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5345B1 - 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5345B1
KR102235345B1 KR1020207008011A KR20207008011A KR102235345B1 KR 102235345 B1 KR102235345 B1 KR 102235345B1 KR 1020207008011 A KR1020207008011 A KR 1020207008011A KR 20207008011 A KR20207008011 A KR 20207008011A KR 102235345 B1 KR102235345 B1 KR 102235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outlet
rotator
water purifier
moving cas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8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3989A (ko
Inventor
문정민
노형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7009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2481B1/ko
Publication of KR20200033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39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5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53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03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 B67D1/0004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the beverage being stored in a container, e.g. bottle, cartridge, bag-in-box, bow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81Dispensing valves
    • B67D1/0085Dispensing valves electro-mechan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03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 B67D1/0014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the beverage being supplied from water m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B67D1/0858Cooling arrangements using compression systems
    • B67D1/0859Cooling arrangements using compression systems the evaporator being in direct heat contact with the beverage, e.g. placed inside a beverag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78Safety, warning or controlling devices
    • B67D1/0882Devices for controlling the dispensing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78Safety, warning or controlling devices
    • B67D1/0882Devices for controlling the dispensing conditions
    • B67D1/0884Means for controlling the parameters of the state of the liquid to be dispensed, e.g. temperature,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58Details
    • B67D3/0061Details of liquid containers, e.g. filling, emptying, closing or opening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3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household-type filters for producing potable water, e.g. pitchers, bottles, faucet mounted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05Filters
    • B67D2210/0001Filters for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31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31Housing
    • B67D2210/00034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47Pip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6Cartridg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1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as part of a potable water dispenser, e.g. for use in homes or offices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외부에서 유입된 원수를 여과시키는 필터를 포함하는 정수기 본체와, 상기 정수기 본체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필터를 통과한 물을 상기 정수기 본체의 외부로 공급하는 출수노즐을 포함하는 출수모듈 및, 상기 출수노즐의 하측에 구비되는 트레이를 포함하되, 상기 출수모듈이 양측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된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정수기{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물을 걸러 불순물을 제거하는 기구로서 가정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가정용 정수기의 경우 수도와 연결되어 수돗물에 함유된 부유물이나 유해성분등을 필터를 이용하여 제거하게 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원하는 만큼의 물을 정수하여 취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가정용 정수기는 정수는 물론 온수와 냉수의 취출이 가능한 다양한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그리고, 근래에는 크기가 작고 다양한 설치환경에 설치될 수 있는 정수기가 개발되고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381803호에는 본체 유닛의 상단부에 물이 취출되는 출수부가 구비되고, 상기 출수부는 상기 본체 유닛으로부터 분리된 후 설정각도만큼 회전시킨 후 다시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정수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정수기는 본체의 위치를 유지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출수부를 분리 및 재결합하여 출수부의 위치를 설정된 위치로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띠라서, 정수기의 설치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설치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정수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상기 출수부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상기 출수부를 상기 본체 유닛으로부터 분리하여 위치를 변경시킨 후 재결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리고, 상기 출수부의 반복적인 분리 결합 과정 중에 결합부위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상기 출수부에는 출수관이 연결된 상태이므로 상기 출수부의 분리 결합과정에서 출수관의 손상이 발생할 경우 누수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출수부의 반복적인 회전 조작시 상기 출수관 또는 출수관이 접속되는 피팅부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누수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상기 출수부의 위치는 상기 본체 유닛에 형성되는 결합홀의 요홈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상기 출수부는 요홈이 형성된 설정된 위치로만 위치될 수 있으며, 임의의 지점에 위치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381803호
본 발명의 목적은, 출수노즐을 정수기 본체에 결합한 채로 출수노즐의 위치를 상하좌우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출수노즐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해, 출수모듈을 회전하거나 승강시키는 동작이 부드럽고 일정한 속도로 진행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다양한 설치환경에 맞추어 출수노즐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출수노즐에서 출수된 물이 낙차로 인해 컵 밖으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출수노즐이 장착된 이동케이스가 고정케이스에 완벽히 수납된 상태에서 이동케이스의 자중에 의해 임의로 하강하지 않고, 고정케이스에 수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출수노즐이 장착된 이동케이스를 잡고 원하는 위치까지 하강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이동케이스에서 손을 떼더라도, 이동케이스가 원하는 위치에 고정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출수노즐이 장착된 이동케이스의 승강 동작이 직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출수노즐이 장착된 이동케이스의 승강 동작이 매끄럽게 진행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출수노즐이 장착된 이동케이스의 승강 동작이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만큼 정확하게 진행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출수노즐이 장착된 이동케이스를 승강시키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느끼는 조작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고정케이스 및 이동케이스의 휨 등의 변형이 방지되고, 상호 간의 체결력이 확보된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이동케이스가 전후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흔들리지 않고 승강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이동케이스와 고정케이스의 체결이 용이한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미끄러짐 없이 이동케이스를 잡고 승강시킬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이동케이스와 고정케이스 상호 간의 마찰로 인한 마모 및 소음을 줄일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트레이를 회전시키고, 트레이를 자유롭게 탈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인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각종 부품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관상 미려한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위생적이며, 출수 노즐의 파손 및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조작부의 가독성이 높아져 어른 사용자는 물론 키가 작은 사용자도 조작부를 인지할 수 있고, 손쉽게 조작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는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외부에서 유입된 원수를 여과시키는 필터를 포함하는 정수기 본체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정수기 본체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필터를 통과한 물을 상기 정수기 본체의 외부로 공급하는 출수노즐을 포함하는 출수모듈 및, 상기 출수노즐의 하측에 구비되는 트레이를 포함하되, 상기 출수모듈은 상기 정수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정수기 본체를 기준으로 회전하는 로테이터와, 상기 로테이터의 외측에 고정되고 상기 출수노즐의 높이를 가변시키는 승강유닛을 포함하는 정수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로테이터의 외측에 고정되고, 내측에 상하방향으로 승강공간을 구비하며, 하측이 개방된 고정케이스와, 상기 출수노즐이 고정되고, 상기 고정케이스의 승강공간에 수용되어 승강하면서 상기 출수노즐의 높이를 가변시키는 이동케이스 및 상기 고정케이스 또는 상기 이동케이스에 구비되고, 상기 이동케이스의 상승 또는 하강을 위해 상기 이동케이스에 가해지는 승강력을 감소시키는 저항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정수기 본체는,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탑 플레이트와, 상기 탑 플레이트의 양단에 연결되며, 양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사이드 패널, 상기 사이드 패널 사이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며, 양측의 상기 사이드 패널의 전단까지 연장된 개구가 형성되는 프론트 커버 및 상기 베이스에서 상기 개구와 대응하는 높이까지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필터가 장착되는 필터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로테이터는, 상기 필터 브라켓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필터 브라켓에 장착된 상태로 회전되어 상기 개구를 차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물이 취출되는 출수노즐의 수평위치는 물론 수직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출수노즐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해, 출수모듈을 회전하거나 승강시키는 동작이 부드럽고 일정한 속도로 진행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다양한 설치환경에 맞추어 출수노즐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또한, 출수노즐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출수노즐에서 출수된 물이 낙차로 인해 컵 밖으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출수노즐이 장착된 이동케이스가 고정케이스에 완벽히 수납된 상태에서 이동케이스의 자중에 의해 임의로 하강하지 않고, 고정케이스에 수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출수노즐이 장착된 이동케이스를 잡고 원하는 위치까지 하강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이동케이스에서 손을 떼더라도, 이동케이스가 원하는 위치에 고정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출수노즐이 장착된 이동케이스의 승강동작이 직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출수노즐이 장착된 이동케이스의 승강동작이 매끄럽게 진행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출수노즐이 장착된 이동케이스의 승강동작이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만큼 정확하게 진행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출수노즐이 장착된 이동케이스를 승강시키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느끼는 조작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케이스 및 이동케이스의 휨 등의 변형이 방지되고, 상호 간의 체결력이 확보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케이스가 전후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흔들리지 않고 승강할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케이스와 고정케이스의 체결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미끄러짐 없이 이동케이스를 잡고 승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케이스와 고정케이스 상호 간의 마찰로 인한 마모 및 소음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하는 위치로 트레이를 회전시키고, 트레이를 자유롭게 탈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인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종 부품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관상 미려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위생적이며, 출수 노즐의 파손 및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작부의 가독성이 높아져 어른 사용자는 물론 키가 작은 사용자도 조작부를 인지할 수 있고, 손쉽게 조작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출수노즐의 위치가 변경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일부를 발췌하여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조작부와 탑 커버가 결합된 상태를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A-A' 단면도이다.
도 7은 상기 정수기의 로테이터를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로테이터를 하방에서 본사시도이다.
도 9는 상기 정수기의 로테이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기 로테이터와 출수부 내부의 유로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도 11은 상기 정수기의 필터 브라켓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2는 상기 로테이터의 결합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출수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상기 출수모듈의 이동케이스가 상승된 모습을 보인 정면도이다.
도 15는 상기 출수모듈의 이동케이스가 상승된 모습을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16은 상기 출수모듈의 이동케이스가 하강된 모습을 보인 정면도이다.
도 17은 상기 출수모듈의 이동케이스가 하강된 모습을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저항부재 및 가이드편이 연결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출수모듈의 횡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A영역을 발췌하여 보인 확대도이다.
도 21은 정수기의 트레이가 회전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22는 상기 정수기의 베이스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도 23은 상기 베이스와 트레이의 결합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및 추가 등에 의해서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이하의 실시예에 첨부되는 도면은, 같은 발명 사상의 실시예이지만, 발명 사상이 훼손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미세한 부분의 표현에 있어서는 도면별로 서로 다르게 표현될 수 있고, 도면에 따라서 특정 부분이 표시되지 않거나, 도면에 따라서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출수노즐의 위치가 변경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정수기(10)는 전후 방향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되며 좌우 방향의 폭이 좁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정수기(10)는 전체적으로 외관이 슬림하고 컴팩트한 형상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10)는 정수기 본체(100)와, 상기 정수기 본체(100)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수평하게 회전하거나, 상하로 승강하도록 장착되는 출수모듈(20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정수기 본체(100)는 하우징(110)과 필터(120)를 구비한다.
상기 정수기(10)의 외형은 하우징(11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은 전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프론트 커버(111)와 후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리어 커버(112), 하면을 형성하는 베이스(113), 상면을 형성하는 탑 커버(114) 그리고 좌우 양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 패널(115)로 구성된다. 상기 프론트 커버(111)와 리어 커버(112), 베이스(113)와 탑 커버(114) 그리고 한 쌍의 사이드 패널(115)은 서로 조립되어 상기 정수기(1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113)와 탑커버(114)의 전단과 후단은 라운드 지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프론트커버(111)와 리어커버(112)는 상기 라운드지게 형성된 베이스(113) 및 탑커버(114)의 전단 및 후단과 대응하는 곡률을 갖도록 전방과 후방으로 각각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위부에서 유입된 원수를 정화시켜 배출하는 필터(120)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정수기 본체(100)의 전면에는 출수모듈(200)이 배치된다. 상기 출수모듈(200)은 상기 프론트 커버(111)의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하방으로 돌출되는 출수 노즐(280)을 통해 정수된 물이 취출된다.
또한, 상기 프론트 커버(111)는 어퍼 커버(111a)와 로어 커버(111b)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 커버(111a)와 로어 커버(111b)는 수직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그 사이에 개구(111c)를 형성하며, 상기 개구(111c)는 정수기 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로테이터(300)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로어커버(111b)에는 중심부에 상하방향으로 평면부(111e)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로어커버(111b)에 평면부(111e)가 형성된 경우, 로어커버(111b)전체가 전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경우 대비, 사용자가 물을 취출할 때, 컵 등의 용기를 보다 깊이 넣을 수 있는 이점이 있고, 컵 등의 용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또한, 출수모듈(200)을 회전할 때, 평면부(111e)를 기준으로 중심을 맞출 수 있는 이점도 있다.
참고로, 상기 출수모듈(200)이 양측으로 회전한 상태에서는, 평면의 사이드패널(115)에 의해 컵 등의 용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출수모듈(200)은 상기 로테이터(30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정수기(10)의 설치 상태 또는 설치 환경에 따라 원하는 각도로 상기 출수모듈(200)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일 예로, 상기 탑 커버(114)의 전방에는 출수버튼(410)을 포함한 조작부(400)가 구비되며, 상기 조작부(400)는 상기 출수모듈(200)과 함께 회전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다른 예로, 상기 조작부(400)는 정수기 본체(100)에 구비되지 않고, 상기 출수모듈(200)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조작부(400)의 출수버튼(410)은 출수모듈(200)의 상면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만일, 출수버튼(410)이 출수모듈(200)의 전면에 구비된 경우, 사용자가 출수버튼(410)을 누를 때, 출수모듈(200)에 수평방향의 힘이 가해지면서, 출수모듈(200)이 임의로 회전할 우려가 있다. 반면, 출수버튼(410)이 출수모듈(200)의 상면에 구비된 경우, 사용자가 출수버튼(410)을 누를 때, 출수모듈(200)에 수직방향의 힘이 가해지므로, 출수모듈(200)이 임의로 회전할 우려가 없다. 따라서, 출수모듈(200)에 출수버튼(410)이 구비된 경우, 출수버튼(410)은 출수모듈(200)의 상면에 구비되어야 한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조작부(400)는 정수기 본체(100)의 탑커버(114)와, 출수모듈(200)의 상면 양측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출수모듈(200)은 상기 로테이터(300)의 외측에 고정되고 상기 출수노즐의 높이를 가변시키는 승강유닛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승강유닛의 구성으로, 상기 출수노즐(280)의 높이는 가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출수모듈(200)의 회전 및 승강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정수를 위한 필터(120)와 다수의 밸브(미도시)가 장착되는 필터 브라켓(130)이 구비된다.
상기 필터 브라켓(130)은 상기 베이스(113)와 결합되는 저면부(131)와, 상기 필터(120)가 수용되는 필터 수용부(132) 그리고, 상기 로테이터(300)가 장착되는 로테이터 장착부(133)로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저면부(131)는 상기 베이스(113)의 전단의 형상과 대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113)에 결합된다. 상기 저면부(131)의 결합에 의해 상기 필터 브라켓(130)의 장착 위치가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 수용부(132)의 바닥면 형상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필터 브라켓(130)은 상기 베이스(113)에 후크 방식으로 걸림 구속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113)의 하면에서 체결되는 스크류에 의해서도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수용부(132)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필터(120)가 수용될 수 있도록 전방(도면상의 좌측)에서 후방(도면상의 우측)으로 함몰된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필터 수용부(130)에는 복수의 필터(12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필터(120)는 공급되는 원수(수돗물)의 정화를 위한 것으로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필터가 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 수용부(130)에는 상기 필터(120)가 장착되는 필터 소켓(134)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 소켓(134)에는 정수된 물이 유동되기 위한 배관이 제공되며, 상기 배관은 다수의 밸브(미도시)들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원수는 상기 필터(120)를 차례로 통과한 후 급수를 위한 밸브(미도시)로 향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필터 수용부(132)의 배면(도면상의 우측)에는 다수의 밸브(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밸브(미도시)들은 상기 필터(120)는 물론, 상기 쿨링 탱크(150)와 유도 가열 어셈블리(160) 그리고, 상기 출수모듈(200)로 정수와 냉수 및 온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한다.
상기 필터 수용부(132)의 상단에는 상기 로테이터(30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로테이터 장착부(133)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로테이터 장착부(133)는 로테이터 장착부(133)의 전방을 커버하는 프론트커버(111)의 곡률과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 브라켓(130)의 상부는 탑커버(114)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테이터(300)의 상방에 상기 조작부(40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조작부(400)는 상기 로테이터(300)와 연결되어 상기 로테이터(300)의 회전 조작시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13) 상면에는 압축기(141)와 응축기(142)가 구비된다. 드리고, 상기 압축기(141)와 응축기(142)의 사이에는 쿨링 팬(143)이 구비되어 상기 압축기(141)와 응축기(142)의 냉각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압축기(141)는 주파수를 가변하여 냉각 능력의 조절이 가능한 인버터 타입의 압축기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정수된 물의 냉각이 효율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소비 전력을 절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응축기(142)는 상기 베이스(113)의 후방에 위치되며, 상기 리어 커버(112)에 형성되는 토출구(112a)와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응축기(142)는 공간의 효율적인 이용과 동시에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플랫 튜브 타입의 냉매관이 다수회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응축기 브라켓(144)에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응축기 브라켓(144)에는 상기 응축기(142)가 고정되는 응축기 장착부(145)와, 냉수를 만들기 위한 쿨링 탱크(150)가 장착될 수 있는 탱크 장착부(146)가 형성된다. 상기 응축기 장착부(145)는 상기 응축기(142)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응축기(142)의 전체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의 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응축기 장착부(145)는 상기 쿨링 팬(143)과 토출구(112a)와 마주보는 부분이 각각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응축기(142)의 효과적인 냉각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탱크 장착부(146)는 상기 응축기 브라켓(144)의 상부 즉, 상기 응축기 장착부(145)의 상방에 형성된다. 상기 탱크 장착부(146)에는 상기 쿨링 탱크(150)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탱크 장착부(146)는 쿨링 탱크(150)를 고정한다.
상기 쿨링 탱크(150)는 정수를 냉각하여 냉수를 만들기 위한 것으로, 유입되는 정수와 열교환을 위한 냉각수가 채워진다. 그리고, 상기 쿨링 탱크(150) 내부에는 상기 냉각수의 냉각을 위한 증발기(151)가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정수가 상기 쿨링 탱크 내부를 경유할 수 있도록 하여 정수를 냉각시킬 수 있다.
상기 필터 브라켓(130)의 일측에는 상기 쿨링 탱크(150)측으로 연장되는 서포트 플레이트(135)가 더 구비된다.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135)는 상기 압축기(141)의 상방에 구비되며, 상기 필터 브라켓(130)에서 상기 응축기 브라켓(144)까지 연장되어 히팅 및 컨트롤 모듈(160,170)이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히팅 및 컨트롤 모듈(160,170)는 온수를 만들기 위한 유도 가열 어셈블리(160)와 상기 정수기(10)의 전반적인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어셈블리(17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160)와 컨트롤 어셈블리(170)는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모듈 상태로 결합될 수 있으며, 결합된 상태로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135)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160)는 정수된 물을 가열하기 위한 것으로 유도 가열(IH:induction heating) 방식으로 가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160)는 온수 취출 조작시 즉각적이고 빠른 속도로 물을 가열할 수 있으며, 자기장의 출력을 제어하여 원하는 온도로 정수를 가열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원하는 온도의 온수를 취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170)는 상기 정수기(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압축기(141)와, 쿨링 팬(143) 그리고 각종 밸브와 센서,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160) 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170)는 기능별로 다수의 부분으로 나누어진 피시비들의 조합에 의해 모듈화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10)가 냉수와 정수만을 취출하는 구조에서는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160)를 제어하기 위한 피시비는 생략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시비가 생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정수기의 메인 구성요소들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출수모듈(200)은, 상기 정수기 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정수기 본체(100)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회전하는 로테이터(300)와, 상기 로테이터(300)의 외측에 고정되고 상기 출수노즐(280)의 높이를 가변시키는 승강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승강유닛과 로테이터(30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일 수 있다.
이하, 상기 로테이터(3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3의 일부를 발췌하여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필터 브라켓(130)은 상기 베이스(113)와 결합되는 저면부(131)와, 상기 필터(134)가 수용되는 필터 수용부(132) 그리고, 상기 로테이터(300)가 장착되는 로테이터 장착부(133)로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저면부(131)는 상기 베이스(113)의 전단의 형상과 대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113)에 결합된다. 상기 저면부(131)의 결합에 의해 상기 필터 브라켓(130)의 장착 위치가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 수용부(132)의 바닥면 형상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필터 브라켓(130)은 상기 베이스(113)에 후크 방식으로 걸림 구속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113)의 하면에서 체결되는 스크류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저면부(131)는 상기 회전링(510)의 내측 영역에서 상기 베이스(113)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링(510)과 간섭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상기 트레이(500)의 회전이 원할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필터 수용부(132)에는 상기 필터(120)가 장착된다.
상기 필터 수용부(132)의 상단에는 로테이터 장착부(133)가 형성된다. 상기 로테이터 장착부(133)는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전방으로 돌출되는 반원 형상을 가지며, 상단에 상기 로테이터(300)가 안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때, 상기 로테이터 장착부(133)는 상기 로테이터(300)의 외측면과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로테이터(300)는 상기 로테이터 장착부(133)에 안착된 상태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로테이터 장착부(133)의 상단에는 내접 기어(133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접 기어(133a)는 상기 로테이터 장착부(133)와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게 되며, 후술되는 피니언 기어(371)와 기어 결합되어 상기 로테이터(300)의 회전이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로테이터(300)는 원형으로 형성되며, 출수모듈(200)은 상기 로테이터(300)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출수모듈(200)은 상기 로테이터(300)와 일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로테이터(300)의 회전시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로테이터(300)의 상방에는 어퍼 커버(111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어퍼 커버(111a)는 상기 필터 브라켓(130)을 전방에서 차폐하는 로어 커버(111b)와 함께 정수기(1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어퍼 커버(111a)는 상기 로테이터(300)와 탑 커버(114)의 사이에서 상기 정수기의 전면 외관 일부를 형성하며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상기 어퍼 커버(111a)의 상단에는 탑 커버(11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탑 커버(114)는 상기 정수기(10)의 상면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탑 커버(114)에는 상기 조작부(400)가 장착된다. 상기 조작부(400)는 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로테이터(300)와 결합되어 상기 로테이터(300)의 회전시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400)에는 출수 버튼(410)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조작부(400)는 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조작부(400)의 상면은 상기 출수모듈(200)과 가까운 쪽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조작부(400)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한편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과 가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있다.
도 5는 상기 조작부와 탑 커버가 결합된 상태를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4의 A-A'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탑 커버(114)는 상기 정수기(10)의 상면을 형성한다. 상기 탑 커버(114)의 전단과 후단은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프론트 커버(111) 및 리어 커버(112)와 결합되며, 각각 상기 프론트 커버(111)와 리어 커버(112)의 상단과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탑 커버(114)에는 커버 홀(114a)이 형성된다. 상기 커버 홀(114a)은 상기 조작부(40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조작부(400)와 대응하는 크기와 형상으로 개구된다.
상기 커버 홀(114a)의 내측에는 상기 조작부(400)의 하부를 형성하는 조작부 베이스(420)를 고정하기 위한 베이스 장착부(114b)와 베이스 지지부(114c)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장착부(114b)는 상기 커버 홀(114a)에서 상기 커버 홀(114a)의 중앙측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으며, 다수개가 등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장착부(114b)는 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조작부 베이스(420)의 둘레면을 가압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지지부(114c)는 상기 커버 홀(114a)의 후반부에서 내측을 향하여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지지부(114c)는 상기 커버 홀(114a)의 중앙을 향하여 하향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조작부 베이스(420)를 하방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 베이스(420)의 둘레면에는 상기 베이스 지지부(114c)와 대응하는 경사면을 가지도록 돌출되는 돌기(425)가 더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 지지부(114c)와 상기 돌기(425)는 서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조작부(400)의 회전시에도 안정적인 지지 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 홀(114a)의 둘레에는 단차부(114d)가 형성되어 상기 조작부(400)의 둘레가 안착된다. 따라서 상기 조작부(400)를 추가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조작부(400)의 회전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조작부(400)는 상기 조작부 베이스(420)와 조작부 피시비(430) 그리고 조작부 커버(4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 베이스(420)는 상기 조작부(400)의 하부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커버 홀(114a)에 장착되어 상기 조작부(400)가 상기 탑 커버(114)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한다.
상기 조작부 베이스(420)는 상기 커버 홀(114a)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 베이스(420)의 둘레는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조작부 커버(440)와 결합되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조작부 베이스(420)의 하면 양측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회전 연결부(421)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 연결부(421)는 상기 로테이터(300)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로테이터(300)와 조작부(400)가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 베이스(420)의 저면에는 상기 조작부 피시비(430)와 연결되는 전선이 출입되는 전선 홀(424)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 커버(440)는 전단이 낮고 후단이 높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면(441)이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 커버(440) 상면(441)의 기울기는 상기 조작부 피시비(430)의 기울기와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터치 센서(431) 및 스위치(432)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한편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과 가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7은 상기 정수기의 로테이터를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8은 상기 로테이터를 하방에서 본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9는 상기 정수기의 로테이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상기 로테이터와 출수모듈 내부의 유로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로테이터(300)는 로테이터 하우징(310)을 구비한다. 상기 로테이터 하우징(310)은 내부에 중공부를 가지고 직경에 비해 높이가 짧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로테이터(300)는 상기 로테이터 하우징(310)의 내측 상부와 하부에 서로 이격 배치되는 상부 가이드 브라켓(320)과 하부 가이드 브라켓(330)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로테이터 하우징(310)의 내측면에 체결부(311)가 돌출 형성되고, 상부 가이드 브라켓(320)과 하부 가이드 브라켓(330)에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체결홀(321,331)이 형성된다. 볼트 등이 상기 체결홀(321,331)을 통해 체결부(311)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상부 및 하부 가이드 브라켓(330)이 로테이터 하우징(310) 내측면에 서로 이격되게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가이드 브라켓(320)과 하부 가이드 브라켓(330)에는 체결 후크(327,337)가 둘레를 따라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로테이터 하우징(310)의 내측면에는 체결 돌기(3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 후크(327,337)와 체결 돌기(312)는 서로 걸림 구속될 수 있으며, 상부 가이드 브라켓(320)과 하부 가이드 브라켓(330)의 결합시 가고정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로테이터(300)는 상부 가이드 브라켓(320) 또는 하부 가이드 브라켓(330)에 원주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는 레일 수용홈(322,332)을 더 포함한다. 상기 레일 수용홈(322,332)은 상기 어퍼 커버(111a)에 형성되는 제 1 회전 가이드 레일(111d)을 수용하는 상부 레일 수용홈(322)과, 상기 로테이터 장착부(133)에 형성되는 제 2 회전 가이드 레일(133b)을 수용하는 하부 레일 수용홈(33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레일 수용홈(322) 또는 하부 레일 수용홈(332)의 일 측면에서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돌출되거나, 상부 레일 수용홈(322) 및 하부 레일 수용홈(332)의 일 측면에서 상방향과 하방향으로 돌출되는 회전 가이드 돌기(323,333)가 형성된다.
상기 로테이터(300)는 상부 가이드 브라켓(320)과 하부 가이드 브라켓(330)의 중심부에 각각 배치되는 원형의 상부 중심링(324)과 하부 중심링(334)을 포함한다. 상부 가이드 브라켓(320) 및 하부 가이드 브라켓(330)의 내측면에서 상부 중심링(324)과 하부 중심링(334)으로 각각 상부 연결부(325)와 하부 연결부(335)가 수평하게 연장 형성되어, 상부 중심링(324)과 하부 중심링(334)은 상부 연결부(325) 및 하부 연결부(335)에 의해 상부 가이드 브라켓(320)과 하부 가이드 브라켓(330)에 연결되며 지지된다. 상부 및 하부 연결부(325,335)는 각각 부채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복수의 관통홀을 구비한다.
상기 상부 중심링(324) 및 하부 중심링(334)은 취출되는 물이 유동되는 출수관의 설치 위치를 작업자에게 알려주기 위해 형성된다. 상기 상부 중심링(324) 및 하부 중심링(334)은 상기 로테이터(300)의 중앙에 형성되며, 상기 로테이터(300)의 회전시 회전 중심이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중심링(324) 및 하부 중심링(334)에는 T커넥터(3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T커넥터(360)의 일측(수평방향의 개구)은 상기 출수모듈(200) 측으로 연장되어 출수 노즐(280)과 연결되는 출수관(361)이 연결되고, 다른 양측(수직상방 및 수직하방의 개구)은 각각 상부에 냉수관(362)이 접속되고 하부에 정수관(363)이 접속된다. 이때, 상기 정수관(363)과 냉수관(362)은 각각 회전관(364)에 의해 상기 T커넥터(36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냉수관(362)과 정수관(363)은 각각 상기 상부 중심링(324)과 하부 중심링(334)을 관통하게 되고, 상기 T커넥터(360)는 상기 상부 중심링(324)과 하부 중심링(334)의 사이 공간에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T커넥터(360)는 위치가 변경되지 않고 항상 일정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관(364)은 스테인레스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관(364)의 상부와 하부의 둘레를 따라서 피팅홈(364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팅홈(364a)은 상기 회전관(364)의 상단과 하단이 T커넥터(360)와 결합될 때 금속재의 콜렛(collet)이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로테이터(300)의 회전시 상기 회전관(364)을 축으로 T커넥터(360)가 회전될 수 있으며, 출수를 위한 유로를 형성하는 배관의 꼬임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회전관(364)은 스테인레스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로테이터(300)의 회전에 의한 반복적인 회전과 금속소재의 콜렛의 결합에도 파손 및 변형되지 않아 누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로테이터(300)와 출수모듈(200)의 이음부위에는 출수관(361)이 통과되는 연통홀(34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통홀(340)을 통해, 로테이터(300)의 상부 가이드 브라켓(320)과 하부 가이드 브라켓(330) 사이를 경유한 출수관(361) 및 후술되는 온수관(365)이 출수모듈(200)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통홀(340)에 의해 출수관(361) 및 후술되는 온수관(365)을 잡아주는 고정력이 가해져, 출수모듈(200)이 회전 및 승강하더라도, 서로 엉키거나 꼬이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유도 가열 어셈블리(160)와 연결되어 온수가 공급되는 온수관(365)은 직접 상기 출수 노즐(280)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온수 취출시 상기 온수 탱크의 물이 즉각적으로 취출될 수 있게 되며, 온수의 품질이 향상된다. 즉, 냉수 또는 정수와 공통된 유로를 사용하게 될 경우 온수 취출시 유로상에 잔류되는 냉수 또는 정수에 의해 처음 취출되는 온수는 온도를 만족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다. 하지만, 별도의 상기 온수관(365)이 출수 노즐(280)과 연결되는 경우 온수 탱크의 온수가 온도 손실 없이 그대로 출수 노즐(280)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온수관(365)은 냉수관(362), 정수관(363)과 달리, 상부 중심링(324)과 하부 중심링(334)을 통과하지 않고, 상부 중심링(324)과 하부 중심링(334)의 외측을 경유한 뒤, 출수노즐(280)과 연결되거나, 상부 중심링(324)과 하부 중심링(334)의 외측에 마련된 별도의 고정 가이드(미도시)를 경유한 뒤 출수노즐(280)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출수모듈(200)의 회전 시, 출수를 위한 유로를 형성하는 배관(362,363,365)이 서로 엉키거나 꼬이는 현상을 방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결합링(326,336)은 내부에 원형의 결합홀이 형성되며, 좌우 양측에 한쌍이 구비될 수 있다. 양측에 배치되는 한쌍의 상기 결합링(326,336)은 상기 로테이터(300)의 회전축을 직경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결합링(326,336)은 상부 가이드 브라켓(320)과 하부 가이드 브라켓(330)에 모두 형성되거나 상부 가이드 브라켓(320)에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링(326,336)은 상기 조작부(400)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한쌍의 회전 연결부(421)와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상세히, 한쌍의 상기 회전 연결부(421)는 상기 결합링(326,336)을 관통하여 삽입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상기 로테이터(300)의 회전시 상기 조작부(400)는 함께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조작부(400)와 로테이터(300)의 결합에 의해 상기 조작부(400)와 로테이터(300)가 함께 회전할 때 출수 버튼(410) 및 출수모듈(200)도 함께 회전한다. 이에 의해, 출수 버튼(410)과 출수 노즐(280)이 동일 선상으로 위치하며 회전됨에 따라 출수 버튼(410)과 출수 노즐(25)의 위치를 별도로 맞추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자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로테이터(300)의 저면 즉, 상기 하부 가이드 브라켓(330)에는 오일 댐퍼(3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오일 댐퍼(370)는 상기 출수모듈(200)의 회전 시 상기 로테이터(300)가 걸리는 느낌 없이 부드럽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하고, 일정한 크기의 힘을 가하기만 하면 상기 로테이터(300)가 일정한 속도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오일 댐퍼(370)는 회전 속도를 일정하게 하기 위해 사용되는 일반적인 구성으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오일 댐퍼(370)의 회전 축에는 피니언 기어(371)가 결합되며, 상기 피니언 기어(371)는 상기 필터 브라켓(130)의 상단에 형성된 상기 내접 기어(133a)와 치합되어, 내접 기어(133a)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상기 피니언 기어(371)는 내접 기어(133a)의 곡률반경에 비해 훨씬 작은 곡률반경의 원형으로 이루어지며, 치의 개수도 작다. 상기 로테이터(300)가 필터 브라켓(130)의 상단부에 장착되면 피니언 기어(371)는 내접 기어(133a)의 내측면에 위치하고, 내접 기어(133a)와 맞물리게 결합된다.
도 11은 상기 정수기의 필터 브라켓의 부분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2는 상기 로테이터의 결합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필터 브라켓(130)의 상단에는 내접 기어(133a)가 형성된다. 상기 내접 기어(133a)는 로테이터 장착부(133)의 상단부에 일정 곡률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내접 기어(133a)는 제 2 회전 가이드 레일(133b)과 반경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내접 기어(133a)는 필터 브라켓(130)의 상단부 외측 가장자리부와 인접하게 위치하고, 상기 제 2 회전 가이드 레일(133b)과 동심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로테이터(300)의 장착시 상기 내접 기어(133a)는 상기 피니언 기어(371)와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필터 브라켓(130)의 배면은 후방으로 개방되고, 사이드 패널(115)의 전단부에 필터 브라켓(130)의 후단부가 결합된다. 상기 필터 브라켓(130)의 상단에는 로테이터(300)가 좌우 측방향으로 회전가능 하게 장착되도록 상기 제 2 회전 가이드 레일(133b)이 구비된다.
상기 제 2 회전 가이드 레일(133b)은 로테이터(300)의 회전을 안내하기 위해 반원형의 곡률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2 회전 가이드 레일(133b)은 필터 브라켓(130)의 상단부 내측에 고정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 커버(111a)의 내부면에서 돌출되는 제 1 회전 가이드 레일(111d)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회전 가이드 레일(111d)은 상기 제 2 회전 가이드 레일(133b)과 마주보는 상방에 위치하고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로테이터(300)의 회전을 안내하게 된다.
상기 제 1 회전 가이드 레일(111d)과 제 2 회전 가이드 레일(113b)은 상기 로테이터(300)를 사이에 두고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로테이터(300)의 장착에 의해 상기 로테이터(300)의 상하단은 상기 제 1 회전 가이드 레일(111d) 및 제 2 회전 가이드 레일(133b)과 결합되어 상기 로테이터(300)의 회전을 안내하게 된다.
상기 로테이터(300)는 출수모듈(200)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수평하게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로테이터(300)는 중심부에 회전축을 갖지 않고, 중심부에서 일정한 곡률로 형성되는 회전 가이드 돌기(323,333)를 구비하고, 회전 가이드 돌기(323,333)를 이용하여 회전 가이드 레일(111d,133b)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회전 가이드 돌기(323,333)는 로테이터(300)에 구비되고, 회전 가이드 레일(111d,133b)은 각각 상기 어퍼 커버(111)와 필터 브라켓(130)에 구비되지만, 회전 가이드 돌기(323,333) 및 회전 가이드 레일(111d,133b)은 동일한 곡률로 이루어지며 서로 맞물리게 결합되어, 로테이터(300)의 회전을 안내할 수 있다.
상세히, 예를 들면, 상기 회전 가이드 돌기(323,333)는 하부 가이드 브라켓(330)의 하부 레일 수용홈(332)에서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하부 회전 가이드 돌기(333)와, 상부 가이드 브라켓(320)의 상부 레일 수용홈(322)에서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상부 회전 가이드 돌기(323)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회전 가이드 돌기(323,333)의 단부는 후크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회전 가이드 돌기(323,333)와 회전 가이드 레일(111d,133b)의 결합시 회전 가이드 돌기(323,333)의 단부의 내부면은 회전 가이드 레일(111d,133b)의 일부와 서로 마주보며 두께방향으로 중첩되어 접촉될 수 있다.
상기 회전 가이드 돌기(323,333)는 회전 가이드 레일(111d,133b)과 동일한 곡률로 형성되고 회전 가이드 레일(111d,133b)에 회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회전 가이드 돌기(323,333)와 회전 가이드 레일(111d,133b)이 결합되면, 회전 가이드 돌기(323,333)의 안쪽으로 형성되는 레일 수용홈(322,332)에 회전 가이드 레일(111d,133b)이 수용되어 레일 수용홈(322,332)과 회전 가이드 레일(111d,133b)의 일면이 두께방향으로 중첩되고, 회전 가이드 돌기(323,333)의 단부가 후크 형상으로 이루어져 회전 가이드 레일(111d,133b)과 두께방향으로 중첩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은 결합구조에 의하면, 출수모듈(200)를 안정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출수모듈(200)을 분리하지 않고도 출수 노즐(280)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 로테이터(300)의 중심에 회전축을 별도로 형성할 필요가 없다.
예를 들면, 출수모듈(200)이 로테이터(300)의 일측면에서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구조에서 출수모듈(200)을 잡고 로테이터(300)를 회전시키더라도 출수모듈(200)의 편심하중에 의해 출수모듈(200)이 위로 들리거나 아래로 내려가서 출수모듈(200) 및 로테이터(300)의 회전이 불안정해지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회전 가이드 돌기(323,333)의 후크 형상에 의해, 로테이터(300)가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로테이터(300)의 회전 시 회전 가이드 돌기(323,333)와 회전 가이드 레일(111d,133b) 사이의 접촉 면적이 넓기 때문에, 출수모듈(200)을 잡고 회전시키는 경우 편심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고, 마찰에 의한 마모 및 스크래치 등의 손상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상부 가이드 브라켓(320) 및 하부 가이드 브라켓(330)에 각각 형성되는 회전 가이드 돌기(323,333)는 상기 회전 가이드 레일(111d,133b)과 이종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회전 가이드 돌기(323,333)는 내피로성, 강인성, 내마모성 등이 우수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POM)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 가이드 돌기(323,333)가 회전 가이드 레일(111d,133b)을 따라 회전할 때 회전 가이드 돌기(323,333)와 회전 가이드 레일(111d,133b) 상호 간의 마찰로 인한 마모 및 소음을 줄일 수 있다.
이하, 승강유닛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출수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로테이터(300)의 외측에 고정되고, 내측에 상하방향으로 승강공간(211)을 구비하고, 상기 승강공간(211)이 외부와 연통되게 하측이 개방되며, 상기 정수기 본체(100)에 고정되는 고정케이스(210)와, 상기 출수노즐(280)이 고정되고, 상기 고정케이스(210)의 승강공간(211)에 수용되어 승강하는 이동케이스(220) 및 상기 고정케이스(210) 또는 상기 이동케이스(220)에 형성되고, 상기 이동케이스(220)의 상승 또는 하강을 위해 상기 이동케이스(220)에 가해지는 승강력을 감소시키는 저항수단(230)을 포함한다.
고정케이스(210)는 정수기 본체(100)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며, 정수기 본체(100)에 고정된 상태에서 이동케이스(220)가 승강할 수 있도록 이동케이스(22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동케이스(220)는 고정케이스(210)에 의해 정수기본체(100)에 지지된 상태에서 승강할 수 있다.
또한, 고정케이스(210)는 이동케이스(220)가 수납되는 승강공간(211)을 구비하고, 상기 수납공간(211)의 하단은 개방되어 외부와 연통할 수 있다. 따라서, 승강공간(211)에 수용된 이동케이스(220)가 고정케이스(210)의 하방으로 출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케이스(210)는 상기 정수기본체(100)에 연결되는 배면(도면상의 우측)이 개방된 상태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고정케이스(210)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양측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케이스(220)는 하단에 상기 출수노즐(280)이 고정되고, 상기 고정케이스(210)의 승강공간(211)에 수용되어 고정케이스(210)에 접촉 지지되면서 승강한다.
상기 이동케이스(220)의 외형은 상기 고정케이스(210)의 승강공간(211)의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고정케이스(210) 및 이동케이스(220)는 사각형상의 단면을 구비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고정케이스(210) 및 이동케이스(220)는 원형의 단면을 구비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상기 고정케이스(210) 및 이동케이스(220)는 다양한 형상의 단면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케이스(220)는 상기 정수기본체(100)와 마주하는 배면(도면상의 우측)이 개방된 상태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동케이스(220)의 배면이 개방되면, 정수기본체(100)의 내부공간과 이동케이스(220)의 내부공간이 연통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이동케이스(220)에 구비된 출수노즐(280)로 정수기 본체(100)에서 생성된 정수, 냉수, 온수 중 적어도 하나를 공급하는 공급 호스(361,365)가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공급호스(361,365)는 정수관(363) 및 냉수관(362)과 연결된 출수관(361), 그리고 온수관(365)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출수관(361) 및 온수관(365)은 고무, 실리콘 등과 같은 유연성(flexible) 재질로 이루어져, 구부러지거나 펴지면서 이동케이스(220)의 승강 동작에 대응할 수 있다.
상세히, 이동케이스(220)가 상승하면서, 출수노즐(280)이 상승하여, 출수노즐(280)과 연통홀(240) 사이 간격이 짧아지면, 상기 출수관(361) 및 온수관(365)은 구부러지면서 이동케이스(220)의 내부공간(222)에 수용된다.
반면, 이동케이스(220)가 하강하면서, 출수노즐(280)이 하강되어, 출수노즐(280)과 연통홀(240) 사이 간격이 길어지면, 상기 출수관(361) 및 온수관(365)은 길게 펴지면서, 이동케이스(220)의 하강 동작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의 경우, 이동케이스(220) 및 출수노즐(280)이 승강 동작할 때, 출수관(361) 및 온수관(365)이 이동케이스(220)의 내부공간(222)에서 구부러지거나 펴지면서, 이동케이스(220)의 승강 동작에 대응할 수 있고, 나아가 이동케이스(220) 및 출수노즐(280)의 높이에 관계없이 냉수,정수 및 온수이 출수노즐(280)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케이스(220)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양측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케이스(210) 및 이동케이스(220)는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이동케이스(220)의 승강 방향을 따라 돌출부 또는 홈부를 각각 형성하여, 상호 간의 체결력을 높이면서, 이동케이스(220)의 직선이동을 가이드할 수도 있다.
이때, 고정케이스(210)에 홈부가 형성되면, 이동케이스(220)에는 상기 홈부에 끼워지는 돌기부를 형성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고정케이스(210)에 돌기부가 형성되면, 이동케이스(220)에는 상기 돌기부가 끼워지는 홈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저항수단(230)은 상기 고정케이스(210) 또는 상기 이동케이스(220)에 형성되고, 상기 이동케이스(220)의 상승 또는 하강을 위해 상기 이동케이스(220)에 가해지는 승강력을 감소시키는 저항수단(2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케이스(220)에 가해지는 승강력’이라 함은, 이동케이스(220)의 승강 동작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힘을 의미한다.
일례로, 사용자가 이동케이스(220)를 하강시키기 위해 이동케이스(220)을 하방으로 잡아 당기는 힘 또는 이동케이스(220)를 상승시키기 위해 이동케이스(220)를 상방으로 밀어 넣는 힘일 수 있다. 또한, 중력에 의해 이동케이스(220)가 하강하려는 힘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케이스(220)가 고정케이스(210)를 기준으로 승강할 경우, 이동케이스(220)가 자중에 의해 임의로 하강할 수 있다. 즉, 이동케이스(220)가 고정케이스(210)에 완벽히 수납된 상태에서 이동케이스(220)의 자중에 의해 이동케이스(220)가 고정케이스(210) 밖으로 하강할 수 있고, 사용자가 이동케이스(220)를 잡고 원하는 위치까지 하강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이동케이스(220)에서 손을 떼면 이동케이스(220)가 그 위치에 고정되지 않고 자중에 의해 임의로 더 하강할 수 있다. 즉, 이동케이스(220)의 높이를 유지하기가 어렵다.
본 발명의 경우, 이와 같은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고정케이스(210) 또는 상기 이동케이스(220)에 저항수단(230)을 구비한다.
저항수단(230)은 이동케이스(220)의 상승 또는 하강을 위해 상기 이동케이스(220)에 가해지는 승강력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이동케이스(220)가 고정케이스(210)에 완벽히 수납된 상태에서 이동케이스(220)의 자중에 의해 임의로 하강하지 않고, 수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이동케이스(220)를 잡고 원하는 위치까지 하강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이동케이스(220)에서 손을 떼더라도, 이동케이스(220)가 그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본인이 희망하는 높이에 출수노즐(280)을 위치시키고, 출수를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저항수단(230)은 이동케이스(220)가 자중에 의해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사용자가 이동케이스(220)를 승강 조작하는 데 무리한 힘이 들지 않는 범위에서 선택되어야 한다. 또한, 사용자가 이동케이스(220)를 승강시키는 조작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범위에서 채택되어야 한다.
일례로, 상기 저항수단(230)은 마찰력을 갖는 고무 등의 재질을 포함하거나, 점성을 갖는 오일 등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상기 저항수단(230)은 상기 이동케이스(220)에 가해지는 승강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 예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저항수단(230)의 일례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출수모듈(200)은, 상기 고정케이스(210)의 전면을 커버하는 전면케이스(2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출수모듈(200)의 전면을 전면케이스(290)가 커버하면 후술되는 저항부재(230) 및 가이드부(240) 등의 구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출수모듈(200)의 외관을 미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전면케이스(290)는 고정케이스(2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필요 시 전면케이스(290)를 고정케이스(210)에서 분리하여, 저항부재(230) 및 가이드부(240)를 점검할 수도 있다. 일례로, 전면케이스(290)와 고정케이스(210)는 후크에 의한 탈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케이스(290)는 상기 고정케이스(210)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면커버(29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수노즐(280)은 스테인리스(stainless steel)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출수노츨(280)이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되면, 녹이 슬지 않아 위생적이며, 잦은 사용시 발생하는 파손 및 변형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외관상 미려하고, 정수기(10)에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더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출수노즐(280)은, 상기 이동케이스(220), 또는 상기 이동케이스(220)와 상기 출수노즐(280)을 연결하는 연결부재(281)와 인서트 사출 방식을 통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281)는 출수노즐(280)과 공급 호스(361,365)를 연결하는 부품이고, 상기 이동케이스(220)에는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출수노즐(280)이 이동케이스(220) 또는 연결부재(281)와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일체로 형성되면, 출수노즐(280)과 이동케이스(220) 또는 연결부재(281) 나아가 공급 호스(361,365)와의 결합력이 높아져,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조립 방식에 비해 제작이 쉽게 이뤄질 수도 있다.
도 14는 상기 출수모듈의 이동케이스가 상승된 모습을 보인 정면도이고, 도 15는 상기 출수모듈의 이동케이스가 상승된 모습을 보인 종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6은 상기 출수모듈의 이동케이스가 하강된 모습을 보인 정면도이고, 도 17은 상기 출수모듈의 이동케이스가 하강된 모습을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14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케이스(210) 또는 이동케이스(220)에는 상기 이동케이스(220)가 직선으로 승강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24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케이스(220)는 고정케이스(210)에 수용된 상태에서, 승강을 하기 때문에, 고정케이스(210)에 의해 이동케이스(220)의 승강 동작이 직선으로 안내될 수 있다. 하지만, 이동케이스(220)가 고정케이스(210)의 외부로 노출되면서, 이동케이스(220)가 양측으로 조금이라도 흔들릴 경우, 이동케이스(220)의 승강 동작이 불안정하게 진행되고, 이와 같은 현상이 반복되면 고정케이스(210) 또는 이동케이스(220)의 변형 및 손상을 초래한다.
본 발명의 경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가이드부(240)를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부(240)는 상기 이동케이스(220)가 고정케이스(210)에 지지되면서, 직선으로 승강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는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발생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가이드부(240)는 고정케이스(210)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직선 레일과, 상기 직선 레일을 주행하도록 이동케이스(220)에 형성된 롤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반대로, 상기 가이드부(240)는 이동케이스(220)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직선 레일과, 상기 직선 레일을 주행하도록 고정케이스(210)에 형성된 롤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상기 가이드부(240)는, 상기 고정케이스(210)에 승강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홈(241)과, 상기 이동케이스(220)에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홈(241)에 끼워지는 가이드편(242)을 포함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가이드부(240)는, 상기 이동케이스(220)에 승강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홈과, 상기 고정케이스(220)에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홈에 끼워지는 가이드편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편(242)은 상기 직선으로 형성된 가이드홈(241)에 끼워져, 가이드홈(241)을 따라서 직선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이동케이스(220)의 승강동작이 직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편(242)은 상기 이동케이스(22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가이드편(242)이 이동케이스(22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경우, 상기 가이드편(242)은 가이드홈(241)과의 마찰력을 최소한으로 줄인 상태에서 가이드홈(241)을 따라 직선으로 승강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케이스(220)의 승강 동작이 보다 매끄럽게 진행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느끼는 조작감도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홈(241)은 내측에 제1기어치(241a)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편(242)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기어치(241a)와 맞물리는 제2기어치(242a)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홈(241)과 가이드편(242)은 랙과 피니언(rack and pinion)과 같은 방식으로 맞물리고, 가이드편(242)은 회전하면서, 가이드홈(241)을 따라 직선으로 승강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가 이동케이스(220)를 아래로 잡아 당기면, 가이드편(242)은 도면상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기어치(241a, 242a)끼리 맞물린 상태로 가이드홈(241)을 따라 하강한다.
반대로, 사용자가 이동케이스(220)를 위로 밀어 넣으면, 가이드편(242)은 도면상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기어치(241a, 242a)끼리 맞물린 상태로 가이드홈(241)을 따라 상승한다.
상기와 같이 기어치(241a, 242a)가 형성되면, 기어치(241a, 242a)끼리 맞물려 있기 때문에, 가이드편(242)이 회전하면서 가이드홈(241)을 따라 보다 정확하게 직선으로 승강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이동케이스(220)의 승강이 보다 정확하게 직선으로 진행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편(242)이 가이드홈(241)에서 헛도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만큼 정확하게 이동케이스(220)의 승강이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기어치(241a) 또는 제2기어치(242a)는, 상기 이동케이스(220)의 승강 방향과 수직하거나 경사지게 형성된 직선구간 또는 곡선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기어치(241a) 또는 제2기어치(242a)는 일부 또는 전체가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1기어치(241a) 또는 제2기어치(242a)가 곡선으로 형성되면, 제1기어치(241a)와 제2기어치(242a)가 부드럽게 맞물릴 수 있고, 사용자가 느끼는 조작감도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이동케이스(220)를 잡고, 이동케이스(220)를 승강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제1기어치(241a) 또는 제2기어치(242a)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제1기어치(241a) 또는 제2기어치(242a)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만일, 상기 제1기어치(241a) 또는 제2기어치(242a)가 직선으로 형성되며, 뾰족한 모서리가 형성된 경우, 뾰족한 부분에 힘이 집중되어 파손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일례로, 상기 제1기어치(241a) 또는 제2기어치(242a)의 요철(凹凸)부분이 반원형으로 돌출되거나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밖에도, 상기 제1기어치(241a)와, 제2기어치(242a)의 형상은 제2기어치(242a)가 제1기어치(241a)에 맞물려 회전하면서 동력 전달이 확실하게 진행되고, 가이드편(242)이 가이드홈(241)을 따라 직선으로 이동할 수 있는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항수단(230)은 오일댐퍼(oil damper)로 형성될 수 있다.
오일 댐퍼는 하우징 내 기름을 구비하여, 기름의 점성 저항으로 에너지를 흡수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상기와 같이 오일 댐퍼는 일례로, 원통형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충진되고 소정의 점성을 갖는 오일과,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되고 상기 오일이 통과하는 복수의 통공이 형성되며, 하우징의 반경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된 회전날개와, 상기 회전날개와 연결된 회전축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에 회전력이 공급되면, 오일의 점성 저항에 의해 공급된 회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저항부재 및 가이드편이 연결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항수단(230)은 오일댐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편(242)은 상기 저항수단(230)의 회전축(231)과 연결될 수 있다.
즉, 이동케이스(220) 상승 또는 하강을 위해 상기 이동케이스(220)에 승강력이 가해지면, 상기 이동케이스(220)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가이드편(242)은 회전한다.
이때, 가이드편(242)의 회전력은 저항수단(230) 즉, 오일댐퍼에 의해 감소된다.
따라서, 이동케이스(220)가 고정케이스(210)에 완벽히 수납된 상태에서 저항수단(230)의 점성 저항에 의해 이동케이스(220)가 임의로 하강하지 않고, 수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이동케이스(220)를 잡고 원하는 위치까지 하강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이동케이스(220)에서 손을 떼더라도, 저항수단(230)의 점성 저항에 의해 이동케이스(220)가 원하는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오일댐퍼의 오일 점도는 저항수단(230)은 이동케이스(220)가 자중에 의해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사용자가 이동케이스(220)를 승강 조작하는 데 무리한 힘이 들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오일댐퍼의 오일 점도는 사용자가 느끼는 조작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범위에서도 다양하게 조절 가능하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출수모듈의 횡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20은 도 19의 A영역을 발췌하여 보인 확대도이다.
도 19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케이스(210)와 상기 이동케이스(220)는 선접촉할 수 있다.
여기서 ‘선접촉’이라 함은 도 19 내지 20의 단면에서와 같이 고정케이스(210)와 이동케이스(220)가 점접촉된 것을 의미하며, 이와 같은 점접촉이 이동케이스(220)의 승강 방향을 따라 연속해서 이어져, 고정케이스(210)와 이동케이스(220)가 이동케이스(220)의 승강방향을 따라 선 형태로 접촉한 것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케이스(210) 또는 상기 이동케이스(22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촉돌기(216,226)가 상기 이동케이스(220)의 승강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고정케이스(210)에 접촉돌기(216)가 형성되면, 상기 접촉돌기(216)는 이동케이스(220)에 선접촉된다. 다른 예로, 이동케이스(220)에 접촉돌기(226)가 형성되면, 상기 접촉돌기(226)는 상기 고정케이스(210)에 선접촉된다.
다른 예로, 상기 고정케이스(210)에 접촉돌기(216)가 형성되면, 이동케이스(220)에는 상기 접촉돌기(216)와 대응하는 위치에 접촉홈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동케이스(220)에 접촉돌기(226)가 형성되면, 고정케이스(210)에는 상기 접촉돌기(226)와 대응하는 위치에 접촉홈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고정케이스(210)와 상기 이동케이스(220)가 접촉돌기(216,226)에 의해 선접촉 될 경우, 상기 고정케이스(210)와 상기 이동케이스(220) 사이의 마찰력은 최소한으로 줄이면서, 상기 고정케이스(210)와 상기 이동케이스(220)가 서로 접촉 지지되어, 이동케이스(220)의 승강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호 간의 접촉 지지로 인해 고정케이스(210) 및 이동케이스(220)의 휨 등의 변형이 최대한 방지될 수 있다.
일례로, 접촉돌기(216,226)는 볼록한 반원형의 횡단면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접촉돌기(216,226)이 곡면으로 형성되면, 상기 고정케이스(210)와 상기 이동케이스(220)가 선접촉된 상태에서, 이동케이스(220)의 승강 동작이 보다 매끄럽게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케이스(210)는, 후방의 양측에 외측으로 연장된 날개부(215)를 형성하고, 상기 이동케이스(220)는, 상기 이동케이스(220)의 후방 양측에서 상기 날개부(215)와 나란하게 연장된 연장부(255a)와, 상기 연장부(255a)에서 전방으로 절곡된 형태로 연장되고, 그 단부에 내측으로 후크(225c)가 형성된 절곡부(255b)를 형성하여, 상기 날개부(215)가 상기 연장부(255a)와 후크(225c) 사이의 수용홈(227)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날개부(215)에 의해 고정케이스(210)의 단부는 보강이 이루어져, 휨 등의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이동케이스(220)에는 상기 날개부(215)가 수용되는 수용홈(227)을 형성하여 고정케이스(210)와의 체결력을 높여 고정케이스(210)에서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이동케이스(220)와 고정케이스(210) 상호 간의 변형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고정케이스(210)에 날개부(215)가 형성되고, 이동케이스(220)에 후크(225c)가 형성되면, 이동케이스(220)와 고정케이스(210)는 후크 방식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케이스(220)는 가이드부재(22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재(225)는 이동케이스(220)와 볼트 등의 체결수단(228)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255a), 절곡부(255b), 후크(225c)는 가이드부재(225)의 양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부재(225)가 고정케이스(210)를 따라 승강하고, 상기 가이드부재(225)에 연결된 이동케이스(220) 또한 고정케이스(210)를 따라 승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날개부(215)에는, 상기 연장부(255a)와 마주보는 면에 상기 이동케이스(220)의 승강방향을 따라 제1접촉돌기(21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촉돌기(216)는 상기 연장부(255a)에 선접촉한다.
또한, 상기 후크(225c)에는 상기 날개부(215)와 마주보는 면에 상기 이동케이스(220)의 승강방향을 따라 제2접촉돌기(22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접촉돌기(226)는 상기 날개부(215)에 선접촉한다.
상기와 같이 제1접촉돌기(216) 및 제2접촉돌기(226)가 형성되면, 고정케이스(210)와 이동케이스(220)가 이중으로 선접촉하면서, 이동케이스(220)가 승강할 수 있어, 이동케이스(220)가 전후방향으로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승강동작 할 수 있다.
또한, 날개부(215)가 수용홈(227)에 수용된 상태이므로, 절곡부(255b)가 날개부(215)에 지지되어, 이동케이스(220)가 좌우방향으로도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승강동작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크(225c)의 전면 및 상기 날개부(215)의 배면에는 각각 상호 나란하게 경사면(215a, 225d)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날개부(215)와 후크(225c)에 각각 경사면(215a, 225d)이 형성될 경우, 상기 고정케이스(210)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동케이스(220)를 끼워 넣기가 용이하다.
일례로, 상기 고정케이스(210)와 이동케이스(220)는 배면이 개방된 상태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케이스(220)는 상기 고정케이스(210)의 후방에서 삽입 될 수 있으나 날개부(215)와 후크(225c)가 형성된 경우, 이들의 간섭에 의해 이동케이스(220)의 삽입이 원활하지 못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후크(225c)의 전면 및 상기 날개부(215)의 배면에는 각각 상호 나란하게 경사면(215a, 225d)을 형성하여, 상기 고정케이스(210)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동케이스(220)를 손쉽게 끼워 넣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케이스(220)의 양측 하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손잡이부(272)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케이스(210)의 양측 하단에는 상기 손잡이부(272)가 안착되는 안착홈(217)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손잡이부(272)의 상부에는 단턱(271)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잡이부(272)를 잡고, 이동케이스(220)를 상부로 상승시킬 때, 상기 안착홈(217)에 손잡이부(272)의 단턱(271)이 걸리게 된다. 결과적으로, 안착홈(217)은 이동케이스(220)의 상승 높이를 제한하는 스토퍼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272)에는 내측으로 오목하게 파지홈(27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파지홈(270)이 형성되면, 사용자는 파지홈(270)을 잡고 이동케이스(220)를 하강하거나 상승시킬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미끄러짐 없이 이동케이스(220)를 하강시키거나 상승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손잡이부(272)에는 이동케이스(220)의 상승 및 하강 시,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요철(凹凸)을 형성하거나, 외측으로 돌출된 파지돌기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고정케이스(210) 또는 이동케이스(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내피로성, 강인성, 내마모성 등이 우수하고, 윤활성을 갖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고정케이스(210) 또는 이동케이스(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e,POM)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케이스(210)의 내부에서 이동케이스(220)가 승강할 때에 고정케이스(210)와 이동케이스(220) 상호 간의 마찰로 인한 마모 및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이동케이스(220)를 아래로 잡아 당겨 하강시키거나, 하강된 이동케이스(220)를 상승시킬 때에, 이동케이스(220)의 승강 동작이 매끄럽게 진행되어, 조작 감도를 높일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트레이'에 대해 설명한다.
도 21은 정수기의 트레이가 회전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2는 상기 정수기의 베이스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3은 상기 베이스와 트레이의 결합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 트레이(500)는 상기 프론트 커버(111)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상기 베이스(113)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트레이(500)는 출수모듈(200)의 수직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50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113)와 분리될 수도 있다. 상기 트레이(500)는 상기 출수모듈(200)에서 낙하되는 물이 저장될 수 있도록 상면이 그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베이스(113)에는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링(510)이 구비되며, 상기 회전링(510)에는 상기 트레이(500)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트레이(500)는 장착된 상태에서 회전 조작이 가능하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상기 트레이(500)는 상기 회전링(510)과 분리될 수 도 있다. 또한, 상기 트레이(500)는 상기 회전링(5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113)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상태가 된다.
이하, 베이스(113) 및 트레이(50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1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113)는 상기 정수기(10)의 바닥면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13)는 둘레가 상방으로 연장되어 사이드 패널(115)과 프론트 커버(111)와 리어 커버(112)와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113)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레그(113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그(113a)는 상기 베이스(113)에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113)의 하면 전체가 지면과 이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113)의 하면을 통한 외기의 흡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베이스(113)의 전반부에는 회전링(510)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트레이(500)는 회전링(510)의 전방 일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회전링(510)과 연결되어 좌우 측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13)의 전반부는 베이스(113)의 후반부보다 더 낮게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13)의 전반부와 프론트 커버(111)의 하단부 사이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개구부를 통해 트레이(500)의 측면부가 외부로 노출되고, 회전링(510)과 결합된 상태로 좌우 측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113)의 전반부와 후반부 사이에 단차진 부분은 트레이(500)의 회전시 트레이(500)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113b)로 작용한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500)의 회전시 상기 트레이(500)의 양쪽 측면은 상기 스토퍼(113b)에 접하게 되고, 상기 트레이(500)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13)의 스토퍼(113b)에는 상기 트레이(500)가 상하 유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유동 방지부(113c)가 전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유동 방지부(113c)는 상기 트레이(500)가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트레이(500)의 후단부 양측을 구속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113)의 내부에는 회전 안내부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 안내부는 베이스(113)에 동심적으로 배치되는 제 1 회전 안내부(113d)와 제 2 회전 안내부(113e)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회전 안내부(113d)가 제 2 회전 안내부(113e)의 외측에 배치된다. 제 1 회전 안내부(113d)와 제 2 회전 안내부(113e)는 베이스(113)의 저면에서 일정한 곡률로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회전링(510)의 회전을 안내할 수 있다. 상기 회전 안내부(113d,113e)는 원형으로 형성되거나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회전링(510)은 회전 안내부(113d,113e)에 의해 안내되어 베이스(113)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트레이(5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회전링(510)은 외측링부(511), 내측링부(512) 및 링 이음부(51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외측링부(511)는 회전링(510)의 외부 골격 및 형태를 이룬다. 외측링부(511)는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외측링부(511)의 적어도 일부가 제 1 회전 안내부(113d)의 외측면에 접촉되어, 제 1 회전 안내부(113d)를 따라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내측링부(512)는 상기 외측링부(511)의 내부에 동심을 가지도록 배치된다. 상기 내측링부(512)는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적어도 일부가 제 2 회전 안내부(113e)의 외측면에 접촉되어, 베이스(113)의 전후방향으로 움직임이 제한되고 제 2 회전 안내부(113e)에 의해 안내됨에 따라 제자리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외측링부(511)에는 트레이(500)와의 결합을 위해 일측에 트레이 장착부(514)가 구비된다. 트레이 장착부(514)는 상기 트레이(500)의 트레이 결합부(501)와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의 수용홀(514a)을 구비한다. 상기 수용홀(514a)은 트레이 결합부(501)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개방되어, 상기 트레이 결합부(501)가 상기 수용홀(514a)을 통해 상기 트레이 장착부(514)에 삽입 결합된다.
상기 트레이 결합부(501)가 상기 트레이 장착부(514)의 내부로 삽입 결합되면, 상기 트레이 장착부(514)는 상기 트레이 결합부(501)를 감싸서 상기 트레이 결합부(501)의 외측면과 접촉되며 트레이 결합부(501)가 상하/좌우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상기 트레이 결합부(501)를 지지한다. 다만, 상기 트레이 결합부(501)는 트레이 장착부(514)의 내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여 삽입 및 인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트레이 장착부(514)의 내측에는 돌기(514b)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 결합부(501)에는 체결홈(502)이 형성되어 상기 트레이 결합부(501)가 상기 트레이 장착부(514)의 내측에 삽입될 때 상기 돌기(514b)가 상기 체결홈(502)과 결합되어 상기 트레이(500)가 상기 회전링(510)에 장착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500)의 장착시 상기 돌기(514b)와 체결홈(502)이 결합되는 것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트레이 결합부(501)가 트레이 장착부(514)에 삽입 결합됨에 따라, 트레이(500)가 상기 회전링(510)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113)에 대해 좌우 측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한편, 제 2 회전 안내부(113e)에는 이탈방지돌기(113f)가 형성되어, 회전링(510)이 제 2 회전 안내부(113e)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탈방지돌기(113f)의 상단부는 내측링부(512)의 상면에 걸리도록 후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트레이(500)가 회전될 때 회전링(510)이 상방향으로 들림에 따라 회전링(510)이 제 2 회전 안내부(113e)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트레이(500)의 회전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113)의 전반부 중앙에는 감압 밸브(11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압 밸브(116)는 수도에서 공급되는 물의 압력을 조절하여 정수작업을 원할하게 하고 취출시의 수압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감압 밸브(116)는 상기 회전링(510)의 장착시 상기 내측링부(512)의 내측 영역에 위치되어 공간의 효율적인 이용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베이스(113)의 중앙부에는 압축기(141)가 장착되는 마운팅부(113g)가 형성된다. 상기 마운팅부(113g)는 상기 압축기(141)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운팅부(113g)는 4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압축기(141)의 저면 네 모서리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마운팅부(113g)에는 너트가 인서트 사출되어 있으며, 상기 압축기(141)의 안착 후 하방에서 스크류를 체결하여 상기 압축기(141)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113)의 중앙부에는 흡입 그릴(113h)이 더 형성된다. 상기 흡입 그릴(113h)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마운팅부(113g)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압축기(141)의 하방에 위치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정수기(10)의 내측으로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압축기(141)를 경유하면서 상기 압축기(141)를 냉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흡입 그릴(113h)은 상기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다수의 흡입구를 형성하여 외부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흡입 그릴(113h)의 후방에는 상기 응축기(142)가 수용되는 응축기 브라켓(144)이 배치된다. 상기 응축기 브라켓(144)은 상기 베이스(113)의 후반부에 위치된다. 상기 응축기 브라켓(144)은 상기 베이스(113)에 고정되는 응축기 장착부(145)와 상기 응축기 장착부(145)의 상방에 위치되는 탱크 장착부(146)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응축기 장착부(145)의 전면에는 쿨링 팬(143)이 구비된다. 상기 쿨링 팬(143)에 의해 상기 흡입 그릴(113h)를 통해 외기를 흡입하여 상기 압축기(141) 및 응축기(142)를 냉각시키고 상기 토출구(112a)로 토출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응축기 장착부(145)의 후면은 상기 토출구(112a)와 접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응축기 장착부(145) 내측에 수용되는 상기 응축기(142)는 상기 정수기(10)의 토출구(112a)와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베이스(103)의 후단에는 전원 코드(117)가 고정되는 코드 장착부(113i)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코드 장착부(113i)에서 상기 베이스(113)의 중간 부분까지 코드 안내부(113j)가 형성된다. 따라서 전원 코드(117)는 상기 코드 안내부(113j)를 따라 이동될 수 있게 되며,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170)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13)의 후단에는 입수관(191)이 유입되는 입수관 출입구(113k)가 형성되며, 상기 입수관 출입구(113k)를 통해서 상기 수도와 연결된 입수관(191)이 유입된다. 상기 입수관(191)의 단부는 상기 감압 밸브(116)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수관(191)의 절곡되는 일부 구간에는 상기 입수관(191)의 접힘을 방지하기 위한 튜브 가이드(118)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튜브 가이드(118)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입수관(191)이 과도하게 꺽이거나 접히지 않도록 안내하게 된다. 이와 같은 튜브 가이드(118)는 정수와 냉수 및 온수가 유동되는 배관상에 더 구비될 수 있다.

Claims (30)

  1.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외부에서 유입된 원수를 여과시키는 필터와,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전방으로 돌출되는 반원 형상의 로테이터 장착부를 포함하는 정수기 본체;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정수기 본체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필터를 통과한 물을 상기 정수기 본체의 외부로 공급하는 출수노즐을 포함하는 출수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출수모듈은,
    상기 로테이터 장착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원형의 로테이터;
    상기 로테이터의 외측에 고정되어 상기 로테이터와 같이 회전하고, 내측에 상하방향으로 승강공간을 구비하며, 하측이 개방된 고정케이스;
    상기 출수노즐이 고정되고, 상기 고정케이스의 승강공간에 수용되어 승강하면서 상기 출수노즐의 높이를 가변시키는 이동케이스;
    일단이 상기 이동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출수노즐과 연결되어, 상기 필터를 통과한 물을 상기 출수노즐 측으로 공급하는 공급호스; 및
    상기 고정케이스 또는 상기 이동케이스에 구비되고, 상기 이동케이스의 상승 또는 하강을 위해 상기 이동케이스에 가해지는 승강력을 감소시키는 저항수단을 포함하고,
    사용자가 상기 이동케이스를 잡고 원하는 위치까지 상승 또는 하강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이동케이스에서 손을 떼더라도, 상기 저항수단에 의해 상기 이동케이스가 자중에 의해 하강하지 않고,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는 정수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케이스 또는 이동케이스에는 상기 이동케이스가 직선으로 승강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고정케이스에 승강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홈;
    상기 이동케이스에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홈에 끼워지는 가이드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편은 상기 이동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내측에 제1기어치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편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기어치와 맞물리는 제2기어치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7. 삭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수단은 오일댐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편은 상기 저항수단의 회전축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케이스와 상기 이동케이스는 선접촉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케이스 또는 상기 이동케이스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촉돌기가 상기 이동케이스의 승강방향을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케이스는, 후방의 양측에 외측으로 연장된 날개부를 형성하고,
    상기 이동케이스는, 상기 이동케이스의 후방 양측에서 상기 날개부와 나란하게 연장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에서 전방으로 절곡된 형태로 연장되고, 그 단부에 내측으로 후크가 형성된 절곡부를 형성하여,
    상기 날개부가 상기 연장부와 후크 사이의 수용홈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에는, 상기 연장부와 마주보는 면에 상기 이동케이스의 승강방향을 따라 제1접촉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에는 상기 날개부와 마주보는 면에 상기 이동케이스의 승강방향을 따라 제2접촉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의 전면 및 상기 날개부의 배면에는 각각 상호 나란하게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케이스의 양측 하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손잡이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케이스의 양측 하단에는 상기 손잡이부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에는 내측으로 오목하게 파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케이스 또는 이동케이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윤활성을 갖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 본체의 하우징은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에는 트레이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는 상기 회전링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2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 본체의 상면 또는 상기 출수모듈의 상면에는 출수조작을 위한 출수버튼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21. 제 1항에 있어서,
    정수기 본체는,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탑 플레이트와, 상기 탑 플레이트의 양단에 연결되며, 양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사이드 패널, 상기 사이드 패널 사이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며, 양측의 상기 사이드 패널의 전단까지 연장된 개구가 형성되는 프론트 커버, 하면을 형성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서 상기 개구와 대응하는 높이까지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필터가 장착되는 필터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로테이터는, 상기 필터 브라켓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필터 브라켓에 장착된 상태로 회전되어 상기 개구를 차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로테이터 상방의 탑 플레이트에 형성된 커버 홀에 장착되며, 출수 조작을 위한 출수 버튼이 구비되는 조작부;
    상기 커버 홀 내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조작부가 회전 가능한 상태로 안착되도록 상기 조작부의 외측면을 지지하는 베이스 지지부;
    상기 조작부 하면에서 상기 로테이터와 결합되도록 상기 커버 홀 내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출수모듈 및 상기 로테이터의 회전시 상기 조작부가 함께 회전되도록 하는 복수의 회전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23.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커버는 상기 베이스에서 상기 개구의 하단까지 연장되어 상기 필터 브라켓을 차폐하는 로어 커버와,
    상기 로어 커버와 이격되어 상기 개구의 상단에서 상기 탑 플레이트까지 연장되며, 상기 로테이터의 상단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어퍼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24.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브라켓은,
    전방으로 볼록한 형상을 갖고, 상기 로테이터를 하방에서 지지하는 로테이터 장착부와,
    상기 로테이터 장착부의 하방에 이격되며,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는 저면부와,
    상기 로테이터 장착부와 저면부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필터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필터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25.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테이터에는 회전축에 피니언이 장착된 오일 댐퍼가 구비되고,
    상기 필터브라켓에는 곡률을 따라 연장되는 내접 기어가 형성되며,
    상기 로테이터의 회전시 상기 피니언은 상기 내접 기어를 따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26.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로테이터는,
    상기 출수모듈이 결합되며, 상기 개구를 차폐하는 원통 형상의 로테이터 하우징과,
    상기 로테이터 하우징의 개구된 하면에 장착되며, 상기 필터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하부 가이드 브라켓과,
    상기 로테이터 하우징의 개구된 상면에 장착되며, 상기 조작부와 함께 회전되는 상부 가이드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가이드 브라켓과 하부 가이드 브라켓의 회전 중심에는 한 쌍의 중심링이 형성되며,
    상기 중심링의 사이에는 상기 출수 노즐과 연결된 출수관이 연결되는 커넥터가 배치되며,
    상기 중심링을 기준으로 양측방의 상기 하부 가이드 브라켓과 상부 가이드 브라켓에는 상기 복수의 회전 연결부가 각각 관통되어 연결되는 복수의 결합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에는 상기 중심링을 관통하며, 상기 커넥터와 냉수관 및 정수관이 피팅되는 회전관이 구비되며,
    상기 회전관은 금속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의 콜렛이 삽입되는 피팅홈이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29.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지지부는 상기 커버홀의 둘레에서 내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조작부의 하면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30.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조작부의 상면은 상기 출수모듈과 가까운 쪽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KR1020207008011A 2017-07-20 2017-07-20 정수기 KR1022353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7009240A KR102382481B1 (ko) 2017-07-20 2017-07-20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7/007842 WO2019017512A1 (ko) 2017-07-20 2017-07-20 정수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7529A Division KR102095026B1 (ko) 2017-07-20 2017-07-20 정수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9241A Division KR20210037023A (ko) 2017-07-20 2017-07-20 정수기
KR1020217009240A Division KR102382481B1 (ko) 2017-07-20 2017-07-20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3989A KR20200033989A (ko) 2020-03-30
KR102235345B1 true KR102235345B1 (ko) 2021-04-02

Family

ID=65015190

Famil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7529A KR102095026B1 (ko) 2017-07-20 2017-07-20 정수기
KR1020207008011A KR102235345B1 (ko) 2017-07-20 2017-07-20 정수기
KR1020227010629A KR20220045245A (ko) 2017-07-20 2017-07-20 정수기
KR1020247008506A KR20240039214A (ko) 2017-07-20 2017-07-20 정수기
KR1020217009240A KR102382481B1 (ko) 2017-07-20 2017-07-20 정수기
KR1020217009241A KR20210037023A (ko) 2017-07-20 2017-07-20 정수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7529A KR102095026B1 (ko) 2017-07-20 2017-07-20 정수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0629A KR20220045245A (ko) 2017-07-20 2017-07-20 정수기
KR1020247008506A KR20240039214A (ko) 2017-07-20 2017-07-20 정수기
KR1020217009240A KR102382481B1 (ko) 2017-07-20 2017-07-20 정수기
KR1020217009241A KR20210037023A (ko) 2017-07-20 2017-07-20 정수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941048B2 (ko)
KR (6) KR102095026B1 (ko)
CN (1) CN110352174B (ko)
AU (2) AU2017423559B2 (ko)
WO (1) WO201901751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8698A (ko) * 2017-07-20 2021-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0354A (ko) * 2016-12-16 2018-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971284B1 (ko) * 2017-08-24 2019-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948730B1 (ko) 2017-08-28 2019-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926095B1 (ko) 2017-08-30 2018-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2020052B1 (ko) 2017-08-30 2019-09-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2005569B1 (ko) 2017-08-30 2019-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CN111432692B (zh) * 2017-12-20 2023-08-25 雀巢产品有限公司 具有泡沫细化装置的饮料制备机器
KR102014392B1 (ko) 2018-01-11 2019-08-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USD914834S1 (en) * 2018-08-31 2021-03-30 Lg Electronics Inc. Main body of water purifier
PT3856390T (pt) * 2018-09-30 2022-05-31 Zhejiang Shaoxing Supor Domestic Electrical Appliance Co Ltd Purificador de ar
USD904817S1 (en) * 2018-10-03 2020-12-15 LNJ Group, LLC Beverage dispenser
KR102042579B1 (ko) * 2018-11-19 2019-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USD908834S1 (en) * 2019-01-10 2021-01-26 Lg Electronics Inc. Water purifier
KR20200124131A (ko) * 2019-04-23 2020-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출수장치
KR20200124130A (ko) * 2019-04-23 2020-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출수장치
TWI681922B (zh) * 2019-05-07 2020-01-11 劉政宏 小體積飲水機及其驅動方法
JP1680700S (ko) * 2019-12-11 2021-03-08
KR20210096346A (ko) 2020-01-28 2021-08-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수기
DE102020124352A1 (de) * 2020-09-18 2022-03-24 Krones Aktiengesellschaft Getränkespender
CN113044956B (zh) * 2020-10-16 2021-11-02 同济大学 一种针对高盐废水的层叠式生物净化装置及其净化方法
KR20220085317A (ko) * 2020-12-15 2022-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534787B1 (ko) 2021-01-08 2023-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2479409B1 (ko) * 2021-01-21 2022-1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USD999336S1 (en) * 2021-02-10 2023-09-19 Coway Co., Ltd. Water purifier
USD1025287S1 (en) * 2021-09-08 2024-04-30 Ceragem Co., Ltd. Water purifi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15590A (ja) * 2009-12-01 2011-06-16 Wik Far East Ltd コーヒーマシン
CN202287795U (zh) * 2011-08-29 2012-07-04 九阳股份有限公司 安全方便的饮水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88696A (en) * 1921-10-31 1924-04-01 George W Marshall Feed-water heater and purifier
US3757814A (en) * 1971-10-14 1973-09-11 H Hill Liquid control and dispensing
IT1198064B (it) * 1986-10-31 1988-12-21 Lucio Grossi Macchina compatta automatica per la produzione di caffe',particolarmente per impiego domestico
US4844796A (en) * 1987-10-15 1989-07-04 The Coca-Cola Company Full water treatment apparatus for use in soft drink dispensing system
JPH0630085A (ja) 1992-07-08 1994-02-04 Fujitsu Ltd 誤り符号の挿入機能を具備する通信装置
JP2530327Y2 (ja) * 1992-09-25 1997-03-26 エレコム株式会社 物品収納ケース
US5484510A (en) * 1993-10-26 1996-01-16 Dew Enterprises, Inc. Water distilling apparatus
US5587055A (en) * 1993-10-26 1996-12-24 Michael O. Hartman Water distilling apparatus and method
JP3218856B2 (ja) * 1994-05-16 2001-10-1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浄水器
US5776333A (en) * 1995-03-31 1998-07-07 The Coca-Cola Company On premise water treatment apparatus
US5858248A (en) * 1995-03-31 1999-01-12 The Coca-Cola Company On premise water treatment method for use in a post-mix beverage dispenser
KR970043407U (ko) * 1995-12-30 1997-07-31 정수기의 선택적 연속취수장치
KR19980021895U (ko) * 1996-10-24 1998-07-15 김영귀 차량용 도어 글라스의 승하강 안내 장치
US6264830B1 (en) * 1999-08-13 2001-07-24 The Coca-Cola Company On premise 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GB9921659D0 (en) * 1999-09-14 1999-11-17 Imi Cornelius Uk Ltd Water treatment
US6495049B1 (en) * 1999-10-21 2002-12-17 The Coca-Cola Company On premise water treatment system with temperature control water release and method
WO2002056995A1 (en) * 2001-01-18 2002-07-25 Nicholas Jackson Water filter
KR100436858B1 (ko) * 2001-07-18 2004-06-25 제인공업주식회사 냉,온 정수기용 급수밸브 안전장치
US6572206B2 (en) * 2001-09-24 2003-06-03 American Trim, Llc Multiple position control panel
US6739681B1 (en) * 2002-01-22 2004-05-25 Equator Corporation Ergonomically adjustable control panel and method
US6640052B1 (en) * 2002-05-24 2003-10-28 Kun Song Technical Company Dual temperature water dispensing device
JP2006517167A (ja) * 2002-10-04 2006-07-20 ランサー・パートナーシップ・リミテッド 多銘柄の冷飲料ディスペンサ
US7735685B2 (en) * 2003-05-09 2010-06-15 Intellipack Dispensing system with in line chemical pump system
IL167788A (en) * 2004-04-02 2008-04-13 Tana Ind 1991 Ltd Water sprayer and portable filter and use inside the water sprayer
US7455085B2 (en) * 2004-06-04 2008-11-25 Whirlpool Corporation Water dispenser for refrigerator freezers
ATE421273T1 (de) * 2004-09-24 2009-02-15 Saeco Ipr Ltd Kaffeemaschine mit einer höhenverstellbaren auffangschale
KR100634782B1 (ko) 2004-10-01 2006-10-17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수장치
CN102269497B (zh) * 2007-01-05 2013-12-11 Lg电子株式会社 冰箱
US8701436B2 (en) * 2007-06-20 2014-04-22 Lg Electronics Inc. Pivotable water dispenser for a refrigerator door
KR101483529B1 (ko) * 2008-11-14 2015-01-16 코웨이 주식회사 높이조절 가능한 정수기 콕크
KR20100062205A (ko) * 2008-12-01 2010-06-10 웅진코웨이주식회사 필터교환시기 표시가 가능한 직수식 정수기 및 그 필터교환시기 표시방법
US8443614B2 (en) * 2009-01-15 2013-05-21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2396271B1 (en) * 2009-02-11 2023-09-13 PepsiCo, Inc. Beverage dispense valve controlled by wireless technology
KR101592575B1 (ko) * 2009-03-20 2016-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WO2011064671A2 (en) * 2009-11-26 2011-06-03 Lg Electronics Inc. Network system for a component
DK2345354T3 (da) * 2010-01-19 2012-10-15 Jura Elektroapparate Ag Afgivelsesindretning til afgivelse af kaffe og/eller mælk og/eller mælkeskum, drikkevaretilberedningsmaskine med en afgivelsesindretning og fremgangsmåde til samling af en afgivelsesindretning
US9309103B2 (en) * 2010-05-03 2016-04-12 Cgp Water Systems, Llc Water dispenser system
US8450666B2 (en) * 2010-09-10 2013-05-28 Shun-Chi Yang High-efficiency water boiling device
EP2458060B1 (en) * 2010-11-29 2016-02-17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Control-panel assembly for household appliances and household appliance provided with such control-panel assembly
US9249038B2 (en) * 2011-03-03 2016-02-02 Lg Electronics Inc. Water purifier
US9162158B2 (en) * 2011-03-16 2015-10-20 King Abdul Aziz City for Science and Technology (KACST) Method and apparatus for purifying water
US20160183716A1 (en) * 2011-06-23 2016-06-30 Sunbeam Products, Inc. Mixed Beverage Maker
KR20150056781A (ko) * 2012-09-21 2015-05-27 액세스 비지니스 그룹 인터내셔날 엘엘씨 물 처리 시스템에 사용되는 물 온도 선택 장치
KR101421373B1 (ko) * 2013-01-28 2014-07-18 정중철 정수기용 안전콕밸브
EP3056842B1 (en) * 2013-02-20 2017-10-04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20150048731A1 (en) * 2013-08-13 2015-02-19 Bsh Home Appliances Corporation Movable control panel to allow service access to built-in domestic appliance without removing appliance from built-in position
KR101876367B1 (ko) * 2013-09-05 2018-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1381803B1 (ko) 2013-11-11 2014-04-07 명성희 정수기
CA2939341A1 (en) * 2014-02-14 2015-08-20 Remington Designs, Llc Beverage brewer and related methods for brewing beverages
KR101751100B1 (ko) * 2014-04-10 2017-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용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2218018B1 (ko) * 2014-04-21 2021-0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105423452B (zh) * 2014-09-12 2019-01-22 Lg电子株式会社 空气调节器的室外机
ITUB20151305A1 (it) 2015-05-29 2016-11-29 Savese F Lli Ind S R L Apparecchio per la spillatura di bevande
KR101772528B1 (ko) * 2015-08-21 2017-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773478B1 (ko) * 2015-08-21 2017-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EP4249832A3 (en) * 2015-08-31 2023-12-27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101770481B1 (ko) * 2015-11-30 2017-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788965B1 (ko) * 2016-03-22 2017-10-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장치 및 정수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KR101760210B1 (ko) * 2016-03-29 2017-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장치 및 정수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KR102539477B1 (ko) * 2016-05-04 2023-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818390B1 (ko) * 2017-01-11 2018-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827673B1 (ko) * 2017-02-17 2018-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828207B1 (ko) * 2017-02-17 2018-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IT201700064070A1 (it) * 2017-06-09 2018-12-09 Dropsa Spa Dispositivo e metodo di sanificazione di un ambiente
KR101948726B1 (ko) * 2017-07-13 2019-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2095026B1 (ko) * 2017-07-20 2020-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2020050B1 (ko) * 2018-01-15 2019-09-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948704B1 (ko) * 2018-05-28 2019-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2158549B1 (ko) * 2019-04-11 2020-09-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2194563B1 (ko) * 2020-06-25 2020-1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15590A (ja) * 2009-12-01 2011-06-16 Wik Far East Ltd コーヒーマシン
CN202287795U (zh) * 2011-08-29 2012-07-04 九阳股份有限公司 安全方便的饮水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8698A (ko) * 2017-07-20 2021-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2382481B1 (ko) * 2017-07-20 2022-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9214A (ko) 2024-03-26
AU2020202210B2 (en) 2022-02-17
AU2017423559B2 (en) 2020-01-02
US20190382281A1 (en) 2019-12-19
KR102095026B1 (ko) 2020-03-30
KR20210038698A (ko) 2021-04-07
CN110352174B (zh) 2021-10-29
WO2019017512A1 (ko) 2019-01-24
KR20210037023A (ko) 2021-04-05
CN110352174A (zh) 2019-10-18
KR20220045245A (ko) 2022-04-12
AU2020202210A1 (en) 2020-04-16
US10941048B2 (en) 2021-03-09
KR20190087966A (ko) 2019-07-25
KR102382481B1 (ko) 2022-04-08
KR20200033989A (ko) 2020-03-30
AU2017423559A1 (en) 2019-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5345B1 (ko) 정수기
CN108298602B (zh) 净水器
CN109422311B (zh) 净水器
KR102020052B1 (ko) 정수기
KR102158549B1 (ko) 정수기
KR102111593B1 (ko) 정수기
KR101907820B1 (ko) 정수기
KR102151819B1 (ko) 정수기
KR102194563B1 (ko)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KR20220044712A (ko)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KR20200051555A (ko) 정수기
KR102173662B1 (ko) 정수기
KR20190040948A (ko) 정수기
KR20180082985A (ko) 정수기
KR101971283B1 (ko) 정수기
KR102382873B1 (ko)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423820B1 (ko) 정수기
KR20220027107A (ko) 정수기
KR20240003631A (ko) 정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