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106725A1 - 온수 제공 장치 - Google Patents

온수 제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106725A1
WO2023106725A1 PCT/KR2022/019303 KR2022019303W WO2023106725A1 WO 2023106725 A1 WO2023106725 A1 WO 2023106725A1 KR 2022019303 W KR2022019303 W KR 2022019303W WO 2023106725 A1 WO2023106725 A1 WO 202310672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purified water
water
passage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1930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유근상
문태훈
윤성한
한두원
이정훈
박찬정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10174906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30086360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10174880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30086342A/ko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2310672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10672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6Arrangements for water drain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18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t water providing device.
  • the hot water providing device may generate high-temperature water by heating the introduced water.
  • the hot water supply device includes a gas water heater that heats water using gas, and an electric water heater that heats water using electricity.
  • a product provided with such a water heater is, for example, a water purifier.
  • a water purifier is a device that receives water from a water supply source such as a tap water, filters it into purified water, and provides purified water to a user. Such purified water may be immediately provided to the user, but may be provided as cold water after being cooled to a certain temperature or less, or as hot water heated to a certain temperature or more.
  • the water purifier includes a plurality of passages through which purified water, cold water, and hot water respectively flow in order to provide purified water, cold water, and hot water to the user.
  • 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20-0013927 of the present applicant "Hot water supply device and water purifier using the same” discloses a water purifier that heats water so that the temperature of water becomes high temperature water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or higher.
  • Patent Document 1 does not disclose a means for removing scale formed inside the water purifier due to high-temperature water stagnant inside the water purifier.
  • the water purifier of Patent Document 1 has a problem in that it cannot remove not only the scale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water purifier, but also the scale dissolved or mixed with water stagnant inside the water purifier.
  • the amount of scale generated can be minimized, and the scale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hot water supply device and the scale melted or mixed with the stagnant water inside the hot water supply device can be efficiently removed.
  • the need for a hot water providing device equipped with means is increasing.
  • 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013927 (2020. 02. 10 application published)
  •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in view of the above background,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t water providing device capable of minimizing the scale generated inside the hot water providing device.
  • An apparatus for providing hot water includes a heating apparatus for heating purified water to provide hot water; a water outlet for dispensing the purified water and the hot water to the outside; a flow path part providing a passage through which the purified water and the hot water flow; a valve unit that is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to control the flow of the purified water and the hot water in the flow path unit; and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heating device and the valve unit, wherein the flow path unit includes: a hot water outlet flow path providing a passage through which the hot water supplied from the heating device flows to the water outlet unit; and a drain passage branched from the hot water outlet passage to discharge the hot water to the outside, wherein the control device includes a hot water outlet mode in which the hot wat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via the water outlet, and the hot water flows through the outlet.
  •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valve part is controlled to be placed in one of the drain modes in which wat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rain passage without passing through the drain passage, and while the drain mode is performed, the hot water is discharged while the operation of the heating device is stopped. Controls the heating device and the valve portion to be discharged from the heating device
  • a sensor capable of measuring at least one of a temperature of the heating device and a temperature of hot water in the heating device is further included, and the control device is configured to detect when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since the hot water dispensing mode was terminated.
  • the valve unit may be controlled to stop the drain mode when the drain mode is performed and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sensor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threshold temperature.
  • the flow path part further includes a purified water inflow passage providing a passage for the purified water to flow to the heating device, and the purified water inlet valve module that the valve part is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to control the flow of the purified water in the purified water inflow passage.
  •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purified water inlet valve module so that the purified water at a higher flow rate flows to the heating device in the drain mode than in the hot water outlet mode.
  • control device may perform the drain mode at predetermined intervals when not in the hot water dispensing mode, and perform the drain mode for a predetermined time at each cycle.
  • An apparatus for providing hot water includes a heating device that heats purified water to provide hot water, and includes an inlet through which the purified water flows in and an outlet through which the hot water is discharged; a water outlet for dispensing the purified water and the hot water to the outside; a flow path part providing a passage through which the purified water and the hot water flow; and a valve part that is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to control the flow of the purified water and the hot water in the flow path part, wherein the flow path part is a hot water outlet flow passage providing a passage through which the hot water supplied from the heating device flows to the water outlet part. ; and a drain passage capable of discharging the hot water discharged from the heating device to the outside through the inlet.
  • the hot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ater outlet and the hot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inlet is placed in any one of the drain mod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rain passage.
  •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opening and closing of the valve unit may be further included.
  • the flow path part further includes a purified water outlet flow path providing a passage for the purified water to flow into the hot water outlet flow channel, and the control device is configured to: And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valve unit to sequentially flow through the drain passage and discharge it to the outside.
  • control device performs the drain mode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from the point in time when the hot water dispensing mode ends, and while the drain mode is performed, the hot water is heated while the operation of the heating device is stopped.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heating device and the valve portion to be discharged from the device.
  • the controller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capable of measuring at least one of a temperature of the heating device and a temperature of hot water in the heating device, and the control device may perform the drain mode when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sensor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set threshold temperatur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valve unit to stop.
  • the flow path unit may include a purified water outlet flow path providing a passage through which the purified water flows to the water outlet unit; and an intermediate flow passage connecting the purified water outlet flow passage and the hot water outlet flow passage, wherein the valve unit includes a first valve module that is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to control the flow of the purified water in the purified water outlet flow passage and the intermediate flow passage.
  • the flow passage part further includes a purified water inlet flow passage providing a passage through which the purified water flows to the heating device, and the valve part has a second gate that is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to control the flow of the purified water in the purified water inlet passage. It may further include a valve module, and the first valve module may be configured to allow a greater flow rate than the second valve module.
  • valve unit includes a third valve module that is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to control the flow of the hot water in the hot water outlet flow path, and the third valve module is connected to the hot water outlet flow path between the intermediate flow path and the outlet. can be placed.
  • the inlet may be formed below the heating device, and the outlet may be disposed above the inlet.
  • 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hot water provid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hot water provid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flow of water when the hot wat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the hot water dispensing mode.
  • FIG. 4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flow of water when the hot wat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a drain mode.
  • FIG. 5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hot water provid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hot water provid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flow of water when the hot water provid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the hot water dispensing mode.
  • FIG. 8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flow of water when the hot wat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a drain mode.
  • a component when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flowed', 'discharged', or 'hea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flowed, discharged, or hea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in the middl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elements may be present.
  • the hot water providing device 1 can provide clean water to users by filtering water supplied from the outside.
  • the hot water providing device 1 may receive water from a water supply source (not shown) such as tap water, and may filter the supplied water as clean water.
  • the hot water providing device 1 may be a gas water heater that heats water using gas, an electric water heater that heats water using electricity, and a water purifier.
  • the hot water providing device 1 is not limited to a water purifier, and may be provided with any device requiring instant hot water such as an espresso machine.
  • the hot water providing device 1 includes a frame (not shown), a filter unit 100, a heating device 200, a water outlet unit 300, a flow path unit 400, a valve unit 500, a sensor 600, and a control unit.
  • Device 700 may be included.
  • water introduced into the hot water supply device 1 from the outside may be classified into raw water, purified water, and hot water.
  • water that has not passed through the filter unit 100 is defined as raw water
  • water that has been filtered through the filter unit 100 is defined as purified water.
  • water heat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or higher in the heating device 200 is defined as hot water.
  • the frame may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filter unit 100, the heating device 200, the water outlet unit 300, the flow path unit 400, the valve unit 500, the sensor 600, and the controller 700 are accommodated. there is.
  • the filter unit 100 may filter the raw water introduced into the hot water providing device 1 into purified water. Raw water passing through a raw water intake passage 410 to be described later may flow into the filter unit 100, and purified water filtered by the filter unit 100 may flow into the purified water intake passage 420.
  • one or more filter units 100 may be provided, and may be provided to the frame to be replaceable. For example, one or more filter units 100 may be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hot water providing device 1 .
  • the heating device 200 may provide hot water by heating purified water.
  • This heating device 200 may include a hot water receptor 210 and a heater 220.
  • the hot water receiver 210 may provide a space for receiving purified water introduced from the purified water intake passage 420 .
  • the hot water receptor 210 may be, for example, a water storage tank in which incoming purified water is gradually filled.
  • the hot water receptor 210 may be configured as a direct water type providing a path for purified water to flow.
  • the hot water receptor 21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arrier ribs arranged to be offset from each other to provide a flow path through which purified water flows while being heated by the heater 220 . While flowing along the passage provided by the hot water receptor 210, the flow direction of purified water may be changed multiple times by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 the hot water receptor 210 may have a pipe shape in which water pre-entered into the hot water receptor 210 may be discharged.
  • the hot water receptor 210 may include an inlet 211 and an outlet 212 .
  • Purified water may flow into the inlet 211 .
  • This inlet 211 may communicate with the purified water intake passage 420 .
  • This inlet 211 may be disposed lower than the raw import water passage 410 .
  • Hot water may be discharged from the outlet 212 .
  • the outlet 212 may communicate with the inlet 211 and the hot water outlet 440 to be described later. Also, the outlet 212 may be disposed above the inlet 211 .
  • the heater 220 may heat purified water accommodated in the hot water container 210 .
  • the heater 220 may include, for example, at least one of a sheath heater and a surface heating heater having a plurality of heating plates.
  • the sheath heater and the surface heating heater may independently heat purified water accommodated in the hot water receptor 210 .
  • This heater 220 may be disposed inside the hot water container 210 .
  • the water outlet 300 may discharge one or more of purified water and hot water to the outside.
  • the water outlet unit 300 may discharge purified water supplied from the purified water outlet passage 430 to be described later to the outside.
  • the water outlet unit 300 may discharge hot water supplied from the hot water outlet flow path 440 to be described later to the outside.
  • the flow path part 400 may provide a passage through which purified water and hot water flow.
  • the flow path part 400 may communicate with the filter part 100 , the heating device 200 and the water outlet part 300 .
  • the flow path unit 400 may include a raw water intake flow path 410, a purified water intake flow path 420, a purified water output flow path 430, a hot water output flow path 440, and a drain flow path 450.
  • the raw water intake passage 410 may provide a passage through which raw wate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flows.
  • the raw water flowing into the raw water intake passage 410 may be connected to the filter unit 100 .
  • the purified water intake passage 420 may provide a passage through which purified water flows into the hot water receptor 210 .
  • purified water filtered by the filter unit 100 may be introduced into the purified water intake passage 420 and may guide the introduced purified water to the hot water receiver 210 .
  • the purified water intake passage 420 may communicate with the inlet 211 of the hot water receptor 210 .
  • the purified water outlet passage 430 may provide a passage through which purified water flows. Purified water filtered by the filter unit 100 may flow into the purified water outlet channel 430 and guide the filtered purified water to the water outlet unit 300 .
  • the hot water outlet passage 440 may provide a passage through which hot water supplied from the heating device 200 flows to the water outlet 300 . Clean water heated by the heating device 200 may be introduced into the hot water outlet channel 440 and may guide the introduced hot water to one or more of the water outlet 300 and the drain channel 450 .
  • the hot water outlet passage 440 may communicate with the outlet 212 of the hot water receptor 210 .
  • the drain passage 450 may provide a passage through which hot wat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 the drain passage 450 may be branched from the hot water outlet passage 440 .
  • the drain passage 45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hot water outlet passage 440 and the water outlet 300 .
  • the valve unit 500 may be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to control the flow of one or more of purified water and hot water in the flow path unit 400 .
  • the valve unit 500 may include a first valve module 510 , a second valve module 520 and a third valve module 530 .
  • the first valve module 510 may be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to control the flow of purified water in the purified water inlet and water passage 420 .
  • the first valve module 510 may adjust the flow rate of purified water flowing into the hot water receptor 210 .
  • the first valve module 510 may be, for example, a flow control valve.
  • the first valve module 510 may be disposed in the purified water intake passage 420 between the second valve module 520 and the inlet 211 .
  • the first valve module 510 may be disposed above the inlet 211 .
  • This first valve module 510 may be referred to as a 'purified water inlet valve module' in this specification.
  • the second valve module 520 may be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to guide the flow of purified water to one of the purified water inlet and outlet 420 and the purified water outlet 430 and block the flow of purified water to the other one.
  • the second valve module 520 guides the purified water filtered by the filter unit 100 to the purified water intake flow path 420 and blocks the flow to the purified water output flow path 430.
  • the second valve module 520 is placed in the purified water intake state, the raw water intake flow path 410, the purified water intake flow path 420, the inlet 211, the outlet 212, and the hot water output flow path 440 are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 the second valve module 520 guides the purified water filtered by the filter unit 100 to the purified water outlet flow path 430 and blocks the flow to the purified water inlet flow channel 420. .
  • the second valve module 520 is placed in a state where purified water is allowed, the raw water intake flow path 410, the purified water output flow path 430, the inlet 211, the discharge port 212, and the hot water output flow path 440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 the third valve module 530 may be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to guide the flow of hot water to one of the water outlet 300 and the drain passage 450 and block the flow of hot water to the other one.
  • the third valve module 530 may be placed in a hot water dispensing state in which hot water heated by the heating device 200 is guided to the water outlet 300 and the flow to the drain passage 450 is blocked.
  • the hot water dispensing passage 440 may communicate with the water outlet 300 .
  • the third valve module 530 may be placed in a drain permitting state in which hot water heated by the heating device 200 is guided to the drain passage 450 and flow to the water outlet 300 is blocked.
  • the hot water outlet passage 440 may communicate with the drain passage 450 .
  • the sensor 600 may be a temperature sensor capable of measuring one or more of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220 and the temperature of hot water in the hot water receptor 210 .
  • the controller 700 may control at least one of the heater 220 and the valve unit 500 based on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sensor 600 .
  • the controller 700 may control opening and closing of the valve unit 500 to perform one of the hot water dispensing mode and the drain mode.
  • the hot water outlet mode may be a mode in which hot water discharged from the hot water container 21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ater outlet 300 .
  • the control device 700 determines that the first valve module 510 is open, the second valve module 520 is in a purified water intake state, and the third valve module ( 530) may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valve unit 500 so as to be placed in a hot water dispensing state.
  • the drain mode may be a mode in which hot water discharged from the hot water container 21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rain passage 450 without passing through the water outlet 300 .
  • the control device 700 sets the second valve module 520 to allow purified water output and the third valve module 530 to place the drain permission state on the valve unit ( 500) can be controlled.
  • the controller 700 may control the heater 220 and the valve unit 500 so that hot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hot water container 210 while the operation of the heater 220 is stopped while the drain mode is performed.
  • the control device 700 may perform the drain mode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from the time when the temperature extraction mode ends. In other words, whenever the user uses hot water, the drain mode may be performed after the user uses hot water.
  • the controller 700 may control the valve unit 500 so that the drain mode is stopped when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sensor 600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critical temperature. For example, the controller 700 compares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sensor 600 with the threshold temperature at each preset check time, stops the drain mode when the measured temperature is less than the threshold temperature, and the measured temperature is the threshold temperature. If it exceeds, the drain mode can be continued until the measured temperature is below the critical temperature.
  • the critical temperature may be, for example, any one of 25 °C to 40 °C
  • the check time may be, for example, 2 seconds to 5 seconds.
  • the controller 700 may control the first valve module 510 so that purified water having a greater flow rate flows through the hot water receptor 210 in the drain mode than in the hot water outlet mode.
  • the controller 700 may fully open the first valve module 510 so that purified water flows through the hot water receptor 210 at a maximum flow rate in the drain mode.
  • control device 700 when the control device 700 is not in the hot water dispensing mode, it may perform the drain mode every predetermined drain period.
  • the control device 700 may perform the drain mode for a preset execution time for each drain cycle.
  • the controller 700 may calculate the drain cycle based on total dissolved solids (TDS), which is solids dissolved in raw water.
  • TDS total dissolved solids
  • the control device 700 is configured once/day when the TDS is greater than 500 ppm, once/2 days when the TDS is greater than 300 ppm and less than 500 ppm, once/3 days when the TDS is greater than 100 ppm and less than 300 ppm, and TDS When it is 100ppm or less, the drain cycle can be calculated once/week.
  • control device 700 may calculate the drain cycle based on the amount of hot water used. For example, when calculating the drain cycle as 1 time/10L based on the amount of hot water used, the controller 700 may perform the drain mode during the morning of the next day after 7L or more of hot water is used.
  • the basis for calculating the drain cycle is not limited to TDS and hot water usage, and the drain cycle may be calculated based on one or more of raw water hardness and hot water temperature.
  • the control device 700 may calculate the drain cycle based on a value obtained by combining the TDS, the amount of hot water used, the hardness of the raw water, and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 the control device 700 may perform the drain mode for a preset time period at each preset drain cycle regardless of whether hot wat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 Such a drain cycle may be, for example, 1 time/day to 1 time/week (TDS cycle) or 1 time/2L to 1 time/10L (usage cycle), and the control device 700 determines the TDS cycle and usage amount.
  • the drain mode may be performed based on the period that comes first among the periods.
  • the drain mode may be performed based on the usage period.
  • the drain mode may be performed based on the TDS cycle.
  • the execution time of the drain mode may be, for example, 1 minute to 3 minutes.
  • control device 700 may control the valve unit 500 to be placed in the purified water extraction mode.
  • the purified water extraction mode may be a mode in which purified water passing through the filter unit 10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purified water extraction water passage 430 and the water extraction unit 300 sequentially.
  • the control device 700 may control the valve unit 500 so that the second valve module 520 is placed in the purified water extraction mode in the purified water extraction mode.
  • Such a control device 700 may be implemented by an arithmetic device including a microprocessor, and since the implementation method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urther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hot water providing device 1 may filter raw water supplied from the outside into purified water through the filter unit 100 .
  • the purified water may flow into the inlet 211 of the hot water container 210 and be heated, and the heated hot water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212 of the hot water container 210 .
  • such hot water may be stagnant in the hot water receptor 210 .
  • Scale may be formed around the hot water receptor 210 and the hot water receptor 210 due to the stagnation of the hot water. In order to lower the possibility of scale formation, the temperature of hot water stagnant in the hot water receptor 210 is lowered, the flow rate of water flowing through the hot water receptor 210 is increased, or a periodic drain mode is required.
  • the controller 700 controls the heater 220 to discharge the hot water from the hot water receptor 210 while the operation of the heater 220 is stopped while the drain mode is performed. ) and the valve unit 500 can be controlled. As the operation of the heater 220 is stopped while the drain mode is performed,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discharged from the hot water receptor 210 is lowered, and accordingly, the possibility of scale forming inside the hot water providing device 1 This has a lowering effect.
  • the control device 700 allows a higher flow rate of purified water to flow through the hot water receptor 210 in the drain mode than in the hot water outlet mode. ) can be controlled.
  • the scale formed inside the hot water providing device 1 has the effect of being efficiently removed by the purified water having a relatively fast flow rate. .
  • control device 700 may perform the drain mode for a predetermined time at each predetermined period regardless of whether hot wat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In this way, as the hot water providing device 1 periodically performs the drain mode,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scale from being accumulated inside the hot water providing device 1 and increasing in size.
  • the hot water providing device 10 includes a frame (not shown), a filter unit 100, a heating device 200, a water outlet unit 300, a flow path unit 400, and a valve unit 1500. ), a sensor 600 and a control device 700 may be included.
  • the filter unit 100, the heating device 200, the water outlet 300, and the sensor 600 of the second embodiment have the filter unit 100, the heating device 200, and the water outlet ( 300) and the sensor 600,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 the flow path part 400 may provide a passage through which purified water and hot water flow.
  • the flow path part 400 may communicate with the filter part 100 , the heating device 200 and the water outlet part 300 .
  • the flow path unit 400 includes a raw water intake flow path 410, a purified water intake flow path 420, a purified water output flow path 430, a hot water output flow path 440, a drain flow path 450, and an intermediate flow path 460. can include
  • the raw water intake passage 410 may provide a passage through which raw wate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flows.
  • the raw water flowing into the raw water intake passage 410 may be connected to the filter unit 100 .
  • the purified water intake passage 420 may provide a passage through which purified water flows to the heating device 200 .
  • purified water filtered by the filter unit 100 may be introduced into the purified water intake passage 420 and may be guided to the heating device 200 .
  • the purified water intake passage 420 may communicate with the inlet 211 of the hot water receptor 210 .
  • the purified water outlet passage 430 may provide a passage through which purified water flows. Purified water filtered by the filter unit 100 may flow into the purified water outlet channel 430 and guide the filtered purified water to the water outlet unit 300 .
  • the hot water outlet passage 440 may provide a passage through which hot water supplied from the heating device 200 flows to the water outlet 300 . Clean water heated by the heating device 200 may be introduced into the hot water outlet channel 440 and may guide the introduced hot water to one or more of the water outlet 300 and the drain channel 450 .
  • the hot water outlet passage 440 may communicate with the outlet 212 of the hot water receptor 210 .
  • the drain passage 450 may provide a passage through which hot wat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 the drain passage 450 may discharge hot water discharged from the heating device 200 to the outside through the inlet 211 .
  • the drain passage 450 may be disposed below the inlet 211 .
  • the middle passage 460 may provide a passage through which purified water flows from the purified water outlet passage 430 to the hot water outlet passage 440 .
  • the middle passage 460 may connect the purified water outlet passage 430 and the hot water outlet passage 440 .
  • the middle passage 460 may extend between the purified water outlet passage 430 and the hot water outlet passage 440 .
  • one end of the middle flow passage 460 may be branched from the purified water outlet flow passage 430
  • the other end of the middle flow passage 460 may be branched from the hot water outlet flow passage 440 .
  • the valve unit 1500 may be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to control the flow of one or more of purified water and hot water in the flow path unit 400 .
  • the valve unit 1500 includes a first valve module 1510, a second valve module 1520, a third valve module 1530, a fourth valve module 1540, a fifth valve module 1550, and a sixth valve. module 1560.
  • the first valve module 1510 may be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to control the flow of purified water in the purified water outlet channel 430 and the intermediate channel 460 .
  • the first valve module 1510 may be placed in a back-flushing state to guide the flow of purified water in the purified water outlet channel 430 to the intermediate channel 460 and block the flow to the water outlet 300.
  • the purified water outlet passage 430 may communicate with the intermediate passage 460 .
  • the first valve module 1510 may be placed in a purified water outlet state of guiding the flow of purified water in the purified water outlet channel 430 to the water outlet 300 and blocking the flow to the intermediate channel 460 .
  • the purified water outlet flow path 430 may communicate with the water outlet 300 .
  • the first valve module 1510 may be configured to allow purified water to flow at a higher flow rate than the second valve module 1520 .
  • the flow rate of purified water flowing through the intermediate flow passage 460 when the first valve module 1510 is in the back-flushing state is the rate of the hot water receptor 210 when the second valve module 1520 is opened. It may be greater than the flow rate of purified water flowing into the inlet 211 .
  • flow resistance of the first valve module 1510 may be smaller than flow resistance of the second valve module 1520 .
  • the second valve module 1520 may be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to control the flow of purified water in the purified water inlet and water passage 420 .
  • the second valve module 1520 may control the flow rate of purified water flowing into the heating device 200 .
  • the second valve module 1520 may be, for example, a flow control valve.
  • the second valve module 1520 may be disposed in the purified water intake passage 420 between the fifth valve module 1550 and the inlet 211 .
  • the second valve module 1520 may be disposed above the inlet 211 .
  • This second valve module 1520 may be named, for example, a 'purified water inlet valve module'.
  • the third valve module 1530 may be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to control the flow of hot water in the hot water outlet passage 440 .
  • the hot water outlet passage 440 may communicate with the intermediate passage 460 .
  • the third valve module 1530 may be disposed in the hot water outlet channel 440 between the intermediate channel 460 and the outlet 212 .
  • the third valve module 1530 may be disposed above the outlet 212 .
  • the third valve module 1530 may be disposed lower than the first valve module 1510 .
  • the fourth valve module 1540 may be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to control the flow of hot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third valve module 1530 among the hot water in the hot water outlet passage 440 .
  • the hot water outlet passage 440 may communicate with the water outlet 300 .
  • the fourth valve module 1540 may be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to control the flow of purified water in the middle passage 460 .
  • the flow of purified water in the middle passage 460 to the water outlet 300 may be blocked.
  • the fourth valve module 1540 may be disposed in the hot water outlet channel 440 between the intermediate channel 460 and the water outlet 300 .
  • the fourth valve module 1540 may be disposed lower than the first valve module 1510 .
  • the fourth valve module 1540 may be disposed above the water outlet 300 .
  • the fifth valve module 1550 may be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so as to guide the flow of purified water to one of the purified water inlet and outlet 420 and the purified water outlet 430 and block the flow of purified water to the other one.
  • the fifth valve module 1550 guides the purified water filtered by the filter unit 100 to the purified water intake channel 420 and blocks the flow to the purified water outlet channel 430 to be placed in a purified water intake allowable state.
  • the raw water intake flow path 410, the purified water intake flow path 420, the inlet 211, the outlet 212, and the hot water output flow path 440 are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 the fifth valve module 1550 guides the purified water filtered by the filter unit 100 to the purified water outlet flow path 430 and blocks the flow to the purified water inlet flow channel 420. .
  • the fifth valve module 1550 is placed in the purified water outlet allowable state, the raw water intake flow path 410, the purified water output flow path 430, the inlet 211, the discharge port 212, and the hot water output flow path 440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 the sixth valve module 1560 may be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to control the flow of hot water in the drain passage 450 .
  • the sixth valve module 1560 may adjust the flow rate of hot water discharged from the inlet 211 .
  • the sixth valve module 1560 may be, for example, a flow control valve.
  • the sixth valve module 1560 may be disposed below the inlet 211 .
  • Such a sixth valve module 1560 may be named, for example, a 'drain valve module'.
  • the sensor 600 may be a temperature sensor capable of measuring one or more of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220 and the temperature of hot water in the hot water receptor 210 .
  • the controller 700 may control at least one of the heater 220 and the valve unit 1500 based on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sensor 600 .
  • the controller 700 may control opening and closing of the valve unit 1500 to perform one of the hot water dispensing mode and the drain mode.
  • the hot water outlet mode may be a mode in which hot water discharged from the heating device 20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ater outlet 300 .
  • the control device 700 sets the fifth valve module 1550 to allow purified water intake, opens the second valve module 1520, and opens the third valve module ( 1530) may be opened and the valve unit 1500 may be controlled so that the fourth valve module 1540 is opened.
  • purified wat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sequentially flowing through the purified water intake flow path 420, the inlet 211, the discharge port 212, the hot water output flow path 440, and the water outlet 300. It can be.
  • the drain mode may be a mode in which hot water discharged from the hot water container 21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rain passage 450 without passing through the water outlet 300 .
  • the control device 700 places the fifth valve module 1550 in a purified water dispensing state, the first valve module 1510 in a back flushing state, and the third The valve unit 1500 may be controlled so that the valve module 1530 is opened, the fourth valve module 1540 is closed, and the sixth valve module 1560 is opened.
  • purified water flows through the purified water outlet flow path 430, the intermediate flow path 460, the hot water outlet flow path 440, and the outlet 212. It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sequentially flowing through the inlet 211 and the drain passage 450 .
  • the controller 700 may control the heater 220 and the valve unit 1500 so that hot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hot water container 210 while the operation of the heater 220 is stopped while the drain mode is performed.
  • the control device 700 may perform the drain mode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from the time when the temperature extraction mode ends. In other words, whenever the user uses hot water, the drain mode may be performed after the user uses hot water.
  • the controller 700 may control the valve unit 1500 so that the drain mode is stopped when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sensor 600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threshold temperature. For example, the controller 700 compares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sensor 600 with the threshold temperature at each preset check time, stops the drain mode when the measured temperature is less than the threshold temperature, and the measured temperature is the threshold temperature. If it exceeds, the drain mode can be continued until the measured temperature is below the critical temperature.
  • the critical temperature may be, for example, any one of 25 °C to 40 °C
  • the check time may be, for example, 2 seconds to 5 seconds.
  • the controller 700 may control the second valve module 1520 so that purified water having a greater flow rate flows through the hot water receptor 210 in the drain mode than in the hot water outlet mode.
  • the controller 700 may fully open the second valve module 1520 so that purified water flows through the hot water receptor 210 at a maximum flow rate in the drain mode.
  • control device 700 when the control device 700 is not in the hot water dispensing mode, it may perform the drain mode every predetermined drain period.
  • the control device 700 may perform the drain mode for a preset execution time for each drain period.
  • the controller 700 may calculate the drain cycle based on total dissolved solids (TDS), which is solids dissolved in raw water.
  • TDS total dissolved solids
  • the control device 700 may be configured once/day when the TDS is greater than 1500 ppm, once/2 days when the TDS is greater than 300 ppm and less than or equal to 1500 ppm, and once/3 days when the TDS is greater than 100 ppm and less than or equal to 300 ppm. When it is 100ppm or less, the drain cycle can be calculated once/week.
  • control device 700 may calculate the drain cycle based on the amount of hot water used. For example, when calculating the drain cycle as 1 time/10L based on the amount of hot water used, the controller 700 may perform the drain mode during the morning of the next day after 7L or more of hot water is used.
  • the basis for calculating the drain cycle is not limited to TDS and hot water usage, and the drain cycle may be calculated based on one or more of raw water hardness and hot water temperature.
  • the control device 700 may calculate the drain cycle based on a value obtained by combining the TDS, the amount of hot water used, the hardness of the raw water, and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 the control device 700 may perform the drain mode for a preset time period at each preset drain cycle regardless of whether hot wat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 Such a drain cycle may be, for example, 1 time/day to 1 time/week (TDS cycle) or 1 time/2L to 1 time/10L (usage cycle), and the control device 700 determines the TDS cycle and usage amount.
  • the drain mode may be performed based on the period that comes first among the periods.
  • the drain mode may be performed based on the usage period.
  • the drain mode may be performed based on the TDS cycle.
  • the execution time of the drain mode may be, for example, 1 minute to 3 minutes.
  • control device 700 may control the valve unit 1500 to be placed in the purified water extraction mode.
  • the purified water extraction mode may be a mode in which purified water passing through the filter unit 10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purified water extraction water passage 430 and the water extraction unit 300 sequentially.
  • the control device 700 sets the fifth valve module 1550 to allow purified water, and the first valve module 1510 to be placed in the purified water extraction state. (1500) can be controlled.
  • Such a control device 700 may be implemented by an arithmetic device including a microprocessor, and since the implementation method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urther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hot water providing device 10 may filter raw water supplied from the outside into purified water through the filter unit 100 .
  • the purified water may flow into the inlet 211 of the hot water container 210 and be heated, and the heated hot water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212 of the hot water container 210 .
  • such hot water may be stagnant in the hot water receptor 210 . Due to this stagnation of hot water, scale may be formed around the heating device 200 and the heating device 200, and the formed scale may stick to the heating device 200 or be mixed with or melted in the stagnant hot water. In order to lower the possibility of scale formation, the temperature of hot water stagnant in the hot water receptor 210 is lowered, the flow rate of water flowing through the hot water receptor 210 is increased, or the drain mode is periodically performed.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remove stagnant hot water in which the formed scale is mixed or dissolved.
  • the controller 700 controls the heater 220 to discharge the hot water from the hot water receptor 210 while the operation of the heater 220 is stopped while the drain mode is performed. ) and the valve unit 1500 (heater cooling control). As the operation of the heater 220 is stopped while the drain mode is performed,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discharged from the hot water receptor 210 is lowered, and accordingly, there is a possibility of scale formed inside the hot water providing device 10. This has a lowering effect.
  • the first valve module 1510 may allow the flow of purified water at a greater flow rate than the second valve module 1520. there is. Through the first valve module 1510, the flow rate of purified water in the drain mode can be faster than the flow rate of purified water in the hot water dispensing mode.
  • the scale formed inside the hot water supply device 10 through the first valve module 1510 has an effect of being efficiently removed by purified water having a relatively fast flow rate.
  • control device 700 may perform the drain mode for a predetermined time at each predetermined period regardless of whether hot wat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In this way, as the hot water providing device 10 periodically performs the drain mode,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scale from being increased due to accumulation inside the hot water providing device 10 .
  • the control device 700 controls the hot water stagnant in the hot water receptor 210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inlet 211 and the drain passage 450. 6
  • the valve module 1560 may be opened.
  • the control device 700 may continue to perform the drain mode so that the inside of the heating device 200 is washed with purified water even after all the hot water stagnant in the hot water receptor 21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 the hot water supply device 10 removes stagnant hot water in the hot water receptor 210, and furthermore, the effect of efficiently removing the scale attached to the heating device 200 through the flow of purified water in the drain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온수 제공 장치는 정수를 가열하여 온수를 제공하는 가열장치; 상기 정수 및 상기 온수를 외부로 출수하기 위한 출수부; 상기 정수 및 상기 온수가 유동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유로부; 상기 유로부 내의 상기 정수 및 상기 온수의 유동을 조절하도록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밸브부; 및 상기 가열장치 및 상기 밸브부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열장치는 상기 정수가 유입되기 위한 유입구 및 상기 온수가 토출되기 위한 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부는, 상기 가열장치로부터 제공된 상기 온수가 상기 출수부로 유동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온수출수유로; 및 상기 유입구를 통하여 상기 가열장치로부터 배출된 온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드레인유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온수 제공 장치
본 발명은 온수 제공 장치에 대한 발명이다.
온수 제공 장치는 유입된 물을 가열하여 고온수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수 제공 장치는 가스를 이용하여 물을 가열하는 가스온수기, 전기를 이용하여 물을 가열하는 전기온수기 등이 있다. 이러한 온수기가 구비되는 제품은 일 예로, 정수기가 있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수도 등의 물 공급원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정수로 여과시킨 후 정수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정수는 사용자에게 바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일정 온도 이하로 냉각된 후 냉수로 제공되거나 일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된 온수로 제공되기도 한다. 또한, 정수기는 정수, 냉수 및 온수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정수, 냉수 및 온수가 각각 유동하기 위한 복수 개의 유로를 구비한다.
또한, 최근에는 히터를 이용하여 순간적으로 물을 가열하여 고온수를 생성할 수 있는 정수기에 대한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정수기는 유입된 정수를 순간적으로 가열하고, 가열된 물의 온도를 유지시켜줄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출원인의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20-0013927 "온수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수기"(특허문헌 1)는 물의 온도가 소정 온도 이상의 고온수가 되도록 물을 가열하는 정수기를 개시한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정수기는 일정 기간 이상 사용되거나, 온수가 정수기 내에 머무르게 되면 물에 함유된 중금속이나 이물질 등이 고착된 스케일이 정수기 내부에 형성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정수기 내부에 형성된 스케일은 정수기 내부에 부착될 뿐만 아니라, 정수기 내부의 정체된 물에 녹거나 섞이게 된다. 이러한 스케일이 형성되는 요인으로는 스케일 유발물질(Ca, Na, HCO3, SO4 등), pH, 물의 온도 등이 있으며, 특히, 물의 온도가 스케일 형성에 주된 요인이 된다. 예를 들어, 물의 온도가 상온(일 예로, 25℃)에서 상온보다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고온(일 예로, 80℃)으로 상승하게 되면, 스케일 발생가능성은 급격하게 높아지게 된다. 이로 인해, 특허문헌 1의 정수기는 제거되지 못한 스케일이 사용자가 섭취하는 물에 녹거나 섞이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은 정수기 내부에 정체된 고온의 물에 의해 정수기 내부에 형성되는 스케일을 제거하는 수단에 대해서는 개시하지 않는다. 이러한 특허문헌 1의 정수기는 정수기 내부에 부착된 스케일뿐만 아니라, 정수기 내부에 정체된 물에 녹거나 섞인 스케일을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온수 제공 장치 내부에 정체된 물의 온도를 낮추어 스케일 발생양을 최소화하고, 온수 제공 장치 내부에 부착된 스케일과 온수 제공 장치 내부에 정체된 물에 녹거나 섞이게 된 스케일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된 온수 제공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1)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20-0013927 (2020. 02. 10 출원공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배경에 착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온수 제공 장치 내부에 발생하는 스케일을 최소화할 수 있는 온수 제공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온수 제공 장치 내부에 발생된 스케일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온수 제공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온수 제공 장치는, 정수를 가열하여 온수를 제공하는 가열장치; 상기 정수 및 상기 온수를 외부로 출수하기 위한 출수부; 상기 정수 및 상기 온수가 유동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유로부; 상기 유로부 내의 상기 정수 및 상기 온수의 유동을 조절하도록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밸브부; 및 상기 가열장치 및 상기 밸브부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부는, 상기 가열장치로부터 제공된 상기 온수가 상기 출수부로 유동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온수출수유로; 및 상기 온수출수유로로부터 분지되어 외부로 상기 온수를 배출할 수 있는 드레인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온수가 상기 출수부를 거쳐 외부로 출수되는 온수출수모드 및 상기 온수가 상기 출수부를 거치지 않고, 상기 드레인유로를 거쳐 외부로 출수되는 드레인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에 놓이도록 상기 밸브부의 개폐를 제어하고, 상기 드레인모드가 수행되는 동안 상기 가열장치의 작동이 중단된 채로 상기 온수가 상기 가열장치로부터 배출되도록 상기 가열장치 및 상기 밸브부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가열장치의 온도 및 상기 가열장치 내의 온수의 온도 중 하나 이상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온수출수모드가 종료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을 때 상기 드레인모드를 수행하고, 상기 센서에서 측정된 온도가 기 설정된 임계온도 이하가 되면 상기 드레인모드를 중단하도록 상기 밸브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부는 상기 정수가 상기 가열장치로 유동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정수입수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밸브부는 상기 정수입수유로 내의 상기 정수의 유동을 조절하도록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정수유입밸브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온수출수모드보다 상기 드레인모드에서 더 많은 유량의 상기 정수가 상기 가열장치로 유동하도록 상기 정수유입밸브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온수출수모드에 놓이지 않을 때 기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드레인모드를 수행하며, 매 주기마다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드레인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온수 제공 장친는, 정수를 가열하여 온수를 제공하며, 상기 정수가 유입되기 위한 유입구 및 상기 온수가 토출되기 위한 토출구를 포함하는 가열장치; 상기 정수 및 상기 온수를 외부로 출수하기 위한 출수부; 상기 정수 및 상기 온수가 유동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유로부; 및 상기 유로부 내의 상기 정수 및 상기 온수의 유동을 조절하도록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밸브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부는, 상기 가열장치로부터 제공된 상기 온수가 상기 출수부로 유동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온수출수유로; 및 상기 유입구를 통하여 상기 가열장치로부터 배출된 온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드레인유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토출구를 통하여 토출된 상기 온수가 상기 출수부를 거쳐 외부로 출수되는 온수출수모드 및 상기 유입구를 통하여 토출된 상기 온수가 상기 드레인유로를 거쳐 외부로 출수되는 드레인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에 놓이도록 상기 밸브부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부는 상기 정수가 상기 온수출수유로로 유동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정수출수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드레인모드에서 상기 정수가 상기 정수출수유로, 상기 가열장치 및 상기 드레인유로를 순차적으로 유동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밸브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온수출수모드가 종료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을 때 상기 드레인모드를 수행하며, 상기 드레인모드가 수행되는 동안 상기 가열장치의 작동이 중단된 채로 상기 온수가 상기 가열장치로부터 배출되도록 상기 가열장치 및 상기 밸브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장치의 온도 및 상기 가열장치 내의 온수의 온도 중 하나 이상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센서에서 측정된 온도가 기 설정된 임계온도 이하가 되면 상기 드레인모드를 중단하도록 상기 밸브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부는, 상기 정수가 상기 출수부로 유동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정수출수유로; 및 상기 정수출수유로와 상기 온수출수유로를 연결하는 중간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부는, 상기 정수출수유로 및 상기 중간유로 내의 상기 정수의 유동을 조절하도록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제1 밸브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부는, 상기 정수가 상기 가열장치로 유동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정수입수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밸브부는, 상기 정수입수유로 내의 상기 정수의 유동을 조절하도록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제2 밸브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밸브모듈은 상기 제2 밸브모듈보다 더 큰 유량의 유동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부는, 상기 온수출수유로 내의 상기 온수의 유동을 조절하도록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제3 밸브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3 밸브모듈은 상기 중간유로와 토출구 사이에서 상기 온수출수유로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구는 상기 가열장치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토출구는 상기 유입구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온수 제공 장치 내부에 발생하는 스케일을 최소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온수 제공 장치 내부에 부착된 스케일과 온수 제공 장치 내부에 정체된 물에 녹거나 섞인 스케일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온수 제공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온수 제공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온수 제공 장치가 온수출수모드일 때의 물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온수 제공 장치가 드레인모드일 때의 물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온수 제공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온수 제공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온수 제공 장치가 온수출수모드일 때의 물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온수 제공 장치가 드레인모드일 때의 물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유동', '배출', '가열'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유동, 배출, 가열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부, 하부, 상면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온수 제공 장치(1)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온수 제공 장치(1)는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여과함으로써 깨끗한 물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수 제공 장치(1)는 수도 등과 같은 물 공급원(미도시)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공급받은 물을 깨끗한 물로 여과할 수 있다. 이러한 온수 제공 장치(1)는 가스를 이용하여 물을 가열하는 가스온수기, 전기를 이용하여 물을 가열하는 전기온수기 및 정수기 등일 수 있다. 다만, 온수 제공 장치(1)는 정수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에스프레소 머신 등 순간적으로 가열되는 온수가 필요한 모든 장치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온수 제공 장치(1)는 프레임(미도시), 필터부(100), 가열장치(200), 출수부(300), 유로부(400), 밸브부(500), 센서(600) 및 제어장치(70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외부로부터 온수 제공 장치(1) 내부로 유입된 물은 원수, 정수 및 온수로 구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외부로부터 온수 제공 장치(1) 내부로 유입된 물 중 필터부(100)를 거치지 않은 물은 원수로 정의되며, 필터부(100)를 거쳐서 여과된 물은 정수로 정의된다. 또한, 필터부(100)에서 여과된 물 중 가열장치(200)에서 소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된 물은 온수로 정의된다.
프레임은 필터부(100), 가열장치(200), 출수부(300), 유로부(400), 밸브부(500), 센서(600) 및 제어장치(700)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필터부(100)는 온수 제공 장치(1) 내로 유입된 원수를 정수로 여과시킬 수 있다. 이러한 필터부(100)에는 후술할 원수입수유로(410)를 통과한 원수가 유입될 수 있으며, 필터부(100)에서 여과된 정수는 정수입수유로(420)로 유동할 수 있다. 또한, 필터부(100)는 하나 이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프레임에 교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필터부(100)는 온수 제공 장치(1)의 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가열장치(200)는 정수를 가열하여 온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가열장치(200)는 온수 수용체(210) 및 히터(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온수 수용체(210)는 정수입수유로(420)로부터 유입된 정수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온수 수용체(210)는 일 예로, 유입되는 정수가 점진적으로 차오를 수 있는 저수식 물탱크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온수 수용체(210)는 정수가 유동하기 위한 경로를 제공하는 직수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온수 수용체(210)는 서로 어긋나도록 배열되는 복수 개의 격벽이 구비되어, 정수가 히터(220)에 의해 가열되면서 유동되기 위한 유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온수 수용체(210)가 제공하는 유로를 따라 유동되는 동안 복수 개의 격벽에 의해 정수의 유동 방향은 복수 차례 변경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온수 수용체(210)는 온수 수용체(210)에 선입된 물이 선출될 수 있는 파이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온수 수용체(210)는 유입구(211) 및 토출구(212)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구(211)에는 정수가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유입구(211)는 정수입수유로(420)와 연통할 수 있다. 이러한 유입구(211)는 원수입수유로(410)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토출구(212)에서는 온수가 토출될 수 있다. 이러한 토출구(212)는 유입구(211) 및 후술할 온수출수유로(440)와 연통할 수 있다. 또한, 토출구(212)는 유입구(211)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히터(220)는 온수 수용체(210) 내부에 수용된 정수를 가열할 수 있다. 히터(220)는 일 예로, 시즈히터(sheath heater) 및 복수 개의 가열판을 구비하는 면상발열히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시즈히터와 면상발열히터는 서로 독립적으로 온수 수용체(210) 내부에 수용된 정수를 가열할 수 있다. 이러한 히터(220)는 온수 수용체(2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출수부(300)는 정수 및 온수 중 하나 이상을 외부로 출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출수부(300)는 후술할 정수출수유로(430)로부터 공급 받은 정수를 외부로 출수시킬 수 있다. 또한, 출수부(300)는 후술할 온수출수유로(440)로부터 공급 받은 온수를 외부로 출수시킬 수 있다.
유로부(400)는 정수 및 온수가 유동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유로부(400)는 필터부(100), 가열장치(200) 및 출수부(300)와 연통할 수 있다. 이러한 유로부(400)는 원수입수유로(410), 정수입수유로(420), 정수출수유로(430), 온수출수유로(440) 및 드레인유로(450)를 포함할 수 있다.
원수입수유로(410)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원수가 유동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원수입수유로(410)로 유입된 원수는 필터부(100)에 연결될 수 있다. 정수입수유로(420)는 정수가 온수 수용체(210)로 유동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정수입수유로(420)는 필터부(100)에서 여과된 정수가 유입될 수 있으며, 유입된 정수를 온수 수용체(210)로 안내할 수 있다. 이러한 정수입수유로(420)는 온수 수용체(210)의 유입구(211)와 연통할 수 있다.
정수출수유로(430)는 정수가 유동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정수출수유로(430)는 필터부(100)에서 여과된 정수가 유입될 수 있으며, 유입된 정수를 출수부(300)로 안내할 수 있다.
온수출수유로(440)는 가열장치(200)로부터 제공된 온수가 출수부(300)로 유동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온수출수유로(440)는 가열장치(200)에서 가열된 정수가 유입될 수 있으며, 유입된 온수를 출수부(300) 및 드레인유로(450) 중 하나 이상으로 안내할 수 있다. 이러한 온수출수유로(440)는 온수 수용체(210)의 토출구(212)와 연통할 수 있다.
드레인유로(450)는 외부로 온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드레인유로(450)는 온수출수유로(440)로부터 분지될 수 있다. 이러한 드레인유로(450)는 온수출수유로(440)와 출수부(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밸브부(500)는 유로부(400) 내의 정수 및 온수 중 하나 이상의 유동을 조절하도록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이러한 밸브부(500)는 제1 밸브모듈(510), 제2 밸브모듈(520) 및 제3 밸브모듈(5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밸브모듈(510)은 정수입수유로(420) 내의 정수의 유동을 조절하도록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밸브모듈(510)은 온수 수용체(210)로 유입되는 정수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밸브모듈(510)은 일 예로, 유량 제어 밸브(flow control valve)일 수 있다. 이러한 제1 밸브모듈(510)은 제2 밸브모듈(520)과 유입구(211) 사이에서 정수입수유로(420)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밸브모듈(510)은 일 예로, 유입구(211)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밸브모듈(510)은 본 명세서에서 '정수유입밸브모듈'로 명명될 수 있다.
제2 밸브모듈(520)은 정수입수유로(420) 및 정수출수유로(430) 중 어느 하나로 정수의 유동을 안내하고, 다른 하나로의 정수의 유동이 차단되도록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밸브모듈(520)은 필터부(100)에서 여과된 정수를 정수입수유로(420)로 안내하고, 정수출수유로(430)로의 유동을 차단하는 정수입수 허용상태에 놓일 수 있다. 이러한 제2 밸브모듈(520)이 정수입수 허용상태에 놓일 때, 원수입수유로(410), 정수입수유로(420), 유입구(211), 토출구(212) 및 온수출수유로(440)는 서로 연통할 수 있다.
또한, 제2 밸브모듈(520)은 필터부(100)에서 여과된 정수를 정수출수유로(430)로 안내하고, 정수입수유로(420)로의 유동을 차단하는 정수출수 허용상태에 놓일 수 있다. 이러한 제2 밸브모듈(520)이 정수출수 허용상태에 놓일 때, 원수입수유로(410), 정수출수유로(430), 유입구(211), 토출구(212) 및 온수출수유로(440)는 서로 연통할 수 있다.
제3 밸브모듈(530)은 출수부(300) 및 드레인유로(450) 중 어느 하나로 온수의 유동을 안내하고, 다른 하나로의 온수의 유동이 차단되도록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밸브모듈(530)은 가열장치(200)에서 가열된 온수를 출수부(300)로 안내하고, 드레인유로(450)로의 유동을 차단하는 온수출수 허용상태에 놓일 수 있다. 이러한 제3 밸브모듈(530)이 온수출수 허용상태에 놓일 때, 온수출수유로(440)는 출수부(300)와 연통할 수 있다.
또한, 제3 밸브모듈(530)은 가열장치(200)에서 가열된 온수를 드레인유로(450)로 안내하고, 출수부(300)로의 유동을 차단하는 드레인 허용상태에 놓일 수 있다. 이러한 제3 밸브모듈(530)이 드레인 허용상태에 놓일 때, 온수출수유로(440)는 드레인유로(450)와 연통할 수 있다.
센서(600)는 히터(220)의 온도 및 온수 수용체(210) 내의 온수의 온도 중 하나 이상을 측정할 수 있는 온도센서일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더 참조하면, 제어장치(700)는 센서(600)에서 측정된 온도에 기초하여 히터(220) 및 밸브부(500)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장치(700)는 온수출수모드 및 드레인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수행하기 위해 밸브부(500)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온수출수모드는 온수 수용체(210)에서 토출된 온수가 출수부(300)를 거쳐 외부로 출수되는 모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온수출수모드가 수행될 때, 제어장치(700)는 제1 밸브모듈(510)이 개방되고, 제2 밸브모듈(520)이 정수입수 허용상태에 놓이고, 제3 밸브모듈(530)이 온수출수 허용상태에 놓이도록 밸브부(500)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드레인모드는 온수 수용체(210)에서 토출된 온수가 출수부(300)를 거치지 않고, 드레인유로(450)를 거쳐 외부로 출수되는 모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레인모드가 수행될 때, 제어장치(700)는 제2 밸브모듈(520)이 정수출수 허용상태에 놓이고, 제3 밸브모듈(530)이 드레인 허용상태에 놓이도록 밸브부(500)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장치(700)는 드레인모드가 수행되는 동안 히터(220)의 작동이 중단된 채로 온수가 온수 수용체(210)로부터 배출되도록 히터(220) 및 밸브부(5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700)는 온도출수모드가 종료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할 때, 드레인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 온수를 사용할 때마다, 사용자의 온수 사용 이후에는 드레인모드가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장치(700)는 센서(600)에서 측정된 온도가 기 설정된 임계온도 이하가 되면, 드레인모드가 중단되도록 밸브부(5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장치(700)는 기 설정된 체크시간마다 센서(600)에서 측정된 온도와 임계온도를 비교하여, 측정된 온도가 임계온도 이하면 드레인모드를 중단하고, 측정된 온도가 임계온도를 초과하면 측정된 온도가 임계온도 이하가 될 때까지 드레인모드를 계속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임계온도는 일 예로, 25℃ 내지 40℃ 중 어느 하나의 온도값일 수 있고, 체크시간은 일 예로, 2초 내지 5초일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700)는 온수출수모드보다 드레인모드에서 더 많은 유량의 정수가 온수 수용체(210)를 유동하도록 제1 밸브모듈(51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장치(700)는 드레인모드에서 정수가 온수 수용체(210)를 최대 유량으로 유동하도록 제1 밸브모듈(510)을 완전히 개방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700)는 온수출수모드에 놓이지 않을 때, 기 설정된 드레인주기마다 드레인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장치(700)는 드레인주기마다 기 설정된 수행시간 동안 드레인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장치(700)는 원수에 용해된 고형분인 용해고형분(total dissolved solid, TDS)에 기초하여 드레인주기를 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장치(700)는 TDS가 500ppm 초과일 때 1회/1일, TDS가 300ppm 초과 500ppm 이하일 때 1회/2일, TDS가 100ppm 초과 300ppm 이하일 때 1회/3일 및 TDS가 100ppm 이하일 때 1회/1주로 드레인주기를 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700)는 온수 사용량에 기초하여 드레인주기를 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장치(700)는 온수 사용량에 기초하여 드레인주기를 1회/10L로 산정할 때, 7L이상 온수가 사용된 시점으로부터 익일 오전 중에 드레인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다만, 드레인주기의 산정의 기초가 되는 것이 TDS 및 온수 사용량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드레인주기는 원수의 경도, 온수의 온도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산정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제어장치(700)는 TDS, 온수 사용량, 원수의 경도 및 온수의 온도를 조합한 값에 기초하여 드레인주기를 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장치(700)는 온수가 외부로 출수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 설정된 드레인주기마다 기 설정된 수행시간 동안 드레인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드레인주기는 일 예로, 1회/1일 내지 1회/1주(TDS 주기) 또는 1회/2L 내지 1회/10L(사용량 주기)일 수 있고, 제어장치(700)는 TDS 주기 및 사용량 주기 중 먼저 도래한 주기에 기초하여 드레인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DS 주기가 1회/1일이고 사용량 주기가 1회/2L일 때, 2시간동안 온수 사용량이 2L일 경우, 사용량 주기에 기초하여 드레인모드가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예로, TDS 주기가 1회/1일이고 사용량 주기가 1회/2L일 때, 1일동안 온수 사용량이 1L일 경우, TDS 주기에 기초하여 드레인모드가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드레인모드의 수행시간은 일 예로, 1분 내지 3분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어장치(700)는 정수출수모드에 놓이도록 밸브부(50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정수출수모드는 필터부(100)를 통과한 정수가 정수출수유로(430)와 출수부(300)를 순차적으로 거쳐 외부로 출수되는 모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장치(700)는 정수출수모드일 때, 제2 밸브모듈(520)이 정수출수 허용상태에 놓이도록 밸브부(5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장치(700)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연산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그 구현 방식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온수 제공 장치(1)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온수 제공 장치(1)는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원수를 필터부(100)를 통해 정수로 여과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정수는 온수 수용체(210)의 유입구(211)로 유입되어 가열되고, 가열된 온수는 온수 수용체(210)의 토출구(212)로 토출될 수 있다. 또한, 온수 수용체(210)에는 이러한 온수가 정체될 수 있다. 이러한 온수의 정체로 인하여 온수 수용체(210)와 온수 수용체(210)의 주변에 스케일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스케일의 형성 가능성을 낮추기 위해서는 온수 수용체(210)에 정체된 온수의 온도가 낮아지거나, 온수 수용체(210)를 유동하는 물의 유속을 증가시키거나, 주기적인 드레인모드의 수행이 요구된다.
온수 수용체(210)에 정체된 온수의 온도를 낮추기 위해, 제어장치(700)는 드레인모드가 수행되는 동안 히터(220)의 작동이 중단된 채로 온수가 온수 수용체(210)로부터 배출되도록 히터(220) 및 밸브부(5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처럼 드레인모드가 수행되는 동안 히터(220)의 작동이 중단됨에 따라 온수 수용체(210)로부터 배출되는 온수가 온도는 낮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온수 제공 장치(1) 내부에 형성되는 스케일의 발생 가능성이 낮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온수 수용체(210)를 유동하는 물의 유속을 증가시키기 위해, 제어장치(700)는 온수출수모드보다 드레인모드에서 더 많은 유량의 정수가 온수 수용체(210)를 유동하도록 제1 밸브모듈(510)을 제어할 수 있다. 이처럼 온수출수모드보다 드레인모드에서 더 많은 유량의 정수가 온수 수용체(210)를 유동하면, 온수 제공 장치(1) 내부에 형성된 스케일은 상대적으로 빠른 유속을 갖는 정수에 의해 효율적으로 제거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주기적인 드레인모드를 수행하기 위해, 제어장치(700)는 온수가 외부로 출수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 설정된 주기마다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드레인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이처럼 온수 제공 장치(1)는 주기적으로 드레인모드가 수행됨에 따라, 스케일이 온수 제공 장치(1) 내부에 축적되어 규모가 커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 5 내지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온수 제공 장치(1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예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실시예와 중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며, 제1 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온수 제공 장치(10)는 프레임(미도시), 필터부(100), 가열장치(200), 출수부(300), 유로부(400), 밸브부(1500), 센서(600) 및 제어장치(7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의 필터부(100), 가열장치(200), 출수부(300), 및 센서(600)는 그 구성이 제1 실시예의 필터부(100), 가열장치(200), 출수부(300), 및 센서(600)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유로부(400)는 정수 및 온수가 유동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유로부(400)는 필터부(100), 가열장치(200) 및 출수부(300)와 연통할 수 있다. 이러한 유로부(400)는 원수입수유로(410), 정수입수유로(420), 정수출수유로(430), 온수출수유로(440), 드레인유로(450) 및 중간유로(460)를 포함할 수 있다.
원수입수유로(410)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원수가 유동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원수입수유로(410)로 유입된 원수는 필터부(100)에 연결될 수 있다. 정수입수유로(420)는 정수가 가열장치(200)로 유동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정수입수유로(420)는 필터부(100)에서 여과된 정수가 유입될 수 있으며, 유입된 정수를 가열장치(200)로 안내할 수 있다. 이러한 정수입수유로(420)는 온수 수용체(210)의 유입구(211)와 연통할 수 있다.
정수출수유로(430)는 정수가 유동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정수출수유로(430)는 필터부(100)에서 여과된 정수가 유입될 수 있으며, 유입된 정수를 출수부(300)로 안내할 수 있다.
온수출수유로(440)는 가열장치(200)로부터 제공된 온수가 출수부(300)로 유동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온수출수유로(440)는 가열장치(200)에서 가열된 정수가 유입될 수 있으며, 유입된 온수를 출수부(300) 및 드레인유로(450) 중 하나 이상으로 안내할 수 있다. 이러한 온수출수유로(440)는 온수 수용체(210)의 토출구(212)와 연통할 수 있다.
드레인유로(450)는 외부로 온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레인유로(450)는 가열장치(200)로부터 배출된 온수를 유입구(21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처럼, 가열장치(200)로부터 배출된 온수를 드레인하기 위한 별도의 드레인 포트가 없이도 유입구(211)를 통하여 온수가 드레인 될 수 있으므로, 온수 제공 장치(10)의 구조가 단순화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드레인유로(450)는 유입구(211)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중간유로(460)는 정수가 정수출수유로(430)로부터 온수출수유로(440)로 유동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중간유로(460)는 정수출수유로(430)와 온수출수유로(440)를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중간유로(460)는 정수출수유로(430) 및 온수출수유로(440)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간유로(460)의 일단은 정수출수유로(430)로부터 분지될 수 있고, 중간유로(460)의 타단은 온수출수유로(440)로부터 분지될 수 있다.
밸브부(1500)는 유로부(400) 내의 정수 및 온수 중 하나 이상의 유동을 조절하도록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이러한 밸브부(1500)는 제1 밸브모듈(1510), 제2 밸브모듈(1520), 제3 밸브모듈(1530), 제4 밸브모듈(1540), 제5 밸브모듈(1550) 및 제6 밸브모듈(156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밸브모듈(1510)은 정수출수유로(430) 및 중간유로(460) 내의 정수의 유동을 조절하도록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밸브모듈(1510)은 정수출수유로(430) 내의 정수의 유동을 중간유로(460)로 안내하고, 출수부(300)로의 유동을 차단하는 백플러싱상태에 놓일 수 있다. 이러한 제1 밸브모듈(1510)이 백플러싱상태에 놓일 때, 정수출수유로(430)는 중간유로(460)와 연통할 수 있다.
또한, 제1 밸브모듈(1510)은 정수출수유로(430) 내의 정수의 유동을 출수부(300)로 안내하고, 중간유로(460)로의 유동을 차단하는 정수출수상태에 놓일 수 있다. 이러한 제1 밸브모듈(1510)이 정수출수상태에 놓일 때, 정수출수유로(430)는 출수부(300)와 연통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밸브모듈(1510)은 제2 밸브모듈(1520)보다 더 큰 유량의 정수의 유동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밸브모듈(1510)이 백플러싱상태에 놓일 때의 중간유로(460)를 유동하는 정수의 유속은, 제2 밸브모듈(1520)이 개방될 때의 온수 수용체(210)의 유입구(211)로 유입되는 정수의 유속보다 클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밸브모듈(1510)의 유로저항은 제2 밸브모듈(1520)의 유로저항보다 작을 수 있다.
제2 밸브모듈(1520)은 정수입수유로(420) 내의 정수의 유동을 조절하도록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밸브모듈(1520)은 가열장치(200)로 유입되는 정수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밸브모듈(1520)은 일 예로, 유량 제어 밸브(flow control valve)일 수 있다. 이러한 제2 밸브모듈(1520)은 제5 밸브모듈(1550)과 유입구(211) 사이에서 정수입수유로(420)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밸브모듈(1520)은 일 예로, 유입구(211)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밸브모듈(1520)은 일 예로, '정수유입밸브모듈'로 명명될 수 있다.
제3 밸브모듈(1530)은 온수출수유로(440) 내의 온수의 유동을 조절하도록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밸브모듈(1530)이 개방될 때, 온수출수유로(440)는 중간유로(460)와 연통할 수 있다. 이러한 제3 밸브모듈(1530)은 중간유로(460)와 토출구(212) 사이에서 온수출수유로(440)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3 밸브모듈(1530)은 토출구(212)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3 밸브모듈(1530)은 제1 밸브모듈(1510)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밸브모듈(1540)은 온수출수유로(440) 내의 온수 중 제3 밸브모듈(1530)을 통과한 온수의 유동을 조절하도록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밸브모듈(1540)이 개방될 때, 온수출수유로(440)는 출수부(300)와 연통할 수 있다. 또한, 제4 밸브모듈(1540)은 중간유로(460) 내의 정수의 유동을 조절하도록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밸브모듈(1540)이 폐쇄될 때, 중간유로(460)내의 정수가 출수부(300)로 유동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제4 밸브모듈(1540)은 중간유로(460)와 출수부(300) 사이에서 온수출수유로(440)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4 밸브모듈(1540)은 제1 밸브모듈(1510)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4 밸브모듈(1540)은 출수부(300)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5 밸브모듈(1550)은 정수입수유로(420) 및 정수출수유로(430) 중 어느 하나로 정수의 유동을 안내하고, 다른 하나로의 정수의 유동이 차단되도록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5 밸브모듈(1550)은 필터부(100)에서 여과된 정수를 정수입수유로(420)로 안내하고, 정수출수유로(430)로의 유동을 차단하는 정수입수 허용상태에 놓일 수 있다. 이러한 제5 밸브모듈(1550)이 정수입수 허용상태에 놓일 때, 원수입수유로(410), 정수입수유로(420), 유입구(211), 토출구(212) 및 온수출수유로(440)는 서로 연통할 수 있다.
또한, 제5 밸브모듈(1550)은 필터부(100)에서 여과된 정수를 정수출수유로(430)로 안내하고, 정수입수유로(420)로의 유동을 차단하는 정수출수 허용상태에 놓일 수 있다. 이러한 제5 밸브모듈(1550)이 정수출수 허용상태에 놓일 때, 원수입수유로(410), 정수출수유로(430), 유입구(211), 토출구(212) 및 온수출수유로(440)는 서로 연통할 수 있다.
제6 밸브모듈(1560)은 드레인유로(450) 내의 온수의 유동을 조절하도록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6 밸브모듈(1560)은 유입구(211)로부터 배출되는 온수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제6 밸브모듈(1560)은 일 예로, 유량 제어 밸브(flow control valve)일 수 있다. 이러한 제6 밸브모듈(1560)은 유입구(211)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6 밸브모듈(1560)은 일 예로, '드레인밸브모듈'로 명명될 수 있다.
센서(600)는 히터(220)의 온도 및 온수 수용체(210) 내의 온수의 온도 중 하나 이상을 측정할 수 있는 온도센서일 수 있다.
도 7 및 도 8를 더 참조하면, 제어장치(700)는 센서(600)에서 측정된 온도에 기초하여 히터(220) 및 밸브부(1500)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장치(700)는 온수출수모드 및 드레인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수행하기 위해 밸브부(1500)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온수출수모드는 가열장치(200)에서 토출된 온수가 출수부(300)를 거쳐 외부로 출수되는 모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온수출수모드가 수행될 때, 제어장치(700)는 제5 밸브모듈(1550)이 정수입수 허용상태에 놓이고, 제2 밸브모듈(1520)이 개방되고, 제3 밸브모듈(1530)이 개방되고, 제4 밸브모듈(1540)이 개방되도록 밸브부(15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온수출수모드가 수행될 때, 정수는 정수입수유로(420), 유입구(211), 토출구(212), 온수출수유로(440) 및 출수부(300)를 순차적으로 유동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드레인모드는 온수 수용체(210)에서 토출된 온수가 출수부(300)를 거치지 않고, 드레인유로(450)를 거쳐 외부로 출수되는 모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레인모드가 수행될 때, 제어장치(700)는 제5 밸브모듈(1550)이 정수출수 허용상태에 놓이고, 제1 밸브모듈(1510)이 백플러싱상태에 놓이고, 제3 밸브모듈(1530)이 개방되고, 제4 밸브모듈(1540)이 폐쇄되고, 제6 밸브모듈(1560)이 개방되도록 밸브부(15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드레인모드가 수행될 때, 정수는 정수출수유로(430), 중간유로(460), 온수출수유로(440), 토출구(212). 유입구(211) 및 드레인유로(450)를 순차적으로 유동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장치(700)는 드레인모드가 수행되는 동안 히터(220)의 작동이 중단된 채로 온수가 온수 수용체(210)로부터 배출되도록 히터(220) 및 밸브부(15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700)는 온도출수모드가 종료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할 때, 드레인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 온수를 사용할 때마다, 사용자의 온수 사용 이후에는 드레인모드가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장치(700)는 센서(600)에서 측정된 온도가 기 설정된 임계온도 이하가 되면, 드레인모드가 중단되도록 밸브부(15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장치(700)는 기 설정된 체크시간마다 센서(600)에서 측정된 온도와 임계온도를 비교하여, 측정된 온도가 임계온도 이하면 드레인모드를 중단하고, 측정된 온도가 임계온도를 초과하면 측정된 온도가 임계온도 이하가 될 때까지 드레인모드를 계속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임계온도는 일 예로, 25℃ 내지 40℃ 중 어느 하나의 온도값일 수 있고, 체크시간은 일 예로, 2초 내지 5초일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700)는 온수출수모드보다 드레인모드에서 더 많은 유량의 정수가 온수 수용체(210)를 유동하도록 제2 밸브모듈(152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장치(700)는 드레인모드에서 정수가 온수 수용체(210)를 최대 유량으로 유동하도록 제2 밸브모듈(1520)을 완전히 개방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700)는 온수출수모드에 놓이지 않을 때, 기 설정된 드레인주기마다 드레인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장치(700)는 드레인주기마다 기 설정된 수행시간 동안 드레인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장치(700)는 원수에 용해된 고형분인 용해고형분(total dissolved solid, TDS)에 기초하여 드레인주기를 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장치(700)는 TDS가 1500ppm 초과일 때 1회/1일, TDS가 300ppm 초과 1500ppm 이하일 때 1회/2일, TDS가 100ppm 초과 300ppm 이하일 때 1회/3일 및 TDS가 100ppm 이하일 때 1회/1주로 드레인주기를 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700)는 온수 사용량에 기초하여 드레인주기를 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장치(700)는 온수 사용량에 기초하여 드레인주기를 1회/10L로 산정할 때, 7L이상 온수가 사용된 시점으로부터 익일 오전 중에 드레인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다만, 드레인주기의 산정의 기초가 되는 것이 TDS 및 온수 사용량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드레인주기는 원수의 경도, 온수의 온도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산정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제어장치(700)는 TDS, 온수 사용량, 원수의 경도 및 온수의 온도를 조합한 값에 기초하여 드레인주기를 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장치(700)는 온수가 외부로 출수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 설정된 드레인주기마다 기 설정된 수행시간 동안 드레인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드레인주기는 일 예로, 1회/1일 내지 1회/1주(TDS 주기) 또는 1회/2L 내지 1회/10L(사용량 주기)일 수 있고, 제어장치(700)는 TDS 주기 및 사용량 주기 중 먼저 도래한 주기에 기초하여 드레인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DS 주기가 1회/1일이고 사용량 주기가 1회/2L일 때, 2시간동안 온수 사용량이 2L일 경우, 사용량 주기에 기초하여 드레인모드가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예로, TDS 주기가 1회/1일이고 사용량 주기가 1회/2L일 때, 1일동안 온수 사용량이 1L일 경우, TDS 주기에 기초하여 드레인모드가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드레인모드의 수행시간은 일 예로, 1분 내지 3분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어장치(700)는 정수출수모드에 놓이도록 밸브부(150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정수출수모드는 필터부(100)를 통과한 정수가 정수출수유로(430)와 출수부(300)를 순차적으로 거쳐 외부로 출수되는 모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수출수모드가 수행될 때, 제어장치(700)는 제5 밸브모듈(1550)이 정수출수 허용상태에 놓이고, 제1 밸브모듈(1510)이 정수출수상태에 놓이도록 밸브부(15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장치(700)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연산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그 구현 방식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온수 제공 장치(10)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온수 제공 장치(10)는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원수를 필터부(100)를 통해 정수로 여과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정수는 온수 수용체(210)의 유입구(211)로 유입되어 가열되고, 가열된 온수는 온수 수용체(210)의 토출구(212)로 토출될 수 있다. 또한, 온수 수용체(210)에는 이러한 온수가 정체될 수 있다. 이러한 온수의 정체로 인하여 가열장치(200)와 가열장치(200)의 주변에 스케일이 형성될 수 있고, 형성된 스케일은 가열장치(200)에 달라붙거나, 정체된 온수에 섞이거나 녹을 수 있다. 이러한 스케일의 형성 가능성을 낮추기 위해서는 온수 수용체(210)에 정체된 온수의 온도가 낮아지거나, 온수 수용체(210)를 유동하는 물의 유속을 증가시키거나, 주기적으로 드레인모드의 수행이 요구된다. 또한, 형성된 스케일이 섞이거나 녹아있는 정체된 온수의 제거가 필요하다.
온수 수용체(210)에 정체된 온수의 온도를 낮추기 위해, 제어장치(700)는 드레인모드가 수행되는 동안 히터(220)의 작동이 중단된 채로 온수가 온수 수용체(210)로부터 배출되도록 히터(220) 및 밸브부(1500)를 제어할 수 있다(히터 쿨링 제어). 이처럼 드레인모드가 수행되는 동안 히터(220)의 작동이 중단됨에 따라 온수 수용체(210)로부터 배출되는 온수가 온도는 낮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온수 제공 장치(10) 내부에 형성되는 스케일의 발생 가능성이 낮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드레인모드가 수행될 때 온수 수용체(210)를 유동하는 물의 유속을 증가시키기 위해, 제1 밸브모듈(1510)이 제2 밸브모듈(1520)보다 더 큰 유량의 정수의 유동을 허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밸브모듈(1510)을 통하여, 드레인모드에서의 정수의 유속은 온수출수모드에서의 정수의 유속보다 더 빨라질 수 있다. 이러한 제1 밸브모듈(1510)을 통하여 온수 제공 장치(10) 내부에 형성된 스케일은 상대적으로 빠른 유속을 갖는 정수에 의해 효율적으로 제거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주기적인 드레인모드를 수행하기 위해, 제어장치(700)는 온수가 외부로 출수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 설정된 주기마다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드레인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이처럼 온수 제공 장치(10)는 주기적으로 드레인모드가 수행됨에 따라, 스케일이 온수 제공 장치(10) 내부에 축적되어 규모가 커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형성된 스케일이 섞이거나 녹아있는 정체된 온수를 제거하기 위해, 제어장치(700)는 온수 수용체(210)에 정체된 온수가 유입구(211)와 드레인유로(4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제6 밸브모듈(1560)을 개방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700)는 온수 수용체(210)에 정체된 온수가 외부로 모두 배출된 이후에도 정수를 통해 가열장치(200)의 내부가 세척되도록 드레인모드를 계속 수행할 수 있다. 이처럼, 온수 제공 장치(10)는 온수 수용체(210)에 정체된 온수를 제거하고, 더 나아가, 드레인모드일 때의 정수의 유동을 통해 가열장치(200)에 달라붙은 스케일을 효율적으로 제거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Claims (13)

  1. 정수를 가열하여 온수를 제공하는 가열장치;
    상기 정수 및 상기 온수를 외부로 출수하기 위한 출수부;
    상기 정수 및 상기 온수가 유동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유로부;
    상기 유로부 내의 상기 정수 및 상기 온수의 유동을 조절하도록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밸브부; 및
    상기 가열장치 및 상기 밸브부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부는,
    상기 가열장치로부터 제공된 상기 온수가 상기 출수부로 유동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온수출수유로; 및
    상기 온수출수유로로부터 분지되어 외부로 상기 온수를 배출할 수 있는 드레인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온수가 상기 출수부를 거쳐 외부로 출수되는 온수출수모드 및 상기 온수가 상기 출수부를 거치지 않고, 상기 드레인유로를 거쳐 외부로 출수되는 드레인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에 놓이도록 상기 밸브부의 개폐를 제어하고, 상기 드레인모드가 수행되는 동안 상기 가열장치의 작동이 중단된 채로 상기 온수가 상기 가열장치로부터 배출되도록 상기 가열장치 및 상기 밸브부를 제어하는,
    온수 제공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장치의 온도 및 상기 가열장치 내의 온수의 온도 중 하나 이상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온수출수모드가 종료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을 때 상기 드레인모드를 수행하고, 상기 센서에서 측정된 온도가 기 설정된 임계온도 이하가 되면 상기 드레인모드를 중단하도록 상기 밸브부를 제어하는,
    온수 제공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부는 상기 정수가 상기 가열장치로 유동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정수입수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밸브부는 상기 정수입수유로 내의 상기 정수의 유동을 조절하도록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정수유입밸브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온수출수모드보다 상기 드레인모드에서 더 많은 유량의 상기 정수가 상기 가열장치로 유동하도록 상기 정수유입밸브모듈을 제어하는,
    온수 제공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온수출수모드에 놓이지 않을 때 기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드레인모드를 수행하며, 매 주기마다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드레인모드를 수행하는,
    온수 제공 장치.
  5. 정수를 가열하여 온수를 제공하며, 상기 정수가 유입되기 위한 유입구 및 상기 온수가 토출되기 위한 토출구를 포함하는 가열장치;
    상기 정수 및 상기 온수를 외부로 출수하기 위한 출수부;
    상기 정수 및 상기 온수가 유동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유로부; 및
    상기 유로부 내의 상기 정수 및 상기 온수의 유동을 조절하도록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밸브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부는,
    상기 가열장치로부터 제공된 상기 온수가 상기 출수부로 유동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온수출수유로; 및
    상기 유입구를 통하여 상기 가열장치로부터 배출된 온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드레인유로를 포함하는,
    온수 제공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를 통하여 토출된 상기 온수가 상기 출수부를 거쳐 외부로 출수되는 온수출수모드 및 상기 유입구를 통하여 토출된 상기 온수가 상기 드레인유로를 거쳐 외부로 출수되는 드레인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에 놓이도록 상기 밸브부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더 포함하는,
    온수 제공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부는 상기 정수가 상기 온수출수유로로 유동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정수출수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드레인모드에서 상기 정수가 상기 정수출수유로, 상기 가열장치 및 상기 드레인유로를 순차적으로 유동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밸브부를 제어하는,
    온수 제공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온수출수모드가 종료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을 때 상기 드레인모드를 수행하며, 상기 드레인모드가 수행되는 동안 상기 가열장치의 작동이 중단된 채로 상기 온수가 상기 가열장치로부터 배출되도록 상기 가열장치 및 상기 밸브부를 제어하는,
    온수 제공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장치의 온도 및 상기 가열장치 내의 온수의 온도 중 하나 이상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센서에서 측정된 온도가 기 설정된 임계온도 이하가 되면 상기 드레인모드를 중단하도록 상기 밸브부를 제어하는,
    온수 제공 장치.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부는,
    상기 정수가 상기 출수부로 유동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정수출수유로; 및
    상기 정수출수유로와 상기 온수출수유로를 연결하는 중간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부는,
    상기 정수출수유로 및 상기 중간유로 내의 상기 정수의 유동을 조절하도록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제1 밸브모듈을 포함하는,
    온수 제공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부는,
    상기 정수가 상기 가열장치로 유동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정수입수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밸브부는,
    상기 정수입수유로 내의 상기 정수의 유동을 조절하도록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제2 밸브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밸브모듈은 상기 제2 밸브모듈보다 더 큰 유량의 유동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온수 제공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는,
    상기 온수출수유로 내의 상기 온수의 유동을 조절하도록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제3 밸브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3 밸브모듈은 상기 중간유로와 토출구 사이에서 상기 온수출수유로에 배치되는,
    온수 제공 장치.
  13.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는 상기 가열장치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토출구는 상기 유입구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온수 제공 장치.
PCT/KR2022/019303 2021-12-08 2022-11-30 온수 제공 장치 WO2023106725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4906A KR20230086360A (ko) 2021-12-08 2021-12-08 온수 제공 장치
KR1020210174880A KR20230086342A (ko) 2021-12-08 2021-12-08 온수 제공 장치
KR10-2021-0174880 2021-12-08
KR10-2021-0174906 2021-12-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06725A1 true WO2023106725A1 (ko) 2023-06-15

Family

ID=86730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19303 WO2023106725A1 (ko) 2021-12-08 2022-11-30 온수 제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3106725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5559A (ko) * 2016-05-04 2017-1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900359B1 (ko) * 2017-03-15 2018-09-19 (주)헤모크린 혈액투석필터 세척장치
US20190380530A1 (en) * 2018-06-18 2019-12-19 Franke Kaffeemaschinen Ag Hot beverage preparation apparatus comprising a continuous flow heater
KR20200007364A (ko) * 2018-07-13 2020-0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온수 공급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139357B1 (ko) * 2018-09-04 2020-07-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과열 방지 메커니즘을 갖춘 정수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5559A (ko) * 2016-05-04 2017-1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900359B1 (ko) * 2017-03-15 2018-09-19 (주)헤모크린 혈액투석필터 세척장치
US20190380530A1 (en) * 2018-06-18 2019-12-19 Franke Kaffeemaschinen Ag Hot beverage preparation apparatus comprising a continuous flow heater
KR20200007364A (ko) * 2018-07-13 2020-0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온수 공급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139357B1 (ko) * 2018-09-04 2020-07-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과열 방지 메커니즘을 갖춘 정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152666A2 (ko) 식기 세척기
WO2015099245A1 (ko) 자유말단을 가지는 침지형 중공사막 유닛 모듈을 포함하는 카트리지형 중공사 막 모듈과 간헐/연속포기가 가능한 산기장치를 포함하는 침지형 수처리 장치 및 이의 포기 방법
WO2011152667A2 (ko) 식기 세척기 및 그의 제어방법
WO2015163631A1 (ko) 유로가 측면에 형성되는 역삼투막 필터
WO2013002606A2 (en) Filter head, and filter assembly and water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WO2023106725A1 (ko) 온수 제공 장치
WO2022146079A1 (ko) 정수기
WO2020226373A1 (ko) 수처리 설비의 유량 분배 장치
WO2015088259A1 (ko) 침지식 여과 장치
WO2014088212A1 (ko) 수처리장치
EP2393572A1 (en) Water purifying apparatus having cleaning system
WO2010090377A1 (en) Method for cleaning water purifier
WO2018199497A2 (en) Sterilization kit for water treatment apparatus
WO2022265274A1 (ko) 정수기
WO2020105921A1 (ko) 이온 제거키트
WO2021045437A1 (en) Water purifier and filter for the same
WO2022270819A1 (ko) 정수기
WO2021235832A1 (ko) 얼음 정수기
WO2021235822A1 (ko) 정수기
WO2014171589A1 (ko) 원심식 순환 청정기 시스템
WO2012057487A2 (ko) 자동 배설물 처리 장치, 자동 배설물 처리 장치의 공기배출구조, 소비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는 자동 배설물 처리 장치 및 제어 방법
WO2022010283A1 (ko) 정수장치
KR20230086360A (ko) 온수 제공 장치
WO2020184832A1 (ko) 공조유닛이 구비된 수배전설비
WO2019240338A1 (ko) 자동 세정형 열교환기의 운전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90455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