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5478B1 - 온수 공급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온수 공급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5478B1
KR102655478B1 KR1020180081392A KR20180081392A KR102655478B1 KR 102655478 B1 KR102655478 B1 KR 102655478B1 KR 1020180081392 A KR1020180081392 A KR 1020180081392A KR 20180081392 A KR20180081392 A KR 20180081392A KR 102655478 B1 KR102655478 B1 KR 1026554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heating module
water
supply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1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7364A (ko
Inventor
이명훈
우상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81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5478B1/ko
Priority to PCT/KR2019/006571 priority patent/WO2020013444A1/ko
Priority to US17/259,697 priority patent/US11453581B2/en
Publication of KR20200007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73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5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54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02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88Means comprising electronic circuitry (e.g. control panels, switching or control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78Safety, warning or controlling devices
    • B67D1/0882Devices for controlling the dispensing conditions
    • B67D1/0884Means for controlling the parameters of the state of the liquid to be dispensed, e.g. temperature,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03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 B67D1/0014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the beverage being supplied from water m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B67D1/0858Cooling arrangements using compress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B67D1/0869Cooling arrangements using solid state elements, e.g. Peltier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95Hea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02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 B67D1/1204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for ratio control purposes
    • B67D1/1206Flow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02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 B67D1/1204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for ratio control purposes
    • B67D1/1211Flow rate sensor
    • B67D1/1218Flow rate sensor modulating the opening of a val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05Filters
    • B67D2210/0001Filters for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99Temperature control
    • B67D2210/00118Heating and cooling

Abstract

본 발명은 온수 출수 신호를 입력받는 제1단계; 첫 잔인지 반복 잔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2단계; 첫 잔이면 첫 잔 제공 알고리즘으로 사용자에게 온수를 제공하고, 반복 잔이면 반복 잔 제공 알고리즘으로 사용자에게 온수를 제공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3단계에서는 물을 가열하는 히팅 모듈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단계적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공급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온수 공급 장치 및 그 제어 방법{Apparatus for supplying hot wate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온수 공급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에게 온수를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온수 공급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음용수 공급장치는 사용자가 마시는 음용수를 공급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음용수 공급장치는 독자적인 장치일 수 있으며, 다른 장치의 일부를 이루는 것도 가능하다. 음용수 공급 장치의 일종인 정수기는 수도전으로부터 급수되는 원수를 별도의 여과수단 내로 통과시킨 후 필터링을 해서 정수된 물을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장치이다. 아울러, 정수된 물을 사용자가 필요 시 냉수나 온수로 공급하는 장치 또한 정수기라 할 수 있다. 상기 정수기는 다른 가전제품과는 독립적인 장치일 수 있다.
음용수 공급 장치는 사용자에게 온수를 제공할 수 있는 온수 공급 장치를 포함한다. 즉 음용수 공급 장치 중에 온수를 공급하는 기능을 가진 장치는 온수 공급 장치하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온수 공급 장치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온수는 특정한 온도 범위를 유지해야 한다. 온수의 온도가 낮다면 사용자가 온수 공급 장치에 고장이 발생했다고 인식하는 경향이 있다.
온수는 히터에 의해서 물이 가열되어서 제조되는데, 사용자가 온수를 필요로 하지 않음에도 히터가 항상 켜져 있으면 에너지가 낭비된다. 따라서 온수가 필요로 할 때마다 히터를 구동하게 되고, 온수가 공급되는 시점에 따라 공급되는 온수의 온도 편차가 발생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온도 편차를 줄일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적정한 온도를 가지는 온수를 제공하는 온수 공급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온수가 제공되는 시점을 판단해서 온수 공급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온수 공급 장치를 포함하는 정수기에서 온수를 고객에게 제공하는 경우에 입수 온도와 주위 환경에 따라 반복잔의 경우는 매번 유사한 온도를 만족하기는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온수의 반복 잔 성능을 개선하고자 일정 시간 이후 Drain 기능을 하는 밸브를 통해 유로 내의 물을 설정된 시간만큼 Drain을 하여 기존 배관에 남아있는 잔수를 배수시켜줌으로 온수 출수 시 유로 온도를 올려주어 열 교환이 일어나는 것을 감소 시켜 원하는 온도를 확보 할 수 있다.
그리고 첫 잔 출수 이후 한번 데워진 반복 잔의 경우에, 첫 잔에 비해 히팅 모듈의 출력이 줄어듬에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온수의 유량이 늘게 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해결 원리로, 온수의 출수 후 기존 drain 되는 time을 일정 범위 내에서 flexible하게 적용하여 출수하고자 하는 온수의 온도를 만족하게 한다.
첫 잔 이후 출수하는 반복 잔은 일정시간이 지남에 따라 물이 흐르는 유로 내의 온도가 서서히 감소하게 된다.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반복 잔의 경우에는 첫 잔에 비해 유량은 많고 히터의 출력은 적어질 수 있어서, 출수 온도를 높이는 별도의 노력이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반복 잔이 제공되는 상황에서 일정시간 이후에는 Drain 밸브로 일정시간 유로 내의 물을 배수해주고 유량을 가변 하여 정수기의 온수 반복 잔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온수의 반복 잔 성능을 개선하고자 일정 시간 이후 Drain 기능을 하는 밸브를 통해 유로 내의 물을 설정된 시간만큼 Drain을 하여 기존 배관에 남아있는 잔수를 배수시켜줌으로 온수 출수 시 유로 온도를 올려주어, 물과 유로의 관 사이에 열 교환이 일어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온수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첫 잔 출수 이후 유로가 한번 데워진 반복 잔의 경우 첫잔에 비해 예열, 고정, PI구간 출력이 줄고 유량이 늘도록 조절 할 경우에, 오히려 첫 잔에 제공되는 온수의 온도보다 낮아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첫잔 출수 종료 이후 반복잔 알고리즘 진입하였을 경우 3분 이내 반복 인지를 판단한다. 1차 목표 유량을 430gpm에서 2차 목표 유량을 400gpm으로 변경하여 기존 대비 출력은 같지만 다단 유량 제어로 출력이 높아지는 PI 구간에 유량을 줄여 출수되는 물의 온도를 올리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3분 이상이 경과한 반복 잔인지를 판단하고, 1차 목표 유량을 430gpm에서 2차 목표 유량을 340gpm으로 변경하여 기존 대비 출력은 같지만 다단 유량 제어로 출력이 높아지는 PI 구간에 유량을 더 줄여 출수되는 물의 온도를 올리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온수 출수 신호를 입력받는 제1단계; 첫 잔인지 반복 잔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2단계; 첫 잔이면 첫 잔 제공 알고리즘으로 사용자에게 온수를 제공하고, 반복 잔이면 반복 잔 제공 알고리즘으로 사용자에게 온수를 제공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3단계에서는 물을 가열하는 히팅 모듈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단계적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공급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의 유량 속도를 조절하는 유량 조절 밸브; 상기 유량 조절 밸브를 통과한 물이 안내되고, 물을 가열하는 히팅 모듈; 상기 히팅 모듈에서 가열된 물이 배출되는 유로를 개폐하는 온수 출수 밸브; 온수 출수 신호를 입력 받는 입력부; 및 상기 유량 조절 밸브, 상기 히팅 모듈, 상기 온수 출수 밸브를 제어하고, 상기 입력부에서 받는 신호에 따라 상기 유량 조절 밸브에서 상기 히팅 모듈로 공급되는 물의 유량을 단계적으로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온수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히팅 모듈과 상기 온수 출수 밸브를 연결하는 유로에 배치되고, 상기 온수 출수 밸브를 통하지 않고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유로를 개폐하는 드레인 밸브;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적정한 온도를 가지는 온수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온수를 출수하고 일정 시점이 경과한 후에 다시 온수를 출수하는 경우에 제공되는 온수의 온도를 높여서, 사용자를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온수 공급 장치에 공급되는 물의 온도나 주위 환경에 무관하게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온수의 온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온수 출수를 원하는 시점에 따라 물의 공급량, 물의 드레인 양 등을 다양하게 변화시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물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배관도를 설명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따른 구성요소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어 흐름을 설명한 도면.
도 4는 도 3에서 첫 잔 인지를 판단하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
도 5는 도 3에서 첫 잔 제공 알고리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 도면.
도 6은 도 3에서 첫 잔 제공 알고리즘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 도면.
도 7은 도 6의 다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 도면.
도 8은 도 3에서 반복 잔 제공 알고리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 도면.
도 9는 도 3에서 반복 잔 제공 알고리즘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 도면.
도 10은 도 3에서 반복 잔 제공 알고리즘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 도면.
도 11은 도 9 및 도 10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 도면.
도 12는 도 9 및 도 10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 도면.
도 13은 시간 경과에 따른 온도 변화에 대해서 설명한 도면.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을 참조해서, 온수 공급 장치의 수배관도를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각각의 구성요소는 물이 통과하는 관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어서, 물이 각각의 구성요소를 이동하면서 사용자에게 최종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외부로부터 물이 공급되면, 물의 압력을 감압하는 감압 밸브(10)를 통과한다. 상기 감압 밸브(10)를 통과한 물은 필터(20)를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걸러질 수 있다. 상기 필터(20)는 프리카본 필터와 UF 복합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프리카본 필터와 UF 복합 필터는 하나의 어셈블리를 구성하면서, 사용 기간에 따라 개별적으로 교체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필터(20)를 통과한 물은 피드 밸브(30)를 통과한 후에 유량 센서(40)를 통과한다. 상기 유량 센서(40)에서는 통과하는 물의 양을 측정할 수 있어서, 물의 정량이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온의 온도를 가지되, 정수된 물을 출수하기를 원하는 경우에는 상기 정수 출수 밸브(50)가 유로를 개방한다. 상기 정수 출수 밸브(50)가 유로를 개방하면, 상기 유량 센서(40)를 통과하는 물은 상기 정수 출수 밸브(50)를 통과한 후에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정수 출수 밸브(50)를 통과한 물은 상기 필터(20)에서 이물질 등이 걸러진 물이다.
사용자가 상온보다 낮은 냉수를 출수하기 원하는 경우에는 상기 냉수 출수 밸브(60)가 유로를 개방한다. 상기 냉수 출수 밸브(60)가 유로를 개방하면, 상기 유량 센서(40)를 통과한 물은 냉수 모듈(70)로 안내되어서, 냉각될 수 있다. 상기 냉수 모듈(70)은 압축기 등에 의해서 냉각된 냉매에 의해서 내부를 통과하는 물을 냉각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외에도 열 전소자 등에 의해서 차가워진 탱크 내부를 물이 통과하면서 냉각될 수 있다. 상기 냉수 모듈(70)의 내부를 통과하면서 차가워진 냉수는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냉수 모듈(70)에는 내부를 통과하는 물과 열교환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쿨런트(coolant)가 이동할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냉수 모듈(70)은 쿨런트가 필요에 따라 배출될 수 있는 드레인 관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가 온수를 출수하기 원하는 경우에는 상기 온수 출수 밸브(110)가 유로를 개방한다. 이때 상기 유량 센서(40)를 통과한 물이 상기 유량 조절 밸브(80)로 안내된다. 상기 유량 조절 밸브(80)에서 물이 통과하는 유량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유량 조절 밸브(80)를 통과한 물은 히팅 모듈(90)을 통과하면서 가열되어서, 상기 온수 출수 밸브(110)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온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히팅 모듈(90)과 상기 온수 출수 밸브(110)의 사이의 유로에는 드레인 밸브(120)로 물을 안내하는 유로가 연결된다. 즉 상기 히팅 모듈(90)를 통과한 물은 상기 온수 출수 밸브(110)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제공되거나, 상기 드레인 밸브(120)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히팅 모듈(90)에 의해서 가열된 물 중에 충분히 온도가 상승되지 않는다면 상기 드레인 밸브(120)를 통해서 배출되고, 사용자에게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관련된 구체적인 실시예는 다른 도면을 통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히팅 모듈(90)에서 물을 가열할 때에,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되는 경우에는 감압 밸브(100)를 통해서 압력을 낮출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히팅 모듈(90)에서 과도한 압력이 걸리는 상황을 방지해서, 상기 히팅 모듈(90)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감압 밸브(100)는 물, 스팀, 공기 등이 배출될 수 있는 구조를 가져서, 상기 히팅 모듈(90)의 압력을 낮출 수 있다.
상기 드레인 밸브(120)나 상기 감압 밸브(100)를 통과한 물은 사용자에게 제공되지 않고, 별도의 관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유량 조절 밸브(80)에는 제1온도 센서(82)가 구비되어서, 상기 유량 조절 밸브(80)를 통과하는 물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1온도 센서(82)는 상기 히팅 모듈(90)로 이동되기 전의 물의 온도를 측정한다.
상기 히팅 모듈(90)에는 제2온도 센서(92)가 구비되어서, 상기 히팅 모듈(90)을 통과하는 물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2온도 센서(92)는 상기 히팅 모듈(90)에 수용된 물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온수 출수 밸브(110)에는 제3온도 센서(112)가 구비되어서, 상기 온수 출수 밸브(110)를 통과하는 물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온수 출수 밸브(110)를 통과한 물은 연결된 관을 통과한 후에 최종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따라서 상기 제3온도 센서(112)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온수의 최종 온도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를 참조해서, 도 1에 따른 구성요소를 설명한다.
상기 제1온도 센서(82), 상기 제2온도 센서(92), 상기 제3온도 센서(112)에 의해서 측정된 온도에 관한 정보는 제어부(200)로 전달된다.
또한 타이머(120)에 의해서 측정된 경과시간은 상기 제어부(200)로 전달된다.
한편 온수 공급 장치에는 사용자가 특정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130)가 구비된다. 상기 입력부(130)는 버튼 타입이나, 터치 디스플레이 타입 등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기 입력부(130)를 통해서 사용자는 냉수, 정수, 온수 출수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30)는 정량 출수를 선택할 수 있어서, 사용자는 정해진 량의 물을 공급받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입력부(130)에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창이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창을 통해서, 사용자는 온수 공급 장치에 관련된 정보와, 날씨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200)는 상술한 구성요소에서 전달받은 다양한 정보를 통해서, 상기 냉수 모듈(70), 상기 히팅 모듈(90)을 구동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130)에 냉수를 공급받기를 원한다고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냉수 모듈(70)을 구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반면에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130)에 온수를 공급받기를 원한다고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히팅 모듈(90)을 구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130)에 정수를 공급받기를 원한다고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히팅 모듈(90)과 상기 냉수 모듈(70)을 모두 구동하지 않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유량 조절 밸브(80), 상기 정수 출수 밸브(50), 상기 냉수 출수 밸브(60), 상기 온수 출수 밸브(110)를 개별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각각의 밸브의 유로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유량 조절 밸브(80)는 통과하는 물의 유량을 변경해서, 상기 히팅 모듈(90)로 안내되는 물의 유속 또는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유량 조절 밸브(80)에서 유속을 증가시켜 동일한 시간에 많은 물이 통과하도록 하거나, 유속을 감소시켜 동일한 시간에 적은 물이 통과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130)에 온수 출수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유량 조절 밸브(80)를 개방하고, 상기 온수 출수 밸브(110)를 개방해서, 최종적으로 사용자에게 온수가 제공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유량 조절 밸브(80)와 상기 온수 출수 밸브(110)를 개별적으로 개방하거나, 동시에 개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130)에 냉수 출수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냉수 출수 밸브(60)를 개방해서, 냉수를 사용자에게 공급한다.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130)에 정수 출수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정수 출수 밸브(50)를 개방해서, 상기 필터(20)를 통과한 정수를 사용자에게 공급한다.
도 3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제어 흐름을 설명한다.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130)에 온수, 냉수, 정수 중에 어느 하나를 출수하도록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하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130)를 통해서 온수를 출수하는 경우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자가 온수 출수 명령을 상기 입력부(130)에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200)는 명령이 입력되는 시점이 첫 잔에 해당하는지, 또는 반복잔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한다(S10).
온수 출수 명령이 입력된 시점이 첫 잔에 해당하면, 상기 제어부(200)에서는 첫 잔 제공 알고리즘을 수행해서, 사용자에게 온수를 제공한다(S30).
반면에 온수 출수 명령이 입력된 시점이 첫 잔이 아니라면, 반복 잔에 해당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200)에서는 반복 잔 제공 알고리즘을 수행해서, 사용자에게 온수를 제공한다(S50). 물론, 첫 잔과 반복 잔 이외에 다른 형태의 잔이라고 판단하는 조건을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에게 온수를 제공할 때에, 첫 잔에 해당하는지 또는 반복 잔에 해당하는지를 구분해서 사용자에게 온수를 제공한다.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온수가 첫 잔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온수를 출수한 후에 오랜 시간이 경과해서, 온수를 가열하는 데에 많은 시간이 필요한 상황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녁에 온수를 출수 한 후에, 다시 아침에 온수를 출수하는 상황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온수가 반복 잔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첫 잔에 해당할 만큼 오랜 시간이 경과하지는 않은 상황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대략 30분 정도 이전에 온수를 출수했는지, 다시 온수를 출수하는 상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직전에 온수를 출수한 시점과 다양한 조건을 고려해서, 사용자에게 온수를 제공하는 환경을 두 가지로 구분한다. 첫 잔인지 또는 반복 잔인지를 판단하는 하는 조건으로 호칭했지만, 제1조건 또는 제2조건 등의 다양한 명칭으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에게 온수를 제공할 때에, 온수가 충분한 온도까지 상승되지 않을 수 있는 상황을 고려해서 온수의 온도가 상승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공한다.
도 4를 참고해서, 도 3에서 첫 잔 인지를 판단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4에서는 사용자가 온수를 출수하기를 원하는 시점이 첫 잔을 제공하는 알고리즘을 적용해야하는 지를 판단하는 과정이다.
우선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130)에 온수 출수를 요청한다.
해당 시점에, 상기 제1온도 센서(82)에서 측정된 입수 온도가 제1설정 온도 이하인지를 판단한다(S12). 상기 제1온도 센서(82)에서 측정되는 물의 온도는 온수 공급 장치의 내부로 공급되는 물의 온도이기 때문에, 편의상 입수 온도라고 칭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설정 온도는 섭씨 5도 정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1온도 센서(82)에서 측정된 물의 온도가 낮은 경우에는 상기 히팅 모듈(90)에서 설정된 온수의 온도까지 가열하는 데에 상대적으로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기 때문에 입수 온도가 낮은지를 판단한다.
또한 상기 제2온도 센서(92)에서 측정된 물의 온도가 제2설정 온도 이하인지를 판단한다(S14). 상기 제2온도 센서(92)는 상기 히팅 모듈(90)에 설치되어서, 상기 히팅 모듈(90)에 수용된 상태이거나, 상기 히팅 모듈(90)에 유입된 물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2온도 센서(92)는 상기 제1온도 센서(82)와는 물리적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온수 공급 장치는 다양한 위치에서 측정된 물의 온도를 이용해서, 판단을 할 수 있다.
상기 제2설정 온도는 대략 섭씨 5도 정도를 의미할 수 있다. 섭씨 5도는 상기 히팅 모듈(90)에서 즉시 온도를 상승시키기 어려운 온도의 예인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설정 온도는 상기 제2설정 온도와 동일한 것도 가능하지만, 다른 온도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팅 모듈(90)이 동작하지 않고, 제1설정 시간이 경과했는지를 판단한다(S16). 이때 상기 제1설정 시간은 대략 20초정도인 것이 가능하다. 상기 히팅 모듈(90)은 인덕션 히터(IH)에 의해서 물을 가열하는 방식인 것이 가능한데, 상기 히팅 모듈(90)이 인덕션 히터를 이용하는 경우에 오프가 된지 대략 20초가 경과하면 다시 온하더라도 순간적으로 물을 높은 온도로 가열하기 힘들 수 있다.
도 4에서는 S12, S14, S16의 세 가지 조건이 모두 만족하면, 사용자에게 온수를 제공하기 위한 환경이 첫 잔이라고 판단한다(S20). 도 4에서는 S12, S14, S16를 순서대로 나열했지만, 각각의 단계의 순서는 바뀌어도 무관하다.
도 4에서 S12, S14, S16의 세 가지 조건 중에 어느 하나라도 만족하지 않으면, 사용자에게 온수를 제공하기 위한 환경이 반복 잔이라고 판단한다(S40). 즉 상기 제1온도 센서(82)에서 측정된 온도가 상기 제1설정 온도보다 높거나, 상기 제2온도 센서(92)에서 측정된 온도가 상기 제2설정 온도보다 높거나, 상기 히팅 모듈(90)이 off되고 난 이후에 상기 제1설정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라면, 상기 제어부(200)는 반복 잔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해서, 도 3에서 첫 잔 제공 알고리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에서 사용자가 온수를 추출하는 시점이 첫 잔이라고 판단하면, 도 5에 따른 첫 잔 제공 알고리즘이 수행될 수 있다.
우선, 사용자가 온수를 추출하려고 상기 입력부(130)에 명령을 입력할 때에, 첫 잔인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첫 잔이라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상기 온수 출수 밸브(110)에서 유로를 개방하지 않고, 닫은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히팅 모듈(90)을 구동해서, 상기 히팅 모듈(90)로 물을 가열한다(S100).
상기 히팅 모듈(90)을 구동한 상태에서 상기 온수 출수 밸브(110)에서 사용자에게 물이 공급되는 유로를 개방한다.
이 경우에 상기 유량 조절 밸브(80)에서 상기 히팅 모듈(90)로 물을 공급되는 과정은 3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히팅 모듈(90)에 물을 공급하는 제1공급 단계(S110), 상기 제1공급 단계 이후에 상기 히팅 모듈(90)에 물을 공급하는 제2공급 단계(S120), 상기 제2공급 단계 이후에 상기 히팅 모듈(90)에 물을 공급하는 제3공급 단계(S130)를 포함한다.
각각의 공급 단계에서 공급되는 유량 속도가 다르다.
상기 제1공급 단계, 상기 제2공급 단계, 상기 제3공급 단계에서 물은 상기 유량 조절 밸브(80)를 통과한 후에 상기 히팅 모듈(90)로 안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량 조절 밸브(80)에서 물이 통과하는 유량 속도를 조절해서,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물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은 상기 감압 밸브(10), 상기 피드밸브(30) 및 상기 유량 센서(40)에 의해서 정량이 유지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유량 조절 밸브(80)를 통과하는 유량 속도를 조절해서, 상기 히팅 모듈(90)에 공급되는 유량을 다르게 조절한다.
상기 제1공급 단계에서는 가장 작은 유량 속도를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히팅 모듈(90)은 초기에는 상대적으로 적은 열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히팅 모듈(90)로 공급되는 물의 초기 양을 줄여서, 상기 히팅 모듈(90)에 의해서 가열되는 물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공급 단계에서는 210gpm로 물이 상기 히팅 모듈(90)로 공급되도록 상기 유량 조절 밸브(80)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2공급 단계에서는 가장 많은 유량 속도를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히팅 모듈(90)이 소정 시간 동안 구동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히팅 모듈(90)로 공급되는 유량 속도가 상대적으로 최대가 되도록 조절해서, 물이 가열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공급 단계에서는 400gpm로 물이 상기 히팅 모듈(90)로 공급되도록 상기 유량 조절 밸브(80)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공급 단계에서는 상기 제1공급 단계에서의 유량 속도보다는 크지만, 상기 제3공급 단계에서의 유량 속도보다는 작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3공급 단계에서는 유량 속도를 줄여서, 상기 히팅 모듈(90)로 공급되는 물의 속도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히팅 모듈(90)에서 통과하는 물을 가열할 수 있는 시간이 증가되기 때문에, 상기 히팅 모듈(90)에서 가열되는 물의 온도가 상승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공급 단계에서는 400gpm로 물이 상기 히팅 모듈(90)로 공급되도록 상기 유량 조절 밸브(80)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유량 조절 밸브(80)에서는 상기 히팅 모듈(90)로 공급되는 유량 속도를 다르게 조절해서,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온수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량 조절 밸브(80)는 상기 히팅 모듈(90)로 공급되는 유량 속도를 다단계로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으로 3단계로 상기 유량 조절 밸브(80)에서 유량 속도를 조절하는 내용을 게시한다.
상기 제3공급 단계까지 완료되면, 사용자에게 충분한 온수가 공급되었기 때문에, 상기 온수 출수 밸브(110)에서 유로를 폐쇄하고 온수 출수를 종료한다. 본 과정은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130)에 온수 출수 신호를 입력하고 대략 25초 정도가 소요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해서, 도 3에서 첫 잔 제공 알고리즘의 다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사용자가 온수 출수 명령을 한 때에 상기 제어부(200)에서 첫 잔이라고 판단하면, 상기 온수 출수 밸브(110)에서 유로를 개방하지 않고 상기 히팅 모듈(90)을 구동한다. 이때 상기 히팅모듈은 대략 4초 정도가 구동된다. 이 시간 동안은 상기 드레인 밸브(120)에서는 유로를 개방하지 않아서, 상기 히팅 모듈(90)에 수용되거나 상기 히팅 모듈(90)을 통과한 물은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다(S200).
이때 상기 히팅 모듈(90)은 예열 출력을 하게 된다. 상기 히팅 모듈(90)이 아이에이치(IH)를 이용하는 경우에 상기 히팅 모듈(90)에 전류가 인가되어서, 상기 히팅 모듈(90)에서 열을 방출할 수 있다.
상기 히팅 모듈(90)이 구동되는 동안에, 상기 드레인 밸브(120)가 유로를 개방한다(S210). 상기 온수 출수 밸브(110)는 유로를 개방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온수 출수 밸브(110)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온수가 제공되지는 않는다. 다만 상기 히팅 모듈(90)을 통과하는 물은 상기 드레인 밸브(120)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어서, 상기 히팅 모듈(90)이 초기에 예열을 하면서 가열되는 물은 사용자에게 공급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유량 조절 밸브(80)는 초기 유량 속도를 210gpm에 설정한 상태에서, 상기 히팅 모듈(90)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S220). 이 단계는 상술한 제1공급 단계에 해당된다.
S200, S210은 순차적으로 수행되지만, S220은 S200 이전에 수행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유량 조절 밸브(80)의 유량 속도를 210gpm으로 설정한 후에, S200과 S210을 수행하면서 상기 히팅 모듈(90)에 물이 이동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유량 조절 밸브(80)에 배치되는 상기 제1온도 센서(82)에서 측정된 온도에 따라, 이후에 물이 공급되는 유량 속도가 달라지는 것이 가능하다(S230).
즉 상기 제1온도 센서(82)에서 측정된 물의 온도가 제1특정 온도 이하인 경우와, 물의 온도가 상기 제1특정 온도보다 높은 경우에 상기 유량 조절 밸브(80)에서 공급하는 유량 속도를 다르게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제1특정 온도는 대략 섭씨 30도를 의미하는 것도 가능한데, 다양한 상황에서 다르게 변경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S210의 드레인 단계(상기 드레인 밸브(120)가 유로를 개방한 상태)가 종료되면, 상기 온수 출수 밸브(110)가 유로를 개방해서, 사용자에게 온수가 공급되기 시작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드레인 밸브(120)는 유로를 폐쇄하고, 물이 상기 온수 출수 밸브(110)에 의해서 개방된 유로를 통과하게 된다.
도 7에서는 S230에서 상기 제1온도 센서(82)에서 측정된 온도, 즉 입수 온도가 상기 제1특정 온도 이하인 경우에 대응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S220에서 상기 유량 조절 밸브(80)는 210gpm으로 상기 히팅 모듈(92)로 물을 통과시키다가, 제2공급 단계에서는 상기 유량 조절 밸브(80)에서 430gpm으로 유량 속도를 변화시킨다(S240).
이 경우에 상기 유량 조절 밸브(80)에서 유량 속도를 430gpm으로 증가시키더라도, 유량 속도는 즉시 430gpm으로 변화되는 것이 아니라 소정 시간이 경과할 수 있다. 따라서 제2공급 단계(S240)에서는 목표유량인 430gpm에 도달한 후에 대략 5초간을 유지하면서, 유량이 증가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히팅 모듈(80)은 예열 출력 단계를 지난 후에, 고정 출력으로 열을 방출할 수 있다. 고정 출력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히팅 모듈(80)을 제어해서, 상기 히팅 모듈(90)을 통과하는 물을 가열할 수 있다.
상기 히팅 모듈(80)에서는 고정 출력으로 물을 가열하게 되는데, 대략 7초 정도를 가열할 수 있다.
상기 유량 조절 밸브(80)에서 목표 유량 속도인 430gpm에 도달한 후에, 대략 5초 정도를 유지하고, 목포 유량 속도를 345gpm으로 낮출 수 있다(S250).
이 경우에도 상기 유량 조절 밸브(80)에서 원하는 유량 속도로 변경하는 데에 일정한 소요시간이 걸리는데, 상기 히팅 모듈(80)에서는 상기 유량 조절 밸브(80)에서 원하는 유량 속도로 변경될 때까지 고정 출력을 유지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 대략 7초 정도가 경과하면, 상기 유량 조절 밸브(80)에서 유량 속도를 2차 목표유량인 345gpm으로 변경할 수 있다(S250). 이때 상기 히팅 모듈(90)은 PI제어를 통해서 온도를 설정 온도까지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량 조절 밸브(80)에서 유속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히팅 모듈(90)로 물을 공급한다. 상기 히팅 모듈(90)을 통과한 물은 상기 온수 출수 밸브(110)를 통과해서 사용자에게 온수로 공급된다.
사용자가 원하는 온수량이 공급되면 상기 온수 출수 밸브(110)에서는 유로를 폐쇄하고, 사용자에게 온수 공급이 중단된다(S280).
한편 S230에서 상기 제1온도 센서(82)에서 측정된 온도인 입수 온도가 상기 제1특정 온도보다 낮으면, 상기 히팅 모듈(90)이 고정 출력으로 제어되는 동안에 상기 유량 조절 밸브(80)에서 유량을 상대적으로 크게 제어한다(S260). 이 경우 상기 유량 조절 밸브(80)는 대략 450gpm으로 물이 상기 히팅 모듈(90)로 안내되도록 할 수 있다.
S260에서는 S240에 비해서 입수 온도가 높기 때문에 상기 히팅 모듈(90)에서 더 적은 열을 공급하더라도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온수의 온도는 상승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량 조절 밸브(80)에서는 더 큰 유량 속도를 가지도록 상기 히팅 모듈(90)에 물을 제공할 수 있다.
S260 이후에는 상기 유량 조절 밸브(80)에서 물의 유량 속도를 S220보다는 높고, S260보다는 낮도록 변경한다(S270). 이때 상기 유량 조절 밸브(80)에서는 물이 420gpm으로 상기 히팅 모듈(90)로 이동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원하는 온수를 공급받으면 온수 출수를 종료한다(S280).
도 8을 참조해서, 도 3에서 반복 잔 제공 알고리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130)에 온수 출수를 입력한 시점에, 첫 잔인지 반복 잔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200)에서 해당 잔이 반복 잔이라고 판단하면, 상기 반복 잔 제공 알고리즘을 수행한다.
상기 온수 출수 밸브(110)의 유로를 개방하지 않고, 상기 히팅 모듈(90)을 구동하는 예열 단계가 구현된다(S300). 즉 상기 온수 출수 밸브(110)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온수가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유량 조절 밸브(80)를 통해서 상기 히팅 모듈(90)로 물이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유량 조절 밸브(80)에서 특정한 목표 유량으로 상기 히팅 모듈(90)로 물을 공급한다(S310). 상기 유량 조절 밸브(80)는 대략 420gpm으로 물이 상기 히팅 모듈(90)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온수 출수 밸브(110)가 유로를 개방해서, 사용자에게 상기 히팅 모듈(90)에 의해서 가열된 온수가 제공된다.
사용자가 원하는 온수를 공급받으면, 상기 온수 출수 밸브(110)는 유로를 폐쇄하고, 온수 출수가 종료된다(S320).
도 9를 참조해서, 도 3에서 반복 잔 제공 알고리즘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상기 제어부(200)에서 사용자가 온수를 출수하는 시점이 반복 잔에 해당한다고 판단한다.
그러면, 상기 유량 조절 밸브(80)는 유량 속도를 다단계로 변화시켜면서, 상기 히팅 모듈(90)로 물이 이동되도록 한다.
우선 상기 유량 조절 밸브(80)는 유량 속도를 210gpm에 해당하도록 조절한다(S400). 이 단계는 제1공급 단계를 의미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130)를 통해서 온수 출수를 요청한 시점이 제2설정 시간 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한다(S410). 상기 제2설정 시간은 대략 3분 정도를 의미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S410에서 상기 온수 출수 밸브(110)가 유로를 개방해서, 온수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시점이 제2설정 시간 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2설정 시간 보다 작으면, 상기 유량 조절 밸브(80)는 제1목표 수량인 430gpm으로 유량 속도를 변경한다(S420). 이때 상기 히팅 모듈(90)로 공급되는 물이 증가하게 된다. 제2공급 단계에서는 제1공급 단계에 비해서 상기 히팅 모듈(90)에 전류가 공급되고 소정 시간이 더 경과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히팅 모듈(90)에서 더 많은 열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더 많은 물이 공급되도로 해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온수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유량 조절 밸브(80)에서 목표유량을 공급한 후에는 제2공급 단계가 수행된다(S430). 이 때 상기 유량 조절 밸브(80)는 상기 히팅 모듈(90)에 공급되는 유량의 속도를 S420보다는 작게하고, S400보다는 크게 할 수 있다. 상기 히팅 모듈(90)에는 제2공급 단계에 비해서 적은 물이 공급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온수의 온도가 상승되어서, 사용자가 느끼는 온수에 대한 만족도가 증가될 수 있다.
사용자가 원하는 양의 온수가 제공되면 온수 출수는 종료된다(S460).
S410에서 상기 타이머(120)에 의해서 측정된 시간이 상기 제2설정 시간 보다 작더라도, 상기 히팅 모듈(90)에 공급되는 물은 단계적으로 조절된다. 다만, 상기 유량 조절 밸브(80)에서 허용하는 유량 속도는 상대적으로 작다.
상기 유량 조절 밸브(80)는 1차 목표 유량을 430gpm으로 맞추어서, S420과 같이 동일한 유량 속도로 설정할 수 있다(S440).
1차 목표 유량으로 공급하고,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상기 유량 조절 밸브(80)에서는 340gpm으로 목표 유량 속도를 줄인다(S450).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유량 속도가 줄어들기 때문에, 상기 히팅 모듈(90)에서 가열해야 하는 물의 양이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후반에 공급되는 온수의 온도가 상승될 수 있고, 사용자의 만족도가 향상될 수 있다.
도 9의 과정에서는 상기 드레인 밸브(120)는 유로를 폐쇄하고, 상기 온수 출수 밸브(110)는 유로를 개방한 상태를 유지해서, 사용자에게 온수가 지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즉 S440부터 상기 온수 출수 밸브(110)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온수가 제공되고, S460가 완료되면 온수 출수가 중단된다.
도 10을 참조해서, 도 3에서 반복 잔 제공 알고리즘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상기 제어부(200)에서 해당 시점이 반복 잔에 해당한다고 판단하면, 반복 잔 제공 알고리즘이 수행된다.
상기 티아머(120)에서 온수 재출수 시점이 상기 제2설정 시간 이내인지를 판단한다(S500).
재출수 시점이 상기 제2설정 시간을 경과하지 않았으면, 제1특정 시간 동안 예열과 드레인이 동시에 수행된다(S550). 즉 상기 히팅 모듈(90)이 구동되면서 물을 가열하고, 상기 드레인 밸브(120)에서 물을 드레인 시킨다.
이때 상기 온수 출수 밸브(110)는 유로를 개방하지 않아서, 사용자에게 온수가 제공되지는 않는다.
제1특정 시간동안 상기 온수 출수 밸브(110)에서 유로를 개방하지 않고, 상기 히팅 모듈(90)이 물을 가열한 물은 상기 드레인 밸브(120)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제1특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상기 온수 출수 밸브(110)에서 유로를 개방해서, 사용자에게 온수가 제공된다(S530). 이 때 상기 히팅 모듈(90)은 구동되어서, 물을 가열하고 상기 드레인 밸브(120)는 유로를 폐쇄해서 물은 드레인되지 않고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상기 제1특정 시간은 대략 0.6~1.8sec인 것이 가능하다.
S500에서 재출수 시간이 상기 제2설정 시간 이상인 경우에는, 사용자가 온수를 출수한 지 상대적으로 오래 경과한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상기 온수 출수 밸브(110)와 상기 드레인 밸브(120)의 유로를 모두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히팅 모듈(90)을 구동한다(S510). 즉 외부로 온수를 배출하지 않고, 상기 히팅 모듈(90)을 구동한다. 이때 상기 히팅 모듈(90)은 제2특정 시간 만큼 구동된다. 상기 제2특정 시간은 대략 1.8~3.9 sec의 범위에 있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3온도 센서(112)에 의해서 측정된 온수의 온도가 제3설정 온도보다 높은지를 판단한다(S520). 상기 제3온도 센서(112)는 상기 온수 출수 밸브(110)에 위치해서,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온수와 온도가 상당히 유사하다.
따라서, 상기 제3온도 센서(112)에서 측정된 물의 온도가 높아지면 사용자는 높은 온도의 온수를 공급받고, 온도가 낮게 유지되면 사용자는 낮은 온도의 온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S520에서 상기 제3온도 센서(112)에서 측정된 온도가 제3설정 온도보다 높으면, 상기 온수 출수 밸브(110)에서 유로를 개방하고 사용자에게 온수를 제공한다(S530).
반면에 S520에서 상기 제3온도 센서(112)에서 측정된 온도가 상기 제3설정 온도 이하면, 상기 온수 출수 밸브(110)에서 유로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드레인 밸브(120)에서 유로를 개방한다(S540).
즉 상기 히팅 모듈(90)에 의해서 가열된 후에, 상기 온수 출수 밸브(110)에 도달한 온수가 상기 제3설정 온도보다 높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온수의 온도가 충분히 상승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상기 히팅 모듈(90)에서 물을 충분히 가열할 수 있을 정도로 열을 공급하지 못하는 상태라고 예상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드레인 밸브(120)를 통해서, 상기 히팅 모듈(90)을 통과한 온수를 제3특정 시간 동안 배출한다. 이때 상기 제3특정 시간은 대략 2.6~4.7 sec인 것이 가능하다.
제3특정 시간 동안 상기 히팅 모듈(90)에 의해서 가열된 온수가 상기 드레인 밸브(120)를 통해서 드레인 된 후에는 상기 온수 출수 밸브(110)가 유로를 개방한다. 그리고 사용자에게 적정한 온도만큼 상승된 온수가 공급된다(S530).
도 11을 참조해서, 도 9 및 도 10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1에서는 도 9 및 도 10의 기술 내용이 함께 구현되는 방식인데, 상기 제어부(200)에서 반복 잔이라고 판단하고, 재출수 시간이 제2설정 시간 이내라고 판단한 경우이다.
사용자에게 온수 출수 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히팅 모듈(90)을 구동하면서 물을 가열한다. 그리고, 상기 드레인 밸브(120)에서 유로를 개방해서, 상기 히팅 모듈(90)에서 가열된 물을 상기 드레인 밸브(120)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한다.
이때 상기 히팅 모듈(90)은 예열 출력을 하면서, 상기 히팅 모듈(90)로 안내되는 물을 가열한다.
대략 0.6~1.8sec가 경과한 후에 상기 유량 조절 밸브(80)는 유량 속도를 430gpm으로 증가시킨다. 이때 상기 유량 조절 밸브(80)가 증가되는 시점에 상기 히팅 모듈(90)은 고정 출력을 내면서, 물을 가열한다. 유량 속도가 증가되기 시작하는 시점에 상기 드레인 밸브(120)은 유로를 닫고, 상기 온수 출수 밸브(110)는 유로를 개방해서, 사용자에게 온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유량 조절 밸브(80)에서 430gpm으로 유량 속도를 증가시키되, 430gpm인 목표 유량에 도달한 후에, 대략 5초간 유량 속도를 430gpm으로 유지한다.
상기 유량 조절 밸브(80)에서 유량 속도를 증가시키고 대략 8.2sec가 경과한 후에, 상기 히팅 모듈(90)에서는 고정 출력이 아니라 PI제어로 열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상기 유량 조절 밸브(80)에서 목표 유량을 400gpm으로 줄이고, 상기 히팅 모듈(90)로 물을 공급한다. 상기 히팅 모듈(90)로 안내되는 물의 양이 줄어들기 때문에, 상기 히팅 모듈(90)에 의해서 가열되는 온수의 온도가 상승될 수 있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온수의 온도가 상승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해서, 도 9 및 도 10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2에서는 도 9 및 도 10의 기술 내용이 함께 구현되는 방식인데, 상기 제어부(200)에서 반복 잔이라고 판단하고, 재출수 시간이 제2설정 시간을 초과했다고 판단한 경우이다.
상기 제어부(200)에서 반복 잔이라고 판단하고, 온수의 재출수 시간이 상기 제2설정 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히팅 모듈(90)에서 물을 가열하더라도 빠른 시간에 온수를 공급하기 어려울 수 있다. 즉 사용자에게 온수를 제공할 때에 온수의 온도가 충분히 상승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상기 히팅 모듈(90)에서는 예열을 1.8~3.9sec 정도 수행하고, 이어서 상기 히팅 모듈(90)에 의해서 가열된 온수를 상기 드레인 밸브(120)를 통해서 대략 2.6~4.7sec 동안 배출한다.
이 때 상기 온수 출수 밸브(110)에서는 유로를 개방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에게는 온수가 제공되지 않고, 외부로 배출된다.
예열과 드레인이 종료한 대략 6.5sec가 되는 시점에, 상기 히팅 모듈(90)은 예열 출력에서 고정 출력으로 전환된다.
상기 유량 조절 밸브(80)에서도 유량 속도를 430gpm으로 상승시킨다. 유량 속도가 증가되는 시점에 상기 히팅 모듈(90)의 출력이 고정출력으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이때 상기 드레인 밸브(120)에서 유로를 폐쇄하고, 상기 온수 출수 밸브(110)에서 유로를 개방해서 사용자에게 온수가 제공되기 시작할 수 있다.
상기 유량 조절 밸브(80)에서 유량 속도를 430gpm으로 상승시키고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유량 속도를 다시 340gpm으로 낮추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유량 조절 밸브(80)에서 유량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시점이나, 상기 유량 조절 밸브(80)에서 유량 속도를 낮추기 시작하는 시점에, 상기 히팅 모듈(90)이 PI제어가 되도록 변환할 수 있다.
상기 히팅 모듈(90)에 PI제어로 구현되는 동안에, 상기 히팅 모듈(90)로 공급되는 물의 양도 줄어들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마지막에 제공되는 온수의 온도도 상승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최종적으로 제공되는 온수의 온도가 높아지는 효과가 발생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해서, 시간 경과에 따른 온도 변화에 대해서 설명한다.
사용자에게 온수가 제공되고 동작이 정지된 후에, 상기 제1온도 센서(82), 상기 제2온도 센서(92), 상기 제3온도 센서(112)에 의해서 측정된 온도 변화를 살펴본다.
사용자에게 온수가 제공되었기 때문에, 각각의 밸브는 물이 이동하는 유로를 차단하고, 상기 히팅 모듈(90)의 구동도 정지된다. 상기 히팅 모듈(90)은 오프되기 때문에 상기 히팅 모듈(90)에 의해서 물이 가열될 수 없다.
시간이 흐르면서 살펴보면, 상기 유량 조절 밸브(80)에 배치된 제1온도 센서(82)에서 측정된 물의 온도는 상온과 유사한 온도를 유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히팅 모듈(90)에 배치된 제2온도 센서(92)에서 측정된 물의 온도는 상기 히팅 모듈(90)에 잔존하는 열 때문에, 상기 제1온도 센서(82)에서 측정된 물의 온도보다는 높게 유지되지만, 대략 3분이 경과하면 급속하게 낮아지다가 60분 정도가 경과하면 실질적으로 상기 제1온도 센서(82)에서 측정된 온도와 유사하게 된다.
상기 온수 출수 밸브(110)에 배치된 제3온도 센서(112)에서 측정된 물의 온도는 사용자에게 배출되기 직전의 온수이기 때문에 가장 높은 온도를 유지하다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급속하게 물의 온도가 낮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발명자는 대략 3분 정도가 경과하면, 상기 히팅 모듈(90)에 수용되어 있던 물의 온도가 급격하게 낮아지기 시작함을 확인했고, 대략 3분을 기준으로 그 이내에 사용자가 온수를 출수하면 상대적으로 적은 열량으로 온수를 설정된 온도로 상승시킬 수 있다는 것을 도출했다. 반면에 대략 3분을 경과한 후에 사용자가 온수를 출수하면 상대적으로 많은 열량으로 온수를 설정된 온도로 상승시킬 수 있기 때문에, 물을 상기 히팅 모듈(90)로 천천히 공급되도록 제어하도록 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50: 정수 출수 밸브 60: 냉수 출수 밸브
70: 냉수 모듈 80: 유량 조절 밸브
82: 제1온도 센서 90: 히팅 모듈
92: 제2온도 센서 110: 온수 출수 밸브
112: 제3온도 센서 120: 드레인 밸브
130: 입력부 200: 제어부

Claims (20)

  1. 온수 출수 신호를 입력받는 제1단계;
    첫 잔인지 반복 잔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2단계;
    첫 잔이면 첫 잔 제공 알고리즘으로 사용자에게 온수를 제공하고, 반복 잔이면 반복 잔 제공 알고리즘으로 사용자에게 온수를 제공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3단계에서는 물을 가열하는 히팅 모듈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단계적으로 조절하고,
    상기 첫 잔 제공 알고리즘은
    상기 히팅 모듈에 물을 공급하는 제1공급 단계,
    상기 제1공급 단계 이후에 상기 히팅 모듈에 물을 공급하는 제2공급 단계,
    상기 제2공급 단계 이후에 상기 히팅 모듈에 물을 공급하는 제3공급 단계를 포함하고,
    각각의 공급 단계에서 공급되는 유량 속도가 다르게 제공하면서,
    유량 속도는 유량 조절 밸브를 이용하고,
    상기 제1공급 단계에서는 가장 작은 유량 속도를 가지고,
    상기 제2공급 단계에서는 가장 많은 유량 속도를 가지며,
    상기 제3공급 단계에서는 상기 제1공급 단계에서의 유량 속도보다는 크지만, 상기 제2공급 단계에서의 유량 속도보다는 작은 유량 속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공급 장치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히팅 모듈로 공급되는 물의 온도가 제1설정 온도 보다 낮으면 첫 잔이라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공급 장치의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히팅 모듈에서 측정된 물의 온도가 제2설정 온도 보다 낮으면 첫 잔이라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공급 장치의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히팅 모듈이 오프되고 제1설정 시간이 경과하면 첫 잔이라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공급 장치의 제어 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 모듈에 공급되는 온수의 온도에 따라,
    상기 제2공급 단계와 상기 제3공급 단계의 유량 속도를 다르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공급 장치의 제어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첫 잔 제공 알고리즘은,
    온수 출수 밸브의 유로를 개방하지 않고, 상기 히팅 모듈을 구동하는 예열 단계와,
    상기 히팅 모듈과 상기 온수 출수 밸브의 사이에 있는 드레인 밸브에서 유로를 개방해서, 상기 히팅 모듈을 통과한 물이 사용자에게 공급되지 않고 외부에 배출되는 드레인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공급 장치의 제어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 잔 제공 알고리즘은,
    온수 출수 밸브의 유로를 개방하지 않고, 상기 히팅 모듈을 구동하는 예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공급 장치의 제어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 잔 제공 알고리즘은,
    상기 히팅 모듈에 물을 공급하는 제1공급 단계,
    상기 제1공급 단계 이후에 상기 히팅 모듈에 물을 공급하는 제2공급 단계,
    상기 제2공급 단계 이후에 상기 히팅 모듈에 물을 공급하는 제3공급 단계를 포함하고,
    각각의 공급 단계에서 공급되는 유량 속도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공급 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직전에 온수가 출수된 시간이 제2설정 시간이 경과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2공급 단계와 상기 제3공급 단계의 유량 속도를 다르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공급 장치의 제어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제2공급 단계에서의 유량 속도는 제3공급 단계에서의 유량 속도에 비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공급 장치의 제어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 잔 제공 알고리즘은,
    직전에 온수가 출수된 시간이 제2설정 시간이 경과하지 않았으면, 제1특정 시간 동안 온수 출수 밸브의 유로를 닫고, 상기 히팅 모듈을 구동하는 제1반복 잔 공급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공급 장치의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반복 잔 공급 단계에서는 상기 히팅 모듈과 상기 온수 출수 밸브의 사이에 마련된 드레인 밸브가 개방되어, 상기 히팅 모듈을 통과한 물이 상기 드레인 밸브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공급 장치의 제어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 잔 제공 알고리즘은,
    직전에 온수가 출수된 시간이 제2설정 시간을 경과했으면, 제2특정 시간 동안 온수 출수 밸브의 유로를 닫고, 상기 히팅 모듈을 구동하는 제2반복 잔 공급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공급 장치의 제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반복 잔 공급 단계에서는,
    상기 제2특정 시간 동안 온수 출수 밸브의 유로를 닫고, 상기 히팅 모듈을 구동하고, 상기 온수 출수 밸브에 위치한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공급 장치의 제어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측정된 물의 온도가 제3설정 온도 이상이면, 상기 온수 출수 밸브의 유로를 개방해서 사용자에게 온수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공급 장치의 제어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측정된 물의 온도가 제3설정 온도 이하이면, 제3특정 시간 동안 상기 히팅 모듈과 상기 온수 출수 밸브의 사이에 마련된 드레인 밸브가 개방되어, 상기 히팅 모듈을 통과한 물이 상기 드레인 밸브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공급 장치의 제어 방법.
  20. 제19항에 잇어서,
    상기 제3특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온수 출수 밸브의 유로를 개방해서 사용자에게 온수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공급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80081392A 2018-07-13 2018-07-13 온수 공급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6554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1392A KR102655478B1 (ko) 2018-07-13 2018-07-13 온수 공급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CT/KR2019/006571 WO2020013444A1 (ko) 2018-07-13 2019-05-31 온수 공급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7/259,697 US11453581B2 (en) 2018-07-13 2019-05-31 Hot liquid suppl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1392A KR102655478B1 (ko) 2018-07-13 2018-07-13 온수 공급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7364A KR20200007364A (ko) 2020-01-22
KR102655478B1 true KR102655478B1 (ko) 2024-04-08

Family

ID=69142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1392A KR102655478B1 (ko) 2018-07-13 2018-07-13 온수 공급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453581B2 (ko)
KR (1) KR102655478B1 (ko)
WO (1) WO20200134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1688A (ko) * 2021-04-13 2022-10-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WO2023106725A1 (ko) * 2021-12-08 2023-06-15 코웨이 주식회사 온수 제공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22615B2 (en) 2008-11-10 2017-04-18 Automatic Bar Controls, Inc. Touch screen interface for a beverage dispensing machine
IL217213A (en) 2011-12-26 2014-06-30 Yehuda Forte Water facility that includes a cleaning mechanism
KR20150141038A (ko) * 2014-06-09 2015-12-17 주식회사 리빙케어 순간 냉각 및 순간 가열 방식을 적용한 정수기
KR101602644B1 (ko) * 2014-09-29 2016-03-14 쿠쿠전자주식회사 정수 장치의 순간 온수 공급 장치
KR101725621B1 (ko) 2015-03-19 2017-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물 배출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WO2016186343A1 (ko) * 2015-05-20 2016-11-24 코웨이 주식회사 온수 공급 방법, 온수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수기
KR101772528B1 (ko) 2015-08-21 2017-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991442B1 (ko) 2016-04-11 2019-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2581586B1 (ko) * 2016-05-04 2023-09-22 코웨이 주식회사 온수기의 동작 방법
KR20170125561A (ko) * 2016-05-04 2017-1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의 제어장치, 정수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948700B1 (ko) 2016-07-04 2019-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워터 디스펜싱 장치
KR20180066578A (ko) 2016-12-09 2018-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용수 공급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8140947A1 (en) 2017-01-30 2018-08-02 Eemax, Inc. Fluid heating system
KR20170034856A (ko) * 2017-03-21 2017-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물 배출 장치
JP6822897B2 (ja) 2017-05-19 2021-01-27 サンデン・リテールシステム株式会社 飲料供給装置
DE102017118598A1 (de) 2017-08-15 2019-02-21 Franke Kaffeemaschinen Ag VORRICHTUNG ZUM ZUBEREITEN VON HEIßGETRÄNK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453581B2 (en) 2022-09-27
US20210331908A1 (en) 2021-10-28
KR20200007364A (ko) 2020-01-22
WO2020013444A1 (ko) 2020-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73970B2 (ja) ヒートポンプ給湯床暖房装置
KR101977021B1 (ko) 온수공급장치 및 온수공급방법
US10824178B2 (en) Heating and hot water suppl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655478B1 (ko) 온수 공급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20031498A1 (en) Water supply system and method
KR101602644B1 (ko) 정수 장치의 순간 온수 공급 장치
US20190323762A1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refrigerator
KR101498943B1 (ko) 순간 온수 공급 장치
KR101488906B1 (ko) 냉온정수기 또는 냉온수기의 온수탱크 구조
KR101906340B1 (ko) 온수공급장치 및 온수공급방법
EP3147583B1 (en) Storage water heater
KR101485984B1 (ko) 순간 가열식과 저탕식의 선택이 가능한 온수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20240039101A (ko) 온수 공급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S6231233B2 (ko)
KR102511722B1 (ko) 워터 디스펜싱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1124356A (ja) 即時出湯装置の即時出湯制御方法
JP2016186764A (ja) 湯水混合装置
KR20200111366A (ko) 정수 장치
JP3740067B2 (ja) 湯水混合ユニット
JP4301708B2 (ja) ヒートポンプ式給湯装置の運転方法及びヒートポンプ式給湯装置
KR101544917B1 (ko) 순간 가열식 온수 시스템의 제어 방법
JP6376388B2 (ja) 湯水混合装置
JP2015010805A (ja) 貯湯式給湯装置
KR20220141687A (ko) 정수기
KR20230039357A (ko) 정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