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5750B1 - 직수형 음용수기 밸브장치 - Google Patents

직수형 음용수기 밸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5750B1
KR101445750B1 KR1020140054112A KR20140054112A KR101445750B1 KR 101445750 B1 KR101445750 B1 KR 101445750B1 KR 1020140054112 A KR1020140054112 A KR 1020140054112A KR 20140054112 A KR20140054112 A KR 20140054112A KR 101445750 B1 KR101445750 B1 KR 1014457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unit
lever
child lock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4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명성희
한상건
Original Assignee
명성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명성희 filed Critical 명성희
Priority to KR1020140054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57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5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5750B1/ko
Priority to PCT/KR2014/011117 priority patent/WO2015170810A1/ko
Priority to US15/305,351 priority patent/US10011472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81Dispensing valves
    • B67D1/0082Dispensing valves entirely 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03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 B67D1/0014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the beverage being supplied from water m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25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dispensing valves actuated by the receptacle to be fil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F16K31/0655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using a permanent magnet
    • F16K31/08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using a permanent magnet the magnet being movable and actuating a second magnet connected to the closing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using a permanent magnet
    • F16K31/08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using a permanent magnet the magnet being movable and actuating a second magnet connected to the closing element
    • F16K31/08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using a permanent magnet the magnet being movable and actuating a second magnet connected to the closing element the movement of the first magnet being a rotating or pivoting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3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in which fluid from the circuit is constantly supplied to the fluid motor
    • F16K31/3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in which fluid from the circuit is constantly supplied to the fluid motor in which the fluid works directly on both sides of the fluid motor, one side being connected by means of a restricted passage and the motor being actuated by operating a discharge from that side
    • F16K31/385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in which fluid from the circuit is constantly supplied to the fluid motor in which the fluid works directly on both sides of the fluid motor, one side being connected by means of a restricted passage and the motor being actuated by operating a discharge from that side the fluid acting on a diaphragm
    • F16K31/3855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in which fluid from the circuit is constantly supplied to the fluid motor in which the fluid works directly on both sides of the fluid motor, one side being connected by means of a restricted passage and the motor being actuated by operating a discharge from that side the fluid acting on a diaphragm the discharge being effected through the diaphragm and being blockable by a mechanically-actuated member making contact with the diaphrag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F16K31/602Pivoting levers, e.g. single-si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5/00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 F16K35/02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to be locked or disconnected by means of a pushing or pulling action
    • F16K35/022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to be locked or disconnected by means of a pushing or pulling action the locking mechanism being actuated by a separate actuating element
    • F16K35/025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to be locked or disconnected by means of a pushing or pulling action the locking mechanism being actuated by a separate actuating element said actuating element being operated manually (e.g. a push-button located in the valve actu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05Filters
    • B67D2210/0001Filters for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141Other parts
    • B67D2210/00144Magnets, e.g. used in valves or for stir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 Preventing Unauthorised Actuation Of Valve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수형 음용수기 밸브장치에 관한 것으로, 필터에 의해 정수된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정수된 물이 출수되는 출수구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와 상기 출수구를 연통시키는 유로가 형성된 바디유닛; 상기 바디유닛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유로를 개방하거나 차폐시키는 차폐유닛; 상기 바디유닛의 내부에 구비되며, 일단이 상기 바디유닛의 내부로 삽입되되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레버; 및 상기 바디유닛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레버의 회전에 의해 밀려서 설정 깊이만큼 하향 이동되면 자력에 의해 상기 차폐유닛이 상향 이동되면서 붙어서 상기 유로를 개방시키는 마그네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직수형 음용수기 밸브장치{Direct type water purifier valve device}
본 발명은 직수형 음용수기 밸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도관과 연결되어 원수를 정수하는 정수기에서, 전자식 구동부를 구비하지 않고 자력으로 정수된 물이 유동하는 유로를 개폐할 수 있는 직수형 음용수기 밸브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수 장치는 원수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원수를 필터링하여 사용자가 음용하기 위한 식수로 사용하거나 기타 용도에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정수기가 대표적인 예이다. 특히, 정수기 중에서도 직수형 정수 장치는 장치 내 에 정수수를 저장하는 정수탱크(정수수를 저장하는 탱크)가 없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직수형 정수 장치는 장치 내 정수수를 바로 사용하게 된다. 보통 직수형 정수장치는 싱크대 또는 음수대에 설치되며, 원수 유입관은 상수도 공급관에 연결되고, 필터링되어 정수수가 배출되는 정수수 배출관은 출수밸브에 직접 연결된다.
정수탱크가 있는 정수기의 경우, 정수된 물을 1차로 집수하여 기계식 밸브나 전자식 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하여 출수시키는데, 이러한 정수기는 내부 제품 내부 관로의 압력이 낮아 기계식 밸브 또는 직동식 솔레노이드 밸브를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직수형 정수기의 경우, 공급되는 원수의 압력이 2 내지 8kgf/㎠의 높은 압력을 갖고 이러한 높은 압력을 이용하여 필터에 원수를 공급한 후 정수한 상태로 저장탱크 없이 출수하기 때문에 구스넥(gooseneck) 또는 전자식 고압 솔레노이드 밸브를 사용한다.
그런데 구스넥은 설치 장소에 제한되는 요소가 많은 문제점이 있고, 전자식 고압 솔레노이드 밸브는 전원이 필수적으로 필요하기 때문에 정수기의 구조가 복잡해지는 경우가 많으며,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콘센트가 정수기의 주변에 있기 때문에 정수기에서 출수되는 물과 닿으면서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10-13172615호
본 발명은 수도관과 연결되어 원수를 정수하는 정수기에서, 전자식 구동부를 구비하지 않고 자력으로 정수된 물이 유동하는 유로를 개폐할 수 있는 직수형 음용수기 밸브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직수형 음용수기 밸브장치에 있어서, 필터에 의해 정수된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정수된 물이 출수되는 출수구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와 상기 출수구를 연통시키는 유로가 형성된 바디유닛; 상기 바디유닛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유로를 개방하거나 차폐시키는 차폐유닛; 상기 바디유닛의 내부에 구비되며, 일단이 상기 바디유닛의 내부로 삽입되되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레버; 및 상기 바디유닛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레버의 회전에 의해 밀려서 설정 깊이만큼 하향 이동되면 자력에 의해 상기 차폐유닛이 상향 이동되면서 붙어서 상기 유로를 개방시키는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직수형 음용수기 밸브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직수형 음용수기 밸브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전기적인 구동장치를 구비하지 않고 자성을 이용하여 유로를 개폐할 수 있기 때문에 밸브의 구조가 단순해지며,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마그네트의 자성이 약해지면 밸브 전체를 교환할 필요 없이 마그네트만 교환하면 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유지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갖는다.
둘째, 차일드 락 유닛을 구비함으로써, 정수기에서 뜨거운 물이 쉽게 출수되는 것을 방지하여 정수기에서 출수되는 뜨거운 물에 의한 사용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수형 음용수기 밸브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직수형 음용수기 밸브장치의 작동 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직수형 음용수기 밸브장치의 작동구조가 도시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 및 도 4에 따른 직수형 음용수기 밸브장치의 작동 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직수형 음용수기 밸브장치에 대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 앞서, 상기 직수형 음용수기는 예시적으로 직수형 정수기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수형 음용수기 밸브장치(100)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직수형 음용수기 밸브장치(100)는, 바디유닛(110, 120), 차폐유닛(140) 및 마그네트 유닛(150)을 포함한다. 상기 바디유닛(110, 120)은 필터(미도시)에 의해 정수된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111)와, 상기 정수된 물이 출수(배출)되는 출수구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와 상기 출수구를 연통시키는 유로가 형성된다. 상기 바디유닛(110, 12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바디유닛(110, 120)은 하부바디(110) 및 상부바디(120)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바디(110)는 상기 유입구(111) 및 상기 출수구(11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입구(111)와 상기 출수구(113) 사이에 상기 유입구(111)로 유입된 상기 정수된 물이 상기 출수구(113)로 출수될 수 있도록 유동될 수 있는 상기 유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바디(110)에는 후술될 상기 차폐유닛(140)이 구비되며, 상기 차폐유닛(140)에 의해 상기 유로가 개방되거나 차폐된다. 이에 대해서는 상기 차폐유닛(140)에 대해 설명할 때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상부바디(120)는 상기 하부바디(110)에 체결부재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상부바디(120)의 일측에는 레버(130)가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상기 레버(130)에 의한 조작에 의해 상기 정수된 물이 출수될 수 있도록 상기 유로가 개방된다. 상기 상부바디(120)의 내부에는 후술될 상기 마그네트 유닛(150)이 구비된다.
상기 차폐유닛(140)은 상기 바디유닛(110, 12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유로를 개방하거나 차폐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평상시에는 상기 유로(113)를 차폐하고 있다가 상기 마그네트 유닛(150)과의 유기적인 작동 구조에 의해 상기 유로를 개방한다. 이에 대해서는 상기 밸브장치(100)의 작동 구조를 통해 후술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차폐유닛(140)은 다이아프램(141), 플런저(142) 및 제1 탄성부재(143)를 포함한다. 상기 다이아프램(141)은 상기 하부바디(110)의 내부에 구비되어 평상시에는 상기 유로를 차폐하고 있다가 상향 이동되면서 상기 유로를 개방한다. 상기 플런저(142)는 상기 다이아프램(141)의 상측에 구비되되, 상기 다이아프램(141)과 결합된다. 상기 플런저(142)는 후술될 상기 마그네트 유닛(150)의 자력에 의해 상기 마그네트 유닛(150)과 붙어서 상기 다이아프램(141)을 상향 이동시키게 한다. 따라서 상기 플런저(142)는 상기 마그네트 유닛(150)의 자력에 의해 상기 마그네트 유닛(150)과 용이하게 붙을 수 있도록 금속 물질을 포함한다. 상기 플런저(142)의 상측 일부는 상기 상부바디(120)에 관통 삽입된 상태로 결합된다.
상기 제1 탄성부재(143)는 예시적으로 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부재(143)는 상기 플런저(142)의 상측에 결합된다. 상기 다이아프램(141)은 평상시에 상기 제1 탄성부재(143)의 인장력에 의해서 상기 유로(113)를 차폐하는 상태로 구비된다. 그러나 상기 레버(130)에 의해 상기 마그네트 유닛(150)이 하향 이동되면 자성에 의해 상기 플런저(142)가 상향 이동되어 상기 마그네트 유닛(150)에 붙을 수 있도록 상기 제1 탄성부재(143)가 압축된다.
상기 마그네트 유닛(150)은 상기 바디유닛(110, 120)의 내부에 구비되는데, 특히 상기 상부바디(120)에 구비된다. 상기 마그네트 유닛(150)은 상기 바디유닛(110)에 결합된 상기 레버(130)의 일단과 접촉되어 있어 상기 레버(13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레버(130)의 일단이 상기 마그네트 유닛(150)을 눌러 상기 마그네트 유닛(150)을 하향 이동시키면 자력에 의해 상기 차폐유닛(140)이 들어 올려저서 상기 유로를 개방한다. 상기 마그네트 유닛(150)은 마그네트(153), 마그네트 케이스(151, 152) 및 제2 탄성부재(154)를 포함한다. 상기 마그네트(153)는 자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플런저(142)를 상향으로 들어 올려 상기 플런저(142)가 상기 마그네트(153)에 붙게 된다. 상기 마그네트(153)는 상기 마그네트 케이스(151, 152)에 내장된 채로 상기 상부바디(120)에 구비된다. 상기 마그네트 케이스(151, 152)는 하부 마그네트 케이스(151)와 상부 마그네트 케이스(152)를 포함한다.
상기 마그네트(153)는 상기 하부 마그네트 케이스(151)에 구비되고, 상기 상부 마그네트 케이스(152)는 상기 하부 마그네트 케이스(15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마그네트(153)를 보호한다. 상기 상부 마그네트 케이스(152)의 일측은 개구되어 있어 상기 바디유닛(110, 120)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상기 레버(130)의 일단이 상기 상부 마그네트 케이스(152)의 개구된 부분을 통해 상기 마그네트 케이스(151, 152)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마그네트(153)와 접촉되어 있다. 상기 하부 마그네트 케이스(151)의 하부에는 상기 플런저(142)가 삽입될 수 있는 홀(152a)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마그네트 유닛(150)이 상기 레버(130)에 의해 하향 이동될 때 상기 제1 탄성부재(153)가 압축되면서 상기 플런저(142)의 상부가 상기 홀(152a)로 삽입된다.
상기 마그네트(153)는 예시적으로 알리코자석, 훼라이트 자석, 희토류 자석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알리코자석과 훼라이트 자석은 이방성과 등방성으로 나뉘어지고, 희토류 자석은 네오디움 자석과 사마리움코발트 자석으로 나뉘어진다. 이 외에도 상기 알리코, 훼라이트, 네오디움, 사마리움코발트를 분쇄하고 수지와 혼합하여 사출 성형하는 본드자석, 상기 알리코, 훼라이트, 네오디움, 사마리움코발트를 분쇄하고 고무와 혼합하여 만든 고무자석이 이용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탄성부재(154)는 상기 마그네트 케이스(151, 152) 하부 외주면에 결합된다. 상기 마그네트 유닛(150)은 상기 제2 탄성부재(154)의 인장력에 의해 자력이 약해져 상기 플런저(142)가 상기 마그네트(153)와 접촉되지 않는 높이까지 상향되어 지지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탄성부재(154)의 압축력에 의해서 상기 레버(13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마그네트(153) 및 상기 마그네트 케이스(151, 152)가 상기 플런저(142)가 상기 마그네트(153)와 접촉될 수 있는 높이까지 하향 이동된다. 상기 레버(130)가 초기 위치로 돌아오면 상기 제2 탄성부재(154)의 복원력(인장력)에 의해 상기 마그네트(153) 및 상기 마그네트 케이스(151, 152)는 상향 이동하여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한편, 상기 직수형 음용수기 밸브장치(100)는 상기 상부바디(120)의 상측에 수직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푸시버튼(16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직수형 음용수기 밸브장치(100)는 상기 레버(130)에 의해서만 상기 정수된 물을 출수하는 것은 아니라, 상기 푸시버튼(160)에 의해서도 상기 정수된 물을 출수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푸시버튼(160)은 수직 방향으로 왕복 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바디(120)의 상측에 결합되어 있는데, 상기 푸시버튼(160)의 하단은 상기 마그네트 케이스 중 상기 상부 마그네트 케이스(152)의 상단과 접촉왼다.
사용자가 상기 푸시버튼(160)을 하향 이동되는 방향으로 누르게 되면 상기 푸시버튼(160)의 하단과 접촉되어 있는 상기 마그네트 케이스(151, 152)가 하향 이동된다. 이때, 상기 마그네트 케이스(151, 152)에 내장된 상기 마그네트(153)도 함께 하향 이동되면서 설정된 깊이만큼 하향 이동되면 상기 플런저(143)가 상기 마그네트(153)의 자력에 의해 상기 마그네트(153) 측으로 상향 이동하여 상기 마그네트(153)에 붙게 된다. 상기 플런저(143)와 결합된 상기 다이아프램(141)도 상기 플런저(143)와 함께 연동하여 상향 이동되면서 상기 유로(113)를 개방하여 상기 정수된 물이 출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직수형 음용수기 밸브장치(100)의 작동 구조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상기 직수형 음용수기 밸브장치(100)의 상기 레버(130)를 밀면 상기 레버(130)의 일단, 상기 마그네트 유닛(130)의 상기 마그네트(153)와 접촉되어 있는 일단에 의해 상기 제2 탄성부재(154)가 압축되면서 상기 마그네트(153)가 내장된 상기 마그네트 케이스(151, 152)가 하향 이동된다. 상기 마그네트(153)가 내장된 상기 마그네트 케이스(151, 152)가 설정 깊이만큼 하향 이동되면 상기 유로를 차폐하고 있는 상기 차폐유닛(140)의 상기 플런저(143)가 상기 마그네트(153)의 자력에 의해 상향 이동되어 상기 마그네트(153)에 붙게 된다.
상기 플런저(143)가 상향 이동하여 상기 마그네트(153)에 붙게되면 상기 플런저(143)와 결합된 상기 다이아프램(141)도 상향 이동되면서 상기 차폐유닛(140)이 차폐하고 있던 상기 유로가 개방되어 상기 정수된 물이 상기 하부바디(110)의 상기 출수구(113)를 통해 출수된다.
사용자는 상기 정수된 물을 원하는 만큼 출수한 다음 상기 레버(130)를 놓으면, 상기 레버(130)가 회전하면서 상기 마그네트(153)와 접해있는 상기 레버(130)의 일단이 초기 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상기 마그네트(153)가 내장된 상기 마그네트 케이스(151, 152)는 상기 제2 탄성부재(154)의 복원력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귀하며, 상기 플런저(142)는 상기 제1 탄성부재(143)의 복원력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귀하면서 상기 유로는 다시 차폐된다.
한편, 상기 직수형 음용수기 밸브장치(100)는 상기 레버(130)외에도 상기 푸시 버튼(160)을 이용하여 상기 정수된 물을 출수할 수도 있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푸시 버튼(160)을 누르면 상기 푸시 버튼(160)의 하단에 접해지는 상기 마그네트 케이스(151, 152)가 하향 이동된다. 상기 마그네트 케이스(151, 152)가 설정 깊이까지 하향 이동되면 상기 레버(130)를 이용할 때와 마찬가지로 상기 마그네트(153)의 자력에 의해 상기 플런저(142)가 상향 이동되어 상기 마그네트(153)와 접촉하고, 이때 상기 다이아프램(141)이 함께 상향 이동되면서 상기 유로가 개방된다.
사용자는 상기 정수된 물을 원하는 만큼 출수한 다음에는 상기 푸시 버튼(160)을 누르고 있던 힘을 제거하는 것만으로 상기 밸브장치(100)가 상기 레버(130)에 의해 개방되었다가 차폐되는 것과 같은 구조로 차폐된다.
도 3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직수형 음용수기 밸브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직수형 음용수기 밸브장치(100`)는 전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직수형 음용수기 밸브장치(100)와 대부분의 구성이 동일하다. 다만, 상기 직수형 음용수기 밸브장치(100`)에서는 일 실시예에서의 상기 푸시버튼(160)이 생략되고, 차일드 락 유닛(160`)이 더 포함되며, 상기 차일드 락 유닛(160`)이 더 포함되면서 상기 레버(130`)의 구성이 변경된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전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직수형 음용수기 밸브장치(100)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이 있는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직수형 음용수기 밸브장치(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차일드 락 유닛(16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차일드 락 유닛(160`)은 상기 바디유닛(110, 120)의 상부 특히, 상기 상부바디(12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레버(130`)의 조작만으로 뜨거운 정수된 물이 출수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뜨거운 정수된 물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한다. 예를 들어, 어린이들이 잘못된 조작으로 뜨거운 정수된 물에 화상 사고를 입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차일드 락 유닛(160`)은 차일드 락 버튼(161`) 및 버튼 덮개(163`)를 포함한다. 상기 차일드 락 버튼(161`)은 상기 상부바디(120)의 상측에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다. 상기 차일드 락 버튼(161`)의 일단은 사용자가 상기 차일드 락 버튼(161`)을 누를 수 있도록 상기 상부바디(120)에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차일드 락 버튼(161`)의 일단 내부에는 제3 탄성부재(162`)가 구비되어 있어 사용자가 상기 차일드 락 버튼(161`)의 일단을 누르면 압축되어 상기 차일드 락 버튼(161`)을 이동시키고, 사용자가 상기 차일드 락 버튼(161`)에서 손을 떼면 상기 제3 탄성부재(162`)의 복원력(인장력)에 의해 상기 차일드 락 버튼(161`)이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상기 버튼 덮개(163`)는 상기 차일드 락 버튼(161`)의 타단과 접해있으며, 회전 가능하게 상기 상부바디(120)의 상측에 힌지 결합된다. 상기 버튼 덮개(163`)는 사용자가 상기 차일드 락 버튼(161`)을 누르면 상기 차일드 락 버튼(161`)이 미는 힘에 의해 회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튼 덮개(163`)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버튼 덮개(163`)의 하부에는 걸림홈(163`a)과 회전 가이드부(163`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홈(163`a)은 상기 레버(130`)에 형성된 걸림돌기(131`)가 걸림되어 상기 레버(130`)가 상기 차일드 락 유닛(160`)의 해제 없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회전 가이드부(163`b)는 상기 차일드 락 유닛(160`)이 해제되면 상기 걸림돌기(131`)가 상기 걸림홈(163`a)으로부터 걸림 해제된 상기 걸림돌기(131`)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레버(130`)는 전술한 일 실시예와 거의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돌기(131`)가 더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돌기(131`)가 상기 차일드 락 유닛(160`)의 상기 버튼 덮개(163`)에 형성된 상기 걸림홈(163`a)에 걸림되어 있음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레버(130`)를 눌러도 회전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레버(130`)은 사용자가 상기 차일드 락 버튼(161`)을 눌러 상기 버튼 덮개(163`)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걸림돌기(131`)가 상기 걸림홈(163`a)으로부터 걸림 해제 되어야만 상기 걸림돌기(131`)가 상기 회전 가이드부(163`b)를 따라 안내되면서 회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직수형 음용수기 밸브장치(100`)의 작동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보면, 사용자는 상기 밸브장치(100`)에서 상기 정수된 물을 출수하기 위해서 먼저 상기 차일드 락 유닛(160`)의 상기 차일드 락 버튼(161`)을 밀어 누른다. 상기 차일드 락 버튼(161`)을 누르면 상기 차일드 락 버튼(161`)의 타단에 접해있는 상기 버튼 덮개(163`)가 밀리면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버튼 덮개(163`)가 회전하면 상기 버튼 덮개(163`)의 하부에 형성된 걸림홈(163`a)에 걸림되어 있던 상기 레버(130`)의 상기 걸림돌기(131`)가 상기 걸림홈(163`a)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레버(130`)는 사용자에 의해 밀릴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사용자는 상기 차일드 락 버튼(161`)을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레버(130`)를 미는 방향으로 누르면 상기 걸림돌기(131`)가 상기 버튼덮개(163`)의 회전 가이드(163`b)를 따라 회전된다. 상기 레버(130`)가 회전되면 이후의 작동 과정은 전술한 일 실시예에서와 동일하게 이루어져 상기 유로를 개방하거나 차폐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100`: 직수형 음용수기 밸브장치
110: 하부바디 120: 상부바디
130, 130`: 레버 140: 차폐유닛
141: 다이아프램 142: 플런저
143: 제1 탄성부재 150: 마그네트 유닛
151: 하부 마그네트 케이스 152: 상부 마그네트 케이스
153: 마그네트 154: 제2 탄성부재
160: 푸시버튼 160`: 차일드 락 유닛
161`: 차일드 락 버튼 163`: 버튼 덮개
163`a: 걸림홈 163`b: 회전 가이드
131`: 걸림돌기

Claims (8)

  1. 직수형 음용수기 밸브장치에 있어서,
    일측에 필터에 의해 정수된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정수된 물이 출수되는 출수구가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유입수와 상기 출수구를 연통시키는 유로가 형성된 하부바디와, 상기 하부바디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바디로 이루어지는 바디유닛;
    상기 바디유닛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유로를 개방하거나 차폐시키는 차폐유닛;
    상기 바디유닛의 내부에 구비되며, 일단이 상기 상부바디의 내부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레버; 및
    상기 바디유닛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레버의 회전에 의해 밀려서 설정 깊이만큼 하향 이동되면 자력에 의해 상기 차폐유닛이 상향 이동되면서 붙어서 상기 유로를 개방시키는 마그네트를 포함하며,
    상기 차폐유닛은,
    상기 유로를 개폐 가능하도록 상기 하부바디 내부에 결합되는 다이아프램;
    상기 다이아프램 상측에 결합되며, 상부가 상기 상부바디에 관통 삽입되는 플런저; 및
    상기 플런저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플런저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힘을 제공하는 제1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직수형 음용수기 밸브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바디에 구비되어 하부에 상기 플런저의 상부가 삽입되는 홀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마그네트가 내장되는 마그네트 케이스; 및
    상기 마그네트 케이스의 하부 외주면에 결합되며, 하향 이동된 상기 마그네트 및 상기 마그네트 케이스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힘을 제공하는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직수형 음용수기 밸브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상부바디의 상측에 일부 삽입되되, 하단이 상기 마그네트 케이스의 상단과 접촉되어 있어 상기 마그네트 유닛을 하향 이동시키는 힘을 제공하는 푸시 버튼을 더 포함하는 직수형 음용수기 밸브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디유닛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레버의 회전을 잠금시키는 차일드 락 유닛을 더 포함하는 직수형 음용수기 밸브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차일드 락 유닛은,
    일측은 상기 상부바디의 내부로 삽입되고, 타측을 상기 상부바디의 외부로 돌출되외 수평 이동하는 차일드 락 버튼;
    상기 차일드 락 버튼의 상기 일측과 접촉되되, 상기 상부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버튼 덮개; 및
    상기 차일드 락 버튼의 타측 내부에 구비되어, 수평 이동되는 상기 차일드 락 버튼을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제3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직수형 음용수기 밸브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일측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버튼 덮개의 하부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걸림 고정되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걸림 고정이 해제되면 상기 레버가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걸림돌기가 안내되는 회전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직수형 음용수기 밸브장치.
KR1020140054112A 2014-05-07 2014-05-07 직수형 음용수기 밸브장치 KR101445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4112A KR101445750B1 (ko) 2014-05-07 2014-05-07 직수형 음용수기 밸브장치
PCT/KR2014/011117 WO2015170810A1 (ko) 2014-05-07 2014-11-19 직수형 음용수기 밸브장치
US15/305,351 US10011472B2 (en) 2014-05-07 2014-11-19 Valve device of direct watering type drinking water dispens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4112A KR101445750B1 (ko) 2014-05-07 2014-05-07 직수형 음용수기 밸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5750B1 true KR101445750B1 (ko) 2014-11-04

Family

ID=52288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4112A KR101445750B1 (ko) 2014-05-07 2014-05-07 직수형 음용수기 밸브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011472B2 (ko)
KR (1) KR101445750B1 (ko)
WO (1) WO2015170810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9625B1 (ko) * 2014-12-22 2016-01-28 주식회사 에이치비테크 마그네틱 밸브를 이용한 직수형 정수기 및 냉온수기용 코크
CN112741495A (zh) * 2021-01-06 2021-05-04 江西省兰博名家科技咨询服务有限公司 一种防儿童烫伤饮水机
KR200496650Y1 (ko) * 2023-01-04 2023-03-27 주식회사 하이필 자석을 이용한 급수기용 출수 밸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LU101208B1 (en) * 2019-04-26 2020-10-26 Luxembourg Patent Co Lever valve with securing hook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08028A (ja) * 1995-07-26 1999-07-13 サムソ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冷蔵庫の水分配器
KR19990038968U (ko) * 1998-04-01 1999-11-05 정명숙 수도 직결형 소형 정수기
KR101303923B1 (ko) * 2012-06-04 2013-09-05 주식회사 영원코퍼레이션 냉온수기 및 정수기용 터치 세이프티 코크 밸브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52936A (en) * 1954-01-25 1956-07-03 Crane Co Float supply valves
KR100197690B1 (ko) 1995-07-26 1999-06-15 윤종용 냉장고의 물분배기
US6607174B2 (en) * 2001-10-17 2003-08-19 Dema Engineering Company Dispensing apparatus with in-line actuator
KR100559480B1 (ko) 2003-12-22 2006-03-10 홍춘강 일정량 액체 배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08028A (ja) * 1995-07-26 1999-07-13 サムソ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冷蔵庫の水分配器
KR19990038968U (ko) * 1998-04-01 1999-11-05 정명숙 수도 직결형 소형 정수기
KR101303923B1 (ko) * 2012-06-04 2013-09-05 주식회사 영원코퍼레이션 냉온수기 및 정수기용 터치 세이프티 코크 밸브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9625B1 (ko) * 2014-12-22 2016-01-28 주식회사 에이치비테크 마그네틱 밸브를 이용한 직수형 정수기 및 냉온수기용 코크
CN112741495A (zh) * 2021-01-06 2021-05-04 江西省兰博名家科技咨询服务有限公司 一种防儿童烫伤饮水机
CN112741495B (zh) * 2021-01-06 2022-12-30 广州市银志营销策划有限公司 一种防儿童烫伤饮水机
KR200496650Y1 (ko) * 2023-01-04 2023-03-27 주식회사 하이필 자석을 이용한 급수기용 출수 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011472B2 (en) 2018-07-03
WO2015170810A1 (ko) 2015-11-12
US20170043993A1 (en) 2017-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5750B1 (ko) 직수형 음용수기 밸브장치
RU2011134081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вода клапана, емкость для жидкости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обработки жидкост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жидкости и применение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обработки жидкости
US20230398476A1 (en) Gravity-fed filter interconnect utilizing coded polymagnets
CN105318038B (zh) 手动开闭阀
KR20150075214A (ko) 정수기의 레버 장치
KR102189170B1 (ko) 커버부재 연동 안전 수처리장치
KR20160056222A (ko) 필터 교체 의도를 감지하는 직수형 정수기
KR20220151141A (ko) 사용자 의도를 인지하여 자동 원수 차단 기능을 가지는 직수형 정수기
KR100739021B1 (ko)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825936B1 (ko) 콕크
CN103968137B (zh) 净水器用安全旋塞阀
KR101480993B1 (ko) 정수기 필터용 헤드 조립체
KR101732503B1 (ko) 직수형 정수기
KR102365494B1 (ko) 도어 개폐시 연동되는 유로개폐용 밸브를 구비하는 정수기
KR20160000190A (ko) 다이아프램형 밸브를 구비하는 정수기
KR20160037712A (ko) 정수필터 분리용 가압부가 구비되는 정수기
KR200399072Y1 (ko) 유로의 바이패스 기능을 구비한 정수필터용 커넥터
CN201568620U (zh) 伸缩式水龙头
KR101721677B1 (ko) 2중 필터 교체 모드의 직수형 정수기
KR20160036367A (ko) 직수형 정수기
CN214119000U (zh) 一种角阀
KR101104344B1 (ko) 음용수 공급장치용 안전취수 밸브
KR200192318Y1 (ko) 물연수화 기능이 구비된 샤워기
KR20160041489A (ko) 유로 전환용 밸브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
JP7318448B2 (ja) 自動水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