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8754B1 - 가구용 높이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가구 - Google Patents

가구용 높이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8754B1
KR101658754B1 KR1020160059723A KR20160059723A KR101658754B1 KR 101658754 B1 KR101658754 B1 KR 101658754B1 KR 1020160059723 A KR1020160059723 A KR 1020160059723A KR 20160059723 A KR20160059723 A KR 20160059723A KR 101658754 B1 KR101658754 B1 KR 101658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iture
housing
plate
support member
adjust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9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세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성넥스
오세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성넥스, 오세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성넥스
Priority to KR1020160059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87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8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87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2Adjustable feet
    • A47B91/022Adjustable feet using screw means
    • A47B91/024Foot attached to a rotating bolt supported in an internal threa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5Leg adjustment

Landscapes

  • Legs For Furniture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구용 높이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가구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장식장, 장롱, 책장, 서랍장 등을 포함하는 가구의 하부면에 구비되어 실내 바닥면 등으로부터 가구의 평형 상태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가구의 평형 상태 조절시 가구를 들거나, 바닥면에 엎드려 조절하는 일 없이 가구의 내부에서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가구용 높이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가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구용 높이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가구{HEIGHT ADJUSTMENT APPARATUS FOR FURNITURE AND FURNITURE}
본 발명은 가구용 높이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가구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장식장, 장롱, 책장, 서랍장 등을 포함하는 가구의 하부면에 구비되어 실내 바닥면 등으로부터 가구의 평형 상태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가구의 평형 상태 조절시 가구를 들거나, 바닥면에 엎드려 조절하는 일 없이 가구의 내부에서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가구용 높이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구는 장식장, 장롱, 책장 등을 포함하며, 실내 바닥면 등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가구는 아무런 평형 조절작업 없이 설치하게 되면 바닥면이 고르지 않기 때문에 평형이 맞지 않아 기울어진다.
이때, 가구의 수평을 유지하기 위해 종이나, 나무조각 등으로 평형을 맞추게 되는데, 이 경우 가구가 안정적인 평형 상태로 놓이지 않기 때문에 흔들림이 발생되는 것은 물론, 가구가 뒤틀리면서 구비되는 문이 쉽게 개폐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13267호에는 가구의 높낮이 조절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가구의 높낮이 조절장치는 가구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높이를 조절하거나, 가구가 설치된 바닥면에 엎드려서 높이를 조절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2-8159(2012.11.28.)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장식장, 장롱, 책장, 서랍장 등을 포함하는 가구의 하부면에 구비되어 실내 바닥면 등으로부터 가구의 평형 상태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가구의 평형 상태 조절시 가구를 들거나, 바닥면에 엎드려 조절하는 일 없이 가구의 내부에서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가구용 높이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가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설치대상면에 배치되는 가구의 하부판에 구비되어 그 설치대상면으로부터 상기 가구를 지지하는 가구용 높이 조절장치로써, 상기 가구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하부판에 연결되며, 하부가 개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재; 및 상단부는 상기 하부판에 안착되고, 하단부는 상기 하부판 및 상기 하우징의 상부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부재에 나사결합되는 조절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조절수단은, 회전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가 승,하강되면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하거나,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도록 하여 상기 설치대상면과 상기 하부판 간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높이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하우징은, 상,하부가 개방되는 측벽; 개방된 상기 측벽의 상부를 차단하며, 상기 하부판에 고정되는 상판; 및 상기 상판으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회전방지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판에는, 상기 복수의 회전방지돌기가 인입되는 복수의 인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가구는, 양측 하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보조측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측벽의 하단부 일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보조측판을 지지하는 지지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지지부재는, 상,하,전,후면 및 양측면을 가지며, 상기 조절수단의 하부가 결합되도록 상,하면을 관통하는 중공이 형성되고, 전,후면에 내측으로 함몰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은, 내측면에 상기 한 쌍의 가이드홈으로 인입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하부판에 안착되는 머리부; 및 상기 머리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에 나사결합되고, 하부가 상기 중공을 이루는 둘레에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머리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조절수단과 함께 승,하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중공을 이루는 둘레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하부판에 안착되는 머리부; 및 상기 머리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에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편,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중공을 이루는 둘레에 나사결합되는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머리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하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하부판 또는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며, 내측으로 상기 조절수단의 하부가 통과되면서 그 조절수단을 공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체결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높이 조절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장식장, 장롱, 책장, 서랍장 등을 포함하는 가구의 하부면에 구비되어 실내 바닥면 등으로부터 가구의 평형 상태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구의 평형 상태 조절시 가구를 들거나, 바닥면에 엎드려 조절하는 일 없이 가구의 내부에서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높이 조절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높이 조절장치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높이 조절장치가 가구에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높이 조절장치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높이 조절장치에서 조절수단의 회전에 따른 지지부재의 승,하강을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높이 조절장치에서 체결링이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및 조절수단의 회전에 따른 지지부재의 승,하강을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은 설치대상면(100)에 배치되는 가구(200)의 하부판(210)에 구비되어 그 설치대상면(100)으로부터 상기 가구(200)를 지지하는 가구용 높이 조절장치(1)로써, 상기 가구(200)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하부판에 연결되며, 하부가 개방되는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의 내측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재(20) 및 상단부는 상기 하부판(210)에 안착되고, 하단부는 상기 하부판(210) 및 상기 하우징(10)의 상부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부재(20)에 결합되는 조절수단(30)을 포함한다.
설치대상면(100)은 실외 지면이나, 실내 바닥면 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가구(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식장, 장롱, 책장, 서랍장 등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판(210)은 상기 가구(200)의 하부를 이룬다.
상기 가구(200)는 상기 하부판(210)이 설치대상면(100)을 향하도록 그 설치대상면(100)에 안착된다.
상기 가구용 높이 조절장치(1)는 복수개가 상기 하부판(210)의 하부 네 모서리 부근에 구비되면서 설치대상면(100)으로부터 상기 가구(2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한편, 상기 가구(200)의 평형 상태가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조절수단(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판(210)에 안착되는 머리부(31) 및 상기 머리부(31)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몸체부(32)로 이루어지는 일반적인 형태의 볼트 등을 포함한다.
상기 머리부(31)에는 별도의 다른 공구를 사용한 회전이 가능하도록 'ㅡ'자 또는 '+'자 형태의 홈부(31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절수단(30)은 상기 가구(200)의 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가구(200)에 구비되는 도어 등을 개방한 상태에서 인위적인 작업에 의해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즉, 상기 조절수단(30)은 회전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20)가 승,하강되면서 상기 하우징(10)의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하거나, 상기 하우징(10)으로부터 인출되도록 하여 설치대상면(100)과 상기 하부판(210) 간의 높이를 조절한다.
상기 조절수단(30)의 회전은 상기 머리부(31)을 상부에서 바라볼 때, 좌,우측 방향으로의 회전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가구용 높이 조절장치(1)는 상기 가구(200)의 평형 상태를 조절하기 위해 가구를 들어올리거나, 설치대상면(100)에 엎드려서 높이를 조절하는 불편함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은 상,하부가 개방되는 측벽(11) 및 개방된 상기 측벽(11)의 상부를 차단하며 상기 하부판(210)에 고정되는 상판(12)을 포함한다.
상기 측벽(11)은 상부에서 바라볼 때, 원형이나,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를 이룰 수 있으며, 사각형 형태를 이루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상판(12)은 상기 측벽(11)이 이루는 둘레와 동일한 형태를 이루며, 상기 측벽(11)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10)은 상기 상판(12)으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회전방지돌기(13)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부판(210)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회전방지돌기(13)가 인입되는 복수의 인입홈(211)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방지돌기(13)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상판(12)의 상부 양측에 전,후방으로 엇갈리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복수의 회전방지돌기(13)는 상기 복수의 인입홈(211)으로 인입되면서 상기 하우징(10)의 좌우 유동을 방지한다.
즉, 상기 복수의 회전방지돌기(13)는 상기 복수의 인입홈(211)으로 인입되면서 상기 조절수단(30)의 회전에 따라 상기 하우징(10)이 함께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가구용 높이 조절장치(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을 상기 하부판(210)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구(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구(40)는 나사나, 볼트 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10)에는 상기 체결구(40)가 인입되면서 상기 하부판(210)에 체결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복수의 체결공(1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공(14)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회전방지돌기(13)와 인접하지 않도록 상기 상판(12)의 양측 전,후방에 엇갈리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10)은 상기 측벽(11)의 하단부 일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판(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의, 상기 가구용 높이 조절장치(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구(200)를 정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지지판(15)이 외측을 향하도록 상기 하부판(210)의 하부 양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지지판(15)은 상기 하우징(10)의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형태를 이루면서 상기 가구(200)의 양측 하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보조측판(220)을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상기 보조측판(220)은 상기 가구(200)의 하부 양측과 설치대상면(100) 간의 빈공간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15)에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나, 볼트 등의 체결구를 사용한 결속이 가능하도록 체결구멍(15a)이 단수 또는 복수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20)는 상,하,전,후면 및 양측면을 갖는 육면체 형태를 이루며, 상기 하우징(10)이 갖는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다.
상기 지지부재(20)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며, 상기 조절수단(30)의 하부가 결합되는 중공(21)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재(20)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면에 내측으로 함몰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홈(22)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0)은 내부 전,후면으로부터 대향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한 쌍의 가이드홈(22)으로 인입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16)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가이드홈(22)은 상기 지지부재(20)의 전,후면에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지지부재(20)의 양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마찬가지로,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16)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전,후면에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하우징(10)의 양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지지부재(20)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홈(22)으로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16)이 인입되도록 상기 하우징(10)의 내측에 수용되면서 상기 조절수단(3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됨이 없이 승,하강될 수 있다.
상기 하부판(210)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수단(30)의 하부가 통과하는 통과공(212)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10)은 상기 상판(12)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하부가 개방되어 내부와 연통되며 상기 통과공(212)으로 인입되는 끼움부재(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절수단(30)은 상기 하우징(10) 또는 상기 하부판(210)에 나사결합되는 한편, 상기 지지부재(20)에 공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면서 회전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20)와 함께 승,하강되는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조절수단(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외주면에 내측으로 함몰되는 걸림홈(32a)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20)는 상기 중공(21)을 이루는 둘레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걸림홈(32a)으로 결합되는 걸림돌기(23)가 형성된다.
이때의, 상기 조절수단(30)은 중앙부를 중심으로 상기 지지부재(20)가 결합되는 하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절수단(30)은 상기 걸림홈(32a)으로 상기 걸림돌기(23)가 결합되면서 상기 지지부재(20)에 원위치에서의 공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편, 상기 지지부재(20)를 상기 하우징(10)으로부터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즉, 상기 지지부재(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수단(30)의 회전에 따라 상기 그 조절수단(30)과 함께 승,하강되면서 상기 하우징(10)의 하부로 돌출되어 설치대상면(100)에 안착되거나, 상기 하우징(10)의 내측으로 인입되면서 상기 하우징(10)이 설치대상면(100)에 안착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상기 가구용 높이 조절장치(1)는 상기 조절수단(3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20)가 승,하강되면서 설치대상면(100)과 상기 하부판(210) 간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조절수단(30)은 상기 하부판(210)이나, 상기 하우징(10)에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편, 상기 지지부재(20)에 나사결합되면서 회전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20)가 승,하강되는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때의, 상기 중공(21)을 이루는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조절수단(30)은 상기 지지부재(20)와 나사결합되면서 회전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20)가 상기 몸체부(32)를 따라 승,하강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지지부재(20)를 상기 하우징(10)으로부터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상기 가구용 높이 조절장치(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판(210) 또는 상기 상판(12)에 구비되며 내측으로 상기 조절수단(30)의 하부가 통과되면서 그 조절수단(30)을 상기 하부판(210) 또는 상기 하우징(10)에 공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체결링(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링(60)은 일반적인 형태의 와셔나, 스냅링 등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상기 중공(21) 및 상기 통과공(212)과 연통되도록 상기 하부판(210) 또는 상기 상판(12)에 안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체결링(60)은 사출을 통해 상기 상판(12)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절수단(30)은 상기 체결링(60)이 상기 상판(12)에 안착되거나, 상기 상판(12)에 매립되는 경우, 상기 머리부(31)가 상기 통과공(212)에 위치되면서 상기 지지부재(2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조절수단(30)에는 상기 체결링(60)이 끼움결합되는 끼움홈(32b)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조절수단(30)이 상기 체결링(60)에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조절수단(3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지지부재(20)는 상기 조절수단(30)의 회전에 따라 승,하강되면서 상기 하우징(10)의 하부로 돌출되어 설치대상면(100)에 안착되거나, 상기 하우징(10)의 내측으로 인입되면서 상기 하우징(10)이 설치대상면(100)에 안착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상기 가구용 높이 조절장치(1)는 상기 조절수단(30)을 조절하여 설치대상면(100)과 상기 하부판(210) 간의 높이를 조절하면서 상기 가구(200)의 평형을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높이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가구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 : 가구용 높이 조절장치 10 : 하우징
11 : 측벽 12 : 상판
13 : 회전방지돌기 14 : 체결공
15 : 지지판 15a : 체결구멍
16 : 가이드레일 17 : 끼움부재
20 : 지지부재 21 : 중공
22 : 가이드홈 23 : 걸림돌기
30 : 조절수단 31 : 머리부
31a : 홈부 32 : 몸체부
32a : 걸림홈 32b : 끼움홈
40 : 체결구 50 : 지지판
51 : 체결구멍 60 : 체결링
100 : 설치대상면 200 : 가구
210 : 하부판 211 : 인입홈
212 : 통과공 220 : 보조측판

Claims (8)

  1. 설치대상면에 배치되는 가구의 하부판에 구비되어 그 설치대상면으로부터 상기 가구를 지지하는 가구용 높이 조절장치로써,
    상,하부가 개방되는 측벽과, 개방된 상기 측벽의 상부를 차단하며 상기 가구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하부판에 고정되는 상판을 포함하고, 내측면에 한 쌍의 가이드레일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하,전,후면 및 양측면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하면을 관통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중공이 형성되며, 전,후면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에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지지부재;
    상기 하부판에 안착되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하부판에 형성되는 통과공과 함께 상기 하우징의 상부를 관통하며 외주면에 나사사이 형성되어 상기 중공에 나사결합되는 몸체부를 포함하는 조절수단; 및
    상기 상판에 매립 설치되며, 내측으로 상기 조절수단의 하부가 통과되면서 그 조절수단을 공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체결링을 포함하되,
    상기 조절수단은,
    외주면에 상기 체결링이 끼움결합되는 끼움홈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판에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머리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하강되면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하거나,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도록 하여 상기 설치대상면과 상기 하부판 간의 높이를 조절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측벽의 하단부 일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가구의 양측 하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보조측판을 지지하는 지지판; 및
    상기 상판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하부가 개방되어 내부와 연통되며, 상기 통과공으로 인입되는 끼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높이 조절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설치대상면에 배치되는 가구의 하부판에 구비되어 그 설치대상면으로부터 상기 가구를 지지하는 가구용 높이 조절장치로써,
    상,하부가 개방되는 측벽과, 개방된 상기 측벽의 상부를 차단하며 상기 가구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하부판에 고정되는 상판을 포함하고, 내측면에 한 쌍의 가이드레일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하,전,후면 및 양측면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하면을 관통하는 중공이 형성되며, 전,후면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에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지지부재; 및
    상기 하부판에 안착되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하부판에 형성되는 통과공을 통과하는 한편, 상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에 나사결합되고 하부가 상기 중공을 이루는 둘레에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몸체부를 구비하는 조절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조절수단은,
    하부 외주면에 걸림홈이 형성되고, 회전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가 승,하강되면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하거나,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도록 하여 상기 설치대상면과 상기 하부판 간의 높이를 조절하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중공을 이루는 둘레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걸림홈으로 결합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머리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조절수단과 함께 승,하강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측벽의 하단부 일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가구의 양측 하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보조측판을 지지하는 지지판; 및
    상기 상판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하부가 개방되어 내부와 연통되며, 상기 통과공으로 인입되는 끼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높이 조절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 1항 또는 제5항의 가구용 높이 조절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KR1020160059723A 2016-05-16 2016-05-16 가구용 높이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가구 KR1016587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9723A KR101658754B1 (ko) 2016-05-16 2016-05-16 가구용 높이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9723A KR101658754B1 (ko) 2016-05-16 2016-05-16 가구용 높이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8754B1 true KR101658754B1 (ko) 2016-09-21

Family

ID=57080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9723A KR101658754B1 (ko) 2016-05-16 2016-05-16 가구용 높이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875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31131A (zh) * 2018-12-24 2019-03-08 江苏瑞格家居科技有限公司 一种衣柜用可调地脚
CN111513475A (zh) * 2020-05-19 2020-08-11 嘉兴森创家居有限公司 一种利用动滑轮和定滑轮特点调节自身水平的衣柜
KR102204658B1 (ko) * 2020-07-30 2021-01-20 (주)조은엔지니어링 건축물 통신시설의 통합 관리시스템
KR102355598B1 (ko) 2021-08-17 2022-02-08 주식회사 목림 가구용 높이조절장치
KR102585173B1 (ko) * 2023-06-15 2023-10-06 (주)캠퍼스라인 회전식 수납 가능한 가방걸이구를 갖는 책상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1861Y1 (ko) * 1983-03-19 1987-05-21 박운하 가구의 높이 조절구
KR950000682Y1 (ko) * 1992-04-29 1995-02-07 조창호 가구의 수평 조절장치
JPH09140487A (ja) * 1995-11-23 1997-06-03 Nifco Inc 支持脚
KR200184214Y1 (ko) * 1999-12-22 2000-06-01 아남반도체주식회사 웨이퍼 정렬 및 크리티컬 디멘젼 측정용 마스크 패턴
KR20120008159U (ko) 2011-05-19 2012-11-28 주식회사 엠피스 가구용 높이조절 받침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1861Y1 (ko) * 1983-03-19 1987-05-21 박운하 가구의 높이 조절구
KR950000682Y1 (ko) * 1992-04-29 1995-02-07 조창호 가구의 수평 조절장치
JPH09140487A (ja) * 1995-11-23 1997-06-03 Nifco Inc 支持脚
KR200184214Y1 (ko) * 1999-12-22 2000-06-01 아남반도체주식회사 웨이퍼 정렬 및 크리티컬 디멘젼 측정용 마스크 패턴
KR20120008159U (ko) 2011-05-19 2012-11-28 주식회사 엠피스 가구용 높이조절 받침대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31131A (zh) * 2018-12-24 2019-03-08 江苏瑞格家居科技有限公司 一种衣柜用可调地脚
CN109431131B (zh) * 2018-12-24 2023-12-22 江苏瑞格家居科技有限公司 一种衣柜用可调地脚
CN111513475A (zh) * 2020-05-19 2020-08-11 嘉兴森创家居有限公司 一种利用动滑轮和定滑轮特点调节自身水平的衣柜
KR102204658B1 (ko) * 2020-07-30 2021-01-20 (주)조은엔지니어링 건축물 통신시설의 통합 관리시스템
KR102355598B1 (ko) 2021-08-17 2022-02-08 주식회사 목림 가구용 높이조절장치
KR102585173B1 (ko) * 2023-06-15 2023-10-06 (주)캠퍼스라인 회전식 수납 가능한 가방걸이구를 갖는 책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8754B1 (ko) 가구용 높이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가구
AU2009227484B2 (en) A levelling device and a cabinet installation including a levelling device
US9661920B2 (en) Modular storage system having self locking components that are reconfigurable without the need for tools and/or fasteners
KR200476510Y1 (ko) 가구용 다리 높이 조절장치
US20150053635A1 (en) Modular Storage System having Self Locking Components that are Reconfigurable without the need for Tools and/or Fasteners
KR101649092B1 (ko) 이동성을 갖는 가구용 높이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가구
KR200456712Y1 (ko) 가구용 다리 높이 조절장치
JPH05179732A (ja) 支持パネル用カバー
KR101546747B1 (ko) 가구의 수평조절용 받침다리
KR102161940B1 (ko) 모니터의 수납이 가능한 책상
KR20180136194A (ko) 가구 받침다리
KR20190015037A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가구용 다리
KR101513267B1 (ko) 가구의 높낮이 조절장치
CN101444370B (zh) 橱柜拉出体
KR101599413B1 (ko) 양방향 연동승강식 가구 받침다리
KR101974406B1 (ko) 가구용 수평조절형 받침
KR102325389B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지지포스트를 구비한 드레스 선반
EP3879183B1 (en) Household appliance comprising a leveling assembly
KR100941607B1 (ko) 높이조절장치를 갖는 벽체
KR100950499B1 (ko) 높이조절장치를 갖는 가구
KR101696416B1 (ko) 편측 높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책상용 프레임
KR200171728Y1 (ko) 높이 조절 장롱
KR200202076Y1 (ko) 컴퓨터용 책상
CN206903443U (zh) 淋浴房中可调节合页
KR200360129Y1 (ko) 장롱의 높낮이 조절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