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0299U - 사물함 경첩 - Google Patents

사물함 경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0299U
KR20130000299U KR2020110006073U KR20110006073U KR20130000299U KR 20130000299 U KR20130000299 U KR 20130000299U KR 2020110006073 U KR2020110006073 U KR 2020110006073U KR 20110006073 U KR20110006073 U KR 20110006073U KR 20130000299 U KR20130000299 U KR 2013000029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er
fixing
fixing member
compar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60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재
Original Assignee
이광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재 filed Critical 이광재
Priority to KR20201100060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0299U/ko
Publication of KR201300002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29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6Devices for limiting the opening movement of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6Bent flaps
    • E05D5/065Bent flaps specially adapted for cabinets 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1Screwing or bol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600/632Scre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s, e.g. cabinets

Abstract

본 고안은 사물함 경첩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사물함의 함실 우측 하단 모서리에 고정부착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일단에서 수직으로 하향연장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하단에서 수평으로 돌출형성되며 일측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수평부로 이루어져 사물함의 함실 우측 하단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의 상기 수평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일측에 구멍이 형성되고 상면에 도어의 하단 우측부분이 받쳐지게 되는 도어받침부와, 상기 도어받침부의 일단부에서 수직으로 상향연장되고 상기 도어받침부를 상기 도어에 고정결합하기 위한 도어고정부로 이루어져, 도어의 우측 하단에 고정설치되는 회동부재; 상기 고정부재의 수평부에 형성된 구멍과, 상기 회동부재의 도어받침부에 형성한 구멍에 끼워져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회동부재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연결핀; 및 상기 고정부재의 수평부에 형성된 구멍에 인접하여 하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기와, 상기 회동부재의 도어받침부에 형성한 구멍에 인접하여 돌출 형성되어 상기 도어가 함실에서 열려질 때 상기 도어가 함실에서 열려지는 각을 제한하기 위한 걸림부로 이루어진 회동제한수단;을 포함한다. 본 고안은 회동제한수단을 마련하여 도어의 열림각을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물함 경첩{HINGE FOR CABINET}
본 고안은 사물함 경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단으로 구획되어 형성되는 사물함의 각 함실의 전면에 부착되는 각각의 도어가 열리는 각도를 제한하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는 사물함 경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물함은 옷을 보관하기 위한 옷장, 서류 또는 물품 등을 보관하기 위한 캐비넷, 개인옷이나 사물을 보관하는 개인 사물함 등과 같이 여려가지 형태와 종류가 있으며, 가정집, 학교, 탈의실, 지하철, 할인 매장 혹은 백화점 등과 같은 장소에 설치되어 이용자의 소지품이나 휴대품을 임시로 보관할 때 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은 사물함은, 대부분 다수의 이용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다수의 함실이 일체로 형성되고, 함실을 개폐하는 도어가 경첩으로 연결되어 함실에 각각 설치되고, 그로 인하여 다수의 독립적인 공간이 마련된다.
이러한 사물함은 도어가 사물함의 본체에 어떻게 결합되는가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경첩 구조로 나누어지는데, 예컨대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도어가 본체의 외측에 결합하여 도어의 네 모서리가 노출되는 노출형과, 도어가 본체 내에 들어가서 도어의 네 모서리가 본체에 의하여 감싸지는 비노출형이 대표적으로 많이 사용된다.
여기서 노출형 경첩은 사물함 도어의 상, 하부에 부착되어 사물함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나사로 도어에 결합되므로 설치 및 착탈이 간편하다는 점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노출형 경첩은, 사물함이 다단으로 구획형성되어 다수의 함실이 형성되어 있는 도어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자기가 사용하는 함실의 전면에 부착된 도어를 열게 되면, 상기 도어는 함실의 일측을 회동 중심점으로 하여 회동하면서 열려지기 때문에 상기 도어는 인접되는 다른 함실의 전면에 부착된 도어의 전면을 가리게 되고, 따라서 인접되는 함실을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한참을 기다려야 자기가 사용하고자 하는 함실을 사용할 수가 있게 되므로 사용상의 편리함을 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다단으로 구획형성되어 다수의 함실이 형성되어 있는 사물함에서 각각의 도어에 설치되는 사물함 경첩에 회동을 제한하는 수단을 간단한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사용상의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는 사물함 경첩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다단으로 구획형성되어 다수의 함실이 형성되어 있는 사물함에서 상부측에 위치하는 도어에만 도어의 회동각도를 제한할 수 있는 회동제한수단을 형성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로써 상하부의 도어에 대한 열림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사물함 경첩을 제공함에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사물함 경첩은, 사물함의 함실 우측 하단 모서리에 고정부착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일단에서 수직으로 하향연장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하단에서 수평으로 돌출형성되며 일측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수평부로 이루어져 사물함의 함실 우측 하단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의 상기 수평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일측에 구멍이 형성되고 상면에 도어의 하단 우측부분이 받쳐지게 되는 도어받침부와, 상기 도어받침부의 일단부에서 수직으로 상향연장되고 상기 도어받침부를 상기 도어에 고정결합하기 위한 도어고정부로 이루어져, 도어의 우측 하단에 고정설치되는 회동부재; 상기 고정부재의 수평부에 형성된 구멍과, 상기 회동부재의 도어받침부에 형성한 구멍에 끼워져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회동부재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연결핀; 및 상기 고정부재의 수평부에 형성된 구멍에 인접하여 하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기와, 상기 회동부재의 도어받침부에 형성한 구멍에 인접하여 돌출 형성되어 상기 도어가 함실에서 열려질 때 상기 도어가 함실에서 열려지는 각을 제한하기 위한 걸림부로 이루어진 회동제한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도어가 닫혀져 있을 때는 상기 돌기에서 원거리에 위치하고, 상기 도어가 열리게 되면 상기 연결핀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돌기에 접근되며, 상기 돌기에 접촉되었을 때 상기 도어가 더 이상 열리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재의 하부에는 상기 도어의 하단에 위치하는 다른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제2회동부재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제2회동부재는, 상기 연결핀에 끼워져 상기 도어고정부재의 상기 도어받침부와 평행하게 수평회동가능한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일단에서 하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수평부를 상기 도어에 고정결합하기 위한 도어고정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의한 사물함 경첩은, 다단으로 구획형성되어 다수의 함실이 형성되어 있는 사물함에서 각각의 도어에 설치되는 사물함 경첩에 회동을 제한하는 수단을 간단한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사용상의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사물함 경첩은 다단으로 구획형성되어 다수의 함실이 형성되어 있는 사물함에서 상부측에 위치하는 도어에만 도어의 회동각도를 제한할 수 있는 회동제한수단을 형성함으로써, 보다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상하부의 도어에 대한 열림각도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사물함 경첩이 사물함에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사물함 경첩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사물함 경첩을 도시한 다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사물함 경첩을 분해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사물함 경첩 중에서 고정부재가 사물함에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사물함 경첩이 사물함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사물함 경첩의 동작상태를 보인 설명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경첩이 사물함에 설치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경첩의 사시도
도 10은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경첩의 분해사시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경첩을 첨부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사물함 경첩은 도 1에 도면부호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다단으로 구획되어 형성되는 사물함(2)에 있어서 하부에 위치하는 함실(3)의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4)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10), 회동부재(20), 연결핀(30), 회동제한수단(4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사물함 경첩에서 후술하는 회동제한수단(40)이 잘 나타날 수 있도록 각도를 달리하여 도시된 사시도이다.
상기 고정부재(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물함(2)의 각 함실(3) 우측 하단 모서리에 고정설치되는 부분으로서, 고정부(11)와, 수직부(12)와, 수평부(13)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도 5에 도시된 상기 고정부재(10)는 함실(3)에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설명의 편의상 후술하는 회동부재(20)는 도시를 생략하고 단지 고정부재(10)가 사물함(1)의 함실(3)에 부착되는 상태만을 발췌하여 도시하였으며, 실제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10)에 회동부재(20)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재(10)가 사물함(2)의 우측 하단에 고정되게 된다.
상기 고정부(1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물함(2)의 함실(3) 우측 하단 모서리에 설치되는 부분으로서, 일측에 형성된 구멍(11a)들에 나사(14) 등을 끼워서 고정 설치된다.
상기 수직부(1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11)의 일단에서 함실(3)의 하단에 형성된 받침부(3a)를 따라서 수직으로 하향연장되며, 하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는 함실(3)에 설치되는 도어(4)의 크기 등을 감안하여 결정된다.
상기 수평부(1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부(12)의 하단에서 수평으로 돌출형성되며, 우측 일지점에는 후술하는 연결핀(30)을 끼우기 위한 구멍(13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동부재(20)는 일지점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지점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4)의 우측 하단에 고정결합되어, 도어(4)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는 부분으로서, 도 2, 도 3,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받침부(21)와 도어고정부(22)로 구성된다.
상기 도어받침부(21)는 도어(4)의 하단 우측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10)의 상기 수평부(13)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일측에 후술하는 연결핀(30)을 끼우기 위한 구멍(21a)이 형성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 도어(4)의 하단 우측부분이 받쳐지게 된다.
상기 도어고정부(22)는 도 2,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받침부(21)의 일단부에서 수직으로 상향연장되고 상기 도어받침부(21)를 상기 도어(4)에 고정결합하도록 한다. 미설명부호 22a는 구멍이고, 23은 나사이다.
상기 연결핀(3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10)의 수평부(13)의 일측에 형성된 구멍(13a)과, 상기 회동부재(20)의 도어받침부(21) 일측에 형성한 구멍(21a)에 끼워져 상기 고정부재(10)와 상기 회동부재(20)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한다.
상기 회동제한수단(40)은 도어(4)가 열리는 각을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41)와 걸림부(42)로 이루어진다.
상기 돌기(41)는 상기 회동부재(20)의 도어받침부(21) 일측에 형성된 구멍(21a)에 인접하여 하향으로 돌출형성된다.
상기 걸림부(42)는 상기 고정부재(10)의 수평부(13) 일측에 형성한 구멍(13a)에 인접하여 돌출 형성되어 상기 도어(4)가 함실(3)에서 열려질 때 상기 도어(4)가 함실(3)에서 열려지는 각을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 도어(4)가 닫혀져 있을 때에는,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부(42)는 상기 돌기(41)에서 원거리에 위치하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도어(4)가 점차 열리게 되면 상기 연결핀(30)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돌기(41)에 접근되게 되며, 도어(4)를 더욱 회동시켜 상기 걸림부(42)가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기(41)에 접촉되게 되면, 상기 걸림부(42)는 상기 돌기(41)에 걸리게 되면서 상기 걸림부(42)가 회동되지 못하게 되고, 따라서 상기 도어(4)는 더 이상 열리지 않는 상태가 된다. 여기에서 도 7에 도시된 상태의 사물함 경첩은 설명의 편의상 실제로 사물함 경첩이 사물함에 부착되는 상태에서 90도 회전된 상태의 사물함 경첩을 도시한 상태이며, 도 7의 (a)는 도어가 닫혀져 있을 때의 상태이고, 도 7의 (b)는 도어가 완전히 열려져 있는 상태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한편, 다수의 함실이 형성된 사물함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상부와 최하부를 제외한 부분에서는 도면부호 5로 표시된 사물함 경첩(5)을 부착할 수 있으며, 상기 사물함 경첩(5)은 상부쪽의 도어와 하부쪽의 도어를 각각 별개로 개폐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들에 대해서는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경첩에 대한 도면으로서, 도 8에서 도면부호 7은 상부쪽에 위치하는 도어를 나타내며, 도면부호 8은 하부쪽에 위치하는 도어를 나타낸다. 이때, 상부쪽에 위치하는 도어(7)를 개폐하기 위해서는 위에서 설명한 고정부재(10)와 회동부재(20)가 동일하게 이용되는 것이므로 이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단지 하부쪽에 위치하는 다른 도어(8)를 개폐하기 위해서 추가적으로 부착되는 제2회동부재(50)만 차이점이 있으므로 상기 제2회동부재(50)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2회동부재(50)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10)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도어(7)의 하부에 위치하는 다른 도어(8)를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평부(51)와, 도어고정부(52)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평부(51)는 일지점에 상기 연결핀(30)이 끼워질 수 있는 구멍(51a)이 형성되고, 하면에는 도어(8)의 우측 상단이 접촉되게 되며, 상기 도어고정부재(10)의 상기 수평부(13) 하면에서 수평으로 회동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도어고정부(52)는 상기 수평부(51)의 일단에서 하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수평부(51)를 상기 도어(8)에 고정결합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일측에는 나사(미도시)를 끼우기 위한 구멍(52a)이 형성되어 있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사물함 경첩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10)의 상부에 회동부재(20)가 연결핀(3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고정부재(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물함의 우측 하단 모서리에 나사(14)에 의해서 고정결합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10)는 회동부재(20)가 실제로는 결합되어 있는 상태이지만, 설명의 편의상 도 6에서는 회동부재(20)의 도시를 생략하고 고정부재(10)가 사물함(2)의 함실(3) 우측 하단 모서리에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하였다.
상기 고정부재(10)가 사물함(2)의 함실(3) 우측 하단 모서리에 결합되면, 다음에는 함실(3)의 전면에 결합되는 도어(4)를 고정부재(10)에 회동자재하게 결합되는 회동부재(20)에 결합시키게 되며, 이러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 도 6에 나타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부재(20)의 도어받침부(21) 상면에 도어(4)의 우측 하단이 받쳐지도록 한 상태에서 회동부재(20)의 도어고정부(22)를 나사(23)를 이용하여 도어(4)에 체결시키게 되면, 도어(4)와 회동부재(20)가 서로 고정결합되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회동부재(20)에 고정결합된 도어(4)는 연결핀(30)을 회동 중심점으로 하여 회동하면서 함실(3)을 개폐하게 된다.
다음에, 고정부재(10)와 회동부재(20)가 각각 사물함의 함실(3)과 도어(4)에 각각 고정이 된 상태에서 도어(4)가 닫혀져 있을 때에는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부재(20)의 하단 일측에 돌출 형성한 돌기(41)가 상기 고정부재(10)의 일측에 돌출 형성한 걸림부(42)와는 연결핀(30)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진 상태를 보여준다.
위와 같이 상기 회동부재(20)의 하단 일측에 돌출 형성한 상기 돌기(41)와, 상기 고정부재(10)의 일측에 돌출 형성한 상기 걸림부(42)와는 서로 이격이 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어(4)를 열기 시작하면, 도어(4)의 열려지는 각도에 따라 상기 회동부재(20)도 연결핀(30)을 중심으로 점차 회동을 하게 되며, 위와 같은 상기 회동부재(20)의 회동에 따라 상기 회동부재(20)의 하단 일측에 돌출 형성한 돌기(41)도 연결핀(30)을 중심으로 점차 회동을 하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도어(4)가 더욱 열려지게 되면, 상기 회동부재(20)도 더욱 더 회동을 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돌기(41)가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10)의 일측에 돌출 형성한 걸림부(42)에 걸리게 되면, 상기 돌기(41)는 더 이상 회동을 하지 못하는 상태가 되고, 따라서 상기 돌기(41)가 회동을 하지 못하게 되면, 이에 따라서 회동부재(20)에 고정결합된 도어(4)도 더 이상 회동을 하지 못하는 상태가 되므로 이러한 상태에서 도어(4)가 더 이상 열려지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물함 경첩에 의하면, 사물함(2)의 도어(4)가 계폐될 때, 사물함 경첩에 형성된 회동제한수단(40)의 돌기(41)가 회동제한수단(40)의 걸림부(42)에 접촉하여 도어(4)의 열리는 각도를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제한할 수 있게 되므로, 다수의 함실이 형성된 사물함에 있어서 각 함실의 사용자가 인접된 함실의 사용자가 도어를 개폐하더라도 방해를 받지 아니하고 자기 함실에 부착된 도어를 개폐할 수가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리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사물함의 함실이 상하로 형성되어 있고, 각 함실에 각각의 도어가 별개로 부착되는 경우에는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사물함 경첩이 사용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본 고안의 사물함 경첩은 사물함의 함실 우측 하단 모서리에 고정 부착되는 고정부재(10)를 기준으로 하여 상부에는 상측의 도어(7)를 개폐하기 위한 회동부재(20)가 상기 고정부재(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부에는 하측의 도어(8)를 개폐하기 위한 제2회동부재(50)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회동부재(20)는 상측의 도어(7)가 열리는 각도를 제한할 수 있도록 돌기(41)와 걸림부(42)와 같은 회동제한수단(40)을 설치하는 것이지만, 상기 제2회동부재(50)는 하측의 도어(8)가 열리는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별도의 회동제한수단을 설치하지 않더라도 무방하며, 그 이유는 하측에 설치되는 도어(8)는 상기 도어(8)의 우측 하단에 도어(8)의 열리는 각도를 제한할 수 있는 회동제한수단이 설치된 사물함 경첩이 설치되기 때문이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한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형상 및 구조의 변형은 첨부된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 사물함 경첩 10: 고정부재
11: 고정부 12: 수직부
13: 수평부 20: 회동부재
21: 도어받침부 22: 도어고정부
30: 연결핀 40: 회동제한수단
41: 돌기: 42: 걸림부

Claims (3)

  1. 사물함(2)의 함실 우측 하단 모서리에 고정부착되는 고정부(11)와, 상기 고정부(11)의 일단에서 수직으로 하향연장되는 수직부(12)와, 상기 수직부(12)의 하단에서 수평으로 돌출형성되며 일측에 구멍(15a)이 형성되어 있는 수평부(13)로 이루어져 사물함(2)의 함실 우측 하단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부재(10);
    상기 고정부재(10)의 상기 수평부(13)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일측에 구멍(21a)이 형성되고 상면에 도어(4)의 하단 우측부분이 받쳐지게 되는 도어받침부(21)와, 상기 도어받침부(21)의 일단부에서 수직으로 상향연장되고 상기 도어받침부(21)를 상기 도어(4)에 고정결합하기 위한 도어고정부(22)로 이루어져, 도어(4)의 우측 하단에 고정설치되는 회동부재(20);
    상기 고정부재(10)의 수평부(13)에 형성된 구멍(15a)과, 상기 회동부재(20)의 도어받침부(21)에 형성한 구멍(21a)에 끼워져 상기 고정부재(10)와 상기 회동부재(20)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연결핀(30); 및
    상기 고정부재(10)의 수평부(13)에 형성된 구멍(15a)에 인접하여 하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기(41)와, 상기 회동부재(20)의 도어받침부(21)에 형성한 구멍(21a)에 인접하여 돌출 형성되어 상기 도어(4)가 함실에서 열려질 때 상기 도어(4)가 함실에서 열려지는 각을 제한하기 위한 걸림부(42)로 이루어진 회동제한수단(4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 경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42)는,
    상기 도어(4)가 닫혀져 있을 때는 상기 돌기(41)에서 원거리에 위치하고, 상기 도어(4)가 열리게 되면 상기 연결핀(30)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돌기(41)에 접근되며, 상기 돌기(41)에 접촉되었을 때 상기 도어(4)가 더 이상 열리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 경첩.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10)의 하부에는 상기 도어(4)의 하단에 위치하는 다른 도어(8)를 개폐하기 위한 제2회동부재(50)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제2회동부재(50)는,
    상기 연결핀(30)에 끼워져 상기 도어고정부재(10)의 상기 도어받침부(21)와 평행하게 수평회동가능한 수평부(51)와, 상기 수평부(51)의 일단에서 하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수평부(51)를 상기 도어(8)에 고정결합하기 위한 도어고정부(5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 경첩.
KR2020110006073U 2011-07-04 2011-07-04 사물함 경첩 KR2013000029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073U KR20130000299U (ko) 2011-07-04 2011-07-04 사물함 경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073U KR20130000299U (ko) 2011-07-04 2011-07-04 사물함 경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299U true KR20130000299U (ko) 2013-01-14

Family

ID=52424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6073U KR20130000299U (ko) 2011-07-04 2011-07-04 사물함 경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0299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01481A1 (de) * 2017-05-10 2018-11-14 Grass GmbH & Co. KG Vorrichtung zur bewegung eines an einem möbelkorpus aufgenommenen möbelteils und möbel
KR101962078B1 (ko) * 2018-12-04 2019-03-26 주식회사 하나로오에이퍼니처 강화된 경첩부를 갖는 사물함
KR102096316B1 (ko) * 2019-09-23 2020-04-02 (주)동화엠피에스 경첩 및 이를 포함하는 가구
KR20220162276A (ko) 2021-06-01 2022-12-08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물함 도어의 경첩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01481A1 (de) * 2017-05-10 2018-11-14 Grass GmbH & Co. KG Vorrichtung zur bewegung eines an einem möbelkorpus aufgenommenen möbelteils und möbel
KR101962078B1 (ko) * 2018-12-04 2019-03-26 주식회사 하나로오에이퍼니처 강화된 경첩부를 갖는 사물함
KR102096316B1 (ko) * 2019-09-23 2020-04-02 (주)동화엠피에스 경첩 및 이를 포함하는 가구
KR20220162276A (ko) 2021-06-01 2022-12-08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물함 도어의 경첩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98456B2 (en) Built-in electrical household appliance and household appliance assembly and built-in furniture unit for a household appliance
KR20130000299U (ko) 사물함 경첩
KR101009611B1 (ko) 도어 닫힘 유지장치를 갖춘 사물함용 경첩
US8578661B1 (en) Collapsible housing structure system
US20120280605A1 (en) Increased storage capacity door system
KR20120028449A (ko) 도어 교체가 용이한 붙박이장
KR101302721B1 (ko) 절첩식 테이블이 구비된 가구
US20110031854A1 (en) Medicine/cosmetic cabinet with pivoting mirror assembly
JP3114072U (ja) ラックの扉板構造
US20180209206A1 (en) Trackless Free-Swinging Bi-fold Door
CN105952292B (zh) 淋浴门系统及其组件
KR20130102174A (ko) 룸식 독서실 책상
KR101557582B1 (ko) 사물함
KR101054006B1 (ko) 신발장
KR20140005997U (ko) 조립식 옷장
KR101239697B1 (ko) 가변형 수납 기능이 있는 건축물의 벽체구조
US8235476B2 (en) Closet top access box
JP5354584B2 (ja) 片開き門扉
KR20000018460U (ko) 다용도 조립식 가구
US9776452B1 (en) Multi-purpose concealing apparatus
CN207411801U (zh) 一种新型的壁式桌子
JPH0223705Y2 (ko)
KR200412267Y1 (ko) 게시판 일체형 사물함
KR200388879Y1 (ko) 가구용 도어힌지
EP3611322A1 (en) Sliding door arran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