멍(12)을 개폐하는 덮개체(9)를 구비하며, 덮개체(9)는, 통액 구멍(12)에 나사 결합에 의해 장착된 상태로, 통액 구멍(12)을 폐색하는 중간 마개(18)와, 중간 마개(18)의 외주부에 전체 둘레에 걸쳐서 장착되어, 통액 구멍(12)과 중간 마개(18)와의 사이를 밀폐하는 씰 부재(23)를 가지며, 씰 부재(23)는, 중간 마개(18)의 중심축에 대해 경사진 각도로, 중간 마개(18)의 외주부에 경사지게 주회한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Description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CAP UNIT AND CONTAINER WITH CAP}
본 발명은,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상부가 개구된 용기 본체의 구경부(口頸部)에 캡 유닛(마개체)이 장착된 캡 부착 용기가 있다. 또, 캡 유닛에서는, 캡 본체에 나사 결합에 의해 장착되는 덮개체에 의해서, 캡 본체에 마련된 립(lip) 또는 주둥이를 개폐하는 구조를 채용한 것이 있다(예를 들면, 하기 특허 문헌 1, 2를 참조.).
구체적으로, 특허 문헌 1에는, 개구부가 마련된 캡 본체와,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체를 구비하며, 덮개체에 마련된 수나사를 캡 본체의 개구부에 마련된 암나사에 나사 결합함과 아울러, 덮개체에 장착된 패킹(씰 부재)에 의해서, 용기 본체의 개구부를 밀폐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한편, 하기 특허 문헌 2에는, 저면에 2개의 고정 주출구(注出口)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용기 모양의 주출(注出) 부재 내에 해당 주출 부재의 저면과 슬라이드 접촉하는 덮개 본체를 가지는 회전 덮개 부재를 회동 가능하게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입구부 부재를, 용기의 개구 입구부에 기밀하게 또한 착탈 가능하게 배치하여 이루어짐과 아울러, 회전 덮개 부재의 덮개 본체에, 해당 회전 덮개 부재의 회동에 의해 주출 부재의 2개의 고정 주출구의 각각에 동시에 걸리는 주출구와 공기 구멍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특허공개 제2014-5065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특허공개 평11-278523호 공보
그렇지만, 상술한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구조에서는, 용기 본체 내의 음료를 마실 때에, 덮개체를 회전시키면서, 수나사부와 암나사부와의 나사 결합을 해제하고, 이 덮개체를 캡 본체로부터 완전하게 떼어낼 필요가 있다. 이 경우, 떼어낸 덮개체가 방해가 될 뿐만 아니라, 덮개체의 내측에 붙은 물방울의 낙하 등에 의해서 주위를 더럽혀 버릴 우려가 있다. 게다가, 덮개체를 떼어내기까지, 캡 본체에 대해서 덮개체를 360°(1회전) 이상 회전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캡 본체에 대한 덮개체의 착탈 조작이 매우 귀찮다.
한편,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구조에서는, 용기 본체 내의 음료를 마실 때에, 주출 부재에 대해서 회전 덮개 부재를 떼어낼 필요가 없기는 하지만, 회전 덮개 부재에 마련된 주출구 및 공기 구멍이 항상 노출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경우, 주출구 및 공기 구멍에 먼지 등이 부착될 가능성이 있다. 또, 2개의 고정 주출구와 주출구 및 공기 구멍과의 사이를 밀폐시키는 패킹(씰 부재)이 장착되어 있지 않고, 이들 사이에서 기밀성을 확보하는 것은 매우 곤란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사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이며, 씰 부재에 의한 밀폐성을 양호하게 유지하면서, 덮개체를 개폐할 때의 조작성이나 용기 본체에 수용된 음료(내용물)의 주출성(注出性)을 향상시키는 것에 의해서, 사용 편리성의 향상을 한층 더 가능하게 한 캡 유닛, 및 그러한 캡 유닛을 구비한 캡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이하의 수단을 제공한다.
[1] 상부가 개구된 용기 본체의 구경부(口頸部)에 장착됨과 아울러, 그 내측에 통액(通液) 구멍이 마련된 캡 본체와, 상기 통액 구멍을 개폐하는 덮개체를 구비하며,
상기 덮개체는, 상기 통액 구멍에 나사 결합에 의해 장착된 상태로, 상기 통액 구멍을 폐색하는 중간 마개와,
상기 중간 마개의 외주부에 전체 둘레에 걸쳐서 장착되어, 상기 통액 구멍과 상기 중간 마개와의 사이를 밀폐하는 씰 부재를 가지며,
상기 씰 부재는, 상기 중간 마개의 중심축에 대해 경사진 각도로, 상기 중간 마개의 외주부에 경사지게 주회(周回)한 상태로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2] 상기 통액 구멍은, 상기 캡 본체의 중심축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캡 유닛.
[3] 상기 통액 구멍은, 상기 캡 본체의 중심축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편의(偏倚)한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캡 유닛.
[4] 상기 중간 마개는, 상기 통액 구멍에 마련된 암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는 수나사부와, 상기 수나사부의 일부를 축선 방향으로 노치하는 통액 홈을 가지며,
상기 씰 부재는, 상기 수나사부보다도 상부에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중간 마개의 외주부를 주회하는 최상부의 위치와 상기 통액 홈의 위치가 일치한 상태로, 상기 중간 마개의 외주부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캡 유닛.
[5] 상기 캡 본체는, 상기 통액 구멍의 일부를 축선 방향으로 노치하는 통액 홈을 가지며,
상기 통액 홈은, 상기 통액 구멍의 폐색시에 상기 중간 마개측의 통액 홈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4]에 기재된 캡 유닛.
[6] 상기 캡 본체는, 상기 통액 구멍으로부터 상부의 일단을 향해서 점차 지름이 확대된 광구부(廣口部)를 가지며,
상기 중간 마개는, 상기 광구부를 폐색하는 덮개부를 가지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중간 마개의 상부로부터 상기 통액 홈의 위치와는 반대측을 향해 연장됨과 아울러, 상기 통액 구멍의 폐색시에 적어도 상기 광구부의 상부를 가리는 형상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4] 또는 [5]에 기재된 캡 유닛.
[7] 상기 덮개체는, 상기 캡 본체에 대해서 360°의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서, 상기 캡 본체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캡 유닛.
[8]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캡 유닛과,
상기 캡 유닛이 장착된 용기 본체를 구비하는 캡 부착 용기.
[9] 상기 용기 본체는, 진공 단열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8]에 기재된 캡 부착 용기.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씰 부재에 의한 밀폐성을 양호하게 유지하면서, 덮개체를 개폐할 때의 조작성이나 용기 본체에 수용된 음료(내용물)의 주출성을 향상시키는 것에 의해서, 사용 편리성의 향상을 한층 더 가능하게 한 캡 유닛, 및 그러한 캡 유닛을 구비한 캡 부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캡 부착 용기가 구비하는 캡 유닛의 폐색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캡 유닛의 폐색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캡 유닛의 폐색 상태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캡 유닛의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캡 유닛의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내는 캡 유닛의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내는 캡 유닛의 캡 본체로부터 덮개체를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캡 부착 용기가 구비하는 캡 유닛의 폐색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내는 캡 유닛의 폐색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나타내는 캡 유닛의 폐색 상태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11은 도 8에 나타내는 캡 유닛의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8에 나타내는 캡 유닛의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8에 나타내는 캡 유닛의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14는 도 8에 나타내는 캡 유닛의 캡 본체로부터 덮개체를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로서, 예를 들면 도 1~도 7에 나타내는 캡 유닛(1A)을 구비한 캡 부착 용기(100)에 대해 설명한다. 또, 도 1은, 캡 부착 용기(100)가 구비하는 캡 유닛(1A)의 폐색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캡 유닛(1A)의 폐색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캡 유닛(1A)의 폐색 상태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4는, 캡 유닛(1A)의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캡 유닛(1A)의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캡 유닛(1A)의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7은, 캡 유닛(1A)의 캡 본체(8)로부터 덮개체(9)를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캡 부착 용기(100)는, 도 1~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1A)과, 이 캡 유닛(1A)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용기 본체(2)를 구비하고 있다. 캡 부착 용기(100)는, 진공 단열 구조를 가지는 용기 본체(2)에 의해서, 이 용기 본체(2)에 수용된 음료(내용물)를 보온 또는 보냉하는 것이 가능한 음료용 용기이다.
구체적으로, 이 용기 본체(2)는,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등으로 이루어지는 저면을 가지는 통 모양의 외부 용기(3) 및 내부 용기(4)를 가지며, 외부 용기(3)의 내측에 내부 용기(4)를 수용한 상태로 서로의 입가부를 접합한 이중 구조의 용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 외부 용기(3)와 내부 용기(4)와의 사이에는, 진공 단열층(5)이 마련되어 있다. 진공 단열층(5)은, 예를 들면, 고진공으로 감압(減壓)(진공 퍼지)된 챔버 내에서, 외부 용기(3)의 저면 중앙부에 마련된 탈기공(脫氣孔)을 막는 것에 의해서 형성할 수 있다.
용기 본체(2)는, 대략 원형 모양의 저면부(2a)와, 저면부(2a)의 외주로부터 대략 원통 모양으로 기립(起立)한 몸통부(2b)와, 몸통부(2b)의 상부측에서 지름이 축소된 대략 원통 모양의 구경부(口經部)(2c)를 가지고 있다. 또, 구경부(2c)의 상단부는, 용기 본체(2)의 상부 개구부(2d)로서, 원형 모양으로 개구되어 있다.
구경부(2c)의 내주면은, 몸통부(2b)의 내주면보다도 지름이 축소되어 있다. 또, 구경부(2c)의 내주면에는, 제1 암나사부(6)가 마련되어 있다. 제1 암나사부(6)는, 구경부(2c)의 상단측으로부터 하부를 향해서 나선 모양으로 돌출된 나사산으로 구성되어 있다. 게다가, 제1 암나사부(6)의 하부에는, 링 모양의 장출부(張出部)(7)가 용기 본체(2)의 내주면으로부터 전체 둘레에 걸쳐서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캡 부착 용기(100)는, 전체로서 대략 원통 모양의 외관 형상을 가지고 있지만, 캡 부착 용기(100)의 외관 형상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이즈나 디자인 등에 맞추어, 적절히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용기 본체(2)의 외주면에는, 도장이나 인쇄 등이 실시되어 있어도 괜찮다.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1A)은, 용기 본체(2)의 상부 개구부(2d)를 폐색하는 마개체를 구성하는 것이며, 캡 본체(8)와, 이 캡 본체(8)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덮개체(9)를 구비하고 있다.
캡 본체(8)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PP) 등의 내열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통 모양의 외통(外筒) 부재(10) 및 내통 부재(11)를 가지고 있다. 캡 본체(8)에서는, 외통 부재(10)를 관통한 내통 부재(11)가 외통 부재(10)에 일체로 장착되어 있다.
외통 부재(10)(캡 본체(8))의 외주면은, 용기 본체(2)의 몸통부(2b)와 면일(面一, 단차가 없음)이 되도록 대략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외통 부재(10)에 대해서는, 상술한 PP 외에도, 예를 들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틸렌(ABS)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내통 부재(11)(캡 본체(8))의 내측에는, 립(lip) 또는 주둥이가 되는 통액(通液) 구멍(12)이 마련되어 있다. 통액 구멍(12)은, 내통 부재(11)의 상단으로부터 하부를 향해서 동일 지름으로 된 제1 스트레이트 구멍부(12a)와, 제1 스트레이트 구멍부(12a)의 하단에 제1 스트레이트 구멍부(12a)보다도 지름이 축소된 단차부(12b)와, 단차부(12b)로부터 하부를 향해서 동일 지름으로 된 제2 스트레이트 구멍부(12c)를 가지고 있다. 또, 통액 구멍(12)은, 캡 본체(8)의 중심축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편의(偏倚)(오프셋)한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내통 부재(11)의 외통 부재(10)보다도 하부측의 외주면에는, 제1 수나사부(13)가 마련되어 있다. 제1 수나사부(13)는, 내통 부재(11)의 하단측으로부터 상부를 향해서 나사 모양으로 돌출된 나사산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캡 본체(8)는, 제1 암나사부(6)와 제1 수나사부(13)를 구성하는 나사산끼리의 나사 결합에 의해서, 용기 본체(2)의 구경부(2c)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내통 부재(11)에는, 지수(止水, 물이 새는 것을 막음) 패킹(14)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지수 패킹(14)은, 링 모양의 씰 부재이며,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 등의 내열성을 가지는 고무나 엘라스토머 등의 탄성 부재로 이루어진다. 한편, 내통 부재(11)의 하단부에는, 플랜지부(11a)가 확경(擴徑) 방향으로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지수 패킹(14)은, 이 플랜지부(11a)에 전체 둘레에 걸쳐서 끼워 장착되어 있다.
또, 지수 패킹(14)의 외주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늘어서는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탄성 플랜지부(14a)가 확경 방향으로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지수 패킹(14)은, 용기 본체(2)의 구경부(2c)에 캡 본체(8)가 장착되었을 때에, 탄성 플랜지부(14a)가 탄성 변형하면서, 용기 본체(2)의 장출부(7)에 전체 둘레에 걸쳐서 밀착한 상태가 된다. 이것에 의해, 장출부(7)(용기 본체(2))와 내통 부재(11)(캡 본체(8))와의 사이를 밀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지수 패킹(14)은, 하측의 탄성 플랜지부(14a)가 장출부(7)의 꼭대기 상측에 접촉하고, 상측의 탄성 플랜지부(14a)가 장출부(7)의 입구측에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장출부(7)(용기 본체(2))와 내통 부재(11)(캡 본체(8))와의 사이의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지수 패킹(14)은, 그것 자체를 탄성 변형시키는(인장하여 늘리는) 것에 의해서, 플랜지부(11a)로부터 떼어내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지수 패킹(14)과 캡 본체(8)를 각각 따로 따로 세정할 수 있고, 지수 패킹(14)과 플랜지부(11a)와의 사이를 위생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 지수 패킹(14)에 대해서는, 상술한 형상의 것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탄성 플랜지부(14a)의 수(數)에 대해서는, 상술한 2개에 한정하지 않고, 1개 또는 3개 이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지수 패킹(14)은, 상술한 탄성 플랜지부(14a)가 마련된 구성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형상 등에 대해 적절히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통액 구멍(12)의 내주면에는, 제2 암나사부(15)가 마련되어 있다. 제2 암나사부(15)는, 제2 스트레이트 구멍부(12c)로부터 하부를 향해서 나선 모양으로 돌출된 나사산으로 구성되어 있다.
캡 본체(8)는, 내통 부재(11)의 통액 구멍(12)으로부터 상부의 일단을 향해서 점차 지름이 확대된 광구부(廣口部)(16)를 가지고 있다. 광구부(16)는, 캡 본체(8)의 통액 구멍(12)이 편의(오프셋)한 측과는 반대측에 위치하고, 캡 본체(8)의 중심축 둘레에 대략 180°의 각도 범위에 걸쳐, 외통 부재(10)보다도 상부로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캡 유닛(1A)에서는, 이러한 광구부(16)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서, 통액 구멍(12)으로부터 유출(流出)한 음료(내용물)를 마시기 쉽게 또는 따르기 쉽게 할 수 있다.
또,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액 구멍(12)의 내주면에는, 통액 홈(17)이 마련되어 있다. 통액 홈(17)은, 통액 구멍(12)의 광구부(16)가 마련된 측의 중앙부를 일정한 폭으로 축선 방향으로 노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덮개체(9)는, 통액 구멍(12)을 개폐하는 것이며,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PP) 등의 내열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중간 마개(18)를 가지고 있다. 중간 마개(18)는, 통액 구멍(12)을 폐색하는 마개부(19)와, 광구부(16)를 폐색하는 덮개부(20)를 가지고 있다.
마개부(19)는, 통액 구멍(12)에 대응한 대략 원기둥 형상을 가지고 있다. 마개부(19)(중간 마개(18))의 외주면에는, 제2 수나사부(21)가 마련되어 있다. 제2 수나사부(21)는, 마개부(19)의 하단측으로부터 상부를 향해서 나선 모양으로 돌출된 나사산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중간 마개(18)(덮개체(9))는, 제2 암나사부(15)와 제2 수나사부(21)를 구성하는 나사산끼리의 나사 결합에 의해서, 캡 본체(8)의 통액 구멍(12)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중간 마개(18)(덮개체(9))는, 캡 본체(8)에 대해서 360°의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서, 캡 본체(8)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중간 마개(18)(덮개체(9))의 전체 높이를 낮게 억제할 수 있다. 또, 후술하는 캡 본체(8)에 대한 덮개체(9)의 방향에 따라서, 통액 구멍(12)에 대한 중간 마개(18)의 폐색 위치와 개방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 마개부(19)(중간 마개(18))의 외주면에는, 통액 홈(22)이 마련되어 있다. 통액 홈(22)은, 통액 구멍(12)을 중간 마개(18)가 폐색한 상태에서, 상기 통액 구멍(12)측의 통액 홈(17)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도록, 제2 수나사부(21)의 일부를 일정한 폭으로 축선 방향으로 노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마개부(19)(중간 마개(18))에는, 덮개 패킹(23)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덮개 패킹(23)은, 링 모양의 씰 부재이며, 상기 지수 패킹(14)과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 등의 내열성을 가지는 고무나 엘라스토머 등의 탄성 부재로 이루어진다. 한편, 마개부(19)의 외주면에는, 링 모양으로 노치된 홈부(19a)가 마련되어 있다. 덮개 패킹(23)은, 이 홈부(19a)에 전체 둘레에 걸쳐서 끼워 장착되어 있다.
덮개 패킹(23)은, 중간 마개(18)의 중심축에 대해 경사진 각도 θ1(<90°)으로, 중간 마개(18)의 외주부에 경사지게 주회한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이 덮개 패킹(23)은, 제2 수나사부(21)보다도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또, 마개부(19)의 외주면을 경사지게 주회하는 덮개 패킹(23) 중, 마개부(19)의 축선 방향에서의 최상부의 위치 A와 최하부의 위치 B는, 마개부(19)의 외주면에서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있다. 그리고, 이 덮개 패킹(23)은, 그 최상부의 위치 A와 통액 홈(22)의 위치가 일치하도록, 마개부(19)의 외주면(홈부(19a))에 장착되어 있다.
덮개 패킹(23)의 외주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늘어서는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탄성 플랜지부(23a)가 확경 방향으로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덮개 패킹(23)은, 캡 본체(8)에 중간 마개(18)(덮개체(9))가 장착되었을 때에, 탄성 플랜지부(23a)가 탄성 변형하면서, 통액 구멍(12)의 제1 스트레이트 구멍부(12a)에 전체 둘레에 걸쳐서 밀착한 상태가 된다. 이것에 의해, 통액 구멍(12)과 중간 마개(18)와의 사이를 밀폐(마개 폐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덮개 패킹(23)은, 그것 자체를 탄성 변형시키는(인장하여 늘리는) 것에 의해서, 홈부(19a)로부터 떼어내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덮개 패킹(23)과 중간 마개(18)를 각각 따로 따로 세정할 수 있어, 덮개 패킹(23)과 홈부(19a)와의 사이를 위생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 덮개 패킹(23)에 대해서는, 상술한 형상의 것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탄성 플랜지부(23a)의 수에 대해서는, 상술한 2개에 한정하지 않고, 1개 또는 3개 이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덮개 패킹(23)은, 상술한 탄성 플랜지부(23a)가 마련된 구성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형상 등에 대해 적절히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덮개부(20)는, 마개부(19)의 상부로부터 통액 홈(22)의 위치와는 반대측을 향해 연장됨과 아울러,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액 구멍(12)의 폐색시에 광구부(16)의 상부 및 외주부를 덮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이 덮개부(20)는, 외통 부재(10)(캡 본체(8))의 외주면과 면일이 되도록 대략 반원 통 모양으로 형성된 외주벽(20a)과, 외주벽(20a)과 마개부(19)와의 사이에 걸쳐서 광구부(16)의 상부를 덮도록 대략 반원 모양으로 형성된 천벽(天壁)(20b)을 가지고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캡 유닛(1A)에서는, 캡 본체(8)에 덮개체(9)를 장착하여 통액 구멍(12) 및 광구부(16)를 폐색할 때에,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먼저, 캡 본체(8)에 덮개체(9)를 씌우는 것에 의해서, 통액 구멍(12)의 내측에 중간 마개(18)가 끼워넣어지고, 통액 구멍(12)의 제1 스트레이트 구멍부(12a)에 덮개 패킹(23)이 접촉한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이 상태로부터, 제2 암나사부(15)(캡 본체(8))에 대해서 제2 수나사부(21)(중간 마개(18))가 나사 결합되는 방향(우회전 방향)으로 덮개체(9)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서, 중간 마개(18)가 회전하면서 통액 구멍(12)의 하부를 향해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덮개 패킹(23)은, 중간 마개(18)와 함께 통액 구멍(12)의 하부로 밀어 넣어지고, 통액 구멍(12)의 제1 스트레이트 구멍부(12a)에 전체 둘레에 걸쳐서 밀착한 상태가 된다.
이 때, 중간 마개(18)측의 통액 홈(22)이 캡 본체(8)측의 통액 홈(17)과는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 중간 마개(18)(마개부(19))의 외주면에 경사지게 주회한 상태로 장착된 덮개 패킹(23) 중, 그 최상부의 위치 A가 캡 본체(8)측의 통액 홈(17)과는 반대측에 위치하고, 그 최하부의 위치 B가 캡 본체(8)측의 통액 홈(17)과 일치하는 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 중간 마개(18)의 덮개부(20)(외주벽(20a) 및 천벽(20b))가 광구부(16)의 상부 및 외주부를 덮음과 아울러, 덮개부(20)(외주벽(20a))의 외주면이 캡 본체(8)(외통 부재(10))의 외주면과 거의 면일이 된다. 이것에 의해, 캡 본체(8)에 장착된 덮개체(9)에 의해서, 통액 구멍(12) 및 광구부(16)를 폐색할 수 있다.
한편, 캡 유닛(1A)에서는, 통액 구멍(12) 및 광구부(16)가 폐색된 상태로부터, 통액 구멍(12) 및 광구부(16)를 개방할 때에, 도 4~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먼저, 제2 암나사부(15)(캡 본체(8))에 대해서 제2 수나사부(21)(중간 마개(18))가 나사 결합되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좌회전 방향)으로, 덮개체(9)를 180°의 각도 범위에서 회전(반회전)시킨다.
이것에 의해, 중간 마개(18)가 회전하면서 통액 구멍(12)의 상부를 향해서 이동함과 아울러, 중간 마개(18)(마개부(19))의 외주면에 경사지게 주회한 상태로 장착된 덮개 패킹(23) 중, 그 최상부의 위치 A가 캡 본체(8)측의 통액 홈(17)과 일치하는 측으로 이동하고, 그 최하부의 위치 B가 캡 본체(8)측의 통액 홈(17)과는 반대측으로 이동한다.
이 때, 덮개 패킹(23)의 최상부의 위치 A가 통액 구멍(12)(제1 스트레이트 구멍부(12a))보다도 상부로 이동하기 때문에, 통액 구멍(12)에 대한 덮개 패킹(23)의 통액 홈(17)이 마련된 측에서의 밀착 상태가 해제된다. 또, 이 상태에서는, 중간 마개(18)측의 통액 홈(22)이 캡 본체(8)측의 통액 홈(17)과 겹치는 위치에 있다. 이것에 의해, 캡 본체(8)에 덮개체(9)가 장착된 상태인 채로, 통액 구멍(12)과 중간 마개(18)와의 사이를 개방(마개 개방)할 수 있다.
또, 통액 구멍(12)은, 캡 본체(8)의 중심축에 대해 광구부(16)와는 반대측으로 편의(오프셋)한 위치에 있기 때문에, 이 통액 구멍(12)의 개방(마개 개방)시에 중간 마개(18)의 덮개부(20)가 광구부(16)와는 반대측으로 크게 이동(시프트)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광구부(16)를 크게 개방할 수 있고, 이 광구부(16)로부터 통액 구멍(12)을 통해 유출되는 음료(내용물)를 직접 마실 때에, 덮개부(20)(중간 마개(18))가 방해가 되는 것을 막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캡 유닛(1A)에서는, 이 상태로부터 더욱, 덮개체(9)를 180°의 각도 범위에서 좌측 방향으로 회전(반회전)시키는 것에 의해서, 제2 암나사부(15)(캡 본체(8))에 대한 제2 수나사부(21)(중간 마개(18))의 나사 결합 상태가 해제된다. 이것에 의해, 캡 본체(8)로부터 덮개체(9)를 떼어내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1A)에서는, 중간 마개(18)의 외주부에 덮개 패킹(23)을 경사지게 주회한 상태로 장착하는 것에 의해서, 상술한 중간 마개(18)가 통액 구멍(12)을 폐색한 상태로부터, 캡 본체(8)에 대해서 덮개체(9)를 좌측 방향으로 180°회전(반회전)시키는 조작만으로, 통액 구멍(12)과 중간 마개(18)와의 사이를 개방(마개 개방)할 수 있다. 한편, 이 상태로부터, 캡 본체(8)에 대해서 덮개체(9)를 우측 방향으로 180°회전(반회전)시키는 조작만으로, 통액 구멍(12)과 중간 마개(18)와의 사이를 폐색(폐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1A)에서는, 통액 구멍(12)의 개폐 조작을 180°의 각도 범위에서 행할 수 있어, 캡 본체(8)에 대한 덮개체(9)의 방향에 의해서, 통액 구멍(12)에 대한 중간 마개(18)의 폐색 위치와 개방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1A)에서는, 캡 본체(8)에 덮개체(9)가 장착된 상태인 채로, 개방된 통액 구멍(12)을 통해 용기 본체(2)에 수용된 음료(내용물)를 광구부(16)로부터 따를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1A)에서는, 캡 본체(8)에 대해서 덮개체(9)를 360°의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서, 캡 본체(8)에 대해서 덮개체(9)를 착탈할 수 있기 때문에, 캡 본체(8)에 대한 덮개체(9)의 착탈 조작이 용이하고, 또한, 덮개체(9)의 전체 높이를 낮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하여,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1A)에서는, 덮개 패킹(23)에 의한 밀폐성을 양호하게 유지하면서, 덮개체(9)를 개폐할 때의 조작성이나 용기 본체(2)에 수용된 음료(내용물)의 주출성(注出性)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캡 유닛(1A)을 구비하는 캡 부착 용기(100)에서는, 사용 편리성의 향상을 한층 더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로서, 예를 들면 도 8~14에 나타내는 캡 유닛(1A)을 구비한 캡 부착 용기(100)에 대해 설명한다. 또, 도 8은, 캡 부착 용기(100)가 구비된 캡 유닛(1B)의 폐색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캡 유닛(1B)의 폐색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캡 유닛(1B)의 폐색 상태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11은, 캡 유닛(1B)의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캡 유닛(1B)의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3은, 캡 유닛(1B)의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14는, 캡 유닛(1B)의 캡 본체(8)로부터 덮개체(9)를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캡 유닛(1A)과 동일한 부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함과 아울러, 도면에서 동일 부호를 부여하는 것으로 한다.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1B)은, 상기 캡 유닛(1A)을 대신하여, 용기 본체(2)에 장착되는 것에 의해서, 상기 캡 부착 용기(100)를 구성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이 캡 유닛(1B)은, 도 8~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캡 본체(8)의 중심축에 대해 경사진 각도 θ2로, 통액 구멍(12A)이 경사지게 배치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것에 맞추어, 제2 암나사부(15)와 제2 수나사부(21)와의 나사 결합에 의해서, 통액 구멍(12A)에 장착된 중간 마개(18)는, 캡 본체(8)의 중심축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된다.
한편, 중간 마개(18)의 외주부에 경사지게 주회한 상태로 장착된 덮개 패킹(23)은, 캡 본체(8)의 중심축에 대해 직교하는 면과 거의 평행하게 배치된다. 즉, 중간 마개(18)의 중심축에 대해 덮개 패킹(23)이 경사하는 각도 θ1과 캡 본체(8)의 중심축에 대해 통액 구멍(12A)이 경사하는 각도 θ2는, θ1 = 90°-θ2의 관계를 만족하고 있다.
캡 본체(8)는, 내통 부재(11)의 통액 구멍(12)으로부터 상부의 일단을 향해서 점차 지름이 확대된 광구부(16)와, 광구부(16)에 연속하여 통액 구멍(12A)의 주위를 둘러싸는 둘레 벽부(24)를 가지고 있다. 또, 상기 통액 홈(17)이 생략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광구부(16)는, 캡 본체(8)의 중심축 둘레에 대략 90°의 각도 범위에 걸쳐서, 외통 부재(10)보다도 상부로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둘레 벽부(24)는, 캡 본체(8)의 중심축에 대해 중간 마개(18)가 경사지게 배치되는데 맞추어, 그 상단이 광구부(16A)측으로부터 그것과는 반대측을 향하여 경사져 마련되어 있다.
중간 마개(18)의 상부에는, 손잡이부(25)가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손잡이부(25)는, 상술한 덮개 패킹(23)의 최상부의 위치 A와 최하부의 위치 B를 평면에서 보아 연결하는 방향을 따라서 판 모양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캡 유닛(1B)에서는, 이 손잡이부(25)를 잡은 상태에서, 캡 본체(8)에 대해서 덮개체(9)를 회전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덮개부(20)는, 외통 부재(10)(캡 본체(8))의 외주면과 면일이 되도록 형성된 외주벽(20a)과, 외주벽(20a)과 마개부(19)와의 사이에 걸쳐서 광구부(16) 및 둘레 벽부(24)의 상부를 덮도록 형성된 천벽(天壁)(20b)을 가지고 있다. 캡 유닛(1B)은, 그것 이외는 캡 유닛(1A)과 기본적으로 동일 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캡 유닛(1B)에서는, 캡 본체(8)에 덮개체(9)를 장착하여 통액 구멍(12A), 광구부(16) 및 둘레 벽부(24)를 폐색할 때에, 도 8~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먼저, 캡 본체(8)에 덮개체(9)를 씌우는 것에 의해서, 통액 구멍(12A)의 내측에 중간 마개(18)가 끼워넣어지고, 통액 구멍(12A)의 제1 스트레이트 구멍부(12a)에 덮개 패킹(23)이 접촉한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이 상태로부터, 제2 암나사부(15)(캡 본체(8))에 대해서 제2 수나사부(21)(중간 마개(18))가 나사 결합되는 방향(우회전 방향)으로 덮개체(9)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서, 중간 마개(18)가 회전하면서 통액 구멍(12A)의 하부를 향해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덮개 패킹(23)은, 중간 마개(18)와 함께 통액 구멍(12A)의 하부로 밀어넣어지고, 통액 구멍(12A)의 제1 스트레이트 구멍부(12a)에 전체 둘레에 걸쳐서 밀착한 상태가 된다.
이 때, 중간 마개(18)측의 통액 홈(22)이 광구부(16)와는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 중간 마개(18)(마개부(19))의 외주면에 경사지게 주회한 상태로 장착된 덮개 패킹(23) 중, 그 최상부의 위치 A가 광구부(16)측과는 반대측에 위치하고, 그 최하부의 위치 B가 광구부(16)와 일치하는 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 중간 마개(18)의 덮개부(20)(외주벽(20a) 및 천벽(20b))가 광구부(16)의 상부 및 외주부와 둘레 벽부(24)의 상부를 덮음과 아울러, 덮개부(20)(외주벽(20a))의 외주면이 캡 본체(8)(외통 부재(10))의 외주면과 거의 면일이 된다. 이것에 의해, 캡 본체(8)에 장착된 덮개체(9)에 의해서, 통액 구멍(12A), 광구부(16) 및 둘레 벽부(24)를 폐색할 수 있다.
한편, 캡 유닛(1B)에서는, 통액 구멍(12A), 광구부(16) 및 둘레 벽부(24)가 폐색된 상태로부터, 통액 구멍(12A) 및 광구부(16)를 개방할 때에, 도 11~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먼저, 제2 암나사부(15)(캡 본체(8))에 대해서 제2 수나사부(21)(중간 마개(18))가 나사 결합되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좌회전 방향)으로, 덮개체(9)를 180°의 각도 범위에서 회전(반회전)시킨다.
이것에 의해, 중간 마개(18)가 회전하면서 통액 구멍(12A)의 상부를 향해서 이동함과 아울러, 중간 마개(18)(마개부(19))의 외주면에 경사지게 주회한 상태로 장착된 덮개 패킹(23) 중, 그 최상부의 위치 A가 광구부(16)와 일치하는 측으로 이동하고, 그 최하부의 위치 B가 광구부(16)와는 반대측으로 이동한다.
이 때, 덮개 패킹(23)의 최상부의 위치 A가 통액 구멍(12A)(제1 스트레이트 구멍부(12a))보다도 상부로 이동하기 때문에, 통액 구멍(12A)에 대한 덮개 패킹(23)의 광구부(16)측에서의 밀착 상태가 해제된다. 또, 이 상태에서는, 중간 마개(18)의 통액 홈(22)이 광구부(16)측에 있다. 이것에 의해, 캡 본체(8)에 덮개체(9)가 장착된 상태인 채로, 통액 구멍(12A)과 중간 마개(18)와의 사이를 개방(마개 개방)할 수 있다.
한편, 캡 유닛(1B)에서는, 이 상태로부터 더욱, 덮개체(9)를 180°의 각도 범위에서 좌측 방향에서 회전(반회전)시키는 것에 의해서, 제2 암나사부(15)(캡 본체(8))에 대한 제2 수나사부(21)(중간 마개(18))의 나사 결합 상태가 해제된다. 이것에 의해, 캡 본체(8)로부터 덮개체(9)를 떼어내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1B)에서는, 중간 마개(18)의 외주부에 덮개 패킹(23)을 경사지게 주회한 상태로 장착하는 것에 의해서, 상술한 중간 마개(18)가 통액 구멍(12A)을 폐색한 상태로부터, 캡 본체(8)에 대해서 덮개체(9)를 좌측 방향으로 180°회전(반회전)시키는 조작만으로, 통액 구멍(12A)과 중간 마개(18)와의 사이를 개방(마개 개방)할 수 있다. 한편, 이 상태로부터, 캡 본체(8)에 대해서 덮개체(9)를 우측 방향으로 180°회전(반회전)시키는 조작만으로, 통액 구멍(12A)과 중간 마개(18)와의 사이를 폐색(마개 폐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1B)에서는, 통액 구멍(12A)의 개폐 조작을 180°의 각도 범위에서 행할 수 있고, 캡 본체(8)에 대한 덮개체(9)의 방향에 의해서, 통액 구멍(12A)에 대한 중간 마개(18)의 폐색 위치와 개방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1B)에서는, 캡 본체(8)에 덮개체(9)가 장착된 상태인 채로, 개방된 통액 구멍(12A)을 통해 용기 본체(2)에 수용된 음료(내용물)를 광구부(16)로부터 따를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1B)에서는, 캡 본체(8)에 대해서 덮개체(9)를 360°의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서, 캡 본체(8)에 대해서 덮개체(9)를 착탈할 수 있기 때문에, 캡 본체(8)에 대한 덮개체(9)의 착탈 조작이 용이하고, 또한, 덮개체(9)의 전체 높이를 낮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하여,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1B)에서는, 덮개 패킹(23)에 의한 밀폐성을 양호하게 유지하면서, 덮개체(9)를 개폐할 때의 조작성이나 용기 본체(2)에 수용한 음료(내용물)의 주출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캡 유닛(1B)을 구비하는 캡 부착 용기(100)에서는, 사용 편리성의 향상을 한층 더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의 것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캡 유닛(1A)에서는, 통액 구멍(12, 12A)측에 통액 홈(17)과, 중간 마개(18)측에 통액 홈(22)을 마련한 구성으로 되고, 상기 캡 유닛(1B)에서는, 중간 마개(18)측에 통액 홈(22)을 마련한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이러한 통액 홈에 대해서는, 통액 구멍(12, 12A)측과 중간 마개(18)측 중 어느 일방 또는 양쪽 모두에 마련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캡 유닛(1A, 1B)에서는, 상술한 통액 홈(17, 22) 외에도, 중간 마개(18)에 통기 홈을 마련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통기 홈은, 개방된 통액 구멍(12, 12A)을 통해 용기 본체(2)에 수용된 음료(내용물)를 따를 때에, 외부의 공기를 용기 본체(2)의 내부로 도입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통기 홈에 대해서는, 통액 구멍(12, 12A)의 개방시에 통액 홈(17, 22)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도록, 제2 수나사부(21)의 일부를 축선 방향으로 노치하도록 하여 형성하면 좋다.
또, 본 발명은, 상술한 진공 단열 구조를 가지는 용기 본체(2)에 의해서 보온·보냉 기능을 갖게 한 캡 부착 용기(100)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이러한 진공 단열 구조를 가지는 용기 본체(2)를 구비한 것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캡 유닛이 용기 본체의 구경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캡 부착 용기에 대해서 폭넓게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100 - 캡 부착 용기 1A, 1B - 캡 유닛
2 - 용기 본체 2c - 구경부
2d - 상부 개구부 3 - 외부 용기
4 - 내부 용기 5 - 진공 단열층
6 - 제1 암나사부 7 - 장출부
8 - 캡 본체 9 - 덮개체
10 - 외통 부재 11 - 내통 부재
12, 12A - 통액 구멍 13 - 제1 수나사부
14 - 지수 패킹 15 - 제2 암나사부
16 - 광구부 17 - 통액 홈
18 - 중간 마개 19 - 마개부
20 - 덮개부 21 - 제2 수나사부
22 - 통액 홈 23 - 덮개 패킹(씰 부재)
24 - 둘레 벽부 25 - 손잡이부
A - 최상부의 위치 B - 최하부의 위치

Claims (9)

  1. 상부가 개구된 용기 본체의 구경부(口勁部)에 장착됨과 아울러, 그 내측에 통액(通液) 구멍이 마련된 캡 본체와, 상기 통액 구멍을 개폐하는 덮개체를 구비하며,
    상기 덮개체는, 상기 통액 구멍에 나사 결합에 의해 장착된 상태로, 상기 통액 구멍을 폐색하는 중간 마개와,
    상기 중간 마개의 외주부에 전체 둘레에 걸쳐서 장착되어, 상기 통액 구멍과 상기 중간 마개와의 사이를 밀폐하는 씰 부재를 가지며,
    상기 씰 부재는, 상기 중간 마개의 중심축에 대해 경사진 각도로, 상기 중간 마개의 외주부에 경사지게 주회(周回)한 상태로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액 구멍은, 상기 캡 본체의 중심축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액 구멍은, 상기 캡 본체의 중심축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편의(偏倚)한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마개는, 상기 통액 구멍에 마련된 암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는 수나사부와, 상기 수나사부의 일부를 축선 방향으로 노치하는 통액 홈을 가지며,
    상기 씰 부재는, 상기 수나사부보다도 상부에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중간 마개의 외주부를 주회하는 최상부의 위치와 상기 통액 홈의 위치가 일치한 상태로, 상기 중간 마개의 외주부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캡 본체는, 상기 통액 구멍의 일부를 축선 방향으로 노치하는 통액 홈을 가지며,
    상기 통액 홈은, 상기 통액 구멍의 폐색시에 상기 중간 마개측의 통액 홈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캡 본체는, 상기 통액 구멍으로부터 상부의 일단을 향해서 점차 지름이 확대된 광구부(廣口部)를 가지며,
    상기 중간 마개는, 상기 광구부를 폐색하는 덮개부를 가지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중간 마개의 상부로부터 상기 통액 홈의 위치와는 반대측을 향해 연장됨과 아울러, 상기 통액 구멍의 폐색시에 적어도 상기 광구부의 상부를 덮는 형상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체는, 상기 캡 본체에 대해서 360°의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서, 상기 캡 본체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캡 유닛과,
    상기 캡 유닛이 장착된 용기 본체를 구비하는 캡 부착 용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는, 진공 단열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부착 용기.
KR1020180025234A 2017-03-03 2018-03-02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 KR1025128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40375 2017-03-03
JP2017040375A JP6882014B2 (ja) 2017-03-03 2017-03-03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1257A KR20180101257A (ko) 2018-09-12
KR102512843B1 true KR102512843B1 (ko) 2023-03-23

Family

ID=63486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5234A KR102512843B1 (ko) 2017-03-03 2018-03-02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882014B2 (ko)
KR (1) KR102512843B1 (ko)
CN (1) CN108528974B (ko)
HK (1) HK1255049A1 (ko)
TW (1) TWI67124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17458B2 (ja) * 2019-05-23 2024-01-18 サーモス株式会社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JP7323335B2 (ja) * 2019-05-23 2023-08-08 サーモス株式会社 キャップ付き容器
JP7549449B2 (ja) * 2019-10-08 2024-09-11 サーモス株式会社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CN114275355B (zh) * 2019-12-10 2024-08-23 中山市华宝勒生活用品有限公司 一种多功能封闭盖组件
JP7549975B2 (ja) 2020-05-29 2024-09-12 象印マホービン株式会社 複合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飲料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3058102A (ja) * 2021-10-13 2023-04-25 サーモス株式会社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CN217885654U (zh) * 2021-12-13 2022-11-25 杭州乐周科技有限公司 多开盖式保温杯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17386A (ja) 2009-02-09 2012-08-02 ピーアイ デザイン アーゲー 飲料容器用閉鎖体
JP2014005065A (ja) 2012-06-26 2014-01-16 Thermos Kk 飲料用容器の栓体
JP2015209216A (ja) 2014-04-24 2015-11-24 ピーコック魔法瓶工業株式会社 携帯飲料容器
JP2016050029A (ja) 2014-09-02 2016-04-11 オルゴ株式会社 飲料用容器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2939Y2 (ja) * 1979-11-10 1983-05-16 ライオン株式会社 容器
JPS60123143U (ja) * 1984-01-31 1985-08-20 日本酸素株式会社 栓付容器
US6032813A (en) * 1997-09-12 2000-03-07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Ball and socket closure for specimen collection container incorporating an integral flexible seal
JP4154722B2 (ja) 1998-03-27 2008-09-24 サーモス株式会社 液体用容器の開口口部の構造
CN2597396Y (zh) * 2002-12-12 2004-01-07 膳魔师(中国)家庭制品有限公司 饮料保温杯
JP4481087B2 (ja) * 2004-04-28 2010-06-16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液塗布用具
US9321064B2 (en) * 2010-09-24 2016-04-26 Blake Vanier Drinking vessel with pump and methods
US8360258B2 (en) * 2010-11-15 2013-01-29 Pacific Market International, Llc Beverage container closure
CN202022420U (zh) * 2011-03-14 2011-11-02 熊成双 一种新型瓶盖
JP5430689B2 (ja) * 2012-01-27 2014-03-05 サーモス株式会社 飲料用容器の栓体
JP5503039B1 (ja) * 2013-02-27 2014-05-28 サーモス株式会社 飲料用容器の栓体
US9113698B2 (en) * 2013-03-15 2015-08-25 Camelbak Products, Llc Drink containers and cap assemblies
JP5826874B2 (ja) * 2014-02-20 2015-12-02 株式会社セブン・セブン コーヒー収納容器
JP6652876B2 (ja) * 2015-08-04 2020-02-26 サーモス株式会社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飲料用容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17386A (ja) 2009-02-09 2012-08-02 ピーアイ デザイン アーゲー 飲料容器用閉鎖体
JP2014005065A (ja) 2012-06-26 2014-01-16 Thermos Kk 飲料用容器の栓体
JP2015209216A (ja) 2014-04-24 2015-11-24 ピーコック魔法瓶工業株式会社 携帯飲料容器
JP2016050029A (ja) 2014-09-02 2016-04-11 オルゴ株式会社 飲料用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833002A (zh) 2018-09-16
CN108528974B (zh) 2021-01-05
JP6882014B2 (ja) 2021-06-02
CN108528974A (zh) 2018-09-14
JP2018144840A (ja) 2018-09-20
TWI671240B (zh) 2019-09-11
HK1255049A1 (zh) 2019-08-02
KR20180101257A (ko) 2018-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2843B1 (ko)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
KR101774176B1 (ko) 이중 마개 구조를 가지는 액체 용기
US20140312077A1 (en) Plug assembly for beverage container
JP2012206764A (ja) 飲料用容器の栓体
JP6893424B2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JP2019001538A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JP2013035608A (ja) 飲料ボトルまたは飲料カップ用の閉鎖システム
KR102341050B1 (ko) 캡 유닛 및 음료용 용기
KR20220023968A (ko) 단열 컨테이너용 환기 뚜껑
US20190127130A1 (en) Portable beverage container
JP2008207867A (ja) 注出用口栓
JP6051616B2 (ja) 飲料用容器の栓体
JP2014091525A (ja) 吐出キャップ
US20150353246A1 (en) Lockable Closure Device
JP2021187450A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JP7105074B2 (ja) 飲料用容器
KR200445243Y1 (ko) 수도 꼭지용 카트리지 밸브
JP2017030829A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飲料用容器
JP4774296B2 (ja) 複合ヒンジキャップ
JP2020186015A (ja) 蓋付き容器
KR100541339B1 (ko) 유출방향 변경부재를 포함하는 저장 용기용 마개 체결부재 및 그러한 마개 체결 부재를 포함하는 덮개 조립체
KR20210111174A (ko)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
KR200485001Y1 (ko) 포장 용기
RU175795U1 (ru) Колпачок с крышкой
KR20230052823A (ko)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