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7968B1 - 변기 인출이 용이한 의료용 침대 - Google Patents

변기 인출이 용이한 의료용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7968B1
KR101627968B1 KR1020150050049A KR20150050049A KR101627968B1 KR 101627968 B1 KR101627968 B1 KR 101627968B1 KR 1020150050049 A KR1020150050049 A KR 1020150050049A KR 20150050049 A KR20150050049 A KR 20150050049A KR 101627968 B1 KR101627968 B1 KR 1016279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toilet
toilet seat
stool
b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0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일
Original Assignee
김진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일 filed Critical 김진일
Priority to KR1020150050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7968B1/ko
Priority to PCT/KR2016/003310 priority patent/WO2016163681A2/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7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79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9/00Bed-pans, urinals or other sanitary devices for bed-ridden persons; Cleaning devices therefor, e.g. combined with toilet-uri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9/00Bed-pans, urinals or other sanitary devices for bed-ridden persons; Cleaning devices therefor, e.g. combined with toilet-urinals
    • A61G9/003Bed-p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Nurs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기안착대가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다단레일에 의해 외측으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됨에 따라 외상환자가 침대에서 용변을 보기 위해 사용하는 간이변기의 설치와 인출이 매우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변기 인출이 용이한 의료용 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인출이 용이한 의료용 침대는, 하단에 바퀴가 설치되는 하부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되는 상부 지지프레임과, 상기 상부 지지프레임에 각도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상판지지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상판지지부재 중 하나에는 변기홀이 관통형성되는 상판 지지프레임과, 상기 하부 베이스프레임 상에 탑재되고 간이변기가 착탈가능하게 안착되는 변기안착대가 상기 변기홀 측으로 상하방향으로 승강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다단레일에 의해 외측으로 인출가능하게 설치되는 변기승강인출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변기 인출이 용이한 의료용 침대{MEDICAL BED WITH BEST USABILITY ABOUT TAKE OUT OF STOOL}
본 발명은 의료용 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변기안착대가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다단레일에 의해 외측으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됨에 따라 외상환자가 침대에서 용변을 보기 위해 사용하는 간이변기의 설치와 인출이 매우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변기 인출이 용이한 의료용 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에 누워 거동을 할 수 없는 와상환자의 경우 배변을 볼 때에 환자 자신은 물론, 환자를 돌보는 간병인에게 많은 어려움이 따랐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많은 수단이 강구되어 왔다.
근래에는 의료용 침대에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개폐되는 변기와, 용변을 수세식으로 세척하는 수세시스템과 악취를 정화하는 탈취시스템을 구성하여 환자가 누운 상태에서 간편하게 용무를 볼 수 있도록 한 자동 배변시스템이 장착된 의료용 침대가 많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자동 배변시스템이 장착된 의료용 침대의 일 예로,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06-0023639호(2006.03.15.공개)에는 침대프레임의 내측에, 수직의 래크축에 기어결합된 구동모터의 작동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와 변기가 함께 승강되게 하고, 변기의 상측에 위치하는 커버는 변기와 함께 승강되면서도 변기의 하강시 회전 개폐되게 한 공지의 환자용 침대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별도의 지지대에 의해 수직의 회전축에 형성된 승강홈을 따라 승강 가능케 고정되고, 상기 회전축의 하측에는 맞물림 형성된 회전기어가 형성되며, 일측 기어에는 회전모터가 축설되며, 상기 구동모터와 함께 승강되는 'ㄷ'자 상의 걸이구에 상기 커버의 지지대가 삽입되어 함께 승강되게 하고, 상기 지지대는 회전축의 회전과 함께 연동하여 그 변기의 상측을 개방 또는 밀폐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변기의 상부 일측에는 솔레노이드밸브가 내장되고 상수관과 직접 연결된 공급관을 형성하고, 변기 하부의 배수관 일측에는 상향 절곡상의 수위관과 그 수위관 단부의 수위감지센서를 형성하고, 그 배수관의 단부에는 컷터와 임펠러가 축 설치된 배수모터를 장착하며, 상기 임펠러가 위치한 배수관에는 오수관과 직접 연결되는 별도의 금속재 절곡관을 형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침대의 좌변기 결합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자동 배변시스템이 장착된 의료용 침대는 그 구조와 장치가 복잡하여 일반인들이 조작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가격이 고가이므로 전문 병원 등과 같이 특별한 경우에만 한정하여 사용될 뿐 일반 가정이나 요양시설 등과 같은 여건에서는 상기 침대를 사용할 수 없었다.
이로 인해, 많은 자동 배변시스템이 장착된 의료용 침대가 개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간이변기를 이용한 통상적인 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와상환자가 침대에서 간이변기를 이용하여 용변을 보기 위해서는 일정 두께의 간이변기를 환자의 둔부와 매트의 상부면 사이에 넣어야만 하는데, 이 경우에 환자는 둔부가 허리보다 더 높이 들어 올려진 불편한 자세에서 용변을 볼 수 밖에 없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844442호(2008.07.07. 공고)에는 하부 지지틀체로 된 프레임의 상부에 굴절 가능한 매트리스가 형성된 환자용 침대에 있어서, 상기 매트리스의 중앙에 장방형의 삽입구를 관통 형성하고, 그 삽입구에는 상기 매트리스의 두께와 같고 상기 삽입구와 대응 형상으로 된 쿠션부재를 삽입 형성하되, 상기 쿠션부재의 하측에는, 상기 프레임 상에 수직 고정된 가이드관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승강구를 결합하고, 상기 승강구의 일측에는 상기 프레임과 힌지 연결된 엑츄에이터의 작동축이 힌지 결합되게 하며, 상기 가이드관의 일측에는 그 가이드관과 나란한 승강홈을 갖는 안내대를 고정 형성하여, 상기 승강구의 일측으로 돌출된 안내축 단부의 베어링이 상기 승강홈을 따라 회전 승강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거식 변기용 승강 개폐장치를 갖는 환자용 침대가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수거식 변기용 승강 개폐장치를 갖는 환자용 침대는 간단한 구조로서 쿠션부재를 하강시켜 간이변기를 놓을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는 효과가 있으나, 쿠션부재의 하부가 엑츄에이터의 작동축에 직접 연결되기 때문에 승하강되는 작동이 부드럽지 못하고 소음이 발생될 뿐 아니라, 사용으로 인하여 충격의 피로감이 축적되면 쉽게 변형되어 그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전술한 바와 같은 수거식 변기용 승강 개폐장치를 갖는 환자용 침대의 경우에는 변기가 승강되는 구성을 기본으로 하고 있어 변기의 인출이 용이하지 않아 사용편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변기안착대가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다단레일에 의해 외측으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됨에 따라 외상환자가 침대에서 용변을 보기 위해 사용하는 간이변기의 설치와 인출이 매우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변기 인출이 용이한 의료용 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단에 바퀴가 설치되는 하부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되는 상부 지지프레임과, 상기 상부 지지프레임에 각도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상판지지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상판지지부재 중 하나에는 변기홀이 관통형성되는 상판 지지프레임과, 상기 하부 베이스프레임 상에 탑재되고 간이변기가 착탈가능하게 안착되는 변기안착대가 상기 변기홀 측으로 상하방향으로 승강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다단레일에 의해 외측으로 인출가능하게 설치되는 변기승강인출유닛을 포함하는 변기 인출이 용이한 의료용 침대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변기승강인출유닛은, 상기 하부 베이스프레임 상에 탑재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부에 이격되어 설치되고 간이변기가 관통가능한 관통부가 형성되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봉과, 상기 하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수직으로 설치되고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리드스크류와, 상기 리드스크류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봉에 관통결합되어 상기 리드스크류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하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는 중간승강프레임과, 상기 중간승강프레임 상에 외측으로 신축가능하게 설치되는 다단레일과, 상기 다단레일의 단부에 고정되고 간이변기가 안착되는 변기안착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봉은 가장자리측에 4개가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리드스크류는 가장자리측에 2개가 이격되어 설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다단레일은 상기 중간승강프레임에 설치되는 완충지지대와, 상기 완충지지대 상에 설치되고 상기 다단레일이 양측 내측면에 설치되는 U자형 레일지지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변기승강인출유닛은, 상기 중간승강프레임 상에 설치되고 변기안착대가 더 이상 하부로 이동되지 않게 지지하는 스토퍼봉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상부 지지프레임은 상기 하부 베이스프레임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높이조절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상부 지지프레임은 환자의 욕창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부 베이스프레임에 대해 길이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방향으로 경사조절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인출이 용이한 의료용 침대에 의하면, 변기안착대가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다단레일에 의해 외측으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됨에 따라 외상환자가 침대에서 용변을 보기 위해 사용하는 간이변기의 설치와 인출이 매우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인출이 용이한 의료용 침대에 의하면, 상부 지지프레임은 하부 지지프레임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높이조절 가능하게 설치됨에 따라 필요에 따라 와상환자의 지지높이의 조절이 가능하고, 상부 지지프레임이 하부 지지프레임에 대해 길이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방향으로 경사조절 가능하게 설치됨에 따라 와상환자를 좌우로 용이하게 기울일 수 있어 와상환자의 욕창이 방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인출이 용이한 의료용 침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인출이 용이한 의료용 침대의 높이조절 작동도.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인출이 용이한 의료용 침대의 좌우경사조절 작동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인출이 용이한 의료용 침대에 있어서, 변기승강인출유닛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인출이 용이한 의료용 침대에 있어서, 변기승강인출유닛의 승강작동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인출이 용이한 의료용 침대에 있어서, 변기승강인출유닛의 인출작동도.
이하에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인출이 용이한 의료용 침대(1)는, 도 1내지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단에 바퀴(11)가 설치되는 하부 베이스프레임(10)과, 베이스프레임(10)의 상측에 설치되는 상부 지지프레임(20)과, 상부 지지프레임(20)에 각도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상판지지부재(31)를 구비하며 상판지지부재(31) 중 하나에는 변기홀(33)이 관통형성되는 상판 지지프레임(30)과, 하부 베이스프레임(10) 상에 탑재되고 간이변기(3)가 착탈가능하게 안착되는 변기안착대(47)가 변기홀(33) 측으로 상하방향으로 승강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다단레일(46)에 의해 외측으로 인출가능하게 설치되는 변기승강인출유닛(40)을 포함한다.
여기서, 하부 베이스프레임(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인출이 용이한 의료용 침대(1)의 하부 기초틀에 해당하는 것으로, 하단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인출이 용이한 의료용 침대(1)의 이동을 위한 바퀴(11)가 설치된다. 바퀴(11)는 이동을 위한 회전 및 방향전환을 위한 회동이 가능하고 필요시 회전불가능하게 고정가능한 공지구조의 캐스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베이스프레임(10)의 상측에는 상부 지지프레임(20)이 설치되는데, 이 상부 지지프레임(20)은 실제 와상환자를 지지하기 위한 상판 지지프레임(30)이 각도조절가능하게 설치되는 프레임에 해당한다.
상부 지지프레임(20)은 특히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와상환자의 지지높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부 지지프레임(10)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높이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 지지프레임(10)에 대한 상부 지지프레임(20)의 높이조절구성은 본 출원인이 출원한 바 있는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3-0061986호(2013.06.12. 공개),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3-0039988호(2013.04.23. 공개)에 상세히 공개되어 있는 바, 여기서는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 상세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하부 베이스프레임(10)에는 하부 지지프레임(10)에 대한 상부 지지프레임(20)의 높이조절을 위한 공지된 회동링크조합체를 포함하는 높이조절구조체(13)가 설치된다.
또한 상부 지지프레임(20)은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환자의 욕창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부 지지프레임(10)에 대해 길이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방향으로 경사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 지지프레임(10)에 대한 상부 지지프레임(20)의 경사조절구성도 본 출원인이 출원한 바 있는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3-0061986호(2013.06.12. 공개),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3-0039988호(2013.04.23. 공개)에 상세히 공개되어 있는 바, 여기서는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 상세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하부 베이스프레임(10)에는 하부 지지프레임(10)에 대한 상부 지지프레임(20)의 경사조절을 위한 공지된 실린더기구를 포함하는 경사조절구조체(15)가 개재된다.
전술한 상부 지지프레임(20)에는 상판 지지프레임(30)이 설치되는데, 이 상판 지지프레임(30)은 실제 와상환자를 지지하는 매트부재들(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되는 부분으로, 상부 지지프레임(20)에 각도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상판지지부재(31)를 포함한다.
상부 지지프레임(20)에 대한 상판지지부재(31)의 각도조절구성은 본 출원인이 출원한 바 있는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4-0003300호(2014.01.09. 공개) 등에 상세히 공개되어 있는 바, 여기서는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 상세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부 지지프레임(20)과 상판 지지프레임(30)의 상판지지부재(31) 사이에는 상부 지지프레임(20)에 대한 상판지지부재(31)의 개별적인 경사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공지의 실린더기구로 이루어지는 경사조절구조체(15)가 개재된다.
전술한 상판지지부재(31) 중 와상환자의 엉덩이 부분을 지지하는 상판지지부재(31)에는 차후에 설명될 변기안착대(47) 상이 간이변기가 상승 시 대응되게 위치될수 있도록 변기홀(33)이 관통형성된다. 이러한 변기홀(33)은 둔부침대(4)에 의해 개폐가능하다.
전술한 하부 베이스프레임(10) 상에는 변기승강인출유닛(40)이 탑재되는데, 이 변기승강인출유닛(4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간이변기(3)와 둔부침대(4)가 차례로 착탈가능하게 안착되는 변기안착대(47)를 상하방향을 승강시킴과 동시에 다단레일(46)에 의해 외측으로 인출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하부 베이스프레임(10) 상에 탑재되는 하부프레임(41)과, 하부프레임(41)의 상부에 이격되어 설치되고 간이변기(3)가 관통가능한 관통부(42a)가 형성되는 상부프레임(42)과, 하부프레임(41)과 상부프레임(42)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봉(43)과, 하부프레임(41)과 상부프레임(42)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수직으로 설치되고 구동모터(44a)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리드스크류(44)와, 리드스크류(4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가이드봉(43)에 관통결합되어 리드스크류(44)의 회전방향에 따라 하부프레임(41)과 상부프레임(42)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는 중간승강프레임(45)과, 중간승강프레임(45) 상에 외측으로 신축가능하게 설치되는 다단레일(46)과, 다단레일(46)의 단부에 고정되고 간이변기(3)와 둔부침대(4)가 안착되는 변기안착대(47)를 포함한다. 간이변기(3)는 둔부침대(4)없이 바로 변기안착대(47)에 안착될 수도 있다.
하부프레임(41)과 상부프레임(42)에는 중간승강프레임(45)의 최대하강위치와 최대상승위치를 결정하는 리미트스위치(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리미트스위치는 중간승강프레임(45)의 승강구동을 위한 구동모터(44a)로 모터구동정지를 위한 제어신호를 전달한다.
가이드봉(43)은 하부프레임(41)과 상부프레임(42)이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연결함과 동시에 중간승강프레임(45)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봉 형상의 가이드부재로서, 하부프레임(41)과 상부프레임(42)의 가장자리측에 다수개, 특히 4개가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드스크류(44)는 가이드봉(43)과 마찬가지로 하부프레임(41)과 상부프레임(42)이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연결함과 동시에 구동모터(44a)에 의해 회전구동에 따른 회전방향에 따라 중간승강프레임(45)이 승하강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으로, 하부프레임(41)과 상부프레임(42)의 가장자리측에 다수개, 특히 2개가 대각선으로 마주보도록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승강프레임(45)은 변기안착대(47)가 고정되는 다단레일(46)의 설치프레임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하부프레임(41)과 상부프레임(42) 사이에서 리드스크류(44)의 회전연동에 따라 가이드봉(43)을 타고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면서 간이변기(3)가 설치된 변기안착대(47)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단레일(46)은 간이변기(3)가 안착되는 변기안착대(47)가 외측으로 인출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것으로, 중간승강프레임(45) 상의 다단레일(46)의 설치를 위해 중간승강프레임(45)에는 스프링 형상을 가는 완충지지대(46a)가 설치되고 이 완충지지대(46a) 상에는 다단레일(46)이 양측 내측면에 설치되는 U자형 레일지지대(46b)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완충지지대(46a)에 의한 다단레일(46)의 설치구성은 와상환자의 침대 상에서의 용변 시에 간이변기(3)가 안착되는 변기안착대(47)가 와상환자의 둔부를 탄성적으로 편안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다단레일(46)의 단부에 고정되는 변기안착대(47)는 와상환자의 용변이 수용되는 간이변기(3)와 둔부침대(4)가 안착되는 것으로, 변기안착대(47) 상에는 간이변기(3)와 둔부침대(4)가 착탈가능하게 끼워져 유지될 수 있도록 변기안착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간이변기(3)가 변기안착대(47)에 직접 안착될 수도 있으며, 변기안착홈을 형성하여 변기안착홈(미도시)에 간이변기(3)를 위치시킬 수도 있다.
또한 중간승강프레임(45) 상에는 변기안착대(47)가 더 이상 하부로 이동되지 않게 지지하는 스토퍼봉(48)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스토퍼봉(48)은 와상환자의 침대 상에서의 용변 시에 간이변기(3)가 안착되는 변기안착대(47)가 와상환자의 둔부 하중에 의해 과도하게 하부방향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인출이 용이한 의료용 침대(1)에는 구동모터(44a)의 작동제어를 통해 변기승강인출유닛(40)의 전체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가 제어패널 또는 리모컨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인출이 용이한 의료용 침대(1)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와상환자가 용변을 보고자 할 때, 보호자는 변기승강인출유닛(40)의 중간승강프레임(45)을 상승구동시켜 변기안착대(47) 상의 간이변기(3)가 변기홀(33)에 위치되도록 한 다음 홀커버용 매트부재를 제거하여 변기홀(33)을 개방시킨다.
외상환자의 용변보기가 완료되면, 보호자는 홀커버용 매트부재로 변기홀(33)을 폐쇄시켜 사용자의 둔부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변기승강인출유닛(40)의 중간승강프레임(45)을 하강구동시킨 다음 변기안착대(47)를 외측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다단레일(46)이 최대로 신장되면서 간이변기(3)가 안착된 변기안착대(47)가 외측으로 인출된다.
이 때 보호자는 간이변기(3)를 변기안착대(47)로부터 분리하여 용변을 폐기처리한 후 세척소독한 다음 변기안착대(47)에 다시 안착시키고 간이변기(3)가 안착된 변기안착대(47)를 내측으로 밀어넣으면 다단레일(46)이 최대로 축소되면서 간이변기가 원위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인출이 용이한 의료용 침대(1)의 경우에는, 변기안착대(47)가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다단레일(46)에 의해 외측으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됨에 따라 외상환자가 침대에서 용변을 보기 위해 사용하는 간이변기의 설치와 인출이 매우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인출이 용이한 의료용 침대(1)의 경우에는, 상부 지지프레임(20)이 하부 지지프레임(10)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높이조절 가능하게 설치됨에 따라 필요에 따라 와상환자의 지지높이의 조절이 가능하고, 상부 지지프레임(20)이 하부 지지프레임(10)에 대해 길이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방향으로 경사조절 가능하게 설치됨에 따라 와상환자를 좌우로 용이하게 기울일 수 있어 와상환자의 욕창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위에서 몇몇의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 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에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변기 인출이 용이한 의료용 침대
3 ; 간이변기
4 : 둔부침대
10 : 하부 베이스프레임
11 : 바퀴
13 : 높이조절구조체
15 : 경사조절구조제
20 : 상부 지지프레임
30 : 상판 지지프레임
31 : 상판부재
33 : 변기홀
40 : 변기승강인출유닛
41 : 하부프레임
42 : 상부프레임
42a : 관통부
43 : 가이드봉
44 : 리드스크류
44a : 구동모터
45 : 중간승강프레임
46 : 다단레일
46a : 완충지지대
46b : U자형 레일지지대
47 : 변기안착대
48 : 스토퍼봉

Claims (7)

  1. 하단에 바퀴(11)가 설치되는 하부 베이스프레임(10);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상측에 설치되는 상부 지지프레임(20);
    상기 상부 지지프레임(20)에 각도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상판지지부재(31)를 구비하며 상기 상판지지부재(31) 중 하나에는 변기홀(33)이 관통형성되는 상판 지지프레임(30); 및
    상기 하부 베이스프레임(10) 상에 탑재되고 간이변기(3)가 착탈가능하게 안착되는 변기안착대(47)가 상기 변기홀(33) 측으로 상하방향으로 승강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다단레일(46)에 의해 외측으로 인출가능하게 설치되는 변기승강인출유닛(40)을 포함하며,
    상기 변기승강인출유닛(40)은, 상기 하부 베이스프레임(10) 상에 탑재되는 하부프레임(41)과, 상기 하부프레임(41)의 상부에 이격되어 설치되고 간이변기(3)가 관통가능한 관통부(42a)가 형성되는 상부프레임(42)과, 상기 하부프레임(41)과 상기 상부프레임(42)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봉(43)과, 상기 하부프레임(41)과 상기 상부프레임(42)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수직으로 설치되고 구동모터(44a)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리드스크류(44)와, 상기 리드스크류(4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봉(43)에 관통결합되어 상기 리드스크류(44)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하부프레임(41)과 상기 상부프레임(42)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는 중간승강프레임(45)과, 상기 중간승강프레임(45) 상에 외측으로 신축가능하게 설치되는 다단레일(46)과, 상기 다단레일(46)의 단부에 고정되고 간이변기(3)가 안착되는 변기안착대(4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인출이 용이한 의료용 침대.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봉(43)은 가장자리측에 4개가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리드스크류(44)는 가장자리측에 2개가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인출이 용이한 의료용 침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단레일(46)은 상기 중간승강프레임(45)에 설치되는 완충지지대(46a)와, 상기 완충지지대(46a) 상에 설치되고 상기 다단레일(46)이 양측 내측면에 설치되는 U자형 레일지지대(46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인출이 용이한 의료용 침대.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변기승강인출유닛(40)은, 상기 중간승강프레임(45) 상에 설치되고 변기안착대(47)가 더 이상 하부로 이동되지 않게 지지하는 스토퍼봉(48)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인출이 용이한 의료용 침대.
  6. 청구항 1,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지프레임(20)은 상기 하부 베이스프레임(10)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높이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인출이 용이한 의료용 침대.
  7. 청구항 1,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지프레임(20)은 환자의 욕창이 방지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베이스프레임(10)에 대해 길이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방향으로 경사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인출이 용이한 의료용 침대.
KR1020150050049A 2015-04-09 2015-04-09 변기 인출이 용이한 의료용 침대 KR1016279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0049A KR101627968B1 (ko) 2015-04-09 2015-04-09 변기 인출이 용이한 의료용 침대
PCT/KR2016/003310 WO2016163681A2 (ko) 2015-04-09 2016-03-31 변기 인출이 용이한 의료용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0049A KR101627968B1 (ko) 2015-04-09 2015-04-09 변기 인출이 용이한 의료용 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7968B1 true KR101627968B1 (ko) 2016-06-07

Family

ID=56193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0049A KR101627968B1 (ko) 2015-04-09 2015-04-09 변기 인출이 용이한 의료용 침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27968B1 (ko)
WO (1) WO2016163681A2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2172A (ko) * 2016-12-21 2018-06-29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대장 내시경 시술용 오염억제 기구
KR102091146B1 (ko) * 2019-06-25 2020-03-19 송영수 회전식 배출구를 구비한 비데침대
CN115227510A (zh) * 2022-06-27 2022-10-25 季华实验室 排泄护理装置
US11510831B2 (en) * 2017-03-31 2022-11-29 Portia Refilwe Mavhungu Seat arrangement for a wheelchair and a wheelchair including such a seat arrangem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69348A (zh) * 2017-09-04 2018-01-12 合肥家佳乐食品工业有限公司 一种智能护理床
CN108175584B (zh) * 2018-01-17 2020-10-20 重庆航博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如厕驱动装置
CN109009844A (zh) * 2018-08-30 2018-12-18 无锡市人民医院 多功能心内科诊疗床
CN113143639B (zh) * 2021-06-11 2022-09-06 宁波欣雷医疗设备有限公司 一种护理床的马桶联动机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8591A (ko) * 2000-06-17 2000-10-05 홍길영 환자용 침대
KR200298320Y1 (ko) * 2002-09-04 2002-12-16 강호철 환자용 침대
WO2011048372A1 (en) * 2009-10-20 2011-04-28 Enda Thomas Bed with in - built toilet facility
KR20130039988A (ko) * 2011-10-13 2013-04-23 김진일 욕창방지용 전동침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6669B1 (ko) * 2006-09-29 2008-09-26 (주)리파인드 환자용 침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8591A (ko) * 2000-06-17 2000-10-05 홍길영 환자용 침대
KR200298320Y1 (ko) * 2002-09-04 2002-12-16 강호철 환자용 침대
WO2011048372A1 (en) * 2009-10-20 2011-04-28 Enda Thomas Bed with in - built toilet facility
KR20130039988A (ko) * 2011-10-13 2013-04-23 김진일 욕창방지용 전동침대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2172A (ko) * 2016-12-21 2018-06-29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대장 내시경 시술용 오염억제 기구
KR101896809B1 (ko) 2016-12-21 2018-09-07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대장 내시경 시술용 오염억제 기구
US11510831B2 (en) * 2017-03-31 2022-11-29 Portia Refilwe Mavhungu Seat arrangement for a wheelchair and a wheelchair including such a seat arrangement
KR102091146B1 (ko) * 2019-06-25 2020-03-19 송영수 회전식 배출구를 구비한 비데침대
CN115227510A (zh) * 2022-06-27 2022-10-25 季华实验室 排泄护理装置
CN115227510B (zh) * 2022-06-27 2023-08-22 季华实验室 排泄护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63681A2 (ko) 2016-10-13
WO2016163681A3 (ko) 2017-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7968B1 (ko) 변기 인출이 용이한 의료용 침대
AU2006313574B2 (en) Bed control procedure
US7676866B2 (en) Height-adjustable bedframes
US6926366B2 (en) Universal power table
CN103519954A (zh) 一种床上如厕机构
JPH09500803A (ja) 患者用ベッド
KR100517816B1 (ko) 환자용 사워 트롤리
CA2551857C (en) Bath tub lifter
US10959893B2 (en) Telescopic support column of a medical device
CN109199728B (zh) 护理床
CA2203204A1 (en) A lift for disabled persons
KR101364405B1 (ko) 다기능의 의료용 침대
KR20180118301A (ko) 용변구용 자동개폐장치의 상부접촉형 개폐문을 구비한 환자용 침대
RU2064787C1 (ru) Кровать функциональная
WO2010054942A1 (en) A lifting bed
KR102356283B1 (ko) 휠체어 보관 및 리프팅 시스템
DE202013010289U1 (de) Pflegebett mit Öffnungsmechanismus für den Tragrahmen und den Matratzenrahmen mit Vorrichtungen, um eine Toilettenanlage oder ein Waschbecken in das Bett einbringen zu können
KR100621348B1 (ko) 환자용 침대의 좌변기 승강장치
CN213373280U (zh) 一种吊带式移位机
CN219501388U (zh) 一种多功能医疗床
CN202908989U (zh) 电动护理床
KR20180118302A (ko) 용변구용 자동개폐장치가 사각틀에 형성된 상부접촉형 개폐문을 구비한 환자용 침대
KR20200042669A (ko) 용변구용 자동개폐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
KR102668266B1 (ko) 용변구용 자동개폐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
KR20110136561A (ko) 의자의 팔걸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