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2712B1 - 커버 연동형 개폐 밸브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 Google Patents

커버 연동형 개폐 밸브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2712B1
KR102212712B1 KR1020190068071A KR20190068071A KR102212712B1 KR 102212712 B1 KR102212712 B1 KR 102212712B1 KR 1020190068071 A KR1020190068071 A KR 1020190068071A KR 20190068071 A KR20190068071 A KR 20190068071A KR 102212712 B1 KR102212712 B1 KR 1022127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housing
cover
main body
raw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8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1268A (ko
Inventor
김상헌
이강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비엘
김상헌
이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비엘, 김상헌, 이강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비엘
Priority to KR1020190068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2712B1/ko
Publication of KR20200141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12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2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27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7Flow control valves: Damping or calibrated passages
    • B01D35/1573Flow control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9Electromagnetically actuat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F16K31/0655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2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diaphragm, bellow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밸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수기의 커버의 개폐에 따라 연동하여 개폐되어 원수를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커버 연동형 개폐 밸브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부는 개구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내부 중앙에는 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 연장 형성된 중심축부가 구비되고, 상기 중심축부에는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오목하게 중공부가 형성된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의 상부 개구를 덮는 바디캡과; 상기 메인바디의 하부에 결합되고, 일측에는 원수가 유입되는 입수관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원수가 배출되는 출수관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바디캡에 관통 삽입되고 정수기 커버의 닫힘 또는 개방에 따라 눌려지거나 누름이 해제되어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버튼과; 상기 메인바디의 내측에서 상기 버튼의 하측에 위치되되, 중앙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메인바디의 중심축부 외주면에 삽입 결합된 상태에서 버튼의 상하 이동에 따라 승강 가능하게 구성되는 마그네트와; 상기 메인바디의 중심축부 하부 내측에 형성된 중공부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버튼이 눌려지는 경우 마그네트의 하강에 따라 자력에 의해 상승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의 원수 유로를 개방하고, 상기 버튼의 누름이 해제되는 경우 마그네트의 상승에 따라 하강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의 원수 유로를 폐쇄하는 플런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커버 연동형 개폐 밸브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A VALVE THAT OPENS AND CLOSES IN CONJUNCTION WITH COVER FOR WATER PURIFIER AND THE PURIFI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밸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수기의 커버의 개폐에 따라 연동하여 개폐되어 원수를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커버 연동형 개폐 밸브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본체 하우징과, 상기 본체 하우징 내에 구비되어 수도관 또는 수도꼭지 등을 통해 유입되는 원수를 이송하는 원수이송관과, 상기 원수이송관을 통하여 이송된 물을 정수하기 위한 필터와, 상기 필터에서 정수된 물을 토출하기 위한 코크가 구비된다. 이중 상기 필터는 장기간 사용하면 불순물이 많이 개재됨에 따라 여과 효율이 떨어져 새로운 필터로 교체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러한 필터의 교체를 위해서는 본체 하우징의 상부나 측면 또는 후방측의 커버를 열고 사용중인 필터를 탈착한 후 새로운 필터를 장착해야 하는바, 이때 필터의 교체전 원수이송관을 통하여 원수가 필터 측으로 공급되지 못하도록 원수이송관을 폐쇄하고 필터의 교체가 완료되고 난후 다시 원수이송관을 개방하여 원수가 필터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본체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원수이송관에 밸브를 설치하여, 작업자가 커버를 열고 수동으로 밸브를 조작하여 원수유로를 개폐하도록 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수동 조작식 밸브의 경우 작업자가 일일이 수동으로 조작하여 개폐해야 하기 때문에 불편할 뿐만 아니라, 필터 교체후 실수로 폐쇄된 원수이송관을 개방하지 않은 상태로 작업을 완료할 경우 물이 토출되지 않아 고객 불만이 제기되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20508호에서는 도어 개폐시 연동되는 유로개폐용 밸브를 구비하는 정수기가 제안되었다. 상기 등록특허에 따르면 정수기의 커버가 개폐될 경우 이와 연동하여 원수 유로가 자동으로 개폐될 수도 있도록 하여 필터 교체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에 따른 밸브는 커버의 가압력에 의한 플런저의 이동에 따라 유로가 개방되도록 한 기계식 밸브로서, 밸브 하우징과 플런저의 마찰력으로 인하여 플런저의 이동이 원활하지 못한 경우 유로의 안정적인 개폐가 수행되지 못하는 등의 단점이 존재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20508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정수기의 원수이송관 개폐용 밸브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정수기의 커버와 연동되어 자동으로 개폐되고, 마그네틱 방식을 채용하여 원활한 작동이 보장되는 커버 연동식 개폐밸브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커버 연동형 개폐 밸브는, 정수기의 커버 개폐시 원수 이송 유로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것으로, 상부는 개구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내부 중앙에는 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 연장 형성된 중심축부가 구비되고, 상기 중심축부에는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오목하게 중공부가 형성된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의 상부 개구를 덮는 바디캡과; 상기 메인바디의 하부에 결합되고, 일측에는 원수가 유입되는 입수관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원수가 배출되는 출수관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바디캡에 관통 삽입되고 정수기 커버의 닫힘 또는 개방에 따라 눌려지거나 누름이 해제되어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버튼과; 상기 메인바디의 내측에서 상기 버튼의 하측에 위치되되, 중앙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메인바디의 중심축부 외주면에 삽입 결합된 상태에서 버튼의 상하 이동에 따라 승강 가능하게 구성되는 마그네트와; 상기 메인바디의 중심축부 하부 내측에 형성된 중공부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버튼이 눌려지는 경우 마그네트의 하강에 따라 자력에 의해 상승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의 원수 유로를 개방하고, 상기 버튼의 누름이 해제되는 경우 마그네트의 상승에 따라 하강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의 원수 유로를 폐쇄하는 플런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마그네트의 하측에는 상기 버튼의 누름이 해제되는 경우 마그네트를 상측으로 복귀시키기 위한 제1스프링이 구비되고, 상기 플런저의 상측에는 상기 마그네트가 상승되는 경우 상기 플런저를 하측으로 복귀시키기 위한 제2스프링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중앙에는 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출수관과 연통되는 돌출관체가 형성되고, 상기 플런저는 승하강에 따라 상기 돌출관체를 직접 개방하거나 막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중앙에는 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출수관과 연통되는 돌출관체가 형성되고, 상기 플런저의 하측 하우징 내부에는 디스크가 구비되되, 상기 디스크의 일측 하부에는 상기 하우징의 입수관과 연통되는 제1관체가 형성되고, 상기 제1관체와 대응되는 상부에는 상기 제1관체와 연통되는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디스크의 중앙에는 하우징의 중앙에 형성된 돌출관체에 삽입되어 출수관과 연통되는 제2관체가 구비되어, 상기 플런저는 승하강에 따라 상기 디스크의 제2관체를 개방하거나 막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디스크의 하측에는 다이어프램이 구비되되, 상기 다이어프램의 일측에는 상기 디스크의 제1관체가 관통 삽입되는 제1통공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상기 디스크의 제2관체가 관통 삽입되는 제2통공이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정수기 커버의 개폐에 따라 원수 유로가 자동으로 개폐됨에 따라 필터의 교체 또는 수리시 작업자가 별도로 밸브를 수동 조작하여 개폐하여야 하는 불편이 해소되고, 필터 교체나 수리 후 원수 유로를 개방하지 않아 물이 토출되지 않아 발생되는 고객 불만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마그네틱 방식을 채용하여 원수 유로 개폐 작용이 보다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커버 연동형 개폐 밸브의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 연동형 개폐 밸브의 분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커버 연동형 개폐 밸브의 디스크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 연동형 개폐 밸브의 메인바디 및 하우징 단면도,
도 5 는 커버 연동형 개폐 밸브의 작동 상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커버 연동형 개폐 밸브가 구비된 정수기의 일 실시예도,
도 7 은 커버 연동형 개폐 밸브가 구비된 정수기의 다른 실시예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커버 연동형 개폐 밸브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과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커버 연동형 개폐 밸브(100)는, 메인바디(110), 바디캡(120), 하우징(130), 버튼(140), 마그네트(150), 플런저(160), 디스크(170) 및 다이어프램(180)을 포함한다.
메인바디(110)는 후술하는 마그네트(150), 플런저(160), 디스크(170) 등의 밸브체가 수용되는 메인 몸체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로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는 폐쇄되며 내부에 소정의 수용 공간이 구비된 원통형으로 구성된다. 도 2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바디(110)의 내부 중앙에는 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연장 형성된 중심축부(114)가 형성되고, 상기 중심축부(114)에는 후술하는 플런저(160) 및 제2스프링(164)이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중공부(114a)가 구비된다.
바디캡(120)은 상기 메인바디(110)의 상부 개구를 덮는 것으로, 대체로 상기 메인바디(110)의 직경에 상응하는 직경을 갖는 원통형으로 구성되며, 내주면에 상기 메인바디(110)의 상부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메인바디(110)에 나사 결합된다. 또한, 상기 바디캡(120)의 상부면에는 버튼결합공(122)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버튼(140)이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하우징(130)은 대체로 상부는 개구되고 하부는 폐쇄된 원통형으로 구성되며, 좌우 측면에 각각 정수기(1)의 원수이송관과 연결되어 원수가 유입되는 입수관(132)과 원수가 배출되는 출수관(134)이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30)의 중앙에는 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출수관(134)과 연통되는 돌출관체(136)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입수관(132)을 통해 하우징(130) 내부로 유입된 원수는 돌출관체(136)로 유입된 후 출수관(134)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메인바디(110)와 하우징(130)은 하단과 상단이 서로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볼트(112)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 결합된다.
버튼(140)은 후술하는 누름 및 누름 해제에 따라 후술하는 마그네트(150)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로 하부는 개구되고 상부는 폐쇄된 원통형으로 구성되되, 상부 가장자리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정수기(1)의 커버(3)에 원활하게 접촉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모서리가 라운딩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하부는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된 플랜지(142)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버튼(140)은 바디캡(120)의 상부면에 형성된 버튼결합공(122)에 삽입된 상태에서 플랜지(142) 부분이 바디캡(120)의 상부면에 내측에서 걸려 지지됨에 따라 외측으로 분리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마그네트(150)는 상기 버튼(140)의 작동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면서 후술하는 플런저(160)를 승강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메인바디(110) 내측에서 상기 버튼(140)의 하측에 위치되되, 중앙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도넛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메인바디(110)의 내부 중앙에 형성된 중심축부(114) 외주면에 삽입 결합된 상태에서 승강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마그네트(150)의 하측에는 제1스프링(152)이 구비된다. 상기 제1스프링(152)은 메인바디(110)의 중심축부(114) 외주면에 삽입 장착된다. 상기 제1스프링(152)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마그네트(150)가 버튼(140)의 눌림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되었다가 버튼(140)의 누름이 해제되는 경우에 상측으로 복귀되도록 한다.
상기 메인바디(110)의 하측에는 플런저(160)가 구비된다. 상기 플런저(160)는 대체로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된 철제 샤프트로서, 상기 마그네트(150)의 이동에 의해 승강됨에 따라 하우징(130)의 입수관(132)을 통해 유입된 물이 출수관(134)으로 배출되거나 또는 배출되지 못하도록 차단한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런저(160)는 메인바디(110)의 중심축부(114) 하부 내측에 형성된 중공부(114a)에 승강가능하게 삽입 결합된다. 상기 플런저(160)는 전체가 일체의 부재로 구성될 수도 있고, 상부는 철제로 구성되고 하부에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의 패킹(162)이 결합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위와 같이 상기 플런저(160)는 철제로 구성됨에 따라 상기 마그네트(150)의 위치 이동에 따라 자력에 의해 승강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플런저(160)의 상측에는 플런저(160)를 하측으로 가압하는 제2스프링(164)이 구비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마그네트(150)가 상승되어 자력이 미치지 않게 되는 경우에 플런저(160)가 하측으로 복귀되도록 한다. 이러한 마그네트(150)와 플런저(160) 및 제2스프링(164)의 작용에 대해서는 추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플런저(160)는 하우징(130)의 중앙에 형성되어 출수관(134)과 연통되는 돌출관체(136)를 직접적으로 막거나 개방하여 입수관(132)을 통해 유입된 원수가 출수관(134)을 통해 배출되거나 배출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플런저(160)의 하측에 디스크(170)와 다이어프램(180)이 구비된다. 상기 디스크(170)는 원판형으로 구성되어 하우징(130)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디스크(170)의 일측 하부에는 상기 하우징(130)의 입수관(132)과 연통되도록 돌출관체(136)의 외측에 삽입 결합되는 제1관체(172)가 형성되고, 상기 제1관체(172)와 대응되는 상부에는 상기 제1관체(172)와 연통되는 통공(17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크(170)의 중앙에는 하우징(130) 중앙에 형성된 돌출관체(136)에 삽입되어 출수관(134)과 연통되는 제2관체(174)가 구비된다. 상기 제2관체(174)는 상기 디스크(170)의 중앙 상하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상기 하우징(130)의 입수관(132)을 통해 유입된 원수는 하우징(130) 내부로 유입된 후 디스크(170)의 일측 하부에 형성된 제1관체(172)를 통과해 상부의 통공(173)으로 배출되고, 다시 디스크(170) 중앙의 제2관체(174)를 통해 하우징(130)이 돌출관체(136)를 거쳐 출수관(134)을 통해 배출되어 정수기(1)의 필터측으로 이송된다. 한편,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크(170)의 상면에는 반경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된 동심원 형태의 내측벽(177)과 외측벽(176)을 구비한다. 상기 내측벽(177)과 외측벽(176)은 상기 제1관체(172)와 통공(173), 그리고 제2관체(174)에 의해 형성되는 유로를 분리하기 위한 격벽이다. 다만, 상기 제1관체(172)와 통공(173)을 통과한 원수가 제2관체(174)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내측벽(177)의 선단에는 다수의 절개부(178)가 일정 간격으로 절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디스크(170)는 원수의 이동 경로를 형성함과 아울러 하우징(130)의 중앙 돌출관체(136)와 샤프트 사이의 간격을 줄여주어 상기 플런저(160)의 이동 거리를 단축시킴에 따라 밸브의 개폐가 보다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디스크(170)의 하측에는 하우징(130) 내측 하부의 물이 상부로 다량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다이어프램(180)이 구비된다. 상기 다이어프램(180)은 대체로 납작한 원판형으로 구성되되,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는 상기 디스크(170)의 제1관체(172)가 관통 삽입되는 제1통공(182)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상기 디스크(170)의 제2관체(174)가 관통 삽입되는 제2통공(184)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다이어프램(180)은 제1통공(182)과 제2통공(184) 이외에 다른 곳을 통하여 원수가 하우징(130)의 상측으로 이동되지 못하게 하여 유로를 단일화하는 효과와 불필요한 누수를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커버 연동형 개폐 밸브(10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는바, 이하에서는 상기 개폐 밸브(100)의 작동 관계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1)의 사용례에 대해 설명한다.
도 5 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 연동형 개폐 밸브(100)의 작동 상태도가 단면도로 도시되고, 도 6 및 도 7 에는 상기 개폐 밸브(100)가 구비된 정수기(1)의 사용례가 도시된다.
먼저, 도 6 및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개폐 밸브(100)는 본체케이싱(2)과 커버(3) 및 코크(4)를 구비하는 정수기(1)에서, 본체케이싱(2)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되, 본체케이싱(2)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는 커버(3)가 닫힌 상태에서 버튼(140)이 눌려지고, 커버(3)가 열린 상태에서는 버튼(140)의 누름이 해제되도록 구성된다. 정수기(1)의 형상과 구조 및 커버(3)의 열림 형태 등에 관계없이 모두 적용 가능하다. 예컨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3)가 정수기(1)의 상부에서 수평으로 슬라이드 방식으로 개폐되는 경우, 상기 개폐 밸브(100)는 본체케이싱(2)의 내부 상측에 버튼(140)이 상방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커버(3)를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폐쇄한 상태에서는 버튼(140)이 커버(3)에 의해 눌려지게 되고, 커버(3)를 개방하면 버튼(140)의 누름이 해제된다. 다른 예로서,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3)가 정수기(1)의 측면에서 회전식으로 개폐되는 경우, 상기 개폐 밸브(100)는 본체케이싱(2)의 내부에서 버튼(140)이 측방을 향하도록 수평하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커버(3)를 폐쇄하면 버튼(140)이 눌려지고 커버(3)를 개방하면 버튼(140)의 누름이 해제된다. 이 밖에도 커버(3)의 위치나 구조에 따라 상기 개폐 밸브(100)의 설치 위치 및 방향을 변경함으로써 어떠한 구조의 정수기(1)에도 모두 설치가 가능하다.
도 5 의 (a)에는 이와 같은 정수기(1)의 커버(3)가 폐쇄되어 본 발명에 따른 개폐 밸브(100)의 버튼(140)이 눌려진 상태의 단면도가 도시되고, 도 5 의 (b)애는 정수기(1)의 커버(3)가 개방되어 개폐 밸브(100)의 버튼(140) 누름이 해제된 상태의 단면도가 도시된다.
도 5 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140)이 눌려지면 버튼(140) 하부에 위치된 마그네트(150)가 메인바디(110)의 중심축부(114) 외주면을 따라 하강하게 된다. 이때, 상기 마그네트(150)의하측에 구비된 제1스프링(152)은 압축 변형된다. 상기 마그네트(150)가 일정한 높이에 도달하게 되면, 철제로 구성된 플런저(160)에 자력이 미치게 되어 플런저(160)가 마그네트(150)가 위치된 높이까지 상승한다. 이때, 상기 플런저(160)의 상측에 배치된 제2스프링(164)은 압축 변형된다. 이와 같이 플런저(160)가 상승하면 상기 플런저(160)의 하단부가 상기 디스크(170)의 제2관체(174) 상부 개구로부터 이격된다. 이에 따라, 원수가 공급되는 수도관과 연결된 입수관(132)을 통해 하우징이 하측으로 유입된 원수가 디스크(170)의 제1관체(172) 및 통공(173)을 거쳐 하우징(130)의 상측으로 유입된 후 다시 디스크(170)의 제2관체(174)를 통해 하우징(130)의 돌출관체(136)로 이송된 후 이와 연통된 출수관(134)을 통하여 배출된다. 상기 출수관(134)에는 필터와 코크(4)가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원수이송관이 연결되어 상기 출수관(134)으로 배출된 원수는 원수이송관을 통해 필터로 이송되어 정화된 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코크(4)에서 토출된다. 이와 같이, 평시 정수기(1)의 커버(3)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개폐 밸브(100)의 버튼(140)이 항시 누름 상태로 유지됨에 따라 원수가 항시 공급되도록 한다.
한편, 도 5 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140)의 누름이 해제되는 경우에는 압축되었던 제1스프링(152)이 복원되면서 상기 마그네트(150)와 버튼(140)이 상승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마그네트(150)와 플런저(160)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게 되면서 마그네트(150)의 자력이 플런저(160)에 미치지 않게 된다. 이에, 플런저(160)는 압축되었던 제2스프링(164)의 복원력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어 하강 이동하게 되고, 플런저(160)의 하단부(패킹(162))가 디스크(170)의 제2관체(174) 상부 개구를 막는다. 이에 따라, 하우징(130)의 입수관(132)을 통해 유입된 원수는 디스크(170)의 제1관체(172)와 통공(173)을 통하여 하우징(130)의 상측으로 이송되지만 디스크(170)의 제2관체(174)가 플런저(160)에 의해 폐쇄되어 있으므로 출수관(134)으로 원수가 배출되지 못하게 된다. 즉, 정수기(1)의 필터와 코크(4)로의 원수 공급이 차단된다.
이와 같이, 평시 정수기(1)를 사용하고 있을 때는 개폐 밸브(100)의 버튼(140)이 항시 눌려진 상태로 유지되어 원수가 항시 공급 상태에 있다가, 정수기(1)의 필터 교체나 수리 등을 위해 정수기(1)의 커버(3)를 개방하는 경우 자동으로 버튼(140)의 누름이 해제되어 원수가 차단되고, 필터 교체 및 수리가 완료되고 난후 다시 커버(3)를 닫는 경우 별도로 밸브를 조작할 필요 없이 커버(3)에 의해 버튼(140)이 눌려짐에 따라 자동으로 원수 유로가 개방되어 차단되었던 원수가 다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0 : 개폐 밸브 110 : 메인바디
112 : 볼트 114 : 중심축부
114a : 중공부 120 : 바디캡
122 : 버튼결합공 130 : 하우징
132 : 입수관 134 : 출수관
136 : 돌출관체 140 : 버튼
142 : 플랜지 150 : 마그네트
152 : 제1스프링 160 : 플런저
162 : 패킹 164 : 제2스프링
170 : 디스크 172 : 제1관체
173 : 통공 174 : 제2관체
176 : 외측벽 177 : 내측벽
178 절개부 180 : 다이어프램
182 : 제1통공 184 : 제2통공
1 : 정수기 2 : 본체케이싱
3 : 커버 4 : 코크

Claims (6)

  1. 정수기(1)의 커버(3) 개폐시 원수 이송 유로를 자동으로 개폐하기 위한 커버 연동형 개폐 밸브(100)로서,
    상부는 개구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내부 중앙에는 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 연장 형성된 중심축부(114)가 구비되고, 상기 중심축부(114)에는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오목하게 중공부(114a)가 형성된 메인바디(110)와;
    상기 메인바디(110)의 상부 개구를 덮는 바디캡(120)과;
    상기 메인바디(110)의 하부에 결합되고, 일측에는 원수가 유입되는 입수관(132)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원수가 배출되는 출수관(134)이 형성된 하우징(130)과;
    상기 바디캡(120)에 관통 삽입되고 정수기 커버의 닫힘 또는 개방에 따라 눌려지거나 누름이 해제되어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버튼(140)과;
    상기 메인바디(110)의 내측에서 상기 버튼(140)의 하측에 위치되되, 중앙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메인바디(110)의 중심축부(114) 외주면에 삽입 결합된 상태에서 버튼(140)의 상하 이동에 따라 승강 가능하게 구성되는 마그네트(150)와;
    상기 메인바디(110)의 중심축부(114) 하부 내측에 형성된 중공부(114a)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버튼(140)이 눌려지는 경우 마그네트(150)의 하강에 따라 자력에 의해 상승하여 상기 하우징(130) 내부의 원수 유로를 개방하고, 상기 버튼(140)의 누름이 해제되는 경우 마그네트(150)의 상승에 따라 하강하여 상기 하우징(130) 내부의 원수 유로를 폐쇄하는 플런저(160)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130)의 중앙에는 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출수관과 연통되는 돌출관체(136)가 형성되고, 상기 플런저(160)의 하측 하우징(130) 내부에는 디스크(170)가 구비되되, 상기 디스크(170)의 일측 하부에는 상기 하우징(130)의 입수관(132)과 연통되는 제1관체(172)가 형성되고, 상기 제1관체(172)와 대응되는 상부에는 상기 제1관체(172)와 연통되는 통공(173)이 형성되며, 상기 디스크(170)의 중앙에는 하우징(130)의 중앙에 형성된 돌출관체(136)에 삽입되어 출수관(134)과 연통되는 제2관체(174)가 구비되어, 상기 플런저(160)는 승하강에 따라 상기 디스크(170)의 제2관체(174) 개방하거나 막도록 구성되며;
    상기 디스크(170)의 하측에는 다이어프램(180)이 구비되되, 상기 다이어프램(180)의 일측에는 상기 디스크(170)의 제1관체(172)가 관통 삽입되는 제1통공(182)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상기 디스크(170)의 제2관체(174)가 관통 삽입되는 제2통공(184)이 형성된 커버 연동형 개폐 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150)의 하측에는 상기 버튼(140)의 누름이 해제되는 경우 마그네트(150)를 상측으로 복귀시키기 위한 제1스프링(152)이 구비되고, 상기 플런저(160)의 상측에는 상기 마그네트(150)가 상승되는 경우 상기 플런저(160)를 하측으로 복귀시키기 위한 제2스프링(164)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연동형 개폐 밸브.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30)의 중앙에는 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출수관(134)과 연통되는 돌출관체(136)가 형성되고, 상기 플런저(160)는 승하강에 따라 상기 돌출관체(136)를 직접 개방하거나 막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연동형 개폐 밸브.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커버 연동형 개폐 밸브를 구비한 정수기.
KR1020190068071A 2019-06-10 2019-06-10 커버 연동형 개폐 밸브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KR1022127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8071A KR102212712B1 (ko) 2019-06-10 2019-06-10 커버 연동형 개폐 밸브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8071A KR102212712B1 (ko) 2019-06-10 2019-06-10 커버 연동형 개폐 밸브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1268A KR20200141268A (ko) 2020-12-18
KR102212712B1 true KR102212712B1 (ko) 2021-02-05

Family

ID=74041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8071A KR102212712B1 (ko) 2019-06-10 2019-06-10 커버 연동형 개폐 밸브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271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6650Y1 (ko) * 2023-01-04 2023-03-27 주식회사 하이필 자석을 이용한 급수기용 출수 밸브
KR102622066B1 (ko) * 2023-05-22 2024-01-09 (주)클로우 정수기용 안전밸브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021B1 (ko) * 2007-11-07 2009-10-22 주식회사 경동네트웍 정유량 및 온오프 일체형 각방 조절밸브와 비례제어식 각방조절밸브 및 이를 상호 전환하는 방법
KR102189170B1 (ko) * 2013-09-05 2020-12-09 쿠쿠홈시스 주식회사 커버부재 연동 안전 수처리장치
KR101720508B1 (ko) 2014-06-24 2017-03-28 주식회사 피코그램 도어 개폐시 연동되는 유로개폐용 밸브를 구비하는 정수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6650Y1 (ko) * 2023-01-04 2023-03-27 주식회사 하이필 자석을 이용한 급수기용 출수 밸브
KR102622066B1 (ko) * 2023-05-22 2024-01-09 (주)클로우 정수기용 안전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1268A (ko) 2020-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45449C (en) Flush valve bypass and filter
US6142174A (en) Fill valve float arm connection
US4261545A (en) Flush valve piston having filtered orifice
KR102212712B1 (ko) 커버 연동형 개폐 밸브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JP3182863U (ja) 節水弁
MX2008009653A (es) Derivacion doble para valvulas de limpieza automatica del tipo de diafragma.
CA1065731A (en) Ball cock construction for controlling the level of liquids such as water in tanks
JP4990290B2 (ja) 排出用にばね作動ピンを備えた交換オイルフィルター
US20050087709A1 (en) Valve seat for piston-type flushometer
US9206591B2 (en) Flushing device with odour extraction
JP2019011620A (ja) 洗浄水タンク装置
US3785397A (en) Water control valve structure
US6192916B1 (en) Flow-limiting float valve
US6244292B1 (en) Ballcock valve for water tanks
KR101206645B1 (ko) 외부밸브 승강식 오토 셧오프밸브가 구비된 필터 조립체
US1101933A (en) Feed-water valve.
US3785394A (en) Water control valve structure
KR200176894Y1 (ko) 이중 역지 밸브
KR102212715B1 (ko) 소형 다이어프램 밸브
KR102099606B1 (ko) 저장탱크용 안전밸브
JPH0515929Y2 (ko)
JP3778702B2 (ja) 空気弁付き消火栓
US736750A (en) Steam-trap.
JP4867026B2 (ja) 弁機構部交換式サイホン制御弁
KR20100082953A (ko) 조리용 가스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