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4617A - 위치 조절이 가능한 주방용 가구 - Google Patents

위치 조절이 가능한 주방용 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4617A
KR20190094617A KR1020180013956A KR20180013956A KR20190094617A KR 20190094617 A KR20190094617 A KR 20190094617A KR 1020180013956 A KR1020180013956 A KR 1020180013956A KR 20180013956 A KR20180013956 A KR 20180013956A KR 20190094617 A KR20190094617 A KR 201900946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elevating
furniture
lowering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3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영모
정지원
Original Assignee
강영모
정지원
주식회사 위디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영모, 정지원, 주식회사 위디코 filed Critical 강영모
Priority to KR1020180013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94617A/ko
Publication of KR20190094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46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5/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enabling enlarging in height, length, or depth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5Shelves with moving elements, e.g. movable extensions or link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치 조절이 가능한 주방용 가구에 관한 것으로, 벽면에 주방가구를 고정시키는 가구 프레임; 상기 가구 프레임의 내부에 소정 간격 이격되게 다수개로 구성되며, 승하강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승하강 패널이 구성된 수납 프레임; 상기 승하강 패널이 삽입되는 가이드 프레임과, 상기 수납 프레임의 양측면에 대한 지지력을 제공하는 고정 플랜지와, 상기 가이드 프레임 및 고정 플랜지 사이에 형성되는 자석 고정부와,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구성되어 수납 프레임의 승하강 작동을 지지하는 승하강 지지홈을 포함하는 레일 프레임; 상기 승하강 패널의 양측부에 구성되는 이동자석과, 상기 자석 고정부에 고정되는 다수개의 고정자석과, 상기 이동자석과 고정자석이 서로 동일극성, 또는 반대되는 극성을 이루도록 상기 고정자석의 자화 여부를 제어하는 자석 콘트롤러로 구성된 이송 가이드부; 일측 외주면이 상기 승하강 지지홈에 접하며, 상기 수납 프레임의 승하강 작동시 구름작동을 하는 회전수단과, 상기 회전수단의 타측 외주면이 접하고, 상기 승하강 지지홈과 접촉하면서 상기 회전수단으로 소정의 가압력을 제공하는 회전 지지 브라켓과, 상기 회전 지지 브라켓을 이동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승하강 제어부와, 상기 수납 프레임의 승하강 범위를 설정하는 설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승하강 패널에 구성되는 승하강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위치 조절이 가능한 주방용 가구{Kitchen furniture with adjustable position}
본 발명은 위치 조절이 가능한 주방용 가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싱크대의 상부에 구성되는 수납장과 같은 주방용 가구가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키가 작은 사용자들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 조절이 가능한 주방용 가구에 관한 것이다.
장애인, 어린아이 등의 편리성을 고려하여 높이를 조절하는 기술이 책상, 테이블, 침대, 휠체어 등 다양한 제품에 적용되고 있으며, 주방의 씽크대 및 씽크대에 있어서도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기술이 도입된 바 있다.
일예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14468호의 "승강 가능한 싱크대의 찬장"에 의하면 싱크대의 위쪽으로 주방 벽면에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하나 이상의 수납실로 이루어진 찬장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수납실이 승강 유닛에 의해 승강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 유닛은, 구동원으로서의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루 봉과, 상기 스크루 봉에 나사결합되는 동시에 수납실에 일체로 형성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을 제안한다.
이는 찬장의 적어도 일부를 승강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찬장을 보다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기대되기는 하지만, 단순하게 승하강되는 방식이므로 씽크대 상에 설치되는 찬장의 경우 장애인들, 또는 키가 작은 어린아이들이 사용하기 편리한 정도의 위치로 하강시키기 곤란하다.
반면 다른 예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70918호의 "슬라이드 찬장"에 의하면 정,역 회전이 가능한 전동기와 웜 감속기를 구비한 리프트장치가 슬라이드 장치를 수직으로 이동시키면서 링크에 고정된 찬장을 링크의 회전반경 만큼 앞으로 밀려나오게 하여 수직이동 하도록 하는 구성을 제안한다.
이는 부착형 찬장 또는 수납장에 슬라이드 장치를 결합하여 상하로 위치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므로 특히 키가 작은 사람,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노약자 등을 위한 편리성을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와이어로프를 사용하는 방식이므로 주기적으로 관리하지 않으면 점차 작동소음이 커지고 파단에 의한 추락사고를 초래할 우려도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14468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70918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기술에 의해서 안출된 것으로, 싱크대의 상부에 구성되는 수납장과 같은 주방용 가구가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키가 작은 사용자들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 조절이 가능한 주방용 가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찬장, 수납장 등과 같은 주방용 가구의 높이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특히, 사용자들의 키 높이에 따라 자동으로 주방용 가구의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위치 조절이 가능한 주방용 가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이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이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벽면에 주방가구를 고정시키는 가구 프레임; 상기 가구 프레임의 내부에 소정 간격 이격되게 다수개로 구성되며, 승하강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승하강 패널이 구성된 수납 프레임; 상기 승하강 패널이 삽입되는 가이드 프레임과, 상기 수납 프레임의 양측면에 대한 지지력을 제공하는 고정 플랜지와, 상기 가이드 프레임 및 고정 플랜지 사이에 형성되는 자석 고정부와,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구성되어 수납 프레임의 승하강 작동을 지지하는 승하강 지지홈을 포함하는 레일 프레임; 상기 승하강 패널의 양측부에 구성되는 이동자석과, 상기 자석 고정부에 고정되는 다수개의 고정자석과, 상기 이동자석과 고정자석이 서로 동일극성, 또는 반대되는 극성을 이루도록 상기 고정자석의 자화 여부를 제어하는 자석 콘트롤러로 구성된 이송 가이드부; 일측 외주면이 상기 승하강 지지홈에 접하며, 상기 수납 프레임의 승하강 작동시 구름작동을 하는 회전수단과, 상기 회전수단의 타측 외주면이 접하고, 상기 승하강 지지홈과 접촉하면서 상기 회전수단으로 소정의 가압력을 제공하는 회전 지지 브라켓과, 상기 회전 지지 브라켓을 이동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승하강 제어부와, 상기 수납 프레임의 승하강 범위를 설정하는 설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승하강 패널에 구성되는 승하강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레일 프레임에는, 상기 승하강 지지홈에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가 접하는 파형부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구 프레임에는, 상기 승하강 제어부와 연동이 이루어지며, 자동으로 상기 승하강 부재의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감지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감지 시스템은 사용자의 위치와 상기 사용자의 키 높이를 감지하여 상기 사용자의 키 높이에 맞추어 상기 수납 프레임의 하강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승하강 부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싱크대의 상부에 구성되는 수납장과 같은 주방용 가구가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키가 작은 사용자들도 쉽게 사용할 수 있어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수납장 등과 같은 주방용 가구의 높이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특히, 사용자들의 키 높이에 따라 자동으로 주방용 가구의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조작 과정이 없어도 누구나 편리하게 주방용 가구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조절이 가능한 주방용 가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조절이 가능한 주방용 가구의 수납 프레임 및 레일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조절이 가능한 주방용 가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조절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조절장치를 나타낸 요부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조절이 가능한 주방용 가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조절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위치 조절이 가능한 주방용 가구는 수납장 등과 같은 주방용 가구(이하, 주방가구(100)라고 함.)의 높이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특히, 사용자들의 키 높이에 따라 자동으로 주방용 가구의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조작 과정이 없어도 누구나 편리하게 주방용 가구를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씽크대(10)의 상부에 승하강 작동이 이루어지는 주방가구(100)가 구성되는 것으로, 특히 상기 주방가구(100)를 승하강 작동시키기 위하여 이송 가이드부(200), 승하강 부재(300) 및 감지 시스템(400)을 통해 자동으로 사용자의 위치가 키 높이를 감지 및 측정하여 주방가구(100)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주방가구(100)는 씽크대(10)의 상부에 배치되며, 벽면에 주방가구(100)를 고정시키는 가구 프레임(110), 상기 가구 프레임(110)의 내부에 소정 간격 이격되게 다수개로 구성되며, 상기 이송 가이드부(200) 및 승하강 부재(300)의 작동에 따라 승하강 작동이 이루어지는 수납 프레임(120) 및 상기 수납 프레임(120)을 상기 가구 프레임(110)에 결합함과 동시에 상기 수납 프레임(120)의 승하강 작동을 지지하는 레일 프레임(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구 프레임(110)은 그릇, 컵 등이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에 상기 수납 프레임(120)이 구비되며, 주방가구(100)를 벽면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상기 수납 프레임(120)의 승하강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내부에 레일 프레임(130)이 결합된다.
이러한 가구 프레임(110)은 수납 프레임(120)의 하강 작동시 상기 수납 프레임(120)이 가구 프레임(110)으로부터 인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부가 개방된 형태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수납 프레임(120)이 가구 프레임(110)으로부터 인출이 이루어질 때에만 하부를 개방하는 개방 프레임(112)이 더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개방 프레임(11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구 프레임(110)의 하부, 또는 레일 프레임(130)의 하단부에 통상의 절첩 수단을 통해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으며, 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 복원부재(미도시)가 장착되어 있어서 수납 프레임(120)이 하강 작동시 개방 프레임(112)을 밀면서 인출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승강 작동시 개방 프레임(112)이 탄성 복원부재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되면서 가구 프레임(110)의 하부를 밀폐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가구 프레임(110)은 그 전방부로 수납 프레임(120)의 승하강 작동시 승하강 범위와 승하강 작동이 이루어질 수납 프레임(120)을 선택하는 설정부(360)가 구성된다.
아울러, 가구 프레임(110)의 전방측 하부에는 사용자가 주방가구(100)의 전방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센서(410)가 구비된다.
또한, 가구 프레임(110)에는 전방측 상부에 사용자의 키 높이를 측정하는 높이 감지센서(420)와, 상기 높이 감지센서(420)의 감지 범위를 제어하는 센서 구동부(422)가 구비된다.
여기서, 가구 프레임(110)에는 전방부가 유리 등으로 구성되어 내부에 수용된 그릇, 컵 등의 주방용품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수납 프레임(120)은 가구 프레임(1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부면으로 각종 그릇, 냄비, 음식용 용기, 컵과 같은 주방용품이 안착되고, 레일 프레임(130)을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승하강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수납 프레임(120)은 후방부로 레일 프레임(13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수납 프레임(120)을 승하강시키는 승하강 패널(122)이 구성되고, 승하강패널(122)의 양측으로 후술할 이송 가이드부(200)의 이동자석(210)이 결합되는 자석 삽입부(124)가 형성된다.
승하강 패널(122)은 수납 프레임(120)의 후방에 구성되며, 레일 프레임(130)에 형성된 가이드 프레임(134)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 프레임(134)을 따라 승하강 작동이 이루어지면서 가구 프레임(110)으로부터 인출되게 구성된다.
이러한 승하강 패널(122)은 내부에 승하강 부재(300)가 설치되도록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승하강 부재(300) 중 회전 지지 브라켓(320)의 인입 및 인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개방되게 형성된 작동홈(122a)이 구성된다.
여기서, 작동홈(122a)은 승하강 패널(122)의 양측부에 각각 승하강 부재(300)가 장착될 수 있도록 그 중앙부에 격벽이 더 구성될 수 있다.
레일 프레임(130)은 가구 프레임(110)의 후방측 내면에 고정 결합되며, 그 전방으로 수납 프레임(120)이 구성되되, 상기 수납 프레임(120)을 승하강 작동시키는 이송 가이드부(200) 및 승하강 부재(300)가 장착된다.
이러한 레일 프레임(130)은 중앙부에 수납 프레임(120)의 승하강 패널(122)이 삽입되는 가이드 프레임(134)이 구성되고, 상기 수납 프레임(120)의 승하강 작동시 수납 프레임(120)의 양측면에 대한 지지력을 제공하는 고정 플랜지(132)가 구성된다.
이에, 수납 프레임(120)의 후방부와 양측부가 레일 프레임(130)과 결합 밀 밀착되게 구성됨으로써, 승하강시 보다 안정적인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레일 프레임(130)에는 가이드 프레임(134)과 고정 플랜지(132) 사이에 후술할 이송 가이드부(200)의 고정자석(220) 및 자석 콘트롤러(230)가 고정 결합되는 자석 고정부(136)가 형성된다.
자석 고정부(136)는 전방부가 다수개의 고정자석(220)들이 레일 프레임(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장착될 수 있도록 요홈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후방부로 고정자석(220)의 자화 여부를 제어하는 자석 콘트롤러(230)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레일 프레임(130)에는 후술할 승하강 부재(300)의 회전수단(310)의 외주면이 접하면서 구름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승하강 지지홈(138)이 형성된다.
또한, 승하강 지지홈(138)에는 승하강 부재(300)의 이동, 또는 고정 상태 유지 등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승하강 부재(300)의 회전 지지 브라켓(320)의 선단부에 형성된 스토퍼(324)와 접하는 파형부(138a)가 형성된다.
파형부(138a)는 레일 프레임(13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수납 프레임(120)의 승하강 작동시 상기 회전 지지 브라켓(320)의 스토퍼(324)가 접하면서 회전수단(310)의 구름 작동에 대한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파형부(138a)의 오목한 부분에 상기 스토퍼(324)가 위치하게 되면, 회전 지지 브라켓(320)에 형성된 볼 안착홈(322)이 회전수단(310)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구름 작동을 억제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스토퍼(324)가 볼록한 부분에 위치하게 되면, 회전수단(310)의 외주면을 가압하고 있는 볼 안착홈(322)의 가압력이 해제되면서 원활한 구름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에, 수납 프레임(120)의 이동시 수납된 주방용품의 무게에 따라 과도하게 하강 작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차단하고, 일정 속도로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게 되어, 결국 상기 주방용품의 손상이나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송 가이드부(200)는 수납 프레임(120)의 자석 삽입부(124)에 결합되는 통상의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지는 이동자석(210)과, 마그네틱 자석으로 이루어지는 고정자석(220)으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자석(220)의 자화 여부를 제어하는 자석 콘트롤러(23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고정자석(220)은 레일 프레임(130)의 자석 고정부(136)에 장착되며, 다수개로 구성되는 것으로, 자석 콘트롤러(230)의 제어에 따라 자화가 이루어지면서 상기 이동자석(210)과 동일한 극성으로 자화가 이루어지거나, 또는 반대되는 극석으로 자화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때, 다수개로 이루어진 고정자석(220)은 2개가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 쌍의 고정자석(220)이 서로 다른 극성으로 자화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2개의 고정자석(220) 중 하나는 N극으로 자화가 이루어지며, 다른 하나는 S극으로 자화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둘 중 어느 하나만이 자화가 이루어지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이동자석(210)이 상기 한 쌍의 고정자석(220)과 동시에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수납 프레임(120)의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인 경우, 자석 콘트롤러(230)는 이동자석(210)과 다른 극성으로 고정자석(220)를 자화시켜 이동자석(210)과 고정자석(220) 간의 자력에 의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슬라이딩 이동시에는 고정자석(220)이 이동자석(210)과 동일한 극성으로 자화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원활한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에, 수납 프레임(120)에 결합된 이동자석(210)이 고정자석(220)의 자화 여부에 따라 고정자석(220)과 결합되면서 수납 프레임(120)의 위치를 고정하거나, 또는 고정자석(220)과 결합이 해제되면서 상기 수납 프레임(120)의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승하강 부재(300)는 수납 프레임(120)의 후방에 구성된 승하강패널(122)에 구성되며, 상기 수납 프레임(120)을 승하강 작동시키는 것으로, 회전수단(310), 회전 지지 브라켓(320), 구동수단(330), 완충수단(340), 승하강 제어부(350) 및 설정부(3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회전수단(310)은 구의 형상으로 형성된 볼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일측면이 레일 프레임(130)의 승하강 지지홈(138)에 형성된 파형부(138a)와 접하도록 구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타측면이 회전 지지 브라켓(320)과 접하도록 구성되어 수납 프레임(120)의 슬라이딩 이동시 구름 작동이 이루어지면서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회전 지지 브라켓(320)은 회전수단(310)의 타측부에 대한 외주면이 접하는 볼 안착홈(322)이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파형부(138a)와 접하도록 구성되는 스토퍼(324)로 이루어진다.
볼 안착홈(322)은 스토퍼(324)가 파형부(138a)의 오목한 부분, 또는 볼록한 부분에 위치하는 것에 따라 상기 회전수단(310)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회전 지지 브라켓(320)은 후방부로 구동수단(330)의 구동축(332)과 연결되게 구성되어 상기 구동수단(330)에 의해 상기 회전수단(310)의 구름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구동수단(330)은 승하강 제어부(350)의 제어에 따라 상기 회전 지지 브라켓(320)을 회전수단(310)측으로 이동시켜 가압력을 극대화함으로써, 수납 프레임(120)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한하거나, 또는 상기 회전 지지 브라켓(320)을 승하강패널(122)의 내부로 진입하도록 작동하여 가압력을 해제시켜 회전수단(310)의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동수단(330)은 실린더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완충수단(340)은 회전 지지 브라켓(320)과 구동수단(330) 사이에 구성되며, 상기 회전 지지 브라켓(320)에 구성된 스토퍼(324)가 파형부(138a)를 따라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충격 및 소음을 저감하는 역할을 한다.
승하강 제어부(350)는 설정부(360)의 설정에 따라 상기 구동수단(330)의 구동 여부를 제어하는 것으로,
설정부(360)는 가구 프레임(110)의 전방부에 구성되어 수납 프레임(120)의 슬라이딩 범위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경우, 이에 대한 제어신호를 승하강 제어부(350)로 전송하여 수납 프레임(120)의 승하강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설정부(36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수개로 이루어지는 수납 프레임(120) 중 가장 하단부에 위치한 수납 프레임(120) 만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송신하거나, 또는 하단부 및 중간부에 위치한 수납 프레임(120)들을 동시에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송신하거나, 또는 모든 수납 프레임(120)들을 동시에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승하강 제어부(350)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사용자는 다수개의 수납 프레임(120)들 중에서 원하는 위치에 있는 주방용품을 설정부(360)의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쉽게 인출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감지 시스템(400)은 승하강 제어부(350)와 연동이 이루어지며, 상기 승하강 부재(300)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 인가 여부를 제어함과 동시에 자동으로 상기 승하강 부재(300)의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주방가구(100) 앞에 위치하는지 여부와, 상기 사용자의 키 높이에 따라 상기 승하강 부재(300)의 승하강 제어부(350)를 제어하여 상기 수납 프레임(120)이 상기 사용자의 키 높이에 맞춰 하강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감지 시스템(400)은 사용자가 씽크대(10), 또는 주방가구(100)의 전방으로 위치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센서(410)와, 사용자의 키 높이를 측정하고, 측정된 결과값을 감지 제어부(430)로 전송하는 높이 감지센서(420)와, 상기 위치 감지센서(410) 및 높이 감지센서(42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승하강 제어부(350)의 구동을 제어하는 감지 제어부(430)로 구성된다.
위치 감지센서(410)는 가구 프레임(110)의 하단부 전방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씽크대(10), 또는 주방가구(100)의 전방으로 위치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이에 대한 위치 정보를 감지 제어부(430)로 전송한다.
이때 감지범위는 사용자와 씽크대(10), 또는 주방가구(100) 사이의 거리값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0cm~50cm 범위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단순히 그 주변을 이동하는 경우에는 감지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 감지센서(410)는 사용자의 위치가 감지되면, 이에 대한 감지신호를 감지 제어부(430)로 전송하고, 감지 제어부(430)에서는 높이 감지센서(420)의 구동을 위한 센서 구동부(422)를 작동시키게 된다.
높이 감지센서(420)는 사용자의 키 높이를 측정하고, 측정된 결과값을 감지 제어부(430)로 전송하는 것이다.
이러한 높이 감지센서(420)는 가구 프레임(110)의 상부에 구성되며, 상기 가구 프레임(110)의 전방측으로 일정 각도 만큼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면서 지면으로부터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사용자의 머리 끝 부분까지의 높이를 측정하고, 이에 대한 측정 결과값을 감지 제어부(430)로 전송하는 것이다.
이때, 높이 감지센서(420)에는 상기 높이 감지센서(420)를 일정 범위 만큼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센서 구동부(422)가 더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센서 구동부(422)는 통상의 구동모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감지 제어부(430)는 위치 감지센서(410)로부터 사용자의 위치정보가 전송되면, 센서 구동부(422)를 작동시켜 높이 감지센서(420)가 일방향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지면으로부터 사용자의 머리 끝 부분까지의 높이에 대한 측정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고, 상기 높이 감지센서(420)에서 측정한 측정 결과값이 전송되면, 상기 측정 결과값에 대응하여 승하강 부재(300)의 승하강 제어부(350)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수납 프레임(120)의 위치가 사용자의 눈 높이에 맞춰서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감지 시스템(400)은 상기 감지 제어부(43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승하강 부재(300)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 공급부(미도시)가 더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주방가구 110: 가구 프레임
120: 수납 프레임 130: 레일 프레임
200: 이송 가이드부 210: 이동자석
220: 고정자석 230: 자석 콘트롤러
300: 승하강 부재 310: 회전수단
320: 회전 지지 브라켓 330: 구동수단
340: 완충수단 350: 승하강 제어부
360: 설정부 400: 감지 시스템
410: 위치 감지센서 420: 높이 감지센서
430: 감지 제어부

Claims (4)

  1. 벽면에 주방가구를 고정시키는 가구 프레임;
    상기 가구 프레임의 내부에 소정 간격 이격되게 다수개로 구성되며, 승하강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승하강 패널이 구성된 수납 프레임;
    상기 승하강 패널이 삽입되는 가이드 프레임과, 상기 수납 프레임의 양측면에 대한 지지력을 제공하는 고정 플랜지와, 상기 가이드 프레임 및 고정 플랜지 사이에 형성되는 자석 고정부와,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구성되어 수납 프레임의 승하강 작동을 지지하는 승하강 지지홈을 포함하는 레일 프레임;
    상기 승하강 패널의 양측부에 구성되는 이동자석과, 상기 자석 고정부에 고정되는 다수개의 고정자석과, 상기 이동자석과 고정자석이 서로 동일극성, 또는 반대되는 극성을 이루도록 상기 고정자석의 자화 여부를 제어하는 자석 콘트롤러로 구성된 이송 가이드부;
    일측 외주면이 상기 승하강 지지홈에 접하며, 상기 수납 프레임의 승하강 작동시 구름작동을 하는 회전수단과, 상기 회전수단의 타측 외주면이 접하고, 상기 승하강 지지홈과 접촉하면서 상기 회전수단으로 소정의 가압력을 제공하는 회전 지지 브라켓과, 상기 회전 지지 브라켓을 이동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승하강 제어부와, 상기 수납 프레임의 승하강 범위를 설정하는 설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승하강 패널에 구성되는 승하강 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조절이 가능한 주방용 가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프레임에는, 상기 승하강 지지홈에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가 접하는 파형부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조절이 가능한 주방용 가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구 프레임에는, 상기 승하강 제어부와 연동이 이루어지며, 자동으로 상기 승하강 부재의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감지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조절이 가능한 주방용 가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시스템은 사용자의 위치와 상기 사용자의 키 높이를 감지하여 상기 사용자의 키 높이에 맞추어 상기 수납 프레임의 하강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승하강 부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조절이 가능한 주방용 가구.
KR1020180013956A 2018-02-05 2018-02-05 위치 조절이 가능한 주방용 가구 KR201900946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956A KR20190094617A (ko) 2018-02-05 2018-02-05 위치 조절이 가능한 주방용 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956A KR20190094617A (ko) 2018-02-05 2018-02-05 위치 조절이 가능한 주방용 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4617A true KR20190094617A (ko) 2019-08-14

Family

ID=67622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3956A KR20190094617A (ko) 2018-02-05 2018-02-05 위치 조절이 가능한 주방용 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9461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93701A (zh) * 2021-01-18 2021-03-16 漯河市紫新商贸有限公司 一种厨房小家电用放置架的调节机构
KR102375087B1 (ko) 2021-06-16 2022-03-16 주식회사 모션케어컴퍼니 주방용 높이 보조 발판
KR102392182B1 (ko) * 2021-03-02 2022-04-28 박정미 엣지접착방법을 이용한 주방가구
KR20220101239A (ko) 2021-01-11 2022-07-19 주식회사 모션케어컴퍼니 주방용 높이 보조 발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0918B1 (ko) 1998-09-07 2000-11-01 서평원 이동 통신 에치엘알 시스템에서의 프로세서 관리 방법
KR100414468B1 (ko) 2000-12-30 2004-01-0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블루투스에서 회로자원을 공유하는 클럭 연산 장치 및 그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0918B1 (ko) 1998-09-07 2000-11-01 서평원 이동 통신 에치엘알 시스템에서의 프로세서 관리 방법
KR100414468B1 (ko) 2000-12-30 2004-01-0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블루투스에서 회로자원을 공유하는 클럭 연산 장치 및 그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1239A (ko) 2021-01-11 2022-07-19 주식회사 모션케어컴퍼니 주방용 높이 보조 발판
CN112493701A (zh) * 2021-01-18 2021-03-16 漯河市紫新商贸有限公司 一种厨房小家电用放置架的调节机构
KR102392182B1 (ko) * 2021-03-02 2022-04-28 박정미 엣지접착방법을 이용한 주방가구
KR102375087B1 (ko) 2021-06-16 2022-03-16 주식회사 모션케어컴퍼니 주방용 높이 보조 발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94617A (ko) 위치 조절이 가능한 주방용 가구
US20130241384A1 (en) Motorized Upper and Lower Storage Shelves
KR102124694B1 (ko) 높이 조절 및 이동이 용이한 키오스크
JP5721244B2 (ja) 自動高さ調節機能付きキオスク
US8061789B2 (en) Storage device with pivot arm
KR101627968B1 (ko) 변기 인출이 용이한 의료용 침대
KR20210090383A (ko) 수납장 가구의 높낮이 조절장치
CN103054351B (zh) 一种防止夹手的升降式橱柜
JP3217986U (ja) スマートコントロールシャワー装置
KR20110137149A (ko) 주방용 가구의 높이조절 기구
KR20210000143A (ko) 주거 약자를 위한 높낮이 주방가구 시스템
KR20170001040A (ko) 빈 공간을 이용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벽걸이형 수납 가구
EP4154766A1 (en) A worktop unit
CN111657688A (zh) 一种升降抽屉
KR102329224B1 (ko) 식판 카트리지 결합형 식판 디스펜서
US20230371686A1 (en) Improvements relating to accessibility of storage cabinets
KR100950499B1 (ko) 높이조절장치를 갖는 가구
CN213046094U (zh) 一种酒店升降式床头柜
CN110897542A (zh) 一种设有升降扶手的智能马桶
CN203244128U (zh) 一种防止夹手的升降式橱柜
CN110876665A (zh) 电动移位机
CN210043462U (zh) 一种智能桌椅
US11927299B1 (en) Two display monitor mechanism
JP2009011728A (ja) キッチン用昇降式吊戸棚
CN205215123U (zh) 智能马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