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1373B1 - 정수기용 안전콕밸브 - Google Patents

정수기용 안전콕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1373B1
KR101421373B1 KR1020130009283A KR20130009283A KR101421373B1 KR 101421373 B1 KR101421373 B1 KR 101421373B1 KR 1020130009283 A KR1020130009283 A KR 1020130009283A KR 20130009283 A KR20130009283 A KR 20130009283A KR 101421373 B1 KR101421373 B1 KR 101421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ap
fluid chamber
safety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9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중철
신외숙
오세권
Original Assignee
정중철
오세권
신외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중철, 오세권, 신외숙 filed Critical 정중철
Priority to KR1020130009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1373B1/ko
Priority to CN201310516903.0A priority patent/CN103968137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1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13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4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58Details
    • B67D3/0074Safety or warn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1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with additional mechanism between armature and closur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5/00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 F16K35/02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to be locked or disconnected by means of a pushing or pulling action
    • F16K35/022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to be locked or disconnected by means of a pushing or pulling action the locking mechanism being actuated by a separate actuating element
    • F16K35/025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to be locked or disconnected by means of a pushing or pulling action the locking mechanism being actuated by a separate actuating element said actuating element being operated manually (e.g. a push-button located in the valve actu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5/00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 F16K35/04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yieldingly resisting the actu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 Preventing Unauthorised Actuation Of Valve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기용 안전콕밸브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부속품이 물속에 잠기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콕밸브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안전콕밸브는 밸브케이싱과, 마개와, 캡과, 개폐수단과, 안전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밸브케이싱은 유체실과, 상기 유체실로 유체를 안내하는 유입포트와, 상기 유체실의 유체를 배출시키는 배출포트를 구비한다. 상기 마개는 상기 유입포트에서 상기 배출포트로 유체가 흘러가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유체실을 막는다. 상기 캡은 상기 마개에 의하여 상기 유체실과 밀폐되는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케이싱에 결합된다.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어 상기 유체실이 개폐되도록 상기 마개를 이동시킨다. 상기 안전수단은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어 상기 개폐수단에 의하여 상기 마개가 이동하는 것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체실과 캡의 수용부가 마개에 의하여 분리되고, 개폐수단과 안전수단 등이 캡의 수용부에 설치되므로 이들이 정수물과 접촉하지 않는다. 그래서 물때 등이 끼지 아니하므로 본 발명의 안전콕밸브는 위생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정수기용 안전콕밸브{Safety cock valve for 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정수기용 안전콕밸브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부속품이 물속에 잠기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콕밸브에 대한 것이다.
냉온정수기는 물을 냉수와 온수로 나누어 공급한다. 이때 냉수는 밸브를 누르면 물이 바로 공급되지만 온수의 경우 사용자의 안전을 위하여 안전콕밸브를 사용한다.
도 14는 등록특허 제10-0476679호에 개시된 안전콕밸브의 단면도이다. 도 14에 개시된 안전콕밸브의 경우 정수물은 도입포트(12)에서 공급되어 밸브실(11)에 머물렀다가 배출포트(13)로 배출된다. 밸브실(11)에는 밸브체(20)가 설치되어 밸브체(20)가 정수물이 공급되는 유로를 개폐한다.
도 14에 도시된 종래의 안전콕밸브의 경우 밸브체(20)에 밸브실(11)에 설치되므로 밸브체(20)가 물 속에 잠기게 된다.
이 경우 밸브체(20)의 각각의 부속품 들이 물 속에 오랜동안 잠겨있으므로 각각의 부속품에 물때가 발생하여 위생상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안전콕밸브의 경우, 사용자가 무리한 힘으로 푸시버튼(47)을 누르면 푸시버튼(47)의 하중이 걸림편(55)에 전달되어 걸림편(55)이 파손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부속품이 물속에 잠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정수기용 안전콕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버튼에 무리한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파손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정수기용 안전콕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안전콕밸브는 밸브케이싱과, 마개와, 캡과, 개폐수단과, 안전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밸브케이싱은 유체실과, 상기 유체실로 유체를 안내하는 유입포트와, 상기 유체실의 유체를 배출시키는 배출포트를 구비한다. 상기 마개는 상기 유입포트에서 상기 배출포트로 유체가 흘러가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유체실을 막는다. 상기 캡은 상기 마개에 의하여 상기 유체실과 밀폐되는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케이싱에 결합된다.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어 상기 유체실이 개폐되도록 상기 마개를 이동시킨다. 상기 안전수단은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어 상기 개폐수단에 의하여 상기 마개가 이동하는 것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의 안전콕밸브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일단은 상기 마개에 결합되며 일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제1개폐샤프트와, 일단은 상기 캡에서 노출되고 타단은 상기 제1개폐샤프트의 타단과 자력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캡에 삽입되어 상기 일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제2개폐샤프트와, 상기 제2개폐샤프트를 상기 일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개폐샤프트의 타단에 결합된 개폐버튼과, 상기 제2개폐샤프트의 이동을 복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안전수단은 상기 제1개폐샤프트의 이동을 제어한다.
또는, 상기의 안전콕밸브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일단은 상기 마개에 결합되며 일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제1개폐샤프트와, 일단은 상기 캡에서 노출되고 타단은 상기 제1개폐샤프트의 타단과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캡에 삽입되어 상기 일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제2개폐샤프트와, 상기 제2개폐샤프트를 상기 일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개폐샤프트의 타단에 결합된 개폐버튼과, 상기 제2개폐샤프트의 이동을 복귀시킬 수 있게 상기 제2개폐샤프트를 지지하도록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스프링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안전수단은 상기 제1개폐샤프트의 이동을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마개는 탄성부를 구비하여 상기 일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유체실을 개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탄성부가 상기 유체실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의 안전콕밸브에 있어서, 상기 제1개폐샤프트는 일단과 타단 사이에서 관통홈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홈에는 돌기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안전수단은 일단은 상기 캡에서 노출되며 상기 관통홈을 따라 슬라이딩을 할 수 있게 상기 관통홈에 삽입되고 일측에 상기 돌기홈에 삽입될 수 있는 멈춤돌기가 형성된 안전키와, 상기 안전키를 슬라이딩 시킬 수 있게 상기 안전키의 일단에 장착된 푸쉬버튼과, 상기 안전키가 슬라이딩하면 상기 안전키를 복귀시키기 위한 스프링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안전키가 복귀하면 상기 멈춤돌기가 상기 돌기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개폐샤프트가 상기 일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며, 상기 안전키가 슬라이딩을 하면 상기 멈춤돌기가 상기 돌기홈에서 이탈하여 상기 제1개폐샤프트가 상기 일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안전콕밸브에 있어서, 상기 개폐버튼은 회동하면 상기 제2개폐샤프트를 상기 일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개폐샤프트의 타단에 회동할 수 있게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안전콕밸브에 있어서, 상기 밸브케이싱은 상기 배출포트로 유체를 안내하며 상기 유체실에 수용된 유체에 잠기도록 상기 유체실에서 돌기된 하는 관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마개가 상기 관을 개폐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체실과 캡의 수용부가 마개에 의하여 분리되고, 개폐수단과 안전수단 등이 캡의 수용부에 설치되므로 이들이 정수물과 접촉하지 않는다. 그래서 물때 등이 끼지 아니하므로 본 발명의 안전콕밸브는 위생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개폐수단이 자석에 의하여 결합하고 안전수단이 이를 제어하므로 안전수단에 무리한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개폐수단이 파손되거나 손상될 염려가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안전콕밸브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측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분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제1개폐샤프트의 정면도,
도 5 내지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동작도,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관으로 배출되는 정수 물의 개념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안전콕밸브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11 내지 도 13은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의 동작도,
도 14은 종래의 안전콕밸브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안전콕밸브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콕밸브는 밸브케이싱(110)과, 마개(120)와, 캡(125)과, 개폐수단(130)과, 안전수단(150)을 포함한다.
밸브케이싱(110)은 정수기에서 정수된 물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밸브케이싱(110)은 유체실(111)과, 유입포트(113)와, 배출포트(115) 및 관(117)을 구비한다.
유입포트(113)는 정수 물을 유체실(111)로 안내하며, 배출포트(115)는 유체실(111)의 정수 물을 배출시킨다. 그래서 유입포트(113)에서 유체실(111) 그리고 배출포트(115)로 유로가 형성된다. 관(117)은 유체실(111)의 정수 물이 관(117)을 통하여 배출포트(115)로 배출되도록 유체실(111)에 형성되며 이때 관(117)은 유체실(111)에 수용된 정수 물에 잠기도록 유체실(111)에서 돌기되어 형성된다.
마개(120)는 정수 물이 유입포트(113)에서 배출포트(115)로 흘러가는 것을 차단하도록 유체실(111)을 막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마개(120)는 관(117)의 입구에 설치되어 유체실(111)의 유로를 폐쇄한다.
캡(125)은 내부에 수용부(126)를 구비하고 밸브케이싱(110)에 결합된다. 이때 수용부(126)가 마개(120)에 의하여 밸브케이싱(110)의 유체실(111)과 밀폐되도록 밸브케이싱(110)과 결합한다.
개폐수단(130)은 수용부(126)에 삽입되어 유체실(111)이 개폐되도록 마개(120)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개폐수단(130)은 제1개폐샤프트(131)와, 제2개폐샤프트(139)와, 개폐버튼(143) 및 스프링(145)을 구비한다.
제1개폐샤프트(131)는 일단(131a)은 마개(120)에 결합되고 타단(131b)에는 제1자석(135)이 결합되며, 일방향(101)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수요부(126)에 설치된다. 그리고 일단(131a)과 타단(131b)의 사이에는 관통홈(133)이 형성되고, 관통홈(133)에는 돌기홈(134)이 형성된다.
제2개폐샤프트(139)는 일단(139a)은 제1자석(135)과 자력으로 결합할 수 있는 제2자석(141)이 결합되고 타단(139b)은 캡(125)에서 노출되도록 수용부(126)에 설치된다. 그래서 제1개폐샤프트(131)와 제2개폐샤프트(139)는 제1자석(135)과 제2자석(141)의 자력으로 서로 결합한다. 이때 제1자석(135) 또는 제2자석(141) 중 어느 하나는 자석이 아니라 자석과 결합할 수 있는 자성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개폐버튼(143)은 개폐버튼(143)을 누르면 제2개폐샤프트(139)가 일방향(101)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2개폐샤프트(139)의 타단(139b)에 결합된다.
스프링(145)는 제2개폐샤프트(139)가 개폐버튼(143)에 의하여 이동하면 제2개폐샤프트(139)를 복귀시킬 수 있도록 수용부(126)에 설치된다. 그래서 사용자가 개폐버튼(143)을 누르면 제2개폐샤프트(139)가 일방향으로 이동을 하고, 사용자가 개폐버튼(143)에서 힘을 제거하면 스프링(145)에 의하여 제2개폐샤프트(139)가 원래의 위치로 돌아온다.
안전수단(150)은 제1개폐샤프트(131)의 이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안전수단(150)은 안전키(151)와, 푸쉬버튼(153)과, 스프링(155)을 구비한다.
안전키(151)는 일단(151a)은 캡(125)에서 노출되며 제1개폐샤프트(131)의 관통홈(133)을 따라 슬라이딩을 할 수 있게 관통홈(133)에 삽입되도록 캡(125)의 수용부(126)에 설치된다. 이때 안전키(151)에는 그 측면에 멈춤돌기(152)가 형성된다. 멈춤돌기(152)는 관통홈(133)에 형성된 돌기홈(134)에 삽입되고, 안전키(151)가 관통홈(133)을 따라 슬라이딩을 하여 삽입되면 돌기홈(134)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푸쉬버튼(153)은 사용자가 안전키(151)를 슬라이딩 시킬 수 있게 안전키(151)의 일단(151a)에 장착된다.
스프링(155)은 안전키(151)가 슬라이딩을 하여 삽입되면 안전키(151)를 복귀시킬 수 있도록 캡(125)에 설치된다. 즉 푸쉬버튼(153)을 누르지 않으면 멈춤돌기(152)가 돌기홈(134)에 삽입되어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푸쉬버튼(153)을 누르면 안전키(151)가 슬라이딩을 하여 삽입되고 이때 멈춤돌기(152)는 돌기홈(134)에서 벗어난다. 그리고 사용자가 푸쉬버튼(153)에서 힘을 제거하면 스프링(155)에 의하여 안전키(151)가 복귀하여 멈춤돌기(152)는 돌기홈(134)으로 삽입된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의 경우 푸쉬버튼(153) 및 개폐버튼(143) 모두가 눌러져 있지 아니한 경우이다. 이 경우 마개(120)가 관(117)을 막고 있으므로 유체실(111) 내의 정수 물은 배출포트(115)로 배출되지 못한다. 유체실(111)에는 정수 물로 채워져 있다. 한편 마개(120)에 의하여 캡(125)의 수용부(126)와 유체실(111)은 밀폐되어 있으므로 정수 물은 캡(125)의 수용부(126)로 전달되지 않는다. 그래서 캡(125)의 수용부(126)에 설치된 개폐수단(130) 및 안전수단(150)은 정수 물과 접촉하지 아니한다. 이로 인하여 개폐수단(130) 및 안전수단(150)이 물을 오염시킬 염려가 없다.
도 6의 경우와 같이 사용자가 푸쉬버튼(153) 만을 누르면 안전키(151)가 슬라이딩을 한다. 그래서 멈춤돌기(152)가 돌기홈(134)에서 이탈한다. 이 경우 제1개폐샤프트(131)가 이동을 하는 것은 아니므로 마개(120)가 관(117)을 막아서 유체실(111) 내의 정수 물은 배출포트(115)로 배출되지 못한다.
만약 도 7과 같이 사용자가 개폐버튼(143) 만을 누르면 개폐버튼(143)이 회동하여 제2개폐샤프트(139)을 화살표 101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제2개폐샤프트(139)가 상승하면 제2개폐샤프트(139)의 제2자석(141)이 제1개폐샤프트(131)의 제1자석(135)을 잡아당긴다. 그러나 이때 안전키(151)의 멈춤돌기(152)가 돌기홈(134)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안전키(151)가 제1개폐샤프트(131)가 이동하는 것을 저지한다. 따라서 제2개폐샤프트(139) 만 화살표 101의 방향으로 이동을 한다. 그래서 마개(120)가 여전히 관(117)을 막고 있어서 유체실(111) 내의 정수 물은 배출포트(115)로 배출되지 못한다.
그러나 도 8과 같이 사용자가 개폐버튼(143) 및 안전키(151)를 동시에 누르면 안전키(151)가 슬라이딩을 하여 멈춤돌기(152)가 돌기홈(134)에서 벗어난다. 그러면 제1개폐샤프트(151)는 화살표 101의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이는 관통홈(133)의 크기가 커서 안전키(151)와 관통홈(133) 사이에 여유가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개폐버튼(143)이 회동을 하여 제2개폐샤프트(139)가 화살표 101의 방향으로 상승을 하면 제2개폐샤프트(139)의 제2자석(141)이 제1개폐샤프트(131)의 제1자석(135)을 잡아당긴다. 그러면 제1개폐샤프트(131)가 제1자석(135) 및 제2자석(141)의 인력에 의하여 화살표 101의 방향으로 상승한다. 마개(120)는 제1개폐샤프트(131)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제1개폐샤프트(131)의 상승에 의하여 마개(120)도 함께 상승하여 관(117)이 개방된다. 이로 인하여 유체실(111) 내부의 정수 물은 배출포트(115)로 배출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경우 푸쉬버튼(153) 및 개폐버튼(143)을 함께 눌러야만 관(117)이 개방되어 정수 물이 배출포트(115)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배출포트(115)로 정수 물이 배출될 때, 관(117)은 유체실(111) 내의 정수 물에 잠겨져 있으므로 도 9와 같이 관(117)의 원주 둘레의 모든 면에서 정수 물이 배출된다. 이 경우 배출포트(115)로 물이 배출될 때 정수 물이 회오리치지 않고 일정하게 배출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안전콕밸브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1 내지 도 9의 실시예의 경우 개폐버튼(143)과 푸쉬버튼(153)이 모두 눌러진 경우 제2개폐샤프트(139)가 일방향(101)으로 상승하면 제1자석(135) 및 제2자석(141)의 자력에 의하여 제1개폐샤프트(131)가 상승하여 유체실(111)이 개방되었다. 즉 자석의 힘에 의하여 제1개폐샤프트(131)가 상승하였다. 도 10 내지 도 13의 실시예의 경우 제1자석(135) 및 제2자석(141)이 구비되지 아니하고 대신 마개(120)에 탄성부(121)가 형성되어 탄성부(121)에 의하여 마개(120)가 일방향(101)으로 상승할 수 있도록 유체실(111)에 결합된다.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개(120)가 제1개폐샤프트(131)에 의하여 유체실(111)이 폐쇄되도록 눌러진 경우 탄성부(121)가 변형된다. 그래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키(151)가 슬라이딩을 하고 개폐버튼(143)이 눌러져서 제2개폐샤프트(139)가 일방향(101)으로 상승하면 제1개폐샤프트(131)를 구속하는 수단이 없어지므로 마개(120)의 탄성부(121)가 복원하여 제1개폐샤프트(131)를 일방향(101)으로 상승시킨다. 그러면 유체실(111)이 개방된다.
110 : 밸브케이싱 111 : 유체실
113 : 유입포트 115 : 배출포트
117 : 관 120 : 마개
121 : 탄성부 125 : 캡
126 : 수용부 130 : 개폐수단
131 : 제1개폐샤프트 133 : 관통홈
134 : 돌기홈 135 : 제1자석
139 : 제2개폐샤프트 141 : 제2자석
143 : 개폐버튼 145 : 스프링
150 : 안전수단 151 : 안전키
152 : 멈춤돌기 153 : 푸쉬버튼
155 : 스프링

Claims (6)

  1. 유체실과, 상기 유체실로 유체를 안내하는 유입포트와, 상기 유체실의 유체를 배출시키는 배출포트를 구비한 밸브케이싱과,
    상기 유입포트에서 상기 배출포트로 유체가 흘러가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유체실을 막기 위한 마개와,
    상기 마개에 의하여 상기 유체실과 밀폐되는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케이싱에 결합된 캡과,
    일단은 상기 마개에 결합되며 일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제1개폐샤프트와, 일단은 상기 캡에서 노출되고 타단은 상기 제1개폐샤프트의 타단과 자력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캡에 삽입되어 상기 일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제2개폐샤프트와, 상기 제2개폐샤프트를 상기 일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개폐샤프트의 타단에 결합된 개폐버튼과, 상기 제2개폐샤프트의 이동을 복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스프링을 구비하여 상기 유체실이 개폐되도록 상기 마개를 이동시키는 개폐수단과,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어 상기 마개가 이동하는 것을 제어하는 안전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개폐샤프트는 일단과 타단 사이에서 관통홈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홈에는 돌기홈이 형성되며,
    상기 안전수단은 일단은 상기 캡에서 노출되며 상기 관통홈을 따라 슬라이딩을 할 수 있게 상기 관통홈에 삽입되고 일측에 상기 돌기홈에 삽입될 수 있는 멈춤돌기가 형성된 안전키와, 상기 안전키를 슬라이딩 시킬 수 있게 상기 안전키의 일단에 장착된 푸쉬버튼과, 상기 안전키가 슬라이딩하면 상기 안전키를 복귀시키기 위한 스프링을 구비하며,
    상기 안전키가 복귀하면 상기 멈춤돌기가 상기 돌기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개폐샤프트가 상기 일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며, 상기 안전키가 슬라이딩을 하면 상기 멈춤돌기가 상기 돌기홈에서 이탈하여 상기 제1개폐샤프트가 상기 일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안전콕밸브.
  2. 유체실과, 상기 유체실로 유체를 안내하는 유입포트와, 상기 유체실의 유체를 배출시키는 배출포트를 구비한 밸브케이싱과,
    탄성부를 구비하며, 상기 유입포트에서 상기 배출포트로 유체가 흘러가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유체실을 막으며, 일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유체실을 개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탄성부가 상기 유체실에 결합된 마개와,
    상기 마개에 의하여 상기 유체실과 밀폐되는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케이싱에 결합된 캡과,
    일단은 상기 마개에 결합되며 상기 일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제1개폐샤프트와, 일단은 상기 캡에서 노출되고 타단은 상기 제1개폐샤프트의 타단과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캡에 삽입되어 상기 일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제2개폐샤프트와, 상기 제2개폐샤프트를 상기 일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개폐샤프트의 타단에 결합된 개폐버튼과, 상기 제2개폐샤프트의 이동을 복귀시킬 수 있게 상기 제2개폐샤프트를 지지하도록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스프링을 구비하여 상기 유체실이 개폐되도록 상기 마개를 이동시키는 개폐수단과,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어 상기 마개가 이동하는 것을 제어하는 안전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개폐샤프트는 일단과 타단 사이에서 관통홈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홈에는 돌기홈이 형성되며,
    상기 안전수단은 일단은 상기 캡에서 노출되며 상기 관통홈을 따라 슬라이딩을 할 수 있게 상기 관통홈에 삽입되고 일측에 상기 돌기홈에 삽입될 수 있는 멈춤돌기가 형성된 안전키와, 상기 안전키를 슬라이딩 시킬 수 있게 상기 안전키의 일단에 장착된 푸쉬버튼과, 상기 안전키가 슬라이딩하면 상기 안전키를 복귀시키기 위한 스프링을 구비하며,
    상기 안전키가 복귀하면 상기 멈춤돌기가 상기 돌기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개폐샤프트가 상기 일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며, 상기 안전키가 슬라이딩을 하면 상기 멈춤돌기가 상기 돌기홈에서 이탈하여 상기 제1개폐샤프트가 상기 일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안전콕밸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버튼은 회동하면 상기 제2개폐샤프트를 상기 일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개폐샤프트의 타단에 회동할 수 있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안전콕밸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케이싱은 상기 배출포트로 유체를 안내하며 상기 유체실에 수용된 유체에 잠기도록 상기 유체실에서 돌기된 하는 관을 더 구비하며,
    상기 마개가 상기 관을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안전콕밸브.
  5. 삭제
  6. 삭제
KR1020130009283A 2013-01-28 2013-01-28 정수기용 안전콕밸브 KR1014213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9283A KR101421373B1 (ko) 2013-01-28 2013-01-28 정수기용 안전콕밸브
CN201310516903.0A CN103968137B (zh) 2013-01-28 2013-10-28 净水器用安全旋塞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9283A KR101421373B1 (ko) 2013-01-28 2013-01-28 정수기용 안전콕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1373B1 true KR101421373B1 (ko) 2014-07-18

Family

ID=51237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9283A KR101421373B1 (ko) 2013-01-28 2013-01-28 정수기용 안전콕밸브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21373B1 (ko)
CN (1) CN10396813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7408A (ko) * 2018-02-12 2019-08-21 주식회사 엔비엘 정수기용 온수 안전 파우셋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39453B (zh) * 2017-06-20 2019-06-14 安徽吉乃尔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净水器用安全旋塞阀
KR102235345B1 (ko) 2017-07-20 2021-04-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2020050B1 (ko) * 2018-01-15 2019-09-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2101A (ko) * 2007-05-18 2008-11-24 동양매직 주식회사 정수기용 온수 코크 밸브
KR20090003928U (ko) * 2007-10-24 2009-04-29 박승용 냉온정수기용 안전밸브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93085A (zh) * 1997-03-11 1998-09-16 翁文和 出水阀
CN2385187Y (zh) * 1999-06-22 2000-06-28 张勇建 饮水机感应、手动两用放水阀
CN2886241Y (zh) * 2006-02-15 2007-04-04 于乔治 一种安全水龙头
CN102401181B (zh) * 2010-09-14 2015-06-1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防烫水龙头及饮水机
CN202065477U (zh) * 2011-03-24 2011-12-07 沁园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防烫水龙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2101A (ko) * 2007-05-18 2008-11-24 동양매직 주식회사 정수기용 온수 코크 밸브
KR20090003928U (ko) * 2007-10-24 2009-04-29 박승용 냉온정수기용 안전밸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7408A (ko) * 2018-02-12 2019-08-21 주식회사 엔비엘 정수기용 온수 안전 파우셋
KR102035516B1 (ko) * 2018-02-12 2019-10-23 주식회사 엔비엘 정수기용 온수 안전 파우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968137A (zh) 2014-08-06
CN103968137B (zh) 2017-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1373B1 (ko) 정수기용 안전콕밸브
US9637905B2 (en) Hand-held shower holding device
RU2015146663A (ru) Тонер-картридж, имеющий путь обхода затвора
JP2018505979A (ja) センサ作動式プルアウト水栓
WO2014133816A3 (en) Toner cartridge having a shutter lock mechanism
HK1134416A1 (en) Jug for filtering liquids
MX2020009211A (es) Dispositivo generador de aerosol que comprende un mecanismo del elemento de cubierta.
WO2007010284A3 (en) Automatic fluid flow control device
MXPA05000624A (es) Valvula de presion de proteccion.
CN109717162B (zh) 保冷箱
KR101280327B1 (ko) 선박용 도어홀더
KR101445750B1 (ko) 직수형 음용수기 밸브장치
KR101630805B1 (ko) 수도 개폐용 풋 페달 밸브장치
KR20140096589A (ko) 취수구 은폐형 정수기
US10392790B2 (en) Flush toilet
KR20120094750A (ko) 정수기용 온수밸브
KR20150088463A (ko) 앵글밸브
US11185873B2 (en) Assembled shower device
KR101761750B1 (ko) 유체의 흐름이 개선된 전자밸브
JP6580443B2 (ja) 水栓の開閉弁
CN212226048U (zh) 阀门开关组件、阀门操控手柄及冲牙器
KR101676179B1 (ko) 급수전
CN109000033B (zh) 一种燃气自动切断装置
JP2005262289A (ja) スライドバルブの面圧負荷装置
JP7318448B2 (ja) 自動水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