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2528B1 - 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2528B1
KR101772528B1 KR1020150118212A KR20150118212A KR101772528B1 KR 101772528 B1 KR101772528 B1 KR 101772528B1 KR 1020150118212 A KR1020150118212 A KR 1020150118212A KR 20150118212 A KR20150118212 A KR 20150118212A KR 101772528 B1 KR101772528 B1 KR 1017725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water
drain valve
tank assembly
cold water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8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2775A (ko
Inventor
김슬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18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2528B1/ko
Priority to US15/238,030 priority patent/US10266381B2/en
Priority to CN201610694133.2A priority patent/CN106466122B/zh
Publication of KR20170022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2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2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2528B1/ko
Priority to US16/297,191 priority patent/US10654699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8Heating or cooling the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03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 B67D1/0004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the beverage being stored in a container, e.g. bottle, cartridge, bag-in-box, bow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60Cleaning devices
    • A47J31/605Water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47Bypass or safety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6/00Filter circuits or combinations of filters with other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81Dispensin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B67D1/0858Cooling arrangements using compression systems
    • B67D1/0861Cooling arrangements using compression systems the evaporator acting through an intermediate heat transfer means
    • B67D1/0864Cooling arrangements using compression systems the evaporator acting through an intermediate heat transfer means in the form of a cooling b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88Means comprising electronic circuitry (e.g. control panels, switching or control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95Heating arrang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9/00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e.g. operating alternately or simultaneously
    • F25B29/003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e.g. operating alternately or simultaneously of the compression type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1Expansion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7Capillary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31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31Housing
    • B67D2210/00039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31Housing
    • B67D2210/00044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99Temperature control
    • B67D2210/00118Heating and coo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1/00General aspects of water treatment
    • C02F2301/08Multistage treatments, e.g. repetition of the same process step under different cond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정수기는, 내부에 냉각수를 수용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냉각수로 정수를 냉각하여 냉수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지는 냉수 탱크 조립체; 상기 냉수 탱크 조립체의 외주면을 감싸는 발포 단열재; 및 상기 냉수 탱크 조립체에 연결되며, 상기 냉수 탱크 조립체의 내부에 채워진 냉각수의 배출 유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냉수 탱크 조립체로부터 돌출되는 냉각수 배수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발포 단열재는 상기 냉각수 배수밸브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냉각수 배수밸브를 감싼다.

Description

정수기{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이슬이 맺히는 현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정수기는 물리적 및/또는 화학적 방법으로 물에 함유된 이물질이나 중금속 등의 유해요소를 여과하는 장치를 가리킨다. 이온수기와 연수기 등도 넓은 의미에서 정수기에 속한다.
일부 정수기는 온수와 냉수를 제공하기도 한다. 온수와 정수를 제공하는 정수기는 그 내부에 가열 장치와 냉각 장치를 별도로 구비한다. 가열 장치는 정수를 가열하여 사용자에게 온수를 제공하도록 이루어지고, 냉각 장치는 정수를 냉각하여 사용자에게 냉수를 제공하도록 이루어진다.
정수를 냉각하여 냉수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정수보다 더 낮은 온도의 냉각수를 이용해야 한다. 냉각수의 온도가 정수보다 낮아야 정수로부터 열을 빼앗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정수보다 낮은 온도의 냉각수를 형성하기 위해 냉각 장치가 작동하게 되면, 정수기의 온도가 부분적으로 저하되어 이슬점보다 낮아지기도 한다.
이슬이란 기온이 이슬점보다 낮아짐에 따라 공기 중의 수증기가 응축되어 맺히는 물방울을 가리킨다. 정수기의 온도가 부분적으로 저하되어 이슬점보다 낮아지면 정수기에 이슬이 맺히게 된다. 특히 냉수를 생성하기 위한 냉각수는 위생을 위해 주기적으로 외부로 배출되고 새로운 냉각수가 정수기에 채워지게 되는데, 냉각수를 배출하기 위한 밸브나 배관의 표면에 이슬이 맺힐 수 있다.
이슬은 정수기 내부에 장착된 전자부품들의 오작동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정수기에 맺힌 이슬을 누수 발생으로 오인할 수 있다. 따라서 냉수를 제공하도록 이루어지는 정수기에서 이슬의 맺힘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에 대한 제안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이슬의 맺힘이 발생할 수 있는 냉각수 배수밸브를 충분히 단열하여 상기 냉각수 배수밸브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정수기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이슬의 맺힘 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배관을 갖지 않고도 냉각수를 배출할 수 있는 구조의 정수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냉각수를 저장하여 냉수를 형성하는 냉수 탱크 조립체와 냉각수를 배수하기 위한 냉각수 배수밸브의 실링구조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냉각수 배수밸브를 충분히 단열하기 위해서는 냉수 탱크 조립체와 냉각수 배수밸브의 실링이 전제되어야 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실링구조는 이슬의 맺힘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한 구조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발포 단열재로 냉수 탱크 조립체와 냉각수 배수밸브를 모두 감싸기 위해 필요한 구조와 발포 단열재를 형성하기 위해 필요한 구조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이들 구조들도 이슬의 맺힘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한 구조들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냉각수의 원활한 배수를 위한 구조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정수기는, 내부에 냉각수를 수용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냉각수로 상기 정수를 냉각하여 냉수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지는 냉수 탱크 조립체; 상기 냉수 탱크 조립체의 외주면을 감싸는 발포 단열재; 및 상기 냉수 탱크 조립체에 연결되며, 상기 냉수 탱크 조립체의 내부에 채워진 냉각수의 배출 유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냉수 탱크 조립체로부터 돌출되는 냉각수 배수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발포 단열재는 상기 냉각수 배수밸브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냉각수 배수밸브를 감싼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냉각수 배수밸브는, 중공부를 구비하고, 상기 중공부에 형성되는 하류측 걸림턱과 상류측 단턱을 구비하며, 상기 발포 단열재에 의해 감싸지는 하우징; 상기 걸림턱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제1부분과 외부에 노출되어 상기 냉각수 배수밸브의 개폐를 위한 누름 조작을 인가받는 제2부분을 구비하는 누름부; 및 상기 단턱에 의해 지지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누름부의 제1부분을 상기 걸림턱에 밀착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수 배수밸브는 상기 걸림턱과 상기 누름부 사이를 실링하는 오링을 포함하고, 상기 오링은 상기 누름부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1부분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걸림턱에 밀착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냉수 탱크 조립체는 상기 냉각수 배수밸브와 연결되는 돌출 배수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수 배수밸브와 상기 돌출 배수 유로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에 삽입되며, 상기 정수기는 상기 냉각수 배수밸브와 상기 돌출 배수 유로의 연결 부위를 감싸는 실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포 단열재는 상기 실링부재를 감쌀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냉수 탱크 조립체는 상기 냉각수 배수밸브와 연결되는 돌출 배수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수 배수밸브와 상기 돌출 배수 유로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에 삽입되며, 상기 정수기는 상기 냉각수 배수밸브와 상기 돌출 배수 유로의 사이에 설치되는 실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냉각수 배수밸브와 상기 돌출 배수 유로의 사이에 끼워지는 환형의 축부; 상기 축부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상기 축부의 외주면에서 돌출되며, 상기 냉각수 배수밸브와 상기 돌출 배수 유로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걸리는 환형의 헤드부; 및 상기 축부의 외주면과 내주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수 탱크 조립체의 외측 바닥면은 상기 돌출 배수 유로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돌출 배수 유로를 부분적으로 감쌀 수 있다.
상기 냉수 탱크 조립체는 상기 냉각수 배수밸브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냉수 탱크 조립체의 외측 바닥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돌출 배수 유로와 상기 냉각수 배수밸브의 연결 부위를 가리지 않는 위치에서 상기 외측 바닥면과 함께 상기 냉각수 배수밸브를 감쌀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냉수 탱크 조립체는 상기 발포 단열재의 발포 공정 시 발포액의 범람을 방지하도록 상부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는 배리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정수기는, 상기 정수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커버; 및 상기 발포 단열재의 외주면과 상기 커버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에어갭을 포함하고, 상기 냉각수 배수밸브의 외주면은 상기 발포 단열재와 상기 커버에 의해 연속적으로 감싸질 수 있다.
상기 발포 단열재와 상기 커버는 각각 상기 냉각수 배수밸브와 대응되는 위치에 홀을 구비하고, 상기 냉각수 배수밸브는 상기 홀들을 통해 외부에 시각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정수기는, 상기 정수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커버; 상기 발포 단열재의 외주면과 상기 커버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에어갭; 및 상기 냉수 탱크 조립체의 하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에어갭을 형성하도록 상기 발포 단열재와 상기 커버를 서로 이격시키는 받침대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수 배수밸브의 외주면은 상기 발포 단열재, 상기 받침대 및 상기 커버에 의해 연속적으로 감싸질 수 있다.
상기 발포 단열재, 상기 받침대 및 상기 커버는 각각 상기 냉각수 배수밸브와 대응되는 위치에 홀을 구비하고, 상기 냉각수 배수밸브는 상기 홀들을 통해 외부에 시각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냉수 탱크 조립체의 내부 바닥면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냉수 탱크 조립체는 상기 냉각수 배수밸브와 함께 상기 배출 유로를 형성하는 고임 방지 배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임 방지 배수부는 상기 냉수 탱크 조립체의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만입되어 상기 내부 바닥면보다 낮은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냉수 탱크 조립체를 단열하는 발포 단열재가 냉수 탱크 조립체뿐만 아니라 냉각수 배수밸브까지 감싸므로, 냉각수 배수밸브와 공기의 접촉을 차단할 수 있다. 냉각수 배수밸브와 공기의 접촉이 차단됨에 따라, 냉각수 배수밸브에 이슬이 맺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냉각수 배수밸브를 발포 단열재로 감싸기 위해 기계식의 냉각수 배수밸브를 갖는다. 기계식의 냉각수 배수밸브는 물에 노출되더라도 고장의 염려가 없으므로, 냉수 탱크 조립체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기계식의 냉각수 배수밸브는 냉수 탱크 조립체와 함께 발포 단열재에 의해 감싸질 수 있다. 또한 냉각수 배수밸브가 냉수 탱크 조립체와 인접하게 배치되므로, 본 발명은 이슬 맺힘의 발생 우려가 있는 배관의 필요성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냉수 탱크 조립체와 냉각수 배수밸브의 연결 및 실링 구조를 제안하였다. 발포 단열재를 형성하기 위한 발포 공정은 냉수 탱크 조립체와 냉각수 배수밸브의 실링을 전제로 한다. 각 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의 구조를 달리하여 냉수 탱크 조립체와 냉각수 배수밸브의 실링 및 발포 공정을 가능하게 하고, 궁극적으로 냉각수 배수밸브의 이슬 맺힘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포 단열재로 냉수 탱크 조립체와 냉각수 배수밸브를 모두 감싸기 위해 필요한 보조 구조를 제안하였다. 고정부는 발포 공정뿐만 아니라 발포 공정 후에도 냉각수 배수밸브를 고정한다. 배리어는 발포액의 범람을 방지하여 정상적인 발포 단열재의 형성을 가능하게 한다. 에어갭은 냉수 탱크 조립체를 추가 단열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냉각수 배수밸브가 에어갭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여 냉각수 배수밸브의 이슬 맺힘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냉수 탱크 조립체의 바닥에 형성되는 경사면과 고임 방지 배수부를 통해 원활한 배수를 위한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정수기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정수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냉수 탱크 조립체와 리어 커버를 라인 A-A를 따라 자르고 바라본 단면도.
도 4는 냉수 탱크 조립체, 냉각수 배수밸브 및 발포 단열재를 보인 개념도.
도 5는 냉수 탱크 조립체의 단면과 냉각수 배수밸브를 분해하여 보인 개념도.
도 6은 냉수 탱크 조립체와 냉각수 배수밸브의 결합 구조에 관한 제1실시예의 단면도.
도 7은 냉수 탱크 조립체와 냉각수 배수밸브의 결합 구조에 관한 제2실시예의 단면도.
도 8은 냉수 탱크 조립체와 냉각수 배수밸브의 결합 구조에 관한 제3실시예의 단면도.
도 9는 냉수 탱크 조립체와 냉각수 배수밸브의 결합 구조에 관한 제4실시예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정수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정수기(1000)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다.
정수기(1000)는 커버(1010), 취출부(1020), 베이스 조립체(1030) 및 트레이(1040)를 포함한다.
커버(1010)는 정수기(1000)의 외관을 형성한다. 원수를 여과하기 위한 부품들은 대부분 커버(1010)의 내부에 설치된다. 커버(1010)는 상기 부품들을 보호하도록 상기 부품들을 감싼다. 커버(1010)라는 명칭은 케이스 또는 하우징 등으로 바뀌어 설명될 수 있다. 어느 명칭이건 정수기(1000)의 외관을 형성하고 원수를 여과하는 부품들을 감싸도록 이루어진다면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커버(1010)에 해당한다.
커버(1010)는 단일 부품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여러 부품들의 결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010)는 프론트 커버(1011), 리어 커버(1014), 사이드 패널(1013a), 어퍼 커버(1012) 및 탑 커버(1015)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커버(1011)는 정수기(1000)의 전방에 배치된다. 리어 커버(1014)는 정수기(1000)의 후방에 배치된다. 여기서 정수기(1000)의 전방과 후방은 각각 사용자의 시선에서 취출부(1020)를 정면으로 바라보는 방향을 기준으로 설정한 것이다. 다만, 정수기(1000)의 전방과 후방이라는 개념이 절대적인 것은 아니므로, 정수기(1000)를 묘사하는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 프론트 커버(1011)와 리어 커버(1014)는 곡면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이드 패널(1013a)은 정수기(1000)의 좌우에 각각 배치된다. 사이드 패널(1013a)은 프론트 커버(1011)와 리어 커버(1014) 사이에 배치된다. 사이드 패널(1013a)은 프론트 커버(1011) 및 리어 커버(1014)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사이드 패널(1013a)은 실질적으로 정수기(1000)의 옆면을 형성한다.
어퍼 커버(1012)는 정수기(1000)의 전방에 배치된다. 어퍼 커버(1012)는 프론트 커버(1011)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된다. 어퍼 커버(1012)와 프론트 커버(1011) 사이의 공간으로 취출부(1020)가 노출된다. 어퍼 커버(1012)는 프론트 커버(1011)와 함께 정수기(1000) 전면의 외관을 형성한다.
탑 커버(1015)는 정수기(1000)의 윗면을 형성한다. 탑 커버(1015)에는 입출력부(1016)가 형성될 수 있다. 입출력부(1016)는 입력부와 출력부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입력부는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인가받도록 이루어진다. 입력부가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인가받는 방식은 터치 입력, 물리적인 가압 등을 모두 포함하거나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는 사용자에게 정수기(1000)의 상태 정보를 시청각적으로 제공하도록 이루어진다.
취출부(또는 코크 어셈블리, 1020)는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따라 사용자에게 정수를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취출부(1020)는 물을 공급하기 위해 정수기(1000)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온의 정수, 상온보다 차가운 냉수 및 상온보다 뜨거운 온수를 제공하도록 이루어지는 정수기(1000)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인가받은 제어 명령에 따라 상온의 온수, 냉수 및 정수 중 적어도 하나가 취출부(102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취출부(102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프론트 커버(1011)와 어퍼 커버(1012) 사이에 형성되는 회전 가능 범위 내에서 취출부(1020)가 회전될 수 있다. 취출부(1020)의 회전은 사용자가 취출부(1020)에 물리적으로 가하는 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취출부(1020)의 회전은 사용자가 입출력부(1016)에 인가하는 제어 명령에 근거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취출부(1020)의 회전을 구현하는 구성은 정수기(100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어퍼 커버(1012)에 의해 가려지는 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입출력부(1016)도 취출부(1020)의 회전 시 취출부(1020)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베이스 조립체(1030)는 정수기(1000)의 바닥을 형성한다. 정수기(1000)의 내부 부품들은 베이스 조립체(1030)에 의해 지지된다. 정수기(1000)가 바닥이나 선반 등에 놓여져 있을 때, 베이스 조립체(1030)는 바닥이나 선반 등을 마주보게 된다. 따라서 정수기(1000)가 바닥이나 선반 등에 놓여져 있을 때 베이스 조립체(1030)의 구조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트레이(1040)는 취출부(1020)를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정수기(1000)가 도 1과 같이 설치되었을 경우를 기준으로, 트레이(1040)는 취출부(1020)를 상하 방향으로 마주한다. 트레이(1040)는 취출부(1020)를 통해 제공되는 정수 등을 담기 위한 용기 등을 지지한다. 또한 트레이(1040)는 취출부(1020)에서 떨어지는 잔수를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트레이(1040)가 취출부(1020)에서 떨어지는 잔수를 받아 수용하면, 정수기(1000) 주위에 잔수로 인한 오염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트레이(1040)는 취출부(1020)에서 떨어지는 잔수를 받아내야 하므로, 트레이(1040)도 취출부(1020)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입출력부(1016)와 트레이(1040)는 취출부(1020)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서는 정수기(1000)의 외관을 설명하였으므로, 도 2에서는 정수기(1000)의 내부 구성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정수기(1000)의 내부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다.
필터부(1060)는 프론트 커버(1011)의 안쪽에 설치된다. 필터부(1060)는 원수를 여과하여 정수를 생성하도록 이루어진다. 하나의 필터만으로 사용자가 음용하기에 적절한 정수를 생성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필터부(1060)는 복수의 단위 필터들(1061, 1062)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단위 필터들(1061, 1062)은 기설정된 순서에 따라 연결된다. 단위 필터들(1061, 1062)은 예를 들어, 카본 블럭, 흡착 필터 등의 프리 필터와 헤파 필터, UF 필터 등의 고성능 필터등을 포함한다 도 2에는 두 개의 단위 필터들(1061, 1062)이 설치되어 있으나, 단위 필터들(1061, 1062)의 수는 필요에 따라 확장될 수 있다.
기설정된 순서란 필터부(1060)가 물을 여과하기에 적절한 순서를 의미하는 것이다. 필터에는 다양한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헤파 필터나 UF 필터와 같은 고성능 필터들은 머리카락이나 먼지 등의 큰 입자들로부터 보호되어야 한다. 따라서 고성능 필터들의 보호를 위해서는 프리 필터의 출구가 고성능 필터의 입구와 연결되어야 한다.
프리 필터는 큰 입자들을 물로부터 제거하도록 이루어진다. 프리 필터가 고성능 필터의 상류측에 배치되어 원수에 포함된 큰 입자들을 먼저 제거하면, 큰 입자들을 포함하지 않는 물이 고성능 필터로 공급되므로 고성능 필터가 보호될 수 있다. 프리 필터를 통과한 원수는 이어서 헤파 필터나 UF 필터 등에 의해 여과된다.
필터부(1060)에 의해 생성된 정수는 곧바로 취출부(102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정수의 온도는 상온에 해당한다. 이와 달리, 필터부(1060)에 의해 성성된 정수는 유도 가열 모듈(1100)에 의해 온수로 되거나 냉수 탱크 조립체(1200)에 의해 냉수로 될 수 있다.
필터 브라켓 조립체(1070)는 필터부(1060)의 단위 필터(1061, 1062)들을 고정시키고, 정수나 냉수 등의 출수 유로, 밸브 등을 고정하는 구조물이다.
필터 브라켓 조립체(1070)의 하단(1071)은 트레이(1040)와 결합된다. 필터 브라켓 조립체(1070)의 하단은 트레이(1040)의 돌출 결합부(1041)를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트레이(1040)의 돌출 결합부(1041)가 필터 브라켓 조립체(1070)의 하단(1071)에 삽입됨에 따라 필터 브라켓 조립체(1070)와 트레이(1040)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필터 브라켓 조립체(1070)의 하단(1071)과 트레이(1040)는 서로 대응되는 곡면을 갖는다. 필터 브라켓 조립체(1070)의 하단(1071)은 나머지 부분과 독립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필터 브라켓 조립체(1070)의 상단(1072)은 취출부(1020)를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필터 브라켓 조립체(1070)의 상단(1072)은 취출부(1020)의 회전 경로를 형성한다. 취출부(1020)는 정수기(1000)의 외부로 돌출되는 제1부분(1021)과 정수기(1000)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2부분(102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2부분(102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부분(1022)은 필터 브라켓 조립체(1070)의 상단(1072)에 거치된다. 필터 브라켓 조립체(1070)의 상단(1072)은 나머지 부분과 독립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필터 브라켓 조립체(1070)의 하단(1071)과 상단(1072)은 상하 연결부(1073)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하 연결부(1073)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필터 브라켓 조립체(1070)의 하단(1071)과 상단(1072)은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만일 사용자가 취출부(1020)를 회전시키면, 취출부(1020)와 연결되는 필터 브라켓 조립체(1070)의 상단(1072), 상하 연결부(1073), 하단(1071) 및 트레이(1040)가 취출부(102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필터 브라켓 조립체(1070)의 하단(1071)과 상단(1072) 사이에는 필터부(1060)의 단위 필터들(1061, 1062)을 수용하도록 이루어지는 필터 설치 영역(1074)이 형성될 수 있다. 필터 설치 영역(1074)은 단위 필터들(1061, 1062)의 설치 공간을 제공한다.
필터 설치 영역(1074)의 반대쪽에는 정수기(1000)의 후방을 향해 돌출되는 지지대(1075)가 형성된다. 지지대(1075)는 유도 가열 모듈(1100)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유도 가열 모듈(1100)은 지지대(1075)에 거치된다. 지지대(1075)는 유도 가열 모듈(1100)에서 형성된 열이 압축기 조립체(1050) 등으로 전도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유도 가열 모듈(1100)은 온수를 생성하도록 이루어진다. 유도 가열 모듈(1100)은 필터부(1060)에서 생성된 정수를 공급받는다. 특히 별도의 수조부를 구비하지 않는 직수형 정수기(1000)의 경우, 유도 가열 모듈(1100)은 필터부(1060)로부터 직접 정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유도 가열 모듈(1100)에는 정수기(1000)의 동작을 제어하는 다양한 인쇄회로기판들이 내장될 수 있다.
유도 가열 모듈(1100)의 일측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들로 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고 화재 발생 시 인쇄회로기판들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 커버(1161)가 결합될 수 있다.
압축기 조립체(1050)는 지지대(1075)의 아래에 배치된다. 냉수 탱크 조립체(1200)에서 냉수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냉동사이클의 작동에 의해 냉수 탱크 조립체(1200)의 내부에 채워져 있는 냉각수를 저온으로 만들어야 한다. 냉동사이클이란 냉매의 압축-응축-팽창-증발 과정이 연속적으로 일어나는 장치들의 집합을 가리킨다. 압축기 조립체(1050)의 압축기는 냉매를 압축하도록 이루어진다. 압축기에는 냉동사이클의 각 구성요소들을 연결하는 냉매 유로 등이 연결될 수 있다. 압축기와 냉매 유로 등을 포함하는 기기들이 서로 연결되어 압축기 조립체(1050)를 형성한다.
압축기 조립체(1050)는 베이스 조립체(1030)에 의해 지지된다. 베이스 조립체(1030)는 압축기 조립체(1050)뿐만 아니라 프론트 커버(1011), 리어 커버(1014), 사이드 패널(1013a, 1013b), 필터 브라켓 조립체(1070), 응축기(1032) 및 팬(1033) 등을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이들 구성 요소들을 지지하기 위해 베이스 조립체(1030)는 높은 강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정수기(1000)의 후방측에는 응축기(1032)와 팬(1033)이 설치될 수 있는데, 베이스 조립체(1030)는 응축기(1032)의 방열을 위해 바닥에 흡기구(1034)를 갖는다. 흡기구(1034)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팬(1033)에 의해 응축기(1032)를 향해 이동하면서 공랭식의 냉각을 구현하게 된다. 베이스 조립체(1030)에는 응축기(1032)의 방열 효율을 높이기 위해 팬(1033)과 응축기(1032)를 감싸는 덕트 구조의 부품이 고정될 수 있다. 응축기(1032)의 상부에는 냉수 탱크 조립체(1200)를 지지하기 위한 받침대(1031)가 설치될 수 있다.
받침대(1031)와 리어 커버(1014)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홀(1031a)(1014a)을 구비할 수 있다. 홀(1031a)(1014a)은 냉수 탱크 조립체(1200)에 채워진 냉각수를 배수하기 위한 것이다. 냉각수를 배수하기 위한 구조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응축기(1032)도 압축기 조립체(1050)의 압축기와 함께 냉동사이클을 형성한다. 응축기(1032)에서 냉매의 응축이 이루어진다.
증발기(1202, 도 3 참조)는 냉수 탱크 조립체(120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냉매의 팽창은 모세관 등의 팽창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냉수 탱크 조립체(1200)는 내부에 냉각수를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냉수 탱크 조립체(1200)는 필터부(1060)에서 생성된 정수를 공급받는다. 특히 별도의 수조부를 구비하지 않는 직수형 정수기(1000)의 경우, 냉수 탱크 조립체(1200)는 필터부(1060)로부터 직접 정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냉수 탱크 조립체(1200)에 채워진 냉각수의 온도는 냉동사이클의 작동에 의해 낮아진다. 냉수 탱크 조립체(1200)는 냉각수로 정수를 냉각하여 냉수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진다.
냉각수는 냉수 탱크 조립체(1200)에 저장되어 있고 순환하지 않기 때문에 오랜 시간이 지나면 냉각수의 오염도가 증가하게 된다. 위생을 위해서는 주기적으로 냉수 냉크 조립체에 저장된 냉각수는 외부로 배출시키고, 새로운 냉각수가 냉수 탱크 조립체(1200)에 채워져야 한다.
종래의 기술은 냉각수의 배출을 위한 밸브와 배관 등을 포함하였다. 냉각수는 저온으로 유지되기 때문에 냉각수가 통과하는 밸브와 배관 등의 온도는 부분적으로 이슬점보다 낮아질 수 있다. 그리고 온도가 이슬점보다 낮아진 부분에는 이슬이 맺히게 된다. 이슬의 맺힘은 정수기(1000)의 오작동을 유발할 수 있으며, 누수로 오인될 가능성도 있다.
본 발명은 냉각수를 배출하는 구성요소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 기술과 차별화된 구조를 갖는다. 종래 기술과 차별화되는 구조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냉수 탱크 조립체(1200)와 리어 커버(1014)를 라인 A-A를 따라 자르고 바라본 단면도다.
냉수 탱크 조립체(1200)의 내부에는 냉각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서미스터(thermistor, 1201)가 설치된다. 서미스터(1201)는 온도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하는 특성을 이용하여 측정 대상체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이루어진다. 서미스터(1201)는 냉각수의 온도를 측정한다. 서미스터(1201)에 의해 측정되는 냉각수의 온도는 냉동사이클의 작동을 결정하는 근거가 된다.
서미스터(1201)에 의해 측정된 냉각수의 온도가 제1 기준 온도 이상이면, 정수기(1000)의 냉동사이클이 작동하여 냉각수의 온도를 낮춘다. 도 2에서 설명한 압축기 조립체(1050) 및 응축기가 작동하여 냉매를 압축 및 응축하고, 팽창 장치에서 냉매의 팽창이 이루어진다. 팽창된 냉매는 냉수 탱크 조립체(1200)의 내부에 설치된 증발기(1202)를 통과한다. 냉수 탱크 조립체(1200)의 내부에 저장된 냉각수는 증발기(1202)를 통과하는 냉매와 열교환하여 냉각된다.
냉수 탱크 조립체(1200)의 내부에는 교반기(agitator, 1204)가 설치된다. 교반기(1204)는 냉각수에 침지되며,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이루어진다. 교반기(1204)는 냉수 탱크 조립체(1200) 내에서 유체간의 열교환을 촉진하는 장치다. 교반기(1204)는 냉각수와 냉매의 열교환, 냉각수와 정수의 열교환을 촉진한다.
서미스터(1201)는 냉각수의 온도를 지속적으로 측정한다. 서미스터(1201)에 의해 측정된 냉각수의 온도가 제2 기준 온도 이하이면, 정수기(1000)의 냉동사이클은 작동을 멈추게 된다. 제2 기준 온도는 제1 기준 온도보다 낮다. 제1 기준 온도와 제2 기준 온도는 각각 냉동사이클의 작동과 정지를 위한 기준을 설정한다. 냉수 탱크 조립체(1200)에 저장된 냉각수의 온도는 서미스터(1201)에 의한 온도 측정과 냉동사이클의 작동에 의해 제1 기준 온도와 제2 기준 온도의 사이로 유지될 수 있다.
쿨링 코일(1203)은 정수가 통과하는 유로에 해당한다. 도 3에서 도면부호 1203으로 표시된 유로의 단면에서부터 그 아래의 바닥면(1207)까지의 유로들은 모두 쿨링 코일(1203)에 해당한다. 쿨링 코일(1203)은 냉수 탱크 조립체(1200)의 내부에 설치되며, 냉각수에 침지된다. 쿨링 코일(1203)을 통과하는 정수는 냉각수와 열교환하게 된다. 열은 정수로부터 냉각수로 전달되며, 정수는 냉각수와의 열교환에 의해 짧은 시간 내에 냉수가 된다. 교반기(1204)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정수와 냉각수의 열교환을 촉진한다.
지지부(1207a)는 쿨링 코일(1203)을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지지부(1207a)는 냉수 탱크 조립체(1200)의 내부 바닥면(1207)으로부터 쿨링 코일(1203)을 향해 돌출된다. 지지부(1207a)는 쿨링 코일(1203)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크기의 홈을 갖는다. 쿨링 코일(1203)은 지지부(1207a)의 홈에 거치되며, 상기 지지부(1207a)에 의해 지지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냉수 탱크 조립체(1200)에 저장된 냉각수는 위생을 위해 주기적으로 교체되어야 한다. 냉각수의 배수는 배수 유로를 형성하는 냉각수 배수밸브(1220)를 통해 이루어진다.
냉각수 배수밸브(1220)는 냉수 탱크 조립체(1200)에 연결된다. 냉각수 배수밸브(1220)는 냉수 탱크 조립체(1200)의 내부에 채워진 냉각수의 배출 유로를 형성하도록 냉수 탱크 조립체(1200)로부터 돌출된다.
냉각수 배수밸브(1220)와 냉수 탱크 조립체(1200)의 연결 구조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 연결 구조에 대한 제1 내지 제4실시예는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3에 도시된 연결 구조는 제1실시예에 해당한다.
냉수 탱크 조립체(1200)는 돌출 배수 유로(1206)를 포함한다. 돌출 배수 유로(1206)는 냉수 탱크 조립체(1200)의 하부에서 돌출되어 냉각수 배수밸브(1220)와 연결된다. 돌출 배수 유로(1206)는 냉각수 배수밸브(1220)에 삽입된다. 냉각수 배수밸브(1220)는 정수기(1000)의 외부로 냉각수를 배출하도록 이루어지므로, 돌출 배수 유로(1206)가 냉각수 배수밸브(1220)에 삽입되면 냉수 탱크 조립체(1200)에 저장된 냉각수를 배수할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된다.
냉각수 배수밸브(1220)는 고정부(1205)에 의해 고정된다. 냉각수 배수밸브(1220) 및 고정부(1205)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냉수 탱크 조립체(1200)의 내부 바닥면(1207)은 원활한 배수를 위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냉각수는 자연력에 의해 배수되기 때문에, 냉수 탱크 조립체(1200)의 내부 바닥면(1207)이 평평하면 일부 영역에 냉각수가 고일 수 있다. 냉각수가 내부 바닥면(1207)의 일부 영역에 고이게 되면 위생적으로 바람직하지 않다. 그러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수 탱크 조립체(1200)의 내부 바닥면(1207)이 배수 유로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면 냉각수의 고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냉수 탱크 조립체(1200)는 고임 방지 배수부(1208)를 포함할 수 있다. 고임 방지 배수부(1208)는 냉각수 배수밸브(1220)와 함께 배수 유로를 형성한다. 고임 방지 배수부(1208)는 냉수 탱크 조립체(1200)의 내부 바닥면(1207)의 만입(또는 함몰)에 의해 형성된다. 고임 방지 배수부(1208)는 냉수 탱크 조립체(1200)의 내부 바닥면(1207)보다 낮은 바닥면을 형성하며, 적어도 일부 영역에는 경사를 갖기도 한다.
고임 방지 배수부(1208)는 냉수 탱크 조립체(1200)에 채워진 냉각수를 모아 냉각수 배수밸브(1220)로 공급하도록 이루어진다. 고임 방지 배수부(1208)는 내부 바닥면(1207)보다 낮은 바닥면을 형성하고 경사를 가지므로, 냉각수는 내부 바닥면(1207)에 고이지 않게 된다. 냉각수는 고임 방지 배수부(1208)에 모여 냉각수 배수밸브(1220)를 통해 배출된다.
정수기(1000)는 냉수 탱크 조립체(1200)를 단열하기 위한 발포 단열재(1210)를 포함한다. 발포 단열재(1210)는 상기 냉수 탱크 조립체(1200)의 외주면을 감싼다. 발포 단열재(1210)가 냉수 탱크 조립체(1200)를 단열하는 이유는, 냉수 탱크 조립체(1200)를 보냉하기 위한 것이다. 냉수 탱크 조립체(1200) 내부에 채워진 냉각수의 온도는 점차 상온에 가까워지게 된다. 발포 단열재(1210)는 냉각수로부터 공기 중으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억제하여, 냉각수의 온도가 상온에 가까워지는 속도를 저하시키는 역할을 한다.
발포 단열재(1210)는 냉각수 배수밸브(1220)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냉각수 배수밸브(1220)를 감싼다. 발포 단열재(1210)가 냉각수 배수밸브(1220)를 감싸는 이유는 냉각수 배수밸브(1220)와 공기의 접촉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이슬은 공기 중의 수증기가 응축되어 형성되는 것이므로,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하면 이슬의 맺힘을 방지할 수 있다. 발포 단열재(1210)는 냉각수 배수밸브(1220)와 공기의 접촉을 차단하여, 냉각수 배수밸브(1220)의 외주면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발포 단열재(1210)는 냉수 탱크 조립체(1200)뿐만 아니라 냉각수 배수밸브(1220)까지 감싼다. 따라서 발포 단열재(1210)는 냉수 탱크 조립체(1200)를 보냉하고 냉각수 배수밸브(1220)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냉수 탱크 조립체(1200)의 단열을 위한 발포 단열재(1210)를 이용하여 냉각수 배수밸브(1220)에 이슬이 맺히는 현상의 발생도 방지하는 추가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발포 단열재(1210)는 PU(폴리우레탄, Polyurethane)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발포 공정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발포 단열재(1210)는 발포 PU 폼으로 명명될 수도 있다. 종래의 EPS(Expandable Polystrene)라는 단열재가 정수기 등의 보냉을 위해 사용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EPS에는 틈이 존재하기 때문에 EPS로는 냉각수 배수밸브(1220)와 공기의 접촉의 차단할 수 없다. 이에 반해 PU로 이루어지고 발포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발포 단열재(1210)에는 틈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냉각수 배수밸브(1220)와 공기의 접촉을 차단할 수 있다.
발포 공정은 발포 지그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발포 단열재(1210)는 누드 발포라는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발포 공정은 아래와 같은 순서로 이루어진다.
냉수 탱크 조립체(1200)와 냉각수 배수밸브(1220)를 조립하고, 조립된 냉수 탱크 조립체(1200)와 냉각수 배수밸브(1220)를 발포 지그에 투입한다. 이어서 발포 지그에 발포 단열재(1210)의 원액(예를 들어 폴리우레탄과 발포제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발포액)을 투입하고 발포 공정을 진행한다. 발포 공정이 완료되면 냉수 탱크 조립체(1200)의 외주면을 감싸는 발포 단열재(1210)가 형성된다. 발포 공정에 의해 형성된 발포 단열재(1210)는 냉수 탱크 조립체(1200)뿐만 아니라 냉각수 배수밸브(1220)까지 감싼다.
냉수 탱크 조립체(1200)는 발포 공정 시 발포액의 범람을 방지하기 위한 배리어(1209)를 포함한다. 배리어(1209)는 냉수 탱크 조립체(1200) 상부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된다. 냉수 탱크 조립체(1200)로부터 돌출된 배리어(1209)는 발포 지그의 내주면과 맞닿아 발포 지그에 투입된 발포액의 범람을 방지할 수 있다.
발포 공정이 완료되면, 냉수 탱크 조립체(1200), 냉각수 배수밸브(1220) 및 발포 단열재(1210)는 일체로 형성된다. 발포 단열재(1210)는 커버(1010)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여기서 말하는 커버(1010)란 냉수 탱크 조립체(1200)의 설치 위치에 따라 프론트 커버(1011), 사이드 패널(1013a) 및 리어 커버(1014)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도 2에서 설명했던 냉수 탱크 조립체(1200)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면, 여기서의 커버(1010)는 리어 커버(1014)에 해당한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발포 단열재(1210)와 리어 커버(1014)가 서로 이격되어 있으므로, 발포 단열재(1210)의 외주면과 리어 커버(1014)의 내주면 사이에는 에어갭(1230)이 형성된다. 에어갭(1230)은 냉수 탱크 조립체(1200)의 추가적인 보냉을 위한 것이다. 발포 단열재(1210)가 리어 커버(1014)와 맞닿는 구조보다 에어갭(1230)이 발포 단열재(1210)와 리어 커버(1014)를 이격시키는 구조가 냉수 탱크 조립체(1200)의 보냉에 유리하다. 에어갭(1230)이 열전도를 제한하기 때문이다.
에어갭(1230)은 냉수 탱크 조립체(1200)를 추가 보냉할 수 있으나, 냉각수 배수밸브(1220)가 에어갭(1230)에 노출되면 냉각수 배수밸브(1220)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할 수 없다. 냉각수 배수밸브(1220)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냉각수 배수밸브(1220)의 외주면은 발포 단열재(1210)와 리어 커버(1014)에 의해 연속적으로 감싸진다. 냉각수 배수밸브(1220)가 발포 단열재(1210)와 리어 커버(1014)에 의해 연속적으로 감싸지므로, 리어 커버(1014)와 발포 단열재(1210) 사이에 에어갭(1230)이 존재하더라도 냉각수 배수밸브(1220)는 에어갭(1230)에 노출되지 않는다.
도 3을 참조하면, 정수기(1000)는 냉수 탱크 조립체(1200)의 하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받침대(1031)를 포함할 수 있다. 받침대(1031)는 에어갭(1230)을 형성하도록 발포 단열재(1210)와 커버(1010)를 서로 이격시킨다. 또한 냉각수 배수밸브(1220)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냉각수 배수밸브(1220)의 외주면은 발포 단열재(1210), 받침대(1031) 및 커버(1010)에 의해 연속적으로 감싸질 수 있다.
에어갭(1230)이 존재하더라더도 (1) 냉각수 배수밸브(1220)가 발포 단열재(1210)와 커버(1010)에 의해 연속적으로 감싸지는 구조나, (2) 냉각수 배수밸브(1220)가 발포 단열재(1210), 받침대(1031) 및 커버(1010)에 의해 연속적으로 감싸지는 구조를 통해 냉각수 배수밸브(1220)가 에어갭(1230)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냉각수 배수밸브(1220)가 에어갭(1230)에 노출되지 않으므로, 본 발명은 에어갭(1230)을 갖더라도 냉각수 배수밸브(1220)의 외주면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냉수 탱크 조립체(1200), 냉각수 배수밸브(1220) 및 발포 단열재(1210)의 외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냉수 탱크 조립체(1200), 냉각수 배수밸브(1220) 및 발포 단열재(1210)를 보인 개념도다.
냉수 탱크 조립체(1200)에는 냉각수 배수밸브(122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1205)를 포함한다. 고정부(1205)는 냉각수 배수밸브(122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싼다. 고정부(1205)는 냉각수 배수밸브(1220)의 외형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수 배수밸브(1220)의 외관이 원기둥과 같은 형태인 경우, 고정부(1205)의 적어도 일부는 환형으로 형성되어 냉각수 배수밸브(1220)를 감싸게 된다. 만일 냉각수 배수밸브(1220)의 외형이 달라지면 고정부(1205)의 구조도 냉각수 배수밸브(1220)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고정부(1205)는 발포 공정 동안 냉각수 배수밸브(1220)의 위치를 고정한다. 발포 공정 동안 냉수 탱크 조립체(1200)와 냉각수 배수밸브(1220)는 발포 지그 내에서 발포액에 침지된다. 따라서 발포액에 의해 제공되는 부력에 의해 냉각수 배수밸브(1220)가 정위치로부터 이탈할 수 있다. 고정부(1205)는 냉각수 배수밸브(1220)를 감싸 냉각수 배수밸브(1220)의 이동을 제한하고 부력에 의한 영향력을 감소시킨다.
고정부(1205)는 발포 공정 동안 냉각수 배수밸브(1220)의 위치를 고정할뿐만 아니라 발포 공정이 완료된 후에도 냉각수 배수밸브(1220)의 위치를 고정한다. 발포 공정이 완료된 후에는 발포 단열재(1210)가 냉각수 배수밸브(1220)를 감싸므로, 냉각수 배수밸브(1220)가 정위치로부터 이탈될 가능성이 높은 것은 아니다. 다만, 발포 단열재(1210)가 외력이나 충격에 의해 변형되거나 파손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다. 발포 단열재(1210)가 변형 또는 파손되더라도 고정부(1205)가 냉각수 배수밸브(1220)를 감싸고 있으므로, 냉각수 배수밸브(1220)는 고정부(1205)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한편 실링부재(1240)는 냉수 탱크 조립체(1200)와 냉각수 배수밸브(1220)의 연결 부위에 형성되는 틈을 통해 냉각수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실링부재(1240)는 냉수 탱크 조립체(1200)와 냉각수 배수밸브(1220)의 연결 부위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실링부재(1240)는 냉수 탱크 조립체(1200)와 냉각수 배수밸브(1220)를 연결시키고 실링하는 역할을 한다.
실링부재(1240)는 냉각수 배수밸브(1220)의 작동 과정뿐만 아니라 발포 공정 동안 냉수 탱크 조립체(1200)와 냉각수 배수밸브(1220)의 연결 부위를 실링한다. 발포 단열재(1210)를 형성하기 위한 발포 공정은 발포액 투입이라는 단계를 포함하므로, 발포액이 냉수 탱크 조립체(1200)와 냉각수 배수밸브(1220)의 연결 부위를 통해 침투하게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발포 공정을 정상적으로 실시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냉수 탱크 조립체(1200)와 냉각수 배수밸브(1220)의 실링이 전제되어야 한다.
실링부재(1240)는 발포 공정 전에 냉수 탱크 조립체(1200)와 냉각수 배수밸브(1220)에 결합된다. 따라서 실링부재(1240)는 냉각수 배수밸브(1220)와 냉수 탱크 조립체(1200)의 연결 부위를 통해 발포액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실링부재(1240)는 속이 비어있는 원기둥 또는 중공부를 갖는 원기둥의 형태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형상의 실링부재(1240)를 대량 생산하는 경우, 상기 실링부재(1240)는 압출이라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압출이란 단면의 모양이 일정한 관이나 봉 형태의 제품을 연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가공 방법을 가리킨다. 압출은 압출 소재를 컨테이너에 투입하고 제조하고자 하는 모양을 가진 구멍으로 압출 소재를 연속적으로 밀어내는 가공 방법이다. 구멍을 빠져나온 제품의 단면은 일정하다. 이렇게 생산된 제품을 실링부재(1240)의 단위 크기로 자르면 실링부재(1240)가 대량으로 생상될 수 있다. 특히 압출은 후술할 사출에 비해 대량 생산에 유리한 장점을 갖는다.
발포 단열재(1210)는 냉수 탱크 조립체(1200)와 냉각수 배수밸브(1220)를 감싼다. 발포 단열재(1210)에는 냉각수 배수밸브(1220)를 마주보는 위치에 홀(1210a)이 형성될 수 있다. 발포 단열재(1210)의 홀(1210a)은 발포 단열재(1210)를 형성하는 발포 공정에서 자연스럽게 형성된다.
도 2와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냉각수 배수밸브(1220)의 출구는 발포 단열재(1210)의 홀(1210a), 받침대(1031)의 홀(1031a) 및 리어 커버(1014)의 홀(1014a)을 통해 외부에 시각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발포 단열재(1210)가 냉각수 배수밸브(1220)를 감싸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는 기계식의 냉각수 배수밸브(122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기계식의 냉각수 배수밸브(122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냉수 탱크 조립체(1200)의 단면과 냉각수 배수밸브(1220)를 분해하여 보인 개념도다.
냉수 탱크 조립체(1200) 냉각수 배수밸브(1220)와 연결되는 돌출 배수 유로(1206)를 포함한다. 돌출 배수 유로(1206)는 고임 방지 배수부(1208)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돌출 배수 유로(1206)는 냉수 탱크 조립체(1200)로부터 돌출된다. 돌출 배수 유로(1206)가 돌출되는 방향은 정수기(1000)의 외부를 향하는 방향이다.
냉각수가 배수되는 흐름을 기준으로 고임 방지 배수부(1208), 돌출 배수 유로(1206) 및 냉각수 배수밸브(1220)는 연속적인 냉각수의 배수 유로를 형성한다. 냉각수의 배수 시 냉각수는 고임 방지 배수부(1208), 돌출 배수 유로(1206) 및 냉각수 배수밸브(1220)를 순서대로 통과해 외부로 배출된다.
돌출 배수 유로(1206)의 세부적인 구조는 냉각수 배수밸브(1220)와의 연결 구조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돌출 배수 유로(1206)와 냉각수 배수밸브(1220)의 연결 구조에 관한 제1 내지 제4실시예를 제시한다. 제1 내지 제4실시예에 대하여는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5에 도시된 연결 구조는 제1실시예에 해당한다.
냉각수 배수밸브(1220)는 하우징(1221a, 1221b), 누름부(1222), 탄성부재(1223), 제1오링(1224), 제2오링(1225)을 포함한다.
하우징(1221a, 1221b)은 냉각수 배수밸브(1220)의 외관을 형성한다. 도 5에는 하우징(1221a, 1221b)의 외관이 외주면에 단차를 갖는 원기둥의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하우징(1221a, 1221b)의 외관에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우징(1221a, 1221b)은 중공부를 구비한다. 중공부는 냉각수를 배수하는 배수 유로에 해당함과 아울러 누름부(1222), 탄성부재(1223) 등을 수용하는 공간에 해당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우징(1221a, 1221b)은 발포 단열재(1210)에 의해 감싸진다. 발포 단열재(1210)가 하우징을 감싸므로, 하우징(1221a, 1221b)과 공기의 접촉이 차단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차가운 냉각수가 중공부를 통해 배수되더라도 하우징(1221a, 1221b)은 공기와 접촉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본 발명은 냉각수 배수밸브(1220)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우징(1221a, 1221b)은 제1하우징(1221a)과 제2하우징(1221b)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다. 제1하우징(1221a)과 제2하우징(1221b)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삽입되면 제1하우징(1221a)과 제2하우징(1221b)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제1하우징(1221a)은 냉각수 배수밸브(1220)에서 냉각수가 배출되는 출구에 해당한다. 이에 반해 제2하우징(1221b)은 냉수 탱크 조립체(1200)로부터 냉각수를 공급받는 입구에 해당한다. 따라서 냉수 탱크 조립체(1200)로부터 냉각수가 배수되는 흐름을 기준으로 제1하우징(1221a)은 제2하우징(1221b)보다 하류측에 배치된다.
누름부(1222)는 하우징(1221a, 1221b)의 내부에 배치된다. 하우징(1221a, 1221b)의 내부란 중공부를 의미한다. 누름부(1222)는 사용자로부터 누름 조작을 인가받는다. 사용자의 누름 조작은 냉각수 배수밸브(1220)의 배수 유로를 개폐하기 위한 것이다.
제1오링(1224)은 누름부(1222)와 제1하우징(1221a) 사이를 실링한다. 제1오링(1224)은 누름부(1222)에 결합되며, 탄성부재(1223)에 의해 제공되는 탄성력에 의해 하우징에 밀착된다. 제1오링(1224)은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진다. 제1오링(1224)이 누름부(1222)와 제1하우징(1221a) 사이를 실링하므로, 배수 유로의 닫힘이 구현될 수 있는 것이다.
탄성부재(1223)는 누름부(1222)를 제1하우징(1221a)으로 밀착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탄성부재(1223)는 누름부(1222)보다 상류측에 배치되며, 제2하우징(1221b)에 의해 지지된다.
제2오링(1225)은 환형으로 형성된다. 제2오링(1225)은 제1하우징(1221a)과 제2하우징(1221b)의 연결 부위를 실링한다. 제2오링(1225)은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진다.
도 5에 도시된 돌출 배수 유로(1206)의 단부는 제2하우징(1221b)의 중공부에 삽입 가능한 크기로 형성된다. 돌출 배수 유로(1206)의 외주면에는 단차가 존재한다. 제2하우징(1221b)은 돌출 배수 유로(1206)의 단부를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2하우징(1221b)은 돌출 배수 유로(1206)의 외주면을 감싼다. 제2하우징(1221b)은 돌출 배수 유로(1206)의 외주면에 존재하는 단차에 의해 이동에 제한을 받는다. 따라서 돌출 배수 유로(1206)의 단차는 제2하우징(1221b)의 고정 위치를 설정하는 역할을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고정부(1205)는 돌출 배수 유로(1206)와 냉각수 배수밸브(1220)를 모두 감싸는 것이 아니라 냉각수 배수밸브(1220)의 외주면을 일부만 감싸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냉각수 배수밸브(1220)는 냉수 탱크 조립체(1200)의 하단에 시각적으로 노출된다.
구체적으로, 냉수 탱크 조립체(1200)의 외측 바닥면은 돌출 배수 유로(1206)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돌출 배수 유로(1206)를 부분적으로 감싼다. 외측 바닥면이란 도 5에서 도면부호 1207로 표시된 내측 바닥면(1207)의 반대면을 의미한다. 냉각수 배수밸브(1220)가 돌출 배수 유로(1206)에 결합되는 방향에서 냉수 탱크 조립체(1200)를 바라보면, 외측 바닥면은 돌출 배수 유로(1206)를 부분적으로 감싸기 위해 부분적으로 아치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외측 바닥면이 돌출 배수 유로(1206)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것은, 그 사이에 냉각수 배수밸브(1220)와 실링부재(1240)의 배치를 위한 공간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외측 바닥면이 돌출 배수 유로(1206)를 전체가 아닌 부분적으로 감싸는 것은, 외측 바닥면에 의해 감싸지지 않는 나머지 부분을 통해 돌출 배수 유로(1206)를 노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고정부(1205)는 냉수 탱크 조립체(1200)의 외측 바닥면에서 돌출되어 냉각수 배수밸브(1220)를 감싼다. 고정부(1205)는 환형으로 형성된다. 고정부는 돌출 배수 유로(1206)와 냉각수 배수밸브(1220)의 연결 부위를 가리지 않는 위치에서 냉각수 배수밸브(1220)를 감싼다. 돌출 배수 유로(1206)와 냉각수 배수밸브(1220)는 실링부재(1240)에 의해 감싸질 수 있으므로, 고정부(1205)는 실링부재(1240)를 가리지 않는 위치에서 냉각수 배수밸브(1220)를 감싸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고정부(1205)는 냉수 탱크 조립체(1200)와 함께 냉각수 배수밸브(1220)를 감싼다. 환형의 고정부(1205)에 의해 형성되는 구멍은 돌출 배수 유로(1206)의 출구를 마주본다.
이러한 구조는 발포 공정 전 돌출 배수 유로(1206)와 냉각수 배수밸브(1220)의 연결 및 실링부재(1240)의 실링이 제대로 이루어졌는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발포 공정이 완료되고 나면 실링부재(1240)는 발포 단열재(1210)에 의해 가려진다.
이하에서는 냉수 탱크 조립체(1200)와 냉각수 배수밸브(1220)의 연결 구조에 관한 제1 내지 제4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아울러 도 1 내지 도 5에서 미처 설명하지 못한 냉각수 배수밸브(1220)의 내부 구조에 대하여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냉수 탱크 조립체(1200)와 냉각수 배수밸브(1220)의 결합 구조에 관한 제1실시예의 단면도다.
제1하우징(1221a)과 제2하우징(1221b)은 서로 나사체결, 억지끼움, 후크체결 등의 방식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제1하우징(1221a)과 제2하우징(1221b) 중 어느 하나에 다른 하나의 외주면을 감쌀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하면, 제1하우징(1221a)이 제2하우징(1221b)의 외주면을 감싼다.
제2하우징(1221b)은 제1하우징(1221a)과 결합되는 부분에 경사면을 구비한다. 제2하우징(1221b)의 경사면에 의해 제1하우징(1221a)과의 사이에 틈이 형성된다. 이 틈에 제2오링(1225)이 삽입되어 제1하우징(1221a)과 제2하우징(1221b)의 연결 부위를 실링한다. 제2오링(1225)은 냉각수가 제1하우징(1221a)과 제2하우징(1221b)의 연결 부위를 통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1하우징(1221a)은 걸림턱(1221a')을 구비한다. 제2하우징(1221b)은 단턱(1221b')을 구비한다. 냉각수의 배수 흐름을 기준으로 제1하우징(1221a)은 제2하우징(1221b)의 하류측에 배치되므로, 제1하우징(1221a)의 걸림턱(1221a')을 하류측 걸림턱(1221a')으로 명명하고, 제2하우징(1221b)의 단턱(1221b')을 상류측 단턱(1221b')으로 명명할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류측 걸림턱(1221a')과 상류측 단턱(1221b')을 각각 걸림턱(1221a')과 단턱(1221b')으로 지칭한다. 여기서 하류측과 상류측은 제1하우징(1221a)과 제2하우징(1221b)을 상대적으로 비교한 것이다.
걸림턱(1221a')은 제1하우징(1221a)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걸림턱(1221a')은 내주면을 따라 돌출되며, 실질적으로 환형으로 형성된다.
누름부(1222)는 제1부분(1222a)과 제2부분(1222b)으로 구분될 수 있다. 걸림턱(1221a')을 기준으로 냉각수 배수밸브(1220)의 내부와 외부를 구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분 하에서 제1부분(1222a)은 냉각수 배수밸브(1220)의 내부에 배치되는 부분을 의미하고, 제2부분(1222b)은 냉각수 배수밸브(1220)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제1부분(1222a)은 걸림턱(1221a')에 걸리도록 형성된다. 제1부분(1222a)은 실질적으로 판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1부분(1222a)의 형태는 어느 것이나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부분(1222a)은 원판 또는 다각형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에 구비되는 중공부의 크기는 일정하지 않고, 하우징의 내주면의 형상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걸림턱(1221a')이 제1하우징(1221a)의 내주면에서 돌출되면, 걸림턱(1221a')이 존재하는 위치의 중공부의 크기는 인접한 영역보다 작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걸림턱(1221a')이 존재하는 위치의 중공부를 걸림턱 중공부로 명명한다.
제1부분(1222a)은 걸림턱 중공부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부분(1222a)은 걸림턱(1221a')에 걸릴 수 있다. 탄성부재(1223)로부터 누름부(1222)에 탄성력이 제공되더라도 누름부(1222)의 이동은 걸림턱(1221a')에 의해 제한을 받는다. 따라서 누름부(1222)는 걸림턱(1221a')에 의해 하우징의 내부로부터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제2부분(1222b)은 외부로 노출되어 누름 조작을 인가받는다. 누름 조작이란 냉각수 배수밸브(1220)의 개폐를 위한 입력을 의미한다. 제2부분(1222b)은 제1부분(1222a)으로부터 냉각수 배수밸브(1220)의 외부를 향해 돌출된다. 제2부분(1222b)은 외부에 시각적으로 노출된다. 제2부분(1222b)은 걸림턱(1221a')에 의해 감싸진다. 제2부분(1222b)은 걸림턱(1221a')과 접촉할 수도 있고 접촉하지 않을 수도 있다.
걸림턱(1221a')과 누름부(1222) 사이에는 제1오링(1224)이 설치된다. 제1오링(1224)은 누름부(1222)의 외주면에 결합된다. 누름부(1222)는 제1부분(1222a)과 제2부분(1222b) 사이에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원형홈(1222c)을 갖는다. 제1오링(1224)은 원형홈(1222c)에 끼워진다.
제1부분(1222a)은 탄성부재(1223)로부터 탄성력을 제공받는다. 제1오링(1224)은 제1부분(1222a)에 의해 가압되어 걸림턱(1221a')에 밀착된다. 제1오링(1224)이 걸림턱(1221a')에 밀착되면, 냉각수 배수밸브(1220)는 닫힌다. 만일 사용자가 제2부분(1222b)에 외력을 가해 누름부(1222)를 탄성부재(1223)쪽으로 가압하면, 걸림턱(1221a')에 밀착되어 있던 제1오링(1224)은 걸림턱(1221a')으로부터 이격되고 냉각수 배수밸브(1220)는 열린다. 냉각수 배수밸브(1220)의 열림은 누름부(1222)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이루어지고, 냉각수 배수밸브(1220)의 닫힘은 탄성부재(1223)에 의해 제공되는 탄성력에 의해 이루어진다.
단턱(1221b')은 제2하우징(1221b)의 중공부에 형성된다. 제2하우징(1221b)의 중공부는 원주의 크기가 일정하지 않고, 원주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영역과 상대적으로 작은 영역이 존재한다. 제2하우징(1221b)의 중공부는 단턱(1221b')을 기준으로 그 크기가 달라진다. 원주의 크기 차이에 의해 단턱(1221b')이 형성된다.
탄성부재(1223)는 제2하우징(1221b)의 단턱(1221b')에 의해 지지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누름부(1222)는 제1부분(1222a)으로부터 탄성부재(1223)를 향해 돌출되는 보스부(1222d)를 구비할 수 있다. 탄성부재(1223)는 보스부(1222d)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보스부(1222d)에 의해 탄성부재(1223)의 움직임이 제한되므로, 보스부(1222d)는 탄성부재(1223)가 정위치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누름부(1222)의 제1부분(1222a)은 제1면과 제2면을 갖는다. 제1면과 제2면은 실질적으로 반대 방향을 향한다. 제1면쪽에는 탄성부재(1223)가 밀착되고, 제2면쪽에는 제1오링(1224)이 결합된다. 탄성부재(1223)가 제1면을 가압하면, 제1오링(1224)은 제2면에 의해 가압되어 걸림턱(1221a')에 밀착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기계식의 냉각수 배수밸브(1220)란 전자식 밸브와 구별되는 개념이다. 예를 들어 솔레노이드 밸브와 같은 전자식의 밸브는 전기적인 신호의 입력에 의해 작동한다. 이에 반해 기계식의 냉각수 배수밸브(1220)는 물리적인 힘을 가해 작동한다.
전자식의 밸브는 물에 노출되면 비정상적으로 작동하거나 고장날 우려가 있다. 정수기나 냉장고 등과 같은 워터시스템에 전자식 밸브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가급적 밸브가 물로부터 먼 위치에 전자식 밸브가 배치되어야 한다. 그러나 전자식 밸브가 물로부터 먼 위치에 배치되면, 전자식 밸브 및 상기 전자식 밸브에 연결되는 배관 등의 표면에 이슬이 맺히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기계식의 냉각수 배수밸브(1220)를 적용하였다. 기계식의 냉각수 배수밸브(1220)는 작동을 위해 전기적인 신호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기계식의 냉각수 배수밸브(1220)는 물에 취약하지 않으며, 물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도 기계식의 냉각수 배수밸브(1220)가 냉수 탱크 조립체(1200)에 직접 연결됨을 확인할 수 있다.
발포 단열재(1210)로 냉수 탱크 조립체(1200)와 냉각수 배수밸브(1220)를 모두 감싸기 위해서는 냉수 탱크 조립체(1200)와 냉각수 배수밸브(1220)가 서로 멀리 떨어져 있지 않아야 한다. 만일 전자식 밸브를 정수기에 적용하게 되면, 냉수 탱크 조립체(1200)와 전자식 밸브의 이격이 불가피하므로 발포 단열재(1210)로 냉수 탱크 조립체(1200)와 전자식 밸브를 모두 감쌀 수 없다.
그러나 본 발명은 기계식의 냉각수 배수밸브(1220)를 적용하여 냉수 탱크 조립체(1200)와 냉각수 배수밸브(1220)를 서로 인접하게 배치할 수 있고, 발포 단열재(1210)로 냉수 탱크 조립체(1200)와 냉각수 배수밸브(1220)를 모두 감쌀 수 있다. 발포 단열재(1210)로 냉각수 배수밸브(1220)를 감싼다는 것은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하여 궁극적으로 이슬의 맺힘을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냉수 탱크 조립체(1200)와 냉각수 배수밸브(1220)를 직접 연결하므로, 냉수 탱크 조립체(1200)와 냉각수 배수밸브(1220)를 연결하기 위한 배관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냉각수가 흐르는 배관에는 이슬의 맺힘이 발생할 수 있는데, 배관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것은 이슬의 맺힘이 발생할 수 있는 원인은 근본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7은 냉수 탱크 조립체(2200)와 냉각수 배수밸브(2220)의 결합 구조에 관한 제2실시예의 단면도다.
제2하우징(2221b)의 형상을 제외한 냉각수 배수밸브(2220)의 다른 구성은 도 6에서 설명한 제1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돌출 배수 유로(2206)는 제2하우징(2221b)의 단부를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제2하우징(2221b)은 돌출 배수 유로(2206)의 중공부에 삽입된다. 그리고 실링부재(2240)는 돌출 배수 유로(2206)와 제2하우징(2221b)의 연결 부위를 감싼다. 발포 단열재(2210)는 냉수 탱크 조립체(2200), 냉각수 배수밸브(2220) 및 실링부재(2240)를 감싼다.
제2실시예의 실링부재(2240)도 일정한 단면을 가지므로 압출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도 8은 냉수 탱크 조립체(3200)와 냉각수 배수밸브(3220)의 결합 구조에 관한 제3실시예의 단면도다.
돌출 배수 유로(3206)는 제2하우징(3221b)을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제2하우징(3221b)은 상기 돌출 배수 유로(3206)의 중공부에 삽입된다.
제3실시예의 실링부재(3240)는 돌출 배수 유로(3206)와 제2하우징(3221b)의 사이에 삽입된다. 돌출 배수 유로(3206)와 제2하우징(3221b)의 사이에 삽입되는 실링부재(3240)가 중공부를 갖는 원기둥의 형태라면, 냉각수 배수밸브(3220)와 돌출 배수 유로(3206)의 결합 과정에서 실링부재(3240)의 밀림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정위치에 고정되어야 할 실링부재(3240)가 마찰력에 의해 밀려남에 따라 정위치로부터 이탈되면, 돌출 배수 유로(3206)와 냉각수 배수밸브(3220)의 연결 부위에 실링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돌출 배수 유로(3206)와 제2하우징(3221b)의 사이에 삽입되는 실링부재(3240)는 밀림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져야 한다.
제3실시예의 실링부재(3240)는 축부(3241), 헤드부(3242) 및 돌기부(3243)를 포함한다.
축부(3241)는 환형으로 형성된다.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부(3241)는 속이 빈 원기둥 또는 중공부를 갖는 원기둥의 형태로 형성된다. 축부(3241)는 냉각수 배수밸브(3220)와 돌출 배수 유로(3206)의 사이에 끼워진다. 도 8을 참조하면, 축부(3241)는 제2하우징(3221b)의 외주면과 돌출 배수 유로(3206)의 내주면에 끼워진다. 실링부재(3240)에서는 축부(3241)가 실질적으로 냉각수의 누수를 발지하는 역할을 한다.
헤드부(3242)는 축부(3241)의 단부에서 돌출된다. 헤드부(3242)는 축부(3241)보다 큰 외경을 갖는다. 헤드부(3242)는 냉각수 배수밸브(3220)와 돌출 배수 유로(3206)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걸린다. 도 8을 참조하면, 헤드부(3242)는 돌출 배수 유로(3206)의 단부에 걸려있다. 헤드부(3242)가 돌출 배수 유로(3206)의 단부에 걸리므로, 실링부재(3240)는 이동에 제한을 받는다. 따라서 실링부재(3240)에 제2하우징(3221b)이 삽입되는 과정에서도 실링부재(3240)의 위치는 계속 유지될 수 있다. 헤드부(3242)는 실링부재(3240)의 밀림을 방지한다.
발포 단열재(3210)가 형성되기 전 헤드부(3242)의 원주 부분은 제2하우징(3221b)과 돌출 배수 유로(3206)의 사이로 노출될 수 있다. 헤드부(3242)가 외부에 시각적으로 노출되므로, 발포 공정 전에 실링부재(3240)에 의한 실링이 제대로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돌기부(3243)는 축부(3241)의 외주면과 내주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다. 돌기부(3243)는 외주면이나 내주면의 원주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도 8에서는 돌기부(3243)가 축부(3241)의 외주면과 내주면에 모두 형성된 구성을 보이고 있다. 돌기부(3243)는 마찰을 일으켜 실링부재(3240)의 밀림을 제한한다. 또한 축부(3241)가 제2하우징(3221b)이나 돌출 배수 유로(3206)와 충분히 밀착되지 않을 수 있는데, 돌기부(3243)가 축부(3241)로부터 돌출되면 제2하우징(3221b)이나 돌출 배수 유로(3206)에 밀착되어 충분한 실링을 구현할 수 있다.
제3실시예의 실링부재(3240)는 단면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압출에 의해 제조될 수 없다. 제3실시예의 실링부재(3240)는 사출에 의해 제조된다. 사출은 제조하고자 하는 제품의 형상을 갖는 금형에 사출 소재를 투입하고, 사출 소재가 금형 속에서 굳히는 가공 방법이다. 사출은 압출에 비해 대량 생산에는 복잡하지만, 일정하지 않은 단면을 갖는 제품을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9는 냉수 탱크 조립체(4200)와 냉각수 배수밸브(4220)의 결합 구조에 관한 제4실시예의 단면도다.
제2하우징(4221b)은 돌출 배수 유로(4206)를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돌출 배수 유로(4206)는 제2하우징(4221b)의 중공부에 삽입된다. 실링부재(4240)는 제2하우징(4221b)과 돌출 배수 유로(4206)의 사이에 끼워진다. 다만, 실링부재(4240)의 헤드부(4242)가 배치되는 방향은 도 8에서 설명한 제3실시예의 실링부재(4240)와 비교하면 서로 반대가 된다.
그외 기타 냉각수 배수밸브(4220)의 구조는 앞서 설명한 것으로 갈음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정수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9)

  1. 정수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커버;
    내부에 냉각수를 수용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냉각수로 정수를 냉각하여 냉수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지는 냉수 탱크 조립체;
    상기 냉수 탱크 조립체의 외주면을 감싸는 발포 단열재; 및
    상기 냉수 탱크 조립체에 직접 연결되며, 상기 냉수 탱크 조립체의 내부에 채워진 냉각수의 배출 유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냉수 탱크 조립체로부터 돌출되는 냉각수 배수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개의 커버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발포 단열재는 상기 냉각수 배수밸브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냉각수 배수밸브를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 배수밸브는,
    상기 냉수 탱크 조립체에 직접 연결되며, 중공부를 구비하고, 상기 중공부에 형성되는 하류측 걸림턱과 상류측 단턱을 구비하며, 상기 발포 단열재에 의해 감싸지는 하우징;
    상기 걸림턱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제1부분과 외부에 노출되어 상기 냉각수 배수밸브의 개폐를 위한 누름 조작을 인가받는 제2부분을 구비하는 누름부; 및
    상기 단턱에 의해 지지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누름부의 제1부분을 상기 걸림턱에 밀착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 배수밸브는 상기 걸림턱과 상기 누름부 사이를 실링하는 오링을 포함하고,
    상기 오링은 상기 누름부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1부분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걸림턱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 탱크 조립체는 상기 냉각수 배수밸브와 연결되는 돌출 배수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수 배수밸브와 상기 돌출 배수 유로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에 삽입되며,
    상기 정수기는 상기 냉각수 배수밸브와 상기 돌출 배수 유로의 연결 부위를 감싸는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 단열재는 상기 실링부재를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 탱크 조립체는 상기 냉각수 배수밸브와 연결되는 돌출 배수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수 배수밸브와 상기 돌출 배수 유로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에 삽입되며,
    상기 정수기는 상기 냉각수 배수밸브와 상기 돌출 배수 유로의 사이에 설치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냉각수 배수밸브와 상기 돌출 배수 유로의 사이에 끼워지는 환형의 축부;
    상기 축부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상기 축부의 외주면에서 돌출되며, 상기 냉각수 배수밸브와 상기 돌출 배수 유로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걸리는 환형의 헤드부; 및
    상기 축부의 외주면과 내주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8. 제4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 탱크 조립체의 외측 바닥면은 상기 돌출 배수 유로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돌출 배수 유로를 부분적으로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 탱크 조립체는 상기 냉각수 배수밸브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냉수 탱크 조립체의 외측 바닥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돌출 배수 유로와 상기 냉각수 배수밸브의 연결 부위를 가리지 않는 위치에서 상기 외측 바닥면과 함께 상기 냉각수 배수밸브를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 탱크 조립체는 상기 발포 단열재의 발포 공정 시 발포액의 범람을 방지하도록 상부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는 배리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1. 내부에 냉각수를 수용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냉각수로 정수를 냉각하여 냉수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지는 냉수 탱크 조립체;
    상기 냉수 탱크 조립체의 외주면을 감싸는 발포 단열재;
    상기 냉수 탱크 조립체에 연결되며, 상기 냉수 탱크 조립체의 내부에 채워진 냉각수의 배출 유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냉수 탱크 조립체로부터 돌출되는 냉각수 배수밸브;
    정수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커버; 및
    상기 발포 단열재의 외주면과 상기 커버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에어갭을 포함하고,
    상기 발포 단열재는 상기 냉각수 배수밸브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냉각수 배수밸브를 감싸며,
    상기 냉각수 배수밸브의 외주면은 상기 발포 단열재와 상기 커버에 의해 연속적으로 감싸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 단열재와 상기 커버는 각각 상기 냉각수 배수밸브와 대응되는 위치에 홀을 구비하고,
    상기 냉각수 배수밸브는 상기 홀들을 통해 외부에 시각적으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3. 내부에 냉각수를 수용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냉각수로 정수를 냉각하여 냉수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지는 냉수 탱크 조립체;
    상기 냉수 탱크 조립체의 외주면을 감싸는 발포 단열재;
    상기 냉수 탱크 조립체에 연결되며, 상기 냉수 탱크 조립체의 내부에 채워진 냉각수의 배출 유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냉수 탱크 조립체로부터 돌출되는 냉각수 배수밸브;
    정수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커버;
    상기 발포 단열재의 외주면과 상기 커버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에어갭; 및
    상기 냉수 탱크 조립체의 하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에어갭을 형성하도록 상기 발포 단열재와 상기 커버를 서로 이격시키는 받침대를 포함하고,
    상기 발포 단열재는 상기 냉각수 배수밸브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냉각수 배수밸브를 감싸며,
    상기 냉각수 배수밸브의 외주면은 상기 발포 단열재, 상기 받침대 및 상기 커버에 의해 연속적으로 감싸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 단열재, 상기 받침대 및 상기 커버는 각각 상기 냉각수 배수밸브와 대응되는 위치에 홀을 구비하고,
    상기 냉각수 배수밸브는 상기 홀들을 통해 외부에 시각적으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 탱크 조립체의 내부 바닥면은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 탱크 조립체는 상기 냉각수 배수밸브와 함께 상기 배출 유로를 형성하는 고임 방지 배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임 방지 배수부는 상기 냉수 탱크 조립체의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만입되어 상기 내부 바닥면보다 낮은 바닥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7. 제11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다수개의 커버로 구성되고,
    상기 다수개의 커버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냉각수 배수밸브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냉각수 배수밸브를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 배수밸브의 일단은 상기 냉수 탱크 조립체에 직접 연결되고,
    상기 다수개의 커버 중 상기 냉각수 배수밸브를 감싸는 것은, 상기 냉각수 배수밸브의 타단을 상기 커버의 내측에 존재하게 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 배수밸브의 일단은 상기 냉수 탱크 조립체에 직접 연결되고,
    상기 다수개의 커버 중 상기 냉각수 배수밸브를 감싸는 것은, 상기 냉각수 배수밸브의 타단을 상기 커버의 내측에 존재하게 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KR1020150118212A 2015-08-21 2015-08-21 정수기 KR1017725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8212A KR101772528B1 (ko) 2015-08-21 2015-08-21 정수기
US15/238,030 US10266381B2 (en) 2015-08-21 2016-08-16 Water dispenser
CN201610694133.2A CN106466122B (zh) 2015-08-21 2016-08-19 水分配器
US16/297,191 US10654699B2 (en) 2015-08-21 2019-03-08 Water dispens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8212A KR101772528B1 (ko) 2015-08-21 2015-08-21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2775A KR20170022775A (ko) 2017-03-02
KR101772528B1 true KR101772528B1 (ko) 2017-08-29

Family

ID=58157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8212A KR101772528B1 (ko) 2015-08-21 2015-08-21 정수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0266381B2 (ko)
KR (1) KR101772528B1 (ko)
CN (1) CN10646612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5710A (ko) * 2018-01-11 2019-07-19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냉수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6578A (ko) * 2016-12-09 2018-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용수 공급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66579A (ko) * 2016-12-09 2018-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용수 공급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948726B1 (ko) * 2017-07-13 2019-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2235345B1 (ko) * 2017-07-20 2021-04-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20190116835A (ko) * 2018-04-05 2019-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및 정수기의 제어방법
KR20200007363A (ko) * 2018-07-13 2020-0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온수 공급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655478B1 (ko) 2018-07-13 2024-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온수 공급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A187212S (fr) * 2018-11-27 2020-10-21 Groupe Seb Moulinex Soc Par Actions Simplifiee Cafetière électrique
CN209951049U (zh) * 2018-12-06 2020-01-17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饮料机
USD948269S1 (en) * 2019-02-28 2022-04-12 Société des Produits Nestlé S.A. Beverage dispenser
CN111685598B (zh) * 2019-03-12 2022-07-22 富士电机株式会社 饮料供给装置
JP2023504391A (ja) 2019-12-05 2023-02-03 コーウェイ株式会社 冷却タンク、これを備える浄水器及び冷却タンクの製造方法
KR20210070842A (ko) 2019-12-05 2021-06-15 코웨이 주식회사 냉각탱크의 제조방법
KR20210070840A (ko) 2019-12-05 2021-06-15 코웨이 주식회사 냉각탱크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
US11884533B2 (en) * 2020-04-03 2024-01-30 Lifestraw Sàrl Water container with manual dispensing valve
KR20220030127A (ko) 2020-09-02 2022-03-10 코웨이 주식회사 단열구조 일체형 탱크
CN114149116B (zh) * 2020-09-18 2023-01-24 佛山市顺德区美的饮水机制造有限公司 净水器
WO2022057440A1 (zh) * 2020-09-18 2022-03-24 佛山市顺德区美的饮水机制造有限公司 加热系统和净水器
USD1017305S1 (en) * 2022-11-10 2024-03-12 Migros-Genossenschafts-Bund Espresso coffee machin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2097A (ja) * 2001-12-27 2003-07-09 Hoshizaki Electric Co Ltd 冷飲料供給装置
KR200339779Y1 (ko) * 2003-10-24 2004-01-28 (주)상신 배관연결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69690A (en) * 1961-10-20 1965-02-16 Scholle Container Corp Container
US4008832A (en) * 1975-10-28 1977-02-22 The Coca-Cola Co. Three drink gravity dispenser for cool beverages
US4129145A (en) * 1977-05-26 1978-12-12 Wynn James M Check valve assembly
US4916910A (en) * 1988-07-11 1990-04-17 Lancer Corporation Low profile drink dispenser
US5390826A (en) * 1994-02-28 1995-02-21 Ebtech, Inc. Bottled water station with removable reservoir and manifolded support platform
JP3524610B2 (ja) * 1995-01-23 2004-05-10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飲料冷却注出装置
US5927557A (en) * 1996-06-11 1999-07-27 Busick; Louis M. Reservoir and faucet assembly for a water cooler
US5797519A (en) * 1997-03-14 1998-08-25 The Coca-Cola Company Postmix beverage dispenser
US6763676B2 (en) * 2001-04-30 2004-07-20 Jones Brian C Beverage dispenser
KR20030039779A (ko) 2001-11-14 2003-05-2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연료량 지시장치
US8448564B2 (en) * 2006-05-20 2013-05-28 Bunn-O-Matic Corporation Side exit faucet server
CN200994716Y (zh) 2006-11-29 2007-12-26 广东新宝电器股份有限公司 咖啡机的进排水装置
US8833090B2 (en) * 2008-08-25 2014-09-16 Lancer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gitation of a cooling fluid bath for a drink dispenser
CN201476463U (zh) 2009-07-13 2010-05-19 常熟市海晟电器有限公司 冰水机
KR101191420B1 (ko) * 2009-12-10 2012-10-16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냉이온 정수기의 냉각유닛
KR101296434B1 (ko) 2011-07-08 2013-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및 그의 배수구조
CN202457928U (zh) 2012-03-25 2012-10-03 傅兰光 全自动咖啡机的供水及排水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2097A (ja) * 2001-12-27 2003-07-09 Hoshizaki Electric Co Ltd 冷飲料供給装置
KR200339779Y1 (ko) * 2003-10-24 2004-01-28 (주)상신 배관연결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5710A (ko) * 2018-01-11 2019-07-19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냉수기
KR102010889B1 (ko) 2018-01-11 2019-08-14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냉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202679A1 (en) 2019-07-04
CN106466122A (zh) 2017-03-01
KR20170022775A (ko) 2017-03-02
US10654699B2 (en) 2020-05-19
US20170050837A1 (en) 2017-02-23
US10266381B2 (en) 2019-04-23
CN106466122B (zh) 2019-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2528B1 (ko) 정수기
KR101991442B1 (ko) 정수기
CN101512264B (zh) 具有压力补偿阀的冰箱
US839316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dentifying a filter assembly
US6000236A (en) Food quality enhancing refrigeration system
US20140208792A1 (en) Water distributor for an ice maker
RU2519832C2 (ru) Холодильный аппарат с системой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оттаивания
KR102637684B1 (ko) 유도 가열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
US10773191B2 (en) Filter assembly
EP2397799B1 (en) Refrigerator
US20180224183A1 (en) Refrigerator appliance with a rotary damper assembly
US8464549B2 (en) Airway seal apparatus and method, and refrigerator apparatus using the seal
KR101285438B1 (ko) 정수기
EP1180651B1 (en) Refrigeration unit
JP6361020B2 (ja) 冷蔵庫
JP6439133B2 (ja) 冷蔵庫
JP6398076B2 (ja) 冷蔵庫
KR101980131B1 (ko) 정수기
KR102056635B1 (ko) 정수기
JP6909966B2 (ja) 冷蔵庫
KR102065520B1 (ko) 개선된 퓨즈 구조를 갖춘 정수기
WO2020158681A1 (ja) 除霜ヒータ、および、除霜ヒータを備えた冷蔵庫
KR20190139192A (ko) 정수기
JP2007147100A (ja) 冷蔵庫
US20220234879A1 (en) Liquid dispens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