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650Y1 - 자석을 이용한 급수기용 출수 밸브 - Google Patents

자석을 이용한 급수기용 출수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6650Y1
KR200496650Y1 KR2020230000017U KR20230000017U KR200496650Y1 KR 200496650 Y1 KR200496650 Y1 KR 200496650Y1 KR 2020230000017 U KR2020230000017 U KR 2020230000017U KR 20230000017 U KR20230000017 U KR 20230000017U KR 200496650 Y1 KR200496650 Y1 KR 2004966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opening
moving body
module
magnetic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300000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상오
서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필
Priority to KR20202300000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6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6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65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77Flow contro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01Details of beverage containers, e.g. casks, ke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2001/0093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05Filters
    • B67D2210/0001Filters for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47Pi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141Other parts
    • B67D2210/00144Magnets, e.g. used in valves or for stirring

Landscapes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하면, 내부에 유로를 제공하는 유로 모듈; 상기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 모듈; 및 상기 밸브 모듈의 작동을 조절하는 노브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유로 모듈은 물이 유입되는 유입 통로와 물이 배출되는 출수 통로를 연통시키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밸브 작용부를 구비하며, 상기 밸브 모듈은 밸브 이동체와, 상기 노브 모듈의 조작에 의해 상기 밸브 이동체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이동 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밸브 이동체는 상기 개구부와 접촉하여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거나 상기 개구부로부터 이격되어서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도록 상기 개구부에 대해 이동하며, 상기 이동 유닛은 상기 밸브 이동체와 인력의 자기력으로 상호작용하는 자력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자력 부재는 상기 노브 모듈의 조작에 의해 상기 밸브 이동체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이동 구간 내에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자력 부재가 상기 밸브 이동체와 가장 멀리 위치하는 상태에서는 상기 밸브 이동체가 상기 자기력에 의한 이동이 없이 상기 개구부와 접촉하며, 상기 자력 부재가 상기 밸브 이동체와 가장 가깝게 위치하는 상태에서는 상기 밸브 이동체가 상기 자기력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개구부로부터 이격되는 급수기용 출수 밸브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자석을 이용한 급수기용 출수 밸브 {WATER OUTLET VALVE USING MAGNET FOR WATER SUPPLIER}
본 고안은 본 정수기 또는 냉온수기와 같은 급수기에 사용되는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급수기에서 물을 배출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급수기용 출수 밸브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과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등록특허 제10-1589625호에는 마그네틱 밸브를 이용한 직수형 정수기 및 냉온수기용 코크가 개시되어 있다. 등록특허 제10-1589625호에서는, 레버의 작동에 따라 상하 이동하는 주동형 자성체와, 주동형 자성체에 인접한 상태에서 주동형 자성체가 상승함에 따라 함께 상승하는 종동형 자성체의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구성은 종동형 자성체의 상승에 의해 밸브체의 센터홀이 개방되어서 발생하는 압력차에 의해 다이아프램이 상승하여 유로가 개방되는 구조이다. 하지만, 이러한 구조는 종동형 자성체의 이동과 다이아프램의 변형 사이에 시간적으로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신속한 개폐 조절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 제10-1589625호 (2016.01.28)
본 고안의 목적은 개폐 조절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자석을 이용한 급수기용 출수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유로를 제공하는 유로 모듈; 상기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 모듈; 및 상기 밸브 모듈의 작동을 조절하는 노브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유로 모듈은 물이 유입되는 유입 통로와 물이 배출되는 출수 통로를 연통시키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밸브 작용부를 구비하며, 상기 밸브 모듈은 밸브 이동체와, 상기 노브 모듈의 조작에 의해 상기 밸브 이동체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이동 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밸브 이동체는 상기 개구부와 접촉하여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거나 상기 개구부로부터 이격되어서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도록 상기 개구부에 대해 이동하며, 상기 이동 유닛은 상기 밸브 이동체와 인력의 자기력으로 상호작용하는 자력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자력 부재는 상기 노브 모듈의 조작에 의해 상기 밸브 이동체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이동 구간 내에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자력 부재가 상기 밸브 이동체와 가장 멀리 위치하는 상태에서는 상기 밸브 이동체가 상기 자기력에 의한 이동이 없이 상기 개구부와 접촉하며, 상기 자력 부재가 상기 밸브 이동체와 가장 가깝게 위치하는 상태에서는 상기 밸브 이동체가 상기 자기력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개구부로부터 이격되는 급수기용 출수 밸브가 제공된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유로를 제공하는 유로 모듈; 상기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 모듈; 및 상기 밸브 모듈의 작동을 조절하는 노브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유로 모듈은 물이 유입되는 제1 유입 통로와 물이 배출되는 출수 통로를 연통시키는 제1 개구부가 형성되는 제1 밸브 작용부와, 물이 유입되는 제2 유입 통로와 상기 출수 통로를 연통시키는 제2 개구부가 형성되는 제2 밸브 작용부를 구비하며, 상기 밸브 모듈은 제1 밸브 이동체와, 상기 노브 모듈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1 밸브 이동체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제1 이동 유닛과, 제2 밸브 이동체와, 상기 노브 모듈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2 밸브 이동체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제2 이동 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밸브 이동체는 상기 제1 개구부와 접촉하여 상기 제1 개구부를 폐쇄하거나 상기 제1 개구부로부터 이격되어서 상기 제1 개구부를 개방하도록 상기 제1 개구부에 대해 이동하며, 상기 제1 이동 유닛은 상기 제1 밸브 이동체와 인력의 제1 자기력으로 상호작용하는 제1 자력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자력 부재는 상기 노브 모듈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1 밸브 이동체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제1 이동 구간 내에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1 자력 부재가 상기 제1 밸브 이동체와 가장 멀리 위치하는 상태에서는 상기 제1 밸브 이동체가 상기 제1 자기력에 의한 이동이 없이 상기 제1 개구부와 접촉하며, 상기 제1 자력 부재가 상기 제1 밸브 이동체와 가장 가깝게 위치하는 상태에서는 상기 제1 밸브 이동체가 상기 제1 자기력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제1 개구부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제2 밸브 이동체는 상기 제2 개구부와 접촉하여 상기 제2 개구부를 폐쇄하거나 상기 제2 개구부로부터 이격되어서 상기 제2 개구부를 개방하도록 상기 제2 개구부에 대해 이동하며, 상기 제2 이동 유닛은 상기 제2 밸브 이동체와 인력의 제2 자기력으로 상호작용하는 제2 자력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자력 부재는 상기 노브 모듈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2 밸브 이동체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제2 이동 구간 내에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2 자력 부재가 상기 제2 밸브 이동체와 가장 멀리 위치하는 상태에서는 상기 제2 밸브 이동체가 상기 제2 자기력에 의한 이동이 없이 상기 제2 개구부와 접촉하며, 상기 제2 자력 부재가 상기 제2 밸브 이동체와 가장 가깝게 위치하는 상태에서는 상기 제2 밸브 이동체가 상기 제2 자기력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제2 개구부로부터 이격되는 급수기용 출수 밸브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앞서서 기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모두 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에 따른 급수기용 출수 밸브는 자석의 인력에 의해 이동하는 자성체가 직접 유로를 개폐하므로, 밸브의 개폐 조절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기용 출수 밸브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급수기용 출수 밸브의 평면도로서, 일부를 단면으로 도시하여 내부가 보이도록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급수기용 출수 밸브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급수기용 출수 밸브의 유로 모듈과 밸브 모듈의 조립체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조립체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조립체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조립체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급수용 출수 밸브의 제1 출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급수용 출수 밸브의 제2 출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도 2 및 도 3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기용 출수 밸브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기용 출수 밸브(100)은, 유로를 제공하는 유로 모듈(110)과, 유로 모듈(110)에 결합되는 밸브 모듈(130)과, 밸브 모듈(130)에 결합되는 노브 모듈(170)을 포함한다. 여기서, 급수기는 정수기 또는 냉온수기와 같이 필요에 따라 물을 배출하는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
유로 모듈(110)은 급수기용 출수 밸브(100)에 의해 출수가 제어되는 물의 유로를 제공한다. 유로 모듈(110)의 상부에는 밸브 모듈(130)이 분리 가능하게 나사 결합된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유로 모듈(110)은 제1 밸브 작용부(112a)와, 제2 밸브 작용부(112b)와, 제1 밸브 작용부(112a)와 연결되는 제1 유입관(120a)과, 제2 밸브 작용부(112b)와 연결되는 제2 유입관(120b)과, 출수관(122)과, 출수관(122)과 제1 밸브 작용부(112a)를 연결하는 제1 연결관(125a)과, 출수관(122)과 제2 밸브 작용부(112b)를 연결하는 제2 연결관(125b)을 구비한다.
제1 밸브 작용부(112a)는 제1 유입관(120a) 및 제1 연결관(125a)과 각각 연결된다. 제1 밸브 작용부(112a)는 내부에 형성되는 제1 밸브 작용 공간(113a)을 제공한다. 유로 밸브(110)와 밸브 모듈(130)이 분리된 상태에서 개방되는 제1 밸브 작용 공간(113a)의 상단은, 유로 밸브(110)와 밸브 모듈(130)이 결합된 상태에서 밸브 모듈(130)에 의해 폐쇄된다. 제1 밸브 작용부(112a)는 제1 밸브 작용 공간(113a)의 바닥으로부터 위로 연장되어서 형성되는 제1 개폐관(115a)을 구비한다. 제1 개폐관(115a)은 내부에 상하로 연장되는 제1 개폐 통로(116a)를 형성한다. 제1 개폐 통로(116a)의 상단과 하단은 각각 개방되어서, 제1 상단 개구부(117a)와 제1 하단 개구부(118a)를 형성한다. 제1 상단 개구부(117a)는 밸브 모듈(130)의 작용에 의해 개폐된다. 제1 밸브 작용부(112a)의 상단에는 제1 밸브 작용 공간(113a)을 바깥에서 에웠싸는 고리형의 제1 삽입 홈(119a)이 형성된다.
제2 밸브 작용부(112b)는 제2 유입관(120b) 및 제2 연결관(125b)과 각각 연결된다. 제2 밸브 작용부(112b)는 제1 밸브 작용부(112a)의 측면에 이격되어서 위치한다. 제2 밸브 작용부(112b)는 내부에 형성되는 제2 밸브 작용 공간(113b)을 제공한다. 유로 밸브(110)와 밸브 모듈(130)이 분리된 상태에서 개방되는 제2 밸브 작용 공간(113b)의 상단은, 유로 밸브(110)와 밸브 모듈(130)이 결합된 상태에서 밸브 모듈(130)에 의해 폐쇄된다. 제2 밸브 작용부(112b)는 제2 밸브 작용 공간(112b)의 바닥으로부터 위로 연장되어서 형성되는 제2 개폐관(115b)을 구비한다. 제2 개폐관(115b)은 내부에 상하로 연장되는 제2 개폐 통로(116b)를 형성한다. 제2 개폐 통로(116b)의 상단과 하단은 각각 개방되어서, 제2 상단 개구부(117b)와 제2 하단 개구부(118b)를 형성한다. 제2 상단 개구부(117b)는 밸브 모듈(130)의 작용에 의해 개폐된다. 제2 밸브 작용부(112b)의 상단에는 제2 밸브 작용 공간(113b)을 바깥에서 에웠싸는 고리형의 제2 삽입 홈(119b)이 형성된다.
제1 유입관(120a)은 제1 밸브 작용부(112a)와 연결된다. 제1 유입관(120a)의 내부에는 제1 유입 통로(121a)가 형성된다. 제1 유입 통로(121a)는 제1 밸브 작용부(112a)의 제1 밸브 작용 공간(113a)에서 제1 개폐관(115a)의 바깥 공간과 연통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유입관(120a)에는 냉수(또는 상온수) 공급관(미도시)이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즉, 제1 유입 통로(121a)를 통해 냉수가 제1 밸브 작용 공간(113a)에서 제1 개폐관(115a)의 바깥 공간으로 유입된다. 제1 밸브 작용 공간(113a)에서 제1 개폐관(115a)의 바깥 공간으로 유입된 냉수의 제1 개폐 통로(116a)로의 유입은 제1 상단 개구부(117a)의 개폐 상태에 따라서 허용되거나 차단된다.
제2 유입관(120b)은 제2 밸브 작용부(112b)와 연결된다. 제2 유입관(120b)의 내부에는 제2 유입 통로(121b)가 형성된다. 제2 유입 통로(121b)는 제2 밸브 작용부(112b)의 제2 밸브 작용 공간(113b)에서 제2 개폐관(115b)의 바깥 공간과 연통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유입관(120b)에는 온수 공급관(미도시)이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즉, 제2 유입 통로(121b)를 통해 온수가 제2 밸브 작용 공간(113b)에서 제2 개폐관(115b)의 바깥 공간으로 유입된다. 제2 밸브 작용 공간(113b)에서 제2 개폐관(115b)의 바깥 공간으로 유입된 온수의 제2 개폐 통로(116b)로의 유입은 제2 상단 개구부(117b)의 개폐 상태에 따라서 허용되거나 차단된다.
출수관(122)은 제1 밸브 작용부(112a)와 제2 밸브 작용부(112b)의 아래 중간에 배치된다. 출수관(122a)은 제1 연결관(125a) 및 제2 연결관(125b)과 각각 연결된다. 출수관(122)은 내부에 물이 최종적으로 배출되는 출수 통로(123)를 형성한다. 출수 통로(123)는 대체로 연직방향으로 따라서 연장된다. 출수 통로(123)의 상단과 하단은 개방되며, 출수 통로(123)의 개방된 하단은 출수구(124)를 형성한다.
제1 연결관(125a)은 출수관(122)과 제1 밸브 작용부(112a)를 연결한다. 제1 연결관(125a)은 내부에 제1 연결 통로(126a)를 형성한다. 제1 연결 통로(126a)는 출수 통로(123)의 개방된 상단 및 제1 개폐 통로(116a)의 제1 하단 개구부(118a)와 각각 연통된다. 그에 따라, 제1 개폐 통로(116a)의 냉수가 제1 연결 통로(126a)를 거쳐서 출수 통로(123)로 유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연결 통로(126a)는 출수 통로(123)와 연통되는 지점이 제1 하단 개구부(118a)와 연통되는 지점보다 더 낮게 위치하도록 경사지는 것으로 설명한다.
제2 연결관(125b)은 출수관(122)과 제2 밸브 작용부(112b)를 연결한다. 제2 연결관(125b)은 내부에 제2 연결 통로(126b)를 형성한다. 제2 연결 통로(126b)는 출수 통로(123)의 개방된 상단 및 제2 개폐 통로(116b)의 제2 하단 개구부(118b)와 각각 연통된다. 그에 따라, 제2 개폐 통로(116b)의 온수가 제2 연결 통로(126b)를 거쳐서 출수 통로(123)로 유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연결 통로(126b)는 출수 통로(123)와 연통되는 지점이 제2 하단 개구부(118b)와 연통되는 지점보다 더 낮게 위치하도록 경사지는 것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연결 통로(126a)와 제2 연결 통로(126b)는 하나의 통로를 형성하도록 연통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밸브 모듈(130)은 노브 모듈(170)에 의해 작동하여 유로 모듈(110)에 형성된 제1 상단 개구부(117a) 및 제2 상단 개구부(117b)를 개폐하여 냉수(또는 상온수) 및 온수의 출수를 단속한다. 밸브 모듈(130)은 유로 모듈(110)의 상부에 나사와 같은 체결 수단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밸브 모듈(130)와 유로 모듈(110) 사이는 누수가 일어나지 않도록 밀폐된다.
밸브 모듈(130)은 이동하면서 이동 위치에 따라 유로 모듈(110)의 제1 상단 개구부(117a)를 개폐하는 제1 밸브 이동체(131a)와, 이동하면서 이동 위치에 따라 유로 모듈(110)의 제2 상단 개구부(117b)를 개폐하는 제2 밸브 이동체(131b)와, 제1 밸브 이동체(131a)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 밸브 가이드(136a)와, 제2 밸브 이동체(131b)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 밸브 가이드(136b)와, 제1 밸브 이동체(131a)가 제1 상단 개구부(117a)를 막는 위치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제1 밸브 가압 탄성부재(145a)와, 제2 밸브 이동체(131b)가 제2 상단 개구부(117b)를 막는 위치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제2 밸브 가압 탄성부재(145b)와, 이동하면서 제1 밸브 이동체(131a)와 상호작용하는 제1 이동 유닛(150a)과, 이동하면서 제2 밸브 이동체(131b)와 상호작용하는 제2 이동 유닛(150b)과, 제1 이동 유닛(150a)이 제1 밸브 이동체(131a)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1 이동 유닛(150a)에 탄성력을 가하는 제1 이동 유닛 가압 탄성부재(159a)와, 제2 이동 유닛(150b)이 제2 밸브 이동체(131b)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2 이동 유닛(150b)에 탄성력을 가하는 제2 이동 유닛 가압 탄성부재(159b)와, 제1 밸브 가이드(136a)와 제2 밸브 가이드(136b)를 수용하고 제1 이동 유닛(150a)과 제2 이동 유닛(150b)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체(160)를 구비한다.
제1 밸브 이동체(131a)는 유로 밸브(110)의 제1 밸브 작용부(112a) 위에서 높이 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면서 이동 위치에 따라 제1 밸브 작용부(112a)의 제1 상단 개구부(117a)를 개폐한다. 제1 밸브 이동체(131a)는 제1 밸브 머리부(132a)와, 제1 밸브 머리부(132a)로부터 연장되는 제1 밸브 막대부(134a)를 구비한다.
제1 밸브 머리부(132a)는 대체로 디스크 형태의 판상으로서, 제1 밸브 작용 공간(113a)에 수평으로 배치된다. 제1 밸브 머리부(132a)는 제1 밸브 작용 공간(113a)에서 제1 상단 개구부(117a)의 위에 위치한다. 제1 밸브 머리부(132a)는 상하 이동하면서, 제1 상단 개구부(117a)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진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밸브 머리부(132a)가 제1 상단 개구부(117a)와 접하면, 제1 상단 개구부(117a)는 제1 밸브 머리부(132a)에 의해 폐쇄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밸브 머리부(132a)가 제1 상단 개구부(117a)와 이격되면, 제1 상단 개구부(117a)는 개방된다. 제1 밸브 머리부(132a)에 제1 밸브 막대부(134a)가 일체로 연결된다.
제1 밸브 막대부(134a)는 막대 형상으로서, 제1 밸브 머리부(132a)로부터 높이방향을 따라서 위로 길게 연장되어서 형성된다. 제1 밸브 막대부(134a)는 제1 밸브 가이드(136a)에 삽입되어서 높이방향을 따라서 왕복 이동이 가능하다. 제1 밸브 막대부(134a)의 높이방향 왕복 이동은 제1 밸브 가이드(136a)의해 안내된다. 제1 밸브 막대부(134a)의 상단에 제1 밸브 가압 탄성부재(145a)가 접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밸브 이동체(131a)는 전체가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하는데, 이와는 달리 제1 밸브 막대부(134a)의 상단부만이 자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또한, 제1 밸브 이동체(131a)의 전체 또는 제1 밸브 막대부(134a)의 상단부만이 자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제2 밸브 이동체(131b)는 유로 밸브(110)의 제2 밸브 작용부(112b) 위에서 높이 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면서 이동 위치에 따라 제2 밸브 작용부(112b)의 제2 상단 개구부(117b)를 개폐한다. 제2 밸브 이동체(131b)는 제2 밸브 머리부(132b)와, 제2 밸브 머리부(132b)로부터 연장되는 제2 밸브 막대부(134b)를 구비한다.
제2 밸브 머리부(132b)는 대체로 디스크 형태의 판상으로서, 제2 밸브 작용 공간(113b)에 수평으로 배치된다. 제2 밸브 머리부(132b)는 제2 밸브 작용 공간(113b)에서 제2 상단 개구부(117b)의 위에 위치한다. 제2 밸브 머리부(132b)는 상하 이동하면서, 제2 상단 개구부(117b)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진다.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밸브 머리부(132b)가 제2 상단 개구부(117b)와 접하면, 제2 상단 개구부(117b)는 제2 밸브 머리부(132b)에 의해 폐쇄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밸브 머리부(132b)가 제2 상단 개구부(117b)와 이격되면, 제2 상단 개구부(117b)는 개방된다. 제2 밸브 머리부(132b)에 제2 밸브 막대부(134b)가 일체로 연결된다.
제2 밸브 막대부(134b)는 막대 형상으로서, 제2 밸브 머리부(132b)로부터 높이방향을 따라서 위로 길게 연장되어서 형성된다. 제2 밸브 막대부(134b)는 제2 밸브 가이드(136b)에 삽입되어서 높이방향을 따라서 왕복 이동이 가능하다. 제2 밸브 막대부(134b)의 높이방향 왕복 이동은 제2 밸브 가이드(136b)의해 안내된다. 제2 밸브 막대부(134b)의 상단에 제2 밸브 가압 탄성부재(145b)가 접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밸브 이동체(131b)는 전체가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하는데, 이와는 달리 제2 밸브 막대부(134b)의 상단부만이 자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또한, 제2 밸브 이동체(131b)의 전체 또는 제2 밸브 막대부(134b)의 상단부만이 자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제1 밸브 가이드(136a)는 제1 밸브 이동체(131a)의 높이방향 상하 이동을 안내하면서 제1 밸브 작용 공간(113a)의 개방된 상단을 막는다. 제1 밸브 가이드(136a)는 제1 가이드부(137a)와, 제1 커버부(140a)를 구비한다.
제1 가이드부(137a)는 막대 형상으로 높이방향을 따라서 상하로 연장되어서 형성된다. 제1 가이드부(137a)의 내부에 높이방향을 따라서 상하로 연장되는 제1 가이드 통로(138a)가 형성된다. 제1 가이드 통로(138a)에 제1 밸브 막대부(134a)와 제1 밸브 가압 탄성부재(145a)가 수용된다. 제1 가이드 통로(138a)에 의해 제1 밸브 막대부(134a)의 이동이 안내된다. 제1 가이드 통로(138a)의 상단은 제1 밸브 가압 탄성부재(145a)와 접하는 제1 단부벽(139a)으로 폐쇄되고, 제1 가이드 통로(138a)의 하단은 개방된다. 제1 가이드 통로(138a)의 개방된 하단을 통해 제1 밸브 막대부(134a)가 출몰한다.
제1 커버부(140a)는 제1 가이드부(137a)의 하단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확장되어서 형성된다. 제1 커버부(140a)에 의해 제1 밸브 작용 공간(113a)의 개방된 상단이 폐쇄된다. 제1 커버부(140a)의 외주에는 제1 밸브 작용부(112a)에 형성되는 제1 삽입 홈(119a)에 끼워지도록 제1 커버부(140a)로부터 돌출되는 제1 플랜지(141a)가 형성된다. 제1 플랜지(141a)는 제1 삽입 홈(119a)에 끼워져서 제1 삽입 홈(119a)에 안착된 제1 오링(O-rig)(143a)과 밀착한다.
제2 밸브 가이드(136b)는 제2 밸브 이동체(131b)의 높이방향 상하 이동을 안내하면서 제2 밸브 작용 공간(113b)의 개방된 상단을 막는다. 제2 밸브 가이드(136b)는 제2 가이드부(137b)와, 제2 커버부(140b)를 구비한다.
제2 가이드부(137b)는 막대 형상으로 높이방향을 따라서 상하로 연장되어서 형성된다. 제2 가이드부(137b)의 내부에 높이방향을 따라서 상하로 연장되는 제2 가이드 통로(138b)가 형성된다. 제2 가이드 통로(138b)에 제2 밸브 막대부(134b)와 제2 밸브 가압 탄성부재(145b)가 수용된다. 제2 가이드 통로(138b)에 의해 제2 밸브 막대부(134b)의 이동이 안내된다. 제2 가이드 통로(138b)의 상단은 제2 밸브 가압 탄성부재(145b)와 접하는 제2 단부벽(139b)으로 폐쇄되고, 제2 가이드 통로(138b)의 하단은 개방된다. 제2 가이드 통로(138b)의 개방된 하단을 통해 제2 밸브 막대부(134b)가 출몰한다.
제2 커버부(140b)는 제2 가이드부(137b)의 하단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확장되어서 형성된다. 제2 커버부(140b)에 의해 제2 밸브 작용 공간(113b)의 개방된 상단이 폐쇄된다. 제2 커버부(140b)의 외주에는 제2 밸브 작용부(112b)에 형성되는 제2 삽입 홈(119b)에 끼워지도록 제2 커버부(140b)로부터 돌출되는 제2 플랜지(141b)가 형성된다. 제2 플랜지(141b)는 제2 삽입 홈(119b)에 끼워져서 제2 삽입 홈(119b)에 안착된 제2 오링(O-rig)(143b)과 밀착한다.
제1 밸브 가압 탄성부재(145a)는 제1 가이드부(137a)의 제1 가이드 통로(138a)에 수용되어서 제1 밸브 이동체(131a)가 제1 상단 개구부(117a)를 막는 위치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가한다. 제1 밸브 가압 탄성부재(145a)는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서, 양단은 각각 제1 가이드부(137a)의 제1 단부벽(139a) 및 제1 밸브 막대부(134a)의 상단과 접한다. 제1 밸브 가압 탄성부재(145a)는 제1 밸브 이동체(131a)를 아래로 밀어서 제1 밸브 머리부(132a)를 제1 개폐관(115a)의 상단과 밀착시킨다.
제2 밸브 가압 탄성부재(145b)는 제2 가이드부(137b)의 제2 가이드 통로(138b)에 수용되어서 제2 밸브 이동체(131b)가 제2 상단 개구부(117b)를 막는 위치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한다. 제2 밸브 가압 탄성부재(145b)는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서, 양단은 각각 제2 가이드부(137b)의 제2 단부벽(139b) 및 제2 밸브 막대부(134b)의 상단과 접한다. 제2 밸브 가압 탄성부재(145b)는 제2 밸브 이동체(131b)를 아래로 밀어서 제2 밸브 머리부(132b)를 제2 개폐관(115b)의 상단과 밀착시킨다.
제1 이동 유닛(150a)은 높이방향을 따라서 상하 이동하면서 제1 밸브 이동체(131a)와 상호작용하여 제1 밸브 이동체(131a)의 위치를 조절한다. 제1 이동 유닛(150a)은 제1 이동 몸체(151a)와, 제1 이동 몸체(151a)에 결합되어서 제1 밸브 이동체(131a)와 자기력으로 상호작용하는 제1 자력 부재(157a)를 구비한다.
제1 이동 몸체(151a)는 유로 모듈(110)에 구비되는 제1 밸브 작용부(112a)의 위에 이격되어서 배치되며, 지지체(160)에 의해 가이드되어서 높이방향을 따라서 상하 이동한다. 제1 이동 몸체(151a)는 제1 중심부(152a)와, 제1 중심부(152a)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 두 개의 제1 날개부(155a)들을 구비한다.
제1 중심부(152a)는 대체로 원통형상으로서, 내부에 높이방향을 따라서 상하로 연장되는 제1 중심 통로(153a)를 형성한다. 제1 중심 통로(153a)는 제1 밸브 막대부(134a)와 대체로 동축으로 위치한다. 제1 중심부(152a)에 제1 자력 부재(157a)가 안착되어서 결합되는 제1 자력 부재 안착홈(154a)이 형성된다. 제1 자력 부재 안착홈(154a)은 제1 중심 통로(153a)와 연통된다. 제1 중심부(152a)는 제1 이동 유닛 가압 탄성부재(159a)에 의해 제1 밸브 이동체(131a)의 제1 밸브 머리부(132a)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을 받는다.
두 개의 제1 날개부(155a)들은 제1 중심부(152a)의 양측에 각각 위치한다. 두 개의 제1 날개부(155a)들 각각에는 높이방향을 따라서 상하로 연장되는 제1 측면 통로(156a)가 형성된다. 두 개의 제1 날개부(155a)들에 의해 제1 이동 몸체(151a)의 상하 이동이 안정적으로 안내된다.
제1 자력 부재(157a)는 제1 이동 몸체(151a)의 제1 중심부(152a)에 형성된 제1 자력 부재 안착홈(154a)에 안착되어서 제1 이동 몸체(151a)에 결합된다. 제1 자력 부재(157a)는 제1 중심부(152a)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나사(158a)에 의해 제1 자력 부재 안착홈(154a)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된다. 제1 자력 부재(157a)는 제1 자력 부재 안착홈(154a)에 안착된 상태에서 제1 중심 통로(153a)로 노출된다. 제1 자력 부재(157a)와 제1 밸브 이동체(131a)와의 사이에는 인력의 자기력이 작용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자력 부재(157a)는 영구자석과 같은 자석인 것으로 설명하는데,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밸브 이동체(131a)가 자석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제1 자력 부재(157a)는 자석이 아닌 자성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제2 이동 유닛(150b)은 높이방향을 따라서 상하 이동하면서 제2 밸브 이동체(131b)와 상호작용하여 제2 밸브 이동체(131b)의 위치를 조절한다. 제2 이동 유닛(150b)은 제2 이동 몸체(151b)와, 제2 이동 몸체(151b)에 결합되어서 제2 밸브 이동체(131b)와 자기력으로 상호작용하는 제2 자력 부재(157b)를 구비한다.
제2 이동 몸체(151b)는 유로 모듈(110)에 구비되는 제2 밸브 작용부(112b)의 위에 이격되어서 배치되며, 지지체(160)에 의해 가이드되어서 높이방향을 따라서 상하 이동한다. 제2 이동 몸체(151b)는 제2 중심부(152b)와, 제2 중심부(152b)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 두 개의 제2 날개부(155b)들을 구비한다.
제2 중심부(152b)는 대체로 원통형상으로서, 내부에 높이방향을 따라서 상하로 연장되는 제2 중심 통로(153b)를 형성한다. 제2 중심 통로(153b)는 제2 밸브 막대부(134b)와 대체로 동축으로 위치한다. 제2 중심부(152b)에 제2 자력 부재(157b)가 안착되어서 결합되는 제2 자력 부재 안착홈(154b)이 형성된다. 제2 자력 부재 안착홈(154b)은 제2 중심 통로(153b)와 연통된다. 제2 중심부(152b)는 제2 이동 유닛 가압 탄성부재(159b)에 의해 제2 밸브 이동체(131b)의 제2 밸브 머리부(132b)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을 받는다.
두 개의 제2 날개부(155b)들은 제2 중심부(152b)의 양측에 각각 위치한다. 두 개의 제2 날개부(155b)들 각각에는 높이방향을 따라서 상하로 연장되는 제2 측면 통로(156b)가 형성된다. 두 개의 제2 날개부(155b)들에 의해 제2 이동 몸체(151b)의 상하 이동이 안정적으로 안내된다.
제2 자력 부재(157b)는 제2 이동 몸체(151b)의 제2 중심부(152b)에 형성된 제2 자력 부재 안착홈(154b)에 안착되어서 제2 이동 몸체(151b)에 결합된다. 제2 자력 부재(157b)는 제2 중심부(152b)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나사(158b)에 의해 제2 자력 부재 안착홈(154b)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된다. 제2 자력 부재(157b)는 제2 자력 부재 안착홈(154b)에 안착된 상태에서 제2 중심 통로(153b)로 노출된다. 제2 자력 부재(157b)와 제2 밸브 이동체(131b)와의 사이에는 인력의 자기력이 작용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자력 부재(157b)는 영구자석과 같은 자석인 것으로 설명하는데,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2 밸브 이동체(131b)가 자석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제2 자력 부재(157b)는 자석이 아닌 자성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제1 이동 유닛 가압 탄성부재(159a)는 제1 이동 유닛(150a)이 제1 밸브 이동체(131a)의 제1 밸브 머리부(132a)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1 이동 유닛(150a)에 탄성력을 가한다. 제1 이동 유닛 가압 탄성부재(159a)는 제1 이동 유닛(150a)의 아래에 배치된다. 제1 이동 유닛 가압 탄성부재(159a)는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서, 상단이 제1 이동 유닛(150a)의 제1 중심부(152a)와 접촉하여, 제1 이동 유닛(150a)을 위로 미는 탄성력을 가한다.
제2 이동 유닛 가압 탄성부재(159b)는 제2 이동 유닛(150b)이 제2 밸브 이동체(131b)의 제2 밸브 머리부(132b)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2 이동 유닛(150b)에 탄성력을 가한다. 제2 이동 유닛 가압 탄성부재(159b)는 제2 이동 유닛(150b)의 아래에 배치된다. 제2 이동 유닛 가압 탄성부재(159b)는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서, 상단이 제2 이동 유닛(150b)의 제2 중심부(152b)와 접촉하여, 제2 이동 유닛(150b)을 위로 미는 탄성력을 가한다.
지지체(160)는 유로 모듈(110)과 결합되며, 제1 밸브 가이드(136a)와 제2 밸브 가이드(136b)를 수용하고, 제1 이동 유닛(150a)과 제2 이동 유닛(150b)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지지체(160)는 기초판부(161)와, 기초판부(161)로부터 위로 돌출되어서 형성되는 제1 중심 기둥부(163a)와, 기초판부(161)로부터 위로 돌출되어서 형성되는 제2 중심 기둥부(163b)와, 제1 중심 기둥부(163a)의 양측에 각각 기초판부(161)로부터 위로 돌출되어서 형성되는 두 개의 제1 날개 기둥부(167a)들과, 제2 중심 기둥부(163b)의 양측에 각각 기초판부(161)로부터 위로 돌출되어서 형성되는 두 개의 제2 날개 기둥부(167b)들을 구비한다.
기초판부(161)는 대체로 평평한 판상으로서, 유로 모듈(110)의 상부를 덮도록 유로 모듈(110)에 분리 가능하게 나사와 같은 체결 수단으로 결합된다. 기초판부(161)의 하면은 유로 모듈(110)의 상면 및 제1, 제2 커버부(140a, 140b)의 상면과 밀착한다. 기초판부(161)의 위로 제1 중심 기둥부(163a), 제2 중심 기둥부(163b), 두 개의 제1 날개 기둥부(167a)들, 두 개의 제2 날개 기둥부(167b)들이 돌출되어서 형성된다.
제1 중심 기둥부(163a)는 기초판부(161)로부터 높이방향을 따라서 위로 돌출되어서 형성된다. 제1 중심 기둥부(163a)의 내부에는 제1 밸브 가이드(136a)의 제1 가이드부(137a)가 수용되는 제1 수용 공간(164a)이 형성된다. 제1 중심 기둥부(163a)의 측면에는 제1 수용 공간(164a)이 노출되는 제1 슬릿(165a)이 형성된다. 제1 슬릿(165a)은 높이방향을 따라서 상하로 연장된다. 제1 슬릿(165a) 상에서 제1 자력 부재(157a)가 상하 이동한다. 제1 슬릿(165a)에 의해 제1 밸브 막대부(134a)와 제1 자력 부재(157a)가 최대한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제1 슬릿(165a)의 하단에 제1 자력 부재(157a)가 걸리는 제1 걸림턱(166a)이 형성된다. 제1 중심 기둥부(163a)에 제1 이동 몸체(151a)의 제1 중심 통로(153a)와 제1 이동 유닛 가압 탄성부재(159a)가 끼워진다. 제1 중심 기둥부(163a)는 제1 이동 몸체(151a)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도 한다. 제1 이동 유닛 가압 탄성부재(159a)는 기초부(161)와 제1 중심부(152a)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1 중심 기둥부(163a)의 양측에 두 개의 제1 날개 기둥부(167a)들이 위치한다.
제2 중심 기둥부(163b)는 기초판부(161)로부터 높이방향을 따라서 위로 돌출되어서 형성된다. 제2 중심 기둥부(163b)는 제1 중심 기둥부(163a) 일측에 이격되어서 위치한다. 제2 중심 기둥부(163b)의 내부에는 제2 밸브 가이드(136b)의 제2 가이드부(137b)가 수용되는 제2 수용 공간(164b)이 형성된다. 제2 중심 기둥부(163b)의 측면에는 제2 수용 공간(164b)이 노출되는 제2 슬릿(165b)이 형성된다. 제2 슬릿(165b)은 높이방향을 따라서 상하로 연장된다. 제2 슬릿(165b) 상에서 제2 자력 부재(157b)가 상하 이동한다. 제2 슬릿(165b)에 의해 제2 밸브 막대부(134b)와 제2 자력 부재(157b)가 최대한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제2 슬릿(165b)의 하단에 제2 자력 부재(157b)가 걸리는 제2 걸림턱(166b)이 형성된다. 제2 중심 기둥부(163b)에 제2 이동 몸체(151b)의 제2 중심 통로(153b)와 제2 이동 유닛 가압 탄성부재(159b)가 끼워진다. 제2 중심 기둥부(163b)는 제2 이동 몸체(151b)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도 한다. 제2 이동 유닛 가압 탄성부재(159b)는 기초부(161)와 제2 중심부(152b)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2 중심 기둥부(163b)의 양측에 두 개의 제2 날개 기둥부(167b)들이 위치한다.
두 개의 제1 날개 기둥부(167a)들은 기초판부(161)로부터 위로 돌출되어서 형성된다. 두 개의 제1 날개 기둥부(167a)들 각각은 제1 중심 기둥부(163a)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위치한다. 두 개의 제1 날개 기둥부(167a)들 각각에 제1 이동 몸체(151a)에 형성된 두 개의 제1 측면 통로(156a)들 각각이 이동 가능하게 끼워진다. 두 개의 제1 날개 기둥부(167a)들에 의해 제1 이동 몸체(151a)의 상하 이동이 안정적으로 가이드된다. 제1 날개 기둥부(167a)의 상단부에는 제1 이동 몸체(151a)가 위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탄성 부재가 설치된다.
두 개의 제2 날개 기둥부(167b)들 기초판부(161)로부터 위로 돌출되어서 형성된다. 두 개의 제2 날개 기둥부(167b)들 각각은 제2 중심 기둥부(163b)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위치한다. 두 개의 제2 날개 기둥부(167b)들 각각에 제2 이동 몸체(151b)에 형성된 두 개의 제2 측면 통로(156b)들 각각이 이동 가능하게 끼워진다. 두 개의 제2 날개 기둥부(167b)들에 의해 제2 이동 몸체(151b)의 상하 이동이 안정적으로 가이드된다. 제2 날개 기둥부(167b)의 상단부에는 제2 이동 몸체(151b)가 위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탄성 부재가 설치된다.
밸브 노브 모듈(170)은, 밸브 모듈(130)의 지지체(160)에 결합되는 지지벽(171)과, 지지벽(161)에 회전축선(X)을 중심으로 축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노브 유닛(180)과, 노브 유닛(180)의 회전에 의해 지지벽(161)에 대해 이동하여 밸브 모듈(130)의 제1 이동 유닛(150a)와 제2 이동 유닛(150b) 중 하나를 미는 가압 유닛(195)을 구비한다. 회전축선(X)은 제1 이동 유닛(150a)과 제2 이동 유닛(150b) 사이의 중심부를 통과한다.
지지벽(171)은 밸브 모듈(130)의 지지체(160)에 결합되어서 기초판(161) 위에 벽 형태로 형성된다. 지지벽(171)은 제1 이동 유닛(150a) 및 제2 이동 유닛(150b)과 각각 대체로 등간격을 이루며 대향한다. 지지벽(171)에 노브 유닛(180)과 가압 유닛(195)이 결합되어서 지지된다.
지지벽(171)에는 제1 이동 유닛(150a)과 제2 이동 유닛(150b)의 반대편으로 돌출되는 결합관부(172)가 형성된다. 결합관부(172)의 내부에는 지지벽(171)과 대체로 직각을 이루는 회전축선(X)을 중심으로 하여 연장되는 결합 통로(178)가 형성된다. 결합관부(172)의 측면에는 결합 통로(178)가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 개구부(173)와, 노출 개구부(173)와 연결되는 추가 개구부(175)가 형성된다.
노출 개구부(173)는 결합관부(172)의 측면에 결합 통로(178)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노출 개구부(173)는 원주방향을 따라서 일정 구간 연장되어서 형성된다. 노출 개구부(176)는 결합관부(172)의 끝단으로도 개방된다. 노브 유닛(180)은 노출 개구부(173)의 원주방향 형성 구간 상에서 축회전 할 수 있다. 노출 개구부(173)의 원주방향 일단부에 추가 개구부(175)가 연결된다.
추가 개구부(175)는 노출 개구부(173)의 원주방향 일단부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서 추가적으로 연장되어서 형성된다. 노브 유닛(180)은 추가 개구부(175)의 원주방향 형성 구간 상에서 축회전 할 수 있다. 추가 개구부(175)는 결합관부(172)의 끝단으로부터 이격되어서 위치한다. 그에 따라, 추가 개구부(175)와 이어지는 노출 개구부(173)의 원주방향 일단에는 단턱(176)이 형성된다.
노브 유닛(180)은 지지벽(161)에 회전축선(X)을 중심으로 축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노브 유닛(180)은 지지벽(161)을 사이에 두고 밸브 모듈(130)의 제1 이동 유닛(150a)과 제2 이동 유닛(150b)의 반대편에 위치한다. 노브 유닛(180)은 결합관부(172)의 결합 통로(178)에 삽입되는 삽입 부재(181)와, 삽입 부재(181)와 결합되는 조작 노브(185)와, 누름 버튼(190)과, 누름 버튼(190)에 탄성력을 가하는 노브 탄성부재(194)를 구비한다.
삽입 부재(181)는 대체로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서, 결합관부(172)의 결합 통로(178)에 삽입되어서 회전축선(X)을 중심으로 축회전이 가능하다. 삽입 부재(181)에 가압 유닛(195)이 결합된다. 삽입 부재(181)의 회전에 의해 가압 유닛(195)이 함께 회전하여 이동한다. 삽입 부재(181)에는 조작 노브(185)가 나사 결합되어서, 조작 노브(185)의 회전에 의해 삽입 부재(181)가 회전한다. 삽입 부재(181)에는 끝단으로부터 지지벽(171) 쪽을 향해 연장되어서 형성되는 가이드 홈(182)이 형성된다. 가이드 홈(182)에 의해 누름 버튼(190)의 축방향 이동이 가이드되고, 삽입 부재(181)의 회전이 누름 버튼(190)으로 전달된다.
조작 노브(185)는 삽입 부재(181)에 동축으로 결합되어서 회전축선(X)을 중심으로 양방향 축회전이 가능하다. 조작 노브(185)는 삽입 부재(181)를 외부에서 감싸는 형태로 삽입 부재(181)에 나사 결합된다. 조작 노브(185)이 축회전함에 따라 삽입 부재(181)가 함께 축회전한다. 조작 노브(185)를 통해 누름 버튼(190)의 일부가 돌출되어서 노출된다.
누름 버튼(190)은 대체로 기둥 형상으로서 삽입 부재(181)와 동축으로 배치된다. 누름 버튼(190)의 일부는 삽입 부재(181)의 내부에 수용되고 다른 일부는 조작 노브(185)의 바깥으로 돌출되어서 노출된다. 누름 버튼(190)은 반경방향 바깥으로 돌출되어서 형성되는 걸림 돌기(192)를 구비한다. 걸림 돌기(192)는 삽입 부재(181)에 형성된 가이드 홈(182)에 위치한다. 걸림 돌기(192)는 가이드 홈(182)과 상호작용하여 누름 버튼(190)의 축방향 이동이 안내되며, 누름 버튼(190)이 삽입 부재(181)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걸림 돌기(192)의 축방향 위치에 따라서 지지벽(171)의 결합관부(172)에 형성된 단턱(176)과 상호작용하여 노브 유닛(180)의 회전 가능 방향이 조절된다. 즉, 걸림 돌기(192)가 단턱(176)에 걸리는 위치에서는 노출 개구부(173) 구간에서의 회전만 가능하고, 걸림 돌기(192)가 단턱(176)에 걸리지 않는 위치에서는 추가 개구부(175) 구간에서의 회전도 가능하게 된다.
노브 탄성부재(194)는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서, 삽입 부재(181)의 내부에 수용되어서 누름 버튼(190)에 탄성력을 가한다. 노브 탄성부재(194)에 의해 누름 버튼(190)은 조작 노브(185)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힘을 받아서, 걸림 돌기(192)가 단턱(176)에 걸리는 위치를 유지한다.
가압 유닛(195)은 노브 유닛(180)의 회전에 의해 지지벽(161)에 대해 이동하여 밸브 모듈(130)의 제1 이동 유닛(150a)와 제2 이동 유닛(150b) 중 하나를 밀어서 이동시킨다. 가압 유닛(195)은 지지벽(171)을 사이에 두고 노브 유닛(170)의 반대편에 위치한다. 가압 유닛(195)은 노브 유닛(180)의 삽입 부재(181)에 결합되는 결합부(196)와, 결합부(196)와 일체로 형성되고 제1 이동 유닛(150a)과 제2 이동 유닛(150b)의 위에 위치하는 가압부(197)를 구비한다.
결합부(196)는 노브 유닛(180)의 삽입 부재(181)에 나사와 같은 체결 수단으로 결합되어서 노브 유닛(180)과 함께 회전축선(X)을 중심으로 축회전한다. 결합부(196)에 가압부(197)가 일체로 형성된다.
가압부(197)는 결합부(196)와 일체로 형성되고 회전축선(X)으로부터 이격되어서 위치한다. 가압부(197)는 제1 이동 유닛(150a)의 위에 위치하는 제1 아암(198a)과, 제2 이동 유닛(150b)의 위에 위치하는 제2 아암(198b)을 구비한다. 결합부(196)의 회전 방향에 따라서 제1 아암(198a)과 제2 아암(198b) 중 어느 하나가 아래로 내려가고, 나머지 다른 하나는 위로 올라간다.
제1 아암(198a)은 제1 이동 유닛(150a)의 위에 위치한다. 결합부(196)가 일측으로 회전하여 제1 아암(198a)이 내려가면, 밸브 모듈(130)의 제1 이동 유닛(150a)이 제1 아암(198a)에 의해 밀려서 아래로 이동한다.
제2 아암(198b)은 제2 이동 유닛(150b)의 위에 위치한다. 결합부(196)가 타측으로 회전하여 제2 아암(198b)이 내려가면, 밸브 모듈(130)의 제2 이동 유닛(150b)이 제2 아암(198a)에 의해 밀려서 아래로 이동한다.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위에서 구성 중심으로 설명된 급수기용 출수 밸브(100)를 작용 중심으로 설명한다.
노브 유닛(170)에 어떠한 외부 조작도 이루어지지 않으면, 도 6,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작동 상태가 된다. 도 6,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1 이동 유닛(150a)과 제2 이동 유닛(150b)이 모두 상하 이동 가능 구간 상에서 가장 위에 위치한다. 이 상태는 제1 이동 유닛 가압 탄성부재(159a) 및 제2 이동 유닛 가압 탄성부재(159b)에 의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제1 이동 유닛(150a)에 구비되는 제1 자력 부재(157a)는 제1 밸브 이동체(131a)와 충분히 이격되어서 위치하고 제2 이동 유닛(150b)에 구비되는 제2 자력 부재(157b)는 제2 밸브 이동체(131b)와 충분히 이격되어서 위치한다. 그에 따라, 제1 밸브 이동체(131a)의 제1 밸브 머리부(132a)가 제1 밸브 작용부(112a)의 제1 상단 개구부(117a)를 안정적으로 폐쇄하고, 제2 밸브 이동체(131b)의 제2 밸브 머리부(132b)가 제2 밸브 작용부(112b)의 제2 상단 개구부(117b)를 안정적으로 폐쇄한다. 이에, 출수관(122)을 통해서는 냉수와 온수 모두 배출되지 않는다.
도 6,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작 노브(185)를 일측 방향(도 1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가압부(197)의 제1 아암(198a)이 아래로 이동하여 제1 이동 유닛(150a)을 아래로 이동시킨다. 제1 이동 유닛(150a)이 아래로 이동하여 가장 아래에 위치한 상태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자석인 제1 자력 부재(157a)가 자성체인 제1 밸브 이동체(131a)에 충분히 가까워져서 인력에 의하여 제1 밸브 이동체(131a)가 위로 이동하여, 제1 밸브 이동체(131a)의 제1 밸브 머리부(132a)가 제1 밸브 작용부(112a)의 제1 상단 개구부(117a)와 이격된다. 그에 따라, 제1 유입관(120a)을 통해 유입되는 냉수가 출수관(122)을 통해 배출된다. 도 9의 작동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작 노브(185)에 가하는 회전력을 제거하면, 제1 이동 유닛 가압 탄성부재(159a)와 제1 밸브 가압 탄성부재(145a)에 의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 상태로 자동으로 복귀한다.
도 6,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작 노브(185)를 일측 방향(도 1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가압부(197)의 제2 아암(198b)이 아래로 이동하여 제2 이동 유닛(150b)을 아래로 이동시킨다. 조작 노브(185)를 이와 같이 회전시키기 위해서 사용자는 누름 버튼(190)을 눌러서 걸림 돌기(도 3의 192)를 추가 개구부(175) 쪽으로 이동시킨다. 제2 이동 유닛(150b)이 아래로 이동하여 가장 아래에 위치한 상태가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자석인 제2 자력 부재(157b)가 자성체인 제2 밸브 이동체(131b)에 충분히 가까워져서 인력에 의하여 제2 밸브 이동체(131b)가 위로 이동하여, 제2 밸브 이동체(131b)의 제2 밸브 머리부(132b)가 제2 밸브 작용부(112b)의 제2 상단 개구부(117b)와 이격된다. 그에 따라, 제2 유입관(120b)을 통해 유입되는 온수가 출수관(122)을 통해 배출된다. 도 10의 작동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작 노브(185)에 가하는 회전력을 제거하면, 제2 이동 유닛 가압 탄성부재(159b)와 제2 밸브 가압 탄성부재(145b)에 의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 상태로 자동으로 복귀한다.
이상 실시예를 통해 본 고안을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예는 본 고안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으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이러한 수정과 변경도 본 고안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급수기용 출수 밸브 110: 유로 모듈
112a: 제1 밸브 작용부 112b: 제2 밸브 작용부
113a: 제1 밸브 작용 공간 113b: 제2 밸브 작용 공간
115a: 제1 개폐관 115b: 제2 개폐관
116a: 제1 개폐 통로 116b: 제2 개폐 통로
117a: 제1 상단 개구부 117b: 제2 상단 개구부
120a: 제1 유입관 120b: 제2 유입관
122: 출수관 125a: 제1 연결관
125b: 제2 연결관 130: 밸브 모듈
131a: 제1 밸브 이동체 131b: 제2 밸브 이동체
132a: 제1 밸브 머리부 132b: 제2 밸브 머리부
134a: 제1 밸브 막대부 134b: 제2 밸브 막대부
136a: 제1 밸브 가이드 136b: 제2 밸브 가이드
145a: 제1 밸브 가압 탄성부재 145b: 제2 밸브 가압 탄성부재
150a: 제1 이동 유닛 150b: 제2 이동 유닛
151a: 제1 이동 몸체 151b: 제2 이동 몸체
152a: 제1 중심부 152b: 제2 중심부
155a: 제1 날개부 155b: 제2 날개부
157a: 제1 자력 부재 157b: 제2 자력 부재
159a: 제1 이동 유닛 가압 탄성부재 159b: 제2 이동 유닛 가압 탄성부재
160: 지지체 161: 기초판
163a: 제1 중심 기둥부 163b: 제2 중심 기둥부
164a: 제1 수용 공간 164b: 제2 수용 공간
167a: 제1 날개 기둥부 167b: 제2 날개 기둥부
170: 노브 모듈 171: 지지벽
172: 결합관부 178: 결합 통로
173: 노출 개구부 175: 추가 개구부
180: 노브 유닛 181: 삽입 부재
182: 가이드 홈 185: 조작 노브
190: 누름 버튼 192: 걸림 돌기
194: 노브 탄성부재 195: 가압 유닛
197: 가압부 198a: 제1 아암
198b: 제2 아암

Claims (13)

  1. 내부에 유로를 제공하는 유로 모듈;
    상기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 모듈; 및
    상기 밸브 모듈의 작동을 조절하는 노브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유로 모듈은 물이 유입되는 유입 통로와 물이 배출되는 출수 통로를 연통시키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밸브 작용부를 구비하며,
    상기 밸브 모듈은 밸브 이동체와, 상기 노브 모듈의 조작에 의해 상기 밸브 이동체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이동 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밸브 이동체는 상기 개구부와 접촉하여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거나 상기 개구부로부터 이격되어서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도록 상기 개구부에 대해 이동하며,
    상기 이동 유닛은 상기 밸브 이동체와 인력의 자기력으로 상호작용하는 자력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자력 부재는 상기 노브 모듈의 조작에 의해 상기 밸브 이동체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이동 구간 내에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자력 부재가 상기 밸브 이동체와 가장 멀리 위치하는 상태에서는 상기 밸브 이동체가 상기 자기력에 의한 이동이 없이 상기 개구부와 접촉하며,
    상기 자력 부재가 상기 밸브 이동체와 가장 가깝게 위치하는 상태에서는 상기 밸브 이동체가 상기 자기력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개구부로부터 이격되는,
    급수기용 출수 밸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밸브 이동체는 자성체이고, 상기 자력 부재는 자석인,
    급수기용 출수 밸브.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밸브 모듈은 상기 밸브 이동체가 상기 개구부와 접촉하는 위치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밸브 가압 탄성부재와, 상기 이동 유닛이 상기 밸브 이동체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이동 유닛에 탄성력을 가하는 이동 유닛 가압 탄성부재를 더 구비하는,
    급수기용 출수 밸브.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밸브 모듈은 상기 밸브 이동체의 이동을 안내하는 밸브 가이드를 더 구비하는,
    급수기용 출수 밸브.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밸브 이동체는 상기 개구부와 접촉 가능한 밸브 머리부와, 상기 밸브 머리부로부터 연장되는 밸브 막대부를 구비하며,
    상기 밸브 가이드는 상기 밸브 막대부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 통로가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급수기용 출수 밸브.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자력 부재는 상기 밸브 막대부의 연장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는,
    급수기용 출수 밸브.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밸브 모듈은 상기 유로 모듈 및 상기 노브 모듈에 결합되는 지지체를 더 구비하며,
    상기 지지체에 상기 이동 유닛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급수기용 출수 밸브.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상기 이동 유닛의 이동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중심 기둥부를 구비하며,
    상기 이동 유닛은 상기 자력 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중심 기둥부에 끼워지는 중심 통로가 내부에 형성되는 중심부를 구비하는,
    급수기용 출수 밸브.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상기 중심 기둥부의 양측에 위치하고 상기 이동 유닛의 이동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두 개의 날개 기둥부들을 더 구비하며,
    상기 이동 유닛은 상기 중심부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위치하는 두 개의 날개부들을 더 구비하며,
    상기 두 개의 날개부들 각각에는 상기 두 개의 날개 기둥부들 각각에 끼워지는 측면 통로가 형성되는,
    급수기용 출수 밸브.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밸브 작용부는 상기 개구부가 위치하는 밸브 작용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밸브 작용부는 상기 밸브 작용 공간의 바닥으로부터 위로 연장되는 개폐관을 구비하며,
    상기 개구부는 상기 개폐관의 개방된 상단인,
    급수기용 출수 밸브.
  11. 내부에 유로를 제공하는 유로 모듈;
    상기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 모듈; 및
    상기 밸브 모듈의 작동을 조절하는 노브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유로 모듈은 물이 유입되는 제1 유입 통로와 물이 배출되는 출수 통로를 연통시키는 제1 개구부가 형성되는 제1 밸브 작용부와, 물이 유입되는 제2 유입 통로와 상기 출수 통로를 연통시키는 제2 개구부가 형성되는 제2 밸브 작용부를 구비하며,
    상기 밸브 모듈은 제1 밸브 이동체와, 상기 노브 모듈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1 밸브 이동체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제1 이동 유닛과, 제2 밸브 이동체와, 상기 노브 모듈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2 밸브 이동체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제2 이동 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밸브 이동체는 상기 제1 개구부와 접촉하여 상기 제1 개구부를 폐쇄하거나 상기 제1 개구부로부터 이격되어서 상기 제1 개구부를 개방하도록 상기 제1 개구부에 대해 이동하며,
    상기 제1 이동 유닛은 상기 제1 밸브 이동체와 인력의 제1 자기력으로 상호작용하는 제1 자력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자력 부재는 상기 노브 모듈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1 밸브 이동체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제1 이동 구간 내에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1 자력 부재가 상기 제1 밸브 이동체와 가장 멀리 위치하는 상태에서는 상기 제1 밸브 이동체가 상기 제1 자기력에 의한 이동이 없이 상기 제1 개구부와 접촉하며,
    상기 제1 자력 부재가 상기 제1 밸브 이동체와 가장 가깝게 위치하는 상태에서는 상기 제1 밸브 이동체가 상기 제1 자기력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제1 개구부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제2 밸브 이동체는 상기 제2 개구부와 접촉하여 상기 제2 개구부를 폐쇄하거나 상기 제2 개구부로부터 이격되어서 상기 제2 개구부를 개방하도록 상기 제2 개구부에 대해 이동하며,
    상기 제2 이동 유닛은 상기 제2 밸브 이동체와 인력의 제2 자기력으로 상호작용하는 제2 자력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자력 부재는 상기 노브 모듈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2 밸브 이동체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제2 이동 구간 내에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2 자력 부재가 상기 제2 밸브 이동체와 가장 멀리 위치하는 상태에서는 상기 제2 밸브 이동체가 상기 제2 자기력에 의한 이동이 없이 상기 제2 개구부와 접촉하며,
    상기 제2 자력 부재가 상기 제2 밸브 이동체와 가장 가깝게 위치하는 상태에서는 상기 제2 밸브 이동체가 상기 제2 자기력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제2 개구부로부터 이격되는,
    급수기용 출수 밸브.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노브 모듈은 상기 제1 이동 유닛과 상기 제2 이동 유닛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급수기용 출수 밸브.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입 통로와 상기 제2 유입 통로는 각각 다른 온도의 물을 공급하는 공급관과 연통되는,
    급수기용 출수 밸브.
KR2020230000017U 2023-01-04 2023-01-04 자석을 이용한 급수기용 출수 밸브 KR2004966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30000017U KR200496650Y1 (ko) 2023-01-04 2023-01-04 자석을 이용한 급수기용 출수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30000017U KR200496650Y1 (ko) 2023-01-04 2023-01-04 자석을 이용한 급수기용 출수 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6650Y1 true KR200496650Y1 (ko) 2023-03-27

Family

ID=85727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30000017U KR200496650Y1 (ko) 2023-01-04 2023-01-04 자석을 이용한 급수기용 출수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650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5750B1 (ko) * 2014-05-07 2014-11-04 명성희 직수형 음용수기 밸브장치
KR101589625B1 (ko) 2014-12-22 2016-01-28 주식회사 에이치비테크 마그네틱 밸브를 이용한 직수형 정수기 및 냉온수기용 코크
KR102212712B1 (ko) * 2019-06-10 2021-02-05 주식회사 엔비엘 커버 연동형 개폐 밸브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KR102314529B1 (ko) * 2020-06-19 2021-10-20 주식회사 엔비엘 토글 타입 마그네틱 밸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5750B1 (ko) * 2014-05-07 2014-11-04 명성희 직수형 음용수기 밸브장치
KR101589625B1 (ko) 2014-12-22 2016-01-28 주식회사 에이치비테크 마그네틱 밸브를 이용한 직수형 정수기 및 냉온수기용 코크
KR102212712B1 (ko) * 2019-06-10 2021-02-05 주식회사 엔비엘 커버 연동형 개폐 밸브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KR102314529B1 (ko) * 2020-06-19 2021-10-20 주식회사 엔비엘 토글 타입 마그네틱 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46123B1 (en) Insertion to a single-grip, rotation-operated mixing faucet
JP2791471B2 (ja) マイクロエレクトロバルブ
US5758863A (en) Valve controlled by fluid
US8448917B2 (en) Vacuum gate valve and a method of opening and closing gate using the same
IE61313B1 (en) Switching microelectrovalve having a single diaphragm
KR200496650Y1 (ko) 자석을 이용한 급수기용 출수 밸브
US20050121079A1 (en) Water filler for water tank
KR101214682B1 (ko) 냉온수 일체형 코크 구조
US3672479A (en) Apparatus for providing a predetermined volume of liquid
US3369566A (en) Single lever mixing faucet
JPS6330560B2 (ko)
EP1293713A2 (en) Timed faucet switchable to continuous dispensing
KR101663070B1 (ko) 유량조절밸브 및 온수분배기
US3780981A (en) Automatic tank plug valve
US6634395B1 (en) Double poppet valve for precise shut off of fuel dispensing nozzle
JPH05289753A (ja) 減圧装置
KR100702268B1 (ko) 공기제트
KR200191668Y1 (ko) 정전시 복귀방지 기능과 수동 개폐조작기능을 갖춘 전자밸브
KR20190020918A (ko) 수실 분리식 정수기용 코크 밸브
WO1985001562A1 (en) A self-closing valve arrangement
KR101928699B1 (ko) 자동 급수전 개폐 모듈
KR101998233B1 (ko) 발신형 가스 절체기
KR102566986B1 (ko) 음료 공급기용 토출 유닛
KR101496264B1 (ko) 싱글레버용 수도밸브
KR200290866Y1 (ko) 양변기 수조의 급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