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0499B1 - 높이조절장치를 갖는 가구 - Google Patents

높이조절장치를 갖는 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0499B1
KR100950499B1 KR1020070132499A KR20070132499A KR100950499B1 KR 100950499 B1 KR100950499 B1 KR 100950499B1 KR 1020070132499 A KR1020070132499 A KR 1020070132499A KR 20070132499 A KR20070132499 A KR 20070132499A KR 100950499 B1 KR100950499 B1 KR 100950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iture
height
driven gear
height adjust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2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5067A (ko
Inventor
이종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성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성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성사
Priority to KR1020070132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0499B1/ko
Publication of KR20090065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50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0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04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2Adjustable fe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02Adjustable furniture constru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16Self-levelling le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Landscapes

  • Legs For Furniture In General (AREA)

Abstract

가구의 높낮이를 실내 조건에 적합하도록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장치를 갖는 가구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높이조절장치를 갖는 가구는 물품을 수납하여 보관하기 위한 가구와, 가구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 가구의 하부에 구비되는 받침부재와, 받침부재의 상부에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가구와 결합되는 승강부재, 및 받침부재와 승강부재 사이에 구비되어 가구의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승강부재를 승강시키기 위한 높낮이 조절부재를 구비한 높이조절부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높이조절장치를 갖는 가구에 의하면, 핸들의 조작에 따라 작동되는 높낮이 조절부재에 의해 승강부재가 받침부재의 상하로 승강되어 가구의 높낮이가 조절됨으로써, 가구의 높낮이를 편리하고 안정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무게가 많이 나가는 가구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구조를 갖는 가구를 이용하여 실내공간을 하나 이상의 공간으로 신속하게 구획할 수 있고, 가구의 상부와 천정의 밀착성을 향상시켜 안정된 설치상태의 유지 및 접촉에 따른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가구의 배면에 문짝 모양을 형성하여 시각적 효과를 통한 가구의 배면에 대한 딱딱한 이미지를 해소할 수 있다.
가구, 높낮이 조절

Description

높이조절장치를 갖는 가구{FURNITURE HAVING HEIGHT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높이조절장치를 갖는 가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물품을 수납하여 보관하는 가구의 높낮이를 실내 조건에 적합하도록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장치를 갖는 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구는 주거공간에서 인간의 생활을 원활하게 영위하기 위해 없어서는 안 되는 중요한 생활도구의 하나이다.
가구는 인간의 생활을 더욱 윤택하게 하고 쾌적한 생활공간이 되도록 만드는 것으로서, 가구를 통하여 자신들이 그린 생활이미지나 생활양식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현대는 개성화, 다양화 시대임을 반영하여 다양한 양식이나 기호에 따라 공간연출을 꾀하고 있으며, 가구는 이러한 개인적인 양식이나 기호의 실현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한편, 우리가 가정에서 사용하는 대부분의 가구 예를 들면, 장롱, 서랍장, 거실장, 장식장 등은 주로 목재로 되어 있고 부피가 커서 운반이 용이하지 못하여 항상 정해진 공간을 차지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기존 가구의 높낮이를 조절 시 가구의 하부에 구비되는 나사를 돌려서 높낮이를 조절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가구의 설치 후에는 높낮이를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가구가 한번 설치된 상태에서 이사를 한다거나 위치를 이동하려면 가구를 분해 및 설치 후 높낮이를 조절해야 하는데, 이때 무게가 많이 나가는 장롱이나 수납장 전체의 무게를 부담한 상태에서 나사를 돌려야 하기 때문에 힘이 많이 들뿐 아니라, 이러한 이유로 가구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가구의 높낮이 조절 시 가구의 상부와 천정이 접촉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가구의 손상 및 파손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 조건에 따라 가구의 높낮이를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높이조절장치를 갖는 가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구의 이동배치가 용이할 수 있고, 가구의 이동구조에 의해 실내공간을 하나 이상의 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도록 한 높이조절장치를 갖는 가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구의 높낮이 조절에 따른 가구의 상부와 천청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높이조절장치를 갖는 가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물품을 수납하여 보관하기 위한 가구와, 상기 가구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가구의 하부에 구비되는 받침부재와,
상기 받침부재의 상부에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가구와 결합되는 승강부재, 및
상기 받침부재와 승강부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가구의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승강부재를 승강시키기 위한 높낮이 조절부재로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받침부재는 직사각형의 틀을 이루어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일정길이로 형성되어 그 양단이 틀의 내벽에 결합되고 상면의 길이방향 양측에 제 1,2 장착부를 구비한 복수의 바닥면 지지대가 구비된 것이다.
또한,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받침부재의 외벽을 감싸도록 받침부재와 부합되는 틀을 이루어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높낮이 조절부재는 상기 바닥면 지지대의 제 1,2 장착부에 수직하게 고정 장착되는 제 1,2 나선축과,
상기 제 1,2 나선축에 각각 나사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제 1,2 나선축의 길이방향으로 승강되는 제 1,2 피동기어와,
상기 바닥면 지지대와 대응되게 배치되도록 일정길이로 형성되어 그 양단이 상기 승강부재의 내벽에 결합되고 저면 양측에 상기 제 1,2 피동기어가 수용되게 설치되는 피동기어 브라켓이 각각 구비되는 복수의 피동기어 지지대와,
상기 피동기어 지지대들 사이에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일정길이로 형성되어 그 양단이 상기 승강부재의 내벽에 결합되고 저면 일측에 핸들결합부를 갖는 구동기어가 수용되게 설치되는 구동기어 브라켓이 구비되는 구동기어 지지대, 및
상기 구동기어 브라켓과 제 1 피동기어 브라켓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양단이 형성되는 기어가 상기 구동기어 및 제 1 피동기어에 맞물리게 설치되는 복수의 동력전달축과 상기 제 1 피동기어 브라켓과 제 2 피동기어 브라켓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양단에 형성되는 기어가 상기 제 1 피동기어 및 제 2 피동기어에 맞물리게 설 치되는 복수의 연결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기어의 구동력을 동력전달축 및 연결축으로 전달하여 상기 1,2 피동기어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전달부재로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피동기어의 나사부는 오른나사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피동기어의 나사부는 왼나사로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높낮이 조절부재에는 상기 승강부재의 높낮이를 단속하는 스톱퍼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스톱퍼장치는 상기 연결축 중 어느 한쪽의 연결축에 나사부가 형성되되, 상기 나사부가 형성된 연결축이 위치하는 상기 피동기어 지지대의 저면 양측에 상기 승강부재의 승강 길이와 동일한 간격을 가지도록 배치되어 연결축이 관통되게 설치되는 복수의 걸림단, 및
상기 걸림단 중 어느 한쪽의 걸림단과 상기 연결축에 동시에 나사결합되고 연결축의 회전 시 길이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되어 걸림단에 걸림 및 해제되기 위한 걸림노브로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피동기어 지지대의 외측에는 일정길이로 형성되어 그 양단이 상기 승강부재의 내벽에 결합되는 바퀴고정 지지대가 각각 더 구비되고, 상기 바퀴고정 지지대의 저면 길이방향 양측에는 제자리에서 회전이 자유로운 바퀴가 각각 설치된 것이다.
또한, 상기 받침부재의 각 모서리부에는 안내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승강부재에는 상기 안내돌기에 결합되도록 하방이 개구되는 장공형상의 안내공이 수직하게 형성되며,
상기 높낮이 조절부재의 높이조절 시 상기 승강부재의 안내공은 안내돌기에 의해 안내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구의 상부에는 천정과의 긴밀한 밀착을 위한 쿠션부재가 더 구비된 것이다.
또한, 상기 가구의 배면에는 가구의 전면과 동일한 문짝 모양이 형성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높이조절장치를 갖는 가구는 핸들의 조작에 의해 구동기어가 회전됨과 동시에 동력전달축, 제 1 피동기어, 연결축 및 제 2 피동기어가 순차적으로 회전되면서 승강부재가 승강되어 가구의 높낮이가 조절됨으로써, 가구의 높낮이를 편리하고 안정되게 조절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가구의 설치에 따른 높낮이 조절 시 바퀴에 의해 무게가 많이 나가는 가구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고, 이동구조를 갖는 가구를 이용하여 실내공간을 하나 이상의 공간으로 신속하게 구획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 가구의 상부와 천정의 밀착성을 향상시켜 안정된 설치상태의 유지 및 접촉에 따른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가구의 배면에 문짝 모양을 형성하여 시각적 효과를 통한 가구의 배면에 대한 딱딱한 이미지를 해소할 수 있는 이점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각 실시 예에 따른 높이조절장치를 갖는 가구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높이조절장치를 갖는 가구의 제 1 실시 예는, 도 1 및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품을 수납하여 보관하기 위한 가구(10)와, 가구(10)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부(20)로 구성된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가구(10)는 물품을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장롱, 서랍장, 거실장, 장식장, 침대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가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의 가구(10)는 장롱으로 도시되어 있다. 가구(10)의 바닥면에는 관통공(12)이 형성되어 있다.
높이조절부(20)는 가구(10)의 하부에 구비되는 받침부재(30)와, 받침부재(30)의 상부에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가구와 결합되는 승강부재(40), 및 받침부재(30)와 승강부재(40) 사이에 구비되어 가구(10)의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승강부재(40)를 승강시키기 위한 높낮이 조절부재(5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높이조절부(20)는 받침부재(30)와 승강부재(40) 사이에 구비된 높낮이 조절부재(50)의 작동에 의해 승강부재(40)가 받침부재(30)의 상하로 승강되는 구조로 된 것이다.
받침부재(30)는 직사각형의 틀을 이루어 형성되어 있다. 받침부재(30)의 내부에는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일정길이로 형성되어 그 양단이 틀의 대응되는 내벽에 결합되는 복수의 바닥면 지지대(32)가 구비되어 있다. 바닥면 지지대(32)의 상면 길이방향 양측에는 제 1,2 장착부(32A,32B)가 구비되어 있다. 아울러 받침부재(30)의 각 모서리부에는 안내돌기(34)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 다.
승강부재(40)는 높낮이 조절부재(50)의 작동에 의해 받침부재(30)의 상하로 승강되며, 받침부재(30)의 외벽을 감싸도록 받침부재(30)와 부합되는 틀을 이루어 형성되어 있다. 승강부재(40)에는 안내돌기(34)와 대응되는 위치에 하방이 개구되는 장공형상의 안내공(42)이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다. 안내공(42)이 안내돌기(34)에 결합됨으로써 승강부재(40)는 받침부재(30)의 상하로 승강 시 안내공(42)이 안내돌기(34)에 의해 안내되어 진다.
높낮이 조절부재(50)는 승강부재(40)를 받침부재(30)의 상하로 승강시키며, 바닥면 지지대(32)의 제 1,2 장착부(32A,32B)에 수직하게 고정 장착되는 제 1,2 나선축(50A,50B)과, 제 1,2 나선축(50A,50B)에 각각 나사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제 1,2 나선축(50A,50B)의 길이방향으로 승강되는 제 1,2 피동기어(52A,52B)와, 바닥면 지지대(32)와 대응되게 배치되도록 일정길이로 형성되어 그 양단이 승강부재(40)의 대응되는 내벽에 결합되고 저면의 길이방향 양측에 제 1,2 피동기어(52A,52B)가 수용되게 설치되는 제 1,2 피동기어 브라켓(54A,54B)이 각각 구비되는 복수의 피동기어 지지대(54)와, 피동기어 지지대(54)들 사이에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일정길이로 형성되어 그 양단이 승강부재(40)의 대응되는 내벽에 결합되고 저면의 길이방향 일측에 핸들결합부(57)를 갖는 구동기어(58)가 수용되게 설치되는 구동기어 브라켓(55)이 구비되는 구동기어 지지대(56), 및 구동기어 브라켓(55)과 제 1 피동기어 브라켓(54A)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양단이 형성되는 기어(62A,62B)가 구동기어(58) 및 제 1 피동기어(52A)에 맞물리게 설치되는 복수의 동력전달축(62)과 제 1 피동기어 브라켓(54A)과 제 2 피동기어 브라켓(54B)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양단에 형성되는 기어(64A,64B,66A,66B)가 제 1 피동기어(52A) 및 제 2 피동기어(52B)에 맞물리게 설치되는 복수의 연결축(64,66)으로 이루어지고 구동기어(58)의 구동력을 동력전달축(62) 및 연결축(64,66)으로 전달하여 1,2 피동기어(52A,52B)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전달부재(60)로 구성된다. 이때, 동력전달축(62)의 기어(62A,62B)와 연결축(64,66)의 각 기어(64A,64B,66A,66B)는 제 1,2 피동기어(52A,52B)와 베벨기어 형태로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구동기어(58)에 형성되는 핸들결합부(57)는 구동기어 지지대(56)의 상부를 통해 가구(10)의 관통공(12)으로 노출되어 핸들(59)과 선택적으로 결합되게 된다.
또, 제 1 피동기어(52A)의 나사부는 오른나사로 형성되어 있고, 제 2 피동기어(52B)의 나사부는 왼나사로 형성되어 있다.
즉, 승강부재(40)의 상승을 위해 핸들(59)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구동기어(58)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동력전달축(62)은 각각 시계방향 및 반 시계방향(상승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제 1 피동기어(52A)는 동력전달축(62)에 의해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연결축(64,66)이 제 1 피동기어(52A)에 의해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므로 제 2 피동기어(52B)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반면에, 승강부재(40)의 하강을 위해 핸들(59)을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구동기어(58)가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동력전달축(62)은 각각 시계방향 및 반 시계방향(하강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제 1 피동기어(52A)는 동력전달축(62)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연결축(64,66)이 제 1 피동기어(52A)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므로 제 2 피동기어(52B)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제 1 피동기어(52A)는 오른나사에 의해 제 1 나선축(50A)에 나사결합되고 제 2 피동기어(52B)는 왼나사에 의해 제 2 나선축(50B)에 나사결합됨으로써, 승강부재(40)의 승강 시 제 1,2 나선축(50A,50B)에 나사결합된 제 1 피동기어(52A)와 제 2 피동기어(52B)의 동일한 상승과 하강이 가능해진다.
또, 높낮이 조절부재(50)에는 승강부재(40)의 승강 시 높낮이를 단속하는 스톱퍼장치(70)가 구비되어 있다. 이를 위해서 스톱퍼장치(70)는 제 1 피동기어(52A)와 제 2 피동기어(52B)를 연결하는 연결축(64,66) 중 어느 한쪽의 연결축(64)에 나사부(64C)가 형성되되, 나사부(64C)가 형성된 연결축(64)이 위치하는 피동기어 지지대(54)의 저면 양측에 서로 일정간격 떨어져 연결축(64)이 관통되게 설치되는 복수의 걸림단(72A,72B), 및 걸림단(72A,72B) 중 어느 한쪽의 걸림단(72B)과 연결축(64)에 동시에 나사결합되고 연결축(64)의 회전 시 연결축(64)의 길이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되어 걸림단(72A,72B)에 걸림 및 해제되기 위한 걸림노브(74)로 구성된다. 이때, 스톱퍼장치(70)는 가구(10)의 전면을 기준으로 하여 볼 때, 구동기어(58)의 좌측에 구비되어 있고, 걸림노브(74)는 도 5에 도시된 연결축(64)의 우측에 배치되는 걸림단(72B)에 결합되어 있다.
걸림단(72A,72B)은 승강부재(40)의 승강 길이와 동일한 간격을 가지도록 피 동기어 지지대(54)의 저면에 고정되게 배치되어 있다.
걸림노브(74)는 일정길이를 가지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외부가 연결축(64)과 걸림단(72B)에 동시에 나사결합되어 있고, 걸림단(72A,72B) 사이에 위치하는 걸림노브(74)의 일측에는 걸림턱(76)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때, 걸림노브(74)의 걸림턱(76)은 승강부재(40)의 하강상태에서 연결축(64)의 좌측에 배치된 걸림단(72A)에 걸림되도록 접촉하게 되고, 승강부재(40)의 상승상태에서는 연결축(64)의 우측에 배치된 걸림단(72B)에 걸림되도록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걸림노브(74)는 연결축(64)의 회전 시 나사부(64C)에 의해 연결축(64)의 길이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되면서 걸림턱(76)이 걸림단(72A,72B)에 걸림 및 해제되어 그 이동이 제어됨으로써, 승강부재(40)의 승강에 따른 높낮이를 단속하게 된다.
여기서, 걸림노브(74)는 걸림단(72B)이 피동기어 지지대(54)의 저면에 고정되게 배치되어 있고, 연결축(64)은 제 1 피동기어(52A)와 제 2 피동기어(52B) 사이에서 제자리 회전됨으로써, 나사부(64C)에 의해 연결축(64)의 길이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높이조절장치를 갖는 가구의 제 1 실시 예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구(10)의 높이를 높여야 할 경우, 핸들(59)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높낮이 조절부재(50)는 상부로 상승하게 되고, 높낮이 조절부재(50)와 결합된 승강부재(40)는 안내공(42)과 안내돌기(34)에 의해 안내되어 받침부재(30)의 상부로 상승하게 되므로 가구(10)의 높이가 높아지게 된다.
즉, 핸들(59)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구동기어(58)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구동기어(58)의 양측에 배치된 동력전달축(62)이 각각 시계방향 및 반 시계방향(상승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동력전달축(62)과 연결된 제 1 피동기어(52A)는 제 1 나선축(50A)에서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연결축(64,66)이 제 1 피동기어(52A)의 회전에 의해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됨과 동시에 제 2 피동기어(52B)는 제 2 나선축(50B)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승강부재(40)가 상승하게 되므로 가구(10)의 높이가 높아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제 1 피동기어(52A)는 오른나사에 의해 제 1 나선축(50A)과 나사결합되고, 제 2 피동기어(52B)는 왼나사에 의해 제 2 나선축(50B)과 각각 나사결합되므로, 제 1,2 피동기어(52A,52B)는 제 1,2 나선축(50A,50B)에서 동일한 상승 및 하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승강부재(40)의 상승에 따라 스톱퍼장치(70)를 구성하는 걸림노브(74)가 회전되는 연결축(64)의 나사부(64C)에 의해 길이방향 일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걸림턱(76)이 연결축(64)의 우측에 배치된 걸림단(72B)에 걸림되므로, 승강부재(40)의 상승에 따른 높이가 단속되게 된다.
즉, 걸림턱(76)이 연결축(64)의 좌측에 배치된 걸림단(72A)에 접촉된 상태에서 걸림노브(74)가 회전되는 연결축(64)에 의해 길이방향의 일측으로 자유롭게 이동되어 연결축(64)의 우측에 배치된 걸림단(72B)에 걸림되면 연결축(64)의 회전이 제어되어 정지됨으로써, 승강부재(40)의 상승이 정지되는 것이다.
한편, 가구(10)의 높이를 낮춰야 할 경우, 핸들(59)을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높낮이 조절부재(50)는 상승된 상태에서 하부로 하강하게 되고, 높낮이 조절부재(50)와 결합된 승강부재(40)는 안내공(42)과 안내돌기(34)에 의해 안내되어 하강하게 되므로 가구(10)의 높이가 낮아지게 된다.
즉, 핸들(59)을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구동기어(58)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구동기어(58)의 양측에 배치된 동력전달축(62)이 각각 시계방향 및 반 시계방향(하강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동력전달축(62)과 연결된 제 1 피동기어(52A)는 제 1 나선축(50A)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연결축(64,66)이 제 1 피동기어(52A)의 회전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됨과 동시에 제 2 피동기어(52B)는 제 2 나선축(50B)에서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상승되었던 승강부재(40)가 하강하게 되므로 가구(10)의 높이가 낮아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승강부재(40)의 하강에 따라 걸림노브(74)의 걸림턱(76)이 연결축(64)의 우측에 배치된 걸림단(72B)에 접촉되어 걸림된 상태에서 걸림노브(74)가 회전되는 연결축(64)에 의해 길이방향의 타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연결축(64)의 좌측에 배치된 걸림단(72A)에 걸림되므로, 승강부재(40)의 하강이 단속되게 된다.
즉, 걸림노브(74)가 회전되는 연결축(64)에 의해 길이방향의 타측으로 자유롭게 이동되어 걸림턱(76)이 연결축(64)의 좌측에 배치된 걸림단(72A)에 걸림되면 연결축(64)의 회전이 제어되어 정지됨으로써, 승강부재(40)의 하강이 정지되는 것이다.
따라서, 핸들(59)의 조작에 의해 구동기어(58)가 회전됨과 동시에 동력전달축(62), 제 1 피동기어(52A), 연결축(64,66) 및 제 2 피동기어(52B)가 순차적으로 회전되면서 승강부재(40)가 승강되도록 조절됨으로써, 가구(10)의 높낮이를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높이조절장치를 갖는 가구의 제 2 실시 예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구(10)의 이동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이를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와 동일하다.
즉, 높낮이 조절부재(50)를 구성하는 피동기어 지지대(54)의 외측에는 일정길이로 형성되어 그 양단이 승강부재(40)의 내벽에 결합되도록 바퀴고정 지지대(80)가 각각 더 구비되어 있다. 바퀴고정 지지대(80)의 저면으로 길이방향 양측에는 제자리에서 회전이 자유로운 바퀴(82)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바퀴(82)는 높낮이 조절부재(50)에 의한 승강부재(40)의 승강 시 바닥과 선택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즉, 바퀴(82)는 승강부재(40)의 승강 시 바닥과 떨어지게 되고, 반면에 하강 시에는 바닥과 접촉하게 되어 가구(10)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받침부재(30)는 바퀴(82)가 바닥에 접촉되게 되므로 바닥과 일정간격 떨어지게 된다.
또, 바퀴(82)는 캐스터를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굳이 이에 한정하지는 아니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높이조절장치를 갖는 가구의 제 2 실시 예는, 가구(10)의 설치 시 높낮이 조절부재(50)에 의해 승강부재(40)를 하강시켜 바 퀴(82)를 바닥과 접촉시킴으로써, 무게가 많이 나가는 가구(10)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구의 이동구조에 의해 실내공간을 하나 이상의 공간으로 신속하게 구획할 수 있다.
즉, 하나의 방을 형성하는 실내공간의 중앙부에 가구(10)를 이동배치시켜 구획함으로써, 가구(10)를 중심으로 두 개의 방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높이조절장치를 갖는 가구의 제 3 실시 예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구(10)의 상부와 천정의 밀착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이를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 및 제 2 실시 예와 동일하다.
즉, 가구(10)의 상부에는 천정과의 긴밀한 밀착을 위한 쿠션부재(14)가 더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높이조절장치를 갖는 가구의 제 3 실시 예는, 가구(10)의 높낮이를 조절 시 높낮이 조절부재(50)에 의해 승강부재(40)를 상승시켜 가구(10)의 상부를 쿠션부재(14)에 의해 천정과 긴밀하게 밀착시킴으로써, 천정의 밀착성을 향상시켜 가구(10)의 안정된 설치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천정과 가구(10)의 접촉에 따른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높이조절장치를 갖는 가구의 제 4 실시 예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구(10)의 배면에 전면과 동일한 문짝 모양이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 내지 제 3 실시 예와 동일하다.
이때, 가구(10)의 배면에 형성되는 문짝 모양은 열리지 않는 구조이며, 배면 의 미관을 좋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높이조절장치를 갖는 가구의 제 4 실시 예는, 가구(10)가 실내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경우 가구(10)의 배면을 항상 주시해야 하는 사용자는 배면에 형성된 문짝 모양의 시각적 효과를 통해 가구(10)의 배면에 대한 딱딱한 이미지를 해소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 예로써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에 따른 높이조절장치를 갖는 가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의한 높이조절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높이조절부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도 3의 B-B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 예에 따른 높이조절장치를 갖는 가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높이조절장치를 갖는 가구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 예의 높이조절장치를 갖는 가구를 이용하여 실내공간을 구획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 예에 따른 높이조절장치를 갖는 가구의 정면도,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 실시 예에 따른 높이조절장치를 갖는 가구의 배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가구 12 : 쿠션부재
20 : 높이조절부 30 : 받침부재
32 : 바닥면 지지대 32A,32B : 제 1,2 장착부
34 : 안내돌기 40 : 승강부재
42 : 안내공 50 : 높낮이 조절부재
50A,50B : 제 1,2 나선축 52A,52B : 제 1,2 피동기어
54 : 피동기어 지지대 56 : 구동기어 지지대
58 : 구동기어 60 : 동력전달부재
62 : 동력전달축 64,66 : 연결축
70 : 스톱퍼장치 72A,72B : 걸림단
74 : 걸림노브 80 : 바퀴고정 지지대
82 : 바퀴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물품을 수납하여 보관하기 위한 가구(10)와, 상기 상기 가구(10)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가구(10)의 하부에 구비되고 제 1,2 장착부(32A,32B)를 갖는 복수의 바닥면 지지대(32)가 설치되는 받침부재(30), 상기 받침부재(30)의 상부에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가구(10)와 결합되는 승강부재(40), 및 상기 받침부재(30)와 승강부재(4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가구(10)의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승강부재(40)를 승강시키기 위한 높낮이 조절부재(50)로 구성되는 높이조절부(20)를 포함하고,
    상기 높낮이 조절부재(50)는 상기 바닥면 지지대(32)의 제 1,2 장착부(32A,32B)에 수직하게 고정 장착되는 제 1,2 나선축(50A,50B)과,
    상기 제 1,2 나선축(50A,50B)에 각각 나사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제 1,2 나선축(50A,50B)의 길이방향으로 승강되는 제 1,2 피동기어(52A,52B)와,
    상기 바닥면 지지대(32)와 대응되게 배치되도록 일정길이로 형성되어 그 양단이 상기 승강부재(40)의 내벽에 결합되고 저면의 길이방향 양측에 상기 제 1,2 피동기어(52A,52B)가 수용되게 설치되는 제 1,2 피동기어 브라켓(54A,54B)이 각각 구비되는 복수의 피동기어 지지대(54)와,
    상기 피동기어 지지대(54)들 사이에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일정길이로 형성되어 그 양단이 상기 승강부재(40)의 내벽에 결합되고 저면의 길이방향 일측에 핸들결합부(57)를 갖는 구동기어(58)가 수용되게 설치되는 구동기어 브라켓(55)이 구비되는 구동기어 지지대(56), 및
    상기 구동기어 브라켓(55)과 제 1 피동기어 브라켓(54A)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양단이 형성되는 기어(62A,62B)가 상기 구동기어(58) 및 제 1 피동기어(52A)에 맞물리게 설치되는 복수의 동력전달축(62)과 상기 제 1,2 피동기어 브라켓(54A,52B)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양단에 형성되는 기어(64A,64B,66A,66B)가 상기 제 1,2 피동기어(52A,52B)에 맞물리게 설치되는 복수의 연결축(64,66)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기어(58)의 구동력을 동력전달축(62) 및 연결축(64,66)으로 전달하여 상기 1,2 피동기어(52A,52B)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전달부재(6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장치를 갖는 가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1 피동기어(52A)의 나사부는 오른나사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피동기어(52B)의 나사부는 왼나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장치를 갖는 가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 조절부재(50)에는 상기 승강부재(40)의 높낮이를 단속하는 스톱퍼장치(70)가 구비되고,
    상기 스톱퍼장치(70)는 상기 연결축(64,66) 중 어느 한쪽의 연결축(64)에 나사부(64C)가 형성되되, 상기 나사부(64C)가 형성된 연결축(64)이 위치하는 상기 피동기어 지지대(54)의 저면 양측에 상기 승강부재(40)의 승강 길이와 동일한 간격을 가지도록 배치되어 연결축(64)이 관통되게 설치되는 복수의 걸림단(72A,72B), 및
    상기 걸림단(72A,72B) 중 어느 한쪽의 걸림단(72B)과 상기 연결축(64)에 동시에 나사결합되고 연결축(64)의 회전 시 길이방향의 자유롭게 이동되어 걸림단(72A,72B)에 걸림 및 해제되기 위한 걸림노브(7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장치를 갖는 가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피동기어 지지대(54)의 외측에는 일정길이로 형성되어 그 양단이 상기 승강부재(40)의 내벽에 결합되는 바퀴고정 지지대(80)가 각각 더 구비되고, 상기 바퀴고정 지지대(80)의 저면 길이방향 양측에는 제자리에서 회전이 자유로운 바퀴(82)가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장치를 갖는 가구.
  8.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30)의 각 모서리부에는 안내돌기(34)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승강부재(40)에는 상기 안내돌기(34)에 결합되도록 하방이 개구되는 장공형상의 안내공(42)이 수직하게 형성되며,
    상기 높낮이 조절부재(50)의 높낮이 조절 시 상기 승강부재(40)의 안내공(42)은 안내돌기(34)에 의해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장치를 갖는 가구.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가구(10)의 상부에는 천정과의 긴밀한 밀착을 위한 쿠션부재(14)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장치를 갖는 가구.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가구(10)의 배면에는 가구(10)의 전면과 동일한 문짝 모양이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장치를 갖는 가구.
KR1020070132499A 2007-12-17 2007-12-17 높이조절장치를 갖는 가구 KR1009504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2499A KR100950499B1 (ko) 2007-12-17 2007-12-17 높이조절장치를 갖는 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2499A KR100950499B1 (ko) 2007-12-17 2007-12-17 높이조절장치를 갖는 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5067A KR20090065067A (ko) 2009-06-22
KR100950499B1 true KR100950499B1 (ko) 2010-03-31

Family

ID=40993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2499A KR100950499B1 (ko) 2007-12-17 2007-12-17 높이조절장치를 갖는 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04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5598B1 (ko) 2021-08-17 2022-02-08 주식회사 목림 가구용 높이조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056Y1 (ko) * 2009-07-17 2012-05-02 권영춘 거실장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9881Y1 (ko) * 1987-04-21 1990-10-20 박병길 가구의 받침다리 승강 조절장치
JPH0425540U (ko) * 1990-06-25 1992-02-28
KR200191510Y1 (ko) * 2000-03-16 2000-08-16 정남규 장의 받침장치
JP2002000378A (ja) 2000-06-19 2002-01-08 Patekku:Kk 家具の支持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9881Y1 (ko) * 1987-04-21 1990-10-20 박병길 가구의 받침다리 승강 조절장치
JPH0425540U (ko) * 1990-06-25 1992-02-28
KR200191510Y1 (ko) * 2000-03-16 2000-08-16 정남규 장의 받침장치
JP2002000378A (ja) 2000-06-19 2002-01-08 Patekku:Kk 家具の支持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5598B1 (ko) 2021-08-17 2022-02-08 주식회사 목림 가구용 높이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5067A (ko) 2009-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38080C (en) Motorized moveable shelf assembly for cabinet structures
US8424983B1 (en) Motorized upper and lower storage shelves
US9212038B1 (en) Automated portable personal lift
KR101658754B1 (ko) 가구용 높이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가구
KR20190137828A (ko) 옷장 장치
TWI457093B (zh) Lift hanging cabinet
KR100950499B1 (ko) 높이조절장치를 갖는 가구
KR20190094617A (ko) 위치 조절이 가능한 주방용 가구
KR100941607B1 (ko) 높이조절장치를 갖는 벽체
KR20240063701A (ko) 높이조절장치를 갖는 가구
CN112648770A (zh) 一种储藏装置
CN107041648A (zh) 一种吊顶式智能移动床与榻榻米组合柜
KR200414468Y1 (ko) 승강 가능한 싱크대의 찬장
CN108497827B (zh) 房间分隔装置
JPH07313274A (ja) 昇降式吊戸棚
JP4077595B2 (ja) 間仕切り用収納家具
KR102343838B1 (ko) 시스템 가구용 레벨링 장치
US11927299B1 (en) Two display monitor mechanism
CN214759870U (zh) 一种可调节高度的智能家居柜
JP4550082B2 (ja) 室内移動式の個室ユニット
CN217524311U (zh) 一种适用于监护病房的多功能床头柜
KR20200032403A (ko) 엘시디 모니터의 회전형 스탠드용 이동식 회전장치
CN113638632B (zh) 一种可快速安装的共享淋浴室
JP2022125943A (ja) キッチンカウンター
CN209763211U (zh) 一种升降式调节的集成橱柜烟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