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9522Y1 - 온수 안전레버 - Google Patents

온수 안전레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9522Y1
KR200269522Y1 KR20010039874U KR20010039874U KR200269522Y1 KR 200269522 Y1 KR200269522 Y1 KR 200269522Y1 KR 20010039874 U KR20010039874 U KR 20010039874U KR 20010039874 U KR20010039874 U KR 20010039874U KR 200269522 Y1 KR200269522 Y1 KR 2002695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handle
opening
safety lever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100398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희종
Original Assignee
윤희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희종 filed Critical 윤희종
Priority to KR200100398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95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95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95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47Bypass or safety val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냉온수기의 물이 유아들의 장난이나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온수 안전레버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온수 안전레버는, 정수기 또는 냉온수기에 장착되어 그 내부에 담긴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를 갖는 레버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탄성부재의 외향탄력을 받으며 위치하고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본체 외부로 연장되는 작동축과, 위치한 상태로 일측은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가 설치되고 타측은 본체 외부로 연장되는 작동축과, 이 작동축과 힌지 결합된 측판 및 이 측판에서 연장된 누름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측판은 지지축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누름손잡이는 2개의 부재로 힌지 결합되어 꺾거나 펼 수 있도록 형성되며, 그 하부에는 상기 누름손잡이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보조손잡이를 설치하여, 누름손잡이를 편 상태로 여기에 보조 손잡이를 맞댄 상태에서만 배출구를 개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온수 안전레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온수 안전레버{HOT-WATER SUPPLY SAFETY LEVER}
본 고안은 온수 안전레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냉온수기의 물이 유아들의 장난이나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온수 안전레버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산업발달로 인한 수질오염이 심각해짐에 따라 수돗물에 대한 불신이 높아지면서 정수기로 정화된 물을 식수로 사용하거나, 시중에서 판매되는 생수를 식수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
상기 정수기는 수돗물이나 약수와 같은 물을 침전, 여과, 살균 등의 과정을 거쳐 수돗물이나 약수에 함유된 중금속 및 기타 유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정화된 물을 소정온도로 냉각하거나 가열하여 냉수 및 온수를 선택적으로음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생수는 일정한 크기의 용기에 생수가 채워진 생수통을 냉온수기에 뒤집어 올려놓아 수압에 의하여 생수가 배출되도록 이루어지며, 생수를 소정온도로 냉각하거나 가열하여 냉수 및 온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이러한 정수기나 냉온수기(이하 냉온수기로 칭함)에는 냉수 및 온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각각의 콕(cock)이 설치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이 배출 콕을 조작하여 냉수 또는 온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냉온수기에 제공된 배출 콕은 지렛대 원리를 이용한 손잡이로 형성되며, 이 손잡이를 누름으로서 배출구가 개방되어 물이 배출되고, 손잡이에 가해진 힘이 제거되면 탄성부재의 탄력으로 손잡이가 원위치 되면서 배출구를 폐쇄하여 물의 배출이 중단된다.
이러한 경우 유아들의 장난이나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물이 배출될 수 있는데, 특히 온수가 배출되면 화상을 입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따라서 이러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1999년 2월 9일자로 등록된 실용신안등록 제0145026호의 안전장치가 구비된 자동닫힘 물꼭지가 제시되어 있다.
상기 자동닫힘 물꼭지는, 물꼭지 몸체와, 이 물꼭지 몸체의 상부에 설치되며 지렛대의 힘점부분을 갖는 누름 손잡이와, 상기 누름 손잡이에 결합되어 2단 작동되면서 지렛대의 받침점을 갖는 보조손잡이로 구성된다.
이러한 자동닫힘 물꼭지는, 누름 손잡이와 보조손잡이를 맞잡은 1단계 작동후, 이들 맞잡은 손잡이들을 동시에 누르는 2단계 작동의 경우 물꼭지가 개방되어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안전장치가 구비된 자동닫힘 물꼭지는, 누름 손잡이와 보조손잡이가 이격된 초기 상태에서, 누름 손잡이를 잡고 이 누름손잡이 쪽으로 보조손잡이를 누르면, 상기 보조 손잡이의 받침휠이 지렛대 역할을 하면서 누름손잡이와 보조손잡이의 간격이 좁혀짐과 동시에 배출구가 개방되어 물이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자동닫힘 물꼭지는 누름 손잡이와 보조손잡이를 동시에 들어올려 이들 손잡이들을 맞잡은 상태에서, 이들 맞잡은 누름 손잡이와 보조손잡이를 동시에 누르는 경우에는 보조손잡이가 안전장치의 역할을 수행하지만, 누름 손잡이와 보조손잡이를 들어올리지 않은 상태로 맞잡으면 보조손잡이가 안전장치의 역할을 수행할 수 없어 배출구가 개방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받침축 역할을 하는 누름손잡이를 2개의 부재로 힌지 결합하여 꺾거나 펼 수 있도록 형성하고, 그 하부에는 상기 누름손잡이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보조손잡이를 설치하여, 온수 안전레버를 작동시키려면 누름손잡이를 편 상태에서 보조 손잡이를 맞댄 상태에서만 배출구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하여 냉온기의 물이 유아들의 장난이나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온수 안전레버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정수기 또는 냉온수기에 장착되어 그 내부에 담긴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를 갖는 레버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탄성부재의 외향탄력을 받으며 위치하고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본체 외부로 연장되는 작동축과, 위치한 상태로 일측은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가 설치되고 타측은 본체 외부로 연장되는 작동축과, 이 작동축과 힌지 결합된 측판 및 이 측판에서 연장된 누름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측판은 지지축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누름손잡이는 2개의 부재로 힌지 결합되어 꺾거나 펼 수 있도록 형성되며, 그 하부에는 상기 누름손잡이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보조손잡이를 설치하여, 누름손잡이를 편 상태로 여기에 보조 손잡이를 맞댄 상태에서만 배출구를 개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온수 안전레버를 제공한다.
상기 측판의 일측면은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지지축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누름손잡이와 보조손잡이의 대향면에는 이들 손잡이들의 맞댄 상태를 더욱 견고히 유지할 수 있도록 돌기와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온수 안전레버의 사시도.
도 2는 도 1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온수 안전레버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온수 안전레버의 작동상태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온수 안전레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온수 안전레버의 단면도로서, 본 고안에 의한 온수 안전레버은, 일측이 도시되지 않은 정수기 또는 냉온수기(이하 냉온수기로 칭함)에 장착되는 레버 본체(2)와, 이 본체(2)에 장착되어 냉온수기에 담긴 물을 외부로 배출하거나 차단하는 레버(4)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2)는 내부가 공간부로 이루어지며 일측은 본체(2)에서 연장되어 냉온수기와 연결되도록 이루어진 연결부(6)와, 이 연결부(6)와 통하도록 형성되고 레버(4)의 작동으로 냉온수기의 물이 본체(2)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8)를 갖추며, 상부에는 중앙부에 관통구멍이 뚫린 캡(10)이 본체(2)와 분리 가증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본체(2)의 연결부(6)와 배출구(8) 사이에는 배출구(8)를 개폐하는 개폐부재(12)가 설치되는데, 이 개폐부재(12)는 유연성을 갖는 실리콘이나 고무재질로 제작되며, 상부는 개방부로 이루어지고 하부는 폐쇄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개폐부재(12)는 캡(10)에 지지된 압축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된 탄성부재(14)의 외향탄력을 받으며 설치되어 평상시에는 배출구(8)를 폐쇄하도록 구성되며, 개폐부재(12)의 내측 하부에는 개폐부재(12)를 개방하는 작동축(16)이 결합되어 캡(10)의 구멍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작동축(16)은 캡(10)의 외측에서 레버(4)와 연결되며, 이 레버(4)의 작동으로 작동축(16)을 상승시켜 개폐부재(12)를 개폐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상기 레버(4)는 작동축(16)에 형성된 힌지부(18)와 힌지 결합되며 캡(10)의 윗면에 지지되어 지지축 역할을 수행하는 한 쌍의 측판(20)과, 이 측판(20)에서 연장되는 누름 손잡이(22)와, 상기 측판(20)에 힌지부(24)를 통하여 힌지 결합된 보조손잡이(26)로 이루어진다.
상기 측판(22)은 보조손잡이(26)가 위치한 방향의 하부 모서리가 라운드로 형성되어 지지축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그 반대쪽 뒷부분은 경사면(28)으로 형성되어 지지축의 역할을 할 수 없도록 되어있다.
상기 누름 손잡이(22)는 측판(20)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일측끝단면의 중앙부분에 홈이 형성된 제1부재(22a)와, 이 제1부재(22a)의 면과 대응되어 상기 홈에 삽입되는 돌기를 가지며 핀(30)으로 힌지 결합되어 꺾거나 펼 수 있도록 형성된 제2부재(22b)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제2부재(22b)를 폈을 경우 누름손잡이(22)의 저면과 면접촉하여 누름손잡이(22)가 펴진 상태를 유지하는 보조손잡이 (26)가 그 하부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누름손잡이(22)를 편 상태에서 이 누름손잡이(22)와 보조손잡이 (26)를 맞잡았을 경우, 이 누름손잡이(22)와 보조손잡이(26)가 접촉된 상태를 더욱 견고히 유지할 수 있도록, 누름손잡이(22)와 보조손잡이(26)의 대향면 일측에는 다수의 돌기(32) 및 이들 돌기(32)와 대응되는 홈(34)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온수 안전레버는 평상시에는 도 3에서와 같이 보조손잡이(26)와 누름손잡이(22)의 제2부재(22b)는 자중에 의하여 아래쪽으로 처진 상태로 위치하게 되며, 개폐부재(12)는 탄성부재(14)의 외향 탄력을 받아 배출구(8)를 폐쇄하여 물이 배출되지 않는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상기 누름손잡이(22)와 보조손잡이(26)를 각각 또는 동시에 아래쪽으로 내려도 보조손잡이(26)가 캡(10)에서 약간의 거리를 두고 이격된 상태이므로 측판(20)이 지지축 역할을 수행할 수 없어 개폐부재(12)는 개방되지 않으며, 반대로 상기 누름손잡이(22)와 보조손잡이(26)를 각각 또는 동시에 반대방향으로 들어 올려도 측판(20)의 후면이 경사면(28)으로 형성되어 지지축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게됨으로 개폐부재(12)는 개방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온수 안전레버를 작동하여 배출구(8)를 개방하려면, 먼저 보조손잡이(26)의 끝단부를 위쪽으로 상승시키면 이 보조 손잡이(26)가 힌지부(24)를 축으로 회전하면서 누름 손잡이(22)를 구성하는 제2부재(22b)와 접촉되고, 이 제2부재(22b)는 핀(30)을 축으로 회전하면서 누름손잡이(22)와 보조손잡이(26)는 평행하게 위치하면 서로 맞닿은 상태가 된다(도 4a 참조).
이때 누름손잡이(22)에 형성된 돌기(32)는 보조손잡이(26)에 형성된 홈(34)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손잡이들이 맞대어진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누름손잡이(22)와 보조손잡이(26)를 동시에 내리면, 상기 보조손잡이(26)가 누름손잡이(22)를 지지한 상태로 하강하면서 측판(20)이 회전하고, 이러한 측판(20)의 회전으로 이 측판(20)과 힌지부(18)를 통하여 연결된 작동축 (16)이 상승하고, 이에 따라 배출구(8)를 폐쇄하고 있던 개폐부재(12)가 탄성부재 (14)를 압축하면서 상승하여 배출구(8)를 개방한다(도 4b 참조).
배출구(8)가 개방되어 사용자가 필요한 양의 물이 배출되면, 잡고 있던 누름손잡이(22)와 보조손잡이(26)를 놓으면 압축되었던 탄성부재(14)의 외향 탄력에 의하여 개폐부재(12)가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배출구(12)를 폐쇄하게됨과 동시에 작동축(16)도 원위치로 되돌아오면서 모든 부재들이 도 3에서와 같이 초기상태로 위치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온수 안전레버는, 냉온수기에 담긴 물을 배출시키려면 누름손잡이를 편 상태에서 보조 손잡이를 맞댄 상태에서만 배출구를 개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므로, 냉온기의 물이 유아들의 장난이나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화상과 같은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Claims (4)

  1. 정수기 또는 냉온수기에 장착되어 그 내부에 담긴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를 갖는 레버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탄성부재의 외향탄력을 받으며 설치되어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본체 외부로 연장되는 작동축과, 위치한 상태로 일측은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가 설치되고 타측은 본체 외부로 연장되는 작동축과, 이 작동축과 힌지 결합된 측판 및 이 측판에서 연장된 누름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측판은 지지축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누름손잡이는 2개의 부재로 힌지 결합되어 꺾거나 펼 수 있도록 형성되며, 그 하부에는 상기 누름손잡이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보조손잡이를 설치하여, 누름손잡이를 편 상태로 여기에 보조 손잡이를 맞댄 상태에서만 배출구를 개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온수 안전레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판의 일측면은 지지축 역할을 수행할 수 없도록 형성되어 누름손잡이나 보조손잡이를 각각 또는 동시에 들어 올려도 개폐부재가 개방될 수 없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안전레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누름손잡이와 보조손잡이의 대향면에는 이들 손잡이들의 맞댄 상태를 더욱 견고히 유지할 수 있도록 돌기와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안전레버.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누름손잡이와 보조손잡이는 평상시에는 자중에 의하여 아래쪽으로 처진 상태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안전레버.
KR20010039874U 2001-12-24 2001-12-24 온수 안전레버 KR2002695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10039874U KR200269522Y1 (ko) 2001-12-24 2001-12-24 온수 안전레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10039874U KR200269522Y1 (ko) 2001-12-24 2001-12-24 온수 안전레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9522Y1 true KR200269522Y1 (ko) 2002-03-22

Family

ID=41152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10039874U KR200269522Y1 (ko) 2001-12-24 2001-12-24 온수 안전레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952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54573A1 (en) * 2007-10-25 2009-04-30 Winix Inc. The safety device for a system to supply the drinking water
KR100953811B1 (ko) 2008-05-23 2010-04-22 주식회사 진텍 냉온수기용 안전코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54573A1 (en) * 2007-10-25 2009-04-30 Winix Inc. The safety device for a system to supply the drinking water
KR100938123B1 (ko) * 2007-10-25 2010-01-22 주식회사 위닉스 냉온수기의 취수 안전레버
KR100953811B1 (ko) 2008-05-23 2010-04-22 주식회사 진텍 냉온수기용 안전코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09053B1 (en) Lid assembly and drinking container comprising the same
US4298551A (en) Appliance for making an aerated beverage
US6997104B1 (en) Coffee maker
US7651002B2 (en) Closure cap for a bottle with controlled opening
CN103129824A (zh) 能够排气的饮料容器封闭件
KR100321808B1 (ko) 냉,온 정수기용 급수레버 안전장치
KR100938123B1 (ko) 냉온수기의 취수 안전레버
KR200269522Y1 (ko) 온수 안전레버
US6779434B2 (en) Structure for warming cups in a coffee maker
CN219000100U (zh) 一种保温壶
KR200145026Y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자동닫힘 물꼭지
KR200278993Y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온음료 공급기용 토출구
KR200231093Y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자동닫힘 물꼭지
KR100322197B1 (ko) 정수기 밸브
KR200266055Y1 (ko) 안전장치가 부착된 버너용 밸브
KR20140033648A (ko) 냉온수기의 버튼식 콕구조
KR200241106Y1 (ko) 물통뚜껑
JP2002068393A (ja) 飲料用ディスペンサー
KR200294678Y1 (ko) 정수기용 안전장치
KR200291004Y1 (ko) 주전자의 배출구 개폐수단
US20230137802A1 (en) Cover and water container using same
KR200173217Y1 (ko) 냉온수기의 온수레버 안전장치
KR200177109Y1 (ko) 보온병용 마개구조
CN220721969U (zh) 一种定量瓶盖及一种定量瓶
KR0135761Y1 (ko) 음료 공급기용 꼭지의 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1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