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2076Y1 - 컴퓨터용 책상 - Google Patents

컴퓨터용 책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2076Y1
KR200202076Y1 KR2019980009619U KR19980009619U KR200202076Y1 KR 200202076 Y1 KR200202076 Y1 KR 200202076Y1 KR 2019980009619 U KR2019980009619 U KR 2019980009619U KR 19980009619 U KR19980009619 U KR 19980009619U KR 200202076 Y1 KR200202076 Y1 KR 2002020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
computer
support plate
desk
viewing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96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0270U (ko
Inventor
김영길
윤향자
Original Assignee
김영길
윤향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길, 윤향자 filed Critical 김영길
Priority to KR20199800096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2076Y1/ko
Publication of KR200000002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027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20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20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07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under-desk displays, e.g. displays being viewable through a transparent working surface of the table or des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2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vertical adjust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12Transparent tops, e.g. with lighting means under the table top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B2097/005Monitor mounted supports or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0003Adjustable furniture jointing

Abstract

본 고안은 컴퓨터용 책상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모니터를 올려 놓을수 있도록 설치된 받침판이 고정형이어서 모니터의 사이즈가 바뀌게 되면 모니터가 투시창과 근접된 위치에 놓이지 않아 외부에서 투시창을 통하여 모니터의 화면을 선명하게 식별할 수 없고, 또한 컴퓨터본체를 수납실에 넣은 상태에서는 배선작업을 제대로 할 수가 없어 미리 배선작업을 한 상태에서 본체를 수납실에 넣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컴퓨터 책상을 구성함에 있어서 " L " 자형 받침판(200)의 저면부(201)상,하 양측에는 각각 괘정간(210a)(211a)이 출입되는 괘정구(210)(211)을 설치하며, 상기 요입부(120)의 양측벽(130) 상단에는 상기 괘정간(210a)이 끼워져 걸릴수 있는 높이 및 각도조절용 걸림공(131a~131f)을 하단에는 상기 괘정간(211a)이 끼워지는 높이조절용 걸림공(132a~132c)다수개를 다단으로 형성하고, 컴퓨터본체(400)의 수납실(150)전,후에 도어(151)(152)를 설치하여 된 것으로서 이러한 본 고안은 모니터의 사이즈에 관계없이 항상 모니터가 투시창에 근접된 위치에 놓일수 있도록 하므로서 사용자가 최적의 상태에서 모니터를 볼수 있도록 하고, 또한 컴퓨터본체를 수납실에 넣은 상태에서도 배선작업을 손쉽게 할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컴퓨터용 책상
본 고안은 모니터가 책상속으로 내장되어 책상의 상판에 설치된 투시창을 통해 모니터를 보도록 된 컴퓨터용 책상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모니터를 올려 놓을수 있도록 설치되는 받침판을 모니터의 사이즈에 따라 높낮이와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수 있도록 하므로서 모니터의 투시효율을 높히고, 컴퓨터본체의 배선작업을 신속 간편하게 행할 수 있는 컴퓨터용 책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상은 의자에 착석하여 여러 가지 일을 할수 있으면서 사무용품의 보관을 위한 서랍이 부착되는 고정물로서 교육용, 업무용, 가정용등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서 공급, 사용되고 있다.
특히 사무용으로 사용되는 책상은 다양한 작업을 위한 여러 가지 기능을 가지고, 기밀유지를 위한 서랍의 잠금수단을 가지는등 효율적으로 사용될수 있는 책상이 많이 제안되고 있다.
상기의 책상은 측판과 후판 및 상판을 모두 나무나 특수합판으로 만드는 목제책상과, 측판 및 후판은 금속철판을 절곡하여 형성하고, 상판만 합판등으로 형성하는 철제 책상으로 구분되는데, 이러한 책상중 목제책상의 경우에는 대개 전면에 서랍을 고정식으로 설치하는 타입과 서랍을 이동식의 별개체로 만든후 책상속에 설치하는 서랍의 위치를 사용자가 임의로 변경할수 있는 타입으로 구분되고 있다.
한편 개인용 컴퓨터는 데스크 탑, 노트북, 랩 탑, 팜탑 등 점차 소형되어가는 추세인데, 상기의 노트북, 랩 탑, 팜 탑 등은 휴대용 개념으로 개발된 것이고, 데스크 탑은 가정이나 사무실등에서 사용할수 있도록 구상된 것이다.
따라서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데스크 탑 컴퓨터(이하 컴퓨터라 칭함)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인 책상의 상면에 컴퓨터를 올려놓고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면적이 한정되어 있는 책상의 상면에 컴퓨터의 본체와 모니터 그리고 키보드를 함께 올려놓게 되면, 그것이 차지하는 면적이 상당히 커지게 되고, 이에따라 책상의 면적이 컴퓨터에 의해 협소해지므로 컴퓨터 작업 이외에는 다른 작업을 할 수가 없게 되므로 별도의 컴퓨터 전용책상을 구입하여 컴퓨터 본체와 모니터 그리고 키보드를 따로 배열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처럼 일반적인 책상 이외에 컴퓨터 전용책상을 별도로 구입하게 되면 비용이 추가되는 것은 물론 가정이나 사무실에서는 협소한 공간에 일반적인 책상과 컴퓨터책상을 동시에 설치하다 보니 공간이 협소해져 사람의 활동공간이 제약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근래에는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하였을시 다리부위가 들어가는 상판 하단의 요입부내에 받침판을 설치한후 상기 받침판에 모니터가 올려지도록 하고, 상기 상판에는 외부에서 모니터를 볼수 있도록 투시창을 설치한 책상이 개발되어 평상시에는 투시창에 책을 올려놓는등 일반적인 책상으로 활용하다가 컴퓨터를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투시창을 통해 모니터를 들여다 보면서 키보드를 치도록 하는 것이나 상기의 책상은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서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의 모니터는 항상 투시창에 근접되어 있어야 만이 외부에서 투시창을 통하여 모니터의 화면을 선명하게 확인할 수가 있는 것이고, 또한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적절하게 각도를 조절하여 주어야 만이 눈의 피로감을 약간이라도 해소시킬 수 있는 것이나 종래 모니터를 받쳐주기 위하여 설치되는 받침판의 경우에는 고정형이어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모니터보다 큰 모니터를 사용할 경우에는 받침판과 투시창사이에 놓여질수가 없는 것이고, 작은 모니터를 사용할 경우에는 투시창에 근접되지 않고, 투시창에서 멀리 떨어지므로 그만큼 모니터의 화면을 선명하게 식별할수 없었다.
그리고 상기의 책상은 일반적인 책상과 컴퓨터책상으로 같이 활용하는 것이어서 책상의 일측에는 컴퓨터본체가 들어가는 수납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납실의 전면에는 절첩되는 덮개가 설치되어 컴퓨터를 사용하고자 전원스위치를 켜줄때에는 덮개를 열고 컴퓨터를 사용치 않을 경우에는 덮개를 닫어주는 구조로 되어 있으나 수납실의 후면은 막혀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컴퓨터본체에 배선 작업을 할시에는 컴퓨터본체를 수납실에 넣은 상태에서는 배선작업을 하기가 상당히 어려워 수납실에 컴퓨터본체를 넣기전에 미리 배선작업을 한후 컴퓨터본체를 수납실에 넣어주기 때문에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모니터의 사이즈에 따라 받침판의 높낮이와 각도조절이 용이하여 모니터를 보다 선명하게 투시할 수 있으면서도 수납실에 설치되는 컴퓨터본체의 배선작업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는 컴퓨터용 책상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 L " 자형 받침판의 저면부 상,하 양측에는 각각 괘정간이 출입되는 괘정구을 설치하며, 상기 요입부의 양측벽 상단에는 상기 괘정간이 끼워져 걸릴수있는 높이 및 각도조절용 걸림공을 하단에는 상기 괘정간이 끼워지는 높이조절용 걸림공 다수개를 다단으로 형성하고, 컴퓨터본체의 수납실 전,후에 도어를 설치하므로써 달성된다.
이와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 L " 자형의 받침판에 괘정간이 출입되는 괘정구를 다수개 설치하고, 요입부의 측판에는 상기 괘정간이 끼워져 걸릴수 있도록 높이 및 각도조절용 걸림공을 다수개 다단으로 형성하므로써 모니터의 사이즈에 따라 받침판의 높낮이뿐만 아니라 각도까지 자유롭게 조절하므로써 상기 받침대에 올려지는 모니터의 사이즈가 바뀌더라도 상기 모니터가 항시 상판에 설치된 투시창에 근접된 위치에 놓일수 있어 외부에서 모니터의 화면을 선명하게 인식할 수 있고, 또한 컴퓨터본체의 후면에도 도어를 설치하여 컴퓨터본체를 수납실에 넣은 상태에서도 후면 도어만을 열면 손쉽게 배선작업을 할 수 있으므로써 상기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분리사시도
도 2a,2b 는 본 고안에 의해 받침판의 높낮이 조절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해 받침판의 각도조절을 예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책상에서 컴퓨터본체가 들어가는 수납실을 예시한 요부 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로서 반매립형에 사용되는 선반을 도시한 사시도
도 6 은 도 5 의 선반을 사용하여 모니터를 반매립형으로 설치한 상태를 예시한 요부 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상판 120 : 요입부
130 : 측벽 131a~131f : 높이 및 각도조절용 걸림공
132a~132c : 높이조절용 걸림공 133 : 높이조절용 구멍
134 : 각도조절용 구멍 140 : 투시창
150 : 수납실 151,152 : 도어
200 : 받침판 201 : 저면부
210,211,510 : 괘정구 210a,210b : 괘정간
300 : 모니터 400 : 컴퓨터본체
500 : 선반
이하 본 고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첨부한 별첨의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1 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분리사시도이고, 도 2a,2b 는 본 고안에 의해 받침판의 높낮이 조절상태를 예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의해 받침판의 각도조절을 예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책상에서 컴퓨터본체가 들어가는 수납실을 예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의 구성중 상판(110)하단의 요입부(120)내에는 모니터(300)가 올려질 수 있는 받침판(200)이 설치되고, 상기 상판(110)에는 상기 모니터(300)를 볼 수 있는 투시창(140)이 설치된 컴퓨터 책상의 구성은 일반적으로 공지된 종래의 컴퓨터용 책상과 같다고 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컴퓨터용 책상을 구성함에 있어서, " L " 자형 받침판(200)의 저면부(201)상,하 양측에는 각각 괘정간(210a)(210b)이 출입되는 괘정구(210)(211)를 설치하며, 상기 요입부(120)의 양측벽(130) 상단에는 상기 괘정간(210a)(210b)이 선택적으로 끼워져 걸릴수 있는 높이조절 및 각도조절용 걸림공(131a~131f)을 형성하고, 하단에는 높이조절용 걸림공(132a~132c) 수개를 다단으로 형성하며, 컴퓨터본체(400)가 내장되는 책상의 수납실(150)전,후에 도어(151)(152)를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이 형성된 본 고안은 모니터(300)의 사이즈에 따라 모니터(300)를 받쳐주는 받침판(200)의 위치를 바꿔주므로써 상기 받침판(200)에 올려지는 모니터(300)가 항시 상판(110)의 투시창(140)에 근접되어 외부에서 모니터(300)의 화면을 선명하게 인식할수 있도록 한 것은 물론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서도 받침대(20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좀더 상세히 언급하면 현재 " L " 자형 받침판(200)의 저면부(201)상하에 설치된 괘정구(210)(211)의 괘정간(210a)(211a)이 요입부(120)의 양측벽(130)상단에 형성된 다수개의 걸림공(131a~131f)과 하단에 형성된 걸림공(132a~132c)중 도 2a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상측 괘정구(210)의 괘정간(210a)은 걸림공(131b)에, 하측 괘정구(211)의 괘정간(211a)은 하측 걸림공(132b)에 각각 끼워서 받침판(200)을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의 괘지간(210a)(211a)은 누름보턴을 누르면 탄발되는 원터치식으로 형성하여도 무방한 것이다.
그리고, 도2b에서와 같이 모니터(300)의 사이즈가 작아 상기 받침판(200)을 각도는 그대로 유지한채 높이만 상측으로 약간 더 올려야 할 경우에는 상기의 괘정간(210a)(210b)을 안쪽으로 당겨 걸림공(131b)(132b)에서 이탈시키면 상기 받침판(200)의 고정력이 해제되어 받침판(300)이 측벽(130)에서 분리되는 것이다.
이후 받침판(200)을 상향으로 약간 들어 올려 받침판(200)의 저면부(201)에 설치된 괘정구(210)(211)와 측벽(130)상하단에 형성된 걸림공(131a)(132a)에 끼우면 받침판(200)은 전보다는 약간 상측위치에 고정되는 것이고, 상기 받침판(200)에 올려지는 모니터(300)는 사이즈가 작다 하더라도 그만큼 상측으로 올라와 투시창(130)에 근접되므로 투시가 양호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모니터(300)의 사이즈가 커서 상기 받침판(200)을 하향으로 내려 주어야 할 경우에는 이 역시 괘정간(210a)(210b)을 후진시켜 걸림공(131b)(132b)에서 이탈되도록 한후 받침판(200)을 하향으로 내려 상측 괘정간(210a)은 걸림공(131c)에, 하측 괘정간(211a)은 걸림공(132c)에 걸리도록 하므로써 받침판(200)이 하측위치에 고정되므로 사이즈가 큰 모니터(300)라 하더라도 설치가 용이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처럼 높낮이를 조절하는 이외에 도 3 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수 있는 것으로서 즉, 현재 받침판(200)에 설치된 괘정구(210)(211)의 괘정간(210a)(211a)이 각각 측벽(130)에 형성된 걸림공(131b)(132b)에 끼워져 걸려있는 상태에서 각도만을 약간 조절할 경우에는 하측의 괘정간(211a)은 그대로 둔 상태에서 상측의 괘정간(210a)만을 걸림공(131b)에서 이탈시킨후 받침판(200)의 저면부(201)만을 회동시켜 상기 괘정간(210a)이 걸림공(131e)에 끼워져 걸리도록 하므로써 상기 받침판(200)은 원하는 각도로 조절이 된다.
여기서 상기 받침판(200)은 각도조절을 한 후 그 각도에서 걸림공(131d)(131f) 등을 이용하여 얼마든지 원하는 높낮이로 다시 받침판(200)을 조절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처럼 받침판(200)의 높낮이와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수 있으므로 모니터(300)의 사이즈에 따라 받침판(200)을 조절한후 모니터(300)를 받침대(200)에 올려놓게 되면 항상 투시창(140)에 모니터(300)가 근접되어 외부에서 모니터(300)의 화면을 선명하게 식별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받침판(200)은 모니터(300)의 사이즈에 따라 조절하는 이외에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각도를 조절하므로써 즉, 성인이 사용할 경우와 어린이가 사용할 경우에 받침대(200)의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눈높이와 가장 적당한 위치에 모니터(300)가 위치되도록 하므로써 사용자가 최적의 상태에서 컴퓨터작업을 할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컴퓨터본체(400)가 내장되는 수납실(150)의 전면에 설치되는 도어(151)이외에 후면에도 도어(152)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즉, 종래에는 컴퓨터본체에 배선을 꽂을시 컴퓨터본체를 수납실에 넣은 상태에서는 배선작업이 어려워 컴퓨터본체를 수납실에 넣기전에 미리 배선작업을 한후 컴퓨터본체를 수납실에 넣으므로 불편하였으나, 본 고안은 수납실(150)에 컴퓨터본체(400)를 먼저 집어넣더라도 수납실(150)후면에 설치된 도어(152)를 열어주게 되면 컴퓨터본체(400)의 후미가 그대로 노출되어 배선작업을 수월하게 할수 있으므로써 편리성을 향상시킨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모니터가 완전 매립될 수 있도록 높이조절 및 각도조절용 걸림공이 형성되는 양 측벽(130)에는 도 5 내지 도 6 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투시창(140)에 근접되게 한쌍의 높이조절용 구멍(133)을 형성하고, 일측 높이조절용 구멍(133)주변에는 각도조절용 구멍(134)을 형성하여 양단에 괘정구(510)가 설치된 평판형의 선반(500)이 설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같이 선반(500)이 설치된 상태에서 모니터(300)를 설치할 경우에는 투시창(140)의 유리를 들어낸 다음 평판형의 선반(500)위에 모니터(300)를 올려 놓으면 도 6 에서와 같이 모니터(300)의 상단부는 유리가 제거된 투시창(140)을 통해 책상위로 돌출되고 모니터(300)의 하단부는 책상속으로 내장되는 반 매립형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본 고안은 위에서 상술한 바와같이 선반(500)의 괘정구(510)들을 조작하여 선반(500)의 각도를 각도조절용 구멍(134)에 의해 조절하면 모니터(300)의 설치각도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신장 등 체형조건에 따라 모니터(300)의 각도를 알맞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모니터의 사이즈에 따라 받침판의 높낮이와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받침판에 올려지는 모니터가 항시 투시창에 근접되도록 설치하여 외부에서 투시창을 통해 모니터의 화면을 선명하게 인식할수 있도록 함은 물론 수납실에 컴퓨터본체를 넣어준 상태에서도 배선작업을 손쉽게 할수 있으므로써 편리성을 향상시킨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상판(110)하단의 요입부(120)내에는 모니터(300)가 올려질수 있는 받침판(200)이 설치되고, 상기 상판(110)에는 상기 모니터(300)를 볼수 있는 투시창(140)이 설치된 컴퓨터 책상을 구성함에 있어서, " L " 자형 받침판(200)의 저면부(201)상,하 양측에는 각각 괘정간(210a)(211a)이 출입되는 괘정구(210)(211)를 설치하며, 상기 요입부(120)의 양측벽(130) 상단에는 상기 괘정간(210a)이 끼워져 걸릴 수 있는 높이 및 각도조절용 걸림공(131a~131f)을, 하단에는 상기 괘정간(211a)이 끼워지는 높이조절용 걸림공(132a~132c) 다수개를 다단으로 형성하고, 컴퓨터본체(400)의 수납실(150)전,후에 도어(151)(152)를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책상.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130)에는 투시창(140)에 근접되게 높이조절용 구멍(133)과 각도조절용 구멍(134)을 형성한 후 괘정구(510)가 설치된 평판의 선반(500)을 조립되게 하여 모니터(300)가 반매립형으로 설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책상.
KR2019980009619U 1998-06-05 1998-06-05 컴퓨터용 책상 KR2002020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9619U KR200202076Y1 (ko) 1998-06-05 1998-06-05 컴퓨터용 책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9619U KR200202076Y1 (ko) 1998-06-05 1998-06-05 컴퓨터용 책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270U KR20000000270U (ko) 2000-01-15
KR200202076Y1 true KR200202076Y1 (ko) 2000-11-15

Family

ID=19535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9619U KR200202076Y1 (ko) 1998-06-05 1998-06-05 컴퓨터용 책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207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6665B1 (ko) 2019-09-16 2020-05-27 조정권 컴퓨터 책상
KR102141943B1 (ko) 2019-09-16 2020-09-14 조정권 컴퓨터 책상
KR102211446B1 (ko) 2020-03-12 2021-02-10 조정권 컴퓨터책상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6951B1 (ko) * 2008-09-05 2011-01-12 김병호 현장조립식 테이블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6665B1 (ko) 2019-09-16 2020-05-27 조정권 컴퓨터 책상
KR102141943B1 (ko) 2019-09-16 2020-09-14 조정권 컴퓨터 책상
KR102211446B1 (ko) 2020-03-12 2021-02-10 조정권 컴퓨터책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270U (ko) 200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61121A (en) Space efficient cabinet for housing a computer work station
US6336692B1 (en) Cabinet with downward extendable/retractable shelves
US20060230992A1 (en) Workstation with adjustable height work surface
US20080263761A1 (en) Diagonally extending slideout drawer assembly and structure therewith
US4794869A (en) Structure of extendable tables
US5432836A (en) Interchangeable base arrangement for wall mount/desk mount telephone answering device
US20050127802A1 (en) Sectional cabinet
KR101658754B1 (ko) 가구용 높이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가구
KR200202076Y1 (ko) 컴퓨터용 책상
KR101024600B1 (ko) 독서실용 책상
KR102161940B1 (ko) 모니터의 수납이 가능한 책상
US6629504B2 (en) Convertable table with reversible leaves
US20090308546A1 (en) Operation wand unit for roman shade
KR200284798Y1 (ko) 접을 수 있는 식탁
KR102243612B1 (ko) 높낮이 및 각도 조절구조를 갖는 스니즈가드
KR200336922Y1 (ko) 책상의 상판 각도 조절 구조
KR200411320Y1 (ko) 보조칸막이가 설치된 독서실용 책상
KR200351206Y1 (ko) 학원용 컴퓨터 책상
JP3473456B2 (ja) 多目的テーブルと他のテーブルとの組合せテーブル
KR200180130Y1 (ko) 다용도 책상
KR102313822B1 (ko) 컴퓨터용 책상
CN219438584U (zh) 一种带灯的卫浴翻转镜门
JP3541341B2 (ja) 情報処理装置用卓のキーボード収容装置
KR200195885Y1 (ko) 박스형 컴퓨터책상
KR200411321Y1 (ko) 안전성을 증대시키는 지지대가 설치된 독서실용 책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2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