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7170B1 - 베이어닛 압력 조리기 및 이동가능 로크 - Google Patents

베이어닛 압력 조리기 및 이동가능 로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7170B1
KR102447170B1 KR1020170163923A KR20170163923A KR102447170B1 KR 102447170 B1 KR102447170 B1 KR 102447170B1 KR 1020170163923 A KR1020170163923 A KR 1020170163923A KR 20170163923 A KR20170163923 A KR 20170163923A KR 102447170 B1 KR102447170 B1 KR 102447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lock
container
locking
resp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3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3839A (ko
Inventor
에릭 샤메로이
필립 루싸르
에릭 레타
기욤 줄리앙
Original Assignee
세브 에스.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805427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447170(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세브 에스.아. filed Critical 세브 에스.아.
Publication of KR20180063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38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7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7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4Loc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4Locking devices
    • A47J27/0806Locking devices of the bayonet-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47J36/10Lid-loc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63Knobs, e.g. for l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용기(2), 용기(2)에 독립적인 덮개(5) 및 용기(2)에 관하여 덮개(5)를 선회시킴으로써 언로킹 구성으로부터 로킹 구성으로 전환하도록 설계된 베이어닛 로킹 시스템을 포함하는 식품 조리 기기(1)로서, 상기 기기(1)는 또한 덮개와 함께 용기(2)에 관해 선회 이동하도록 덮개에 고정된 안전 요소(12)를 포함하는, 식품 압력 조리 기기에 있어서, 상기 기기(1)는 상기 안전 요소(12)가 덮개(5)에 고정 부착된 주 본체(13) 및 로크(16)를 포함하고, 상기 로크는 한편으로 상기 덮개(5) 및 상기 주 본체(13) 양자 모두로부터 상기 로크(16)가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 연장 위치 및 다른 한편으로 상기 로크(16)가 덮개(5) 내측에 수축되어 있는 수축 위치 사이에서 상기 주 본체(13)에 관하여 반경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그래서, 상기 연장 위치 및 수축 위치 중 하나에서, 상기 로크(16)는 상기 로킹 시스템이 로킹 구성에 있을 때 용기(2)에 보유된 상보적 로킹 구성(17)과 결합하는 반면, 상기 연장 위치와 수축 위치 중 다른 하나에서 상기 로크(16)는 상기 상보적 로킹 합치부(17)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베이어닛 압력 조리기 및 이동가능 로크{BAYONET PRESSURE COOKER AND MOBILE LOCK}
본 발명은 식품 압력 조리 기기의 일반적 기술 분야에 관련하며, 특히, 내부에 수용된 식품의 증기 압력 조리를 보증하기 위해 압력을 상승시킬 수 있는 조리 챔버를 형성하도록 의도된 압력 조리기 유형의 가정용 기기에 관련한다.
본 발명은 특히 용기, 용기와 독립적인 덮개 및 용기에 관하여 덮개를 선회시킴으로써 언로킹 구성으로부터 로킹 구성으로 전환하도록 설계된 베이어닛 로킹 시스템을 포함하는 식품 압력 조리 기기에 관련하며, 상기 기기는 또한 덮개와 함께 용기에 관해 선회 이동하도록 덮개에 고정된 안전 요소를 포함한다.
특히 가정용 용도를 위한 식품 압력 조리 기기는 잘 알려져 있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금속성 용기를 포함하고, 금속성 용기 위에는 가요성 환형 밀봉 개스킷을 통해 역시 금속성 덮개가 밀봉식으로 추가되어 압력 상승이 가능한 조리 챔버를 형성하도록 의도되어 있다. 덮개는, 조리 챔버가 압력이 상승될 수 있는 용기에 관한 덮개의 로킹 구성과 덮개가 자유롭게 용기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언로킹 구성 사이에서 압력 조리기가 변할 수 있게 하는 로킹 수단을 통해 용기에 연결되도록 의도된다. 상이한 잘 알려진 유형의 로킹 수단이 종래 기술에 존재한다. 가장 널리 사용되는 시스템 중 하나는 베이어닛 로킹 시스템이며, 이는 덮개의 회전 이후 상호 지탱되어 압력 상승의 영향 하에 덮개와 용기의 분리를 방지하는 기계적 보유 링크를 보증하도록 의도된 용기 및 덮개 경사부의 구현에 기초한다. 덮개 경사부는 통상적으로 덮개의 환형 강하 에지의 국소 내향 절첩에 의해 형성되는 반면, 용기 경사부는 종래에 용기의 자유 상부 에지의 절첩 및 절단에 의해 취득된다.
공지된 베이어닛 압력 조리기는 일반적으로 용기 및 덮개 손잡이를 구비하고, 이들은 덮개가 용기에 로킹되도록 용기 상에 배치될 때 각도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고, 그후, 로킹 위치가 도달되고 나서 상호 수직 정렬상태가 될 때까지 미리결정된 상대적 각도 행정을 따른다. 기기의 사용을 안전하게 하기 위해, 손잡이가 정렬될 때 서로 기계적으로 협력하여 상기 손잡이들 사이의 인터로킹을 보증함으로서 기기가 압력 하에 있을 때 기기의 임의의 부적절한 시기의 개방을 방지하도록 의도된 상보적 로킹 요소를 용기 및 덮개 손잡이에 제공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들 알려진 기기는 일반적으로 만족스럽지만, 이들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특히 편의성 및 인체공학 및 사용 안전성에 관하여 다양한 단점을 갖고 있다.
특히, 알려진 압력 조리기의 디자인으로 인해, 사용자가 용기와 덮개 손잡이에 보유된 인터로킹 수단을 쉽게 식별하고 그 기계적 협력 모드를 분간하기가 어렵거나 심지어 불가능하다. 이들 알려진 기기는 따라서 사용이 매우 직관적이지는 못하다. 특히, 알려진 압력 조리기는 사용자가 즉시 한눈에 덮개가 예비-로킹 또는 로킹 위치 중 어느 쪽에 있는지 및 손잡이가 인터로킹되었는지 아닌지를 결정할 수 있게 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다양한 단점을 해결하고, 가벼운 중량으로 간단하고 제조에 크게 많은 비용이 들지 않으면서 특히, 사용이 용이하고 직관적인 동시에 개선된 수준의 안전성을 갖는 새로운 식품 압력 조리 기기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히 간단하고 신뢰성있는 구성의 새로운 식품 압력 조리 기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히 안전한 새로운 식품 압력 조리 기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매우 인체공학적인 새로운 식품 압력 조리 기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히 간단하고 신뢰성있는 방식으로 수동 제어될 수 있는 새로운 식품 압력 조리 기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기에 로킹되도록 덮개가 용기에 도킹될 때 용기 상에서의 덮개의 양호한 위치설정을 촉진하는 새로운 식품 압력 조리 기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기가 로킹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사용자가 한눈에 식별할 수 있게 하는 새로운 식품 압력 조리 기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히 소형이고 강인한 새로운 식품 압력 조리 기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그 디자인이 사용자의 손으로부터 덮개가 미끄러지게 될 위험을 제한하는 새로운 식품 압력 조리 기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부여된 목적은 용기, 용기에 독립적인 덮개 및 용기에 관하여 덮개를 선회시킴으로써 언로킹 구성으로부터 로킹 구성으로 전환하도록 설계된 베이어닛 로킹 시스템을 포함하는 식품 조리 기기에 의해 달성되며, 상기 기기는 또한 덮개와 함께 용기에 관해 선회 이동하도록 덮개에 고정된 안전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기기는 상기 안전 요소가 덮개에 고정 부착된 주 본체 및 로크를 포함하고, 상기 로크는 한편으로 상기 덮개 및 상기 주 본체 양자 모두로부터 상기 로크가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 연장 위치 및 다른 한편으로 상기 로크가 덮개 내측에 수축되어 있는 수축 위치 사이에서 상기 주 본체에 관하여 반경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그래서, 상기 연장 위치 및 수축 위치 중 하나에서, 상기 로크는 상기 로킹 시스템이 로킹 구성에 있을 때 용기에 보유된 상보적 로킹 구성과 결합하는 반면, 상기 연장 위치와 수축 위치 중 다른 하나에서 상기 로크는 상기 상보적 로킹 합치부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은 다음 설명에서 더 상세히 나타나고 드러날 것이며, 다음 설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로 이루어지고, 순수히 예시적이고 비제한적인 예로서 주어진다.
- 도 1은 그 덮개가 미리결정된 예비-로킹 위치에 있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베이어닛 로킹을 갖는 식품 압력 조리 기기를 개략 사시도로 예시한다.
- 도 2는 도 1의 기기의 덮개의 아래로부터의 개략 사시도이다.
- 도 3은 도 1 및 도 2의 기기의 용기의 위로부터의 개략 사시도이다.
- 도 4는 도 2의 덮개의 상면도이다.
- 도 5는 도 2 및 도 4의 덮개의 측면도이다.
- 도 6은 가로편에 장착된 로크 제어 기구에 대한 시각적 액세스를 허용하도록 덮개를 구비하는 플라스틱 재료의 가로편이 투명하게 도시된 것을 제외하면 도 5의 것과 유사한 도면이다.
- 도 7은 로크가 그 수축 위치에 있다는 것을 제외하면 도 6과 동일하다.
- 도 8은 그 예비-로킹 구성의 도 1의 기기의 상면도이다.
- 도 9는 도 1 및 도 8에 예시된 그 예비-로킹 구성의 조리 기기의 상세부를 단면도로 예시한다.
- 도 10은 이번에는 그 덮개가 용기에 관하여 미리결정된 로킹 위치에 있는 도 1의 조리 기기를 개략적 사시도로 예시한다.
- 도 11은 로킹 구성의 도 10의 기기를 상면도로 예시한다.
- 도 12는 로킹 구성의 도 10 및 도 11의 기기의 확대 상세도를 개략 사시도로 예시한다.
- 도 13은 용기 및 덮개 경사부의 로킹 협력을 도시하기 위해 부분적으로 투명하게 덮개가 도시되어 있는 로킹 구성의 도 10 내지 도 12의 기기의 개략 사시도를 예시한다.
- 도 14는 로킹 구성의 도 10 내지 도 13의 압력 조리기의 세부사항의 개략 단면도이다.
- 도 15는 도 10 내지 도 14의 압력 조리기의 다른 세부사항의 개략 단면도이다.
- 도 16은 덮개가 용기에 관하여 미리결정된 예비-로킹 위치에 있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압력 조리 기기를 개략 사시도로 예시한다.
- 도 17은 도 16의 압력 조리 기기를 상면도로 예시한다.
- 도 18은 로크가 연장 위치에 있는, 도 16 및 도 17의 기기의 덮개를 아래로부터의 개략 사시도로 예시한다.
- 도 19는 로크가 수축 위치에 있는, 도 18의 덮개를 아래로부터의 개략 사시도로 예시한다.
- 도 20은 그 덮개가 용기에 관하여 미리결정된 로킹 위치에 있는 도 16 내지 도 19의 기기를 개략 사시도로 예시한다.
- 도 21은 로킹 구성의 도 20의 기기를 상면도로 예시한다.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증기, 예로서, 수증기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 수준에서 다양한 음식의 조리를 보증하도록 의도된 식품 압력 조리 기기(1)에 관련한다. 상기 증기는 기기(1) 내에서, 그리고, 식품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조리 액체, 예로서, 수성 액체를 가열함으로써 생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기기(1)는 주로 가정용 용도로 의도되지만, 그러나, 본 발명은 또한 전문 또는 반-전문 기기에도 관련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기기(1)는 외부 압력의 추가 없이 전적으로 가열 소스(통합형 또는 외부적)의 영향 하에 압력이 상승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기기(1)는 유리하게는 예로서, 쿠킹 플레이트로서 외부적 가열 소스를 갖도록 설계된다. 식품 압력 조리 기기(1)는 따라서 주로 그 내용물을 가열하기 위해 독립적 조리 소스(예로서 쿠킹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도록 의도된 압력 조리기를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 기기(1)는 여기서 기기(1)가 정상 동작 중일 때, 즉, 수평 평면 상에 배치될 때, 수직 방향이 되기 쉬운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수직 중심 축 X-X'을 중심으로 실질적으로 회전 대칭성을 갖는 조리 대상 식품을 수용하도록 의도된 조리 베슬(vessel)을 형성하는 용기(2)를 적어도 포함한다. 용기(2)는 통상적으로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알루미늄 같은 금속 재료로 이루어진다. 용기(2)는 예로서 다층 열 전도체 저부인 저부(2A)를 포함한다. 용기(2)는 또한 환형 측방향 벽(2B)을 포함하고, 이는 상기 저부(2A)와 자유 상부 에지(2C) 사이에서 상승하고, 자유 상부 에지는 여기서 원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용기(2)의 내측에 대한 접근을 위한 개구를 한정한다. 이 자유 상부 에지(2C)의 합치부가 기기(1)의 로킹 수단과 연계하여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용기(2)는 적어도 하나의 용기 손잡이(3)를 구비하고, 용기 손잡이는 용기(2)로부터, 더 정확하게는 환형 측방향 벽(2B)의 외부 면으로부터 용기(2)의 외측을 향해, 바람직하게는 자유 상부 에지(2C)의 부근을 향해 반경방향으로(여기서, 중심 축 X-X'에 관하여) 연장하는 국소 돌출부를 형성한다. 따라서,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용기 손잡이(3)는 용기로부터 외부로 돌출하여 용기(2) 취급을 위해(예를 들어, 이를 들어올리고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의도된 파지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용기(2)에 고정된다. 도면에 예시된 양호한 실시예에서, 조리 기기(1)는 중심 축 X-X'에 관하여 정반대쪽에 대치된 방식으로 용기(2)의 측방향 벽(2B)에 부착된 두 개의 동일한 손잡이(3, 4)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3, 4)는 여기서 용기(2)의 자유 상부 에지(2C) 부근에 배열된다. 그러나, 용기(2)가 본 발명의 골격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단 하나의 용기 손잡이(3)를 구비하거나 두 개보다 많은 용기 손잡이(예로서 세 개 또는 네 개)를 구비하는 것을 완전히 고려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기(1)는 또한 용기(2)와 연계되고 용기에 관하여 로킹되어 압력이 상승하도록 구성된 조리 챔버- 즉, 조리 챔버는 기기(1)의 압력의 상승을 허용하도록 충분히 밀폐됨 -를 형성하도록 의도된 덮개(5)를 포함한다. 이 밀봉된 밀폐형 특징을 획득하기 위해, 기기(1)는 바람직하게는 가요성 환형 개스킷에 의해 형성된, 예로서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진, 밀봉 개스킷(6)을 포함하고, 이는 덮개(5)와 용기(2) 사이에 개재되어 챔버 내측과 외측 사이의 증기 및/또는 공기의 임의의 제어되지 않은 누설을 방지하도록 의도된다. 덮개(5)는 통상적으로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알루미늄 같은 금속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유리하게, 이는 용기(2)의 것과 짝을 이루는 형상, 예로서, 대체로 디스크형 형상을 가지며, 이는 유리하게는 용기에 추가되어 그에 로킹될 때 용기(2)의 저부(2A)의 연장부의 평균 평면(즉, 여기서, 실질적으로 수평 평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평균 평면에서 연장한다.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덮개(5)는 용기(2)에 독립적이고, 즉, 상기 용기(2)에 영구적으로 부착되지 않고, 용기로부터 이는 전체적으로 별개이며, 따라서, 이는 사용자에 의해 용기(2)에 자유롭게 연결 또는 분리될 수 있다(물론, 로킹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도면에 예시된 실시예에서, 덮개(5)는 용기(2)의 환형 측방향 벽(2B)의 자유 상부 에지(2C)에 의해 경계형성되는 액세스 개구의 것들과 짝을 이루는 형상 및 크기의 디스크형 커버링 요소(5A)를 포함한다. 이들 실시예에서, 덮개(5)는 또한 유리하게는 예로서 실질적으로 원통형 또는 절두형 형상의 환형 벨트(3B)를 포함하고, 이는 디스크형 커버링 요소(5A)와 일체인 원형 상부 에지(여기서 디스크형 커버링 요소의 주연에 있음)와 예로서, 말단 플랜지에 의해 연장되는 그 자체인 자유 원형 하부 에지 사이에서 상승되어 있다.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형 커버링 요소(5A)는 전체적으로 수평 평균 평면에서, 즉, 여기서 덮개(5)가 용기(2)와 연결되어 조리 챔버를 형성할 때 용기(2)의 저부(2A)의 연장부의 평균 평면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반면, 환형 벨트(5B)는 실질적으로 수직방향으로, 즉, 중심 축 X-X'에 평행하게 연장하며, 말단 플랜지는 자체적으로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연장한다. 이는 물론 예로서 기계적 강도의 이유로 또는 제어 기구를 수용하기 위해 디스크형 커버링 요소(5A)가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국소적으로 미소하게 둥글거나 굴곡될 수 있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도면에 예시된 실시예에서, 환형 벨트(5B)는 디스크형 커버링 요소(5A)의 주연으로부터 하향 연장하는 강하 에지에 의해 형성된다.
이들 실시예에서, 커버(5)는 용기(2)의 상단을 실질적으로 조정된 방식으로 커버하도록 의도되며, 그래서, 환형 벨트(5B)가 자유 상부 에지(2C)와 환형 측방향 벽(2B)의 상단을 외측으로부터 둘러싸는 반면, 디스크형 커버링 요소(5A)는 덮개(5)와 용기(2) 사이에 개재된 밀봉 개스킷(6)을 통해 자유 에지(2C) 상에 지탱된다. 그러나, 환형 벨트(5B)가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골격을 벗어나지 않고 용기(2)에 수용되어 그에 의해 둘러싸여지도록 용기(2) 내에 삽입되도록 의도되는 것도 완전히 고려가능하다.
조리 압력을 제어하기 위해, 기기(1)는 유리하게는 압력 규제 수단(8)을 예로서 규제 밸브로서 포함한다. 상기 압력 규제 밸브는 예로서 상기 덮개(5)에 의해 직접적으로 지지되고 동작 압력이라 지칭되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미리결정된 값으로 조리 챔버 내측의 압력을 유지하도록 배열되게 덮개(5) 상에 장착되며, 동작 압력은 예로서, 실질적으로 10과 120 kPa 사이 또는 예로서, 50 과 55 kPa 사이 또는 85과 90 kPa 사이에 포함되는 또는 예로서, 65 kPa 정도 또는 100 kPa 정도인 값만큼 대기압을 초과한다. 이런 압력 규제 수단의 일반적 동작 원리는 그 자체가 널리 알려져 있으며, 그래서 이를 여기서 더 상세히 설명할 필요는 없다. 식품 압력 조리 기기(1)는 유리하게는 다른 동작 부재(예로서,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개방 안전 수단(21), 과압 안전 밸브 등)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기(1)는 또한 덮개(5)와 용기(2)의 연결에 의해 형성된 조리 챔버가, 챔버 내측의 압력의 영향 하에 덮개(5)가 떨어져 나가는 일이 발생할 위험 없이 적어도 앞서 언급한 동작 압력에 도달할 수 있게 하도록 베이어닛 로킹 시스템을 포함한다. 달리 말하면, 로킹 시스템은 용기(2)와 덮개(5) 사이에서 조리 챔버 내측의 압력의 상승의 영향 하에 용기(2)로부터 덮개(5)의 분리를 방지하기에 충분히 강인한 기계적 링크를 보증하도록 설계된다.
여기서, 베이어닛 로킹 시스템은 여기서 상기 수직 중심 축 X-X'을 중심으로 용기(2)에 관한 덮개(5)의 선회에 의해 언로킹 구성(도 1, 도 8, 도 16 및 도 17에 예시됨)으로부터 로킹 구성(도 10 내지 14, 도 20 및 도 21에 예시됨)으로 전환하도록 설계되고, 그후, 기기(1)가 덮개(5)가 용기(2) 상에 배치되고 자유롭게 용기 위에 올려놓아져 있는 로킹 대기 구성(도 1 및 도 16)으로부터 용기(2)와 덮개(5)가 서로 상호작용하여 그 자유 분리를 방지하는 로킹 구성(도 10 및 도 20)으로, 그리고, 그 반대로 전환되게 한다. 언로킹 구성은 유리하게는 덮개(5)가 (i) 자유롭게 즉시 용기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이전 회전 없이), (ii) 덮개(5)를 용기(2)에 관하여 선회시킴으로써 그 로킹 구성에 도달할 수 있는 둘 모두가 가능할 수 있는 유일한 구성이다. 이는 특히 로킹 시스템이 언로킹 구성을 벗어나자 마자, 그후, 앞서 언급한 조건 (i) 및 (ii) 중 어떤 것도 충족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더 정확하게, 본 발명에 따른 기기(1)의 베이어닛 로킹 시스템은 덮개(5)를 용기(2)에 관하여 미리결정된 로킹 위치(도 10 및 도 20에 예시됨)가 되게 하도록 용기(2)에 관한 덮개(5)의 미리결정된 예비-로킹 위치(도 1 및 도 17에 예시됨)로부터 미리결정된 각도 행정(α)에 따른 용기(2)에 관한 덮개(5)의 선회에 의해 그 언로킹 구성으로부터 그 로킹 구성으로 전환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도면에 예시된 실시예에서, 기기(1)는 시계 방향(S1)으로 중심 축 X-X'을 중심으로 상기 미리결정된 각도 행정(α)에 따른 용기(2)에 관한 덮개(5)의 회전에 의해 그 로킹 대기 구성(덮개(5)의 예비-로킹 위치에 대응)로부터 그 로킹 구성(덮개(5)의 로킹 위치에 대응)로 전환하고, 반대의 반-시계 방향(S2)으로 중심 축 X-X'을 중심으로 상기 미리결정된 각도 행정(α)에 따른 용기(2)에 관한 덮개(5)의 회전에 의해 그 로킹 구성으로부터 그 로킹 대기 구성으로 전환하며, 본 발명의 골격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반대도 완전히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반시계 방향(S1) 및 시계 방향(S2)). 조리 기기(1)의 베이어닛 로킹 시스템은 유리하게는 해당 목적을 위해 제1 및 제2 시리즈의 돌출부(9A-9H, 10A-10H)를 포함하고, 이들은 덮개(5) 및 용기(2) 각각과 일체이며, 이들은 용기(2)에 관한 덮개(5)의 로킹 및 언로킹을 보증하기 위해, 상기 미리결정된 각도 행정(α)에 따라 수직 중심 축 X-X'을 중심으로 용기(2)에 관하여 덮개(5)를 회전시킴으로써 서로 결합 및 서로 분리 각각이 이루어지도록 설계된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시리즈 각각의 돌출부(9A-9H, 10A-10H)는 둘씩 협력하도록 의도되고, 즉, 상기 시리즈 중 하나의 각 돌출부는 용기(2)에 관한 덮개(5)의 회전에 의해 용기(2)에 관해 덮개(5)를 로킹하도록 다른 시리즈의 대응 돌출부 아래를 통과하게 된다.
도면에 예시된 예에서, 각 덮개 돌출부(9A-9H)는 덮개(3)의 인벨로프를 구성하는 재료의 국소 3차원 변형에 의해 획득된 3차원 요소, 더 정확하게는 규칙적 간격이든 아니든 그를 따라 돌출부(9A-9H)가 바람직하게 배열되는 환형 벨트(5B)로 구성된다. 각 돌출부(9A-9H)는 따라서 환형 벨트(5B)와 단일편인 돌기를 형성하고, 이 돌기는 일 측부의 볼록 내부 면과, 다른 측부의 예로서 성형 툴, 바람직하게는 드로잉 툴의 임프린트에 대응하는 "음형"의 반대 오목 외부 면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환형 벨트로부터 돌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특히 도면에 예시된 예에서와 같이 드로잉에 의해 획득되는 특정 돌출부(9A-9H)의 구현예에 절대적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로서, 덮개 돌출부(9A-9H)가 환형 벨트(5B)의 자유 에지의 국소 내향 절첩에 의해 획득되는 평탄한 탭으로 형성되는 것이 완전히 고려가능하다. 그러나, 3차원 요소의 사용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재료의 간단한 변형(드로잉 등)에 의해 양호한 기계적 특성 및 감소된 크기를 갖는 돌출부를 쉽게 획득할 수 있게 하기 때문이다. 그 감소된 크기의 도움으로, 바람직하게는 30° 미만, 예로서, 10°와 25° 사이에 포함되는 비교적 작은 미리결정된 각도 행정(α)에 따른 용기(2)와 덮개(5) 사이의 상대 회전에 의해 로킹 대기 구성(용기(2)에 관한 덮개(5)의 예비-로킹 위치)으로부터 로킹 구성(용기(2)에 관한 덮개(5)의 로킹 위치)로 기기(1)가 전환될 수 있게 하는 것이 가능하며, 본 발명은 특정 각도 행정(α)의 값에 한정되지 않고 이는 30° 이상일 수 있거나 반대로 30° 매우 작을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도면에 예시된 예에서, 용기 돌출부(10A-10H)는 자유 상부 에지(2C)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하는 환형 에지에 의해 형성되고, 절결부(11A-11H)는 상기 덮개 돌출부(9A-9H)의 통로를 허용하도록 상기 환형 에지를 통해 형성되며, 그래서, 각 절결부(11A-11H) 사이에서 연장하는 상기 환형 에지의 부분은 덮개 경사부를 형성하는 덮개 돌출부(9A-9H)와 협력하도록 의도된 각각의 용기 경사부를 형성한다. 따라서, 덮개(5)가 용기(2)를 덮을 때, 덮개 돌출부(9A-9H)는 환형 에지보다 낮은 위치에 도달하도록 절결부(11A-11H)를 통과할 수 있다. 기기(1)는 이때 그 예비-로킹 구성(또한 로킹 대기 구성이라고도 지칭됨)에 있고, 이로부터 수직 축 X-X'을 중심으로 미리결정된 각도 행정(α)에 따라 용기(2)에 관하여 덮개(5)를 단순히 회전시킴으로서 로킹 구성이 도달될 수 있고, 이러한 회전은 환형 에지의 절결부(11A-11H)와 덮개(5)의 돌출부(9A-9H)를 각도방향으로 오프셋시켜 "베이어닛"-형 로킹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라서, 여기서 기기(1)는 또한 상기 미리결정된 각도 행정(α)에 따라 용기(2)에 관하여 덮개(5)를 이동시키도록 덮개(5)에 고정된 안전 요소(12)를 포함한다. 달리 말하면, 안전 요소(12)는 덮개와 단일체 서브세트를 형성하도록 덮개(5) 상에 통합된다. 덮개(5)에 대한 안전 요소(12)의 고정은 덮개(5)에 관한 위치에 대해 안전 요소(12)를 부동화할 수 있게 하는 수단에 의해 보증된다. 따라서, 미리결정된 예비-로킹 위치로부터 미리결정된 로킹 위치로의 전환을 위한 각도 행정(α)에 따른 용기(2)에 관한 덮개(5)의 선회 동안, 안전 요소(12)는 덮개(5)에 의해 보유된다는 사실로 인해 또한 동일한 각도 행정(α)에 따른 선회를 받게 된다. 도면에 예시된 예에서, 안전 요소(12)는 디스크형 커버링 요소의 주연에서 디스크형 커버링 요소(5A) 상에 배열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안전 요소(12) 및 용기 손잡이(3)는 덮개(5)가 상기 미리결정된 로킹 위치를 점유할 때 뿐만 아니라 상기 미리결정된 예비-로킹 위치를 점유할 때에도 적어도 부분적으로 반경방향 대응성을 갖는다(여기서, 중심 축 X-X'에 관함). 따라서, 바람직하게, 안전 요소(12)는 항상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 예비-로킹 위치와 로킹 위치 사이에서 덮개(5)의 미리결정된 각도 행정(α)을 따라 내내 용기 손잡이(3)와 항상 적어도 부분적으로 반경방향 정렬 상태에 있게 된다. 예로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30°보다 낮은 감소된 진폭의 각도 행정(α)의 사용은 그를 따라 용기 손잡이(3)가 연장하는 각도 섹터의 진폭을 최소화, 즉, 상기 용기 손잡이(3)의 폭(L)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하면서 특히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라서, 안전 요소(12)는 로크(16)를 포함하고, 로크는 다음의 위치 사이에서 덮개(5)에 관하여 반경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된다:
- 한편으로, 상기 로크(16)가 상기 덮개(5)로부터 여기서는 가시적 방식으로 반경방향으로 돌출하여 덮개의 외측을 향해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 연장 위치(예로서, 도 1 및 도 16에 예시됨),
- 및 다른 한편으로, 상기 로크(16)가 덮개(5) 내측으로 수축되어 더 이상 덮개(5) 외측을 향해 반경방향으로 돌출하거나 항상 상기 덮개(5)의 외측을 향해 반경방향으로 돌출하지 않고 연장 위치에서보다 적게 돌출하는 수축 위치(예로서, 도 7 및 도 20에 예시됨)
달리 말하면, 연장 위치에서, 로크(16)의 자유 외부 단부(16B)와 덮개(5)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로크가 수축 위치에 있을 때 로크(16)의 자유 외부 단부(16B)와 덮개(5)의 중심 사이의 거리보다 높다.
본 발명에 따른 기기(1)는 상기 연장 및 수축 위치 중 하나에서 상기 로크(16)가 상기 로킹 시스템이 로킹 구성에 있을 때 용기(2)에 의해 보유된 상보적 로킹 구성(17)과 결합하는 반면, 상기 연장 위치와 상기 수축 위치 중 나머지에서 상기 로크(16)가 상기 상보적 로킹 합치부(17)로부터 분리되도록 설계된다.
본 발명은 따라서 로크(16)가 상기 덮개(5)에 관하여 다음 위치 사이에서 반경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도 1 내지 도 15의 제1 실시예에 대응하는 제1 경우에 관련한다:
- 로킹 시스템이 로킹 구성에 있을 때 용기(2)에 의해 보유된 상기 상보적 로킹 합치부(17)와 결합하도록 덮개(5)로부터 로크(16)가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 연장 위치,
- 및 로크(16)가 상기 상보적 로킹 합치부(17)로부터 분리되도록 덮개(5) 내측으로 수축되는 수축 위치.
또한, 본 발명은 로크(16)가 상기 덮개에 관하여 다음 위치 사이에서 반경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도 16 내지 도 21의 변형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경우에 관련한다:
- 로킹 시스템이 로킹 구성에 있을 때 용기(2)에 의해 보유되는 상기 상보적 로킹 합치부(17)와 결합하도록 상기 로크(16)가 덮개(5) 내측으로 수축되는 수축 위치,
- 및 상기 상보적 로킹 합치부(17)로부터 분리되도록 덮개(5)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상기 로크(16)가 돌출하는 연장 위치.
바람직하게, 로크(16)에 의한, 상보적 합치부(17)의 상기 결합은 인터로킹 결합이고, 바람직하게는 그 미리결정된 로킹 위치로부터 그 예비-로킹 위치로 되돌아가도록 덮개(5)가 용기(2)에 관하여 선회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의도된 중심 축 X-X'에 수직인 수평 평면에서의 각도방향 인터로킹이다. 따라서, 로크(16)가 그 연장 위치(도 11 및 도 12의 변형) 또는 그 수축 위치(도 20 및 도 21의 변형)에서, 그리고, 반면에 덮개(5)가 그 예비-로킹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보적 합치부(17)와 결합할 때, 상기 로크(16) 및 상보적 합치부(17)는 따라서 서로에 관한 그 변위 능력을 제한하기 위해 서로 부착된다. 반대로, 수축 위치(도 11 및 도 12의 변형) 또는 연장 위치(도 20 및 도 21의 변형)에서, 로크(16)는 상보적 합치부와 더 이상 상호작용하지 않는 정도로 상보적 합치부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따라서, 덮개(5)가 그 미리결정된 로킹 위치로부터 그 예비-로킹 위치로 되돌아가도록 용기(2)에 관하여 선회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골격 내에 포함되는 이러한 특정 디자인의 도움으로, 사용자는 적어도 그 연장 위치를 점유할 때 덮개(5)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하기 때문에 인터로킹을 보증하는 기계적 부품(즉, 로크(16))을 쉽게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로크(16)가 로킹 또는 언로킹 상황에 있는 경우를 쉽게 식별할 수 있으며, 그 이유는 상기 로크(16)의 위치에 따라 로크가 덮개(5)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다소 돌출하기 때문이다. 사용을 더 더욱 용이하게 하기 위해, 예로서, 로크(16)의 일부가 특정 색상(예로서, 적색 색상)으로 착색되고, 이 착색된 부분은 로크(16)가 그 연장 위치 또는 그 수축 위치 중 어느 하나에 있을 때에만 사용자의 눈에 가시화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유리하게, 특히, 연장 위치에 있을 때, 로크(16)에 의해 형성된 반경방향 연장부는 용기에 관한 그 예비-로킹 위치의 덮개(5)의 위치설정을 용이하게 하도록 기능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용기 손잡이(3)는 유리하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로크(16)를 수용하도록 의도된 수용 합치부(30)를 갖는다. 예로서, 도 1 내지 도 15의 변형에 따라, 수용 합치부(30)는 로크(16)의 자유 극단 부분의 것과 실질적으로 짝을 이루는 형상을 갖는 공동의 형태이다. 사용자는 따라서, 관련 극단 부분이 용기 손잡이(3)의 상단에 형성된 상기 공동 내로 도입되어 자연적으로 덮개(5)를 그 예비-로킹 위치에 위치설정하여야 한다는 것을 직관적으로 이해하게 된다. 로크(16)는 따라서 인터로킹 및 위치 인덱싱의 이중적 역할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 용기 손잡이(3)는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보적 로킹 합치부(17)를 보유한다. 그러나, 상보적 합치부(17)가 용기 손잡이(3)에 의해 보유되지 않고, 직접적으로 용기(2)와 일체화되는 것을 완전히 고려가능하다. 바람직하게, 로크(16)와 상보적 합치부(17) 사이의 인터로킹 협력은 수형/암형 구성이고, 로크(16) 및 상보적 합치부(17)는 각각 상보적 수형 합치부 및 암형 합치부를 형성하거나 그 반대이다. 도 1 내지 도 15의 제1 실시예에서, 용기 손잡이(3)는 상보적 합치부(17)를 구성하는 수용부, 즉, 공동을 형성한다. 관련 수용부는 상기 로크(16) 및 덮개(5)가 상기 연장 위치 및 미리결정된 로킹 위치를 각각 점유할 때 로크(16)의 자유 외부 단부(16B) 내에 수용되도록 의도된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15의 기기(1)의 로킹 구성에서, 로크(16)의 자유 극단 부분은 용기 손잡이(3)와 일체인 수용부에 포획되어 그 미리결정된 언로킹 위치로부터 그 미리결정된 로킹 위치로의 덮개(5)의 임의의 부적절한 시기의 복귀를 방지한다. 반대로, 도 16 내지 도 21의 제2 실시예에서, 상보적 합치부(17)는 이 때 수용부를 형성하지 않고, 대신, 용기 손잡이(3)의 표면에서 돌출하는 차단 돌출부를 형성한다. 이 경우에, 용기 손잡이(3)는 예로서, 상기 차단 돌출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평면형 표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상승하는 스너그(snug)를 구비하는 실질적 평면형 상부 표면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로크(16)는 상기 로크(16) 및 덮개(5)가 상기 수축 위치 및 상기 미리결정된 로킹 위치를 각각 점유할 때 차단 돌출부를 수용하도록 의도된 수용부(18)를 형성한다.
따라서, 덮개(5)는 가 상보적 합치부(17)와 로크(16)가 결합하는(그 연장 위치 - 도 1 또는 그 수축 위치 - 도 20에서) 미리결정된 로킹 위치에 있게 되고 나서, 사용자가 상보적 합치부(17)와의 로크(16)의 기계적 협력으로 인해 덮개를 그 미리결정된 로킹 위치를 벗어나 그 미리결정된 예비-로킹 위치로 되돌아가도록 덮개(5)를 선회시킬 수 없게 한다. 이는 사용자를 위험하게 하는 임의의 시기 부적절한 언로킹 시도를 회피할 수 있게 한다.
예시된 바와 같이, 안전 요소(12)는 덮개(5)에 고정 부착된 주 본체(13)를 포함하고, 상기 로크(16)는 그 연장 위치와 수축 위치 사이에서 상기 주 본체(13)에 관하여 이동가능하게 장착된다. 예시된 바와 같이, 로크(16)는 주 본체가 자체적으로 덮개(5)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할 때를 포함하여, 덮개(5)로부터 뿐만 아니라 주 본체(13)로부터도 반경방향으로 돌출한다. 예시된 바와 같이, 로크(16)는 연장 위치에서 가시적 방식으로 덮개(5) 및 주 본체(13) 양자 모두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하고, 그래서, 사용자는 덮개(5)와 주 본체(13)에 의해 형성된 서브세트로부터 로크(16)가 돌출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 연장 위치에서, 로크(16)는 주 본체(13)와 접촉하는 내부 단부(16A)와 유리하게는 반경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가시적 방식으로 주 본체(13) 및 덮개(5) 양자 모두로부터 돌출하는 자유 외부 단부(16B)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한다. 달리 말해서, 자유 단부(16B)는 로크(16)가 연장 위치에 있을 때 주 본체(13) 외부에 있다. 도면에 예시된 양호한 실시예에서, 주 본체(13)는 예로서 강성 고정 유형의 링크에 의해 덮개(5)에 관하여 부동화되도록 덮개(5)에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도 1 내지 도 15에 예시된 제1 실시예에서, 주 본체(13)는 디스크형 커버링 요소(5A)의 직경을 따라 그를 국소적으로 덮는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진 가로편(14)의 극단 부분의 형태이다. 관련 가로편(14)은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덮개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하지 않고 덮개(5)의 에지와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두 개의 정반대로 대치된 단부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한다. 도 16 내지 도 21의 제2 실시예에서, 주 본체(13)는 이 때 덮개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하지 않고 덮개(5)의 전체 직경에 걸쳐 연장하는 가로편에 의해 형성되지 않으며, 여기서, 디스크형 커버링 요소(5A) 상의 덮개(5)의 주연부에 배열된, 덮개(5)와 별개인 블록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블록은 특히 도 18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덮개(5)의 외측을 향해 반경방향으로 돌출한다. 도 16 내지 도 21의 기기의 주 본체(13)를 형성하는 블록은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재료의 가로편(14)으로 형성되며, 디스크형 커버링 요소(5A)에 고정 부착된다.
유리하게, 기기(1)는 또한 파지 부재(15)를 포함하고, 파지 부재는 덮개(5)에 고정 부착되고, 그에 의한 덮개(5)의 취급 및 수송, 특히, 상기 미리결정된 각도 행정(α)에 따른 용기(2)에 관한 덮개(5)의 선회를 허용하도록 수동 파지되도록 설계된다. 바람직하게, 그리고, 도 1 내지 도 15의 제1 실시예에 따라서, 주 본체(13)는 상기 파지 부재(15)와 단일편이다. 더 정확하게, 도 1 내지 도 15에 예시된 실시예에서, 가로편(14)은 파지 부재(15)를 형성하도록 의도된 그 중심에서 굴곡된 합치부를 가지며, 이는 따라서, 주 본체(13)(가로편(14)의 단부들 중 하나에 대응함)와 함께 단일 및 동일 단일편 부분을 형성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골격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파지 부재(15)가 예로서, 도 16 내지 도 21의 실시예에 따라 주 본체(13)와 완전히 별개인 것이 완전히 고려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파지 부재(15)는 실질적으로 디스크형 커버링 요소(5A)의 중심으로부터 상승하면서 주 본체(13)에 독립적이고 그로부터 완전히 별개인 중심 포멜(pommel)에 의해 형성된다.
유리하게, 로크(16)는 도면에 예시된 실시예에 따라 덮개(5)에 관하여 활주식으로, 그리고, 더 더욱 바람직하게는 반경방향 활주식으로 장착되지만, 그러나, 본 발명은 활주식 장착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유형의 기계적 링크(예로서, 선회)가 덮개(5)와 로크(16) 사이에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도 1 내지 도 15에 예시된 제1 실시예에 따라, 그 연장 위치에서, 로크(16)는 자유 외부 단부(16B)와 주 본체(13)와 접촉하는 내부 단부(16A)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상보적 합치부(17)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 경우에 원하는 인터로킹을 보증하는 체결 구성에 따라 그 내부에 상기 자유 외부 단부(16)를 수용하도록 의도된 수용부를 형성한다. 이 목적을 위해, 자유 외부 단부(16B)는 관련 하우징에 도달하여 그와 협력하도록 덮개(5)의 중심으로부터 충분히 이격 배치된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15에 예시된 제1 실시예에서, 로크(16)는 연장 위치에서 덮개(5)로부터 거리(D1)에 걸쳐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도 4 및 도 6 참조) 탭의 형태인 반면, 수축 위치에서, 상기 탭은 덮개(5)의 외측을 향해 반경방향으로 실질적으로 돌출하지 않거나 거리(D1)보다 작은 거리(D2)에 걸쳐 덮개(5)의 외측을 향해 반경방향으로 돌출한다(도 7). 도 16 내지 도 21의 제2 실시예에서, 로크(16)는 유리하게는 관련 활주체가 주 본체(13)의 외측을 향해 반경방향으로 돌출하지 않는 수축 위치와 반대로 주 본체(13)의 외측을 향해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 연장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판 형상의 활주체의 형태이다.
물론, 순수 수동, 반자동 또는 완전 자동 제어 중 어느 것이든 로크(16)의 위치를 제어하는 다수의 가능성이 존재한다. 예로서, 안전 요소(12)는 로크(16)를 그 연장 위치로 영구적으로 복귀시키거나 상기 로크(16)를 그 수축 위치로 영구적으로 복귀시키기 위해 상기 주 본체(13)와 로크(16) 사이에 개재된 탄성 복귀 수단(19)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탄성 복귀 수단(19)은 나선형 스프링을 포함하고, 본 발명은 특정 탄성 복귀 수단에 제한되지 않으며, 임의의 적절한 탄성체가 선택된 디자인의 기능에 따라 적합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로크(16)는 그것에 적용되는 탄성 복귀 수단의 영향 하에서 그 연장 위치를 영구적으로 점유하는 경향이 있고, 예로서, 사용자에 의해 작용되는 탄성 복귀력에 대향한 직접 제어 작용력의 영향 하에 그 수축 위치로 진행된다. 바람직하게, 안전 요소(12)는 덮개(5)에 의해 보유된 제어 부재(20)를 포함하고, 이는 그 연장 위치로부터 그 수축 위치로 및/또는 그 수축 위치로부터 그 연장 위치로의 로크(16)의 변위를 수동으로 제어하기 위해 덮개에 관하여 수동으로 이동가능하다.
제어 부재(20)는 예로서 주 본체(13)에 의해 보유되며, 바람직하게는 주 본체(13)에 관하여 활주식으로 장착된다. 바람직하게, 제어 부재(20)와 로크(16)가 단일의 동일 단일편 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도 1 내지 도 15에 예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어 부재(20)는 로크(16)와 직접적으로 일체이고, 유리하게는 로크를 보유한다. 이 경우에, 제어 부재(20)는 탄성 복귀 수단(19)에 의해 작용되는 탄성 복귀력에 맞서 그 수축 위치로 로크(16)를 역방향 추진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기기(1)의 이러한 변형의 동작은 예로서 다음의 것일 수 있다:
- 로크(16)는 자연적으로 복귀 수단(19)을 형성하는 스프링에 의해 작용되는 복귀력의 영향 하에 연장 위치에 있다.
- 덮개(5)가 그 미리결정된 예비-로킹 위치에 배치되고, 로크(16)는 그 연장 위치에 있으며, 공동(30)에 수용됨으로써 용기 손잡이(3) 위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버행된다.
- 그후, 사용자가 파지 부재(15)에 의해 덮개(5)를 그 미리결정된 예비-로킹 위치로부터 그 미리결정된 로킹 위치로 선회시키고, 동시에, 덮개(5)가 그 예비-로킹 위치 부근에 도달할 때 제어 부재(20) 상에 제어 작용력을 작용하여 수동으로 그 수축 위치에서 로크(16)의 변위를 제어함으로써 용기 손잡이(3)에 의해 보유된 수용부의 측방향 벽에 충돌하여 로크(16)가 이동을 차단하게 하지 않고 덮개(5)를 그 로킹 위치까지 이르게 한다.
- 덮개(5)가 로킹 위치에 도달하고 나면, 사용자는 제어 부재(20)상의 그 작용력을 해제하고, 이는 로크(16)의 그 연장 위치로의 탄성 복귀를 유발하며, 그래서, 로크(16)의 자유 극단 부분은 용기 손잡이(3)에 의해 보유된 상보적 로킹 합치부(17)를 형성하는 수용부 내에 포획된다.
- 그후, 안전 조건(압력 수준)이 허용하는 경우 덮개를 언로킹하기 위해, 사용자는 먼저 제어 부재(20) 상에 작용력을 작용하여 로크(16)를 수단(19)에 의해 작용되는 탄성 복귀력에 맞서 그 수축 위치로 돌아가게 하고, 그후, 파지 부재(15)의 도움으로 덮개(5)를 그 미리결정된 로킹 위치 외부로 각도방향 오프셋시킨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특정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로서, 본 발명의 골격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안전 요소(12)가 어떠한 탄성 복귀 수단(19)도 포함하지 않는 것을 완전히 고려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어 부재(20)가 로크(16)를 그 연장 위치로부터 그 수축 위치로, 그리고, 그 수축 위치로부터 그 연장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반면, 도 1 내지 도 15의 실시예에서, 제어 부재(20)는 그 수축 위치로부터 그 연장 위치로의 로크(16)의 변위를 직접적으로 보증하지 않으며, 이 변위는 탄성 복귀 수단(19)에 의해 더 직접적으로 보증된다). 또한, 본 발명의 골격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로크(16)가 도 1 내지 도 15의 예에서와 같이 제어 부재(20)에 의해 직접적으로 보유되지 않고, 제어 부재(20)가 주 본체(13)에 관하여서 뿐만 아니라 로크(16)에 관하여서도 수동으로 이동가능한 것- 이 경우, 이는 탄성 복귀 수단(19)에 의해 작용되는 탄성 복귀 작용력에 유리하게 직접적으로 노출될 수 있음 -이 완전히 고려가능하다. 이러한 후자의 특정 실시예에서, 안전 요소(12)는 탄성 복귀 수단(19)에 의해 작용되는 복귀력에 맞서 그 수축 위치에서 로크(16)를 차단하는 차단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 부재(20)는 차단 수단이 옆으로 물러나고 따라서 탄성 복귀 작용력의 영향 하에 그 연장 위치로 로크(16)가 자동으로 되돌아갈 수 있게 하도록 관련 차단 수단을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탄성 복귀 수단이 로크(16)를 그 연장 위치로 복귀시키지 않고 대신 그 수축 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이 고려가능하며, 앞서 고려된 모든 대안적 변형은 필요한 변경을 동반하여 적용가능한 상태로 남아 있다.
도 16 내지 도 21의 실시예에서, 제어 부재(20)는 예로서 그 수축 위치로부터 그 연장 위치로의 로크(16)의 변위를 수동으로 그리고 능동적으로 제어할 뿐만 아니라, 또한, 유리하게 그 연장 위치로부터 그 수축 위치로의 로크(16)의 변위의 제어를 허용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주 본체(13)와 로크(16) 사이에 개재된 탄성 복귀 수단을 로크(16)를 그 수축 위치 또는 그 연장 위치 어디로든 영구적으로 복귀시키도록 구현하는 것이 완전히 고려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15의 제1 실시예에 관련하여 이상에서 고려된 모든 변형은 역시 완전하게 도 16 내지 도 21의 본 제2 실시예에 필요한 변경을 동반하여 적용가능하다.
또한, 그 미리결정된 예비-로킹 위치로부터 그 미리결정된 로킹 위치로의 덮개(5)의 전환이 자동으로 그리고 일시적으로 로크(16)가 그 연장 위치 및/또는 그 수축 위치가 되게 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예로서, 도 1 내지 도 15의 제1 실시예에서, 덮개 손잡이(3)는 유리하게는 캠 표면을 구비할 수 있고, 이 캠 표면은 로크(16)의 상보적 캠 표면과 협력하며, 그래서, 로크는 그 미리결정된 예비-로킹 위치로부터 그 미리결정된 로킹 위치로의 덮개(5)의 회전의 영향 하에 그 수축 위치로 역방향 추진되고, 로크(16)는 용기 손잡이(3)의 캠 표면을 통과하고 나면 자동으로 탄성 복귀 수단(19)의 영향 하에 그 연장 위치로 되돌아가게 되며, 그래서, 상보적 로킹 합치부(17)를 형성하는 수용부 내에 포획된다.
다른 한편, 반대동작은 불가능하며, 사용자는 덮개(5)를 언로킹하기 위해 제어 부재(20) 상에 능동적 작용력을 작용하여야만 한다. 도 16 내지 도 21의 실시예에서, 로크(16)는 예로서, 영구적으로 받게되는 탄성 복귀의 영향 하에 그 연장 위치로 영구적으로 역방향 추진된다. 용기 손잡이(3)는 유리하게는 그 미리결정된 예비-로킹 위치로부터 그 미리결정된 로킹 위치로의 덮개(5)의 선회의 영향 하에 로크(16)에 의해 보유된 수용부(18)가 용기 손잡이(3)에 의해 보유된 상보적 로킹 합치부(17)를 형성하는 돌출부를 포획할 수 있는 그 수축 위치로 로크를 역방향 추진하도록 로크(16)에 의해 보유된 상보적 캠 표면과 협력하도록 설계된 캠 표면을 구비한다. 또한, 도 16 내지 도 21의 본 실시예에서, 로크(16)가 이를 그 수축 위치에 보유하는 경향이 있는 탄성 복귀력에 영구적으로 노출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안전 요소(12)는 유리하게는 차단 수단이 탄성 복귀력에 맞서 그 연장 위치에서 로크(16)를 보유하는 차단 위치와 차단 수단이 옆으로 물러나 탄성 복귀력의 영향 하에 로크(16)가 그 수축 위치로 되돌아가게 하는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차단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부재(20)는 유리하게 이 경우에 그 차단 위치로부터 그 해제 위치로의 차단 수단의 통과를 제어한다. 또한, 그 차단 위치로부터 그 해제 위치로의 차단 수단의 통과는 용기 손잡이(3)에 의해 보유된 캠 표면과 안전 요소(12) 각각의 협력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되며, 이 경우, 제어 부재(20)는 이 때 기구를 리셋하기 위해, 즉, 물론 안전 조건(압력 수준)이 이를 허용하는 경우 로크(16)를 그 연장 위치 역방향 추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제어 부재(20)는 임의의 적절한 형태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반경 방향으로 존재하든(도 1 내지 도 15의 실시예) 또는 접선 방향으로 존재하든(도 16 내지 도 21의 실시예) 주 본체(13)에 관하여 활주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제어 부재(20)는 예로서, 추진기, 레버, 풀 탭, 활주체, 버튼, ...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디자인의 형태이다.
바람직하게, 최적의 사용 안전성을 제공하기 위해, 기기(1)는 용기(2)에 관하여 덮개(5)의 언로킹을 허용하는 해제 구성과 용기(2)에 관한 덮개(5)의 언로킹을 금지하는 차단 구성 사이에서 기기(1) 내측의(즉, 조리 챔버 내의) 압력 수준의 영향 하에 전개될 수 있는 개방 안전 수단(21)을 포함한다. 이 목적을 위해, 안전 수단(21)은 다음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요소(21A)를 포함한다:
- 상기 로크(16)가 상보적 합치부(17)와 결합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연장 위치 및 수축 위치 중 하나에서 로크(16)를 차단하는 안전 위치,
- 및 상기 연장 위치 및 수축 위치 중 나머지에 로크가 도달할 수 있게 하도록 로크(16)와 간섭하지 않는 중립 위치.
요소(21A)는 유리하게는 주 본체(13)에 통합된다. 바람직하게, 중립 위치는 안전 수단(21)이 외측과 연통하는 챔버 내측에 배치되는 누설 위치인 반면, 차단 위치가 안전 수단(21)이 챔버의 압력의 상승을 허용하는 외측과 연통하여 조리 챔버의 내측에 배치되지 않는 밀봉 위치에 있다. 예로서, 요소(21A)는 기기(1) 내측의 압력이 미리결정된 수준에 도달하자 마자 역방향 추진되는 상단 위치(안전 위치에 대응)와 기기(1) 내의 압력이 상기 미리결정된 수준에 도달하지 않는 한 그 자체의 중량의 영향 하에 유지되는 저부 위치(중립 위치에 대응) 사이에서 수직방향으로 활주하게 장착된다. 바람직하게, 그 상단 위치에서, 예로서, 안전 핑거 형태의 요소(21A)는 상보적 합치부(17)와 결합하는 그 연장 위치를 로크가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로크(16)와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협력할 수 있다. 예로서, 도 1 내지 도 15의 실시예에서, 상단 위치에 있을 때 핑거(21A)는 로크(16)를 보유하는 제어 부재(20)의 상보적 합치부 내에 진입하고, 따라서, 제어 부재(20)와 이에 따라 로크(16)의 변위를 방지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골격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안전 핑거(21A)는 로크(16)와 직접적으로 협력하는 것이 완전히 고려가능하다.
또한, 안전 핑거(21A)의 상단이 상단 위치에 있을 때 가시적이고 따라서 사용자에게 기기(1)의 동작 상태의 시각적 지표를 제공하도록 제어 부재(20)의 본체에 슬롯이 유리하게 제공된다. 안전 수단(21)은 따라서 개방 안전 수단을 형성하고, 이는 기기(1)가 압력 하에 있을 때 임의의 시기 부적절한 개방을 방지한다.
유리하게, 로크(16)가 상기 상보적 합치부(17)와 결합하는 그 위치(연장 또는 수축)에 있을 때, 이는 안전 수단이 그 해제 구성으로부터 그 차단 구성으로 진행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안전 수단(21)과 협력한다. 로크(16)가 상기 상보적 합치부(17)와 결합하지 않는 한 기기(1)의 압력 상승을 방지하는 이러한 안전 기능성의 부적절한 폐쇄는 예로서 제어 부재(20)를 통해 배열된 오리피스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그 크기는 실질적으로 핑거(21A)의 것으로 조정되며, 그래서, 오리피스가 핑거(21A)와 정확하게 정렬되지 않을 때, 핑거는 관련 오리피스의 에지에 충돌하여 핑거가 그 차단 위치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한다.

Claims (15)

  1. 용기(2), 용기(2)에 독립적인 덮개(5) 및 용기(2)에 관하여 덮개(5)를 선회시킴으로써 언로킹 구성으로부터 로킹 구성으로 전환하도록 설계된 베이어닛 로킹 시스템을 포함하는 식품 압력 조리 기기(1)로서, 상기 기기(1)는 또한 덮개와 함께 용기(2)에 관해 선회 이동하도록 덮개에 고정된 안전 요소(12)를 포함하는, 식품 압력 조리 기기에 있어서,
    상기 기기(1)는 상기 안전 요소(12)가 덮개(5)에 고정 부착된 주 본체(13) 및 로크(16)를 포함하고, 상기 로크는 한편으로 상기 덮개(5) 및 상기 주 본체(13) 양자 모두로부터 상기 로크(16)가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 연장 위치 및 다른 한편으로 상기 로크(16)가 덮개(5) 내측에 수축되어 있는 수축 위치 사이에서 상기 주 본체(13)에 관하여 반경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그래서, 상기 연장 위치 및 수축 위치 중 하나에서, 상기 로크(16)는 상기 로킹 시스템이 로킹 구성에 있을 때 용기(2)에 보유된 상보적 로킹 구성(17)과 결합하는 반면, 상기 연장 위치와 수축 위치 중 다른 하나에서 상기 로크(16)는 상기 상보적 로킹 구성(17)으로부터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기기(1)는 쿠킹 플레이트(15)인 외부적 가열 소스에 노출되도록 설계되며,
    상기 용기(2) 및 상기 덮개(5)는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용기(2)에 대한 상기 덮개(5)의 선회는 상기 로크(16)가 상기 상보적 로킹 구성(17)으로부터 해제될 때 허용되며,
    상기 덮개(5)가 상보적 로킹 구성(17)과 로크(16)가 결합하는 미리결정된 로킹 위치에 있으면, 상보적 로킹 구성(17)과의 로크(16)의 기계적 협력으로 인해, 덮개(5)가 그 미리결정된 로킹 위치를 벗어나 그 미리결정된 예비-로킹 위치로 되돌아가도록 사용자가 덮개(5)를 선회시킬 수 없고,
    상기 베이어닛 로킹 시스템은 상기 덮개(5) 및 상기 용기(2) 각각과 일체인 제1 및 제2 시리즈의 돌출부(9A-9H, 10A-10H)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9A-9H, 10A-10H)는 상기 용기(2)에 관한 상기 덮개(5)의 로킹 및 언로킹을 보증하기 위해 상기 덮개(5)를 상기 용기(2)에 관하여 미리결정된 각도 행정(α)에 따라 회전시킴으로써 서로 결합 및 서로 분리 각각이 이루어지도록 설계되고, 상기 제1 및 제2 시리즈 각각의 돌출부(9A-9H, 10A-10H)는 둘씩 협력하도록 의도되어, 상기 시리즈 중 하나의 각 돌출부는 상기 용기(2)에 관한 상기 덮개(5)의 회전에 의해 상기 용기(2)에 관해 상기 덮개(5)를 로킹하도록 다른 시리즈의 대응 돌출부 아래를 통과하게 되는,
    기기(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요소(12)는 상기 로크(16)를 그 연장 위치 또는 그 수축 위치로 영구적으로 복귀시키기 위한 탄성 복귀 수단(1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연장 위치에서, 상기 로크(16)는 가시적 방식으로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1).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요소(12)는 덮개(5)에 의해 보유된 제어 부재(20)를 포함하고, 제어 부재는 그 연장 위치로부터 그 수축 위치로 및/또는 그 수축 위치로부터 그 연장 위치로의 로크(16)의 변위를 수동으로 제어하기 위해 덮개에 관하여 수동으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1).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부재(20)는 상기 주 본체(13)에 의해 보유되고, 주 본체에 관하여 활주식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1).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그 연장 위치에서, 상기 로크(16)는 주 본체(13)와 접촉하는 내부 단부(16A)와 자유 외부 단부(16B)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자유 외부 단부(16B)는 주 본체(13) 및 덮개(5) 양자 모두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1).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보적 로킹 구성(17)은 그 내부에 상기 자유 외부 단부(16B)를 수용하도록 의도된 수용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1).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2)는 용기(2)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국소 돌출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상보적 로킹 구성(17)을 보유하는 용기 손잡이(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1).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보적 로킹 구성(17)은 용기 손잡이(3)의 표면에서 돌출하는 차단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로크(16)는 상기 차단 돌출부를 수용하도록 의도된 수용부(18)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1).
  10. 제8항에 있어서, 그 연장 위치를 점유할 때, 상기 로크(16)는 덮개(5)가 미리결정된 예비-로킹 위치를 점유할 때 상기 용기 손잡이(3) 위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1).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시스템은 덮개(5)가 용기(2)에 관해 미리결정된 로킹 위치가 되게 하기 위한 용기(2)에 관한 덮개(5)의 미리결정된 예비-로킹 위치로부터의 미리결정된 각도 행정(α)에 따른 용기(2)에 관한 덮개(5)의 선회에 의해 그 언로킹 구성으로부터 그 로킹 구성으로 전환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1).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용기(2)에 관한 덮개(5)의 언로킹을 금지하는 차단 구성과 용기(2)에 관한 덮개(5)의 언로킹을 허용하는 해제 구성 사이에서 기기(1) 내부의 압력 수준의 영향 하에 전개될 수 있는 개방 안전 수단(21)을 포함하고, 상기 안전 수단(21)은 한편으로는 상기 로크(16)가 상보적 로킹 구성(17)과 결합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연장 및 수축 위치 중 하나에서 로크를 차단하는 안전 위치와 다른 한편으로 상기 연장 및 수축 위치 중 나머지에 로크가 도달할 수 있게 하도록 로크(16)와 간섭하지 않는 중립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요소(21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1).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덮개(5)에 고정 부착된 파지 부재(15)를 포함하고, 파지 부재는 그에 의한 덮개(5)의 수송 및 취급을 허용하도록 수동으로 파지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1).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주 본체(13)는 상기 파지 부재와 단일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1).
  15. 삭제
KR1020170163923A 2016-12-02 2017-12-01 베이어닛 압력 조리기 및 이동가능 로크 KR1024471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661864A FR3059534B1 (fr) 2016-12-02 2016-12-02 Autocuiseur a baionnette et verrou mobile
FR1661864 2016-12-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3839A KR20180063839A (ko) 2018-06-12
KR102447170B1 true KR102447170B1 (ko) 2022-09-26

Family

ID=58054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3923A KR102447170B1 (ko) 2016-12-02 2017-12-01 베이어닛 압력 조리기 및 이동가능 로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3329810B1 (ko)
JP (1) JP7168316B2 (ko)
KR (1) KR102447170B1 (ko)
CN (2) CN108294613B (ko)
BR (1) BR102017026012B1 (ko)
CO (1) CO2017012355A1 (ko)
ES (1) ES2750235T3 (ko)
FR (1) FR30595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59534B1 (fr) * 2016-12-02 2019-06-21 Seb S.A. Autocuiseur a baionnette et verrou mobile
WO2018233210A1 (zh) * 2017-06-21 2018-12-27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器具
WO2019032876A1 (en) 2017-08-09 2019-02-14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CN110613324B (zh) * 2018-06-20 2021-07-23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一种锅盖及一种具有该锅盖的烹饪器具
FR3082717B1 (fr) * 2018-06-26 2020-07-03 Seb S.A. Autocuiseur muni d'une butee pour couvercle
CN110960077B (zh) * 2018-09-30 2021-07-20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器具及其控制方法
FR3091986B1 (fr) * 2019-01-28 2021-01-15 Seb Sa Appareil de cuisson sous pression a securite ultime
US11751710B2 (en) 2019-02-25 2023-09-12 Sharkninja Operating Llc Guard for cooking system
CN110537836B (zh) * 2019-09-05 2021-02-1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烹饪电器、调压装置及调压机构
US11647861B2 (en) 2020-03-30 2023-05-16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CN112244628A (zh) * 2020-10-09 2021-01-22 上海纯米电子科技有限公司 电饭煲以及电饭煲的控制方法
CN112273980B (zh) * 2020-10-09 2022-03-11 纯米科技(上海)股份有限公司 电饭煲
CN114668293B (zh) * 2022-02-28 2024-05-2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开合盖结构及具有其的电饭煲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8787B1 (ko) 1993-01-28 2001-11-22 폴 리비에르 압력유출제한밸브의자동제어장치
CN106073480A (zh) * 2016-08-09 2016-11-09 新兴县先丰不锈钢制品有限公司 按钮开合可立盖微压锅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73022A (en) * 1981-04-17 1982-10-25 Sanyo Electric Co Pressure cooker
JPS5861128U (ja) * 1981-10-19 1983-04-25 シャープ株式会社 圧力調理器
JPS6086219U (ja) * 1983-11-18 1985-06-13 関西軽金属工業株式会社 圧力鍋のロツク装置
ES1011685Y (es) * 1989-10-16 1990-11-16 Fagor, S. Coop. Ltda. Olla a presion perfeccionada.
KR200144686Y1 (ko) * 1996-10-21 1999-06-15 최순희 전기보온밥솥의 뚜껑잠금장치
FR2998152B1 (fr) * 2012-11-16 2017-11-24 Seb Sa Appareil de cuisson d'aliments sous pression comportant un organe de commande ameliore
US9456713B2 (en) * 2013-05-20 2016-10-04 Dart Industries Inc. Microwave pressure cooker
FR3033993B1 (fr) * 2015-03-26 2017-04-28 Seb Sa Autocuiseur a baionnette et procede de fabrication afferent
FR3059534B1 (fr) * 2016-12-02 2019-06-21 Seb S.A. Autocuiseur a baionnette et verrou mobi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8787B1 (ko) 1993-01-28 2001-11-22 폴 리비에르 압력유출제한밸브의자동제어장치
CN106073480A (zh) * 2016-08-09 2016-11-09 新兴县先丰不锈钢制品有限公司 按钮开合可立盖微压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294613A (zh) 2018-07-20
CN108294613B (zh) 2021-07-30
JP2018108354A (ja) 2018-07-12
CN209136190U (zh) 2019-07-23
BR102017026012A2 (pt) 2018-08-21
BR102017026012B1 (pt) 2023-10-03
ES2750235T3 (es) 2020-03-25
EP3329810A1 (fr) 2018-06-06
KR20180063839A (ko) 2018-06-12
FR3059534B1 (fr) 2019-06-21
JP7168316B2 (ja) 2022-11-09
EP3329810B1 (fr) 2019-09-11
FR3059534A1 (fr) 2018-06-08
CO2017012355A1 (es) 2018-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7170B1 (ko) 베이어닛 압력 조리기 및 이동가능 로크
KR102452939B1 (ko) 인터로킹가능 용기 및 덮개 손잡이를 갖는 베이어닛 압력 조리기
US10076206B2 (en) Bayonet fitting pressure cooker provided with a control member
KR102581163B1 (ko) 로킹 제어용 수동 제어 부재를 구비한 압력 조리기
US10448777B2 (en) Bayonet-fitting pressure cooker provided with a vessel handle
US8944272B2 (en) Pressure-cooking utensil having a dual-purpose locking/unlocking control member
CN109310226B (zh) 改进控制人体工程学的压力烹饪器具
US7373874B2 (en) Pressure-cooking appliance having a single control member for decompression and for locking/unlocking
US10244883B2 (en) Bayonet-fitting pressure cooker provided with guide elements
US9854932B2 (en) Pressure cooker
US8813989B2 (en) Steam pressure vessel with safety device
BR112014006182B1 (pt) Dispositivo de cozinha sob pressão que compreende um meio de segurança de abertura
KR20220088318A (ko) 제어 모듈을 구비한 베이어닛 압력 조리기
JP2022132154A (ja) 改良型の蓋を装備した飲料調製器具
KR20220088316A (ko) 개선된 동적 거동을 갖는 제어 부재를 구비한 베이어닛 압력 조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